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웰빙소비가치와 웰빙소비자의 유형화에 관한 연구

        김병숙,김민정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1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7 No.2

        웰빙트렌드는 이미 주류트렌드로서 자신과 가족의 건강 뿐 아니라 환경과 지속가능성을 고려하는 로하스소비로 진화하고 있다. 로하스소비에 대한 의식은 확산되고 있으나, 실제 소비는 더디게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환경을 고려한 소비를 포함하여 웰빙트렌드라 보고, 이와 관련된 소비가치를 알아보았다. 그리고 웰빙과 관련된 소비가 치와 웰빙태도, 웰빙행동의 정도에 따라 웰빙소비자 유형을 분류하고, 각 유형 집단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 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문지 조사방법으로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웰빙관련 소비가치의 하위요인을 웰빙가치, 소비지향가치로 파악하고, 웰빙태도, 웰빙행동 요인들에 의한 소비 자집단을 유형화하기 위해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네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이를 알뜰건강형, 잠재웰빙형, 냉소 웰빙형, 웰빙리드형 집단으로 명명하고 그 특성과 사회인구학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알뜰건강형은 소비지향가치 보다 웰빙가치를 중요하게 생각하며 40대 이상의 주부들이 많았고 웰빙상품구매보다 식생활, 운동, 정신건강 등 의 웰빙행동이 많았다. 잠재웰빙집단은 웰빙소비가치도 높고, 웰빙태도도 호의적이지만 실제 웰빙행동은 경제적, 시간적 이유로 소극적인 집단이다. 웰빙리드형은 웰빙행동에 가장 적극적인 집단으로 웰빙정보탐색에도 적극적이 었다. 냉소웰빙형은 웰빙에 무관심하며, 웰빙가치보다 소비지향가치에 더 냉소적이었다. 이들 중 잠재웰빙형이 가장 많았고, 알뜰건강형, 웰빙리드형, 냉소웰빙형 순으로 나타나 웰빙트렌드가 현재보다 앞으로 더 확산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웰빙 광고 담화에 나타난 설득적 특성

        김인영,허경호 한국소통학회 2005 한국소통학보 Vol.4 No.-

        웰빙(well-being)은 육체적․정신적 건강의 조화를 통해 행복하고 아름다운 삶을 추구하는 삶의 유형이나 문화를 통틀어 일컫는 개념이다. 이렇게 웰빙이 본래 가지고 있는 개념들이 웰빙 열풍 속에서 양산되고 있는 상품 광고들에는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는지 고찰해보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웰빙 광고에서는 본래 웰빙이 추구하는“건강, 여유, 친환경, 균형과 조화, 정신건강, 자연주의”와 같은 지향점들이 주요하게 반영된 담화들이 많이 쓰이고 있었다.특히 자연과 친환경, 건강과의 관계와 조화를 통한 웰빙에 초점을 맞추어 광고 담화들이 구성되어 있었고, 이러한 구성을 통해서 궁극적으로 ‘자연과의 일치와 조화를 통한 심신의 건강이 곧 웰빙이다’라는 메시지를 제시하여 소비자들을 설득하고자 하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따라서 웰빙의 가장 핵심은 ‘자연’과 ‘건강’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웰빙(well-being)의 핵심 개념은 곧 ‘건강(health)’이라는 것인데, 건강하기 위해서는 ‘자연’ 속에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다양한 웰빙 상품들을 광고하기 위한 설득적 기제로서의 ‘건강’과 ‘자연’은 수용자들에게 무한한 관심의 대상으로 작용할 수 있다. Well-being is the culture or pattern that pursue the happy life thorough harmonization between physical and mental health. This study will examine how the concept of well-being affects commercial advertisements. Originally there have been well-being concepts such as health, composure, environment friendly, balance and harmonization, mental health, and naturalism in well-being advertisements. Especially many advertisers have been focusing on the well-being which is achieved by the relationship among nature, environment, and health. Through this relation, consumers get the message from advertisements which is about "Well-being is the physical and mental health accomplished by the harmonization with the nature." Therefore, the main point of the well-being is 'nature', and 'health'. That is, well-being is 'health', but we need 'nature' for getting 'health'. So health and nature can be objects which can make consumers have infinite interests in that two concepts.

