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구논문 : 한국 대학과 중국인 유학생의 동상이몽; 서울과 지방 소재 사립대학 비교

        박소진 ( So Jin Park ) 한국문화인류학회 2013 韓國文化人類學 Vol.46 No.1

        이 글은 글로벌 대학의 위계와 불균등한 유학이라는 맥락 속에서 중국인 유학생의 한국 유학 선택이 어떻게 한국 대학의 국제화전략과 맞물리는지를 밝힌다. 특히 한국대학 구조의 위계 속에서 다른 위치를 가진 서울의 B대학과 지방의 C대학 사례를 통해 중국인 유학생 유치 동학(dynamics)을 비교·분석한다. B대학의 경우 대학평가, C대학의 경우 대학재정이라는 유치 동기를 가진다. 두 대학은 글로벌 대학의 위계 속에서 불안정한 위치를 공유하면서 입학의 문턱을 낮춤으로써 중국인 유학생이 약간의 경제력만 되면 손쉽게 한국 유학을 선택할 수 있는 조건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교육, 평가, 관리등에 다양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지만 공론화되지 못하고 있다. 중국인 유학생은 한국어 습득, 한국 관련 관심, 학위취득이라는 주요 동기를 공유하지만, 대학 위계에 따라 한국 유학에 대해 다른 의미를 부여한다. B대학의 중국인 유학생들은 학교 브랜드에 대한 자부심을 가지지만 학업 능력이나 언어 면에서 한계를 느끼고, 상대적으로 낮은 가치를 지니는 한국 유학을 영어권 유학의 차선책으로 인식하였다. 위상이 낮은 C대학의 경우 적극적인 유치전략과 중도탈락을 방지하기 위한 임시방편적 평가를 하기에 중국에서 대학 입시에 실패하거나 전문대를 다니는 학생들이 한국 유학을 손쉬운 대학 진학과 학위취득이 가능한 대안으로 선택하였다. 이는 학업이 아닌 돈을 벌기 위한 목적을 가진 학생들이 유입되는 부작용을 낳기도 한다. 이 글은 한국 대학의 국제화전략으로서 중국인 유학생 유치와 중국인 유학생의 한국 유학 선택의 역동적인 관계를 함께 연구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This article explores how Korean universities` globalization strategies are articulated with Chinese students` choices of study in Korea in the transnational context of hierarchical global higher education and uneven flows of students who study abroad. I compare the dynamics of recruiting Chinese students at B university in Seoul and C university in a provincial city, each of which occupies a different location in the hierarchy of the Korean higher education system. B university recruits Chinese students to promote its own global competitiveness in relation to university evaluation, while C university actively recruits them motivated by financial gain. Because both universities admit Chinese students easily without many requests, Chinese students can choose study in Korea as an easy option, if economically feasible. Although there are several problems in relation to teaching, evaluating and managing Chinese students, these issues are not publicized. Chinese students come to study in Korea in order to learn Korean and get a bachelor`s degree. Chinese students in two universities, however, give study in Korea different meanings. Chinese students at B university feel pride in the brand value of B university, even while they lack the confidence of academic capacity. They also perceive study in Korea as a second best choice because it has less relative brandname value than do institutions of study in English-speaking countries. Because C university with its relatively low-rated reputation actively recruits Chinese students and adopt a stopgap measure for evaluation, Chinese students who failed to enter university or else entered a third-tier or junior college in China, perceive study in Korea as an easy second chance to get into college and get a bachelor`s degree. This study draws our attention to the importance of the globalization strategies of Korean universities, and deepens our understanding of the Chinese students who study in Korea.

