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정보 시각화를 활용한 문화산업 인포그래픽 디자인 제작 및 활성화 방안 연구 : 중국과 한국의 비교를 중심으로

        채의붕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831

        This thesis is about'A study on how to create and revitalize the cultural industry infographic design using information visualization'. In the cultural industry, attention to infographics using visual images to understand the new industrial culture of the present era I looked into. In addition, this study aimed to help infographic design play a developmental role in the cultural industry by investigating whether it is possible to apply various activations to the cultural industry. The reality is that the visual in modern communication is used as a variety of major media such as newspapers, television, computers, and advertisements. In other words, visual images in non-verbal expressions are used much more than verbal parts, and they must be understood and critically accepted. Therefore, we learned that in traditional media, the need for a visual image that the audience actively seeks to interpret has emerged, rather than a form in which the audience accepts uniform information. Therefore, in this paper, infographic design is presented as a method of organizing information that actively utilizes visual images. Infographics is a combination of information and graphics. This term, also known as Information Graphics, is information, data, or visual representation. As can be seen intuitively in words, it is distinct from general pictures and photographs in that it contains information and graphics, and conveys information in a concrete, superficial, and practical manner. It is used in symbols, maps, and technical documents where complex information needs to be explained quickly and clearly. Therefore, in the cultural industry, where visual images are more important than other industries, and there are many numerical data, it was judged that the infographic design taking all of these into account has a significant effect of transmitting information to users. Therefore, in Chapter 2, we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infographics, and examined the concepts and components of infographics together. This survey was an important research process to explain which infographic features should be included in the production of infographics in the cultural industry. In Chapter 3, examples of applying cultural industry infographic with visual images are divided into cases of Korea and China. In Korea, it was very easy to find use cases of infographic design. Various public institutions produced high-quality infographic designs, which quickly spread through each public institution's homepage and SNS. The world has come in which individuals can check the policy of the country at any time if they want to, but it is interpreted that providing difficult content more easily and enhancing visual satisfaction is very positive. On the other hand, in China, it was not easy to find that public institutions are actively using infographic design. However, among young Chinese designers, it was often found that the activities of creating infographic designs containing their tastes and interests and sharing them through social media were often found. Therefore, it could be expected that in the future, infographic design will be used in various fields in various industries in China. Through these application cases, we became aware of the current acceptance of infographic design in Korea and China, and therefore, we predicted the direction in which Korea and China should use infographic design. Next, through the production of infographics related to the cultural industry, the researcher directly summarized the process. First, the concept and contents of the infographic were selected. The concept of the infographic is based on the colors associated with the Chinese flag, and the moment the user encounters the infographic, the user can experience it first by coloring the image of China. The infographic contents were selected based on the data from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and the Korea Creative Content Agency, and selected cases judged to be related to the cultural industry. After that, pictograms to be used in infographic design were searched and selected, and graphs and tables to be used in infographic composition were produced. Pictograms were selected by comparing them with real images so that Chinese images can be conveyed well. After that, it was produced in infographic design through various color combinations based on the production plan. In terms of color function, both clarity and attention were taken into account to provide visual satisfaction to users and to deliver information accurately. Chapter 4 examines the significance of infographic in the aspect of cultural industry, and discusses how to activate it based on this. In recent years, infographics are produced through overseas sites or software programs, and the ease of production has increased, making it easier to access. Design results that can be applied and used in real life must be produced. This is because the result is that users can enjoy it close to each other. This recognition will lead to vitalization of the production of infographics in which various visual images are grafted in the cultural industry field, and will contribute to bringing about another revival of the cultural industry by providing cultural industry information to more users. 본 논문은 '정보 시각화를 활용한 문화산업 인포그래픽 디자인 제작 및 활성화 방안 연구'에 관한 것으로, 문화산업에 있어 정보 시각화를 사용한 인포그래픽에 주목하여 현시대의 새로운 산업문화를 이해하고, 인포그래픽 제작 과정에 대해 알아봤다. 더불어 이를 통해 문화산업 분야에 다양한 활성화 적용이 가능한지에 대한 방안을 함께 조사하여, 인포그래픽 디자인이 문화산업 분야에 발전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돕게 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현대인의 소통 방식은 컴퓨터·TV·인터넷·모바일 등의 다양한 주요 매개체로 쓰이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즉 비언어적인 표현이 언어적인 부분보다 표현에서의 정보 시각화가 훨씬 많이 쓰이고 있으며 이를 이해하고 비판적으로 수용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우리는 전통미디어에서 수용자들이 획일화된 정보를 받아들이는 형태가 아닌 능동적으로 자신이 해석하고자 하는 정보 시각화의 필요성이 대두됐음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정보 시각화를 적극 활용한 정보의 조직화 방법으로 본 논문에서는 인포그래픽 디자인을 제시했다. 인포그래픽은 인포메이션(정보)과 그래픽을 합성한 용어로 인포메이션 그래픽스(Information Graphics)라고도 하는 이 용어는 정보, 자료 또는 시각적 표현이다. 해당 단어에서 직관적으로 알 수 있듯이 정보와 그래픽을 내포하는 것이며, 정보를 표면적, 구체적, 실용적으로 전달한다는 점에서 일반적인 사진이나 그림 등과는 구별된다. 복잡한 정보를 빠르고 명확하게 설명해야 하는 지도, 부호, 기호, 기술 문서 등에서 사용된다. 따라서 다른 산업분야에 비해 정보 시각화가 중요하고, 수치화된 자료가 많은 문화 산업 분야에서는 이 모두를 고려한 인포그래픽 디자인이 이용자에게 정보전달 효과가 크리라 판단하였다. 따라서 제 2장에서는 인포그래픽의 특징과 종류 등에 대해 알아보고 인포그래픽의 개념 및 구성요소들을 함께 살펴보았다. 이러한 조사는 문화산업 분야 인포그래픽 제작에 있어 어떤 인포그래픽 적 특징을 포함해야 하는지를 설명해주는 중요한 조사과정이었다. 제 3장에서는 시각화된 정보들이 삽입된 문화산업 인포그래픽 적용 사례를 한국과 중국의 사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한국에서는 인포그래픽 디자인의 활용사례를 매우 쉽게 찾아볼 수 있었다. 각종 공공기관에서 퀄리티 높은 인포그래픽 디자인을 제작하였고 이는 각 공공기관의 홈페이지 및 SNS를 통해 빠르게 확산 하였다. 개인이 마음만 먹으면 언제든지 나라의 정책에 관해 확인할 수 있는 세상이 왔지만, 어려운 내용을 더욱 쉽게 그리고 시각적 만족을 높여주며 제공하는 모습은 아주 긍정적인 모습이라고 해석했다. 이에 비해 중국에서는 공공기관에서 인포그래픽 디자인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모습은 쉽게 찾아볼 수 없었다. 다만 젊은 중국 디자이너들 사이에서 자신의 취향이나 관심 분야가 담긴 인포그래픽 디자인을 제작하고 이를 SNS로 공유하는 활동이 활발한 모습은 종종 찾아볼 수 있었다. 따라서 앞으로도 중국의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도 인포그래픽 디자인이 다양하게 활용될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었다. 이러한 적용사례를 통해 현재 한국과 중국에서는 인포그래픽 디자인을 얼마나 수용하고 있는지에 대해 인지하게 되었으며, 따라서 한국과 중국이 인포그래픽 디자인을 활용하여 나아가야 할 방향을 예상해보았다. 다음으로는 문화 산업 관련 인포그래픽 제작을 통해 연구자가 직접 그 과정에 대해 정리했다. 첫 번째로 인포그래픽의 컨셉과 내용을 선정하였다. 인포그래픽의 컨셉은 중국 국기와 관련된 색상을 토대로 이용자가 인포그래픽을 접하는 순간 중국이라는 이미지를 색으로써 먼저 경험할 수 있게 하였다. 인포그래픽 내용은 통계청 및 한국콘텐츠 진흥원 자료를 기반으로 문화산업과 관련된 내용이라 판단되는 사례를 선별하였다. 이후 인포그래픽 디자인에 활용될 픽토그램을 탐색하여 선정하였으며, 인포그래픽 구성에 활용될 그래프와 표를 제작하였다. 픽토그램은 특히 중국의 이미지가 잘 전달될 수 있도록 실물의 이미지와 함께 비교하여 선정했다. 이후 제작계획을 토대로 다양한 배색조합을 통해 인포그래픽 디자인에 제작되었다. 색의 기능에 있어 명시성과 주목성 모두를 고려하여 이용자들에게 시각적 만족을 주면서도 정보전달까지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했다. 제 4장에서는 문화 산업적인 측면에서의 인포그래픽이 가지는 의의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활성화 방안을 논하였다. 최근 들어 인포그래픽은 해외사이트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통해 제작되며 제작의 용이성이 높아져, 접근성이 쉬워지게 되었다. 실생활 속에 응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디자인 결과물을 제작하여야 한다. 이러한 결과물이야 말로 이용자들이 가까이 두고 즐길 수 있게 때문이다. 이러한 인지는 앞으로 문화산업분야에 있어 다양한 정보 시각화가 접목된 인포그래픽 제작의 활성화를 가져오고 보다 많은 이용자들에게 문화 산업 정보를 제공하여 문화산업의 또 다른 부흥을 가져오는 데 기여하게 될 것이다.

