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도시 주거지역 커뮤니티 빌딩 모델 개발 연구

        이은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807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socially and culturally sensitive community building model suited to urban residential areas. It also hopes to provide valuable data and informations necessary for community social practitioners working in urban residential areas. To achieve this goal, I developed a community building model based on various theories of community social work and applied it to a newly established urban residential area. I then analyzed a process of trust formation among those who were engaged in the community building as the model was put into practice. The proposed model was subsequently modified based on the results. This new community building model is designed to strengthen primarily community empowerment during the community practice. The model is built on a theoretical framework emphasizing seven principles. It combined and modified different community practice models separately proposed by Rothman, Kretzman & McKnight and Weil & Gamble, respectively. Such things as community building' goals and purposes, the context of the urban residential areas and others have been taken into consideration for the project. The entire process was divided into three tasks including planning,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The proposed model has been applied at K village of Y city in Korea under the project name "Making Our Village Happy".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for 1 year and 5 months from Aug. 2010 to Dec. 2011 and four projects were launched during the period. To explore the effectiveness of the model, a research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methodology employing a grounded theory developed by Saiki Greig Hill Sigeko(⼽⽊クレィゲㇶ滋子ㇽ). The research focused on the process of trust formation in the community dur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model. 143 concepts, 47 subcategories and 19 categories were identified through an open coding. In addition two paradigms were also identified, which has subsequently been defined as [trust forming process] and [trust growing process]. The research produc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research has found that [trust forming process] leads to [trust growing process]. That is, the trust forming process continues to evolve among the participants. The attitudes and behaviors of the participants in the previous stage tended to improve as they had influence on the next stages. Secondly, the [trust forming process] creates cooperative relations and a project implementation basis within a group through 'rules-setting efforts.' It also expedites a process of intimate subgroups. Thirdly, the [trust growing process] is a process that directs its focus on organizational balance by way of professional intervention. The process helps to form reciprocal relationships among the participants, and to maintain and expand the project in organizational restructuring. The study results indicate that urban residential areas'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in Korea tend to produce a lack of participation as well as inadequate leadership among the residents, which slowed down the progress of the project. Hence, the community building placed an emphasis on a trust forming process in order to change the problems. On the basis of these analyses, this study modified the initial community building model and subsequently proposed a new 'Community Building Model in Urban Residential Areas'. This model focuses on strengthening human resources, aiming to foster democratic leadership, and to establish trust forming relationship among the residents. This process was designed to speed up planning and practice activities around small groups in the community by way of organizing. Through this process, the level of trust could be enhanced among members, which leads to an increase in trust in the entire community. The process eventually strengthens community capability. This study proposed a model for community building practice in urban residential areas, and actually implemented the model. In doing so, it provided an in-depth understanding with regard to the dynamics of community organizing and change. It is hoped that this study could be utilized as an important reference frame for upcoming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in community social work. Considering the paucity of theoretical as well as practical data in the subject of community building in Korea, the study should be regarded as a step forward, though small. 이 연구의 목적은 도시 주거지역의 사회문화적 맥락에 부합하는 커뮤니티 빌딩 모델을 개발하여 지역사회복지실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이론에 기초한 커뮤니티 빌딩 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도시 주거지역에 적용하여 실천과정에서 나타나는 신뢰 형성 과정을 근거이론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모델을 수정하여 도시 주거지역 커뮤니티 빌딩 모델을 제시하였다. 이론적 커뮤니티 빌딩 모델의 개발은 지역사회 역량 강화를 목표로 설정하고 7가지 원칙(지역사회의 규모와 조건, 자산기반, 주민참여, 주민의사결정, 집단 활동, 지역사회연계, 포괄성)에 근거하는 이론적 틀에 기초하였다. 모델의 설계는 Rothman 모델, Kretzman과 McKnight의 자산기반 지역사회개발모델, Weil과 Gamble 모델을 조합하여 커뮤니티 빌딩의 목적과 목표, 도시 주거지역의 상황 등에 적합하게 변형하였다. 전체 과정은 크게 계획, 조직화, 실천 활동의 3가지 과업으로 구분하고 각 과업을 달성하기 위해 적합한 모델들의 특성을 선택적으로 배치하는 방식으로 설계하였다. 개발된 커뮤니티 빌딩 모델의 적용은 한국의 Y시 K마을을 대상으로 하여 “행복한 우리 마을 만들기”라는 사업 명으로 실험을 하였다. 실험 기간은 2010년 8월부터 2011년 12월까지 1년 5개월 정도에 걸쳐서 이루어졌으며 실험 과정에서 4개의 사업이 추진되었다. 모델의 성과를 탐색적으로 규명하기 위해 모델의 실천에서 신뢰 형성 과정에 초점을 맞추어 사이키 그레이그 힐 시게코(⼽⽊クレィゲㇶ滋子ㇽ)의 근거이론 방법을 적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개방 코딩에서 143개의 개념과 47개의 하위범주, 19개의 상위범주가 나타났으며 [신뢰 형성 과정]과 [신뢰 발전 과정]의 2개 패러다임이 발견되었다. 그리고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게 되었다. 첫째, 신뢰 형성 과정은 [신뢰 형성 과정], [신뢰 발전 과정]의 두 단계로 진행되었다. 커뮤니티 빌딩 실천에서 신뢰 형성은 참여자들 간의 관계 속에서 지속적으로 변화되며 전 단계에서 참여자들 간의 태도와 행위는 다음 단계에 영향을 미쳐 더욱 발전되는 양상을 보였다. 둘째, 패러다임 1은 [신뢰 형성 과정]으로, 참여자들이 “규범 형성 노력”을 통해 집단 내에서 협력관계와 사업 추진 기반을 형성하고 하위 친밀 집단을 형성하는 과정이다. 셋째, 패러다임 2는 [신뢰 발전 과정]이며, 조직 균형을 위하여 전문가가 의도적인 개입을 통하여 참여자 간의 호혜 관계를 형성하고 조직을 재정립하여 사업을 지속하고 확산시켜 나가는 과정이다. 연구결과, 한국의 도시 주거지역의 사회문화적 특성은 지역주민들의 참여의식 부족과 참여자들의 리더십 부족으로 인해 사업지체를 초래하였으며, 커뮤니티 빌딩은 이러한 현상을 변화시켜나가는 신뢰 형성 과정이었다. 이와 같은 분석 내용을 토대로 초기의 커뮤니티 빌딩 모델을 수정하여 새로운 ‘도시 주거지역 커뮤니티 빌딩 모델’을 제시하였다. 이 모델은 인적자원을 강화하는 데 초점을 맞추어 민주적 리더십 육성과 구성원 간 신뢰 관계 형성에 목표를 두었다. 민주적 리더십 육성은 커뮤니티 빌딩의 전 과정에서 이루어지며, 전략은 단계별 과업에 따라 달라진다. 이러한 과정은 주민들을 조직화하여 소집단 중심의 계획과 실천 활동을 전개해 나가는 방식으로 설정하였다. 이를 통해 구성원 간에 신뢰가 형성되고 나아가서는 전체 지역사회의 신뢰 형성과 발전으로 이어져서 궁극적으로는 지역사회의 공동체 역량이 구축되는 것이다. 이 연구는 도시 주거지역에서 커뮤니티 빌딩 실천을 위한 모델을 제시하고 신뢰 형성 과정에 대한 구체적인 과정을 밝혀줌으로써 커뮤니티 빌딩을 주도한 주민조직(결사체) 및 지역사회의 변화에 대하여 다각적인 측면에서 심층적인 이해를 제공해 주고 있다. 이에 따라 지역사회복지실천에서 주민조직 활용 전략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커뮤니티 빌딩에 관한 실증연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이 연구는 학계의 새로운 관심과 체계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인식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다.

