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중 고전소설의 비교연구 : 중국재자가인소설과 17세기 한글소설을 중심으로

        강미선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논문은 중국소설과 우리소설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가 일찍부터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그간의 연구 대상과 결과가 한 쪽으로 치우쳐 있다는 데에 문제를 제기하고 중국才子佳人小說이면서 우리나라에 번역된 〈옥교리〉, 〈호구전〉, 〈평산냉연〉과 한국고전장편소설인 〈구운몽〉, 〈창선감의록〉, 《소현성록》, 〈현씨양웅쌍린기〉를 비교하여 우리소설이 중국소설과 연관성과 그 가운데에서 드러나는 우리소설의 독자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우선 재자가인소설과 한국고전소설이 각각 유형성을 띠고 있다는 것에 착안하여 각 작품에서 비교적 비중 있는 모티프를 추출하여 비교하고 표로 제시하였다. 그 결과 재자가인소설과 우리소설에서 비슷하게 나타나는 모티프도 있고, 일부 작품의 경우 매우 유사한 모티프를 가지고 있음도 알 수 있었다. 반면, 우리소설에서만 나타나는 모티프도 있으며, 비슷한 모티프라고 해도 당대 이데올로기에 따라 사건을 바라보는 시각이 다르게 나타나고 있었다. 그리고 재자가인소설에서는 異界가 설정되거나 異人이나 신비한 물건이 등장하는 일이 거의 없거나, 있으되 비중이 적은 반면 우리소설에서는 매우 활발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주로 긍정적 인물들이 위기에 처했을 때 이러한 모티프가 등장하였다. 이것은 재자가인소설에서 일어나는 갈등이 현실에서 충분히 처리할 수 있는 정도의 것이기 때문에 異界가 개입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한 것이라고 여겨진다. 또한 〈서유기〉나 〈봉신전〉같이 본격적으로 귀신이나 요물, 異界를 소재로 한 소설들이 중국에서는 오래전부터 발달되어 있었던 것도 재자가인소설이 이러한 모티프를 다루지 않은 한 요인일 것으로 파악된다. 또한 재자가인소설이 서두에 개인의 존재를 강조한 것과는 달리 우리소설에서는 가문을 강조하고 있으며, 재자가인소설에서는 獨子가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반면 우리소설, 특히 18세기로 접어들수록 다수의 형제가 등장하여 작품을 이끌어 가는 것도 두 소설 사이의 차이점으로 나타난다. 이 차이는 결말부에서 재자와 가인이 혼인하여 개인의 행복과 명예만을 서술하는 재자가인소설에 비해서 우리소설의 경우는 한 사람 개인의 영화뿐만 아니라 그의 자녀들이 더욱 가문을 번창시키는 이야기까지 서술하는 데서도 나타난다. 우리소설에서는 자녀들의 후일담을 쓰는 것에서 확장하여 그 자녀들의 이야기를 따로 서술한 연작들도 있어 당시 사회가 가문의 번영과 확대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인물들이 애정을 발현하는 모습은 재자가인소설과 우리 소설이 비슷한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남성인물들의 경우 대체로 애정 추구형과 도덕 추구형의 두 가지 인물형으로 나타나지만 공통적으로 모두 남성 중심적 이데올로기의 비호를 받으며 자신들이 추구하는 바를 마음껏 누리는 당대의 이상적인 남성상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애정 추구형이건 도덕 추구형이건 중국 소설의 남성들보다 우리 소설의 남성들에게서 더 윤리적인 측면이 강조되고 있었다. 게다가 중국소설에서는 한 작품에 한 가지 추구형의 인물만 등장하는 반면, 우리소설에서는 한 작품에서 애정 추구형과 도덕 추구형이 함께 드러나고 있어 이상적인 남성상에 대해 생각하게끔 하고 있다. 여성 인물들의 경우는 중국소설의 여성들의 애정 발현 양상이 남성 인물들과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우리소설의 여성들은 애정을 발할 경우 부정적으로 처리되거나, 아예 악인으로 설정되어 있어 남성들의 경우와 큰 차이를 보인다. 게다가 여성들의 애정 추구나 주장은 남성들의 용인이 있어야만 사회적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는 여지가 제공되며, 이들도 종국에는 남성들이 세운 가부장적인 논리와 순종적인 여성상이라는 틀에 갇히게 된다. 이것은 중국소설에서 남·녀 인물이나 우리소설에서 남성 인물들이 애정과 도덕 두 가지를 추구하고 있는 것과는 매우 큰 차이를 보이는 부분이다. 위에서 제시했던 차이점과 유사점을 통해 우리소설의 독자성에 대해서 고찰한 결과, 개인보다 집단을 강조하는 우리소설은 혼인 전의 이야기보다 혼인 후의 이야기에 더 집중하고 있다. 이 때문에 중국소설보다는 우리 소설에서 애정 발현이 부정적으로 나타나는데, 이러한 양상은 18세기로 갈수록 더욱 적극적으로 나타난다. 소설에서 개인보다 가문을 중시하는 이데올로기를 강조하고 가문을 지키는 인물이 아버지이다. 그런데 개인을 강조하는 재자가인소설에서는 아버지가 거의 나타나지 않거나, 나타난다고 해도 그 존재가 미미한 반면, 우리소설에서 아버지의 부재는 곧 집안의 분란과 갈등을 초래하는 것일 정도로 아버지의 존재는 매우 절대적이다. 엄하고 강력한 권력을 가진 아버지가 존재해야 한 가문이 훌륭하게 지속, 번영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본고에서는 비록 비슷한 모티프와 인물들이 등장하여 일면으로는 유사하게만 보이는 재자가인소설과 한국고전소설이라도 그 이면에 나타나는 사상을 살펴보면 개인보다 가문을 강조하고, 부부 갈등을 통해 가문의 안정과 영화를 추구하는 우리소설만의 독자적인 모습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러나 본고는 중국소설 중 재자가인소설과 우리 소설 중 장편소설만을 대상으로 연구한데다가 그 중에서도 일부 작품에 한정하였기 때문에 연구 대상의 폭이 매우 좁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번에 다루지 못했던 중국과 한국의 다른 소설들의 연관성에 대해 지속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고 여겨진다. Although there has been a lot of research done on a study to find a relationship between Korean and Chinese novel, the objects and results of the research have been criticized to be skewed towards one cas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identify the similarity of Korean and Chinese novel and I would like to study the unique elements of Korean novel by comparing some translated novel with Korean classic ones. <Okgyori>, <Hogujeon>, <Pyeongsannaengyeon> are examples of originally Chinese Jaejagain novel but translated into Korean and <Guwunmong>, <Changseongameuirok>, <Soheonseongrok>, <Hyeonssiyangwungssangringi> are examples used as Korea classic long-novel. To start with, acknowledging the fact that Chinese Jaejagain novel and Korean novel have their own forms, I have abstracted the motif of each literature and compared then represented the results in the means of diagrams. It has been shown that both Chinese and Korean novel have some similar motif and for some examples, almost identical motif is found. However some motif exists only in Korean classic novel and even for the similar motif, the aspects differ according to its social ideology. Also in Jaejagain novel, extrasensory perception hardly exists and even when the concept is introduced in Jaejagain novel, the concept is insignificant. However extrasensory concept often appears in Korean novel especially when the main characters face difficulties. This is because in Jaejagain novel, conflicts between characters can be solved in realistic world, extrasensory perception does not have to be used. Because Chinese Jaejagain novel did not introduce extrasensory concept in the literature, a separate genre of novel that fully utilize the extrasensory concept such as <Seoyugi> and <Bongsinjeon> has been developed from early days in China. In Jaejagain novel, the introduction focuses on individuals while Korean novel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families. Also another difference between the two is that only child often plays a main character in Chinese Jaejagain novel but in Korean novel, especially from the 18th century many siblings appear in the literature and each plays an important role. Such a difference also exists in conclusions. In Chinese Jaejagain, Jaeja and Gain usually get married and the novel mainly describes individual's success and happiness while Korean novel talks not only individual's success but the offspring's success are often described in the conclusion. Some Korean novel even mention the offspring's success as a separate novel. Therefore from the above, it is clear that at that time, family's success and its expansion received a lot of attention. However when it comes to development of main characters' love, both Jaejagain and Korean novel show similar aspects. Male characters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according to the personality within the literature, love seeker and ethic seeker. Irrespective of love or ethic seekers, the common element was that male characters always achieved what they wanted, backed by strong sexism at that time. Male characters in Korean novel showed more emphasis on ethical aspects moreover Korean novel described both love and ethic seekers within the literature. Chinese Jaejagain only talked about one type of seeker in each novel. Thus Korean novel shows what an identical man should be. In Chinese Jaejagain, development of love for female characters is described in a similar way as male characters are described but Korean novel preferred passive love for female characters. For instance if female characters take the initiatives, it was not socially accepted. For women, it was not right to actively seek love nor opinion was socially respected. This shows a big difference compare to male and female characters in Chinese Jaejagain or male characters seeking both love and ethic.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described above, Korean novel puts more emphasis on group rather than individuals and also mainly describes stories after the marriage. This makes love an issue which is rather negatively accepted when it appears in Korean literature, this aspect becomes more apparent in 18th century. Korean novel puts more emphasis on families rather than individuals and the importance of father within a family is described. However in Chinese Jaejagain novel, which emphasizes roles of individuals rather than families, the role of a father within the family is insignificant while in Korean novel, father has a mighty role and power within the family. Its doctrine was that a family can only flourish if the father has a mighty power within the family. From the above, it is clear that even if Korean novel and Chinese Jaejagain novel had similar motif and characters thus might appear as similar, significant differences have been studied. The main difference is due to different ideology such as different emphasis between families and individuals. Korean novel seeks comfort and flourish of family by conflict between a married couples. The limitation of this paper is the limited sample size. The sample used was Jaejagain novel of China and long-novel of Korean novel and only a number of literature was included in the sample. I would like to see consistent study using more broad sample of Chinese and Korean novel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 中國古代小說探源 : 論先秦史傳的小說因素

