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표준한국어》교재 쓰기 영역 분석

        심지혜 한국어문화교육학회 2020 한국어문화교육 Vol.14 No.2

        본 연구는 학령기 다문화 학생들을 위한《표준한국어》교재 쓰기 영역의 쓰기 활동 유형과 쓰기 유형의 소재를 분석하여 다문화 학생들이 학업 수행을 함에 있어서 유용한지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쓰기 영역의 소재가 한국어(KSL) 교육과정의 쓰기 성취 기준과 부합하지 않는 부분들이 있었다. 작문 유형은 통제 작문의 비중이 크고 유도 작문과 자유 작문의 비중이 보다 적게 제시되어 있었으며, 자유 작문의 소재는 ‘일기’와 ‘문자메시지’, ‘장래희망’과 같은 소재로 한정되어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한국어(KSL) 교육과정의 성취 기준과 부합하는 소재를 제시하여 쓰기를 유도해야 할 것이며, 자유 작문의 소재는 일상생활의 소재뿐만 아니라 이슈, 화제, 사회 사건 등의 소재도 다루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writing area of the 《Standard Korea n》textbook for school-age students. As a result, there were areas where the subject matter of the writing field did not match the writing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Korean language (KSL) curriculum. As for the writing type, the proportion of controlled writing was large, and the proportion of guided writing and free writing were presented less, and the subject of free writing was limited to such as'diary','text message', and'hope for the future'. Coul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duce writing by suggesting materials that meet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Korean language (KSL) curriculum, and materials for free writing should deal with not only the subject matter of daily life, but also issues, topics, and social events.

      • KCI등재

        쓰기 지식을 중심으로 한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육의 연구 경향

        손다정(Son, Da-jung),장미정(Jang, Mi-jung) 중앙어문학회 2013 語文論集 Vol.56 No.-

        이 연구는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육의 연구 경향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앞으로의 연구에 시사점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한국어교육에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개념이 도입된 이후 현재까지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해 왔을 뿐만 아니라 그 범위도 넓어졌다. 이중에서도 쓰기 교육 연구가 특히 활발히 이루어졌다. 이는 학습자의 요구가 특히 높은 영역이기도 하거니와 학문 목적의 쓰기가 보이는 일반 목적의 쓰기와 다른 특징들 때문이다. 주제별로 연구 경향을 분석한 결과 교실에서 학습자들에게 쓰기를 어떻게 지도할 것인지에 대한 내용과 학습자들이 학문 목적의 쓰기를 어떻게 하고 있는지를 분석한 연구가 많았다. 한편 학문 목적의 한국어 학습자가 성공적으로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갖추어야 할 지식별로 연구 결과를 분석한 결과 학문 목적이라는 특수 상황의 맥락을 반영한 연구가 특히 많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의 연구는 이와 같은 맥락 지식을 더욱 구체화하는 동시에 학문적 담화공동체가 요구하는 내용, 언어, 쓰기 처리 지식이 무엇인지를 찾고 이를 교육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할 수 있도록 방향을 맞추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urrent trends in researches which were published since the academic community has taken an interest in Korean writing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 Due to a growing number of students that are learning Korean language in order to pursue a bachelor’s or master’s degree, more spotlight has been on developing Korean academic writing education in order to meet their needs. It was necessary that contents and teaching method of such Korean education were tailored to meet the demands of Korean language learners. In particular, many researches were conducted on developing education for Korean writing for academic purposes. Therefore, out of the 230 researches related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 83 that were specifically about Korean academic writing education were analyzed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rend by year showed an increasing total number of researches. When categorized by subject, most of the researches focused on general education plan and revealed a further need for expanding the scope of such research. Furthermore, the study examined the progress of researches that were done on content knowledge, context knowledge, language system knowledge, and writing process knowledge, which are said to be crucial for students to have in order to improve their Korean academic writing skills. Based on the analysis, most of the researches were found to be about forming context knowledge with its focus on genre. This may be the result of noting the fact that most of the students will have to write on specific genre that is required based on their different educational contexts and situations. However, building content knowledge and applying it in academic writing is equally as important as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genre. Specifically, there seems to be a need to conduct a research on students’ cross-textual knowledge and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ir integrated knowledge. Based on the analysis of existing researches on Korean academic writing educa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re needs to be further studies on designing and developing specific contents and methodology for Korean writing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