      •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아파트 오픈스페이스 영역성 연구

        이하연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7

        우리나라의 아파트는 양적공급, 기능성에만 치우치게 되면서 거주자 간 ‘이웃’의 개념이 결여됨에 따라 각종 사회적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고, 이에 커뮤니티 회복, 활성화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면서 다양한 움직임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본 연구는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해 영역성에 주목하여 이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선행연구를 통해 커뮤니티와 영역성에 대한 이해, 아파트 오픈스페이스의 커뮤니티 활성화 요소, 영역성 형성방법을 고찰한 결과 커뮤니티 활성화 요소는 접근성, 안전성, 쾌적성, 장소성로 나타나며 영역성 형성방법은 수직적 경계조절, 인지적 변화, 장치요소, 개성화를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광주광역시 아파트 오픈스페이스의 사례 분석하였으며, 접근성, 안전성, 쾌적성, 장소성 측면에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접근성은 접근의 편리함과 이용의 효율성을 고려하여 접촉과 교류를 유도하고 증진시키는 것을 말하며 사례분석 결과 인지적 변화, 장치요소, 수직적 경계조절, 개성화 순으로 나타났다. 인지적 변화는 바닥면의 단 차이, 바닥면의 유사 패턴 재료 사용, 바닥면의 패턴, 재료 변화, 계단, 바닥면의 층 분리, 경사로가 나타났고 장치요소는 조명장치(볼라드등, 가로등 등), 벤치, 파고라, 테이블, 정자, 분수대가 있었다. 수직적 경계조절은 소극적으로 나타났으며 수목, 담장으로 나타났다. 벤치, 파고라와 같이 휴식을 위한 장치요소가 많이 나타나고 있었으나 보다 다양한 행위를 유발할 수 있는 요소가 필요하며, 대부분의 사례에서 새로운 영역의 형성은 바닥면의 색·패턴·재료 변화로 다양하게 나타났으나 다소 무분별하게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바닥면의 디자인은 보행자의 시선에서 고려하여 영역의 변화를 명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고려한다. 둘째, 안전성은 모든 거주자들이 한계를 경험하지 않고 안전하고 편리한 생활을 할 수 있는 환경을 말하며 사례분석 결과 안전성은 수직적 경계조절, 인지적 변화, 장치요소, 개성화 순으로 나타났다. 수직적 경계조절은 수목, 펜스, 담장, 기둥이 있었고 인지적 변화는 바닥면의 패턴, 재료 변화와 단 차이로 나타났다. 장치요소는 조명(볼라드등, 가로등, 바닥등, 조명벤치), 테이블, 벤치가 있었다. 대부분 수직적 경계조절로써 수목을 통해 공간의 위요성을 부여하여 안전 확보뿐만 아니라 쾌적성을 고려하고 있지만, 몇몇 사례에서 나타난 수목의 과다 사용은 오히려 공간의 폐쇄감을 느끼게 하며 사람들의 시선이 미치지 않는 영역을 형성하게 되면서 안전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어 공간의 이용도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수목보다는 낮은 관목을 사용하고 수목을 적절하게 사용, 배치한다면 공간의 위요성을 부여하면서 시각적 개방감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쾌적성은 공간에 대한 전반적인 친자연적, 미적 쾌적함을 말하며 사례분석 결과 인지적 변화, 수직적 경계조절, 개성화, 장치요소 순으로 나타났다. 인지적 변화에서는 바닥면의 단 차이, 자연적 재료와 색, 패턴 디자인이 나타나고 수직적 경계조절에서는 수목, 개성화는 조형물, 장치요소는 분수대로 나타났다. 대부분 수직적 경계조절로써 수목, 인지적 변화로써 수공간을 통해 친자연적 환경을 제공하고, 인지적 변화로써 바닥면의 디자인, 개성화로써 조형물을 통해 심미성을 부여하고 있지만 전체공간은 자연요소, 자연의 색이 대부분을 자치하며 디자인을 통한 공간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주변과의 조화를 고려한 다채로운 색 사용, 오브제, 조형물 등 디자인 요소를 통해 심미성을 향상시켜 공간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 유도, 지속적인 이용이 나타날 수 있는 계획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넷째, 장소성은 공간만의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한 것으로 장소에 의미를 부여해 인간의 활동을 유발시키는 것을 말하며 사례분석 결과 개성화와 장치요소가 나타났다. 개성화는 오브제, 조형물이 있었고 장치요소는 파고라, 원형화단이 있었다. 사례에서는 조형물이나 오브제 등을 통해 입구를 규정, 공간의 상징성을 나타내고 있지만, 놀이터의 놀이기구처럼 오픈스페이스라는 것을 인식할 수 있도록 랜드마크적, 디자인적 요소 도입하여 오픈스페이스만의 개성 있는 공간을 연출한다. 또한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영역(휴식공간, 공연무대, 수공간 등) 형성으로 자연스러운 접근을 유도하고 이용자들에게도 다양한 체험과 의미 있는 공간으로 인식될 수 있도록 고려되어야 한다. 장소성은 공간을 인지함으로써 사람들의 접근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접근성과 긴밀한 연관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 본 연구에서는 광주광역시 내 아파트 사례를 중심으로 오픈스페이스의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영역성 형성 방법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아파트 오픈스페이스의 커뮤니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활성화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다. Because Apartment policy in Korea had been concentrated in quantitative supply and function, various social problems occurred due to the lack of concept of ‘neighbor’ among residents. So, various movement for community recovery or invigoration began to appear. This study has an interest in the territoriality for community invigoration and tries to find the methods to form it. The concept for community and territoriality, the community invigoration elements of apartment open space, and the methods for territoriality formation are considered through precedent studie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elements for community invigoration consist of accessibility, safety, comfortableness, and location and that the methods for territoriality formation consist of vertical boundary control, cognitive changes, device elements, and individuation. Based on the results, the cases of apartment open space in Gwangju city are analyzed focused on accessibility, safety, comfortableness, and location. Frist, accessibility signifies to induce and to promote contacts and exchanges considering convenience of access and use. The results of case study show cognitive changes, device elements, vertical boundary control, and individuation in order. Cognitive changes could be seen as different height of floor surface, similar pattern materials of floor surface, pattern of floor surface, material change, steps, or stairs and device elements could be found in lighting installation(bollard light, streetlight), bench, pergola, table, gazebo, and a fountain. Vertical boundary could be passively found in trees and fences. Device elements for rest like bench and pergola can be found more, but, another element is needed to stimulate various activities, in most cases, the changes in color, pattern, or materials of floor surface are used somewhat thoughtlessly. The design of floor should be considered to clarify the change of territories for pedestrians. Second, safety signifies for the residents not to experience limitations to lead a safe and convenient life and the results of case study show that the safety could be found in vertical boundary control, cognitive changes, device elements, and individuation in order. For vertical boundary control, trees, fences, wall, and pillar are used, and for cognitive changes, variation of floor pattern, material, and height are used in the floor surface. Device elements such as lights(bollard light, streetlight, floor light, bench light), tables, benches are also found. In most cases, vertical boundary control is used to give surrounding for space using trees for safety and comfortableness, but, overuse of trees would close the space down from people and lead to the lack of safety and the decrease of space use in some cases. To secure the surroundings and the view at the same time, proper combination of shrubs and trees is recommended. Third, comfortableness signifies general, eco-friendly, and aesthetic feeling on spaces and is influenced by cognitive changes, vertical boundary control, individuation, and device elements in order. Cognitive changes are seen in the height gap, natural materials and color, and pattern design, vertical boundary control is seen in trees, individuation in sculptures, and device elements in a fountain. Most of the cases, trees are used for vertical boundary control, water space for cognitive changes, floor design for cognitive, and sculpture for individuation to stress esthetic environment. But, natural elements and colors took possession of the total space compare to design space. So, various colors, object, sculpture can be recommended to increase aesthetic impression and to induce positive response for design, and to be used consistently. Fourth, location signifies establishment of identify for space itself, through significance to the space, to induce human activity. The case study showed individuation and device elements. Individuation contains object and sculpture and device elements contains pergola and circle flower-bed. In cases, sculpture or object make a cognition of entrance and a landmark such as rides at an amusement park can be used to recognize the open space using design elements. Also, interesting spaces such as a rest area, a stage, and a water space can be used to induce natural access for the visitors to the space and to think as a meaningful experience. Location is closely related to the accessibility in the point that recognition leads to access. In this study, analyzing the methods to form the territoriality for community invigoration focusing in the cases of apartments in Gwangju city, I would like this paper to be used as useful basic data for invigoration of open space in apartment community.

