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佛敎의 죽음 準備敎育에 관한 硏究(Ⅱ)

        혜민(김성민) 한국정토학회 2006 정토학연구 Vol.9 No.-

        불교의 죽음 준비교육으로는 두 가지 방법을 提示하는 바, 첫 번째는 본인[當事者]을 위한 프로그램, 두 번째는 遺家族을 위한 프로그램이다. 첫 번째는, 7주의 일정으로 첫 주는 阿含部經典의 讀經을 통한 業思想의 理解, 2주째는 地藏菩薩本願經의 讀經을 통한 因果論의 理解, 3, 4, 5주째는 淨土三部經을 讀經하여 來世와 極樂世界의 대한 理解, 6, 7주째는 金剛經과 般若心經의 讀經을 통하여 空思想을 이해하며, 바르도 의식을 바탕으로 한 臨死體驗을 經驗함으로서, 죽음을 理解하고 죽음에 대한 두려움을 줄일 수 있는, 죽음 준비교육을 提示하였다. 두 번째는 가족이나 친지의 죽음을 맞은 遺家族과 죽음 준비 없이 죽음을 맞이한 亡者에게, 동시에 교육을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49재를 지내는 동안 地藏菩薩本願經이나 淨土三部經을 매일 讀經하고 光明眞言을 念誦함으로서 因果와 業을 이해하고 凈�土思想을 亡者와 遺家族이 함께 인식하게 함으로서, 亡者에게는 맑은 識이 들어 날 수 있는 방법을 일러주고 遺家族에게는 善業의 根源이 孝心이며 동시에 善業의 增長이 자신들의 죽음 준비라는 것을 認識하게 한다. 또한 布施를 실천하게 함으로서 福田思想과 보시의 공덕으로 亡者는 善緣을 만나며 遺家族은 福을 받는다는 것을 인식하게 한다. 亡者의 靈魂은 遺家族들의 孝心의 功德으로 惡業을 소멸하고 三惡道에 빠지는 것을 면하게 된다. 亡者의 死後를 위하여 기울이는 모든 儀式의 實踐이 바로 遺家族자신들의 죽음 준비이며 死後를 위한 對備라를 것을 알 수 있는, 죽음 준비교육을 제시하였다. 佛敎思想을 바탕으로 죽음 준비교육에 관한 연구를 처음으로 시도했다. 본 硏究가 기초가 되어 다양한 계층에 적합한 죽음 준비교육이 연구되기를 바란다. Especially I present two kinds of death preparation programs, one for the person dying himself and the other for his family. First, as 7-week-program, one can read AGAMA Sutra to understand arma effects for the first week, Ksitigarbha(Earth Store Bodhisattva) Sutra to understand causationism during the second week, Three Sutras of Pure Land to understand the next world and Elysium during the third/forth/fifth week, and Diamond Sutra and Prajna Sutra to understand the teaching of emptiness during the sixth/seventh week along with Bardo Service and lmsachaehum program. This course helps one to reduce fear for dying as well as to understand the status of death. Second program is for the bereaved families and for the dead who died without death preparation. During the 49-day-memorial service, the family read Kstitigarbha Sutra, Three Sutras of Pure Land, and The True Word of Last Entry everyday to understand karma and causationism so that the dead and his family can be aware of Pure Land. By doing so, the dead can attain enlightenment while his family can recognize the origination of good deeds is filial piety and cultivating virtue is death preparation. At the same time, they can understand the dead can enjoy good karma and the family can be blessed as they build up good deeds. The filial affection of the family enables the dead to be free from evil Karma and to avoid falling into three evil conducts. This course prepares the family for death by practicing the services for the dead. This is the first research on death preparation based on Buddhist teachings. I hope this research can activate studies on death preparation for various people.

