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문화재청 국가기록유산 아카이브의 교육 자료 개발방안 연구 : 초·중·고 교육과정과의 연계를 중심으로

        윤지은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문화재청에서는 국가기록유산 아카이브(이하에서는 ‘기록유산 아카이브로’ 약칭한다.)를 통하여 기록유산들의 원문을 검색할 수 있는 ‘기록유산 검색’ 서비스와 기록유산에 대한 이해를 돕는 ‘기록문화’ 서비스 등 다양한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록유산 아카이브에서 제공되고 있는 서비스를 보다 폭넓게 이용하기 위한 방법으로 기록유산과 교육과정을 연계시켜 초·중·고 학생과 교사를 위한 교육 자료를 개발하였다. 이에 대해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록유산 아카이브의 현황을 파악하고 초·중·고 교육과정의 특징을 분석하여 연계하였다. 둘째, 학생들의 학습에 보조 자료로 이용할 수 있는 주제별 교육 자료의 개발방안을 제시하였다. 셋째, 교사가 활용할 수 있는 교수자료를 함께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이때까지 심도 있게 연구된 적 없는 문화재청 국가기록유산 아카이브의 활용 방안에 대하여 진행되었으며 특히 이용률이 낮은 학생 이용자를 위한 서비스로 교육과정과의 연계 활용 방안에 주목하여 실제 적용할 수 있는 개발 방안을 도출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연구에서 도출된 방안들이 향후 기록유산 아카이브의 교육자료 개발에 기여하여 그 활용의 폭이 넓어지기를 기대한다.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provides 'Archives Search' service that enables users to search the original texts of their archives through National Memory Heritage Services, 'Archival Culture' service, and other online services. In this study, educational materials for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teachers were developed by connecting the archives with the curriculum as a way to more widely use the services provided by the archives. The following is a brief summary. First, this study analyzed and connected the current status of the archiv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curriculum. Second, it suggested the way to develop educational materials that could be used as supplementary materials for students' learning. Third, materials available for teachers were presented togeth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utilize National Memory Heritage Services of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which has not been studied in depth until now. In particular,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developed a practical development method by paying attention to how to use it in connection with the curriculum as a service for students with low utilization rate. Finally, it is expected that the methods derived from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materials using the archives in the future and will be used more widely.

      • 코로나19 유행이 결핵 전염력에 미치는 영향: 대구‧경북권 결핵 역학조사 자료 기반

        윤지은 경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Purpose: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VID-19 pandemic and tuberculosis transmission by comparing differences in characteristics and infectivity of tuberculosis index cases before and after the COVID-19 pandemic. Methods: A total of 1,530 index cases and attendant close contacts from the 2016-2021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of tuberculosis in Gyeongsangbuk-do were selected as study subjects. These cases were then classified into before (January 1, 2016 - December 31, 2019) and after (January 1, 2020 ~ December 31, 2021) the COVID-19 pandemic.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severity of infectivity-related tests, and transmission rates of index cases before and after COVID-19 were compared. Two transmission rates were calculated as follows: (1) latent tuberculosis infection rate (the number of latent tuberculosis cases divided by the number of close contacts) and (2) incidence of new tuberculosis patients (the number of new tuberculosis patients divided by the number of close contacts). Results: The number of index cases decreased during the COVID-19 pandemic when compared to before the pandemic. In particular, the number of index cases in the age group of less than 20 years old, which is mainly made up of students, decreased. Importantly, index cases detected during the COVID-19 pandemic demonstrated an increase in the severity of sputum smear and culture testing. Accordingly, the latent tuberculosis infection rate increased from 28.5% to 33.6% (P<0.001). However, the incidence of new tuberculosis patients has not shown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s of this research. Conclusion: During a pandemic involving respiratory infections, it would be difficult for the public to visit medical institutions. As the delayed early diagnosis of tuberculosis eventually leads to increased transmission as well as increased mortality, it is necessary to secure access to medical care and conduct thorough and ongoing investigation and management to reduce the severity and transmission of tuberculosis. Optimal responses for tuberculosis management during a pandemic of respiratory infections should be prepared in advance to reduce the negative impact of other common respiratory diseases such as tuberculosis.

      • 조직건강과 보육교사의 셀프리더십, 소진 및 조직시민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윤지은 동아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조직시민행동에 대한 어린이집 조직건강과 교사의 셀프리더십 및 소진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조직건강과 보육교사의 셀프리더십, 소진 및 조직시민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는 어떠한가? 1-1. 조직건강과 교사의 셀프리더십 및 소진이 보육교사의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은 어떠한가? 1-2. 조직건강이 교사의 소진을 매개로 하여 보육교사의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간접적인 영향은 어떠한가? 1-3. 교사의 셀프리더십이 소진을 매개로 하여 보육교사의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간접적인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부산광역시 16개구에 소재한 어린이집 71개 기관에 근무하고 있는 424명의 보육교사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연구도구는 Podsakoff, Mackenzie, Moorman과 Fetter(1990)가 개발한 조직시민행동 질문지를 박선주(2018)가 유아교사용으로 사용한 조직시민행동 척도, 윤종건(1988)이 개발한 학교조직건강진단검사지(SOHDQ)를 구은미, 박성혜(2013)가 보육교사용으로 수정 ․ 보완한 조직건강척도, Manz(1983)가 개발한 셀프리더십 설문지를 김현심(2014)이 보육교사용으로 수정 ․ 보완한 셀프리더십척도, Maslach와 Jackson(1981)이 개발한 소진척도(MBI)를 김경희(2017)가 보육교사용으로 수정 ․ 보완한 소진 척도이다. 