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학생 부모의 스트레스와 우울에 대한 연구 : 사회적 지원, 자기효능감, 행복과의 관계 분석

        곽수정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55

        이 연구의 주된 목적은 초등학생 부모 집단별 스트레스 관리행동의 차이, 스트레스 증상 및 대처의 차이, 우울의 차이를 분석하고, 스트레스 및 우울과 관련 변인의 관계를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초등학생 부모 308명(남 154명, 여 154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으며, 측정도구의 신뢰도는 α = .82~.94로 양호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 가정경제수준별, 직업성취도별, 자녀학업성취도별로 스트레스 관리행동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직업성취도 집단별 자녀양육스트레스에서 p<.05 수준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직업에서 실패했다고 느끼는 집단이 더욱 자녀양육스트레스를 경험하였다. 그러나 성별, 가정경제수준별, 자녀학업성취도별로는 스트레스 증상과 대처에서 차이가 없었다. 셋째, 직업성취도별로 우울에서 p<.001 수준의 유의한 차이가 있어, 직업 실패집단이 더욱 우울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 가정경제수준별, 자녀학업성취도별로는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다. 넷째, 스트레스 증상, 자녀양육스트레스는 스트레스대처효능감 및 어려움극복효능감과 부적관계에 있었으며, 배우자의 사회적 지원 및 행복과도 부적관계에 있었다. 그러므로 자기효능감이 높고 배우자의 사회적 지원을 많이 받을수록, 스트레스 증상과 자녀양육스트레스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우울은 스트레스대처효능감 및 어려움극복효능감, 행복, 배우자 및 직장동료의 사회적 지원과 부적관계에 있었다. 그러므로 배우자 및 직장동료로부터 사회적 지원을 받고 효능감이 높을수록 우울한 정도가 낮았다.

