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어교육 TV 방송 프로그램의 문화 항목 분석

        이동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방송매체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에서 나타나는 문화 항목들이 학습자의 학습 목적이나 수준에 적합한 내용이 효과적으로 제시되고 있는지 살펴보고, 한국어교육 현장에서 일반적인 교실 내 학습교재를 활용한 수업과의 차별성을 분석함으로써 방송 프로그램을 통한 효과적인 교육 방안을 찾아보고자 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EBS의 ‘한국어 쉬워요’와 ‘외국인을 위한 실용 한국어(초급)’,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중급)’ 등 3개 프로그램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상기 3개 프로그램의 문화 항목 내용을 분석하기 위해 ‘국제 통용 한국어 교육 표준 모형 개발 2단계’에서 제시하는 문화 항목을 비교·분석의 기준으로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어 쉬워요’ 프로그램은 ‘표준모형 2단계’의 문화항목이 비교적 충실하게 반영되었으나 일부 편향성이 있으며 특히 TV 방송이라는 매체로서의 특성을 활용하는 데는 미흡하였다. ‘외국인을 위한 실용 한국어(초급)’ 프로그램은 ‘표준모형 2단계’의 초급 수준인 1급, 2급 문화 항목 중 약 58%의 문화 항목을 제시하였으며 ENG 등의 촬영 기법을 활용하여 TV 방송 매체의 장점을 잘 활용하였다.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중급)’는 프로그램의 방영 수가 많지 않기 때문에 문화 항목 제시 빈도는 적었으나 초급 해당 프로그램과 같이 ENG를 활용하여 실용적이고 효과적인 학습 방안을 선보임으로써 TV 방송 매체로서의 장점을 잘 활용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몇 가지 보완 과제를 제시하였다. 첫째, 한국어교육 방송 프로그램의 문화 항목 내용을 목적별, 단계별로 구분하여 체계적인 학습이 가능하게 할 필요가 있다. 둘째, 프로그램 당 교수-학습에 필요한 기본적인 분량의 방송 시간을 확보해야 한다. 셋째, 방송 프로그램 제작 시 문화 항목 교육과 관련하여 편향성의 문제에 직면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넷째, 방송에 의한 한국어교육 프로그램이 제작 방영된 후 재시청 할 수 있게끔 별도의 누리집 등의 지속적 운영이 필요하다. 다섯째, 방송 프로그램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 문화 항목 교육 시 방송의 특성을 최대한 활용하여 효율적이고도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안을 개발해야 한다. 본 연구는 일반교재를 활용한 교실 내 수업이 주류인 현재의 한국어교육 현장에서 TV 방송 매체를 활용한 문화 항목의 교수-학습의 효과성 등을 분석하고 TV 방송 매체의 활용 가능성을 검토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후속 연구로 ‘학습 목적별 한국어교육 TV 방송 프로그램’ 개발과 ‘표준화된 등급별 한국어교육 TV 방송 프로그램’이 연구되고 개발되면 TV 방송 매체의 장점과 접목되어 훨씬 효과적이고 실용적인 교수-학습 모델이 제시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케이팝을 활용한 의성어·의태어 교육방안 연구 :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Sun, Yuhan 세종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703

        이 연구에서는 중국인 학습자들이 보다 더 효과적으로 한국어 의성어와 의태어를 학습할 수 있도록 K-POP을 활용한 의성어․의태어 교육 방안을 제안하였다. 의성어와 의태어는 자연 현상의 소리나 모양, 사람․사물․동물의 소리나 행동을 나타내는 어휘이다. 의사소통 상황에서 완벽한 문장을 구성하지 않아도 의성어와 의태어만으로 의사 전달이 이루어지기도 한다. 그리고 여기에는 한국인만의 사고방식과 감성 및 문화가 담겨 있으므로 한국어 학습 차원에서뿐만 아니라 한국의 정서와 문화를 이해하는 데에도 좋은 자료가 된다. 의성어와 의태어의 교육 필요성이 여기에 있다. K-POP은 세계적으로뿐만 아니라 중국인 학습자들에게도 인기가 높아 수업 자료로 활용하게 되면 학습자들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다. 그리고 K-POP의 가사에는 의성어․의태어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K-POP은 한국어 의성어와 의태어 학습 자료로 그 교육적 가치가 높다. 이에 본고에서는 의성어와 의태어의 교육 방안 제시를 위해 중국에서 인기가 높은 K-POP의 가사에 나타나는 의성어와 의태어를 활용하여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수업 지도안을 구성하였다. 이에 따라 본고의 연구는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먼저 1장에서는 연구 목적 및 필요성을 제기하고 선행 연구를 통해 본 연구의 의의를 찾았다. 한국어교육에서 의성어․의태어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며, 특히 의성어․의태어 교육에 K-POP을 활용한 연구가 부족함을 확인하였다. 2장에서는 한국과 중국에서 출판된 한국어 교재를 선정하고 분석하여 의성어와 의태어 교육 현황을 파악했다. 그 결과 각 학습 단계별로 그리고 각 교육 기관별로 의성어․의태어 교육이 고르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3장에서는 K-POP에 나타난 의성어와 의태어의 양상을 살펴 음운적․형태적․통사적․의미적 특성을 정리하였다. 4장에서는 중국어로 번역된 K-POP 가사에서 사용한 중국어 대응 표현을 검토하여 대응관계의 유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한국어 의성어․의태어와 중국어 대응 표현과의 대응관계를 ‘일대일’, ‘일대다’, ‘일대X’ 세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5장에서는 K-POP을 활용한 한국어 의성어․의태어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4장에서 분류한 의성어․의태어와 중국어 대응 표현의 세 가지 대응 관계에 따라 세 가지 유형의 수업 지도안을 구성하여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6장 결론에서는 논의를 정리하고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를 밝혔다. 본고의 분석 결과에 의하면 K-POP은 한국어 의성어․의태어 교육에 활용 가치가 높은 자료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본고의 연구는 한국 문화, 특히 K-POP에 대한 관심이 있는 중국인 학습자들에게 맞춤형 학습 방법이 될 것이다. 주요어: 의성어의태어, 케이팝, 중국인 학습자, 대응관계, 한국어교육, 교육 방안

