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복부 호리병테라피가 20-30대 월경곤란증 여성에게 미치는

        이현실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807

        Most women experience 400 rounds of menstruation for about 35 years, and many women experience short-term or sustained menstrual pain from the menarche to the menopause. The incidence rate of dysmenorrhea at home accounts for 85.6% in the responding college students. It is one of gynecological diseases most frequently occurring among 85.6% of the adult women averaging 35.2 years. But in spite of this high frequency, women accept the pain related to menstruation as the fate they ought to experience. 53.2% of them took the pain reliever. For this reason, the problem of menstrual pain is that it is thought to be a field of very high need for nursing in the field of female health nursing, This study was intended to contribute the use of Horibyung therapy as the efficient nursing intervention method for relieving dysmenorrhea by testing its effect as complementary & alternative therapy. The gourd bottle used in gourd-bottle therapy is the massage tool to make far-infrared warmth management possible at the far-infrared emission rate of 0.918 ㎛, and the radiant energy of 3.97 X 10² (W/㎡, ㎛, 45℃). This study identified the charactreristics related to women's menstruation through the preliminary research and then carried out the experiment with 26 women in their 20s to 30s agreeing to participate in the experiment, of premininary subjects, having more than VAS of 6 and having no difference in more than 3 days in the menstrual period. They were divided into the abdominal Horibyung massage group, the abdominal sponge massage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pplied with oil alone. They were provided with 10 rounds of treatment at the interval of 3-5 days. Comparison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with the use of Microsoft Office Excel 2007 and IBM SPSS Statistics 20 through the evaluation of menstrual pain using VAS, the evaluation of dysmenorrhea using the LIkert scale, the measurement of abdominal temperature using the electronic thermometer, the measurement of a difference in right and left temperature using DITI.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55.8% of the respondents experienced menstrual pain over the menstrual period and 29.7% often experienced it. This suggests the need for this study once again. Comparison of the experiment subjects showed that both sponge massage massage and hand massage on the abdome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menstrual pain and dysmenorrhea. Horibyung had a more significant effect on them(P=.000). And when the abdominal temperature pf the subjects was measured with the electronic thermometer, the temperature of the lower body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upper body. The result of measurement of DITI showed that the temperature of their lower body was slightly low but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abdominal temperature rose after management in both the Horibyung and hand massage groups than before it. Temperature was found to be 3.49℃ in the upper abdomen and 3,93℃ in the lower body compared to the hand massage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oth group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emperature on the abdomen, feet and hip in relation to the difference in right and left symmetry seen with the subjects' DITI according to the method of management. The hand massage group showed a significant change in the difference in abdominal temperature. It is anticipated that gourd-bottle massage could have an effect on other regions of the body as well as menstrual pain and dysmenorrhea. 대부분 여성은 약 35여년의 기간 동안 400회의 월경을 경험하고 많은 여성들이 초경부터 폐경까지 단기적, 혹은 지속적인 월경통을 경험하고 있다. 국내 월경곤란증의 유병률은 여대생 대상자의 85.6%, 평균연령 35.2세의 성인여성 대상자의 85.6%로 가장 흔한 부인과 질환중 하나이다. 하지만 이러한 높은 빈도에도 불구하고 여성들은 월경과 관련된 통증을 당연히 겪어야 하는 숙명으로 받아들이고 있으며 그중 53.2%는 진통제를 복용하고 있었다. 때문에 월경통의 문제점은 여성건강간호 분야에서 간호요구가 매우 높은 분야라고 생각되며 보완대체요법으로서의 호리병 테라피의 효과를 검증하여 월경곤란증 완화를 위한 효율적인 간호중재법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호리병테라피에 이용되는 호리병은 원적외선 방사율 0.918 ㎛, 방사에너지 3.97 X 10² (W/㎡, ㎛, 45℃)로 원적외선온열관리가 가능한 마사지 도구이다. 본 연구에는 예비조사를 통하여 여성의 월경과 관련된 특성을 파악한 후 예비조사자 중 실험에 참여하기로 동의하고 VAS가 6이상이며 월경주기가 3일 이상 차이가 나지 않는 20-30대 26명을 대상으로 복부 호리병 마사지군, 복부 수기마사지군, 오일만 도포하는 대조군으로 나누어 3-5일 간격으로 10회의 처치를 하였다. 전후 비교는 VAS를 이용한 월경통평가, Likert척도를 사용한 월경곤란증 평가, 전자식 체온계를 이용한 복부체온 측정, DITI를 이용한 좌우 온도 차이를 측정하여 Microsoft Office Excel 2007와 IBM SPSS Statistics 20를 이용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월경통을 매 월경 시 겪는 여성은 55.8%, 가끔 겪는 여성은 29.7%로 본 연구의 필요성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 대상자들의 전후 비교를 통하여 월경통과 월경 곤란증에 복부의 호리병과 수기마사지가 모두 유의한 효과를 확인 할 수 있었으며, 그 중에서도 호리병이 더욱 유효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P=.000). 또한, 대상자들의 복부 온도를 전자식 온도계로 측정 하였을 때 상복부에 비해 하복부 온도가 유의하게 낮았고, DITI측정 결과는 하복부 온도가 조금 낮았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호리병 군과 수기군 모두 관리 전보다 후의 복부 온도가 상승하였고 호리병 군이 수기 군에 비하여 상복부의 경우는 3.49℃, 하복부의 경우는 3,93℃ 더 높아 두 군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관리 방법에 따른 대상자들의 DITI로 본 신체부위의 좌우 대칭 차이에서도 호리병 군의 경우 복부와 발, 둔부의 온도 차이에 유의한 변화를 보였고, 수기군의 경우에는 복부 온도 차이에 유의한 변화를 보여 호리병이 월경통 및 월경곤란증 뿐만 아니라 다른 부분에서도 효과를 줄 수 있을 것이라 예상된다.