      • KCI등재

        존 화이트의 『학교에서의 웰빙 탐색』에 나타난 웰빙(well-being) 개념과 교육

        정문선 ( Jung¸ Moonsun ),유재봉 ( Yoo¸ Jaebong ) 한국교육철학학회 2021 교육철학연구 Vol.43 No.3

        교육의 목적이 무엇이어야 하는지에 대해 다양한 견해가 존재하지만, 학생들을 행복하게 혹은 잘 살도록 하는데 있다는 점에서는 별 이견이 없는 듯이 보인다. 화이트는 피터스와 허스트의 이론적 활동을 추구하는 자유교육론을 비판하며, 개인의 웰빙에 목적을 둔 교육을 제안했다. 그의 웰빙 개념은 시기에 따라 ‘반성 후 욕구 충족’, ‘검증된 욕구 충족’, ‘내재적으로 가치 있는 활동과 관계에 전심으로 참여하며 성공적인 삶’으로 수정되어 왔다. 그러나 그의 웰빙 개념은 여전히 분명하지 않다. 이 논문의 목적은 모호한 화이트의 웰빙 개념을 명료화하고, 그의 웰빙 교육관을 비판적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그의 웰빙 개념의 변천과정을 개관하고, 최근 웰빙 개념을 ‘내재적으로 가치 있는 활동과 관계’, ‘전심으로 참여’, ‘성공적인 삶’이라는 세 가지 준거를 중심으로 분석하며, 그의 웰빙 개념과 교육관을 검토한다. 그에 의하면, 웰빙은 개인의 선호나 욕구를 충족시키는 것에서 나아가 내재적으로 가치 있는 활동과 관계를 추구해야 한다. 화이트에 의하면, 개인의 웰빙에서 가치 있는 것의 기준이 자의적인 것이 아니라 문화 의존적일 수밖에 없다. 화이트의 웰빙 개념을 명료하게 하는 것은 ‘웰빙 교육’이 정확히 무엇이며, 실제로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지에 대한 한 가지 예시를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and discuss White’s conception of well-being and education. Many people agree that education should be the promotion of a pupil’s well-being, although they have different views on what constitutes well-being. White criticized Peters and Hirst’s liberal education as the pursuit of theoretical knowledge. He has revised his conceptions of well-being from time to time: “post-reflection desire satisfaction,” “informed desire satisfaction,” and “successful and whole-hearted engagement in intrinsically worthwhile activities and relationships.” Nevertheless, his concept of well-being remains unclear. In this paper, we analyze his recent concept of well-being based on three criteria: “intrinsically worthwhile activities and relationships,” “whole-hearted engagement,” and “successful life.” We also critically discuss his well-being education. White addresses the promotion of a pupil’s well-being, but he does not deny the overlapping objective values list. The overlapping objective values list implies that the criteria of personal preferences or desires for a successful life are culture-dependent. Well-being education is understood as helping everyone to enjoy this.

      • 웰빙산업 시장의 형성과정과 웰빙마케팅 메커니즘에 관한 연구

        이민상(Min-Sang Lee),심완섭(Wan-Seop Shim) 한국유통학회 2005 한국유통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 No.-

