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언택트 시대 온라인 청소년 예배 연구

        김성중(Sung-Joong Kim)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4

        코로나19로 말미암아 언택트(Untact) 시대가 도래하였다. 코로나 바이러스의 위협 가운데서 대면이 힘들어졌기 때문에 온라인이 발달할 수밖에 없다. 이런 시대 가운데 하나님께 드리는 예배조차도 온라인으로 드리게 되었다. 온라인에 가장 익숙한 세대인 청소년들은 온라인 예배에 쉽게 적응하는 모습을 보인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도 온라인 청소년 예배는 계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그렇다면 과연 온라인 청소년 예배가 가능한지에 대한 신학적 성찰이 필요하다. 신학적 성찰을 통해 온라인 청소년 예배에 대한 신학적 정당성을 확인하고, 좀 더 나은, 좀 더 바른 온라인 예배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청소년들의 눈높이에 맞춘 온라인 예배, 청소년들의 영적인 필요를 채워주는 온라인 예배가 기획되고, 준비되고, 시행되어야 한다. 본 논문은 예배의 정의, 예배의 요소, 예배의 장, 예배의 역사를 살펴보면서 온라인 청소년 예배에 대한 신학적 정당성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청소년기의 특성을 살펴보면서 온라인 청소년 예배가 왜 중요하고 필요한지를 제시하였다. 그다음 지금 각 교회에서 진행하고 있는 온라인 예배보다 더 발전되고 바른 온라인 청소년 예배를 기획하기 위해 온라인 청소년 예배의 목적과 내용, 방법에 대해 살펴보면서 온라인 청소년 예배의 실제를 제시하였다. With Covid-19, the era of Untact has arrived. Online is bound to develop because face-to-face has become difficult among the threats of the Corona virus. Even in this era, even worship services to God have been offered online. Teenagers, the generation most accustomed to online, seem to easily adapt to online worship. Online youth worship is expected to continue even in the post-corona era. If so, the theological reflection on whether online youth worship is possible is necessary. Through theological reflection, we need to secure theological justification for online youth worship, and strive to make it a better and more accurate online worship service. Online worship tailored to the eye level of youth and online worship that meets the spiritual needs of youth should be planned, prepared, and implemented. This paper presented the theological justification for online youth worship by looking at the definition of worship, elements of worship, places of worship, and history of worship. In addition, while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adolescence, it suggested why online youth worship is important and necessary. Then, in order to plan online youth worship that is more advanced and more accurate than the online worship currently being conducted in each church, the reality of online youth worship was presented by examining the purposes, contents, and methods of online youth worship.

      • KCI등재

        온라인 예배와 온라인 채플- 쟁점과 전망

        안선희 한국대학선교학회 2022 대학과 선교 Vol.54 No.-

        Online worship has been theologically justified on the whole, and its convenience and trendiness promote its use, as recent statistics show. Not all the protestants are, however, satisfied with this new way of worship. The widely accepted thesis of social psychology, ‘A space affects human behavior.’ can explain their dissatisfaction. Offline worshippers are accustomed to the church setting as a space, so they would believe that their worship is properly performed only at the church. They could feel that online worship - not performed at brick-and-mortar church - cannot be a real one for them. Onsite worship participants observe other participants and control their own behavior, accordingly. It is a kind of interactive process. On the contrary, online worship participants receive the contents by themselves, which gives them chances to do other things at the same time, and the contents providers cannot even know who are using their contents. Dissatisfaction with online worship comes from the lack of the experience of sharing the same place as a worship setting. The style of onsite worship in Korean church could be another reason for the dissatisfaction with online worship. Most of the onsite worships are very dynamic. They generate collective enthusiasm, which online worship can not provide. Worship is formed in the context of contemporary cultural development. Contemporary worship can not be formed apart from or beyond the digital culture, even though some worshippers are not satisfied with the new way of worship. 온라인 예배에 대한 신학적 정당성은 대체로 확보되었으며, 최근의 통계조사 결과를 놓고 보자면 편의성 면에서, 또한 시대적 흐름이라는 면에서, 온라인 예배의 활성화 가능성은 인정될 수 있다. 그럼에도 여전히 온라인 예배에 대한 개신교인들의 불만족은 존재하고 있다. 개신교인들이 온라인 예배에 대해 만족하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보다도 온라인 예배를 새로운 낯선 방식의 의례로 받아들일 뿐만 아니라, 낯설기 때문에 불안하고, 적절하지 않다고 느끼기 때문이다. 예배 참여자들의 행동은 오프라인 예배를 수행하는 교회라는 공간에 맞도록 셋팅이 되어 있고, 그 결과 예배당에 모여서 예배를 드릴 때만 비로소 예배를 참여했다고 느낄 수 있게 된 것이다. 이런 이유에서 우리는 예배당이 아닌 다른 공간에서 드리는 온라인 예배를 예배가 아닌 것으로 생각하기 쉽다. 현장 예배에 참여한 사람들은 함께 예배드리는 타자를 관찰하고, 의식하면서, 자신의 행동을 스스로 통제하게 되는 상호작용 속에 머물게 된다. 하지만 온라인 세계에서의 예배에 참여한 사람들은 자신을 지켜보는 눈이 없는 까닭에 개인적인 다른 많은 행위를 예배와 동시에 행할 수도 있다. 현장 예배에서 타인들과 더불어 머물렀던 예배공간에 대한 몸에 밴 경험이 온라인 예배에서는 결여되기 때문이다. 현장 예배의 분위기는 대부분 매우 역동적인데 특히 전자악기를 사용한 크고 빠른 찬양의 시간이 길게 진행된다. 이런 역동적인 모습을 온라인 예배에서는 경험하기 어렵기 때문에 온라인 예배에 만족하기 어렵다고 느끼게 되는 것이다. 예배 생활이란 언제나 동시대에 일어나는 문화적 발전과 더불어 형성되고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 시대의 디지털 문화와 더불어 예배 생활을 형성하고 구성하는 일은 교인들의 불만족을 이유로 피할 수 있는 일은 아니다.

