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지역 커뮤니티연극연구 : 경기도 5개 도시의 예술가주도형 커뮤니티연극을 중심으로
동시대 연극의 사회적 역할과 흐름에 있어 지역 커뮤니티연극은 주요한 기점에 위치하고 있다. 후기 포스트모더니즘의 시대를 지나 새로운 극 장르의 가열한 실험과 변화 속에 과연 연극은 어떻게 우리의 삶 속에서 기능하는가? 무대 표현양식에 있어 재현과 비재현의 혼합, 영상과 무대의 일치, 춤과 연극의 혼합 등 동시대 극예술은 다양한 형태로 변화하고 있으며 장르 간 혼합과 융합의 흐름 속에 있다. 그러한 과정에서 예술가들이 예술의 공공성에 관하여 고민하게 되고 공공성과 예술성의 조화와 균형을 위한 시도들이 있어 왔다. 그 중에서도 포스트드라마적 요소로서 뉴다큐멘터리 연극, 버바텀 연극, 장소특정형 연극등은 그 표현에 있어 ‘자기이야기 하기’, ‘자기 표현’, ‘수행자로서의 배우’등의 요소로 다양한 장르의 세분화와 전문성이 두드러지는 시대에 우리는 살고 있다. 예술의 생활화, 생활의 예술화라는 모토 아래 예술가는 보다 현실적이고 사회기능적인 역할을 제안 받고 있다. 이러한 흐름과 경향에 따라 지역 커뮤니티연극은 발아하고 생성하고 성장하고 있다. 그러한 조건에는 연극성, 공간성, 지속적인 기업의 후원, 지역민 예술가, 그리고 인력양성을 위한 교육 등의 조건이 필수적이다. 지역커뮤니티연극에 대한 탐색과 발전방향에 대하여 제시하고자 연구자는 경기도의 5개 지역을 중심으로 예술가주도형의 지역 커뮤니티연극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경기도내 위치하고 있는 가평군, 안산시, 광주시, 화성시, 의정부시의 각 도시들은 주요 예술가 중심으로 작게는 커뮤니티연극으로 시작, 주도적으로 연극기반도시를 형성하거나 새로운 연극공간을 창출하고 여전히 지역민들과 함께 커뮤니티연극의 지속성을 위해 고민하고 실험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커뮤니티연극의 배경과 개념을 고찰함에 앞서 커뮤니티아트, 커뮤니티미술, 공공미술의 형성배경과 개념에 관하여 알아보고 국내와 국외의 커뮤니티연극 선행사례를 살펴보았다. 국내의 경우, 국민대학교와 성북동 북정마을에서 이루어졌던 <월월(越축-Wall)축제>, 영등포구 문래동의 예술가와 주민들과의 협업으로 이루어졌던 <경계없는예술프로젝트>, 그리고 마포문화재단의 <꿈의 연극>의 사례를 살펴보았다. 마을사람들과 지역사회의 학교 및 관단체가 서로 협업하여 연극을 만들어 가는 과정에서 예술가, 지역민, 수행자들 모두 서로의 삶에 영향을 주고 더불어 마을의 정체성을 탐색하는 사례로 의미있다 하겠다. 해외 사례의 경우 스코틀랜드의 7:84극단, 일본의 토가산방, 그리고 미국 콜롬비아대학 부설연구소 커뮤니티예술 파트너쉽센터의 지역 커뮤니티연극관련 프로젝트를 살펴보았다. 7:84극단의 경우, 주류 연극 밖에서 대안문화가 형성될 수 있는 적합한 장소를 찾아 노동자들의 공간, 마을회관 등에서 특정 사회주의 메시지를 담아 순회 공연하였다. 즉 노동계급의 문화를 하나의 대안 문화로 형성하기 위해서였다. 이전 사회주의가 겪었던 실패, 조직화되지 않은 혁명의 실패를 극복, 사회 변혁을 이끌어 내고자 하는 일관된 흐름이 있었다. 일본의 토가산방의 경우, 스즈끼 타다시라는 연출가가 지역의 오지로 들어가 예술가 고유의 예술세계를 형성하고 초반의 지역민들과의 마찰을 극복, 지속적인 창작활동을 통하여 세계적인 연극 예술촌으로 자리 잡았다. 콜롬비아대학 부설연구소 CCAP의 경우, 대학의 커뮤니티연극관련 교과목을 개설하여 해당 대학생들이 지역으로 파견실습을 나가는 프로그램이 있다. 지역의 특정 청소년들과 커뮤니티연극을 진행하는 프로그램으로 다양한 단체와의 협업 아래 이루어진다. 이러한 과정에서 대학교와 대상자 청소년들 사이에는 다양한 매개자들의 관계가 형성되고 자원봉사활동, 멘토·멘티의 역할이 형성되어 지역 내 문제를 순화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다. 지역내 대학과의 연계가 커뮤니티연극에서는 하나의 롤모델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경우라고 할 수 있다. 프로젝트에 참여한 대학관계자, 지역의 청소년들, 티칭아티스트로서 참여한 대학생들 모두에게 의미있고 가치있는 커뮤니티 연극활동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국내및 국외의 선행사례를 통하여 지역 커뮤니티연극의 다양한 형태와 가능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기존의 국내에서 이루어졌던 커뮤니티연극에서는 관주도, 혹은 예술가주도의 기획된 커뮤니티아트가 마을사람들에게 침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으며 관과 예술가가 주도권을 갖고 미리 기획된 과정 중심의 프로젝트였음을 알 수 있다. 관과 예술가주도형의 프로젝트는 지역에서는 한계를 가지기 마련이라고 본다. 자생적으로 이루어지고 스스로 동기를 가지고 커뮤니티연극이 이루어진다면 보다 지속적인 활동이 가능할 것이나 지역민 스스로 커뮤니티를 형성하고 프로그램을 주도하고 발전해 가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이러한 시점에서 바로 그 지역에 상주하는 예술가의 존재가 매우 중요한 지역 커뮤니티연극의 요소이다. 지역에 상주하는 지역민으로서의 예술가는 보다 지속 가능한 커뮤니티연극을 이끌어 가는데 유리한 지점에 있고 커뮤니티연극발전에 많은 잠재력과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예술가는 지역의 물리적, 역사적, 지리적 공간을 탐색하고 동시대의 주요 현안들, 현재의 시사점들과 접목하여 새로운 문제의식과 스토리텔링을 유추해 낼 수 있다. 그러한 시사점에 대하여 지역민들과 주기적으로 협의하고 논의함으로써 보다 실질적인 문제해결점을 찾고 동일한 주제로 커뮤니티연극을 공연함으로써 지역의 현안을 이슈화 하고 새로운 주제를 도출하며 지역의 정체성을 드러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대표적 사례로는 경기도 화성시의 민들레연극마을 송인현대표를 들 수 있다. 그는 송씨 집성촌으로 들어가 마을의 지리적, 역사적 공간을 탐색하고 지역민들과 함께 다양한 프로그램을 유치, 수행하면서 마을의 주요 현안들을 오랜 시간동안 탐색, 동시대의 문제의식을 드러내는 작업을 지속적으로 해왔다. 그리고 경기도 광주시의 이기복 대표 또한 ‘청석에듀씨어터’라는 교육연극 기반시설을 설립하고 지역 내 계층별, 세대별 연극동아리및 교육프로그램을 연중 운영하면서 지역을 대표할 만한 작품인 <달을 태우다(조두현작/이기복연출)>를 매년 발전시켜 나가고 있다. 또한 연구자 역시 의정부 지역내에서 ‘학교에연극을심는사람들’, ‘마을씨어터골드’, ‘씨어터홀릭’등의 커뮤니티연극 단체및 동아리를 구성하고 <뉴다큐멘터리극 백삼동쓰리GO!>, <버바텀연극 홍당무>, <사회적경제뮤지컬 함께 살 길>등의 작품을 꾸준히 창작, 공연하고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예술가와 지역민이 함께 소통하고 지역의 문제에 관하여 협의하고 작품으로 목소리를 냄으로 참가자들 모두의 삶에 영향을 주고 스스로 성찰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과정에서 관련 관 단체의 공무원이 매개자로서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점도 짚고 넘어가야 할 부분이다. 지역 커뮤니티를 형성하고 수행하는 과정에서 지역민, 예술가, 매개자로서의 공무원, 매개자로서의 예술가들은 서로의 관계들이 확장되고 지역에 대한 관심이 커지며 지리적, 역사적 공간에 대한 관심도 함께 증가하는 것이다. 하나의 국가사회 안에 작은 구성원들이 모여서 예술적 성취를 이루기 위한 최소한의 조건들을 만들기 위해 서로의 환경과 관계에 대하여 고민하고 조율하면서 성장할 수 있는 것이다. 경기도는 이재명 경기도지사의 취임과 더불어 ‘사회적 경제’, ‘공동체 활성화’라는 주제와 함께 지역 발전의 기반을 쌓아가고 있다. 이러한 대 주제 아래에서 과연 커뮤니티연극은 어떻게 발아하고 성장할 수 있는지 살펴보는 과정에서 경기도 교육청의 <경기 꿈의 학교>, <꿈이음아트프로젝트>, 경기문화재단의 <토요꿈다락문화학교>, <지역특성화사업>에 관하여 알아보았다. 또한 경기도내 1,568 2018년 6월 30일 경기도 작은도서관 현황기준. 군데에 달하는 작은도서관을 다양한 문화예술동아리, 지역 커뮤니티연극의 안착지로서 활용하는 방안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러한 단체들의 지원사업과 프로젝트를 활용하는 과정에서 참여자, 대상자들은 연극을 체험하고 연극의 예술성을 향유하며 삶의 변화를 유도할 수 있다. 또한 공연을 관람하는 가족, 동료, 친지 등 모두 미래의 잠재된 연극관객이 되는 것이며 그러한 지속적인 연극활동을 통해 연극 전문인력의 확대, 지역현안에 대한 탐구와 관심의 확대, 우수레퍼토리의 형성에 따른 예술촌의 형성, 그리고 그에 따른 관광과 경제적 발전까지 기대해 볼 수 있는 것이다. 