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환경축제의 교재화 방안에 관한 연구

        성선경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Today’s school environmental education emphasizes the affective aspect for cultivating environmental sensitivity and inducing environment-friendly attitude rather than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about environment and environmental problems. Accordingly, getting out of conventional environmental education, we need learning strategies that induce active learning through the personalization of environment by selecting integrated and localized teaching materials and promoting learning based on field experiences. Local environmental festivals, which use highly indigenous natural environments,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regions intensively and provide compressed experiences, and by doing so, they can maximize the educational effect. Taking note of this, the present study purposed to survey the current state of local environmental festivals and examine the possibility of local environmental festivals as teaching materials for attaining the goals of environmental education. For the purpose, we classified local environmental festivals throughout the country, investigated the contents of the festivals, and designed a program for 3rd graders using a number of environmental festivals suitable in terms of time and contents selected among local festivals in Cheongwon-gun and examined the effect of the program. When local festivals in Korea were surveyed focused on festival name, theme(environmental resource), and the contents of major events, there were 256 local environmental festivals, and according to theme, the festivals were mostly related to weather, plants,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emphasizing the clean image of the locality, or local special products. Most of the festivals were held from March to May, the flowering season, or in October, the peak time for enjoying autumn leaves. Gangwon-do and Chungcheong-do had the largest number of environmental festivals, and every province except Seoul and other metropolitan cities had festivals every month. When representative environmental festivals Muju Firefly Festival and Hampyeong Butterfly Festival were surveyed and investigated, they were composed of experiential and educational programs that provide various activities of ecological observation and inquiry based on their local natural environments and environment-friendly images. We designed a program using the local environmental festivals in Cheongwon-gun, and analyzed the effects of the program such as learners’ understanding of local environment, their interest and participation, and their change in environmental sensitivity and environment-friendly attitude, and fro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drawn conclusions as follows. First, the activity of investigating and experiencing local environmental festivals was effective in students’ understanding and recognition of local natural environment. Second, field experiences through local environmental festivals induced higher interest and active participation in the learners. Thus, this program can stimulate learners’ activeness and spontaneity. In addition, positive aspects were observed in the evaluation