      • 지식문화산업 발전을 위한 문화 인프라 개선방안 연구 : 지적재산을 보호하기 위한 관리기구 조정을 중심으로

        김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한국의 지식문화산업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문화산업의 토대가 되는 문화 인프라의 개선이 선행 되어야 하며, 특히 제도적 인프라내의 지적재산을 관리하는 담당기구가 조정되어야 하며, 그 발전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바야흐로 문화의 시대가 도래 하는 현 시점에서 문화산업은 지속적으로 성장하여 국가의 주요 산업으로 자리매김 하고 있다. 그런데 20 세기 후반이후 첨단 기술력을 바탕으로 정보통신 분야가 비약적으로 발달하고 이에 따라 지식의 가치가 생산의 핵심요소로서 인식되는 지식기반경제체제가 구성 되었다. 또한 세계화라는 거대 조류는 지구단일시장체제를 건설하여 모든 산업 분야에서 각 국가들은 치열한 무한경쟁을 회피할 수 없게 되었다. 급변하는 이러한 외부적 환경들은 문화산업 부문에 있어서도 예외는 아니어서 지식과 정보화라는 흐름은 문화산업영역에서 기술력을 중심으로 분화되는 특정분야를 탄생시켰다. 이는 소위 지식문화산업으로 인문학적, 예술적 가치를 기초로 문화상품을 산출하는 문화산업이 다시 디지털콘텐츠로 대표될 수 있는 고도의 기술과 조합하여 재창조 되어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거듭나는 것이라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지식문화산업을 구성하는 지식과 정보는 산업 형성의 매개체로서 역할을 부여 받을 뿐만 아니라 지적재산으로서 중요하게 보호받고 관리되어야 하는 과제를 동반하였다. 한편 문화산업은 문화라는 공공성, 형평성, 예술성, 창작성 등의 다양한 이념들을 내재하면서 상업성을 주요 목적으로 하는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는 산업화의 결과이기에 정치, 경제, 문화 영역을 포함하는 범사회적 환경과 상호 유기적으로 관련되어있다. 즉 문화산업이 배양될 수 있는 광범위한 총체적 기반이 존재한다. 이를 문화인프라로 칭하며 정신적 인프라, 산업적 인프라, 제도적 인프라로 분류할 수 있다. 각각의 하위 인프라는 저마다의 기능을 지니고 있고 특별히 지식문화산업에서는 산업의 흥망을 결정하는 지적재산의 권리 보호적 측면과 관계해서 제도적 인프라가 매우 유의미한 환경적 토양이 된다. 지적재산의 보호를 도모하려면 제도적 장치인 강제력을 수반한 법률의 확립이 필수요건이며 이런 법률적 내용을 근간으로 구성된 담당기구가 지적재산을 관리하는 것은 가장 적절한 수단이기 때문이다. 현재 지식문화산업의 지적재산을 보호하는 한국의 법률은 산업별로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으며 담당기구 또한 다원화 되어 있다. 저작권으로 대표되던 기존문화산업과는 다르게 지식문화산업은 산업경쟁력의 핵심이 되는 기술적 요소에 의해 저작권보다 강화된 권리보호를 필요로 하고 그리하여 지적재산권에 대해 복잡한 법률적 해석을 받고 있다. 그런데 권리보호를 담당하고 관리하는 기구가 산재되어 있어서 한 개의 생산품에서도 여러 가지의 권리를 생성하는 지식문화산업은 효율적인 지적재산의 관리가 불가능하다. 다원화된 관리체제에서 권리행사를 청구하고 보호받는 것은 권리자의 혼란을 초래하고 효율적인 정책집행도 기대하기 어렵다. 더구나 지적재산권의 국제표준화를 위한 외부의 환경에서 대표성을 승인 받은 전담기구의 부재는 신속한 대외정책수립의 장애가 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서 지적재산 관리 기구의 통합적 운영이 요구 된다. An improvement of the cultural infrastructure which the foundation of the cultural industry becomes so that Korean knowledge-based cultural industry develops, especially coordination with a focus on regulatory agency of an intellectual property in an institutional infrastructure, a study propose an alternative. By the way, a field of IT industry has unexpectedly developed with advanced technology, and according to the value of knowledge was th core of production, and a knowledge-based economy, system to be recognized as it became configuration the latter half for the 20th century. Also, because they were built earth single market system and the main stream called globalization, each nations did not evade keen unlimited competition in all industry fields. These external environment to change suddenly were not exception in a culture industry section either, and the knowledge and the stream called informatization let a specific field erupted with knowledge and technology cultural industry scope to the center come into being. As for this, the cultural industry to calculate a cultural product with a foundation puts up artistic value, but the knowledge-based cultural industry needs to the different base. The knowledge-based cultural industry was accompanied by the assignment that it blew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compose the knowledge-based cultural industry which receive the role as intermediator of an industrial society. and it was protected intellectual property momentously, and must be managed. On the other hand, the cultural industry demands the grounds because it is the results of the industrialization to create economic value to do commerce quality with a main purpose while being inherent with various ideologies such as value of publicness, cultural equability, value of art character, creativity. That is the wide general base that the cultural industry can be cultured exists. Each sub-infrastructure has its function. When it comes to a management of the intellectual property, no one can beat the institutional infrastructure. The charge organization which the legal establishment that accompanied the legal force which is a system enemy device to attempt protec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is an essential requirement. The knowledge-based cultural industry is various particularly. But Korean law to preserve intellectual property is so indistinct. Absence of the regulatory agency to take whole charge can not confront change external environment. Therefore, an integrated operation of an intellectual adminstration of property organization make an alternative to overcome these limits.