      • 월경전증후군 대처 구조모형

        국현이 전남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hypothesis explaining the direct and indirect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affecting coping with premenstrual syndrome in nursing students based on the unpleasant symptom theory of Lenz et al (1995).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attempted to provide basic data using for predicting and evaluating nursing students' coping with PMS, and for developing effective strategies to improve coping behaviors. The endogenous variables of the hypothetical model consist of premenstrual syndrome and premenstrual syndrome coping, and the exogenous variables were composed of sleep quality, attitude about menstruation, gender role stereotypes, neuroticism, healthy life style and stres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a structured questionnaire from March 9 to May 2, 2022 for college students attending four nursing colleges located in C and G cities, and a total of 330 data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of subject characteristics and research variables,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measurement variable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statistics 27.0 program.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hypothetical analysis were performed by using the SPSS AMOS 27.0 program. A goodness-of-fit test and hypothesis test were performed on the model. The study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final hypothetical model fit was suitable as : χ2 = 521.10(df=187, p<.001), χ2/df = 2.79, CFI =.90, IFI =.90, RMSEA =.07, SRMR =.08. 2) Premenstrual syndrome had more severe symptoms with higher menstrual attitude(β =.18, t =2.250), stress(β =.23, t =4.212) and neuroticism(β =.19, t =3.065). While the better sleep quality(β =-.29, t =-5.575) showed the lower premenstrual syndrome. The explanatory power of these relevant variables was 34.1%. In coping with PMS, the higher PMS(β = .22, t = 3.306) showed the more coping behaviors. The explanatory power of these relevant variables was 4.9%. 3) As a result of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 test, sleep quality, neuroticism and stress had a directly significant effect on PMS and also had indirectly significant effect on coping with PMS. The PMS had directly significant effect on coping with PMS As described above, this study provided the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strategies to strengthen the coping with PMS among nursing students. In addition, it should be priority for support that raising the active awareness through information detailed sorts of symptoms and education At the same time,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multiple customized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according to individual PM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basic data for preparing improvement plans at the educational institution level to encourage active coping with PMS among nursing students. Also, we recommend development of programs that apply the unpleasant symptoms theory and perform the replication study.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월경전증후군 대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간의 직∙간접관계를 설명하는 가설을 Lenz 등 (1995)의 불쾌증상 이론을 토대로 설정하고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간호대학생의 월경전증후군 대처를 예측하고 사정하는 지침을 마련하고, 대처 행위를 향상시키는 효과적인 전략개발에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구조방정식 모형 구축 연구이다. 가설적 모형의 내생변수로 월경전증후군, 월경전증후군 대처를 외생변수로 수면의 질, 월경에 대한 태도, 성역할고정관념, 신경증적 성향, 건강생활습관, 스트레스로 구성되었다. 자료 수집은 C와 G시에 소재한 4개의 간호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2022년 3월 9일부터 5월 2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실시하였으며, 총 330명의 자료가 최종분석에 포함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 statistics 2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특성과 연구변수의 서술적 통계, 측정 변수 간 상관관계 분석, 도구의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고, SPSS AMOS 2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과 가설적 모형에 대한 적합도 검증 및 가설 검정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 가설적 모형의 적합도는 χ2 = 521.10(df=187, p<.001), χ2/df = 2.79, CFI =.90, IFI =.90, RMSEA =.07, SRMR =.08로 나타나 설정한 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나. 월경전증후군은 월경태도(β =.18, t =2.250), 스트레스(β =.23, t =4.212), 신경증적 성향(β =.19, t =3.065)이 높을수록 증상이 심하였고, 수면의 질(β =-.29, t =-5.575)이 좋을수록 월경전증후군이 낮게 나타났다.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34.1% 였다. 월경전증후군 대처는 월경전증후군(β = .22, t = 3.306)이 높을수록 대처 행위가 많았다.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4.9% 였다. 다. 직·간접 효과 검정 결과 월경전증후군(PMS)에 수면의 질, 신경증적 성향, 스트레스는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월경 전증후군(PMS) 대처에는 수면의 질, 신경증적 성향, 스트레스는 간접적으 로, 월경전증후군(PMS)은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는 간호 대학생들의 월경전증후군 대처를 강화시키는 전략 개발에 대한 근거를 제공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간호대학생의 월경전증후군 대처를 증진시키기 위해서 월경전증후군 증상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제공과 교육을 통해 인식을 개선과 지지가 우선되어야 한다. 동시에 간호대학생의 월경전증후군 증상에 따른 다각적인 맞춤형 간호 중재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 결과는 간호대학생의 월경전증후군에 대한 적극적 대처를 장려할 수 있도록 교육 기관 차원의 개선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 한다 추후 다양한 대상자의 월경전증후군 대처에 불쾌증상이론을 적용한 프로그램 개발과 반복 연구를 제언한다.

