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스포츠산업의 지역적 현황과 정책지원 및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양광호 단국대학교 스포츠과학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제주지역의 스포츠산업 현황을 검토하고, 행정기관의 지원의 필요성을 파악하며, 스포츠이벤트에 대한 스포츠 환경의 개선 및 향후 스포츠산업의 발전방향을 제안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총 320매의 설문이 관련기관 근무자들에게 배포되었고, 이 중 312매가 분석에 이용되었는데, 사회과학 통계패키지인 SPSS (Ver.15.0)에 의한 빈도, 신뢰도, 일원변량분석 그리고 평균을 이용한 IPA분석 등을 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제주지역이 스포츠이벤트 개최지로써 환경요인이 관광지/문화시설, 숙박/식음료시설, 교통의 편리성, 주민의 친절성 등은 긍정적으로 평가가 나타났으며 특히 자연경관/기후 등은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포츠이벤트를 통하여 홍보/이미지 효과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지역경제 활성화, 지역관광/문화발전, 지역스포츠 발전 등의 순으로 기대효과가 조사되어 스포츠이벤트 개최로 제주브랜드/이미지 홍보 및 지역경제 활성화와 지역관광/문화발전에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포츠 관련산업의 필요성 순위는 스포츠서비스업, 스포츠시설업, 스포츠용품업 순으로 조사되어 스포츠마케팅, 체육도장, 수영장, 스포츠장비업 등 관련 산업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나 향후 중점 육성해야 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지역에 적합한 스포츠 유형과 관련해서는 전지훈련, 골프관광, 국내·외 스포츠 경기개최, 해양스포츠, 산악스포츠 등의 순으로 조사되어 온화한 기후, 천혜의 자연경관, 세계자연유산, 국제적 관광지 등의 제주의 자연조건과 환경에 맞는 스포츠 종목이 선택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행정기관의 정책적 지원은 전지훈련 유치 및 운영 극대화, 스포츠시설 확충, 국내·외 대회 유치 등의 순으로 조사되어 전지훈련 유치를 위한 마케팅 활동과 운영에 적극적인 지원, 노후한 시설의 보완 및 확충, 규모 있는 국내·외 대회 유치를 위한 행정기관의 행·재정지원 등 적극적 정책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제주지역 자연환경에 적합한 대표스포츠는 골프, 승마, 트라이애슬론의 순으로 응답했다. 이는 자연경관과 잘 어우러진 26개의 골프장과 초원, 바다와 산간지역, 정비된 도로 등 지역 자연환경과 조화되는 스포츠로 조사됐으며, 요트에 대해서도 긍정적으로 응답하여 향후 해양스포츠에 대한 발전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일곱째, 지역내 우선 투자분야로는 스포츠시설 건설, 스포츠관광 개발, 스포츠산업 전문 양성시스템 등의 순이며, 이를 위해 기능이 저하되고 노후한 시설의 보완 및 확충을 위해 스포츠복합단지가 필요하며, 스포츠이벤트와 휴양과 관광 등을 할 수 있는 스포츠관광 상품개발이 필요하고, 산·학·관이 참여하는 스포츠산업 전문인력양성시스템도 구축해야 할 것이다. 여덟째, 스포츠산업연구소의 설치, 스포츠외교 인력의 육성, 스포츠국제기구의 유치, 의료산업과 연계한 스포츠재활병원시설의 유치가 필요하며, 스포츠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성장에 필요한 정책적 지원대책을 강구하여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to review the conditions of sport industry in Jeju, to understand the necessity of support by the local government and to consider the improvement of sport environment for sport events and the future direction of sport development.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Environmental factors to hold sport events such as natural scenery and climate, tourist and cultural facilities, accomodations and F&B facilities are rated positively. 2. Sport events heighten the PR effect of the region and they also contribute to brand image of the region and revitalizing local economics. 3. Respondents are fully aware of the importance of the necessity of sport service, sport facility and sport supplies. The sports-related fields such as sport marketing, exercise halls, swimming pool, sport equipment should be developed in priority. 4. Off-season training, golf tour, sport events, marine sports, and mountain sports were reported in the order of rank as the appropriate sports for the region. 5. Attracting off-season training and efficient operating, expanding and improving the sports facilities, attracting domestic and foreign tournament were surveyed in the order of rank and they need positive policy supports by government. 6. Some of the suitable sports for Jeju environment were golf, horse riding and triathlon in the order of rank in the survey. Yacht should also considered as one of important marine sports. 7. The survey showed that the parts regarding sport industry of the priority order to invest were building sport facilities, developing sports tourism, training system for sport industry experts.

