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의 GIS 교육과정 비교 분석 : 한국과 미국의 지리학 전공학과

        최진무(Jinmu Choi),박선엽(Sunyurp Park) 대한지리학회 2012 대한지리학회지 Vol.47 No.6

        본고에서는 지리학계의 GIS 교육과정을 정립하기 위한 교과과정을 도출하고 이를 담당할 적정 교원 수를 산정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미국의 교육 과정과 담당 교원 수를 한국의 지리학 관련학과 현황과 비교·정리하였다. 미국의 235개 대학교 지리학과의 전공과정과 인증과정을 정리한 것을 바탕으로 NCGIA와 UCGIS를 대표하는 4개 대학교와 지리학 관련학과 1개 대학교를 포함한 5개 대학교와 국내 전체 27개 지리학과에 대해 세부 GIS 과정 교과목, 교원 수, 교육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우선 교육과정에 있어서 미국은 GIS 전공과정과 인증과정을 구분하여 제공하고 있으나 국내 지리학과는 GIS 과정을 따로 두지 않고 있다. GIS 교과목 수에서 미국은 GIS 관련 16과목 이상을 제공하고 과정 이수를 위해 7과목(21학점) 이상 이수하도록 하고 있으나, 국내 지리학과들은 최대 6개 과목을 제공하고 있으며 졸업을 위해 평균 2과목(6학점)을 이수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교원 수에 있어서 미국의 지리학과는 GIS 주전공 교원이 평균 31%인데 반해, 국내의 경우는 평균 25% 이하에 머물고 있다. 본고에서는 국내 GIS 교과과정 수립을 위한 19개 세부 교과목을 마련하였으며, 학과당 약 2명의 GIS 주전공 교원을 적정 규모로 제시하였다. 이는 향후 국내 지리학과의 진퇴를 좌우할 수 있는 졸업생들의 취업 경로를 확대하고 지리정보와 관련된 다양한 사회적 요구를 반영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paper tried to derive a GIS curriculum in geography and the estimation of the number of faculty members to teach GIS. To do this, geography departments of universities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were compared based on the number of faculty members and the main structure of a GIS curriculum. Five universities of NCGIA and UCGIS in the United States and 27 universities in Korea were selected, and their GIS programs were analyzed on GIS curricula, the size of faculty, and program management. The US geography programs typically provide both GIS majors and GIS certificate programs, but Korean geography programs do not. At least, seven GIS courses(21 credits) are required for fulfillment of major degrees in the U.S., but only two courses(6 credits) are required in Korean geography programs. As far as the size of GIS faculty, it averages less than 25% of entire geography faculty in Korean universities, while it takes up about 31% in the U.S.. In this paper, the establishment of 19 GIS courses was suggested as a GIS curriculum for partial fulfillment of a geography major, and two GIS faculty members were recommended to maintain a stable GIS program of geography departments. The enhancement of GIS curricula and faculty size can provide geography graduates with more opportunities for employment and better react to diverse GIS-related public demands, which are important for the successful future of geography programs.

      • KCI등재

        한국의 신지역지리학

        최병두(Choi, Byung-Doo) 한국지역지리학회 2014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0 No.4

