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간의 체외수정 및 배아이식술에서 출생 성비에 대한 고찰

        차병헌,전진현,이정렬,최영민,Cha, Byung-Hun,Jun, Jin-Hyun,Lee, Jung-Ryeol,Choi, Young-Min 대한생식의학회 2010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37 No.1

        목 적: 체외수정 및 배아이식술에서의 출생 성비는 사회적으로 과학적으로도 매우 관심이 있는 분야이지만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정확하게 조사된 바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 통계에서 출생 성비의 추이를 살펴보고, 국내 체외수정 및 배아이식술에서의 출생 성비에 대해 조사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출생 성비 국가 통계 (1991~2008)는 통계청 자료를 통해 확인하였으며, 체외수정의 분만 자료 (2007~2008)는 보건복지가족부의 용역 연구 결과를 제공받아 분석하였다. 체외수정 방법에 따라 일반적인 체외수정과 세포질내 정자주입술 그리고 이식된 배아에 따라 신선 주기 배아이식과 동결-해동 배아이식으로 구분하여 출생 성비를 통계학적인 방법으로 비교하였다. 결 과: 우리나라의 출생 성비는 2002년까지 불균형 상태인 1.10 정도로 유지되었으나, 그 이후 감소되기 시작하여 2007년과 2008년에는 균형 출생 성비인 1.06이 유지되고 있으며, 체외수정에서의 출생 성비도 2007년 1.07, 2008년 1.06을 나타내었다. 체외수정 방법에 따른 출생 성비는 2008년의 일반적인 체외수정에서 1.10로 가장 높았으며, 2008년의 세포질내 정자주입술에서 1.01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체외수정 방법과 이식배아에 따른 각 군간의 비교에서 통계적인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결 론: 국내에서 처음으로 조사된 2007년과 2008년 체외수정 및 배아이식술의 출생 성비도 각각 1.07과 1.06으로 우리나라의 전체적인 출생 성비와 매우 유사하였으며, 정상적인 출생 성비를 나타냈다. 향후 국내의 전체적인 체외수정 및 배아이식술에 대한 통계와 다양한 요인들에 따른 보다 전향적인 출생 성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Birth sex ratio (BSR) with human IVF-ET program is an interesting subject of social and scientific issue but very little information is available in Korea.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ssess the BSR with IVF-ET and to suggest the effective factors on the BSR. Methods: The national data from 1991~2008 were obtained from governmental Statistics Korea and the delivery data of human IVF-ET program on 2007 and 2008 were provided from the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The BSR were statistically analyzed according to methods of IVF and to transferred embryos from fresh or frozen-thawed cycles. Results: The BSRs of Korean populations were over 1.10 up to 2002, and then it declined and maintained to 1.06 as balance BSR on 2007 and 2008. In human IVF-ET program, the BSRs were 1.07 on 2007 and 1.06 on 2008, respectively. Conventional IVF on 2008 showed the highest BSR as 1.10, and ICSI the lowest on 2008 as 1.0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BSRs related to the methods of in vitro fertilization and the feature of transferred embryos. Conclusion: The BSR of Korea showed 1.06~1.07 as normal and balanced state on 2007 and 2008 both general populations and human IVF-ET program.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study to evaluate the BSR of human IVF-ET in Korea. There is a need to expand the further studies for national statistics and influencing factors on the BSR with IVF-ET.

