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민간경비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강한곤(Kang Han Gon) 한국공안행정학회 2010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19 No.4

        최근 치안수요의 증가로 인하여 민간경비에 대한 수요가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민간경비업의 저변확대와 민간경비원들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양질의 치안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초로써 민간경비원의 삶의 질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를 수행하였다. 조사를 위하여 이 연구에서 이용된 방법으로는 문헌연구와 민간경비원을 대상으로 실태조사 그리고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여 의견을 반영하였다. 실태조사는 2008년 7월 20일에서 8월 20일까지 설문지를 통한 자기기입방법으로 삶의 질에 대한 인식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자는 시설경비, 호송경비, 기계경비, 신변보호경비, 특수경비 등의 경비업체 중에서 근무하는 민간경비원을 모집단으로 설정하여 서울, 인천, 대구, 부산 등의 4개 지역에서 근무하는 400명의 민간경비원을 다단계층화집락표집으로 표본을 추출하였다. 특히 민간경비원은 일반경비원과 특수경비원으로 구분되며, 일반경비원은 다시 시설경비, 기계경비, 호송경비, 신변보호로 구분되므로 이러한 경비유형별 특성을 반영하여 구분하였다. 연구 결과 민간경비원의 삶의 질 영역별 만족도가 민간경비원의 전반적인 삶의 질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다. 민간경비원의 삶의 질의 영역별 만족도 중 건강만족도, 주거가족만족도, 재정만족도, 여가생활만족도가 전반적인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 건강만족도, 주거가족만족도, 재정만족도, 여가생활만족도가 높을수록 민간경비원의 전반적인 삶의 질 만족도는 높았다. 따라서 민간경비원의 삶의 질이 전반적으로 향상되기 위해서는 건강만족도와 주거가족만족도, 재정만족도, 여가생활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위한 구체적 방안으로는 민간경비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하나인 건강만족도는 삶의 질에 있어서 기본이라고 할 수 있으므로 건강만족도를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직장생활에서 오는 부담감을 해소하거나 경감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 또한 주거가족만족도 및 여가생활만족도 역시 민간경비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 무엇보다 중요한 요인으로 판명되어 직장생활을 하면서 동시에 가족과 친구들과 관계를 개선시키고 여가생활을 즐길 수 있는 시간적 여유를 지원해주는 정책이 필요하다. 그리고 재정 만족도와 관련하여 민간경비원의 낮은 보수는 가구재정의 열악성으로 이어지고 이는 다시 주거생활에 대한 불만족과 직결된다는 점에서 보수의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보인다. These days, demands for private security services are increasing. Thus, the research would identify the life quality of private security guards, corroborate the extent of the quality, consequently suggesting the ways to improve the life quality of those private security guards. For the research and experiment the paper conducted a research on written documents, interviews on security guards and experts. Interviews were conducted between July 20th, 2008 and August 20th, 2008, and the method was spreading the questionnaire. The sample was taken through questionnaire spreaded to 400 guards working at private companies to assistant facility guards, transportation guards, machine guards, body guards, specialized guards through out four regions of Korea at Seoul, Incheon, Daegu, and Busan. Especially private security guards are categorized into regular securities and specialized securities and those regular securities are again categorized into facility guards, machine guards, transportation guards, body guards. The result granted through the experiment is following. The research on overall satisfaction levels on life qualities affected by satisfactions levels on each categories showed satisfaction levels on health, housings, financial matters, leisure affects overall satisfaction levels. In another word,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levels on overall life quality and satisfaction levels on health, housings, financial matters, leisure was direct and proportional. As a result, it is evident that to improve overall life quality of the private security guards it is necessary to improve satisfaction levels of health, housings, financial matters, and leisure. Specifically it is essential to improve satisfaction levels of health, for the quality is a basic quality that affects basic life quality. To do so, it is necessary to set fundamental, or institutionalized, policy that helps private security guards to relieve stresses from the workplace. As well it is also necessary to increase the amount of time spending on leisure activities to improve relationships between family and friends after getting out of the workplace. In addition, the increased amount of salary is needed to prevent private bankrupt situation of those security guards caused from lack of funding because of low levels of salary, which leads to lowering of satisfaction levels on financial matters. In fact it has been thought that the fundamental cause of lowering the life quality of security guards as well as workers from other fields of industries was low levels salary. Consequently South Korean government has set an institutional policy to help workers having opportunity to get fair judgement on their ability and level of salary. Unlike the ideal, the research proves that the salary level of those private security guards is still too much underestimated.