연구문제를 분석하기 위해 SPSS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AMOS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다변량정규분포성을 검토한 후 최대우도추정법을 적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SEM)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부트스트래핑 방법을 적용하여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고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건강과 교사의 셀프리더십 및 소진은 보육교사의 조직시민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보육교사가 지각하는 어린이집 조직건강과 교사의 셀프리더십이 높을수록, 소진이 낮을수록 보육교사의 조직시민행동이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둘째, 조직건강과 교사의 셀프리더십이 보육교사의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경로에서 소진의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즉 어린이집 조직건강과 교사의 셀프리더십은 소진을 낮추어 보육교사의 조직시민행동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보육교사의 조직시민행동에 대하여 어린이집 조직건강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교사의 소진, 셀프리더십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어린이집 조직건강이 보육교사의 조직시민행동을 향상시키는 가장 중요한 요인임을 의미한다. 결론적으로 보육교사의 조직시민행동에 대하여 어린이집 조직건강과 교사의 셀프리더십은 강화요인이 될 수 있으며, 소진은 저해요인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중 어린이집 조직건강이 보육교사의 조직시민행동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 될 수 있음을 밝히고 있다. 또한 어린이집 조직건강과 교사의 셀프리더십이 보육교사의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소진의 매개효과가 확인되어 어린이집 조직건강과 교사의 셀프리더십이 소진을 감소하게 하여 보육교사의 조직시민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 온라인 공연의 성공 요인에 관한 연구 : SERVQUAL 모형을 중심으로

        윤지은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온라인 공연을 하나의 서비스산업으로 보고 서비스산업의 품질요소들을 기반으로 한 각 온라인 공연 서비스의 품질을 세부적으로 나눈 뒤, 이 요소들이 관람자의 공연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규명함을 통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였다. 부가적으로, 온라인 공연 서비스 품질요인이 관람자들의 공연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 속에서 각각 관람자가 내재한 공연에 대한 관여도를 조절변수로 투입하여 그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온라인 공연, SERVQUAL 모형, 공연 만족도와 관련한 제 이론들을 다수의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각 개념과 구성요소, 중요성 등을 연구하는 문헌검토를 수행한 뒤, 이론적 고찰 내용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하는 연구모형과 연구가설을 수립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해 각 온라인 공연 서비스 품질, 공연 만족도, 공연 관여도를 묻는 문항으로 이루어진 구조화된 설문지를 국내에서 온라인 공연을 관람해 본 경험이 있는 성인남녀 250명에게 배포하였다. 수집된 자료들 중 불성실하거나 불충분한 응답부 수로 판단된 19부를 제외한 총 231부를 연구의 분석자료로 활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통계처리프로그램 SPSS 22.0을 활용하여 타당성 및 신뢰성 검증, 기술통계분석, Pearson의 상관분석, 독립표본 t-test와 일원배치 분산분석, 다중선형회귀분석 등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온라인 공연 관람자의 기본적 특성에 따라 공연 만족도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관람자의 성별, 연령대, 최종학력, 온라인 공연 관람경험, 월 평균 문화생활 소비지출액, 온라인 공연 관람 장르에 따른 공연 만족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대체적으로 최종학력의 경우 대학원 재학 이상의 집단을 제외하고는 학력수준이 높아질수록 온라인 공연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경향이 관측되었으며, 온라인 공연 관람경험의 경우에는 대체적으로 1-3회만 관람한 집단보다 4회 이상 관람한 집단들의 온라인 공연 만족도가 높은 경향이 관측되었다. 둘째, 온라인 공연을 관람하는 사람들이 지각한 온라인 공연 서비스 품질요인들은 모두 이들의 공연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영향력을 지니고 있었으며, 이들 중 가장 강한 영향력을 갖는 요인은 신뢰성이었다. 셋째, 온라인 공연 서비스 품질이 공연 만족도에 미치는 인과관계 속에서 공연 관여도의 조절효과는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본 연구자는 온라인 공연의 성공사례를 발굴하여 대중들에게 적극적인 홍보를 펼치는 것, 여가 중 하나의 종류로서 온라인 공연을 활용할 수 있다는 여가문화로서의 대안으로 온라인 공연을 홍보하거나, 팬덤문화를 형성하고 있는 MZ세대들에게는 온라인 공연을 통해 아티스트들과 실시간 소통을 수행할 수 있다는 가치를 제공하는 것 등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전반적으로 온라인 공연에 대한 대중의 신뢰성과 접근성을 높일 수 있어야 온라인 공연의 성공적인 판로를 이끌어나갈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by viewing online performances as a service industry, dividing the quality of each online performance based on the quality factors of the service industry in detail, and empirically investigating the effect of these factors on viewers' performance satisfaction. In addi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fluence of the quality factors of online performance services on the performance satisfaction of viewers, the degree of involvement in the performance inherent by each viewer was input as a control variable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is study conducted a literature review to study concepts, components, and importance of online performance, SERVQUAL model, and performance satisfaction through a number of previous studies, and established a research model and research hypothesis to empirically identify empirically in this study. To collect data, a structured questionnaire consisting of questions about the quality of each online performance service, performance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involvement was distributed to 250 adult men and women who have watched online performances in Korea. A total of 231 copies of the collected data were used as analysis data, excluding 19 copies judged to be unfaithful or insufficient response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verified for validity and reliability,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way batch analysis, and multi-linear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he statistical processing program SPSS 22.0.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find out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performanc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online performance viewers, the differences in performanc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gender, age group, final education, online performance experience, average monthly cultural life consumption, and online performance viewing genre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higher the level of education, the higher the final education level, and the higher the online performance experience, the higher the online performance satisfaction of the groups who watched more than 4 times than the group who watched only 1 to 3 times. Second, all of the online performance service quality factors perceived by those who watched online performances had an influence on improving their performance satisfaction, and among them, reliability was the strongest factor. Third, it was analyzed that there was no moderating effect of performance involvement i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online performance service quality and performance satisfaction. Through these research results, the researcher suggested ways to actively promote online performances to the public, promote online performances as an alternative to leisure culture, or provide MZ generations who form a fandom culture with real-time communication with artists through online performances. Overall, it was judged that it would be possible to lead a successful market for online performances only when the public's reliability and accessibility to online performances could be improved.