이번 논문은 경기도라는 한정된 지역 내에서도 5개 지역에 관한 연구에 그쳤지만 향후 경기도의 여타 시군 및 전국의 주요 지역에서의 두드러지는 커뮤니티연극에 대한 연구, 그리고 각 지역간 커뮤니티연극의 연계와 공유, 참여자와 예술가의 협업 및 연계를 통하여 드러나는 극적 다양성, 공무원 매개자와 예술가 매개자간의 역할 분담의 전문성등 순화하는 지역 커뮤니티연극연구를 과제로 더욱 연구에 정진하고자 한다. Local community theater holds a critical position in the role and stream of contemporary theatre. Following the post-modernism era of heated experiments and transformation, how does drama function in our lives? Contemporary drama is in the flow of mixture and fusion and is changing in various forms regarding theatrical expression style, such as the blend of presentational and representational performance, the unity of video and stage, the combination of dance and theatre and so on. In the process, artists have been concerned about the publicness of art and there have been attempts to balance and harmonize publicity and artistry. Among them, as post-dramatic factors, new documentary plays, verbatim plays and site-specific plays use elements of 'self-narrative', 'self-expression' and 'actor as performer' for the expression, leading us to an era where the segmentation and expertise of various genres are prominent. Under the motto of practicing ‘life in art and art in life’, artists are offered a more realistic and socially functional role. In this tendency, local community theatre is sprouting, generating and growing. For such conditions, theatricality, space, sustained corporate sponsorship, local artists, and manpower training are essential. In order to present the exploration and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local community theater, this paper examines artist-driven local community theaters focusing on five regions of Gyeonggi province; Gapyeong, Ansan, Gwangju, Hwaseong, and Uijeongbu. Centered on leading local artists, the respective cities have initiated community plays, formed a theater-based city, created a new theater space, and all are still contemplating and experimenting on the continuity of community drama with the locals. Before examining the concept and background of community theater, this article searches on the concepts and the formation background of community art, community fine art and public art, and examines the domestic and foreign precedents of community theater. Domestic cases include; <Wallwall(越-wall) Festival> held at Kookmin University at Seongbuk-dong, <Borderless Art Project> realized by the collaboration of artists and residents of Mullae-dong, Yeongdeungpo-gu, and the Mapo Cultural Foundation's <Dream Theater>. These are meaningful examples of villagers, schools and organization groups collaborating to stage a play, and artists, local residents and performers all influencing each other and exploring the identity of the village as a result. For foreign cases, projects related to local community theater at the 7: 84 Theater group in Scotland, the Suzuki Company of Toga in Japan, the Center of Community Arts Partnerships(CCAP) of Columbia College in the United States have been the subjects of study. In the case of 7: 84, the group found suitable places where alternative cultures could be formed outside the mainstream theater, such as workers' spaces and town halls, and toured with specific socialist messages. This was to develop the working class culture as an alternative culture. A consistent flow of attempts were made to overcome the failure of previous socialism- the failure of an unorganized revolution- and to bring social transformation. In the case of the Suzuki Company of Toga in Japan, director Suzuki Tadashi entered a wilder region of the country, formed his own artistic world, overcame the initial hostility of the local residents, and built a global theater village through constant creative activities. In the case of CCAP, the Colombia college practically conducts community plays with local youths by dispatching students from the community theater-related courses to the region. Various relationships of intermediaries are formed between the college and the target youth in this process, and volunteer activities, mentor and mentee roles are formed, playing a role in purifying the problems of the region. This case is a good example of an association of the community theatre and the regional college. This became a meaningful and valuable community theater activity for the college officials, the local youth, and the college students participating as teaching artists. Hitherto, various forms and possibilities of local community theater were examined in domestic and foreign precedents. In the existing community drama in Korea, community art, planned and led by government offices or by artists, took the form of penetrating the villagers. This is seen as a process-oriented project in which government offices and artists have the initiative and plan beforehand. However, these projects seem to have limitations in the region. A relatively continuous activity would be possible if community drama