        국내에서 신지역지리학에 대한 관심은 서구 지리학의 패러다임 전환, 즉 실증주의적 지리학의 퇴조와 거시적 사회이론들의 도입에 바탕을 두고 부각된 신지역지리학에 영향을 받아서 1990년대 이후 본격화되었다. 신지역지리학의 등장은 또한 현실 세계의 변화, 즉 자본주의의 지구지방화 과정 및 이에 동반되었던 기술혁신과 포스트포드주의 경제체제로의 전환, 교통통신기술의 발달과 시공간적 압축, 그리고 사회문화적 이동성 증대와 정체성의 변화 등을 배 경으로 했다. 이러한 신지역지리학의 발달은 국내에서도 사회이론들에 바탕을 둔 지역에 관한 새로운 연구방법론에 대한 관심을 증대시켰다. 그러나 지역지리학의 연구방법론에 관한 국내 논의는 2000년대 이후 침체하고, 이에 바탕을 둔 종합적 경험연구도 미흡한 것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지역 개념 그 자체 보다는 관련된 다른 개념들 예로 장소, 경 관, 영역, 네트워크, 스케일 등과 관련된 연구방법론에 관한 관심, 그리고 지리학의 개별 전공 분야들에서 지역에 관 한 경험적 연구들이 촉진되었다. 지역 연구에서 종합적 접근과 계통적 접근 간 구분은 더 이상 유의하지 않을 것으로 추정된다. 앞으로 지리학은 다양한 공간적 용어들과 관련한 지역 개념의 확장과 더불어 지역에 관한 이론적 연구와 경험적 고찰을 통합하고 또한 지구지방화과정에 관한 구조적 분석과 이에 대응하는 실천적 전략의 모색을 동시에 추구해 나가야 할 것이다. The concern on new regional geography in Korea has emerged in the 1990s under the influence of paradigm shift of Western geography, that is, the withering of positivist geography and the introduction of grand social theories into geography. New regional geography in Korea also seems to have developed in the rapidly changing process of glocalization of capitalism which has accompanied with the transformation toward post-Fordism with high-tech innovation,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with time-space compression, and increasing social and cultural mobility with change of identity. But it can be pointed out that discussion on methodology for regional geography in Korea has been shrunken since the mid 2000s, and there has been relatively little empirical research with synthetic approach to region. But more concern on methodology in terms of place, territory, network, scale, etc. rather than the concept of region itself has increased, and empirical researches on regions in specific fields of human geography have been promoted. It is argued that the traditional distinction between synthetic and analytic approaches seems no longer significant. But geographers need to extend the concept of region in relation to other diverse spatial concepts, and to purse simultaneously structural analysis on glocalization process and practical strategies responding positively to the process.

      • KCI등재

        지리학의 자성과 도시지리학의 나아갈 길

        남영우 한국도시지리학회 2017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20 No.3

        We are in the midst of a rapidly changing international situation in the 21st century. At this time, we are ready to prepare for the unification of Korean peninsula of the 20th anniversary of the Korean Urban Geography Society and firmly establish the identity and position of geography as a field of study. It seems to have reached the point of time when it is done. Therefore, it is meaningful to see the geographical knowledge actively used in all fields of humanity and nature at the 20th anniversary of the founding society, but it has problems in the whole geography. Urban geography tends to focus on identifying urban structures and urban system. Of course, urban geography includes urbanization, urban system theory, global city theory, urban economy theory, urban ecology, urban landscape theory, etc.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urban geography is a field that can be directly linked to civilization, since it is the city that created human civilization. 우리는 21세기 급변하는 국제정세 속에서 지리학이 많은 도전 앞에 시련을 견디고 있는 시점에 20주년을맞이한 한국도시지리학회가 중심이 되어 통일을 준비하고 학문분야로서 지리학의 정체성과 위상을 확고하게 다져할 시점에 이른 것 같다. 그러므로 본 학회 창립 20주년에 즈음하여 지리학적 지식이 인문, 자연 모든 분야에서 활발하게 활용되는 모습을 보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지만 지리학 전반에 걸쳐 문제점을 안고 있다. 도시지리학은 도시구조를 규명하는 데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다. 물론 도시지리학은 도시구조론 이외에도 도시화 및 도시체계론을 비롯한 도시입지론, 세계도시론, 도시경제론, 도시생태론, 도시경관론 등의 각론을 포함하고 있지만, 무엇보다도시구조론과 도시체계론이 중요하다. 가장 중요한 과제는 인류의 문명을 창출한 곳이 도시이므로, 도시지리학은문명론과 직결될 수 있는 분야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이찬과 한국 현대문화ㆍ역사지리학의 정립

        홍금수(Kewmsoo Hong)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14 문화 역사 지리 Vol.26 No.1

