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피터 싱어 철학의 한국적 수용과 비판

        김양현 ( Yang Hyun Kim ) 한국환경철학회 2019 환경철학 Vol.0 No.28

        피터 싱어는 철학자로서는 드물게도 일반 대중들의 매우 많은 관심을 끌고 있는 철학자다. 그의 철학적 영향력과 성공은 북미 지역과 유럽 대륙에서는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다. 그럼 한국사회에서 피터 싱어의 철학적 영향력은 어느 정도인가? 그의 철학은 어떻게 수용되고 비판되고 있는가?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나는 이 글에서 피터 싱어의 철학이 한국에서는 어떻게 수용되고 비판되고 있는가를 관련 자료를 조사·정리해보려고 한다. 관련 자료와 문헌을 조사, 정리, 분석, 해석하는 문헌조사방법을 통하여 나는 먼저 피터 싱어의 우리말 번역서 목록을 작성하고 그 시사점을 제시해 볼 것이다. 다음으로 피터 싱어에 대한 국내 석박사학위논문과 학술지 게재 논문들의 전체 리스트를 작성하고, 그 논의의 주요 흐름과 방향, 그리고 시사점을 찾아 볼 것이다. 여기에 덧붙여 피터 싱어의 윤리적 채식주의를 두고 수년 전에 맹주만과 최훈이 벌인 논쟁의 요지를 간략하게 스케치해 볼 것이다. 마지막으로 대학 교양 윤리학 교과서에서 피터 싱어의 철학이 어떻게 다루어지는가를 조사·분석할 것이다. 피터 싱어 철학의 한국적 수용과 비판은 여전히 현재 진행형의 성격을 갖지만, 현 시점에서 미래의 전망을 염두에 두면서 제기된 물음을 중간 점검해보는 것도 의미 있는 작업이라 생각된다. 또한 그의 실천철학적 주장들은 향후 우리 사회의 구체적인 삶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이론적인 전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Peter Singer is well known to the public, and it is unusual for a philosopher. His influence seems tremendous not only on the theory of contemporary practical philosophy but also on the practice of Life. His philosophical significance and achievement have been well recognized already in North America and Europe. Then, how is Singer's philosophy received and criticized in Korea? From this question, I will examine and summarize related data on how Korean society accept and criticize Singer's philosophy. I will organize the data through methods that investigate, organize, analyze, and interpret the texts. First of all, I will make a list of Korean translated books which Singer wrote and edited and present the implications. The list includes books about philosophy in general, ethics, and practical and applied ethics. Next, I will compile a list of domestic master's and doctoral dissertations and academic journal-published papers on Singer, and show the main trends, directions, and implications of the discussions. Also,a summary of the Korean debate on Singer's ethical vegetarianism between Joo-man Maeng and Hoon Choi is added. Finally, I will then investigate and analyze how the philosophy of Singer is dealt with in ethics textbooks for university students. The reception and criticism of Singer's philosophy are ongoing in Korea. Moreover, it is expectable that Singer's philosophy will be discussed much more broadly in Korean society in the future, because especially his practical philosophy will play a pivotal role as a clue, dealing with real-life issues in our community.

      • KCI등재후보

        피터 싱어(Peter Singer)의 생명 윤리 소고

        김광태(kwang-tae kim) 한국생명윤리학회 2010 생명윤리 Vol.11 No.2

        본 논문은 피터 싱어의 생명 윤리학을 선호와 인격체 개념을 중심으로 연구한 것이다. 피터 싱어 윤리학의 주제는 “어떻게 살아야 할 것인가”라는 실천 윤리이다. 싱어는 서구 전통 윤리에서 불가침의 원리로 여겨졌던 인간 생명의 ‘신성함’이란 인간을 ‘신의 형상’으로 믿는 서구 기독교 전통의 근거 없는 종 차별적인 개념일 뿐이라고 주장한다. 진부한 윤리로는 현대의 과학기술과 의료기술의 발전으로 야기되는 새로운 상황에 적합한 윤리적 대안을 제시할 수 없다는 것이 싱어의 판단이다. 그는 ‘인간’ 대신 ‘인격체’의 개념을 현대의 윤리적 상황에 적합한 근거로서 제시하며, 그 인격체의 ‘선호’라는 윤리적 기준을 세우려고 한다. 싱어의 목적은 이익평등고려 원칙과 선호공리주의라는 한 쌍의 척도를 세워서 근본적인 윤리 원칙을 확립하는 것이다. 이 척도를 사용함으로써 그는 진부해진 전통적인 도덕성을 전복시키고, 윤리적인 ‘코페르니쿠스적 혁명’을 이루려는 것이다. 이 논문을 통해 피터 싱어 윤리학의 핵심 개념인 선호 공리주의의 논리적인 정합성과 ‘인격체’ 개념의 근거를 검토하고, 싱어가 제안하는 윤리적 혁명의 결과가 현대의 윤리적 딜레마에 적합한 대답이 될 수 있을지 비판적으로 연구하였다. I propose the driving force behind Peter Singer's ethical theory is the question "how are we to live?". Such a question leads to the issue of ultimate values. I suggest that when developing his moral argument Singer has three basic goals. As an activist, deeply committed to having a positive impact on the world, he wants to develop a theory of right action. As an analytical philosopher, Singer also wants to establish a foundation for his moral theory, in order to argue against the intuitionists' approach to ethics. And Singer also hopes to go beyond the theory of universal prescriptivism, to be able to claim that the ethical life applies to all human beings, not just to those who embrace the moral point of view. Peter Singer, known as 'dangerous philosopher', proposes a "Copernican Revolution" in moral philosophy which challenges the basic precepts and code of ethics that have previously governed life and death. He rejects the traditional ethics, which is based upon the sanctity of human life. Singer recommends a new system built around the valuation of the 'person' and the principle of preference utilitarianism. Utilizing this new framework, he advocates the normalization and legalization of abortion, infanticide, euthanasia, and assisted suicide.