      • KCI등재

        코로나 시대의 온라인 목회를 위한 설교

        류병수 한국실천신학회 2021 신학과 실천 Vol.- No.74

        코로나19의 발현과 함께 전 세계에 확산된 팬데믹(pandemic)은 나라와 민족, 빈부 귀천을 막론하고 생명의 두려움을 가져다 주었다. 아직 끝나지 않은, 언제 일지 모르 는 코로나의 종식을 간절히 기다리며 인류는 힘겨운 시간들을 보내고 있다. 어느 시 대보다 고도로 발달된 의학은 넉넉히 코로나의 종식을 가져다 줄 것으로 믿었으나 무 려 1년이 넘는 시간동안 전세계안에 수백만명의 사상자를 내고 있다. 이런 특수한 상 황 가운데 교회에도 커다란 영향아래 놓이기 시작했는데 그 대표적인 논쟁의 중심에 는 온라인 예배가 자리하고 있다. 코로나로 인한 정부의 예배와 소모임 자제 및 금지 조치는 성도의 감소와 재정적 어려움 그리고 개인의 영성 약화로 나타났다. 이에 정 부의 예배 모임 제한 조치를 바라보는 관점의 차이로 인하여 오프라인 예배와 온라인 예배는 옳고 그름의 재판대 위에 세워져 지난 몇 수개월 동안 숱한 논쟁의 중심에 서 게 되었다. 기독교의 예배는 공동체성 위에서 발전해 왔음을 부인할 수 없다. 또한 특 정 장소에 정해진 날과 시간에 드려지는 예배의 가치를 더욱 발전시켜 왔다. 그러나 작금의 변화된 새로운 상황은 현장을 벗어나 온라인 공간으로 처소를 옮긴 수많은 성 도들과 전도 대상자들을 위한 대안이 절실히 필요한 때임을 요구하고 있다. 팬데믹의 상황이 지속되는 상황 가운데 여전히 대두되고 있는 오프라인 예배와 온라인 예배에 대한 분명한 기준점이 마련되어야만 하는 중요한 시기를 보내고 있다. 이에 필자는 본 논문에서 온라인 예배에 대한 문제를 다루었고, 온라인 예배에서 가장 대두 되는 한국교회의 설교에 대해 살펴 보았다. 그리고 온라인 예배를 위한 새로운 설교의 기 준으로 프래드 크레독의 새로운 설교학을 제시함으로 코로나 시대에 들려지는 말씀과 성도들의 참여를 통한 목회적 방향을 제시 하였다. The pandemic that spread around the world with the emergence of Corona 19 brought fear of life, regardless of country, ethnicity, and rich and poor. Humanity is having a difficult time waiting eagerly for the end of the corona, which is not yet over, and when it may not be. It was believed that more advanced medicine than any other era would bring an end to the corona, but it has inflicted millions of casualties around the world for over a year. This particular situation has begun to have a lot of impact on the church, and online worship is at the center of the debate. Due to the corona, the government's measures to refrain from worship and small groups and to ban them have resulted in a decrease in the number of members, financial difficulties, and weakening of spirituality. Accordingly, due to the difference in view of the government's restrictions on worship meetings, offline worship and online worship have been set up on the court of right and wrong, and have been at the center of numerous debates over the past few months. It cannot be denied that Christian worship has developed on communality. In addition, it has further developed the value of worship that is offered on a specific day and time. However, the current changed new situation demands that an alternative is urgently needed for the numerous believers and Unbeliever who have moved out of the field and moved to the online space. Amid the continuing situation of the pendemic, we are having an important time when we must establish a clear reference point for offline and online worship, which are still emerging. Therefore, in this paper, I dealt with the problem of online worship, suggest a new pastoral paradigm using spiritual ministry, and examine in detail the preaching of Korean churches that are most emerging in online worship. In addition, I tried to present the pastoral direction through the participation of the saints and the words heard by presenting the new homiletics of Fred Credock.

