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직업 무용수의 직무만족도와 향후진로방향 모색을 위한 방안

        김명진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what differences job satisfaction of professional dancers had according to gender, age, educational background, activity career, marriage and annual salary and what relations job satisfaction have with their course direction in the future. The study carried out independent samples t-test and one-way ANOVA to compare differences of job satisfaction followed by gender, age, educational background, activity career, marriage and annual salary with 300 professional male and female dancers in 16 municipal and provincial job dance groups. And the study carried out correlation analysis to examine correlations between job satisfaction of professional dancers and their course direction in the future. In addition, to examine the ranking of their course direction in the future, the study carried out frequency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hen the study analyzed differences followed by gender in difference analysis of sub factors of job satisfaction and course direction of professional dancers followed by demographical featur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only honorary factor. When the study analyzed differences followed by educational backgrou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only colleague relation factor. When the study analyzed differences followed by age, activity career, marriage and annual salar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job satisfaction and course direction in the future. Second, when the study analyzed correlations between job satisfaction of professional dancers and their course direction in the future, there were static relations in honor, salary satisfaction, senior relation, colleague relation and job itself and there were high correlations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their course direction in the future. Third, in preferential job of professional dancers’ course direction in the future, 96 out of 271 professional dancers (35.4%) chose arts director, choreography director, training director, music scenario writer and director. And 76 out of 271 professional dancers (28%) chose young children and elementary school education, middle and high school education and university education. 38 out of 271 professional dancers (14%) chose young children and elementary school education, middle and high school education and university education. 본 연구는 직업 무용수의 직무만족도의 성별, 연령대, 교육정도, 활동경력, 결혼여부, 연봉에 따라서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가?, 직무만족도와 향후진로방향과는 어떠한 관계를 보이는가의 목적을 가지고 전국의 국립, 시․도립 직업무용단 14개 단체에서 활동하고 있는 남․여 직업무용수 300명을 대상으로 성별, 연령대, 교육정도, 활동경력, 결혼여부, 연봉에 따른 직무만족도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samples T-test)및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고, 또한 직업무용수의 직무만족도와 향후진로방향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아울러, 향후진로직업 방향의 순위를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얻어진 결과를 종합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직업무용수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도와 향후진로방향 하위요인 차이분석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분석의 결과 명예요인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고, 교육정도에 따른 차이분석의 결과 동료관계요인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연령대, 활동경력, 결혼여부, 연봉에 따른 차이분석의 결과 직무만족도, 향후진로방향 요인 모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둘째, 직업 무용수의 직무만족도와 향후진로방향과의 상관관계분석에서 명예, 급여만족, 상사관계, 동료관계, 직무자체의 모든 요인에서 정적관계가 나타났고 직무만족도와 향후진로방향에서는 높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업무용수의 향후진로방향 희망선호직종 1순위로는 예술감독, 안무장, 훈련장, 음악 대본작가, 연출자가 271명중 96명으로 35.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희망선호직종 2순위로는 유아 및 초등교육, 중․고등교육, 대학교육이 271명중 76명으로 28%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희망선호직종 3순위로는 유아 및 초등교육, 중․고등교육, 대학교육이 271명중 38명으로 1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 여성 발레 무용수의 하지기능에 미치는 요인 분석