        몇 년 전부터 불어 닥친 웰빙(Well-being) 증가하면서 동시에 삶의 질을 함께 추구하자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으나 단순히 사회ㆍ문화적인 하나의 변화로서 웰빙을 해석 할 것인가 아니면 산업 전반에 웰빙 이라는 코드를 통해 이를 재편하고 확대해야 하는가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다. 또한 웰빙 산업의 급격한 양적 팽창에도 불구하고 웰빙에 대한 학문적 연구는 현재까지 전무한 실정으로 단지 잘 먹고 잘 사는 것만이 웰빙의 전부라고 설명하기에는 많은 무리가 따른다. 이러한 시대ㆍ문화적 변화에도 불구하고 그간의 웰빙에 대한 연구를 분석해 보면 패션 및 디자인 부분에서의 연구에 치우쳐져 있을 뿐만 아니라 웰빙 마케팅에 대한 그간의 학문적 연구는 극히 미흡한 실정이다. 이러한 기존의 많지 않은 연구들은 웰빙 산업의 전반을 아우르는 웰빙 산업 시장 형성과정과 그 시장 내에서 고객만족을 동하여 조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수행하는 웰빙 마케팅에 대한 본격적인 시도가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웰빙 산업의 시장 형성구조와 웰빙 마케팅의 메커니즘을 분석하고 향후 국내의 웰빙 마케팅 발전을 위한 연구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The rapid growth of wide Korean Well-being Market in recent years. The purpose of this is to define the definition of “Development Processes of Well-being Market and Mechanism of Well-being Marketing” and discover the main factorss of the Mechanism of Well-being Marketing in order for Korean Well-being Market to be Successful, it must have a Competitive Advantage. But as of yet, there virtually no such strategies. Hitting upon this situation, this study intends to discover the Mechanism of Well-being Marketing in Korean Well-being Market. Consequently, the study results show that Market Advantage like Well-being, Real valuece, and Well-being Marketing product in Korean Well-being Market.

      • KCI등재

        웰빙지향행동의 인과모형

        김민정(Kim Min Jeong),김병숙(Kim Byoung Sook) 한국소비문화학회 2008 소비문화연구 Vol.11 No.3

          "Well-being" is so popular a consumption culture prevailing in Korea. But there can hardly be found a consensus on what well-being is.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to find the sub-factors of well-being related values, well-being attitudes and well-being oriented behaviors and to find the relations among well-being related values, well-being attitudes and well-being oriented behaviors. For these purposes, this study adopts two methods, FGI and survey. The relations among two latent value variables (consumption-oriented value, well-being value), well-being attitude and well-being oriented behavior are grasped by apply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As a result, neither consumption-oriented value nor well-being value is found to affect well-being oriented behavior directly; However, both values affect the well-being oriented behavior indirectly via an intervening variable, well-being attitude. Especially compared in terms of standardized path coefficients, well-being behavior tends to be affected more by well-being value than by consumption oriented value.   본 연구는 웰빙관련가치, 웰빙태도가 어떤 경로로 웰빙지향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FGI 조사와 설문지 조사방법을 병행하여 조사하였다. 두개의 잠재변수(소비지향가치, 웰빙가치)로 구성된 웰빙관련 가치와 웰빙태도, 웰빙지향행동간의 관계를 공분산 구조분석 모형을 구성하여 연구가설을 검정하였다. 웰빙가치, 소비지향가치 두 잠재가치 모두 웰빙지향행동에 직접 영향을 미치지는 않고, 매개변수인 웰빙태도를 거쳐 웰빙지향행동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웰빙가치가 소비지향가치보다 웰빙지향행동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때 웰빙 열풍이라고 까지 표현되던 초기와는 달리 우리 사회도 건강과 환경을 생각하고 공동체적인 삶을 지향하는 웰빙가치를 중요시하고, 이를 다양한 웰빙지향행동으로 실현하려는 움직임이 서서히 일어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 웰빙인식과 웰빙행동