of the program itself. This suggests that the program inducing learners’ activeness and spontaneity is a teaching material suitable for making school environmental education substantial. Third, learners, who had been indifferent to local environment and whose environmental sensitivity had been low, expressed their interest in and affinity for natural environment and showed an environment-friendly attitude afte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based on local environmental festivals. Thus, it was found that making learners take interest in the elements of natural environment influences the development of right attitude toward environment and such an effect is enhanced through activities experiencing environment directly. Accordingly, in order to practice substantial school environmental education, we need to utilize local materials that induce interest and active participation in the learners through direct experiences, and local environmental festivals are considered meaningful teaching materials for attaining educational effects in environmental education. 근래 학교 환경교육은 환경과 환경문제에 대한 지식습득 위주의 교육이 아니라 환경에 대한 감수성 함양과 친환경적 태도 변화를 유도하는 정의적 측면을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기존의 환경교육에서 벗어나 통합적이고 지역화된 교재를 선정하고 현장체험학습을 실시하여 자기환경화 과정을 통한 능동적인 학습을 유도할 수 있는 학습전략이 필요하다. 지역 환경축제는 지역의 향토성이 강한 대표적인 자연환경을 소재로 하여 지역 사회의 특징을 집약적으로 드러내며 압축적인 경험과 체험을 제공하여 교육적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지역의 환경축제의 실태를 파악해 보고 지역 환경축제를 환경교육 목표 실현을 위한 교재로서의 가능성을 모색해 보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으로 전국의 지역 환경축제를 유형화하고 구체적인 내용을 파악한 후 그 중 청원군의 지역축제에서 시기와 내용이 적합한 환경축제를 선정하여 3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그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전국의 지역축제 중에서 축제명, 주제자원, 주요 행사 내용을 중심으로 파악해본 결과 지역 환경축제는 256개에 달하였으며 주제(환경)자원에 따라 기후, 식물과 관련된 축제와 지역의 청정 이미지를 살린 친환경농산물이나 지역특산물 축제가 가장 많았고, 개화시기인 3월에서 5월, 그리고 단풍이 절정기인 10월에 대부분 개최되고 있었으며 강원도와 충청도에서 환경축제가 가장 많이 개최되었고, 서울과 광역시를 제외하고는 전국에서 매월 축제가 개최되고 있었다. 그 중 전형적인 환경축제인 무주 반딧불축제, 함평 나비축제와 푸른청원생명축제를 답사하고 조사한 결과 지역의 자연환경을 그대로 축제의 장으로 활용하여 친환경적 이미지를 살린 다양한 생태관찰과 탐구활동이 가능하고 교육적 효과를 위한 체험 활동 프로그램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실제로 청원군 지역의 환경축제를 활용한 프로그램 적용에서는 지역 환경의 이해, 학생들의 흥미와 참여도, 환경적 감수성과 친환경적 태도변화에 대해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지역 환경축제에 대해 조사하고 체험하는 활동을 통하여 학생들이 지역의 자연환경에 대해 이해하고 인식하는 데 효과가 있었다. 둘째, 지역 환경축제를 통한 현장체험학습은 학습자들로 하여금 높은 흥미와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였다. 이는 학습자의 능동성과 자발성을 이끄는 학습이 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자체의 평가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면을 나타내며, 학습자의 능동성과 자발성을 이끄는 프로그램은 학교 환경교육을 내실화 하는 데 적합한 교재임을 시사하고 있다. 셋째, 주변 지역의 환경에 관심이 적고 환경적 감수성이 낮은 행동을 하던 학습자들이 지역 환경축제를 활용한 프로그램에 참여한 후 자연 환경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친화감을 표현하였으며 친환경적 태도를 보이는 등의 변화가 있었다. 즉, 자연환경 요소에 대하여 관심을 가지게 하는 것이 환경에 대한 올바른 태도를 형성하는 데 영향을 끼치며 환경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활동을 통해 더욱 활발하게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내실있는 학교환경교육의 실천을 위해서는 직접 체험을 통한 학습자의 흥미와 능동적 참여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지역 자료를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며 지역 환경축제의 활용은 의미있는 환경교육 교재로서 교육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 축제경영시대와 축제환경변화에 따른 한국의 지역축제 핵심 요소 파악에 관한 연구