        현대 문화ㆍ역사지리학의 개척자인 이찬은 1923년에 황해도 연백에서 출생하여 평양사범학교와 서울대학교를 거치며 근대지리학의 내적 토대를 다진다. 이후 루이지애나 주립대학교로 유학의 장도에 올라 버클리 학파의 일원인 니펜에게서 문화ㆍ역사지리학의 방법론을 체계적으로 전수받는 한편, 도작문화에 관한 연구로 1960년에 박사학위를 취득한 뒤 귀국하여 현대지리학 1.5세대에 기대되는 교육, 연구, 국제 활동을 활발히 펼친다. 이찬의 문화지리학은 문화요소의 기원, 전파, 분포에 맞추어져 있으며 시간적인 변화를 중시하기 때문에 동시에 역사지리흑에기도 했다. 지도교수를 통해 시우어 지리학과 크뢰버 인류학을 섭렵한 까닭에 문헌보다는 야외 조사에 비중을 둔 경험적인 연구를 지향하였다. 중부지방의 민가를 조사하는 단계에서 니펜의 물질문화분석법을 원용하고, 한국지리학시를 개관하는 중에 국학으로서의 지리학에 관심을 환기하고 고지도의 중요성을 역설했으며, 도작에 관한 연구를 통해 역사지리 연구방법을 체계적으로 구현하였다 한국문화역사지라학회, 『문화역사지리』, 다방면에서 활동 중인 후학은 이찬의 유산이자 한국문화ㆍ역사지리학 발전을 위한 소중한 자산이 되고 있다. Born in a pastoral countryside in 1923 Chan Lee had learned and practiced geography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before flying over to Louisiana State University for his post-graduate work. He was awarded Ph.D. for the thesis A Culture history of rκe with special reference to Louisiana in 1960 under the guidance of the Berkeley school's cultural geographer Fred B. Kniffen. Lee's cultural geography which laid emphasis on the origin, diffusion and distribution of cultural traits took the characteristics of historical geography with the addition of time dimension.Exposed to Sauerian culture history of landscape morphology and Kroeberian ethnography Chan Lee emphasized fieldwork in practicing cultural and historical geography, as is exemplified by the researches on folk housing, rice cultivation, and various other topics. Chan Lee left behind the Association of Korean Cultural and Historical Geographers, Journal of Cultural and Historical Geography and disciples as his enduring legacy.

      •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영어권 및 불어권 국가에 있어 지역지리학의 발달

        안영진 ( Young-jin Ahn ) 전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8 현대사회과학연구 Vol.22 No.-

        근대 지리학이 성립한 이래 지리학의 핵심으로 굳건히 자리 잡아 온 지역지리학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비과학적이라는 비판을 받았을 뿐만 아니라 폐기되어야 한다는 주장까지도 받았다. 특히 지역지리학은 1950년대에 들어서서 계량혁명을 거치면서 논리실증주의를 바탕으로 한 공간분석 지리학이 등장하면서 지리학의 주변으로 밀려 나기도 했다. 그러나 지리학 내에서 지역지리학의 의의가 꾸준히 강조되고 그 필요성이 제기되면서, 1980년대 이후 지역지리학은 르네상스를 맞이하기도 했다. 이 논문은 영어권 및 불어권 국가들을 중심으로 지역지리학의 역사적 변천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지역지리학에 대한 비판과 함께 지역지리학에 대해 제기된 문제점들을 먼저 살펴보고, 이를 뒤이어 1980년대를 거치면서 새롭게 대두한 신지역지리학와 함께 그 발전흐름을 고찰하고자 한다. Regional geography, once considered the centerpiece of modern geography, was not only criticized as unscientific after World War II, but also argued that it needed to be abolished. In particular, regional geography was pushed into the margins of geography by the ‘Quantitative Revolution,’ when the so-called ‘spatial geography’ based on logical positivism emerged. However, since the 1980s, regional geography has even experienced a renaissance,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regional geography within geography. This article examines the historical process of changes in regional geography with a focus on English- and French-speaking countries. In addition to the criticism of regional geography after the Second World War, the problems raised in regional geography were first explained, and since the 1980s the new regional geography and its direction of development has been analyzed.

