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문화관광축제 활성화를 위한 패션문화상품 디자인 개발 연구

        정경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972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fashion cultural products design using local cultural resources, to establish the development strategies of high value-added cultural products, and to contribute to promoting cultural tourism festival and heightening local images.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situation and purchase conditions of cultural products in cultural tourism festival held successfully. For the methods of study, this study conducted theoretical and empirical researches simultaneously. In the theoretical research, the situation of cultural products was analyzed and the research methods of purchase conditions were derived theoretically through the review of related literature and previous research at home and abroad. In the empirical research, the problems of cultural products were derived from the data analysis of subjects, in-depth interview with people concerned, the investigation of cultural product stores, and visitors' questionnaire survey. As one solution, this study developed fashion cultural product designs by using local cultural resources and established the development strategies of high value-added cultural produc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local festivals which were selected as cultural tourism festival b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from 2000 to 2008. Of them, six highest ranking festivals were finally selected but food festival was excluded: Andong Maskdance Festival, Boryeong Mud Festival, Gangjin Celadon Festival, Jinju Namgang Yudeung Festival, Chungju World Martial Arts Festival, and Muju Firefly Festival. Finally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although Boryeong, Gangjin, Chungju, and Muju possessed a local brand, only Boryeong and Chungju operated a permanent store or an on-line shopping mall to sell products with their focus on farm products or special products. The development of cultural products were mainly conducted by an organizer, a vendor, or a cultural products contest winner, but a vendor or a contest winner undertook development in general. Although this method could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diversity of cultural product items, it did not standardize cultural product image or show the symbolism of local festival sufficiently. Specifically, when cultural products were developed through the contest, it was rare to be connected to actual sale. It suggested little practical effect of contest which intended to develop and commercialize excellent cultural products. All festivals, except the Jinju Namgang Yudeung Festival, had permanent stores selling the products of cultural tourism festival. However, the Gangjin Celadon Festival and the Muju Firefly Festival only had the store managed by the local government and other festival stores were operated by private companies. The Boryeong Mud Festival only had an on-line shop selling cultural products. For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people concerned expressed sympathy with the need to develop products which showed the image of a region and a festival. For desired development items, most of them preferred T-shirts and other suggestions included mask, maskdance costume, cap, LED accessories, and martial arts puppets. Second, the store survey was conduced to analyze the situation of the products of cultural tourism festival. As a result, the most frequent product was accessories, followed by ceramic products, clothing and miscellaneous goods, interior decoration products, and stationery. A T-shirt was found to be sold every festival probably because it was the most popular item and basic item which people could buy without burden. While the most diverse kinds of products were found in the Andong Maskdance Festival including a mask, a necklace, a mobile phone hanger, T-shirt, and a frame, the Jinju Namgang Yudeung Festival and the Gangjin Celadon Festival were found not to develop various products. In the design motif used for cultural products, most products did not use festival or local image. The highest use of the festival and local image was found in Gangjin Celadon Festival and Muju Firefly Festival respectively. The Andong Maskdance Festival and the Chungju World Martial Arts Festival were found to sell very common products buying anywhere rather than products using local cultural resources or image. Finally, the purchase conditions of cultural tourism festival visitors were examined. As a result, the visiting goal and companion of visitors was found to vary with the type of cultural tourism festival. The types of visitors were also found to have an effect on the choice of items in the purchase of cultural products sold in the festival. Only one third of respondents responded buying one and more cultural products. The purchase rate was found high in the festival where cultural product items and designs were various and there were many products symbolizing festival or region. The most purchased item was a mobile phone hanger, followed by a key holder, a puppet, vessels, a necklace, and a T-shirt. Family with children was found to purchase a puppet frequently in the Andong Maskdance Festival and the Jinju Namgang Yudeung Festival. For the amount of purchasing cultural products, 10,000-30,000 Korean won was found highest and satisfaction after purchase was found to somewhat exceeded average. The reason not to purchase cultural products was dissatisfaction with utility, originality, possibility of a present, symbolism, and price. The most important attribute in the purchase of cultural products was design, followed by symbolism, price, originality, innovation, and possibility of a present. The highly preferred product group included clothing, miscellaneous goods, and accessories. Specifically, T-shirt was found highest, followed by a cap, a puppet, vessels, a mobile phone hanger, and a key holder.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problems of the design of cultural tourism festival products were deriv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cultural products of festivals lacked in the symbolism of region or festival. Furthermore, items were not enough to reflect visitors' characteristics and the price zone was not various. As one solution to solve this problem, this study established the development direction and concept of fashion cultural products to develop fashion cultural products using local cultural resources. The concept of the Andong Maskdance Festival was 'Tribal-Holic'; the Boryeong Mud Festival, 'Get away form it all'; the Gangjin Celadon Festival, 'Timeless Memories'; the Jinju Namgang Yudeung Festival, 'Lighting up the River'; the Chungju World Martial Arts Festival, 'Next Ergonomics Gym'; and the Muju Firefly Festival, 'Eco-Purity'. Based on the desired items of festival organizers and the survey of visitor's preference for cultural products, 4 items were selected by festival type. Then a total of 96 designs of 4 kinds each were developed using logos or characters, traditional patterns, special products, symbolizing region, or festival as a motif. Adobe Photoshop 6.0, and Adobe Illustrator CS Program were used for the standardization of patterns, textile design and illustr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관광축제의 문화상품 현황과 구매실태 조사를 통해 지역 문화자원을 활용한 패션문화상품 디자인을 제시하고 고부가가치의 문화상품 개발 전략을 수립함으로써 문화관광축제 활성화 및 지역 이미지 제고에 기여하고자 하는데 있다. 연구 방법은 이론적 연구와 실증적 연구를 병행하였다. 이론적 연구에서는 문화관광축제와 패션문화상품에 관한 국내·외 관련 문헌과 선행 연구 탐색을 통해 문화상품현황 분석과 방문객 구매실태 조사 방법을 이론적으로 도출하였다. 실증적 연구에서는 연구 대상에 대한 자료 분석, 축제 관계자와의 심층인터뷰, 문화상품 점포 조사와 방문객 설문조사 등을 통해 문화상품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그 해결방안의 하나로 지역문화자원을 활용해서 패션문화상품 디자인을 개발한 다음, 고부가가치 문화상품 개발 전략을 수립하였다. 연구 대상은 문화체육관광부가 2000년부터 2008년까지 문화관광축제로 선정한 축제 중 축제 유형별로 가장 많이, 높은 등급을 받은 축제에서 음식을 주제로 한 축제를 제외한 총 6개 축제인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 보령머드축제, 강진청자문화제, 진주남강유등축제, 충주세계무술축제, 무주반딧불축제로 한정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는 지역은 보령, 강진, 충주, 무주가 있으나 보령과 충주만이 실제적으로 상품을 판매하는 상설 매장이나 온라인 쇼핑몰을 운영하고 있었고 두 곳 모두 지역 농·특산물 위주로 판매하고 있었다. 문화상품 개발은 축제 주최측 보다는 대부분 외주 또는 공모전을 통해 개발하고 있었고, 이러한 개발 방식은 문화상품 아이템의 다양화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문화상품의 이미지를 통일시키거나 지역, 축제의 상징성을 충분히 드러내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공모전을 통해 문화상품을 개발하는 경우, 실제적으로 판매되는 경우가 드물어 우수한 문화상품을 개발하고 상품화시킨다는 공모전의 실효성이 적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축제 기간 외에 문화관광축제 상품을 판매하는 상설 매장은 진주남강유등축제를 제외한 모든 지역에 있었다. 자치단체가 관리하는 매장이 있는 곳은 강진청자문화제와 무주반딧불축제이고 그 외 축제들은 주로 민간업체에서 운영하고 있으며, 보령머드축제만이 온라인상에서 문화상품을 주문, 판매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문화상품 개발 방향에 대해서는 관계자들 모두 지역과 축제의 이미지가 잘 드러나는 상품 개발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고, 개발 희망 아이템에 대해서는 대부분 티셔츠를 선호하고 있으며, 그 외에 축제 유형에 따라 탈, 탈춤복장, 모자, LED 소재의 액세서리류, 무술 인형 등이 있었다. 둘째, 문화관광축제 상품 현황을 분석하기 위해 점포 조사를 수행한 결과, 문화상품 종류는 액세서리류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는 자기류, 의류 및 잡화, 인테리어 제품, 문구류 순이었다. 티셔츠는 모든 축제에서 판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티셔츠가 가장 대중적인 아이템 중 하나이면서 부담 없이 구매할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상품의 종류가 가장 다양했던 축제는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로, 탈, 목걸이, 핸드폰 줄, 티셔츠, 액자 등이 있었고, 진주남강유등축제와 강진청자문화제는 상품이 다양하게 개발되어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상품에 활용된 디자인 모티프는 축제나 지역 이미지 둘 중 어떤 것도 활용하고 있지 않은 상품이 대부분 이었다. 축제를 상징하는 이미지 활용도가 높은 축제는 강진청자문화제, 지역 이미지 활용도가 높은 축제는 무주반딧불축제였고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과 충주세계무술축제는 축제나 지역의 문화자원과 이미지보다는 어디에서나 구입할 수 있는 상품들이 많았다. 셋째, 문화관광축제 방문객의 구매 실태를 조사한 결과, 문화관광축제의 유형에 따라 방문객의 방문 목적과 동반자가 달라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방문객 유형은 축제에서 판매되는 문화상품 구입에 있어서도 아이템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상품 구매 실태에서는 응답자의 약 3분의 1에 해당하는 방문객만이 한 개 이상의 기념품을 구입하였는데, 대체적으로 문화상품의 아이템과 디자인이 다양하고 축제 또는 지역을 상징하는 문화상품을 많이 보유한 축제에서의 구매율이 높았다. 주요 구매 아이템은 핸드폰 줄, 열쇠고리, 인형, 그릇, 목걸이, 티셔츠 순이었고, 어린이를 동반한 가족단위의 방문객이 많은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이나 진주남강유등축제에서 인형의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문화상품 구입에 소비한 금액은 1-3만원 미만이 가장 많았으며, 구입한 후 전반적으로 보통 수준을 약간 웃도는 정도의 만족도를 보였다. 문화상품을 구입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서는 실용성, 독특성, 선물 가능성, 상징성, 가격적인 측면에서 만족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응답하였다. 문화상품 구매 시에 중요하게 생각하는 속성은 디자인, 상징성, 가격, 독특성, 혁신성, 선물 가능성 순으로 조사되었다. 선호도가 높게 나타난 상품군은 의류 및 잡화, 패션 액세서리류였는데, 특히, 티셔츠가 가장 높고, 그 다음으로는 모자, 인형, 그릇, 핸드폰 줄, 열쇠고리 순이었다. 이상의 조사결과를 토대로 문화관광축제 상품 디자인에 나타난 문제점을 도출한 결과, 축제 문화상품은 지역 또는 축제의 상징성을 충분히 나타내지 못하고 있고 문화관광축제의 방문객 특성이 반영된 아이템과 다양한 가격대의 문화상품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써 지역문화자원을 활용한 패션문화상품 디자인을 개발하기 위해 문화관광축제 상품 디자인 개발 전략을 수립하고 관계자 인터뷰와 문화상품 현황을 반영하여 축제 유형별 패션문화상품 개발 방향과 컨셉을 설정하였다. 즉,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은 'Tribal- Holic', 보령머드축제는 'Get away from it all', 강진청자문화제는 'Timeless Memories', 진주남강유등축제는 'Lighting up the River', 충주세계무술축제는 'Next Ergonomics Gym', 무주반딧불축제는 'Eco-Purity'를 컨셉으로 축제 개최측의 개발 희망 아이템과 문화상품 방문객 선호도 조사결과를 반영해서 축제 유형별로 4개의 아이템을 선정한 다음, 각 지역의 문화재에 나타난 전통 문양 및 특산물, 지역 또는 축제를 상징하는 로고나 캐릭터 등을 모티프로 활용하여 4종류씩, 총 96개의 디자인을 하였다. 문양의 정형화 작업과 텍스타일 개발, 아이템별 디자인 전개는 Adobe Photoshop 6.0과 Adobe Illustrator C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제시하였다.