      • KCI등재

        생명 윤리론에서 피터 싱어의 코페르니쿠스적 혁명에 대한 비판적 고찰

        정창록(Jeong Chang-Rok) 한국생명윤리학회 2012 생명윤리 Vol.12 No.2

        싱어(Peter singer)는 생명 윤리론의 분야에서 코페르니쿠스적 혁명을 일으키려고 한다. 필자가 보기에 싱어가 주장하는 혁명의 두 축은 ‘동물로서의 인간관’과 공리주의 사상에서 유래한 ‘이익 평등 고려의 원칙’이다. 이 두 축은 싱어의 동물 해방론과 의료 윤리론의 배후에 있다. 본 논문은 두 축을 중심으로 싱어의 코페르니쿠스적 혁명이 과연 성공적인지를 검토한다. 이를 위해 생명 윤리론에서 전개되고 있는 동물 해방론과 의료 윤리론에 나타난 그의 주장과 문제점을 각론적으로 간단히 살펴본다. 그 다음에 필자는 혁명의 두 축을 총론적으로 고찰해 본다. 우리가 생태계 문제에 싱어의 코페르니쿠스적 혁명의 첫 번째 축인 이익 평등 고려의 원칙을 적용시킨다면, 아이러니하게도 원칙의 천칭과 같은 성질에 의해 전체를 위해 행동할 수 있는 인간을 동물 보다 더 고려해야 한다. 이 후에 필자는 싱어의 인간관에 대해 비판적으로 고찰해 본다. 싱어는 플레처(Joseph Fletcher)의 인격성의 특징을 받아들여 동물들 중에서도 인격체로 여길 만한 개체가 있으므로, 인간과 동물에게는 정도의 차이만 있지 질적인 차이가 없다고 주장한다. 이에 반해 필자는 플레처의 인격성 징표 대신에, 피터스(R. S. Peters)가 주장하는 인격의 세 가지 특징을 인간과 동물의 차이를 밝히는 기준으로 제시한다. 피터스의 인격성 특징에 의한다면 우리는 동물을 인격체로 볼 수 없다. 이러한 고찰을 통해 필자는 생명 윤리론에서 싱어의 코페르니쿠스적 혁명이 우리가 온전히 받아들일 수 있을 만큼 성공적이지는 못하다는 것을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lies in looking through the conformity of ethical revolution suggested by Peter Singer and finding out if proper alternatives are suggested for contemporary ethical dilemma. He would give up the traditional morality and intend to achieve a Copernican Revolution on the ethics. Singer is going to challenge that all human being life is holy through Copernicus revolution on the ethics. This paper intend Singer’s clams that a human being and an animal is qualitatively different at a point of view of a soul and the reason. I examine that his claim is conformal and show the alternative plan appropriate for modern ethical dilemma. In addition, I thinks all human being life that an existing point of view to be holy can be maintained. The life of all human beings is what is holier than animal life by the phase that I made the peculiarity that a human being occupies in ecosystem not an existing theological viewpoint. This article will examine what is human being on Singer’s ethics. Singer solves a problem of the medical ethics with his peculiarity position on what is human being. He thinks that the concept to be called a human being must define it in a meaning called person again. The standard that is decisive for God for human life here is rational person with the self-consciousness immediately. Singer insists that Joseph Fletcher’s list of personality is enough to be indicater of person. However I consider it whether I should be able to accept self-consciousness, oneself control, a future feel ing, the past feeling, another ability, interest in another person.