      • 스포츠 스타의 광고모델 속성이 광고태도, 브랜드태도 및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진선유 단국대학교 스포츠과학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의 목적은 스포츠 스타의 광고모델 속성이 광고태도, 브랜드태도 및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스포츠 스타를 이용한 광고를 통해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15년 서울, 경기, 충남 지역의 대학생으로 할당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총 300부를 표본으로 추출하였다. 표집 된 표본 중 조사내용 일부가 누락되었거나 불성실하게 답하였다고 판단되는 자료 16부를 제외한 총 284부를 최종유효 표본으로 사용하였다. 자료 처리는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전산처리 하였으며, 개인적 특성은 기술통계적 방법을 적용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조사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검정을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factor analysis)과 Cronbach's α 검사를 실시하였다. 변수의 상관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고, 변수간의 영향력을 규명하기 위해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자료처리 절차와 방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스포츠 스타의 광고모델 속성은 광고태도에 정(+)의 상관 관계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인 신뢰성, 전문성, 친밀성, 유사성은 광고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매력성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포츠 스타의 광고모델 속성은 브랜드태도에 정(+)의 상관 관계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인 신뢰성, 매력성, 전문성, 친밀성, 유사성 모든 변인에서 브랜드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포츠 스타의 광고모델 속성은 구매행동에 정(+)의 상관 관계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인 친밀성, 유사성은 구매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뢰성, 매력성, 전문성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광고태도는 구매행동에 정(+)의 상관 관계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브랜드태도는 구매행동에 정(+)의 상관 관계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Report entitles the Advantages of Sports Stars through Brand Representations, Advertisement Models and overall Advertisements. This aim of this report is to find out how much of an effect there is when a sports star advertises a certain brand, and how that Sports Star can effect the sales of a certain brand and by how much can they increase sales in a business perspective. In order to proceed with this research I gathered 300 Random Sample Surveys from the Seoul, Gyeong-Gi and Chungnam Areas. I check each survey to make sure that they had relation to the topic. Out of the 300 Random Sample Surveys, 16 were answered irrelevant to this topic. With that put forward only 284 Random Sample Surveys where Liable to use for this Report in order to get the most effective and accurate Report Results. By using the Numerical Program it was more accurate to sort all the 284 Sample Surveys, Others methods were used such as Frequency Analysis to check how Frequently this topic was being adhered to during this research. Factor Analysis as used by Cronbach’s A is the best option to investigate this certain topic through out this investigation. To find out the Variables, Conducting the Correlation Research was in order. While using the effects of the Correlation Research to find the variables by using the Regression Analysis I could find a much broader option of the Variable. By using all of these Research types I was able to procure these Facts. Firstly, The effects on Sports Models and their Acts of Advertisement Models was seen as a Correlation and most of the research led up to those factors, But in despite of the Low Factors much of the research adhered to the Reliability, Compatibility, Similarities and How exact each part was conduced. With all these Factors used it was more of an accurate alternative. Secondly, The effects of Sports Models and how they can affect Brand Development. Again despite the Low Factors the main factors relate to Reliability, Compatibility, Similarities and how exact each part was conduced. By that the Sports Stars were able to reach out to a much more effective route to encounter the Brand Developments. Thirdly, The effects of Sports Models and how they can Affect Sales of a certain Brand. Low factor was the main factor that procured during this research, as to say the Low factor showed some good and bad affects to this research. Once again using the main highlights of Reliability, Compatibility, Similarities and how exact each part was conduced, Fourthly, The Effects of Sports Models and the Low Factors of the Affects in sales for the Certain Brands. As established during this research I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Effect found towards this topic during this research, which showed a positive towards how the Sports model contributed to the Affect in sales for the certain brands. Fifth, How the Affects in Sales can help the Development of the Brand, by using the effects of the Sports Model. Once again there was a significant effect towards this, as the Sports Star was able to contribute to the Sale of products for the Certain brand, by this that brand has the possibility of becoming more popular. By that the Brand can show a great mass of Development.

      • 스포츠 스타의 속성이 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이춘섭 단국대학교 스포츠과학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47