      • KCI등재

        발달장애성인의 삶의 질 측정도구 개발을 위한 문헌연구

        정지희,홍주희,박승희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9 특수교육 Vol.18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literature review providing a research base for developing a measurement instrument for quality of life for the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Korea. Method: The total of 43 articles on the quality of lif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published in Korea 2000-2018 and 20 articles on the measurement of quality of life of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published in foreign countries 2008-2018 were analyzed to identify a research trend and themes of the research results and the domains and associated exemplary indicators of quality of life. Results: While the majority of Korean studies has focused on the quality of life issues of persons with sensory or physical disabilities, the studies addressing the quality of life of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s lacking and development of quality of life measurement scale is highly needed. The common eight domains for quality of life and exemplary indicators were identified based on the review of the foreign research articles on the various measurement scales for quality of life of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Conclusion: These findings could provide a knowledge base that can be used to generate the domains and to devise and to write associated indicators of quality of life to develop a valid and reliable measurement scale for the quality of life of Korean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연구목적: 본 연구는 국내외 발달장애인 삶의 질 측정도구 관련 연구동향과 각 도구별 특성을 분석하여 국내 발달장애성인을 위한 ‘삶의 질 측정도구 개발’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00년 이후 국내에서 발표된 장애인의 삶의 질 관련 선행연구 43편의 연구동향을 분석하였고, 2008년 이후 국외에서 발표된 장애인 삶의 질 측정 관련 20편 연구를 통하여 발달장애인 삶의 질 측정도구의 개발 및 활용에 관한 문헌연구의 동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국내 선행연구를 분석한 결과 다수의 연구는 지체장애인과 감각장애인의 삶의 질에 초점을 맞추고 있었으며 상대적으로 발달장애인의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은 부족한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국외 발달장애인 삶의 질 측정도구 관련 연구의 분석을 통해 각 연구에서 활용된 측정도구의 특성을 파악한 결과, 각 도구별 삶의 질을 구성하는 영역 간에는 차이가 있었으나 그 중에서도 공통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발달장애인의 삶의 질을 구성하는 8가지 하위영역들과 각 영역에서 대표적으로 측정하는 내용을 판별하여 제시하였다. 결론: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한국 발달장애성인의 삶의 질 측정 도구 개발을 위한 논의점과 후속연구를 제언하였다.

      • KCI등재

        시민의 삶의 질 선행 요인 규명에 관한 연구 : 일반 가구와 저소득층 가구의 비교를 중심으로

        박성민,김선아 한국행정연구원 2014 韓國行政硏究 Vol.23 No.4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경제활동 인구(실업자 제외)를 대상으로 개인의 삶의 질을 결정짓는 선행요인으로서 기존 연구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었던 경제적 요소인 물리적 환경과 더불어 자아존중감 우울감 등과 같은 심리 자본, 사회 자본 등 비경제적 요소 등을 포괄적으로 다루어 이들 간의 중요성을 비교·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분석대상을 일반 가구와 저소득층 가구로 구분하여 분석을 시도하였다. 일반 가구와 저소득층 가구는 물리적 특성의 차이뿐만 심리적·정서적 차원에서도 차이를 갖고 있으므로 삶의 질 향상 정책을 수립하는데 있어 차별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었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본 연구에서는 물리적 삶의 질, 정서적 삶의 질, 총체적 삶의 질 등으로 구분하여 삶의 질에 접근하였다. 또한, 삶의 질 수준 및 영향요인 분석을 위해 선행요인과 결과요인의 시간차원을 3개년도로 구성하여 분석함으로서 시간 및 환경 변화에 따라 삶의 질 수준이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살펴보았다. 삶의 질 영향 요인 및 삶의 질 인식에 대한 집단 간 차이 검증 결과 2006년, 2009년, 2012년 모두 건강 상태, 주거 수준, 경제 수준, 자아존중감, 상호호혜성 등에서 저소득층 보다 일반 가구의 인식 및 만족도 수준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을 알 수 있었고 일반 가구와 저소득층 가구의 삶의 질 수준을 결정하는데 있어 가장 중요한 요인은 우울감과 자아존중감과 같은 심리적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주요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행정학·정책학적 시각에서 시민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이론적·실무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암 환자의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정도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일개 종합병원을 대상으로

        김보라,심민정,장수빈,김혜민,이재신 대한작업치료학회 2012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0 No.3