      • KCI등재

        지산 배종호의 한국유학관 연구(Ⅰ) — 전기 저술을 중심으로 —

        리기용 한국철학사연구회 2024 한국 철학논집 Vol.- No.80

        이 논문은 전통 유학을 근·현대적 학문 방식으로 전환시켜 놓은 역할을 한 지산智山 배종호(裵宗鎬, 1919~1990)의 유학관, 특히 한국유학관에 대한 재평가를 위한 글이다. 기존 선행 연구에서 그에 대한 학술사적 평가는 그의 한국유학사 (1974)를 중심으로 수차례 이루어진 바 있다. 현대 한국유학 연구의 전환점이 된 한국유학사 에 대한 학술사적 평가와 그 중요성에 대해서 학계의 이견은 없다. 그러나 배종호의 학문적 배경과 정립과정 및 한국유학사 집필 등 전반적인 고찰 없이 그의 한국유학사 에 근거한 그의 한국유학관에 대한 기존의 평가는 제한적일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그에 학문, 특히 한국유학관에 대한 재평가를 하기 위해 그의 삶과 학문의 여정을 살펴보는 한편, 그의 전반 저술 분석을 통시적으로 검토해 봄으로써 그의 한국유학관 전모를 살펴보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필자는 그의 유학관 이해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서양철학도에서 동양철학 전공자로, 그리고 한국유학사 를 집필한 한국유학의 대표적 학자로 변신하게 된 그의 학문적 여정과 그의 저작들, 초기 저작들과 한국유학사 와 한국유학자료집성 의 간행을 거쳐 만년의 저작까지 통괄적으로 검토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필자를 이를 위하여 한국유학사 간행을 기점으로 이전까지를 그의 학문 여정 전기로, 이후를 후기로 구분하였다. 이 글에서는 그의 전기 저작을 중심으로 그의 한국유학관을 고찰하였다. 후기 저작을 중심으로 분석 고찰하는 것은 다음 연구를 통해 밝힐 것이다. 이 고찰을 통하여 그의 생애와 학문을 살펴보면서 첫째 철학에 대한 이해와 철학적 방법론, 둘째 서양철학 전공자가 동양철학, 특히 한국유학 연구에 착수하게 된 이유, 셋째 한국유학의 초기 저작부터 한국유학사 정립까지의 학문적 여정도 고찰할 수 있었다. 넷째 그의 한국유학사 가 다루지 못한 시기와 다루지 않은 주제들에 대해서 그 여백을 채워볼 수 있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그의 한국유학사 가 갖는 지성사적 의미와 학술사적 의의도 재평가해 볼 수 있었다. This paper is intended to re-evaluate the views of Jisan智山 Bae Jong-Ho(裵宗鎬, 1919~1990), who played a central role in marking a milestone in modern Korean Neo-Confucianism and transforming traditional Confucianism into a modern academic method, especially the views of Neo-Confucianism in Korea In order to re-evaluate his philosophy, I divided his works into the first half and the second half, focusing on History of Neo-Confucianism in Korea(1974). This article is an analysis of his work in the first half, and the analysis of his work in the second half is left as a follow-up study. His study of Korean Confucianism focuses only on the theory of LiQi理氣, XingQing性情 among Neo-Confucianism in Choseon. Therefore, There are inevitably many blanks in each period and subject. In this paper, I can fill in the blanks by referring to the views that appeared in his first half works. Through this study, not only can he design the full extent of History of Korean Neo-Confucianism he thought, but I can also examine his views on it.

      • KCI등재

        재일본 한국유학생 잡지 연구

        안남일(An, Nam-Il)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5 한국학연구 Vol.55 No.-

        본 연구의 목적은 재일본 한국유학생 잡지를 연구하는 데 있다. 이 시기 잡지에 대한 연구는 일제 강점기라는 특수한 시대적 상황 아래 놓여있던 한국유학생들이 어떻게 현실을 인식하고 극복하려 했는가에 대한 모색과 탐색의 결과물이라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갖는다. 또한 재일본 한국유학생 잡지에 대한 고찰은 당대 지식인의 변동과 사상계의 동향을 읽어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서구의 문화와 예술을 받아들여 우리의 새로운 예술과 문화를 만들어나가고자 하는 한국유학생들의 실천 방향을 짐작할 수 있다는 점에서 더 큰 의의가 있다. 재일본 한국유학생 잡지 연구는 일제 강점기의 한국유학생들의 시대인식과 현실극복 의지 등 한국유학생들의 노력과 새로운 인식을 드러내는 모색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한국유학생들의 자기 확립과 시대인식, 그리고 당면 과제에 대한 문제 해결 의지와 근대적 인식 등이 그것이다. 특히 본 연구는 잡지의 ‘창간사’와 ‘발간사’를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된다. 창간사는 잡지 간행의 목적 및 의도, 방법을 드러내는 잡지 전체의 방향성을 가늠해 볼 수 있는데, 재일본 한국유학생의 사상과 시대적 인식을 응축해 놓은 자료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 가운데 단체 및 협회가 아닌 재일본 대학 소속 한국유학생 잡지인 <학우>, <회보>(명치대학조선유학생동지회회보), <회지>(일본중앙 Chuo대학우리동창회회지), <회보>(경도제국대학조선유학생동창회회보), <동창회회지>(조도전대학우리동창회회지)의 총 5종의 잡지 ‘창간사 및 발간사’를 우선적으로 연구의 대상으로 삼는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he contemplation on the magazine of Korean students studying in Japan. The research on this magazine is significant in two ways. One is that this represents how Korean students studying tried to overcome the reality under Japanese colonial era, which is peculiar external situation. The other reason, which is more important, is that based on the contemplation on the study, we can figure out the change and the trend of intellects at that time as well as the direction of the practice that Korean students studying had done to create our new culture and arts with accepting foreign’s. Based on this study, we can figure out the results of the endeavor and recognition which Korean students studying had done to overcome their reality. Those is self-establishment, awareness of time, willingness to solve the immediate problems and modern recognition, etc. In particular, this study is focusing more on ‘publication’ of the magazine. With publication, we can measure the whole direction of the purpose or intention of issuing magazine. This is the compressed data which represents the Korean students’ ideology and awareness of the era.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Hakwoo(Classmate)>, <Hoebo(Chosun student alumni bulletin in Meiji University)>, <Hoeji(Woori alumni bulletin in Chuo University)>, <Hoebo(Chosun student alumni bulletin in Kyoto Imperial University)>, <Dongchanghoehoeji(Woori alumni bulletin in Waseda University)>. Those fives are the magazine of Korean students studying belonging to college in Japan, and again, publication is the main point in the first place.