      • KCI등재

        중국에서 문화지리학의 태동과 발전 - 세대, 사승관계, 지역별 특징을 중심으로 -

        이강원,황영하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23 문화 역사 지리 Vol.35 No.3

        이 글은 중국에서 문화지리학의 태동과 발전에 대해 살펴보고 있다. 중국 지리학계의 주요 저널에 문화지리학 논문을 게재한 학자들의 사승관계를 추적하여, 세대를 구분하고, 세대별 주요 연구자 및 연구경향과 지역별주요 연구거점 및 특징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학자들을 5개의 세대로 구분할 수 있었고, 난징대학을 중심으로 화둥지역에서 출발한 문화지리학적 연구가 베이징과 광저우라는 두 개의 거점으로 분화되어 있다는 점을 파악할수 있었다. 중국에서 문화지리학적 연구가 태동한 것은 100년에 가깝지만, 문화지리학 과목이 대학에 처음 개설된 것은 개혁개방 직후인 1980년대 중반 제3세대 학자들에 의해서였다. 1990년대 말부터 2010년대 말까지 연구를주도한 제4세대는 앞세대로부터 물려받은 ‘역사문화지리학’에서 ‘사회문화지리학’으로 전환을 이끌었으며, 대략2010년대에 학술활동을 시작한 제5세대는 ‘사회문화지리학’으로 전환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도적 지속가능성’ 과 ‘중국적 문제의식’을 중국 문화지리학의 과제로 제시하고 있다. Examining the emergence and development of cultural geography in China, this study aims to identify major researchers and research trends by generation and to identify major research bases and characteristics by region as well. For these purposes, we tracked the master-apprentice relationship of scholars who published cultural geographical studies in major geographical journals in China. According to the generation classification, scholars could be divided into five generations in this study. Geographical study of culture started in the Huadong region centered on Nanjing University was found to be divided into two bases: Beijing and Guangzhou. Although it is nearly 100 years since geographical study of culture emerged in China, cultural geography was firstly introduced to universities as a course by the third generation scholars in the mid-1980s, shortly after the Chinese economic reform. Leading the research from the late 1990s to the late 2010s, the fourth generation had contributed to the transition from ‘historical and cultural geography’ that inherited from earlier generations to ‘social and cultural geography’. The fifth generation, who began academic activities in the 2010s, has switched to ‘social and cultural geography.’ We argue that ‘institutional sustainability’ and ‘critical mind on issues in China’ are the tasks of Chinese cultural geography.

      • KCI등재

        한국 지리학계 논문에서 다루는 지역 스케일에 대한 고찰

        이전(Jeon Lee) 한국지역지리학회 2014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0 No.1

        지리학 연구의 핵심은 지역(region)에 대한 연구인데, 지역은 스케일을 갖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 지리학계에서 다루는 지역 스케일을 대한지리학회지와 한국지역지리학회지 에 지난 20여 년 동안 게재된 논문을 분석하여 실증적으로 고찰하였다. 대체적으로 볼 때, 대한지리학회지 는 한국지역지리학회지 보다 지역 스케일이 큰 논문을 상대적으로 많이 게재하였고, 한국지역지리학회지 는 대한지리학회지 보다 지역 스케일이 작은 논문을 상대적으로 많이 게재하였다. 그리고 두 학회지의 논문 분석을 통하여, 읍·면 스케일(①)과 시·군 스케일(②)을 합친 비율이 약간의 진폭이 있지만 지속적으로 증대하는 경향이 나타났고, 그와 반대로 시·도 스케일(③), 시·도보다 큰 스케일(④), 국가 스케일(⑤)을 합친 비율은 약간의 진폭이 있지만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 연구는 바람직한 지역스케일에 대한 성찰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한국 지리학계의 발전을 위해 매우 유용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empirically the scale of region that has been covered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대한지리학회지) and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한국지역지리학회지) over the last 20 years. Generally speaking, it was found that The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has published a relatively more number of articles with larger scale of region and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has published more articles with smaller scale of region than the counterpart journal. Also, this study has revealed that the ratio of the studies in both journals utilizing both town/village scale(읍·면 스케일) and city/county scale(시·군 스케일) has increased continuously with marginal fluctuations. On the other hand, the ratio of the studies in both journals combining single metropolis/ province scale(시·도 스케일), multiple metropolis/province scale(시·도보다 큰 스케일), and state scale(국가 스케일) has decreased continuously in general. In sum, this study is expected to offer useful data as well as future research direction to the Korean geographers.

