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홍길동전』을 활용한 한국어 문화어휘 교육 연구

        진몽야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To learn a foreign language, one must understand and know the culture of the language together. By understanding the culture contained in the Korean language, Korean learners can overcome the culture shock they experience while encountering other cultures and improve their communication skills. With the importance of cultural education in language education, the proportion of cultural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also increasing. Therefore, cultural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for perfect Korean speaking abi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lect cultural vocabulary related to Korean culture by using "The Biography of Hong Gil-dong" as one of the methods of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classify them by subject, and then present a plan for teaching cultural vocabulary that can be applied in the actual Korean language education field. In Chapter 1, we first identified the purpose and method of research, reviewed prior studies, and looked at the current status and tasks of research in cultural vocabulary. In Chapter 2, we first examined and synthesized the concepts of the existing cultural vocabulary, and then presented the definition and selection criteria of the cultural vocabulary covered in this paper. Subsequently, the list of cultural words and the classification criteria were reviewed, and the cultural words in the "Interesting! Our Classic-The Biography of Hong Gil-dong" were selected in an objective manner. Next, the cultural language classification categories are divided into six upper categories: 'daily culture', 'art culture', 'language culture', 'administrative culture', 'transmission culture', 'spiritual culture' and 15 lower categories: 'Housing', 'Clothes', 'Traffic', 'Tool', 'Time', 'Units', 'Art', 'Personal', 'Personnel', 'Geographical names', 'Pronouns', 'Institutions', 'Facilities', 'Rituals', 'Folklore', and the cultural vocabulary was classified by preparing appropriate classification criteria for the main body. Finally, the importance of the selected cultural language was assessed using the 'Korean Language Teaching Samteo' and the 'Korean Basic Dictionary'. In Chapter 3, the cultural language classified in Chapter 2 was presented with effective methods of education for each subject. In this high school, audiovisual materials, experiences, language explanations, Chinese characters, and role plays were presented as educational methods. The daily culture vocabulary presented educational methods such as audio-visual materials, experience, and language explanation. The arts and culture vocabulary was proposed to utilize educational methods such as audio-visual materials, experience and language explanation. Language and culture vocabulary presented teaching methods such as audio-visual materials, language descriptions, Chinese characters, and role plays. The administrative culture vocabulary was proposed to utilize teaching methods such as language explanation and Chinese character presentation. The vocabulary of transmission culture suggested teaching methods such as audio-visual materials, language descriptions, and Chinese characters. At the end, the spiritual culture vocabulary was suggested to use teaching methods such as language explanation and Chinese character presentation. Among the six top categories, language and culture vocabulary accounted for the largest portion, so Chapter 4 set language and culture vocabulary as learning contents and based on this, an example of a cultural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guide using "The Biography of Hong Gil-dong" was proposed. It is time for effective and systematic methods of education of cultural vocabulary to be needed in accordance with the education of cultural vocabulary, which is becoming more active in research and interest. This study can be meaningful in improving the ability of Korean learners to communicate effectively and understand culture in language and culture integrated education. 논문개요(초록) 외국어를 학습하려면 그 언어에 담긴 문화를 함께 이해하고 알아야 한다. 한국어 학습자는 한국어에 담긴 문화를 이해함으로써 다른 문화를 접하면서 겪게 되는 문화 충격을 극복할 수 있으며,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언어 교육에서 문화 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한국어 교육에서 문화교육의 비중도 높아지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완벽한 한국어 구사 능력을 위해서는 문화교육을 해야 한다. 본 연구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방안의 하나로 『홍길동전』을 활용하여 한국 문화와 관련된 문화 어휘를 선정하여, 이를 주제별로 분류한 다음에 실제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문화어휘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둔다. 1장에서는 우선 연구의 목적과 방법을 밝히고 선행연구를 검토하며 문화 어휘의 연구 현황과 과제에 대해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먼저 기존에 연구된 문화어휘의 개념을 살펴보고 종합한 다음에 본고에서 다루는 문화 어휘의 정의와 선정 기준을 제시하였다. 이어서 문화어휘의 목록, 분류 기준을 고찰하여 이를 토대로『재미있다! 우리고전-홍길동전』에 나오는 문화어휘를 개관적인 방법으로 선정하였다. 그 다음에 문화어휘 분류 범주를 6개 상위범주 ‘일상 문화’, ‘예술 문화’, ‘언어 문화’, ‘행정 문화’, ‘전승 문화’, ‘정신 문화’와 15개 하위범주 ‘주거’, ‘의복’, ‘교통’, ‘도구’, ‘시간’, ‘단위’, ‘예술’, ‘인물’, ‘지명’, ‘대명사’, ‘제도’, ‘시설’, ‘의례’, ‘민속’으로 나누어 본고에 적합한 분류 기준을 마련하여 문화어휘를 분류하였다. 마지막으로 <한국어 교수 학습 샘터>와 <한국어기초사전>을 활용하여 선정한 문화어휘에 대한 중요도를 평가하였다. 3장에서는 2장에서 분류한 문화어휘를 주제별로 효과적인 교육방법을 제시하였다. 본고에서 주제별 문화 어휘 교육 방법으로 시청각 자료, 체험, 언어 설명, 한자 보여주기, 역할극을 교육방법으로 제시하였다. 일상문화 어휘는 시청각 자료, 체험과 언어 설명 등 교육 방법을 제시하였다. 예술문화 어휘는 시청각 자료, 체험과 언어 설명 등 교육 방법을 활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언어문화 어휘는 시청각 자료, 언어 설명, 한자 보여주기와 역할극 등 교육 방법을 제시하였다. 행정문화 어휘는 언어 설명과 한자 보여주기 등 교육 방법을 활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전승문화 어휘는 시청각 자료, 언어 설명과 한자 보여주기 등 교육 방법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에 정신문화 어휘는 언어 설명과 한자 보여주기 등 교육 방법을 활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6개 상위범주 중에서 언어문화 어휘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기 때문에 4장에서는 언어문화 어휘를 학습 내용으로 설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홍길동전』을 활용한 문화어휘 교수 · 학습 지도안의 예를 제안하였다. 연구와 관심이 활발해지고 있는 문화어휘 교육에 따라 이제는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문화어휘 교육방법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가 언어 · 문화 통합교육에서 효과적으로 의사소통 능력과 문화 이해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에 그 의의를 둘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