      • 커뮤니티 컴퓨팅을 위한 에이전트 프레임 워크

        변무홍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807

        오늘날 컴퓨팅 환경은 분산되고 협업의 필요성이 증대되어 시스템의 상호작용(interaction)이 동적이고 복잡하게 되었다. 때문에 기존의 협업 시스템 패러다임을 벗어난 새로운 협업 패러다임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커뮤니티 컴퓨팅이라는 개념은 이러한 필요에 의해서 제안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커뮤니티 컴퓨팅을 구성하는 요소를 정의하고 커뮤니티 모델을 에이전트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현하는 방법인 CVM에 대해서 제안하겠다. 또한 커뮤니티가 가지는 커뮤니티 컨텍스트 개념과 이를 지원하기 위한 CVM에 구조에 대해서도 제안하겠다. 커뮤니티를 구성하는 요소는 역할(role), 정책(policy), 구성원(member), 커뮤니티 컨텍스트(Community Context) 등이며 이들은 BDI 구조를 가지는 에이전트와 플랜, 목적(goal), 사실(fact)등의 결합으로 구현된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방법은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유효성을 검증해 보았다. In nowadays, computing system is more distributed. It becomes complex and dynamic for the necessities of cooperation. So, New paradigm of software development methodology is required. This is the reason why concept of Community Computing is proposed. This paper defines elements of community computing and propose C.V.M. that implementation of community model with multi-agent system. This Paper also describes community context and structure of C.V.M. Community is consists of role, policy, member, community context, BDI agent, plan, goal, fact. Methodology of this paper is verified by simulation.

      • 지식 커뮤니티 컨텐츠 성공 요소 분석

        이희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우리나라의 경우 이미 지난 2001년에 약 2500 만 명의 인터넷 인구 중 800 만 명 정도가 인터넷을 사용할 정도로 초고속 인터넷이 보편화되었다. 이러한 기반 하에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는 각 종 컨텐츠에 대한 관심은 계속해서 높아져 오고 있다. 이와 함께 인터넷이 새로운 비즈니스 공간으로 떠오르면서 온라인 컨텐츠 산업은 급속도로 발전해 왔다. 하지만 온라인 컨텐츠 산업은 한창 전성기를 누리기도 하였지만, 현재는 과다 경쟁과 컨텐츠 질 저하로 인해 닷컴 기업의 몰락이라는 말까지 나오게 된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새롭게 등장해 활력을 주고 있는 컨텐츠가 바로 지식 커뮤니티이다. 지난 해 처음으로 검색 서비스와 커뮤니티 서비스와의 결합으로 시작된 지식 커뮤니티는 많은 사용자들에게 인기를 얻고 있으며, 이제는 검색 포털 사이트에서 없어서는 안될 컨텐츠로 자리잡게 되었다. 빠른 시간 내에 인기 컨텐츠로 자리잡은 데에는 분명한 성공 요인이 있을 것이라고 판단하였으며, 이에 지식 커뮤니티를 연구 대상으로 삼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학계에서 아직 정의 내려지지 않은 지식 커뮤니티의 개념과 발전 과정 등을 정리해 보고, 지식 커뮤니티 사례 분석을 통해 특성을 정리해 보았다. 지식 커뮤니티를 서비스하는 검색 포털 사이트 중에서 방문자 수가 가장 많은 세 사이트(네이버, 야후, 엠파스)를 선정하고, 컨텐츠와 커뮤니티 부문을 중점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지식 커뮤니티 서비스는 기본적으로 복합 서비스이며 사용자 중심의 컨텐츠 위주라는 특성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계급 욕, 명예 욕 등의 인간의 욕구를 만족시켜주고 있었고, 사회적 관계망 형성을 지향하는 한국인 본성에 부합한다는 것 등을 꼽을 수 있었다. 지식 커뮤니티 사용자 심층 면접을 통해 지식 커뮤니티에 대한 사용자 만족도는 어떠한지, 사용자들은 지식 커뮤니티 컨텐츠의 어떤 요소에 만족감을 느끼고 있는지 조사하였다. 엄격한 조건에 의해 선정된 피면접자들을 대상으로 1명당 약 1시간 동안 지식 커뮤니티 사용 관찰과 심층 면접을 시행하였다. 조사 결과 사용자들은 서비스 제공자가 2차 편집한 컨텐츠들에 더 만족감을 가지고 있었다. 사용자가 직접 질문과 답변을 작성하는 기본적인 컨텐츠들보다, 사용자 작성 컨텐츠이지만 2차적으로 제공자의 편집을 거친 컨텐츠를 더욱 선호했다. 이는 지식 커뮤니티가 사용자 중심의 특성으로 참여를 높이고 있지만, 적절하게 제공자의 편집권이 배합되어야 한다는 것을 뜻하는 것으로 분석하였다. 또 지식 커뮤니티의 컨텐츠는 사용자의 궁금증 해결이 목적인데, 오히려 궁금증을 유발시킴으로써 사용자들을 만족시키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사용자들은 자신의 궁금증 해결을 위해 지식 커뮤니티를 방문했다가, 자신의 질문에 달린 답변과 답글 등을 통해 혹은 영 다른 내용의 질문이나 답변을 통해 다른 궁금증이 계속해서 유발된다고 대답하였다. 꼬리에 꼬리를 무는 궁금증들을 계속 해소시키기 위해서 지식 커뮤니티에 체류하는 시간이 많아진다는 것이었다. 궁금증을 해소하러 왔지만 이를 통해 또 다른 궁금증이 생겨나고 또 이것이 해결되는 과정에서 또 의문이 생겨나는 순환 과정 속에서 지식이 확장되는 만족감을 가지게 된다고 하였다. 결론적으로 지식 커뮤니티는 이러한 컨텐츠 특성으로 인해 사용자들에게 만족감을 주고 있었고, 이 특성들이 지식 커뮤니티 성공 요소가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향후 지식 커뮤니티가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또한 관련 연구가 활발해질 것을 기대한다. Today superhighway network is generally supplied in Korea and about 8 million out of 25 million users were estimated to use the internet in 2001. This has brought increased concern for all kinds of contents provided by the internet. Since internet became an important factor of business, online content industry has developed rapidly. Online content industry was on its peak, however, excessive competition and the low quality of contents have almost brought an end to dot.com companies. In spite of this crisis, the advent of 'Knowledge-based community' brought vitality to online content industry. 'Knowledge-based community' started as the marriage of search engines and communities began to gain popularity to many users and finally became an indispensable cont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look into the factors which brought a great success to this 'Knowledge-based community' in such a short period. This paper attempts to look into the concepts and development process of 'Knowledge-based community' which are not yet defined in this field. Also, the characteristic of "Knowledge-based community" was analyzed through a case study of several well-known knowledge communities. Among the search portal sites serving 'Knowledge-based community', three sites(naver, yahoo, empas) that have frequent visitors were selected and analyzed specifically in contents and community factors. The result of analysis showed that knowledge-based community is basically a complicated service and has user-centered characteristic. Furthermore, it satisfies human's needs such as classifying needs and concords with Koreans' trait seeking social networking system. These features seem to have brought success to knowledge community. Moreover, in-depth interview with users of "Knowledge-based communit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users' satisfaction and find out which factor they are content with. The interviewees were selected based on strict criteria and the interview and observation was performed for about an hour per interviewees. The results of the interview and observation indicated that users were more satisfied with the contents which was re-compiled by service providers. In other words, the users preferred contents re-edited by providers to basic contents just requiring users' direct inquiry and answer. These results imply that though "Knowledge-based community" attracts users' participation due to its user-based factor, providers' editing work should also be combined properly. Furthermore, users seemed to be satisfied with having more questions stimulated from contents and getting answers. Users reported that new inquiries occurred from replies and answers even when the question was solved and also that new inquiries could originate from broad knowledge. Therefore, users seemed to have the pleasure of extending their knowledge in the circle of inquiring, expanding and answering process. Based on this research, it is safe to say that users were satisfied with "Knowledge-based community" due to its content factor. Also, the developmental process and improvement plan of further "Knowledge-based community" was suggested through examination of the users. Finally, the results of this paper imply that knowledge-based community would develop continuously and this paper is expected to bring further research on this field.