      • 큐티즘 키덜트 특징을 활용한 네일아트 디자인 : 디즈니 애니메이션 이미지를 중심으로

        곽수정 東新大學校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큐티즘 키덜트 특징을 활용한 네일아트 디자인 -디즈니 애니메이션 이미지를 중심으로- 곽 수 정 동신대학교 대학원 뷰티미용학과 (지 도 교 수 : 강 은 주) ( 국 문 초 록 ) 오늘날 현대인들은 치열하게 반복되는 지루한 생활속에서 자신의 만족을 위해 현실에서 벗어날 수 있는 유희의 대상을 찾는다. 근래에는 어린아이들의 것은 유치하다는 생각이 사라지며, 성인들이 어린아이의 심리상태로 돌아가고 싶은 욕구로 인해 성인들의 문화에 어린이의 동심이 깃들어 있는 상품들이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어린아이와 같은 순수함을 쫓는 성인들은 동심이 깃든 물건들을 통해 재미와 익살을 추구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변화의 흐름에서 가장 주목받는 문화는 키덜트 문화이다(문연옥, 2008). 이들은 어린아이와 같은 감성을 지닌 성인들을 뜻하며, 성인이 된 후에도 어린시절의 떠올리는 경험을 기초로 하여 상품을 구입함으로써 심리적인 안정과 여유를 취하려고 하는 어른들을 일컫는다. 이러한 키덜트 문화중 큐티즘 키덜트는 귀여운 캐릭터 상품을 보여주고 자신도 귀엽고 예쁘다는 얘기를 듣고 싶어하는 외모 지향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다. 최근에는 큐티 열풍이라 불릴 정도로 귀여움의 가치가 중시되고 있다. 큐티즘은 단순히 심미적인 것 보다는 정서적 차원으로 승화되고 키덜트 아이템 소비를 통해 얻고자 하는 최종 가치이다(배민희, 2008). 이런 큐티즘 키덜트의 특징을 가장 잘 반영하고 있는 대표적인 것은 디즈니 애니메이션이다. 디즈니 애니메이션은 아이뿐만 아니라 어른들까지도 만족시키고자 노력한다. 어린 시절을 추억할 수 있는 꿈과 환상, 즐거움과 흥미를 느낄 수 있도록 장소와 감정적인 이입을 제공하며, 모든 것을 보여주지 않고 상상의 여지를 남겨 적극적인 사고를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이유로 어른들을 타깃으로 한 제품들에 디즈니 애니메이션의 이미지가 차용되고 있다. 최근 들어 네일아트 분야 또한 트랜드를 반영한 이미지들을 모티브로 차용하여 창의적인 디자인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개발한 네일아트 디자인은 다양한 기법과 재료들을 사용하여 시술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큐티즘 키덜트의 특징이 반영된 디즈니 애니메이션 이미지를 적용하여 네일아트 디자인을 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향후 독창적이고 창의적인 네일아트 디자인 개발의 지표를 제안하는 데 그 목적이 있으며, 고객들이 선호하는 트랜드를 발 빠르게 네일아트와 접목함으로써 네일아트 디자인 연구에 기초자료를 제시하고 네일아트 산업 발전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큐티즘 키덜트, 디즈니 애니메이션 이미지, 네일아트 기법 등의 이론적 연구를 위해 선행논문과 문헌을 중심으로 고찰하였으며, 연구를 위한 다양한 사진 자료를 인터넷 포털사이트와 전문서적에서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분석한 내용을 기초로 큐티즘 키덜트의 특징을 가장 잘 나타내고 있는 디즈니 애니메이션 중 6개를 선정하여 각 이미지를 모티브로 네일아트 디자인을 설계하였다. 설계한 디자인은 UV 젤을 사용한 네일아트 표현기법 중 7가지를 적용하여 작품으로 제작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작품 Ⅰ은 미녀와 야수 이미지를 모티브로 큐티즘 키덜트의 특징인 화려한 공주풍의 이미지와 밝고 순수한 느낌을 표현하였다. 전체적으로 핑크와 파스텔톤의 보라색과 노랑색을 사용하여 여성스러운 이미지를 강조하였다. 야수로 변한 왕자와 지혜로운 벨의 아름다운 모습을 핸드페인팅 기법으로 표현하였고, 마법에 걸린 장미와 주전자는 마블 네일아트 기법을 이용하여 전체적인 디자인의 완성도를 높였다. 작품 Ⅱ는 겨울왕국 이미지를 모티브로 큐티즘 키덜트의 특징인 밝고 부드러운 느낌의 이미지로 제작하였다. 큐티즘 키덜트의 특징인 동글동글하고 어린아이의 몸 비율처럼 몸통과 얼굴의 비율이 거의 똑같은 이미지를 부각해 공주들의 얼굴을 핸드페인팅 기법으로 그려 넣었다. 전체 뒷 배경은 그라데이션 네일아트 기법으로 밝은 부분에서 어두운 부분으로 표현하여 자연스러운 느낌을 주었고, 베이스 위에 겨울왕국의 눈꽃 송이와 울라프, 겨울나무 등을 표현하여 밝은 느낌을 강조하여 표현하였다. 작품 Ⅲ는 백설공주 이미지를 모티브로 큐티즘 키덜트가 추구하는 화려하고 예쁜 공주풍의 특징을 스톤 네일아트 기법을 사용하여 표현하였다. 귀엽고, 부드러운 외형의 백설공주의 아름다운 모습은 핸드페인팅 기법을 이용하여 표현하였고, 팁 위쪽으로 스톤 네일아트 기법으로 장식하여 아름다운 공주가 부각 되도록 표현해보았다. 왕비의 거울과 사과는 반짝이는 스톤을 이용하여 화려함을, 일곱 난쟁이 중 한명의 캐릭터 이미지를 핸드페인팅 기법으로 표현해 큐티즘 키덜트의 귀여움을 표현하였다. 작품 Ⅳ는 인어공주 이미지를 모티브로 큐티즘 키덜트의 특징 중 깜찍하고 귀엽고, 사랑스러운 이미지를 표현하였다. 가족 몰래 인간세계로 모험하는 호기심 많은 인어공주의 꼬리 쪽 비늘, 물고기는 핸드페인팅 기법으로 포인트를 주었으며, 재료의 제한성을 극복하고 고정관념에서 벗어난 네일아트를 표현하고자 스터드 네일아트 기법을 적용하여 사랑스럽고 귀여운 이미지를 강조하였다. 작품 Ⅴ는 알라딘 이미지를 모티브로 큐티즘 키덜트의 특징인 밝고 화려한 이미지를 표현한 작품으로 블루 미러파우더를 사용하여 반짝임을 강조해 보았다. 사랑스러운 자스민 공주와 알라딘이 같이 있는 얼굴, 파란 피부와 밝은 표정의 지니는 가장 기본인 핸드페인팅 기법을 이용하여 섬세하게 그려보았고, 전체적으로 미러파우더의 반짝이는 광택을 베이스로 활용하여 화려함과 밝은 이미지를 나타내 보았다. 작품 Ⅵ는 신데렐라 이미지를 모티브로 큐티즘 키덜트의 특징인 사랑스러운 소녀 감성 이미지를 표현하였다. 큐티즘 키덜트의 대표적인 색인 파스텔 톤의 핑크색을 주요 색상으로 선정하였고, 공주의 얼굴, 호박마차, 유리구두, 시계는 핸드페인팅 기법으로 그려 넣었다. 또한 전체적으로 유리조각 필름을 베이스로 제작함으로써 사랑스러운 이미지를 강조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기존의 단순한 네일아트 디자인에서 탈피하여 새로운 트랜드인 큐티즘 키덜트의 특징을 적용한 창의적이고 독창적인 네일아트 디자인 작품을 제작함으로써 네일아트 디자인의 무한한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네일아트 디자인의 발전과 더 나아가 네일아트 산업의 발전이 지속하길 기대한다. 반면, 향후 후속 연구에서는 개발한 작품을 실제 고객들에게 적용한 실증적인 만족도 조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지속적으로 최신 트랜드를 분석하여 고객들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네일아트 디자인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A Study on Nail Art Design Using The Cutiesm Kidult Characteristics - Focus on Disney Animation Images- Kwak, Su-Joung Dept. of Beauty Art, Graduate School of Dongshin University (advisor: prof. Kang, Eun-Ju) Modern people are searching for objects of entertainment to get out of monotonously repetitive reality and bring satisfaction to their living. As adults began to abandon the way of thinking that children's things are childish and want to regain innocence like children, goods representing child's feeling began appearing in adult culture. Adults who are pursuing for innocence like children are also pursuing for fun and humor through the goods. In such social change, the hottest culture is kidult culture(Moon, Yeon-Ok, 2008). It indicates the culture of adults with feeling like children and after they grow to be adults, they intend to purchase goods based on experiences that they had when they were young in order to gain psychologically stable and peaceful mind. In respect to the kidult culture, cutiesm kidult is characterized by appearance-oriented nature that adults show cute character goods to others and want to hear they are cute and pretty. Recently, the value of cutiesm has been increasing as the cutiesm is one of the hottest trends. The cutiesm is sublimed into emotional level rather than just esthetic as the final value people want to gain through consumption(Bae, Min-Hee, 2008). It is Disney animation that reflects such cutiesm kidult characteristics very well. Disney animation is trying to satisfy even adults as well as children. It shows places of dream, fantasy, joy and fun that can remind adults of childhood and provides room for active imagination rather than showing reality as it was. Therefore, images of Disney animation have been applied for goods targeting adults. Recently, nail art has borrowed images that reflect the trend as a motive to develop creative designs and the nail art designs developed are presented with the uses of diverse techniques and materials.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speculate on nail art design using Disney animation images that reflect characteristics of cutiesm kidult and present indexes of unique and creative nail art design development. It was also to provide basic data for studies on nail art design and make a contribution to development of nail art industry by grafting the trend preferred by clients into nail art. As for the study method, this study investigated previous studies and bibliographies on cutiesm kidult, Disney animation images and nail art techniques and analysed diverse photographic data obtained from Internet portal sites and technical book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is study selected six of Disney animations that represent cutiesm kidult characteristics and created nail art designs using the images selected as motives. Seven nail art techniques using UV gel were applied for the designs. The results are presented as follows: Nail Art Design Ⅰ expressed the bright and innocent image of princess as one of cutiesm kidult characteristics with a motive of the Beauty and Beast. Pink, pastel-type purple and yellow colors were used to emphasize feminine image. The beast-prince and beautiful and wise image of Belle were expressed with the use of hand-painting technique. The enchanted rose and the teakettle were expressed with marble nail art technique. Nail Art Design Ⅱ was expressed to have a bright and soft image that was one of cutiesm kidult characteristics with the motive of The Frozen. the princess' faces were hand-painted on nail to have the same ratio of body to face like cute and chubby children. The background was naturally expressed in gradation from light to dark. Over the base, snowflakes, Olaf and winter trees of the Frozen were brightly emphasized. Nail Art Design Ⅲ expressed a princess-type characteristic cutiesm kidult pursues for using the stone nail art technique. The cute and pretty appearance of Snow White princess was expressed with the use of hand-painting technique. The tip of a nail was decorated with stone art to highlight the princess. For splendid images of the Queen's mirror and apple, shiny stones were used. One of the Seven Dwarves was expressed in a cute way with the use of hand-painting technique. Nail Art Design Ⅳ expressed the cute and lovely image of the Little Mermaid who was curious to explore human world without the knowledge of her folks. The scales in the tail and were highlighted with the use of hand-painting technique. Diverse materials such as studs were used to emphasize lovely and cute image, through which limited and fixed ideas in materials were overcome. Nail Art Design Ⅴ expressed the bright and splendid image of Aladdin with the use of blue mirror powder. Adorable faces of princess Jasmin with Aladdin, their blue-colored skin and radiant facial expressions were delicately expressed with the hand-painting technique. Brilliance of mirror powder was used as a base for a splendid and radiant image. Nail Art Design Ⅵ expressed the lovely girl-like image of the Cinderella. Pastel-type pink as one of the representative colors in cutiesm kidult was selected as a central color, and the princess' face, the pumpkin carriage, glass shoes and a watch were expressed with the use of hand-painting technique. The base made of glass pieces film emphasized lovely image. This study had a meaning in that it appli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tiesm kidult for creative and unique designs of nail art instead of existing simple design and discovered that possibility of nail art design is infinite. Based on the results above, it is expected that nail art industry will continue developing. Also, this study suggests that further studies should investigate satisfaction in the designs developed in this study and continue to analyse recent trends to increase clients' satisfaction.

