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창업가의 창업 준비단계에서의 경험이 창업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창업지원정책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윤지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창업가의 개인적 특성 중 창업 이전의 경험이 갖는 중요성에 주목하여 창업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 요소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19년 창업기업실태조사⌟에서 수집한 창업기업 8,000개사의 데이터를 토대로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창업가의 창업 준비단계 경험과 창업기업의 경영 성과 간의 인과관계를 규명하였다. 자원기반이론을 바탕으로 하는 창업기업의 자원 관련 선행 연구에 따르면 초기 창업기업은 일반적으로 제한된 자원을 활용해 성과를 창출하므로 창업가의 개인적 특성이 기업 성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창업가의 인적자본은 창업기업의 핵심자원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창업가의 인적자본 중 창업가의 창업 이전 경험이 창업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는 것을 연구문제로 설정하고 연구모형을 설립하였다. 연구모형의 독립변수인 ‘창업가의 창업 준비단계 경험’의 하위 변수로는 취업 경험과 창업 경험을 설정하였으며, 종속변수인 ‘창업기업의 경영성과’의 하위 변수로는 매출액, 영업이익, 단기 순이익을 설정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창업가의 경험이 기업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정부의 창업지원정책이 미치는 조절효과를 함께 살펴보았다. 조절변수인 ‘창업지원정책’의 하위 변수로는 자금 지원과 창업 교육을 설정하였다. 다음으로, 질적 연구를 통해 통계 분석 결과를 보완하고자 재창업 기업가와 중소벤처기업부 및 창업진흥원의 재창업지원사업 담당자 등과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위와 같은 연구문제를 검토함으로써 창업기업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창업가의 경험 요소들에 대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예비창업가와 정책입안자 등에게 창업지원정책의 효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창업 실패로 인해 발생하는 사회적 비용을 낮추고 창업지원정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였다. 연구모형을 검증한 결과, 창업가의 창업 준비단계 경험 중 이전 창업 경험은 창업기업의 매출액과 영업이익 및 당기 순이익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창업가의 취업 경험은 창업기업의 경영 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부 자금지원과 창업교육 등 창업지원정책은 창업가의 경험이 기업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유의미한 조절효과를 갖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창업 관련자들와 심층 인터뷰를 실시한 결과 재창업가는 과거 창업 경험을 통해 축적한 유용한 인적자본을 후속 창업 과정에서 활용하여 높은 성과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재창업 성공률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재도전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과 더불어 재창업가 맞춤형 지원책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었다. 현재 시행중인 재창업 지원정책의 개선방안으로는 재창업가의 특성에 맞는 프로그램의 개발과 지원 대상자의 선택권 확대가 제시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창업지원정책을 수립하는 정부 및 관련 기관에 재창업 지원 정책의 중요성을 보여주며, 재도전할 수 있는 창업 생태계 조성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특히 창업가들의 수요에 부합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창업가들의 선택권을 넓혀주는 등 현재 창업지원정책의 실효성을 제고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제시되었다. This paper considers the effect of the experience of the entrepreneurs on the performance of new firms, focusing on the importance of human capital as one of the most crucial firm resources.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conducted a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data of 8,000 startups gathered during the 2019 Startup Survey, in order to examine th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the experience of the entrepreneur during the preparatory phase of new business and the performance of the startup. The preceding studies regarding firm resources based on the resource-based view suggest that the firms in their earlier stages create values using their limited resources in most cases. Therefore, the personal traits of the entrepreneur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performance of the firm, and the human capital held by the entrepreneur can be regarded as one of the key resources of the firm.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aims to review the impact of the experience of entrepreneurs, which is a major element of human capital, on the performance of the new firms and set the study model accordingly. The independent variable of the model is “the experience of the entrepreneur during the preparatory phase” and its sub-variables are the job experience as an employee and the business ownership experience. The sub-variables of the dependent variable, “the performance of the firm,” include the sales, operating profit, and short-term net profit. Also,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government’s startup support programs in the process of examining the impact of the preparatory experience of the entrepreneur on the business performance of the startup. The sub-variables of the moderating variable, “startup support programs,” are comprised of financial grants and entrepreneurship education. Finally, the researcher attempted to supplement the results of the statistical analyses through a qualitative study. For this, the researcher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a serial entrepreneur who has business ownership experience, a public official at the Ministry of SMEs and Startups, and a person in charge of re-startrup support programs at Korea Institute of Startup & Entrepreneurship Develop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effect of the experiential elements of the entrepreneur upon the performance of the firm by investigating the above-mentioned study questions and to provide the would-be entrepreneurs and the policymakers with the useful information about the effect of the startup support programs. And, it was expected that this study would reduce the social cost of failure and enhance the efficiency of the startup support programs. The analysis showed that among the experience during the preparatory phase of the entrepreneur, business ownership experience turned out to have a positive and significant impact on the sales, operating profit, and net profit of the firm. However, job experience of the entrepreneur did not show a significant impact on the business performance of the firm. Also, the startup support programs, such as the financial subsidies and entrepreneurship education, turned out to be without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in the process in which the experience of entrepreneurs impacts the business performance of the firm. In addition, the in-depth interview with the startup stakeholders showed that serial entrepreneurs are expected to show better performance than novice entrepreneurs by utilizing the human capital which they secured during their previous attempts to start business. Also, there exists a widespread consensus that, in order to enhance the success rate of re-startup attempts, the improvement of the awareness on re-startup and the provision of the optimized support programs for the serial entrepreneurs are necessary. In addition, it was suggested that, in order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current support programs for the serial entrepreneur, the programs should be optimized for re-startups and the beneficiaries of these programs should be given more opt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the government and the startup support agencies that develop startup support programs and emphasize the needs to build re-startup ecosystem for serial entrepreneurs. Especially, some important future challenges include developing the programs that meet the demands of the entrepreneurs and giving more options to their beneficiaries, etc., in order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the current startup support programs.

