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개인 간 비교와 집단 간 비교가 학업적 자기평가에 미치는 영향

        김태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33342

        본 연구는 개인 간 비교와 집단 간 비교가 학업적 자기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1은 초등학교 6학년 137명(남: 66명, 여: 7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지각능력검사 수행 이후 개인 간 비교 피드백(우수, 저조)과 집단 간 비교 피드백(우수, 저조)을 제공하고 자신의 능력과 수행을 평가하도록 하였다. 연구 1의 결과, 개인 간 비교와 집단 간 비교의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개인이 우수할 경우는 집단 간 비교가 자기평가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개인이 저조할 경우는 집단이 우수할 때 자기평가를 우호적으로 하였다. 또한 개인 간 비교의 주효과가 유의하였으나 집단 간 비교의 주효과는 유의하지 않아 개인 간 비교가 집단 간 비교보다 학업적 자기평가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연구 2는 연구 1과 달리 비교 피드백을 매우 우수 또는 매우 저조로 제공하였으며, 비교 수준이 극단적일 때 개인 간 비교와 집단 간 비교가 학업적 자기평가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하였다. 연구 2는 초등학교 6학년 121명(남: 60명, 여: 6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지각능력검사 수행 이후 개인 간 비교 피드백(매우 우수, 매우 저조)과 집단 간 비교 피드백(매우 우수, 매우 저조)을 제공하고 자신의 능력과 수행을 평가하도록 하였다. 연구 2의 결과, 개인 간 비교와 집단 간 비교는 모두 유의하게 학업적 자기평가에 영향을 미쳤다. 비교 정보가 극단적으로 제공되어도 개인 간 비교가 집단 간 비교보다 학업적 자기평가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연구 1과 달리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 환경정의 관점에서의 생활폐기물 관리정책 : 정책의 투입 및 산출을 중심으로

        정성영 성균관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33323

        본 연구는 현대사회의 다양한 환경문제를 접근하는 새로운 관점으로서 환경정의가 어떠한 함의를 가질 수 있는지 살펴보고, 다양한 정의관을 바탕으로 하는 환경정의 개념을 실제 환경정책분야에 적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지역 주민들의 생활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생활폐기물 문제에 초점을 맞추고, 각 지방정부가 제공하는 생활폐기물 관리정책의 투입과 산출과정에 내재된 환경정의 또는 환경부정의를 실증적으로 접근한다. 생활폐기물 관리정책의 투입요인과 산출요인, 그리고 사회․경제적 요인 등 세 가지 유형의 변수들을 활용하여 분석을 수행한다. 정책투입요인으로는 생활폐기물 정책에 투입되는 예산, 청소인원, 청소장비의 수를 활용하고, 정책산출요인은 폐기물 처리에 소요되는 비용, 최종적인 폐기물 처리량을 활용한다. 또한 각 지역의 생활폐기물 발생과 처리과정에는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특성과 성향이 반영되므로, 지방정부의 인구밀도와 주택형태, 지역내 총생산, 지방세 부담액 및 기초생활보장수급자 비율 등과 같은 사회․경제적 변수를 포함하여 분석한다. 실증분석을 위하여 156개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2000년부터 2009년까지 10년간 통계자료를 활용한다. 먼저 생활폐기물 정책투입과 산출요소의 지방정부간 격차와 불평등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집단 간 비교분석을 활용한다. 즉 인구밀도, 지역내 총생산, 지방세 부담액 및 기초생활보장수급자 비율 변수를 기준으로 각 지방정부를 5개 집단으로 분류하여 정책투입요소와 산출요소에서 나타나는 집단 간 차이의 유의미성을 검정한다. 다음으로 생활폐기물 관리정책의 투입요소 및 산출요소를 기준으로 5개 집단으로 분류하고 사회․경제적 변수를 활용하여 정확한 집단구분을 예측하는 판별함수를 도출한 후, 집단구분에 어떠한 변수가 더 큰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한 상대적 기여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판별분석(discriminant analysis)을 수행한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생활폐기물 관리정책에 투입되는 예산은 집단 간 편차가 크지 않아 환경부정의는 그리 심각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인원과 청소장비 등 기타 투입요소의 경우 소득수준이 낮거나 취약계층이 많은 지역에서 더 많이 투입되고 있음이 확인된 바, 지방정부가 제공하는 환경서비스의 공공성과 형평성을 증진하고 환경정의를 실현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이 기울여지고 있다고 판단된다. 하지만 이는 소득수준이 높은 지역에서 오히려 생활폐기물 처리 서비스가 효율적으로 제공된 결과로 해석할 수 있으므로 보다 신중한 접근과 해석이 필요할 것이다. 한편 정책투입요소에 비해 생활폐기물 처리량과 수수료 징수액 비율 등 정책산출요소 측면의 비형평성과 부정의가 더욱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 지방정부가 제공하는 생활폐기물 관리정책에 있어 절차적 정의보다 분배적 정의가 더 많이 훼손되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앞으로의 생활폐기물 관리정책은 정책산출 측면에서 발생하는 환경부정의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에 대한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some significance of environmental justice as a new perspective of approaching various environmental problems, and to apply environmental justice concept to practical environmental policy fields. Especially, it focuses on solid waste problems closely related to local resident’s life, and tries to empirical approach about environmental justice or injustice within input and output process of solid waste management policy of each local government. This paper conducts an analysis through three types of variables, i.e., input and output factors of solid waste management policy, socio-economic factors. Input factors include budget, the number of workers and equipments employed for the solid waste management. Output factors include costs of waste collected and disposed, and the volume of waste disposal. And also, local government’s characteristics and tendencies are reflected in the process of solid waste generation and disposal. Therefore, socio-economic factors like density of population, rates of house type, GRDP, the amount of local tax share, rates of National Basic Livelihood Act recipients are included for analysis. For the empirical analysis, this paper utilizes statistical data (2000 to 2009) in 156 local governments in Korea. First of all, I utilize comparative analysis to examine gap or inequality of input and output factors in local government’s solid waste management policy. In other words, I test significant meanings of differences between 5 groups of local governments which are classified on the basis of each socio-economic factor. Nextly, I divide all 156 local governments into 5 groups based on input and output factors, and after this, we can understand relative contributions of each socio-economic factor on group division by using discriminant analysis. According to empirical findings, group deviations of total budget in solid waste management are not so big, and environmental injustice is not serious. In other input factors about the number of workers and equipments, local governments with higher rates of low income level people or socially disadvantaged classes invest more input factors rather than others. This means that, as an environmental service provided by local governments, there are many efforts to increase publicness and equity of service, and to realize environmental justice in solid waste management policy. However, these can be misinterpreted as results of efficient service provision in large income area, so more judicious approaches and interpretations are required. Meanwhile, there are remarkable inequity and injustice in output aspects compared with policy input factors. In other words, distributive justice is more violated in local government’s solid waste management policy. Therefore, an institutional strategies are needed in order to relieve environmental injustice problems in output aspect of solid waste management policy.