      • KCI등재

        중등 가정교과에서의 실천적 문제 중심 죽음준비교육 방안

        김샛별,채정현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9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31 No.1

        Death preparation education is not only preparing for future death but also for happier and meaningful life. Death is a persistent problem faced by all human beings and can be found in connection with the Home Economics(HE) curriculum in that it is a contextual practical problem of individuals and their society.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velop the practical problem-based death preparation education teaching-learning plans that can be applied to middle and high school HE subject.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HE death preparation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The program name is ‘Death Preparation Education for the Happy Life of Me and Family’. Also, 12 practical problems and the 4 teaching-learning plans were developed.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educational materials to allow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o take death naturally in their lives and to practice meaningful everyday life for worthy death during the HE classes. As a follow-up study, we propose a study to examine the needs of death preparation education in HE curriculum an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of death preparation education in HE class. 죽음준비교육은 단순히 미래의 죽음을 준비하는 것만이 아니라 더 행복하고 의미있는 삶을 위한 교육이다. 죽음은 인간이라면 누구나 직면하는 항구적 문제이며 개인의 가치관과 자신이 속한 사회에 따른 맥락적인 실천적 문제라는 점에서 가정 교과와의 연결고리를찾을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고등학교 가정교과에서 적용할 수 있는 실천적 문제 중심의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을 ADDE모형에 따라서 개발하는데 있다. 연구결과 ‘나와 가족의 행복한 삶을 위한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었으며, 프로그램은 12가지의실천적 문제와 중・고등학교 학교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죽음준비교육 교수・학습 과정안을 포함하고 있다. 가정과 죽음준비교육프로그램이 가정과 수업에서 청소년이 죽음을 자신의 삶에 자연스럽게 받아들여 가치 있는 죽음을 위한 의미 있는 일상의 삶을 실천하게 하는 교육 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후속 연구로 가정교과에서의 죽음준비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요구도 조사와 현장에서 교수・학습 과정안을 실행하여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를 제언하는 바이다.

      • KCI등재

        노인죽음교육의 효과 분석: 생활만족도 및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과 죽음불안의 매개역할

        김성희 ( Kim Sung Hee ),송양민 ( Song Yang Min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3 保健社會硏究 Vol.33 No.1

        본 연구는 노인교육의 한 분야로 주목받고 있는 죽음준비교육이 노인의 생활만족도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를 체계적으로 분석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는 전국 5개 도시의 10개 복지관에서 60세 이상 노인 203명(죽음교육 참여 120명, 죽음교육 비참여 83명)을 모집해 진행하였으며, 죽음교육 참여 그룹에 대해서는 총 17주(매주 한차례, 매회 2시간)의 죽음교육을 실시하였다. 분석모형에서 죽음준비교육을 독립변수로, 죽음불안을 매개변수로, 생활만족도와 심리적 안녕감을 종속변수로 설정하였으며, 수집한 자료에 대해 t-test, 상관관계 분석, 다중 회귀분석,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죽음준비교육은 죽음불안을 효과적으로 감소시켰으며, 이는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다. 둘째, 죽음준비교육은 생활만족도와 심리적 안녕감에 있어서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다만, 이는 죽음준비교육 자체에 의한 효과라기보다 는 죽음불안을 매개로 하는 효과임이 확인되었다. 셋째, 노인의 죽음불안 정도는 교육 참가여부, 성별, 주관적 건강상태, 지역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생활만족도 는 성별, 주관적 생활수준, 독거여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심리적 안녕감은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죽음준비교육이 노인들의 `활기찬 노화`, `건강한 노화`, `성공적 노화`의 증진에 기여할 수 있음을 논의하였고, 죽음교육의 보급을 더욱 활성화시킬 것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has two objectives. One is to review the current situation of death education which is widely regarded as the important part of education for the elderly. The other is to identify systematically the effects of death education on older adults` life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education intervention were held in the 10 Social Welfare Centers in 5 cities.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203 elderly(120 participants, 83 non-participants) aged 60 years over, and the 17-weeks death education(2 hours for 1 time per week) was performed toward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model, death education was us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with life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s dependent variables, while death anxiety were set up as a mediating variable, respectivel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t-test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 Sobel test, with PASW statistics 18.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eath education contributes to lessening death anxiety, which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ly, death education has a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on life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But, the influence was confirmed as a mediated effect of lessened death anxiety, rather than death education itself. Thirdly, older adults` death anxiety shows th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sex, subjective standard of health status, and regions. Life satisfaction also shows th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sex, subjective standard of living, and living alone.