        이소영 단국대학교 2006 국내박사

        RANK : 247807

        이 연구는 발레의 동작 수행력에 영향 정도가 높은 하지의 기능 관련 요인을 도출 하여 이후 발레 무용수의 기능향상을 위한 과학적 자료를 제시하고자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여성 발레 무용수와 이들과 생물학적 요소가 유사한 일반 여성 각 50명, 총 100명을 대상으로 영향요인으로 일반적 특성, 기초체력, ROM, 근력을 기능요인으로 일반기능과 발레 전문기능으로 구분 한 후 하부 항목을 선정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체중과 신체조성의 측정을 위해 bio-electrical impedance method (In-body 4.0, Bio space, Korea)를 이용하였으며, 신장계 (G-theque, Korea)를 이용하여 얻어진 신장과 함께 BMI를 산출하였다. 각도계 (Yagami, Japan)를 이용해 고관절과 족관절의 ROM을 측정하였으며, 체후굴, 체전굴, 배근력, 윗몸일으키기와 제자리 높이뛰기 등의 기초체력은 기초체력 측정 시스템 (Helmas, Korea)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슬관절과 족관절의 등속성 근력 측정을 위해 Biodex system III (Biodex system, USA)를 이용하였으며, 체중당 등속성 근력과 주동근에 대한 길항근의 비를 자료화 하였다. 일반기능은 hopping test, Romberg test와 balance index (자세조정 test) (Biodex system, USA)를 통해, 발레 전문기능은 발레 무용수만을 대상으로 en dehors turn, piatte와 passe balance를 통해 측정하였다. 집단간 및 양 하지간 차이검증을 위해 one way ANOVA와 two way ANOVA를 이용하였으며, 기능과 각 변인간 관련성 검증을 위해 pearson's correlation test를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기능에 미치는 영향 요인 도출을 위해 multiple regression test를 실시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거쳐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발레 참가를 통한 신체의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일반 여성과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발레 무용수의 경우 BMI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던 반면, 체지방율은 발레 무용수가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초체력 부분에서는 윗몸일으키기, 체전굴, 체후굴, 제자리 높이 뛰기에서 모두 발레 무용수가 유의하게 높은 수준을 보였으며, ROM의 경우 좌, 우측 고관절 외회전 ROM과 full ROM에서 발레 무용수가 모두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족관절에 있어서는 우측 배측굴곡 ROM을 제외한 좌측 배측굴곡 ROM과 좌, 우측 저측굴곡 ROM 및 full ROM에서 모두 유의하게 크게 나타났다. 체중당 슬관절과 족관절의 등속성 근력에 대한 분석에서는, 우선 슬관절의 경우 각속도 180°/sec에서의 좌, 우측 굴곡근력 이외의 모든 항목 (각속도 180°/sec와 60°/sec에서의 좌, 우측 신전근력과 각속도 60°/sec에서의 좌, 우측 굴곡근력)에서 발레 무용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족관절의 경우 발레 무용수가 모든 각속도 (60°/sec, 120°/sec)에서 좌, 우측 모두 저측과 배측 굴곡근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하지기능의 경우 hopping test에서만 발레 무용수가 좌, 우측 모두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기능과 개개 측정항목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일반 여성의 경우 우측 체전굴이 Romberg test와 유의한 역상관을 보였으며, 체중과 BMI가 balance index와 유의한 정상관 관계를 보였다. ROM과의 분석에서는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관련성을 발견할 수 없었다. 각속도 60°/sec에서의 우측 슬관절 신전근력 및 굴곡근력과 각속도 180°/sec에서의 우측 슬관절 신전근력이 hopping test와 유의한 정상관을 보였으며, 각속도 60°/sec에서의 좌측 슬관절 신전근력 및 굴곡근력이 balance index와 유의한 정상관을 보였다. 또한, hopping test는 각속도 60°/sec에서의 우측 저측굴곡근력과 내번근력 및 각속도 120°/sec에서의 우측 저측굴곡근력 및 저측굴곡근력에 대한 베측굴곡근력의 비가 유의한 정상관 관계인 것으로 나타났다. 각속도 60°/sec에서의 우측 내번근력에 대한 외번근력의 비와 각속도 120°/sec에서의 좌측 배측굴곡근력에 대한 배측굴곡근력의 비 및 우측 내번근력이 balance index에 대해 유의한 역상관관인 것으로 나타났다. 발레 무용수의 경우 배근력과 윗몸일으키기 및 제자리 높이뛰기가 우측 hopping test와 유의한 정상관을, 배근력과 윗몸일으키기 및 제자리 높이뛰기 그리고 체후굴이 좌측 hopping test와 유의한 정상관을 보였다. 경력과 체후굴이 좌, 우측 Romberg test와 유의한 정상관을 보인 반면 시작연령은 좌측 Romberg test와 유의한 역상관을 보였다. 전문기능과의 상관관계 분석에서는 체지방율은 좌측 passe balance와, 제자리 높이뛰기는 piatte와 유의하게 역상관 관계인 것으로 나타났다. ROM과의 분석에서는 우측 고관절 외회전 ROM이 hopping와 유의한 정상관을 보였으며, 좌측 고관절의 내회전 ROM은 piatte와 유의한 역상관을 보였다. 슬관절 근력과의 상관관계 분석에서는 각속도 60°/sec와 180°/sec에서의 좌, 우측 슬관절 신전근력 및 각속도 60°/sec에서의 우측 슬관절 굴곡근력 및 신전근력에 대한 굴곡근력의 비와 각속도 180°/sec에서의 좌, 우측 신전근력과 글곡근력이 hopping test와 모두 유의한 정상관을 보였다. 각속도 60°/sec와 180°/sec에서의 좌측 슬관절 신전근력은 Romberg와 유의한 역상관을 보였다. 또한, 족관절 근력과의 관계 검증에서는 각속도 60°/sec와 180°/sec에서의 좌측 저측굴곡근력은 hopping test와 유의한 정상관을 보였으며, Romberg test와는 유의한 역상관을 보였다. 각속도 60°/sec에서의 내번근력에 대한 외번근력의 비는 en dehors와 유의한 정상관을 보였으며, 각속도 120°/sec에서의 저측굴곡근력에 대한 배측굴곡근력의 비는 좌, 우측 piatte와 유의한 정상관을 보였다. 일반기능과 전문기능 간의 관련성 검증에서는 Romberg test만이 en dehors와 유의하게 정상관 관계인 것으로 나타났다. 차이검증과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얻어진 자료에 따라 일반여성 및 여성 발레 무용수의 하지기능에 대한 개별 항목의 영향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실시한 중다회귀 분석결과 일반 여성의 경우 긍정적인 요소로는 제자리 높이뛰기와 체전굴 및 내번근력에 대한 외번근력의 비로 나타났으며, 부정적인 요인으로는 체중으로 나타났다. 또한, 발레 무용수의 경우 긍정적인 요소로는 배근력, 슬관절 신전근력의 굴근력에 대한 비, 제자리 높이뛰기 그리고 윗몸일으키기로 나타났으며, 부정적인 요인으로는 저측굴근곡근력과 체지방율 ?? 내번근력에 대한 외번근력의 비로 나타났다. 따라서 일반 여성의 경우 하지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도약관련 근군과 몸통의 유연성 및 내번근력의 상대적 증가가 필요하고 감량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발레 무용수의 경우 하지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허리의 근력 및 유연성, 슬관절 신전근력, 도약관련 근군, 그리고 복부의 근지구력을 강화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장기간의 참가를 통해 기능의 자연스러운 향상 또한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마지막으로, 발레무용수의 전문기능향상을 위해 저측굴근의 근력 증가는 억제되어야 하며, 체지방율의 감소를 위한 노력이 선행되어야 하고, 내번근력의 강화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duce and to suggest several factors associated with lower limb functions and capacities of ballet performance. For this reasons, fifty female ballet dancers (BG) and fifty normal females (NG) were participated voluntarily. Percent body fat and body weight were measured by bio-electrical impedance method (In-body 4.0, Bio space, Korea). Height were measured by Anthropometer (G-theque, Korea) and then BMI (body mass index) were calculated. Goniometer (Yagami, Japan) were used to measure ROM (range of motion) of hip ankle joint. To identify the fundamental physical fitness level of all subjects, Back extension, sit & reach, sit up, strength of back extensor and sargent jump were measured by Physical fitness measuring system (Helmas, Korea). Biodex system III (Biodex system, USA) was used to measure isokinetic muscle strengths of knee and ankle joint, and