is carried out on its own and motivated by itself, but it is very rare that local residents themselves form a community, lead and develop programs on their own. At this point, the presence of a local resident artist is regarded as an important factor of community theater. As local residents, local artists are in an advantageous position to lead a more sustainable community production and they have a lot of potential and possibility for the development of community theater. The artist can explore the physical, historical, and geographical spaces of the region and can derive new awareness and storytelling by incorporating major contemporary issues and current implications. Thus, by regularly consulting and discussing such implications with the local people, a practical solution of the related issue could be derived, or community plays on such topics could expose the issues, draw out new topics, and reveal the identity of the region. One notable example is Song In-hyun, a representative of Dandelion Theatre Village in Hwaseong City, Gyeonggi Province. He explored the geographical and historical spaces of Songje village, and he attracted and carried out various programs with the locals and persistently explored major issues of the village, revealing critical attitudes on contemporary issues. Lee Ki-bok, the establisher of an educational theater facility called "Chungsuk Edu Theater" in Gwangju city in Gyeonggi province, operates regional drama clubs and educational programs all year round, while constantly developing a local representative play <Burning the Moon>, written by Cho Du-hyeon and directed by Lee Ki-bok. As an another example, my works of organizing community theater groups such as ‘Those who plant theatre at schools’, ‘Village Theater Gold’ and ‘Theater Holic’ within the Uijeongbu area is worth mentioning, and I have constantly created and performed shows such as the New Documentary Play <103 Dong three GO!>, the Verbatim Play <Hongdangmu> and the Socio-economic Musical <The way to live together>. The results show that the artist and the locals coul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discuss local issues and voice them through the works in the process, thereby influencing the lives of all the participants as well as reflecting on themselves. In addition, it should be pointed out that the civil servants of related organizations can be of practical help as intermediaries in this process. In the process of forming and executing local communities, local people, artists, public servants as intermediaries, and artists as intermediaries can expand their relations, become more interested in the region, and increase their interest in the geographical and historical space. Namely, in order to create the minimum conditions for attaining artistic achievement, members of a smaller unit of a national society can grow together by coordinating and contemplating on their environment and relationships. With the inauguration of governor Lee Jae-Myung, Gyeonggi Province is building the foundation for local development with the theme of 'social economy' and 'community revitalization'. Under these major topics and in the course of examining how community theater can sprout and grow, the research involves ‘Gyeonggi Dream School’ and ‘Dream connection Art Project’ of Gyeonggi Education Office and ‘Saturday Dream Attic Cultural School’ and ‘Local Characterization Project’ of Gyeonggi Cultural Foundation. The research also contemplates on an environment that helps the community arts and local community theatre by exploiting Based on the status of small library in Gyeonggi Province on June 30th 2018 1,568 small libraries in Gyeonggi province. In the route of making practical application of these groups’ support projects, the participants and subjects can experience and enjoy the artistry of theatre and induce change of life. Furthermore, family, friends, and relatives who watch the performances become future potential theater audiences and through such continuous theater activities, it will be possible to increase theater specialists, explore the local issues, expand interest and consequently tourism and economic development can be anticipated. Although this study is restricted to five areas within the limited area of Gyeonggi province, I would like to devote the research project henceforth on the study of refining local community theatre, through examining: on prominent community theater in other cities and regions of Gyeonggi Province and other parts of the country, on linking and sharing community theatre between regions, on dramatic diversity manifested through collaborations and connections between participants and artists, on the specialization of role allocation between civil servant mediators and artist mediators and so on.