      • 충북지역공예문화산업 활성화 발전방안 연구

        안명수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831

        최근 공예문화산업진흥법이 제정되고 공예산업에 대한 전망과 관심이 집중되면서 충북지역의 공예인들과 관련 기관들이 당면해야할 숙제들이 많아지고 있다. 충북지역의 공예문화산업은 청주공예비엔날레, 청주공예촌, 청주 공예클러스터, 공예디자인창조벨트, 문화제조창 등의 사업이 대체로 청주에 집중되어 있다. 이처럼 청주를 중심으로 충북지역 전체를 활성화하고자 노력을 하고 있지만 사업에 각자의 특성이 제대로 반영되지 않아 대부분 행사의 일환으로 진행되고 있다. 지역으로 보면 단양의 방곡도예촌, 충주도자기마을, 진천공예마을, 괴산한지마을, 영동 난계국악기 제작촌 등이 지역마다 산재해 있으나 다양한 이유로 각자의 고유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각 지자체가 공예문화산업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공예문화 관련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금전적 여유가 있는 소수의 공예인들만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사업이 대부분이며 그마저도 운영의 부실로 유명무실한 상태가 되어버리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그리고 많은 관광지나 콘텐츠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제대로 된 공예품 판매장이 없다. 이를 해결하고자 본 논문에서는 국내공예산업의 현황을 살펴보고, 충북공예협동조합에서 진행하는 사업을 통해 충북지역들의 실태를 조사하였다. 충북지역 공예문화산업의 문제점 해결 및 활성화를 위해 공예문화산업관 건립과 이를 활용한 홍보, 교육, 판매, 전시 및 체험 프로그램 등을 제안한다. Recently, as the Craft Culture Industry Promotion Act was created and the prospects and interests on the craft industry were concentrated, the homeworks of craftsmen and related organizations in Chungbuk region increased. In the Chungbuk region's craft culture industry, many projects are concentrated in Cheongju, including the Cheongju Craft Biennale, Cheongju Craft Village, Cheongju Craft Cluster, Craft Design Creation Belt, and Cultural Manufacturing Window. In this way, we are trying to revitalize the entire area of ​​Chungbuk, mainly in Cheongju, but most of them are held as simple events. Looking at the area, it is distributed in various regions such as Danyang Bangok Ceramic Arts Village, Chungju Ceramics Village, Jincheon Craft Village, Goesan Hanji Village, and Yeongdong Nangye Gugak Village, but it does not function properly. In addition, each local government feels the importance of the craft culture industry and is promoting the craft culture-related business. However, most of the projects that only a small number of craftsmen who can afford financially benefit, and the business itself suffers from lack of operational capability. In addition, there are many tourist areas and contents, but there are few craft shops.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is paper examines the current status of the domestic craft industry and investigates the actual status of Chungbuk region through the project of Chungbuk handicrafts cooperative. In order to solve and revitalize the craft culture industry in Chungbuk, we propose the construction of the craft culture industry center and the promotion, education, sales, exhibition and experience programs.

      • 한류가 지역별 수출과 FDI에 미치는 효과 분석

        조성아 인제대학교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831

        한류가 한국의 수출과 FDI에 끼치는 효과 분석 조 성 아 지도교수 : 강 한 균 국제통상학과, 다국적기업론 인제대학교 대학원 점점 세계는 각 나라간의 교류가 빈번해 지고 있다. 이에 따라 각국의 문화 부분 또한 쉽게 교류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런 결과에는 인터넷의 눈부신 발전이 한몫을 하였다. 이런 현상 속에 몇 년 전부터인가 우리나라의 문화도 조금씩 세계에 알려지게 되었는데, 그 시작은 영화나 드라마를 바탕으로 한 엔트테인먼트 분야이다. 이런 흐름은 인접 국가인 중국에서부터 시작하였고, 이러한 현상을 “한류(韓流)” 라고 한다. 이런 문화 현상은 처음엔 주변국인 중국과 일본을 시작으로 하여 점점 동남아시아나 중동 등의 국가로 확산되게 되었다. 지금 한류 현상은 단순히 연예인을 좋아하고, 노래를 따라 부르는 수준을 넘어서 가수의 앨범과 그 연예인과 관련된 상품을 구입하게 된다. 특히 2000년 이후에는 드라마 · 가요 · 영화 등 대중문화만이 아니라 김치 · 고추장 · 라면 · 가전제품 등 한국 관련 제품의 이상적인 선호현상까지 나타났는데, 포괄적인 의미에서는 이러한 모든 현상을 가리켜 한류라고 한다. 이 과정 속에서 한국제품의 판매와 문화콘텐츠 수출, 한국 관광산업에 까지 영향을 끼치게 된다. 이 점 외에도 한국을 세계에 알리는 계기가 되어 한국의 국가 가치를 높이는 등의 효과를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한류가 일본, 중화권, 동남아 국가권 등 지역별로 수출과 FDI 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분석해 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다음과 같이 요약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한국의 콘텐츠 상품수출(CON)이 대 일본, 중화권, 동남아지역 수출에 미치는 효과는 단기적으로는 정(+)의 효과를 보이지만 시간이 경과하면서 지속적으로 증가하지는 못했다. 예컨대 일본은 소폭의 등락을 거듭하다가 점차 감소하는 현상을 보이고 동남아지역은 소폭 등락후 0에 수렴하고 중국은 소폭 증가를 유지하는 정도이다. 둘째, 한국의 콘텐츠 상품수출(CON)이 해외직접투자에 미치는 효과를 보면 제조업의 투자의 경우 일본은 소폭 등락후 0에 수렴하고 동남아는 소폭의 등락을 거듭하다가 소폭의 정(+)의 효과가 지속되고 있으며 중국만이 증가추세에 있었다. 한편 비 제조업의 경우 일본, 동남아, 중국 모두 장기적으로 0에 수렴하고 있었다. 끝으로 시사점을 요약하면 한국의 콘텐츠 상품수출(CON)이 단기간의 단발성에 거치고 지속적인 상품수출로 연계되지 못하는 아쉬움이 있다. 또 한국의 콘텐츠 상품수출(CON)이 제조업 직접투자에는 어느 정도 효과를 미치지만 비 제조업 직접투자에는 거의 전무한 효과를 보이고 있다. 최근 한국의 엔트테인먼트 기업이 한류를 이용하여 일본의 방송산업에 진출하여 상당한 인기를 얻고 있는 것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따라서 한류가 문화콘텐츠의 단순한 수출을 넘어 한식, 한글 등을 포함한 복합 비즈니스로의 새로운 진화를 모색하여야만 홍콩의 무술영화가 경험했던 전철을 밟지 않고 지속적인 한류 열풍을 이어 가게 될 것이다. key word : 한류, 문화콘텐츠 산업, 수출, FDI