then isokinetic muscle strength relative to body weight (IMRW) and agonist/antagonist ratio were used to analyze. To elucidate normal lower limb functions, Romberg test, hopping test and balance index (posture control test) (Biodex system, USA) were completed in all subjects, and en dehors turn, piatte and passe balance were completed only in ballet dancers. To identify the difference, one way ANOVA and two way ANOVA were used and pearson's correlation test were us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functions and other validities. Finally, to deduce factors associated with lower limb functions and capacities of ballet performance, multiple regression test were used. The results as follows; 1. Differences between groups Percent body fat were significantly lower in BG compared to NG wherea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Back extension, sit & reach and sargent jump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BG compared to NG. External rotation ROM and full ROM of both side of hip joint were significantly larger in BG compared to NG. Dorsi flexion ROM of left ankle, plantar flexion ROM and full ROM of both side of ankle were significantly larger in BG compared to NG. IMRW of both side of knee extensor and flexor at 60°/sec angular velocity and IMRW of both side of knee extensor at 180°/sec angular velocity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BG compared to NG. IMRW of both side of plantar flexor and dorsi flexor at 60°/sec and 120°/sec angular velocity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BG compared to NG. The distance of hopping test of both side were significantly longer in BG compared to NG. 2. Relationship between functions and other validities There were significantly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Romberg test and sit & reach and balance index were positively related with body weight and BMI in NG. There were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functions and all measured ROM in NG. The distances of hopping test were positively related with IMRW of knee extensor at 60°/sec and 180°/sec angular velocity and IMRW of knee flexor at 60°/sec in NG. Balance index were positively related with IMRW of knee extensor and flexor at 60°/sec angular velocity, IMRW of plantar flexor and inversor at 60°/sec angular velocity and IMRW of plantar flexor and the ratio of plantar flexor IMRW and dors flexor IMRW at 120°/sec angular velocity in NG. However, balance index were negatively related with IMRW of inversor at 120°/sec angular velocity and the ratio of inversor IMRW and eversor IMRW at 60°/sec angular velocity in NG. The distance of hopping test were positively related with strength of back extensor, sit ups, back extension and sargent jump in BG. The duration of Romberg test were positively related with career and back extension whereas negative effects of beginning age of ballet were found. There were significantly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passe balance and percent body fat, and between pitte and sargent jump in BG. There were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duration of hopping test and external rotation ROM, whereas there were significantly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pitte and internal rotation ROM of hip joint in BG. The distance hopping test were positively related with IMRW of knee extensor and flexor and the ratio of knee extensor IMRW and knee flexor IMRW at 60°/sec angular velocity, and IMRW of knee extensor at 180°/sec angular velocity in BG. The duration of Romberg test were negatively related with IMRW of knee extensor at both 60°/sec and 180°/sec angular velocity in BG. There were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duration of hopping test and IMRW of plantar flexor at both 60°/sec and 180°/sec angular velocity but there were significantly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duration of Romberg test and IMRW of plantar flexor at both 60°/sec and 180°/sec angular velocity in BG. There were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en dehors and the ratio of inversor IMRW and eversor IMRW at 60°/sec angular velocity, and the piatte and the ratio of plantar flexor IMRW and dorsi flexor IMRW at 120°/sec angular velocity in BG. There were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en dehors and the duration of Romberg test. 3. Deduction factors associated with functions The positive factors to functions of normal females were sargent jump, sit & reach and the ratio of inversor IMRW and eversor IMRW but body weight has negative effect. The positive factors to functions of female ballet dancers were strength of back extensor, the ratio of knee extensor IMRW and knee flexor IMRW, sargent jump and sit ups but percent body fat, IMRW of plantar flexor and the ratio of inversor IMRW and eversor IMRW has negative effect. Therefore, to improve lower limb functions in normal females, enforcement of muscle group associated with jump, flexibility of trunk and inversor strength relative to eversor strength should be recommended. To improve lower limb functions in female ballet dancers, enforcement of strength of back extensor and knee extensor, muscle group associated with jump, flexibility and strength of trunk should be recommended. To improve professional ballet functions in female ballet dancers, decrease of percent body fat, inhibition of increase of plantar flexor strength and increase of inversor strength should be recommended.