      • 커뮤니티의 구조적 특징이 사용자 이탈에 미치는 영향 : 게임 데이터 중심의 소비자 이탈 연구

        정인원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는 소비자들 간의 사회적 교류가 일어나는 장소이자 기업의 고객 유지와 직접적인 관계를 맺고 있는 요소이다. 커뮤니티 내 사회적 상호작용은 고객들의 소속감 형성에 기여하며, 사회적 상호작용을 형성하는 커뮤니티의 구조를 어떻게 설계하는 지에 따라 상호작용을 강화하고 소비자의 이탈 가능성에 영향을 끼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동일한 상품에 다수의 커뮤니티가 연관된 게임 산업 데이터를 활용하여 커뮤니티 구조 변수들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구성원들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영향을 주는 구조 변수들을 추출하여 구성원의 이탈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또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게임 플레이어들을 참여 동기에 따라 성취군과 경험군으로 구분하여 교호작용을 통해 커뮤니티 구조 변수들에 영향을 더 받는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커뮤니티의 크기, 커뮤니티 내 레벨 편차(포용성), 구성원들의 접속 강도, 서브 그룹의 크기 등의 변수가 대체로 이탈과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교호작용 연구에서는 외적 보상을 추구하는 성취군의 경우 레벨 편차와 서브 그룹 크기에서 유의한 반응을 보였다. 즉 커뮤니티의 구조적 변수들을 어떻게 설계함에 따라 구성원의 이탈에 유의한 영향을 끼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이탈가능성을 예측가능한 것까지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마케터는 구성원의 성향과 비중을 고려해 이탈을 감소시킬 기획을 할 수 있을 것이다. Online brand community is a place where consumers interact with each other and an element that is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company’s customer retention. Social interactions within community contributes to the formation of a sense of belongings of customers. And how companies design the structure of communities affects social interactions between consumers and the possibility of consumer’s churn decision. Accordingly, this study analyze effects of community structure variables with game data. Since multiple communities exists for the same game product, the data allows examining the influence of structural properties on social interactions and customer churn decision. Based on the previous marketing studies on game data, game players could be divided into ‘experiencers’ and ‘achievers’ by participation motivation. The interaction effect of community structure variables and groups shows which variables are meaningful for customer reten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variables including community size, level deviation within community, access frequency and size of subgroup were significant for customer retention and leave. In the interaction study, the level deviation and subgroup size variable made distinction for achiever group who seeks compensation. Through MLE, it is possible to make the churn prediction with community structure variables. Thus, how community structure variables are designed could influence customer retention significantly and marketer would plan for customer retention considering the propensity of participant groups.

