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말기 암 환자의 삶의 질 변화과정에 관한 연구 : 근거이론 접근방법으로

        김화순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727

        우리나라의 암 사망률은 1980년대 후반부터 전체 사망률 중 제 1위를 차지하게 되었고, 해마다 증가함에 따라 사회문제화 되고 있어서 말기 암 환자의 관리와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점차 높아지고 있는 추세에 있다. 말기 암 환자의 삶의 질은 간단히 신체적인 면 하나만으로 논할 수 없으며 심리적, 경제적, 사회적, 영적인 측면을 모두 고려해야 한다. 이에 대해 지금까지의 연구들은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고통에 대한 삶의 질을 언급하고는 있으나, 의료사회복지 관점에서 말기 암 환자의 삶의 질에 대해 실재적 경험을 중심으로 한 체계적인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말기 암 환자가 경험하는 삶의 질을 이해하고, 말기 암 때문에 파생되는 주요문제와 그에 따른 반응 또는 행동패턴을 설명하는 개념을 추출하며, 실체이론(Substantive Theory)을 개발하여, 의료사회복지사가 현장에서 호스피스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연구는 Strauss & Corbin(1998)이 제시한 근거이론 방법을 적용하였다. 이 연구방법은 말기 암 환자가 실제로 경험하는 삶의 질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와 실재(real existences)를 기반으로 하여 귀납적으로 개념과 이론을 추출하고자하는 본 연구에 적합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은 말기 암 진단을 받은 성인환자들인 여자 6명, 남자 5명으로 총 11명이었고, 참여자 모두 자신이 말기라는 사실을 알고 있는 환자였다. 자료수집은 심층면담과 참여관찰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이론적 포화에 이를 때까지 진행되었다. 자료분석은 자료수집과 동시에 하면서 지속적인 비교분석을 하였다. 개방 코딩에서는 개념 명명 및 범주화, 축 코딩에서는 패러다임에 따른 범주분석과 과정분석을 하였다. 선택 코딩에서는 핵심범주를 발견하고 이야기 윤곽을 적었으며, 핵심범주를 중심으로 범주의 관련성을 도출한 후 유형을 분류하였다. 또한 상황모형을 통해 연구와 관련된 광범위한 상황을 고려해 보고 자료를 통한 연구의 전 과정과 결과를 통합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코딩과정을 통해 도출된 개념 및 이론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개방코딩 85개의 개념과 33개의 하위범주, 13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2. 축코딩 1) 패러다임에 의한 범주분석 말기 암 환자의 삶의 질 경험의 인과적 조건은 ‘말기 암 판정 받음’이었고, 중심현상은 ‘저하된 삶의 질’이었으며, 이 현상에 영향을 미치는 맥락적 조건은 ‘부정적 병 인식’과 ‘병의 진행’이었다. 이러한 현상에 대해 작용/상호작용 전략을 촉진시키거나 억제하는 방향으로 영향을 주는 중재적 조건은 ‘지지체계’, ‘호스피스 완화의료’, ‘종교성’이었다.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현실회피’, ‘현상유지’, ‘현실인정’이었으며, 결과는 ‘죽음에 대한 거부’, ‘죽음에 대한 소극적 수용’, ‘죽음에 대한 순응’으로 나타났다. 2) 과정분석 말기 암환자는 ‘저하된 삶의 질’이라는 현상에 대해 ‘재정의 단계’, ‘억제 단계’, ‘정면대결 단계’의 과정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과정을 통해 ‘현실회피’, ‘현상유지’, ‘현실인정’이라는 작용/상호작용에 따른 행동변화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① 재정의 단계 재정의 단계는 참여자들이 말기 암 판정을 받은 후 현상에 대하여 상호작용하면서 경험하는 첫 번째 단계로 나타났다. 참여자들은 말기 암으로 인한 총체적 고통에서 벗어나기 위해 자신이 처해있는 상황에 대해 ‘재정의 단계’의 과정을 경험한다. 이 단계에서는 살아야 하는 이유를 찾고, 치료의 가능성과 병 극복의 가능성을 믿고 싶어하며, 다른 치료방법 등을 찾으면서 때로는 생명단축을 시켜달라는 등 수동·공격적인 행동도 나타난다. 따라서 ‘재정의 단계’의 과정을 통한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현실회피’로 나타났다. ② 억제 단계 ‘재정의 단계’를 거친 참여자들은 병의 진행으로 인하여 다가오는 죽음을 막아보기 위해 모든 자극을 피하고 감정을 억누르는 ‘억제 단계’의 과정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단계에서는 죽음에 대한 생각을 가능한 한 피하고 신체적, 정서적 자극을 감소시키며, 걱정을 분담하기를 원하면서 현재의 상태를 유지해보고자 한다. 따라서 ‘억제단계’의 과정을 통한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현상유지’로 나타났다. ③ 정면대결 단계 ‘재정의 단계’와 ‘억제 단계’를 거친 참여자들은 어찌할 수 없이 맞서야만 하는 죽음이라는 현실에 대해 ‘정면대결 단계’의 과정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정면대결 단계’에서는 현실을 정확히 파악하고 직시하려고 하며, ‘저하된 삶의 질’ 현상에 대해 정면으로 대응하면서 죽음을 예기(anticipation)한다. 따라서 ‘정면대결 단계’의 과정을 통한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현실인정’으로 나타났다. 3. 선택코딩 선택코딩에서의 핵심범주는 ‘죽음에 대한 수용태도에 따른 여명(餘命)기간의 삶의 질 변화’로 나타났으며, 핵심범주를 중심으로 유형을 분석한 결과 즉음에 대한 ‘거부형’, ‘소극적 수용형’, ‘순응형’이라는 3유형으로 나타났다. 1) 죽음에 대한 ‘거부형’은 말기 암 판정에 대해 강하게 부정하면서 힘들게 투병하며 여명기간을 보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유형은 ‘부정적 병 인식’이 강하고 ‘병의 진행’이 빠르며, ‘지지체계’가 좁고, ‘호스피스·완화의료’에도 부정적인 성향을 보였다. 