      • 서울시 관내 노인복지관 이용 노인의 죽음준비교육에 대한 효과

        강원남(Kang, Won Nam),유지영(Lyu, Jiyoung) 한림대학교 고령사회연구소 2019 한림고령사회연구 Vol.7 No.1

        본 연구는 서울시 관내 노인복지관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죽음준비교육 중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및 호스피스 완화의료를 중심으로 한 단회기 교육이 관련 지식, 죽음태도, 죽음불안 및 삶의 의미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실험은 서울시 관내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60세 이상 노인들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자발적 참여 의사를 밝힌 노인들을 실험집단 30명과 통제집단 24명으로 나누어 사전 검사 실시 후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주 1회, 회기당 90분, 총 3회기에 걸쳐 죽음준비교육을 실시하였으며 교육 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교육 효과의 지속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4주 후 다시 추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통제집단은 죽음준비교육이 이루어지지 않았고 실험집단과 동일하게 사후, 추후 검사만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죽음준비교육이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및 호스피스 완화의료에 대한 내용들을 중심으로 단기적으로 이루어질 경우 관련된 지식과 죽음태도, 죽음불안, 삶의 의미에는 유의미한 변화가 없었으며, 통제집단과 비교했을 때도 유의미한 변화는 없었다. 이와 같은 교육은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및 호스피스 완화의료에 대해 참여자들에게 적절한 정보를 제공하고, 죽음에 대한 태도에 일부 영향을 줄 수 있으나, 죽음불안과 삶의 의미에 영향을 주는데는 한계가 있음을 시사한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및 호스피스 완화의료를 중심으로 한 단회기 교육이 노인의 관련 지식 및 죽음불안, 죽음태도, 삶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볼 수 있었으며, 죽음준비교육 진행 시 고려해야 할 구성별, 내용별, 회기별 적절성과 향후 죽음준비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성에 대하여 확인하였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effect of short-term death education focused on Advanced Directives and Hospice Palliative Care on the related knowledge, Attitude about Death, Death Anxiety, and Meaning of Life of the elderly in the senior welfare centers in Seoul.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among the elderly over 60 years of age in senior welfare centers in Seoul.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such as 30 subjects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24 subjects for the control group. All participants had pre-tests before the education. Three sessions of 90-minute Death Education were conducted once a week and post-tests were conducted after the education. In order to confirm the continuity of the educational effect, the follow-up tests were performed after 4 weeks. The control group did not receive death education, but they had the same post-tests and follow-up tests.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related knowledge, Attitude about Death, Death Anxiety, and Meaning of Life when Death Education focusing on Advanced Directives and Hospice Palliative Care was conducted in a short-term. The education can provide participants with relevant information about Advanced Directives and Hospice Palliative Care, and may have some impact on their attitudes toward death. However, the impacts on Death Anxiety and Meaning of Life may be limited. In this study, the effect of a short-term education centered on Advanced Directives and Hospice Palliative Care on the related knowledge, Death Anxiety, Attitude about Death, Meaning of Life of the elderly was examined. Based on the study results, the composition, content, and the number of sessions for the appropriate Death Education were suggested.