      • KCI등재

        환경윤리의 관점에서 본 피터 싱어의 이익평등고려원칙

        문성학 범한철학회 2016 汎韓哲學 Vol.81 No.2

        In this paper, I want to disclose the negative implications that P. Singer's principle of equal consideration of interests shows when we apply it to the environmental problems. The first negative conclusion is that Singer's principle makes it impossible to restore an extinct animal or to preserve a species. The Second is that the principle make it meaningless to assort animal species in early embryo state because they can not feel pleasure and pain. The third is that since all plants, bacteria, plankton playing very important role in ecosystem are not sentient being, they can not have any kinds of interests which animals have. On the basis of these three negative implication, we can conclude that Singer's principle can not explain the integrity, harmony, stability of ecological system. 필자는 이 논문에서 피터 싱어의 동물 해방론이 의지하고 있는 이익평등고려의 원칙이 환경윤리에 대해 갖는 부정적 함축을 집중적으로 부각시키고자한다. 첫째로 필자가 보기에 싱어의 이 원칙은 종 복원 사업이나 종 보존사업을 불가능하게 만든다. 이미 멸종했거나 지금 멸종위기에 처해있는 특정 육식동물의 종을 보존하는 것은 그 동물들로 인하여 잡아먹힐 초식동물들의 이익이 침해되기 때문이다. 그 결과 그 원칙을 철저하게 밀고나갈 때, 그 원칙은 쾌고감수능력을 가진 개체의 이익에 지나치게 집착하는 나머지 생태계의 조화와 균형을 무시하게 된다. 둘째로, 이익평등고려의 원칙은 초기 태아 상태에서의 동물 종의 구분을 무의미하게 만든다. 포유류들은 초기 태아 상태에서는 모두 신경계가 발달하지 않고 기관 분화도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아서 고통을 잘 느끼지 못한다는 점에서 똑 같다. 이익평등 고려의 원칙에 의하면, 이 상태에서는 개의 태아를 죽이건 침팬지의 태아를 죽이건 인간의 태아를 죽이건 그들이 받을 고통의 양은 똑 같다. 그러나 우리가 개와 침팬지와 인간 태아가 갖고 있는 잠재성을 고려한다면, 인간의 태아를 죽이는 것이 훨씬 비도덕적임을 즉각적으로 알 수 있다. 셋째로, 싱어의 주장대로라면 식물뿐만이 아니라 바다의 플랑크톤이나 수많은 종류의 박테리아들은 쾌고감수능력이 없기에 ‘이익’을 가질 수 없다. 그런데 이런 것들을 모두 제거해버려도 종차별주의의 잘못을 범하게 되지 않는다. 그러나 우리가 싱어의 이익평등고려의 원칙에 따라 행동함으로써 종차별주의의 잘못을 범하지 않았다 하더라도, 우리는 더 커다란 문제점에 봉착하게 된다. 생태계를 복원할 수 없을 정도로 파괴하게 된다. 싱어의 그 원칙은 생태계의 유기적 통합성에 대한 인식의 부재를 보여준다. 넷째로, 부국이나 부자가 빈국이나 빈자에게 원조를 반드시 행해야 할 의무로 생각하는 싱어의 입장을 고통 받는 동물에 적용하면, 우리는 그 동물들의 고통을 반드시 줄여주어야 한다는 결론에 도달한다. 우리가 싱어의 이런 주장을 따라가게 되면 도달하게 되는 결론은, 우리는 동물해방론자가 되든지 아니면 동물살해자가 되든지 둘 중에 하나이다. 그러나 이는 불합리하다. 이상의 네 가지 문제점은 결국 피터 싱어가 잘못된 윤리관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가 어떤 행위를 할 때 도덕적 차원에서 고려해야 할 많은 요인들이 있는데, 고통은 그 중의 하나일 뿐이다. 그러나 싱어는 고통을 고려해야 할 전부라고 생각한다. 바로 그 때문에 벤담과 마찬가지로 불구아나 병든 아기를 살해하는 것을 정당화하게 되고, 바로 그 때문에 그는 독일의 장애인 협회로부터 독일 입국을 거부당했던 것이다.

      • KCI등재

        피터 싱어의 동물해방을 위한 이론적 실천적 확장전략

        김항철 ( Kim Hang-cheol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0 인문학연구 Vol.59 No.1