        목적 : 본 연구는 암 환자의 특성에 따른 수단적 일상생활활동과 삶의 질 차이를 확인하고 이들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고 자 하였으며 암 환자가 필요로 하는 작업수행영역과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확인함으로써 암 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하여 작업수행에 바탕을 둔 환자중심적인 작업치료의 필요성을 제언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암으로 진단을 받은 만 18세 이상의 입원이나 외래로 치료를 받고 있는 암 환자 3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설 문지를 통하여 대상자의 특성을 조사하였고 Frenchay Activities Index(FAI)를 이용하여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정도를 측정하였으며,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COPM)으로 작업수행영역을 확인하고, SF-36으로 삶 의 질을 측정하였다.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정도와 삶의 질은 독립표본 t-test와 ANOVA를 사용 하였고,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정도와 삶의 질 간의 상관관계는 피어슨 상관관계분석(Pearson’s Correlation Efficient) 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작업수행영역에 따른 삶의 질을 확인하기 위해 기술통계와 ANOVA를 사용하였으며, 삶의 질 영향 요인은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 : 대상자는 입원 여부에 따라서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정도에 차이가 있었으며, 직업, 경제상태, 입원 여부에 따라 삶 의 질에 차이를 나타내었다.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정도와 삶의 질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작업수행영역 중 여가에 의의를 둔 대상자가 가장 많았으며 생산적인 활동에 응답한 대상자의 삶의 질이 가장 높았다.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는 수단적 일상생활활동과 경제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암 환자의 수단적 일상생활활동과 삶의 질은 유의한 관계가 있으며 암 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하여 작업수행을 바탕으로 한 환자중심적인 작업치료의 역할이 강조된다.

      • KCI등재

        여성독거노인의 삶의 질 영향요인

        김희경(Kim, Hee Kyung),이현주(Lee, Hyun Ju),박순미(Park, Soon Mi) 한국노년학회 2010 한국노년학 Vol.30 No.2

        본 연구는 여성독거노인의 삶의 질 정도를 파악하고 여성독거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들을 파악함으로서 여성독거노인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서술적 조사연구로써 도시지역 D시 5개구에 거주하는 여성독거노인 257명을 대상으로 2009년 7월 1일부터 7월 21일까지 건강상태지각 도구, 통증 도구, 일상생활활동 도구, 외로움 도구, 우울 도구 및 삶의 질 측정도구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 하였으며 평균 및 표준편차,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단계적 다중회귀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257명의 여성독거노인의 평균연령은 75.7세, 대부분 사별하였으며 과반수가 의료보호혜택을 받고 있었고 전세나 월세에서 생활하며 월 소득이 50만원 미만이 대부분이었다. 과반수이상의 여성독거노인이 정부와 구청으로부터 지원을 받고 있었고 생계비가 부족하며 가정생활에 불만족하고 현재 지속적으로 통증을 느끼며 평균 통증기간은 8년이었다. 또한 건강이 좋지 않다고 지각하고 보통 이상의 일상생활활동이 가능하며 보통이하의 외로움을 느끼며 우울은 보통 이상으로 경험하고 있었으며 삶의 질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성독거노인의 학력, 주거형태, 주요 수입원, 생활수준, 정부 외 보조, 생계비 만족여부, 생활비 부족분야, 가정생활 만족도, 통증유무, 통증정도에 따라 집단 간 삶의 질 정도에 차이가 있었으며 통증, 외로움은 삶의 질과 역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상관성 정도가 낮았고, 일상생활활동과 우울이 삶의 질과 약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건강상태지각과 삶의 질은 보통이상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여성독거노인의 삶의 질에는 건강상태지각, 우울, 일상생활활동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여성독거노인의 삶의 질 정도에 차이를 나타낸 변수들을 고려하여 여성독거노인의 간호활동 및 간호교육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 여성독거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반복 연구하며 건강상태지각, 우울, 일상생활 활동을 고려한 간호중재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여성독거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유도할 필요가 있으며,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기타의 변인을 밝혀내기를 제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levate the quality of life in elderly women living alone by identifying the degree of perceived health status, pain, activities of daily living(ADL), loneliness and quality of life, comparing with the degree of quality of life by general characteristics, analyzing the correlational relationship of variables, and examining whether the quality of life of them is related to influencing factors. Subjects were 257 elderly women living alone, from July 1 to July 21, 2009. The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PSS program for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degree of quality of life of elderly women living alone was 2.83 with a possible range of 1 to 5. The correlated factors of quality of life included perceived health status(r=.620, p=.000), ADL(r=.491, p=.000), basic ADL(r=.465, p=.000), instrumental ADL(r=.457, p=.000), and depression(r=-.371, p=.000). The most powerful predictor of quality of life among them was perceived health status. Perceived health status(31.3%), depression(7.6%), and ADL(3.6%) accounted for 42.5% of quality of life. This study suggests that perceived health status, depression, and ADL should be considered in enhancing the quality of life programs designed for them.