      • 第3世代 移動通信 事業의 問題點 分析과 戰略的 支援方案에 관한 硏究

        林世鎭 慶熙大學校 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IMT-2000 project, which will become a lion of a new mobile in the telecommuni- cations industry in combination with the internet and the mobile, therefore characterizing another major axis in the telecommuni- cations area. The information & telecommunications industry has some characteristics such as the its extremely high capability to change and a changing range wide enough to go beyond our imagination. It is a prerequisite to attract a large number of financial investment for successfully initiating and accomplishing the information & telecommunications project. In the long run, it will use fundamental infrastructure as a base to improve our national competitiveness. In this respect, this study is designed to provide policy alternatives for the IMT-2000 project on the basis of the role of government as a superstructure of policy-making. The following discussions are included in this paper: 1) a solution to reach an agreement in making a policy as well as to seek a foothold in technology standardization of next-generation telecommunications services, which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of the IMT-2000 project, 2) a government's supporting policy to ease the royalty burden paid to overseas companies as a result of the absence of our genuine technology, 3) an analysis of the present situation for the advance of Korean-made goods into foreign markets going beyond the domestic market, which is now extremely congested. This study is expected to suggest policy alternatives to resolve many expected problems in the process of the IMT-2000 project. As policy alternatives for those problems, it is necessary to 1) make a regular-dialogue system between the Ministry of Information & Communication and telecommunication enterprises, 2) make a governmental supporting policy for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3) form the liberalization of mobile telecommunication trade in Northeast Asia. The study proceeds by analyzing the situation of the rapidly changing telecommunication industry in Korea and proposing a government policy for the successful management in the field of telecommunication. In the future, the Ministry of Information & Communication, the related governmental institutes and private corporations have to continually support the regular-dialogue system so that the IMT-2000 project can be operated democratically and efficiently. The technology development in harmony with the government's supporting policy should continue in the long run. A great deal of effort should be made to take initiative to advance Korean-goods into foreign markets through the stages suggested in this paper. This paper makes a unique academic contribution by analyzing the problems of Third Generation Mobile Telecommunication based on the aspect of government’s supporting policy and discussing multi-dimensional policy alternatives for those problems. However, this paper has some limitations because the related materials are so enormous and technical discussions and different researcher's majors need to be accompanied. It is expected that follow-up studies will make up limitations on this paper with more detail and more exact dimensions.