      • 월경주기에 따른 부정정서와 음식갈망의 변화 : 월경전증상과 월경통을 중심으로

        김수현 대구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월경전증상과 월경통을 기준으로 집단을 구분하고, 집단간에 황체기, 월경기, 여포기의 부정정서와 음식갈망의 수준이 변화를 보이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평가하기 위해 가임기 미혼 여성 152명을 대상으로 월경전증상, 월경통을 평가하고 부정정서와 음식갈망은 황체기, 월경기, 여포기로 구분하여 후향적으로 평가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MS 및 non-PMS 집단, PD 및 non-PD 집단, non-PD&PMS 및 non-PMS&PD, PMS&PD 집단으로 분류하여 분류하였고, PMS 및 non-PMS 집단의 음식갈망과 부정정서, PD 및 non-PD 집단의 음식갈망과 부정정서, non-PD&PMS 및 non-PMS&PD, PMS&PD 집단의 음식갈망과 부정정서를 일원 변량분석을 통해 비교하였다. 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여포기를 제외한 황체기, 월경기 음식갈망과 모든 주기의 부정정서에서 non-PMS 집단보다 PMS 집단의 수준이 높았다. 또한, PD 집단은 non-PD 집단보다 황체기 음식갈망과 황체기 부정정서, 월경기 부정정서의 수준이 높았다. non-PD&PMS 및 non-PMS&PD, PMS&PD 집단의 음식갈망과 부정정서의 수준을 비교하였다. 황체기 음식갈망과 월경기 부정정서에서 non-PMS&PD 집단보다 PMS&PD 집단이 높았고, 황체기 부정정서의 경우 non-PMS&PD 집단보다 non-PD&PMS 집단과 PMS&PD 집단의 수준이 높았다. 월경주기와 PMS 및 non-PMS 집단에 따른 음식갈망과 부정정서, 월경주기와 PD 및 non-PD 집단에 따른 음식갈망과 부정정서, non-PD&PMS 및 non-PMS&PD, PMS&PD 집단에 따른 음식갈망과 부정정서의 상호작용 효과를 보기 위해 이원 변량분석을 진행하였고,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미한 경우 단순 주효과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분석 결과는 월경주기와 PMS 및 non-PMS 집단의 부정정서를 제외한 모든 분석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미하지 않았다. 월경주기와 PMS 및 non-PMS 집단의 부정정서의 경우 모든 주효과가 유의미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은 논의에 서술하였다. 주요어: 월경전증후군, 월경통, 부정정서, 음식갈망, 월경주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groups based on premenstrual syndrome and Primary dysmenorrhea, and to examine whether the level of negative emotions and food cravings in the luteal period, menstrual period, and follicular period changes between the groups. To evaluate this, 152 unmarried women of childbearing age were evaluated for premenstrual symptoms and menstrual pain, and negative emotions and food cravings were evaluated retrospectively by dividing them into luteal period, menstrual period, and follicle. The collected data were classified into the PMS and non-PMS groups, the PD and non-PD groups, and the non-PD&PMS, non-PMS&PD and PMS&PD groups. Food cravings and negatives of the PMS and non-PMS groups, food cravings and negatives of the PD and non-PD groups, and the non-PD&PMS, non-PMS&PD and PMS&PD groups were compared to each other through one-way ANOVA.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Except for follicles, the level of the PMS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non-PMS group in the luteal and menstrual food craving, and negative emotions of all cycles. In addition, the PD group had higher levels of luteal food cravings, luteal negative emotions, and menstrual negative emotions than the non-PD group. The levels of food cravings and negative emotions of the non-PD&PMS, non-PMS&PD, and PMS&PD groups were compared. The PMS&PD group was higher than the non-PMS&PD group in the luteal food cravings and menstrual negatives, and the non-PD&PMS and PMS&PD group was higher than the non-PMS&PD group in the luteal negatives. A two-way ANOVA was conducted to see the interaction effect of food craving and negative emotions according to menstrual cycles and the PMS and non-PMS groups, the PD and non-PD groups, and the non-PD&PMS, non-PMS&PD and PMS&PD groups. A simple main effect analysis was conducted if the interaction effect was significan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interaction effect of all analyses except for the negative emotions of the the menstrual cycle and PMS and non-PMS groups was not significant. In the case of negative emotions in the menstrual cycle and PMS and non-PMS groups, all main effects were significant.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 of this study is described in the discussion. Key words: premenstrual syndrome, menstrual pain, negative emotions, food craving, menstrual cycle