정대원 弘益大學校 情報大學院 2001 국내석사
과거 우리는 농경문화의 특성에 따라 씨족 사회와 부족 사회를 자연스럽게 형성하면서 살아왔으나 오늘날 전형적인 공동체는 산업 사회로 전이 하면서 많은 변화가 있었다. 실제로 오늘날 우리는 과거의 어떤 시대 상황에 비해서도 엄청난 속도로 변화가 심한 시대에 살고 있다. 정보기술의 발달은 아주 멀리 떨어진 사람들을 쉽게 만날 수 있으며, 온라인(인터넷)을 통해서 정보기술의 혜택(?)을 받는 사람들이 급속하게 증가하였으나 정보 기술에 소외 받고 있는 사람들 또한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이다. 특히 사회의 중심적 세대인 4,50대 이상의 세대들에게는 정보기술은 혜택이 아닌 커다란 심리적 압박감을 주고 있다. 이를 지역 커뮤니티와 연계해서 생각해 보면 정보시대에 소외된 계층뿐만 아니라 다양한 계층들을 대상으로 과거처럼 자연스럽게 형성되는 공동체를 만들어 갈 수 있다고 확신한다. 인터넷은 시간과 공간이 만들어 놓은 경계선을 무너뜨리고 있다. 사람들이 연락을 하고 인터넷이 아니면 결코 하지 못했을 나와 생각이 비슷한 사람들을 아주 손쉽게 만나게 해 주었다. 이러한 매력적인 사실이 실생활에 유용한 서비스와 정보를 제공한다면 더 가까이 우리 곁으로 다가올 것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점에서 실생활에서 이루어지는 일반적인 행위들 중에서 사용자들이 관심과 필수적인 욕구 사항들을 조사하고 실제 사이버상(인터넷)에 적용하는 방법으로서 컨텐츠, 기업에서 효과적인 마케팅 활동과 인터페이스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다음과 몇 가지 제안을 하고자 한다. 첫째, 지역 커뮤니티 사용자가 필요한 컨텐츠와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한다, 둘째, 커뮤니티 운영자로서 효과적인 지역 커뮤니티의 유지와 마케팅 활동이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Heavy User가 아닌 계층을 수용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고려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제안된 방법을 적용함으로서 인터넷이라는 새로운 매체가 새로운 공동체를 형성하고 적절한 사회적 규범을 만들어갈 수 있으리라는 확신을 가진다. The community formed typically in these days has been changed during an industrial society, but people in the past lived with naturally forming the clan and the tribe societies characterized as agricultural civilization. Practically, the society people live in these days experience the more changes than one in the past. The advanced information technology makes persons in remote see each other via Internet. The population who can receive the benefit of information technology via Internet has exploded numerically, but the number of person who is left of information technology is not ignorable. Especially, information technology gives not benefit but psychological pressure to the generations in thirties or forties who play a pivotal role of society. With considering the regional community as solution of the above problems, I am sure that the community formed naturally in the past can be established through the class estranged to information technology as well as the various classes. Internet overcomes the boundary line of time and space, By Internet, people make a communication with others and easily meet any person who is similar in his thought. If these attractive facts give to our life the useful service and information, Internet will approach into us further more. After studying user's interesting and essential requirements among his general activities in the life, this thesis as applying the study into real life says how to make up contents, and as applying it into company says the following suggestions, which are brought with considering effective marketing activity and interface. First, Should provide the contents and services which are necessary for regional community. Second, Should do the effective marketing and maintenance of regional community, as role of community administer. Third, Should consider the interface in order to attract the class who are not heavy user. With applying the above suggestions into Internet, I am sure that Internet as a new mess media will build new community and social rules.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구 마포구 청사 부지 활용방안에 대한 연구 : 문화복지시설을 중심으로
박재형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2007 국내석사
인간에게서 커뮤니티는 사회활동과 생활영위에서 필수적인 요소로서 나와 타인과의 상호교류 관계속에서 개인의 생활을 영위하며 외부의 위험으로 부터 보호,자신의 존재감과 정체성을 형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타인과의 이해관계와 공존이 공동체를 형성함으로서 이뤄지며 사회조직과 문화를 만들어가는 기본적인 조건이라 볼 수 있다. 인간의 본질적인 부분으로서 커뮤니티성은 외부로 표현되어지기 이전에 내면적 상호관계 즉 인간이 인간으로 존재하기 위한 휴머니테에 바탕이 된 상호교감이라 볼 수 있다. 오늘날 현대 금융자본주의 사회근 정보기술의 발달로 대표되는 디지털 사회로서 다양한 커뮤니티 수단들이 존재하지만 이는 사회시스템의 원할한 작동과 유지에 있고 물적가치가 최우선이 되어버린 자본주의 사회에서 인간의 가치와 관계들은 물질적으로 환원되 버립으로서 인간의 본질적이고 존재적인 인간성이 희석되어져 가며 사회구조의 주체에서 객체, 하나의 대상으로 전락하는 단계에 이르렀다. 인간소외를 치유하며 휴머니티의 회복은 사회상위 구조적인 문제이지만 전체에 대한 부분의 변화와 극복의 시도로서 건축적 고민으로서 지역 주민을 위한 공공시설중 의미나 가치가 떨어진 시설을 커뮤니터 활성화를 위한 복지시설로 계획하고자 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본연구는 크게 세단계로 진행하였다. 첫째로, 사회학적, 철학적 관점에서 커뮤니티 개념과 기능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커뮤니티가 형성되는 요소와 매개체들을 살펴보며 전반적인 커뮤니티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하였다. 둘째로, 예정해 두었던 지역의 복지시친 현황을 구청 데이터 베이스를 바탕으로 검토한뒤 필요시설들을 도출하였고 각 복지시설의 공간특성과 구성프로그램을 정리하고 개괄적인 공간구문른에 따른 공간배치를 살펴보았다. 