      • 육아지원정책 비교 연구 : 스웨덴, 영국, 프랑스, 한국을 중심으로

        김서연 고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703

        요약 우리나라는 저출산 극복을 위해 많은 예산을 투입하여 육아지원정책을 지속적으로 발전시키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출산율은 계속해서 하락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육아지원정책의 실효성을 살펴보고자 선진국의 육아지원정책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래서 우리나라 육아지원정책에 적용할 수 있는 바람직한 부분을 모색하여 현실적인 정책을 제언하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었다. 비교국가로는 ‘Esping-Anderson의 복지국가유형’의 사회민주주의, 자유주의, 조합주의 유형별 국가 중 출산율이 가장 높은 스웨덴, 영국, 프랑스를 선정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웨덴, 영국, 프랑스, 한국의 육아지원정책 방향은 어떠한가? 둘째, 스웨덴, 영국, 프랑스, 한국의 육아지원정책 구성체계는 어떠한 가? 셋째, 육아지원정책의 대안은 무엇인가?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스웨덴, 영국, 프랑스, 한국의 육아지원정책 방향과 구성체계의 자료 수집은 문헌조사와 웹페이지 검색으로 이루어졌다. 특히 수당지원, 보육·교육지원, 휴가지원의 내용을 바탕으로 자료 수집을 하였으며, 그 이후로도 부족한 자료는 반복적으로 추가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국가별 육아지원정책을 비교하고자 정책의 세부적 전략에 대해 종합적으로 분석하는데 유용하다고 인식되는 ‘Gilbert & Specht(1974)의 정책분석 틀’을 사용하였다. 이 분석 틀을 사용하여 스웨덴, 영국, 프랑스, 한국의 국가별 정책내용을 세분화하고 정책 유형의 성격별로 재구성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정책을 비교·분석하였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별 육아지원정책의 개념 및 국가별 방향에 대하여 알아본 결과 복지국가유형의 성격과 육아지원정책이 동일한 방향으로 구성되어있었다. 스웨덴의 육아지원정책의 방향은 ‘아동과 부모를 위한 육아지원정책을 국가가 실현’ 하는 것이었다. 이것은 여성의 취업증가와 저출산 현상으로 인한 사회적 배경으로 인해 가족정책의 필요성이 증가되었기 때문이다. 이는 곧 아동은 국가의 자산이고 육아는 국가의 책임이라는 국가관을 정책에 반영하여 실현하고자 한 것이다. 또한 양성평등을 지향하는 보편적 육아를 위하여 평등한 부모 역할들을 제도적으로 의무화하도록 정책방향을 잡고, 변화시켜 나갔다. 영국은 취약계층 중심으로 선별적 육아지원정책을 실현하였다. 아이는 엄마가 키워야 한다는 모성강조 경향으로 인해 육아지원정책의 발전은 더딜 수밖에 없었고, ‘육아의 책임은 국가가 아닌 부모와 가정’이라는 관점 하에 육아지원정책은 취약계층 중심의 사회서비스가 주를 이루었다. 그리고 프랑스는 가족지원 중심의 육아지원정책을 실현하였다. 저출산 현상으로 인하여 육아지원정책이 도입되었고, ‘아동과 가족은 국가의 책임’이라는 국가관을 가지고 국가경쟁력인 인구증가를 위하여 범정부적 육아지원정책을 지원하고 있었다. 반면 한국은 수요자 요구의 보육·교육중심으로 정책을 실현하고 있었다. 저출산 현상으로 인한 대응책으로 육아지원정책이 도입되었고 국가책임의 보육·교육의 실현을 위해 국민들의 공공성 요구의 증대로 전 연령 무상보육·교육이 도입되었다. 둘째, 국가별 육아지원정책의 구성체계에 대하여 알아본 결과 국가별 육아지원정책의 방향대로 정책이 구성되어 있었다. 스웨덴은 사회민주주의 국가로 보편주의 원칙에 따라 국민의 평등을 추구하며 아버지와 어머니의 평등한 역할을 강조하는 정책방향으로 구성이 되었고, 영국은 자유주의 복지국가로서 취약계층 중심의 선별적 부과의 자유주의 복지국가유형 특징과 더불어 취약계층 중심으로 정책의 방향이 구성되어 있었다. 프랑스는 조합주의 복지국가로서 사회보험을 활용한 다양한 종류의 급여를 제공하는 복지국가유형의 특징과 함께 인구증대정책의 방향으로 육아지원정책이 구성되어 있었으나 한국의 육아지원정책은 수요자 요구의 무상보육·교육지원 중심의 방향으로 육아지원 정책이 구성되어 있었다. 셋째, 국가별로 수집한 육아지원정책 자료를 ‘Gilbert & Specht(1974)의 정책분석 틀’에 따라 배분, 전달, 급여, 재정에 대해 정책을 비교·분석하여 육아지원정책의 모형제시와 함께 그 대안을 제언하였다. 육아지원정책의 배분의 모형은 ‘대상의 포괄성과 다양성강화’이다. 수당지원에 있어서는 지급 아동의 나이를 확대하여 자녀수나 소득 수준에 따라 급여를 폭넓게 배분해야 하며 보육·교육지원에 있어서는 무상보육·교육의 실효성 있는 지원이 필요하다. 휴가지원에 있어서는 아버지 휴가지원 및 시간에 대한 유급기간을 확대하는 대안을 고려하여야한다. 또한 전달의 모형은 ‘일관성과 합리성을 위한 관할부처의 일원화’이다. 수당지원, 보육·교육지원, 휴가지원을 하는 행정기관이 육아를 위한 모든 수급 처를 위해 원스톱 행정으로 이루어지기위해서 관리부처의 통합이 필요하다. 급여의 모형은 ‘수요자 중심의 적정성 확보’이다. 수당지원에서는 자녀수가 많아질수록 수당의 혜택이 커지는 누적수당의 지급과 출산율을 증진시킬 수 있는 유형의 수당이 필요하며 소득수준과 근로유무에 따라 수당혜택의 차이성을 두어야 한다. 보육·교육지원에서는 개별 가구의 상황에 맞는 맞춤형 선택이 가능한 다양한 유형의 보육지원 방법이 마련되어야 하며, 휴가지원은 육아휴직 사용을 위한 경제적 유도의 휴가제도 확대가 필요하다. 재정에 대한 유형의 대안은 ‘재정범위의 탄력적 확대’이다. 수당지원의 범위에 아동과 가족을 위한 국가의 예산확대가 필요하며, 보육·교육지원은 형평성 제고에 기반을 둔 실효성 있는 예산 분배가 필요하다. 육아휴직 활성화를 위한 현금성 재정의 확대도 적극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스웨덴, 영국, 프랑스, 한국의 국가별 육아지원정책을 비교분석 함으로써 한국의 출산율 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육아지원정책에 대한 실효성 있는 정책을 제언하여 추후 한국의 육아지원정책 변화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 기업가정신 및 창업지원정책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창업자기효능감과 창업실패부담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기홍석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가정신과 창업지원정책이 예비창업자 또는 창업자의 창업의도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를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창업자의 창업의도에 미치는 기업가정신과 창업지원정책을 독립변수로 설정하고, 창업자기효능감과 창업실패부담감을 매개효과로 설정하여 실증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기업가정신, 창업지원정책과 창업의도간의 관계에 대한 이론적 접근을 통하여 발전적인 창업지원 정책방향을 도모하고, 창업자의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효능감과 반대의 개념인 창업실패부담감을 매개효과로 연구를 진행하여 기업가정신과 창업지원 정책의 올바른 방향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며, 마지막으로는 예비창업자와 기창업자간의 창업의도 분석과 창업자기효능감과 실패부담의 집단별 창업의도 차이의 결과를 분석하여 스타트업의 사회적 인식제고 및 창업자의 창업의도를 향상시키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기업가정신은 혁신성, 진취성, 위험감수성의 3대 요인을 중심으로 조사하였으며, 창업지원정책은 자금지원, 교육지원, 인프라 지원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기업가정신과 창업지원정책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창업자의 자기효능감과 실패부담감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요인을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업자의 기업가정신 요인이 창업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기업가정신 요인 중에서 혁신성과 진취성, 위험감수성 요인 모두 창업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창업자의 기업가정신 요인이 창업실패부담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혁신성 요인은 창업실패부담감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진취성과 위험감수성은 창업자의 창업실패부담감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은 미치지 않았다. 따라서 창업자의 혁신성은 창업 실패에 대한 부담감을 낮추는데 기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창업지원정책 요인이 창업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창업 교육지원과 인프라지원 요인은 창업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나 창업 자금지원 요인은 창업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은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창업지원정책 요인이 창업실패부담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창업지원정책 요인 중에서는 창업 자금지원요인이 창업실패부담감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창업 관련 교육지원과 인프라지원 창업자의 창업실패부담감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은 미치지 않았다. 따라서 창업 자금지원은 창업자의 창업실패에 대한 부담감을 낮추는데 기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창업자의 창업자기효능감과 창업실패부담감, 창업의도 간의 인과관계를 규명하기 설정한 결과, 창업자기효능감은 창업실패부담감에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고, 창업자기효능감은 창업의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창업실패부담감은 창업의도에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창업자기효능감은 창업시패부담감을 낮추고, 창업의도를 높이는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창업실패부담감은 창업의도를 낮추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기업가정신, 창업지원정책과 창업의도 간의 관계에서 창업자기효능감과 창업실패부담감의 매개효과는 부트스트랩핑(bootstrapping)을 실시하여 검증하였다. 먼저 기업가정신 요인과 창업의도의 관계에서 창업자기효능감과 창업실패부담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혁신성 → 창업자기효능감 → 창업의도, 혁신성 → 창업자기효능감 → 창업실패부담감 → 창업의도, 위험감수성 → 창업자기효능감 → 창업의도, 혁신성 → 창업실패부담감 → 창업의도 경로의 매개효과는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창업지원정책 요인과 창업의도의 관계에서 창업자기효능감과 창업실패부담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교육지원 → 창업자기효능감 → 창업의도, 교육지원 → 창업자기효능감 → 창업실패부담감 → 창업의도, 자금지원 → 창업실패부담감 → 창업의도 경로의 매개효과는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프라지원 → 창업자기효능감 → 창업실패부담감 → 창업의도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였으나, 인프라지원 → 창업자기효능감 → 창업의도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참고로 교육지원과 인프라 지원은 창업실패부담감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은 미치지 않지만 창업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창업실패부담감에 영향을 미치고 이를 통해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의미이다. 다섯째, 예비창업자와 기창업자의 창업자기효능감, 창업실패부담감, 창업의도의 차이의 결과를 살펴보면 창업자기효능감의 경우 기창업자가 예비창업자에 비해 높았으며, 창업실패부담감은 예비창업자가 기창업자에 비해 높았으며, 창업의도는 기창업자가 예비창업자에 비해 높았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보여 기창업자가 창업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예비창업자와 기창업자의 창업자기효능감, 창업실패부담감, 창업의도의 인과관계를 살펴보면 기창업자와 예비창업자 모두 창업자기효능감은 창업의도에, 창업실패부담감은 창업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창업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창업의도가 높고, 창업실패부담감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창업자기효능감이 창업실패부담감에 미치는 영향은 예비창업자에서만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어 예비창업자의 경우 창업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창업실패에 대한 부담감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다중집단분석(Multiple Group Analysis)을 실시하여 연구대상자들의 학력, 창업 경력, 가족창업 경력, 창업지원정책 활용 여부, 창업 여부 등에 따라 연구변인들 간의 영향력에 차이가 있는 지를 살펴보고, 경로계수의 집단별 차이는 대응별 모수비교(Pairwise Parameter Comparison)를 통해 살펴보았다. 