      • 전라남도 문화관광축제의 활성화방안에 관한 연구

        안순이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9727

        문화관광축제는 전통문화와 독특한 주제를 배경으로 한 지역축제 중 관광상품성이 큰 축제를 선정하여 집중 육성하고 있으며, 외래관광객 유치 증진 및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본방향을 두고 추진하고 있다. 최근의 문화관광축제 평가 보고서를 보면 관광객들이 단순히 보는 관광보다는 직접 체험하는 관광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른 전략으로 문화관광부, 광역자치단체, 기초자치단체, 그리고 지역별 축제추진위원회는 공동으로 기획하여 축제의 본질과 지역 전통문화의 주체성 유지에 바탕을 두고 관광객 참여형 축제로 전환을 추구하고 있다.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도출한 문제점은 첫째, 관광수용여건이 제대로 갖추어져 있지 않다는 것이다. 관광안내소나 주차장, 숙박시설, 휴게실, 화장실 등의 편의 시설이 갖추어져 있지 않다. 둘째, 축제의 운영·관리의 문제를 들 수 있다. 축제의 개최시기가 집중되어 있으며, 지역축제를 매력있는 관광자원으로 개발하고 상품화하려는 노력이 부족하다. 또한 우리 나라의 경우 아래로부터 자생적 축제이기보다는 인위적인 축제가 대부분이어서 지역주민의 자발적인 참여를 구조적으로 저해하는 요인이 된다. 셋째, 축제의 지역특성화의 문제이다. 각 축제들이 처해 있는 여건이 서로 다름에도 불구하고 축제프로그램의 구성에 있어서는 획일적인 양상을 보이고 있어 지역성이 결여되어 있다. 넷째, 축제의 재정적 문제이다. 물론 예산이 적다고 해서 반드시 축제의 질적 수준이 떨어진다고 할 수는 없지만 일반적으로 축제의 내용과 예산은 비례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축제예산이 상급기관의 보조금 의존도가 매우 높고 공공부문에 절대적으로 의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축제의 자생적인 발전은 불가능하게 된다. 위에서 본 문제점에 대한 활성화 방안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관광수용여건의 개선을 들 수 있다. 먼저 안내시설을 체계화시켜야 하며 편의시설·서비스의 개선을 해야 한다. 축제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행사 자체를 위한 준비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관광수용여건의 개선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둘째, 운영·관리의 체계화이다. 이를 위해서 지역관광업계와의 효과적인 연계를 이뤄야하며, 홍보전략을 개선하여야 한다. 또한 지역적 축제의 주제 설정시 중심주제가 뚜렷하여야 하며 독창적인 이벤트 개발에 노력해야 할 것이다. 관광성수기에 집중되어 있는 축제의 개최시기를 조절해야 하고 지역주민들을 대상으로 이벤트의 중요성 및 효과를 교육, 설득시키는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자발적 참여를 유도하게끔 해야 하며 축제의 기회, 운영, 홍보 등 축제를 체계적으로 통제 조정할 수 있는 전문인력의 확충이 필요하다. 셋째, 방문객시장에 대한 사전분석이다. 방문객들의 여행형태에 대한 분석은 축제의 공급자 입장에서 축제를 운영·관리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자료가 되므로 표적시장을 정확히 파악하여 분석을 토대로 행사 프로그램이나 축제의 기획 전략에 반영한다면 효과적인 축제활성화가 가능할 것이다. 넷째, 재정확충의 다각화를 꾀하여야 한다. 따라서 축제와 관련있는 민간업체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협찬 및 지원을 통해 기부금을 확보하고 상품 매장의 일부분을 민간기업에 배분하는 방식을 사용하여 민간업체의 참여를 유도할 필요가 있다. 지역축제는 지역의 역사를 반영하고 지역민의 삶을 구체화하는 방향으로 모색 되어야 한다. 이러한 지역색이 풍부한 개성있는 문화창조를 통해 궁극적으로 풍요로운 삶을 영위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지역축제의 시간과 공간에 세심한 계획이 필요하다. 축제의 주제와 특성에 따라 발전방향에 대해서 차별화가 되어야한다. 모든 지역축제에 다 같은 문제점이 있을 수는 없고 또 문제점에 대해 다 같은 해결 방안을 적용할 수는 없다. 따라서 문화관광축제의 성격에 따라 축제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여 지역의 문화관광축제를 더욱 발전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The culture sight-seeing festival does peculiar tradition culture and subject to the background. The product among the area festival selects big festival and the concentration is rearing and put the basis direction in an tourist detention increase and area economy activation and are propeling. The tourists of recent days have been revealed that we prefer the sight-seeing to experience directly. A government and each groups plan together to the strategy according to this and we are based on an independence hold with the true nature and are pursuing the switch to an involvement festival. The problem to deduce the investigation result to the natural disposition. First, we are properly the sight-seeing reception condition the thing not to be equipped. The sight-seeing information center, the convenience equipment of the lounge the lodging equipment Station back of the rest room is not equiped properly. We can raise first the problem of the festival of the operation. The gaechoisigi of the festival is concentrated and the effort to develop to charm sight-seeing resource lacks the area festival. Also, the involvement of the area inhabitant is lacked. We are the fact that the characteristic of a third area does not exist. The condition which each festivals are in unfavorable position is different each other regard then the structure of a festival program is similiar. It is the problem on financial of a fourth festival. It can not say that a qualitative level falls off because the estimate writes of course. The estimate is generally proportional with the content of the festival but. As well a festival estimate's subsidy dependence of the upper class engine is very high. And the development of the festival which is for oneself is depending absolutely on the public section and is impossible. We are as follows if we look into an activation plan about the problem which sees in there. We can raise first the improvement of the sight-seeing reception condition and must formulate a system first the guidance equipment and must do the improvement of the convenience equipment. The improvement of general sight-seeing reception condition must be supported as well as readiness for an event oneself. We are the officer of a second operation. We must efficient link of an area sight-seeing industry and improve the relation strategy for this besides the center subject must be clear and must make effort on an event development which is the creative. We must adjust the date of the festival and the education must order the importance and effectiveness of the event with area inhabitants. We must do so that we induce spontaneous involvement execute the program to persuade and need the expansion of a telegram manpower which the control can modify the festival systematically. We are the dictionary analysis about a third visitor market. The analysis about the travel form of visitors becomes important data in managing the festival therefore a festival activation grasps the objective object market and will be possible if we reflect at a planning programming and budgeting system strategy of the festival. We must do a finance expansion through the consent of a fourth company of the province government. Consequently must reserve the contribution to induce the involvement of the festival and private company to be related and do the division at the private company the one part of a product burial and need to induce the involvement of the private company. The area festival reflects the history of the area and must be groped to the direction to materialize the life of inhabitants. We need careful with the time of the area festival at the space plan for it. The distinction needs according to the subject of the festival and characteristic about the development direction. We can not have the problem all same at all area festival and can not apply same solution plan all about the problem. They must deduce the problem of the festival according to the personality of a culture sight-seeing festival and we present the plan to solve and must develope the culture sight-seeing festival of the area more.

      • 메타평가를 통한 문화관광축제 평가체계 개선방안 연구

        사영미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문화관광축제 평가체계에 대하여 메타평가를 통한 평가체계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개선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방법으로 평가시스템에 대한 평가의 개념을 가진 메타평가(meta-evaluation)를 실행하였다. 왜냐하면, 문화관광축제 평가가 진행된 10여년 동안 대내외 적으로 끊임없이 평가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되어 왔고, 그 근본적인 문제를 찾기 위해서는 문화관광축제 평가체계에 대한 일부분이 아닌 평가체계 전반에 대하여 종합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메타평가는 문화관광축제 평가체계를 평가환경, 평가투입, 평가수행, 평가활용측면 등 4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살펴보았으며, 이를 위하여 문화관광축제에 적합한 메타평가 평가모형을 설계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평가자, 피평가자,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동시에 문헌연구 및 인터뷰 조사를 병행하였다. 이러한 연구과정에서 문화관광축제에 대한 메타평가 결과가 나타났으며, 각각의 영역에 대한 문제점과 이에 따른 개선방안을 제안해 보았다. 먼저 평가환경 영역에서는 축제 평가목적을 분명히 할 필요가 있음을 알리며, 이를 위해 문화관광축제의 등급별로 각각의 발전방향을 명시하고, 그에 따른 축제 평가목적을 구체적으로 제시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평가투입 영역에서는 축제의 자료와 평가인력에 대한 개선의견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에 대해 중앙단위 평가관리와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 집단과 방문객 의견을 반영을 통해 개선의 여지가 주어질 수 있다고 보았다. 평가수행 영역에서는 평가지표별 비율을 적정하게 배분하는 것을 대안으로 생각해 볼 수 있겠다. 또한 평가결과를 정리한 종합평가보고서에 대해서도 평가내용과 평가과정 등 내용적인 부분에서의 개선사항이 필요함을 언급하였다. 평가활용 영역에서는 축제 평가의 컨설팅 기능이 제대로 수행되기 위한 제반 조건들을 제시한 바, 담당 컨설팅팀 조직과 평가 결과에 대한 관계자 포상 관련 제안을 기술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개선방안은 평가체계 전체적인 체계에 대한 거시적인 제언을 진행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충실히 다루지 못한 부분들은 후속연구에서 좀 더 세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강원지역축제의 무용공연 현황 연구