      • 광주지역 정보문화산업 육성전략에 관한 연구 : 문화콘텐츠산업을 중심으로

        곽현미 全南大學校 産業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8831

        문화산업은 앞으로 각 국가간의 경쟁이 치열해질 가능성이 큰 분야이다. 코펜하겐 미래학 연구소장 롤프 에센같은 이는 "이제 정보화 시대는 지났고 앞으로는 소비자에 꿈과 감성을 제공해주는 것이 차별화의 핵심이 되는 드림 소사이어타의 시대"가 온다고 전망하고 있기도 하다. 또 프랑스의 문화비평가이자 경제학자인 기소르망은 한국이 외환 위기에 처하자 "한국이 겪는 위기는 단순한 경제문제가 아니라 세계에 내세울 만한 한국의 문화적 이미지 상품이 없다는 데서 비롯됐다"고 평가하면서 문화의 시대가 곧 도래할 것이라고 일찍이 내다 본 바 있다. 최근 들어 우리는 문화산업이란 말 대신 문화콘텐츠산업이란 말을 자주 듣는다. 여러 연구에 따르면 향후 성장주도 산업으로 평가되는 정보산업에서 가장 커다란 과실을 맺을 분야가 콘텐츠산업이라고 한다. 그 중에서도 가장 매력적인 분야가 문화콘텐츠이다. 세계 정보산업에서 문화산업에서 대부분 업종을 포함하늘 콘텐츠 창출부문이 차지하는 비중이 1994년 37%에서 2005년 44%로 높아지는 반면, 콘텐츠의 보급과 기기생란 부문의 비중은 상대적으로 줄어들 전망이고 보면 문화콘텐츠산업의 활약상을 미루어 짐작할 만하다. 현재 국내 콘텐츠산업은 그 중요성과 막대한 시장파급효과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초보적 단계에 머물고 있다. 이는 정보의 가치에 대한 사회적 인식도가 맞은 수준이며 디지털 콘텐츠의 생성을 위한 제반 인적. 물적. 제도적 인프라가 구축되어 있지 못한 결과이기도 하다. 중앙정부 뿐만 아니라 지방자치단체들이 문화산업에 관심을 기울이기 시작하는 추세에 있으며, 문화산업의 육성에 대한 정책과 전략 연구에 노력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문화산업의 육성에 대한 논의만큼 실효성 있는 문화산업 육성 전략의 마련이나 장기적인 투자는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광주지역의 경우 첨단기술과 콘텐츠 및 고급인력이 상호결합되는 문화산업지구 조성을 통해 효율적이고 집중적인 지원이 이루어진다면 문화콘텐츠산업은 글로벌 경쟁력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본다. 본 연구에서는 문화산업 육성에 관한 이론적 접근을 검토한 후 외국 사례의 특징 및 기존 연구를 분석하고 비교하여 정책적 합의점을 도출하였다. 광주시의 문화산업 육성 계획 및 추진과정 등을 조사 분석함으로써 문화콘텐츠산업 육성을 위한 지원 방향, 지원 전략 및 지원분야 등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The cultural industry is a field that has possibility that there will be severe competition among the nations hereafter. Rolf Essen, a head of institute for futuristics in Copenhagen, prospects that "Now, the era of information was passed, and the era of a dream society that it has a core of differentiation that it supplies a dream and sensitivity to the consumers in the future." will come." Also, Guy Sorman, a cultural critic and economist in France, had an early insight into the future that the era of culture will come soon while he analyzed it as "The crisis of Korea has originated from the absence of Korean products with a cultural image shown off to the world, not simple economic Problems." Recently, we often hear a word like the industry about the cultural contents instead of the culteral industry. According to the various researches, a field that bears the largest fruit in the information industry evaluated as a growth-drive industry hereafter will be a contents industry. Among them, the most attractive field is cultural contents. The relative importance that the contents creating part including most of industries in the cultural industry of the world information industry has increased from 37% in 1994 to 44% in 2005. But the diffusion of contents and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part of equipment Production will be relatively decreased. From 진1 things considered, the activity of cultural contents industry can be guessed. Recently, the domestic contents industry still remains at the elementary step in spite of its importance and the vast market diffusion effect. It might be a result that the general personal, material, and systematic infrastructure for creating digital contents was not constructed. It is in the trend that the local governments as well as the contral government start to be interested in the cultural industry. And it is in the situation that they make efforts in the research on a policy and strategy for rearing the cultural industry. However, it is in the situation that the preparation of viable strategy for rearing the culturla indusoy as well as the discussion for rearing the cultural industry does not come true. In Gwang Ju, the cultural contents industry seems to secure the world wide competitive force when the effective and intensive support is accomplished tough the fostering of cultural industry zone that the advanced technology, contents, and high-class manpower are commonly connected. This study is to reach a political mutual agreement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ases of foreign country and the existing research after investigating the theoretical approach about the industrial zone in Gwang ju. Also, it is to reach at the direction for the support, the strategy for the support the demand of cultural industries, the plan for rearing the cultural industry in Gwang ju, and the process of promotion, etc