        전통윤리에서 평등의 고려 대상 범위는 인간에게만 한정되었다. 싱어는 윤리적 대상을 인간에게만 한정하고 있는 전통적 윤리를 비판한다. 싱어는 인간이 아닌 다른 종에게까지 평등의 고려 대상 범위를 확대한다. 싱어는 쾌·고를 경험할 수 있는 동물들도 윤리적 고려대상이어야 함을 주장하며, 지금까지의 동물에 대한 인간의 종차별주의를 비판한다. 싱어는 결과주의적 이익평등 고려의 원칙을 윤리의 보편적 기준으로 상정하고 있으며, 평등의 최소 원리인 이익평등 고려 원칙을 인간종의 경계를 넘어서 인간 외의 다른 동물들에게까지 동등하게 적용할 것을 주장한다. 싱어는 “이 세계의 불필요한 고통을 줄이는 방향으로 인간의 도덕은 확장되어야 한다”라고 말하고 있다. 성차별주의(sexism), 인종차별주의(racism)와 같은 인간이라는 종의 범위에만 해당하는 공리주의가 아닌 모든 지각, 의식이 있는 존재의 고통의 경감이나 이해관심에 관한 인간의 윤리적 가치를 제시한다. 즉, 싱어는 인간의 도덕적 범위를 인간을 넘어 동물에까지 확장해야 한다고 역설하고 있다. 싱어의 동물윤리는 이익 평등 고려의 원칙, 쾌고 감수능력을 바탕으로 전통적 윤리에서 근거하고 있는 이성적 존재자에서 이제 인류는 고통과 쾌락을 경험할 수 있는 모든 존재의 평등한 윤리적 고려를 해야함을 주장하고 있다. 논자는 이 글에서 지금까지 인간의 종차별주의를 비판하면서, 싱어의 동물해방에 관한 입장을 논증하려한다. 더 이상 인간 이성이 지구위의 모든 생명체들과 인간을 구분 짓는 잣대가 아닌 쾌·고를 경험할 수 있는 모든 존재에게 인간의 실천적 윤리를 적용할 수 있는 싱어의 윤리를 논증할 것이다. Until now, mankind's ethics has only included haman beings. In other words, on the earth, all beings except for human are tools making human pleasing. And ethics has served as that purpose. But Peter Singer points to that situation, saying it is wrong for human beings to exclude animals on ethics' subject. He suggests that from now on we ,haman beings, should consider animals as ethics subject. That is, he proposes subjects of ethics should expand to animals. Peter Singer thinks that traditional ethics is rooted on Speciesism, founded by the Philosophers like Aristoteles, Thomas Aquinas, Immanuel Kant, Rene Descartes. They think of animals as non-reasoning beings, justifing human beings using them for human's tools for human's pleasures. Peter Singer tries to expand the circle which includes animals feeling pleasure and suffering. He thinks ethical standard should be not reasons but sentience. In other words, he proposes that ethical standard should be founded by Sentience. On the earth, all beings especially including human beings and animals become objects of the principle of equal consideration of interests. The essence of the principle of equal consideration of interests is that we give equal weight in our moral deliberations to the like interests of all those affected by actions. And these interests include animals' pleasures not suffering from human's actions. I have looked at Singer's philosophy in particular his work, Animal Liberation. He strongly suggests that we should no longer give animals sufferings for tools of our pleasure. We now ought to consider animal's life as ethical attitude for their life.

      • KCI등재후보

        생명 윤리론에서 피터 싱어의 코페르니쿠스적 혁명에 대한 비판적 고찰

        정창록 한국생명윤리학회 2011 생명윤리 Vol.12 No.2

        The purpose of this paper lies in looking through the conformity of ethical revolution suggested by Peter Singer and finding out if proper alternatives are suggested for contemporary ethical dilemma. He would give up the traditional morality and intend to achieve a Copernican Revolution on the ethics. Singer is going to challenge that all human being life is holy through Copernicus revolution on the ethics. This paper intend Singer's clams that a human being and an animal is qualitatively different at a point of view of a soul and the reason. I examine that his claim is conformal and show the alternative plan appropriate for modern ethical dilemma. In addition, I thinks all human being life that an existing point of view to be holy can be maintained. The life of all human beings is what is holier than animal life by the phase that I made the peculiarity that a human being occupies in ecosystem not an existing theological viewpoint. This article will examine what is human being on Singer's ethics. Singer solves a problem of the medical ethics with his peculiarity position on what is human being. He thinks that the concept to be called a human being must define it in a meaning called person again. The standard that is decisive for God for human life here is rational person with the self-consciousness immediately. Singer insists that Joseph Fletcher's list of personality is enough to be indicater of person. However I consider it whether I should be able to accept self-consciousness, oneself control, a future feeling, the past feeling, another ability, interest in another person. 싱어(Peter Singer)는 생명 윤리론의 분야에서 코페르니쿠스적 혁명을 일으키려고 한다. 필자가 보기에 싱어가 주장하는 혁명의 두 축은 ‘동물로서의 인간관’과 공리주의 사상에서 유래한 ‘이익 평등 고려의 원칙’이다. 이 두 축은 싱어의 동물 해방론과 의료 윤리론의 배후에 있다. 본 논문은 두 축을 중심으로 싱어의 코페르니쿠스적 혁명이 과연 성공적인지를 검토한다. 이를 위해 생명 윤리론에서 전개되고 있는 동물 해방론과 의료 윤리론에 나타난 그의 주장과 문제점을 각론적으로 간단히 살펴본다. 그 다음에 필자는 혁명의 두 축을 총론적으로 고찰해 본다. 우리가 생태계 문제에 싱어의 코페르니쿠스적 혁명의 첫 번째 축인 이익 평등 고려의 원칙을 적용시킨다면, 아이러니하게도 원칙의 천칭과 같은 성질에 의해 전체를 위해 행동할 수 있는 인간을 동물 보다 더 고려해야 한다. 이후에 필자는 싱어의 인간관에 대해 비판적으로 고찰해 본다. 싱어는 플레처(Joseph Fletcher)의 인격성의 특징을 받아들여 동물들 중에서도 인격체로 여길 만한 개체가 있으므로, 인간과 동물에게는 정도의 차이만 있지 질적인 차이가 없다고 주장한다. 이에 반해 필자는 플레처의 인격성 징표 대신에, 피터스(R. S. Peters)가 주장하는 인격의 세 가지 특징을 인간과 동물의 차이를 밝히는 기준으로 제시한다. 피터스의 인격성 특징에 의한다면 우리는 동물을 인격체로 볼 수 없다. 이러한 고찰을 통해 필자는 생명 윤리론에서 싱어의 코페르니쿠스적 혁명이 우리가 온전히 받아들일 수 있을 만큼 성공적이지는 못하다는 것을 보인다.