본 논문의 분석결과가 향후 기업가정신을 고취하기 위한 방안과 정부의 창업지원정책의 방향을 제시하고, 창업자기효능감을 높이고 창업실패부담감을 낮추어 창업자의 창업의도를 높이는데 기여하고자 하며, 본 연구에서 부족한 부분에 대해서는 향후 연구과제로 남겨두기로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ship support policy on the intention to start a business or a startup. To this end, we intend to conduct an empirical study by setting the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ship support policies on the intention of entrepreneurship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setting the entrepreneurship effectiveness and the burden of entrepreneurship failure as a mediating effect. Through the theoretical approach to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ship, entrepreneurship support policy and entrepreneurship intention, it aims to develop entrepreneurially support policy direction and mediates self-efficacy affecting the entrepreneurs' intention to start up, and the opposite concept, business failure burden. The study conducted as an effect to provide a rationale for the correct direction of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ship support policy. Finall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entrepreneurship intention between prospective entrepreneurs and entrepreneurs and the difference in entrepreneurship the intentions by a group of failure burden By analyzing, we intend to contribute to raising the social awareness of startups and improving the intention of starting a business. Entrepreneurship surveyed focusing on three factors: innovation, initiative, and risk-taking. The entrepreneurship support policy was focused on funding, education support, and infrastructure support. The effect of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ship support policy on the intention to start was analyzed, and the factors affecting the founder's self-efficacy and the burden of failure on the intention to start were analyzed centering on the mediating effect.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the entrepreneurship entrepreneur's entrepreneurship on the entrepreneurship effectiveness, it was found that among the entrepreneurship factors, innovativeness, enterprisingness, and risk-sensitization factors all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 effect on the entrepreneurship sensibility. Also,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the entrepreneurship entrepreneurship on the entrepreneurship failure burden, the innovativeness factor showed a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 on the entrepreneurship failure burden, but the advancement and risk susceptibility to the entrepreneurship failure burden There was no direct significant effect. Therefore, it was predicted that the founder's innovativeness contributed to lowering the burden of start-up failure.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entrepreneurship support policy factors on entrepreneurship effectiveness, entrepreneurship education support and infrastructure support factors had a positive (+) effect on entrepreneurship efficacies, but entrepreneurship funding factors were significant in entrepreneurship efficacies. There was no effect. In addition,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the entrepreneurship support policy factor on the burden of entrepreneurship failure, it was found that among the factors of the entrepreneurship support policy, the funding factors for entrepreneurship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he burden of entrepreneurship failure. There was no direct impact on the founding failure of the infrastructure support entrepreneur. Therefore, it was predicted that funding for start-ups would contribute to reducing the burden of start-up failures. Third, as a result of establishing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founder's sense of entrepreneurship and the failure to start a business, the founder's sense of entrepreneurship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he burden of entrepreneurship failure. Significant positive (+)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startup, and the failure to start a busines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startup intention. It can be seen that the entrepreneurship failure burden has a negative effect on lowering the intention to start a business. Four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ship, entrepreneurship support policy and entrepreneurship intention, the mediating effect of entrepreneurship effectiveness and entrepreneurship failure burden was verified by performing bootstrapping. First,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entrepreneurship factors and entrepreneurship intentions and founding effectiveness and entrepreneurship failure, innovation → entrepreneurship efficiencies → intention to start up and innovation → entrepreneurship effectiveness → entrepreneurship failure entrepreneurship → entrepreneurship degree, risk sensitivity → Founder's effectiveness → Start-up intention, innovation → Start-up failure burden → Start-up intention All mediating effects of the route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Next,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entrepreneurship effectiveness and entrepreneurship failure about the factors of entrepreneurship support policy and entrepreneurship intention, education support → entrepreneurship efficacy → entrepreneurship intention, education support → entrepreneurship effectiveness → entrepreneurship failure commitment → It was found that the intention to start the business, the funding → the burden of the failure to start the business → the mediating effect of the intention to start the business were all significant. Infrastructure support → Entrepreneurship effectiveness → Entrepreneurship failure burden → The mediating effect of entrepreneurship intention was significant, but infrastructure support → Entrepreneurship efficiency → Mediating effect of entrepreneurship intention was not significant. For reference, education support and infrastructure support does not have a direct impact on the entrepreneurship failure burden, but it means that the entrepreneurship effectiveness is mediated by the entrepreneurship failure burden. Fifth, looking at the results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founder's entrepreneurship efficacy, entrepreneurship failure burden and entrepreneurship intention, the entrepreneurship entrepreneurship was higher than the entrepreneurship entrepreneurship. It was higher, and the intention of starting a business was higher than that of a pre-founder,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showed that the founding intention was high. Looking at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entrepreneur's entrepreneurship, entrepreneurship failure, and entrepreneurship intention, the entrepreneurship entrepreneurship entrepreneurship entrepreneurship entrepreneurship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ship failure entrepreneurship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entrepreneurship intention.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founder's effectiveness, the higher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and the lower the burden of starting failure. On the other hand, the effect of entrepreneurship efficacies on the burden of entrepreneurship failure was predicted to be significant only in pre-starters, so the higher the entrepreneurship efficiencies, the lower the burden on startup failure. Lastly, multiple group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influence among research variables depending on the educational background, entrepreneurship, family entrepreneurship, entrepreneurship support policy utilization, and entrepreneurship. Differences by a group of path coefficients were examined through pairwise parameter comparison.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paper suggest ways to promote entrepreneurship in the future and the direction of the government's entrepreneurship support policy. We will leave the lack of in the future research project.