      • 전문 무용수의 은퇴환경과 개선방안 연구

        김수진 목원대학교 산업정보언론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무용수의 은퇴환경과 이에 따른 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충청지역 전문무용단체에 재직하고 있는 무용수들 중, 근무경력이 최소 1년 이상인 총 76명(남자 10명, 여자 6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무용수의 배경변인에 따른 은퇴주요요인 분석결과, 성별과 직책에 따른 은퇴주요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났다. 또한 혼인여부, 연령, 직장경력, 월 소득, 무용시작동기, 무용목표, 목표달성도에서 체력적 문제가 29명(38.2%), 출산 9명(11.8%), 정년 9명(11.8%), 부상 8명(10.5%), 가족반대 8명(10.5%), 자신감 결여 8명(10.5%), 다른 사업 5명(6.6%)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문무용수의 배경변인에 따른 은퇴시기 분석결과, 모든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성별, 혼인여부, 연령, 직장경력, 월 소득, 직책, 무용시작동기, 무용목표, 목표달성도에서 10년 이후가 18명(23.7%), 생각 안 함이 15명(19.7%), 정년까지가 13명(17.1%), 5년-9년이하가 12명(15.8%), 체력이 될 때까지가 9명(11.8%), 5년 미만이 7명(9.2%), 지금이 1명(1.3%), 결혼 후가 1명(1.3%)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문무용수의 배경변인에 따른 은퇴준비 여부 분석결과, 모든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성별, 혼인여부, 연령, 직장경력, 월 소득, 직책, 무용시작동기, 무용목표, 목표달성도에서 안하고 있음이 56명(73.7%), 하고 있음이 20명(26.3%)으로 나타났다. 넷째, 전문무용수의 소속 단체 은퇴환경 분석결과, 우선 소속 단체의 은퇴프로그램 유무는 은퇴 프로그램이 없다가 72명(94.7%), 은퇴 프로그램이 있다가 2명(2.6%), 은퇴 프로그램이 있는지 없는지 모르겠다가 2명(2.6%)으로 나타났다. 전문 무용수의 은퇴 선호 직종은 무용관련 업종이 45명(59.2%), 비무용관련 업종이 14명(2.6%), 은퇴 선호 직종이 없다가 9명(11.8%), 전업주부가 5명(6.6%), 기타가 2명(2.6%), 봉사활동이 1명(1.3%)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문무용수의 은퇴준비활동에 대해서는 무용관련 일이 7명(43.8%), 각종 자격증과 이수활동이 3명(18.8%), 대학원이 3명(18.8%), 하고 싶은 일을 찾고 있다가 2명(12.5%), 저축을 하고 있다가 1명(6.3%) 순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전문무용수의 은퇴환경 개선방안 분석결과, 우선 전문무용수의 성공적인 은퇴환경 조성을 위한 건의유무는 있다가 52명(68.4%), 없다가 24명(31.6%)으로 나타났다. 건의내용은 학교 또는 문화센터 연계 프로그램 마련이 29명(55.8%), 급여 및 퇴직금 인상이 7명(13.5%), 타 직종 교육연계가 7명(13.5%), 기타가 5명(9.6%), 시 연계 교육프로그램이 4명(7.7%) 순으로 나타났다.

      • 전문무용수지원센터의 사업현황 분석과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봉정민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전문무용수들은 그들이 가진 전문적인 능력으로 사회에 기여하며 문화예술과 관계된 일에 활동 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부에서의 정책적 지원 및 사회적 관심이 취약하여 지금껏 방치 해온 상태이다. 이렇기에 전문무용수에 대한 복지문제에 관심을 가져야 하며 지원정책을 보다 체계적으로 강구해야 할 필요가 있다. 2007년 전문무용수의 사회적 복지 문제가 제시됨에 전문무용수를 지원해 줄 재단법인『전문무용수지원센터(DCDC)』가 설립되었다. 하지만 국내에 이런 센터의 선례가 없었던 터라 여러 가지 변수에 의한 시행착오가 예상된다. 해외의 사례를 보면 해외 전문무용수를 지원하는 기관은 최소 20년이 넘게 존속되어 왔다. 이에 국내의 지원세터는 해외 지원기관의 선례를 바탕으로 전문무용수들의 어려움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지원할 수 있어야 한다. 때문에 본 연구는 현재 국내에 존재하는 전문무용수지원센터의 설립 후 진행되어온 3년간의 사업현황과 성과를 분석하였고 운영 및 정책의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전문무용지원센터에서 운영되고 있는 주요3대 사업으로 전문무용수의 은퇴 후 직업 전환을 지원하는 전문무용수 직업개발교육, 무용수의 신체부상을 예방하고 재활치료를 병원과 연계하여 지원해 주는 무용수의 상해예방 및 재활지원, 마지막 댄서스잡마켓으로 오디션을 통해 무용단과 역량있는 무용수를 연결해 주고 무용수의 출연료를 일부 지원해 주는 지원제도이다. 이는 무용계에 계약서 작성 문화를 정착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해외 전문무용수 지원기관으로 국제 전문무용수 직업전환 연합기구(IOTPD), 영국 DCD, 네덜란드 SOD, 프랑스 국립무용센터를 조사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자는 해외 사례가 주는 시사점을 통해 앞으로의 발전방안으로 센터의 운영에 있어 공식 네트워크 구축, 전문 컨설턴트에 의한 전문적 상담지원, 재교육프로그램의 활성화, 다원화 되고 안정된 재정구조 구축, 전문무용수지원센터 자체수익 사업을 제시하여 전문무용수지원센터가 성공적인 전문무용수 지원을 할 수 있도록 기여하고자 한다. Professional dancers can participate in the work related with cultural art by contributing to society with their professional ability but they have been left alone because the government's politic support and social interest are not sufficient. So we need to have interest in professional dancers' welfare and need to think support policy more systematically. The "Dancers' Career Development Center(DCDC)" was established in 2007 to support dancers as social welfare problem of dancers were raised. However trial and errors by variables are expected because there has no such centers in Korea before. The career development centers have been existed more than 20 years in foreign countries. So Korean career development center should support dancers and understand their troublesome and problems based on foreign centers' precedents. Therefore this study analysed business and outcome and figured out its problems in operation and policies for 3 years since dancers' career development centers have established in Korea. The 3 main projects operated in dancers' career development center are career development training which supports job transfer after dancers' retirement, medical advise which prevents dancers' injury and connects them to hospitals for medical care, and dancers' job market which connects dancers and dance company and supports some amount of payment of dancers. This could play an important role in settling down contract writing in dance society. Moreover I researched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the Transition of Professional Dancers(IOTPD), English Dancers' Career Development(DCD), Dutch Stichting Omscholingsregeling Dancers(SOD), France National Dance Center as for foreign dance support organizations. As a result, researcher would like to contribute to operation of centers and make centers support dancers successively in official network establishment, professional advise by professional consultants, activation of training programs, establishment of diversified and stabilized financial structure, self-profit creating business of centers based on implications of foreign cases.