      • KCI등재

        저출산 극복을 위한 난임 치료 시술에 따른 비용 분석 - 일 산부인과전문병원을 중심으로 -

        김윤정,황병덕 한국보건사회학회 2015 보건과 사회과학 Vol.0 No.40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success of pregnancy and the cost required depending on the result of artificial fertilization and external fertilization which are included in the infertility treatment project for couples. To achieve this, cross analysis, ANOVA and T-test were conducted for 230 subjects who underwent treatment of infertility in one obstetrics and gynecology specialized hospital for two years from 2012 to 2013. In the result, the number of the thirties(71.3%), cases without diseases related to infertility(67.4%) and cases without experience of childbirth(83.5%) were the highest among infertile patients who got treatment, respectively. The average cost of artificial fertilization and external fertilization to be pregnant was 879,000 won and 3,439,000 won, respectively. When both artificial fertilization and external fertilization were conducted for one person, the average cost was 4,664,000 won. The cost of external fertilization was 3.9-fold higher than that of artificial fertilization. In case of both artificial fertilization and external fertilization conducted for one person, it was 5.3-fold higher than that of artificial fertilization. The average number of procedures to be successfully pregnant was 1.61 in artificial fertilization alone, 2.07 in external fertilization alone and 4.36 in both artificial fertilization and external fertilization conducted for one person. The average number in external fertilization was 1.29-fold higher than that in artificial fertilization and 2.71-fold higher in both artificial fertilization and external fertilization conducted for one person. Therefore, policies, such as provision of health benefits on treatment costs and expansion of the total recipients in the infertility treatment project for couples which is one of methods to reduce current severe low fertility and an aging population, are required. 본 연구는 난임부부지원사업의 대상인 인공수정과 체외수정의 시술 결과에 따른 임신여부와 소요되는 비용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2년부터 2013년까지 2년간 일 산부인과전문병원에서 난임 시술을 받은 230명을 대상으로 교차분석, ANOVA 그리고 T-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난임 시술자는 30대(71.3%), 난임과 관련된 질병이 없는 경우(67.4%), 출산자녀가 없는 경우(83.5%)가 가장 많았다. 시술별 임신성공 평균 비용은 인공수정이 879,000원, 체외수정이 3,439,000원, 인공수정과 체외수정을 모두 시술한 경우는 4,664,000원 이었다. 인공수정 시술비용에 비하여 체외수정 비용은 3.9 배, 인공수정과 체외수정을 모두 시술한 비용은 5.3배가 높았다. 시술별 임신성공 평균 횟수는 인공수정이 1.61회, 체외수정이 2.07회, 인공수정과 체외수정을 모두 시술한 경우는 4.36회 이었다. 인공수정 시술 횟수에 비하여 체외수정 횟수는 1.29배, 인공수정과 체외수정을 모두 시술한 횟수는 2.71배높았다. 따라서 본 연구가 현재의 심각한 저출산 현상과 고령화를 줄일 수 있는 방법 중의 하나인 난임부부지원사업의 시술비 급여화 및 전체 대상자 확대 등 정책 수립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중증 자궁내막증의 수술적 치료 후 체외수정의 결과

        양승헌 ( Seung Heon Yang ),김혜옥 ( Hye Ok Kim ),성나영 ( Na Young Sung ),안현숙 ( Hyun Suk Ahn ),추연실 ( Youn Sil Choo ),양광문 ( Kwang Moon Yang ),송인옥 ( In Ok Song ),궁미경 ( Mi Kyoung Koong ),강인수 ( Inn Soo Kang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4 No.9

        목적: 중증 자궁내막증 환자에서 수술적 처치가 체외수정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특히 난소 자궁내막증과 복막 자궁내막증 환자의 수술적 처치 후 체외수정시술의 척도들을 비교해 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1997년에서 2004년까지, 복강경검사로 중증 자궁내막증을 진단 받고 체외수정을 시행한 506주기를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하였다. 170주기는 수술받지 않았고, 336주기는 수술적 치료(151주기는 난소 자궁내막증, 185 주기는 복막 자궁내막증) 후 체외수정시술을 받았다. 대조군은 동일 기간 내에 난관요인에 의해 체외수정시술을 받은 313주기를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자궁내막증의 수술적 처치를 한 그룹과 수술을 받지 않은 그룹에서, 채취된 난자 수(9.6 ± 7.3 vs. 11.2 ± 7.5 vs. 14.8 ± 7.0, P <0.0001) 와 이식된 배아 수(3.5 ± 1.4 vs. 3.5 ± 1.4 vs. 3.9±0.9, P = 0.001)가 유의하게 대조군 보다 낮았다. 하지만, 착상률(17.2% vs. 15.2% vs. 15.9%)과 임신율(36.9% vs. 35.9% vs. 39.6%), 태아생존율(32.1% vs. 28.2% vs. 29.7%)은 유사하였다. 수술받은 복막 자궁내막증 그룹의 체외수정에서는 채취된 난자 수(9.6 ± 7.9 vs. 9.8 ± 6.5), 이식된 배아수(3.4 ± 1.4 vs. 3.7 ± 1.3), 착상률 (15.5% vs. 18.0%), 임신율(34.6% vs. 39.7%), 태아생존율(29.2% vs. 35.8%)이 수술받은 난소 자궁내막증 그룹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자궁내막증 환자는 과거의 수술적 치료 유무와 상관없이 체외수정시술 척도가 낮았으나, 임신율에는 차이가 없었다. 수술적 치료를 받은 복막 자궁내막증 그룹은 난소 자궁내막증과 유사하게 낮은 체외수정시술 척도를 보였다. 따라서, 난소 자궁내막증 수술 여부와 관계없이 자궁내막증 자체만으로 체외수정시술 척도에 안 좋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in vitro fertilization (IVF) outcomes in advanced endometriosis with/without surgical treatment and to compare between cyst enucleation and surgically treated peritoneal lesions without endometrioma. Methods: We performed a retrospective analysis of 506 IVF cycles (345 patients) with stage III-IV endometriosis (170 cycles without surgical treatment, 336 cycles with the surgical treatment) between 1997 and 2004. Among the surgical treatment, 151 cycles were performed previously cyst enucleation with endometrioma and 185 cycles were performed only resection of peritoneal lesions without endometrioma enucleation. 313 cycles (246 patients) with the tubal factor infertility were used as controls. Results: In the endometriosis group with/without surgical treatment, the number of retrieved oocytes (9.6±7.3 vs. 11.2 ± 7.5 vs. 14.8 ± 7.0, P < 0.0001) and the transferred embryos (3.5 ± 1.4 vs. 3.5 ± 1.4 vs. 3.9 ± 0.9, P = 0.001)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controls. But, implantation rates (17.2% vs. 15.2% vs. 15.9%), pregnancy rates (36.9% vs. 35.9% vs. 39.6%) and live birth rates (32.1% vs. 28.2% vs. 29.7%) were similar. Surgically treated peritoneal lesions group showed no difference in the number of retrieved oocytes (9.6 ± 7.9 vs. 9.8 ± 6.5), the number of transferred embryos (3.4 ± 1.4 vs. 3.7 ± 1.3), implantation rates (15.5% vs. 18.0%), pregnancy rates (34.6% vs. 39.7%) and live birth rates (29.2% vs. 35.8%) with cyst enucleation group. Conclusion: IVF parameters in the patients with endometriosis are inferior to tubal factor infertility, but IVF outcomes are comparable. Surgically treated peritoneal lesions group without endometrioma enucleation shows IVF parameters as bad as cyst enucleation group. We might be considered endometriosis itself worse IVF parameters regardless previous cyst enucleation.