      • 파주출판문화정보 국가산업단지 입주기업 만족도 분석

        이환구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831

        As a cluster of the publishing and visual culture industry and as the center of the publishing in the Republic of Korea, the Paju Book City is a national, cultural industry complex where the whole process related to the publishing industry, including the planning, the editing, the printing, the distribution, etc. of the contents, has become integrated. In order to seek for the modernization of the publication and distribution structure, by pushing ahead with the construction of the publication city, the publishers in the latter half of the 1980's had constructed the cultural industry city in the private domain for the very first time in the world by receiving the designation of the military facilities protection area as a strategic base of the national, cultural industry for the voluntary cooperation project from the year 1991. Although, regarding the consistency of the urban planning possessed by the Paju Book City and regarding the designing guidelines and the putting into practice for the ecological considerations of the surrounding, natural environment, because they had been dealt with in the many media and researches, they received the high evaluations, no research on the evaluations by the actual users of the industrial complexes and on the effect resulting from the changes of the regional, industrial structures has taken place until now. As a result, at the present time point, when the 1st phase and 2nd phase projects are being completed, with the representative of the companies that had moved into the Paju Book City and the workers as the subjects, by investigating on the level of satisfaction regarding what influences the cultural industry complex, which had been formed well through the leadership of the civilians, had on the corporate activities of the corporations that had moved in, and, in addition, by analyzing the industrial structure of the Paju City, it is intended to give the help in seeking for a plan for the development in the future of the cultural industry complex, which will accomplish the fusion, the compositeness, and the integration of the cultural contents in the tim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hich will come. Largely, this research had been proceeded with three parts. The first had been the analysis of the distribution, the increase, and the decrease of the industry of the Paju City, in which the Paju Book City belongs, through the population of the Paju City, the number of the employees at the enterprises,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development of the surrounding cities, the increases and the decreases of the businesses, and the industrial trends of Gyoha-dong, which is adjacent, from the year 1998, when the Paju Book City began to be constructed, until the year 2013, when the construction was completed. And, also, the specialized occupations and the growth occupations of the Paju City had been analyzed. The second had analyzed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corporations that had moved into the Paju Book City and had analyzed the level of satisfaction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on whether or not the place of the business has been self-owned or leased. Regarding the third, as an investigation into the awareness of the managers and the workers, it had been analyzed as to what differences there are between the awareness of the managers and the workers regarding the publication city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regarding the first, industrial structure of the Paju City, although the growths of the publishing business and the printing business within the capital city region have been stopped and the visual production business has been recording the high growth rate according to the overall changes of the industrial structure, regarding the Paju City, the publishing business has been rapidly decreasing and the printing business has been maximally growing. And, regarding the visual production business, it had been analyzed to be increasing by a narrow range compared to the surroundings. Such increases and decreases of the industries related to the Paju City have been appearing as being centered on Gyoha-dong, where the Paju Book City is located. As a result, it can be seen that, regarding the reduction of the publishing business of the Paju City, the increase of the printing business, and the growth of the visuals production business have been coming from the changes of the industrial structure of the Paju Book City. In the case of the secondly investigation of the level of satisfaction related to the place of busines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actors that have the meaningful influences on the overall level of satisfaction, it had been analyzed that the prices of the parceling-outs (lease charges), the values of the real estates (the lease satisfaction), the tax breaks, the access to the market of the materials related to the raw materials had been having the significant, positive (+) influences on the level of significance at 0.05.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third investigation on the awareness of the managers and the workers, regarding the overall working environment, the managers had shown the level of satisfaction on the ordinary level. And the problem of commuting to work had been analyzed as a main matter of convenience. And, regarding the workers, it had been analyzed that the main, strong point of the Paju Book City had been the image of the cultural city and the publication industry, and it had been analyzed that the weak points had been the transportation problem and the insufficiency of the convenience facilities. If I were to put together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s a cultural industry complex in the form that is the only one in Korea which possesses the industrial structure centered on the cultural industry and the communality, the Paju Book City had been analyzed as falling with the levels of the satisfaction regarding the city of the managers and the workers due to the insufficiency of the urban services, including the public transportation, the convenience facilities, etc. compared to the capabilities to grow of the culture and the industry. Accordingly, although, together with the proceeding of the entries by the corporations, the Paju Book City has entered the growth phase as an industrial cluster, now is a time point when the flexible responses regarding this due to the stopping of the growth of the publication business, which had been a pre-existent main occupation, and the changes of the industrial structure are needed. Together with such external conditions, internally, because of the vicious cycle of the insufficiency of the urban services resulting from the insufficiency of the full-time population, the inconveniences of the corporations that had entered and the workers have been appearing as being great. In addition, at the present time point, when it has become 20 years ever since the beginning of the construction, it is thought that, by escaping from the initial viewpoint on the development and by recognizing such internal and external changes of the conditions, the pushing ahead with a policy regarding the aspect of the sustainable operations and management for the improvement of the problems is needed. As a basic direction for this, the breaking from the personality of a 20th-century, industrial complex that has been remaining by being tied down in the systematic frame in the beginning after the creation of the Paju Book City and the shift of the paradigm as a 21st-century, cultural city, which reflects the changes of the industrial structure and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the city, are desperately demanded. The keywords: The Paju Book City, the national, cultural, and industrial complex, the cooperation project, the cultural city, the analysis of the industrial structure, and the analysis of the level of satisfaction. 파주출판도시는 출판·영상문화산업의 클러스터이자 대한민국 출판의 중심지로, 콘텐츠 기획과 편집, 인쇄, 유통 등 출판산업 관련 전 과정이 집적화된 국가문화산업단지이다. 1980년대 후반 출판인들은 출판유통구조의 현대화를 도모하고자 출판도시 건설을 추진하여, 1991년부터 자발적인 협동화사업으로 군사시설보호구역을 국가문화산업 전략기지로 지정받아 세계 최초로 민간 영역에서 문화산업도시를 건설하였다. 출판도시가 지닌 도시계획의 일관성, 주변 자연환경에 대한 생태학적 고려를 위한 설계지침들과 실천에 대해서는 여러 매체들과 연구들에서 다루어져 높은 평가를 받았지만, 산업단지 실제 사용자의 평가와 지역산업구조의 변천에 따른 효과에 대한 연구는 지금껏 이루어진 바가 없다. 따라서 1, 2단계 사업이 마무리되는 현 시점에서 출판도시 입주사 대표 및 근로자를 대상으로 민간 주도로 잘 조성된 문화산업단지가 입주기업의 기업활동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그 만족도를 조사하고 더불어 파주시의 산업구조를 분석함으로써, 다가올 4차 산업혁명 시기에 문화콘텐츠의 융·복합과 집적화를 이루어낼 문화산업단지의 향후 발전 방안을 모색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본 연구는 크게 세 부분으로 진행되었다. 첫 번째는 출판도시가 속해 있는 파주시 산업의 분포 및 증감을, 출판도시가 착공된 1998년부터 준공된 2013년까지 파주시의 인구, 사업체 종사자 수, 주변 도시 개발현황, 사업체의 증감 및 인접한 교하동의 산업동향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또한 파주시의 특화업종 및 성장업종을 분석하였다. 두 번째는 출판도시 입주기업의 현황을 분석하고, 사업장의 자가 및 임대 여부에 따른 설문을 통해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세 번째는 경영자 및 근로자의 인식 조사로, 출판도시에 대해 경영자와 근로자 간에 어떤 인식 차이가 있는지 설문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첫 번째 파주시의 산업구조는, 전반적인 산업구조의 변화에 따라 수도권 내 출판업과 인쇄업은 성장이 정체되고 영상제작업은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으나, 파주시는 출판업이 급감하고 인쇄업은 최대 성장하고 있으며, 영상제작업은 주변에 비해 소폭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은 파주시 관련 산업의 증감은 출판도시가 위치한 교하동을 중심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파주시 출판업의 감소, 인쇄업의 증가, 영상제작업의 성장은 출판도시 산업구조 변화에 기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두 번째 사업장 관련 만족도 조사의 경우, 전반적인 만족도에 의미있는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분양가(임대료), 부동산 값(임대 만족), 세제 지원, 원자재 관련 자재시장 접근성이 유의수준 0.05에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세 번째 경영자 및 근로자의 인식 조사 분석 결과, 전반적인 근무환경에 대해 경영자는 보통 수준의 만족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출퇴근 문제가 주요 불편사항으로 분석되었고, 근로자들에게 출판도시의 주요 장점은 문화도시로서의 이미지와 출판 및 관련산업의 집적성, 단점은 대중교통 문제와 편의시설 부족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출판도시는 문화산업 중심의 산업구조와 공동체성을 지닌 국내 유일한 형태의 문화산업단지로, 문화와 산업의 성장 역량에 비해 대중교통, 편의시설 등의 도시서비스 부족으로 인해 경영자나 근로자의 도시 만족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출판도시는 기업 입주의 진행과 함께 산업클러스터로서의 성장 단계에 진입하였으나, 기존 주력 업종인 출판업의 성장 정체와 산업구조 변화로 인해 이에 대한 유연한 대응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러한 대외적 여건과 함께 내부적으로는 상근인구의 부족에 따른 도시서비스 부족의 악순환으로 입주기업과 근로자의 불편이 크게 나타나고 있다. 더불어 착공 이후 20년이 된 현 시점에서는, 초기 개발 관점을 탈피하고 이러한 대내외 여건 변화를 인식하여, 문제점 개선을 위한 지속가능한 운영‧관리 측면의 정책 추진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이를 위한 기본방향으로서, 출판도시 조성 초기의 제도적 틀에 묶여 남아 있는 ‘20세기 산업단지’의 성격을 탈피하고, 산업구조 변화와 도시 특성을 반영한 ‘21세기 문화도시’로의 패러다임 전환이 절실히 요구된다.