      • KCI등재

        죽음준비교육이 노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와 우울에 미치는 효과

        오진탁(Chin-Tak Oh),김춘길(Chun-Gill Kim) 한국노년학회 2009 한국노년학 Vol.29 No.1

        본 연구는 '노인을 위한 죽음준비교육'의 효과를 검정하기 위한 연구이다. 노인은 인간발달단계로 볼 때 죽음을 가장 가까이 접하고 있는데, 죽음에 대한 태도는 긍정적 혹은 부정적으로 복합적일 수 있다. 노인이 죽음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게 되면 그들의 삶의 질이 좋아지고 편안한 죽음을 맞이할 수 있다고 보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10주간의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을 주 1회 100분씩 60세 이상의 노인 38명에게 실시하여 노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와 우울에 대해 긍정적인 변화를 검정하고자 하였다. 교육은 2기에 걸쳐 실시하였다. 1기 22명의 노인에게는 2008년 1월 16일 부터 3월 26일까지, 2기 16명의 노인에게는 2008년 4월 16일부터 6월 18일까지 교육을 실시했다. 10주간 이루어진 강의주제는 "죽음준비교육의 필요성, 존엄한 죽음을 위한 3가지 대안, 죽음 끝이 아니다(I, II), 호스피스(I, II), 죽음의 9가지 유형(I, II, III), 죽음을 알면 자살하지 않는다."이다. 죽음준비교육을 실시한 다음 죽음에 대한 태도와 우울 점수를 교육 실시 전 점수와 t-test로 검정한 결과, 교육실시 이후에는 실시 이전보다 노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가 유의미하게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우울 정도의 점수는 감소하였으나 그 감소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노인대상자의 죽음준비교육 실시 이전과 실시 이후에 죽음태도와 우울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분석한 결과, 교육 실시 이전과 실시 이후 모두 강한 역 상관관계를 보여 죽음태도가 긍정적일수록 우울정도가 낮았다. 그러나 교육 전ㆍ후 우울 정도와 상관관계의 변화는 없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노인계층 대상으로 일정기간 동안 규칙적으로 죽음준비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할 수 있다면, 죽음에 대한 노인들의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아울러 지금까지 국내에서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노인을 위한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활용 기반을 확장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death education on attitudes toward death and depression for older adults. A death education program consisted of needs of death education, alternatives for dignity on death, not ending death(I, II), hospice(I, II), and 9 patterns of death(I, II, III).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38 older adults aged 60 years or older. Attitudes toward death and depression scales for Korean elders were employed. The data collection and intervention were performed from January to June, 2008. The subjects participated in a death education program for 1 time per week during 10 weeks. The data were analyzed with t-test,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with SPSS/Window 14.0. After the intervention, the subjec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attitudes toward death compared to that of pre-intervention. The subjects after the intervention showed no statistical differences in change of depression compared to that of pre-intervention. Also, attitudes toward death were negatively related with depression both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s, but the change of relation was not significant.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ntributed to extend the base of program developments on death education enhancing attitudes toward death among Korean older adults.

      • 노인을 위한 죽음준비교육의 연구 동향 분석

        윤송자 한영신학대학교 출판부 2015 한영연구논문 Vol.7 No.-

        본 연구에서는 노인들의 죽음준비교육이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를 살펴보고 대안을 제시 하고자 하였다. 노인들은 자신의 삶을 재평가하며, 변화된 현실에 적응하여 자신의 삶에 의미를 부여하는 시간을 가져야 하며, 이를 위해 죽음준비교육은 뜻 있는 노후생활에 보탬을 주고 더 나아가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현대 의학의 발달로 고령화 사회를 맞이하여 노인들의 인생 여정의 마지막 단계인 죽음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죽음준비교육을 통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국회도서관에 등록된 죽음준비교육 관련 자료로 총 127편 검색 수집하여 이를 유형별로 분석하였다. 출처별 연구동향, 대상별 연구동향, 연도별연구동향, 연구방법별 연구동향을 분석한 결과 제언을 다음과 같이 하고자 한다. 첫째, 죽음준비교육에 대한 다양한 주제의 연구가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죽음과 관련된 변인(죽음불안, 죽음에 대한 태도, 죽음개념) 외에 대한 사회적 심리적 측면의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죽음준비교육의 효과를 위해서는 지속적인 검증을 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죽음준비교육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도록 추후검증 시스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죽음준비교육의 대상층을 더욱 더 다양화시키고 커리큘럼 역시 다양화하여 죽음에 대한 인식 변화를 가져와야 할 것이다.