      • SCOPUSKCI등재

        정상 정자 소견을 나타내는 불임 부부에서 일반적인 체외수정과 세포질내 정자주입술을 병행하는 분할 수정법의 효용성

        홍승범,박동욱,신미라,최수진,이선희,송인옥,전진현,Hong, Seung-Bum,Park, Dong-Wook,Shin, Mi-Ra,Choi, Su-Jin,Lee, Sun-Hee,Song, In-Ok,Jun, Jin-Hyun 대한생식의학회 2007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34 No.4

        목 적: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체외수정과 세포질내 정자주입술을 병행하여 시행하는 분할 수정법의 효용성을 정상적인 정자 소견을 나타내는 비남성요인 불임 환자의 체외수정 및 배아이식술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제일병원 아이소망센터에서 정자 소견상 결함이 없는 비남성요인 불임 환자에게 분할 수정법을 이용한 505주기의 임상 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획득된 난자는 무작위로 나누어 일반적인 체외수정이나 세포질내 정자주입술을 이용하여 수정을 시켰다. 수정란은 이식할 때까지 2$\sim$5일간 배양하였고, 잉여의 수정란과 배아는 동결보관하여 동결-융해 이식에 사용하였다. 수정 방법에 따른 임상 결과를 통계학적인 방법으로 비교하였다. 결 과: 획득된 난자의 수정율은 분할 수정법을 시행하였을 때 일반적인 체외수정보다 세포질내 정자주입술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52.9$\pm$28.0% vs 62.5$\pm$22.3%, p<0.01). 전체적인 수정의 실패는 분할 수정법을 시행한 505주기 중에서 단지 2주기에서만 (0.4%) 나타났으며, 수정 실패와 0$\sim$30% 이하의 수정률을 나타내는 빈도는 세포질내 정자주입술에서 일반적인 체외수정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 (1.1% and 7.5% vs 8.5% and 22.0%, p<0.01). 분할 수정주기에서의 신선 배아와 동결-융해 배아이식 후 분만율은 각각 40.0% (185/462)와 35.0% (55/157)였으며, 일반적인 체외수정이나 세포질내 정 자주입술로 얻어진 배아의 착상률과 분만율은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 론: 결론적으로 비남성요인 불임 환자의 보조생식술에서 분할 수정법이 수정 실패와 낮은 수정율을 방지하고 성공적인 임상 결과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To evaluate the efficacy of split insemination method in treatments for non-male factor infertility. Method: Laboratory and clinical data were collected from 505 cycles of split insemination during 2002$\sim$2005 in our center. The subjects were non-male factor infertility such as endometriosis, tubal, uterine, PCOS and idiopathic infertility without any sperm defects. Retrieved oocytes were randomly divided, and inseminated by conventional IVF or ICSI. Fertilized zygotes were cultured for 2$\sim$5 days to ET date, and surplus zygotes and embryos were frozen for subsequent frozen-thawed ET cycles. Clinical outcomes according to insemination method were compared by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The overall fertilization per retrieved oocyte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ICSI than that of conventional IVF in sibling oocytes (62.5$\pm$22.3% vs 52.9$\pm$28.0%, p<0.01). Total fertilization failure occurred only in 2 of 505 cycles (0.4%) in split insemination cycles. Incidence of fertilization failure and poor fertilization rate less than 30% by ICSI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conventional IVF (1.1% and 7.5% vs 8.5% and 22.0%, p<0.01). Delivery rates after transfer of fresh and thawed embryos from split insemination cycles were 40.0% (185/462) and 35.0% (55/157), respective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mplantation and delivery rates of ET with embryos from conventional IVF or ICSI. Conclusion: Taken together, the split insemination method improves poor fertilization rates resulting in successful clinical outcomes and thus could be used for non-male factor infertile couples in human ART program.