      • 한류 예능프로그램 수용과정을 통해 본 중국 문화산업의 발전 방안 연구 : 후난위성TV의 예능프로그램 중심으로

        이단양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831

        The development of cultural industry has been widely concerned in the world, and is increasingly playing a huge economic value in the development of modern society. With the deepening of economic globalization, cultural industry can not only bring economic benefits, but also play an increasingly prominent role in promoting national influence.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cultural industry has become the focus of most countries. Many countries have formulated corresponding cultural industry policies, which provide strong institutional guarantee and support for the development of cultural industry, thus increasing the international influence of their cultural industry. The development of Korean cultural industry cannot be separated from the support of Korean government. By analyzing the specific reasons for the development and expansion of South Korea's cultural industry, it is not difficult to find that the South Korean government's spare no effort to support the cultural industry and grasp the huge development prospect of the cultural industry are the key to the rapid development of South Korea's cultural industry. In 1998, the South Korean government took the lead in putting forward the strategy of "building the Nation by culture", and the cultural industry has become the pillar industry of South Korea. The government has also formulated relevant cultural industry policies and made every effort to provide policy support and guarantee for the development of the cultural industry. Finally, through the government's support for the cultural industry, South Korea succeeded in creating the "Hallyu (Korean Wave)", which swept the world and attracted the attention of the world. Especially in recent years, the "Variety Hallyu", which takes variety shows as the carrier, has successfully influenced the world market, especially China's variety show market. South Korea has also successfully penetrated into China's culture through variety shows, bringing a huge impact on China's cultural industry. China is a historical and cultural country with huge cultural resources. However, China's cultural resources have not been fully utilized, nor have they been fully stimulated in the process of development. In recent years, despite the rapid development of China's cultural industry, it is still in its infancy, especially in terms of cultural export, there are still many problems. At the 20th Comprehensive Congress of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CPC) held on October 16, 2022, General Secretary Xi Jinping mentioned cultural confidence and self-improvement, prosperity and development of cultural industry, and enhancement of the transmission power and influence of Chinese civilization. Once again, China attaches great importance to the development of cultural industry, and it can be seen that the development of China's cultural industry is imminent. Therefore, the successful experience of the South Korean government in developing the cultural industry and the successful experience of "Variety Hallyu" in cultural penetration and cultural influence of other countries are worthy of China's imitation and learning. Therefore, under the background of "Variety Hallyu", this paper analyzes and researches from the following aspects. Firstly, this paper combs and analyzes the relevant policies made by the Chinese government on China's cultural industry, as well as the influence and restrictions of the corresponding policies on China's variety shows. Secondly, in view of the "Variety Hallyu " from the output mode, output status and China's policy on "Variety Hallyu" of the corresponding analysis, based on Hunan TV's Where Are We Going, Dad? and My Little One as an example, this paper analyzes the impact of Korean variety shows on Chinese variety shows and variety market. Under the support of the cultural industry policies of China and South Korea, the differences between Chinese variety shows and South Korean variety shows in program content, program form, cultural export and other aspects are compared and analyzed. It can not only better grasp and understand Korea's cultural industry policy, but also better grasp the shortcomings of China's cultural industry policy. Finally, drawing on South Korea's cultural industry policy, this paper puts forward several suggestions on China's cultural industry policy: In terms of production of Chinese variety shows,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independent innovation, cultivate internationally renowned Chinese stars, and produce Chinese variety shows with cultural support. In the process of the development of China's cultural industry,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government's macro-control function, improve the policy of cultural industry and perfect the systematic legal system; improve fiscal and tax policy; increase the innov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the integration of cultural industry; cultivate cultural industry talents and innovative talents; improve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cultural industries. This paper provides theoretical and practical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China's cultural industry, and also facilitates the exchange and export of cultural industries between China and South Korea, hoping to help professional scholars of the two countries better understand the relevant policies of cultural industries in the two countries. 문화산업의 발전은 이미 세계적 범위에서 광범한 관심을 받고 있으며 현대사회의 발전행정에서 날로 거대한 경제적 가치를 발휘하고 있다. 경제 세계화가 끊임없이 심화함에 따라 문화산업은 경제 효익을 가져다줄 뿐만 아니라 국가의 영향력을 높이는 방면에서의 역할도 날로 뚜렷해지고 있다. 그래서 문화산업의 발전은 대부분 국가에서 가장 중요한 분야로 되었다. 그러므로 많은 나라들은 문화산업의 발전을 추진하기 위하여 문화산업정책을 정하여 문화산업의 발전에 힘 있는 제도적인 보장과 지원을 제공하고 문화산업의 발전을 보호하며 나아가 그들의 국제적 영향력을 강화한다. 한국 문화산업의 발전은 한국 정부의 지원을 떠날 수 없다. 한국 문화산업 발전의 구체적인 원인을 분석해 보면 한국 정부의 문화산업에 대한 아낌없는 지원 및 문화산업의 거대한 발전 전망 파악이 한국 문화산업의 신속한 발전의 열쇠가 되었음을 쉽게 알 수 있다. 1998년, 한국 정부는 제일 먼저 '문화입국' 전략을 제시했고, 문화산업은 한국의 기간산업이 되었다. 한국 정부도 관련 문화산업 정책을 정하고, 문화산업의 발전을 위해 정책적 지원과 보장을 제공하기 위하여 모든 힘을 기울였다. 결국 문화산업에 대한 정부의 지지를 통해 한국은 한류를 만들어 세계에 널리게 하였고 세계에서 주목하게 하는 성공을 거뒀다. 특히, 최근 몇 년 동안 예능프로그램을 매체로 하는 한류 예능이 성공적으로 세계 시장, 특히 중국의 예능 시장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한국에서도 예능프로그램을 중국문화에 침투하고 중국의 문화산업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러나 중국은 비록 역사 대국이고 방대한 문화자원을 가지고 있지만, 충분히 이용되지 못하고 문화산업도 발전과정에서 충분히 격발되지 못하고 있다. 최근 중국의 문화산업은 비록 급속한 발전을 이루고 있지만, 현재는 여전히 시작 단계에 있으며, 특히 문화 수출 방면에서는 여전히 많은 문제가 있다. 2022년 10월 16일 열린 중국공산당20대 전국대표대회 (中国共产党第二十次全国代表大会)에서는 습근평 총서기(习近平总书记)께서 문화 자신자강, 문화산업 번영발전, 중화문명의 전파력과 영향력 강화에 대해 제시함으로써 문화산업 발전에 대한 중국의 중시를 다시 한번 보았으며 중국의 문화산업 발전이 시급함을 알 수 있었다. 이 때문에 한국 정부의 문화산업 발전의 성공 경험과 한류 예능이 다른 나라에 미치는 문화 삼투와 문화 영향의 성공 경험은 중국이 모방하고 배울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한류 예능의 배경하에서,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분석과 연구를 진행한다. 우선 중국 정부가 중국 문화산업에 대해 제정한 관련 정책 및 그에 대응하는 정책이 중국 예능 프로그램에 미치는 영향과 제한을 정리해 본다. 다음으로는, 한류 예능의 진출 방식, 진출 현황 및 중국의 정책 등에 대해 분석하고, 후난위성TV <아빠 어디가>와 <아가나소자>를 예로 들어 한국 예능프로그램이 중국 예능과 예능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것이다. 한중 문화산업 정책의 지원 아래 중국 예능프로그램과 한국 예능프로그램의 내용, 예능프로그램 형식, 문화 수출 등 여러 방면에서 존재하는 차이를 비교 분석해 본다. 한국 문화산업 정책을 더 잘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중국 문화산업 정책의 부족한 점도 더 잘 파악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한국 문화산업 정책을 참조하여 중국의 문화산업 정책에 대해 몇 가지 의견을 제시한다. 중국 예능프로그램 제작 측면에서도 독자적인 예능프로그램 제작, 세계적인 중국 스타 육성, 문화 수출의 중국 예능프로그램 제작 등이 필요하다. 중국 문화산업은 발전 과정에서 정부의 거시적 조정통제 역할을 강화하고 문화산업정책을 건전히 하며 체계적인 법률 체계를 완비하여야 한다; 과학기술의 혁신 및 문화산업과의 융합을 강화하여야 한다; 문화산업 인재와 혁신적 인재를 양성해야 한다; 문화산업의 국제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 이는 중국의 문화산업 발전을 위해 이론적이고 실천적인 의거를 제공해 줘야 한다. 또 중한양국의 문화산업이 교류하고 수출할 때 더욱 편리하게 하고 양국의 전문가들이 양국의 문화산업 관련 정책을 더 잘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기를 바란다.