      • 한국어교육 유튜브 콘텐츠 개발을 위한 요구 분석 : 영어권 학습자를 중심으로

        오혜수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영어권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 교육 유튜브 콘텐츠 전반에 대한 경험과 요구를 확인하여 콘텐츠 구성에 필요한 항목을 제시하는 데 있다. 1장에서는 연구 목적 및 필요성과 연구 대상을 제시하고 선행연구를 고찰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과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한국어 교육 콘텐츠 분석연구와 한국어 교육에서의 매체 활용 연구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으로서 언어 교육 매체의 유형, 특성 및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매체를 활용한 언어 교육 및 언어 매체로서의 유튜브의 개념을 정리하였다. 3장에서는 연구 대상과 절차를 설정하고 요구조사 분석 문항 설계와 분석 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연구 대상은 영어권 학습자 50명으로 ‘유튜브 기반 한국어 학습 경험, 한국어 교육 콘텐츠의 내용 및 형식에 대한 요구’에 대한 설문에 참여하였다. 요구조사를 위한 설문지는 예비조사를 진행한 후 수정 및 보완 작업을 거쳐 번역하였다. 4장에서는 요구조사를 진행하기에 앞서 한국어 교육 유튜브 콘텐츠의 현황을 살펴보고자 분석 틀을 정리하고 한국어교육을 주 콘텐츠로 하는 유튜브 채널 5개를 선정하여 분석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분석 기준은 한국어교육 콘텐츠 관련 논문들을 참고하였으며 그 기준은 목표제시 및 교수내용, 평가자료 및 학습자료, 콘텐츠 구성, 진행 방식, 화면 디자인 및 자막이다. 5장은 요구조사 설문 결과를 분석하여 정리하였다. 한국어 학습 경험은 빈도분석을 실시한 후 응답 결과를 표로 정리하고 해석하였다. 한국어교육 콘텐츠의 내용과 형식에 대한 요구는 다중반응 빈도분석과 독립표본 t-검정을 통해 평균값을 얻어 결과를 제시하였다. 5장의 마지막 절에 전체 요구 조사 결과를 요약하고 함의를 기술하였다. 6장은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고 시사점을 정리하였다. 또한 한국어 교육 유튜브 콘텐츠 개발의 방향성에 대해 제언하며 연구를 마무리하였다.