        제해성 北京師範大學 1997 해외박사

        RANK : 248703

        오랜 기간 중국학자들은 중국 古代小說이 史傳 文學에서 연원 하는지에 대해서 서로 다른 의견을 갖고 있었다. 그들은 일반적으로 중국 고대소설의 연원을 上古 시대의 神話 傳說과 先秦 시기의 寓言 故事 및 漢 魏 六朝의 志怪 ·志人小說에서 찾을 뿐, 先秦 兩漢 시기에 번성한 史傳 문학이 중국 소설사에서 갖는 지위와 그것이 후세 소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대체로 관심을 갖지 못했었다. 사전 문학은 비교적 완전한 소설 체재를 갖춘 문학작품이라고는 할 수 없지만, 思想, 題材, 言語 藝術의 표현 방법상에 있어서 후세 소설의 형성과 발전을 위해 다방면으로 준비를 하였다고 볼 수 있다. 최근에 나온 사전 문학과 중국 고대소설과의 관계를 규명하는 논저들은 일반적으로 漢代 ≪史記≫의 人物 傳記가 지닌 예술적 특징에서부터 언급하고 있다. 중국 고대 紀傳體의 개척과 번성은 司馬遷이 쓴 ≪史記≫의 탁월한 공로임은 의심할 여지가 없지만, 작품의 敍事 구조나 인물 형상을 塑造하는 방법과 기교는 오히려 그보다 앞서 쓰여진 先秦 시기의 사전 문학에서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다. 先秦 시대는 역사와 문학이 아직 명확히 구분되지 않은 시기로서 당시 史家들은 일반적으로 문학적인 수법으로 역사를 기술하였는데, 이러한 歷史 典籍을 우리는 오늘날 문학적인 시각에서 보아 '史傳 文學'이라고 일컫는다. 중국에는 유구한 史學 전통이 있으며, 이러한 사학 전통중에서 先秦 史傳 문학은 역사와 문학의 두 가지 속성을 겸비한 역사의 記載로써, 중국 고대소설의 발전을 위해 광활한 題材 영역을 개척했을 뿐만 아니라, 史書가 역사 사건의 實錄과 환경 및 인물 등에 대해 구체적이고 세밀한 묘사를 함으로써 후세 소설가에게 양호한 敍事 模式을 제공하였다. 특히 ≪逸周書≫·≪左傳≫·≪國語≫·≪戰國策≫으로 대표할 수 있는 先秦 사전 문학작품은 창작 방법, 제재 선택, 형식 체제, 서사 기교, 인물 묘사, 환경 묘사, 심미 사상 등 방면에 있어서 충분한 창작 경험을 쌓음으로써 후세 文言과 白話 소설의 형성과 발전에 깊은 영향을 주었다. 본 논문은 <緖言>에서 史傳 문학작품 속에 내포된 소설적 요소의 발굴을 시도했고, <總論>의 第一章에서는 중국 전통 소설 관념의 발전과 변화에 대해서 전면적인 고찰을 진행하였다. [(1)중국 고대소설 개념의 발생과 변천 (2)近·現代 소설 관념으로 본 사전 문학의 소설적 요소 (3)'史貴於文'관념 및 그것이 소설에 끼친 영향] 第二章에서는 중국 고대소설의 원류 문제를 구체적으로 상세하게 논술하였다. [(1)上古 시기 神話 傳說의 중국 고대소설에 대한 영향 (2)先秦 시기 諸子 寓言과 중국 고대소설의 관계 (3)중국 고대소설의 기원을 先秦 사전 문학에서 찾음] 第三章부터 第六章까지의 <分論>에서는 ≪逸周書≫·≪左傳≫·≪國語≫·≪戰國策≫ 등 先秦 사전 문학작품 중의 소설 요소를 각각 실제 예문을 들어 구체적으로 논술하고, <結論>에서는 先秦 사전 문학이 중국 소설사에서 지니는 지위와 후세 소설의 형성과 발전에 미친 영향을 고찰하였다. 종합해서 말하자면, 先秦 사전 저작중 ≪逸周書≫·≪左傳≫·≪國語≫·≪戰國策≫의 연속적인 출현 및 그것들이 지닌 소설적 요소의 再發掘은 우리에게 중국 고대 사전 문학의 작품 수준이 상당히 높은 경지에 도달해 있음을 인식시켜줄 뿐만 아니라, 그것들이 후세 소설의 형성과 발전에도 깊은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숨김없이 드러내 준다. 그러나, 사전 문학은 필경 역사 문학이다. 그것이 어떻게 虛構와 想像을 애써 헤아리든 간에 결국은 역사적 사실을 위배할 수 없다는 전제가 따르기 마련이다. 소설가들이 인물 형상과 허구의 경지를 만들 때 역사적 사실을 전제로 하거나 규범으로 삼지 않는 것과는 그 의도가 확연히 다른 것이다. 先秦 시기의 사전 문학작품중에 비록 많은 篇章들이 소설에 근접하거나 소설과 유사하지만, 正史를 소설에 열거할 수 없음은 분명한 사실이다. 그러나 작자의 입장에서 보면 의도적으로 창작을 한 소설 작품은 아니지만, 그것이 근·현대적 의미에서의 소설적 제요소를 갖추고 있어서 이 시기중 부단히 발전·성숙되고 융합·누적되어져서 후세 소설의 초보적 형성에 필요한 조건을 준비한 것은 홀시될 수 없는 것이다. 우리가 先秦 사전 문학의 연구함에 있어서 한편으로는 그 본래의 文史 가치를 충분히 중시하여야겠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응당 그 중의 소설 요소가 중국 소설사에서 지니는 지위와 후세 소설에 미친 영향을 탐구하여 그에 대해 전면적이고도 객관적인 평가를 진행해야 할 것이다.