      •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온라인 예배에 관한 고찰

        박해정(Haejung Park) 감리교신학대학교 2020 신학과세계 Vol.- No.98

        2019년 12월 31일 중국 후베이성 우한 지역에서 원인불명의 폐렴환자 27명이 발생했다고 보고된 이후 2020년 4월말 현재에 이르기까지 전세계는 과거에 경험하지 못한 큰 공포를 날마다 경험하고 있다. 코로나 바이러스감염증-19(약칭 코로나19)로 인해서 지난 1월 9일 첫 사망자가 나온 이후 92일 만에 10만 명이 넘는 사망자가 나왔고 4월 29일 현재 확진자 수는 320만 명에 달하며, 사망자 또한 22만 8천 명에 이른다. 이러한 상황에서 온라인 예배에 대한 논란이 있다. 이는 온라인 예배에 대한 적정성 여부에 관한 것이다. 가장 기본적으로 온라인이라는 공간이 가상의 공간이기에 그 공간을 통한 예배가 성경과 신학적으로 타당하냐는 논의이다. 기독교는 예배라는 공동체적 행위를 통해서 발전해 왔다. 물리적 공간을 통해 정한 시간에 함께 모여 예배를 드려야 한다는 예배에 대한 기본적 명제를 고수하는 교회 전통은 온라인 예배의 가능성을 인정하지 않는다. 온라인 예배를 선택해서 드리는 예배 공동체의 경우도 대안으로 선택한 예배이기에, 예배의 방법론과 온라인 예배의 기간에 대한 고민을 하고 있다. 필자는 본 소논문을 통해서 현재 온라인을 통한 디지털 문명이 교회와 예배 공동체에 어떤 영향을 주고 있는지를 살폈다. 이후 온라인 예배에 관한 찬반의 주장을 정리하였으며, 이에 대한 예배학적 고찰을 하였다. 더불어 온라인 성례에 관한 정당성도 살펴보았다. 마지막 결론을 통해서 온라인 예배와 그 예배 공동체가 당면한 과제에 대한 제언을 첨언하였다. Since the end of April 2020, after 27 cases of unexplained pneumonia were reported in Wuhan, Hubei Province, China, on December 31, 2019, the world is experiencing great fears that it has never experienced before. Coronavirus Infectious Disease-19 (abbreviated as Corona19) resulted in over 100,000 deaths in 92 days after the first death on January 9, and as of April 29, there were 3.2 million confirmed cases and reaching death roll as 228,000 people. In this situation, there is controversy over online worship. It is about the adequacy of online worship. The most fundamental is that the online space is a virtual space, so whether the worship through the space is theologically valid with the Bible. Christianity has developed through the communal act of worship. The church tradition of adhering to the basic proposition of worship, which is to gather together and worship at a fixed time through a physical space, does not recognize the possibility of online worship. The worship community offering online worship services is also an alternative worship service, and is considering the methodology of worship and the duration of online worship services. In this study, I looked at how digital development, currently online, is affecting the church and the worship community. Since then, I have summarized the pros and cons of online worship, and conducted a liturgical study on it. I also looked at the pastoral and theological possibility of online sacrament. Through the final conclusion, I suggested recommendations for online worship and the challenges facing the worship community.