또한 ‘종교성’은 약하며, ‘현실회피’는 지속적으로 강하게 하고, ‘현상유지’는 일시적으로 하면서도 적극적으로 하고, ‘현실인정’은 끝까지 하지 않았다. ‘거부형’은 여명(餘命)기간 동안 절망감이 심화되고, 죽음에 대한 두려움이 증대됨으로써 여명기간의 삶의 질은 더욱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죽음에 대한 ‘소극적 수용형’은 ‘말기 암 판정’에 대해 긍정은 하였으나 ‘현실회피’를 일시적으로 약하게 하고, ‘현상유지’는 지속적이고 적극적으로 하면서 '현실인정'은 소극적으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유형은 '부정적 병 인식', '병의 진행 속도', '지지체계', ‘호스피스·완화의료’, ‘종교성’에는 영향을 받지 않았다. ‘소극적 수용형’은 끝까지 삶에 대한 미련이 강하여 여명기간동안 불안하고 우울한 나날을 지냈으며, 여명기간의 삶의 질이 더욱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죽음에 대한 ‘순응형’은 ‘말기 암 판정’에 대해 긍정을 하고, ‘부정적 병 인식’, ‘병 진행 속도’, ‘종교성’에는 영향을 받지 않았다. 그러나 ‘지지체계’는 넓고, ‘호스피스·완화의료’에는 긍정적이었다. 또한 ‘현실회피’는 일시적이면서 약하게 하였고, ‘현상유지’는 일시적이면서 소극적으로 하였으며, ‘현실인정’은 적극적으로 하였다. 순응형은 여명기간 동안 삶의 정리와 사별준비를 하면서 비교적 안정되고 평안한 마음으로 지냈다. 따라서 여명기간의 삶의 질은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위의 세 유형을 근거자료와 비교하여, 일치되는 관계진술을 확인한 결과, 결국 거기에서 3개의 가설이 도출되었다. 3개의 가설은 다음과 같다. 1) 「지지체계가 넓고, 호스피스·완화의료에 긍정적인 경우의 '죽음에 대한 수용태도에 따른 여명기간의 삶의 질 변화'는 ‘현실회피’, ‘현상유지’, ‘현실인정’의 상호작용을 통해, 죽음에 대한 순응으로 여명기간의 삶의 질이 향상된다.」 2) 「부정적 병 인식이 강하고, 지지체계가 넓고, 호스피스 완화의료에는 부정적인 경우이거나, 부정적 병 인식이 약하고, 병의 진행이 느리고, 지지체계가 좁고, 호스피스·완화의료에는 긍정적인 경우의 '죽음에 대한 수용태도에 따른 여명기간의 삶의 질 변화'는 ‘현실회피’, ‘현상유지’, ‘현실인정’의 상호작용을 통해, 죽음에 대한 소극적 수용으로 여명기간이 삶의 질이 더욱 저하된다.」 3) 「부정적 병 인식이 강하고, 병의 진행이 빠르고, 지지체계가 좁고,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부정적이고, 종교성이 약한 경우의 '죽음에 대한 수용태도에 따른 여명기간의 삶의 질 변화'는 ‘현실회피’, ‘현상유지’의 상호작용을 통해, 죽음에 대한 거부로 여명기간의 삶의 질이 더욱 저하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상의 결과와 같이 말기 암 환자가 ‘죽음에 대한 수용태도에 따른 여명(餘命)기간의 삶의 질 변화’의 과정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말기 암 환자가 경험하는 삶의 질 변화과정은 죽음에 대한 수용태도에 따라 여명기간의 삶의 질이 더욱 저하되거나 향상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In South Korea, they tend to be more interested in the management of terminal cancer patients as well as their quality of life, because the mortality from cancers recorded the highest of total mortalities since the latter half of the 1980's to increase year by year and create so many social problems. The quality of life of terminal cancer patients needs to consider not only physical aspects but also psychological, economic, social and spiritual aspects, etc. The studies on terminal cancer patients were concentrated on the quality of life concerning their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pains so far, but were not made systematically based on real experience on the quality of life of the patients from the point of view of medical social welfar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rehended the quality of life that terminal cancer patients experience; to extract concepts that explain patterns of reaction or action aroused by problems related with terminal cancer; and to develope substantive theory. Thus, the ultimate aim of this research is to arm a medical social worker with an effective way to provide hospice service to terminal cancer patients in the field. The study adopted grounded theory method (Strauss & Corbin, 1998), which was suitable to the study extracting concepts and theories inductively that were based on deep understanding and real existence of the quality of life experienced by the patients. The objects of the study were eleven adult patients, i.e., six of women patients and five of men patients, who were already given terminal cancer diagnosis. Data were collected with in-depth interview and participant observation until they were saturated.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were conducted simultaneously and data were compared continuously. The open coding consisted of concept naming and category-making, while the axial coding did category analysis as well as process analysis depending upon paradigm. The selective coding consisted of the discovery of core category as well as story outline to classify types after finding category relationship based on core category. Also, I used conditional matrix to consider extensive circumstances related with this research and analysed the data to obtain the result of this research. The findings of the concepts and theories in the coding process are as follows: 1. The Open Coding 13 categories and 33 sub-categories, 85 concepts were generated. 