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후기 젠더의식의 복합성에 대하여 : 『삼의당고(三宜堂稿)』를 중심으로

        성민경 ( Sung Min-kyung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21 민족문학사연구 Vol.77 No.-

        본고는 『三宜堂稿』를 통해 조선후기 젠더의식의 균열과 복합성의 실제를 조명해보려는 시도이다. 본고가 『삼의당고』를 대상으로 조선후기 젠더의식의 복합성을 조명하려는 이유는 우선 『삼의당고』가 조선후기 여성의 저작으로서 당대 여성 자신이 내면화하고 있었던 젠더의식을 실제를 보여주기 때문이다. 그리고 『삼의당고』에 나타나는 진솔한 감정과 욕망의 표출이나 부부관계에서의 주도성은 남성 우월의 지배 이데올로기에 전적으로 종속되지 않는 조선후기 여성의 모습을 보여준다. 그런데 한편으로 삼의당의 이러한 모습은 삼의당이 유교적 젠더체계에서 여성에게 존재론적으로 부과된 역할을 내면화한 기반이 있었기에 가능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삼의당고』에 드러나는 조선후기의 유교적 젠더체계 하에서 삼의당의 줄타기에 주목하고, 관념이 아닌 입체적이고 구체적인 실제 인간상을 확인함으로써 조선후기 젠더의식의 복합성을 드러낼 수 있다. 우선 『삼의당고』에서 확인되는 삼의당의 젠더의식은 성리학적 젠더의식을 존숭하는 입장을 분명하게 천명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삼의당고』에는 과잉된 감정을 여과 없이 표출하거나 성적 관심을 내포한 서정시가 다수 남아 있고, 삼의당이 겉으로 표방했던 성리학적 부부윤리와는 다르게 부부관계에 있어 삼의당의 주도성이 드러나는 부분들이 발견된다. 문면에서 표방하는 젠더의식과 정합적으로 보이지 않는 이러한 다양한 줄타기의 지점들은 조선후기의 젠더의식을 바라보는 우리의 인식에 균열을 일으키며, 이러한 균열은 조선후기 젠더의식이 갖는 복합성의 일단을 새롭게 바라볼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This paper is an attempt to illuminate the reality of the cracks and complexity of gender consciousness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rough Sameudanggo(三宜堂稿). The reason why this paper intends to illuminate the complexity of gender consciousness in the late Joseon Dynasty with Sameudanggo is that Sameudanggo, as a work of women in the late Joseon Dynasty, shows the reality of the gender consciousness that women themselves at the time internalized. And the expression of sincere emotions and desires, or initiative in marital relationships, shown in the Sameudanggo, shows the figure of women in the late Joseon Dynasty who were not completely subordinated to the ruling ideology. But on the other hand, it is presumed that this appearance of her was possible because she had the basis for internalizing the role that was ontologically imposed on women in the Confucian gender system.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veal the complexity of gender consciousness in the late Joseon Dynasty by paying attention to her tightrope under the Confucian gender system of the late Joseon Dynasty revealed in the Sameudanggo, and by confirming the three-dimensional and concrete real human figure rather than an idea. First of all, it can be said that her gender consciousness confirmed in the Sameudanggo clearly declares her position to respect the Neo-Confucian gender consciousness. However, there are many lyrical poems that express excessive emotions without filtering or contain sexual interest in the Sameudanggo, and there are parts that reveal her initiative in marital relations, unlike the Neo-Confucian marital ethics that she advocated outwardly. These various points of tightrope, which do not seem consistent with the gender consciousness advocated in the context, create a crack in our perception of gender consciousness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hese cracks suggest the possibility of looking at the complexities of gender consciousness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 a new way.