      • 브랜드커뮤니티 사이트의 지속적인 이용의도에 관한 연구

        최진우 경기대학교 2007 국내박사

        RANK : 247807

        최근 인터넷의 확산과 더불어 우리 생활에 친숙해진 단어 중에 하나가 바로 커뮤니티이다. 대부분의 포탈 사이트들이 앞다투어 동호회, 클럽, 카페 등의 다른 이름으로 커뮤니티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고, 대부분의 전자상거래 또는 기업 사이트에서 충성도 높은 고객을 확보하기 위해 너도 나도 가상커뮤니티를 지향하고 있다. 더욱이 이와 같은 가상 커뮤니티는 기업의 마케팅 활동에서 수동적이었던 소비자 들을 시장흐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능동적인 소비자 커뮤니티의 형태로 진화하게 되었다. 그리고 소비자 커뮤티니의 구체적이고 발전적인 한가지 형태를 브랜드 커뮤니티(brand community)라 할 수 있는데, 특정브랜드를 중심으로 온라인으로 형성되어 관심과 경험을 공유하고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곳이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기업의 마케팅전략의 일환으로 현재 활발히 전개되고 있는 브랜드 커뮤니티 사이트가 사이트 방문자 및 자사 브랜드에 관심을 갖는 사람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게 되고 그에 따라 지속적인 이용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최근 인터넷의 확산과 더불어 우리 생활에 친숙해진 단어 중에 하나가 바로 커뮤니티이다. 대부분의 포탈 사이트들이 앞다투어 동호회, 클럽, 카페 등의 다른 이름으로 커뮤니티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고, 대부분의 전자상거래 또는 기업 사이트에서 충성도 높은 고객을 확보하기 위해 너도 나도 가상커뮤니티를 지향하고 있다. 더욱이 이와 같은 가상 커뮤니티는 기업의 마케팅 활동에서 수동적이었던 소비자 들을 시장흐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능동적인 소비자 커뮤니티의 형태로 진화하게 되었다. 그리고 소비자 커뮤티니의 구체적이고 발전적인 한가지 형태를 브랜드 커뮤니티(brand community)라 할 수 있는데, 특정브랜드를 중심으로 온라인으로 형성되어 관심과 경험을 공유하고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곳이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기업의 마케팅전략의 일환으로 현재 활발히 전개되고 있는 브랜드 커뮤니티 사이트가 사이트 방문자 및 자사 브랜드에 관심을 갖는 사람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게 되고 그에 따라 지속적인 이용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브랜드 커뮤니티 사이트의 관리자와 이용자들간의 의사소통수준인 상호작용성, 유저인터페이스와 관련된 이용편의성, 브랜드 커뮤니티에서 제공하고 있는 정보와 커뮤니티 사용자들간에 교환되는 정보들의 신뢰성, 그리고 브랜드 커뮤니티 사이트의 대중인지수준인 명성을 도출하였다. 또한 사이트의 메뉴구성과 시각적인 측면에 대한 요인인 사이트 유형성, 브랜드커뮤니티 사이트이용시 느껴지는 즐거움에 관한 요인인 서비스 유희성, 그리고 브랜드 커뮤니티 사이트의 핵심 동기요인으로 브랜드 커뮤니티 사이트의 유용성으로 품질특성을 도출하였다. 둘째, 관계되는 각 변수들간의 영향력을 파악하였다. 즉 각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모형을 설정하여 검증해본 결과 브랜드 커뮤니티 사이트 품질 특성 중, 브랜드 커뮤니티 정보의 신뢰성과 서비스 유희성은 이용자들의 유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밝혀졌다. 이는 브랜드 커뮤니티이용의 목적인 정보의 획득에 있어 정보의 신뢰성정도가 이용의 핵심동기인 유용성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는 것이다. 셋째, 브랜드 커뮤니티 사이트 품질 특성이 이용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분석을 살펴보면 이용의 편의성, 정보의 신뢰성, 사이트의 유형성, 서비스 유희성, 유용성을 통해서 이용만족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자들의 브랜드 커뮤니티 이용만족은 인터넷 브랜드 커뮤니티 특성의 거의 모든 요소특성에 의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상호작용성과 브랜드 명성은 만족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브랜드 커뮤니티에서 제공되고 공유되는 정보의 신뢰성이나 이용편의성이나 사이트유용성 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등이 이용만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고, 서비스의 유희성이나 유용성이 이용자들의 만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수임이 밝혀졌다. As the Internet environment develops, Internet has already been being established as important tool of business marketing and branding. To meet the consumers evolving anew, companies are now aware that it is essential to form their own communities based on their brands and thereby, maintain and develop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s and their brands for a successful marketing. As a result numerous on-line communities have been formed in relation with brands, and thus, consumers' brand community satisfaction depends greatly on how to manage and use such on-line communities. Many companies recognized that naturally inform superiority of brand. This is the best effective strategy. And, they make stand theirs the biggest object to bring up brand mania. Brand community in on-line makes other social network which base on human relationship like a real world. Also, it processed to change as a communication space with customer and company that serve like images, all kind of information and events. Although the academic circle has been researching much into brand communities, few studies has focused on the factors affecting uses of on-line communities and their marketing eff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active sub dimensions of the apparel brand on-line communiti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munity interactions and needs satisfaction. The goal of this study is an effect of Internet brand community characteristics on user satisfaction, continuous intention. Data has been collected from 379 respondents during September of 2006. The questionnaire method was adopted to collect the data for this study. The research was conducted by using SPSS 12.0 and AMOS 5.0.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relation between the traits of Internet brand community and users' satisfaction, continuous intention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ternet brand community are characterized by interactivity, convenience, trust of information, reputation of brand, tangibility of website, playfulness of service, which are also the traits of free contents in ordinary websites and on-line community site. Second, the factor that affects Internet brand community users' satisfaction was convenience, trust of information, tangibility of website, playfulness of service, and trust of information, playfulness of service appeared to affect users' perceived usefulness. In addition, users' perceived usefulness and satisfaction were found to have a direct effect on users' continuous intention. The significance of the research is that it made a practical suggestion that in brand management, companies should use actively Internet brand communities as a means of brand marketing management.