      • 성인 여성의 월경전증후군, 수면의 질에 관한 월경 전후기 비교연구

        최희수 을지대학교 임상간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성인 여성의 월경전증후군의 발생빈도와 관련요인을 확인하고 월경전증후군 증상군, 비증상군의 월경 전후 불안, 음식갈망, 우울과 수면의 질의 차이를 비교하여 이들의 상관관계와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추후 월경과 관련된 문제를 중재하기 위한 자료로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자료수집은 2018년 2월 1일부터 3월 15일까지 월경을 주기적으로 하고 있는 20대부터 50대까지의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하였고, 현재 임신, 수유, 피임약을 복용하는 자를 제외한 225명이 최종 대상자였다. 설문지는 일반적 특성, Abraham의 월경 증상 설문지, VSH(Verran&Synder-Halpern Sleep Scale) 수면의 질 측정도구, 섭식행동 사정도구, CES-D우울 측정도구, 시각적 상사 척도로 구성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t-test), 대응표본 t검정(paired t-test),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 상관관계,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 대상자의 연령은 만 20~54세로 평균 31.3세였다. 2) 전체 대상자 225명의 월경통의 평균 점수는 4.64±2.68점이었다. 월경전증후군 평균 점수는 13.12±9.10점이었고, 하부 영역을 살펴보면 수분축적, 불안, 탄수화물대사, 우울 순이었다. 월경전증후군 증상군은 전체 대상자의 40%였고, 월경전증후군 평균 점수는 21.70±7.80점이었고, 하부 영역을 살펴보면 불안, 수분축적, 탄수화물대사, 우울 순이었다. 3) 대상자의 월경전증후군은 연령(F=11.29, p<.001), 결혼여부(t=4.96, p<.001), 출산여부(t=4.47, p<.001), 월경통(t=6.70, p<.001), 월경기간(F=3.17, p=.044)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월경전증후군 증상군, 비증상군에 따른 월경 전 불안(t=-7.80, p<.001), 음식갈망(t=-3.47, p=.001), 우울(t=-2.30, p=.023), 수면의 질(t=4.12, p<.001)과 월경 후 불안(t=-5.57, p<.001), 음식갈망(t=-3.60, p<.001), 우울(t=-4.98, p<.001), 수면의 질(t=2.215, p=.028)은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5) 전체 대상자는 월경 전후 불안(t=4.27, p<.001), 음식갈망(t=6.16, p<.001), 우울(t=2.71, p=.007), 수면의 질(t=-3.70, p<.0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월경전증후군 비증상군은 월경 전후 음식갈망(t=5.71 p<.001), 월경 전후 우울(t=3.69, 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월경전증후군 증상군은 월경 전후 불안(t=4.23 p<.001), 음식갈망(t=3.15 p=.002), 수면의 질(t=-3.22 p=.002)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6)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월경통, 월경 전후 불안, 음식갈망, 우울, 수면의 질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성인 여성의 월경전증후군은 연령이 낮을수록(r=-.23, p=.001), 월경통이 심할수록(r=.48, p<.001), 월경 전 불안(r=.52, p<.001), 월경 후 불안(r=.45, p<.001), 월경 전 음식갈망(r=.29, p<.001), 월경 후 음식갈망(r=.29, p<.001), 월경 전 우울(r=.15, p=.022), 월경 후 우울(r=.50, p<.001)이 높을수록, 월경 전 수면의 질(r=-.33, p<.001), 월경 후 수면의 질(r=-.20, p=.003)이 낮을수록 심하게 나타났다. 7) 월경전증후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회귀식은 유의하였으며(F=35.86, p<.001), 월경 전 불안, 월경통, 월경 전 수면의 질, 연령, 월경 전 음식갈망으로 나타났고 전체 설명력은 44%였다. 결론적으로 성인 여성의 40%에서 월경전증후군이 있었고, 월경전증후군 증상군, 비증상군은 월경 전후 불안, 음식갈망, 우울, 수면의 질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월경전증후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월경 전 불안, 월경통, 월경 전 수면의 질, 연령, 월경 전 음식갈망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성인 여성의 월경 전후 증상의 차이에 대해 인지하고 이들 요인들에 대해 관심을 갖고 다양한 중재 방법에 대한 모색이 필요할 것이다.