      • 부산시 창업 지원정책 개선 방안 연구 : 창업생태계적 관점에서

        박동호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창업활성화를 통해 일자리 창출 동력을 확보하여 인재와 기업이 몰려드는 부산을 만들고자, 부산 지역의 창업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지역 창업 지원정책의 개선방안에 대해서 중점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창업생태계의 이론적 고찰과 성공적인 창업지원 정책의 선진사례를 통하여 성공적인 창업의 요인 분석틀을 만들어 객관적으로 파악하였다. 이러한 분석틀을 통하여 부산지역의 창업지원 정책 현황과 실태조사에서 나타난 요소별 문제점을 분석하여 개선방향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부산시의 창업지원 정책과 창업환경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창업지원 부서 및 기관 간 협업이 부족하고, 창업지원 체계가 이원화되어 있으며 창업생태계가 부재하는 등 창업지원체계가 미흡하다고 파악이 되었다. 또한, 창업자금 지원체계가 미흡하고, 지역 인재유출로 인해서 인재가 부족한 실정이다. 그리고, 변화와 도전을 주저하는 지역문화로 창업이 저조한 실정이며, 지역 특화된 창업지원 프로그램이 없어 창업의 경쟁력이 낮은 수준으로 파악 되었다. 이러한 부산시 창업지원 정책 현황과 실태조사를 통해서 도출된 문제점에 대한 부산 지역 창업 지원정책 개선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원화된 창업지원 체계와 부서별, 기관별 협업 및 중복업무 조정을 통한 체계적인 창업지원시스템이 필요하다. 둘째, 투자관련 기관 및 협회 등의 지역 유치와 부족한 투자환경 보완 및 지속적인 재원 확보 방안을 모색하는 등 창업 자금지원 체계를 만드는 것이 요구된다. 셋째, 경영 및 기술과 디자인 등 다양한 분야에 전문 지식을 갖춘 통섭형 인재를 양성하여 우수 지역인재를 확보하여야 한다. 넷째, 대기업에서 퇴사한 우수한 인력과 열정을 가진 지역의 청년 및 대학생과 연결하는 부산형 브릿지 프로그램을 만들어 창업기업의 성공률을 높여야 한다. 다섯째, 창업문화 확산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서 청년 및 대학생들의 창업을 유도하여 도전적 창업을 유도하여야 한다. 여섯째로, 지역의 특화된 사업의 창업으로 창업기업의 경쟁력을 높힐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예비 및 초기 창업자들이 모여서 자유롭게 토론하고 소통할 수 있는 창업카페 집적지인 창업스트리트 조성하여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tart-up status and problem and therethrough concentrate upon the improvement of local entrepreneurship support policy in order to activate entrepreneurship for securing job creation power to make Busan where talents and businesses flock to. The research method was to undergo theoretical study on the start-up ecosystem and best practices of successful start-up support policies for entrepreneurship in order to create a factor analysis framework of successful start-up and investigate objectively. This analysis framework was used to analyze the factor-specific issues presented in the incubator policy of Busan and the survey, thus to derive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According to analysis for the entrepreneurship support policy and entrepreneurship environment of Busan, the entrepreneurship support system was insufficient such as the collaboration was lacking between start-up support departments and agencies, the entrepreneurship support system was dual, and the start-up ecosystem is absent. In addition, the start-up funding system was inadequate, and talents were lacking due to the outflow local talents. Further, start-ups were poor due to the local culture of being reluctant to change and challenge, and the start-up competitiveness was in a low level due to the lack of area-specific start-up incubator program. The entrepreneurship support policy improvements of Busan were suggested as follows for the issues derived through such entrepreneurship support policy and the survey. First, a systematic start-up support system is necessary through the unified start-up support system, and departmental and institutional collaboration and coordination of duplicate businesses. Second, a start-up financing scheme needs to be created through the regional attraction of investment-related institutions and associations, supplementation of lacking investment environment, and ongoing groping for funding system. Third, local talents should be ensured through nurturing of consilience type talents with expertise in various fields including management and technology and design. Fourth, the success rate of start-ups should be increased by creating a Busan-type bridge program connecting outstanding workforce retired from large enterprises and the youth and college students with passion. Fifth, challenging entrepreneurship should be induced by inducing young people and university students to start-up through the operation of start-up culture spread programs. Sixth, the competitiveness of start-up companies needs to be enhanced through the start-up of specific projects in the region. Finally, a start-up street clustered with start-up cafes should be founded for the preliminary and initial start-ups to freely discuss and communicate together.