      • KCI등재

        A Prospective Comparison of Fertilizability of in vitro Matured Human Oocytes Obtained from Stimulated Cycle: Conventional Versus ICSI

        지병철,안소정,문정희,황은주,서창석,김석현,문신용,Jee, Byung-Chul,An, So-Jung,Moon, Jeong-Hee,Hwang, Eun-Ju,Suh, Chang-Suk,Kim, Seok-Hyun,Moon, Shin-Yong The Korean Society for Reproductive Medicine 2009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36 No.4

        목 적: 고식적 체외수정시술과 세포질내정자주입법을 사용하여 체외성숙 난자를 수정시키고 수정률과 배발달율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07년 1월부터 2008년 8월까지 난소과자극과 체외수정시술을 받은 59명의 여성에서 135개의 배아소포 단계의 미성숙난자만을 얻어 75 mIU/mL rFSH, 0.5 IU/mL rhCG, 10 ng/mL rEGF가 포함된 체외성숙용 배양액에서 최대 48시간까지 배양하였다. 체외성숙된 난자는 고식적 체외수정방법 (n=41) 또는 세포질내정자주입법 (n=94)을 이용하여 수정시켰으며 이후 배발달율을 관찰하였다. 결 과: 고식적 체외수정군과 세포질내정자주입군에서 체외성숙률은 각각 51.2%와 59.6%였고, 수정률은 각각 71.4%와 80.4%로 두 군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배발달율도 두 군에서 비슷하게 관찰되었다. 결 론: 난소과자극을 통해 얻은 미성숙난자는 고식적 체외수정법을 사용하더라도 세포질내정자주입법과 동등한 수정률과 배발달율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fertilization and cleavage rates of human in vitro matured oocytes after fertilized by conventional in vitro fertilization (IVF) or intracytoplasmic sperm injection (ICSI). Methods: A total of 135 GV stage oocytes were obtained from 59 women who received ovarian stimulation and IVF during Jan 2007 to Oct 2008. Ovarian hyperstimulation was performed using hMG or recombinant FSH with GnRH antagonist and then ovulation triggered by recombinant hCG. The immature oocytes obtained from stimulation cycles were cultured in IVM medium up to 48 hrs; commercial medium supplemented with rFSH 75 mIU/mL, rhCG 0.5 IU/mL and rEGF 10 ng/mL. The in vitro matured oocytes were fertilized by conventional IVF (41 GV oocytes) or ICSI method (94 GV oocytes). Results: Maturation rate were 51.2% and 59.6% in conventional IVF group and ICSI group, respective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fertilization rates between two groups; 71.4% and 80.4%, respectively. The cleavage rate was also similar in two groups. Conclusion: The presented data suggest that conventional IVF has comparable fertilization and cleavage potential compared with ICSI as the insemination method of immature human oocytes obtained from stimulated cycle.

      • SCOPUSKCI등재

        경계성 난소 종양의 보존적 수술 후 불임 환자에서 체외수정시술의 유용성

        이현주,안가영,한호섭,박찬우,양광문,이인호,김태진,임경택,이기헌,강인수,Lee, Hyun-Joo,Ahn, Ka-Yougng,Hahn, Ho-Suap,Park, Chan-Woo,Yang, Kwang-Moon,Lee, In-Ho,Kim, Tae-Jin,Lim, Kyung-Taek,Lee, Ki-Heon,Kang, Inn-Soo 대한생식의학회 2007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34 No.2