      • 종합병원 일반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월경전증후군

        안애경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일반간호사들의 직무스트레스와 월경전증후군과의 관계를 확인하고 월경전증후군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예측 설계연구이다. 자료수집은 Y 대학 종합병원에서 3교대 근무를 하고 대상자 선정 기준에 부합하는 일반간호사 142명을 편의표집 하였으며 자료수집 기간은 2010년 10월 18일부터 10월 22일이었다. 연구도구로 안미경(2003)의 간호사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와 이만홍 등(2002)의 축약형 월경전증후군 사정도구(Shortened Premenstrual Assessment Form; S-PAF)를 사용하였으며 행동유형 도구는 김광숙(2003)이 수정ㆍ보완한 프레밍헴 A 타입 측정도구와 김광숙(2003)이 수정ㆍ보완한 사회적지지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부호화 한 후 SPSS-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목적과 자료의 수준에 맞게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는 3.71점, 월경전증후군 2.99점이었고 업무량과중 스트레스와 통증 월경전증후군이 가장 높았다. 2) 간호사의 심한 개인 스트레스를 많이 경험한 군에서 직무스트레스가 높았으며(F=4.852, p<.01), A형 행동유형일수록 직무스트레스가 높아짐을(r=.437, p<.01) 보였다. 3) 심한 개인 스트레스를 많이 경험한 군에서 월경전증후군이 심했으며(F=9.895 p<.001), A형 행동유형일수록 월경전증후군을 심하게 경험하는 것으로(r=.241, p<.01) 나타났다. 4) 간호사 경우 대인관계상의 문제로 인한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월경전증후군이 심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r=.166, p< .05), 총 직무스트레스와 정서 월경전증후군간에 부분적으로 상관성을 보였다. 5) A형 행동유형의 간호사는 업무량 과중으로 인한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총 월경전증후군(r= - .282, p< .05)과 수분정체의 월경전증후군(r= - .297, p< .05)이 낮아짐을 보였으며, B형 행동유형의 간호사는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정서 월경전증후군을 심하게 경험함을 보여 A, B형 행동유형에 따라 직무스트레스와 월경전증후군과의 관계가 상반되게 나타났다. 6) 전체간호사들은 심한 개인 스트레스를 많이 경험하고(β=.279, p< .01), 초경연령이 높을수록(β=.178, p< .05), 행동유형이 A형 행동유형 일수록(β=.191, p< .05), 또한 산소아과, 분만실, 기타 병실에 근무하는 간호사가(β=.176, p< .05) 월경전증후군을 더 심하게 경험하였으며 B형 행동유형 간호사에서는 심한 개인 스트레스를 많이 경험하고(β=.331, p< .01), 현 부서 경력이 길수록(β=.365, p< .01) 월경전증후군을 더 심하게 경험하고 있었다. 따라서 간호사의 월경전증후군이 개인의 삶과 업무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직무스트레스 뿐 아니라 개인생활 스트레스 조절에도 도움을 줄 수 있는 스트레스 대응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프로그램은 간호사의 행동유형을 고려해서 제공되어야 한다.