        이 연구는 스포츠 스타의 속성과 팀동일시, 팀충성도와의 인과관계를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양, 수원, 성남, 부천을 연고로 한 4개 구단의 경기장은 찾은 홈 팬 관중을 대상으로 총 600부를 표본으로 추출하여 이 중 불성실한 설문지를 제외시키고 총 563부의 설문지를 유효표본으로 하여 자료로 사용하였다. 이 자료를 가지고 SPSSWIN Ver. 10.0을 이용하여 기술분석과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자료를 처리 한 후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스포츠 스타의 속성은 팀동일시에 통계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스포츠 스타의 속성인 스포츠성과 신체적 매력 모두 팀동일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포츠 스타의 속성은 팀충성도에 통계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스포츠 스타의 속성 중 스포츠성이 신체적 매력보다 태도적 충성도와 행동적 충성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팀동일시는 팀충성도에 통계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팀동일시는 태도적 충성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한 후 다음과 같은 구단의 팀충성도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구단의 선수관리 문제이다. 팀을 대표할 수 있는 선수의 경기력과 매너 그리고 팬들이 팀에 소속감을 느끼고 팬으로서 긍지를 가질 수 있는 잠재력을 갖춘 선수의 발굴과 지속적 관리에 노력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구단의 마케팅에 있어서 팀충성도에 대한 시장세분화를 통한 집단을 구분하여 보다 정밀하고 표적화된 시장 대처가 필요하다. 그리고 스포츠 소비자의 팀충성도의 변화를 알기 위한 단계적이며 지속적인 자료수집을 통한 분석으로 실제 마케팅 상황에 유용한 기준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cause and effect between the attributes of sports stars and the level of team loyalty. To achieve this end, a total of 600 questionnaires were sampled by surveying the home fans that went to watch games at the stadiums of four sports teams based on Anyang, Suwon, Seongnam and Bucheon. Among these, a total of 563 were used as significant sample after excluding the unreliable ones. Then, these data was used to process data by using descriptive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SPSSWIN Ver. 10.0.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ttributes of sports stars exerted statistically positive influence at the time of identifying with the team. In other words, the effect of sports disposition and physical attractiveness, which are the attributes of sports stars, on team identification. Second, attributes of sports stars exerted statistically positive influence on the level of team loyalty. In particular, among the attributes of sports stars, sports disposition exerted greater influence on the behavioral and attitudinal factors pertaining to the level of team loyalty compared to physical attractiveness. Third, at the time of identifying with team, statistically positive influence was exerted on the level of team loyalty. In particular, at the time of identifying with team, greater influence was exerted on the attitudinal factor of the level of loyalty towards team. After carrying thorough discussion, centered on the above mentioned results, the following type of measures pertaining to the teams’ level of team loyalty were recommended. First pertains to the issue of managing teams’ players. There is a need to make continuous effort to discover and manage players with high potential to enable fans to feel sense of belonging with teams and take pride in their teams. Moreover, there is a need to improve the play and manners of players who can represent their team. Second, more precise and targeted market measures are needed by classifying groups through market segmentation pertaining to the level of team loyalty when it pertains to teams’ marketing efforts. Moreover, step by step and continuous collection of data that is needed to identify the changes in the sports consumers’ level of team loyalty should take place to ensure effective analysis with the end of recommending criteria that are useful for actual marketing situations.

      • 만성 발목불안정성 환자의 변형된 Brostrom 수술후 Anti-gravity treadmill을 이용한 가속 재활운동이 발목관절 기능회복에 미치는 영향