      • KCI등재

        포스트 코로나 시대 회중 찬송의 중요성과 기능

        이상일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2022 장신논단 Vol.54 No.5

        The first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imitations and problems of online worship, and the reasons for strengthening on-site worship. The second purpose was to examine the function of congregational singing in overcoming the limitations and problems of online worship and strengthening on-site worship. First of all, this researcher looked at the worship life of Korean church members in the COVID-19 era, focusing on online worship. With the prolonged COVID-19 pandemic, many church members have become accustomed to online worship. Satisfaction with online worship has also increased significantly. However, there were many online worshipers who did not concentrate on worship and did not actively participate. And the weakening of the faith of online worshipers was worse than that of on-site worshipers. After examining the pros and cons of various theologians on online worship, this researcher pointed out four limitations and problems of online worship: 1) lack of presence, 2) limitations and problems with communality, 3) problem of one-sidedness and passiveness, 4) the proportion of sermons and preachers may increase excessively. In the post-COVID-19 era, the restoration of on-site worship is the biggest task of the Korean Church. In order for online worshipers to come to the on-site worship service, there must be a differentiation in the on-site worship service. The researcher emphasized that congregational singing should be strengthened in order to make them experience the vitality of on-site worship. This researcher then examined three more functions of congregational singing related to the limitations and problems of online worship and the necessity of onsite worship. First, congregational singing expresses the union of congregation and strengthens a sense of unity. Second, it allows the congregation to actively participate in worship. Third, it helps the congregation mature in faith. 이 연구의 첫 번째 목적은, 온라인 예배의 한계와 문제, 그리고 현장 예배를 강화해야 하는 이유를 살펴보는 것이었다. 두 번째 목적은 온라인 예배의 한계와 문제를 극복하고 현장 예배를 강화하는 데 회중 찬송이 어떤 기능을 할 수 있는지 고찰하는 것이었다. 본격적인 논의를 진행하기에 앞서, 코로나 시대에 한국교회 교인들의 예배 생활이 어떤지, 온라인 예배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코로나 팬데믹 기간이 길어지면 서, 많은 교인이 온라인 예배에 익숙해졌다. 온라인 예배에 대한 만족도도 매우 높아졌다. 그러나 온라인 예배자 중에는 예배에 집중하지 못하고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는 이가 많았다. 그리고 온라인 예배자들의 신앙 약화 현상은 현장 예배자들 보다 심했다. 본 연구자는 온라인 예배에 관한 여러 신학자의 찬성과 반대 입장을 각각 살펴본 후, 온라인 예배의 한계와 문제를 네 가지 지적했다: 1) 현장감이 부족하다, 2) 공동체성에 한계와 문제가 있다, 3) 일방성과 수동성의 문제가 있다, 4) 설교와 설교자의 비중이 지나치게 커질 수 있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현장 예배 회복은 한국교회의 가장 큰 과제다. 온라인 예배자들이 현장 예배에 나오게 하려면, 현장 예배에 차별성이 있어야 한다. 그들이 현장 예배의 생동감을 경험하게 하기 위해서 라도 회중 찬송이 강화되어야 한다고 본 연구자는 강조했다. 이어서 본 연구자는 온라인 예배의 한계와 문제 및 현장 예배의 필요성과 관련된 회중 찬송의 기능을 세 가지 더 살펴보았다. 첫째, 회중 찬송은 회중의 연합을 표현하고 일체감을 강화한다. 둘째, 회중이 예배에 능동적으로 참여하게 한다. 셋째, 회중의 신앙 성숙을 돕는다. 신앙 성숙을 돕는 첫째 이유는, 찬송이 신앙적 감정을 불러일으키기 때문이고, 둘째 이유는, 찬송이 성경 말씀과 기독교의 진리를 가르치고 신학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 KCI등재

        예배 연구 주제로서의 ‘온라인예배 실행’