        이신혜 배재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87

        Korean local festivals are facing changes. Most of local festivals have exhausted every budget to operate the festivals within their fixed budgets through government-funded programs as the institution-led type. However, The festival management era that the various elements get to be explored and attempted including the establishment of professional organizations, recruitment of professionals, attraction of sponsorship, and payment of programs is now upon us. In addition, the movement for environmental change surrounding local festivals is accelerating.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including the changeover to the mobile era an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as had an great and minor effect on the festival industry. The importance of hybrid festival models that online and offline festivals are mixed with each other, crisis and safety management, and being eco-friendly and carbon neutrality has been on the rise. This study set the temporal scope of key elements which have the most important effect on Korean local festivals according to the festival management era and change of festival environment like this from the viewpoint of the mid term (5 years) and composed a questionnaire based on the components of domains of EMBOK (Event Management Body of Knowledge). The background of the introduction of the festival management era, environmental change of festivals, domestic and foreign cases of festival management were examin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The results which investigated and analyzed festival experts have found that key elements of local festivals according to the festival management era are organizations with expertise, communication with the interested parties, local residents' participation in festivals, and connection to local attractions. Environmental change of festivals was grasped to be digital marketing, night festivals, safety and crisis management, and consumer-oriented food services. 4 factors of environmental change management, festival management control, festival marketing management, and local resources management were drawn through a factor analysis. The result which conducte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of festival expert groups by dividing them into organizations (professional foundations, research foundations, and local government) and work experience (Less than 3 years, 4 to 9 years, and more than 10 years) was analyzed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factors among groups. It was mostly grasped that the importance of the average key elements of local festivals in professional foundations of the organizations and in groups with work experiences of more than 10 years of work experiences is higher than other groups. Utilizing these results, the study suggested the enactment for promoting festival industrialization, fostering night festivals combined with global trends, the realization of professional management with operational knowhow of organizations which are exclusively responsible for festivals, building the certification system of festival education for fostering festival experts, and the growth of festivals by utilizing local resources as the way forward by grasping the key elements which have an effect on Korean local festivals from the viewpoint of the mid term. However, in case of the festival experts who are the subjects of the study, it is impossible for the several results drawn from it to be applied to festivals in a lump. Therefore, next studies are judged to need to set exact samples of targeted local festivals. And the study is judged to be able to be utilized as the basic materials of key elements that professional and stable festival management and coping with change of festival environment become the central axis for strengthening competitiveness of local festivals. In addition, it is thought that comparative studies on key elements of local festivals in terms of the long term of more than 5 years are required as next research direction. 한국의 지역축제가 새로운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 대부분의 지역축제는 관주도형으로 그동안 정부 재정지원을 통해 정해진 예산안에서 축제운영을 위해 예산을 모두 소진해왔다. 그러나 이제는 전문적인 조직의 설립과 전문인력의 채용, 스폰서십 유치, 프로그램의 유료화 등 다양한 축제 경영적 요소를 탐색하고 시도하게 된 축제경영시대가 펼쳐지고 있는 것이다. 이에 더해 지역축제를 둘러싼 환경변화의 움직임도 가속화되고 있다. 모바일시대로의 전환과 4차산업혁명 등 기술의 발달과 함께 축제산업계는 크고 작은 영향을 받고 있으며, 코로나 19 발생 이후 등장한 온라인과 오프라인이 혼합된 하이브리드 형태의 축제모델, 위기 및 안전관리, 친환경·탄소중립 등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축제경영시대와 축제환경변화에 따른 한국의 지역축제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끼치는 핵심 요소에 대하여 시간적 범위를 중기적(5년) 관점으로 설정하고 이벤트지식관리체계인 엠복(EMBOK: Event Management Body of Knowledge)의 도메인(Dmains) 구성 요소를 바탕으로 설문을 구성하였다. 축제경영시대 도래배경과 축제환경변화, 축제경영의 국내외 사례들을 문헌연구를 통해 살펴보았고, 축제전문가를 대상으로 조사 및 분석한 결과 축제경영시대에 따른 지역축제 핵심 요소로는 전문성을 갖춘 조직과 이해관계자와의 의사소통, 지역주민의 축제 참여, 지역관광지 연계 등으로 나타났으며, 축제환경변화에서는 디지털마케팅, 야간형축제, 안전·위기관리, 소비자 지향적 음식 서비스 등으로 파악되었다. 요인분석을 통해 환경변화 경영, 축제 경영관리, 축제마케팅 경영, 지역자원 경영 등 4개의 요인을 도출하였고, 축제전문가 그룹을 대상으로 조직(전문재단, 연구재단, 지방자치)과 경력(3년이하, 4년-9년, 10년이상)으로 나누어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alysis Of Variance;ANOVA)을 실시한 결과 그룹간 요인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대부분 조직에서는 전문재단 그룹이, 경력에서는 10년 이상의 그룹이 지역축제의 핵심 요소에 관한 중요도 평균이 다른 그룹에 비해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활용하여 본 연구에서는 중기적 관점에서 한국의 지역축제의 영향을 끼치는 핵심 요소 파악을 통해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으로 축제산업화 촉진을 위한 법률 제정, 세계적 트렌드와 결합 된 야간형 축제의 육성, 축제전담 조직의 운영 노하우가 담긴 전문경영 실현, 축제전문가 육성을 위한 축제교육 인증시스템 구축, 지역자원 활용을 통한 축제 성장 등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의 대상인 축제전문가의 경우 문화관광축제 및 지역의 경쟁력 있는 지역개발형 축제 담당자들이 모두 참여한 것으로 아니므로 도출된 여러 결과를 축제에 일괄적으로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대상 지역축제의 정확한 표본 설정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며 본 연구는 지역축제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전문적·안정적인 축제경영과 축제환경변화 대처가 중심축을 이루기 위한 핵심 요소의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아울러 향후 연구 방향으로는 5년 이상 장기적 측면에서의 지역축제 핵심 요소에 관한 비교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본다.