      • KCI등재

        존재-당위(IS-OUGHT) 논쟁과 도덕에 대한 정의(定義) -피터 싱어(Peter Singer)의 메타 윤리학을 중심으로-

        김광태 ( Kwang Tae Kim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1 윤리교육연구 Vol.0 No.24

        본 논문은 피터 싱어의 메타윤리학에 나타난 존재-당위 논쟁과 도덕에 대한 의미를 찾아보고 그의 윤리학이 현대 윤리학의 난제를 어떻게 해결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존재-당위 논쟁과 도덕에 대한 학자들의 다양한 견해가 존재한다. 데이비드 흄은 사실과 가치 사이에는 메울 수 없는 간극이 존재하며, 모든 당위 명제는 존재 명제로부터 도출될 수 없다고 주장한다. 무어는 자연주의적 오류 논증을 통해서 또한 헤어는 보편적 규정주의를 통해서 그리고 픽든은 자연주의의 옹호를 통해서 존재-당위 논쟁을 입증하고자 한다. 피터 싱어의 메타윤리학을 분석하면 싱어의 학문적 경력 초기에는 흄의 방법을 따랐다고 결론짓는 것이 타당하다. 분석적 차원에서 싱어는 논리적으로 순전히 사실적 전제로부터 가치 결론을 도출할 수 없다는 흄에 동의한다. 그리고 피터 싱어는 이를 확장 발전시킨다. 정서주의(emotivism)의 쇠퇴로 시작된 실체적 윤리의 재탄생은 철학자들이 비록 도덕적 판단이 사실 진술이 할 수 있는 방식으로 참이든 거짓이든 입증될 수 없다 하더라도 그럼에도 그러한 판단들이 여전히 이성에 근거한다는 것을 인정할 때 일어남을 그는 주장하고 있는 것이다. David Hume first suggested the existence of an unbridgeable gab between facts and values in his 1738 work Treatise of Human Nature. Today many philosophers use that work for support of their argument that there is a fundamental distinction between fact and value, and that is always logically improper to deduce ethical conclusions about how one ought act, from purely factual premises describing the world. In his Principia Ethica G. E. Moore argues that naturalists have confused the irreducible property of goodness with things that property or with some other property that good things possess. R. M. Hare has sought to explain this supposed "Is-Ought" gab by means of his non-cognitive prescriptivism, arguing that moral judgement do not, primarily, describe how the world is, but rather, they prescribe the world should be. On the other side of the autonomy of ethics debate we find philosophers such as Charles Pigden, who offer arguments in defense of naturalism. Contrary to Moore`s claim of the irreducibility of ``good`` and Hare`s argument that naturalistic definitions of the term ``moral`` collapse into relativism; Peter Singer takes it as given that it is appropriate and effective to put forward a ``working`` definition of moral. Having considered the two extreme positions of neutralism and descriptivism, Singer suggests one definition representing what he sees as a compromise, middle position. Singer`s conclusion is that there are limitations associated with all accounts of morality; no definition of morality accomplishes the task of closing the gab between fact and value. At the analytical level Singer agreed with Hume that, logically, one cannot derive value conclusions from purely factual premises. And, at the normative level he agreed with Hume that morality is an expression of one`s feelings. But, like Hume, Singer held that not just any kind of feeling gives to moral action; in order to pave the way for such a sentiment that forms the basis of moral judgement a proper discernment of its object is also necessary.