      • 지역 커뮤니티연극연구 : 경기도 5개 도시의 예술가주도형 커뮤니티연극을 중심으로

        곽수정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639

        동시대 연극의 사회적 역할과 흐름에 있어 지역 커뮤니티연극은 주요한 기점에 위치하고 있다. 후기 포스트모더니즘의 시대를 지나 새로운 극 장르의 가열한 실험과 변화 속에 과연 연극은 어떻게 우리의 삶 속에서 기능하는가? 무대 표현양식에 있어 재현과 비재현의 혼합, 영상과 무대의 일치, 춤과 연극의 혼합 등 동시대 극예술은 다양한 형태로 변화하고 있으며 장르 간 혼합과 융합의 흐름 속에 있다. 그러한 과정에서 예술가들이 예술의 공공성에 관하여 고민하게 되고 공공성과 예술성의 조화와 균형을 위한 시도들이 있어 왔다. 그 중에서도 포스트드라마적 요소로서 뉴다큐멘터리 연극, 버바텀 연극, 장소특정형 연극등은 그 표현에 있어 ‘자기이야기 하기’, ‘자기 표현’, ‘수행자로서의 배우’등의 요소로 다양한 장르의 세분화와 전문성이 두드러지는 시대에 우리는 살고 있다. 예술의 생활화, 생활의 예술화라는 모토 아래 예술가는 보다 현실적이고 사회기능적인 역할을 제안 받고 있다. 이러한 흐름과 경향에 따라 지역 커뮤니티연극은 발아하고 생성하고 성장하고 있다. 그러한 조건에는 연극성, 공간성, 지속적인 기업의 후원, 지역민 예술가, 그리고 인력양성을 위한 교육 등의 조건이 필수적이다. 지역커뮤니티연극에 대한 탐색과 발전방향에 대하여 제시하고자 연구자는 경기도의 5개 지역을 중심으로 예술가주도형의 지역 커뮤니티연극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경기도내 위치하고 있는 가평군, 안산시, 광주시, 화성시, 의정부시의 각 도시들은 주요 예술가 중심으로 작게는 커뮤니티연극으로 시작, 주도적으로 연극기반도시를 형성하거나 새로운 연극공간을 창출하고 여전히 지역민들과 함께 커뮤니티연극의 지속성을 위해 고민하고 실험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커뮤니티연극의 배경과 개념을 고찰함에 앞서 커뮤니티아트, 커뮤니티미술, 공공미술의 형성배경과 개념에 관하여 알아보고 국내와 국외의 커뮤니티연극 선행사례를 살펴보았다. 국내의 경우, 국민대학교와 성북동 북정마을에서 이루어졌던 <월월(越축-Wall)축제>, 영등포구 문래동의 예술가와 주민들과의 협업으로 이루어졌던 <경계없는예술프로젝트>, 그리고 마포문화재단의 <꿈의 연극>의 사례를 살펴보았다. 마을사람들과 지역사회의 학교 및 관단체가 서로 협업하여 연극을 만들어 가는 과정에서 예술가, 지역민, 수행자들 모두 서로의 삶에 영향을 주고 더불어 마을의 정체성을 탐색하는 사례로 의미있다 하겠다. 해외 사례의 경우 스코틀랜드의 7:84극단, 일본의 토가산방, 그리고 미국 콜롬비아대학 부설연구소 커뮤니티예술 파트너쉽센터의 지역 커뮤니티연극관련 프로젝트를 살펴보았다. 7:84극단의 경우, 주류 연극 밖에서 대안문화가 형성될 수 있는 적합한 장소를 찾아 노동자들의 공간, 마을회관 등에서 특정 사회주의 메시지를 담아 순회 공연하였다. 즉 노동계급의 문화를 하나의 대안 문화로 형성하기 위해서였다. 이전 사회주의가 겪었던 실패, 조직화되지 않은 혁명의 실패를 극복, 사회 변혁을 이끌어 내고자 하는 일관된 흐름이 있었다. 일본의 토가산방의 경우, 스즈끼 타다시라는 연출가가 지역의 오지로 들어가 예술가 고유의 예술세계를 형성하고 초반의 지역민들과의 마찰을 극복, 지속적인 창작활동을 통하여 세계적인 연극 예술촌으로 자리 잡았다. 콜롬비아대학 부설연구소 CCAP의 경우, 대학의 커뮤니티연극관련 교과목을 개설하여 해당 대학생들이 지역으로 파견실습을 나가는 프로그램이 있다. 지역의 특정 청소년들과 커뮤니티연극을 진행하는 프로그램으로 다양한 단체와의 협업 아래 이루어진다. 이러한 과정에서 대학교와 대상자 청소년들 사이에는 다양한 매개자들의 관계가 형성되고 자원봉사활동, 멘토·멘티의 역할이 형성되어 지역 내 문제를 순화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다. 지역내 대학과의 연계가 커뮤니티연극에서는 하나의 롤모델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경우라고 할 수 있다. 프로젝트에 참여한 대학관계자, 지역의 청소년들, 티칭아티스트로서 참여한 대학생들 모두에게 의미있고 가치있는 커뮤니티 연극활동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국내및 국외의 선행사례를 통하여 지역 커뮤니티연극의 다양한 형태와 가능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기존의 국내에서 이루어졌던 커뮤니티연극에서는 관주도, 혹은 예술가주도의 기획된 커뮤니티아트가 마을사람들에게 침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으며 관과 예술가가 주도권을 갖고 미리 기획된 과정 중심의 프로젝트였음을 알 수 있다. 관과 예술가주도형의 프로젝트는 지역에서는 한계를 가지기 마련이라고 본다. 자생적으로 이루어지고 스스로 동기를 가지고 커뮤니티연극이 이루어진다면 보다 지속적인 활동이 가능할 것이나 지역민 스스로 커뮤니티를 형성하고 프로그램을 주도하고 발전해 가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이러한 시점에서 바로 그 지역에 상주하는 예술가의 존재가 매우 중요한 지역 커뮤니티연극의 요소이다. 지역에 상주하는 지역민으로서의 예술가는 보다 지속 가능한 커뮤니티연극을 이끌어 가는데 유리한 지점에 있고 커뮤니티연극발전에 많은 잠재력과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예술가는 지역의 물리적, 역사적, 지리적 공간을 탐색하고 동시대의 주요 현안들, 현재의 시사점들과 접목하여 새로운 문제의식과 스토리텔링을 유추해 낼 수 있다. 그러한 시사점에 대하여 지역민들과 주기적으로 협의하고 논의함으로써 보다 실질적인 문제해결점을 찾고 동일한 주제로 커뮤니티연극을 공연함으로써 지역의 현안을 이슈화 하고 새로운 주제를 도출하며 지역의 정체성을 드러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대표적 사례로는 경기도 화성시의 민들레연극마을 송인현대표를 들 수 있다. 그는 송씨 집성촌으로 들어가 마을의 지리적, 역사적 공간을 탐색하고 지역민들과 함께 다양한 프로그램을 유치, 수행하면서 마을의 주요 현안들을 오랜 시간동안 탐색, 동시대의 문제의식을 드러내는 작업을 지속적으로 해왔다. 그리고 경기도 광주시의 이기복 대표 또한 ‘청석에듀씨어터’라는 교육연극 기반시설을 설립하고 지역 내 계층별, 세대별 연극동아리및 교육프로그램을 연중 운영하면서 지역을 대표할 만한 작품인 <달을 태우다(조두현작/이기복연출)>를 매년 발전시켜 나가고 있다. 또한 연구자 역시 의정부 지역내에서 ‘학교에연극을심는사람들’, ‘마을씨어터골드’, ‘씨어터홀릭’등의 커뮤니티연극 단체및 동아리를 구성하고 <뉴다큐멘터리극 백삼동쓰리GO!>, <버바텀연극 홍당무>, <사회적경제뮤지컬 함께 살 길>등의 작품을 꾸준히 창작, 공연하고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예술가와 지역민이 함께 소통하고 지역의 문제에 관하여 협의하고 작품으로 목소리를 냄으로 참가자들 모두의 삶에 영향을 주고 스스로 성찰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과정에서 관련 관 단체의 공무원이 매개자로서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점도 짚고 넘어가야 할 부분이다. 지역 커뮤니티를 형성하고 수행하는 과정에서 지역민, 예술가, 매개자로서의 공무원, 매개자로서의 예술가들은 서로의 관계들이 확장되고 지역에 대한 관심이 커지며 지리적, 역사적 공간에 대한 관심도 함께 증가하는 것이다. 하나의 국가사회 안에 작은 구성원들이 모여서 예술적 성취를 이루기 위한 최소한의 조건들을 만들기 위해 서로의 환경과 관계에 대하여 고민하고 조율하면서 성장할 수 있는 것이다. 경기도는 이재명 경기도지사의 취임과 더불어 ‘사회적 경제’, ‘공동체 활성화’라는 주제와 함께 지역 발전의 기반을 쌓아가고 있다. 이러한 대 주제 아래에서 과연 커뮤니티연극은 어떻게 발아하고 성장할 수 있는지 살펴보는 과정에서 경기도 교육청의 <경기 꿈의 학교>, <꿈이음아트프로젝트>, 경기문화재단의 <토요꿈다락문화학교>, <지역특성화사업>에 관하여 알아보았다. 또한 경기도내 1,568 2018년 6월 30일 경기도 작은도서관 현황기준. 군데에 달하는 작은도서관을 다양한 문화예술동아리, 지역 커뮤니티연극의 안착지로서 활용하는 방안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러한 단체들의 지원사업과 프로젝트를 활용하는 과정에서 참여자, 대상자들은 연극을 체험하고 연극의 예술성을 향유하며 삶의 변화를 유도할 수 있다. 또한 공연을 관람하는 가족, 동료, 친지 등 모두 미래의 잠재된 연극관객이 되는 것이며 그러한 지속적인 연극활동을 통해 연극 전문인력의 확대, 지역현안에 대한 탐구와 관심의 확대, 우수레퍼토리의 형성에 따른 예술촌의 형성, 그리고 그에 따른 관광과 경제적 발전까지 기대해 볼 수 있는 것이다. 이번 논문은 경기도라는 한정된 지역 내에서도 5개 지역에 관한 연구에 그쳤지만 향후 경기도의 여타 시군 및 전국의 주요 지역에서의 두드러지는 커뮤니티연극에 대한 연구, 그리고 각 지역간 커뮤니티연극의 연계와 공유, 참여자와 예술가의 협업 및 연계를 통하여 드러나는 극적 다양성, 공무원 매개자와 예술가 매개자간의 역할 분담의 전문성등 순화하는 지역 커뮤니티연극연구를 과제로 더욱 연구에 정진하고자 한다. Local community theater holds a critical position in the role and stream of contemporary theatre. Following the post-modernism era of heated experiments and transformation, how does drama function in our lives? Contemporary drama is in the flow of mixture and fusion and is changing in various forms regarding theatrical expression style, such as the blend of presentational and representational performance, the unity of video and stage, the combination of dance and theatre and so on. In the process, artists have been concerned about the publicness of art and there have been attempts to balance and harmonize publicity and artistry. Among them, as post-dramatic factors, new documentary plays, verbatim plays and site-specific plays use elements of 'self-narrative', 'self-expression' and 'actor as performer' for the expression, leading us to an era where the segmentation and expertise of various genres are prominent. Under the motto of practicing ‘life in art and art in life’, artists are offered a more realistic and socially functional role. In this tendency, local community theatre is sprouting, generating and growing. For such conditions, theatricality, space, sustained corporate sponsorship, local artists, and manpower training are essential. In order to present the exploration and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local community theater, this paper examines artist-driven local community theaters focusing on five regions of Gyeonggi province;  Gapyeong, Ansan, Gwangju, Hwaseong, and Uijeongbu. Centered on leading local artists, the respective cities have initiated community plays, formed a theater-based city, created a new theater space, and all are still contemplating and experimenting on the continuity of community drama with the locals. Before examining the concept and background of community theater, this article searches on the concepts and the formation background of community art, community fine art and public art, and examines the domestic and foreign precedents of community theater. Domestic cases include; <Wallwall(越-wall) Festival> held at Kookmin University at Seongbuk-dong, <Borderless Art Project> realized by the collaboration of artists and residents of Mullae-dong, Yeongdeungpo-gu, and the Mapo Cultural Foundation's <Dream Theater>. These