      • 월경전 불쾌기분장애가 체구성성분 및 식이패턴에 미치는 영향

        이은정 동덕여자대학교 비만과학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월경전불쾌기분장애를 가진 여성과 월경전 증후군이 없는 여성을 대상으로 월경주기에 따른 식이 섭취량, 체구성성분 및 혈당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서울 소재 여자대학교 학생 및 교직원을 350명을 대상으로 하여 이들 중 다른 질병이 없고 월경주기가 규칙적인 건강한 20-30대 여성 중 P.A.F((Premenstrual Assessment Form; 이하 P.A.F)준거와 연구자가 정한 준거에 부합되는 24명을 PMDD(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 이하 PMDD)그룹과 Non-PMS(No Premenstrual Syndrome)그룹으로 나누어 4주 동안 월경주기에 따른 식이섭취량, 체구성성분 및 혈당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분석은 집단별, 시기별로 비교해 보고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nted measure ANOVA)을 통해 실험집단과 시기별에 다른 처치결과의 유의차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식이 섭취량은 PMDD그룹과 Non-PMS그룹에 상관없이 난포기보다 황체기와 생리기에 유의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p<0.01), 그룹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2. 탄수화물 섭취량은 PMDD 그룹과 Non-PMS 그룹에 상관없이 난포기보다 황체기와 생리기에 유의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p<0.05), 그룹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3. 단백질 섭취량은 PMDD그룹과 Non-PMS 룹에 상관없이 난포기보다 황체기에 유의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나(p<0.01), 그룹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4. 지방 섭취량은 PMDD 그룹과 Non-PMS 그룹에 상관없이 시기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룹간에도 통계적으로 유의찬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5. 체중은 PMDD그룹과 Non-PMS그룹에 상관없이 난포기보다 황체기와 생리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나(p<0.001), 그룹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6. 체수분과 제지방은 PMDD그룹과 Non-PMS그룹에 상관없이 난포기보다 황체기와 생리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나(P<0.05), 그룹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7. 체지방율은 PMDD그룹과 Non-PMS그룹에 상관없이 시기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룹간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8. 체지방량은 PMDD그룹과 Non-PMS그룹에 상관없이 난포기보다 황체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나(P<0.05), 그룹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9. 혈당은 PMDD그룹과 Non-PMS그룹에 상관없이 난포기보다 황체기(P=0.0077)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p<0.001), 두 그룹 모두 황체기에 혈당이 급격히 떨어진다. 그룹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볼 때 여성의 식이 섭취량과 체구성성분은 월경주기의 변화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이며 월경주기에 작용하는 변인과를 관련시켜 이에 관한 보다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함을 본 연구결과는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identify the change of energy intake, body composition and blood sugar in accordance with menstrual cycle among women with the 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PMDD) and women with no premenstrual symptoms (Non-PMS). The 24subjects were divided by two groups, PMDD group and Non-PMS group and change of energy intake, body compositin and blood sugar were measured for 4 weeks in according to menstrual cycle. Data were analyzed using SAS to compar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group and phas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 l. Energy intake is more significantly increased (p<0.01) in luteal phase, menstrual phase than follicular phase without regard to PMDD group and Non-PMS group, but there is no statistically similar difference between groups. 2. Carbohydrate intake is more significantly increased (p<0.05) in luteal phase, menstrual phase than follicular phase without regard to PMDD group and Non-PMS group, but there is no statistically similar difference between groups. 3. Protein intake is more significantly increased (p<0.01) in luteal phase than follicular phase without regard to PMDD group and Non-PMS group, but there is no statistically similar difference between groups 4. Fat intake is no difference in according to phase without regard to PMDD group and Non-PMS group and there. is no statistically similar difference between groups. 5. Weight is more significantly increased (p<0.001) in luteal phase, menstrual phase than follicular phase without regard to PMDD group and Non-PMS group, but there is no statistically similar difference between groups. 6. Body water, fat free mass are more significantly increased (p<0.05) in luteal phase, menstrual phase than follicular phase without regard to PMDD group and Non-PMS group, but there is no statistically similar difference between groups 7. % body fat is no difference in according to phase without regard to PMDD group and Non-PMS group, and there is no statistically similar difference between groups. 8. Fat mass is more significantly increased (p<0.05) in luteal phase than follicular phase without regard to PMDD group and Non-PMS group, but there is no statistically similar difference between groups. 9. Blood sugar is more significantly decreased (p<0.001) in luteal phase than follicular phase without regard to PMDD group and Non-PMS group and, blood sugar of the both group was rapidly decreased in luteal phase, but there is no statistically similar difference between groups. Above finding showed that women's energy intake and body composition have connection with change of menstrual cycle and implies that more systematic study has connection with variable wich affects menstrual cycle is requested.