      • KCI등재

        한국유학의 특성과 주체적 발전양상에 관한 고찰-조선후기 유학자들의 역사인식과 현대 한국유학자들의 동이(東夷)연구를 중심으로-

        김성실 ( Kim Sung Sil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국학연구원 2014 선도문화 Vol.17 No.-

        한국유학은 중국유학과는 달리 한국 고유의 특성을 지니고 있다. 그것은 유학이 전래되기 이전부터 한국 고유의 사상이 있기 때문인데, 이를 ‘풍류사상(風流思想)’ 혹은 ‘선비정신(先脾精神)’ 등으로 표현하기도 한다. 이러한 한국 고유의 사상은 외래사상을 그대로 수용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닌 한국만의 특성으로 발전시켜 나아간다. 동아시아의 대표적 사상인 유(儒)·불(彿)·도(道) 사상 역시 한국에서는 한국만의 특성으로 발전해 왔다. 특히, 한국사회에서 가장 깊은 영향을 미친 유학사상의 경우도 마찬가지인데, 이는 중국유학과 한국유학의 차이점을 통해 보아도 잘 알 수 있다. 중국유학은 하늘과 사람이 하나가 되고자 하는 ‘천인합일(天人合一)’의 사상이 그 핵심이나 한국에 와서는 하늘과 사람과의 간극이 없다는 ‘천인무간(天人無間)’의 사상으로 주체적으로 수용되어 발전하였으며, 또한 이기론(理氣論)을중심으로 우주론(宇宙論)이 발달한 중국유학과는 달리 인간 본연의 심성을대상으로 한 심성론(心性論)적 학문과 수양이 발달한 한국유학은 그러한 주체성을 잘 드러내고 있다. 이러한 한국유학의 특성은 한국만의 고유한 사상적 주체성을 바탕으로 하여 발전시켜 나아가기 때문인데, 조선조 성리학의 경우 성리학을 중심으로 나라의 기강과 기틀을 바로세우고 발전시켜 나아가다가 그것이 장애에 부딪히게 될 때에는 어김없이 사상적 유연성과 주체적 발전의식을 통해 개선하여 발전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었다. 특히,조선후기 유학자들은 지나치게 중국 중심으로 치우쳐버린 중화주의(中華主義)사상을 비판하고 순암(順菴)의 『동사강목(東史綱目)』과 같은 저술처럼 한국고대사에대한 재인식을 통해 한국유학을 발전시켰다. 이러한 의식은 현대 한국 유학자들의 동이(東夷) 연구를 통해서도 재발견되고 있다. 동이 연구는유교사상의 원형으로서의 동이족의 특성에 관한 연구와 부사년의 「이하동서설(夷夏東西說)」 이후로 중국 중심의 대일통사관(大一統史觀)에 대한 비판을 담은연구들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동이연구의 핵심은 한국유학은단지 중국유학의 아류가 아닌 주체적인 수용과 발전을 이루었으며,오히려 한국사상이 유교사상의 원형을 지니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이러한 연구는 한국인의 본질적 특성과 심성에 관한 미래지향적인 방향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는 점에서 고무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한국유학의 고유한 특성은 한국만의 독특한 주체성과 발전의식에 근거하고 있으며, 유학사상의 원형으로서 동이연구는 기존의 중국 중심의 편향된 시각에서 벗어나 유학사상의 형성과 발전의 기원을 고대 한민족의 뿌리로부터 찾아볼 수 있다는 중요한 시도라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크다. 이러한 한국유학사상의 주체성을 올바로 이해하고 발전시켜 나간다면 오늘날 현대 한국사회가 처한 위기 상황을 극복하고 미래지향적인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해 본다. This aims to study the Characteristics and Subjective development’saspects of the Korean Confucianism. Unlike Chinese Confucianism, theKorea Confucianism has a own characteristic. Because Korea has a ownthoughts before Confucianism were introduced from China. It was calledPung-Ryu(風流) thoughts or Sun-Bi(先脾) spirits. Korean Confucianismalso developed subjectively based on Korea own thoughts. That s why itmakes difference between Chinese Confucinism and Korean Confucianism. Heaven-Man Unity(天人合一) is very important concept to ChineseConfucinism, on the contrary Chun In Mu-Gan(天人無間) is veryimportan concept to understanding the Korean Confucianism. And it alsoChina Confucianism mainly developed cosmology(宇宙論), while KoreanConfucianism mainly developed Human Nature theory(心性論). Inparticular, the late Joseon Confucian criticized concentrated on the center of China(中華主義) and they had developed a study by new understandingthe ancient Korea history like a Dongsagangmok(東史綱目). It thoughtsrediscovered study on Dong-Yi(東夷) by modern Korean Confucian. Thevarious fields of study were faced with the necessity to receive thoseviewpoints creatively. A study on Dong-Yi(東夷) keypoint is to understandKorean Confucianism’s Subjective Characteristics and research theprototype of the Confucianism. Korean tradition thoughts has been at the heart of the lives of ourpeople. And the spirit of Korean Confucianism also has continued onwithout ceasing until now. Through the study on Characteristics andSubjective development’s aspects of the Korean Confucianism, I lookforward to overcome problem of our soceity and create a better societyfor all.