      • 韓國 近代時期 中國古典小說의 飜譯과 出版 硏究

        윤보경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8702

        한국 근대시기 중국고전소설의 번역과 출판에 관한 연구는 지금까지 국문학계와 중문학계에서 개별 번역 작품에 관한 단편적인 연구만이 이루어져 왔다. 특히 국문학계를 중심으로 이 시기 중국고전소설의 번안 작품과 원전과의 비교를 통한 번안 양상의 고찰, 중국고전소설의 번역 ․ 번안 작품 및 재창작 작품 등 이본 계통에 대한 비교 분석과 자료 조사 등을 위주로 연구가 진행되었던 반면 한국 근대시기 중국고전소설의 번역과 출판에 관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는 아직까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이에 본고에서는 지금까지 연구된 단편적인 연구 성과들을 바탕으로 한국 근대시기 중국고전소설의 번역 및 번안 작품들을 종합적으로 수집 ․ 정리하고 정리된 자료들을 간행 시기와 장소, 출판인과 번역가, 번역 문체 등을 기준으로 분류하였다. 이러한 기준에 따라 도출된 통계자료를 바탕으로 한국 근대시기 중국고전소설 번역 작품들을 각 시기별로 나누어 그 특징을 살펴보고, 또한 출판과 유통 상황, 번역 양상, 번역 문체 등 다양한 각도에서 분석함으로써 한국 근대시기 중국고전소설의 번역과 출판에 관한 전반적인 특징을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그 의의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본고에서는 한국 근대시기를 역사적으로 한국 근대화의 중요한 기점으로 여겨지고 있는 1894년 갑오개혁부터 일제에 의한 침탈에서 해방된 해인 1945년까지 약 50년간으로 보았다. 한국 근대시기는 사회 전반에 걸쳐 구질서와 신질서가 혼재하는 가운데 문학 방면에서도 고전문학과 신문학, 번역문학 등이 동시에 유행하는 복잡한 양상을 띠고 있었다. 이러한 시대적 배경 속에서 중국고전소설의 번역에 있어서도 다양한 특징들이 나타나고 있었다. 또한 이 시기는 일제 강점기라는 특수한 상황에 놓여 있었기 때문에 중국고전소설의 번역 역시 그 시대적 흐름에 따라 변화하고 발전해 나갔다. 한국 근대시기 중국고전소설의 번역 작품들은 번역 문체 방면에서도 다양한 양상을 보이고 있는데, 번역 문체 방면에서 보이는 여러 특징들은 당시 신소설 문체에서도 그대로 나타나고 있어 그 영향 관계를 추정해 볼 수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중국고전소설 번역의 배경을 논함에 있어 번역 문체 방면에서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한국 근대시기 중국고전소설의 번역은 이전 시기와 달리 근대적 출판과 근대 매체의 등장으로 널리 유통되면서 폭넓은 독자층을 형성할 수 있었다. 이 시기 중국고전소설은 근대적 출판물인 단행본으로 간행되거나 근대 매체인 신문 혹은 잡지에 연재되는 방식으로 유통되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이 시기에 등장한 중국고전소설 번역 작품들을 단행본과 신문 ․ 잡지 연재문으로 분류하여 각 작품별 특징을 살펴보았다. 한국 근대시기에 단행본으로 간행되었거나 신문, 잡지에 연재된 중국고전소설 작품들은 장편소설로는 《三國演義》, 《水滸傳》, 《西遊記》, 《紅樓夢》, 《西漢演義》, 《隋唐演義》, 《封神演義》(《西周演義》), 《列國志》, 《說唐演義全傳》, 《大明英烈傳》, 《秦唐演義》, 《掃迷帚》, 《龍圖公案》 및 《覺世名言》(異書名《十二樓》)에 수록된 작품인 《合影樓》와 《奪錦樓》, 《西湖佳話》에 수록된 작품인 《斷橋奇聞》과 《雙송장》 등이 있다. 단편소설로는 문언소설 가운데 《列女傳》, 《剪燈新話》, 《太平廣記》에 수록된 작품인 《枕中記》과 《紅線傳》, 그리고 《聊齋志異》에 수록된 작품인 《續黃梁》과 《瑞雲》 등 6종의 작품이 있으며, 백화소설 가운데 《三言》,《二拍》과 《今古奇觀》에 수록된 작품 30편 등이 있다. 이 작품들은 고려시대부터 조선 후기까지 국내에 유입되어 한글 필사본이나 방각본의 형태로 번역되어 읽혀졌던 작품들이다. 이후 한국 근대시기로 접어들면서 서구의 근대 사상과 근대 문물이 수용되고 새로운 형식의 신소설이 유행하는 상황 속에서 이 전근대적 성격의 중국고전소설들은 오히려 활발하게 번역되었고 근대 매체와 결합되어 광범위하게 유통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되었다. 이 번역 작품들은 한국 근대소설과 함께 독자들에게 애독되었고 나아가 번안과 재창작의 형태로 수용되면서 한국 근대소설의 형성에도 영향을 주게 되었다. 한국 근대시기에 유행하였던 중국고전소설의 번역은 이 시기 한국 근대소설과 함께 유행하였고 또 상호 영향을 주고받으며 발전하였다. 즉 중국고전소설의 번역 과정에서 근대소설의 형식이 차용되고 근대 사상이 녹아들기도 하였고, 근대소설 속에 중국고전소설의 소재와 플롯이 차용되는 등 중국고전소설의 번역은 한국 근대소설과의 상호 영향 관계 속에서 한국 근대소설의 형성에 상당한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이는 이 시기에 중국고전소설 번역이 갖는 의의라고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이상과 같이 한국 근대시기 중국고전소설 번역에 대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정리와 분석을 토대로 하여 한국근대시기 중국고전소설 번역이 갖는 특징과 의의를 고찰하였다.

      • 한국 현대소설에서 나타난 중국인 표상 연구

        Gao Rui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2

        본 논문 연구의 대상은 오정희의 단편소설 「중국인 거리」, 김연수의 단편소설 「뿌넝숴」, 김인숙의 단편소설 「바다와 나비」, 김애란의 단편소설 「그곳에 밤 여기에 노래」 이 네 편 대표적인 작품을 선정하여 검토해보겠다. 이 네 편 문학작품에서 나타난 중국인의 표상’은 현대 한국과 중국 양국 문화 교류의 결과물로 볼 수 있다. 본 논문 논술하는 표상은 일반적인 의미에서 표상 연구와는 달리 본 논문에서 다루는 표상은 비교문학 범주에 속한다. 비교문학 이미골로기(imagologie) 시각으로 보면 표상 연구란 작가의 문화현실에 대해 반영한 문학작품을 통해 그것을 창작 (혹은 홍보, 찬성) 한 개인 또는 단체의 이데올로와 그들의 문화적 공간을 내보이고 설명하고 이국(異國) 이미지에 대해 창작하거나 묘사하는 것을 중점적으로 연구하는 것이다. '한 작품, 문학 중의 이국(異國) 이미지에 대해 연구'이기도 한다. 따라서 한국 문학작품에서의 중국 표상은 중국 현실을 그대로 영사하는 것이 아니라 한국 사회의 문화심리와 작품이 처한 역사 문화의 맥락을 영사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한국 문학에 나타난 중국인 표상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작가의 견해와 인식을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국 문학의 특징과 중국에 대한 한국 사회의상상(想象)을 알아 불 수 있다. 오랜 시간동안 중한 양국의 비교문학 연구는 줄곧 한중양국의 고전문학을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따라서 한국 현대문학의 연구 성과는 결핍될 정도였다. 비교문학 표상에 연관되는 연구는 더구나 보기 드물었다. 이는 한중 양국의 문화와 문학이 오랜 교류의 역사와 밀접한 영향관계에 의해 나타난 필연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다. 이 또한 본 논문의 취지 중 하나이기도 하다. 한중 비교문학 연구는 주로 영향 연구의 범위 안에서 다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면 역사상에서 중국 문학이 한국 문학에 대한 영향 등을 논술하고 있다. 한중 비교문학 표상 연구에는 그만의 국한성이 있다. 이 또한 본 논문의 두 번째 취지이기도 하다. 한국 현대 소설 속에 나타난 중국 이미지에 대한 토론을 통해 우리는 현재 한국 다원문화 사회 중의 중국인 의 생존상태를 엿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시에 발생하는 과정과 규율을 알아 볼 수 있다. 더 나아가 뒤에 숨겨진 사회 심리 배경과 한층 깊은 문화수양을 탐구 할 수 있다. 한국 근대 소설 중의 중국인 형상은 양국의 오랜 교류의 축소판이 되겠다. 이 것이 본 논문의 세 번째 취지이다. 문학은 삶의 거울이다. 한국 현대소설 속의 중국 형상은 중국의 급속한 발전 및 복잡다단(復雜多端)한 중한관계와 그 변화도 굴곡적인 양상을 보이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한국 현대 소설을 통해 중국이라는 이국에 대한 상상과 대립적인 구도 속에서 보이는 적대적 의식, 때로는 급속한 중국의 성장에 대한 동경의 심리까지 엿볼 수 있다. 그러나 한국 현대소설 속의 중국인 표상들을 비교적 단순하게 구현하는 수준에 머물러 보다 세밀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점과 과거와 현재를 결합하는 중국인 표상의 변화에 대한 논의가 불충분한 점이 있다. 따라서 이 부분은 후속 연구를 통해 보충해 나가도록 하겠다. 中韩两国,自古以来就有着悠久的历史渊源,随着21世纪多元文化时代的到来, 中韩两国经济、政治、文化上的交流也越来越频繁。中韩两国文化同源,民族交往源远流长,因此在韩国文学中出现了许多中国形象。近年来利用比较学形象学的研究方法研究 外国文学中的中国形象的论文较多,且研究古典和近代作品的占大多数,但是以现代韩国小说中的异国形象为研究对象的论文却不多见,因此本文的研究对象为“韩国现代文学中出现的中国人形象”。本论文中的研究对象是中韩两国长期以来各个领域相互交流、学习、借鉴的产物。通过对韩国现代小说中出现的中国人形象进行探讨,我们可以从中了解到在韩国当今社会中中国人的生存状态,同时也可以了解到其产生过程及规律,进而探讨其背后的社会心理及深层文化涵义,亦是本文的立意所在。本文的主要研究对象为“韩国现代文学中出现的中国人形象”,属于比较文学形象学 的范畴,因此本文将采用比较文学形象学的研究方法,研究分析韩国女作家吴贞姬的《唐人街》,金延洙的《不能说》,金仁淑的《大海与蝴蝶》,金爱烂的《那里的夜晚这里的歌声》中出现的中国人形像。以这四篇韩国现代小说中出现的中国人形象为代表,进行分析。绪论部分主要阐述了本文的研究目的、研究史、研究方法以及研究范围。第二章主要分析了四篇文学作品中出现的中国人形象,即:意识形态形象,两极之间的形象,乌托邦形象。并对产生这三种形象的原因进行了分析。 第三章主要论述了由作为“他者”身份,即:这三种形象映射出的韩国人,即:“自我”的心理,并对“自我”的心理进行分析,总结出自我对“他者”既有批判又有迷恋。因此可分为“自我”的现实的态度;“自我”的优越感和“自我”的批判意识。 第四章为结论部分,对以上三章进行总结性陈述。韩国现代小说中的中国形象,是韩国文化投书的一种关于文化他者的幻象。这些形象不一定准确、客观、真实,但一定表现了韩国文化和心态的真实,亦是在21世纪这个多元文化社会中给韩国人的自我审视、自我反思、自我想象的一种书写方式,更多的表现的是韩国人的自我批判,自我优越感和发自内心深处的向往,欲望和憧憬。揭示出韩国人目前自身所处的意识形态空间和文化想象和文化书写方式。截取韩国现代文学中的中国人形象进行一番颇具特色的分析,有助于对21世纪韩国社会中的中国人的生存环境进行深入的探究,与此同时,本论文通过“他者”形象反观了“自我”形象,挖掘出形成异国形象背后的韩国的社会、经济、文化方面的原因。从而达到通过“他者”认识“自我”的目的。这是韩国现代文学仅仅依靠对本土现实的再现无法完成的任务,这应该是韩国现代文学中的中国人形象取得的认识价值。