      • 보육지원정책에 관한 보육교직원들의 인식 분석 : 경기도 파주시 소재 어린이집을 중심으로

        이금주 연세대학교 정경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보육지원 정책을 보육정책의 법?제도, 보육프로그램 정책, 보육정책 전달체계, 보육재정 지원정책으로 세분화하여 보육교직원들의 인식을 분석하고 최근 논의되어 추진되고 있는 다양한 보육지원 정책에 관한 보육교직원들의 만족도와 앞으로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할 보육지원 정책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둔 실증적 조사연구이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선정하였다. 첫째, 파주시 보육교직원들은 현재 시행되고 있는 보육정책(법?제도적인 측면, 보육프로그램 정책, 보육정책 전달체계, 보육재정 지원 정책)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둘째, 파주시 보육교직원들은 현재 시행 중인 보육지원정책에 대해 어느 정도 만족하고 있는가? 셋째, 앞으로 우리나라 또는 파주시에서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할 보육지원정책에 대해 파주시 보육교직원들은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보육정책 인식, 보육지원 정책 만족도,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할 보육지원 정책에 대한 보육교직원들의 인식을 조사하기 위해 파주시에 소재하고 있는 보육교직원 가운데 어린이집 원장 53명, 보육교사 226명, 총 279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1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처리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정책의 법?제도적인 측면, 보육프로그램 정책, 보육정책의 전달체계, 보육재정 지원 정책에 대한 보육교직원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 보육재정지원 정책, 보육프로그램정책, 보육정책의 전달체계, 보육정책의 법?제도적인 측면 순으로 높게 인식하였다. 둘째, 보육지원 정책에 대한 보육교직원들의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보육교직원들의 현재 시행 중인 보육지원 정책의 만족도는 높은 편은 아니었다. 만족도 하위영역별로 분석해 보면, 아이사랑카드 바우처 지원 제도, 법정 저소득층의 차액보육료 지원정책, 다자녀가구 보육지원 확대, 다문화가정 보육료 지원정책, 5세 누리과정 차액보육료 지원정책, 맞벌이 보육료 지원, 농어업인 보육료 지원, 장애아 등 교사 특수근무수당 지원, 0세아 전용 어린이집 운영, 정부지원어린이집 교직원 처우개선비 지원, 민간어린이집 보육교사 처우개선비 지원, 시간 연장 보육료 지원정책, 영아 무상보육 지원정책, 보육교사 대체인력 인건비 지원, 가정 보육교사 지원 제도, 어린이집 평가인증제도, 어린이집 미이용아동 양육수당 지원 순으로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셋째, 우리나라 또는 파주시에서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할 보육지원정책에 대한 보육교직원들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 보육교사 처우 개선 정책, 보육교사 자질 개선 정책, 다양한 보육프로그램 및 서비스 제공, 보육?교육비 지원 확대, 어린이집환경 개선, 보육정책과 유아교육정책의 일원화, 국공립어린이집의 확대, 직장어린이집 확대 설치, 방과후 보육서비스 제공, 어린이집 이용시간 다양화, 장애아동 통합보육 확대 설치, 보육료 자율화 도입, 시간 연장형 어린이집 확대, 민간어린이집의 확대, 가정보육교사제도 도입 확대, 어린이집 평가인증제도 강화, 어린이집 미이용아동 양육수당 확대 시행, 양육비 현금지원 순으로 높은 필요성을 인식하였다.

      • 한옥보전지원정책에 관한 만족도연구 : 한옥마을거주자를 중심으로

        김연옥 국민대학교 행정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정부의 정책에 대한 효과성이 점차 중요시됨에 따라, 정부의 정책에 대한 업무추진의 효율성, 정책 과제의 목표 달성률 등에 관한 정책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때, 국민만족도도 함께 측정이 되는데 이는 정부의 정책도 일반 사기업처럼 만족도를 도입하여 평가하는 것으로 국민을 정책의 수혜자로 판단하고 보다 고객지향적인 정책을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노력은 국민을 위한 정책수립과 실행을 할 수 있는 초석을 마련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논지에서 한옥보전지원정책에 관한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현재, 정부는 한옥보전지원정책을 다양하게 수립하고, 이를 실행하고 있다. 하지만 한옥거주자를 대상으로 한 만족도 조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즉, 정책의 수립과 실행만이 이루어 졌고, 거주자들의 한옥보전지원정책에 대한 실질적인 인지와 만족도에 대한 파악이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것이다. 보다 나은 정책을 수립하고, 실행하기 위해서는 거주자의 인식, 만족도 파악이 필수적인 요소가 된다. 거주자들의 인지와 만족도를 정확히 파악한다면 그들의 만족도를 높이고, 정책적으로도 효율적인 대책을 수립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옥보전지원정책에 거주자의 실질적인 만족도를 알아보고자 한다. 실제 거주자를 대상으로 한 이유는 정확한 만족도 조사를 위하여 한옥보전지원정책의 실제 수혜자가 되는 거주자를 대상으로 한 것이다. 한옥보전지원정책에 대하여 정확한 분석을 위하여 이론적 배경에서는 한옥보전지원정책에 대한 정의와 각 지원정책별로 지원유형 및 특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이러한 문헌고찰을 통하여, 한옥보전지원정책에 미치는 요인을 선별하여 이들간의 관련성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만족도에 미치는 선행요인으로 한옥보전지원정책유형(행정지원, 재정지원)과 거주자의 특성(교육, 나이, 거주기간)이 한옥지원정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와 함께 거주자의 정책에 대한 참여의지에 따라 한옥보전지원정책에 대한 만족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실증적으로 살펴보았으며, 또한 한옥보전 지원정책을 수행하는 한옥위원회의 존재와 역할에 관한 인지를 중심으로 정책 만족도 차이를 함께 알아보았다. 이러한 한옥보전지원정책에 대한 만족도 조사는 한옥정책에 대한 만족도 향상 및 서비스 수준 향상, 정책 수립과 실행의 효율성을 높이고, 거주자의 신뢰 제고에 도움을 줄 것이다.