      • 일제강점기 “민족성과 유학(儒學)의 관계성” 담론을 통한 “한국적 유학(儒學)”(얼유학(儒學)) 시론(試論) : 다카하시 도루, 신채호, 정인보의 담론을 중심으로

        권상우 경북대학교 퇴계학연구소 2011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48 No.-

        본 논문에서는 일제강점기 유학과 민족성의 관계성 담론을 중심으로 한국적 유교의 정체성을 탐색해 보고자 한다. 다카하시 도루는 일본 식민세력이 조선통치의 정당성과 합리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한국유학 연구를 통해 한국민족의 ``종속성``, ‘고착성’. ‘분열성``을 규명하였다. 그러나 그는 조선시대 지배계층의 일부 특성을 한민족 전체의 특성으로 추론하면서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를 범하고 있음을 논의하였다. 다카하시 도루와는 달리 신채호는 당시의 식민사관에 벗어나 민족사관을 확립하기 위해서는 먼저 유교 중심의 한국사를 청산해야 한다고 보면서 한국사에서 유교를 배제시켰다. 이에 반해 정인보는 민족성(주체)과 유학(타자)을 창조적으로 결합하여 ``얼유학``을 제창하고자 하였다. 필자는 그의 ``얼유학``이 ``한국적 유 학``의 대표적인 모형으로 삼고자 한다. 결론에서는 정인보의 ``얼유학``를 비판적으로 계승하면서, 민족과 유교의 상호작용으로서의 ``한국적 유학``을 구성해야 함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本文是通過在日本强占期間自于民族性與儒學的談論來試探``韓國的儒學``. 這時日本官方學者, 爲了證明朝鮮統治的正當性和合法性. 他們主張朝鮮的民族性是缺乏了主體性的後進民族. 特別是高橋亨通過硏究朝鮮性理學而主張朝鮮民族是缺乏了創意性和自主性的民族. 但是民族主義知識人申采浩有和高橋亨的不同, 從民族史觀的觀點批判儒學的史官. 鄭寅普結合了高橋亨的民族性批判和申采浩的儒家批判而確立``얼儒學``. ``얼儒學``是結合韓國人的精神和儒學思想. 就是說民族性成爲是儒學的體. 儒學思想成爲是韓國民族性的用. 最後著者批判鄭寅普的얼儒學. 而提示了從文化心來探討韓國的儒學的看法.

      • KCI등재

        이상은의 "한국유학사관"과 “도의정신(道義精神)” -국정국사교과서에 반영된 "실학관" 비판을 중심으로

        김미영 ( Mi Yeong Kim )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2014 철학연구 Vol.0 No.50