셋째로, 첫 번째와 두 번매에서 정리된 커뮤니티 시설과 필요 복지시설의 각각의 공간프로그램중 공통된 것들을 묶어서 각 시설의 상호관계성을 설정하여 복합적 복지시설계획의 틀을 만들었다, 여기에 실제 계획대상지인 구 마포구청 부지와 이전한 마포 신행정청사의 복지시설 프로그램을 대조하여 상호보완의 관계속에서 시설이 운영되어질수 있도록 다시한번 검토를 하였다. 상기와 같은 세단계 과정을 거쳐서 지역 복지인프라 구축을 위한 복합 복지시설을 계획하게 되었다. 요약하자면 도출된 필요 시설인 보육시설과 노인시설, 여성주거게및복지시설, 직업교육시설, 메디컬 센터의 사용자중 저소득층의 거동이 자유로운 노인과 보호가 필요한 여성들의 재활교육(베이비시터, 실버관리사) 등과 연계된 보육시설의 아동교육과 관리, 그 외 재활교육으로 사회진출에 도움 되도록하며 기타 주민 문화시설을 더불어 주민과 함께 이용하므로서 서로에 대한 관심과 이해의 폭을 넓힐수 있는 장소역할과 메디컬 및 편의상가를 민영임대를 하여 전체 시설의 유지 및 관리 비용충당과 지역 주민 편의 의료서비를 제공한다. 뿐아니라 마포신행정청사의 복지시설 이웅자와 복지행정업무와 연계하여 필요역할과 기능들을 상호 충족시킬수 있도록 하여 지역내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해 적극적인 노력으로서 문화복지시설을 제안하였다. A community for human beings, which is an essential element for social interaction is playing a big role not only in protecting them from outside but also in developing their identity. By building a community, we can communicate with other people more effectively and involve in various social activities based on the community so that we can live together while pursuing our individual interest. In other words, community itself can be seen as the basis of social structure and its culture. As a core nature of human, communication is not about just expressing something or exchanging information but it is rather mutual interaction of feeling deep inside based on humanity to be able to exist as a human being. Thanks to rapid development of IT technology happening in so-called digital society, we have so many tools and ways to communicate each other. However, it is questionable whether these fast and convenient tools are working for human in this financial capitalism society or not since they seem to work for the system itself by providing efficientways to control people and make more profit, which distort humanity and true communication as a essential part of a human being such that our relationship is only valued in materialization and we are almost treated like objects notsubjects in this humanity-deprived society. Even thought healing human estrangement or alienation from who we are and restoring humanity is something we should make an effort all together since it is a structural/systematic problem as a whole, Planned, as an attempt of partial change hoping to affect the whole, to build a welfare facility for stimulating local community by restructuring a public facility which is wearing out in terms of value and meaning as publicity. This research has conducted in three phases. First, it studied the concept and functionality of community in the view point of sociology and philosophy. It provides wide and deep understanding by looking at each element and mediator to form a community. Second, it estimated necessary facilities by reviewing the database at the local government office and summarized the space property of each welfare facility and assembling program. It also researched the space assignmentaccording to space assignment theory. Third, based on the first and second data, a comprehensive frame was made for complex welfare facility project considering inter-relationship of each facility by grouping together common functionality in each space assignment program. In addition to that, it reviewed again by comparing old Maps government office land, which is for this project, to new Maps office's welfare facility program in order to make both work complementary. It detailed the project through those three phases to build local welfare infrastructure. As a summary, it specify the necessary facilities came out of this researchsuch as child-care center, day-care center for senior citizens, houses and welfare facility for women, vocational education center, medical center for low income citizens. Those are to help seniors who are old but able to work and women who need care find jobs by allowing them to access open educational opportunity. And these facilities are designed to be places where people get together, share their interest, and widen their understanding each other by laying out culture facilities next together, which will allow all the citizens in the local area's use them. Medical center and convenience stores are to be rented so that it can provide fund to maintain the whsle welfare facility, manage the operational expense of it and enable low cost medical service for the local citizens. Besides, this paper suggested culture welfare facility as an aggressive attempt to stimulate local communities by satisfying mutual and complementary functionality connecting Maps new government welfare facility users and welfare administration.