        송인주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2020년도부터 문화관광축제의 등급제가 폐지되고 균등한 지원금과 2년 연속사업의 새 정책이 시행되며 선정된 35개의 문화관광축제 중에서 강원도는 7개의 지역축제로 20%의 가장 높은 선정을 받음에 따라 문화관광축제로 많은 선정을 받을 수 있었던 강원지역축제의 요소들을 알아보기 위해 등급제 폐지 정책 이전 5년과 정책 이후 진행된 2년의 기간을 설정하여 강원도 문화관광축제를 연구하였다. 그 중에서도 축제 프로그램에서 빠질 수 없는 예술 공연을 집중적으로 알아보았는데, 다양한 예술 분야 중 예술성과 대중성을 겸비한 무용이 그동안 축제의 시작과 끝을 알리는 역할을 해옴으로써 강원지역축제 프로그램에서는 어떤 역할을 감당하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추후 강원지역축제가 문화관광축제로서의 지속적인 자리매김을 위해 무용이 노력해야 할 방향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첫째, 강원지역축제가 한 유형으로 치우치지 않고 여러 유형의 축제들이 지역이미지와 특색을 잘 살려 획기적인 프로그램 기획을 통한 발전가능성이 보여졌다. 이를 통해 강원 지역축제가 꾸준하게 선정될 수 있던 것은 다른 지역에 비해 강원도 지역이 가진 산과 바다가 어우러짐의 자연과 더불어 문화의 발전이 다양한 지역축제를 만들 수 있고, 이러한 장점으로 새 정책 이후 강원 지역축제가 문화관광축제로써의 지속적인 발전을 기대할 수 있는 부분이라 생각한다. 둘째, 2015년도부터 2021년도까지 강원도 문화관광축제는 정책 전후를 비교해봤을 때 문화예술축제로 분류된 축제들이 꾸준히 선정된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하여 강원지역축제는 앞으로 문화예술 자원을 발굴하여 문화관광축제로 선정 받기 위한 차별화된 축제 프로그램 기획과 관광객들의 참여 프로그램을 위한 끊임없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셋째, 일반 대중들에게는 단독적인 무용공연의 이해는 다소 어렵기 때문에 다른 예술 분야와의 융합을 통해 종합예술로 다가갔을 때 대중과의 거리를 좁힐 수 있다고 보았다. 마임, 퍼포먼스, 시각 등 다양한 예술 분야와 융합된 무용공연이 오랫동안 진행되어왔음을 통해 무용 순수의 공연들을 고집하기보다 축제 주제와 분위기에 걸맞는 타 예술 분야와의 공연을 연출한다면 강원지역축제의 문화예술은 발전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전공자와 비전공자를 불문하고 무용을 접하고 있는 지역 주민의 무용공연 참여는 지역 애착도를 높여줌으로써 지역 사회의 유대감과 자긍심을 일으켜준다. 무용 전공자의 공연 참여는 지역 이미지와 브랜드화 창출에 도움이 되고, 비전공자의 공연 참여는 일반 대중들의 무용에 대한 관심과 애착을 보여줌으로써 무용 분야에 다양한 활성화에 이바지가 된다. 본 연구는 문화관광축제의 2020년도부터 시행된 새 정책 이후의 축제를 연구하기까지 연구기간의 제한이 있었는데 설상가상으로 2019년 12월 발생한 코로나19의 재난 상황으로 인해 2020년도 축제들이 취소되는 경우가 발생하여 연구의 어려움이 있었다. 하지만 어려운 상황에서도 춘천마임축제는 프로젝트 대체로 대처하는 노력이 돋보였으며, 이는 해외의 세계적인 축제가 대체했던 방법과 비교하여 춘천마임축제가 다양한 시도를 위한 노력을 했음을 볼 수 있었다. 오랜 역사의 춘천마임축제가 새로운 시도와 변화로 개최한 것을 높게 보며 많은 연구자들이 앞으로 춘천마임축제의 연구에 관심가지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온·오프라인으로 병행되는 축제 개최에 따라 무용공연의 온라인 플랫폼을 구축하는 것이 온라인 생중계나 영상물 제작이 진행 될 때 오프라인과 비교하여 전달력이 떨어지는 것을 보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This study sets the five-year and two-year period before the abolition of the grading system and the two-year period after the abolition of the grading system. In particular, we focused on art performances that are indispensable for festivals, and in various fields of art, dance with both artistic and popularity has played a role in the beginning and end of festivals in Gangwon Province. In order to make Gangwon-do a cultural and tourism festival in the future, the government has decided to explore the direction of dance efforts. First of all, Gangwon-do festivals are not biased toward one type, and various types of festivals are likely to develop through groundbreaking program planning, taking advantage of regional image and characteristics. The reason why Gangwon-do festivals are continuously selected is that Gangwon-do festivals are expected to continue to develop into cultural tourism festivals after the new policy, as well as nature that harmonizes with the mountains and seas. Second, from 2015 to 2021, Gangwon Province's Culture and Tourism Festival was selected as a cultural and artistic festival. In this way, Gangwon-do festivals need to plan differentiated festivals to discover cultural and artistic resources and select them as cultural and tourism festivals, and make steady efforts to participate in them. Third, it is difficult for the general public to understand solo dance performances, so they can narrow the distance between themselves and the public by integrating them with other fields of integration with other fields of art. Through dance performances in various fields of art, such as mime, performance, and vision, it is possible to develop the culture and art of festivals in Gangwon Province by performing with other fields of art that suit the theme and atmosphere of the festival. In addition, local residents, regardless of whether they are professionals or non-professionals, participate in the dance performance, which strengthens the community's bond and pride. The participation of dance majors in the performance will help create a regional image and brand, and the participation of non-professional performers will contribute to the revitalization of the dance field by showing interest in and love with dance. This study had a limited period of time until the festival after the new policy, which will be implemented from fiscal 2020, but to make matters worse, the Corona 19 disaster in December 2019 caused the festival to be canceled in fiscal 2020, making it difficult to study. However, despite the difficulties, Chuncheon Pantomime Festival has made efforts to deal with the project, compared to the alternative methods of world festivals abroad. The Chuncheon Pantomime Festival, which has a long history, is highly praised for its new attempts and changes, and many researchers will be interested in future research on Chuncheon Pantomime Festival.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study ways to compensate for the poor communication power of online live broadcasting and video production in parallel with the holding of online and offline festivals.