      • IP 원작인 중국 영화 제작 흐름에서 중국소설을 중심으로한 연구

        유몽효 동국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2

        마블의 만화가 영화로 세계적 흥행을 일으켰다. 마블 캐릭터는 영화에서 피규어로, 게임으로 플랫폼 경계를 넘나들며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했다. 이와 같은 문화콘텐츠의 장르 간 융·복합 현상에 대해 헨리 젠킨스는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Transmedia Storytelling)이라고 개념화했다.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는 하나의 콘텐츠가 다양한 미디어 플랫폼에서 재구성되는 형태를 의미한다. 하나의 이야기가 여러 매체를 통해 독립적이며 또 동시에 유기적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콘텐츠 소비자에게 경험을 제공한다. 이러한 현상을 바탕으로 최근의 문화콘텐츠는 스토리텔링이 다른 매체에서 새롭게 변주되면서 문화적 가치를 창출한다. 하나의 문화적 IP가 통합된 세계관을 매개로 2차, 3차 저작물로 변환되면서 콘텐츠 질과 양적 확대를 만들어내는 것이다. 이러한 문화콘텐츠 지적재산권(Intellectual Property: IP) 중국에서도 예외는 아니다. 최근 중국 대중문화에서 인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장르 간 다양한 결합으로 만들어진 문화콘텐츠 지적재산권(Intellectual Property: IP)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특히 중국 영화 산업에서 ‘IP 영화’라는 개념이 만들어질 만큼 기존 창작물의 영화화 현상이 두드러진다. 최근의 중국에서는 3억7천만 명의 인터넷 소설 구독자를 바탕으로 인터넷 소설 기반의 영화가 인기를 얻고 있으며, 외국 원작도 중국에서 영화로 제작되면서 흥행에 성공하고 있다. 궈징밍(郭敬明)이 자신의 인터넷 소설인 <소시대(小時代)>를 직접 영화로 제작했다. 1편부터 4편 모두 흥행하면서 IP영화의 성공 모델로 정착했다. <전랑(戰狼)>은 IP영화 사상 최대 흥행을 기록했다. <아빠 어디가(爸爸去哪兒)> 시리즈는 한국의 지상파방송 리얼리티쇼 <아빠 어디가>의 중국판 영화이다. IP 원작은 이미 흥행성이 검증되었으며, 시각문화의 관점에서 소설 콘텐츠의 영화화는 콘텐츠 소비자에게 다원적인 욕구 충족을 가능하게 한다. 영화계와 소비자의 이해가 IP 영화로 수렴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이유로 중국에서 IP 영화 시장 규모가 중국에서는 2017년 한 해에만 108편의 인터넷 소설이 영화로 제작되어 340억 위엔(한화 5조7천8억원)의 수익을 기록했다. 중국 영화 시장에서 IP 영화의 인기는 지속될 전망이며 그러나 모든 IP 영화가 흥행한 것은 아니다. 인터넷 소설의 콘텐츠가 좋고 많은 인기를 얻었어도, 영화로 변주되는 과정에서 소비자의 기대를 충족시키는 콘텐츠를 제시하지 못한다면 흥행 실패는 당연하다. 이러한 논의를 종합해보면 IP 영화의 흥행요인을 도출하는 연구가 필수적이다.

      • 해방기 이명선의 중국문학 인식과 번역 양상 연구

        손총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86

        이 논문은 해방기 이명선의 중국문학 인식과 문학관을 고찰하고, 『중국현대단편소설선집』의 번역 양상을 분석했다. 이를 통해 중국 현대문학 번역가로서 이명선의 모습을 규명했으며, 해방기 조선 민족문학 건설이라는 의제 아래 중국문학 번역이 지닌 의의와 문학사적 역할을 조명했다. 문학사가이자 조선 고전문학 연구자로 알려진 이명선은 중국문학, 특히 5․4 신문화운동 이후의 현대문학에 대해 실천적인 관심을 갖고 있었다. 식민지 시기의 유일한 고등교육 기관인 경성제국대학 지나문학과 출신인 이명선은 루쉰의 잡감문에 각별히 주목하여 자신만의 독특한 방식으로 루쉰 문학에 접근했다. 그는 한국의 근대 아카데미즘 안에서 최초로 루쉰을 주제로 삼은 졸업논문을 제출했으며, 해방 직후 『중국현대단편소설선집』을 번역하여 출간했다. 해방기는 혼란과 이념 대립 속에서 새로운 문학사적 전망을 모색해야 했던 시기이다. 민족문학 건설이라는 시대적 과제 앞에서 이명선은 동시대의 중국문학 번역과 연구를 통해 반제․반외세적 대중문학을 지향했다. 이명선의 『중국현대단편소설선집』은 중국 문단을 대표하는 작가의 단편소설 7편을 번역하여 소개한 해방기의 성과이다. 제1부에는 조선과 조선인을 주제로 삼아 일본 제국주의에 대한 저항 의식과 반일 사상을 반영한 장광츠의 「압록강상」, 궈모뤄의 「목양애화: 금강산의 애가」, 「닭」이 수록되었다. 제2부에는 중국 신문학운동을 상징하는 루쉰의 「고향」을 비롯하여 라오서의 「개시대길」, 바진의 「복수」, 예사오쥔의 「맨발」이 수록되었다. 제1부는 조선의 해방을 기념하고, 한중 양국의 역사적 연대의식을 강조하는 소설로 편성되었다. 제2부는 민중의식과 사회 변혁 의지를 부각시켰으며, 해방기의 현실 인식을 바탕으로 당면한 민족문학 건설에 대한 문학적 전망을 드러냈다. 이명선의 『중국현대단편소설선집』은 한중 양국의 문학적 교류에서 중요한 위상을 차지할 뿐 아니라 중국문학 연구와 번역을 통해 해방기 민족문학의 이념과 전망을 모색했다는 점에서 주목할 가치가 있다. 이명선은 식민지 시기 루쉰 연구를 발판으로 중국 현대문학의 중요성과 의의를 발견했으며, 이를 통해 해방기 조선문학의 역사적 전망을 획득하고자 했다. 특히 이명선은 백화문 운동과 문자 개량의 필요성에 주목했으며, 국방문학 논쟁과 대중화 문제를 통해 민중의식을 포착했다. 또한 루쉰의 경역(硬譯)에 대한 논의와 마찬가지의 태도와 이국화 전략을 바탕으로 『중국현대단편소설선집』을 번역하고, 오랫동안 단절되었던 중국 현대문학의 성과를 최대한 충실하게 소개했다. 이명선이 지향한 반제․반외세적 대중문학은 루쉰의 번역관, 중국 현대문학에 대한 투철한 인식과 이해, 해방기 민족문학 건설의 전망 속에서 도출된 번역 실천의 성과이다.