        목 적: 경계성 난소 종양 환자에 있어서 보존적 수술 후 임신에 성공한 군과 비임신 군간 환자의 특성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 보았으며, 경계성 난소 종양의 보존적 수술 후 체외수정시술의 유용성에 대해 알아 보았다. 연구방법: 1995년 1월부터 1999년 10월까지 경계성 난소 종양으로 보존적 술을 시행 받은 가임 여성 가운데 임신에 성공한 군 (14명)과 비임신 군 (30명)간 환자의 특성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 보았으며, 비임신 군 가운데 불임을 주소로 내원하여 체외수정시술을 시행 받은 5명의 10주기를 대상으로 체외수정시술 결과 및 체외수정시술 후 난소 종양의 재발 유무를 추적 관찰하였다. 결 과: 경계성 난소 종양의 보존적 수술 후 임신에 성공한 군과 비임신 군간 환자의 평균 나이는 25.9세와 27.0세이었으며 혈청 CA-125 수치는 59.7 U/m와 72.0 IU/ml로 비임신 군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불임을 주소로 체외수정시술을 시행 받은 5명의 10주기 (attempt IVF cycle) 가운데 취소된 2주기를 제외하고 (attempt cycle cancellation rate, 20.0%) 채취된 난자 수는 평균 5.6개 (2$\sim$16개)이었으며 수정율은 14.5% (50.0$\sim$100.0%)이었다. 평균 2.4개 (1$\sim$4개)의 배아를 이식하였으며 배아이식 주기당 임신율과 착상율 및 출생율은 각각 50.0% (4/8 cycle), 31.6% 및 50.0% (4/8 cycle)이었다. 체외수정시술 후 평균 29.6개윌 (14$\sim$61개월)의 추적 관찰 기간 동안 난소 종양이 재발된 경우는 없었다. 결 론: 경계성 난소 종양의 보존적 수술 후 임신에 성공한 군과 비임신 군간 환자의 특성에 차이가 없으며, 보존적 수술 후 체외수정시술의 결과는 비교적 만족할 만한 수준으로 체외수정시술은 경계성 난소 종양의 보존적 수술후 고려될 수 있으나 향후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장기간의 추적 관찰을 필요로 한다. Objective: To examine determinants of successful pregnancy and evaluate COH-IVF outcomes of infertile patients after conservative surgical treatment of borderline ovarian tumor (BOT). Methods: In women of BOT (n=93), from January 1995 to December 1999, 44 of 93 women underwent conservative surgical treatment. From theses 44 women, patients characteristics, surgical and histological parameters were compared between 14 women who conceived and 30 women who failed to conceive. For 5 infertile women of 30 women who failed to conceive, 10 attempt IVF cycles were analysed; clinical pregnancy rate (CPR), implantation rate (IR) and live birth rate (LBR). Results: Women who conceived tend to be younger (25.9 vs 27.0 years) and lower serum CA-125 level (59.7 vs 72.9) compared to women who failed to conceive without significant difference. For 8 cycles out of 10 attempt IVF cycles, except for 2 cancellation cycles, the mean number of oocytes retrieved was 5.6 (range 2$\sim$16) with a mean fertilization rate of 74.4%. The CPR, IR and LBR per embryo transfer were 50.0% (4/8 cycles), 31.6% (6/19) and 50.0% (4/8 cycles) respectively. During the mean follow-up period after COH-IVF initiation, 29.6 (range 14$\sim$61) months, no recurrence was found. Conclusion: No determinant of successful pregnancy was found after conservative treatment for BOT. COH-IVF may be considered for infertile patients after conservative treatment of BOT. However, larger clinical studies with longer follow-up are necessary to evaluate the safety and efficacy of COH-IVF. All patients should be informed of the potential risks associated with ovarian hyperstimulation and close follow-up is necessary after COH-IVF.

      • SCOPUSKCI등재

        자궁내막증이 있는 불임 여성에서 중등도에 따른 체외 수정의 결과 비교

        김혜옥,강인수,Kim, Hye Ok,Kang, Inn Soo 대한생식의학회 2006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33 No.4