      • 교사와 학습자의 효과적인 어휘 지도·학습을 위한 책략 연구

        박수정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3330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effective English vocabulary strategies using surveys modelled after Schmitt's taxonomy and to encourage students to use those strategies in vocabulary-building.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of this study,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addressed in the research. First, what vocabulary-learning strategies do Korean high school students and Korean middle and high school English teachers use and how effective do both students and teachers consider these strategies to be? Second, is there any difference among the three groups in their usage and perception of L2 vocabulary-learning strategies? Third, when examining each of the three groups exclusively,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ir usage and perception of L2 vocabulary-learning strategies? To examine these research questions, data were collected from 35 Korean female high school students in the third grade, 8 Korean middle school teachers and 18 Korean high school English teachers. The answers to the survey questions were weighted numerically and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 independent t test and the ANOVA with SPSS statistics software program. An analysis of the responses yielded meaningful results with regards to the usage and perception of L2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I summarized these results in the order of the aforementioned focus questions. First, like middle and high school English teachers, high school students were aware of the benefits of studying new vocabulary by relating it to its antonyms, synonyms and idioms rather than simply using rote memorization. However, when learning new vocabulary, students depended heavily on only eight of the 25 strategies available in Schmitt's model. Middle school teachers, on the other hand, used 19 and high school teachers, 20, of the 25 available-strategies. These results represent that despite having knowledge of them, students do not employ the bulk of effective vocabulary strategies at their disposal. Second, the results of scheffe test in ANOVA showed that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responses in 19 questions out of 50. These differences were calculated into percentages with respect to the usage and preception of each strategy. There was a 93%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and a 7% difference between middle school teachers and high school teachers. Lastly, there was meaningful difference among the members of each of the three groups in their exclusive usage of the five categorized strategies. This meaningful difference occurs among the three groups studied. In addition, perhaps an even more significant meaningful difference was found in the perception and usage of vocabulary strategies within each individual group of people. It follows from the result of this study that neither teachers nor educators can encourage students to build vocabulary effectively through simple presentation of the strategies. Perhaps the focus in employing these strategies ought to be on positive student participation in classroom activities. The shift in focus may yield better results in vocabulary acquisition.