      • 문화산업 교류를 위한 중국 지방정부 역할에 관한 연구 : 랴오닝성 사례 중심으로

        허나 명지대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831

        China local government cultural policy and cultural industry of Korea exchange, China the role of local government and will be implemented in the direction of research in Liaoning province for example China center. The cultural industry policy is the central government planning, the local government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cultural industries, while the implementation of the national cultural industry policy to adapt to the cultural industry. The local government administrative division China for 4 provincial municipalities, 23 provinces, 5 ethnic self-made District, 2 special administrative regions. The fundamental goal of China future culture industry is in order to better serve the people, this study through the literature, related to the cultural industry in Liaoning Province Civil servants, private enterprises, cultural industry groups to visit, SWOT analysis on Liaoning Province cultural development strategy and policy of Liaoning Province, Liaoning Province, the rapid development of cultural industries, performance significantly, but overall, there are still a lot of cultural industries and the gap between the gap and inadequate, showing some of the factors restricting the development and problems. Liaoning provincial government in the process of cultural industries and cultural industries, learning the successful experience of South Korea's cultural industry.       First, establish and improve the system of culture system. The obstacles of the system become a bottleneck in the development of cultural industry: the government, regardless of political affairs, tubes do not classification is a common phenomenon. Cultural management mechanism is not smooth, the management of cross duplication, fuzzy functions. Investment management mechanism can't adapt to the development of culture market, and the investment channel is not smooth. Government led to provide protection for the cultural industry, improve the cultural industry law, improve the cultural industry policy, the establishment of a pillar of the cultural industry. Second, strengthen enterprise and folk culture in the cooperation. The folk cultural groups, led by the people's strength is not enough, the leading role of local government is too strong, and the lack of cooperation between enterprises and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Enterprise is the main body of the development of the cultural industry, strengthen the strategic management of cultural enterprises, strengthen technological innovation, to create a well-known brand. There are many problems, such as small scale, weak development space, lack of effective policies and scientific guidance.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cultural industries: Based on the advantages of integration of resources, strengthen learning, promote exchanges, promote the public, the whole people to participate. Third, pay attention to the cultivation of high-end talent and cultural industry management personnel. In the process of cultural industry development in Liaoning Province, the lack of high-end talent and management of cultural industries. Talent is the guide and the implementation of the technology, the lack of talent is bound to lead to the loss of science and technology, Liaoning Province, not only the need for specialized cultural industries, but also face the problem of brain drain. Talent is the core driving force for the development of cultural industry. South Korea's cultural industry in the process of the development of cultural industry personnel training, utilizing a variety of channels to strengthen the construction of personnel. Pay attention to the cultivation of talents in cultural industry, through local universities and colleges and universities and other training to understand management, good management, innovative ability and strong cultural talent. Focus on the introduction of foreign talent, retain talent. 본 연구는 중국 지방정부의 문화정책과 한국의 문화산업 교류에 있어서 중국의 지방정부가 어떠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앞으로는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지에 관한 연구이다. 중국의 경우 문화산업 정책은 중앙정부에서 계획하고 결정하지만 그 실행에 있어서는 각 지방마다 각자의 문화 정책의 시행이 다르고 이에 따라 문화산업의 형태도 다르게 나타난다. 중국은 성급(省級)의 4개 직할시, 23개의 성(省), 5개의 소수민족 자치구, 2개의 특별행정구역 등 있고 한족 이외에도 56개의 소수민족의 각자의 특성에 따라서 문화산업을 육성하고 있다. 중국 미래의 문화산업은 인민들에게 편의를 제공하는 것을 근본 목적으로 행정부와 공산당 이원체계로 구성된 정부의 조직은 인민을 위한 다는 방침은 같아야 하는 것으로 이를 기본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다음과 같다. 첫째 지방정부와 문화산업의 분리를 위한 인식의 전환이다. 현재 랴오닝성은 정책상 정부와 문화산업이 분리되어 문화산업 관련 기업을 국영기업으로 인식하는 문제가 존재하고 있다. 개혁개방 이전에는 문화 관련 단체 국가의 주도하에 공공재의 목적으로 운영되고 정부의 개입이 막강하였고 개혁개방 이후 문화산업 관련 민간기업이 생겨나 과거와는 다른 형태의 기업을 성장하고 있다. 그러나 공무원들이나 공산당의 인식은 문화산업을 공공재로서의 역할 수행을 강조하고 정부와 공산당이 주로 해야 한다는 인식이 문재점이 있다 . 정부의 정책은 문화산업을 정부의 의도에 맞게 발전시키고 유도하는 것인데도 불고하고 성급 정부나 공산당은 문화산업 정책을 과거의 관습에 통제 문화산업의 자율보다 관리적인 인식이 극복하지 못하면 정부의 정책과 문화산업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문제점이 있다. 둘째 지방정부와 민간의 협력체계 구축이다. 인민들이 수요에 맞게 민간단체나 기업이 정부에 요청하거나 협력을 구하면 정부는 이를 협의하여 정부가 자원하는 체계로 구축하여 수요와 공급의 균형을 맞추어 가야 하는 것이다. 셋째 문화산업의 균형 및 인력 양성 체계의 개선이다. 현재의 문화산업 인프라는 과거 비하여 많이 향상되었다고는 하나 도시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산업인력 양성도 정부의 방침에 따라 미디어와 애니메이션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인력 체계에 일반대학은 미디어와 애니메이션 관련 인재를 육성하고 공연예술 전문 인력을 육성을 위해 현재 유지되고 있는 전통문화 계승 학교에 확대에 대하여 국가가 통제하지 않고 민간의 자율에 자연적으로 각 인력이 육성되러 있는 여건을 랴오닝성 정부가 마련해 주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 랴오닝성 관련 공무원, 민간기업, 문화단체의 인터뷰와 랴오닝성 문화산업 발전 및 정책 전략의 SWOT분석을 통하여 시행되어 랴오닝성의 각각의 문화산업 발전에 대한 역할을 전반적으로 다루지는 못하였다.