      • KCI우수등재

        발달단계별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이나영,유지영 한국교육학회 2019 敎育學硏究 Vol.5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effectiveness of death education programs at each developmental stage through meta-analysis. 30 articles which met the selection criteria were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death education programs had large effects on both protective and risk factors in adulthood and childhood, while it had large effects on protective factors and moderate effects on risk factors among adolescents and older adults. Second, large effects on death awareness and death anxiety in childhood, large effects on death recognition and moderate effects on life meaning in adolescence, large effects on death awareness, meaning of life, death anxiety, and moderate effects on spiritual wellbeing in adulthood, and large effects on life satisfaction, self-integration, and moderate effects on death recognition and death anxiety in older adulthoods were found. These results suggest positive impacts of death education programs. Death awareness, which is used as a dependent variable in all stages, was largely affected in childhood, adolescence, and adulthood. The moderate effects in older adulthood can be understood in terms of older adults perceiving death as an extant problem.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death according to developmental stages, we expect high-quality program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will be expanded in the family, community, and education field. 본 연구의 목적은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의 국내 연구물들을 발달단계별로 구분하여 메타분석으로 효과크기를 구하는데 있다. 분석대상 자료는 2004년부터 2016년까지 국내학술지와 학위논문에 게재된 선행연구들 가운데 죽음준비교육을 실시하여 사전·사후로 효과성을 제시한 연구물을 채택하여발달단계별로 분류 후 효과크기를 측정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의 전체 효과를 발달단계별로 구분하여 살펴본 결과, 성인기, 아동기의 경우, 보호변인, 위험변인에 모두 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기와 노년기의 경우, 보호변인에는 큰 효과가, 위험변인에는 중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발달단계에 따라 죽음준비교육의 종속변인별효과크기는 아동기는 죽음인식, 죽음불안에 큰 효과, 청소년기는 죽음인식에 큰 효과, 생의 의미, 임종간호태도에 중간 효과, 성인기는 죽음인식, 생의 의미, 죽음불안에 큰 효과, 영적안녕에 중간 효과, 노년기에 삶의 만족도, 자아통합감에 큰 효과, 죽음인식과 죽음불안에 중간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물들의 결과를 종합해 보았을 때, 보호변인의 효과크기를 통해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의 긍정적 영향력이 크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모든 발달단계에서 종속변인으로 사용된죽음인식이 아동기, 청소년기, 성인기에는 큰 효과를 보인 것은 실존적인 존재임에도 죽음에 대한 인식이 높지 않다가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죽음에 대한 인식이 높아진 것으로 볼 수 있다. 노년기의 경우에는 중간 효과를 보고하였는데, 노년기는 죽음을 실존적으로 자신에게 당면한 문제로 인지하고 있음을 반영하는 결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의 개별적효과를 제시한 연구자료를 취합하고 발달단계로 분류하여 효과크기를 종합적으로 살펴본 것에 의의가 있다. 발달단계에 따른 죽음이해를 바탕으로 대상의 특성을 고려한 양질의 프로그램이 가정과 사회, 교육현장에서 확대되어 실시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대학생의 죽음준비 교육의 필요성과 실천적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질적 연구

        최봉도 순천대학교 인문학술원 2023 인문학술 Vol.11 No.-

        본 연구는 참여자인 대학생을 위한 실천적 죽음준비 교육과정 개발을위해 필요한 교육의 방향과 내용이 무엇인지 질적 연구를 통해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생명존중 관련 교과목을 이수하고 자원한 10명을 선정하여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연구 참여자들은 본인과 타인의 죽음을 받아들이기 위해, 행복하고 자주적인 삶을 살기 위해, 죽음을 대비하고 준비하기 위해서 죽음준비 교육이 필요하다고 했다� 죽음준비 교육에 필요한 교육내용은 슬픔 위로와 공감 방법, 구체적인 죽음준비 방법, 죽음을 수용하는 방법, 죽음에 대한 불안 해소 방법, 죽음에 대한 부정적 인식 변화를 위한 방법으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근거로 본 연구는 죽음준비가 아닌 삶을 준비할 수 있는 교육과정, 직접적인 경험을 통한 교육의 기회 제공, 발달단계별 특성에 따른교육과정, 대학생 스스로 행복한 삶과 죽음에 대해 성찰할 수 있도록 돕는 교육적 지원 등 실천적 죽음준비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This research was intended to suggest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what the direction and contents of education are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a practical death preparation curriculum for college students who are participants. It conducted interviews with 10 volunteers who had completed courses related to respect for life and volunteered. As a result, the research participants said that death preparation education was necessary to accept the death of themselves and others, to live a happy and independent life, and to prepare for and prepare for death. The educational content necessary for death preparation education was drawn as a way to comfort and empathize with grief, a specific way to prepare for death, a way to accept death, a way to relieve anxiety about death, and a way to change negative perceptions about death.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it focuses on practical death, such as a curriculum to prepare for a life other than death, provision of educational opportunities through direct experience, a curriculum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developmental stage, and educational support to help college students reflect on happy life and death. It was intended to suggest a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a preparatory curriculum.