      • 직업무용수의 신체상이 무용수행불안에 미치는 영향

        김희은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807

        In order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the physical image of professional dancers on anxiety of dance performance, this study was undertaken with the random selection of national, public and private dance companies that are currently in active status in Korea. 400 copies of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with the return of 267 copies, and with the exclusion of 29 copies with irresponsive answers and/or careless answers, 238 copies were used for actual analysis. The questionnaires were personally brought in by the researcher for each dance company, explained its contents and prepared the questionnaires in self-administering method, and recovered the finished questionnaires. In order to analyze such result, SPSS 18.0 statistics program was used to implement the t-test, one-way ANOVA, with the following conclusion. First, the physical image following general characteristics was shown to be higher for men with respect to satisfaction on appearance, satisfaction on weight, appearance and un-satisfaction factor of weight while the appearance and un-s1 factor was shown higher for married 40s with monthly average income of 2 million won or more. Second, the anxiety of dance performance following general characteristics was shown higher for women with respect to the anxiety on surrounding environment, lack of confidence, pressure of high expectation, and fear of failure, and the result showed higher impact of lack of confidence, and fear of failure in persons with 7 years or longer, pressure of high expectation for general member, and lack of confidence for singles with less than 4 years. And third, the anxiety of dance performance following the physical image has the positive (+) influence on the pressure of high expectation as the sub-variable of the anxiety of dance performance with respect to the satisfaction of appearance while the satisfaction of weight had the negative (-) influence on all sub-variables of the anxiety of dance performance. Dissatisfaction on appearance and weight was shown to make positive (+) influence on the sub-variable of the anxiety of dance performance with respect to the lack of confidence and pressure of high expectation. In conclusion, the physical image of professional dancers on anxiety of dance performance showed noticeable difference that the determination on the physical image for the professional dancers may build up the sense of anxiety when performing dance, and by having the positive perception on one’s appearance or physical shape is proven to be one of the ways to lower the sense of anxiety. 본 연구는 직업무용수의 신체상이 무용수행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현재 우리나라에서 활동 중인 국·공립, 시립, 도립 무용단을 무작위로 선정하였다. 4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267부를 수거하였으며, 이 중 무기입 및 불성실하게 응답한 29부를 제외한 238부를 실제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설문지는 연구자가 직접 무용단을 방문하여 내용을 상세하게 설명한 다음 자기평가 기입법(self-administering method)으로 설문지를 작성하고 완성된 설문지를 회수하였다. 이에 얻어진 결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SPSS 18.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one-way ANOVA를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신체상은 외모만족, 체중만족, 외모 및 체중 불만족요인에서 남자가 높게 나타났으며, 외모 및 체중 불만족요인에서 월 평균 수입 200만원 이상인 40대 기혼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무용수행불안은 주위환경불안, 자신감결여, 주위기대부담, 실패공포요인에서 여자가 높게 나타났으며, 자신감결여, 실패공포요인에서 7년 이상, 주위기대부담요인에서 평단원, 자신감결여요인에서 미혼, 4시간미만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신체상에 따른 무용수행불안은 외모만족에서 무용수행불안의 하위변인인 주위기대부담에 정(+)의 영향을 미쳤고, 체중만족은 무용수행불안의 하위변인 모두 부(-)의 영향을 미쳤다. 외모 및 체중 불만족은 무용수행불안의 하위변인인 자신감결여, 주위기대부담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직업무용수의 신체상에 따른 무용수행불안감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직업무용수 자신의 신체상에 대한 판단은 무용수행 시 불안감을 조장할 수 있으며, 자신의 외모나 신체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이 불안감을 낮출 수 있는 방법의 하나임을 증명할 수 있다.