      • KCI등재후보

        한국어교육에서 쓰기의 역할과 그 함의

        정대현(Jung, Dae-Hyun) 협성대학교 교양학연구소 2014 교양학연구 Vol.1 No.1

        그간 한국어교육에서 쓰기에 대한 평가가 제대로 이루어진 적이 없었다. 이는 쓰기의 역할에 대한 이해의 부족으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쓰기의 역할에 대해서 고찰하되 한국어교육과 제2언어 습득의 연구 성과를 이론적인 측면과 연구 방법론적인 관점에서 탐색하였다. 한국어교육에서 쓰기에 대한 가치 평가가 소홀한 것은 한국어교육이 구어를 강조하는 서구 학계의 경향을 비판 없이 따른 것이며 이러한 현상은 특별한 주목 없이 은연중에 당연한 것으로 간주되어 왔다. 그러나이 연구에서는 쓰기가 문식력이 의사소통의 주제가 되는 교실, 즉 학문 목적의 대학 교실과 같은 곳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는 사실을 밝히고자 하였다. 예를 들어서 쓰기가 제2언어 습득에서 상당히 중요한 위상을 점하고 있다는 사실을 환기시 켰다. 그리고 한국어교육에서 “어떻게 학습자에게 한국어를 쓰게 할 것인가?”하는 연구 문제만큼이나 “학습자가 쓰기를 통하여 어떻게 한국어를 학습하는가?”하는 문제도 동일하게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이에 더 나아가 언어 변이, 복합 양상과 상호 작용적 접근, 언어 사회화라는 관점에서 쓰기 교육에 대한 한국어교육적 함의를 담아 내고자 하였다. This paper argues that writing should play a more prominent role in classroom-based studies of korean language as second language acquisition. It contends that an implicit emphasis on spoken language is the result of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field of structuralist linguistics, linguistic anthropology, and interactive studies. Although writing as a communicative modality has been marginalized, it is key to understanding second language acquisition in contexts such as korean academic purpose classrooms where literacy plays a central role in communication and transmission of subject matter. In all, the paper argues that while it is important for classroom-based studies to investigate how students learn how to write in a second language, it is equally important to learn how students learn a second language through writing. Implications of this perspective are noted for notions of learner and target language variation, multimodality and language socialization, and interactionist approaches to classroom research

      • KCI등재후보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신문을 통한 읽기·쓰기 통합 교육

        김재원 ( Kim Jae-won ) 한국사상문화학회 2020 韓國思想과 文化 Vol.101 No.-

        본 연구는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들이 신문을 활용한 효율적인 읽기·쓰기 교육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있다. 수년간 여러 연구를 통해 입증된 신문을 통한 교육적 효과를 바탕으로 좀 더 체계적으로 읽기·쓰기 통합교육에 적용하는 방법을 알아봤다. 학문 목적의 한국어 학습자들은 주로 책, 논문, 시험 등과 관련해 주된 읽기 활동을 펼친다. 이에 신문은 학문 목적 학습자의 고급 읽기 능력 향상을 비롯해 고급 어휘 능력 습득, 한국사회와 관련된 지식배양, 논리·비판적 사고를 함양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한국어 교육에서 읽기와 쓰는 통합했을 때 더욱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한국어 학습자들이 사용하는 한국어 교재에서도 실제 학습자료로 자주 제시되고 있다. 읽기와 쓰기는 여러 측면에서 관련성이 높다. 읽기와 쓰기는 문자언어를 매개로 하는 기능으로 독자와 필자의 상호작용은 텍스트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이루어지며, 표현의 측면에서 고정되고 엄격한 방식의 언어형태만을 사용한다는 제약이 있다. 또한 유사한 언어 처리과정을 거쳐 의미를 구성하게 되며, 그 과정에서 스키마를 활성화하는 활동이 일어난다. 전략적인 측면에서도 읽기와 쓰기는 비슷하거나 공통된 전략을 사용한다. 그러므로 읽기와 쓰기를 각각 교육하였을 때보다 통합하여 교육하였을 때 교육의 효과도 높일 수 있다. 읽기와 쓰기의 관련성과 여러 연구들을 종합해 볼 때, 읽기의 쓰기를 통합하여 지도하는 것의 효과를 다음과 같이 정리하고자 한다. 첫째, 필자의 쓰기활동에서 획득된 글의 구조에 관한 지식이 독해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둘째, 읽기 활동을 통해 얻게 된 배경지식은 쓰기 활동을 하는데 도움이 된다. 셋째, 언어의 사용 자체가 분리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통합되어 있고 학습자의 언어능력도 각 영역이 독립적으로 신장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상호작용하며 길러지기 때문에 읽기와 쓰기의 통합교육은 다른 언어 기능 향상으로도 전이될 수 있다. 한국어 학습자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한국어 능력의 영역은 읽기와 쓰기이다. 이 두 영역은 학업을 지속하는데 가장 밑바탕이 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한국어 학습자들이 학교생활에 적응하고 학업을 따라갈 수 있기 위해서는 읽기와 쓰기를 집중해서 교육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각 영역별로 교육하기보다 통합하여 교육함으로써 더 긍정적인 교육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eek for the efficient measures for educating reading and writing with the use of newspaper for academic-purpose Korean language learners. Based on the educational effects of newspaper verified by many researches for many years, this study more systematically understood the method of applying it to the integrated reading/writing education. It was based on the existing researches saying that teaching reading and writing together would be more effective than separating them into different items. Also, the meanings are composed by going through the similar language processing, and the activities of vitalizing the schema occur in this process. In the strategic aspect, such reading and writing use the similar or common strategy. Thus, the effects of education could be increased when reading and writing are educated in integration than being educated in separation. Putting together the relation between reading and writing, and many researches, the effects of integrated reading/writing education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knowledge of writing structure obtained from the writer’s writing activity could be helpful to reading. In other words, the structure obtained from writing situation is transferred to the reading process, so that the writer’s hidden intention could be understood better. Also, in the process of writing, the writer examines and evaluates his/her own sentences and writing in the position of readers, which could be also helpful for performing the active reading activity and understanding the structure or contents of writing when performing the reading activity. In order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to adapt themselves to school life and also to catch up the academic achievement, it would be necessary to intensively educate reading and writing. Through the integrated education, more positive educational effects could be expected.