are meaningful examples of villagers, schools and organization groups collaborating to stage a play, and artists, local residents and performers all influencing each other and exploring the identity of the village as a result. For foreign cases, projects related to local community theater at the 7: 84 Theater group in Scotland, the Suzuki Company of Toga in Japan, the Center of Community Arts Partnerships(CCAP) of Columbia College in the United States have been the subjects of study. In the case of 7: 84, the group found suitable places where alternative cultures could be formed outside the mainstream theater, such as workers' spaces and town halls, and toured with specific socialist messages. This was to develop the working class culture as an alternative culture. A consistent flow of attempts were made to overcome the failure of previous socialism- the failure of an unorganized revolution- and to bring social transformation. In the case of the Suzuki Company of Toga in Japan, director Suzuki Tadashi entered a wilder region of the country, formed his own artistic world, overcame the initial hostility of the local residents, and built a global theater village through constant creative activities. In the case of CCAP, the Colombia college practically conducts community plays with local youths by dispatching students from the community theater-related courses to the region. Various relationships of intermediaries are formed between the college and the target youth in this process, and volunteer activities, mentor and mentee roles are formed, playing a role in purifying the problems of the region. This case is a good example of an association of the community theatre and the regional college. This became a meaningful and valuable community theater activity for the college officials, the local youth, and the college students participating as teaching artists. Hitherto, various forms and possibilities of local community theater were examined in domestic and foreign precedents. In the existing community drama in Korea, community art, planned and led by government offices or by artists, took the form of penetrating the villagers. This is seen as a process-oriented project in which government offices and artists have the initiative and plan beforehand. However, these projects seem to have limitations in the region. A relatively continuous activity would be possible if community drama is carried out on its own and motivated by itself, but it is very rare that local residents themselves form a community, lead and develop programs on their own. At this point, the presence of a local resident artist is regarded as an important factor of community theater. As local residents, local artists are in an advantageous position to lead a more sustainable community production and they have a lot of potential and possibility for the development of community theater. The artist can explore the physical, historical, and geographical spaces of the region and can derive new awareness and storytelling by incorporating major contemporary issues and current implications. Thus, by regularly consulting and discussing such implications with the local people, a practical solution of the related issue could be derived, or community plays on such topics could expose the issues, draw out new topics, and reveal the identity of the region. One notable example is Song In-hyun, a representative of Dandelion Theatre Village in Hwaseong City, Gyeonggi Province. He explored the geographical and historical spaces of Songje village, and he attracted and carried out various programs with the locals and persistently explored major issues of the village, revealing critical attitudes on contemporary issues. Lee Ki-bok, the establisher of an educational theater facility called "Chungsuk Edu Theater" in Gwangju city in Gyeonggi province, operates regional drama clubs and educational programs all year round, while constantly developing a local representative play <Burning the Moon>, written by Cho Du-hyeon and directed by Lee Ki-bok. As an another example, my works of organizing community theater groups such as ‘Those who plant theatre at schools’, ‘Village Theater Gold’ and ‘Theater Holic’ within the Uijeongbu area is worth mentioning, and I have constantly created and performed shows such as the New Documentary Play <103 Dong three GO!>, the Verbatim Play <Hongdangmu> and the Socio-economic Musical <The way to live together>. The results show that the artist and the locals coul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discuss local issues and voice them through the works in the process, thereby influencing the lives of all the participants as well as reflecting on themselves. In addition, it should be pointed out that the civil servants of related organizations can be of practical help as intermediaries in this process. In the process of forming and executing local communities, local people, artists, public servants as intermediaries, and artists as intermediaries can expand their relations, become more interested in the region, and increase their interest in the geographical and historical space. Namely, in order to create the minimum conditions for attaining artistic achievement, members of a smaller unit of a national society can grow together by coordinating and contemplating on their environment and relationships. With the inauguration of governor Lee Jae-Myung, Gyeonggi Province is building the foundation for local development with the theme of 'social economy' and 'community revitalization'. Under these major topics and in the course of examining how community theater can sprout and grow, the research involves ‘Gyeonggi Dream School’ and ‘Dream connection Art Project’ of Gyeonggi Education Office and ‘Saturday Dream Attic Cultural School’ and ‘Local Characterization Project’ of Gyeonggi Cultural Foundation. The research also contemplates on an environment that helps the community arts and local community theatre by exploiting Based on the status of small library in Gyeonggi Province on June 30th 2018 1,568 small libraries in Gyeonggi province. In the route of making practical application of these groups’ support projects, the participants and subjects can experience and enjoy the artistry of theatre and induce change of life. Furthermore, family, friends, and relatives who watch the performances become future potential theater audiences and through such continuous theater activities, it will be possible to increase theater specialists, explore the local issues, expand interest and consequently tourism and economic development can be anticipated. Although this study is restricted to five areas within the limited area of Gyeonggi province, I would like to devote the research project henceforth on the study of refining local community theatre, through examining: on prominent community theater in other cities and regions of Gyeonggi Province and other parts of the country, on linking and sharing community theatre between regions, on dramatic diversity manifested through collaborations and connections between participants and artists, on the specialization of role allocation between civil servant mediators and artist mediators and so on.