2. The Axial Coding 1) The Category Analysis by Paradigm The terminal cancer patients experienced the quality of life as follows: The casual condition was ‘being given terminal cancer judgment’, and the central phenomenon was ‘deteriorated quality of life’, and the contextual condition having influence upon the central phenomenon was ‘the negative cognition of the disease’ as well as ‘the progress of the disease’. The intervening condition was ‘the support system’, ‘the hospice·palliative medicine’ and ‘the religious soul’. The action and interaction strategies were ‘the escape from reality’, ‘the maintenance of the status quo’, and ‘the admission of the realities’ and the outcome of the strategies was found to be in order of ‘rejection to death’, ‘passive reception of death’ and ‘adaptation to death’. 2) Analysis of process The terminal cancer patients were found to experience three stages, that is, the redefinition stage, the repression stage and the confrontation stage, etc, and to show behavioral changes in accordance with the action and interaction of ‘the escape from reality’, ‘the maintenance of the status quo’, and ‘the admission of the realities’. ① The Redefinition Stage The redefinition stage was the first stage that the terminal cancer patients, i.e., the objects of the study, experienced during the interaction of present situation after being given the judgement of terminal cancer. The patients experienced ‘the redefinition stage’ on their situation to be free from overall pains caused by the cancer disease. They looked for the reasons why to live, and wanted to rely upon the possibilities of disease treatment and overcoming, and looked for other therapies, and sometimes asked for shortened life: In such a way, they showed passive and aggressive behaviour depending upon situation. Therefore, the action and interaction strategies in ‘the redefinition stage’ were found to be ‘the escape from reality’. ② The Repression Stage After ‘the redefinition stage’, the patients experienced ‘the repression stage’ that escapes from stimulus and suppresses feeling to avoid approaching death in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cancer disease. They made efforts to avoid the ideas on death and reduce physical and emotional stimulus and wanted to share anxiety and maintain a status quo. In this stage, the action and interaction strategies were found to be ‘the maintenance of the status quo’. ③ The Confrontation Stage After ‘the redefinition stage’ and ‘the repression stage’, the terminal cancer patients were found to experience ‘the confrontation stage’ at the realities of death which they were forced to face. In this stage, the patients attempted to understand and look the reality in the face correctly, and anticipated death. Therefore, the action and interaction strategies in this stage were found to be ‘the admission of the realities’. 3. The Selective Coding The core category of the selective coding was found to be ‘the changes of quality of life during the remainder of their lives in accordance with the acceptance attitude on death’: The analysis of types focused on core category showed three types: ‘the rejection type’, ‘the passive acceptance type’ and ‘the adaptation type’. 