      • 국내 문화산업 수출기업의 정부지원제도와 기업역량에 따른 수출성과에 관한 연구

        복선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831

        The cultural content industry contributes to the national economy and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future growth industry. The cultural content industry has a halo effect, which has a large impact on related fields and has a lot of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other industries. Recently, BTS (BTS) has been affecting not only music sales but also related product sales and related industries abroad, and "Squid Game" has been popular around the world, affecting the sales and exports of general products due to the improvement of Korea's national image abroad. In order for these cultural contents to be actively exported, the necessity of a government support system is considered important. Recently, various institutions and support projects for cultural content companies have been implemented to revitalize the cultural industry, but in fact, there are only a few companies that use these services.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ly on the impact of the general export support system on corporate performance, but the necessity of the system. Research on the cultural industry support system has been occasionally conducted, but most of them focus only on the financial support system, and research on the utilization and satisfaction of the support system in other fields is insufficient. In addition, studies related to corporate capabilities have been studied that most of the company's top management capabilities and marketing capabilities, and these capabilitie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export performance and corporate performance. Based on these previous studies, I would like to investigate whether the corporate capabilities of content companies als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ontent export performance. Therefore, this study distinguished itself from other studies in that it analyzes the effect of the use of the cultural content support system and the company's internal capabilities on export performance, and evaluates the importance of the support system and the company's capabilities and use of the system. In terms of research analysis and implementation, the concept and status of the cultural content and general export support system were investigated through previous studies and research reports from the Korea Creative Content Agency, and factors were derived and questionnaires were prepared. Through this, the representative variables were set as financial support systems, marketing support systems, top management capabilities, and marketing capabilities, and financial and strategic performance were regarded as export performance, and a research model was established and hypotheses were tested. Through empirical analysis, the effect of variables on export performance was examined,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internal competency of companies and the financial support system had a significant effect on both export performance. As a result, implications for the influence and diversification of the support system on export performance and the importance of corporate internal capabilities were presented. The current craze for the Korean Wave can not only spread cultural contents, but also increase the national image, increase sales of Korean companies' products, and enter overseas markets. Accordingly, in a situation where it is recognized as a very important factor in companies' content export activities, content companies and the government should work together to develop in a better direction. Therefore, as revealed in this study, it is time to present strategic policy measures and corporate efforts that can be used to improve export performance while enabling the cultural content industry to become a continuous national industry. 문화콘텐츠산업은 국가 경제에 기여하며 미래의 성장산업으로 주목받고 있다. 문화콘텐츠산업은 후광효과를 가져오는데, 관련된 분야에 미치는 영향이 크고 타 산업에 많은 직간접적인 영향을 끼친다. 최근에 BTS(방탄소년단)는 음원 판매뿐만 아니라 해외에서 연관 상품 판매 및 연관 산업에도 영향을 끼치고 있으며, ‘오징어 게임’이 전 세계적으로 흥행하며 해외에서의 한국의 국가 이미지 제고로 인한 일반적인 상품들의 판매 및 수출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문화콘텐츠들이 활발하게 수출하기 위해서는 정부 지원제도의 필요성이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으며. 최근에서야 이러한 문화산업의 활성화를 위해 문화콘텐츠 기업을 위한 다양한 제도 및 지원 사업이 실행되는 상황이지만 실제 이러한 서비스를 이용하는 기업은 소수에 한정되어 있는 실정이다. 그동안의 선행연구들은 대부분 일반적인 수출지원제도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이나, 제도의 필요성에 대해서만 집중되어왔다. 문화산업 지원제도에 관련한 연구도 간혹 되어왔지만, 대부분 금융지원제도에만 초점이 맞춰지며 다른 분야 지원제도의 이용도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기업역량에 관련된 연구들은 기업의 최고경영진역량과 마케팅역량이 대부분으로 이러한 역량들은 수출성과 및 기업성과에 유의한 작용을 하는 것으로 연구되어왔다. 이런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콘텐츠 기업들의 기업역량도 콘텐츠 수출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문화콘텐츠 지원제도 활용 및 기업의 내부역량이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같이 분석하고 지원제도의 중요성 및 기업의 역량과 제도 활용을 평가한다는 점에서 다른 연구들과 차별화를 두었다. 연구 분석과 수행에 있어서 기존의 선행연구 및 한국콘텐츠진흥원의 연구보고서들을 통해 문화콘텐츠 및 일반 수출지원제도의 개념 및 실태에 대해 알아보았고 한국콘텐츠진흥원의 사업을 이용해본 콘텐츠 수출기업들과 일반 콘텐츠 수출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하여 요인을 도출하고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이를 통해 대표변수를 금융지원제도, 마케팅지원제도, 최고경영진역량, 마케팅역량으로 설정하였고, 재무적, 전략적 성과를 수출성과로 보고 종속변수로 정하여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가설을 검정하였다. 실증분석으로 변수들이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고 기업의 내부역량과 금융지원제도는 수출성과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로써 수출성과에 대한 지원제도의 영향력과 다각화 및 기업 내부역량의 중요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현재 한류의 열풍은 단순한 문화콘텐츠 확산뿐만 아니라 국가 이미지 상승과 한국기업 제품의 매출증대와 해외시장진출로 나아갈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업들의 콘텐츠 수출 활동에 매우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는 상황에서 콘텐츠 기업과 정부가 힘을 합쳐 더 나은 방향으로 발전해 나가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밝힌 바와 같이 문화콘텐츠산업이 지속적인 국가 산업이 될 수 있게 하며 수출성과 향상에 활용될 수 있는 전략적인 정책 방안과 기업의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라는 것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