      • KCI등재

        민주주의 의식과 젠더 의식의 군집 유형과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김경희(Kim, Kyoung-hee),송리라(Song, Ri-ra) 한국여성연구소 2016 페미니즘 연구 Vol.1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사회 구성원들의 민주주의 의식, 성역할 태도, 낙태, 이혼, 동성애, 혼전 성관계를 지표로 하는 성적 권리 관용에 대한 태도의 차이들이 결합하여 나타나는 유형을 찾아내어 그 특징을 살펴보고, 젠더 의식이 변화될 수 있는 조건을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 자료는 6차 세계가치관조사(World Value Survey)의 2010~2014년 웨이브 자료 중 2010년에 실시한 1,200명의 한국 표본이며, 군집 분석과 군집 유형의 주요 영향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다항로지스틱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첫째, 민주주의의 필수요건으로 부의 재분배, 복지제공, 양성평등권, 자유선거에 대해서는 전반적으로 진보에 가까운 태도를 나타낸다. 양육의 여성책임, 정치, 교육, 관리직 진출에 대해서도 진보적인 태도를 보였으며, 남성보다는 여성이 좀 더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둘째, 낙태, 동성애, 이혼을 포함하는 성적 권리에 대한 관용도는 무척 낮았다. 이러한 결과는 현실에서 이혼의 증가, 불법임에도 광범하게 행해지는 낙태, 혼전 성관계의 확산과 모순되며, 규범의 불안정성과 이중성을 의미한다. 셋째, 민주주의 의식과 젠더 의식의 네 가지 조합 유형은 세 가지 의식이 모두 진보적인 집단(29.67%), 성역할 태도와 민주주의 의식은 진보적이나 성적 권리 수용성이 보수적인 집단(24.91%), 민주주의 의식은 진보적이나 성역할 태도와 성적 권리 수용성이 보수적인 집단(24.03%), 세 가지 의식 모두 보수적인 집단(21.39%)이다. 마지막으로, 의식의 유형화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은 남성들의 보수적 의식에는 연령을 제외하고는 다른 요인들의 효과가 크지 않았다. 이는 남성이라는 사회적 지위이자 정체성이 가진 보수성이 그대로 보수적인 젠더 의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여성들의 의식 유형에는 결혼 상태와 고용 지위 등 구체적인 삶의 조건들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attitudinal patterns of democracy and gender and variables related to those patterns in Korea, using data from the 2010 to 2014 wave of the World Value Survey which included questions about attitudes toward democracy, gender role, and tolerance about abortion, premarital sex, divorce, and homosexuality. Cluster analysis produces four patterns: the largest cluster containing high level of attitudes towards democracy, gender role and tolerance of sex-related rights; high level of attitudes towards democracy and gender role but low level of sex-related tolerance; cluster with conservative attitudes towards gender role and sex-related tolerance but progressive attitudes towards democracy; one with conservative attitudes towards democracy, gender roles and sex-related tolerance. For male samples, only age appears to have a greater effect on conservative attitudes about democracy and gender. On the other hand, for women, marital and employment status have a greater effect on both progressive and conservative attitudes towards democracy and gender.