      • KCI등재

        한국어교육에서의 쓰기 피드백 연구 동향 분석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중심으로-

        김동아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2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교육에서의 쓰기 피드백 관련 연구논문의 동향을 체계적으로 살펴보고 한국어 쓰기 교육을 위한 피드백이 더욱 발전하기 위한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2000년부터 2022년 8월 현재까지 발표된 총 108편의 연구논문의 주제어를 추출하여, 연도별 연구 현황을 비롯하여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중심으로 한 빈도분석, 연결 구조 및 응집 구조를 분석하였다. 분석에는 Net-Miner 4.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일차적인 빈도분석에 머물던 선행 연구에서 더 나아가 그 이면에 존재하는 관계성이나 구조를 다각적으로 분석하고 시각화시켜 보다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아울러 시기별 연구 동향과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는데, 그 기준을 한국어교육의 흐름 속에서 변곡점이 되었던 국가 정책과 사회적 현상을 기점으로 삼아 한국어 쓰기 피드백 연구가 시기별로 어떤 다양성과 유연함을 보이며 상호작용해 왔는지 확인하고자 했다. 분석 결과, 한국어교육에서의 쓰기 피드백 연구에서 가장 많이 언급된 주제어는 ‘교사 피드백’, ‘동료 피드백’, ‘과정 중심 쓰기’, ‘명시적 피드백’이었고, 연결 중심성이 높은 주제어는 ‘교사 피드백’, ‘상호작용’, ‘온라인 수업’, ‘학문 목적 쓰기’로 나타났다. 주제어 간 응집 구조 분석 결과, 한국어교육에서의 쓰기 피드백 연구 동향은 ‘교사 주도의 쓰기 피드백의 유형별 효과 연구’, ‘학습자 중심 교육을 위한 온라인 기반의 쓰기 피드백 연구’, ‘외국인 유학생의 학문 목적 쓰기 교육을 위한 쓰기 피드백 연구’라는 세 개의 클러스터로 응집되었다. 또한 이 세 개의 클러스터는 시기별 연구 동향과 주제어 면에서 일치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나, 시기별 연구 동향이 전체적인 연구 동향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첫째, 쓰기 피드백에 관한 교사와 학습자의 인식 조사와 함께 교사의 피드백 교육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 둘째, 쓰기 피드백 연구 대상자의 다양성, 셋째, 쓰기 피드백의 단계적 접근에 대한 필요성, 넷째, 학습자의 정의적 측면에서의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연구에 관한 필요성을 후속 논의의 방향성으로 제안한다.