        김새한별(Kim SaeHanByeol) 한국뷰티산업학회 2007 뷰티산업연구 Vol.2 No.2

        본 연구는 웰빙인식과 웰빙행동이 각 변인간의 상관관계 및 사회인구학적 변인을 통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있다. 웰빙인식과 웰빙행동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를 분석하였고 웰빙인식 의 정신지향 요인과 웰빙행동과는 정적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물질지향 요인과 웰빙행동은 부의 상관관계를 가졌다. 외모지향 요인은 웰빙상품구매경향과 외모관리 특성과 유의미한 관계였으며, 자아지향과 웰빙상품구매 경향은 부의 상관관계를, 여가특성과의 관계는 정적상관관계를 가졌다. 연령에 따라서는 웰빙인식의 정신지향, 물질지향, 자아지향 하위요인이, 웰빙행동에서 는 웰빙상품구매경향, 미용관리경향 하위요인이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학력 따라서는 웰빙인식의 정신지향, 자아지향 하위요인이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직업에 따라서는 웰빙인식의 물질지향, 외모지향 하위요인이, 웰빙행동에서는 웰빙상품구매경향과 여가특성 이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소득에 따라서는 웰빙인식의 정신지향 하위요인이, 웰빙행동 에서는 웰빙상품구매경향과 미용관리경향, 여가특성이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erception of well-being, well-being behaviors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of each variable factor. In order to identify the correlation between well-being perception and well-being activities, the correlation was analyzed. It was identified that the mental intention factors and well-being activities have a positive correlation. Material intention factor and well-being activities had a negative correlation. Appearance intention factor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product purchase tendency and appearance care tendency; self-intention and well-being product purchase tendency had negative correlation, and positive correlation with leisure tendency. Depending on the age, subordinate factors such as mental intention, material intention, and self-intention of well-being perception, well-being goods purchase tendency showed significant result. Depending on the academic background, subordinate factors of mental intention and self-intention in well-being perception and appearance interest, beauty care activities showed significant interest. Depending on the occupation, subordinate factors of material intention and appearance intention in well-being perception, and well-being product purchase tendency and leisure tendency in well-being activities showed of significant result. Depending on the income, mental intention factor, and in well-being activities, well-being product purchase tendency, beauty care tendency, and leisure tendency showed significant result.