        본고에서는 한국유학사 전개과정을 도의정신의 구현과정으로 바라보고 있는 이상은의 한국유학사관을 통해 한국신유학자로 불리는 이상은 철학사상이 지닌 의미를 살펴보았다. 이는 문명담론에 의거한 한국유학사 기술을 통속적 실학관이라고 비판하는 과정에서 선명하게 드러난다. 그가 비판하고 있는 통속적 실학관의 특징은 첫째, 실학과 성리학을 전연 별개의 학문처럼 보고 있으며, 둘째, 실학만 실을찾는 학문이요 성리학은 공리공담만 하는 학문이며, 셋째, 실학의 성격을 반주자학적인 것으로 본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통속적 실학관은 20세기 한국철학사 기술에 뿌리깊게 내재되어 있던 관점이다. 이러한 관점은 1920년대 다카하시 도루의 한국유학사관과 1930년대 한국학자들 에 의해 제창된 조선학 운동에 따른 실학자의 재조명 과정이 상호결합되면서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다. 20세기를 지배했던 이와 같은 한국유학사관은 한국유학사 기술과정에서 전통적으로 한국유학에서 중시했던절의정신이나 도의정신에 기반한 도통관념을 배제하고 문명담론을 중심에 놓은 결과물이라 할 수 있다. 이상은은 통속적 실학관을 비판하면서 이러한 20세기 문명담론을 비판하고 다시금 한국유학사에서 절의정신이나 도의정신을 복권시키고자 하였다. 이러한 관점은 1966년 현상윤의 유교공죄론을 재평가하는 과정에서 가시화된 것이라 할 수 있다. 현상윤은 군자학이라는 측면에서 유학의 긍정적인 면모를 지적하고 있기는 하나, 그 역시 문명담론 속에서 한국유학사를 기술하고 있으므로 그의 한국유학사관은 이상은이 비판하고 있던 통속적 실학관에서 크게벗어나있지 않다. 이에 이상은은 절의정신에 대한 불철저한 인식을 견지하고 있다고 하며 현상윤을 비판하였던 것이다. 20세기 문명담론에대한 비판적 성찰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현재 이상은의 한국유학사관은 문명담론을 비판하는 일보를 내딛은 것이라 평가할 수 있다. This paper deals with so-called Korean New Confucianist, Lee Sang-Eun’s philosophical idea, through his viewpoint on Confucian History in Korea where he regarded its development process as that of morality realization. It is evidently revealed in the course of his criticizing that describing Korean Confucian History based upon the discourse on civilization leads to popular ideas of Silhak. The characteristics of this popular ideas of Silhak he found fault with are as follows: first, it completely separates Silhak from Confucianism; second, it sees Silhak is the only learning pursuing actuality, while Confucianism results in just empty discourses; third, it regards characteristics of Silhak as anti- Confucianism. This position was what lay deep-rootedly when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was described in the 20th century. It can be said that it was formed in the process that Takahashi Toru’s viewpoint in the 1920s on Korean Confucian History was combined with the re- illumination of Silhak based on Korean Confucianism movement introduced by Korean scholars in the 1930s. This dominant position in the 20th century was the result of emphasizing the discourse on civilization in describing Korean Confucian History, leaving out the ideas of the consistent Dao on the ground of morality or integrity thought highly of traditionally. Criticizing popular ideas of Silhak, Lee Sang-Eun tried to restore morality or integrity in Korean Confucian History through blaming the discourse on civilization. This point of view was highlighted in the middle of revaluating Hyun Sang-Yun’s discussion on the complicity of Confucianism. He indicated the positive points of Confucianism from the aspect of virtuous person’s learning, but he also described Korean Confucian History on the basis of the discourse on civilization. Therefore, he couldn’t free largely himself from popular ideas of Silhak Lee Sang-Eun found fault with. This was why Lee Sang-Eun criticized his incomplete recognition of morality. From the contemporary viewpoint where critic reflection on the discourse on civilization in the 20th century is active, it can be valued that Lee Sang-Eun’s position on Korean Confucian History is a stepping stone to criticizing the discourse on civilization.

      • KCI등재

        중국인 유학생의 한국 대학 선택 요인에 관한 연구

        김형재 ( Hyung Jae Kim ),최욱 ( Wook Choi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12 유라시아연구 Vol.9 No.3