      • 관광문화축제 참가자의 만족 및 재방문의사에 관한 연구 : 제주지역 정월대보름 들불축제를 중심으로

        양우철 단국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9727

        This study aims at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the local culture and tourism by seeking for more efficient strategies and developing plans for the tour culture festival as well as by revie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atisfactory factors of the festival and the revisiting intention recognized by the participants of the tour culture festival, both local residents and tourists, carrying out a survey questionnaire for local residents and visitors who took part in 'the Wild Fire Festival on the Great First Full Moon Day', one of the prospective festival selected by the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as the representative culture festival in the Jeju area, in order to help festival planners and marketers develop any festival program and plan any even tour product. From a summary of the findings from the hypothesis test of this study,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both local residents and visitors in the pattern of festival participation except for the distinction of gender and companion, and the satisfactory factors of festival.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visiting intention between local residents and visitors, as local residents showed high revisiting intention than visitors.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local residents and visitors depending on the age, festival participation frequency, companion number and time to determine the festival participation, in the satisfactory factor of the tour culture festival. Fourth,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between local residents and visitors depending on the pattern of festival participation in the revisiting intention. Finally, the advertising factor, access factor and facilities factor were shown to be the factors of the plus(+) impact on the revisiting intention of local residents among the satisfactory factors of the tour culture festival for local residents, while the event factor and advertising factor were shown to be the factors of the plus(+) impact on the revisiting intention of visitors among the satisfactory factors of the tour culture festival for visitors. The following implications might be derived from the results of the above empirical analysis. First, it is necessary to perform broadcasting aggressively for public relations toward local residents in the broadcasting media and to provide rich information for visitors in advertisements as part of plans to increase the advertising factor through the media differentiation. In addition, it is also necessary to provide various contents for the festival event programs including the tour information adjacent to the festival place and to prepare and execute long-term advertising strategy, in order to help visitors easily recognize the information about the festival in the advertisements. Second, the event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in a way to enhance the awareness of increasing the understanding of the festival and the local culture, the experience programs and productions to feel the local taste and flavor in food and souvenir should also be made to invite visitors to attend, and the indigenous products should be sold to visitors at inexpensive prices to promote them. Third, it is necessary to facilitate the conditions to spend as much time as possible in the festival place by utilizing shuttle buses running through major villages as well as enlarging public transportations for the purpose of convenience to access to the festival places. In addition, various and detailed information to increase accessibility including the guideline map for the festival places and bus routes in detail should be provided in the festival advertisements in order to induce the participation of visitors using rent cars and privately owned vehicles. Fourth, it is necessary to expand space to stay and rest in the festival site for a long time as well as the wide parking facilities for local residents who mostly use their own cars. In addition, it is also necessary to facilitate the environment to enjoy the festival in a more agreeable circumstance by organizing volunteers for cleaning the washing room and the surrounding festival places. 본 연구는 관광문화축제 참가자인 지역주민과 관광객이 인식하는 축제의 만족요인과 재방문의사와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보다 나은 관광문화축제 효율화 전략 및 발전 방안을 모색하여 지역문화 및 관광발전에 기여하고, 축제 기획가와 축제 마케터들에게 축제 프로그램 개발과 이벤트 관광상품 기획시 도움을 주고자 제주지역의 대표적인 문화축제로 문화관광부 선정 유망축제인 ‘정월대보름 들불축제’에 참여한 지역주민과 외지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검증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성별과 동행인 구분을 제외한 축제 참가행태, 그리고 축제만족요인은 지역주민과 외지인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지역주민이 외지인에 비해 재방문의사가 높게 나타나 지역주민과 외지인에 따라 재방문의사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관광문화축제 만족요인은 연령과 축제참가횟수, 동행인 수, 축제참가 결정시기에 따라 지역주민과 외지인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재방문의사는 관광문화축제 참가행태에 따라 지역주민과 외지인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지역주민의 관광문화축제 만족요인 중 홍보요인과 접근요인, 시설요인은 지역주민의 재방문의사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외지인의 관광문화축제 만족요인 중 행사요인과 홍보요인은 외지인의 재방문의사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실증분석의 결과를 토대로 축제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매체차별화를 통한 홍보요인 향상 방안으로 방송매체는 지역주민을 위한 홍보방송을 적극적으로 전개하고 홍보물은 외지인을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또한 홍보물에는 외지인이 쉽게 축제에 대한 정보를 인지하기 위해 축제장 인근 관광정보를 비롯한 축제 행사프로그램에 대한 다양한 내용을 제공할 필요가 있으며 장기간의 홍보 전략을 마련하여 시행할 필요가 있다. 둘째, 행사프로그램은 축제에 대한 이해도 향상과 지역 문화에 대한 인지도를 높일 수 있도록 개발하고 외지인이 참여할 수 있는 체험 프로그램과 음식 및 기념품 등을 지역의 맛과 향기를 느낄 수 있도록 제작하고 외지인을 대상으로 지역 특산품 홍보를 위해 저렴한 가격에 판매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축제장 접근 편리성을 위해 대중교통 수단을 확대하고 지역의 주요 마을을 운행하는 셔틀버스를 적극 활용하여 축제장에서 많은 시간을 보낼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렌터카와 자가용을 이용하는 외지인들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축제 홍보물에 상세한 축제장 안내도와 노선버스 등 접근성 향상을 위한 다양하고 상세한 정보를 제공해 주어야 한다. 넷째, 자가용 이용이 많은 지역주민을 위해 넓은 주차장 시설과 오랜 시간동안 축제장에 머물 수 있는 휴식공간을 확충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자원봉사자를 운영하여 화장실 및 주변 축제장을 청결하게 함으로써 보다 쾌적한 환경에서 축제를 즐길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

      • 문화관광축제포스터의 요소별 선호 결정에 관한 연구

        남승훈 단국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9727