      • 제7차 교육과정 개정안에 따른 실생활 활용 소재 연구 : 고등학교 수학1의 행렬과 그래프 단원을 중심으로

        곽수정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thesis sets its aim at having readers realize that many mathematical examples in our real life provide students with the capability of self investigation and creative thinking which is heavily emphasized in the 7-th curriculum revision. We first analysed those examples related to the matrix and discrete mathematics sections of the 7-th curriculum. Bayed upon its conclusion, we recommended various examples through which students might be motivated to participate more actively in the classroom activity. Finally, we looked into those examples that could improve the class into a more meaningful one in which students study matrix and graph sections with more diverse and creative activities. 본 논문은 제7차 교육과정 개정안에 따른 실생활 활용 소재 연구로 생활 속에서 수학이 사용되어지는 소재를 제시함으로써 학생 스스로 탐구하고 활동을 통하여 창의적으로 사고하는 능력을 얻기 위한 중요한 과제임을 인식시키고자 한다. 본 논문의 목적을 위해 제7차 교육과정의 행렬과 이산수학 단원에 대한 실생활 관련 문제를 분석하였다. 이에 따른 결과를 통해 앞으로 시행되어질 개정안의 행렬과 그래프 단원에 대하여 학생들이 흥미를 느끼며, 적극적으로 수업에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소재들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행렬과 그래프’ 단원의 교육에 있어서 학생들에게 보다 다양하고 창의력을 요하는 탐구활동 및 수행과제로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수업이 될 수 있도록 실생활 활용 소재들에 대해 연구하였다.