      • 채만식의 『태평천하』를 통한 한국어교육 방안 연구

        장첨 전남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최근 한국어교육에서 문학과 문화교육의 중요성과 역할이 점차 인식되고 있다. 문학은 사상이나 감정을 언어로 표현한 예술로서 해당 문화권의 인문적 가치와 생활세계의 감정을 최고의 수준에서 형상화하고 소통하는 가장 중요한 문화적 제도 중의 하나이다. 즉 문학은 한 나라의 문화와 사회 및 그 나라 사람들의 생활과 사고방식, 사상 등을 언어로 표현하는 것이다. 소설과 같은 문학작품에는 언어, 지리, 역사, 사회 등 여러 요소가 풍부해 한국어 문화와 언어 종합교육의 중요한 자료 중 하나로 꼽힌다. 그동안 소설을 통한 한국어교육 방안에 관한 연구가 많아지고 있지만 소설 장르 면에서 풍자소설을 활용한 연구가 많지 않다. 본 연구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을 위해 풍자소설을 활용한 한국어교육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둔다. 풍자는 시대나 사회의 불합리함, 악습이나 폐해 등에 대해 해학적으로 공격하고 현실에 대한 부정과 비판, 풍자대상의 단점을 들춰내려는 노골적인 공격의도를 갖고 있다. 한국 풍자소설의 학습을 통해 한국어 학습자에게 한국의 역사문화와 정서를 이해하는 텍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한국어 학습자에게 한국적 감정과 의사소통 방식을 더욱 친숙하게 해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채만식의 『태평천하』를 선정하여 효과적인 한국어교육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진행하였다. 먼저 서론에서 선행연구를 통해 한국어 교육에서 문화교육의 중요성을 확인했다. 그리고 여러 소설을 활용한 교육 방안 중에 풍자소설의 결여를 알 수 있었다. 풍자소설의 문학 가치가 높으면서 교육적 의의도 지니고 있어서 본 논문에서는 한국 풍자소설의 백미인 채만식의 『태평천하』를 선정하여 한국어교육 방안을 모색하고자 했다. Ⅱ장에서는 주로 한국적 정서 표현 이해, 풍자 대상의 전형성 이해, 그리고 풍자 기법 이해 등 방향으로 풍자소설의 한국어교육적 가치를 논했다. 풍자의 대상은 모두 부정이며 불합리적인 것이다. 풍자는 사회의 부조리와 타락을 웃음과 해학의 방식으로 비판할 수 있고, 잘못을 고치고 선행을 치켜세우는 교훈성이 있다는 점에서 교육적 의미와 가치가 있다. 풍자소설을 배우면 그 나라와 민족의 역사를 알 수 있고, 소설이 처한 역사적 배경 속에서 국민들이 어떤 고통과 시련에 직면해 있는지를 느낄 수 있다. 그래서 감정적으로 그 민족을 이해할 수 있고 그 나라에 녹아든다. 풍자소설이 비판적인 의미를 갖는 이유는 사회적 배경에서 현실성을 갖췄기 때문이다. 학습자들이 풍자소설을 공부하면서 동시에 작가가 처한 사회의 당시 상황을 이해할 수 있다. 한국 풍자소설이 발달한 1930년대에는 한국에 대한 일본의 억압적 통치가 날로 강화되었다. 풍자의 언어는 날카롭고 비판적이며, 사회 역사 문화적 언어에서 벗어날 수 없다. 풍자 언어의 현실 대응력은 풍자적 언어의 특징에서 찾을 수 있다. 풍자적 언어는 우회적이고 공격적이어서 식민주의 반대하는 문학가들이 사용할 수 있는 강력한 파괴적 도구가 된 것이다. 이에 탈식민주의 문학에서 풍자류 문학이 많이 확인된다. Ⅲ장에서는 『태평천하』 작품의 풍자적 형상화 원리를 구체적으로 분석했다. 먼저 풍자 대상의 특징에서 출발하여, 채만식은 부정적인 인물로 구성된 윤씨 집안사람들을 통해 독자들에게 한말과 일제 강점기 및 개화기 동안 한국 사회의 불안과 변천을 보여 주었다. 작가는 아이러니와 조롱 등의 수법으로 풍자 대상의 타락상을 드러내고, 당시의 현실이 이런 부정적인 인물들이 날뛰던 암울했던 시기였음을 드러낸다. 풍자 대상을 정상인과는 거리가 먼 우스꽝스러운 이미지로 만들고, 풍자 대상을 폄하함으로써 풍자의 목적을 더욱 명확히 하고 풍자의 효과를 극대화했다. 사회의식이 부족한 윤직원의 눈에는 식민지가 된 조선이 그가 생각하는 '태평천하'였다. 작가는 이런 인물을 통해 식민지 현실과 국민 인식 사이의 모순을 비난한다. 식민지가 된 조국의 참담한 현실과 윤직원의 그릇된 역사인식의 대조함으로써 채만식은 소설에서 이러한 왜곡된 역사인식과 친일분자들의 잘못된 생활 태도를 풍자하였다. 또한 『태평천하』는 서사구조나 장면 묘사, 인물 묘사 그리고 어휘 사용 등에서 모두 판소리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판소리의 전통적인 사설체를 적절히 활용해서 풍자의 효과를 극대화했다. 채만식은 피지배자인 조선인으로서 일제의 억압을 잘 알고 식민지배에 대한 저항성이 뚜렷했다. 따라서 󰡔태평천하󰡕에서 탈식민주의 성향을 확인할 수 있다. 식민 주체에서 피식민자는 자기의 생존과 발전을 고려하여 일반적으로 식민자의 정치 경제 문화 등 분야에서 자동적이나 피동적으로 식민자를 따르거나 모방한다. 󰡔태평천하󰡕에서 등장인물 윤직원이 자기가 조선인으로 피식민자의 신분임에도 불고하고 스스로 자기가 지배자인 일제의 편에 서서 일본을 모방해서 자국민을 억압한다. 그는 자신을 희미한 '혼종' 상태로 만들어 식민 체제의 그늘에 숨기면서 자신을 보호하였다. 한편 󰡔태평천하󰡕에 등장하는 여성 인물들에 대해 저자는 무지몽매한 여성 이미지로 묘사한다. 윤씨 가문의 여자는 조선 사람으로서 일제의 식민 지배를 받았고, 집에서는 남권 가부장제(男權家父長制)에 의해 억압당하기도 했다. 그녀들은 그 시절 이중억압을 받은 여자들의 전형이었다. 작가는 그들의 무지를 풍자하면서도 동정의 눈초리를 보낸다. 윤씨 가문의 여성에 대한 저자의 풍자와 연민은 모두 여성권리 신장운동, 즉 탈식민주의적 여성성을 보여준다. IV장에서는 한국어교육에서 『태평천하』의 교육 모형을 구축해 보았다. 우선 소설을 통한 한국어교육의 가능성을 검토했고 『태평천하』에서 교육할 만한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한국어 교육 방안의 가능성을 확인했다. 그 다음에는 『태평천하』를 활용해서 한국어 교육목표를 탐구했다. 탐구된 교육목표에 따라 『태평천하』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내용을 구축했다. 『태평천하』의 한국어 교육 내용에 대한 분석은 주로 읽기 위한 예비학습 내용인 어휘 및 언어, 풍자원리에 따른 풍자 요소의 분석과 작품에 담긴 한국적 표현 기법과 시대적 배경 등에 집중해 진행했다. Recently, the importance and role of literature and cultural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re gradually recognized. Literature is an art that expresses thoughts and emotions in language, and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ultural institutions that embody and communicate the humanistic values of the culture and the emotions of the living world at the highest level. In other words, literature expresses a country's culture, society, and the lives, mindsets, and thoughts of its people in language. Literature works such as novels are rich in various factors such as language, geography, history, and society, so they are considered one of the important materials for Korean culture and comprehensive language education. There have been more studies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methods through novels, but there are not many studies using satirical novels in terms of the genre of nove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Korean language education plan using satirical novel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Satire has a blatant intention of attacking the irrationality, malicious habit of harmful effects of era and society, and also has a baldly intention of digging up the denial and criticism of society and shortcomings of satire subjects. Through the learning of Korean satirical novels, Korean learners can be provided with texts that understand Korean history and culture and emotions. It can enhance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by making Korean learners more familiar with Korean emotions and communication methods. In this paper, Chae Man-sik's The Peaceful World(Taepyeong Cheonha) was selected and conducted as follows to find effective Korean language education plans. First, the importance of cultural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confirmed through prior research in the introduction. And among the educational methods using various novels, the lack of satirical novels was revealed. Since the literary value of satirical novels is high and has educational significance, this paper attempted to find Korean language education method by selecting Chae Man-sik's The Peaceful World(Taepyeong Cheonha), the highlight of Korean satirical novels. Chapter II mainly discussed the educational value of satirical novels in the direction of understanding Korean emotional expressions, understanding typicality for satire, and understanding satire techniques. All objects of satire are negative and irrational. Satire has educational significance and value in that it can criticize society's absurdity and corruption in a humorous way, and has a teaching ability to correct mistakes and honor good deeds. By learning satirical novels, you can know the history of the country and people, and you can feel what kind of pain and trials the people face in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novel. So you can understand this nation emotionally and adapt into this country. The reason why satirical novels have a critical meaning is that they are realistic in a social background. While studying satirical novels, it is also an understanding of the situation in the society in which the writer is facing. In the 1930s, when Korean satirical novels were developed, Japan's oppressive rule over Korea was strengthened day by day. The language of satire is sharp and critical, and cannot escape from the socio-history and cultural language. The ability of satirical language to respond to reality is found in the characteristics of satirical language. The satirical language is bypassive and aggressive, making it a powerful destructive tool for anti-colonial literature. Accordingly, many satirical literature appears in postcolonial literature. Chapter III specifically analyzed the principles of satirical shaping of the works of The Peaceful World(Taepyeong Cheonha). Firstly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of satire, Chae Man-sik shows the instability and changes of Korean societ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he period of civilization through the Yoon family, which is composed of negative characters. The artist revealed the depravity of satire objects with techniques such as irony and ridicule, and reveals that the reality of the time was a dark time when these negative characters were running wild. By making the satire object a ridiculous image far from normal people and disparaging the satire object, the purpose of satire was further clarified and the effect of satire was maximized. In the eyes of Yoon, who lacks social consciousness, Joseon, which became a colony, was what he thought of as the 'peaceful world.' Through these characters, the artist criticizes the contradiction between colonial reality and public perception. Chae Man-sik satirized this distorted history and the wrong lifestyle of pro-Japanese people in the novel in contrast to the disastrous reality of his colonial homeland and Yoon's false perception of history. In addition, The Peaceful World(Taepyeong Cheonha) is greatly influenced by Pansori in narrative structure, scene description, character description, and vocabulary use. The effect of satire was maximized by appropriately utilizing the traditional editorial of Pansori. Chae Man-sik was a Korean who was ruled, well aware of the oppression of Japanese imperialism and had clear resistance to colonial rule. Therefore, the tendency of decolonization can be confirmed in the The Peaceful World(Taepyeong Cheonha). In colonial subjects, colonists generally automatically or passively follow or imitate colonists in fields such as the colonists' political and economic culture, taking into account their survival and development. In The Peaceful World(Taepyeong Cheonha), the character Yoon Jae-won speaks to the status of a Korean resident as a Korean, and himself stands on the side of the Japanese ruler and imitates Japan to suppress his own people. He protected himself by making himself a faint 'mixed race' and hiding it in the shadow of the colonial system. On the other hand,  the author describes the female characters in The Peaceful World(Taepyeong Cheonha) as ignorant female images. The woman of the Yoon family was colonized by Japanese imperialism as a Joseon person, and was also suppressed by the patriarchal system at home. They were typical of women under double oppression at that time. The author satirizes their ignorance and sends a look of sympathy. Both the author's satire and compassion for women in the Yoon family show the movement to promote women's rights, that is, the postcolonialist femininity. In Chapter IV, the educational model of The Peaceful World(Taepyeong Cheonha)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constructed. First of all, the possibilit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rough novels was reviewed, and the possibilit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plan was confirmed by analyzing the contents that could educate The Peaceful World(Taepyeong Cheonha). Next, we explored the educational goals of Korean using The Peaceful World(Taepyeong Cheonha). According to the explored educational goals, the content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using The Peaceful World(Taepyeong Cheonha) were constructed. The analysis of the content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Peaceful World(Taepyeong Cheonha) was mainly focused on the analysis of satirical elements according to vocabulary, language, and satire requisite, which are preliminary learning contents for reading, and the Korean expression techniques and historical background contained in the work.