        세계화 추세와 한국 정부 및 대학의 노력에 힘입어 국내 학위과정 유학생 수는 2000년 3,963명에서 2010년 60,000명으로 가히 폭발적으로 증가하였다. 특히 중국인 유학생은 한국 전체 유학생의 76.6%를 차지하여 중국은 최대유학생 국가로 부상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대부분의 대학들은 최대 유학 생군을 형성하는 중국인 유학생을 최우선적 유치대상으로 설정하고 다양한 방법을 동원하여 중국인 유학생 유치에 열을 올리고 있다. 그런데 최근 지난 몇 년간 폭발적으로 증가한 외국인 유학생의 상당수는 수도권 지역 대학으로 편중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시간이 흐를수록 더욱 더 심화되고 있다. 이 때문에 수도권을 제외한 지방의 대학들은 지역적 열세에서 벗어나지 못하여 유학생 유치 경쟁에 있어서도 우위를 점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중국 현지 5개 대학 재학생을 대상으로 중국유학생의 유학국가 선택요인, 유학대학 선택요인, 유학과정 선호도,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묻는 내용이 포함된 총 74개 설문 문항을 통하여 실증 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된 결과를 통하여 지방 대학들의 중국 유학생 유치 전략 수립에 있어 좀 더 효율적인 방향을 모색하는데 이바지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학 국가로서 한국을 선택하는 요인으로 국가 인지도, 한류영향, 유학경비, 지리적 근접성, 유학수속 절차 등 5가지를 설문 항목으로 설정하고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경제적 요인, 국가 인지도, 유학 수속 절차 순으로 유학지로서 한국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유학 경비가 저렴할수록, 선진국일수록 유학 국가로 선호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유학 수속 절차가 간단한 국가를 유학 국가로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중국인 유학생의 유학 국가 선택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추정되던 지리적 근접성 및 한류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국 유학생의 한국 대학 선택 요인에 대해 유학생 관리체계, 거주여건, 취업지원제도, 장학제도, 유학 중개 기관, 유학 경비, 어학당 서비스, 대학의 인지도, 대학의 교육 수준 등 9개 항목을 설정하여, 각 요인이 한국 대학 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대학의 교육수준, 유학 경비, 유학생 관리 체계, 유학 중개 기관, 대학의 인지도, 취업지원제도, 장학제도 순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중국인 유학생은 단순히 대학의 인지도만을 중시하여 대학을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유학생 관리체계, 취업지원제도, 장학제도와 같은 유학생들에게 제공되는 다양한 대학의 제반 교육 서비스도 고려하여 유학 대학을 선택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중국인 유학생들은 유학 중개 기관에서 제공하는 전반적인 한국 대학에 대한 유학 정보에 대해 신뢰감을 가지고 있고, 한국 대학을 선택함에 있어 이들 기관의 영향을 적지 않게 받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유학 생활이 장기간 지속된다는 전제 아래 선택요인 중 거주 여건이 중요한 영향력을 발휘할 것이라는 추측은 실제와 달랐다. 또한 한국대학 수학에 필수적인 한국어 능력을 배양하는 한국어 교육기관인 한국어학당 서비스 역시 대학 선택에 유의미한 영향은 미치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셋째, 한국 대학 만족도가 한국 대학 선택 의도에 미치는 영향의 경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한국 대학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한국 대학 선택 의도도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다만, 본 연구는 조사의 대상과 연구방법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중국이라는 특정 국가의 학생만을 연구 대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이것은 국내 외국인 유학생전체의 특성을 반영한다고 할 수 없다. 따라서 향후 중국인 유학생에서 전체 외국인 유학생으로 확대하여 연구를 실시해야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는 중국인 유학생의 한국대학 선택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개발된 표준화된 도구가 아니고 한국 대학 선택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연구자가 선행연구결과 등을 토대로 제작한 것이므로 연구 결과의 타당도 및 신뢰도에 한계가 있다. 좀 더 객관적이고 정확한 분석도구의 개발 등을 토대로 더 정확한 연구가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셋째, 실제 한국 유학을 선택하지 않은 학생을 대상으로 한국 유학을 선택한다는 가정 하에 진행된 연구이므로 실제 유학 실행 시와는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변화에 따른 차이로 인해 이를 일반화하는데 한계가 있다. 향후 보다 많고 다양한 집단을 대상으로 연구를 하는 심도 깊은 연구가 필요하다. 외국인 유학생 유치 정책이 지속적인 성공을 거두기 위해서는 유학생들의 유학국가 선택 요인과 대학 선택요인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를 토대로 한국과 국내 대학의 국제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방향으로 유학생 유치 정책 및 전략을 개선해야 할 것이다. On the strength of a trend of globalization and efforts by the South Korean government and universities, the number of foreign students enrolled in degree programs in South Korea underwent an explosive rise from 3,963 in 2000 to roughly 60,000 in 2010. Meanwhile, students from China have emerged as the largest foreign consumers of South Korean higher education, accounting for fully 70% of all foreign students in the country. For this study, a questionnaire was given to students in China to determine the factors influencing their selection of a university in South Korea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factors and their satisfaction with overseas study opportunities in South Korea and actual intention to select a South Korean university.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five areas were identified as potential factors in the selection of South Korea as a destination for foreign studies, namely national recognition, the effects of the Korean Wave, study costs, geographical proximity, and study procedures. Examination of these areas showed economic factors to have the largest influence on the choice of South Korea as an exchange study destination, followed by national recognition and exchange study procedures. Geographical proximity and the Korean Wave were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effect. Second, nine areas were isolated for measurement in terms of their influence on Chinese students` selection of a particular South Korean university, namely its student administration system, residence conditions, employment support systems, financial aid systems, exchange placement organizations, exchange study costs, language institute services, university recognition, and university education level.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 effects for educational level, costs, administration system, placement organizations, recognition, employment support systems, and financial aid systems. Residence conditions and language institute services were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effect. Third, satisfaction with South Korean universities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students` intention to select a South Korean university. Higher levels of satisfaction with South Korean universities were found to be associated with high levels of intention to select a South Korean university.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this paper`s result doesn``t show all foreign students`` peculiarities who study in korea because this research only focuses on chinese students. So the focus of research should be expanded from only chinese students to all foreign students. Second, this research`s questionnaire doesn`t fully have reliability and validity. The questionnaire used in this research is not the standardized questionnaire for analyzing factors influencing the selection of universities in South korea, but maed by the researcher with other former researchers`` questionnaire. Third, the people in this study were students, who didn`t select korean university and may sellect korean university in the future. So they could make different choice when they actually go to korean university. So it is hard to say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 general tendency. The results suggest that continued success in measures to attract foreign exchange students will require ongoing attention to the reasons that influence exchange students`` destination selection and the factors behind their selection of South Korea and its universities, using this as a basis for improvements to exchange student recruitment policies and strategies aimed at stepping up the internationalization and competitiveness of South Korea and its universities in order to continue attracting the rapidly increasingly numbers of Chinese students.