      • 유휴(遊休)공간의 문화공간화를 위한 콘텐츠 연구

        곽수정 국민대학교 2007 국내박사

        RANK : 248639

        정부는 2015년까지 세계 10대 문화강국으로 올라서는 것을 목표로 감성적 문화콘텐츠 기술을 확보하려 하고 있다. 21세기 주력산업이며 미래형 핵심기술인 문화콘텐츠를 기반으로 세계화에 부응하는 국가 경쟁력을 키우려는 것이다. 다양한 문화콘텐츠는 양질의 문화를 가능케 하는 밑거름이다. 이 논문은 우리 사회가 요구하는 다양한 문화콘텐츠 개발에 대한 연구다. 문화콘텐츠산업은 선진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성장동력이다. 문화산업은 삶의 풍요로움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산업적인 효과도 낳는다. 또한 문화적 역량이 경제와 사회발전의 토대를 이루기 때문에 문화예술 분야의 중요성은 계속 증대하고 있다. 현대인들의 삶에 대한 주된 관심사는 ‘생존이 아니라 여가를 위해 일한다’라고 할 정도로 일이 아닌 여가로 이동하고 있다. 현대인들의 주된 관심사가 여가와 삶의 질(quality)로 이동하는 것은 소비의 변화과정을 통해 알 수 있다. 현재 각종 스포츠나 여행은 물론 영화나 미술품 관람 등 체험을 중시하는 서비스산업이 증가하고 엔터테인먼트 관련 산업이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산업의 다양화, 고급화,단기화, 감성화를 추구하는 소비자의 욕구에 걸맞은 콘텐츠를 개발하여 문화공간을 더욱 풍부하게 하는 데 그 의의를 둔다. 광의의 개념에서 콘텐츠는 온라인과 오프라인 전체를 포괄하는 문화산업의 하부구조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모든 문화산업시설에 대한 규정에서는 온라인과 오프라인, 그리고 물리적 시설(공간 콘텐츠)과 소프트웨어(프로그램 콘텐츠)의 조화로 이루어지는 것을 ‘문화공간’이라는 개념으로 정의하였다. 하지만 콘텐츠 디자인 분야는 온라인과 무선통신에 편중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온라인과 무선통신 공간(가상공간이나 각종 사이트의 커뮤니티 등)에 대해서는 디지털콘텐츠 관련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오프라인 공간(복합 문화시설 등을 포괄하는 개념의 문화공간을 콘텐츠의 관점으로 바라보는 것)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미흡한 상태다. 본 논문에서 다뤄질 범위는 물리적인 공간으로만 한정되었다. 근대화의 시기를 지나는 동안 유럽의 많은 국가들에서 산업화의 산물인 공장지대는 서서히 문을 닫게 되고 남은 건축물들은 도시의 흉물이 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산업시설들은 도시 환경문제의 주범이 되기도 하고, 산업시설이 들어선 지역은 우범지대로 전락하여 사회적 문제를 야기하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많은 국가들은 폐기된 산업시설, 즉 유휴공간을 박물관이나 미술관, 리조트, 레스토랑, 나이트클럽 등 다양한 형태의 문화공간으로 재생시키는 창조적 발상을 하게 되었다. 문화공간으로 재생된 유휴공간들은 대중들이 서로 소통하는 장소로서의 역할을 하게 되며, 나아가 지역의 활성화는 물론 경제적 발전으로 이어지면서 주목받기 시작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콘텐츠를 개발하여 산업의 급속한 변화로‘버려진 공간’이나 ‘쓸모없는 공간’으로 전락한 장소들을 문화의 장소로 거듭나게 한 곳으로 연구의 범위를 정했다. 즉 유휴(遊休)공간의 활용을 통해 문화적 공간으로 거듭난 재생(revitalization)의 성공사례를 연구하였다. 본 논문은 놀이의 관점으로 보는 문화공간의 새로운 영역 요구에 만족 되지 못하는 현실적인 문제제기를 통하여 대안공간으로서의 문화공간 조성이라는 제안을 하였다. 본 논문의 구성은 관련문헌조사를 통한 이론적 연구와 국내현황 및 해외의 성공적인 문화공간을 사례연구로 이루어졌다. 사례지 선정기준은 유휴공간 활용을 통하여 지역사회 또는 도시의 문화적, 환경적, 경제적 발전으로 이어진 경우, 그리고 지역주민의 적극적인 참여가 일어나고 일상적인 놀이문화공간으로서의 역할로써 충분한 장소인지의 여부이다. 해외사례는 크게 세 가지 관점으로 분류되는데 그것은 첫째, 예술창작활동 지원을 통한 자발적 발생. 둘째, 공장지대의 현대적 전환. 셋째, 문화공간 설립을 통한 낙후지역의 개발이다. 성공적인 문화조성을 위하여 해외 문화공간 재생의 성공사례를 통해 공간의 활용과 프로그램을 조사하고 유휴공간 재생을 통한 가치를 도출하고, 콘텐츠 평가기준을 통해 문화공간 조성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유휴공간 재생을 통한 가치는 지역, 도시간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역사적 상징물을 보존하고 공동의 랜드마크를 조성하며 나아가 지역의 환경문제를 극복하여 지역 정체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문화공간은 활발한 문화교류의 장소로 이어지며 놀이와 소통의 장으로 활용되는 경제적, 문화사회적 활성화로 이어짐을 알 수 있었다. 본 논문은 12군데 사례지의 문화공간을 프로그램콘텐츠와 공간콘텐츠로 분류하여 도표화 하였다. 문화공간은 놀이성, 교육성, 정체성, 장소성, 예술성, 환경성, 창의성으로 분류될 수 있었고 그중에서도 놀이성과 교육성이 가장 중요시되고 있었다. 유휴공간의 활용의 핵심은 과거의 시설을 무조건 허물고 새로운 공간으로 조성하는 것보다 산업의 흔적과 역사의 흔적에 대한 창의적인 시각과 접 The government has a goal of entering the "top 10 culturally developed countries" by the year 2015 and is trying to gather culture contents technology. It is trying to increase the national influence on the international society based on culture contents, which are said to be the developing technology of the 21th century. Diverse culture contents are the basis of a rich culture. This thesis is a project based on the development of the culture contents that our society is currently demanding. The culture contents industry is the key power for rising to the level of other developed countries. Culture not only offers us a rich everyday life, but also affects us commercially. Furthermore, because the cultural capacity of a nation is intimately related to its economy and social development, the importance of the culture arts field is increasing. Nowadays people say that they "work not to live, but to enjoy a happy leisure time." The Homo Ludens society that the Dutch historian Johan Huizinga first coined to explain the ‘playing human’ has come to reality. Huizinga asserted that, because there is meaning in play, essence in focusing on and getting excited about playing, playing as an individual term has meaning. The government, in response, is planning to fulfill the citizens’ desire for sports activities and good health by developing culture, leisure time activities and tour industries strategically. We can see that modern people are becoming interested in their qualities of life by looking at their consumption patterns. Professionals are forecasting that service industries which focus on experience, including various sports, traveling, movies, exhibitions will develop, and that entertainment industries will lead the future market. Therefore, this project tries to enrich the culture space by developing contents that can fulfill the diverse, high class, short term and sensible desires of consumers. One can say that the contents design field is focused on online and wireless communication. In a broad sense one could say that contents as a whole is a substructure of the culture industry which includes online and wireless communication. Therefore all culture industry facilities define both on and offline as ‘culture space’. This is because the media works as a medium based on communication. There are lots of digital-contents-related researches on the online and wireless communications whereas there are not so many researches on the offline space. Thus in this thesis, I limit the term of culture space as the physical space, especially spaces that were ‘worthless and barren’ which have, with the help of creative contents, become cultural spaces. In other words, I would like to explore the cases of idle grounds that have successfully been revitalized into culture spaces. The meaning of industrial facilities is changing due to the mutual understanding of the Industrial culture heritage, diversity and pluralism of the 21th century. The facilities, keeping their symbols and worth, are reborn through the creative ideas of architects and are becoming culture spaces to modern people. Museums and parks are born out of bleak facilities. Other facilities are reborn as spaces where function and culture coexist by adding art and high technology to the existing functions. This is creative industry itself. Various culture spaces may carry the function of visual medium, be a place where people communicate with people, or represent acity/country. A culture space is where people do cultural events. We, as social members, understand and express ourselves, our society and the world in this space. In a narrow perspective, culture space is a culture facility were local residents can naturally interchange arts and culture by communicating and playing. As more of these facilities are born, cities become lively and thus lead to the development of a nation’s culture. Coming to modern society, many companies in Europe have closed down their factories, leaving their facilities to harm and pollute the local environments. These facilities often become crime ridden districts, causing heavy social problems. In the 1990s, many countries have remodeled these old, left behind facilities into various culture spaces including museums, art galleries, resorts, restaurants, and night clubs. These countries have answered the citizens’desire and have created a place where people can communicate. Of the many culture spaces, museums and art galleries are preferred because they not only revitalize the local society, but also bring back tourist earnings. There are also projects concerning the remodeling of old facilities in Korea. Many factories in Seoul are becoming green areas and closed schools or mines outside of Seoul are being used as culture spaces by artists. However, this may cause the problem of artists using these spaces for a short term performance. Because using a culture space for only a short term of time may raise additional social problems, we should approach this situation carefully. Rather than removing everything from the past, we should creatively approach the traces of industry and history, thus developing various functions, programs and contents. This thesis explores international cases in which old facilities have successfully been remodeled into culture spaces. However, because Korea went through a different process of industrialization and modernization, it is difficult to apply these cases directly to Korean industries. Therefore this thesis, although exploring international cases, will present a capacity that Korea can handle and will also present a solution to designing culture space contents.