      • KCI등재

        한국 군사지리학의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황성한(Hwang, Sung Han),김만규(Kim, Man Kyu) 한국지역지리학회 2015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1 No.1

        군사지리학은 지리적인 요소를 군사적 행위에 활용하는 것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는 학문이다. 지형 등을 포함하는 군사지리학 요소는 군대의 용병술과 군사이론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삼국시대 이후 한반도에서 활용된 용병 술은 지형적 특징을 반영한 일관된 흐름을 유지하면서 발전해왔다. 이처럼 역사적으로 이어온 용병술 형성과 군사지리학 요소의 밀접한 관계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군사지리학 연구는 침체된 가운데 학문적 담론은 미흡한 상태이다. 반면에 영미권의 군사지리학 연구에서는 군대의 평화유지·인도주의 활동과 관련한 군사지리학 연구를 통한 연구 활성화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영미권의 연구경향과 한국의 기존 연구에 대한 실태 분석을 바탕으로 한국 군사지리학의 연구 및 교육에 대한 발전방안을 세 가지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주요 내용은 군사지리학 연구의 활성화와 교육수준 향상을 위한 커리큘럼 개선, 관련 기관간의 협의체 구성, 지리학회 내의 군사지리학 관련 소분과 설치 등이다. 한국의 군사지리학이 전쟁기여 면의 용병술 분야와 함께 군대의 평화유지·인도주의 활동으로 연구 범위를 확대함으로써 학문으로서의 정체성을 보다 더 구체화할 수 있는 가능성은 커질 수 있을 것이다. Military Geography is a literature studying the application of geographical elements to military behaviour. The elements of military geography including topography greatly influences on building military art and theory. The military art applied on korean pennisula from the period of ancient three countries(Koguryeo, Shilla, Paekche) has been developed maintaining consistent stream reflecting topographic features. Despite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building of military art and military geography"s elements, the study for korean military geography has been depressed and the discourses of literature has been insufficient. But, in the western study of military geography, the study vitalization efforts studying military peace keeping and humanitarism activity are ongoing. Based on the current trend of western study and the analysis of existing korean study, this treatise proposes three plans to improve the study and education of korean military geography. The key contents of plans are comprised with the improvement of education curriculum, the construction of council between relevant organism, and the installation of subdivision in relevant geographical society. The possibility shaping up the identity of korean military geography as a common literature can be increased by enhancing the study toward peace and humanitarism and specifying the method for development as noted on this study.