      • 다문화가족지원정책 전달체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상호문화주의를 중심으로

        고정화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우리나라는 급격한 다문화가족 증가에 따라 2006년 다문화가족지원정책을 수립하여 결혼이민자의 안정적인 정착과 그 자녀의 건강한 성장을 위해 맞춤형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다문화가족지원정책은 유사·중복사업에 따른 예산 낭비, 부처 간 갈등, 체계적이지 못한 시스템으로 비판이 확산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정책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의 서비스 전달체계를 파악하여 문제점을 도출해내고, 효율적인 다문화가족 지원을 위한 전달체계를 마련하는데 궁극적인 목적을 두고 있다. 이에 문헌분석, 행정자료 분석, 전문가 의견을 참고하여 중앙정부 및 경기도와 다문화가족이 가장 많이 거주하고 있는 안산시·수원시의 다문화가족지원정책을 살펴보고, 적절성, 통합성, 지속성의 측면에서 어떠한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는지 분석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먼저 적절성 측면에서는 ⌜다문화가족지원법⌟의 적용 대상, 규정 형식, 법적 근거 미비 사항, 관련 법 간의 관계 등과 관련하여 분석하였으며, 다문화가족의 대상 범위 확대, 불법체류자 자녀의 초등학교 입학과 도시·농촌 간의 차별에 대한 법적 근거 마련, ⌜재한외국인 처우 기본법⌟과의 법률 정비가 필요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두 번째, 통합성 항목에서는 중앙정부와 집행 전담기구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는데, 중앙정부 차원에서는 부처 간의 불명확한 역할 분담에 따라 갈등이 이어져 왔으며, 특히 법무부와 여성가족부 간의 명확한 기능 조정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집행 전담기구의 경우 2014년부터 건강가정지원센터와 다문화가족지원센터가 통합·운영하기 시작하여 2021년 “가족센터”로 명칭을 변경하여 확대하고 있으나 이에 따른 법적 근거가 없어 이를 신설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세 번째, 예산, 정책성과 등을 통해 지속성 항목을 살펴본 결과, 중앙정부와 안산시·수원시의 투입예산은 매년 증가하고 있지만, 경기도는 2011년에 비해 2022년 투입예산이 현저히 줄어들어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 또한, 현 정책은 결혼이민자들의 안정적인 정착에 초점이 맞춰져 있으며, 다문화 수용성을 위한 정책은 다문화 이해교육, 세계인의 날 행사와 같은 일회성 행사에 불과했다. 따라서, 다문화 수용성 제고를 위한 중장기적인 정책 개발이 필요하며, 지속적인 만남과 교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 분석 결과, 상호문화주의를 중심으로 관련 법과 부처의 역할, 조직 및 예산의 변화가 필요하며, 적절성, 통합성, 지속성을 실현할 체계적인 전달체계가 필요하다는 결론을 도출해냈다. 하지만 본 연구는 적절성, 통합성, 지속성의 측면에서만 분석하였기에 그 밖의 구성원칙들에 대한 개별적인 접근이 불가하며, 대상이 중앙정부, 경기도, 안산시·수원시에 국한됨에 따라 지방자치단체별 특성에 맞는 개선방안은 제시하지 못하였다. In response to the rapid increase in multicultural families, the Korean government established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Policy in 2006 to provide customized support for stable settlement of marriage immigrants and healthy growth of their children. However,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policy is being criticized for wasting budget due to similar · overlapping projects, conflicts between ministries, and an unsystematic system, and policy improvement is required accordingl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problems in the existing service delivery system, and to develop an efficient delivery system for supporting multicultural families. The study conducted a literature review, administrative document analysis, and expert opinions, examining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policies of the central government, Gyeonggi-do, and Ansan-si and Suwon-si, where multicultural families reside the most. The study analyzed the problems from the perspectives of appropriateness, integration, and sustainability, and proposed improvement measures. In terms of appropriateness, it was analyzed regarding the application of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Act⌟, the form of regulations, lack of legal ground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related laws. It was concluded that it was necessary to expand the target range of multicultural families, prepare legal grounds for elementary school admissions for children of illegal immigrants and discrimination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and legal arrangements with the ⌜Basic Act on the Treatment of Foreigners in Korea⌟. Second, in the category of integration, the central government and the executive body were examined separately. At the central government level, conflicts have continued due to the unclear division of roles between ministries, and in particular, it has been confirmed that clear functional adjustment between the Ministry of Justice and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is necessary. Meanwhile, in the case of the executive body, the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and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began to integrate and operate from 2014, changing the name to “Family Center” in 2021 and expanding it, but there is no legal basis for this, so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it.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sustainability items through budget and policy performance, the central government and Ansan-si and Suwon-si's input budget are increasing every year, but Gyeonggi-do's 2022 budget is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2011, so it needs to be reviewed. In addition, the current policy focuses on stable settlement of marriage immigrants, and the policy for multicultural acceptance was only a one-time event such as multicultural understanding education and World People's Day events. Therefore, it was found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mid- to long-term policies to improve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continuous meetings and exchanges are needed. As a result of the above analysis, it is necessary to change related laws, roles of ministries, organizations, and budgets, focusing on interculturalism, and It was concluded that a systematic delivery system was needed to realize appropriateness, integration, and sustainability. However, since this study was analyzed only in terms of appropriateness, integration, and sustainability, individual access to other constituent principles is not possible, and It was not possible to provide individual improvement measures tailored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local government as the scope of the study was limited to the central government, Gyeonggi-do, Ansan-si and Suwon-si.