        최인혁 단국대학교 스포츠과학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47

        (국문 요약) 만성발목불안정성 환자의 변형된 Brostrom 수술 후 Anti-gravity treadmill을 이용한 가속 재활운동이 발목관절 기능 회복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스포츠과학대학원 스포츠의학과 스포츠재활전공 제 출 자 : 최인혁 지도교수 : 장석암 이 연구의 목적은 만성발목불안정성 환자의 변형된 Brostrom 수술 후, 6주간의 Anti-gravity treadmill을 이용한 가속재활운동이 발목 관절의 통증지수, 발목 관절가동범위, 등속성 근기능, 동적 안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구명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자는 만성발목불안정성에 의해 변형된 Brostrom 수술을 받은 환자 12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6주간의 Anti-gravity treadmill을 이용한 가속재활운동 프로그램은 매일 60분씩 실시되었고 Anti-gravity treadmill 프로그램 또한 매일 15~30분간 실시되었다. 수집된 모든 자료는 SPSS 22.0 버전을 이용하여 평균과 표준오차를 산출하였으며 재활운동 프로그램 적용 전·후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대응표본 t-test(paired t-test)를 사용하였다. 유의수준은 α=.05로 설정하였다. 이 실험에서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6주간의 Anti-gravity treadmill을 이용한 가속재활운동 프로그램 적용 후, 시각적 사상척도(VSA)를 이용한 주관적 통증지수는 가속재활운동 프로그램 적용 전보다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p<.001). 2. 6주간의 Anti-gravity treadmill을 이용한 가속재활운동 프로그램 적용 후, 발목 관절가동범위는 가속재활운동 프로그램 적용 전보다 배측 굴곡과 저측 굴곡, 내번, 외번 모두에서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p<.05). 3. 6주간의 Anti-gravity treadmill을 이용한 가속재활운동 프로그램 적용 후, 60°/sec (p<.001, p<.01)와 180°/sec(p<.001)의 내반력과 외반력은 가속재활운동 프로그램 적용 전보다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건측에 대한 환측의 근결손율 변화에서는 60°/sec(p<.01, p<.001)의 내반력과 외반력, 180°/sec(p<.01)의 내반력은 가속재활운동 프로그램 적용 후,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180°/sec의 외반력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4. 6주간의 Anti-gravity treadmill을 이용한 가속재활운동 프로그램 적용 후, 동적 안정성은 가속재활운동 프로그램 적용 전보다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p<.001). 이상의 결과에서, 6주간의 Anti-gravity treadmill을 이용한 가속재활운동 프로그램이 발목불안정성에 의한 변형된 Brostrom 수술을 받은 환자들의 통증과 관절가동범위, 근기능, 동정 안정성에 모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Anti-gravity treadmill을 이용한 가속재활운동 프로그램은 기존의 전통적 재활운동 프로그램 보다 더 빠르고 안전하게 발목의 안정성회복과 스포츠 현장 및 일상생활로 복귀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Effect of Accelerated Rehabilitation with Anti-Gravity Treadmill Exercise on Ankle Joint Function After Surgery of Modified Brostrom Operation in Chronic Ankle Instability Patients In-Hyuk Choi Department of Sports Medicine Graduate School of Sports Science Dankook University Advisor : Professor Suk-Am Zha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6 weeks’ accelerated rehabilitation with anti-gravity treadmill exercise on VAS, ROM, isokinetic myofunction, and dynamic stability after surgery of modified brostrom operation in chronic ankle instability pati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2 chronic ankle instability patients who underwent modified Brostrom operation(MBO) by the same doctor. 6 weeks' accelerated rehabilitation program is scheduled to perform for 60min, everyday, and also anti-gravity program performed for 15~30min, everyday. The data analysis including the mean and standard error in this study was carried out paired t-test using SPSS 22.0 version. Significance was established at the level of α=.05.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 : 1. The visual analog scale(VSA)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6 weeks’ accelerated rehabilitation with anti-gravity treadmill exercise(p<.001). 2. After 6 weeks’ accelerated rehabilitation with anti-gravity treadmill exercise, ROM in all of dorsal flexion, plantar flexion, inversion and eversion significantly increased(p<.05). 3. Both inversion and eversion peak torque at 60°/sec(p<.001, p<.01) and at 180°/sec(p<.001)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6 weeks’ accelerated rehabilitation with anti-gravity treadmill exercise respectively. In muscle defect, although inversion and eversion at 60°/sec(p<.01, p<.001) and inversion at 180°/sec(p<.01) significantly decreased, eversion at 180°/sec tended to decrease but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after 6 weeks’ accelerated rehabilitation with anti-gravity treadmill exercise. 4. The dynamic stability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6 weeks’ accelerated rehabilitation with anti-gravity treadmill exercise(p<.001). These results suggest that 6 weeks’ accelerated rehabilitation with anti-gravity treadmill exercise has positive effect of VAS, ROM, isokinetic myofunction, and dynamic stability after surgery of modified brostrom operation in chronic ankle instability patients. Therefore, we consider that the accelerated rehabilitation with anti-gravity treadmill exercise, which is scientific and effectively method, has effect on more faster recovery of ankle stability, play ground and normal daily activities.