      • KCI등재

        웰빙시대의 무용 트렌드와 전망

        정옥조 ( Ok Jo Chung ) 대한무용학회 2012 대한무용학회논문집 Vol.70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웰빙 열풍이 지속적으로 증가되고 있는 시점에서 웰빙적 무용의 트렌드를 인지하고, 변화되는 웰빙 문화에 부응하는 무용의 과제를 제시하는데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웰빙``의 개념이 반영되어 있는 문화센터 강좌들을 통해 국내 무용의 웰빙 트렌드를 파악하고, 향후 무용의 변화와 과제에 대해 전망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여러 가지 웰빙적 무용의 가치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무용의 사회문화적 활용과 기여에 있어 지침 자료 및 후속 연구의 근거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장르별 무용의 웰빙 트렌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웰빙을 요가와 접목시킨 강좌들은 [웰빙+요가=건강관리], [웰빙+요가=몸매관리], [웰빙+요가=활기찬 아침, 편안한 저녁]이라는 세 가지 트렌드를 형성하고 있었다. 둘째, 웰빙을 사교댄스와 접목시킨 강좌들에서는 [웰빙+사교댄스=운동효과, 활용성]의 트렌드가 주를 이루고 있다. 셋째, 웰빙을 레크댄스와 접목시킨 강좌에서는 [웰빙+레크댄스=운동효과, 즐거움]의 트렌드가 부각된다. 넷째, 웰빙을 한국무용과 접목시킨 강좌에서는 [웰빙+한국무용=심신 안정, 한국적 정서 함양]의 트렌드가 부각된다. 웰빙시대 무용의 변화와 과제에 대한 전망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분야에서 웰빙 관련 직업으로는 웰빙댄스 지도자, 실버댄스 지도자, 댄스 테라피스트, 다이어트 프로그래머, 비만 클리닉 컨설턴트, 퍼스널 트레이너 등이 유망하다. 한편, 무용분야의 웰빙 관련 직업군이 다양하게 발전되기 위해서는 아직까지 주목받지 못했던 춤장르에서도 장르별 특성에 부합되는 웰빙적 요소와의 접목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 둘째, 무용 분야는 생활 속에서 친건강 및 건강에 아름다움을 추가한 웰루킹의 개념과 밀접하게 적용 가능하기 때문에 건강을 지향하는 무용 장르의 아이디어 창출을 통해 충분히 신장세를 이어갈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기 위해서는 웰빙의 사회문화적 트렌드를 능동적으로 읽어내고, 힐링이나 재활 등 무용을 통해 대중이 얻고자 하는 새로운 웰빙적 요소들에 대해 지속적인 아이디어를 창출해야 할 것이다. 셋째, 웰빙 관련 특성화 학과의 신설 및 무용학과 내에서의 차별화된 교육이 필요한 시점이다. 문화센터의 웰빙댄스 강좌에 대한 소비자 수요가 많은데 비해, 대학교 무용학과 내에서의 웰빙 관련 교육에 대한 관심은 미약한 실정이라고 볼 수 있다. 웰빙 관련 지도자를 양성하고 그 인재들이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교육적 여건을 마련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the trend of well-being dance and to suggest the assignment of the dance satisfying changeable well-being culture in the era that well-being sensation has continued. Therefore, the author comprehends the well-being trend of dance in Korea and prospect the change and assignment of dance in the future by examining the lectures done by culture centers, which the concept of well-being is reflected on. As this study contains several values of well-being dance, the result is anticipated to be applied as certain guiding data of the application and contribution of social culture for dance and the evidence of follow-up study. The well-being trends of dance according to each genre are as follows. First, the lectures that well-being concept is applied to yoga form 3 trends such as [Well-being Concept + Yoga = Health Care], [Well-being Concept + Yoga = Body Care] and [Well-being Concept + Yoga = Vivid Morning, Comfortable Evening]. Second, the trends such as [Well-being Concept + Social Dance = Effect of Exercise, Practicability] mainly comes with the lectures that well-being concept is applied to social dance. Third, the trend of [Well-being Concept + Recreation Dance = Effect of Exercise, Entertainment] becomes an important part in the lectures that well-being concept is applied to recreation dance. Fourth, the trend such as [Well-being Concept + Korean Traditional Dance = Stability of Mind & Body, Cultivation of Korean Emotion] becomes an important part in the lectures that well-being concept is applied to korean dance. The prospects for the change and assignment of dance in well-being era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well-being jobs such as well-being dance leader, silver dance leader, dancing therapist, diet programer, obesity clinic consultant and personal trainer in the dance field. On the other hand, to develop various well-being jobs in the dance field, certain dance genre that was not in the spotlight has to be joined with well-being factors.

      • 웰빙인식과 웰빙메뉴 위험지각이 웰빙메뉴 선택속성에 미치는 영향

        송성호(Song, Sung-ho),조미혜(Cho, Mi-hea) 대한경영학회 2012 대한경영학회 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집 Vol.201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웰빙메뉴를 선택하는 여성소비자를 대상으로 웰빙인식과 웰빙메뉴 위험지각이 웰빙메뉴 선택속성에 미치는 연관성을 조사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3개의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진행하였다. 첫 째,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정보요구에 따라서 웰빙인식이 웰빙메뉴 위험지각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조사하였고, 두 번째 연구문제에서는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서 웰빙인식이 웰빙메뉴 선택속성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서 웰빙메뉴 위험지각이 웰빙메뉴 선택속성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조사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wellbeing awareness and the perceived risk of wellbeing menu on selection attributes through female consumers choosing wellbeing menu. Thus, this study consists of three research questions to approach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first research question is the influence of wellbeing awareness on the perceived risk of wellbeing menu when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information need are controlling.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is the influence of wellbeing awareness on the perceived risk of wellbeing menu when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re controlling. The third research question is the influence of the perceived risk of wellbeing menu on selection attributes of wellbeing menu when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re controlling.