      • 텍스트 평가 양상과 한국어 교육 활용 방안 연구: 체계기능언어학(SFL)을 기반으로

        엄윤식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8703

        이 연구의 목적은 체계기능언어학(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의 담화 의미분석 방법 중 하나인 평가하기(Evaluation) 이론을 바탕으로 한국어의 평가어 사용 양상을 파악하고, 이를 어떻게 한국어 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가에 대해서 논의하는 데에 있다. 본 연구는 총 6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장 서론에서는 담화 의미와 대인적 대기능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있음에도 아직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 이를 구체화하는 연구가 미진함을 살피고, 선행 연구에서 제시된 기존 한국어 교육 영역에서 인접 영역에 해당하는 분야들이 각각의 의미 변별 및 통사론적 연구는 진행되어 왔으나 담화 의미 층위에서의 연구는 부족하다는 문제를 제기하며 본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에 대해 논하였다. 이에 2장에서는 본 연구의 이론적 토대로 삼은 평가하기 이론과 평가하기 체계에 대해서 밝히고, 이에 대한 한국어 예시를 제시하였다. 평가어는 크게 태도평가, 강도평가, 감정평가로 분류되며 태도평가는 다시 감정평가, 행위평가, 정황평가로 분류된다. 본고에서는 이 태도평가(감정평가, 행위평가, 정황평가), 강도평가, 개입평가의 정의, 그리고 이러한 평가어 사용을 통해 필자가 표현하는 담화 의미에 대해 정리하고 이에 기반하여 평가어 분석의 기준으로 삼은 한국어 평가어 예시를 제시하였다. 3장, 4장에서는 2장에서 살펴본 평가어 이론을 바탕으로 사회-기호적 활동 여덟 유형에서 각각 10개의 텍스트를 선정하여 총 80개의 텍스트에서 나타난 평가어를 태도평가, 강도평가, 개입평가 세 개의 영역에서 전체적으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사회-기호적 활동 유형별 텍스트의 평가어 사용 양상과 특징을 파악하고 사용된 평가어들을 목록화 할 수 있었다. 5장에서는 4장에서 분석 평가어들을 기반으로 사회-기호적 활동 여덟 유형 간 평가어 사용 빈도를 비교하였다. 이를 통하여 각 텍스트에서 어절 당 어떤 평가어의 사용이 가장 많고, 어떤 평가어의 사용이 가장 적은지 파악할 수 있었다. 그리고 최종적으로는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 연구』에서 제안한 어휘-문법 목록을 기준으로 하여 4장에서 분석한 평가어 목록을 평가어 유형별로 등급화 하고, 이를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인 사회-기호적 활동 유형과 연계하여 제시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6장에서는 연구의 결과와 향후 과제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가 후속 연구의 기반이 되기를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aspects of evaluative language use in Korean based on Evaluation theory, one of the discourse semantic analysis methods of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 and to discuss how it can be applied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study is organized into six chapters. Chapter 1 discusses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is study by examining the need for research on discourse meaning and interpersonal functions and the lack of research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raising the issue that although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on discourse meaning and interpersonal functions, there has not yet been a study that specifies them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hat the existing research on lexico-grammar education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education in adjacent fields has been conducted on the classification of semantic differences and syntactic research, but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the discourse semantic layer. Therefore, in Chapter 2, the theoretical basis of this study, the theory of evaluation and the appriasal system were explained, and Korean examples were presented. Evaluation terms are broadly categorized into attitude, Graduation, and Engagment, and Attitude is further categorized into Affect, Judgement, and appreciation. This article summarizes the definitions of Attitude(Affect, Judgement, Appreciation), Graduation, and Engagement, as well as the discourse semantics that writers express through the use of these appraisal, and presents examples of Korean appraisal as a basis for analyzing appraisal. In Chapters 3 and 4, based on the theory of evaluative words discussed in Chapter 2, 10 texts were selected from each of the eight types of social and symbolic activities, and the evaluative words in a total of 80 texts were analyzed in three areas: attitude, graduation, and engagment. Through this, we were able to identify the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use of appraisal in texts by type of social and symbolic activity and list the appraisal used. In Chapter 5, I compared the frequency of appraisal among the eight types of social-symbolic activities based on the appraisals analyzed in Chapter 4. This allowed us to identify which evaluatives were used the most and which were used the least per clause in each text. Finally, based on the vocabulary, grammar, and expression lists proposed in the International Standardized Korean Curriculum Study, the list of evaluatives analyzed in Chapter 4 was categorized by appraisal type and linked to the type of social and symbolic activity that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Finally, Chapter 6 pres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and future work. We hope that this study will serve as a basis for further research.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지시어 교육 연구