      • 무용수의 생활사건과 관련된 공연 전 스트레스의 양상과 대처방안

        송미경 명지대학교 2003 국내박사

        RANK : 247807

        이 연구는 공연 전에 무용수들이 느끼는 스트레스 지각과 최근 2년 동안 무용수 자신이 경험한 생활사건을 중심으로 무용수들에게 나타나는 스트레스 양상을 밝히고 무용수들이 느끼는 주관적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는 방법으로 호흡에 의한 명상법을 사용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무용수들이 경험하는 객관적 스트레스로서 생활사건을 조사한 결과, 무용수들은 친교 및 취미, 건강문제, 성공 및 성취, 시험 및 학교, 경제 및 직업, 가족 간의 갈등 및 불화 등의 순으로 생활사건을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결혼, 임신 및 생식기능, 자녀, 자녀 및 부모의 결혼생활, 죽음 등의 생활사건은 적게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생활사건에 따른 공연 전 스트레스 량을 측정한 결과는 부부 및 결혼생활, 경제 및 직업, 가족 간의 갈등 및 불화, 시험 및 학교, 친교 및 취미, 자녀 및 부모의 결혼생활, 건강문제, 이성교제, 성공 및 성취, 죽음, 위법행위, 종교, 주거환경, 취업 및 퇴직, 임신 및 생식기능, 자녀의 순으로 스트레스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생활사건과 스트레스 지각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는 대인관계 및 대인관계의 변화에 있어서는 경제 및 직업에 관련된 생활사건에서 가장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자신 혹은 타인의 병이나 상해에 있어서는 주거환경 부분에서 가장 유의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금전적 문제에 있어서는 성공 및 성취 분야에서 역상관관계가 나타났고 임신 및 생식기능, 자녀의 분야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그 외의 일상적인 것이 아닌 사건, 일상생활의 변화 혹은 변화 없는 생활은 생활사건과의 상관관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인 스트레스 지각과의 상관관계에 있어서는 부부 및 결혼생활과 자녀 및 부모의 결혼생활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넷째, 생활사건의 경험과 신체적 증상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가슴이 답답하거나 숨이 막히고 혹은 가슴이나 목에 무엇인가 뭉쳐진 듯한 느낌의 증상은 경제 및 직업과의 상관에 있어서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며 무엇인가 치밀어 오르는 듯한 증상은 생활사건과의 상관계수가 낮게 나타남으로써 큰 의의를 둘 수 없었다. 몸이나 얼굴에 열이 오르는 느낌과 같은 증상에 있어서는 경제 및 직업에 관련된 생활사건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급작스러운 화의 폭발 혹은 분노와 같은 증상은 부부 및 결혼생활과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호흡에 의한 명상법이 무용수들이 느끼는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생활사건에 의한 스트레스 량은 호흡에 의한 명상법 수련 4주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수련시기가 길어질수록 스트레스의 감소량은 더욱 증가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생활사건에 의한 자각적인 건강상의 신체적 증상은 호흡에 의한 명상법 수련 4주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련기간에 따라 자각적인 건강상의 신체적 증상의 감소량은 더욱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연구 분석한 결과, 무용수들은 거의 모든 일상생활에서의 생활사건에서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무용수들이 경험하는 다양한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 방법을 통해 스트레스를 최소화하는 것이 무용수들의 복지와 공연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필요할 것이다. 이러한 스트레스 대처 방법으로 널리 알려진 호흡법, 점진적 이완법, 심상법, 명상법 등의 방법을 통해 무용수들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상태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며, 이에 따라 공연의 질 또한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article examined into the dancer's perception of stress felt before performance and stress revealed on the dancer's experience of life events, reached the following conclusion using respiratory method to relieve subjective stress. First,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life events as objective events experienced by the dancer, it was indicated that the dancer went through life events more in the order of friendship, pastime, health, success and achievement, examination and school, economy and occupation, conflict and dispute with family whatever, but less in that order of marriage, pregnancy and reproductive function, child's and parents' marriage life, death. Second, as a result of measuring pre-performance stress according to life events, it was indicated that the dance was stressed in the order of couple and marriage life, economy and job, conflicts and disputes with family, examination and school, friendship and hobby, child's and parents' marriage life, health problem, exchange with opposite sex, success and achievement, death, illegal act, religion, residential environment, employment and retirement, pregnancy and reproductive function, child. Third, as a result of looking into the correlation of life events and stress perception, it was indicated that economy and occupation related life events in change of interpersonal relation was the most significant, and in her or his own disease or injury, residential environment was the most significant. And in monetary matter, there was a reverse correlation at success and achievement, and a significant relation at pregnancy and reproductive function, and child. At daily change or changeless life in addition to that, it was low correlated with life events. In the correlation with overall stress perception, matrimonial life, child's and parents' marriage lif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ourth, as a result of looking into the relation of experience of life events and physical signs, there was little significance as symptoms of stuffed heart, choked feeling in breath and neck was highly correlated with economy and occupation, and well-up feeling was lowly correlated with life events. Symptoms like feverish body and face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economy and occupation, and those of surge of anger or wrath was highly correlated with couple and matrimonial life. Fifth, as a result of effect of respiratory meditation method on stress felt by the dancer, it was clarified that stress amount by life events was different after 4 week meditation training by respiration, so the longer training period was, the more stress reduced. Also self-conscious physical symptoms by life events was different after 4 week meditation training by respiration, and self-conscious physical symptoms reduced more according to training period. Looking at the above research findings, the dancer was indicated to experience stress at nearly all life events, so it will be necessary to minimize stress through measures against various kinds of stress for the improvement of the dancer's well-being and performance quality. It is thought that methods like respiration method, gradual relax method, image method and meditation method known as measures for this stress will be able to foster the betterment of the dancer's physical and mental health state, accordingly, performance quality will be developed.