      • 지역커뮤니티와 연계한 메가스포츠이벤트 경기장 마스터플랜 수립에 관한 연구 : 2018 평창동계올림픽 강릉빙상경기장을 대상으로

        최지민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807

        런던올림픽이 2012년 여름을 뜨겁게 달굴 국제적인 이슈로 주목받고 있다. 이는 세계화에 힘입어 메가스포츠이벤트가 받고 있는 세계적 관심을 반영한다. 메가스포츠이벤트 개최는 일자리 창출, 경제 활성화 뿐 아니라 도시브랜드 가치 상승을 통한 관광객 유치에서 지역재생에 이르기까지 단․장기적 안목에서 다양한 긍정적 파급효과를 가져온다. 그러나 이와 같은 파급효과에 대한 긍정적 기대와 달리 단기적 이익을 위하여 이벤트에 중점을 둔 계획은 경기장의 이벤트 이후 활용을 찾지 못함으로써 지역커뮤니티의 세금을 독식하는 ‘돈 먹는 하마(white elephant)’를 양산하거나 지역커뮤니티와의 연계성을 배제한 채 기존 커뮤니티를 와해시키는 ‘젠트리피케이션(gentrification)’을 초래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지역 커뮤니티에 긍정적 유산을 남기기 위한 계획 전략을 찾고자 한다. 메가스포츠이벤트가 장기적 유산을 남기기 위한 전략수립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통합적 분석 틀을 설정하여 사례연구를 진행하였고, 그 분석결과를 평창동계올림픽 강릉빙상졍기장 부지에 적용하여 전략을 모색하였다. 계획의 방향은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통합적 접근과 물리적 계획으로 나누어 설정하였다. 통합적 접근의 방향은 지역계획에 통합적인 계획, 이른 단계에서의 계획, 커뮤니티 참여, 이해관계자의 의견 수렴으로 설정하였다. 물리적 계획 측면에서는 이벤트 시와 이벤트 후의 규모, 프로그램, 경계 및 접근성을 계획의 중요 요소로 보고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서울올림픽을 개최했던 종합운동장의 경우 이벤트 개최에 치중하여 대규모의 경기장과 광장을 계획하였고 이벤트 후 규모를 그대로 유지함으로써 버려진 공간을 양산하였다. 시드니 올림픽 경기장의 경우도 장기적 유산계획을 세웠지만 이벤트 개최에 집중하고 지역 통합적인 계획을 갖지 못하여 잠실종합운동장과 마찬가지로 대규모 경기장이 ‘돈 먹는 하마(white elephant)’로 전락하였다. 시드니는 이벤트가 종료된 뒤 새로운 단기계획안을 내놓았지만, 역시 근시안적이라는 비판을 받아 ‘비전 2025’, ‘마스터플랜 2030’과 같은 지역계획과 연계하는 장기적 비전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명확한 비전을 갖지 못하였고 기존의 구획이 만드는 구역화가 지역과의 연계성을 저해하여 여전히 원활한 이용이 일어나지 않고 있다. 상암월드컵경기장 사례의 경우 이벤트 사후 수익성 창출을 위해 계획단계에서 사후활용공간과 시설에 대한 고민이 이루어졌으며, 사후 시설활용의 수요를 높이기 위해 지역커뮤니티의 의견수렴이 이루어졌다. 월드컵 개최와 함께 계획된‘새천년신도시’의 장기적 계획에 통합됨으로써 지역과의 연계성을 높였고 그 결과, 스포츠, 엔터테인먼트, 레저, 쇼핑, 휴식의 복합공간이 조성되어 시너지 효과를 냈다. 런던올림픽은 입찰 준비 단계부터 이벤트를 위한 계획과 장기적 유산계획을 준비하여 지역계획에 통합되면서 지역 커뮤니티의 필요를 반영한 전략적인 전환 계획을 마련하였다. 계획에서의 커뮤니티의 직접적인 참여는 적었지만 다양한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지역커뮤니티가 주체가 되는 이벤트가 되도록 준비하였고, 지역커뮤니티의 필요에 맞게 규모를 조정하고 지역 내 연결성을 높이는 계획을 세워 장기적인 관점에서 지역을 배려한 계획전략을 수립하였다. 사례연구를 통해 도출된 지역커뮤니티를 위한 메가스포츠이벤트 계획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메가스포츠이벤트 경기장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장소성과 지역의 장기적 계획에 기반하여 장기적인 목표와 비전을 수립해야 한다. 또한 규모, 경계 및 접근성, 프로그램의 복합성 측면에서 지역의 필요를 반영한 점진적으로 변화하는 전략적 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둘째, 지역커뮤니티와의 연계성을 높이는 계획이 되기 위해 지역발전계획의 과정으로서 메가스포츠이벤트 계획이 수립되어야 하고 이벤트 전 과정에서 지역 자원을 활용한 계획이 이루어져야 한다. 위에서 도출된 방향성을 바탕으로 평창동계올림픽 빙상경기대회 마스터플랜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 이를 빙상경기대회가 개최될 강릉 종합운동장 부지에 적용하였다. 강릉은 인구가 적고 인구정체 현상을 겪고 있어 빙상경기장 이벤트 사후 이용자가 부재하다. 조직위원회는 경기장의 사후활용에 대해 다양한 안을 제시하고 있지만 현시점에서는 메가스포츠이벤트 개최가 지역커뮤니티에 또 하나의 ‘돈 먹는 하마(white elephant)’를 양산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이러한 정황적 상황을 극복하고, 평창동계올림픽대회가 강릉에 장기적인 긍정적 유산을 남기는 이벤트가 되기 위해서 지역분석, 자원분석, 필요분석, 지역계획검토를 통해 다음과 같은 마스터플랜 계획 전략을 수립하였다. 첫째,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기존의 문화생활체육의 메카라는 장소성을 살리고 이벤트 후 문화레저 관광지로 조성하는 비전을 설정하였다. 위의 비전에 맞추어 규모, 경계, 프로그램을 이벤트 전, 이벤트 시, 이벤트 후로 나누어 전략적인 계획을 수립하였다. 이벤트 개최 전에는 기존 문화시설에 추가로 아트센터와 예술광장을 조성하여 문화공간을 강화하고, 주차장을 축소하여 캠프 프로그램을 위한 임시체육시설공간을 조성한다. 실내종합체육관과 종합경기장 사이의 경계 완화를 위해 도로를 우회하고 광장을 조성하며, 셔틀버스 도입을 통해 접근성을 높인다. 이벤트 개최 시 기존 야외 체육 프로그램을 단순화하여 거리광장을 형성하고 구릉지의 자연적인 경계를 활용하여 이벤트 부지를 구역화한다. 이벤트 후에는 아이스하키장을 철거한 자리에 커뮤니티센터, 선수숙소, 스포츠전문센터 등을 건립하고 거리광장을 축소하여 잔디광장을 조성한다. 또한, 경계를 없애고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주변지역과 연계하여 녹지화한다. 둘째, 지역커뮤니티와의 연계성을 높이기 위해 지역발전계획에 기반하여 지역자원을 활용한 주민참여 전략을 수립하였다. 지역발전 계획의 과정으로서 평창동계올림픽대회가 되기 위해 저탄소녹색시범도시와 연계한 생태적 관광지를 조성하고, 현대적 문화체육공간의 장소성을 강화하여 전통문화벨트를 지원한다. 지역자원을 활용한 마케팅 방안으로 이벤트 개최 전부터 아트마켓을 통해 현대적 문화콘텐츠를 강화하고 청소년 캠프와 방과 후 교실을 운영하여 빙상스포츠 인프라 구축과 종합운동장 이용 활성화를 도모한다. 이벤트 개최 후에는 빙상 축제를 개최하고 올림픽 공원을 일상여가 문화 공간으로 조성한다. 마지막으로 주민과 함께하는 녹색네트워크 조성과 셔틀버스 노선계획을 통해 주민참여를 통한 장소 만들기를 시도하고, 운영․관리를 위한 지역커뮤니티 기반을 구축한다. 평창동계올림픽 개최가 강릉시의 지역 활성화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5년여 남은 현재의 시점에서부터 장기적 비전을 가지고 지역커뮤니티를 배려한 마스터플랜 계획이 이루어져야 한다. 강릉에 대한 심도 있는 지역분석을 통해 사회적․문화적․경제적․물리적 측면에서 보다 다양한 전략을 수립해야 할 것이며 지역커뮤니티를 가장 중요한 주체로 생각한 장기적 유산 계획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지역의 스토리가 이벤트 전부터 이벤트 후까지 이어지는 강릉만의 메가스포츠이벤트가 되길 기대해 본다.