      • 중국 현대소설의 ‘낯설게 하기’ 현상과 한국어 번역 고찰 : 옌롄커(阎连科) 소설을 중심으로

        진혜용 부산외국어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671

        “陌生化”一词含有“使之陌生、奇特、不同寻常”等涵义,是俄国形式主义代表人物什克洛夫斯基提出的一种艺术主张。作为一种艺术的手法,“陌生化”就是使事物变得陌生,增加理解和感知的难度和时间。俄国形式主义学派认为,文学性是文学作品最核心的属性,也是其本质特征。而文学性体现在作家苦心经营的“陌生化”手法上。因此,“陌生化”手法对于文学作品的价值来说是至关重要的。同样,对于译者而言,如何看待和处理原作中的“陌生化”现象也就决定了译作的成败与否。译者理应为实现原作者的艺术追求,满足读者的阅读期待而采用适当的策略来处理“陌生化”现象。这同时也可以丰富译入语的语言和文化,体现出译者的专业素养。 那么小说题材的“陌生化”程度如何?保留源语文化的“陌生化”效应对于翻译来说是否可行?从译文中可以总结出那些翻译策略?围绕这些问题,本文采取《丁庄梦》、《受活》、《四书》三部阎连科的代表作品以及韩译本作为研究对象,分析三部小说“陌生化”手法的表现,并通过对韩译本的考察,总结出具体的翻译方法和策略。本文的具体研究过程如下。 首先,笔者在第一章中介绍了本论文的研究背景及目的,确立了研究的范围和方法,并梳理了韩国、中国、西方学术界关于“陌生化”现象的先行研究,对现有研究的主要内容及研究的局限性进行分析和整理。研究发现,关于“陌生化”现象的重要研究几乎都是围绕建筑、设计、多媒体等视觉领域所进行的,对于文学作品的研究大多局限于文学批评、文学鉴赏等领域,特别是针对文学翻译的探讨仍然不足。 第二章中,笔者对“陌生化”理论的概念、以及在小说题材上的体现进行梳理,并确立了独立的分析体系,从语言学的角度来看,小说的“陌生化”主要体现在词汇、句法、语篇上,其中词汇包含生造词,新造词,语码混杂等方面;句法上主要体现在句子成分,词性等变异;语篇上主要体现在叙述视角、时间空间的排列、语域的变化等方面。其次,对于是否有必要在韩语中再现这些手法,翻译是否可行等问题在第二章中也给出了肯定的答案。 在第三章,笔者以第二章建立的分析体系为标准,对三部长篇小说进行了全面的分析。从研究方法来看,主要对词素、句子成分、词性、语域、叙事手法等多个语言层次的具体“陌生化”手段进行了统计,并分析其原因、读者在阅读过程中的心理、审美上的效果等因素。在本文的研究对象中,陌生化手法大量存在于词汇、句法和语篇三个语言层面上,其对于增强作品的文学性,营造艺术效果上起到了很好的作用。 本文的第四章中,通过对比原作,考察译文“陌生化”效果的保存和流失,并总结出具体的翻译方法和策略。结果显示,在阎连科小说的翻译过程中,译者与传统的翻译观念相似,仍然将等值作为基本的翻译策略,具体方法与源语一样,通过添加、删略、置换、替换、重复等方式进行类推。在无法实现等值的情况下,译者通常采用了一些融通的手段来处理,如:切分、转换、引申、注释、音译等方法。以此为基础,笔者首先对四章的内容分析做了全面总结,并提出了本论文的局限性和今后的研究方向。同任何一种翻译策略一样,再现“陌生化”也有其局限性,单一的研究不能解决所有的问题,同时,“不可译性”的存在,让我们无法把一种翻译策略奉为圭臬。希望通过本论文,能够引起翻译学界对于“陌生化”现象的重视,期待今后发掘更多的学术资源,不断丰富再现“陌生化”的翻译策略。 关键词:“形式主义”,“陌生化”,“文学性”,“文学翻译”,“中国现代小说”

      • 루쉰의 「아Q정전」 연구

        왕, 단단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71

        魯迅是中國著名的文學家,思想家,五四新文化運動的重要參與者,中國現代文學的奠基人。魯迅一生均奉獻于文學創作,思想研究等領域,并做出了重大貢獻。他的文學作品不僅在中國影響深遠,更是蜚聲世界文壇。魯迅一生創作了許多文學作品,其中有小說,雜文,翻譯,學術專著和美術作品等。他的小說選材獨特,直擊人心。他的眾多小說作品中當屬中篇小說《阿Q正傳》最為著名,影響最為深遠。《阿Q正傳》是現實主義文學的代表作,在中國文學史上佔據著重要的位置。它詳細的反映了中國1911年興起的辛亥革命,對當時的社會以及後世人產生了深刻的影響。 《阿Q正傳》以象征著中國近代社會的落後貧窮的小村莊未莊為背景主要描述了辛亥革命前後七年間未莊里上層民和下層民之間的激烈矛盾。通過阿Q這一典型的人物形象批判了精神勝利法和懦弱的中國國民性。 《阿Q正傳》中主要圍繞著阿Q這一中心人物,塑造了10個典型的人物形象。小說中對於典型人物趙太爺、舉人老爺、假洋鬼子、趙秀才、趙白眼、趙司晨、地保、小D、王胡、吳媽和鄒七嫂的性格展開了集中細緻的描寫,並且描寫了這些典型人物與阿Q之間的種種矛盾。這些人物可以分為上位階層和下位階層,封建士大夫代表趙太爺、舉人老爺,封建知識人代表假洋鬼子、趙秀才,趙家真正本家趙白眼和趙司晨,趙太爺的走狗未莊地保均屬於上位階層。而小D,阿Q,王胡,吳媽和鄒七嫂則屬於下位階層。 本論文主要通過小說人物性格的分析來揭露小說中所表達的中心思想。小說中11位典型人物展現了當時近代中國社會部分國人的面貌,而阿Q的形象更是近代中國社會的中國人悲傷的自畫像。 루쉰의 「아Q정전」은 리얼리즘 문학의 대표작으로 중국 현대문학사에서 대단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중국 1911년에 일어났던 신해혁명을 잘 반영한 작품으로 당시 사회와 후세 사람에게 아주 큰 영향을 미친다. 「아Q정전」은 루쉰의 많은 문학작품 중에서 제일 유명한 중편소설이다. 이 유명한 중편소설에 대하여 평론도 이루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많다. 소설이 탄생한 순간부터 거의 모든 독자가 이 작품이 위대하다는 사실을 부인하지 못했다. 각종 유명한 평론을 통해서 「아Q정전」은 사람들에게 깊고 넓은 의미를 전달한다. 「아Q정전」은 신해혁명(辛亥革命) 전후 약 7년 동안 중국사회를 상징하는 조그마한 미장(未莊)이라는 마을 속에서 무식한 농촌 품팔이꾼인 아Q를 중심으로 두 가지 계층의 인물들이 겪는 갈등과 모순을 묘사했다. 그리고 아Q의 형상을 통해서 정신승리법과 나약한 중국 국민성을 비판했다. 「아Q정전」에서 주요 인물은 모두 총 11명이다. 아Q를 중심으로 조나리, 거인나리, 가짜양놈, 조수재, 조백안, 조사신, 지보, 소D, 왕털보, 우어멈과 추칠수의 성격을 묘사하고 그들이 아Q와 겪는 갈등도 그리고 있다. 아Q를 압박하고 착취하는 봉건적인 사대부인 조나리, 거인나리와 봉건적인 지식인으로서의 가짜양놈, 조수재, 조나리의 진짜 일가인 조백안과 조사신, 조나리의 앞잡이인 지보는 미장의 상위계층에 속한다. 피압박자인 아Q, 소D, 왕털보, 우어멈과 추칠수를 미장의 하위계층에 속한다. 미장의 상위계층에 속한 조나리, 거인나리, 가짜양놈, 조수재, 지보, 조백안, 조사신의 성격을 자세히 살펴보면 몇 가지의 유사점이 있다. 이들은 봉건적인 계층 사상에 빠져 있으며 자신의 이익을 위해서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다. 그리고 자기의 지위와 체면을 중시하는 모습도 볼 수 있다. 하위계층에 속한 아Q, 소D, 왕털보, 우어멈과 추칠수는 불쌍한 사람이지만 교활한 면을 보이기도 한다. 자주 상위계층에 속한 사람들에게 압박당하고 착취당하지만 현실 상황을 바꾸고 싶은 의지가 없다. 게다가 이 11명 인물의 성격을 종합해 보면, 조나리와 거인나리는 봉건주의를 대표하는 중심인물이다. 가짜양놈과 조수재는 이기주의를 대표하는 중심인물이다. 지보, 조백안과 조사신은 기회주의형 인물이다. 아Q, 소D와 왕털보는 압박복종의 인물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우어멈과 추칠수는 봉건주의를 추종하는 인물이라 정의할 수 있다. 이처럼 「아Q정전」은 11명의 주요인물을 통해서 근대 중국 사회의 병적인 국민성을 전시하고 비판한 작품이라 볼 수 있다.