        현대인에게 있어 관광은 여가 선용의 수단으로 그 가치가 높아지고 있다. 단순히 ‘보는 것’에 국한되어 있던 소극적 관광은 시대적 환경의 흐름에 따라 다양하고 전문화된 ‘참여형’ 관광으로 전환되고 있다. 이러한 관광패턴의 변화는 문화적 차원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세계 각국에서는 관광과 문화를 접목시켜 상품화하는 한편, 국가관광산업발전을 촉진하는 주요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다. 우리나라 역시 1995년 6월 지방자치제를 실시하면서 세계화, 지방화, 개방화를 통하여 지역의 정체성 확립과 지역이미지 제고 및 지역개발의 주요한 수단으로 지역 축제를 지역 활성화의 전략으로 활성화 하였는데 특히 주 5일제 근무의 확산과 웰빙 열풍, 여가문화에 대한 관심의 증대는 이러한 지역축제의 활성화를 더욱 가속화 시켰다. 문화관광축제는 지역의 이미지를 대표하고 지역전통문화의 대외홍보는 물론 지역주민의 화합과 자긍심 고취, 주민과 관광객과의 교두보 역할을 담당하지만 경제의 개념으로는 하나의 상품으로 구분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방자치단체에서는 문화관광축제의 보다 효과적인 홍보를 위해 다양한 방법으로 국내외 홍보활동을 전개하고 있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축제의 대표적인 홍보 수단인 문화관광축제포스터를 대상으로 요소별 선호 결정요인을 분석하여 보다 효과적인 시각커뮤니케이션이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문화관광축제포스터의 제작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문화관광축제포스터는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에서 지역축제의 홍보를 위해 사용하는 인쇄홍보물로 궁극적인 목적은 잠재관광객들로부터 호의적인 이미지를 얻는데 있으며 축제의 상품성을 가시화?유형화시키고 관광상품을 최대한 노출시켜 축제의 참가를 유도하는 시각 커뮤니케이션의 수단이다. 연구 접근방법으로는 2006년 문화관광부에서 선정한 문화관광축제 27개의 축제의 공식포스터로 사용했던 포스터의 조형요소별 선호도 설문조사를 선택하였으며, 지역축제인 점을 감안하여 이동인구가 많은 기차역과 고속버스터미널에서 10대 부터 50대 이상 다양한 연령층 4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내용을 실증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요소별 선호 분석에서는 4개 분야별 상위 5개의 포스터를 기준으로 볼 때 일러스트레이션의 경우 사진 이미지를 활용한 표현보다는 핸드 일러스트레이션의 회화적 표현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타이포그래피에서는 독창성 있는 캘리그래피 스타일의 축제 고유 로고타입디자인의 선호가 높았으며, 컬러에 있어서는 다색 보다는 단색 또는 유사색의 균형적 배합을 선호한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레이아웃은 구성요소를 줄이고 충분한 여백을 활용하고 일러스트레이션을 중앙에 배치하여 가독성과 주목도를 높인 레이아웃을 선호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축제포스터는 축제기간, 장소, 프로그램 안내와 같은 일반적인 고지성과 단순한 시각적 아름다움인 심미성의 추구를 넘어 대중의 선호도를 정확히 파악함으로써 축제에 대한 방문욕구를 유발시켜 참가를 유도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축제 주최측은 축제의 정보를 정확하게 표현될 수 있도록 홍보물 디자인 담당자와의 충분한 커뮤니케이션을 통하여 시대가 요구하는 시각커뮤니케이션 매체가 탄생할 수 있게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그래야만 디자인적 가치와 조형성을 갖춘 축제포스터로서 문화관광축제의 이미지가 소비자들에게 전달 될 것이라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For most people in recent years, 'sightseeing' gets the increasingly high value as the useful means of leisure. Passive sightseeing has been limited to merely seeing things, but today, it is transformed into the diverse and special 'participatory' sightseeing form, in accordance with the current trend. Such a changed sightseeing form is highlighted as very crucial factor in the cultural terms. These days, the entire world combines and commercializes culture and sightseeing, but also it uses national sightseeing industrial development as the major facilitator. South Korea has begun to facilitate local festival as the major strategy to revitalize local regions, establish local identities, raise local images, and develop local life, since the first introduction of the local autonomous system in June 1995. Particularly, the rising five-weekly working hours‘ system and the fevers of wellbeing along with the increasing interests in leisure culture have greatly contributed to accelerating local festival. Culture sightseeing festival plays a pivotal role in not only representing local images and promoting local traditional culture overseas, but also heightening reconciliations and self-esteems among local citizens, and forming linkages with citizens and tourists. But, such a festival can be cited as what's called, one product, in light of economic terms. Thus, local autonomous institutions promote a wide variety of public relations at home and abroad, as part of a bid to more effectively promote culture sightseeing festival. This research thesis aims at presenting methods to produce effective culture sightseeing festival posters capable of getting efficient visual communications. To do it, this thesis makes an analysis on each preferred determinative factor, with the study of culture sightseeing festival posters, as the public relations media typical of local festival. Such culture sightseeing festival posters are known as the printing public relations data necessary for the public relations of local festival used in the central and local autonomous institutions. Their ultimate goal is to secure good images from potential tourists. And, they are the visual communications means to visualize and materialize festival products, exposing sightseeing products at maximum and inducing the participation of festival. As the research approach method, this research thesis has adopted a survey study based on poster pattern factors preferred and used as the public posters for 27 culture and sightseeing festivals selected by the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in 2006. Considering local festival, the thesis has conducted a substantial analysis based on the surveyed data. The survey was of 450 people in various ages from teenagers to more than the 50, in busy train subways and express bus terminals The result shows that for the preferred factor analysis, 'hand illustration'-styled drawing expression has been preferred rather than photo image-styled expression. In the aspect of typography, calligraphy-styled log type festival design characteristic with unique form has had the high preferences. For color, the balanced combination with single or similar color rather than multi-color has been highly preferred. Also, 'lay-out' is observed to have got the high preferences by reducing components, using rooms much enough, placing illustration in the central position, and highlighting readability and attention degree. Most festival posters must not just play a role in pursuing 'solidarity' in the aspect of festival period, place, and festival program information and 'aesthetics' in the aspect of visual beauty, but also in making the accurate understandings on the audience's preferences and inducing them to have desires to participate in the festival.. To do it, the festival-hosting officials must take heed in giving rise to visual communications media right for the current trend, by making communications with public relations managers much enough to express festival information in an accurate way. The result reveals that the above-stated description will create the images of culture sightseeing festival in combination with design value and pattern to deliver the general consumers.