      • 한국 근대 서양화의 소 그림 연구

        윤지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한국 근대 서양화의 소 그림을 분석하기 위해 우선 일본 근대 서양화의 소 그림부터 살펴보았다. 따라서 III장에서는 일본 근대 서양화의 소 그림을 크게 목가성과 원시성을 띠는 작품들로 구분하고 이를 다시 유형별로 구별하여 분석한다. IV장에서는 한국 근대 서양화의 소 그림들을 크게 목가성과 원시성이 드러나 있는 작품들로 구별하고 이를 유형별로 나누어 살펴보기로 하겠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한국 근대의 소라는 소재의 상징성뿐만 아니라 그림이 어떠한 목적으로 그려졌는지에 대해서도 파악해보고자 한다. II장에서는 ‘牧歌’ 와 ‘原始’의 개념을 정리하였다. ‘牧歌’는 ‘pastoral’의 번역어인데 목동과 시골의 풍경 혹은 삶과 관련 있는 용어다. 문학이나 예술에서 목가성을 띠는 작품들은 주로 시골 혹은 농촌 삶을 이상적이고 평화롭게 표현하고 있다. 문학에서 牧歌(전원시)는 3세기 시실리의 시인 테오크리토스 (Theocritus, BC 310-250)에 의해 창안된 형식이었다. 노래하기를 즐기는 목동 모티프에서 유래되는 헬레니즘 시대 목가 시인이었다. 그 이후 베르길리우스 (Publius Vergilius Maro, BC 70-19)에 의해서 牧歌라는 장르가 발전 되었다. 베르길리우스는 20세 때「선가 (選歌) Eclogae」의 작시(作詩)를 시작하여 33세에 완성하였고,「선가」는 그리스의 아르카디아(Arcadia)를 무대로 한 작품이며 아르카디아의 목가적인 풍경을 이상적으로 표현하였다. 아르카디아는 그리스 신화에서 나타나는 지상의 낙원이었다. 이러한 목가 장르는 14세기에서 17세기까지 유럽 문학과 미술계에서 큰 인기를 이끌었다. 결국 유럽의 서양화에서 牧歌는 전원의 모습, 농촌 생활, 목동 혹은 목장의 동물들을 이상적이거나 낭만적으로 표현하였다. ‘原始’는 ‘primitive'의 번역어인데 초기의 상태 또는 세련되지 않고 천연 그대로의 인공하지 않은 것과 관련된다. 우선 유럽에서 시작된 원시주의 계열의 이론들과 그림들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근대 미술에서 원시주의는 다른 화풍들처럼 정해져 있는 양식은 없으나, 화가들이 원시성에 대한 생각들을 그림으로 옮긴 것이다. 원시주의 (Primitivism)이라는 용어는 18, 19세기 유럽의 열강들이 자국 의 식민지 국가들의 새롭고 후진적인 문화를 원시적이라고 또는 야만적(savage)이라고 부른데서 근거한다. 그렇기 때문에 원시주의는 당시 두 문화의 상이한 권력 관계를 내포하는 의미가 있는 것이다. 그러나 근대 미술에서는 원시적인 것이 후진국의 문화에서도 존재하지만 자국의 야만적인 면에서도 존재한다. 원시주의 중 한 요소는 자기와 타자를 구분하는 개념인데, 이것은 오리엔탈리즘과 유사하다. 따라서 오리엔탈리즘은 원시주의 개념을 설명하는 데에서 빼놓을 수 없는 개념이다. 오리엔탈리즘은 사회적으로 정의되는 자기 자신을 자기와 타자라는 구도로 현성되어 있다. III장에서는 일본 근대 서양화의 소 그림을 분석해보았다. 일본 근대기의 이르러 1876년에 최초로 工部美術學校에서 그림과 회화 수업을 담당하였던 안토니오 폰타네지 (1824-1904)의 역할이 보다 컸던 것 같다. 폰타네지는 결국 바르비종 계열의 화가였기 때문에 목가적인 풍경을 즐겨 그렸다. 그의 작품들 중에서 자연과 소 또는 인물과 소를 주제를 다루었기 때문에 일본 화가들에게 그러한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이 크다. 그의 작품들을 살펴보면 이러한 목가적인 주제를 아름답고 낭만적으로 묘사하였다. 일본 소 그림에서 자연과 소 혹은 인물과 소 중에서 일하는 모습을 주제로 다룬 그림들이 있는데, 구도상으로 폰타네지의 그림들과 유사하다. 폰타네지의 목가적인 작품들은 그의 제자들을 통해 후세에게 전해졌다. 일본 근대 소 그림은 크게 목가성과 원시성을 띠는 그림들로 구분 할 수 있다. 그리고 목가성을 띠는 그림들 세 유형-자연과 소, 인물과 소, 소 단독상-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또한 원시성을 띠는 그림은 여자와 소를 주제로 다룬 것을 기준으로 구별할 수 있다. 목가성이 드러나는 소 그림들 중에서 자연과 소를 주제로 한 그림들은 자연의 평화로움, 자연과 소가 조화된 이미지를 보여주고 있다. 자연의 위대함 또는 근대화 되어가는 사회 속에서 아직 손길이 닿지 않은 자연의 순수한 아름다움을 나타낸 것이라 해석할 수 있다. 인물과 소를 주제로 한 그림들은 인물과 소가 ①일하는 모습, ②가족과 소, ③아이와 소 로 구별할 수 있다.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인물과 소를 주제로 한 그림들은 인물과 소의 친근하면서도 거리감이 존재하는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인물과 소는 같은 공간에서 존재하지만 서로의 정체성이 뚜렷하게 표현되어 있다. 즉, 소는 인간의 일을 돕기 위해 존재하는 동물인 것 이다. 그러나 이러한 그림들은 모두 목가성을 띠는 작품들이기 때문에 전원 혹은 농촌 일상생활의 이상적인 모습만 묘사하였다. 일본 근대 소 단독상은 실외와 실내로 구분할 수 있는데, 모두 소를 중심으로, 그리고 인상주의, 표현주의와 초현실주의 등의 다양한 화법으로 제작되었다. 소 단독상은 소의 외양 모습을 표현한 것도 있지만, 사카모토 한지로의 <엷은 햇빛>처럼 소를 작가의 내면세계를 표현하기 위한 상징물로 본 작품들도 있다. 소가 작가 자신의 상징물로서 표현되었던 경우는 한국 근대 소 그림에서도 나타나기 때문에 주목할 만하다. 온치 콘시로의 <구복의 어린 소>는 장식적인 표현방법을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그림에서 보이는 얼룩소와 배경의 얼룩 모티브는 일본적인 양식을 적용하고 있는데 일본의 장식적이고 화면의 배경을 납작하게 처리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서구적인 요소보다 일본적인 요소가 더 많은 것은 아마 작가 온치 콘시로의 일본 판화가의 배경과 당시 1930년대 중반 ‘일본적 서양화’를 추구한 경향 때문일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일본 목판화에서 보이는 장식성과 이차원적인 구도가 온치 콘시로의 <구복의 어린 소>에서도 찾아 볼 수 있다. 또한 이 그림은 1939년의 출품되었기 때문에 1930년대 일본적의 서양화의 부흥에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크다. 원시성이 드러나는 소 그림들은 일본이 아닌 타국을 원시적으로 나타내는 경향을 엿볼 수 있는데, 이는 당시 서구에서 동양을 바라보았던 시각을 일본이 식민지 또는 후진국에 투사한 것으로 볼 수 있다. IV장에서는 한국 근대 서양화의 소 그림을 분석해보았다. 한국 근대 소 그림은 크게 목가성과 원시성을 띠는 작품들로 구분할 수 있다. 목가성을 띠는 작품들을 두 유형-인물과 소, 소 단독상-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또한 원시성을 띠는 작품들은 두 유형-여자와 소, 소년과 소-로 구별할 수 있다. 목가성을 띠는 소 그림들 중에서 인물과 소를 주제로 한 그림들은 인물과 소가 일하는 모습, 가족과 소, 아이와 소로 구별할 수 있다. 일본 소 그림에서는 주로 인물과 소는 같은 공간에 존재하지만 서로의 정체성이 뚜렷하게 표현되어 있다. 그러나 한국 소 그림에서는 인물과 소의 관계는 허물없고 거리감이 없는 매우 친근한 관계임을 알 수 있다. 소 단독상에서는 화가들이 한국적인 주제를 찾는 과정에서 소를 그렸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소를 주 모티프로 그리되 자신만의 독특한 무엇인가를 그림에 포함시킴으로써 소 모티프의 재구성을 가능케 하였다. 해방 이후인 1950년대 소 단독상에서 조형적인 요소들을 계속적으로 발달시켰다. 이수억 함대정, 황유엽은 유럽으로 유학가서 그곳에서 새로운 화법을 직접 배우고, 이전에 한국 근대 소 그림에서 보이지 않던 입체파 또는 앵포르멜 화풍을 사용해 소를 묘사하였다. 또한 이중섭은 표현주의 계열의 소 그림들을 그리면서 소를 자신의 상징물로서 다루었다. 원시성을 띠는 소 그림들 중 여자와 소를 주제로 한 그림들은 1940년대와 1950년대에 제작된 그림들로 분류할 수 있다. 1940년대 여자와 소를 주제로 한 소 그림들은 여성의 성적인 면과 소의 야만성을 강조하고 있는 작품들도 있다. 특히 이중섭의 여자와 소를 주제로 다룬 작품은 피카소의 <여자와 미노타우로스> 작품과 유사하다. 피카소처럼 이중섭도 사랑의 빠져있었을 때 그린 그림들이기 때문에 이중섭은 이 그림들을 통해 부인의 대한 마음을 표현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여자와 소라는 주제는 자연과 인간의 원초적이고 순수한 모습 혹은 풍요로 표현하였을 가능성도 있다. 이러한 그림들 중에는 이중섭이 부인의 사랑을 표시하기 위해 그린 그림들이 많지만 송혜수도 같은 계열의 그림을 그렸기 때문에 1940년대에 유행한 그림의 가능성도 있다고 생각한다. 1950년대에 여자와 소를 묘사한 그림들은 1940년대에서 보이던 작품들과 성격이 다른 것을 알 수 있다. 우선 1950년대 그림들에서 나체의 여자의 모습보다 하얀 항아리를 들고 있는 여자의 모습이 더 자주 등장한다. 이러한 머리의 항아리를 얹인 여인의 이미지는 아마도 일제시대 때 조선 관광산업 위해 제작된 사진엽서와 관계가 있을 것이다. 1940년대에서 보이던 성적인 요소들은 1950년대 그림들에서 찾아 볼 수 없다. 원시적인 여자와 소의 모티프를 통해서 성적인 요소를 강조하기 위해 그려진 1940년대 그림들에 비해 1950년대 그림들은 토속적 혹은 한국적인 이미지를 묘사하기 위해 원시적인 모티브를 선택한 것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원시성을 띠는 소 그림 중에서 소와 소년을 주제로 한 작품들은 공통적으로 남자 아이가 모두 나체로 묘사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중섭과 임규삼은 소와 소년를 주제로 한 소 그림을 제작했는데 아프리카 혹은 원주민 미술로부터 영감을 얻은 서양화가들의 영향을 찾아 볼 수 있다. 