      • 지역축제 환경단서가 이미지, 만족도,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 화성뱃놀이축제를 중심으로

        손다희 경희대학교 테크노경영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32319

        Cities worldwide are actively engaging in efforts to establish artistic ecosystems, foster community cohesion, and enhance local identity through cultural and arts festivals. Similarly, in South Korea, most local governments view local festivals as crucial tools for cultivating cultural awareness and stimulating regional economic activity. However, financial constraints on festival development pose a significant challenge, necessitating the exploration of new strategies and approaches. This study addresses the need for a fresh direction in festival development by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reflecting the unique cultural, historical,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a region while considering entertainment and locality concurrently.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maximize the qualitative enhancement of festivals organized by local governments and explore the additional positive effects generated by these festivals. Focusing on the Hwaseong Boat Festival, designated as a preliminary cultural tourism festival b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the study targets tourists to identify the enticing factors of regional festivals. The study employs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o analyze the impact of local festival environmental cues on image,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revisit. The empirical findings indicate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f local festival environmental cues on the image (regional and festival), with subsequent positive effects on satisfaction. Additionally, the positive image influences the intention to revisit, while satisfaction also plays a pivotal role in shaping the revisit intention.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proposes the following implications: Recognizing the interconnection between the development of Hwaseong city's urban-rural community and local festivals, efforts should be directed towards guiding regional development. Instead of uniformly urbanizing all areas within Hwaseong city, the study advocates for respecting the value of agriculture alongside urbanization. Integrating the region's unique characteristics with culture and art through local festivals is proposed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the local economy. Therefore, the cultivation of cultural and artistic festivals, particularly in the resource-rich western regions, becomes essential to embrace the agricultural lifestyle and characteristics of the areas, fostering unity across different zones through arts and culture. Keywords: Local festival, Environmental cues, Regional image, Festival image, Satisfaction, Intention to revisit, Hwaseong city, Hwaseong boat festival, Urban-rural community, Balanced urban development 세계 각국 도시에서 문화예술축제를 통해 예술 생태계를 구축하고 지역공동체 형성과 지역의 정체성 강화를 시도하는 노력을 하고 있다. 한국 대부분 지방자치단체에서도 지방축제를 문화의식 함양과 지역경제 활성화의 주요한 수단으로 인식하고 있으나, 축제 발전을 위해 필요한 예산 한계로 인해 새로운 전략과 방법을 모색해야 하는 당면을 맞이하고 있다. 성공적인 축제 진행을 위해 그 지역의 문화, 역사, 환경 등 지역 특성을 잘 반영하고 유희성과 지역성을 동시에 고려해야 하는 새로운 방향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에서 개최되는 축제들의 질적 향상과 축제로부터 발생하는 부가적인 효과 창출을 극대화하기 위함을 목적으로 한다. 문화체육관광부 예비 문화관광축제로 선정된 화성뱃놀이축제 관광객을 대상으로 지역축제의 유인 요인을 발췌하고, 지역축제 환경단서가 이미지, 만족도,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결정요인을 구조방정식 모델로 분석하였다. 실증연구를 통해 분석한 결과 지역축제 환경단서가 이미지(지역이미지, 축제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으로는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미지(지역이미지, 축제이미지)는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고, 이미지(지역이미지, 축제이미지)도 재방문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족도도 또한 재방문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 결과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한다. 화성시의 도농복합사회 발전을 위한 지역축제의 상호 연계성을 확인하고 환경단서를 분석하여 이에 맞춘 지역발전 방안을 모색하였다. 최근 급격한 도시화와 함께 농어업의 가치를 존중하고 지역의 고유 특성을 살려서 문화와 예술을 결합한 지역축제를 통해 지속적이고 균형이 있는 발전을 촉진하는데 요인을 발굴하고 부가적인 효과 창출에 기여하고자 한다. 그러므로 화성시 모든 관내를 도시화하기보다는 농어업의 생활과 특성을 수용하고, 각 권역을 함께 어우를 수 있도록 예술문화를 통해 환경자원이 풍부한 서부권을 중심으로 문화예술축제 조성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언하고자 한다. 주요어: 지역축제, 환경단서, 지역이미지, 축제이미지, 만족도, 재방문의도, 화성시, 화성뱃놀이축제, 도농복합사회, 도시균형발전