      • KCI등재

        웰빙 소비자 가치가 웰빙지향행동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박대섭(Dae Sub Park) 한국외식경영학회 2021 외식경영연구 Vol.24 No.2

        본 연구는 웰빙 소비와 관련된 소비자들의 가치는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이러한 웰빙 소비자들의 가치가 어떤 다양한 웰빙지향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삶의 질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웰빙지향적인 삶에 관심이 있는 20대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2020년 10월 15일부터 11월 10일 까지 온라인 조사업체에 의뢰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유효한 자료 244부를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웰빙 소비자 가치 중 환경관심, 건강관심, 정신여유 순으로 웰빙지향 행동 중 친환경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는, 웰빙 소비자 가치 중 건강관심, 환경관심 순으로 웰빙지향 행동 중 웰빙식생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웰빙 소비자 가치 중 정신여유는 웰빙지향 행동 중 웰빙식생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웰빙 소비자 가치 중 건강관심, 환경관심 순으로 웰빙지향 행동 중 웰빙상품구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웰빙 소비자 가치 중 정신여유는 웰빙지향 행동 중 웰빙상품구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웰빙지향행동 중 친환경행동, 웰빙식생활 순으로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웰빙지향행동 중 웰빙상품구매는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건강과 환경에 관심을 가진 웰빙 소비자 가치는 웰빙지향행동을 촉진시킴으로써 지속가능하고 환경친화적인 삶의 질을 추구할 수 있다는 인식을 확산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what the value of consumers related to well-being consumption is, and how the value of these well-being consumers affects the quality of life by examining what kinds of well-being oriented behaviors. This study was conducted by requesting an online research company from October 15 to November 10, 2020, 244 copies of valid data were used for empirical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nvironmental concern, health concern and mental relaxation among well-being consumer value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eco-friendly behavior among well-being oriented behaviors, but mental relaxation among well-being consumer value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eco-friendly behavior among well-being oriented behaviors. Next, health concern and environmental concern among well-being consumer value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well-being dietary life among well-being oriented behaviors, but mental relaxation among well-being consumer value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well-being dietary life among well-being oriented behaviors. Lastly, health concern and environmental concern among the values ​​of well-being consumer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urchase of well-being products among well-being oriented behaviors. Second, eco-friendly behavior and well-being dietary life among well-being oriented behavior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quality of life, but purchasing well-being products among well-being oriented behavior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quality of life. This study may contribute to spreading the awareness that the value of well-being consumers interested in health and environment can pursue a sustainable and eco -friendly quality of life by promoting well-being oriented behavior.

      • 식생활 영역의 웰빙지향 소비자행동 비교 : 대학생소비자와 주부소비자를 대상으로

        전향란,제미경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09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5 No.3

        본 연구에서는 인간의 기본욕구인 생존의 욕구 중 식생활영역을 중심으로 자신의 의지를 가지고 소비를 시작하는 대학생과 가계경제의 주체적인 역할을 하는 주부를 비교하여 식생활영역에서 웰빙지향 소비자태도와 소비자행동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자료는 주부 597명과 대학생 34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Win 17.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t 검증, 상관관계, 회귀분석 등을 이용하였다.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부소비자는 대학생소비자보다 식생활관련 웰빙 제품과 서비스의 가격을 더 비싸게 인식하고, 식생활관련 웰빙정보를 더 신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웰빙지향 소비자행동 요인분석 결과 구매이용행동과 처분행동으로 나타났으며, t검증 결과 주부소비자가 대학생소비자보다 웰빙지향 식생활 구매이용행동과 처분행동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웰빙지향 소비자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대학생의 경우 가족환경친화요인, 구별짓기 수단요인, 월평균가계소득 순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주부소비자의 경우 가족환경친화요인, 웰빙정보 신뢰도, 가족건강상태 인식, 가격인식 순으로 나타나 차이가 있었다.이러한 연구는 식생활 영역의 올바른 소비문화 정착을 위한 방안을 논의하고, 웰빙과 관련한 소비자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소비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