      • 문화관광축제의 방문자만족에 관한 연구

        김태희 경기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727

        우리나라가 지방자치제를 실시한 이후 각 지자체들은 관광객 유치를 통해 지역경제의 발전이라는 목표를 가지고 축제의 발전에 힘을 기울이고 있다. 또한 관광부문의 많은 관광기업들과 지자체에 있어서도 소비자의 관광객 만족경영을 새로운 경영이념으로 채택하고, 소비자만족 경영을 추진하게 된 이유는 관광환경의 변화로 인해 종래의 기업중심의 사고로는 더 이상 경쟁환경에서 살아남을 수 없다는 사실과 관광객 만족 경영만이 급속한 환경변화에 대응하는 유일한 전략임을 인식하게 되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문화관광축제에 있어서도 관광자 만족, 다시 말해 관광 체험 후 경험에 대한 평가는 관광자나 관광지 관리자 모두에게 매우 중요한 개념으로, 이와 같은 관점에서 문화관광축제나 관광행동에 대한 만족도의 평가는 최근 많은 관광기업과 지자체에도 소비자 만족경영이라는 새로운 경영이념을 채택하고 있는 시점에서 주요한 사항이라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문화관광축제와 관광자 만족에 대한 개념을 고찰하고, 문화관광축제의 관광자 만족 형성과정에 있어서 문화관광축제중 하나인 금산인삼축제는 어떠한 만족요소들을 가지고 있으며 그러한 요소들이 관광객 만족과 재방문 그리고 권유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함으로써 향후 문화관광축제의 발전방안 제시하는제 목적을 두고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론적 연구와 실증적 연구를 병행하였다. 이론적인 연구에서는 먼저 문화관광축제의 개념, 기능 등의 문화관광축제의 이론과 관광자 만족에 관한 이론을 알아보았으며, 축제에 대한 관광자의 전반적 만족과 재방문과의 관련성에 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이론적 연구를 바탕으로 문화관광축제의 만족 요소와 가설을 설정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조사는 축제기간동안 금산인삼축제를 방문한 방문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금산인삼축제의 속성에 대한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편리성, 다양성 서비스, 내용성, 가격성의 순으로 5개의 요인이 추출되었다. 둘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분석 결과, 편리성에 대하여는 연령별, 직업별, 학렬별, 소득별, 거주지별 그리고 방문횟수별로 차이를 보였다. 남성이며, 나이가 많을수록, 농·어업민일수록, 고등학교재학이상의 학력일수록, 100만원미만의 소득자일수록, 경상도 거주자들이 그리고 축제방문 횟수가 많은 집단에서 높은 평균값을 보이고 있다. 다양성에 대하여는 연령별, 직업별, 소득별, 축제 방문횟수별로 차이에 따른 유의수준을 나타냈으며, 남성이며 10대와 50대이상, 농·어업민일수록, 방문횟수가 많을수록, 중학교재학이상의 학력집단에서 높은 평균값을 보였다. 서비스성에 대하여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여성이며, 학력이 높을수록, 방문횟수가 많을수록 높은 평균값을 보였다. 내용성은 직업별, 소득별, 방문횟수별로 유의수준 내에서 차이를 보였고, 남성과 50대 이상이, 고등학교 재학이상의 하력 그리고 방문횟수가 많은 집단에서 평균값을 나타내었다. 가격성에서는 연령별, 직업별, 학력별차이가 유의수준을 나타냈으며, 남성일수록, 판매·서비스직일수록, 중학교재학이상의 모든 학력에서 그리고 3-4회 방문자 집단에서 평균값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가설검증 결과 금산인삼축제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요인1의 내용성, 요인2의 편리성 그리고 요인3의 서비스성이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금산인삼축제 참가자들은 축제주제에 부합하며 내용이 충실한 행사 그리고 상품들, 참가자들을 위한 편의시설, 서비스와 같은 것에 많은 비중을 두고있다. 또한 전반적 만족도는 축제의 재방문과 권유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방문자의 만족도, 재방문 그리고 권유의도를 높이기 위해서 무엇보다도 축제의 내용성을 강조함으로써 축제 참가자들의 만족도 및 재방문 의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보면, 첫째, 금산인삼축제의 높은연령층과 방문횟수가 많으며, 100만원 미만의 농·어업민 방문자의 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행사내용이 타 축제와 차별화되고 축제주제와 부합되는 축제행사들의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금산인삼축제가 산업형축제라는 것을 고려할 때, 인삼을 비롯한 축제상품의 질과 다양성 향상을 위한 노력이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전반적 만족도는 축제의 재방문과 권유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방문자의 만족도, 재방문 그리고 권유의도를 높이기 위해서 무엇보다도 축제의 내용성을 강조함으로써 축제 참가자들의 만족도 및 재방문 의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축제를 즐기기 위하여 가족·친지와 방문하는 방문자들이 많음을 고려할 때, 가족참여 프로그램, 사진촬영장소의 확대 또는 어린이들을 위한 축제관련 상품들을 개발하여 주변인의 권유를 통해 개인이 아닌 가족단위의 형태로서 금산인삼축제에로의 방문을 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분석결과에서 나타났듯이, 금산인삼축제 방문횟수가 많고 고연령층일수록 그리고 농어업민일수록 가격성을 제외한 전반적 요인에서 평균값이 높게 나타나고 있으므로, 높은 방문횟수로 인한 식상함을 느끼지 않도록 새로운 프로그램의 개발과 고연령층 방문자들을 배려한 편의시설 등의 확대를 통하여 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결과에도 불구하고 한정된 자료를 가지고 분석하였기에 금산인삼축제에 관한 인지도 및 중요 속성을 대표 할 수 없는 부분과 축제기간 모두가 아닌 주말을 이용하여 설문을 실시한 점, 만족에 있어 기대 부분을 측정하지 못한점 등이 한계점으로 남는다. 향후 보다 체계적이고 신뢰성 있는 조사기법을 통하여 지속적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has a goal of examining concepts of culture tourism festival and tourists' satisfaction, and finding out what satisfaction factors Geumsan Ginseng Festival has as a government-supported culture tourism festival during the formation of tourists' satisfaction with the culture tourism festival culture tourism tival. Also, the study looks into the influences of the factors on revisit and inducement intention of the tourist in order to propose plans to improve culture tourism festivals in the future.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of the study, a literary study was done along with an empirical study. In the literary study, investigation Geumsan Ginseing Festival, and tourists' satisfaction theory.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of a culture tourism festival was looked into. Hypotheses were built based on satisfaction factors established through the literary study for an empirical study on visitors of Geumsan Ginseng Festival. The study analyzed the factors for the properties of Geumsan Ginseng Festival and the result showed that there were 5 factors such as convenience, diversity, service, contents, and price. Second, an analysis was done on difference in the satisfaction according to demographic features. In result, there was no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and people older than 50 showed a high level of satisfaction in convenience, service, and price. As for the difference according to occupation, fishermen and farmers were highly satisfied with diversity, service and contents whereas people in high school and high school graduates showed satisfaction in convenience and contents. People with monthly income of less than 1 million Won showed satisfaction in convenience, diversity, service, and contents. Third, when the hypotheses were validated, the factors that have significant influences on Geumsan Ginseng Festival were contents of Factor 1, convenience of Factor 2, and service of Factor 3. In other words, the participants of Keumsan Ginseng Festival correspond to the theme of the festival and focus on events with substantial contents and prizes as well as convenience facilities and service for the participa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following statements can be made. First, there are a lot of elderly people who frequently visit Geumsan Ginseng Festival, and the event should be distinctive from other festivals and more festival events that meet with the theme of the festival should be developed in order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visitors such as farmers and fishermen whose monthly income is less than 1 million Won. Also considering Geumsan Ginseng Festival is an industrial festival, there should be more efforts to improve quality and diversity of the festival products including ginseng. Second, the study result showed that the general satisfaction has significant influences on revisit and inducement intention of the festival so the contents of festival should be emphasized in order to increase the visitors' satisfaction, revisit rate, and inducement intention. Considering there are a lot of family visitors, the festival should include family programs, extension of photo sites, and festival items for children. This will induce the families to visit the festival. Third, as it can seen in the analysis result, the average rate in the general factors excluding price is relatively high for people who visit the festival frequently, elderly people, farmers, and fishermen so new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so the visitors do not get sick of it due to frequent visits. Also the convenience facilities should be extended for the elderly people so that the satisfaction can be improved. Despite such results, the study did the analysis with limited data so it can't represent perception and important properties of Geumsan Ginseng Festival. Also, it has such limitations because the investigations were only done in weekends and it couldn't measure the expectations in satisfaction.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here should be studies through more systematic and reliable investigation methods in the future.