      • KCI등재

        인도 영화에 나타난 젠더 의식: 여성의 전기 영화를 중심으로

        박금표 ( Park Kyum Pyo ),이동원 ( Lee Dong Won ) 서강대학교 동아연구소 2021 東亞 硏究 Vol.40 No.2

        본 연구는 ‘인도 여성의 의식과 인도인들의 젠더 의식은 변화하고 있는가?’라는 거시적 주제의 세부 주제로, 여성 전기 힌디 영화인 ≪메리 꼼≫, ≪당갈≫, ≪군잔 삭세나≫에 나타난 젠더 의식을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분석의 핵심 테마는 여성의 주체성, 배경과 등장인물을 통해 드러나는 여성에 대한 사회적 젠더 의식, 여성의 성공과 부모의 역할 등이다. ≪메리 꼼≫과 ≪군잔 삭세나≫에서는 자신의 꿈을 이루고자 하는 여성의 주체성이 드러나는 반면, ≪당갈≫에서는 여성의 주체적 선택보다는 가부장의 권위가 부각된다. ≪메리 꼼≫에서는 젠더 의식에 영향을 미칠만한 대사는 많지 않다. 반면에 ≪당갈≫에서는 마하비르의 가부장적 권위로 딸들이 레슬링을 시작했다는 점이 부정적 평가를 받고 있지만, 권위적인 아버지가 불평등한 젠더 의식을 극복해야 함을 인식하게 되는 과정에서 드러나는 메시지는 긍정적으로 평가할 필요가 있다. 세 편의 영화 모두 젠더 역할 구분 의식이 드러난다. 결혼은 경력 단절, 꿈을 접는 것이라는 의식, 배우자 선택권이 없는 조혼의 문제 등이 부각된다. ≪메리 꼼≫과 ≪군잔 삭세나≫의 포스터나 예고편이 여성을 중심으로 제작되었지만, ≪당갈≫에서는 가부장적 권위를 상징하는 아버지를 중심으로 제작되었다. 흥행을 목표로 제작되는 영화의 홍보는 대중의 욕구에 부응하는 것으로 이러한 홍보를 통해 대중의 젠더 의식을 엿볼 수 있다. ≪당갈≫이 최고의 흥행을 기록한 영화라는 점에서 대중들 역시 젠더 평등의식이 결여되어 있음을 반영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세 편의 영화 모두 아버지-딸의 서사로 전개되는데, 이는 인도의 결합가족이라는 특성과 관련이 있다. 자신의 꿈을 실현시키려는 여성이 1차로 넘어야 할 벽은 결합가족의 가장인 아버지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딸과 아버지의 관계가 서사의 중심이 될 수밖에 없고, 가부장적 권위에 종속되어 있는 어머니-딸의 서사가 미약할 수밖에 없다. 최근 확대되고 있는 온라인 영상 서비스(OTT) 개봉과 더불어 여성과 관련된 다양한 주제의 영화가 제작되고 그러한 영화를 통해 젠더 평등과 여성의 주체성 확립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기를 희망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gender consciousness in women centric biopic films in Bollywood - Mary Kom, Dangal, and Gunjan Saxena under the theme of “Are Indian Women's Consciousness and Indian Gender Consciousness Changing?”. The key themes of analysis include female subjecthood, social gender consciousness of woman revealed through film background and characters, the role of parents in woman's success, and so on. While Mary Kom and Gunjan Saxena show women's subjecthood in achieving their dreams, Dangal highlights patriarchal authority rather than women's subjective decisions. Mary Kom does not have many lines that can affect gender consciousness. In Dangal, the two sisters begin wrestling under the will of their father. Because of this, Dangal is receiving negative reviews, but the message shown by authorative father, who recognizes that he has to overcome unequal gender consciousness, requires positive reviews. All three films show specific roles based on gender. The perception that marriage leads to career breaks or renunciation of dreams and the problem of child marriage without a spouse's choice, etc., are highlighted in these films. For posters and trailers, Dangal was produced around father, who symbolizes patriarchal authority, while Mary Kom and Gunjan Saxena were produced around the main female characters. The promotion of the film, which aims to be a box office hit, meets the needs of the public and gives a glimpse of the public's gender consciousness. Given that Dangal is one of the most successful films, it can be seen as reflecting the lack of gender equality among the public. The plots of all three films are based on the father-daughter narrative, which is related to joint family culture in India. The first gateway for woman to pass in the process of realizing her dreams is her father, the head of joint family. Therefore,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 and daughter, whether positive or negative, will be the center of the narrative, and the mother-daughter narrative, which is subordinate to patriarchal authority, will be relatively weak. Along with the recent expansion of releasing new filmes on OTT platforms, it is to be hoped that films with various themes related to women will be produced and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establishment of gendeer equality and female subjecthood.

      • KCI등재후보

        신자유주의 시대와 젠더무의식

        임옥희(Ok Hee Im) 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2011 젠더와 문화 Vol.4 No.2

        신자유주의 시대에 이르러, 개인이 누리는 자유는 자본주의 시장에서 누리는 자유다. 개인적인 선택의 자유가 확장되면, 선택에 대한 책임 또한 개인의 몫이 된다. 사회 영역이 축소될수록, 사회안정망은 위축되고, 불확실한 삶이 지배하게 된다. 불확실한 삶은 인식론적인 불확실성을 동반하게 된다. 가족, 모성, 가정마저 더 이상 안정된 공간이 아니다. 이처럼 젠더 이해관계가 달려 있는 문제와 대면하게 됨으로써, 젠더들이 느끼는 불안, 분노, 두려움 등은 타자의 담론으로서 젠더/무의식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젠더무의식은 젠더의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충돌할 때면 어김없이 돌아오는 것이다. 젠더무의식은 다양한 모습으로 전이된다. 남성의 응시 아래 위협적인 여성은 팜프 파탈이 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신자유주의 시대 젊은 여성들의 무의식적인 생존전략은 귀염떨기 전략이다. 이 글의 목적은 신자유주의 시대 젠더무의식의 구조를 조명하고 여성들의 생존전략인 귀염떨기(유혹, 가장무도회) 수행을 분석하는 것이다. In the era of neoliberalism, the freedom of individuals is only exercised as freedom in a capitalist market. Personal freedom in this sense is not different from the free competition of the market. As the freedom of personal choice expands, responsibility for the choices is transferred entirely over to the individual. With the reduction of the power of the social sphere, it has been impossible to prevent the curtailment of the social safety net. Because people are losing their safe havens from the vagaries of the market, uncertainty has become the chief characteristic and governing principle of people's lives. The uncertainty of everyday life is accompanied by epistemological uncertainty. In this neoliberal era, the market itself has been determining the shape of what is sometimes thought of as "raditional gendered roles." Family, motherhood and the home are no longer stable spaces. The anxiety, anger and fear experienced by gendered subjects in this age of neoliberalism construct gender/unconsciousness as the discourse of the other. Our received concepts of patriarchal ideology have lost their explanatory power on account of these changing circumstances. As the new wine must be contained in a new bottle, feminism in this neoliberal era also needs to be conceptualized in a new way. To this end, this paper suggests a new term, gender/unconsciousness. The gender/unconsciousness tries to return to the surface of consciousness at the critical moment of gender struggle. The gender/unconsciousness is manifested in diverse forms. The threatening female under the gaze of males becomes a femme fatale. The main characteristics of a femme fatale resist against the male's desire to know what women want. In contrast, the unconscious survival strategy used among young women of the neoliberal period is "playing cute." Superficially, cute women seem quite different from the threatening femme fatale. However, they are two sides of a coin.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shed light on the structure of gender/unconsciousness and to analyze the so called "playing cute" (seduction, masquerade) as a survival strategy employed by women in this neoliberal period.