      • KCI등재

        한국ㆍ미국 대학 지리학과의 학부과정 교과목에 대한 비교 연구

        이전(Jeon Lee) 대한지리학회 2013 대한지리학회지 Vol.48 No.2

        이 논문은 한국·미국 대학의 지리학과 학부과정 교과목을 비교하고 분석하는 연구이다. <지리학 개론>은 학부과정 교과목으로 개설하는 경우가 매우 드문데, 이는 지리학의 네 분야(인문지리 분야, 자연지리 분야, 지역지리학 분야, 기타 분야)를 한 과목으로 통합하여 개설하기 어렵기 때문일 것이다. 한국 대학 지리학과에서는 인문지리학 분야의 교과목 비율(39.4%)이 자연지리학 분야의 교과목 비율(24.5%)보다 크지만, 미국 대학 지리학과에서는 자연지리학 분야의 교과목 비율(32.8%)이 인문지리학 분야의 교과목 비율(29.4%)보다 조금 더 큰 것으로 나타난다. 지역지리학 분야의 교과목 비율을 비교하면, 미국의 비율(18.1%)이 한국의 비율(13.8%)보다 크다. 이는 미국 대학 지리학과에서 지역지리학 분야가 보다 더 강조되고 있다는 사실을 말해준다. 한국 대학 지리학과 교과과정은 미국 대학 지리학과 교과과정을 수용하여 정착시킨 것이기 때문에 양자는 매우 유사한 면을 많이 갖고 있다. 그렇지만 지리학의 네 분야가 차지하는 몫에서는 약간의 상이성이 나타나는데, 이러한 상이성은 지난 반세기 동안에 한국 지리학과가 놓여있던 역사적 맥락으로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compare and analyze the undergraduate geography curriculums of Korean and American universities. <An Introduction to Geography> is rarely offered as an undergraduate geography subject in both Korean and American universities. This may be due to the fact that the four fields of geography(human geography field, physical geography field, regional geography field, and other geography field) are not easily able to be integrated and taught as an independent geography subject. The ratio of the subject number of human geography field(39.4%) is greater than that of physical geography field(24.5%) at the geography departments of Korean universities, but the ratio of the subject number of physical geography field(32.8%) is a little more greater than that of human geography field(29.4%) at the geography departments of American universities. The ratio of the subject number of regional geography fields at the geography department of American universities(18.1%) is greater than that of Korean universities(13.8%), so more stress seems to be laid on the field of regional geography in American universities than in Korean universities. Although the geography curriculums of Korean universities seems to follow generally those of American universities, this paper reveals that there is also differences between the geography curriculums of Korean and American universities in terms of their emphasis on four fields of geography. The differences could be explained by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geography departments of Korean universities during the last half a century.

      • KCI등재

        학회·학과·연구소를 중심으로 본 중국지리학사: 1909~1978

        이강원(Kang-Won Lee) 대한지리학회 2013 대한지리학회지 Vol.48 No.3

        이 논문은 중국지학회 창립(1909년)부터 개혁개방(1978년) 무렵까지 중국 지리학의 역사에 대해 주로 학회조직, 대학의 학과, 연구소 등을 중심으로 살피고 있다. 중국지학회, 우공학회, 중국지리학회가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전 창설된 지리학 관련 학회였다. 이 학회들은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중국지리학회로 통합되었다. 1921년 중국 최초의 지리학과가 주커전(竺可楨)에 의해 난징의 둥난대학(난징대학)에 창설되었다. 이후 중산대학, 저장대학, 칭화대학, 베이징사범대학 등에 주로 ‘지학(地學)’ 또는 ‘사지(史地)’라는 명칭 하에 지리학 전공이 설치되었다. 1949년 공산정권 수립 후 1958년까지 소련식 지리학의 도입을 통한 활성화가 모색되었다. 1950년대 초 학회와 대학 학과들에 대한 구조조정이 있었으며, 베이징대학 지질지리학계를 비롯한 지리학 관련 학과들과 중국과학원 지리연구소가 설립되었다. 1950년대 중국의 지리학은 농업생산에 기여한다는 목표를 가지고 있었고, 자연지리학과 경제지리학 위주의 연구와 교육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1958년 대약진운동 이후 1978년 개혁개방 무렵까지 중국지리학은 침체상태에 있었다. 개혁개방은 중국 지리학에 새로운 기회이자 위기로 다가왔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history of geography in China from 1909 when the Chinese Geographical Society(zhonguo dixuehui) was established to 1978 when the reform and open policy was initiated. The investigation was done with an emphasis on the history of institutions like academic societies, university departments and institutes. Before the PRC’s establishment, the Chinese Geographical Society, the Chinese Historical Geography Society(yugong xuehui) and the Geographical Society of China(zhongguo dili xuehui) were established. After the PRC’s establishment, however, the academic societies were merged together. The first university department of geography was that of Dongnan university(Nanjing university) established by Zu Kezhen in 1921. Since that Zhongshan university, Zhejiang university, Qinghua university, Beijing normal university and Beijing university established the geography departments. In 1950s the academic societies and university departments experienced the restructuring of organization and the Institute of Geography in Chinese Academy of Science was established. At that time the task of geography imposed by PRC was to serve to agricultural production and to introduce advanced Soviet science. From the beginning of the Cultural Revolution in 1966 to the eve of reform and open policy in 1978, the geography in China has experienced some deep recession. The reform and open policy was a new opportunity and crisis to geographers in Chin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