      • 여자 운동선수의 월경주기에 따른 심리적·신체적 증상, 균형능력, 관절이완성 및 성호르몬의 변화

        윤태영 단국대학교 스포츠과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연구의 목적은 여자 운동선수를 대상으로 월경주기에 따른 심리적 · 신체적 증상, 균형능력, 관절 이완성 및 성호르몬의 변화를 검토하는데 있었다. 연구대상은 건강한 엘리트 소프트볼 선수 중 월경주기가 25~38일(주기마다의 변동이 6일 이내)의 정상 월경주기를 유지하고 있으며, 기초체온 측정 및 혈청 호르몬 측정에 의해 배란을 가지고 있는 8명의 실험군과 정상 월경주기의 유지 및 배란이 있는 대학생 8명의 대조군을 대상으로 하였다. 집단 간 및 월경주기에 따라 심리적 및 신체적 컨디션, 균형능력(동적 균형 및 중심 동요성), 관절 이완성 및 성호르몬(혈청 estradiol 및 progesterone)을 측정하여 비교 ·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군의 혈청 난포호르몬 및 혈청 황체호르몬이 대조군과 비교해서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둘째, 실험군의 상태불안은 월경기와 비교해서 황체기전기에 있어서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으나, 대조군에서는 시기 간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기분상태는 분노와 피로에서 양 군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활기를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각각의 시기에서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넷째, 실험군의 신체적 컨디션은 월경기 및 황체기후기에 있어서 ‘유방이 아프다’와 ‘유방에 몽우리가 있다’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대조군은 월경기에 ‘하복부의 통증이 있다’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고, 배란기에는 ‘어지럼증이 있다’에서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또한 모든 항목에서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각각의 시기에 있어서 높은 경향을 나타냈으며, 특히 ‘근육통이 있다’, ‘피로하기 쉽다’, ‘몸이 자유롭게 움직여지지 않는다’, 그리고 ‘몸이 무겁다’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다섯째, 균형능력은 월경기를 제외하고 실험군보다 대조군에 있어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대조군의 X축방향의 동요 평균 중심 변위는 난포기 및 황체기후기에 높은 수치를, 배란기에 낮은 수치를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심리적 및 신체적 컨디션, 중심 동요 및 관절 이완성은 월경 주기에 따라 변화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걱정, 스트레스 및 우울이 월경전기 변화에 미치는 영향

        최교훈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worry, stress, and depression on premenstrual change. Cases for 330 people who responded to the distribute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for the study. Premenstrual assessment form developed by Halbreich and Endicott(1982) who used to assess premenstrual change, Stress event experience questionnaire revised by Lee(1993) who used to assess stress, revised CES-D(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in Korean version by Chon et al., (1999) who used to assess depression, and Meta-Cognitions Questionnaire-30 by Wells(2004) who used to assess worry. Correlation analysis method developed by Pearson was utilized to validate the mutual relationship between the independent causes and the premenstrual change. In addition, multi-regression analysis method was used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the effect of the independent causes on the premenstrual change. The result demonstrated that worry, stress, and depression influenced the premenstrual change. The three factors, when combined, for 53% variance of the premenstrual change, it was shown that physical, emotional, and behavior changes were explained by 44%, 53%, and 41% respectively. In conclusion, the result that they have similar degrees of sub-factors with respect to every aspect in the premenstrual change implies that worry, stress, and depression are principal causes to the changes. 본 연구는 걱정, 스트레스 및 우울이 월경전기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월경전기에 나타나는 변화의 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Halbreich와 Endicott(1982)의 월경전기 평가서(Premenstrual assessment form)가 사용되었다. 스트레스의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서 이영호(1993)가 개정한 스트레스 사건경험지를 사용하였고, 우울의 정도를 밝히는 데는 전겸구 등(1999)의 한국판 CES-D(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 Depression Scale)개정판이 사용되었다. 또한, 걱정의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Wells(2004)의 상위인지 질문지(Meta-Cognitions Questionnaire-30)가 사용되었다. 이 연구를 위해 사용된 설문지는 총 330부이었다. 다음 단계로, 각각의 독립변인과 월경전기 변화와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독립변인들이 월경전기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중다회기분석을 사용하였으며, 그 결과 세 독립변인이 월경전기 변화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즉, 걱정, 스트레스 및 우울이 월경전기 변화에 동시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에 대해서 53%의 설명 정도가 나타났다. 월경전기 변화의 하위변화들과 걱정, 스트레스 및 우울이 어떠한 관계를 가지는 지에 대한 확인 결과, 신체 변화에는 44%, 정서변화에는 53%, 그리고 행동변화에는 41%의 설명 정도가 나타났다. 앞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걱정, 스트레스 및 우울이 모두 월경전기 변화에 유의한 관계를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가 도출되었으며, 이는 본 연구의 주요하고도 의미 있는 결론이다.