      • KCI등재

        오정희 소설에 나타난 무의식과 젠더 표상 연구

        도수영(Doh, Soo-young)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2018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학술지 어문논총 Vol.- No.33

        이 논문에서는 오정희 소설에 나타난 젠더 정체성의 표상을 무의식적 층위에서 고찰하였다. 오정희 소설에서 젠더 정체성은 무의식을 반영하는 은유로 표상되고 있다. 작품 속 화자의 유년시절 상실체험은 애도의 과정을 끝내지 못하고 동일시 대상의 내면화로 이어진다. 때문에 화자는 여성으로서 젠더 정체성을 획득하지 못하고 자아 비난과 환멸의 시선을 가지게 된다. 다시 말해 아버지 상실 단계에서 어머니와의 애착과 통합을 통해 동일시 대상을 대체하는 과정을 거치지 못하고 아버지라는 초자아가 화자의 무의식에 자리 잡게 된다. 화자의 무의식에 자리잡은 남성 초자아는 상실의 분노를 자신에게 향하게 한다. 그 결과 화자는 자기비하와 여성 젠더에 대한 환멸적 시선을 가지게 된다. 그런데 그렇듯 불안하고 왜곡된 화자의 젠더 정체성은 작가의 후기작인 옛우물에서 변모한 모습을 보인다. 옛우물 은 화자의 무의식이 반영된 은유를 통해 내면화된 동일시 대상을 대체하는 서사로 변모한다. 작품에서 화자는 자신의 기억을 소환하여 해석하고 명명하면서 타자가 자리 잡은 초자아와의 분리와 주체적 젠더 정체성 형성을 모색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작가 오정희의 경험과 의식이 작품 속 화자와 연동되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오정희가 창작을 통해 지속해온 여성적 자의식 탐구가 자신의 여성적 자의식과 무관하지 않다는 것을 말해 준다. This study considered the symbol of gender identity represented in the novels of Oh Jung-he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unconscious. Gender identity in her novels is represented as a metaphor reflecting the unconscious. The experience of loss of the narrator from the childhood appearing in her works fails in completion of the process of condolences, and is connected to internalization of the object of identification. For this reason, the narrator is not able to acquire gender identity as a woman and begins to build the vision of self-condemnation and self-disillusionment. In other words, the narrator cannot go through the process of replacing the object of identification through attachment and integration with her mother in the stage of losing her father, she allows the superego called “father” to be installed in her unconscious. The male superego installed in the narrator’s unconscious leads the fury of loss to be directed to herself, and creates disillusion towards female gender. Nonetheless, the unstable and distorted gender identity of the narrator changes in “The old well” written in the late stage of production of the novelist. This work “The old well” transforms into a narrative replacing the internalized object of identification through the metaphor reflecting the unconscious of the narrator. The narrator in this work recalls her memory to interpret and designate it, until she achieves to separate superego installed by other, and seeks for formation of independent gender identity. It is possible to confirm that the experience and consciousness of the writer Oh Jung-hee are closely connected with the narrator of her own work, in the middle of this process. This demonstrates that the research of female sense of identity, which Oh Jung-hee has been maintaining through her creation, is not irrelevant to female sense of identity of her own.