      • KCI등재

        한국군의 초기 서독 군사유학 경험과 그 영향

        김도민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2020 군사 Vol.- No.115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experiences of the early Korean military officers who went to study in West Germany in the 1960s and the impact of their experiences on the Korean military. Under the agreement between Korea and Germany in 1964, from 1965, the 2 cadets of Korea military academy sent to West German Army Academy as a status of military cadet, and at the same time, officers attended the West German Command and Staff college. Looking at the related research papers, there is only research on the study of Korean military to the United States. In the situation where there was little literature on Korean military's study abroad in West Germany, this article revealed the specific types and experiences of military study in West Germany by analyzing the oral records related to the Korean military collected by the Contemporary Korean Oral History Research Group of the Institute of Korean Studies, Kyujanggak Korean Studies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In the early days, 10 ROK military officers were dispatched to three locations, including a military academy, a commanding and staff college, and a general university in West Germany. Furthermore, this article revealed how ROK military West German students tried to apply the German military system within the Korean military since the 1980s, when military officers or officers at the level of military officers experienced military study abroad in West Germany and promoted up to become a Korean military general. For example, the German mission-based tactics were included as an FM(Field Manual) and the German decree on military service were not only translated and but applied to some ROKA units. Not only did some of the Korean military officers who had experienced studying in West Germany studied American military at the same time, they were also able to confirm som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American military system and German one. It is expected that the concrete situation of West German military study by the Korean military will be restored through the voices of experienced peoples, as well as fill the gap of histor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Germany 본고는 1960년대 서독으로 군사유학을 갔던 초창기 한국군 장교의 경험과 그들의 경험이 한국군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1964년 한국과 독일 간 협정에 따라 1965년 한국군은 처음으로 서독에 육군사관학교 생도 2명을 파겼했으며, 이후 한국군의 위관급 및 영관급 장교들도 서독 지휘참모대학에서 수학했다. 그동안 한국군의 해외 군사유학에 관련한 연구는 미국 지역에만 한정되어 있었다. 본고는 처음으로 한국군의 초기 서독 군사유학의 양상과 실태를 밝히고자 했다. 특히 본고는 한국군의 서독 군사유학 관련한 문헌자료가 거의 존재하지 않은 상황에서,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현대한국구술사연구사업단이 수집한 한국군 관련 구술자료를 활용하여 구체적인 서독 군사유학의 유형 및 경험을 밝힐 수 있었다. 초창기 한국군 장교들의 서독 군사유학은 육군사관학교·지휘참모대학·일반대학 등 세 곳에 10명 남짓 파견되는 형태를 보였다. 특히 한국군의 사관생도이거나 위관급 수준의 장교들이 초기 서독 군사유학을 경험한 후, 1980년 전후부터 한국군 내에서 장성으로 성장했기 때문에 이들은 한국군 내에 독일식 군사 시스템을 적용하려고 했다. 특히 독일식 임무형 전술이 교범 내용으로 중요하게 포함되거나 독일군의 복무규율이 그대로 번역되어 한국군 일부 부대에서 적용되는 사례 등이 있었다. 흥미롭게도 독일 군사유학을 경험한 한국군 장교들 중 일부는 미국 군사유학도 동시에 했다. 따라서 미국과 서독의 군사유학을 모두 경험한 인물들은 미국식 시스템과 독일식 시스템의 비교 및 평가하는 구술을 남기기도 했다. 이처럼 본 연구는 기존에 전혀 밝혀지지 못했던 한국군의 초창기 독일 군사유학의 구체적인 실태를 실제 경험한 구술자들의 목소리를 통해 복원했을 뿐 아니라, 군사적 차원의 한독관계사의 양상을 밝힘으로써 기존 한독관계사 연구의 공백도 채울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KCI등재

        이병도(李丙燾), 『자료한국유학사초고 (資料韓國儒學史草藁)』 -한국유학사의 근대적 출발-

        최영성 ( Choi Young Sung ) 한국사상사학회 2019 韓國思想史學 Vol.0 No.61

        한국의 근대 역사학에서 큰 위치를 차지하는 국사학자 이병도(李丙燾: 1896∼1989)는 한국의 유학사(儒學史) 연구에서도 주목할 만한 업적을 남겼다. 그 대표적 저작물이 『자료 한국유학사 초고』다. 1937년에 저술을 한 뒤 그로부터 22년이 지난 1959년에 등사본 형태로 발표를 하였다. ‘초고’라는 이름은 이 저작이 미완성임을 시사한 것이고, ‘자료’라는 말은 저술의 성격을 드러낸 것이라 할 수 있다. 이 책은 뒷날 1987년에 번역과 수정 보완을 거쳐 ‘한국유학사’로 다시 태어났다. 본고는 유학사연구의 ‘근대적 출발’을 고찰하기 위한 목적에서 집필되었다. 이병도의 『자료 한국유학사 초고』는 1937년 당시의 유학사 연구 수준을 그대로 볼 수 있는 중요한 저술이다. 여러 가지 면에서 근대성을 논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특히 ‘출발’이라는 단어에 의미를 둘 때, 1949년에 정식 출판된 현상윤(玄相允)의 『조선유학사』와 비교하면서 살펴볼 대목이 적지 않다. 다만 이병도의 위 저작은 ‘충분조건’에다 ‘필요조건’까지 결부시키면 온전하게 평가 받기가 어려울 것이다. 1930년대 후반으로 돌아가 당시의 주어진 조건을 감안하여 근대성 여부를 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Korean historian Lee Byeong-do (李丙燾: 1896~1989) who holds a large position in modern Korean history has also made remarkable achievements in the study of the history of Korean Confucianism. His representative work is Rough Copy of Data on the History of Korean Confucianism (資料韓國儒學史草藁). After writing it in 1937, he published it in 1959, 22 years later, in the form of mimeograph copy. The expression "rough copy" suggests that the work is incomplete and the word "data" reveals its nature. Later, the book was reborn in 1987 as History of Korean Confucianism after being translated and revised. This article was written for the purpose of examining the "modern beginning" of research on the History of Confucianism (儒學史). Lee Byeong-do's Rough Copy of Data on the History of Korean Confucianism is an important writing that shows the level of the study on the history of Confucianism in 1937. I think we can discuss modernity in many ways. In particular, when we focus on the word "beginning," I think there are many points to consider in relation to theHistory of Joseon Confucianism of Hyun Sang-yoon (玄相允), which was officially published in 1949. The above work of Lee Byeong-do will be difficult to evaluate thoroughly if the "necessary conditions" are combined to "sufficient conditions". It would be desirable to go back to the end of the 1930s to discuss whether modernity is possible taking into account the conditions given at that time.