      • 지역축제 환경단서에 따른 지역사회 애착도가 지역축제 태도와 참여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정화영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32319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축제의 지각된 환경단서가 지역사회 애착도와의 관계를 살펴본 후 지역사회 애착도에 따른 지역축제에 대한 지역주민의 지역축제 태도와 지역주민의 지역축제 참여도 간의 차이를 검증하여 지역축제 환경과 지역사회 애착도의 관계를 규명하고 이에 따른 지역사회 애착도가 지역축제를 대하는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또한 지역사회 애착도에 따른 지역주민의 축제 참여도를 알아봄으로써 지역축제의 주인인 지역주민의 지역축제 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 지역축제 환경과 지역사회 애착도 등에 따른 지역축제 발전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문헌연구와 실증연구를 병행하였다. 문헌연구에서는 지역축제 환경단서와 지역사회 애착도, 지역축제 태도, 지역축제 참여도에 대한 요인을 구성하였다. 실증연구에서는 문헌연구를 통해 도출된 요인들을 바탕으로 2009년 6월 13일부터 21일까지 개최되는 ‘제 13회 무주반딧불축제’에 참여한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자에게 총 312부를 배부하여 그 중 미응답 및 불성실한 응답이 있다고 판단된 설문지 16부를 제외하고 296부의 유효 표본을 얻어서 본 연구의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12.0 통계 패키지를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회귀분석, T-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 결과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축제 환경단서는 지역사회 애착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모든 지역축제 환경단서가 지역사회 애착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며, 지역축제 환경단서의 4가지 요인 중 접근성과 매력성만이 지역사회 애착도의 의존성과 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역사회 애착도의 3가지 요인 중 의존성과 정체성만이 지역축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역에 대한 지역주민의 자부심과 자긍심이 지역축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지역주민들에게 지역에 대한 자부심을 고취시키고 지역적 공감대와 정체성을 형성하는데 기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지역사회 애착도에 따른 지역축제 참여도의 차이분석 결과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사회 애착도에 따른 지역축제 참여횟수와 참여의사는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지역축제 참여형태는 정체성 요인만이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을 나타냈다. 지역축제 환경단서에 따른 지역사회 애착도가 지역축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는 지역사회 애착도를 높이기 위해서 지역축제 환경단서에 신경을 써야한다는 사실을 확인시켜 준다. 장기적인 지역 축제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축제의 계획 단계에서부터 지역축제 환경단서에 신경을 써야하며, 지역축제 환경단서의 질이 좋아지면 지역주민의 지역에 대한 애착도가 높아지고, 지역축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지역축제는 성공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한계점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대상지를 한 곳으로 선정하여 조사하였으므로 일반화 하기위한 이론을 정립하기에는 제한적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지역축제 환경단서를 청결성, 접근성, 매력성, 인적서비스 4가지 요인으로 분류하였는데, 향후 연구에서는 4가지 요인 외에 다른 요인들을 포함하여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셋째, 자기기입식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다보니 응답자의 태도와 상황, 기분에 따라 실증분석 결과가 바뀔 수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설문지와 함께 면접이나 관찰 등 다양한 측정방법을 사용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지역축제 환경단서에 따른 지역사회 애착도와 지역축제 태도, 지역축제 참여도의 영향관계를 파악하고자 하는 연구로 큰 의미를 가진다.