      • KCI등재

        성별영향평가와 젠더-거버넌스의 구축

        안경주(Ahn, Kyungju) 한국여성학회 2013 한국여성학 Vol.29 No.4

        성 주류화를 둘러싼 젠더-거버넌스의 질적 강화를 위한 제안으로서 본 논문은 성별영향분석 과제의 양적 축소 및 집중.총체적 방식의 접근, 성평등 의식 확산의 장 및 교육과정으로서의 거버넌스, 그리고 성 주류화정책과 실천적 여성운동의 균형을 제시하고 있다. 이를 위해 지역의 젠더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활동과정에 대한 보고서에 나타난 성평등 의식의 분석과 광주지역을 중심으로 한 젠더-거버넌스의 현황을 행위자들의 역할과 활동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개별화와 파편화의 방식으로 추진되는 성별영향분석의 과제수 양산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고 젠더문제의 교착지점에 대한 집중과 총체적 방식의 접근을 통해 정책의 실효성을 가져올 수 있다. 또한 신자유주의와 발전주의적 유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성 주류화의 주요 행위 주체인 국가기구가 갖는 본질적 한계와 주요 행위자들의 젠더 인식의 미비는 ‘어떤 관점을 갖고 있는 누가 참여하는가?’라는 젠더-거버넌스의 질을 규정짓는 핵심 문제에 집중하게 하였다. 성 주류화 정책을 위한 젠더-거버넌스는 행위자들의 현재적 수준을 반영하지만, 성 주류화가 추구하는 전략적 젠더정책의 실현을 위해 비전 제시적ㆍ의제 설정적 역할을 해 낼 수 있는 여성운동단체의 역할과 함께 성평등 의식화의 과정으로서의 거버넌스 장을 상정하고 있다. 더불어 시민과 결합한 실천적 여성운동의 활성화가 성 주류화 정책의 내용적 균형을 유지해줄 수 있음을 강조하였다. This paper is the suggestions for qualitative intensification of gender-governance around gender mainstreaming. Reducing of number and structural focusing on small items of the gender-impact analysis(GIA); gender-governance as a field of ‘process’; the balancing of movement and politics are the key points. This study analyze three regional reports in terms of gender-equality perspectives and main actors’ roles and practices based on Kwangju region. Instead of increasing fragmented and individualized items of GIA, the essential effect of politics will uplift through structural focusing on smaller items. As for proper practice of ‘transformation’ of Gender Mainstreaming politics, participants of Gender-Governance need gender-sensitivity. Therefore it is especially focused on feminist and women’s movement NGO groups which are capable of vision/agenda setting, emphasizing their axis role in the gender-governance. It is possible for the group of women to raise the dynamic power of the governance ‘from below’ by the intensification of gender-sensitivity training and organizing of women’s movement. In addition, the gender mainstreaming politics needs to be adjusted to Korean social context, which make Korean actors to develop their own strategies with proper speed and volume.

      • KCI등재후보

        젠더 문화 인식 차이가 젠더 범죄에 미치는 영향

        손경이 한국사회안전범죄정보학회 2020 한국범죄정보연구 Vol.6 No.1

        연구목적은 성(sex)을 포함한 젠더(gender)로 젠더차별도를 측정하고자, 독립변수인 가정, 조직사회, 교육, 언어 젠더차별도와 매개변수인 젠더관점이 종속변수인 젠더범죄성 가정폭력, 성폭력에 대한 영향 관계를 검증을 위해 젠더차별도 설문지를 Likert 5점 척도를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첫째, 인구 사회학적 변수들을 통하여 평균을 비교해본 결과, 모두 성폭력보다는 가정폭력에서 더 높은 결과를 보였다. 10대에서 가장 많은 차이를 보인 결과 가정폭력은 가장 높았고 성폭력은 가장 낮았다. 둘째, 성폭력과 가정폭력과의 상관분석 결과, 가장 상관성이 높은 언어 젠더차별도와 교육 젠더차별도였 으며, 반면 상관성이 가장 낮은 결과는 성별과 교육 젠더차별도이다. 언어와 교육의 중요성을 통해 인식 차이를 줄여야 할 것이다. 셋째, 남성중에 조직 젠더차별도에서 권력리더쉽 인식도가 높을수록 성폭력이 낮아지는 결과, 반면 권력리더쉽 인식도가 높을수록 가정폭력은 높아지는 결과를 보였다. 남성은 조직의 권력 차별도에 의해 가정폭력과 관련이 있기에 교육 때 방향을 살펴야 할 것이다. 넷째, 여성은 교육 젠더차별도에서는 능력과 진로의 인식도가 높아질수록 성폭력과 가정폭력 모두 높아졌다. 교육을 통해 여성의 인식개선이 의미가 있다. 언어 권력 인식도가 높을수록 성폭력은 높아지고 가정폭력은 낮아지는 결과를 보였다. 남성, 여성 둘 다 조직 젠더차별을 막기 위해 예방 교육을 조직사회에 초점을 하여야 할 것이다. 최종, 조직사회, 언어문화에서 젠더차별도를 줄인다면, 성폭력, 가정폭력의 범죄예방을 감소 하는 영역으로 나왔다. 학교에서 젠더차별이 심하면 조직사회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통계를 보았 다. 문화의 연속성으로 남성은 성폭력에서는 언어 권력이 높을수록 범죄성향이 높고, 여성은 학교생활의 젠더차별도가 높으면 성폭력의 범죄성향을 확인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e research was to measure gender discrimination with gender including sex, collected gender discrimination questionnaires using Likert scale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perspective as a parameter and gender discriminational sexual violence as a dependent variable, which are independent variables such as household, organizational, educational, and language gender discrimination. According to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irst, the average was compared through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variables, and all showed higher results in domestic violence than sexual violence. Domestic violence was the highest and sexual violence was the lowest among teenagers which the results significantly varied. Second, as a result of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sexual violence and domestic violence, the most correlated language gender discrimination and education gender discrimination were also the highest correlated results, while sex and education gender discrimination were also the lowest correlated results. Through the importance of language and education,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should be narrowed. Third, the higher the awareness of power leadership among men in organizational gender discrimination, the lower the sexual violence, while the higher the awareness of power leadership, the higher the domestic violence. Men should look at the direction of education because it is related to domestic violence due to the organization's power discrimination. Fourth, in terms of education gender discrimination, women's awareness of ability and career increased, both sexual violence and domestic violence. Improving women's awareness through education is meaningful. The higher the awareness of language power, the higher the sexual violence and the lower the domestic violence. Both men and women will have to focus their preventive education on the organized society to prevent organizational gender discrimination. Finally, If gender discrimination is reduced, ecspecially in organized society and language culture, it has come to the realm of reducing crime prevention of sexual violence and domestic violence. Statistics show that if gender discrimination is severe in school, it can even affect organizational society. Due to the continuity of culture, men have a higher tendency to crime in sexual violence when language poewr is high, and women can check the criminal tendency of sexual violence if they have higher gender discrimination in school life.