      • K리그1 프로축구팀의 2018, 2019, 2020, 2021 시즌 스포츠 상해에 관한 연구

        김재오 단국대학교 스포츠과학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의 목적은 K리그1 프로축구팀에 소속되어 있는 축구선수들을 대상으로 2018, 2019, 2020, 2021 4시즌 동안 스포츠 상해를 세부적으로 분석하여 원인을 파악하고 스포츠 상해 예방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어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K리그1 특정 팀의 프로축구선수 137명(2018년 34명, 2019년 34명, 2020년 34명, 2021년 35명)을 대상자로 하였으며, 연구 시작 당시 기존 스포츠 상해가 없는 선수들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선수들의 스포츠 상해를 세부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훈련 및 경기 수와 스포츠 상해 발생률, 스포츠 상해의 부위, 스포츠 상해의 유형 및 심각도와 관련된 모든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 기간 동안 발생한 모든 부상은 스포츠 상해 카드를 사용하여 기록되었으며, 이는 축구 스포츠 상해 역학 연구 절차에 대한 국제 합의 협약인 FIFA의 권장 사항을 따랐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스포츠 상해의 정의는 국제 부상 합의 그룹(International Injury Consensus Group)의 규정을 따라 수집되었다. 선수가 훈련이나 경기에 완전히 참여할 수 없는 수준의 부상을 스포츠 상해로 분류하였다. 수집된 모든 자료는 기술통계를 통해 평균(M)과 표준편차(SD)를 산출하였으며, 항목별 빈도 분석과 총 빈도 대비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이상의 연구 절차와 방법을 기초로 얻어진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축구선수들의 스포츠 상해는 경기 출전 1,000시간당 39.98건, 훈련 1,000시간당 3.99건으로 훈련보다 경기 중 발생하는 스포츠 상해 발생률이 더 높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시즌별로 살펴보면 2018시즌에 스포츠 상해는 경기 출전 1,000시간당 37.88건, 훈련 1,000시간당 3.36건으로 관찰되었다. 2019시즌에 스포츠 상해는 경기 출전 1,000시간당 37.74건, 훈련 1,000시간당 4.72건으로 관찰되었다. 2020시즌에 스포츠 상해는 경기 출전 1,000시간당 35.81건, 훈련 1,000시간당 3.81건으로 관찰되었다. 2021시즌에 스포츠 상해는 경기 출전 1,000시간당 48.48건, 훈련 1,000시간당 4.06건으로 관찰되었다. 시즌별로 살펴보아도 훈련보다 경기 중 발생하는 스포츠 상해 발생률이 더 높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둘째, 프로축구선수들의 부위별 스포츠 상해는 넙다리 부위에 26.5%, 무릎 부위에 16.0%, 발목 부위에 15.3%로 나타났으며, 전체 스포츠 상해 중 하지에 84.0%로 나타나 상지와 비교해 하지가 높은 손상을 당한다는 것을 관찰하였다. 시즌별로 살펴보면 2018시즌에 부위별 스포츠 상해는 넙다리 부위에 29.6%, 무릎 부위에 19.7%, 종아리/ 발꿈치 힘줄 부위에 12.7%로 나타났으며, 전체 스포츠 상해 중 하지에 81.7%로 관찰되었다. 2019시즌에 부위별 스포츠 상해는 넙다리 부위에 28.6%, 발목 부위에 17.9%, 무릎 부위에 15.5%로 나타났으며, 전체 스포츠 상해 중 하지에 90.5%로 관찰되었다. 2020시즌에 부위별 스포츠 상해는 넙다리 부위에 33.8%, 발목 부위에 15.5%, 무릎 부위와 종아리/ 발꿈치 힘줄 부위에 각각 9.9%로 나타났으며, 전체 스포츠 상해 중 하지에 83.1%로 관찰되었다. 2021시즌에 부위별 스포츠 상해는 종아리/ 발꿈치 힘줄 부위에 20.7%, 무릎 부위에 18.4%, 발목 부위에 17.2%로 나타났으며, 전체 스포츠 상해 중 하지에 80.5%로 관찰되었다. 시즌별로 살펴보아도 상지와 비교해 하지가 높은 손상을 당한다는 것을 관찰하였다. 셋째, 프로축구선수들의 스포츠 상해 유형은 근육 파열/ 손상/ 좌상/ 경련이 46.0%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염좌/ 인대 손상이 23.6%, 힘줄 손상/ 파열/ 힘줄증/ 점액낭염이 8.9%로 관찰되었다. 시즌별로 살펴보면 2018시즌에 스포츠 상해 유형은 근육 파열/ 손상/ 좌상/ 경련이 47.9%, 염좌/ 인대 손상이 15.5%, 힘줄 손상/ 파열/ 힘줄증/ 점액낭염이 8.5%로 관찰되었다. 2019시즌에 스포츠 상해 유형은 근육 좌상이 35.7%, 염좌/ 인대 손상이 27.4%, 힘줄 손상/ 파열/ 힘줄증/ 점액낭염이 17.9%로 관찰되었다. 2020시즌에 스포츠 상해 유형은 근육 파열/ 손상/ 좌상/ 경련이 53.5%, 염좌/ 인대 손상이 21.1%, 혈종/ 타박/ 멍이 7.0%로 관찰되었다. 2021시즌에 스포츠 상해 유형은 근육 파열/ 손상/ 좌상/ 경련이 48.3%, 염좌/ 인대 손상이 28.7%, 혈종/ 타박/ 멍이 5.7%로 관찰되었다. 시즌별로 살펴보아도 스포츠 상해 유형은 근육 파열/ 손상/ 좌상/ 경련과 염좌/ 인대 손상이 높게 나타난다는 것을 관찰하였다. 넷째, 프로축구선수들의 스포츠 상해 심각도는 1-3일 정도 훈련 및 경기에 참여하지 못하는 아주 경미한 스포츠 상해가 34.2%, 8-28일 정도 훈련 및 경기에 참여하지 못하는 중증도 스포츠 상해가 31.3%로 높게 나타났다. 시즌별로 살펴보면 2018시즌에 스포츠 상해 심각도는 8-28일 정도 훈련 및 경기에 참여하지 못하는 중증도 스포츠 상해가 39.4%, 1-3일 정도 훈련 및 경기에 참여하지 못하는 아주 경미한 스포츠 상해가 28.2%로 높게 나타났다. 2019시즌에 스포츠 상해 심각도는 1-3일 정도 훈련 및 경기에 참여하지 못하는 아주 경미한 스포츠 상해가 29.8%, 4-7일 정도 훈련 및 경기에 참여하지 못하는 경미한 스포츠 상해와 28일 이상 훈련 및 경기에 참여하지 못하는 심각한 스포츠 상해가 각각 23.8%로 높게 나타났다. 2020시즌에 스포츠 상해 심각도는 1-3일 정도 훈련 및 경기에 참여하지 못하는 아주 경미한 스포츠 상해가 47.9%, 8~28일 정도 훈련 및 경기에 참여하지 못하는 중증도 스포츠 상해가 32.4%로 높게 나타났다. 2021시즌에 스포츠 상해 심각도는 1-3일 정도 훈련 및 경기에 참여하지 못하는 아주 경미한 스포츠 상해와 8-28일 정도 훈련 및 경기에 참여하지 못하는 중증도 스포츠 상해가 각각 32.2%로 높게 나타났다. 위와 같은 연구 결과를 종합하자면 프로축구선수들은 일반적으로 진행되는 훈련보다 격렬한 몸싸움 등을 동반하는 경기 중에 스포츠 상해를 당할 가능성이 높으며, 이러한 스포츠 상해가 상지보다는 하지에 집중적으로 발생한다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근육 좌상 및 인대 염좌 발생률이 높은 것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특히 뒤넙다리근 좌상과 발목 염좌 발생률이 높다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따라서 FIFA 11+ 프로그램 및 신경근 조절 훈련 프로그램 같은 축구 종목에 특화된 스포츠 상해 예방 운동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이 이루어 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줄넘기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참여 고등학생의 재미요인과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학교생활만족의 관계