        안선희 한국실천신학회 2020 신학과 실천 Vol.0 No.69

        새로운 매체는 매체 사용자의 사고와 존재 양식에 변화를 강제할 뿐 아니라, 나아 가 그 매체를 통한 예배와 교회의 행동 양식까지도 재구조화할 것이기 때문에, 새로 운 디지털 환경 속에서 신앙체험과 신앙실행이 어떻게 변화되고 있는지에 대한 조명 이 필요하다. 이 주제에 대한 선행 논의들은 온라인예배에 대하여 부정적인 결론을 맺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이런 부정적인 결론의 근거로 제시된 것은, 온라인을 통한 예배 참여는 탈(脫) 육체성과 탈(脫) 공동체성이라는 결정적인 한계를 보인다는 것이었다. 오프라인 장소로의 물리적 출석만이 육체를 동반한 예배로의 전인적인 참여라고 말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는 새로운 질문이 제기되고 있다. 이런 새로운 논의와 연구 를 통해, ‘참여’에 대한 이해와 그에 대한 공적 인정이 물리적인 출석에만 한정될 수 없음을 확증할 수 있다면, 우리는 온라인예배 실행에 대한 부정적인 견해를 넘어서서, 예배로의 참여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내올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공동체성이란 개념에 대해서도, 반드시 물리적인 출석을 전제하고, 오프라 인의 특정 장소에 함께 모이는 일이 필수적이어야 하는가에 대해서도 새로운 질문이 제기되고 있다. 이미 온라인상의 네트워크 작업이 여론 수렴의 공론장이 되기도 하고, 나아가 이런 네트워크 작업이 물리적 장소에 구애받지 않는 온라인 공동체의 형성으로 이어지는 사례들이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이때 온라인 공동체는 위계적 구조 자체가 없고, 상호적이고 쌍방향적인 평등주의를 추구하며, 익명의 의사소통이 가능하 다는 특징들을 보인다. 개방성, 경계의 유연함, 먼 거리를 가로질러 시간을 공유하는 동시성, 그리고 자유로운 공간으로서 온라인상에 ‘재현된 공간’ 등이, 온라인 공동체의 기반이라고 말할 수 있다. 온라인예배 실행도 가상공간이라는 기반 위에서 공동체성 을 구축하고 또 유지할 수만 있다면, 탈(脫) 공동체적이라는 부정적 비판을 피할 수도 있을 것이다. Today, our daily life is dominated by online world, which changes the way of religious behaviour, let alone the way to get religious information. We have to look into how religious experience and practice change, as the new media mediated digitally brings about general change in religious-cultural situation. New media will change the way of their users’ existence and thought, and reconstruct the worship and the act of church through the media. But most of the preceding discussions on this subject reach negative conclusions based on the argument that online participation in worship lacks sense of community and bodilyness, which is a decisive limitation; the sense of community can be fulfilled only by the physical vicinity of the participants, and only the presence at public worship should fulfill bodilyness as the premise for the wholeness of human being. According to the opponents of online worship performance, the sense of community and bodilyness can be fulfilled by physical presence at brick and mortar space only, and it is the requirement for genuine worship. A question arises whether we can say that physical presence at brick and mortar worship should be the only participation, and related discussions are on actively underway worldwide. Numerous incidents of digitally mediated online worship performances appear worldwide, and they cross over different denominations or religious orders. If conception and acknowledgment of ‘participa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physical presence, we have to go beyond the negative opinion about online worship, and yield a new understanding of participation in worship. Another question arises whether it is the prerequisite for the sense of community to be physically present at a specific brick and mortar venue. We have been witnessing incidents that online network serves as a site for collecting public opinion, and progressing to build online community not limited by physical space. Online communities are free from hierarchical order, seeking for egalitarianism of mutual and interactive communication. Anonymity in communication is another characteristic they have. Openness, flexibility in boundaries, simultaneity crossing spaces, and ‘representational space’ online as free space, build the foundation for online community. If online worship performance can build and maintain the sense of community on line, it can dispel the criticism for its lack of the sense of community. Liturgists can not ignore the calling of our time to maximize the opportunities given by online media and expand the prospect of liturgical studies, minimizing risks they could cause.