      • KCI등재

        피터 싱어의 동물살생에 대한 선호공리주의의 비판적 고찰

        양해림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2 인문학연구 Vol.61 No.4

        Peter Singer has been developing the subject of animal ethics from the point of view of social ethics in several books, including Animal Liberation(1975), Practical Ethics(1979), and Sociobiology and Ethics(1999). He tried to treat social ethics as an integrated element rather than an individual one, and accepted Bentham's utilitarianism or preference utilitarianism as an important ideology of ethics. He intends to lay the ethical foundation for how to establish a morally acceptable universalization possibility for animal killing. What, then, does Singer mean about the morally acceptable universalization of animal killing? What does it mean for us to think morally about killing animals? Is it very wrong to kill an animal? On what grounds do humans have the right to rule the animal world? Singer has answered his ethical views on animal killing through these various questions. Singer intends to establish a universal ethical principle for killing animals by establishing the principle of consideration of equality of interest and the criterion of preference utilitarianism. Therefore from the above point of view, the influence of Bentham's hedonistic utilitarianism on Singer's killing of animals, the subjective preference utilitarian perspective on animals' pleasure and suffering, the ethical judgment of equality of animal interests and the possibility of universalization of preference utilitarianism, and ultimately Singer's preference utilitarianism to critically examine. 피터 싱어는 『동물해방』(1975), 『실천윤리학』(1979), 『사회생물학과 윤리』(1999) 등 여러 저서에서 동물윤리의 주제에 대해 사회윤리의 관점에서 전개해 오고 있다. 그는 사회윤리를 개별적인 것이 아닌 통합적인 요소로서 다루고자 했고 벤담의 공리주의나 선호공리주의적 사유를 윤리의 중요한 이념으로 받아들였다. 그는 동물살생에 대해 도덕적으로 납득할 만한 보편화 가능성을 어떻게 설정할 것인지에 대한 윤리적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그러면 싱어가 말하는 동물살생에 대해 도덕적으로 납득할 만한 보편화 가능성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우리가 동물살생에 대해 도덕적으로 사유한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동물을 죽이는 행위는 아주 잘못된 일인가? 어떤 근거로 인간은 동물 세계를 지배할 권리가 있는가? 싱어는 이러한 다양한 물음들을 통해 동물살생에 대한 자신의 윤리적 견해들을 답변해 왔다. 싱어는 이익 평등고려의 원칙과 선호공리주의의 척도를 내세워 동물살생에 대한 보편적인 윤리원칙을 확립하고자 한다. 따라서 위와 같은 관점에서 필자는 싱어의 동물살생에 대한 벤담의 쾌락적 공리주의 영향, 동물의 쾌고감수에 대한 주관적 선호공리주의의 관점, 동물이익평등의 윤리적 판단과 선호공리주의의 보편화 가능성, 궁극적으로 싱어의 선호공리주의를 비판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 인격(Person) 개념에 대한 고찰: 피터 싱어와 화이트헤드의 대화를 중심으로