1) ‘The rejection type’ of the patients strongly denied terminal cancer judgment and lived the remainder of their lives at their struggle against the cancer disease. This type of patients had strong ‘negative disease cognition’, quick ‘progress of the disease’, narrow ‘support system’ and negative attitudes against even ‘the hospice·palliative medicine’. In addition, they had weak ‘religious soul’, continuously strong ‘escape from reality’ and temporary and ‘positive maintenance of the status quo’, and did not admit of the admission of the realities to the end. ‘The rejection type’ worsened hopelessness during the remainder of life, and increased death fear to deteriorate the quality of life during the same period. 2) ‘The passive acceptance type’ of the patients showed affirmative attitudes on ‘the terminal cancer judgment’, temporary and weak ‘escape from reality’, continuous and positive ‘maintenance of the status quo’ and passive ‘admission of the realities’. This type of patients were not influenced by ‘the negative disease cognition’, ‘the progress of the disease’, ‘the support system’, ‘the hospice·palliative medicine’ and ‘the religious soul’. ‘The passive acceptance type’ of the patients lived uneasy and depressed life during the remainder of life, and their quality of life was worsened during the same period. 3) ‘The adaptation type’ of the patients showed affirmative attitudes on ‘terminal cancer judgment’ and were not influenced by ‘the negative disease cognition’, ‘the progress of the disease’, and ‘the religious soul’. 'The adaptation type' of the patients, however, had wide ‘support system’, and showed affirmative attitudes on ‘the hospice·palliative medicine’. In addition, this type of patients showed temporary and weak ‘escape from reality’, temporary and passive ‘maintenance of the status quo’, and positive ‘admission of the realities’. The adaptation type of patients lived life with rather stable and quiet mind while preparing for death during the remainder of their life. Therefore, their quality of life was improved during the same period. Also, I compared three types above with grounded data and confirmed the statements of relationship. As a result, three hypotheses were deduced as follows: 1. In case patients have the wide support system and positive attitudes toward hospice & palliative medicine, patient's quality of life during the remainder of their lives is improved through interaction between 'escape from reality', 'maintenance of the status quo' and 'admission of the realities' as patients undergo adaptation to death. 2. In case patients have the negative disease cognition, wide support system and negative attitudes toward hospice & palliative medicine, patient's quality of life during the remainder of their lives is deteriorated through interaction between ‘escape from reality’, ‘maintenance of the status quo’ and ‘admission of the realities’ as patients undergo passive acceptance to death. Also, patients who have weak negative disease cognition, slow progress of the disease, narrow support system and positive attitudes toward hospice & palliative medicine experience same results. 3. In case patients have strong negative disease cognition, rapid progress of the disease, narrow support system, negative attitudes toward hospice & palliative medicine and weak religious soul, patient's quality of life during the remainder of their lives is deteriorated through interaction between ‘escape from reality’, ‘maintenance of the status quo’ as patients undergo denial of death. In this paper, the terminal cancer patients were found to experience the process of ‘the changes of quality of life during the remainder of their lives in accordance with the acceptance attitude on death’: The changes of quality of life experienced by the patients is to deteriorate or improve the quality of life during the remainder of their lives depending upon their attitudes of the acceptance of death.