      • KCI등재

        잘 사는 국가는 행복한가?

        서문기(Moon-Gi Suh) 한국사회학회 2015 韓國社會學 Vol.49 No.1

        기존 연구가 삶의 질을 정치경제적 조건으로 접근하거나 경제성장의 결과에 초점을 두어 온 데 비해, 본 연구에서는 삶의 질이 외적으로 주어지거나 일시적인 현상이 아니라 사회구성원의 능력을 실현시킬 수 있는 기회라는 관점에서 삶의 질의 분석영역을 확장하는 데 방점을 둔다. 이를 통해 국제지형에서 사회발전의 특징을 분석하고 핵심변수를 체계적으로 검증함으로써 삶의 질에 관한 분석틀을 발전시키고자 한다. 방법론적으로는 국가간 비교분석자료를 중심으로 삶의 질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며, 경제성장, 소득분배, 국가의 질, 사회의 질 등이 핵심변수로서 통제된다. 회귀분석의 결과는 경제성장의 역설에 관한 가설을 지지하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역U자형 곡선 형태를 보여준다. 아울러 경제성장, 소득분배, 국가의 질이 삶의 질에 대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데 비해, 삶의 질의 객관적 및 주관적 차원이 함께 가고 있지 않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경제성장이 증가하는 만큼 삶의 질이 나아지는 것이 아니라는 점은 물질적 조건 이상의 가치를 내포하며, 삶의 질에 대한 거버넌스의 효과는 국가와 사회의 정합성이 사회발전의 중심축이라는 것을 말해준다. 다만 선행 연구에서 밝혀지지 않은 사회참여 및 제도신뢰의 변수가 삶의 질을 향상시키지 않는다는 사실은 보다 광범위한 요인들이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점을 함의한다. 새로운 패러다임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삶의 질을 둘러싼 사회구조적 환경이 어떻게 질적으로 변화하는가에 대한 사회학적 통찰력이 필요하며, 개별 사례에 대한 질적인 연구를 향후 과제로 남겨놓고 있다. This paper attempts to explore the scope for heterogeneity of the quality of life to the prosperity of nations in the global community, debunking political or economic approaches which have failed to unravel the puzzle of development fully. These considerations lead to a sociological insight that neither opulence nor utility constitute adequately represent quality of life. It highlights some of the key ideas promoted by the notion of developmental denominators in the quality of life model. The bivariate test supports the Easterlin thesis that economic growth have an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in an inverted U-shaped curve. The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presents the potential applicability of the framework and advances the issue of whether or not economic growth, inequality, governance quality are working on the same page in the objective and subjective quality of life. Beyond the continued approach to the use of a single yardstick, it suggests economic growth not only be questioned or challenged on the fundamental level, but be adjusted to basic formulations for quality of life. Future research lays to rest any remaining concerns about the possibility of making the new framework operational.

      • KCI등재

        공무원(公務員)의 삶의 질(質)에 영향(影響)을 주는 요인(要因) 연구(硏究)

        김미숙 ( Meesook Kim ),조경호 ( Kyung-ho Cho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0 保健社會硏究 Vol.20 No.2