이중섭의 <망월>과 <소와 소년>에서 등장하는 소년은 고갱의 타히티 작품에서 보이는 남자아이의 모습과 유사하다. 또한 임규삼의 <소와 소년>에서 등장하는 소년은 모딜리아니 그림에서 등장하는 길쭉한 인물들과 유사성이 있다. 이중섭과 임규삼의 소와 소년을 주제로 한 소 그림에서는 소가 자연을 상징하고 있고 소년은 순수한 인간의 모습을 상징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소와 소년을 주제로 한 그림들은 자연과 인간의 가장 원시적이면서도 이상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 듯하다. Korea's early modern history is marked by two major events: the Japanese colonization from 1910 to 1945, and the Korean War from 1950 to 1953.These events serve as a starting point for understanding Korean modern art because inevitably, Korean artists were influenced and affected by the currents of the time. It was during this period that numerous paintings depicting oxen were conceived. Prior to the modern era, traditional paintings of oxen were a popular theme in the animal genre. However, with the introduction of oil painting in the modern era, Korean artists began to depict oxen using this new medium. Although, there are paintings of oxen rendered in the traditional style during the modern era, this thesis will focus on paintings of oxen rendered in the Western style. Despite the wide variety of Westernized paintings depicting oxen, most of the research in this area is centered on Joong Seop Lee's paintings of oxen. Other research focuses on paintings of oxen drawn by four different members, including Joong Seop Lee, of the New Artists' Association(新美術家協會). Current research surrounding Joong Seop Lee’s paintings of oxen shows several different interpretations. The most common interpretation is of the ox as a symbol of nationalism representing the sentiments of the people during the modern era. The image of the ox was associated with Joong Seop Lee and reproduced in junior high and high school text books during the modern era. As evidenced by these junior high and high school text books, the image of the ox as a symbol of the nation and the sentiments of the people was widely circulated and generalized. Other interpretations of Joong Seop Lee's ox paintings includes the image of the ox as an expression of the artist's internal conflicts, a self portrait, and a reflection of the current plight of the nation. However, the scope of the research regarding paintings of oxen is limited to Joong Seop Lee's paintings. The purpose of this thesis, therefore, is to examine the depiction of oxen in Korean modern paintings. However, because Korean artists specializing in Western paintings trained in Japan rather than in Europe, during the Japanese colonization period, it is important to first understand the various art movements and trends in modern Japanese art. Therefore, in an effort to produce a more comprehensive study, this thesis examines the depiction of oxen in both Westernized Korean and Japanese modern paintings. In this thesis, Korean and Japanese paintings of oxen are initially categorized into two large groups: paintings reflecting pastoral aspects, and paintings reflecting primitive aspects. Paintings within the pastoral and primitive groups are further divided into subgroups based on the themes and motifs. This methodology aided in identifying distinctive traits and characteristics of modern Korean paintings of oxen. Upon examining both Korean and Japanese paintings, the most noticeable difference is that Japanese paintings tend to represent dairy cows while Korean paintings tend to represent oxen. In other words, the image of the dairy cow in an idealistic pastoral setting which is commonly found in Japanese paintings is absent from Korean paintings. Instead, Korean paintings depict oxen in a simple pastoral setting. Since both Korean and Japanese paintings are pastoral in nature, they are not realistic representations of country life. However, in general Japanese paintings of oxen with pastoral aspects tend emphasize the majestic, grand, and idealistic beauty of nature, while Korean paintings of oxen tend to emphasize plain, unsophisticated, rustic simplicity of nature. Furthermore, by choosing to represent one animal over the other reflects the differing intentions of the Korean and Japanese artists. During the Japanese colonization period, there was a move to make a clear distinction between Japan countryside and the countryside’s of the colonies. As a result, in government sponsored exhibitions, the judges expected a certain type of imagery depending on the ethnicity of the artist. Since this was the current situation, Korean artists may have unconsciously drawn this image of Korea defined by the Japanese. However, on the other hand, during the Japanese colonization period Korea was less developed, industrialized and modernized compared to Japan. Naturally, Korean artists may have painted the environment and scenery surrounding them, which was less developed than Japan. Modern Korean paintings of oxen with pastoral aspects depict man and ox, and ox motifs, while paintings of oxen with primitive aspects depict only the man and ox motif. Paintings with pastoral aspects depicting the man and ox motif are further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the working image of man and ox, family and ox, and child and