      • 문화관광축제의 평가속성에 관한 연구

        서정수 청주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9727

        For the central government, regional self-governing bodies and local residents, the important values that cultural tourist festivals hold are simply too many to count. However, festivals where the feedbacks on their problems and effects can be discussed through proper evaluation are extremely limited today, and the attributes of evaluating festivals are focused on the visitors-oriented assessment. For that reason, this research has studied what sorts of attributes are prioritized and which of them are important, starting with its purpose that the evaluation of cultural tourist festivals should be executed objectively, systematically and comprehensively. To accomplish the research objective, the analysis of weighted values and the verification of the divergences among groups have been carried out through the attributes able to evaluate cultural tourist festivals output from a preceding study. The research set up four factors in the attributes of evaluation: holders, local residents, visitors and participating companies, and detailed attributes of each factor have been observed. First, the areas of holders' evaluation among the attributes by each factor for measurement are the degrees of objectives accomplished, the efficiency of events as wholes, economical efficiency and democratic elements. Second, those of local residents' evaluation are the awareness of the events, the participation of residents and effects. Third, those of visitors' evaluation are experience activities, facilities, service and approachability. Fourth, those of participating companies' evaluation are exhibited directions and their connection to the events. The research has also verified the priorities in each attribute, the degrees of its importance and the divergences among groups by researching the opinions of professionals on the attributes in evaluating cultural tourist festivals. In the verification of measuring factors' reliability from 81 valid samples, a satisfiable outcome has been attained as the whole reliance of holders, local residents, visitors and participating companies was 0.9 plus. In the priority of each factor, the factors for holders have been prioritized economical efficiency, the efficiency of events, the degrees of objectives accomplished and democratic elements in order. Those for local residents have been prioritized in the order of residents' participation, effects and the awareness of the events. Those for visitors have been prioritized service, experience activities, facilities and approachability. Those for participating companies have been priorotized in the order of exhibited directions and their connection to the events. Despite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that an objective and comprehensive study of cultural tourist festivals has been carried out in it, it maintains some limitations as follows: First, however evaluation should include all of its elements, such as objects, periods, time, evaluators, compensational systems, etc., this research has dealt only with the selection of attributes and the decision of priorities. Hence, another research that considers all of the elements should be carried out. Second, in spite of the fact that evaluation should be not only for the past but also the establishment of long-term strategies and vision, this research lacks discussions on those elements. In other words, the attributes in it has not been selected through vision or strategies, but through a bibliographic study as a form of being ver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cademic circle and the official-dom. The researches hereafter should be to set up strategies and to come up with vision. Third, this research has failed to compare the thoughts of the involved industry on the attributes in evaluating the festivals since it has limited its respondents only to the two groups: the academic and the official people. If the future researches are carried out in the level of overcoming the limitations indicated above, it is thought that more meaningful results will be obtained.