      • 말기 암 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의 부담감과 우울

        이소라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말기 암 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의 부담감과 우울을 알아보고 관련요인을 조사함으로써, 간호사의 부담감 및 우울 관리에 대한 기초 자료로 사용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자료는 2003년 3윌 18일부터 4월 1일까지 연구기간동안 수원 시 A종합병원의 혈액종양내과, 내과, 산부인과, 일반외과, 소아내과 병동에서 근무하고 있으면서, 말기 암 환자를 간호하고 있고, 본 연구에 동의하며 임상경력 1년 이상인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하였고, 총101부를 분석하였다. 연구도구는 Zarit(1980), Montgomery(1985) 도구를 번역한 이관희(1985)의 부담감 측정도구(5점척도)로서 김연희(2001)가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Beck에 의해 고안된 BDI를 한흥무(1986등이 번안하고 표준화한 우울 측정도구(3점척도)를 이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이용하여 실수, 평균,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말기 암 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의 부담감 정도는 5점 척도에서 평균 2.91±.31의 결과를 보였다. 2. 말기 암 환자를 간호는 간호사의 우울 정도는 평균 9.41로 정상 수준 범위로 조사되었다. 3. 말기 암 환자에 대한 간호사의 부담감은 연령(F=4.16, p=.008)과 결혼 상태(t=2.36, p=.02), 임상경력(F=2.60, p=.05), 직업만족도(F=14.79, p=.000), 간호직에 대한 직업관(F=6.20, p=.001), 건강에 대한 인지정도(F=2.73, p=.04)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35세 이상의 간호사들이 다른 연령의 간호사보다 부담감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고, 미혼인 간호사보다 기혼이 간호사가 부담감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만족도에서는 '다소 불만족'이라고 대답한 간호사가 다른 간호사보다 부담감이 높게 나타났으며, 간호직에 대한 직업관에서는 '결혼까지만 할 잠정적인 직업이다'라고 대답한 간호사가 다른 간호사보다 부담감이 높게 나타났다. 건강에 대한 인지정도에서는 '대체로 건강하다'라고 대답한 간호사가 다른 간호사보다 부담감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4. 말기 암 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의 우울 정도는 결혼(t=2.51, p=.01)상태에서 기혼보다 미혼이 우울 정도가 높았고, 종교에서는 기독교나 천주교, 무교보다 불교 (F=4.32, p=.01)가 우울 정도가 높았다. 직업만족도에서는 "그저 그렇다'라고 대답한 군이 우울 정도가 높았다(F=3.71, p=.01). 간호에 대한 직업관에서는 '기회만 있으면 떠나고 싶다'라고 답한 사람이 우울 정도가 가장 높았으며(F=5.30, p=.002), 가족 중 사망경험이 없는 간호사보다 있는 간호사가 우울 정도가 높았다(t=-2.26, p=.02). 5. 말기 암 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의 부담감과 우울 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순상관 관계를 보였다(r=.243, p=.014). 결론적으로 말기 암 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의 부담감 정도는 중간정도를 나타냈으며, 우울 정도는 정상상태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부담감 정도와 우울 정도는 순상관 관계를 보여주었다. 그리고 부담감과 우울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직업만족도와 직업관으로 나타났으므로, 말기 암 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의 직업적 성취감과 직업만족을 높일 수 있는 중재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며, 말기 암 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의 부담감과 우울을 감소시킬 수 있는 지지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determine the burden and depression of nurses attending on last-stage cancer patients, to look into related factors, to relieve them of burden and depression and to present basic materials necessary for the management of depression in order that they may contribute to the wholistic nursing of the patients. The subjects were nurses working at oncology department, internal medicine department, obstetrics and