개인중심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인맥네트워크 구축전략에 관한 연구 : 사용자 이용 행태 분석을 중심으로
박정현 경성대학교 디지털디자인 대학원 2005 국내석사
Mass community and information-centered-web-community services have been changed to individual-centered-community, blog and minihompy. Especially, Cyworld(cyworld.com), the most popular individual-centered-community, has had an eye-opening progress to become a cultural phase. Since the success of Cyworld has been based on human network service, 'Il-Chon', the importance of human relationship based on Social Network was increased in the community website. However, the human network services in existing community websites are still simple and follow the successful case of oversea ones, which is not correspondent with users' need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duce the strategy for building human network in individual-centered-community service in order to activate the community websites through building the valuable human relationship on online. The first method of this study was secondary research on theoretical background of psychology and progress of human relationship. Secondly, the existing services on human network building in several blog, minihompy, and social network application websites were analyzed and compared to demonstrate the present status of human network building service in the individual-centered-community websites. Thirdly, in-depth-interview was done to 6 users and Web Diary was written by 8 users in order to understand user experience in human relationship and interaction in the real world and in the individual-centered-community website.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strategy to enhance building human network was suggested with categories of grouping/setting human relationship, expanding human relationship, maintaining human relationship, breaking off human relationship and others. The strategies that correspond to user's needs will be able to raise satisfaction of heavy users, to bring in new users to the website and to make them use the individual-centered-community as one of the linking tool of human relationship. However, user research in this study was done only to heavy and skillful users in the community website. Therefore, needs of common users should be covered to make more universal and concrete strategy system in the future.
조용석 아주대학교 정보통신전문대학원 2007 국내석사
커뮤니티 컴퓨팅은 유비쿼터스 환경에 존재하는 스마트 객체들 간에 상호 작용하는 협력 시스템 개발을 위해 제안되었다. 커뮤니티 컴퓨팅은 특정 상황에서의 목표(Goal) 해결을 위한 컴퓨팅 요소들의 집합인 커뮤니티(Community)라는 개념을 사용하여, 이를 구성하는 컴퓨팅 요소들 간의 상호 작용을 통해 커뮤니티의 목표를 달성하고자 하는 접근방법이다. 커뮤니티를 구성하는 컴퓨팅 요소들은 자신의 능력과 상황에 따라 다양한 역할(Role)을 가질 수 있으며, 커뮤니티의 요청에 따라 다양한 커뮤니티의 구성원(Member)이 될 수 있다. 이렇게 역할과 커뮤니티의 변화가 잦은 동적인 상황에서는 컴퓨팅 요소 간에 충돌이 발생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현재까지의 CCM(Community Computing Model)은 시스템의 설계 시점에서 충돌에 대해 고려하지 않고 있어, 실제 구현 단계인 CIM-PI(Community Implementation Model - Platform Independent), 즉 특정 언어로 개발을 하는 개발자가 직접 컴퓨팅 요소를 프로그래밍 할 때 개발자 임의로 처리를 해줘야 한다. 그러나 실제 개발 시에 충돌이 발생할 수 있는 요소 하나하나를 고려하여 처음부터 프로그래밍 하기란 쉬운 작업이 아니다. 또한 새로운 충돌 요인이 발생했을 때마다 다시 프로그래밍 하고 컴파일 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부분을 설계 단계에서부터 고려해야 하며, 이를 위한 해결 방안이 필요하다. 커뮤니티 컴퓨팅에서 충돌 해결을 위한 해결 방법으로 정책을 선택하였다. 정책은 시스템에 따라 권한의 변화가 잦은 분산 환경에서의 접근 조절(Access Control)을 위한 방법으로 적절하다. 설계 단계에서부터 상황에 따라 필요한 정책을 기술함으로써 이를 구현 단계에서 참고 할 수 있도록 하면 개발의 효율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커뮤니티 컴퓨팅에서 컴퓨팅요소들이 목표 달성을 위해 동적으로 커뮤니티를 구성하고 상호작용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충돌 요인에 대해 연구하고, 이를 커뮤니티 컴퓨팅을 구성하는 각 요소들 (Society, Community, Member)에 따라 분류하고, 이에 맞는 예제 정책에 대해 연구하였다. 또한 예제 정책 표현을 위한 정책 언어와 표현된 정책을 변환할 수 있는 정책 변환기를 제안하였다. Community computing has been proposed to develop cooperation systems in ubiquitous environments. Community computing uses a concept called community which is a group of computing entities. Computing entities in a community interact with each other as community members to archive community goal. Computing entities could have many roles according to their capability and could join different communities in a different role. In that case, there could be conflicts during cooperation process between computing entities. It is hard to describe whole interaction process in each computing entity for every role. Thus, there should be a management scheme to control system behavior according to the roles of computing entities and their situation. To do this, we adopt policy based approach which gives flexibility for managing users, services and access rights change in a system. In this paper, I analyze conflict factors in community computing and propose community policies to resolve conflicts, and I propose a simple policy language for community computing to describe community policies and policy convertor to improve the development of community computing entities.