      • 메이크업·네일미용의 퍼스널 컬러 유형별 적용에 대한 연구 : -20대 여대생을 중심으로-

        곽수정 광주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639

        퍼스널 컬러 진단시스템은 감성 이미지 시대에 미적욕구를 충족시켜 개인의 이미지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메이크업·네일미용의 퍼스널 컬러 유형별 적용을 하기 위해 20대 여대생 235명을 모집하여 사전 조사집단의 퍼스널 컬러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았고, 퍼스널 컬러 유형별 봄, 여름, 가을, 겨울을 구분하여 연구에 참여할 유형별 적용대상자 20명을 선정하여 사전 조사집단과 적용대상자 측정 전·후의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20대 여대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상당수의 여대생들은 퍼스널 컬러 진단을 받아 본 적이 없었으며, 색채에 대한 관심도는 높은 것으로 나와 메이크업과 네일컬러링시의 퍼스널 컬러에 대한 중요함을 알 수 있고 퍼스널 컬러는 전문가로부터의 진단이 중요한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20대 여대생의 사전 조사집단의 특성에 따른 컬러 색상 관심도, 메이크업 및 네일컬러링은 개인적 특성에 인식과 행동이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컬러 색상 관심도와 메이크업 및 네일컬러링 인식과 행동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퍼스널 컬러 인식이 높아질수록 그 활용도도 증가할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적용대상자의 육안측정-천측정-큐브측정 간의 불일치로 알 수 있듯이 퍼스널 컬러 진단의 정확한 측정 및 다양한 방식 보다 간편한 퍼스널 컬러 진단 시스템이 필요하다. 이와 더불어 고객들이 자신에게 최상의 어울리는 메이크업과 네일컬러링을 선정할 수 있도록 정확하고 편리한 퍼스널 컬러 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 넷째, 퍼스널 컬러 진단 후의 만족도가 높은 것은 메이크업과 네일컬러링 시의 퍼스널 컬러 진단이 필요하며, 전문가로부터의 진단이 중요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결국 메이크업과 네일컬러링에 대한 만족도로 이어지며 높은 수준의 만족도는 지속적인 고객 관리를 위해 긍정적인 인식에 영향을 미쳐 퍼스널 컬러 전문가는 컬러 선정을 통해 고객 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상과 같이 20대 여대생의 퍼스널 컬러 유형별 특성에 따라 메이크업과 네일컬러링의 색상선택에 퍼스널 컬러가 중요한 것을 알 수 있었고, 퍼스널 컬러 진단은 육안평가를 주로 하는 분야로 피부색 영역을 인지하고 제안하는 것이 중요하며, 무엇보다 정확한 측정을 위해서는 훈련된 전문인이 체계적인 진단법을 이용하여 측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감성적인 측면에서 퍼스널 컬러의 메이크업·네일미용 적용에 따른 차이를 과학적이고 정량적으로 접근함으로써 한층 더 객관적이며 체계적인 퍼스널 컬러 시스템을 구축하여 정보 제공에 기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감성시대의 흐름에 맞춰 20대 여대생의 퍼스널 컬러 적용 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ersonal color diagnosis system plays a role to enhance individual's image competitiveness by satisfying one's aesthetic needs in the age of emotional images. In this study, therefore, 235 female college students in their 20s were recruited to investigat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personal colors in the pre-survey group in order to apply each type of the colors in makeup and nail beauty. Out of the recruited female students, 20 were selected as subjects to participate in the study by classifying personal colors by type into spring, summer, fall, and winter. Subsequentl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with this pre-survey group before and after measuring the subjects. As a result, first, it was learned that,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female college students in their 20s, a considerable number of them have never been diagnosed with personal colors but their interest in color is high, indicating the importance of personal colors for makeup and nail coloring. As for personal colors, a diagnosis by an expert is regarded significant. Second, it turned out that, although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female college students in their 20s of the pre-survey group did not affect their perceptions and behaviors concerning color interest, makeup and nail coloring,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perceptions and behaviors among them. The result confirmed that as personal color recognition increases, its utilization would also expand accordingly. Third, as can be seen from the discrepancy between visual measurement - cloth measurement - cube measurement of the subjects, an accurate measurement of personal color diagnosis and a simpler personal color diagnosis system in various ways are imperative. In addition, an accurate and convenient personal color system should be prepared to enable customers to select the makeup and nail coloring that best suit them. Fourth, the high level of satisfaction after personal color diagnosis is sure to reveal that the personal color diagnosis is essential for makeup and nail coloring, and that diagnosis by experts is important. Since the personal color diagnosis eventually leads to satisfaction with makeup and nail coloring, and such high level of satisfaction affects positive perception for continuous customer management, personal color experts should do their best to increase customer satisfaction through color selection. As described above, it was made clear that personal color is important in color selection for makeup and nail coloring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of personal color of female college students in their 20s, and personal color diagnosis is a field that mainly evaluates with the naked eye, and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and suggest the skin color areas. Above all, it is essential for a trained professional to measure using a systematic diagnosis method for accurate measurement. Furthermore, a more objective and systematic personal color system should be built up by scientifically and quantitatively approaching the differences in the application of personal colors to makeup and nail beauty from an emotional point of view, because such system is expected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to female college students in their 20s when they apply their personal color in line with the trend of the emotional era.

      • Development of Copper Catalysts Immobilized on Heterogeneous Supports and Their Applications in Coupling Reactions

        곽수정 단국대학교 대학원(천) 2024 국내석사

        RANK : 248639

        In recent years, the development of innovative catalytic systems has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in the field of organic synthesis. Researchers have been striving to find efficient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alternatives to traditional transition metal catalysts. This pursuit has led to the exploration of novel catalytic platforms and their applications in various reactions, ranging from cross-coupling reactions to click chemistry. The first innovation in this study, known as Cu@CS-Py@CNT, introduces a heterogeneous copper catalytic platform where copper(II) salt is immobilized on chitosan Schiff base-modified carbon nanotubes. The obtained platform demonstrates exceptional regioselectivity in click reactions, leading to the synthesis of 1,4-disubstituted 1,2,3-triazoles. More importantly, it should be highlighted that the click reactions can be performed in an aqueous environment in the absence of external copper-reducing agents. Another groundbreaking development is the Cu@PCT@CNT platform, which is immobilized on regioregular poly[3-(carboxypropyl)thiophene-2,5-diyl]-modified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The resulting platform showed an excellent catalytic activity for click reaction as well as Kumada coupling reaction. Furthermore, it highlights the transformation of arylboronic acids into corresponding phenols, demonstrating the potential for sustainable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catalysis. In the pursuit of unique catalytic platforms, the Fe3O4@PDA@Cu platform, which involves the immobilization of copper salts onto polydopamine-coated magnetic nanoparticles (Fe3O4) has been developed. The novel platform has been successfully applied to the click reaction in eco-friendly conditions. Ease of separation and reusability makes it a pivotal player in the green and effective synthesis of 1,2,3-triazoles. From regioselective click reactions to versatile cross-coupling chemistry and efficient functional group transformation, the advancements hold promise for a more environmentally conscious future in the field of organic synthetic chemistry.

      • 효율적인 자동화 코드 인스펙션을 위한 필수 결함 검출 규칙 수립

        곽수정 高麗大學校 컴퓨터情報通信大學院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Inspection is one of the ways that help to detect and remove the defects. Moreover, it helps to improve the productivity and quality of the software. Manual Code Inspection(MCI) is one of the widely used techniques in Inspection. However, this technique has the direct or indirect fault of the code. The problems are the followings: could overlook the defects from low performance of the code generation, needs a lot of time to inspect the source code, and produces difficulties in the lot test. This master's thesis will cover the way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MCI. To give a solution to the continuous difficulties, Automated Code Inspection(ACI) was applied. Through analyzing the five business’s faults with standardized techniques, the list of the defects were established to increase the efficiency to perform the Inspection. Four projects which used the ACI’s mandatory rules of defect detection helped to detect 38,930 program files. 17,683 defects were founded through the first test. The second test resulted with 14,143 defects which was 20 percent lower compared to the first test. The third test came out to be 3,368. As a result, 80 percent of the defects were decreased at the last test. Through the solution that this master’s thesis found, it proved to be an efficient way to manage the Code Inspection. 소프트웨어의 품질과 개발 생산성의 향상을 가져오기 위하여 조기에 결함을 발견하고 제거하는 활동 중 하나인 인스펙션(Inspection) 방법이 있다. 이 방법은 M. E. Fagan의 소프트웨어 인스펙션(Software Inspection)에 의해 처음 정의되고 소개되었다. 인스펙션(Inspection)으로 가장 공식적이고 많이 사용하는 방법이며, 인스펙션(Inspection) 방법 중 MCI (Manual Code Inspection) 기법이 있다. 이 기법은 코드의 직접적 또는 간접적인 결함으로 성능 저하 코드 생성의 결함을 자칫 간과하거나 혹은 발견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고, 다량의 소스 코드에 대한 검수 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고, 전수 검사의 어려움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MCI(Manual Code Inspection)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자동적이고, 지속적인 문제 해결 방안이 될 수 있도록 정적분석 도구를 사용한 ACI(Automated Code Inspection)을 적용하였으며, 5개 업체의 결함 항목을 분석하여 정형화된 기법으로 효율적인 인스펙션(Inspection)을 수행하기 위한 필수 결함 항목을 수립하였으며, 4개의 프로젝트를 대상으로 3차례의 ACI(Automated Code Inspection) 필수 결함 검출 규칙을 적용하여 총 38,930개의 파일에 대해점검을 수행하였다. 1차에서 결함은 총 17,683건, 2차 수행에서는 20% 정도 감소한 14,143건, 마지막 3차 수행에서는 80% 정도 감소한 3,368건의 결함이 검출되어 결함이 감소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으로 코드 인스펙션(Code Inspection)을 효율적으로 관리 할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