        본 연구는 공무원의 삶의 질 수준과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삶의 질은 객관적 차원과 객관적 차원에 대한 주관적 인식으로 나 뉜다. 공무원의 6개 객관적 영역 및 10개 주관적 영역에서의 삶의 질 수준을 알아보기 위해서 중견기업에 근무하는 민간기업종사자의 수준과 비교하였다. 또한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서 삶의 질을 구성하는 대표적인 10개의 영역에 대한 만족도가 삶의 만족도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나를 살펴보았다. 아울러 공무원이 대부분의 삶을 보내는 직장생활에서 어떠한 요인이 유의한 영향을 주나를 분석하기 위하여 직장생활 관련 10개 영역 의 만족도가 직장생활 만족도에 주는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공무원의 삶의 질은 객관적 차원에서는 총 6개 영역 중 월수입, 가구수입, 주거형태, 휴가일수 등 4개 영역에서 민간기업종사자보다 열악한 수준임이 판명되었다. 주관적 차원에서는 총 10개의 영역 중에서 교통·통근 영역에서만 공무원의 만족도가 높았고, 건강상태, 직업생활, 가족생활, 가구재 정, 주거생활, 여가시간, 친구관계 등에서 민간기업종사자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그리고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도 낮았다. 공무원의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직업생활, 가족생활, 가구재정, 여가시간, 친구관계, 지역사회, 한국거주 만족으로 나타났다. 이 중에서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직업생활로 국민의 존경심이 가장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공무원의 삶의 질을 제고하기 위해서 공직생활에 대한 사회적 인식 제고, 보수향상, 승진기회 확대 등이 필요하고 아울러 가족과 직장생활을 양립할 수 있는 가족친화적 정책이 필요함을 지적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quality of life of public employees and to find factors affecting their quality of life (QOL). There are two aspects of the quality of life: objective and subjective dimensions. These dimensions of QOL of the public employees are compared with that of private sector workers. Ten areas of satisfaction in life are selected as independent variables to determine the factors affecting QOL. In addition, ten areas of satisfaction of workplace where civil servants spend most of their time, were selected to find factors affecting work satisfaction. It was found that in the objective dimension, in four out of six areas - monthly income, family income, living arrangements, and leisure time - public employees were treated less favorably than their private sector counterpart. In terms of subjective dimension, in seven out of ten areas - health, work, family life, family income, living arrangements, and relationship with friends, - and in the overall quality of life, public employees have lower satisfaction than private sector counterpart. It turned out that the satisfaction with work, family life, family finances, friends, community and country are affecting QOL. Among these factors satisfaction with work affected QOL most. In respect to satisfaction with work, factors such as income, coworkers, department, autonomy, and people`s respect toward public employees turned out to be significant. To improve QOL of public employees, this study suggests, it is necessary to raise income, gurantee opportunities for promotion, and adopt family friendly-work policy to enable public employees to keep the balance between work and family life.

      • KCI등재후보

        삶의 질 측정에 관한 연구

        이경태(Lee Kyeong-Tae),권영주(Kwon Young-Joo)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0 사회과학연구 Vol.17 No.1

        이 연구는 경기도 주민들에 대한 삶의 질을 측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를 인구 50만 명 이상의 대도시와 50만 명 미만의 중소도시로 세분화 하였고, 삶의 질 관련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6대 부문(주거환경, 교육ㆍ문화, 교통, 일반 행정, 사회복지, 공공안전) 34가지 지표를 설정하였다. 또한 지표들에 상대적인 우선순위를 부여하기 위해 각 분야 전문가들의 의견조사를 통해 가중치를 부여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주거환경, 교통, 공공안전 부문에서는 대도시의 삶의 질이 중소도시보다 나은 것으로, 일반 행정 부문에서는 중소도시의 삶의 질이 대도시보다 조금 더 나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양자 간 차이는 크지 않았다. 그리고 교육ㆍ문화 부문에서는 중소도시의 삶의 질이 대도시보다 조금 더 나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양자 간 차이는 크지 않았으며, 사회복지 부문에서는 중소도시의 삶의 질이 대도시보다 조금 더 나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양자 간 차이는 크지 않았다. 따라서 대도시와 중소도시 간 삶의 질 격차를 완화하기 위해 삶의 질에 대한 지역주민들의 욕구에 적절한 정책적 대응을 할 수 있도록 예산을 배정해야 한다. 특히 대도시보다는 중소도시를 배려한 지속적인 관심과 정책집행을 수행함으로써 대도시와 중소도시 간 삶의 질에 대한 격차를 완화시킬 필요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quality of life in the residents of Gyeonggi province. For this purpose, it classifies cities in the area into two groups: large ones having more than 500,000 residents, and small and medium ones holding less than such population. Then, based on the previous literature on the quality of life it identifies total 34 indexes in the six policy areas (residential environment, education·culture, transportation, general administration, social welfare, and public safety). In addition, these indexes are given different weight depending on experts' opinions, being allowed various priorities. The results show that in the areas of residential environment, transportation, and public safety the quality of life in large cities is better than that in small and medium ones. However, in the general administration, education·culture, and social welfare areas the quality of life in small and medium cities is better than that in large ones, b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s small.