      • 국내 문화관광축제의 온라인 홍보 실태와 개선방안 연구

        최윤정 건국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727

        지역축제 즉, 문화관광축제는 지역의 고용 창출은 물론 사회·경제·문화 등 모든 분야 발전에 기여하며, 그 지역만의 특별한 이미지를 만들어내는 효과는 물론 우리나라 전체에 사회·경제·문화 발전에도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이들 문화관광축제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온라인 홍보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최근 디지털 미디어의 급격한 발달로 온라인 미디어의 종류가 다양해지고 이용자가 증가하는 환경 아래서 국내 문화관광축제의 온라인 홍보 활동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그 실태를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바람직한 발전 방안은 무엇인지를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지난 10년간 최우수내지 우수축제로 선정한 문화관광축제 36개이며, 이들 축제의 공식 홈페이지, 페이스북, 트위터의 운영 실태가 1차 분석대상이다. 연구방법은 먼저 온라인 홍보 실태 조사를 위해 각 온라인 홍보채널을 직접 방문 조사하고, 홈페이지의 운용성은 선행연구를 토대로 분석 유목을 적용하여 양적인 내용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결과, 연구 대상 문화관광축제 모두 홈페이지를 개설하여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홈페이지를 온라인 홍보의 가장 기본적인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홈페이지의 운용 정도를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내용분석한 결과, 먼저 타 기관 홈페이지를 통해 축제 공식 홈페이지로 접근할 수 있는 경로를 알아보는 접근성은 연구 대상 문화관광축제 중 50% 이상이 타 기관 홈페이지 4곳 이상에서 접근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콘텐츠 즉 정보의 양, 최신성, 필수·부가정보, 제공 방법을 분석한 결과, 홈페이지에 게재된 정보의 양은 축제마다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대부분 이미지(사진)이나 동영상 등 다양한 방법으로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고, 최신 정보와 필수·부가 정보 제공도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홍보의 가장 중요한 기능인 상호작용성의 경우 단순 상호작용 공간 구축은 잘 되어 있었으나 실제 답변이 요구되는 게시판과 Q&A/FAQ 공간은 분석 대상의 50%만 구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게시판과 Q&A/FAQ 모두 그 공간에 게재된 모든 글에 답변을 제공하고 있지는 않았다. 요약하면 모든 축제가 형태상으로는 홈페이지를 활용한 온라인 홍보 시스템을 구축하여 운용하고 있지만, 실제 운용성에서는 여전히 한계를 지니고 있으며 특히 상호작용성은 보완되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최근 새로운 온라인 홍보 통로로 많이 논의되는 SNS의 경우에는 분석 대상 축제 36개 중 14개 즉, 39%가 활용 중이었으며, SNS 유형 중 페이스북 활용이 가장 많았고 그다음은 트위터의 순이었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이용자 수가 적어 아직 축제의 SNS를 활용한 홍보는 초기 단계의 미흡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를 대상으로 현장에서 실제 축제의 온라인 홍보를 담당하거나 이와 관련된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심층 면접한 결과, 그 문제점으로 오프라인 시대의 홍보시스템 존속, 온라인 홍보를 위한 전문 인력 부재, 그리고 SNS 특성과 기능에 대한 담당자들의 낮은 이해 등을 들었다. 그리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환경에 맞는 홍보시스템 도입 및 구축, 온라인 홍보 전문 인력 확보 및 교육, 홍보 기간 재설정 등이 필요하다고 제언하였다. 이러한 내용은 온라인 홍보에 적극적인 축제들을 사례 분석한 결과에서도 다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할 때 앞으로 디지털 환경의 발달과 함께 미디어 이용자의 이용행태 변화를 반영하는 국내 문화관광축제의 온라인 홍보는 더욱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기존 홈페이지 중심의 단순한 온라인 홍보보다는 SNS까지 홍보의 범위를 넓히되, 형식상 도입에 그칠 것이 아니라 이들 온라인 매체의 특성을 제대로 구현할 수 있는 홍보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며 이에 대한 경영진의 인식 전환과 투자가 요구된다.

      • 문화관광축제 참여 제약요인에 관한 연구 : 춘천마임축제를 중심으로

        류시영 경기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여가제약이론을 토대로 문화관광축제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제약요인을 파악하여 적용시킴으로써 여가제약의 적용범위를 확장하고자 하였다. 여가제약 이론은 여가활동을 참여하는 데 있어 제약요인이 선호와 참여간의 관계에 단계적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최근 우리나라는 지역축제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는 있으나, 문화관광축제의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제약요인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춘천마임축제를 대상으로 문화관광축제 참여 제약요인을 파악하고, 축제의 참여를 높일 수 있는 축제의 활성화 방안과 새로운 관광 시장 개발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실시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연구(literary study)와 실증연구(empirical study)를 병행하였다. 문헌연구는 축제와 관련된 이론을 고찰하고 축제 참여동기, 여가제약과 관련된 연구를 통하여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고 분석의 준거로 삼았으며, 이를 통하여 문화관광축제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제약 요인을 설정하였다. 실증연구는 문헌연구와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요인을 토대로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설문조사는 편의추출방식(convenience sampling)을 사용하여 실시하였으며, 춘천마임축제 방문객(120부), 춘천 지역주민(120부), 수도권 거주자(100부)를 대상으로 총 340부를 배부하여 불성실한 설문지를 제외한 289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설문문항은 여가제약요인에 관한 기존 문헌을 토대로 도출한 내재적 · 대인적 · 구조적 제약요인과, 인구통계학적 특성으로 구성되어 있다. 분석방법으로는 요인분석과 분산분석, 회귀분석을 주로 이용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관광축제 참여의 제약요인을 내재적 제약 2개 요인(신체 · 심리, 사전정보), 대인적 제약 1개 요인(동료), 구조적 제약 3개 요인(접근성 · 비용, 행사내용, 시간 · 업무) 등 모두 6개 요인을 추출하였다. 둘째, 조사대상에 따른 차이검증 분석결과 내재적 제약, 대인적 제약, 구조적 제약 요인 모두 행사장 방문자가 가장 큰 제약을 느끼고 있으며, 지역주민, 수도권 거주자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셋째, 축제의 참여와 참여의향에는 내재적 요인과 구조적 요인이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영향력의 크기는 내재적 제약의 '신체 · 심리' 요인이 가장 크고, 구조적 제약요인이 그 다음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사람들이 문화관광축제에 참여함에 있어 세 가지 제약이 모두 영향을 주지만 그 중 인간의 내재적 제약요인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으로, 축제의 물리적 환경(구조적 제약)이나 동반자 상황(대인적 제약)에 우선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축제 참여의 제약요인을 제거하여 축제 방문객 시장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프로그램 개발과 시설확충, 운영 효율화 등의 방안 보다, 개인의 관심을 유발하고 직접적인 참여동기를 부여할 수 있는 내재적 제약을 해소 또는 자극시켜줄 방안이 우선시 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가 가지는 여러 가지 한계에도 불구하고 문화관광축제의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제약요인을 실증적으로 밝힘으로써 축제 참여를 여가제약이라는 이론적인 측면에서 접근하고자 하였고, 문화관광축제의 활성화와 새로운 방문객 시장 개발을 위한 이론적인 근거를 제시하였으며, 문화관광축제 관련 정책 수립과 행사 기획 · 운영에 적용 가능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replicated and extended previous work on leisure constraints construct development by applying constraints data from ChunCheon Mime Festival. The theoretical basis for leisure constraints is grounded in the concept that constraints are encountered hierarchically and linearly, with negotiation occurring to allow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Currently, there is a lack of knowledge of constraints in cultural tourism festivals participation, even though they represent a growing tourism marke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leisure constraints and constraint negotiation in ChunCheon Mime Festival events. Both literary and empirical studies were employed for the successful achievement of study. On the literary study, theories related with festival, tourist motivation, leisure constraints, and the proceeding study were reviewed. It helped set up constraints factor of participation on cultural tourism festival. On empirical examination, it was carried out through questionnaire based on literary study and anticipant study. Multiple methods of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were used to investigate constraints. From a convenience sample of Mime festival participants (n=120), ChunCheon (n=120) and Metropolitan residents (n=100), valid questionnaire were received from 289 subjects for a response rate of 85.0 percent. Respondents were administered an instrument consisting of the Leisure Constraints Scale and a demographic questionnaire. Data were analyzed through factor analysis,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Constraints emerged in intrapersonal (physical & mental condition, prior information), interpersonal(companion), and structural categories(accessibility-cost, event program, time-business). The statistical analysis revealed that intrapersonal and structural constraints affected on actual participation and intention of cultural tourism festival participation. Among the three constraints, intrapersonal (physical & mental condition) constraints affected most of the Mime festival participation, followed by structural constraints. Based on the findings, the study suggest that festival planners need to concentrate more on removing intrapersonal barriers by drawing motivation and interests of individuals in order to activate cultural tourism participation rather than focusing on program development, facility expansion, and efficiency of management. In spite of several limitations, this study provided advancements in the understanding of cultural tourism festival constraints. Procedural, research, study limitation, and practical application recommendations were inclu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