gynecology, general surgical department and child internal medicine department at General Hospital A in the city of Suweon from March 18, 2003 to April 1, 2003. The subjects spent more than a year on taking care of last-stage cancer patients. The research tool was based on the modification and complementation of Zarit(1980) and Montgomery(l985)'s tools by Kim yun-hee, and the researcher also depended on a depression measurement tool(3-point scale) by Han Hong-mu who modified Beck's BDI. The researcher relied on SPSS/WIN for the sake of real number, mean,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he following are the findings. 1. The degree of the subjects' burden stood at mean=2.91±.31 2. The degree of the subjects' depression accounted for mean=9.4l(normal). 3. The subjects' burden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ccordance with age(F=4.16, p=.008), marital status (t=2.36, p=.02), clinical experiences (F=2.60, p=.05), job satisfaction (F=14.79, p=.000), views on nursing(F=6.20, p=.00l), and the degree of understanding health(F=2.73, p=.04). 4. The survey on the degree of depression shows that unmarried nurses were more subjected to depression than married nurses in terms of marriage(t=2.51, p=.0l), and that Buddhist nurses went through more depression than Christian or Catholic nurses or non-believers in terms of religion(F=4.32, p=.0l). In terms of job satisfaction, the subjects turned out not to be satisfied with their job in terms of job satisfaction(F=3.7, p=.0l). In terms of views on the profession of nursing, those who said , "I want to get out of this job whenever any occasion arise, turned out to be most depressed". And those who didn't have their family member die turned out to be more depressed than their counterpart in terms of death experience(t=-2.26, p=.02). 5.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subjects' burden and depression.(r=.243, p=.014) All in all, the subjects turned out to be exposed to a medium degree of burden and their depression proved to be normal. An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burden and depression. It is necessary that support programs should be worked out to relieve the nurses of burdens and that mediating programs should be ironed out to enhance occupational achievement and job satisfaction and to take more positive care of their cancer patient.

      • 말기암환자 가족원의 부담감과 소진

        안은정 全南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9727

        국민소득의 증가와 보건의료수준의 향상으로 인하여 질병의 조기발견과 치료율이 높아지고 있으나 각종 만성퇴행성 질환의 증가와 함께 완치가 불가능하여 생명연장이 불가능한 말기암환자의 호스피스 요구가 커다란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말기암환자는 더 이상 치료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없어 의료적 관심에서 도외시 되고, 환자의 가족들은 부담감과 소진을 경험하게 된다. 