        Zheng, Huilan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able Chinese learners to systematically learn the morphological and syntactical characteristics and semantic functions of Korean demonstratives, to develop the ability to use appropriate demonstratives according to the situation in real life, and to produce highly cohesive texts. At present, most of the relevant research on demonstratives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cuses on the semantic function of the demonstratives, and has not directly proposed an educational methods for the actual use of students. Although there are several studies examining the student's acquisition and error analysis, it is regrettable that they did not propose an effective plan according to the situ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use of learners in terms of morphological and syntactical features and semantic functions, and based on this, formulate corresponding educational content and propose effective teaching methods. In Chapter Ⅱ, the concept and scope of the Korean demonstratives are first examined through theory. Then, according to the indication object as the character, thing, place, time, the morphological and syntactical characteristics of the indicator are analyzed. And the semantic functions of the Korean demonstratives have already been individually mentioned by the strata of deictic use, textual use and conceptual use. And according to the Korean and Chinese demonstratives system, the different morphological and syntactical characteristics, and semantic functions of the indicated objects are compared and analyzed. At the same time, in order to grasp the current situation of Korean demonstratives education, the prompt forms of the demonstratives in Korean textbooks are analyzed. In addition,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for teachers and learners, and the limitations of Korean instructional education in the field of practical teaching were summarized. In Chapter III, in order to analyze the use and error of the learner's demonstratives, I developed a variety of tasks and then asked the students to answer the materials as part of the analysis. In addition, the answer sheet of the learner's answer to the 54th question of the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TOPIK) II is used as another part of the analysis. The task consists of cloze test, authenticity judgment & oral repair test, translation test. The writing texts of the students are in the Korean writing of the 54th and 60th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TOPIK II), which excludes the composition of not less than 500 words. Finally, 69 writing texts were selected as the final analysis object. The analysis results of tests show that in the morphological and syntactical, the special usage of the indicator object is a character and the problem type error rate indicating that the object is a morphological feature at the place is high. In terms of semantic functions, most learners only understand the usage of pointers based on physical material in the deictic use, and the rest are not fully understood. The error rate displayed in the analysis result of the written text is less than the data analyzed in the results of tests. There have been many errors in the form of mixing ‘i’ and ‘geu’. And I found the usage and error causes are roughly divided into mother tongue interference, the complexity of the meaning of the Korean demonstratives, and the limitations of the education curriculum. In Chapter Ⅳ, includes educational objectives and content about the demonstratives for Chinese intermediate and advanced learners based on the results from Chapter Ⅱ and Ⅲ. For instructors to teach the demonstratives more effectively, I proposed teaching approaches and educational plans for each approach. And then, according to these directions, this study constructed actual class and practiced the class and verified its effectiveness focusing on Chinese advanced Learners. This study for the first time analyzes the usage and errors of demonstratives from the perspective of spoken and written language. This has important research significance not only for morphological & syntactical, but also in semantic function. Moreover, this study does not stop at the analyzes the usage and errors of demonstratives, but also attempts to derive the reasons for the use errors. Organizing contents of negative expression education centered on expressive effect and practiced the class constructed based on this discussion and analyzed it is also significant. 본 연구는 중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 지시어의 형태·통사 특징 및 다양한 의미 기능을 체계적으로 학습하여 의사소통 과정에서 상황 맥락에 적절한 지시어를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고 높은 응집성을 갖춘 텍스트를 생산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한국어교육 영역에서 기존의 지시어와 관련된 논의를 살펴보면 지시어의 층위별 의미 기능만 밝히고, 실제 학습자들의 지시어 사용 양상에 대한 분석이 없이 교육 항목을 제시하는 데 집중하였다. 학습자들의 습득 양상 혹은 오류 양상을 고찰한 논의가 몇 편 존재하기는 하지만 양상에 따른 효과적인 방안 제시가 이루어지지 않아 아쉽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형태·통사뿐만 아니라 의미 기능 측면에서 지시어의 사용 양상 및 오류를 고찰해 보고 이를 바탕으로 교육 내용을 마련하고,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안을 구안해야 할 필요성이 크다고 보았다. Ⅱ장에서는 우선 먼저 이론적 검토를 위해 한국어 지시어의 개념 및 범주를 고찰하였다. 또한 지시어의 형태·통사 특징을 지시 대상이 인물, 사물, 장소, 시간인 경우로 나누어서 검토해 보고, 지시어의 층위별 의미 기능을 현장 지시, 문맥 지시, 상념 지시 세 층위로 나누어서 검토해 보았다. 또한 한국어와 중국어의 지시어 체계, 지시 대상에 따른 형태·통사 특징 그리고 층위별 의미 기능 차원에서 대조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와 더불어 한국어 지시어 교육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한국어 교재에서 지시어의 제시 양상을 살폈고, 교육 현장에서의 한계점을 도출해 내기 위하여 교사와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Ⅲ장에서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 지시어 사용 양상 및 오류를 분석하기 위해 다양한 과제를 개발한 후 과제 수행 자료 및 한국어능력시험(TOPIK)Ⅱ의 54번 문항에 대한 학습자 쓰기 답안지를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과제는 빈칸 채우기 테스트, 진위 판단 및 오류 수정형 테스트, 번역 테스트로 이루어졌고 쓰기 텍스트는 제52회, 60회 한국어능력시험Ⅱ의 54번 문항의 답안지 총 140편을 1차적으로 수집하였고 글자수가 500자 미만인 자료를 제외하여 최종 69편의 답안지를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과제 수행 자료에 대한 분석 결과 형태·통사 측면에서 지시 대상이 인물일 때의 특수 용법 및 지시 대상이 장소일 때 오류가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의미 기능 측면에서 대부분 현장 지시에서의 물리적 소재에 근거한 지시어 사용에 대해서만 정확하게 인지를 하고 있고, 그 외의 의미에 대해서는 충분한 학습이 이루어지지 못했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문어 텍스트에 대한 분석 결과 과제 수행 자료 분석 결과보다는 오류가 적게 나타났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형태 측면에서 ‘이’와 ‘이것’ 양자를 혼용하여 사용한 오류가 많이 나타났다. 의미적 측면에서 문맥과 어긋난 지시어를 사용하거나 특정된 지시어를 한 텍스트에 과도하게 사용 혹은 불필요한 지시어를 사용하는 오류가 출현하였다. 또한 학습자들의 지시어 사용에서 어려움을 겪는 원인을 크게 모국어 간섭, 한국어 지시어 의미 기능의 복잡성, 교육 과정의 한계 세 가지로 유형화하고 자세하게 기술하였다. Ⅳ장에서는 Ⅱ장과 Ⅲ장에서 살펴 본 결과를 바탕으로 중국인 중·고급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지시어의 교육 목표와 내용을 수준별로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교육 내용을 효과적으로 가르치기 위한 교육 방안과 교육의 실제를 제시하였다. 또한 고급 학습자를 중심으로 한국어 지시어 수업을 설계하고 실제 교수·학습의 국면에서 실행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해 보았다. 본 연구는 처음으로 한국어 지시어의 사용 양상 및 오류를 담화 차원과 문어 차원에서 동시에 분석하였고, 의미 기능 차원에만 초점을 두지 않고 형태·통사 차원까지 함께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학습자들의 사용 양상 및 오류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도출하는 데 그치지 않고, 오류의 원인을 밝혀내고자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교육 내용 및 방안을 설계하는 데 기존 연구들과 주안점을 달리 할 수 있다고 보고, 실제 수업을 실행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외국인 어학 연수생의 대학 생활에 대한 사례 연구 : - 수도권 지역 한국어교육원을 중심으로