        이정희 단국대학교 스포츠과학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47

        이 연구의 목적은 첫째, 줄넘기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참여 고등학생의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재미요인과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학교생활만족의 차이를 알아보고, 둘째, 줄넘기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참여 고등학생의 재미요인과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학교생활만족 간의 인과적 관계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실증적으로 규명함으로써 학교스포츠클럽의 효율적인 운영과 프로그램 개발 및 줄넘기 학교스포츠클럽이 더욱 활성화 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15년 현재 서울과 경기지역에 소재한 고등학교에 재학 중이며, 줄넘기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학생을 모집단으로 선정하고, 서울과 경기지역 소재 5개 고등학교에서 편의표본추출법(convenient sampling method)을 이용하여 총 289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의 처리는 SPSS 20.0과 Amos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고, 유의수준은 α=.05로 설정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재미요인, 신체적 자기효능감, 학교생활만족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 t검증과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적용하였고, 일원변량분석의 사후검증은 Scheffe방법을 적용하였다. 또한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각 척도가 타당성을 보유하고 있는 지를 검증하기 위한 절차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아울러 재미요인, 신체적 자기효능감, 학교생활만족의 인과관계를 검증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모형을 적용하였다. 이 연구목적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줄넘기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참여 고등학생의 개인배경 변인에 따른 재미요인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성별, 학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참여기간, 참여빈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줄넘기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참여 고등학생의 개인배경 변인에 따른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성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학년, 참여기간, 참여빈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줄넘기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참여 고등학생의 개인배경 변인에 따른 학교생활만족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참여기간, 참여빈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성별, 학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줄넘기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참여 고등학생의 재미요인, 신체적 자기효능감, 학교생활만족의 인과관계를 규명한 결과, 재미요인은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재미요인은 학교생활만족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체적 자기효능감은 학교생활만족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침과 동시에 재미요인과 학교생활만족의 관계에서 부분매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first to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enjoyment factors, physical self-efficacy and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of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ing in school sports clubs according to social demographic variables; second to empirically explore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enjoyment factors, physical self-efficacy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of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ing in jump rope club activity so as to provide preliminary data for efficient operation of school sports clubs, development of programs and boosting school jump rope club. To achieve this goal, population was selected from students who attend 5 high schools in Seoul and Gyeonggi-do area as of 2015 and participate in school sports clubs. Convenient sampling method was used to collect data from a total of 289 students. For data processing, SPSS 21.0 and Amos 20.0 programs were sued to verify the hypothesis, and significance level was set at α=.05 for analysis following the process as below: To begin with, independent t-test and one-way ANOVA were appli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enjoyment factors, physical self-efficacy and school life safisfaction. Scheffe’s method was applied for post-hoc test for ANOV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arried out to verify whether each scale proposed in previous studies was valid.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applied to verify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enjoyment factors, physical self-efficacy and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ed up as follows: First, examination of the differences in enjoyment factor according to the variable of personal background of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ing in school jump rope club shows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x and year of grad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articipation frequency. Second, examination of the differences in physical self-efficacy according to the variable of personal background of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ing in school jump rope club shows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x,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year of grade, participation period and participation frequency. Third, examination of the differences in school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variable of personal background of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ing in school jump rope club shows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articipation period and participation frequency,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ex and year of grade. Fourth, examination of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enjoyment factors, physical self-efficacy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of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ing in school jump rope club shows that enjoyment factors had a positive (+) effect on both physical self-efficacy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Also physical self-efficacy had a positive (+) effect on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at the same time, played a partially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njoyment factor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would be found in that it can help to confirm the value of jump rope program as a school sports club activity for high school students and also provides preliminary data for boosting school sports clubs further.