        목 적: 자궁내막증이 체외 수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 자궁내막증의 체외 수정 결과의 차이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1994년부터 2004년까지 제일병원 아이소망센타에서 자궁내막증으로 체외 수정을 시술 받은 697명의 환자 (총 1,199주기)를 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경증의 자궁내막증은 638주기, 중증의 자궁내막증은 561주기였으며, 난관 요인을 가진 325명 (459주기)를 대조군으로 하였다. 제외 기준으로는 여성의 나이가 35세 이상, basal FSH level이 20 mIU/ml 이상인 경우, 심각한 남성 요인의 경우를 제외하였다. 결 과: 중증의 자궁내막증은 난관 요인 보다 획득된 난자의 수 ($9.97{\pm}7.2$ vs. $13.4{\pm}7.9$ (p<0.0001)), 총 배아 수 ($6.5{\pm}4.8$ vs. $9.1{\pm}5.6$ (p<0.0001)), 양질의 배아 수 ($2.43{\pm}1.6$ vs. $2.74{\pm}1.7$ (p=0.013))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 하지만, 중증의 자궁내막증의 임신율은 난관 요인과 유사하였다 (35.7 vs. 36.8 (%)). 경증의 자궁내막증은 중증의 자궁내막증과 난관 요인보다 불임 기간이 길었으며 ($55.4{\pm}25.7$ vs. $47.6{\pm}25.6$ vs. $44.4{\pm}30.9$ (개월) p<0.0001)), 수정률이 의미 있게 낮았으나 ($64.8{\pm}22.9$ vs. $69.9{\pm}22.5$ vs.$70.8{\pm}20.8$ (%) (p<0.0001)), 임신율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31.1 vs. 35.7 vs. 36.8 (%)). 또한, 체외 수성 이전에 치료 받은 병력이 있던 경증과 중증의 자궁내막증 (363주기 vs. 470주기)은 경증의 자궁내막증에서 중증의 자궁내막증보다 불임 기간이 길고 ($56.5{\pm}26.3$ vs. $46.9{\pm}25.8$ (개월), p<0.0001), 수정률이 낮았으며 ($64.7{\pm}23.3$ vs. $70.5{\pm}22.7$ (%), p=0.001), 임신율과 태아 생존율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 (29.2 vs. 36.2 (%), p=0.045, 23.9 vs. 31.5 (%), p=0.043). 결 론: 체외 수정 시 이전에 치료를 받았던 경증의 자궁내막증은 중증의 자궁내막증보다 임신율과 태아 생존율이 낮았고, 이는 현저한 수정률 감소와 긴 불임 기간이 관련이 있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장기간의 불임 기간을 가진 경증의 자궁내막증을 가진 불임 여성은 체외 수정을 좀 더 일찍 고려해 볼 수 있겠다. Objective: To evaluate the impact of endometriosis on IVF-ET cycles and to compare IVF outcomes between stage I/II and stage III/IV endometriosis. Methods: We analyzed 697 patients (1,199 cycles) with endometriosis (stage I-II:638 cycles, stage III-IV: 561 cycles) and 325 pts (459 cycles) with tubal factor as controls between January 1994 and April 2004. Pts with endometriosis were diagnosed by laparoscopy and medical and surgical treatment were done in 353 cycles (55.3%) and 466 cycles (83.1%) of stage I-ll/stage III-IV endometriosis. Cycles with age>35 years or FSH>20 miU/mL or severe male factor infertility were excluded. Results: The number of retrieved oocytes ($9.97{\pm}7.2$ vs. $13.4{\pm}7.9$ (p<0.0001 )), total number of embryos ($6.5{\pm}4.8$ vs. $9.1{\pm}5.6$ (p<0.0001)), and good quality embryos ($2.43{\pm}1.6$ vs. $2.74{\pm}1.7$ (p=0.013)) significantly decreased in stage III-IV endometriosis than in control. But pregnancy rate of stage III-IV endometriosis was comparable with control (35.7% vs. 36.8%). Fertilization rate and number of total embryos were lower in stage I-II endometriosis than in control ($64.8{\pm}22.9$ vs. $70.8{\pm}20.8$ (p<0.0001), $7.6{\pm}5.0$ vs. $9.1{\pm}5.6$ (p<0.0001)). In patients with medical and surgical treatment of endometriosis, pregnancy rate and live birth rate was significantly lower in stage I-II than in stage III-IV endometriosis (29.2 vs. 36.2 (%), p=0.045, 23.9 vs. 31.5 (%), p=0.043).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mean age, but the duration of infertility was significantly longer ($56.5{\pm}26.3$ vs. $46.9{\pm}25.8$ (mon), p<0.0001) and fertilization rate was lower ($64.7{\pm}23.3$ vs. $70.5{\pm}22.7$ (%), p=0.001) in stage I-II than stage III-IV endometriosis. Conclusion: We suggest that IVF should be considered earlier in patients with minimal to mild endometriosis because of significantly decreased fertilization rates.