ox. Some examples of the man and ox motif are seen in paintings by Dahl Seok Yang, Uck Jin Jang and Joong Seop Lee. In these painting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n and the ox is expressed by representing the ox as an integral part of the family unit. In the second group of pastoral paintings of oxen, the ox is depicted alone, without any human presence. Also the oxen in these paintings fill the majority of the canvas. In these paintings, the ox is used as a symbol to represent the artist. Interestingly, in Sakamoto Hanjiro's painting Faint Sunlight, a dairy cow is used to symbolize the artist, whereas in Joong Seop Lee's painting The Ox, an ox is used to symbolize the artist. Paintings by Kyung Kim and Joong Seop Lee depict only the head of an ox. These paintings are unique because the artists seem to be humanizing the animals by emphasizing their facial expressions. Such paintings depicting only the head are not common in Japanese paintings. Korean modern paintings of oxen with primitive aspects depict either a young woman and an ox, or a young boy and an ox. Paintings by Joong Seop Lee and Hye Soo Song dating to the 1940's depict a young woman and an ox. In these paintings the woman's nude body is intertwined with the ox or the woman is fondling the ox. As a result, these paintings emphasize the sensual, violent and the savage aspect of the ox. Paintings by Young Sun Park and Sung Hwan Park dating to the 1950's also depict a woman and an ox. However, in these paintings, a fully clothed woman holding a jar on her head is standing in the foreground next to an ox. The imagery depicted in these paintings can be interpreted as symbols of Korea. During the Japanese colonization period, such images of women holding jars on their heads, children, giseng (female entertainers) and women wearing traditional Korean costumes were all placed on postcards promoting tourism in Korea. Although the prototypes for the images of women holding jars and oxen were originally intended to emphasize the primitive aspects of Korea, Korean artists stylistically and structurally developed these images to suit their tastes. In conclusion, Westernized Korean paintings of oxen reflect various images and symbolisms of the ox. In most cases, the artist takes the image of the ox and reworks it to suit his needs. In other words, the image of the ox becomes personalized by each individual artist.

      • 가족체계유형과 스트레스 대처방식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 정신장애인 경험을 중심으로

        윤지은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find family system types of the mental disordered based on Beavers System Model, which is one of the model to evaluate the family function, and to apply it to develop new rehabilitation program for the mental disordered, through the demonstration of differences among correlation with the ways of stress coping, the type of family support members. Research object of this study is 173 people with mental illness with schizophrenia simplex, bipolar and depression simplex, living in Daegu and Gyeongbuk area. They have been participating in rehabilitation program in local mental health center and their mental levels are more than 41-50 GAF scale. Measures used in this study is SFI II, which is based on Beavers System Model for family system type, and stress source scale, developed by Kim, Jeong-Hee(1987). "The ways of coping checklist"by Folkman & Lazarus (1985) is used as the scale of stress coping methods in this study. Statistic methodologies, used in this study, are descriptive statistics, Cronbach's alpha, ANOVA, T-test, and Pearson's co-relation analysis, and results are as follows. Family system types as the level of family competence, experienced the mental disordered, are most widely shown in mid-range family, and done in healthy adequate family, borderline family in order. Family system types as the level of family style is shown in mixed family, centripetal family, and centrifugal family in order. As the result of study on the difference of competence and family style by the trait of family support for the mental disordered,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is shown only in concern family. In inter-group difference, there is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brother & sister and other family members in borderline family. In main causes of stress of the mental disordered, conflict with or between family members is most numerous and the next is conflict in human relationship. Stress coping methods of the mental disordered is positive problem solving, emotional easing, evasion, asking help to the others, and wishful thinking in order. The statistical difference of stress coping methods by the trait of family support is only shown in exchange family, and also there is meaningful difference in coping attitude of the mental disordered to the problem, as family member who spend the most time with them. The meaningful difference of stress copying methods by family competence, the mental disordered are experiencing, is shown in positive problem solving, asking help to the others, wishful thinking, emotional easing, and evasion. And family competence and positive problemsolving is more