      • 신체극으로서의 공연 《변신》에 관한 연구

        곽수정 경기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39

        연극의 역사는 신체연기의 역사라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포스트 모더니즘 시대가 도래하면서 예술의 각 쟝르등은 서로 혼합, 해체되는 과정을 겪으면서 동일한 장르안에서도 여러 갈래의 하위 장르들로 급속히 파생되어 확산되기에 이르렀다. 그 중에서 무용의 ‘탄츠테아터’에 뿌리를 두고 생성된 ‘피지컬 씨어터’라는 개념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무용에서 파생된 용어이지만 이미 중의적인 의미에서 피지컬 씨어터는 ‘신체연극’, ‘신체연기’, ‘신체적 연극’등 다양한 의미를 포함하고 있다. 신체의 움직임, 신체 행동을 연극의 주요 언어로서 더욱 비중을 두고 표현하였다고 하면 ‘피지컬 씨어터’의 범주에 들 수 있다고 정리할 수 있겠다. 피지컬 씨어터의 경향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그레고르 잠자라는 주인공의 ‘벌레’로의 변신을 어떻게 신체적으로 표현할 것인가가 주요 관심사인 ‘변신’이라는 연극을 살펴봄에 있어 선행연구는 극단 동의 연극 《변신》과 베스투르포트(Vesturport)극단의 《변신》을 비교 관찰하여 각 극단의 신체연기의 경향과 무대위 형상화의 특징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연구자가 출연하였던 이성구 연출의 연극 《변신》의 연출의도, 무대요소, 신체연기를 살펴 봄으로써 어떻게 피지컬 씨어터의 요소를 품었는지 향후 ‘피지컬 씨어터’의 나아갈 방향과 실질적인 발전 방향에 대하여 연구하여 보고자 한다.

      • 서울시 창조계층의 분포패턴과 입지특성

        곽수정 高麗大學校 大學院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도시 내부를 대상으로 창조계층의 분포패턴과 입지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창조도시에 관한 다수의 선행연구가 도시의 창조성 측정 또는 창조성과 경제발전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데 대해, 본 연구는 서울시를 대상으로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도시 내부에서 창조계층의 분포 및 입지를 규명하였다. 첫째, 창조계층 분포의 지역별 특화정도를 밝혔으며, 둘째, 창조계층의 클러스터를 파악하였고, 마지막으로, 창조계층에 의한 지역분화의 공간배열인 등질지역 구조를 분석하였다. 먼저 Florida의 이론을 토대로 분석 대상 43개 창조계층의 변수를 선정하고 이를 크게 보헤미안, 핵심적 창조계층, 창조적 전문가의 세 집단으로 분류하였다. 각각의 변수를 대상으로 입지계수를 이용하여 여러 분야의 창조계층의 특화 정도를 지도화하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각각의 변수에 해당하는 창조계층은 도시의 각 지역별 기능을 상당부분 반영하며, 많은 변수들에서 입지계수의 최대값이 10을 상회하는 등 창조계층의 분포에 공간적 편중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창조계층의 분포에 공간적 자기상관이 나타나는지 확인하기 위해 각 변수별 전역적 Moran지수를 알아보고, 전역적 Moran지수가 0.3을 상회하여 공간적 자기상관정도가 높은 변수를 대상으로 국지적 Moran의 분포도를 통해 클러스터 형성 여부를 파악하였다. 그 결과 서울시 창조계층은 보헤미안을 위주로 비교적 높은 공간적 자기상관을 나타내었으며, 전역적 Moran지수가 0.3을 상회하는 변수로는 건축기술·엔지니어링 및 관련기술 서비스업 종사자, 광고업 종사자, 보험업 종사자, 의원 종사자, 영상물 배급업 종사자의 총 5개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들 대부분은 도심과 서초구 및 강남구의 업무지역에서 HH클러스터를 이루었으며, 두 지역 중 도심보다 서초구와 강남구의 업무지역에서 더 많은 변수의 클러스터가 형성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1990년대 이후 도심의 영향력이 약화되는 반면 서초구 및 강남구 업무지역이 급성장한 현상과 맥락을 함께 한다. 마지막으로 창조계층에 의한 서울시의 등질지역 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일차적으로 통계적 분석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는 31개 창조계층 변수를 대상으로 인자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창조계층에 의한 서울시의 지역 분화에 내재된 총 7개의 인자가 추출되었으며, 여기에는 창조계층에 의한 서울시 등질지역 구조를 설명하는 데 있어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하는 고차금융업 종사자를 비롯한 미디어 컨텐츠 제작업 종사자, 일반 금융업 및 보험업 종사자 등이 포함되었다. 추출된 7개 공통인자의 인자득점행렬을 이용하여 창조계층에 의한 서울시 등질지역의 공간적 배열 상태를 살펴본 결과, 모두 8개의 등질지역이 설정되었다. 서울시 창조계층의 등질지역의 형성은 크게 연계와 집적효과에 의한 측면과 토지이용의 측면에서 해석할 수 있다. 먼저 연계와 집적 효과에 의한 창조계층 입지로는 하이테크지역과 복합업무지역, 그리고 법무특화지역을 들 수 있다. 하이테크지역은 관련업종 종사자만의 집적이 나타나는 반면, 복합업무지역은 관련업종 종사자뿐만 아니라 여러 분야의 창조계층이 함께 입지하여 산업 간 연계효과를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법무특화지역은 관련 공공기관이 법무관련 서비스업 종사자의 입지에 큰 영향을 미치는 양상을 보였다. 토지이용의 측면에서 본 창조계층 입지는 예술지역과 복합업무지역, 교육 및 의료지역으로 나뉜다. 예술지역은 골목길이 발달하며 업무지역 인근에 위치한 단독주택 밀집지역에, 복합업무지역은 고층의 사무용도 건물이 밀집한 지역에, 교육 및 의료지역은 대규모 아파트 단지를 중심으로 한 고밀주택지역에 각각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나 창조계층의 입지는 토지이용과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연구 내용을 종합한 결과, 서울시 창조계층은 도심, 서초구 및 강남구, 여의도 및 홍대일대에서 두드러진 분포를 보였다. 창조계층의 분포는 도심보다 서초구 및 강남구에서 더욱 강한 집적을 나타내었다. 창조계층 분류별로는 핵심적 창조계층과 창조적 전문가의 두 집단은 업무지역인 도심과 서초구 및 강남구에 입지하였으나, 보헤미안은 홍대일대에서 독자적으로 입지하며 공간적으로 타 집단과 구분되는 특성을 가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한편 다수의 변수에서 연계와 집적의 효과를 기대한 입지적 특성이 타났으며, 토지이용의 측면에서도 각 변수 별로 차이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으로, 본 연구는 기존의 창조도시연구와는 달리 창조계층의 도시 내 분포 및 입지를 분석하였으며, 창조계층의 분포패턴과 입지특성을 규명함에 있어 창조계층을 구성하는 개별 변수 각각의 입지계수와 공간적 자기상관정도 및 등질지역 측면을 고려함으로써 창조계층과 도시구조 양 측면을 입체적으로 살펴보았다는 데 의의를 둘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