      • KCI등재

        한국어 학습자 변인에 따른 쓰기 전략 양상 연구

        이은진(Lee, Eunjin),권연진(Kwon, Yeon-J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7

        본 연구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전략에 대해 조사함으로써, 한국어 학습자가 쓰기 과정에서 사용하는 전략의 양상을 실증적으로 탐색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육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19년 4월부터 2019년 6월 초까지 한국어 학습자 175명을 대상으로 Petric과 Czarl(2003)의 작문 전략 검사지를 한국어 쓰기 교육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SPSS로 통계 분석하였다. 결과를 요약하자면, 우선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전략 검사지의 문항 신뢰도는 0.806으로 높게 나타났다. 쓰기 전략 문항 전체는 하위 범주인 계획 전략, 작문 전략, 수정 전략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중, 수정 전략은 학습자 변인에 따른 양상 차이가 가장 뚜렷하게 나타났다. 학습자의 성별, 국적, 쓰기 효능감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남성 학습자에 비해 여성 학습자가, 초급 학습자에 비해 중·고급 학습자가, 쓰기 효능감이 낮은 학습자에 비해 높은 학습자가 수정 전략의 사용이 높았다. 다만, 학습자의 쓰기 흥미와 쓰기 전략 사용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에 비해 학습자 범위를 확대하였고, 한국어 쓰기 전략 연구 분야에서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학습자 변인들을 설정하여 통계 분석한 것으로 한국어 쓰기 교육의 내용 및 방법 마련과 관련하여 실증적 기초 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writing strategies of Korean learners as a foreign language, provid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results in Korean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and thereby seeks to deduce educational implications based on them. In order to meet the objectives, we surveyed 175 Korean learners from April 2019 to June 2019 by modifying the Petrić & Czárl’s (2003) writing strategy test sheet tailored to Korean writing education. The result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SPSS. As a result, the overall writing strategy question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subcategories of planning strategy, writing strategy, and revision strategy. Among them, the difference in aspect according to learner s variables was discovered most clearly in the revision strategy. Revision strateg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learner s gender, nationality and writing efficacy. Females than men, advanced learners than intermediate and beginners, and learners who had higher writing efficacy than those that were low, had higher awareness of the use of revision strategies.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writing interests and the use of learners writing strategies. This study is a statistical analysis of the writing strategies of Korean learners as a foreign language according to diverse learner variables.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c empirical material in terms of contents and method of writing education in Korean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 KCI등재

        실무한국어 쓰기 교육과정 설계 : 일반 사무용 업무 문서를 중심으로

        함계임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23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12 No.3

        Business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has been continued for a long time, but the field of research has not been specified and subdivided. There is an employer who is involved in business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y play a crucial role in recruiting Korean language learners. However, it has not been noticed in the needs research or curriculum development research, so this study recognizes the need for curriculum and textbooks that actively reflect the needs of employers. Therefore, they demanded that the recruiters improve their writing skills and write work documents. I argued that in order to educate the writing of business documents, the category of practical business Korean should be set. Practical business Korean is different from the previous business Korean in the subject, method, and period of education. The method of writing business documents in practical business Korean writing was selected by combining the elements of process-oriented writing partially with genre-oriented writing.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created a practical business Korean writing curriculum that extends to the detailed area of “Writing”, reflecting the opinions of employers who have not been the center of the study. I hope that related textbooks will be written based on this curriculum in the future.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는 비즈니스 한국어 교육 연구가 오랜 시간 지속되어 왔다. 그러나 비즈니스 한국어 연구 분야는 타 영역에 비해 구체화, 세분화 되지 못한 상태로 머물러 있는 현실이다. 비즈니스 한국어 교육에는 교사와 학습자 이외에 중요한 영향을미치는 고용인(雇⽤⼈)이라는 주체가 있다. 그들은 한국어 학습자를 채용하는 데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그러나 그동안 요구조사나 교육과정 개발 연구에서 이들의 요구사항은 주목받지 못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용인(雇⽤⼈)의 요구를 적극 반영한 교육과정과 교재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각종 조사 결과 고용인들은 한국인들이 다시작업하지 않아도 될 정도로 업무 문서를 작성하는 것을 채용인들에게 요구하고 있음을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업무 문서 쓰기에 대한 교육을 위해서는 실무한국어라는 범주를 설정해야 함을 주장하였다. 실무한국어는 이전의 비즈니스 한국어와 교육대상, 방법, 시기가 다르다. 실무 한국어 쓰기에서 업무 문서 쓰기 수업 내용은 장르중심 쓰기를 중심으로 하고 부분적으로 과정 중심 쓰기의 요소를 결합하는 교육 방법을 사용할 것을 개발,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그동안 교육과정 개설에서 중심이 되지 못했던 고용인(雇⽤⼈)의 의견을반영하여 ‘쓰기’라는 세부영역으로 확장된 실무한국어 쓰기 교육과정을 만들었다는 데에 의의를 찾을 수 있다. 향후 본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관련 교재도 집필되기 바라겠다.