      • KCI등재

        세대적 피해의식과 젠더 갈등: 귀인양식과 인접집단 차별의 동역학

        석승혜 동양사회사상학회 2023 사회사상과 문화 Vol.26 No.2

        This study aimed to diagnose the problem of inequality surrounding the problem of social opportunity in relation to the attribution style and to clarify the relationship with hatred to out-groups. In particular, we tried to compare the difference between men and women in relation to victim recognition in gender conflict, which has emerged as the forefront of hatred. Accordingly, a total of 1,018 response data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targeting adult males and females across the country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the higher the internal attribution for failure from social opportunity, the higher the discrimination against other groups, and the higher the external attribution, such as social structure or situation, the higher the hatred against other groups. Second, in order to find out which groups are specifically attributed to the cause of inequality, neighboring groups (male/female, elderly/young people), vested interests(privileged conservatives/386 progressives), minority (basic livelihood recipients, foreign workers, North Korean defectors, As a result of classifying them into categories such as the disabled and homosexuals, the higher the internal attribution, the lower the hatred against these groups. However, no significant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external attribution, vested interest, and minority, but the higher the external attribution, the higher the hatred against neighboring groups. In particular,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with hatred to neighboring groups by subdividing the attribution style into dimensions of ripple and repetitiveness, the higher the attribution ripple and repeatability are recognized, the higher the degree of hatred against men and women increases significantly, resulting in the sharpest gender conflict in the future. It was predicted that it would transform into a conflict terrain. Third, the differences between men and women were compared in relation to the 'victim consciousness', which is the trigger for attribution, and hatred against men centered on the female victim consciousness that women's own gender is suffering a loss compared to men from social opportunities or distribution. confirmed that this is happening. On the other hand, men's perception of male victimization was not found to be significantly related to hatred against women. In addition, it is confirmed that, unlike women, men's sense of generational victimization is an important factor in hatred against women, which means that men's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is expressed in a form in which generational victimization is bypassed. The results above indicate that conflict between groups in our society is not ignorance of social structural causes, but that the higher the degree of attribution, the more intensified the conflict.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degree of external attribution, the higher the neighboring group, especially gender conflict. However, since the sense of victimization in gender conflict is different between men and women, it will be said that different conflict solutions are needed. 본 연구는 사회적 기회의 문제를 둘러싼 불평등의 문제를 귀인양식과의 관계에서 진단하고 외집단 혐오와의 관련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특히차별의 최전선으로 부상한 젠더 갈등에 있어서 피해 인식과 관련하여남녀 사이에 차이를 비교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전국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로 수집된 총 1,018명의 응답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사회적 기회로부터 실패에 대한 내부 귀인이 높을수록타집단 차별은 유의미하게 감소하였으며, 사회구조나 상황과 같은 외부귀인이 높을수록 타집단 차별은 유의미하게 증가했다. 둘째, 구체적으로불평등의 원인으로 귀인하는 집단이 누구인지를 알아보기 위해 인접집단(남성/여성, 노인/청년), 기득권(보수 특권층/386 운동권), 소수자(기초생활수급자, 외국인노동자, 새터민/난민, 장애인, 동성애자)로 구분하여 살펴본 결과, 내부귀인이 높을수록 모든 집단에 대한 차별은 유의미하게감소하였다. 반면 외부귀인과 기득권 및 소수자 집단에 대한 혐오와는유의미한 관련성이 발견되지 않았지만, 외부귀인이 높을수록 인접집단에대한 차별은 유의미하게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귀인양식을 파급성과 반복성의 차원으로 세분화하여 인접집단 혐오와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귀인 파급성과 반복성이 높다고 인식할수록 남성과 여성에 대한 혐오 정도가 유의미하게 높아지면서, 향후 젠더갈등이 가장 첨예한갈등 지형으로 변모할 것임을 예고했다. 셋째, 귀인이 촉발되는 단초인‘피해의식’과 관련해서 남녀 사이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여성의 경우 자신의 성별이 사회적 기회나 분배로부터 남성에 비해 손해를 입고 있다는 여성피해의식을 중심으로 남성 혐오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했다. 반면 남성의 경우, 남성이 여성에 비해 피해를 입고 있다는 남성피해의식은 여성차별과 유의미한 관련성이 발견되지 않았고, 여성이 우리사회에서 피해를 받고 있다는 여성피해의식이 오히려 여성혐오를 강화하는것으로 나타났다. 게다가 남성은 다른 세대에 비해 자신이 손해를 보고있다는 세대적 피해의식이 여성혐오의 중요한 원인이 되고 있었으며, 결국남성의 여성혐오는 세대적 피해의식의 우회된 표출이라고 해석 할 수 있다. 이상의 결과는 우리사회에서 집단 간 갈등이 사회구조적 원인에 대한무지가 아니라 사회구조로 귀인정도가 높을수록 갈등은 더욱 심화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외부귀인의 정도가 높을수록 인접집단, 특히 젠더갈등이 가장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젠더 갈등 속에 녹아있는 피해의식이 남녀가 서로 다르다는 점에서 갈등해법 방안도 상이한접근이 요구된다.