      • KCI등재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적응과 한국어능력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주월랑,강병헌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1

        Analysis on the Research Trend Related to Adaptation toKorea and Korean Proficiency of Foreign StudentsWoalrang Ju & Byounghoun Kang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trend of researches handling the correlation between adaptation to Korea and Korean proficiency, by setting up the Korean proficiency of foreign students as a main factor in researches on the adaptation to Korea of foreign students. Through this, this study aimed to suggest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measures for foreign students’ adaptation to Korea in the future. For this, this study selected total 52 theses in journals suitable for this study, by searching ‘foreign student’, ‘adaptation’, and ‘Korean language’ at RISS in the early June 2021. After that, the quantitative analysis in each year, research method, and research theme was conducted. Also, the qualitative analysis was performed only targeting the researches explicitly presenting the correlation between adaptation to Korea and Korean proficiency of foreign students.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regarding the analysis in each year, the researches on the adaptation of foreign students were gradually increasing every year. In the results of analysis in each research method, most of the researches preferred the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In the results of analysis in each research theme, the researches on foreign students showed discussions in the category of adaptation in the early stage. Recently, however, it tended to be subdivided into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acculturation, and academic adaptation.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researches that revealed the correlation between adaptation to Korea and Korean proficiency of foreign students, despite some differences in each researcher, generally, the Korean proficiency had effects on foreign students’ adaptation. Therefore, it would be necessary to raise the level of Korean proficiency required for foreign students to enter a university in Korea, to establish the evaluation standard of Korean proficiency that should be reached during the period of university enrollment after entrance, and lastly to develop some extracurricular courses helpful for cultivating the Korean proficiency of foreign students. Key Words: Foreign Students, Adaptation, Korean Proficiency, Correlation, Trend of Researches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적응과 한국어능력 관련 연구 동향 분석주 월 랑*ㆍ강 병 헌** 요약: 본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 적응 연구 중에서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어 사용 능력을 주요 요인으로 설정하여, 한국 적응과 한국어 능력 간의 상관관계를 다룬 연구들의 동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2021년 6월 초에 RISS에서 ‘외국인 유학생’, ‘적응’, ‘한국어’로 검색하여, 본 연구에 부합하는 학술지 논문 총 52편을 선정하였다. 이후 연도별, 연구 방법별, 연구주제별로 양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 적응과 한국어 능력의 상관성을 명시적으로 제시한 연구만을 대상으로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연도별 분석에서는 외국인 유학생 적응 연구는 해마다 점차 증가하였다. 연구방법별 분석 결과, 대부분 양적 연구 방법으로 연구가 이루어졌다. 연구 주제별 분석 결과, 외국인 유학생 연구는 초기에 적응이라는 범주에서 논의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최근에는 대학 생활 적응, 문화 적응, 학업 적응으로 세분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 적응과 한국어 능력 간의 상관성을 밝힌 연구들을 분석한 결과, 연구자마다 그 차이가 존재했으나, 일반적으로 한국어 사용 능력이 외국인 유학생의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외국인 유학생의 국내 대학 입학 기준으로 요구되는 한국어 능력을 상향 조정하는 것, 입학 이후 대학 재학 기간에 도달해야 하는 한국어 능력에 대한 평가 기준을 마련하는 것, 마지막으로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어 능력을 함양시키는 데 도움이 되는 비교과 과정을 개발 등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핵심어: 외국인 유학생, 적응, 한국어능력, 상관관계, 연구 동향 □ 접수일: 2021년 11월 10일, 수정일: 2022년 1월 20일, 게재확정일: 2022년 2월 20일* 주저자, 성균관대학교 한국어교육학과 강사(First Author, Lecturer, SungKyunKwan Univ., Email:moon4005@hanmail.net)** 교신저자, 서울시립대학교 국제교육원 객원교수(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Univ. of Seoul, Email: clement.bh.kang@gmail.co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