      • 확장된 리더-구성원 교환관계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제조업에 종사하는 한국인 근로자와 베트남인 근로자 집단 간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김현배 인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33259

        본 연구는 베트남 소재 한국기업에 근무하는 베트남 근로자와 한국 근로자의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MX) 이론에 토대를 두고 이를 확장 및 심화를 통해 연구 모형을 도출하였다. 이렇게 도출된 연구 모형을 검정하기 위해 실증 분석을 하였다. 실증 분석을 위해 베트남 한국법인에서 근무하고 있는 베트남 근로자 200명, 한국근로자 214명에게 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에 의해 가설을 검정하였다. 가설 검정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한국인 근로자의 경우 정서적 유대감, 공헌도, 직무만족, 자기효능감은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충성도, 전문성 존경은 조직몰입에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한편, 베트남인 근로자의 경우 충성도, 전문성 존경, 직무만족은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으나. 정서적 유대감, 공헌도, 자기효능감은 조직몰입에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그리고 두 집단 간 갈등회피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한국인 근로자의 경우 갈등회피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사이에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정서적 유대감, 충성도, 공헌도, 전문성 존경, 자기효능감과 조직몰입 간 유의한 조절역할이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베트남인 근로자의 경우 정서적 유대감, 충성도, 공헌도, 자기효능감과 조직몰입 간 갈등회피가 조절 역할을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전문성 존경, 직무만족과 조직 몰입사이에 갈등회피가 조절역할을 하는 것은 검정되지 않았다. 아울러 갈등회피 조절변수를 투입한 결과 인과관계와 부호가 반대로 나왔다. 즉, 갈등회피는 선행변수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정(+)의 영향 관계를 약화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대해 논의를 하였으며, 논의 결과를 바탕으로 학술적인 시사점과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외국인 유학생이 지각하는 대학도서관의 서비스 품질과 만족도에 관한 연구

        초금화 인하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33244

        대학의 국제화, 세계화 및 교육시장의 개방과 더불어 재한 유학생 수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추세가 지속되면 국내 대학의 외국인 유학생수는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이며 대학도서관은 대학의 구성원인 학생과 교수의 교육 및 연구 활동을 지원하는 학문공동체의 핵심 기관으로서 외국인 유학생들이 대학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인프라를 구축하고 서비스를 확대하는 것이 시급하며 대학시장이 공급자 시장에서 수요자 시장으로 전환됨에 따라 대학도서관도 수요자 중심의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용자 관점에서 외국이 유학생이 지각하는 대학도서관 서비스 품질을 측정•평가하고 이용자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규명하고 위와 같은 연구를 내국인에게도 적용함으로써 두 집단간 비교를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선행연구들을 기반으로 본 연구에 맞게 서비스 품질 측정 방법을 재구성 하였으며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하여 대학도서관의 대 외국인 서비스 품질 현황에 대하여 알아 보고 내국인 학생과의 차이를 비교해 보는 것을 통하여 국제화 시대를 맞이하여 대학도서관은 외국인 유학생들을 맞이할 준비가 되어 있는지, 내국인 학생들과의 차이점은 무엇인지 진단•평가해보고, 외국인 유학생들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앞으로 어떤 준비들을 해야 하는지에 대한 향후 대책마련에 참고자료를 제공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된다.

      • 사이버수사 경력에 따른 경찰교육훈련의 효과 및 그 영향에 관한 연구

        문희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00459

        스마트시대를 살고 있는 현대인들에게 사이버공간은 일상의 일부가 되어 있다. 이러한 사이버 공간에서 발생하는 범죄는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새로운 범죄 유형도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사이버범죄에 관한 경찰력은 부족한 실정이다. 사이버범죄에 대응하기 위해 경찰청에서는 사이버안전국을 신설하고 지속적으로 사이버전담 수사관을 선발, 증원하고 있다. 또한 사이버범죄 수사관의 역량 강화를 위해 사이버범죄관련 경찰교육 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하지만 이 교육훈련이 얼마나 효과에 대한 연구가 없어 실효성을 확인할 수 없다. 그리고 일선 사이버 수사관을 대상으로 하는 현행 교육훈련이 1개의 커리큘럼으로 획일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수준별 교육 프로그램이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수사 관련 경찰교육훈련을 이수한 사이버 수사관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교육훈련의 실효성을 확인하고, 교육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교육 요인을 분석하였다. 또한 응답자를 수사경력 3년을 기준으로 초급자와 경력자 그룹으로 구분하여 두 그룹이 교육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하여 어떤 차이가 있는지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교육훈련 구성요인 5가지(교육내용, 교수설계, 교수요원, 교육평가, 학습활동) 중 교육내용>교수설계>학습활동>교수요원 순으로 교육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교육평가는 교육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초급자와 경력자 집단 사이에 교육성과와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지에 대해 분석한 결과, 초급자와 경력자 집단은 각 변수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사이버범죄 수사관련 경찰교육훈련의 성과를 높이기 위해 교육내용을 보다 내실 있도록 개선하고 교수요원 관리 및 처우 개선이 필요하며, 토론과 실무 위주의 학습활동의 확대가 필요하다는 제언을 하였다. 그리고 경찰관의 경력에 따른 교육성과와 독립변수에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향후 급속도로 변해가는 사이버범죄의 특성을 교려하여 교육생의 능력에 따른 수준별 맞춤 학습의 필요성이 있을 것으로 보여 이에 대한 경찰교육훈련 개선을 제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