meaningful than other factors. The meaningful difference of stress copying methods by family style, the mental disordered are experiencing, is only shown in positive problem solving. As the result of examination of the correlation between family competence and family style, problem solving, asking help to the others and evasion shows high correlation level each other. Especially, problem solving and evasion shows high correlation in healthy adequate family, and problem solving, asking help to the others and evasion shows high correlation in mid-range family. By family style of the mental disordered, centripetal family, which get energy from inside of family, shows high correlation in problem solving, and centrifugal family, which get energy from outside of family, does in evasion, more negative coping method. To sum up study results, family members should make up comfortable environment to communicate each other and make the mental disordered learn basic communication skill and human relation skill through interaction between family members for more efficient their rehabilitation. Moreover, professional and family members of the mental disordered should recognize the family system on the Beavers System Model, and objective evaluation system, development of professional emotional management program for the mental disordered, understanding of family system and individualized approaching method, and family education and meeting for their sister and brother should be supplied for their efficient rehabilitation. (초록) 정신장애인은 지역사회로 복귀했을 때 정신장애의 질환적 특성과 가정, 직장, 사회 등 스스로 대처하기 어려운 심리적, 사회적 문제로 불안과 여러 가지 관련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된다. 특히 퇴원 후 정신장애인은 1차적으로 가족에게 돌아가기 때문에, 가족체계 내에서의 적응이 성공적인 사회복귀의 단초가 된다. 이렇게 가족은 정신장애인이 소속된 여러 체계에 적응을 돕는 중요한 체계임에도 불구하고 정신장애인이 경험하는 가족지지원의 특성과 정신장애인의 가족체계유형, 가족체계 내에서의 스트레스대처방식이 어떠한지에 관한 연구는 드물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족지지원의 특성을 가족관계를 중심으로 알아보고, 가족기능을 평가 할 수 있는 모델 중 비버즈 체계모델(Beavers System Model)을 정신장애인 가족에 적용하고 스트레스대처방식과의 상관관계를 검토하였다. 이는 정신장애인의 사회복귀를 위한 재활프로그램개발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본 연구는 대구, 경북에 거주하며 DSM-Ⅳ 진단기준에 의해 정신분열증, 조울증, 우울증으로 진단되어, 입원치료나 외래 치료 받으면서 지역사회의 낮 병원이나 정신보건센터, 사회복귀시설에서 재활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173명의 정신장애인을 조사대상으로 하였다. 또한 정신장애인의 기능수준을 고려하여 GAF척도 41-50점 이상으로 제한하였다. 측정도구는 정신장애인의 가족체계유형 분석을 위해 비버즈체계모델(Beavers System Model)에 근거하여 만들어진 SFIⅡ를 사용하였고, 스트레스요인 척도는 김정희(1987)가 개발한 것으로 사용하였다. 스트레스대처방식척도는 Folkman & Lawarus(1985)의 The ways of coping checklist를 번안한 것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일반적, 임상적, 가족지지원의 특성 분석을 위한 기술통계, 측정도구에 대한 신뢰도 검사하기 위해 Cronbach's alpha, ANOVA와 T-test 분석, Pearson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장애인이 경험하는 가족체계유형은 비버즈체계모델(Beavers System Mode)에 근거하여 가족 유능성 수준에서 중간범위의 가족, 적절가족, 경계선 가족 순으로 나타났고, 가족양식 수준에서는 균형 있는 혼합가족, 구심가족, 원심가족 순으로 나타났다. 가족체계유형을 가족유능성과 가족양식 수준을 다양한 범주로 나눠 본 결과 정신장애인이 경험하는 가족체계유형으로는 중간범위혼합가족이 가장 많았다. 둘째, 정신장애인의 가족 지지원의 특성에 따른 가족 유능성, 가족양식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가족지지원의 특성 중 관심가족만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났다. 집단간 차이에서도 경계선 가족 내에서 형제-자매와 그 외 가족 집단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정신장애인이 경험하게 되는 스트레스의 요인으로는 중 가족간의 갈등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대인관계 갈등, 남아 있는 증상인 환각, 망상으로 인한 일상생활의 방해, 사소한 일상생활 관련 내용, 외모나 능력에서 자신감 저하, 직업, 경제적 문제, 퇴원, 장래에 대한 두려움, 학업의 순서로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정신장애인이 경험하는 스트레스 대처방식으로는 문제해결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이 정서적 완화, 회피, 조력추구, 소망적사고 순으로 나타난다. 또한 문제해결과 조력추구의 적극적대처가 정서적 완화, 소망적 사고, 회피의 소극적 대처 보다 다소 높은 수준을 보였다. 다섯째, 가족지지원의 특성에 따른 스트레스대처방식의 차이를 살펴보면 교류가족은 스트레스대처방식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신장애인이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가족에 따라 문제에 직면하지 않는 회피대처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정신장애인이 경험하는 가족 유능성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차이의 비교에서는 문제해결, 조력추구, 소망적사고, 정서완화, 회피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 중 가족 유능성과 문제해결대처가 가장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정신장애인이 경험하는 가족양식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차이에서 문제해결대처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가족 유능성 및 가족양식과 스트레스 대처방식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문제해결, 조력추구, 회피에서 가족유능성과 상관관계가 컸으며, 특히 적절가족과 문제해결, 회피 대처가 통계적으로 높은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중간가족은 문제해결, 조력추구, 회피 대처에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조력추구대처가 상관관계가 높았다. 정신장애인의 가족양식에서는 가족 내부에서 에너지를 얻는 구심형 가족일수록 문제해결대처를 많이 하며, 외부에서 에너지를 얻는 원심형 가족일수록 소극적 대처인 회피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상의 결과로, 정신장애인 가족체계의 유연성과 자유롭고 편안한 분위기 형성을 통한 원활한 의사소통을 돕는 가족교류의 장을 마련하여 가족이 의사소통 하는 방법이나 인간관계에 필요한 기본적인 기술들을 체계적으로 훈련 하는 가족기능 향상에 관련된 사회복지적 실천 개입과, 비버즈 체계모델(Beavers System Model)과 같은 정신장애인 가족의 특성을 객관적으로 평가 할 수 있는 도구를 활용하여 전문가나 가족 모두가 가족체계의 특성을 인지하고, 변화에 대한 동기를 모색할 수 있도록 하는 평가체계와 정신장애인이 가족관계에서 겪게 되는 정서를 관리 할 수 있는 전문적인 프로그램 개발, 정신장애인에게 실질적인 지지체계 역할을 하고 있는 가족지지원의 특성을 고려한 가족체계의 이해와 이에 따른 개별화된 접근이 이뤄져야 한다. 마지막으로, 정신장애인에게 중요한 지지체계인 형제-자매와의 관계에서 원활한 의사소통으로 기능적인 가족체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가족모임이나 교육을 위한 사회사업 실천을 제안하는 바이다.