      • <진주는 주었으나>, <남편의 책임>을 통해 본 1920년대 염상섭의 젠더의식

        조미숙 강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인문과학논집 Vol.23 No.-

        염상섭은 신여성을 다룸에 있어 부정적인 시선으로만 일관하던 동시대 많은 작가들에 비하여 조금은 객관적인 시선을 견지하고 있다고 보였다. 신여성에 대한 극도의 혐오를 보인 남성 작가들이 신여성들의 역사적, 사회적 무지를 강조하여 신여성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심어주되 그들에게 아무런 변론의 기회를 주지 않았던 것과 달리 염상섭은 신여성들을 주동인물로 다루면서 오류의 삶에 대한 자기변호의 기회를 주고 있으며 비교적 가까운 거리에서 묘사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거리가 가까워졌다고는 하나 신여성에 대한 작가의 시선이나 이해의 정도는 그렇지 않았음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염상섭은 남성의 근대성은 긍정하면서도 여성의 근대성에 관하여 매우 소극적이거나 부정적인 태도였다. 그는 여성의 주체적 행보를 주시하기보다 전통적인 여성성을 공고히 견지하며 여성을 극단적으로 이분화하려 하였다. 전통적 아비투스를 답습하고 그 안에 안주하는 여성들을 긍정적으로 보는가 하면 전통적 여성관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여성들을 부정, 그들의 존재를 위기로 담지하였던 것이다. 염상섭의 이런 위기의식은 작품 내에서 작중인물로 하여금 감상적인 토로와 한탄을 빈번하게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연설 장면의 빈번한 활용이나 인물의 비분강개식 토로를 통하여 작가는 당시 사회에 대하여, 또 신여성에 대하여 하고자 하는 말을 지나칠 정도로 직접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다소 미숙한 방식의 글쓰기 방식을 무릅쓰더라도 일제하의 경박한 근대성에 대한 경계 등 작가의 주제의식을 뚜렷이 하고자 하는 의도 때문이라 판단된다. 하지만 염상섭은 당시 부정하고자 하는 모든 부정적 가치를 신여성에게 전가함으로써 이율배반적 근대의식을 보이고 있다. 그의 이러한 극단적 젠더의식은 당시 사회에 진출하려는 여성 지식인을 배제하고자 한 남성 지식인들의 그것에 다름 아니다. Yeum Sang-sup was considered the objective point of view in dealing with New Woman than many writers were consistently negative attention to that. Other writers on the New Woman was expressed extreme disgust. They stressed the historical, social ignorance of New Woman and their negative perceptions about the New Woman was created. But they did not give any chance of arguing to New Woman. In contrast, Yeum Sang-sup of the New Woman in the initiative when dealing with people, she's their fault for living is giving the opportunity to self-defense. And he is relatively familiar with her gaze, and depicted as has been observed. Yeum Sang-sup was evaluated having the eye when he deal with women as the objective character than any other male artists. But this time, we should not be overlooked that he'd be a little prick with a distance female protagonist. Yeum Sang-sup have problems when dealing with New Woman or understanding of the degree of attention. Yeum Sang-sup didn't want to consider a way of life and the subjective self-awareness female protagonist like other writers. He terms reinforce the traditional femininity, and women were divided into two extremely. He was looking positive the women who followed the traditional habitus and settle in it. On the other hand, he denied the women to get away from the traditional to perspective on women. Yeum Sang-sup felt as a crisis such as the presence of women. Yeum Sang-sup was the antinomy tendencies that affirmed man's modernity, in contrary denied women's modernity and had negative attitudes. Yeum Sang-sup made characters resenting said while crying or sigh in the novels because he had such a gender-consciousness in contemporary society with a crisis awareness. He frequently wrote speeches scenes and how to talk through the hero reluctantly say they want to have overly direct expression. It is because author wanted to convey any message through even with low type. Soon it was because the writer's intentions over.