커뮤니티 공간의 특성을 중심으로 한 협동조합형 공동주택에 관한 연구
본 연구는 새로운 주거 대안으로 부각되고 있는 협동조합형 공동주택의 커뮤니티 공간 특성을 연구한다. 현대사회는 가족 형태 변화로 인해 공동체 의식이 결여되고 사회적 소외감을 느끼는 등에 문제점들이 발생하고 있으며 더불어 집값 상승 등의 경제적인 문제 또한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주거 문제에 대한 대안으로써 입주자들이 사생활은 누리면서도 공용 공간에서 공동체 생활을 하는 협동 주거 형태를 일컫는 코하우징이라는 주거 유형이 나타나게 되었고 최근에는 더 나아가 입주자들이 협동조합방식을 활용하여 적극적으로 주택 관련 의사 표현을 할 수 있으며 더 많은 공동체 활동을 누릴 수 있는 협동조합형 공동주택이 계속해서 만들어지고 있다. 이러한 협동조합형 공동주택에서 필연적으로 만들어지는 커뮤니티와 관련된 공간은 건축 설계 시에 개인 주거 공간만큼 중요하게 다뤄지는 부분이지만 협동조합형 공동주택의 커뮤니티 공간에 대한 연구가 미비하여 적정 모델이 명확하지 않다. 그래서 협동조합형 공동주택 설계를 진행할 때 커뮤니티 공간을 설계할 때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입주 이후에도 부족한 커뮤니티 공간을 마련하고 활용하기 위해 계속해서 노력과 비용이 소모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협동조합형 공동주택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고 있는 커뮤니티 공간을 조사하여 그 특성을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협동조합형 공동주택에서 필연적으로 존재하는 커뮤니티 공간들을 사례조사를 통해 연구하기 위해 설계 과정부터 입주자들이 참여하여 건축이 완료된 12세대 미만의 사례들을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한다. 이러한 협동조합형 공동주택은 저렴하게 내 집 마련을 할 수 있다는 장점 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커뮤니티가 활성화되고 있다는 장점을 찾을 수 있다. 그러나 경제적인 이유 등으로 넓은 커뮤니티를 갖지 못함으로써 입주자들 회의를 통해 기존 공동주택에서는 소극적으로 사용됐던 공간을 더 적극적으로 커뮤니티 공간으로 활용하며 작은 커뮤니티 공간이 여러 기능을 수행하는 특징을 보인다. 본 연구를 통해 여러 가지 주거와 관련된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주거 대안으로써의 협동조합의 가능성을 볼 수 있었으며 추후 건축될 협동조합형 공동주택의 참고 자료로써 활용 될 수 있다.
그린인프라로서 주거단지 내 커뮤니티공원의 생태계서비스 기반의 개선방안 : 중국 시안시를 중심으로-
장이문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2025 국내석사
현대 사회에서 도시화가 가속화되면서 도시 환경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자연환경 요소를 기반으로 하는 그린인프라(Green Infrastructure)는 이러한 문제를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으며, 도시와 사람, 자연환경의 조화로운 공존, 도시생태계 개선, 도시의 친환경 이미지 제고 등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동시에 다각적인 도시개발에 대한 대중 의 요구가 증가하면서, 생태적인 개발이 우선시 되고 있다. 도시공원은 녹색 공간의 중요한 부분으로 시민들이 야외 활동과 일상적인 레크리에이션을 수행하는 중요한 장 소이며 공원의 조성은 도시환경을 개선하고 다양한 생태계서비스의 가치를 강조하며 도시의 경제적 가치를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더불어 주거단지 커뮤니티 공원은 도시의 녹지공간으로 이용자를 친밀하게 만들고 레이아웃의 공정성과 정의는 도시 생활환경의 질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수단이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주거단지 커뮤니티공원에 적용가능한 생태계서비스 요소를 확인하고 이를 기반으로 공원별로 특화된 개선방안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연구는 중국의 시안시를 대상으로 커뮤니티공원과 생태계서비스라는 두 가지 큰 주제어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하였다. 먼저 관련 문헌의 수집과 분석을 통해 국내외 연구현황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였다. 선행연구에서 커뮤니티공원이 제공할 수 있는 생 태계서비스의 요소를 도출하였고, 인구특성을 기반으로 고소득층과 중산층의 밀도가 높은 지역과 두 계층의 혼합 지역의 총 세 가지 지역으로 대상으로 해당 지역의 커뮤 니티공원을 연구대상지로 선정하였다. 현장조사를 통해 연구대상지의 특성과 그린인 프라 현황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지별로 전문가의 생태계서비스 요소에 대한 중요도 와 이용자의 이용 만족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전문가에 의한 중요도와 이 용자의 만족도를 IPA 모델로 분석하여 각 커뮤니티공원 내 생태계서비스의 중요도와 만족도의 차이를 파악하였다.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생태계서비스의 향상을 목표로 하 는 커뮤니티공원별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시안시를 중심으로 진행된 연구로서 다른 도시와 지역에 적용하기 위해 서는 향후 지역의 특성과 이용자의 수요를 충분히 반영하기 위한 동적 추적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시안시의 생활환경, 특히 녹색환경의 개선에 실용적인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린인프라로서의 커뮤니티공원과 생태계서비스 요소를 결 합하여, 다양한 계층의 수요자를 고려한 커뮤니티공원의 역할과 기능의 미래지향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함으로써, 맞춤형 서비스를 위한 도시공원의 조성 및 관리방안의 기 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키워드 :커뮤니티공원, 생태계서비스, 그린인프라, 공원의 조성과 관리
커뮤니티 센터 底層集合住居丹脂 內 地下公刊 再生을 통한 住民公用 空間구성
박지영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2008 국내석사
The collective housing is the patten of housing that settled down as a means of supply with which the diffusion rate of house may be increased. The industrialization process, which made a rapid progress since the 1960s, has been accompanied by the rapid urbanization, along with the concentration of population toward big cities and the producing lots of nuclear families. Among the areas, Seoul and the circumference were most serious affected, so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and the relevant public institutions aggressively carried out the construction of apartment complex, new urban districts and new cities since 1980s. However, the environment of the collective residential complex constructed in this way had monotonous types and created only the standardized space because the policies were inclined to the supply only. Looking into the plans of the collective residential complex, it is found out that at the first stage the arrangement of complex was performed filling it with the utmost floor space index within the applicable laws, laying stress primarily on the interior space planning and finishing materials of the unit households, and at the second stage, the space for parking was secured and arranged. At last, the minimums size of playground for children and resting facilities were positioned at the remnant