      • 스포츠를 통한 기업의 사회공헌활동과 평판, 브랜드이미지, 구매의도와의 관계

        성정현 단국대학교 스포츠과학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47

        이 연구의 목적은 스포츠를 통한 기업의 사회공헌활동과 평판, 브랜드이미지, 구매의도와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의 대상은 수도권과 충청남도 C시에 위치한 2개의 대학에 재학 중인 남, 여 대학생들이며 편의표본추출법을 통해서 표집한 전체표본 300부 중에서 신뢰성이 떨어지는 3부를 제외한 297부를 최종 유효 표본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이 연구의 취지에 적합한 기업을 알아보기 위해 해당 모집단이 되는 대학교에서 각각 50명씩 총 100명의 재학생을 대상으로 본 조사를 실시하기 전, 현재 스포츠를 통한 사회공헌활동을 시행하고 있는 기업 중 5곳(SK, LG, 홈플러스, 대교, 도미노피자)의 기사내용과 사진을 첨부하여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설문내용은 ‘스포츠를 통한 사회공헌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는 이들 기업 중 가장 인상 깊게 본 사회공헌프로그램을 선택하시오’ 라는 질문이었으며, 조사결과 64%의 대학생들이 선택한 ‘홈플러스’를 연구 대상 기업으로 선정하게 되었다. 자료처리는 PASW 18.0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요인분석 및 신뢰도분석을, AMOS 18.0을 활용하여 확인적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및 구조방정식모형을 하였다. 자료처리를 하여 연구모형의 적합도 검증을 확인한 후 개별 가설들을 검증하였는데, 그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공헌활동의 하위변수인 공익적 차원과 자선적 차원은 기업평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또 다른 하위변수인 사회적 차원 부분에서는 기업평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기업평판은 브랜드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기업평판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쳤다. 넷째, 브랜드이미지는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lations among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through sports, corporate reputation, brand image, and purchase intention.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300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sampled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at two universities located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C City, Chungcheongnam Province. After excluding three whose reliability level was low, total 297 were used in the study as a valid sample. Before starting the study, the investigator distributed a questionnaire, which contains articles and pictures of five companies(SK, LG, Home Plus, Daekyo, and Domino's Pizza) engaging in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through sports, to 100 college students comprised of 50 from each of the two universities that were a population of the study in order to identify a company fit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questionnaire asked the students to "Consider these five companies running a social responsibility program through sports and pick one with the most impressive social responsibility program." As a result, 64% of the students picked "Home Plus," which was investigated in the study. For data treatment, PASW 18.0 was used for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hile AMOS 18.0 was used fo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Data treatment was followed by testing the fitness of a research model and then individual hypothes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of the subvariables of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public good and charity did not have significant impacts on corporate reputation, but social aspect had significant impacts on corporate reputation. Second, corporate reputation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brand image. Third, corporate reputation had influence on purchase intention. Fourth, brand image had significant impacts on purchase intention.

      • 장애인 뉴스포츠 종목 개발자의 스포츠 참여 저해요인 연구

        강경우 단국대학교 스포츠과학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47

        현재 우리나라의 장애 유형은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고 그 정도 또한 다르게 나타남으로서 장애인 생활체육은 획일화된 일부 종목을 중심으로 한 체육활동보다도 다양한 경험과 활동기회를 보장해야 한다. 따라서 다양한 유형과 정도를 가진 장애인의 참여를 높이기 위해서는 새로운 뉴스포츠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장애인 뉴스포츠 활성화를 위한 스포츠 참여 저해요인을 알아보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Currently there are various types, and also varying degrees, of disabilities in Korea so leisure sports for disabled persons have to guarantee various experiences and activity opportunities rather than sports activities centered on certain uniform or standardized sports. So, to enhance participation of persons with varying types and degrees of disabilities, new sports programs have to be developed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07). In this asp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bstacles to sports participation to promote new sports for disabled persons.