      • 생태문화축제로서 환경영화제의 환경교육적 의미 : 시민의 서울환경영화제 경험에서 환경교육 가능성 읽기

        지혜성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2319

        환경위기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시민들이 생태적 가치를 습득하고 이를 다른 구성원들과 공유하는 생활양식을 가지게 함으로써 생태문화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한 효과적인 수단으로 환경영화제를 활용할 수 있다. 환경영화제는 생태적 가치를 지향하면서 영화의 힘을 이용하여 대중들에게 환경문제와 해결책에 대한 고민의 기회를 제공한다. 인류의 지속가능성을 추구하기 위해 개최되는 환경영화제는 그 중요성에 비해 환경영화제의 의미와 내용이 충분히 알려지지 않은 상태이기에 환경교육적 영향력이 충분히 발휘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축제의 유희 속에서, 시민들에게 환경영화를 매개로 소통을 경험하게 하고, 이를 통해 환경문제에 관심을 자연스럽게 환기한다면 환경영화제가 갖는 ‘생태문화축제’로서의 의미와 정체성, 효과가 확산될 수 있다. 현재까지 ‘생태문화축제’의 정의가 내려진 경우는 거의 없다. 또한, 환경교육의 관점에서 환경영화제의 의미를 찾고 있는 연구는 일부 있지만, 이에 참여한 시민들의 인식과 경험을 들여다보지 못한 한계가 있다. 따라서, 환경영화제를 생태문화축제의 한 갈래로 정립시키는 학술적인 과정과 환경영화제가 보여주는 환경교육적 의미를 확인하는 실증적인 과정이 함께 필요하다. 이 연구는 생태문화축제로서 환경영화제의 의미를 발견하려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환경영화제가 갖는 성격을 탐색적으로 알아보고, 생태문화축제로서 환경영화제는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해석하고자 하였다. 질적 사례연구를 통해 서울환경영화제에 참여한 시민들의 참여 동기와 기대를 분석하였으며, 그들이 경험한 환경영화제는 교육적으로 어떤 시사점을 제공하는지를 살펴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째, 생태문화축제란, ‘즐겁고 특별한 시·공간에서 생태적 가치를 기반한 생활양식을 만들고 향유하는 집단적 활동’으로, 환경교육적 성격을 지닌다. 이러한 생태문화축제의 성격에 비추어, 환경영화제를 포함한 사회의 다양한 축제를 환경교육적 자원으로 발굴하여 활용할 수 있다. 둘째, 환경영화제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성격은 상호작용하며 환경교육적 의미를 담아낸다. 환경영화제에서 감상, 소통, 체험을 함께하는 시민의 경험에서 환경교육적 의미가 발견되었다. 생태문화축제로서 환경영화제는 시민이 생태적 문화를 학습하고 향유하는 교육적 가치를 제공한다. 즉, 환경영화제는 축제를 매개로 한 환경교육의 장(場)이 된다. 시민은 환경영화제를 ‘새로운 경험적 환경교육’, ‘사회 변화에 기여할 수 있는 생태문화축제’로 수용하고 있다. 이것은 시민의 인식 속에 환경영화제의 환경교육적 가치와 가능성이 내재함을 시사한다. 이처럼 이 연구는 환경영화제의 환경교육적 가치를 실증적으로 조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환경영화제의 환경교육적 의미의 확산을 통해 생태문화 구축에도 선한 영향력을 미칠 수 있기를 기대한다. Environmental film festivals can be used as an effective means for establishing ecological culture. The Environmental Film Festival aims at ecological values ​​and provides the public with an opportunity to think about environmental problems and solutions through the power of film. However, despite its’ importance, the environmental film festival is being slowly declining amongst famous film festivals, and as such its influence in environmental education is also declining. In order for citizens to have a variety of experience, including experiences environmental films that naturally arouse interest in environmental issues, the environmental film festival should be reborn as an ecological cultural festiva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the meaning of the environmental film festival as an ecological cultural festival. In order to achieve this, the nature of the environmental film festival was explored, and it’s meaning of the environmental film festival, interpreted. Through a qualitative case study, the motivations for attending and expectations of citizens who participated in the Seoul Environmental Film Festival were analyzed,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by examining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what they experienced. First, an eco-cultural festival is a ‘collective activity that creates and enjoys a lifestyle based on ecological values ​​in a fun and special time and space, and which also attributes of environmental education. Therefore, the environmental film festival, which is a branch of the ecological cultural festival, can be used as a resource for environmental education. Second, the various characteristics of the environmental film festival interact and bring new meaning to environmental education. These new meanings were found in participants' experience of appreciation, communication and experience at the Environmental Film Festival. As an eco-cultural festival, the environmental film festival becomes a venue for environmental education. Citizens accepted the environmental film festival as a ‘new experiential environmental education’ and ‘an ecological cultural festival that can contribute to social change’. This suggests that the environmental educational value and potential of the environmental film festival are inherent in the perception of citizens. It is hoped that the environmental film festival will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establishment of ecological culture through the spread of environmental educational meaning.