      • 텍스트를 활용한 쓰기 교육 방안 모색을 위한 사전 연구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김진호 한국융합인문학회 2014 한국융합인문학 Vol.2 No.1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쓰기 교육을 실시함에 있어 학습자들에게 효과적인 텍스트를 제공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그들의 스키마를 계발하고 글에 대한 이해력을 증진시켜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인 텍스트는 그 무엇보다 중요하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텍스트를 활용한 쓰기 교육 방안을 정립하는 일의 중요성은 매우 커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사전연구의 일환으로 ‘어떤 텍스트들이 학습자들의 쓰기 능률에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한국어 쓰기 교육의 올바른 텍스트 선정 상을 정립하는 데 그 목적이 있으며, 아울러 쓰기 교육을 위한 텍스트를 선정하거나 제작할 때 어떤 요소들이 고려되어야 하는지 그 방향을 제시하는 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이 같은 연구는 쓰기 자료로서 텍스트가 갖는 중요성을 환기시킴은 물론 학습자들의 스키마를 계발하는 데 필요한 ‘교육용 텍스트’ 개발에 참고가 될 것이다.

      • KCI등재

        여성결혼이민자 대상 한국어 교육의 현황 및 발전 방향 - 다문화가정지원센터에서의 한국어 교재와 쓰기 교육을 중심으로 -

        최권진,송경옥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4 한국언어문화학 Vol.11 No.3

        최근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의 통계자료에 의하면 결혼이민자는 15만 명이 넘어 매년 그 수가 증가하고 있다. 한국 정부는 결혼이민자의 조기 정착을 위해 한국어 교육, 다문화가족통합 교육, 다문화가족취업연계 및 교육지원 등 많은 정책을 실행해 오고 있다. 이 가운데 한국어 교육은 전국 212개의 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통 한 집합교육, 방문교육, 온라인 교육, 방송교육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국제결혼을 통해 한국에 온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어 교육의 실제를 다룬다. 먼저 다문화가족지원 센터에서 여성결혼이민자를대상으로 한국어를 교육할 때 사용되는 교재와 교사 지침서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실시되는 한국어 쓰기 교육의실태를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여성결혼이민자들의 쓰기 능력 신장을 위한 개선 방안을 모색했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어 능력을향상하기 위해 여러 고려할 사항을 제안하 고 있다. 먼저 한국어를 배우는 여성결혼이민자들의 다양한 목적이 교재에 포함되어야 한다. 특히 사회 활동과 관련된 주제와 내용이 교재에 더욱 적극적으로 반영되어야 한다. 현 교재는 언어의 네 기능이 통합되어 교육되 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학습자의 수준에 맞게 변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즉 초급 단계에서는 말하기와 듣기가 강 조되지만 한국어 수준이 높아지면서는점차 읽기와 쓰기가 더욱 중요시되어야 한다. International marriages in Koreaare not any more unfamiliar. According to the statistics of the ImmigrationOffice of Korea, as of April 2014 the numbers of international marriagesare 152,020 and every year it is increasing. 85.3% of them are women and14.7% are men. The Government of Republic of Korea has been makingplenty of efforts for their early settlements in Korea. The efforts are suchas Korea language teaching, education for integration of multiculturalfamilies into the Korean society, education and support for employmentof multicultural family members. The Korean language teaching has beenfulfilled via various media such as 212 multicultural family supportcenters nation-wide, on-line internet services and education broadcastingservice, etc. This paper studies the teaching of Korean to female immigrants who havecome into Korea through international marriages. It examines the currentsituation of teaching Korean writing which is currently being conductedat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and makes analyses on textbooks and teachers’ guide books used at the centers. This research is performedwith the intention of increasing the competence of the Korean languageuse of female immigrants. The results of the analyses show that the following points must be takeninto considera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writing competence of femaleimmigrants. The Korean textbooks must include various purposes forwhich the female immigrants learn Korean. Especially subjects andcontents concerned the social activities have to be reflected more activelyin the textbooks. Currently the four language skills are taught integrated,but differentiated emphasis must be given according to the levels;Speaking and listening is given more attention at the beginner’s level, andgradually reading and writing must get more attention at the upper levels. In addition, the teachers’ manuals must be composed in more specificdetails so that even teachers with no previous experience can lead moresystematic classroom activities for writing.