      • 馮夢龍 《情史》 硏究

        조동매 高麗大學校 2004 국내박사

        RANK : 248671

        『情史』는 문언문의 애정 소설집이다. 풍몽룡이 문장을 골라서 수록한 역대의 필기, 지괴(志怪), 전기(傳奇), 시화(詩話) 및 당대(當代)에 전해오는 '사전남녀(事專男女)의 작품을 모아 편집해서 이루어진 것이다. 그 가운데는 풍몽룡이 직접 창작한 작품도 있다. 책 전체는 24종류로 나누어져 있고, 882가지의 이야기를 수집하였다. 이러한 종류의 소설 가운데 수록된 작품이 가장 많다. 또한 가장 광범하게 전파되었으며, 영향력도 가장 컸다. 본문은 7장에 걸쳐『情史』에 관한 전반적인 고찰을 하였다. 제1장은 현재까지의 학계에서 풍몽룡 및『情史』에 대한 연구에 대한 회고와 종합적인 내용을 파악하였고, 더 나아가 이 연구의 필요성을 설명하였고, 아울러 필자가 이 논문을 쓰게 된 동기와 목적을 밝혔다. 제2장은 두 부분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먼저 4단계에 걸쳐서 『情史』의 편자인 詹詹外史 풍몽룡에 대해 논증하였다. 그 다음으로 풍몽룡 인생의 궤적, 성격, 문학창작 및 저술활동에서『情史』가 탄생하게 된 내재적 원인을 규명하였다. 제3장은『情史』의 편집 배경 및 이 책이 이루어지게 된 시기 및 판본의 상황을 고찰하고 탐구하였다.『情史』의 탄생 배경에 대해서는 3가지 측면에서 논의를 전개하였다. 정을 존중했던 만명(晩明) 시기 문예사조가『情史』를 탄생할 수 있게 한 사상적 환경이었다. 또한 사회의 장기적인 안정, 경제발전, 독자층의 확대, 대대적인 인쇄업의 발전이『情史』가 탄생되게 된 두 번째 원인이다. 그리고 과거 및 당시 애정 소설집의 편찬도『情史』가 탄생되게 되는 세 번째 조건이었다. 동시에『情史』및 풍몽룡의 여타 작품과 관련된 연구를 통하여『情史』가 성립된 대체적인 시기를 판단할 수 있고, 아울러 그 판본 상황에 대해 깊이 있게 고찰할 수 있었다. 이렇게 볼 때『情史』가 성립된 시기는 아무리 빨라도 천계(天啓) 7년(1628)보다 빠를 수 없으며, 최대한 늦어도 숭정(崇禎) 7년(1633)보다는 늦지 않다. 따라서 발행 년도의 가능성이 가장 높은 것은 천계7년 말에서부터 숭정3년 초라고 할 수 있다.『情史』의 판본 상황을 통해 전체적인 상황을 고찰할 수 있는데,『情史』의 판본은 중국대륙, 대만, 일본, 한국에서 많이 보존하고 있으며, 그 가운데 일본의 와세다 대학에는 청간본(淸刊本) 5종과 민국본(民國本) 1종을 보존하고 있다. 이렇게 볼 때『情史』는 판본이 비교적 많고, 전파가 광범위하기 때문에 쉽게 접할 수 있는 고전소설집이라고 할 수 있다. 제4장은 두 개의 절로 나누어 분석을 하였다. 제1절은『情史』24류 작품에 대해 분류를 하고 이에 대해 분석을 하였다. 구체적으로『情史』의 각 유별에 대한 분류기준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를 하였다. 제2절은 과거의 소설합본집이 분류측면에서『情史』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았다. 즉『情史』분류 방식을 통해 장점 3가지 측면과 단점에 대해 평가하였다. 그 밖의 유사한 주제의 소설 합집(合集)과의 비교를 통해『情史』가 분류 측면에서 보면 다른 작품들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의 큰 장점을 지니고 있으며, 그에 대한 분류가 매우 치밀하고 자세하며, 24류 중 다시 각 부분의 세목을 나누어 전체적으로는 139개의 소분류가 이루어졌기 때문에 독자들로 하여금 남녀 애정표현의 각종 상세한 상황을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게 하였다. 동시에 이 작품집이 서로 다른 시기, 같은 종류의 다양한 작품을 함께 편집해 놓았기 때문에 남녀간의 애정이 서로 다른 시기에도 공통의 표현이 있다는 점을 쉽게 알 수 있었다. 또한 우리로 하여금 서로 다른 시기의 작품을 비교하는데 더욱더 편리하였고, 그것들의 시대적 특색을 쉽게 탐구할 수 있었다. 그밖에도 그것은 정감의 표현으로부터 상세한 분류를 하였으므로 편집자가 '정'에 대한 일련의 견해를 집중적으로 발표하는데도 편리했다. 그러나『情史』의 모든 분류방식에도 문제점이 있다. 본래『情史』는 분류 측면에서 보면 자세하고 치밀한 점이 장점이었다. 그러나 이것이 오히려 문제점을 파생시키기도 하였다. 이 문제란 구체적으로 분류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수집된 작품을 어느 유형에 귀속시킬지에 대해 어떻게 판단을 내렸냐 하는 것이다. 사실상『情史』의 일부 작품은 분류학적인 측면에서 다시 논의해 보아야 할 부분이 있다. 이 점이『情史』에서 지적을 받아야 할 부분이다. 또한『情史』의 편집 배열에도 몇 가지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는 우리들이『情史』를 자세하게 읽으면 그 점을 심각하게 느낄 수 있다. 제5장과 6장은 본 논문 논술의 핵심 분야이다. 제5장은『情史』의 사상적 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제1절은『情史』의 각종 형태의 평론에 대해 깊이 있는 논의를 하였다. 편집취지 측면에서 그것들에 대한 역할을 분명하게 밝혔다. 제2절은 '정'의 내함(內涵)에서부터 '정'의 역량, '정'의 표현, '정'의 기능 및 '정'을 어떻게 사용하는가 등 5가지 측면에서 풍몽룡의 애정 주장 분야에서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상세하게 고찰하였다. 풍몽룡은 '정'을 매우 높은 위치에 두었으며 그것은 우주의 근원이라고 보았다. 동시에 '정'의 역량을 매우 강조하였으며 그리하여 '정'은 천지를 감동시킬 수 있는 능력을 지니고 있다고 보았다. '정인은 정을 위해 죽는다.'라는 것을 ‘효자는 효를 위해 죽는다.’ 혹은 '충신은 충을 위해 죽는다'와 같이 함께 논하였다. '정'을 논할 때 풍몽룡은 '眞情은 아름다운 것'이라는 시각을 강조하였다. 동시에 크게 강조한 것은 '정'의 교육적인 역할이었다. 그리고 끝으로 정이 잘 사용되어야만 한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절대로 지나쳐서는 안 되고, 이성을 갖고 조절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풍몽룡은 정의 일련의 모순 및 사상적인 측면에서의 한계성을 천명하기도 하였다. 제3절은 풍몽룡의 논술에서의 모순되는 부분, 또한 입장이라는 측면에서 한계점에 대해 깊이 있게 토론하면서, 그에게 있어서 사상적으로 부족한 점에 대해 해부하였다. 제6장은 풍몽룡이『情史』에서 중국 고전 문언문 애정소설에 대해 어떻게 정리를 하였는지를 살펴보았다. 5절로 나누어 제1절은 그것의 선진(先秦), 한위(漢魏) 시기의 작품에 대한 정리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제2절은 당오대(唐五代) 작품을 살펴보았으며, 제3절은 송원대(宋元) 작품, 제4절은 명대(明代) 작품, 제5절은 그가 어떻게 역대의 동성애 주제에 대한 작품을 정리했는지를 고찰하였다. 구체적으로 풍몽룡은 이 책을 편집 할 때 어떠한 서적들을 인용하여 편집하였는지, 그 중에 어떤 책을 선택하였는지, 선택된 작품은 대표성을 갖고 있는지, 많은 작품이 그 시대 애정소설의 특색을 선명하게 구현하고 있는지, 각기 다른 시기 서로 같은 주제의 작품의 계승 관계에 주의했는지, 전체 작품은 분명하게 중국애정소설의 역사적 윤곽 속에서 그려졌는지 등등에 대해 심도 있게 살펴 보았다. 제7장은 결론부분으로 본 논문에 대한 논술에 첨가하여 종합적인 결론을 얻게 되었다. 마지막 부분은 부록 부분이자 필자가 가장 많은 공력을 쏟은 부분이기도 하다.『情史』22류 작품(권23 情通類의 동물과 화조에 대해 묘사한 부분과 권24의 情迹類의 작품은『詩話』、『詞話』등에서 나온 것으로 소설 자료 측면에서 의미가 크지 않기 때문에 고찰을 하지 않았다)의 출처 및 영향이 문헌학적인 측면에서 정리하였다. 