      • KCI등재

        한국 사회와 개인 삶의 질 인식에 대한 토착심리 탐구:삶의 질을 높이는 요소와 낮추는 요소에 대한세대별 지각을 중심으로

        박영신,김의철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06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12 No.1

        이 연구의 주된 목적은 한국 사람들이 한국 사회와 개인 삶의 질에 대해 갖고 있는 인식을 분석함으로써 토착심리를 탐구하는데 있다. 삶의 질을 높이는 요소와 낮추는 요소에 대한 세대별 지각을 중심으로 분석하였으며, 개인 삶의 질로는 가정, 학교, 직장, 여가생활에서의 삶의 질이 포함되었다. 분석대상은 총 3,406명으로서 남녀 초, 중, 고, 대학생 1,331명과 그들의 부모 및 교사 2,075명이었다. 김의철과 박영신(2004b)이 제작한 자유반응형 질문지를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사회의 삶의 질을 높이는 요소로 경제적 요인, 국민들의 노력, 문화/여가생활, 원만한 인간관계, 올바른 정책, 교육수준이, 한국 사회의 삶의 질을 낮추는 요소로 경제 불안, 정치 불안, 시민의식 결여, 집단 이기주의, 부정부패/비리, 여가생활 부족, 과도한 교육열이 지적되었다. 둘째, 개인의 가정생활에서 삶의 질은 화목한 가족관계와 경제적 여유가, 학교생활에서 삶의 질은 친구관계와 학업성취가, 직장생활에서 삶의 질은 원만한 인간관계와 경제적 요인 및 성취감이, 여가생활에서 삶의 질은 경제적이고 시간적인 여유 및 인간관계가 중요하였다. 셋째, 세대집단별 인식 차이가 있었다. 한국 사회 삶의 질을 낮추는 요소로 학생은 정치 불안을, 성인은 경제 불안을 가장 많이 지적하였다. 가정생활 삶의 질을 낮추는 요소로 학생은 가족 간의 갈등을, 성인은 경제문제를 가장 많이 지적하였다. 여가생활 삶의 질을 낮추는 요소로, 학생은 시간 부족을, 성인은 경제적 여건을 가장 많이 지적하였다. 넷째, 학생은 가정의 경제수준이 높을수록, 나이가 어릴수록, 학업성적이 좋을수록, 자기의 삶의 질을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성인의 경우는 나이와 관계없이, 가정의 경제수준이 높을수록, 사회생활에서 성취도가 높을수록, 자기의 삶의 질을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하여, 삶의 질 인식을 통해 본 한국인의 토착심리를 원만한 인간관계, 경제적 요인, 자기조절, 교육적 성취의 네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for individuals in the family, school or workplace, leisure settings, and Korean society using the indigenous psychological analysis. A total of 3,406 participants, consisting of 1,331 elementary, middle, high school students and 2,075 parents and teacher, completed an open-ended questionnaire developed by Kim and Park (2004b). The respondents reported the factors that influence quality of life in Korean society as follows: Economic condition, collective effort, leisure and cultural life, harmoniou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effective government policy, and educational attainment. The factors that reduce quality of life in Korean society are as follows: Economic uncertainty, political instability, lack of citizenry, ingroup favoritism, corruption, lack of facilities for leisure and social life, and overemphasis on educational achievement. Second, the factors that influence quality of life in the family are as follows: Harmonious family relations and financial security. For students relationship with friends and academic achievement are reported as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at school. For adults, harmonious interpersonal relationship, financial factors and occupational achievement are reported as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at the workplace. For leisure and social leisure life, financial security, leisure tim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re reported as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Third, as for generational differences, students reported political instability and adults reported economic uncertainty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reducing quality of life in Korean society. For family life, students reported conflicts among family members and adults reported financial constraints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reducing quality of life. For leisure and social life, students reported lack of leisure time and adults reported financial constraints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reducing quality of life. Fourth, for student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were associated with higher quality of life: Higher socio-economic status of the family, younger, and higher academic achievement. For adult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were associated with higher quality of life: Higher socio-economic status of the family and greater achievement their social lif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on the quality of life in Korea, focusing on human relationship, financial factors, self-regulation and educational achievement are discussed.