      • 월경전증후군 여대생의 삶의 질 구조모형 개발

        임선희 차의과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807

        월경전증후군 여대생의 삶의 질 구조모형 개발 본 연구는 월경전증후군 여대생의 삶의 질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의 인과관계 및 영향력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기 위해 Ferrans 등의 삶의 질 모형과 Stuifbergen and Rogers의 삶의 질 모델을 토대로 가설적 모형을 설정하고 검증하여 월경전증후군 여대생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간호중재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구조모형 연구이다. 가설적 모형의 외생변수로 개인적 특성, 질병 특성, 환경적 특성을, 내생변수로 증상, 건강지각, 건강증진 행위, 삶의 질로 설정하였다. 자료수집은 수도권 소재 5개 대학교에 재학 중인 월경전증후군을 경험하는 여대생을 대상으로 2022년 9월부터 10월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실시하였으며, 총 206명의 자료가 최종 분석에 포함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 statistics 26.0 프로그램과 SmartPLS 4.0.8.4를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 가설적 모형의 적합도는 내부모델의 VIF 값은 1.0~1.9로 모두 5미만으로 나타나 잠재변수간 다중공선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형분석 결과 결정계수는 월경관련 지식은 .02로 약한 기여도, 월경에 대한 태도가 .13으로 약한 기여도, 월경에 대한 대처는 .37으로 큰 기여도, 삶의 질은 .48로 큰 기여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측적합성을 나타내는 값은 지식을 제외한 잠재변수들의 값은 .00~.21로 모두 0보다 큰 것으로 나타나 예측적합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PLS 구조방정식 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판정하였다. 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삶의 질은 월경전증후군(B=-.24, p=.003), 피로(B=-.22, p=.001)가 낮을수록, 사회적 지지(B=.22, p=.001)가 높을수록 삶의 질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최종 내생변수인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47%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는 월경전증후군 여대생들의 삶의 질을 증진시키기 위해서 월경전증후군 증상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제공과 교육을 통한 인식의 개선이 필요하고, 긍정적인 건강 상태를 지각하게 되는 사회적 지지와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피로를 낮추기 위한 다각적인 맞춤형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여대생의 특성에 맞게 건강문제의 유무보다는 건강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응 전략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자가관리 실천, 즉 월경전증후군 증상 완화를 위한 대처전략을 활용하고, 자신의 건강 상태를 유지 증진하게 하여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개발, 건강교육 자료 배포, 건강동아리 운영 등 건강한 생활습관을 형성하고 건강한 삶에 대한 관심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함을 제언한다. 핵심되는 말 : 월경전증후군, 삶의 질, PLS 구조모형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or Quality of Life in Female College Students with Premenstrual Syndrome Sunhee Im Department of Nursing (Major in Maternity Nursing) The Graduate School, CHA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Sehoon Hong) This study is a structural model study that attempts to provid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nursing intervention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premenstrual syndrome female college students by establishing and verifying hypothetical models based on Ferrans' quality of life model and Stuifbergen & Rogers' quality of life model.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a structured questionnaire from September to October 2022 for female college students experiencing premenstrual syndrome attending five universitie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a total of 206 data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statistics 26.0 program and SmartPLS 4.0.8.4.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A. For the fit of the hypothetical model, the VIF values of the internal model were 1.019~1.914, showing that there was no multicollinearity between latent variables except knowledge, and the values of the predictability were all greater than 0.000~.209. Therefore, it was determined that the PLS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suitable. B. In terms of the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the quality of life is premenstrual syndrome (B=-.242, p=).003), fatigue (B=-.217, p=.The lower the 001, the more social support (B=.215, p=).The higher 001), the higher the quality of life, and the explanatory power of these variables that affect the quality of life, the final endogenous variable, was 47.1%. As described above, this study needs to develop a variety of customized nursing intervention programs to reduce premenstrual syndrome symptoms and fatigue and increase social support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female college students with premenstrual syndrom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female college students, it is suggested that various types of self-management practices, health promotion programs that can improve their health status, distribute health education materials, and operate health clubs, and increase interest in healthy life. Key words : premenstrual syndrome, quality of life, and PLS structural mod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