      • 커뮤니티 공간 개념 도입을 통한 관광이촌 활성화 계획

        안영길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807

        국 문 초 록 어촌관광은 국민의 생활수준이 향상되고 자연체험의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해변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바다휴양 활동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반면, 바다휴양 활동의 거점 역할을 하고 있는 어촌의 환경은 낙후되고 어업 기능이 약화됨에 따라 이에 대응한 대체산업의 필요성이 대두되는 과정에서 어촌관광이 주목을 받고 있다. 하지만 어촌관광의 이용 행태는 여름 한철 해수욕, 바다낚시, 횟집 운영 등과 같이 매우 단순화 되어 있으며 운영ㆍ관리도 개인 상행위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어 지역사회는 외면되고 있는 실정이다. 게다가 무계획적인 난개발로 인하여 어촌 고유의 환경이 훼손되거나 파괴되고 있다. 기존 관광어촌개발 형태는 대부분 개인 투자에 의한 사업계획으로 이루어져 지역사회의 공동참여 분야가 고려되지 않고 있어 지역관광개발사업과 지역활성화사업 사이에 괴리 현상을 초래하고 있다. 따라서 관광개발이 관광객을 위주로한 개념과 동시에 지역주민의 생활터전이자 레크레이션 공간 마련을 통해 지역사회의 활성화를 위한 수단이라는 인식이 필요하다. 즉 지역주민과 관광객이 공존할 수 있는 개념도입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어촌지역 활성화를 위해 지역사회를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계획의 접근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관광객 중심으로 전개되는 어촌관광에서 지역주민이 주체가 되고 지역사회가 참여할 수 있는 커뮤니티 공간 개념의 접근을 제안하며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그 목표를 두었다. 국내외 어촌관광의 사례분석을 통하여 관광사업의 개발 및 운영실태, 무계획적인 난개발과 참여주체의 제한, 외지인의 토지소유 증가 등의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어촌관광에서 커뮤니티 공간의 필요성을 알아보았다. 공통적으로 커뮤니티는 지역성, 공공의 결속, 상호작용의 성격을 가지며 어촌관광 계획에 있어서 커뮤니티 공간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지역성은 어촌다움, 어촌만의 분위기 등 어촌의 조경적 가치를 보여주는 정체성이 바탕이 되어야 하며, 지역의 특성을 반영하고 장소의 회복을 위한 프로그램을 도출할 수 있다. 공공의 결속은 사람들간에 나타나는 심리적 유대감으로서 이는 사용자들의 흥미와 즐거움을 줄 수 있는 공공적인 성격을 부여하고, 상호작용성은 관광객과 지역주민의 원활한 교류를 위한 공유공간으로서의 기능을 가진다. 대상지는 전북 부안군 대항리 변산비키니해수욕장 일대로 광역적 접근과 환경 분석을 통해 현황분석을 하였으며, 대상지와 변산반도 이용자 설문분석을 통해 이용행태와 필요 시설 및 프로그램을 조사하였다. 무분별한 상업시설 도입으로 인한 어촌경관 훼손, 지역 자원에 대한 인지부족, 지역의 공공기능 미약, 관광개발에 대한 지역주민의 무관심 및 소수주민 참여라는 부지 개발시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도출한 부지의 과제를 커뮤니티 공간 개념에 도입하여 각각의 특성에 따른 공간구상 및 활동프로그램을 계획하였다. 변산비키니해수욕장의 물리적 환경 개선을 위해 해안선 가까이 조성되어 있는 상업시설을 철거하고 송림을 보식하여 일정한 폭의 해안 조망축을 확보하였다. 또 대상지내 민박과 횟집 등의 상업시설 난립을 막기 위해 상업시설을 인근 변산면 소재지로 이주하여 어촌의 경관적 정체성을 살리고자 하였다. 지역성에서는 대상지 주변 관광자원을 테마별로 유형화하여 변산반도의 거점지로서 연중 고른 이용을 하도록 연계코스를 만들었다. 또 공공장소로서 지역 주민들간 또는 지역주민과 관광객과의 의사소통을 원활히 하고 레크레이션 도모를 위한 공공장소로서 진입광장, 수변가로공원, 송림공원, 문화공원, 수상레크레이션의 테마별 공원을 계획하여 공공적 기능을 부여하였다. 마지막으로 성수기 때의 늘어나는 관광객에 대한 숙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주변 마을인 대항마을, 방포마을, 자미마을, 지동마을, 사망마을 내에 현대화 된 숙박 기능을 도입하여 주민에게는 공동체 형성과 유지를, 관광객에게는 쾌적한 휴양 체험의 기회를 제공하였다. 기존 어촌관광 계획과 관련된 연구는 관광객의 편의를 도모한다는 목적하에 무분별한 시설배치와 관광객의 이용행태 및 활동을 중심으로 한 일률적인 개발계획으로 추진되어 왔다. 하지만 본 연구는 지역사회와 지역주민이 중심이 되는 커뮤니티의 개념을 강조하여 관광서비스 기능을 강화하는 관광 활성화가 아니라 지역공동체 활성화 계획이라는 점에서 획일적인 어촌관광 계획의 한계를 극복하는 관광어촌 계획의 새로운 모델로서의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주요어 : 관광어촌, 커뮤니티 공간, 정체성, 지역성, 공공성, 상호작용성, 특수목적회사(SPC)방식 ABSTRACT Regenerating a Tourist Fishing Village with a Community Concept - A Case of Byeonsan Daehang-ri - submitted by An, Young-Gil Supervised by Dr. Kim, Young-Geun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The Graduate School of University of Seoul December, 2005 As the life standard has been improved and people are more interested in experiencing the nature, the demand for the recreation activities around the sea areas is increasing focused on the coastline in the fishing village tourist. However, the status of using fishing village tourist is very much simplified in such as way as the sea bathing at the height of summer, sea fishing, management of raw fish restaurant, etc., and the management and administration are made, based on the individual commercial business, and thus it is an actual situation that the local society becomes to be looked away. Since the existing status of developing the fishing village for tourist is made on the whole of the business plan by the private investment and the field of the cooperative work in the local society is not considered, the estrangement is caused between the business for development of local tourist and for activation of local society. This study suggests a way of approaching to the plan for considering the local society before anything else in order to activate the fishing village area. And further, it aims the development of various programs, suggesting the access to the concept of space for community for whish the local residents take the initiative in participating in the local society as for the fishing village tourist developed on the basis of tourists. It also obtained the result of the unplanned random development, restriction of the main group to be joined, the increased land possession by foreigners (persons of other territories), thru analyzing the examples of the domestic and overseas fishing village tourist, and checked out the necessity of space for community in the fishing village tourist. Community has a character of locality, public union and interaction in common, and as to the plan for the fishing village tourist, the characteristics of space for community can be shown as the identity, locality, public interest and interaction.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he whole area of Byeonsan Bikin Beach in Daehang-ri, Buan-gun, Jeonbuk, and through the metropolitan approach and the analysis of environments, this study brought up the subject such as the damage of the fishing village scenery caused by the commercial facility, lack of recognition about the local resources, the weak public function for the territory, unconcerned mind of the local residents toward the development for tourist and the minor participation of the residents. It also invited the concept of space for community and planned the conception of space and the activity plan in accordance with each characteristic. In order to promote the physical environments of the Byeonsan Bikin Beach, the commercial facility prepared near to the coastline was removed, and thru the supplementary planting for the pine forest, the coast view line with the constant width was secured. Moreover, to protect the random commercial facility in the designated area, the scenery identity for the fishing village shall be established, by moving the commercial facility to the neighbored location in Byeonsan-myeon. As for the locality, thru classifying by themes, the tourist resources around the territory, the linked tour courses were made so as for the area to be utilized evenly all the year round as a base in Byeonsan peninsula. By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the local residents and the tourists as a public place, and as a public place for recreation, it was planned to provide entrance plaza, a park alongside the coast, a park for pine forest, a cultural park and a park classified by themes, and the public function was given to them. Lastly,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accommodations for the tourists increased in numbers during the high-demand season, the modernized lodging function was invited to the neighboring village so as to form and maintain the community and the opportunity of experiencing the pleasant relaxation was provided to the tourists. The existing study on a plan for the fishing village tourist has been performed as the stereotyped plan for development based on the imprudent distribution of the facility, the state of using tourists and their activities under the purpose of planning for the convenience of tourist. This study, however, emphasized the concept of community based on the local society and residents, and at the point of plan for activating the local community, not activating the tourist only to strengthen the function of tourist service, it can be seen to involve the possibility as a new model of the plan for the fishing village tourist which is getting over the limit of the plan for the stereotyped fishing village tourist. Keywords: the fishing village for tourist, space for community, identity, locality, public interest, interaction, special purpose company method