      • KCI등재후보

        예배의 본질과 온라인 예배

        진지훈 ( Jin Jihoon ) 한국교회법학회 2020 교회와 법 Vol.7 No.1

        코로나 19 바이러스 감염의 확산으로 제대로 된 신학적 논의나 준비가 없이 시작한 온라인 예배를 진단한다. 먼저, 교회사 속에서 공동체 예배의 의미와 핵심 가치가 무엇인지를 논하고 이어서 온라인 예배의 가능성과 문제점을 신학적으로 평가하고 현실적인 대안을 제시한다. 구약의 공동체 예배는 특정한 날과 장소에 제한되었다. 하지만 임마누엘이신 예수님의 오심으로 시간과 장소의 제약이 사라졌다. 또 구약의 예배는 출애굽 사건을 소환하여 재 진술하는 형태였지만, 신약의 예배는 예수님의 십자가와 부활을 소환하여 재진술한다. 기독교 역사 속에서 예배는 교회적 행사로서의 공동체성을 가지면서 말씀과 성례의 이중 구조를 형성하고 지켜왔다. 따라서 오늘날 우리들의 공동체 예배도 그 역사적 연속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공동체성과 말씀과 성례의 이중 구조를 훼손하지 않아야 한다. 만약 그것들이 지켜진다면 그 외의 것들은 얼마든지 변화와 새로운것들의 수용이 가능하다. 여기에는 쌍방향 의사소통이 가능한 오늘날의 디지털 문화도 마찬가지다. 여기에서 우리는 온라인 예배의 가능성을 말할 수 있다. 온라인 예배는 대규모 집회 장소 없이도 공동체의 동질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동시에 성찬을 할 수 없다는 취약점이 드러났다. 하지만 초대교회 때도 부득불 예배에 참석하지 못한 사람들에게 집사들을 통해서 떡과 포도주를 보내 집에서 그것을 먹고 마심으로 성찬에 참여하게 했다는 기록은 온라인 예배 시에 가정에서 미리 준비된 떡과 포도주를 실시간으로 함께 먹고 마시는 것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온라인 예배는 코로나 19라는 예상치 못한 사건 속에서 찾은 창의적 방법이라는 데 의미가 있다. 하지만 온라인 예배가 단순히 첨단 기술을 사용하여 인간의 편리함을 추구하는 형태로 변질되어서는 안 된다. 하나님이 일반은총으로 주신 디지털 문화를 선하게 사용하여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는 온라인 예배를 만들어 가야 할 것이다. This research diagnoses the online worship service that recently issued with Covid-19 pandemic.64) First, it discusses the meaning and core values of the worship in church history, then theologically evaluates the possibility and problems and suggests some guide lines for the online service. Worship in the Old Testament era was restricted to specific days and places. After coming of Jesus, however, all limitations disappeared. In the Old Testament, people recalled and restated the Exodus event for the worship, but we call and restatement the cross and resurrection of Jesus. In the church history, worship has formed and preserved a twofold structure of word and sacrament. And also oneness was another core component because worship was an ecclesial event. Therefore we must keep these characteristics in order to maintain the historical continuity of Christian worship. Others can change and accommodate new ones. It is not different for digital culture in the cyber society in which two-way communication is possible. We can speak of the possibility of online worship service. Online worship service has the advantage of securing homogeneity of community without gathering in physical place. But it was evaluated having an important weakness of being unable to celebrate the sacrament. However, we can find the record that people who did not attend the worship service also joined the sacrament taking bread and wine delivered by the deacons in the early church. Here, we can see the possibility of Sacrament in the online worship service. It is meaningful that online worship is a creative method found in the unexpected event of Covid-19. However, online worship service should not be abused for human convenience. We have to develop online worship service that pleases God using the digital technology as a common grace

      • KCI등재

        비상 상황 하의 온라인 예배 매뉴얼의 이론과 실제 모색

        김순환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2021 복음과 실천신학 Vol.58 No.-

        교회는 긴 역사 속에서 내외의 여러 변화와 도전 속에서도 그 중심 행위인 예배를 멈춘 적이 없다. 작금의 코로나19로 인한 비상 상황 속 에서 교회는 신속하게 대처하여 예배 중단 위기를 극복하고 뉴 노멀 방 식의 온라인 예배를 시행하게 되었다. 하지만 이런 팬데믹에 의한 비상 상황들은 단지 지금 뿐만 아니라 앞으로도 빈발할 수 있다는 예고가 있 는 만큼 교회는 이에 대한 대비와 준비에 적극 나서야 한다. 이런 점에 서 교회는 한편으로는 향후 사회 문화적 변화 환경 속에서 그에 따라 변화하고 있는 회중들의 상황을 적절히 이해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그 런 중에도 복음의 본질에 대한 확고한 재확인 속에서 예배의 방식과 범 위를 전향적으로 넓혀 나가는 기회로 삼아야 한다. 즉, 교회 건물의 울 타리에만 갇혀 있지 말고 사회와 가정의 예배로 구체적으로 확장되어 나가야 한다. 이를 위해서 교회 목회 차원에서 준비해야 할 일과 회중 들을 그에 따라 교육하는 일들이 중요하다. 그 안에는 예배 내용 면에 서의 준비들이 있는가 하면 전달 방안들에 관한 것들이 있다. 교회들의 예배의 형식은 역사와 전통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되어 왔기 때문에 다 양성을 띠고 있으며 그런 다양성을 긍정하여야 한다. 다만 역사적으로 모든 예배 안에서 공통적이며 중요한 골간이 되어온 성분들, 즉 말씀, 기도, 찬미, 응답 등을 중시하면서 그것들을 중심으로 오늘의 온라인 예배 방식에 발전적으로 적용해 나가야 할 것이다. Historically, the church has never stopped worships despite different diverse challenges both inside and outside. It is fortunate today that most of the current churches have responded quickly to the present covid19 crisis and are overcoming well difficulties caused by it in changing the way of worship based on new normal online media system. However, the current crisis should not be viewed as temporary, rather it is needed to anticipate that it will probably more often occur in the coming future. From this point of view, on the one hand, the church should better have changed way of thinking by new normal standard to deal with such unpleased future. At the same time she should extend her idea about liturgical spaces, so that she attempts to reach her worship space or dimension more to people’s daily life while she holds more firmly to gospel itself. In worship, there may be diverse different elements or forms throughout the history, but there must have been also core component units such as words, prayers, praises, and responses. While the adaptation of online media for worship and changes in forms or styles according to the current crisis, these core components should never be disregarded as well.