        전순례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703

        국문 초록 외국인 어학 연수생의 대학 생활에 대한 사례 연구 - 수도권 지역 한국어교육원을 중심으로 - 전 순 례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다문화교육전공 한국으로 유학 오는 외국인 유학생은 최근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 펜데믹 종료 이후 더 많은 외국인 유학생이 들어오고 있고, 이로 인해 한국의 많은 대학이 다인종 캠퍼스로 변모해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대학 부설 한국어교육원은 어학 연수생으로서 한국어를 배우러 오므로 한국어 능력을 요구하지 않고, 비자 발급이 용이해서 더욱 많은 외국인 유학생들을 유치할 수 있다. 어학 연수생들은 대다수가 같은 대학교로 진학하므로 대학생 유치에 어려움을 겪는 수도권 외곽이나 비수도권에 위치한 대학들은 한국어교육원의 어학 연수생 모집에 사활을 걸고 있다. 이렇게 어학 연수생으로 들어온 학생들은 한국어를 몰라서 의사소통이 안 되는 상황에서 대학 생활을 시작한 만큼 대학 생활과 한국 생활에서도 많은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교통이 불편한 수도권 외곽의 대학교 부설 한국어교육원의 어학 연수생을 대상으로 이들의 대학 생활과 한국 생활에 관한 경험과 요구를 분석하여, 대학 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해서 한국 사회에 도움이 되는 인재로 양성하고자 하는 방안을 찾는 자료로 제공하고자 함을 목표로 한다. 이에 관한 질적 연구를 하기 위해 다양한 국적의 학생들을 의도적으로 표집하여 심층 면접을 시행하였으며,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대학 생활을 살펴보면, 첫째, 한국에 유학 온 동기와 배경은 한국드라마나 K-POP, 한국 여행 등으로 한국문화콘텐츠를 접했거나 한국에 가족이나 친척이 있어서 유학 오게 되었다고 했는데, 학위 취득이나 한국 생활과 한국문화 경험, 한국어 습득이 한국에 오게 된 목적으로 분석되었다. 유학생의 양적인 증가로, 체계적인 교육의 부재로 인한 불만족이 생겨날 수 있는데, 대학들은 질적으로 우수한 교육환경 구현과 대학시설 환경 개선으로 유학생들에게 만족감을 주어 한국에 대한 이미지를 쇄신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둘째, 한국어교육원에 처음 왔을 때는 언어로 인한 어려움과 타 문화에 대한 혼란으로 힘들었는데 현재는 의사소통도 잘되고 한국문화에도 익숙해져서 편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유학 초기 의사소통의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에게 한국어 능력을 향상시켜주기 위한 양질의 교육과 체계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상담 등을 통해 학생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시스템이 요구된다. 셋째, 학교생활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것은 친구들과 함께한 문화체험으로 나타났고, 학업 능률이 떨어지는 비대면 수업보다 직접 소통할 수 있는 대면 수업을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교수자들과 직원들에 대해서는 대체로 호의를 나타낸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대해 학교에서는 타 문화권 학생들과 소통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해주고, 유학생들에게 필요한 정보와 수준 높은 학업 지원을 제공하여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한국 사회와 문화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면, 첫째, 초기에는 타 문화에 대한 낯섦으로 어려움을 겪었는데, 현재는 경험과 이해에서 오는 편안함이 내재되어 학생들 대부분이 대학교를 졸업한 이후에도 계속 한국에서 살고 싶어 했다. 또한, 대다수 학생이 경제적인 부담을 느껴서 학업과 아르바이트를 병행하고 있으므로 피로감과 건강 악화를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를 보완하기 위해 장학금 제도를 확충하고, 졸업 후 취업 연계 등으로 사후 관리 체제 시스템을 구축해야 할 것이다. 둘째, 다양한 국적의 학생들이 한 공간에서 지내면서 나타나는 문화 차이와 부적응 문제를 잦은 접촉 경험으로 해소하여 학생들의 다문화 시민성을 발달시키고 다문화적 태도를 변화시켜 문화적 관용이 생겨난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어교육원 연수생들이 대학 생활 초기에 적응을 잘할 수 있도록 우수한 교육환경 제공과 체계적인 교육 시스템 개발, 정보제공, 수준 높은 학업 지원, 장학금제도 확충, 취업 연계 등 사후 관리, 다문화 시민성 발달을 위한 타 문화 접촉과 소통 지원 등에 대해 실천 방안을 논의해야 할 것이다. 주제어: 한국어교육원, 어학 연수생, 한국어 교육, 대학 생활, 한국 사회와 문화, 다문화적 시민성