      • Alvin Ailey 작품에 나타난 Lester Horton의 무용기법에 관한 연구

        윤지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Modern dance of America begins with Isadora Duncan, Loie Fuller and Ruth St. Dennis and transcended down to Martha Graham, Doris Humprey and Charles Weidman in the East and Lester Horton in the West and further developed onto Alvin Ailey, Merce Cunningham and Alwin Nikolais. These modern dancers escaped from the formal aspect of the ballet, pursue freedom, created their own dance techniques and educated the next generations. Those techniques have influences on many dancers of today. The stage for the dancers in the 50s when the modern dance resulted in outstanding development was mainly New York on the East; however, Lester Horton remained in the West which was the starting point of modern dance to inherit the modern dance of America. He fulfilled his role as a teacher, choreographer, and the founder of dance theatre. Also, he never worked with the dancers who were not trained in his style and he demanded the dancers to do music reading, sewing, scenery and prop makings as well as the ballet. Furthermore, the dance technique that Horton invented with the objective of anatomical correction was famous for creating dancers with long and lean thigh musclesand flexible but strong lower back. Horton discharged many students from his school and dance groups and among his many students, the person that is known to inherit his philosophy the most is Alvin Ailey. The meeting with Horton was the turning point for Alvin Ailey to go into dance career and he took charge of the dance group after Horton’s death to transcend his philosophies and he is educating Horton’s dance techniques at Ailey's dance group and school. The study on the work of Alvin Ailey was mostly done from the racial or religious aspect. However, in this study, the origin of dance philosophy of Ailey was considered to be the influence from Horton and looked at his work from the aspect of Horton’s dance techniques. Therefore, this study is intended find that although there are various techniques in Ailey’s dance, the technique of Horton was an important drive for his work. For this, I chose 9 pieces from Alvin Ailey’s works which the homepage of his dance group state that they are the good display of Horton’s technique「Blues Suite(1958)」,「Cry(1971)」,「Hidden Rites(1973)」,「Memoria(1979)」,「Phases(1980)」,「Revelations(1960)」,「Streams(1970)」,「The River(1970)」,「Witness(1986)」. Among those, four pieces which is distributed to many people and well recognized produced as video medium -- 「Revelation」,「Cry」,「Memoria」,「Witness」-- are selected to study the influence of Horton by dividing into background, movement and composition, and stage element. As a result, Horton’s influence on Ailey is as following: First is the philosophical background. This is the opennessto races which the first black modern dance group of Alvin Ailey was originated from America’s first multi racial dance group of Lester Horton. Moreover, Horton did not decline the performances at the club for the people to watch the danceand it was the biggest influence for Ailey on his greatest achievements of all, the pursuance of popular dance and he choreographed on the works that all the people can watch and enjoy not only limited to black people; Second is Horton’s technique embedded in the work of Ailey. As the most representative techniques of Horton seen from his works are Prelude No.3, Lateral, Coccyx Balance, Egyptian pose, and Hinge Third is the stage element aspect. Horton’s wide interest on music along these of props and dramatic dance has influenced Ailey’s dramatic composition and use of props and music. Lester Horton technique in the Alvin Ailey's dance point to the art and popularity through the represented Ailey. And I would like to stress further studies with the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studies on Lester Horton which has not been engaged until today. 미국의 현대무용은 이사도라 던컨과 로이 풀러, 루스 세인트 데니스를 시작으로 동부에서 마사 그라함, 도리스 험프리, 찰스 와이드만, 서부에서는 레스터 호튼으로 이어지면서 그 후 앨빈 에일리, 머스 커닝햄, 얼윈 니콜라이 등으로 발전을 이어갔다. 이러한 현대무용가들은 발레의 형식적인 면에서 벗어나 자유로움을 추구하면서 자신만의 무용기법을 만들어 후대에 교육시켰으며 그 테크닉들은 현재까지도 많은 무용인들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현대무용이 눈부신 발전을 이룩한 50년대 무용가들의 활동무대는 주로 동부의 뉴욕이었으나 레스터 호튼은 현대무용의 시발점이었던 서부에 남아 미국 현대무용을 계승하였다. 그는 교사이면서 안무가, 그리고 무용극장의 창립자의 역할을 모두 해내었다. 그리고 자신의 스타일로 훈련되지 않은 무용수들과 작업하는 일이 결코 없었으며 무용수들에게 발레와 더불어 음악읽기와 바느질과 무대장치, 소도구를 만드는 것까지 요구하였다. 뿐만 아니라 호튼이 해부학적 교정을 목적으로 개발해낸 무용테크닉은 길고 지방이 적은 대퇴부 근육과 강한 등을 가진 무용수를 만들어내는 것으로 유명하다. 호튼은 그의 학교와 무용단을 통해 많은 제자들을 배출했으며 이 많은 제자들 중에서도 현재 호튼의 정신을 가장 잘 이어가고 있다고 알려진 인물은 앨빈 에일리이다. 앨빈 에일리는 호튼과의 만남을 통해 무용에 입문하게 되는 결정적 계기가 되었고 호튼 사후 그 무용단을 운영하면서 그의 정신을 이어갔으며 또한 현재 에일리의 무용단과 학교에서 호튼의 무용기법을 교육시키고 있다. 그동안의 앨빈 에일리 작품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인종적 측면 혹은 종교적 측면에 중점을 두고 연구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에일리의 무용사상 근원을 호튼의 영향으로 보고 에일리의 작품을 호튼의 무용기법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에일리의 춤에 있어 다양한 테크닉이 존재하지만 그 중에서도 호튼 테크닉이 중요한 원동력이 되었는지를 찾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앨빈 에일리의 작품 중에서 그의 무용단 홈페이지에서 호튼 테크닉이 잘 드러났다고 명시한 바 있는 작품 9가지 「Blues Suite(1958)」, 「Cry(1971)」,「Hidden Rites(1973)」,「Memoria(1979)」,「Phases(1980)」,「Revelations(1960)」,「Streams(1970)」,「The River(1970)」,「Witness(1986)」중 영상매체로 제작되어 많은 이들에게 보급되어지고 잘 알려진「Revelation」,「Cry」,「Memoria」,「Witness」 네 작품만을 선정하여 작품 배경과 움직임 및 구성, 무대 요소 측면으로 나누어 호튼의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 에일리에게 끼친 호튼의 영향력은 다음과 같다. 첫째는, 사상적 배경이다. 이는 인종적 측면에의 개방성으로 앨빈 에일리의 흑인 최초 현대무용단은 레스터 호튼의 미국 최초 다인종 혼합무용단으로부터 파생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호튼은 사람들이 무용을 보게 하는 방법이라면 클럽에서의 공연도 마다하지 않았으며 이는 에일리의 가장 큰 업적이라 할 수 있는 대중적인 무용의 추구에 큰 영향을 미쳤고 그는 흑인에게만 국한된 공연이 아니라 모든 사람이 보고 즐길 수 있는 작품을 안무했다. 둘째, 에일리 작품에 내재된 호튼 테크닉이다. 그의 작품에 드러나는 가장 대표적인 호튼 테크닉으로 Prelude No.3, Lateral, Coccyx Balance, Egyptian 자세, Hinge 등을 찾아볼 수 있다. 셋째는 무대 요소적 측면으로 호튼의 소도구의 사용, 극적인 무용과 더불어 광범위한 음악에 대한 관심은 에일리에게 극적구성과 함께 소품, 음악의 사용에 있어서 호튼의 영향력을 살펴볼 수 있다. 이처럼 앨빈 에일리 춤에 기저를 이루는 레스터 호튼의 테크닉은 흑인 무용가로 대표되는 에일리를 통해 현대무용의 예술성과 대중성을 지향하며 미국 현대무용사에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그동안 드러나지 않았던 레스터 호튼에 대한 연구의 중요성을 인식시키면서 앞으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강조하는 바이다.