      • KCI등재

        체외수정 시술 시 경증의 자궁내막증과 원인불명의 불임 여성의 비교

        김혜옥 ( Hye Ok Kim ),박찬우 ( Chan Woo Park ),송인옥 ( In Ok Song ),궁미경 ( Mi Kyoung Koong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0 No.2

        목적: 체외수정 시 경증의 자궁내막증과 원인불명의 불임여성의 체외수정 결과의 차이가 있는지 비교하였다. 연구 방법: 1997년 1월부터 2004년 4월까지 체외수정 1202주기를 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경증의 자궁내막증 513주기, 원인불명 338주기, 대조군은 난관요인을 가진 351주기를 대상으로 하였다. 제외기준으로는 여성의 나이가 36세 이상, 난자 채취 시 난자가 4개 미만으로 획득된 경우, 기저 난포자극 호르몬이 20 mIU/ml 이상인 경우, 비폐쇄성 무정자증, 다낭성 난소 증후군을 가진 경우를 제외하였다. 결과: 경증의 자궁내막증, 원인불명, 난관 인자의 평균 연령은 각각 31.7±2.3세, 31.8±2.9세, 31.5±2.7세였다. 일차성 불임의 빈도가 경증의 자궁내막증 (72.3%)과 원인불명 (68.5%)이 난관인자 (31.2%)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p <0.0001). hCG 투여일의 혈청 E2 농도와 난자수는 세 그룹간 비슷하였으나, 수정률 (%)은 경증의 자궁내막증에서 62.3±21.2로 원인불명의 66.0±21.6, 난관인자의 68.8±17.6보다 낮았으며, 특히 난관인자와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여 주었다 (p<0.0001). 총 배아수는 경증의 자궁내막증에서 8.38±5.0개로 원인불명 9.21±5.5개, 난관인자 9.81±5.2개보다 적었지만 (p<0.0001), 양질의 배아 (good quality embryo)는 세 그룹간 차이가 없었다. 임신율은 경증의 자궁내막증, 원인불명, 난관인자에서 32%, 35.8%, 39.9%, 착상률은 13.5±23.3, 14.3±23.6, 16.1±23.5였으며, 경증의 자궁내막증에서 가장 낮았으나,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 경증의 자궁내막증을 가진 불임여성은 체외수정 시 원인불명의 불임여성보다 임신율, 착상률, 생존아 출생률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수정률의 현저한 저하를 보이므로 장기간의 불임기간을 가진 경증의 자궁내막증과 원인불명의 불임여성에서 체외수정을 좀 더 일찍 고려해 볼 수 있겠다.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IVF/ICSI outcomes of infertile women with minimal to mild endometriosis associated and unexplained infertility Method: We performed a retrospective analysis of 513 (IVF/ICSI) cycles with minimal to mild endometriosis associated infertility, 338 cycles with unexplained infertility, 351 cycles with tubal factor infertility as controls between Jan. 1997 and Apr. 2004. Exclusion criteria for study were: age>36 yrs old, the number of oocytes retrieved < 4, basal FSH > 20 mIU/ml, patients with nonobstructive azoospermia, polycystic ovarian syndrome. Results: The incidence of primary infertilit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minimal to mild endometriosis (72.3%) and unexplained (68.5%) than tubal factor (31.2%) (p<0.0001). There was no difference in fertilization rate between minimal to mild endometriosis associated infertility and unexplained infertility. But minimal to mild endometriosis associated infertility showed significantly lower fertilization rate and the number of total embryos than tubal factor infertility (62.3±21.2% vs. 68.8±17.6% (p<0.0001), 8.38±5.0 vs. 9.81±5.2 (p<0.0001)). But the number of good quality embryos was similar. Clinical pregnancy rates of minimal to mild endometriosis associated, unexplained, and tubal factor infertility was 32%, 35.8%, 39.9% and implantation rates was 13.5±23.3, 14.3±23.6, 16.1±23.5, respectively. Conclusion: The IVF/ICSI outcomes of minimal to mild endometriosis associated infertility is comparable to those of unexplained infertility with respect to clinical pregnancy rates, implantation rates, and live birth rates. And we suggest that IVF should be considered earlier in patients with minimal to mild endometriosis associated and unexplained infertility because of significantly decreased fertilization rates and longer duration of infertility.