      • 코로나19 이후 온라인 장애인 예배의 실태

        한규비(Han, Gyu Bi) 한국장애인재단 2021 장애의 재해석 Vol.2021 No.-

        위드 코로나 상황에서 온라인 장애인 예배는 현장 예배와 더불어 지속적으로 공존하는 또 다른 새로운 예배의 장이 될 것이다. 또한 장애인에게도 예배를 드릴 수 있는 권리를 보장하고 종교의 자유를 증진시킬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줄 것이다. 현재 현장 장애인 예배에 대한 연구 결과는 존재하지만 코로나 이후 온라인 장애인 예배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상태이므로 차별 없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서 온라인 장애인 예배를 관찰 조사해보는 시도는 필수적인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코로나 이후 형성되었던 2019~2021년까지의 온라인 장애인 예배가 연구 대상이 될 수 있다. 연구는 참여관찰조사 방법을 이용하여 현재 방송되고 있는 온라인 장애인 예배를 직접 조사하였고 총 10개의 기준을 바탕으로 구조적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후 이를 바탕으로 보고서를 작성하여 개선점과 대안 예배 모델을 제시하였다. 수평적인 관계 안에서 사랑을 실천하고자 하는 기독교적 가치관의 관점으로 현재 온라인 장애인 예배를 운영하고 있는 교회의 예배를 분석한 결과 예배 형식, 구조, 특징, 진행 등의 부분에서 개선할 점이 발견되었다. 바로 이런 점에서 환경적 지원 방안, 하이브리드 예배, 참여적 예배 모델, 퍼포먼스적 예배 모델 등 다양한 예배 모델을 제시함으로써 앞으로 위드 코로나 상황에서 교회가 추구해야 할 장애인 예배를 공유한다. 온라인 장애인 예배가 지녀야 할 중요한 특징은 주체성, 수평적, 비전형적, 참여성 등이었다. 다시 말해, 예배에 참석하는 장애인들이 주체가 되어 예배에 참여하고 예배를 통해 가상의 공간에서 하나님께 기도와 찬양, 말씀을 봉독하는 과정에서 수평적인 구조가 요구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예배의 세밀한 요소들이 장애인 당사자들의 입장에서 변화되어야 하고 끊임없이 추가해야 할 부분들이 존재한다. 비장애인은 장애인과 다른 사람들이 아니다. 그들도 예비 장애인이며 우리 모두가 한 마음으로 예배를 드리고 하나님을 자유롭게 만날 권리가 있음을 재해석해야 한다. 기독교 관점으로 하나님 형상대로 지음 받은 인간 모두는 누구 하나 빠짐없이 사랑받을 가치가 있는 존재들이며 그런 우리에게는 함부로 누군가를 판단하고 혐오할 자격이 주어지지 않는다. 예배란 장애인들에게도 꼭 필요한 종교적 생활양식 중 하나라고 할 수 있으며 사랑과 공동체 의식이 전제되어있는 하나님 나라를 미리 맛보는 것이 예배인 만큼 그들이 하나님 나라를 누릴 수 있는 장을 마련하는 것이 교회의 중요한 임무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예배는 하나님 나라의 리허설로 나이, 성별, 인종, 가치관 등을 뛰어넘어 하나가 되는 공동체로서 편견과 차별을 탈피하는 방식으로 수행되어야만 한다. In the With Covid situation, online worship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will be another new place of worship that continues to coexist with on-site worship. It will also guarantee the right to worship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create an environment that promotes religious freedom. Although there are currently findings on on-site worship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research on online worship with disabilities after the Corona is lacking, and attempts to observe and investigate online disability worship in order to create a society free of discrimination are essential tasks. In this sense, online disability worship from 2019 to 2021, which was formed after corona, may be the subject of research. The research was conducted using participatory observation survey methods to directly investigate currently broadcast online disability worship and conducted structural analysis based on a total of 10 criteria. The report was then prepared to provide improvements and alternative worship models. An analysis of the worship of the Church, which currently operates online disability worship, from the perspective of Christian values seeking to practice love in a horizontal relationship, found improvements in the format, structure, characteristics, and progress of the church. In this respect, we share the disabled worship that the Church should pursue in the With Covid situation by presenting various worship models, such as participatory worship models and performance worship models. An important feature of online disability worship was subjectivity, horizontal, non-visionary, and engagement. In other words, horizontal structures were required as disabled people attending worship became subjects, participating in worship, and offering prayers, praise, and words to God in a virtual space through worship. To make this happen, the finer elements of worship had to be chang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disabled parties, and there were parts that needed to be added. Non-disabled people are not different from people with disabilities. They, too, are prospectively disabled and we all have the right to worship with one heart and meet God freely. Worship is one of the essential religious lifestyl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s such, worship should be carried out in a way that breaks away from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as a community that goes beyond age, gender, race, and values etc. in the rehearsal of the nation of God.