      • 도시지역 소규모 커뮤니티센터의 현황 및 특성분석

        김조은 영남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rapid growth and development of Korea achieved material affluence, but caused various urban and social problems. In response,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launched urban regeneration projects focused on the regeneration of local communities so that they could form a community culture through the improvement of living conditions and the supply of public spaces in aging and declining urban dwellings. However, as a result of the implementation of major projects focusing on physical space supply and environmental improvement, communities were formed in a formal manner with a lack of participation and activities by residents. Thus, a small community center established as a local community hub was reduced to a nuisance for the villagers. Accordingly, the government encourages residents-led projects by organizing communities and discovering village projects through support from expert groups, and organizes community spaces with various functions such as living facilities for residents, job creation, and health support spaces within community centers and operates programs. Centering on this background, this study was intended to present basic data that could be applied to small community centers in the future by examining the current situation of small community centers established so far and analyzing various aspects of community centers, including functions and spaces. This study examined the status of small community centers that opened after 2000 located in Daegu and Busan. The basic item current situation of a small community center was investigat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item were analyzed, suggesting what should be considered when devising the functions and programs of the community center. In particular, the main functions of small community centers were divided into ①Education functions, ②Work functions, ③Cafe functions, ④Health care functions, and ⑤Multi functions, and the characteristics of major functions were classified based on the current situation of small community centers. In addition, local governments, private enterprise, and village cooperative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and management entities. The functions of small community centers are closely related to the spatial composition and programs of community centers,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patial organization are divided into areas by major functions, access types, and floor plan composition methods. Each characteristic was analysed through examples and further complementary directions were presented. Therefore, in this thesis studied the current situation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small community centers in urban areas that have not been dealt with before, and provides data that can be used in planning small community centers in urban areas in the future.

      • 커뮤니티형 공유주방 공간디자인

        황현영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현대사회에서 우리는 많은 것들을 타인과 공유하며 살고 있다. 이러한 문화는 공유경제가 활성화되면서 사람들의 가치가 소유하는 것보다 경험하는 것에 높은 가치를 두기 시작하면서 정보에서 사물 심지어는 공간까지 공유하며 서로 소통하면서 유대감을 쌓으며 삶의 가치를 높이기 시작했다. 도시에서 공유공간은 다양한 형태의 공유가 있으며, 주거, 사무실, 주차장, 공공시설, 기타유흥공간으로 나타나고 우리 삶 속에 밀접하게 다가오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환경에서 대두하는 문제점 중 하나인 1인 가구의 증가로 주거의 모습이 코하우징으로 변화하면서 주거의 필수 공간 중 하나로 구성되었던 주방이 분리된 모습을 보여주며, 주방의 공간을 외부에서 사람들과 공유하여 식자재의 낭비를 최소화하고 소통하며 해결하고자 하는 욕구가 늘어가면서 자연스럽게 커뮤니티형 공유주방의 관심도가 올라가기 시작했다. 관심도가 올라감에 있어서 무분별한 커뮤니티형 공유주방의 공간으로 방치된 공간으로 전락 되는 상황이 발생하기 시작했다. 본 연구는 기존의 일반적인 커뮤니티형 공유주방의 공간 형태를 분석하고 기존 형태의 커뮤니티형 공유주방의 문제점을 보완하여 지역과의 커뮤니티가 활성화되는 발전된 방향으로 나아가는 커뮤니티형 공유주방의 모습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론 연구에서는 커뮤니티형 공유주방의 개념과 특성을 이해하고 다양한 공간 사례들을 공간의 목적, 운영주체, 참여주체, 공간성격 등에 따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현재 커뮤니티형 공유주방이 지니고 있는 공간 요소, 성격별 장단점들을 추출하고 특히 공간대여 형식으로 발전됨에 따른 폐쇄성과 그로 인해 발생 되는 문제점들의 보완이 필요하다는 사실 또한 알 수 있었다. 이에 이론 연구에서 파악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지역과 연계되는 커뮤니티형 공유주방을 프로젝트로 진행하였다. 선택된 지역은 문래 창작촌으로서 장소적 특성을 공간에 적용하여 단순히 시간에 따라 공간을 대여해주는 방식이 아니라 요리라는 행위를 중심으로 식재료 생산, 구입, 조리 그리고 판매 등의 선 순환적 구조를 지닌 공간 프로그램을 계획하였다. 이는 공유주방의 사용자뿐만 아니라 지역주민의 거점 공간으로도 활용되어 공간 사용의 지속성을 제공하고 편의성과 소속감을 부여하기 위함이기도 하였다. 이러한 이론 연구와 프로젝트 연구를 통해서 앞으로 커뮤니티형 공유주방이 그 어떤 곳에 계획되더라도 그 지역의 공간적 특성과 연계된 프로그램의 도입과 그에 적합한 공간 구성으로 지역 활성화에 이바지하는 개방적 거점 공간으로 발전해 나가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In modern society, we live our lives while sharing many things with other people. As people begin to place higher value on experience rather than possessions simultaneous with the revitalization of the sharing economy, such a culture begins to increase the value of life by accumulating fellowship by having people share an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formation, objects and even spaces. Shared spaces in the city appear in a variety of forms including housing, office space, parking lots, public facilities, and miscellaneous entertainment spaces, as they approach us closely within our lives. As the appearance of housing undergoes changes into co-housing with the increase of one-person households—a problem rising in such a social environment—the kitchen, which previously formed an essential space for housing, became separated. Furthermore, with the increase in the demand to communicate and resolve needs by sharing kitchen space with people outside and thus minimizing the waste of food materials, interest in community-type shared kitchens naturally increased. The indiscriminate increase of community-type shared kitchen spaces due to increased interest led to those spaces becoming neglect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propose a community-type shared kitchen that revitalizes a sense of community with the area in a more advanced direction by analyzing the spatial forms of existing general community-type shared kitchen spaces and correcting the problems of existing forms of community-type shared kitchens. Therefore, the study analyzed various cases of spaces for existing community-type shared kitchen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space, operating agent, participating agent, and spatial characteristics and arrived at the fact that the closed nature of shared kitchens and its consequent problems must be corrected by combining the strengths of each space, element, and characteristic in accordance with the analysis framework for community-type shared kitchens. Subsequently, the study then attempted to reestablish these spaces as spaces for community-type shared kitchens linked to the region and applied them to spatial design. The present thesis project applied the local characteristics of the Mullae Art Village to spaces, providing users with the sustainability of spatial use through the community-type shared kitchen program in an attempt to give them the convenience and sense of affiliation that come from community-type shared kitchens and propose a space wherein local residents form a community by finding relationships between each other. When designing a new area with a spatial proposal involving community-type shared kitchens, the study attempts to provide a direction for regional anchor spaces that apply characteristics that fit place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