      • 스포츠용품의 브랜드이미지가 브랜드신뢰, 브랜드만족 및 브랜드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정만진 단국대학교 스포츠과학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47

        이 연구는 스포츠용품의 브랜드이미지가 브랜드신뢰, 브랜드만족 및 브랜드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며, 브랜드신뢰가 브랜드만족과 브랜드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며, 브랜드만족이 브랜드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스포츠용품 기업의 마케팅전략 수립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독립변수로는 브랜드이미지, 매개변수로는 브랜드신뢰, 브랜드만족, 종속변수로는 브랜드 충성도를 설정하였다. 설문지는 사전조사를 통하여 타당도와 신뢰도 검사를 활용하여 본조사에 활용하였으며, 사전에 교육된 조사원 2명을 이용하여 자기평가기입법으로 작성하도록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ㆍ경기지역의 3개 대학교(S대학교, K대학교, K대학교)에 대학에 재학 중인 남, 녀 대학생 중 나이키 제품이용경험이 있는 대학생 4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4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395부가 회수되었으며, 표집한 전체 표본 395부중에서 연구에 적절치 않은 26부의 자료를 제외한 총 369부를 최종 유효표본으로 활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WIN Ver. 18.0을 활용하여 조사 대상자의 특성은 빈도분석을 하였고, 스포츠용품의 브랜드이미지가 브랜드신뢰, 브랜드만족 및 브랜드충성도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단순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과 절차에 의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브랜드이미지와 브랜드만족과의 관계에서 브랜드이미지의 하위요인인 인식된 가치와 개성이 브랜드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브랜드이미지와 브랜드신뢰와의 관계에서 인식된 가치, 조직의 변수만이 브랜드신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브랜드이미지와 브랜드충성도와의 관계에서 하위요인인 인식된 가치, 개성, 조직은 모두 브랜드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브랜드만족과 브랜드충성도와의 관계에서 브랜드만족도는 브랜드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브랜드신뢰와 브랜드충성도와의 관계에서 브랜드신뢰는 브랜드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the sports utilities industry's marketing strategies by identifying the impact of the brand image on brand confidence, brand satisfaction, and brand loyalty. To satisf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brand image was set as the independent variable, brand confidence and brand satisfaction were set as the parameter, and brand loyalty was set as a dependent variable. The questionnaire was formed based upon the validity and credibility test that was determined by the pre-survey, and it was used via self-assessment system with two trained surveyors. The target population was 400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who are currently enrolled in the three schools, S-University, K-University, and another K-University in Seoul and Gyeong-gi area, and have used the Nike products in the past. Out of 400 hundred questionnaires distributed, 395 of them were collected, and out of collected 395 of them, 369 answers that were determined to be suitable for the research, therefore used as the validity sample. SPSS WIN Ver. 18.0 was used to process the data for frequency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brand image and brand confidence, brand satisfaction, and brand loyalty.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following: First, between brand satisfaction and brand image, the subcategory of brand image which are recognized value and uniqueness, influenced brand satisfaction. Second, between brand image and brand confidence, only the recognized value and group variable influenced brand confidence. Third, between brand image and brand loyalty, recognized value, uniqueness, and group all influenced brand loyalty. Fourth, between brand satisfaction and brand loyalty, brand satisfaction influenced brandy loyalty. Fifth, between brand confidence and brand loyalty, brand confidence influenced brand loyalty.

      • 스포츠선수의 사회공헌활동이 선수 이미지와 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신훈철 단국대학교 스포츠과학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47

        이 연구의 목적은 스포츠선수의 사회공헌활동이 선수 이미지와 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향후 프로스포츠 분야에서 스포츠선수의 사회공헌활동을 전략적으로 실시하는 데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독립변수로 스포츠선수의 사회공헌활동, 매개변수로 선수 이미지, 종속변수로 팀 충성도를 설정하였다. 설문지는 사전조사를 통하여 타당도와 신뢰도 검사를 하였으며, 설문지를 배포하여 자기평가기입법으로 작성하도록 하였다. 이 연구의 대상은 고등학생 이상의 한화 이글스 홈 관중 300명을 모집단으로 총 3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300부를 회수하였고, 회수 후 응답 내용이 불성실하거나 신뢰성이 없다고 판단되는 설문지 27부를 제외한 후 총 273부를 최종 유효 표본으로 선정하여 자료처리를 하였다. 자료처리 방법을 보면, 목적에 따른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SPSS Ver. 17.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였고, 설문지의 타당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요인분석(Factor analysis), 설문지의 요인에 대한 각 변인의 문항 간 신뢰도 측정을 위해 cronbach's α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스포츠선수의 사회공헌활동이 선수이미지, 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과 절차에 의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스포츠선수의 사회공헌활동의 하위요인인 공익성은 선수 이미지의 하위요인인 신뢰성, 매력성, 전문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사회공헌활동의 하위요인인 비상업성은 선수 이미지의 하위요인인 신뢰성, 매력성, 전문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선수 이미지의 하위요인인 신뢰성은 태도적 충성도와 행동적 충성도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선수 이미지의 하위요인 중 매력성은 행동적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고, 태도적 충성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선수 이미지의 하위요인인 전문성은 태도적 충성도와 행동적 충성도에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