      • 정신장애 환자와 보호자의 사회인구학적, 임상적 및 심리적 특성과 삶의 질의 관계

        양동석,국승희,최영,이형영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01 신경정신의학 Vol.40 No.6

        연구목적: 정신장애 환자와 가족의 삶의 질은 환자의 치료와 재발방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환자의 사 회인구학적, 임상적 및 심리적 특성(자아 존중감, 사회적 지지 및 외적 통제감)과 보호자의 사회인구학적 및 심 리적 특성이 환자와 보호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외래 치료중인 정신장애(정신분열병, 기분장애, 기타 정신병적 장애) 환자 48명과 그 환자의 보호자 48명을 대상으로 환자의 임상적 특성, 환자와 보호자의 사회인구학적 및 심리적 특성(자아 존중감, 사회적 지지, 외적 통제감)과 삶의 질을 조사하였다. 먼저, 환자와 보호자의 자아 존중감, 사회적 지지, 외적 통제감 및 삶의 질을 비교하였다. 아울러, 환자와 보호자 각각에서 각 특성들간의 상관을 산출한 후, 삶의 질과 유의한 관련이 있 는 특성들을 예측변인으로 하고 삶의 질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다중회귀분석하였다. 결 과: 환자는 보호자에 비해 자아 존중감과 삶의 질이 유의하게 낮았다. 환자에서는 사회경제적 수준과 자아 존 중감이 높을수록 사회적 지지에 대한 지각과 삶의 질이 높았다. 또한 투약 만족도가 높을수록 사회적 지지에 대한 지각과 삶의 질이 높았으며, 내적 통제적이었고, 투약에 대한 순응도와 사회적 지지에 대한 지각이 높 을수록 삶의 질이 높았다. 보호자에서는 환자의 발병연령이 높을수록 보호자의 삶의 질은 더 높았고, 환자의 병 으로 인한 보호자의 스트레스가 많을수록 보호자의 자아 존중감이 낮았으며, 보호자의 자아 존중감이 높을수 록 사회적 지지에 대한 지각과 삶의 질이 높았다. 또한, 보호자의 사회적 지지에 대한 지각이 높을수록 보호 자의 삶의 질이 높았다. 환자의 삶의 질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특성은 자아 존중감과 사회적 지지에 대한 지 각이었고, 보호자의 삶의 질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특성은 보호자의 사회적 지지에 대한 지각과 환자의 발병 연령이었다. 결 론: 정신장애 환자의 삶의 질에서는 환자의 자아 존중감과 사회적 지지가 사회인구학적 특성이나 임상적 특성 보다 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보호자의 삶의 질에서도 사회적 지지에 대한 지각이 특히 더 큰 역할을 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장신장애 환자와 보호자의 삶의 질을 보다 더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환자 의 증상의 심도를 경감시키고 치료하는 것뿐만 아니라 자아 존중감을 증진시키고 사회적 지지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Objectives: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psychotic disorders and their caregivers has a important role on the treatment and relapse prevention of the patients.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atient’s sociodemographic, clinical and psychological(self-esteem, social support and external control) characteristics, and caregivers’ sociodemographic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n quality of life in patients and caregivers. Methods:The subjects were composed of 48 out-patients(schizophrenic disorder, mood disorders and other psychotic disorders) and 48 caregivers. Patients’ clinical characteristics, patients’ and their caregivers’ sociodemographic,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self-esteem, social support and external control) and quality of life were investigated. First of all, patients’ self-esteem, social support, external control and quality of life were compared with caregivers’. After the correlations among each characteristics in patients and caregivers were calculated,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where the predictable variables were those that had already shown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quality of life. Results:Patients’ self-esteem and quality of life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eir caregivers’. In patients, high socioeconomic status and self-esteem were correlated with high perception on the social support and quality of life. Also, the satisfaction to the medica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erception on the social support, quality of life and more external control. In addition, high compliance on medication and high perception on the social support were correlated with high quality of life. In caregivers, patients’ onset ag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caregivers’ quality of life. Also, more caregivers’ stress was correlated with their lower self-esteem, and higher caregivers’ self-esteem was correlated with higher perception on the social support and quality of life. Furthermore, higher caregivers’ perception on the social support was correlated with higher quality of life. The characteristics that predicted patients’ quality of life significantly were self-esteem and perception on the social support, and the characteristics that predicted caregivers’ quality of life significantly were caregivers’ perception on the social support and patients’ onset age. Conclusion:These results suggested that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patients and their caregivers, it was important not only to alleviate and treat the patient s symptom, but also to increase selfesteem and provide social suppor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