      • KCI등재

        보조생식술을 통해 태어난 자의 친자관계에 관한 소고

        오호철(O Ho-Cheol) 한국법학회 2009 법학연구 Vol.33 No.-

        최근 불임부부가 증가하면서 보조생식술을 통해 자를 갖기를 희망하는 부부가 늘어나고 있으며, 실질적으로 이를 통해 출생하는 자도 증가하고 있다. 보조생식술은 크게 인공수정과 체외수정이 있으며, 각각 배우자간의 인공수정(체외수정)과 비배우자간의 인공수정(체외수정)으로 나뉜다. 이외에 대리모를 통해서도 자를 얻을 수 있다. 이렇게 보조생식술을 통해 자를 얻을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우리나라의 경우 이를 직접적으로 규율하는 법률이 없기 때문에 다양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현행 민법은 자연생식을 통해 자를 얻는 경우의 친자관계만을 규율하고 있기 때문에 보조생식술을 통해 태어난 자에게 이를 그대로 적용할 수 없는 문제를 안고 있다. 다만, 보조생식술 중에서 배우자간의 인공수정(체외수정)의 경우는 자연생식에 의해 태어난 자와 차이가 없기 때문에 현행 민법의 규정을 적용해도 문제가 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논문은 비배우자간의 인공수정(체외수정)과 대리모의 경우 어떻게 친자관계를 정하는 것이 바람직한가를 외국의 입법례를 참고하여 살펴보았다. Recently, theres many couple who hope to have a child through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as increased sterile ones, and also many children who were born through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is highly divided in artificial insemination and in vitro fertilization and embryo transfer, which is respectively divided in artificial insemination(in vitro fertilization and embryo transfer) between couple and no couple. Besides, it is possible to have a child even through surrogate mother. However, the actual problem in Korea is that many problems have been occurred as theres no law which is regulating the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Specially, the current civil law is regulating only the relation between parent and child for who get their child through the natural reproduction and this is not applicable for who was born through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But, in case of artificial insemination(in vitro fertilization and embryo transfer) between the spouses has no difference from the one who was born through the natural coitus, and this is not a problem though was applied by the current regulation of civil law. Therefore, this paper tried to observe on how to make the relation between parent and child desirably in case of artificial insemination(in vitro fertilization and embryo transfer) between no couple and of surrogate mother, referring to the foreign legislative examples.

      • KCI등재

        원저 : 체외 수정으로 임신된 조기 출산 쌍태아와 정상 임신된 조기 출산 쌍태아의 임상적 고찰

        신준헌 ( Jun Hun Shin ),남희영 ( Hee Young Nam ),이초애 ( Cho Ae Lee ),최은나 ( Eun Na Choi ),이규형 ( Kyu Hyung Lee ) 대한주산의학회 2006 Perinatology Vol.17 No.4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체외 수정시술로 임신된 조기 출산 쌍태아와 자연 임신된 조기 출산 쌍태아의 신생아 예후를 알아보고자 기획되었다. 방법 : 60쌍의 체외 수정시술로 임신된 산모(체외 수정군)와 34쌍의 자연 임신된 산모(자연 임신군)의 조기 출산 쌍태아의 신생아 예후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산모와 산과적 특성도 비교하였다. 모든 출생아는 재태 주령 35주 미만이었고 2000년 1월부터 2004년 12월 사이에 분당차병원에서 태어났으며 모두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입원했던 환아였다. 통계학적 방법으로는 Student t-검정과 χ2 검정을 시행하였다. 결과 : 산과적 특성상, 산모의 연령과 초산부의 비율이 체외 수정군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나 다른 특성들은(조기 진통, 조기 양막 파수, 임신성 고혈압, 임신성 당뇨, 제왕 절개 분만) 두 군간에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신생아 예후로는, 재태 주령, 출생 체중, 재원 기간, Apgar 점수, 신생아 사망률과 질병 이환율을 분석하였는데 자연 임신군과 비교하여 체외 수정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발견하지 못했다. 결론:본 연구에서 체외 수정군이 산모의 나이와 초산부 비율을 제외하고는 산과적 특성과 신생아 예후에서 정상 임신군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Objective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and compare neonatal outcome of premature twins conceived by in vitro fertilization (IVF) to those of naturally conceived. Methods : We retrospectively analyzed neonatal outcome of sixty pairs of premature twins conceived by IVF (IVF twin group) and 34 pairs that naturally conceived (natural twin group). Maternal and obstetric characteristics were also compared. All were born before 35 weeks of gestation between January 2000 and December 2004 at Pochon-Cha Hospital and admitted to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Student t-test and χ2 test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 For obstetrical characteristics, maternal age and rates of nulliparous were sibnificanty twin group. But, other parameters (preterm labor,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s, pregnancy-induced hypertension,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were similar between two groups. For neonatal outcome, gestational age, duration of hospital stay, Apgar score, neonatal mortality and morbidity were reviewed. All parameters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IVF twin group compare to natural twin group Conclusions : In our study, IVF twin group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obstetric characteristics (except for maternal age and parity) and neonatal outcome compare to natural twin grou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