      • 무용수의 영양소섭취량, 섭식장애 및 다차원적 완벽주의 비교연구

        홍고은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무용을 전공하는 고등학생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영양소섭취량, 섭식장애 그리고 다차원적 완벽주의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를 비교해보고 종속변수 간에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규명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광주지방의 고등학교와 대학교에 재학 중인 여학생 무용전공자(발레, 한국무용, 현대무용) 총 218명에게서 영양소섭취량, 섭식장애 그리고 다차원적 완벽주위에 대해 설문지를 받았다. 통계분석은 신뢰도검증, 일원분산분석, 상관분석 그리고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자료의 통계적 유의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학력에 따른 영양소섭취량, 섭식장애 그리고 다차원적 완벽주의의 비교 영양소섭취량의 열량(p<.05)과 단백질(p<.01), 섭식장애의 폭식척도(p<.01)와 다차원적 완벽주의의 조직화(p<.01) 및 개인기준(p<.05)에서 대학생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높게 나타났다. 2. 무용전공에 따른 영양소섭취량, 섭식장애 그리고 다차원적 완벽주의의 비교 영양소섭취량에서는 열량과 칼슘은 발레무용수가 높게 나타났고, 단백질, 탄수화물 그리고 철분은 한국무용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지방, 비타민 B 그리고 비타민 E는 현대무용수가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섭식장애에서는 마름욕구, 폭식척도 그리고 전체섭식장애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발레무용수가 높게 나타났고 체형불만은 현대무용수가 높게 나타났다. 다차원적 완벽주의에서는 실수염려(p<.05)에서 발레 전공자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높게 나타났으나, 부모비난, 부모기대, 전체완벽주의에서는 발레무용수가 높게 나타났고, 조직화는 한국무용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개인기준과 수행의심은 현대무용수가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3. 무용경력에 따른 영양소섭취량, 섭식장애 그리고 다차원적 완벽주의의 비교 영양소 섭취량에서는 탄수화물, 철분 그리고 비타민 E는 2년 이하 경력집단에서 높게 나타났고, 열량, 단백질, 지방 그리고 비타민 B는 3년-6년 경력집단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칼슘은 7년-9년 경력집단에서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섭식장애에서는 마름 욕구, 체형불만, 섭식장애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10년 이상 경력집단에서 높게 나타났고, 폭식척도는 7년-9년 경력집단에서 높게 나타났다. 다차원적 완벽주의 요인의 집단 간 비교는 조직화(p<.01)와 개인기준(p<.05)에서 7년-9년과 10년 이상 경력의 무용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높게 나타났으나, 부모비난은 3년-5년 경력집단에서 높게 나타났고, 부모기대는 7년-9년 경력집단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실수염려, 수행의심 그리고 전체완벽주의에서는 10년 이상 경력집단에서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4. 학력에 따른 상관관계에서 고등학생과 대학생의 상관관계 열량은 대부분의 변인들과 상관을 보이지 않았으며 섭식장애 하위요인의 폭식척도와 완벽주의 하위요인의 체형불만을 제외한 대부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p<.05, p<.01). 대학생 역시 고등학생과 마찬가지로 영양소섭취량은 대부분의 변인들과 상관을 보이지 않았으며 섭식장애 하위요인의 폭식척도와 완벽주의 하위요인의 부모비난 및 수행의심을 제외한 변인들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보였으나(p<.05, p<.01), 고교생에 비해 상관을 갖는 변인들은 줄었다. 5. 섭식장애 그리고 다차원적 완벽주의에 각각의 변수들이 미치는 영향력 분석 결과 섭식장애는 폭식척도, 체형불만 그리고 실수염려가 높을수록 부모비난은 낮을수록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완벽주의는 개인기준, 부모비난, 부모기대 그리고 수행의심이 높을수록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학생이 고등학생보다 섭식장애와 다차원적인 완벽주의가 높게 나타난 것은 사회적인 통제로부터 자유로워져 보다 다양한 음식을 섭취하게 되는 반면 무용을 수행함에 있어서는 고난이도의 동작을 완벽하게 구사하여야 하는데 이 두 가지가 역기능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발레무용수가 섭식장애와 다차원적인 완벽주의(실수염려)가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다른 전공에 비해 의상과 마른 몸매를 요구는 발레무용의 특성 때문에 음식을 섭취한 것에 대한 후회로 강제로 구토를 하거나 약물을 복용하는 등의 생활을 하고 토슈즈를 착용하고 고난이도의 동작을 수행하는데 실수에 대한 염려가 많은 것으로 생각된다. 경력이 많을수록 섭식장애와 다차원적 완벽주의가 높게 나타났는데, 이 또한 완벽하게 춤을 추고 싶으나 섭식에 대한 스트레스가 많은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무용수에게 좀 더 건강하게 춤을 출 수 있는 영양적인 측면이 체계적으로 수립되는 것이 시급하며 무용을 수행하는 환경적인 측면에서 성과에 대한 강압적인 환경에서 부드러운 환경으로 전환하면 무용수는 완벽함에 대한 강박으로 벗어날 수 있고 창의적 사고와 상징적 표현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무용수의 완벽주의 성향과 자기관리, 공연불안 및 공연몰입의 관계