      • 디지털콘텐츠 특성의 이용자 지각과 이용의도에 관한 연구

        윤지은 경기대학교 2007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environ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have been changed with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On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Digital contents have been serviced continually via on-off line internet and mobile. Recently, much of businesses have been concerned about digital contents because digital contents become a higher value-added business. Also, many of people have been concerned about it because maintaining convenience life to people. according to change of environ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t is very important that make a study about digital contents. This study demonstrates some major traits of digital contents as information, playfulness, individuality, perceived recognition as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relationship quality as satisfaction and commitment, user behavior as use intention. To make an empirical analysis the study, it is hypothesized that traits of digital contents and perceived recognition, traits of digital contents and relationship quality, perceived recognition and relationship quality, relationship quality and user behavior. Proposed theoretical model was based on TAM and was tested by the structure equation model for validity, credibility, goodness of fit. The major finding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raits of digital contents are positively affected by perceived recognition , satisfaction in relationship quality and use intention via perceived recognition. Theoretical implication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users wanted to choice only needed information. Second, users recognized digital contents as a part of life. So, user's ability is very important in this environment. According to this, business related with or interested in digital contents must have developed digital contents in variety aspect. Users must have concerned using digital contents, also. 우리의 정보통신서비스 환경은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많은 발전 및 변화를 겪고 있다. 다양하게 지원되는 정보통신서비스 중에서 특히 디지털콘텐츠 서비스는 유선인터넷을 비롯하여 무선인터넷 및 모바일을 통해 지속적으로 제공되고 있다. 최근에는 개인뿐만 아니라 산업적인 측면에서 많은 관심을 나타내고 있다. 디지털콘텐츠를 이용한 산업은 부가가치가 높아 많은 기업에서 수익사업으로서 인식하고 관심을 갖고 있으며 각각의 개인들은 디지털콘텐츠를 통해 편리한 생활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꾸준히 이용하고 있다. 따라서 디지털콘텐츠에 대한 이용자 중심적인 연구가 계속적으로 이뤄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콘텐츠 특성들이 이용자들의 지각된 인식과 관계품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결과적으로 이용자의 이용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설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통해 디지털콘텐츠가 제공하는 주요한 특성들을 검토하였으며 검토결과로서 정보성, 유희성, 개인성을 도출하였다. 체계적인 연구를 위해 정보기술수용모형을 이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을 도출하였다. 디지털콘텐츠 특성과 이용자들 간의 관계품질을 알아보기 위해 만족과 몰입을 이용하였으며 디지털콘텐츠 특성이 지각된 인식, 관계품질들을 통해 이용자들의 지속적인 이용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밝혀내고자 하였다. 실증연구에서는 연구모형의 타당성, 신뢰성, 적합성을 검토하여 전체 7개의 가설과 총18개의 하부가설을 검증하였다. 검증 결과에 의하면 디지털콘텐츠 특성과 지각된 인식 간의 관계에서 정보성과 개인성이 지각된 유용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며, 지각된 용이성에는 정보성, 유희성, 개인성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디지털콘텐츠 특성과 관계품질 간의 관계에서 개인성만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며 몰입에는 정보성만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각된 인식과 관계품질 간의 관계에서 유용성이 만족에 영향을 주며 몰입에는 어떠한 것도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계품질과 이용의도 간의 관계에서 만족은 지속적인 이용의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디지털콘텐츠 특성은 이용자의 지각된 인식에 대체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각자의 지각된 유용성과 용이성을 통해서 만족 및 지속적인 이용의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종합적인 시사점은 첫째, 현재의 디지털콘텐츠 이용자들은 자신에게 필요한 정보만을 선택하고자 하며 둘째, 각자에게 맞는 디지털콘텐츠 이용을 통해 즐거움과 재미를 추구하고자 하며 셋째, 디지털콘텐츠를 자신의 삶의 일부분으로서 인식하고 이용한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과거와 달리 현재의 이용자들은 주체의식과 참여활동이 두드러지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남들과 다른 자신만의 고유함을 갖고 싶어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의식변화의 바탕에는 무분별하게 제시되는 디지털콘텐츠 서비스 중에서 자신에게 유용하고 만족을 줄 수 있는 서비스를 선택할 줄 아는 이용자의 능력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콘텐츠를 제공하는 기업에서는 점차 세분화되어가는 이용자들의 요구와 개인적인 성향을 올바르게 파악하고 다양한 측면에서 대응도록 해야 하며 이용자들은 디지털콘텐츠 이용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 중고령자의 경제활동상태와 정신건강 : 소득수준과 가족관계만족도의 매개효과 검증

        윤지은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우리나라 중고령자의 경제활동상태(취업과 은퇴)를 알아보고, 경제활동상태(취업과 은퇴)가 정신건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경제활동상태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서 소득수준과 가족관계만족도가 매개적 역할을 하는지를 이론적 모형을 통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노동연구원의 고령화연구패널조사 제 1차 기본조사 자료를 사용하였다. 10,254명의 패널 중 과거 노동경험이 없는 사람과 구직자를 제외한 취업자와 은퇴자 중, 현재 배우자와 자녀가 모두 있는 45세 이상의 중고령자 4,145명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측정변수는 경제활동상태(취업, 은퇴), 소득수준, 가족관계만족도(부부관계만족도, 자녀관계만족도), 정신건강(행복감, 우울감)으로 설정하였다. 자료분석방법은 각 측정변인의 일반적 경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 및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집단 간 차이검증을 위해 t-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예측한 모형의 검증에 앞서 전체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해서 Pearson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고, 구조방정식의 기본가정인 정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왜도와 첨도를 검토한 후 구조방정식을 통해 모형의 적합도와 유의한 경로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45세 이상 중고령자의 경제활동상태와 측정변인들의 일반적인 경향을 살펴본 결과, 취업상태에 있는 중고령자의 비율이 은퇴상태에 있는 비율보다 높게 나타났고, 부부관계만족도와 자녀관계만족도는 전반적으로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정신건강의 경우 행복감은 높은 편이며 우울감은 낮은 편이었다. 중고령자의 경제활동상태에 따른 가족관계만족도와 정신건강의 차이를 보면, 취업자의 가족관계만족도와 정신건강 수준이 은퇴자의 가족관계만족도와 정신건강 수준보다 더 높았으며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둘째, 중고령자의 경제활동상태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의 경로를 분석한 결과, 경제활동상태는 정신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줌과 동시에, 소득수준과 가족관계만족도를 매개로하여 정신건강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취업상태는 소득수준과 가족관계만족도 수준을 높이고, 정신건강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은퇴상태는 소득수준과 가족관계만족도의 수준을 낮추고, 정신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