      • 『홍길동전』을 활용한 한국어 문화어휘 교육 연구

        진몽야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ABSTRACT To learn a foreign language, one must understand and know the culture of the language together. By understanding the culture contained in the Korean language, Korean learners can overcome the culture shock they experience while encountering other cultures and improve their communication skills. With the importance of cultural education in language education, the proportion of cultural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also increasing. Therefore, cultural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for perfect Korean speaking abi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lect cultural vocabulary related to Korean culture by using "The Biography of Hong Gil-dong" as one of the methods of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classify them by subject, and then present a plan for teaching cultural vocabulary that can be applied in the actual Korean language education field. In Chapter 1, we first identified the purpose and method of research, reviewed prior studies, and looked at the current status and tasks of research in cultural vocabulary. In Chapter 2, we first examined and synthesized the concepts of the existing cultural vocabulary, and then presented the definition and selection criteria of the cultural vocabulary covered in this paper. Subsequently, the list of cultural words and the classification criteria were reviewed, and the cultural words in the "Interesting! Our Classic-The Biography of Hong Gil-dong" were selected in an objective manner. Next, the cultural language classification categories are divided into six upper categories: 'daily culture', 'art culture', 'language culture', 'administrative culture', 'transmission culture', 'spiritual culture' and 15 lower categories: 'Housing', 'Clothes', 'Traffic', 'Tool', 'Time', 'Units', 'Art', 'Personal', 'Personnel', 'Geographical names', 'Pronouns', 'Institutions', 'Facilities', 'Rituals', 'Folklore', and the cultural vocabulary was classified by preparing appropriate classification criteria for the main body. Finally, the importance of the selected cultural language was assessed using the 'Korean Language Teaching Samteo' and the 'Korean Basic Dictionary'. In Chapter 3, the cultural language classified in Chapter 2 was presented with effective methods of education for each subject. In this high school, audiovisual materials, experiences, language explanations, Chinese characters, and role plays were presented as educational methods. The daily culture vocabulary presented educational methods such as audio-visual materials, experience, and language explanation. The arts and culture vocabulary was proposed to utilize educational methods such as audio-visual materials, experience and language explanation. Language and culture vocabulary presented teaching methods such as audio-visual materials, language descriptions, Chinese characters, and role plays. The administrative culture vocabulary was proposed to utilize teaching methods such as language explanation and Chinese character presentation. The vocabulary of transmission culture suggested teaching methods such as audio-visual materials, language descriptions, and Chinese characters. At the end, the spiritual culture vocabulary was suggested to use teaching methods such as language explanation and Chinese character presentation. Among the six top categories, language and culture vocabulary accounted for the largest portion, so Chapter 4 set language and culture vocabulary as learning contents and based on this, an example of a cultural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guide using "The Biography of Hong Gil-dong" was proposed. It is time for effective and systematic methods of education of cultural vocabulary to be needed in accordance with the education of cultural vocabulary, which is becoming more active in research and interest. This study can be meaningful in improving the ability of Korean learners to communicate effectively and understand culture in language and culture integrated education. 논문개요(초록) 외국어를 학습하려면 그 언어에 담긴 문화를 함께 이해하고 알아야 한다. 한국어 학습자는 한국어에 담긴 문화를 이해함으로써 다른 문화를 접하면서 겪게 되는 문화 충격을 극복할 수 있으며,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언어 교육에서 문화 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한국어 교육에서 문화교육의 비중도 높아지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완벽한 한국어 구사 능력을 위해서는 문화교육을 해야 한다. 본 연구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방안의 하나로 『홍길동전』을 활용하여 한국 문화와 관련된 문화 어휘를 선정하여, 이를 주제별로 분류한 다음에 실제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문화어휘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둔다. 1장에서는 우선 연구의 목적과 방법을 밝히고 선행연구를 검토하며 문화 어휘의 연구 현황과 과제에 대해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먼저 기존에 연구된 문화어휘의 개념을 살펴보고 종합한 다음에 본고에서 다루는 문화 어휘의 정의와 선정 기준을 제시하였다. 이어서 문화어휘의 목록, 분류 기준을 고찰하여 이를 토대로『재미있다! 우리고전-홍길동전』에 나오는 문화어휘를 개관적인 방법으로 선정하였다. 그 다음에 문화어휘 분류 범주를 6개 상위범주 ‘일상 문화’, ‘예술 문화’, ‘언어 문화’, ‘행정 문화’, ‘전승 문화’, ‘정신 문화’와 15개 하위범주 ‘주거’, ‘의복’, ‘교통’, ‘도구’, ‘시간’, ‘단위’, ‘예술’, ‘인물’, ‘지명’, ‘대명사’, ‘제도’, ‘시설’, ‘의례’, ‘민속’으로 나누어 본고에 적합한 분류 기준을 마련하여 문화어휘를 분류하였다. 마지막으로 <한국어 교수 학습 샘터>와 <한국어기초사전>을 활용하여 선정한 문화어휘에 대한 중요도를 평가하였다. 3장에서는 2장에서 분류한 문화어휘를 주제별로 효과적인 교육방법을 제시하였다. 본고에서 주제별 문화 어휘 교육 방법으로 시청각 자료, 체험, 언어 설명, 한자 보여주기, 역할극을 교육방법으로 제시하였다. 일상문화 어휘는 시청각 자료, 체험과 언어 설명 등 교육 방법을 제시하였다. 예술문화 어휘는 시청각 자료, 체험과 언어 설명 등 교육 방법을 활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언어문화 어휘는 시청각 자료, 언어 설명, 한자 보여주기와 역할극 등 교육 방법을 제시하였다. 행정문화 어휘는 언어 설명과 한자 보여주기 등 교육 방법을 활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전승문화 어휘는 시청각 자료, 언어 설명과 한자 보여주기 등 교육 방법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에 정신문화 어휘는 언어 설명과 한자 보여주기 등 교육 방법을 활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6개 상위범주 중에서 언어문화 어휘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기 때문에 4장에서는 언어문화 어휘를 학습 내용으로 설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홍길동전』을 활용한 문화어휘 교수 · 학습 지도안의 예를 제안하였다. 연구와 관심이 활발해지고 있는 문화어휘 교육에 따라 이제는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문화어휘 교육방법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가 언어 · 문화 통합교육에서 효과적으로 의사소통 능력과 문화 이해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에 그 의의를 둘 수 있다.