아울러 같은 주제의 백화소설, 희곡 등 관련된 영역의 창작 상황에 대해서도 깊이 있게 고찰하였으며, 소설, 희곡연구를 위한 일련의 유익한 문헌자료를 제공하려고 최대한 노력하였다. Qingshi (The history of love) as a collection of love stories in classical Chinese was compiled by Feng Menglong from Biji (literary schetches), Zhiguai (tales of mystery and the supernatural), Chuanqi (fantastic stories), Shihua (poetry talks) of former dynasties and the works "particularly on love between men and women" of his own time, including some stories created by himself. The book consists of 24 categories which contains totally 882 stories. It is one of the most voluminous books of its kind and is the most widespread and influential. This thesis makes a comprehensive study of Qingshi in 7 chapters. Chapter 1 reviews the academic study of Feng Menglong and Qingshi from past to present, upon which the necessity of further research in this respect is exposed and the aim of this thesis is explained. Chapter 2 consists of two parts. The first part tries to demonstrate from 4 levels that Zhanzhanwaishi is just Feng Menglong himself; the second part, with considering his life, his character and his literary activities, probes for the intrinsic causes of Feng's compilation and creation of Qingshi. Chapter 3 deals with the circumstances of the compilation and creation of Qingshi, focusing on the issues of the completion time of the book and its different versions. The author holds that various factors including the trend of honoring love in late Ming dynasty, the expansion of literate populace, the rapid development of printing industry, and the contemporary practice of compiling love stories, all help to facilitatethe birth of Qingshi. By giving research on Qingshi and relevant works by Feng, the author makes her own conclusion on the time of the completion of Qingshi and her own judgment of its different versions. Chapter 4 discusses the classification of stories in the 24 categories of Qingshi. It explores the standard of the categorization, and weighs the gain and the loss of it. The author believes that, compared with other collections of love stories of the time, Qingshi has extraordinary merits in respect of classification, yet some kinds of defects are unavoidable. Chapter 5 and chapter 6 are the core parts of the thesis. Chapter 5 studies the philosophy of Qingshi. First, it examines the comments of various forms in Qingshi and exposes the implications they bears in expressing the aim and purport of the compilation; then, it proceeds to make a meticulous inspection on the love philosophy of Feng in respects of connotation, affect, representation, function and use of Qing (love); finally, it points out the contradiction and limitation in Feng's argumentation and exposition. Chapter 6 mainly examines how Qingshi sorts out and selects the Chineseclassical love stories. It divides itself in 5 sections. Section 1 discusses how Qingshi deals with the works before Qin and of the Han and Wei dynasties. Section 2, 3 and 4 discusses how Qingshi treats the Tang, Song, and Ming relevant works respectively. Section 5 is concerned with how Feng disposes of the works of homosexual theme of all precedent times. Concretelyspeaking, the chapter mainly considers these questions: what are the books that Feng chooses when he makes the compilation; what works he selects; whether or not he makes the selection based on all source of books; whether or not his selected works are representative; whether or not his selection shows the characteristic of the love fiction of his time; whether or not he notes the influential facts between the works of similar themes from different times; whether or not the whole book of Qingshi justifiably shows the broad outline of the history of the Chinese classical love fiction, etc. Chapter 7 is the part of conclusion which sums up the major points of the thesis. The appendix part is where the author has devoted the greatest energy. In this part the author sorts out from the literary documents the origin and affect facts of the 22 categories of Qingshi(vol. 23 deals with birds, beasts and flora while vol. 24 are anecdotes from Shihua and Cihua, which do not bear any significance in the study of fiction, therefore they are not covered). She also makes an inspection of how some works of certain subjects are written and rewritten in ancient vernacular stories and operas, which may contribute some useful documentary clues to affiliate scholars' study of Chinese classical fiction and opera.