lands with bad access and the forest space regulated by the law was positioned at the almost useless piece of land. It resulted in the loss of individual identity in groups and the increase the separation and unsociability of each household, so that the emotional disturbance and social problems, such as sense of alienation and lack of community spirit, could be caused due to the separation and isolation from the neighbors. This study is aiming at the solution for the problems occurring in the collective residential complexes through the spatial design study for the community in collective residential complexes. Therefore, as for the community space in collective residential complex, this study is focusing on new creation of community space, reflecting the community spirit and demand of the residents and reproducing the basement space in the existing collective residential complex. This study is aiming at the presentation of developmental model for community center by proposing the spatial elements and design that meets the various demands of resident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ommunity space based on the understanding, and it is scheduled to make a progress on the study following the method and process as follows.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lies in planning the community center in collective residential complex which the people from neighborhood as well as the residents may easily approach and use it comfortably, by analyzing examples of the home and abroad community centers and the community space in the collective resident complex. The process and the detailed composit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In the chapter 2, it helped understand the theoretically basic foundation about a community through the general definition, composition elements, meaning and function of a community. In the chapter 3, as it was center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s mentioned in the chapter 2, the present status, necessity, composition elements and space type of a community in collective residential complex were classified, and the significance of the community in collective residential complex was searched for by analysing the desire of the space. In the chapter 4, as the next stage, the cases to which the community space was applied by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on the community space, so that the design method and expression techniques for community space planning might be deprived from it. In the chapter 5, the model for community space was presented based on such backgrounds. In conclusion, this study focussed on presenting the community space in the low-rise collective residential complex which is able to make the solution for the social and environmental problems by providing the environment and space, people and environment, space and the community generated by the space through the planning of community space to obtain the concrete schemes for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life. 집합주택은 주택 보급률 증가를 위한 공급차원 수단으로 자리 잡은 주택형식이다. 1960년대 이후 급속하게 진행된 산업화의 과정은 농촌에서 대 도시의 인구 집중화, 핵가족화 현상과 함께 급속한 도시화 과정을 동반하였다. 그 중에서도 서울과 그 주변 지역이 가장 심하여 정부와 지방단체, 그리고 관련 공공단체는 80년대 이후 아파트 단지 조성, 신시가지개발, 신도시 건설 등을 적극적으로 시행하였다. 그러나 이렇게 조성된 집합주거의 환경은 대부분 지나친 공급에만 치우쳐 단조로운 형태와 획일화된 공간만을 창조해왔다. 집합주거단지 계획에 있어서 1차적으로 단위세대의 내부 공간 계획 및 마감재에만 치중한 나머지 단지배치는 법적 한도 내 최대 용적률로 채워 우선배치하고 2차적으로 주차장 공간을 확보, 배치한 후 접근성이 나쁜 자투리 공간에 최소한의 어린이 놀이터와 휴게시설을 배치하고 거의 쓸모없는 자리에 법적 규정의 녹지 공간을 계획하였다. 이는, 결국 집단속에서 개인의 아이덴티티를 상실하고 각 세대의 독립성과 폐쇄성이 높아져 이웃과의 단절과 고립으로 인한 인간의 소외감과 공동체 의식의 결여와 같은 정서적, 사회적 문제를 야기 시켰다. 집합주거 단지에서 발생하는 이와 같은 문제들을 본 집합주거단지 내 커뮤니티 공간 디자인 연구를 통해 해결하고자 한다. 따라서 집합주거단지의 커뮤니티 공간 계획에 있어 거주자의 커뮤니티 의식과 요구를 반영하여 기존 집합주거단지 내에 지하공간을 재생하여 커뮤니티 공간을 새롭게 창출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커뮤니티공간을 분석하고 거주자들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공간요소와 디자인을 제안함으로서 커뮤니티 센터의 발전적 모형 사례를 제시하고자 하며, 다음과 같은 방법과 과정으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국, 내외의 커뮤니티센터와 집합주거단지내의 커뮤니티 공간들의 사례들을 분석하여 거주자들 뿐 아니라 근접해 있는 주민들의 접근이 용이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집합주거 단지 내 커뮤니티 센터를 계획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연구의 진행과 그 세부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 2장에서는 커뮤니티에 대한 일반적인 정의 및 구성요소, 의미와 기능을 통해 커뮤니티에 대한 이론적인 기본토대에 대해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제 3장에서는 2장에서 거론되었던 커뮤니티의 이론적 배경을 중심으로 , 집합주거단지 내에서 커뮤니티의 현황과 필요성 및 구성요소와 공간의 유형을 분류, 또한 공간에 대한 요구를 분석하여 커뮤니티가 집합주거단지 내에서 갖고 있는 의의를 찾는다. 제 4장에서는 다음 단계로 커뮤니티 공간에 대한 이론적 고찰로 커뮤니티 공간이 적용되어 있는 사례를 분석하여, 커뮤니티 공간 계획을 위한 디자인방법 및 표현기법을 도출하였다. 제 5장에서는 그러한 배경을 기본토대로 커뮤니티 공간의 대한 모델을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삶의 질적 향상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위해 커뮤니티 공간을 계획하여 환경과 공간, 인간과 환경, 공간과 공간에 의한 커뮤니티에 의해 사회적, 환경적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저층 집합주거 단지 내 커뮤니티공간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