      • 한국어 인과관계 연결어미와 접속부사 습득양상에 대한 연구 : 중급단계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기문연 신라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syntactic-semantic properties and the function of discourse which causal connective endings and causal conjunctive adverbs of Korean have, and at the same time to research how Chinese learners of the intermediate Korean acquire the causal connective endings and causal conjunctive adverbs in Korean. The major research method of this thesis is to collect the translation data and the free writings of the learners and to analyze them.The research motivation and purpose of this thesis are as follows: First, Korean and Chinese are languages of two different types in that Korean is an agglutinative language while Chinese is an independent language. Therefore, the Chinese learners who study a distinctive language from their mother tongue will inevitably make mistakes when they use the causal connective endings and causal conjunctive adverbs of Korean. I am curious about what kinds of mistakes they will make in this respect. Through the research of this question, we may catch a glimpse of how the type of native language affects the acquisition of the second language. Second, the conjunctive endings and adverbs of Korean are the discourse markers connecting clauses or sentences. Whether one can correctly use the conjunctive endings and adverbs reflects the learner’s command of Korean. This thesis is composed as follows: The second chapter,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es, discusses about the differences of causal connective expressions in Chinese and Korean, the former being the native language of the Chinese learners and the latter being the target language for study. In addition, this chapter also deals with the influence of the native language on the acquisition of second language from the perspective of second-language acquisition. It also touches upon the theory of interlanguage. This chapter paves the way for the analysis of how well Chinese learners use the causal connective endings and causal conjunctive adverbs of Korean and what mistakes they make. The third chapter elaborates the research object, process, results and discussion of this research. The research method is as follows: first, take the students of the level-3 and level-4 classes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enter of Silla University as the objects and send out translation task. The translation task involves the Chinese-Korean translation of sentences with causal relationship. In order to avoid the influence of locality and environment during the survey, free writings of intermediate learners of Korean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enter are also collect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can be divided into “how well they use the conjunctive endings and adverbs” and “what mistakes they make.” First, analysis will be made in terms of the translation and free writings. A contrastive analysis is followed. Finally, the conclusion will be drawn from the analysis. The fourth chapter, as the conclusion, summarizes the research results of the paper and points out some drawbacks of the paper in view of the research object and research method. I hope that this paper will contribute to Korean language teaching by letting more people understand how Chinese learners of intermediate Korean master causal connective endings and causal conjunctive adverbs and applying it to the formulation of advanced teaching plan. 본고는 한국어에서 인과 관계 연결 어미와 인과 관계 접속 부사의 통사·의미적 특징과 담화 표지로서의 역할을 살피는 동시에 이에 대한 중국인 중급 한국어 학습자의 습득 양상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이 연구의 주요 연구 방법은 자유 작문 과제와 번역 과제 등을 수행하게 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동기와 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착어인 한국어와 고립어인 중국어는 서로 다른 유형에 속하는 언어이므로 모어(L1)와 다른 유형의 언어를 목표어(L2)로 학습하는 중국인 학습자들이 인과 관계 연결 어미와 인과 관계 접속 부사를 사용하는 데 특별한 경향성과 오류의 양상이 나타날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둘째, 한국어의 연결 어미와 접속 부사는 담화 구조의 결속을 유지시키는 담화 표지이다. 이러한 표지의 적절한 사용은 한국어 학습자의 숙달도를 판단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 특히, 중급 화자를 대상으로 이 연구를 진행하는 것은 고급 단계로의 발전 가능성을 가늠할 수 있는 기준이 될 수도 있다.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될 것이다. 제2장에서는 기존의 연구를 토대로 중국인 학습자의 모어인 중국어와 목표 언어인 한국어 사이에 존재하는 언어 유형론적 차이와 외국어 습득의 관점에서 나타나는 L1이 L2의 습득에 미친 영향, 중간 언어 이론 등을 살펴보았다. 이것은 중국인 학습자가 인과 관계 연결 어미와 인과 관계 접속 부사의 습득 양상을 분석하기 위한 기초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이어서 제3장에서는 본 연구의 연구 대상, 연구 방법과 절차, 연구 결과를 제시하고 토론을 통해 연구의 의의를 논의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방법은 우선, 신라대학교 한국어 교육 센터 3급반, 4급반에 공부하고 있는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중국어 인과 관계 연사가 포함된 중국어 문장을 한국어로 번역하라는 과제를 주어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번역 과제에서 나타나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신라대학교 한국어 교육 센터 중급 단계 학습자들의 자유 작문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연구 결과를 인과 관계 접속 표현의 사용 경향성과 오류 양상으로 나누어 논의하였다. 마지막 4장은 본고의 결론으로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고 연구 대상과 연구 방법 등에 나타난 한계를 검토하고 평가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중급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인과 관계 연결 어미와 인과 관계 접속 부사의 습득 양상을 이해하고 고급 단계로 발전할 수 있는 교육 방안을 발전시키는 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한국어 교재의 관용표현 분석 연구

        진멍 가톨릭관동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 관용표현을 효율적인 교육을 위해서 중국어 번역을 활용한 한국어 관용표현의 교재 구성 방안을 제시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어 교재 7종에 나타난 관용표현들을 대상 자료로 삼아 교육의 실제에 대하여 조사·분석하였다. 궁극적으로 관용표현의 번역을 기저에 두고 한국어교육과 접목시킴으로써 관용표현의 실제 활동을 마련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주요 성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관용표현 교재 교육 내용상의 문제점이 무엇인지 밝히고, 중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 관용표현을 어려워하는 이유를 분석·검토하였다. 한국어 관용표현은 한국의 문화, 역사, 사회상을 반영하고 있으므로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관용표현을 구성하는 어휘적인 문제가 있다. 관용표현은 고유어가 많이 포함되기 때문에 한국어 학습자들은 어렵다는 부정적인 선입견을 갖는다. 관용표현은 문맥 속에서 관용 의미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문맥에 따라서 관용 의미가 달라지기 때문에 어렵다고 여긴다. 또한 관용표현은 학습자 모국어의 영향을 받는다. 한국어와 중국어의 관용표현은 형태상 전혀 다른 구성을 보이므로 문맥 속에서 관용표현의 역할 및 의미를 이해하기가 어렵다. 마지막으로 한국어 관용표현에는 여러 가지 형태 ·통사적인 제약에 있어서 중국어 관용표현과 큰 차이를 보인다. 둘째, 7종의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관용표현을 모두 조사·수집하여 이들에 대한 한·중 번역의 등가 양상을 검토·분류하였다. 이를 번역 이론을 접목시켜 전체 조사·수집한 관용표현들을 4가지 변역 양상 즉, 일대일등가, 유사등가, 무등가, 일대다등가로 분류하였다. 관용표현을 모국어로 번역하는 과정의 난도 기준이 한국어 교재를 구성할 때 위계화를 도모할 수 있는 이론적인 토대를 마련하였다. 번역 양상에 따라 난도가 쉬운 것부터 가르치는 것이야말로 학습자 중심의 교육이라 할 수 있으며 이것이 학습자의 이해 능력을 충분히 배려하는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셋째, 한국어 관용표현의 중국어 번역은 공인된 여러 사전가료를 조사해 결정하였으며, 번역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법이면서 향후 새로운 한·중 관용표현의 사전 편찬을 위한 초석이 될 것이다. 따라서 한국어 관용표현의 번역 양상 분석결과를 활용하여 한국어교육에서 단계별 학습 활동을 설계하여 제시하였다. 이런 연구 결과는 중국 내 한국어 교재 구성 또는 한국 내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교재 편찬에 있어서 실질적인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