      • KCI등재

        한국어교육에서의 쓰기 피드백 연구 동향 분석

        김동아(Dongah Kim)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2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교육에서의 쓰기 피드백 관련 연구논문의 동향을 체계적으로 살펴보고 한국어 쓰기 교육을 위한 피드백이 더욱 발전하기 위한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2000년부터 2022년 8월 현재까지 발표된 총 108편의 연구논문의 주제어를 추출하여, 연도별 연구 현황을 비롯하여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중심으로 한 빈도분석, 연결 구조 및 응집 구조를 분석하였다. 분석에는 Net-Miner 4.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일차적인 빈도분석에 머물던 선행 연구에서 더 나아가 그 이면에 존재하는 관계성이나 구조를 다각적으로 분석하고 시각화시켜 보다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아울러 시기별 연구 동향과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는데, 그 기준을 한국어교육의 흐름 속에서 변곡점이 되었던 국가 정책과 사회적 현상을 기점으로 삼아 한국어 쓰기 피드백 연구가 시기별로 어떤 다양성과 유연함을 보이며 상호작용해 왔는지 확인하고자 했다. 분석 결과, 한국어교육에서의 쓰기 피드백 연구에서 가장 많이 언급된 주제어는 ‘교사 피드백’, ‘동료 피드백’, ‘과정 중심 쓰기’, ‘명시적 피드백’이었고, 연결 중심성이 높은 주제어는 ‘교사 피드백’, ‘상호작용’, ‘온라인 수업’, ‘학문 목적 쓰기’로 나타났다. 주제어 간 응집 구조 분석 결과, 한국어교육에서의 쓰기 피드백 연구 동향은 ‘교사 주도의 쓰기 피드백의 유형별 효과 연구’, ‘학습자 중심 교육을 위한 온라인 기반의 쓰기 피드백 연구’, ‘외국인 유학생의 학문 목적 쓰기 교육을 위한 쓰기 피드백 연구’라는 세 개의 클러스터로 응집되었다. 또한 이 세 개의 클러스터는 시기별 연구 동향과 주제어 면에서 일치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나, 시기별 연구 동향이 전체적인 연구 동향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첫째, 쓰기 피드백에 관한 교사와 학습자의 인식 조사와 함께 교사의 피드백 교육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 둘째, 쓰기 피드백 연구 대상자의 다양성, 셋째, 쓰기 피드백의 단계적 접근에 대한 필요성, 넷째, 학습자의 정의적 측면에서의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연구에 관한 필요성을 후속 논의의 방향성으로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stematically examine the trends of research papers related to writing feedback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o present research directions for further development of feedback for Korean writing education. A total of 108 research papers published from 2000 to August 2022 were extracted, and frequency analysis, connection structure, and aggregation structure were analyzed focusing on network text analysis, including annual research status. The Net-Miner 4.0 program was used for analysis, and furthermore, the relationship and structure behind it were analyzed and visualized in various ways to make it more intuitive to understand. In addition, we looked at the relationship between research trends by period, and based on national policies and social phenomena, which were inflection points in the flow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we wanted to see how diverse and flexible Korean writing feedback research has been interacting with each perio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most frequently mentioned keywords in the study of writing feedback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were 'teacher feedback', 'colleague feedback', 'process-oriented writing', and 'explicit feedback' were found to be 'teacher feedback', 'interaction', 'online class', and 'academic purpose writing'.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hesive structure between keywords, the trend of writing feedback research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aggregated into three clusters: 'Study on the effect of teacher-led writing feedback by type', 'Online-based writing feedback study for learner-centered education', and 'Study on writing for academic purposes of foreign students'. In addition, these three clusters are often consistent in terms of research trends and keywords by period, indicating that research trends by period are closely related to overall research trends.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first, the necessity of research on teacher feedback education, second, diversity of writing feedback research subjects, and fourth, the need for practical and specific research in terms of learners' definition are suggested as directions for subsequent discuss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