      • 노인수형자의 죽음준비교육이 생활만족도와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

        박은희,이현국 大田大學校 社會科學硏究所 2016 社會科學論文集 Vol.38 No.2

        우리는 초고령사회에 살고는 있지만, 사람은 누구나 한번은 죽을 수밖에 없다. 하지만 죽음을 준비해야 한다는 의식이 절실하지는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죽음 준비교육이 수형노인의 자아통합감, 죽음불안,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D교도소 수형노인을 대상으로 총 15회기의 죽음 준비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자아통합감, 죽음불안, 생활만족도의 교육 전․후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사회과학을 위한 통계패키지(SPSSWIN 13.0K)을 사용하여각종 변수들의 교차분석, t-test, 분산분석(ANOVA)방법을 이용하여 통계분석하였다.본 연구의 결과 죽음 준비교육 프로그램 참여 수형노인의 자아통합감, 생활만족도는 교육 전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높아졌으며, 죽음불안은 유의한 수준에서 낮아졌다. 또한 죽음 준비교육 프로그램 참여노인의 사전사후의 자아통합감, 생활만족도, 죽음불안의 변화 폭은 프로그램 참여 전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죽음 준비교육 프로그램은 노년기의 발달과업 성취와 삶의 질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수 있다.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볼 때, 교정복지 영역에서 교도소내의 노인수형자 뿐만 아니라 모든 수형자들에게도 이러한 죽음준비교육을 확대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또한 죽음 준비교육이 체계화된 교육과정을 통해 훈련 된 전문가들이 교도소 내 수형자들에게도 정규화 된 죽음 준비교육 프로그램의 기회와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여 확대 실시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성인학습자의 죽음 준비교육 효과 연구

        김병남(Beoung Nam Kim),김동일(Dong Il Kim) 휴먼서비스행복연구소 2019 휴먼서비스문화연구 Vol.1 No.-

        인간은 태어나면 모두 죽음을 맞이한다 이러한 삶의 수순은 삶과 죽음을 따로 구분하지 않고 연결선상에서 바라볼 수 있게 하였다 그러나 누구도 쉽게 삶을 죽음까지 연결하진 못한다 사는 것에 대한 생명에 대한 애착이라고 볼 수도 있겠지만 죽음을 경험해 볼 수 없는 미지의 두려운 대상이 되었기 때문이다 죽음을 경험해 볼 수는 없겠지만 준비는 할 수 있다 누구나 두려워할 죽음을 죽음준비교육을 통하여 두려워 할 죽음이 아닌 친숙하게 가깝게 있었던 것으로 인식하고 준비하는 죽음을 통해 삶을 강화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대상은 다양한 직업을 가진 성인학습자 명과 함께 죽음에 관한 강의와 죽음에 대한 생각 등 학문적인 연구과 현장의 체험을 바탕으로 한 죽음 준비교육 프로그램을 통하여 죽음준비에 대한 효과성을 입증하였다. 본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상자들의 경험에서 살펴볼 수 있듯이 죽음준비교육을 경험하였을 때 죽음의 실체를 파악하고 삶의 목표를 다시 한 번 점검할 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고 하였다 또한 죽음준비교육 전과 후의 죽음에 대한 두려움과 불안을 해소하게 되었다는 성인학습자들의 결과는 죽음준비교육의 효과가 있다고 생각할 수 있으며 보다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죽음 준비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함을 시사한다고 할 수 있다. Humans die when they are born. This order of life made it possible to look at the connection line without separating life and death. However, no one can easily connect life to death. It may be considered to be an attachment to life and a love for life, but it has become an unknown and fearful object that cannot be experienced. You may not experience death, but you can prepa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rengthen the life through the death of preparing and recognizing that the death to be feared was as close and familiar as the death to be feared through death preparation education. The subject of this study proved its effectiveness in preparing for death through a program of death preparation education based on academic research and field experiences, including lectures on death and thoughts on death, along with five adult learners with various occupations. As can be seen from the experiences of those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it was said that when the education for preparing for death was experienced, it was possible to identify the reality of death and check the goal of life once again. In addition, the results of adult learners that the fear and anxiety of death before and after death preparation education have been resolved can be thought of as having the effect of death preparation education, suggesting that a more versatile death preparation education program is nee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