      • 소설 <太陽照在慧明湖上>에 나타난 문화대혁명 연구

        허귀순 동의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71

        본 논문은 소설《太陽照在慧明湖上》를 중심으로 중국인들이 10년 대 재난이었다고 말하는 문화대혁명을 고찰하였다. 오늘의 중국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세계 어느 공산주의 운동에서도 유례를 찾아 볼 수 없는 문화대혁명이라는 대 사건을 이해하는 것부터 시작해야 한다 문화대혁명이 끝나고 30여 년의 세월이 흐른 지금 혁명을 주도했던 사람들은 모두 죽었지만 혁명의 앞잡이였던 홍위병들과 그때의 피해자들은 지금 같이 살고있다. 그래서 문화대혁명은 아직도 끝나지 않고 은연중에 중국인들의 사상과 가치관을 지배하고 있다. 본 논문은 소설《太陽照在慧明湖上》과 이 책의 번역물을 토대로 주인공 화생이 현행반혁명분자로 몰렸던 사건을 중심으로 북경대학 학생의 시각, 즉 지식인으로서 체험한 문화대혁명을 고찰했다. 그리고 위 책의 저자가 북경대학교 학생이었을 당시 북경 제39중학교 교사가 쓴《고깔모자를 쓴 지식인》을 참조했다. 본 논문을 쓰는데는 우선 문화대혁명을 주도한 모택동과 모택동 사상의 등장 배경이 되는 사회현상 등을 고찰하여야 본고에서 말하려는 문화대혁명을 이해할 수 있다. 그래서 먼저 모택동의 생애와 모택동 사상 그리고 1950∼60년대의 중국상황을 우선 고찰하였다. 1911년 손문(孫文)이 세운 중화민국 정부는 1928년 장개석(蔣介石)이 수도를 南京으로 정하면서 겉으로는 지금까지와 다른 근대적인 정부였지만 舊체제의 관료들과 군대를 그대로 받아들인 진정한 의미의 사회개혁을 거치지않은 불안정한 상태였다. 모택동은 1922년 7월 상하이 중국공산당 창립대회에 호남성 대표로 중국 공산당 제 1차 전국인민 대표대회에 참석하였다. 1935년부터 연안을 중심으로 세력을 확장해 가기 시작한 중국공산당은 장개석이 이끄는 중국 국민당정부와 오랜 내전 끝에서 승리를 거두고 1949년 10월 1일 중화인민공화국의건국 기념식을 북경에서 거행했다. 모택동은 중앙인민정부 主席의 신분으로 천안문 누각 위에서 중화인민공화국 성립을 선포하였다. 이렇게 정권을 잡은 모택동은 1976년 사망 할 때까지 종신직으로 중국공산당 주석의 직위를 차지했고 그의 사상은 중국 공산당의 기본이 되었다. 1949년 정권을 잡은 모택동은 일련의 정치, 경제적 정책을 진행하면서 여러가지 문제를 도출했지만 중국 내전시기보다는 경제적 상황이 나아졌다. 그러나 1959년부터 1961년까지의 자연재해는 중국인과 중국경제에는 대 재난이었다. 그래서 모택동은 경제 정책의 일선에서 물러났고 유소기를 중심으로 한 새로운 경제 정책을 추진하였다. 경제정책의 실패로 일선에서 물러난 모택동은 60년대 이후 다수의 지지를 받지 못하고 있었다. 그래서 모택동은 유소기·등소평(鄧小平)을 중심으로한 중국공산당 내 실권파들을 숙청하여 모택동 독재를 공고히 할 목적으로 문화대혁명을 발동했다. 권력투쟁으로 시작된 문화대혁명은 중국사회를 공산당 지도부부터 일반민중까지 모두에게 혼란이었다. 대학은 이미 학문연구라는 본연의 임무를 수행 할 수 없는 곳이 되어버렸고, 지식인에 대한 탄압은 지식사회의 붕괴로 결국 중국 발전의 저해 요인이 되었다. 소설《太陽照在慧明湖上》의 주인공 화생도 자신은 모택동을 열렬히 사랑하고 숭배하면 혁명을 위해 전력을 다했지만 반혁명분자로 몰려 비판당한다. 반혁명분자로 몰린 화생은 비판투쟁을 당하고 노동개조를 해야 했다. 반혁명분자로 몰린 사람들이 가장 견디기 어려운 것은 비판투쟁이었다. 비판의 대상이 설령 가족이라 하더라도 자신의 혁명정신을 보이기 위해서는 앞장서서 비판해야 했고, 분명한 경계를 가지고 혁명에 참여해야 했다. 그래서 화생의 연인 방흔도 화생에 대한 비판문을 직접 써야했다. 화생은 자신의 혁명성을 보이기 위해 부농의로 분류된 어머니와도 단절했다. 이런 아픔까지 요구하는 혁명은 결국 많은 중국인의 가슴에 상처를 남길 수밖에 없는 것이었다. 그래서 자살이라는 극단적인 방법을 택하는 지식인들이 많았다. 중국 사람들은 모택동을 중국 근대화의 희망으로 생각하고 맹신했다. 그러나 모택동은 권력유지를 위해 국민들의 사랑을 악용하고 자신을 우상화하는 정책들을 펼쳤다. 그런 과정에서 많은 지식인들이 희생당했고 사회에 나서지 않으려는 소요파 지식인들이 많아졌다. 이런 이유들은 분명 중국 발전의 저해요인이었다. 그러나 현실 상황을 제대로 인식하고 자신의 삶을 충실히 살아가는 진정한 소요파 지식인들은 혁명이후 중국 사회가 발전해 갈 수 있는 힘의 원천이 되었다고 생각한다. This treatise involves the study of the Cultural Revolution which was told as a 10-year terrible disaster by the Chinese people centering around the novel 《The Sun Shines on the Hui ming Lake》(太陽照在慧明湖上) To understand the China of today correctly, it should be the first to understand the Cultural Revolution which was unparalleled in the communistic drive in the world. After the Cultural Revolution was over, 30 years or more passed away, the present time, the people who led the revolution are dead. But the Hong-wi soldiers and the victims are living together. Therefore the Cultural Revolution is not over and is holding sway over the thought and the sense of value of the Chinese people. This treatise involves the study of the Cultural Revolution which was experienced by a student of the Beijing university as a intellectual, based on the novel 《The Sun Shines on the Hui ming Lake》(太陽照在慧明湖上) and the Korean version centering around the matter that the hero of this novel, Hua Sheng was accused of a count revolutionist in the very act. And I referred to the novel 《 An intellectual wearing a peaked hat - A suppressed intellectual 》 written by a teacher in the Beijing 39th middle school at the time the author of the novel 《The Sun Shines on the Hui ming Lake》(太陽照在慧明湖上) was a student of the Beijing university. To understand the Cultural Revolution expressed in this treatise, it should be the first to examine Mao Zhe-Dong leading the Cultural Revolution and the social conditions as a backing of the advent of th thought of Mao Zhe-Dong. So I investigated the life of Mao Zhe-Dong, the thought of Mao Zhe-Dong and the social conditions of China from 1950's to 1960's. In 1928, Jiang Jie-Shi decided Nanjing as a capital of the Republic of the China which was established by Sun Wen in 1911. And the government was modern outwardly differing from till then. But the government accepted the bureaucrats and the army of the old system and didn't undergo true social reform. So it was an unstable government. In July. 1922 Mao Zhe-Dong attended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the first national convention held in Shanghai as a representative of Hunnan.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began to increase in power with Yanan as a center in 1935 and beat the Kuomintang of China led by Jiang Jie-Shi in the long internal war. And a commemorative exercises of foundation of the Republic of China was held in Beijing on October 1. 1949. Mao Zhe-Dong as the president of the central public government proclaimed the coming into existence of the Republic of China on the tall building of the Tienanmen Gate. Mao Zhe-Dong who came into political power in this way, occupied the president of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until he died in 1976. And his thought became the foundation of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Mao Zhe-Dong who came into power in 1949, carried out a series of political and economic policies, on the way to do that, a lot of troubles were raised. In spite of these troubles the economical conditions became better than the time of the internal war. But the natural disaster from 1959 to 1961 was a terrible calamity to the Chinese people and the economy of China. Therefore Mao Zhe-Dong retired from the first line of the economic policy. And new economic policy with Liu Shao-Qi as leader was carried out. Mao Zhe-Dong who retired from the front line for the failure of the economic policy, was not supported by the large mass of the people. For that reason Mao Zhe-Dong invoked the Cultural Revolution in order to purge the people in authority of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such as Liu Shao-Qi·Deng Shao- Ping and to make firm the dictatorship of Mao Zhe-Dong. The Cultural Revolution originated in a power struggle was a chaos to the Chinese society from the leadership class of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to the Chinese people. The university couldn't perform the essential duties of the pursuit of learning. And the educated class was broken down. All of these were the causes of the hindrances of the development of China. Although the hero of the novel 《The Sun Shines on the Hui ming Lake》(太陽照在慧明湖上), Hua Sheng admired Mao Zhe-Dong with deep respect and devoted his best efforts to the revolution, he was accused of a count revolutionist. Consequently he was criticised openly and was forced to rebuild his thought by laboring. It was the open criticism that the people who were accused of a count revolutionist thought the most difficult thing. Even if the subject of criticism was a member of their family, people had to take the initiative in a criticism to show their revolutionary ideas and take part in the revolution with strict caution. Therefore Fang Xin, a love of Hua Sheng had to write a critique to criticise Hua Sheng by herself. Hua Sheng broke off the relation with his mother who was classified into a rich farmer to show his revolutionary spirit. The revolution needing this sort of pain, left a lot of scares to the heart of the Chinese people after all. So there were many intellectuals to choose suicide, an extreme measure. The Chinese people thought Mao Zhe-Dong as a hope of modernization of China. But Mao Zhe-Dong made a bad use of th love of the people to maintain his power and carried out a lot of policies to idolize himself. In the process of that many intellectuals were sacrificed and others became the sauntering intellectuals who will not show themselves in the public eye. These reasons were obviously the causes of the obstruction of the development of China. On the other hand I think the sauntering intellectuals who have a correct understanding of the actuality of the society and live a full life, as the source of power that has developed the society of China after the revolu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