      • 중앙정부 NGOs지원정책의 평가에 관한 연구 : 「비영리민간단체지원사업」을 중심으로

        김경희 이화여자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overall support policy for non-profit and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by the Ministry of Government Administration and Home Affairs. This study also aims at promoting cooperative partnership between the Government and NGOs, as well as supporting sound growth of NGOs, through the fairness and clearness of the Government supporting measures. In carrying out this study, I have reviewed the support policy for NGOs by the Government on the four aspects, (1) fairness of the program's selection and financial distribution process, (2) validity of the organization's program, (3) appropriateness of the evaluation process, (4) the effectivity of the program. Having reviewed the policy, I propose a proper direction of the strategy for the Government's support policy and the roles of NGOs. Above all, I suggest several alternative strategies for improving the Government's support policy. First, for enhancing fairness of the program selection and financial distribution process, fairness should be guaranteed in composing 'Commitee for Public Affairs Selection.' It should also have plenty of interviews with representatives of the proposing organizations for the appropriate understanding of the programs. In addition, flexibility should be maintained in financial distribution process in accordance with the program implementing steps. Second, for enhancing the program's validity, NGOs should keep accountability and sincerity in carrying out the program. In the assessment process, they should place priority on public interests over a campaign event. The evaluation can be practical through field visits to relevant sites. Third, on the aspect of evaluation, fairness should be guaranteed in composing 'Commitee for Public Affairs Evaluation.' Also, an evaluation index should be developed for different types of individual program. It can covert hand work in the evaluation process to computerized data processing. Fourth, for enhancing the program's effectivity, both the Government and NGOs should endeavor to improving public service. As a result, the program selection and distribution should be performed with fairness and clearness by focusing on the public activity of the participating citizens, not on solving the internal problems of the NGOs. To be short, trustworthiness and objectivity should be guaranteed by various feedback in the evaluation process. In doing so, NGOs can have autonomy and accountability for their programs.

      • 정부지원정책이 지식집약형서비스 기업의 혁신성공에 미치는 영향

        유창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기술혁신은 기업이 경쟁력을 키우는 중요한 수단인데 현실에서 기업 기술혁신은 고비용, 고위험, 외부성, 복잡성, 불확실성 등의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국가 혁신 시스템에서 주요 추진자인 정부는 과학기술 투입과 같은 정책 수단을 통하여 과학기술 혁신 네트워크의 링크와 최적화를 추진할 수 있다. 그리고 정부의 과학기술 투입을 이용하고 차용하는 것은 이미 각국 기업들이 혁신 내부에 존재하고 있는 불리한 특성을 처리하는 주요한 방식 중의 하나이다. 지식집약형서비스(KIBS)기업이 경제발전을 촉진하는 면에서 중요한 위치임을 감안하여 지식집약형서비스(KIBS)기업의 기술혁신에 관한 활동과 관련하여 적당한 동기 부여 메커니즘을 만드는 것은 각국 정부가 혁신발전전략을 효과적으로 실행하도록 추진하는 중요한 정책 중의 하나가 되었으며, 정부지원정책이 지식집약형서비스(KIBS)기업의 혁신성공에 미치는 영향을 모색하는 것도 중요한 일이다. 본 논문은 정부와 시장관계이론, 정부와 기업의 혁신적인 관계이론에 기초하여 기존 선행연구에 대한 체계적인 정리를 바탕으로, 한국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에서 제공하는 기업혁신조사 데이터에서 지식집약형서비스(KIBS)기업에 속하는 655개 기업을 분석하였다. 2018년 한국기업혁신조사의 설문조사 원자료(rawdata)를 이용하고 이항로짓회귀분석법을 적용하여,이론모델에 대하여 실증적으로 검증한 후에 유형별 정부지원정책이 지식집약형서비스(KIBS)기업의 혁신성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논문의 주요 연구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식집약형서비스(KIBS)기업의 서비스상품혁신성공으로 보면, 정부의 기술지원 및 인증지원이 지식집약형서비스(KIBS)기업의 서비스상품혁신성공에 대하여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았다. 조세지원과 구매지원이 지식집약형서비스(KIBS)기업의 서비스상품혁신성공에 대하여 부(-)의 영향을 미치고 기타 지원정책이 지식집약형서비스(KIBS)기업의 서비스상품혁신성공에 대하여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식집약형서비스(KIBS)기업의 프로세스성공에 따라서 정부의 기술지원 및 인증지원이 지식집약형서비스(KIBS)기업의 프로세스혁신성공에 대하여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자금지원이 지식집약형서비스(KIBS)기업의 프로세스혁신성공에 대하여 부(-)의 영향을 미치지만, 기타 지원정책이 지식집약형서비스(KIBS)기업의 프로세스혁신성공에 대하여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에서는 정부에게 향후의 지식집약형서비스(KIBS)기업의 기술혁신에 대하여 정책 건의를 제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