        김재현,허선호 한국화이트헤드학회 2014 화이트헤드 연구 Vol.0 No.29

        The concept of Peter Singer's personality which radically combined Bentham's utilitarianism and Loeke's concept of personality gives a new frame for understanding what personality is. He insists that the concept of personality should be broadened to contain all being that has self-mechanisms to maintain itself and experiences pain and pleasure, which provides a basis for the higher animal interpreted as having personality. The concept consequentially reverberates the field of philosophy as it contradicts the traditional philosophy’s point of view of personality—only human possesses personality. However, the limit of his philosophy still exists. The concept roots in the practical object and consequence in ethics and therefore is considered not free from the modern philosophy. Also, the concept of his personality could not contain all animals and other beings. Whitehead’s concept of personality is more radical than Singer’s one. He distinguishes personality from human, consciousness, or even life. According to Whitehead, non-human personality, non-conscious personality, and even non-life personality could be in existence. He distinguishes personality from consciousness. Personality exists even before consciousness and thus consciousness is derived from personality. His concept of personal order does not rely on consciousness or rationality, which could connect body and personality. This enables the distinguishment non-human personality from “life personality.” This philosophy opens a new prospect that ethics could be applied to not merely animals but objects. Whitehead and Singer, both approaches have a commonality distinguishing human from personality and making the range of personality more comprehensive. However, Whitehead's concept of personality not merely exceeds the limit of Singer's personality concept but also extends the domain of personality cosmically. Also, He differentiates the life personality from non-life personality in personality domain. Given the organic perspective becomes more important as quantum physics becomes spot-lighted and concerns of animals and environment becomes deeper, the concept of Whitehead's personality would provide a noble insight for the future society. In the twenty-first century, as post-humanism is estimated to dominate the world, it is very possible that the traditional division of human-versus-animal-versus-machine would become meaningless, which might cause a big confusion in the future society. Axiomatically, the ethical issues would become much more complicated than before. In such world, the question of personality may become more important. Singer and Whitehead's concepts of 'personality' could provide a ontological base for integrating human, animals, plants, and inanimate objects in the frame of personality. Especially, Whitehead's personality as the ordered and socialized society that differentiates personality from human, consciousness, or life could have many implications for ethical contemplation in post-humanistic society. 벤담의 공리주의와 로크의 인격 개념을 급진적으로 적용한 피터싱어의 인격개념은 기존 생각의 틀에 신선한 충격을 던져주고 있다. 왜냐하면 개체의 생존을 유지하려는 욕망을 지닌 자의식적 존재 따라서 고통을 피하고 즐거움을 추구하려는 존재에 대해 인격이라는 개념적 틀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고등동물이 인격성을 부여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인간과 인격을 혼합해서 인간에게만 적용하던 기존 일반가치세계에 상당한 파문을 일으키고 있음은 두말할 것도 없다. 그러나 실질적 목적과 결과에 윤리적 초점을 두고 전개된 싱어의 한계는 근대적 인격 관념에 머물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인격성에 모든 동물이 포함되지 않을뿐더러 그 외의 다른 여타 개체는 제외에 되어있다. 화이트헤드의 인격 개념은 싱어의 인격 개념보다 파격적이다. 그는 인격을 인간, 의식, 심지어 생명과도 구분한다. 화이트헤드에게는 비인간적 인격, 비의식적 인격, 비생명적 인격이 존재하는 것이다. 화이트헤드는 인격과 의식을 구분지었다. 인격은 의식 이전에 존재하는 것이고 따라서 인격을 기반으로 의식이 도출된다. 또한 그의 인격 개념은 인격적 질서를 의식이나 합리성에 두지 않음으로써 신체와 인격을 연결시킬 근거를 제공해 준다. 그래서 비생명적 인격과 “살아있는 인격”의 구분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동물 뿐 아니라 사물에 이르기까지 윤리적 태도를 취할 수 있는 방향을 열어준다. 두 사람 모두 인간과 인격을 구분, 통상적 인격 개념의 틀을 벗어나 고등동물에게까지 적용시키고 있다는 공통점을 볼 수 있다. 한편 화이트헤드의 인격개념은 싱어의 근대적 인격개념의 범위를 뛰어넘어 우주적으로 확장시키고 있으며 생명과 비생명적 특성으로 인격개념을 세분화하고 있다. 세계 구성요소와 모든 생명체를 하나의 유기체적 연관성을 지닌 테두리 내에서 조명할 때, 미립자의 소통을 알려주는 양자물리학, 동물 및 자연에 대한 긴밀하고 급증하는 관심과 관계양상 등이 확산되고 있는 현실에서 싱어를 넘어서서 화이트헤드의 인격개념은 미래사회를 향한 깊고 풍부한 통찰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포스트 휴먼(post-human)상황의 도래를 짐작할 수 있는 21세기에는 전통적인 기계-동물-인간의 구분과 위계가 사라지고 이 세 가지 요소가 서로 뒤섞이는 충격적인 시대로 접어들 가능성이 농후하다. 따라서 그 윤리적 상황은 더욱 복잡해질 것이다. 이러한 시대에 인격에 대한 물음은 더욱 더 깊어지고, 절실한 물음으로 부상하게 된다. 싱어와 화이트헤드의 ‘인격’ 개념은 동물 및 식물과 무생물, 기계적 및 본래적 인간의 상호관련과 작용의 얽힘에서 인격을 논의할 수 있는 존재론적인 배경이 될 수 있다. 특히 화이트헤드의 인간, 의식, 그리고 생명과 구분되는 순차적으로 사회화된 사회로서의 ‘인격’으로서의 개념은 차후에 포스트 휴먼적 상황에서 윤리를 논구할 때 중요한 자원이 될 것이다.