      • KCI우수등재

        ‘20대 남성 현상’ 다시 보기 : 20대와 3040세대의 이념성향과 젠더의식 비교를 중심으로

        최종숙(Choi, Jong Sook) 비판사회학회 2020 경제와 사회 Vol.- No.125

        이 글은 지난 2018년 겨울 이후 나타난 ‘20대 남성 현상’이 20대 남성의 이념적 보수화 혹은 그들의 젠더의식과 20대 남녀의 젠더갈등 때문인지 검토해 보려는 목적을 갖는다. 그것을 위해 2017년 조사된 시민의식조사자료를 토대로 2040세대 남녀의 이념성향 및 젠더의식을 다각도로 비교분석해 보았다. 분석결과 20대 남성의 이념성향은 전통적인 진보-보수의 틀로 규정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쟁점별로 일관성을 띠지 않음을 발견했다. 2018년 20대 보수화의 한 논거로 거론되는 20대 남성의 북한/안보쟁점에서의 보수성은 문재인 정부에 대한 지지가 높았던 2017년에도 나타났다. 결국 오늘날 문재인 정부에 대한 국정지지율 하락과 20대의 보수화 사이에는 관련성이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20대 남성의 성평등의식은 3040세대 남성들과 비교해서 더 높거나 비슷한 수준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점은 최근 나온 다른 연구결과들과도 일맥상통한다. 20대 남녀의 성평등의식 역시 다른 세대 남녀에 비해 그 격차가 크다고 하기는 어려웠다. 한국 사회의 젠더문제가 심각하다면 20대만의 문제가 아닌 전 세대의 문제로 접근해야 한다. 최근 나와 있는 연구들에서 20대 남성의 반페미니즘 의식이 다소 높기는 하지만 이 점은 30대 남성도 마찬가지였다. 따라서 20대 남성의 반페미니즘 때문에 그들의 문재인 정부에 대한 국정지지율이 하락했다면 30대 남성의 국정지지율 역시 하락했어야 했을 것이다. 또한 만일 20대 남성의 반페미니즘 경향성이 문제라면 성평등의식이 상대적으로 높은 20대 남성이 왜 ‘페미니즘’이라는 단어에 거부감을 갖게 되었는지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review ‘the phenomenon of 20s male,’ in order to examine whether it is due to the ideological conservatism of men in their 20s or it is due to the gender consciousness of 20s male and conflict between men and women in their 20s. To that end,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ideological orientation and gender consciousness of men and women in their 20s, 30s and 40s, based on the 2017 Survey Data. The analysis found that men in their 20s already had showed considerable conservatism in North Korea/security issues in 2017. This means that men in their 20s supported the Moon Jae-in government at the time with conservative ideological tendencies. Next, men in their 20s were found to have a higher or similar level of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compared to men in their 30s and 40s. This is also in line with the latest findings of other studies. The gender equality gap between men and women in their 20s was not as wide as other generations. If the gender problem in Korean society is serious, we should approach it as a problem for all generations, not just for those in their 20s. Men in their 20s had a rather high anti-feminism consciousness in other studies, but this was the same for men in their 30s. Therefore, if anti-feminism of men in their 20s caused to diminish their support rate for Moon Jae-in government, support rate of men in their 30s also should have diminished. If the problem is the anti-feminism tendency of men in their 20s, more in-depth analysis is needed of why men in their 20s with relatively higher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have become resistant to the word ‘femin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