      • 地域祝祭의 環境端緖와 感情反應이 滿足에 미치는 影響 : 靑島國際?酒祝祭를 中心으로

        梁騰月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32319

        중국은 1979년 개혁개방을 채택한 후에 관광산업의 발전이 시작했다. 최근 중국의 관광지역의 역사적 유산, 민속 문화, 특산물 등을 활용한 축제를 열어 사람들의 문화적인 욕구를 충족시키려고 하고 있다. 중국의 여러 지역축제의 현황을 보면 많은 문제점이 존재하고 있는데, 중국에서 축제에 관한 연구는 많지 않다. 특히 지역축제의 중요 요소인 축제 환경단서와 감정적 반응에서 참여자의 만족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지역축제의 환경단서와 감정반응이 참가자의 만족과의 관계를 관한 연구이고 제24회 청도국제맥주축제 중심으로 문헌조사 및 선행연구를 통해 환경단서 9개요인, 감정반응 4개 요인에 대한 측정척도를 개발하였고, 이를 활용하여 설문조사를 수행하여 실증분석을 위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설정된 연구모형과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맥주축제 참가자를 3개 집단(청도시민, 청도시민외 중국인, 외국인)으로 나누고 각각의 집단별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2014년 8월에 총 15일에 걸쳐 총 367부를 배부하여 사용할 수 없는 12부를 제외하고 중국어설문지 208부(58.6%), 영어설문지 100부(28.2%), 한국어설문지47부(13.2) 등 총 355부(96.7%)를 유효 표본으로 확보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설문지에 의해 측정된 자료의 적합성 및 안정성 여부를 검토하기 위하여 문항분석, 측정척도의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한 요인분석, 그리고 내적 합치도를 검토하기 위한 신뢰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또한 연구 측정모형의 검증을 위해 AMOS를 이용한 확인적 요인분석과 요인간의 인과관계를 보기 위해 구조방정식모델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중국 지역축제의 물리적 환경요인의 중요성을 부각시키고, 물리적 환경요인들을 추출해냄으로써 지역축제 관리자에게 관광객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물리적 환경요인들이 어떤 것이 있는지를 시사해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 가장 큰 중요한 연구 초점은 물리적 환경단서와 서비스 환경단서가 감정반응과 만족에 서로 다른 형태로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고, 더 중요한 것은 이러한 결과는 선행연구와는 다소 다른 결과라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지역축제의 물리적 환경단서는 참여의 감정반응에 매우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만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이다. 즉, 축제 현장의 물리적 환경단서는 축제 참여의 전반적 평가에 해당하는 만족에 직접 영향을 미치지는 않으며, 단지 감정반응이라는 매개과정을 통하여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축제 연구에 있어서 시사하는 바가 지대하며 향후 엄격한 연구과정을 통하여 재논의 되기를 기대한다. 본 연구에서 표본을 청도국제맥주축제의 방문객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는데, 조사된 외국인 중에 약 30%는 중국에서 취업하고 거주하는 외국인으로 엄격하게 말하면 외국인 관광객이 아니다. 이에 대한 논란은 연구결과의 일반화에 있어서 한계가 될 수 있다.

      • 지역축제 방문객의 환경단서, 내적반응, 행동의도 관계 연구

        한경운 호남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32303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축제에 대해 방문객이 지각하는 환경단서와 내적반응, 행동의도간의 영향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축제의 환경단서 개선과 방문객 만족을 제고하고 지역축제의 지향점 및 발전방안을 모색하고 수행되었다. 본 연구를 위한 설문조사는 2019년 정남진장흥물축제를 방문한 방문객을 대상으로 2019년 7월 26일부터 2019년 8월 1일까지 실시되었으며, 총 31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304부를 회수하였고 측정오류를 발생시킬 수 있는 24부를 제외하고 총 280부를 최종 분석의 자료로 활용하였다. 설문조사에 의해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for Windows를 사용하여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환경단서는 안내성, 매력성, 청결성, 프로그램, 접근성으로 5개의 요인이 추출되었고, 내적반응은 이미지와 만족 2개의 요인으로, 행동의도는 단일 요인으로 추출되었다. 둘째, 환경단서와 내적반응의 이미지와의 영향관계에 대한 검정에서는 환경단서의 청결성, 매력성, 프로그램, 접근성, 안내성 요인 순으로 내적반응의 이미지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환경단서와 내적반응의 만족과의 영향관계에 대한 검정에서는 환경단서의 안내성, 매력성, 프로그램, 접근성, 청결성 요인 순으로 내적반응의 만족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환경단서와 행동의도의 영향관계 검정에서는 환경단서의 안내성, 매력성, 청결성, 프로그램, 접근성 모든 하위 요인들이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역축제 방문객의 환경단서 요인 중에서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의 크기를 비교해 본 결과, 안내성, 매력성, 프로그램, 청결성, 접근성 요인의 순으로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내적반응과 행동의도의 영향관계에 대한 검정에서는 내적반응의 모든 하위 요인인 이미지와 만족 요인들이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내적반응 요인 중에서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의 크기를 비교해 본 결과, 만족이 이미지보다 행동의도에 더 높은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