      • 인격(Person) 개념에 대한 고찰: 피터 싱어와 화이트헤드의 대화를 중심으로

        김재현 ( Jae Hyun Kim ),허선호 ( Seon Ho Hur ) 한국화이트헤드학회 2014 화이트헤드 연구 Vol.29 No.-

        벤담의 공리주의와 로크의 인격 개념을 급진적으로 적용한 피터싱어의 인격개념은 기존 생각의 틀에 신선한 충격을 던져주고 있다. 왜냐하면 개체의 생존을 유지하려는 욕망을 지닌 자의식적 존재 따라서 고통을 피하고 즐거움을 추구하려는 존재에 대해 인격이라는 개념적 틀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고등동물이 인격성을 부여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인간과 인격을 혼합해서 인간에게만 적용하던 기존 일반가치세계에 상당한 파문을 일으키고 있음은 두말할 것도 없다. 그러나 실질적 목적과 결과에 윤리적 초점을 두고 전개된 싱어의 한계는 근대적 인격 관념에 머물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인격성에 모든 동물이 포함되지 않을뿐더러 그 외의 다른 여타 개체는 제외에 되어있다. 화이트헤드의 인격 개념은 싱어의 인격 개념보다 파격적이다. 그는 인격을 인간, 의식, 심지어 생명과도 구분한다. 화이트헤드에게는 비인간적 인격, 비의식적 인격, 비생명적 인격이 존재하는 것이다. 화이트헤드는 인격과 의식을 구분지었다. 인격은 의식 이전에 존재하는 것이고 따라서 인격을 기반으로 의식이 도출된다. 또한 그의 인격 개념은 인격적 질서를 의식이나 합리성에 두지 않음으로써 신체와 인격을 연결시킬 근거를 제공해 준다. 그래서 비생명적 인격과 “살아있는 인격”의 구분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동물뿐 아니라 사물에 이르기까지 윤리적 태도를 취할 수 있는 방향을 열어준다. 두 사람 모두 인간과 인격을 구분, 통상적 인격 개념의 틀을 벗어나 고등동물에게까지 적용시키고 있다는 공통점을 볼 수 있다. 한편 화이트헤드의 인격개념은 싱어의 근대적 인격개념의 범위를 뛰어넘어 우주적으로 확장시키고 있으며 생명과 비생명적 특성으로 인격개념을 세분화하고 있다. 세계 구성요소와 모든 생명체를 하나의 유기체적연관성을 지닌 테두리 내에서 조명할 때, 미립자의 소통을 알려주는 양자물리학, 동물 및 자연에 대한 긴밀하고 급증하는 관심과 관계양상 등이 확산되고 있는 현실에서 싱어를 넘어서서 화이트헤드의 인격개념은 미래사회를 향한 깊고 풍부한 통찰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포스트 휴먼(post-human)상황의 도래를 짐작할 수 있는 21세기에는 전통적인 기계-동물-인간의 구분과 위계가 사라지고 이 세 가지 요소가 서로 뒤섞이는 충격적인 시대로 접어들 가능성이 농후하다. 따라서 그 윤리적 상황은 더욱 복잡해질 것이다. 이러한 시대에 인격에 대한 물음은 더욱 더 깊어지고, 절실한 물음으로 부상하게 된다. 싱어와 화이트헤드의 ‘인격’ 개념은 동물 및 식물과 무생물, 기계적 및 본래적 인간의 상호관련과 작용의 얽힘에서 인격을 논의할 수 있는 존재론적인 배경이 될 수 있다. 특히 화이트헤드의 인간, 의식, 그리고 생명과 구분되는 순차적으로 사회화된 사회로서의 ‘인격’으로서의 개념은 차후에 포스트 휴먼적 상황에서 윤리를 논구할 때 중요한 자원이 될 것이다. The concept of Peter Singer`s personality which radically combined Bentham`s utilitarianism and Loeke`s concept of personality gives a new frame for understanding what personality is. He insists that the concept of personality should be broadened to contain all being that has self-mechanisms to maintain itself and experiences pain and pleasure, which provides a basis for the higher animal interpreted as having personality. The concept consequentially reverberates the field of philosophy as it contradicts the traditional philosophy`s point of view of personality.only human possesses personality. However, the limit of his philosophy still exists. The concept roots in the practical object and consequence in ethics and therefore is considered not free from the modern philosophy. Also, the concept of his personality could not contain all animals and other beings. Whitehead`s concept of personality is more radical than Singer`s one. He distinguishes personality from human, consciousness, or even life. According to Whitehead, non-human personality, non-conscious personality, and even non-life personality could be in existence. He distinguishes personality from consciousness. Personality exists even before consciousness and thus consciousness is derived from personality. His concept of personal order does not rely on consciousness or rationality, which could connect body and personality. This enables the distinguishment non-human personality from “life personality.” This philosophy opens a new prospect that ethics could be applied to not merely animals but objects. Whitehead and Singer, both approaches have a commonality distinguishing human from personality and making the range of personality more comprehensive. However, Whitehead`s concept of personality not merely exceeds the limit of Singer`s personality concept but also extends the domain of personality cosmically. Also, He differentiates the life personality from non-life personality in personality domain. Given the organic perspective becomes more important as quantum physics becomes spot-lighted and concerns of animals and environment becomes deeper, the concept of Whitehead`s personality would provide a noble insight for the future society. In the twenty-first century, as post-humanism is estimated to dominate the world, it is very possible that the traditional division of human-versus-animal-versus-machine would become meaningless, which might cause a big confusion in the future society. Axiomatically, the ethical issues would become much more complicated than before. In such world, the question of personality may become more important. Singer and Whitehead`s concepts of ``personality`` could provide a ontological base for integrating human, animals, plants, and inanimate objects in the frame of personality. Especially, Whitehead`s personality as the ordered and socialized society that differentiates personality from human, consciousness, or life could have many implications for ethical contemplation in post-humanistic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