        노정식 세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807

        이 연구는 무용수의 완벽주의 성향과 공연몰입의 관계를 통해 공연 시 무대에서의 최상수행을 위한 중요한 지표가 되고자 첫째, 무용수들의 배경적 특성에 따라 완벽주의 성향의 차이를 알아보고, 둘째, 무용수들의 완벽주의 성향과 자기관리, 공연불안 및 공연몰입의 차이 및 영향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서울, 강원, 경기, 대전, 충남, 충북, 전남 등 7개 지역에 소재한 4년제 대학교 중 무용학과에 재학 중인 학생 540명을 표집 하였으며, 각 7지역에서 현재 프리랜서로 활동하는 전문 무용수 120명을 표집 하였다. 이중 응답이 부실하거나 3문항 이상 응답하지 않은 48명의 표본을 제외한 총 612명의 대상자가 연구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로 무용수의 배경적 특성을 조사하고, 완벽주의 성향과 자기관리, 공연불안 및 공연몰입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 상관분석, 일원변량분석과 중다회귀분석,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이용한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얻어진 결과를 종합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적 특성 중 성, 소속, 중요타자의 관심에 따라 무용경험 특성은 전공, 무용기간, 안무횟수, 공연횟수에 따라 완벽주의 성향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용수의 완벽주의 성향이 자기관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완벽주의 성향의 하위변인 중 높은 기준과 정돈은 생활관리, 정신관리, 대인관리, 연습관리 등 자기관리의 전 영역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좌절감은 생활관리, 정신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높은 기준, 좌절감, 정돈은 정신관리에, 높은 기준과 정돈은 대인관리와 연습관리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무용수의 완벽주의 성향이 공연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무용수의 완벽주의 성향의 하위변인 모두가 공연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완벽주의 성향의 하위변인의 높은 기준은 공연불안의 하위영역 중 자신감, 인지불안, 신체불안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좌절감은 인지불안, 동작불안, 신체불안에 부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완벽주의 성향의 하위변인 중 정돈은 자신감에는 부적영향을, 인지불안과 신체불안에는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격차는 자신감, 인지불안, 신체불안에 부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무용수의 완벽주의 성향이 공연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완벽주의 성향의 하위변인인 높은 기준과 정돈은 정적영향을, 격차는 부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높은 기준은 공연몰입의 하위변인 명확한 목표, 통제감각, 자의식 상실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돈은 통제감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배경적 특성 성, 가정형편, 중요타자의 관심 무용경험 특성 중 전공, 소속, 무용경력에 따라 공연몰입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무용수의 완벽주의 성향과 자기관리, 공연불안 및 공연몰입의 인과적 관계가 있었다. 즉 완벽주의 성향은 공연몰입에 직·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매개변인인 자기관리와 공연불안에도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론을 종합하여 보면 무용수의 공연몰입에는 개인적 특성, 중요타자의 지원, 무용경험특성이 중요요인으로 작용하며, 독립변인인 완벽주의 성향은 공연몰입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자기관리와 공연불안 수준을 통해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무대에서 무용수의 최상수행을 위한 공연몰입형성 요인을 다각적으로 분석하는 것은 공연몰입에 대한 최상수행을 위해 긍정적인 자세, 불안감을 통한 긴장감을 긍정적인 긴장감으로 받아들이는 자세, 자신감을 갖기 위해 공연에 대한 준비를 철저히 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무용수의 공연 시 성공적 수행여부는 분명 공연몰입, 즉 ‘최상수행’에 대한 인식에 따라 중요하게 작용하며, 긍정적 완벽주의 성향의 인식은 불안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준비과정, 혹은 무대에서 겪을 수 있는 심리적 불안감을 완화시킴은 물론 성공적인 공연몰입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결정적인 역할을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provide an important indicator for the best performance on the stage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ancer's perfectionistic tendencies and performance flow. For this purpose, it first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perfectionistic tendenci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dancers' background. Second, it attempted to identify the difference in dancers' perfectionistic tendencies, self-management, performance anxiety and performance flow and their influence. To attain this aim of study, this study sampled the 540 students enrolled in the department of dance in the 4-year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Kangwon, Kyonggi, Daejeon, Chungnam, Chungbuk, Cheonnam. And it sampled 120 professional dancers currently active as freelancer in seven regions. A total of 612 were used except 48 persons offering poor responses or not giving the responses to more than three items. An attempt was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dancer's background based on collected data.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perfectionistic tendencies and self-management, performance anxiety and performance flow, this study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one-way ANOV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As a result, the following findings were obtained: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fectionistic tendencies according to dancers' individual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post, and interest in significant others, and according to dancer experience characteristics such as speciality, period of dance career, frequency of choreography, and frequency of public performance. Second, an attempt was made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dancer's perfectionistic tendencies on self-management.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sub-factors of perfectionistic tendencies such as the high standard and arrangement had an effect on the overall domain of self-management such as life management, spiritual management, interpersonal management, practice management. And it was found that frustration had an effect on life management and spiritual management. And it was found that high standards, frustration and arrangement had an effect on spiritual management, and high standards and arrangemen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interpersonal management and practice management. Third, an attempt was made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dancer's perfectionistic tendencies on performance anxiety.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all the sub-variables of the dancer's perfectionistic tendencies had an effect on performance anxiety. It was found that the high standard for the sub-variable of perfectionistic tendencies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sub-domains of performance anxiety such as self-confidence, cognitive anxiety, and physical anxiety. And it was found that frustration had a negative effect on cognitive anxiety, motion anxiety and physical anxiety. On the one hand, it was found that arrangement, one of the sub-variables of perfectionistic tendencies, had a negative effect on self-confidence and a positive effect on cognitive anxiety and physical anxiety. And it was found that the gap had a negative effect on self-confidence, cognitive anxiety and physical anxiety. Fourth, an attempt was made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dancer's perfectionistic tendencies on performance flow.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high standard and arrangement, the sub-variables of perfectionistic tendencies, had a positive effect on performance flow and the gap had a negative effect on it. It was found that the high standard had a direct effect on the sub-variables of performance flow such as clear goals, senses of control and loss of self-consciousness. And arrangement was found to have an effect on the senses of control. Fifth,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formance flow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dancer's background such as gender, home status, interest in significant others and according to dance experience characteristics such as speciality, post and dance career. Sixth,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causal relationship among the dancer's perfectionistic tendencies and self-management, performance anxiety and performance flow. That is, it was found that perfectionistic tendencies had a direct or indirect effect on performance flow and that a direct effect on such mediating variables such as self-management and performance anxiety. The above findings taken together, it was found that individual characteristics, support of significant others, dance experience characteristics acted as important factors in the dancer's performance flow and that perfectionistic tendencies as an independnet variable had a direct effect on performance flow and an indirect effect on it through self-management and the level of performance anxiety.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make a many-angled analysis of the formative factor of performance flow for the dancer to act best on the stage. And it is necessary to induce the dancer to make thorough preparations for public performance so as to have a positive attitude for the best achievement of performance flow, a posture of accepting the sense of anxiety-induced tension as a positive sense of tension and the sense of self-confidence.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successful performance for the dancer to act on the stage i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performance flow, namely, perception of the ‘best performance’. The perception of positive perfectionistic tendencies would play a decisive role in easing the process of preparation to minimize anxiety, the sense of psychological anxiety that the dancer may undergo on the stage, and in enabling the dancer to achieve successful performance flo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