      • KCI등재

        미디어에 물든 기독교 신앙 : 코로나 기간 동안의 경험을 통해 살펴 본 온라인 예배의 의미와 한계

        이민형 한국실천신학회 2022 신학과 실천 Vol.- No.79

        Because of COVID-19, it has become hard for Christians to gather together in the church. Consequently, it has promoted the development of the online worship service. In the beginning of COVID-19, many scholars and ministers insisted that it is mandatory to examine the applicability of the online worship service first. However, as the situation got worse and a means of participating in the worship services remotely was seriously required, many churches utilized online media and started to provide the online worship services. It has been three years since churches started to provide the online worship services, and it has influenced Korean Christians’ faith practices one way and another. Fortunately, the influence of Corona virus is waning and most Korean churches hope to recover their past. Thus, it is the right time to evaluate how the online worship service has changed Korean Christians’ faith as well as to study how the change affects future ministry. This study analyzes and interprets the result of “the Survey of Korean Churches’ Worship and Spirituality during COVID-19” conducted from February 22 to March 3 by Christian Institute for the Study of Justice and Development. In specific, it tries to figure out the meaning and limitation of the online worship service which was the main faith practice of Korean Christians during COVID-19. Based on the result, moreover, this study will anticipate which elements Korean churches should consider seriously for its future ministry. Ultimately, this paper will be an evaluation of the Korean churches’ worship service during COVID-19 and also a cornerstone from which various theological studies on Korean churches’ future will be initiated.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해 교회에 모이는 것이 어려워진 상황에서 온라인 예배는 새로운 종교적 예식으로 자리 잡았다. 코로나 기간의 초기만 하더라도 많은 학자들과 목회자들은 온라인 예배의 활용 가능성에 대한 연구와 평가가 선행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하지만 상황이 급격하게 악화되고, 비대면 예배를 드리기 위한 방편의 필요성이 높아지자, 여러 교회들은 아직 검증이 채 되지 않은 온라인 미디어를 사용해 예배를 드리기 시작했다. 그렇게 온라인 예배로 신앙생활을 해온 지도 3년째에 접어들었고, 새로운 미디어를 통한 종교예식은 개신교인들의 신앙에 여러모로 영향을 미쳤다. 다행히 코로나 바이러스의 영향력이 약화되어 대부분의 교회가 일상의 회복을 희망하는 지금, 한국교회는 그동안 온라인 예배가 개신교 신앙 지형에 어떠한 변화를 초래하였는지, 그리고 그것이 향후 목회 방향에 어떠한 영향을 줄 지에 대한 평가 및 연구를 진행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22년 2월 24일부터 3월 3일까지 “한국기독교사회문제연구원”에서 실시한 “코로나19 시대, 한국교회의 예배와 영성에 대한 조사” 중 “코로나19와 예배” 파트의 설문 결과를 분석하고, 그 의미를 해석하여 한국교회와 신학계에 보고하려 한다. 특히 코로나 기간 동안 개신교인들의 신앙 활동의 중심이었던 온라인 예배가 한국 개신교인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분석함으로 온라인 예배의 의미와 한계를 고찰할 것이다. 더불어 이를 근거로 앞으로 한국교회는 어떤 부분에 관심을 기울여야 할지를 예상해 보려 한다. 이는 코로나 기간 동안 한국교회가 중점을 둔 바에 대한 일종의 평가가 될 것이며, 향후 한국교회가 나아갈 방향에 대한 연구의 초석이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