본 연구는 말기암환자 가족원의 부담감과 소진정도를 파악하여 가정, 호스피스 기관, 병원, 보건소의 호스피스 전문간호사가 말기암환자 가족원을 위한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자료는 2003년 6월 1일부터 2003년 8월 30일까지 G시의 2개 종합병원에 입원 또는 외래방문 환자, 그리고 S시 호스피스 병동에 입원하여 호스피스케어를 받고있는 환자의 주간호자인 가족원 총 99명을 편의표집하여 설문지를 이용한 개별 직접면접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는 Novak과 Guest(1989)의 Care-giver Burden Inventory와 Zarit 등(1979)이 개발한 가족원의 부담감에 관한 도구를 장숙랑(1999)이 수정·보완한 부담감 측정도구와 Pines(1981)가 개발한 소진측정 정도를 픽은희(1983)가 번역하고 수정·보완한 도구를 이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AS win 8.1/PC+를 이용하여 빈도,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GLM,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Duncan test, Tukey test를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말기암환자를 돌보는 부담감은 총 116점 만점에 87.9점, 평점 4점 만점에 평균 3.03점이였고, 가족원의 소진은 총 100점 만점에 59.6점, 평점 5점 만점에 평균 2.98점으로 나타났다. 2. 말기암환자를 돌보는 가족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부담감은 직업(t=-3.24, p=.002)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3. 말기암환자를 돌보는 가족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소진은 연령(F=3.23, p=.016), 성별(t=2.13, p=.036), 직업(t=-2.03, p=.04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즉 40대 연령군, 여자, 직업이 없는 가족원의 소진이 높은 경향이었다. 4. 말기암환자를 돌보는 가족원의 돌봄의 특성에 따른 부담감은 환자의 합병증(t=-4.42, p=.000). 환자의 죽음수용단계(F=3.12, p=.019), 일상생활능력(F=9.7, p=.000)에 따라서, 돌봄의 내용은 식사먹이기(t=-2.26, p=.026), 대소변처리(t=-4.74, p=.000), 운동(t=-2.69, p=.008), 목욕(t=-3.71, p=.000), 머리감기기(t=-5.21, P=.000), 기도흡인(t=-3.02, P=.003), 약먹이기(t=-2.32, p=.023), 마사지(t=-4.42, p=.000)를 해야 하는 경우 부담감이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즉 합병증이 있고, 죽음의 수용단계에 우울단계, 일상활동이 의존적일 때 가족원의 부담감이 높은 경향이었다. 5. 말기암환자를 돌보는 가족원의 돌봄의 특성에 따른 소진은, 환자의 치료기간(F=4. 27, p=.017), 죽음의 수용단계(F=2.65, p=.038), 일상생활능력(F=7.26, p=.001)에 따라서, 돌봄의 내용은 식사먹이기(t=-2.85, p=.005), 대소변처리(t=-4.47, p=.000), 운동(t=-2.07, p=.041), 목욕(t=-2.18, p=.032), 머리감기기(t=-2.52 p=.014), 기도흡인(t=-2.36, P=.020), 약먹이기(t=-2.24, p=.027), 마사지(t=-2.75, p=.007)를 해야 하는 경우 소진이 높은 경향이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즉 13-24개월의 치료기간에, 죽음의 수용단계에서 우울하고, 일상활동이 의존적일 때 가족원의 소진이 높은 경향이였다. 6. 말기암환자를 돌보는 가족원의 부담감과 소진은 순상관관계(r=.77, P=.0001)를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말기암환자를 돌보는 가족원의 부담감과 소진정도는 매우 높았고, 높은 순상관 관계를 보여주었다. 말기암환자를 돌보는 가족원은 환자의 상태가 좋지 않으며, 힘들고 기술을 요하는 어려운 간호활동을 수행하는 경우 부담감과 소진이 높았다. 따라서 말기암환자 간호는 돌보는 가족원의 심리적 문제에 관심을 갖고 가족원의 어려움을 파악해야하며, 환자와 가족원을 위한 간호중재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사료된다. 특히 대소변 처리, 기도흡인, 마사지, 세발, 약먹이기, 식사먹이기, 운동, 목욕을 해야 할 경우, 돌봄에 부담감과 소진이 높았으므로, 병원에서는 가족원에게 이와같은 훈련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호스피스 자원봉사자 교육을 수료한 인력과 연계하여 돌보는 가족원의 부담감과 소진을 완화시킬 필요가 있다고 본다. It is expected that the number of families who are caring for terminal cancer patients will be increased in this society. They will have a financial, a psychological, social burden and burnout related to this responsabi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burden and burnout of the subjects. The number of subjects was 99 convenienced sample and they were the families who were taking care of terminal cancer patients who are admitted in the large hospital or hospice ward and visited outpatient department. The data has been collected through direct interview with Questionnaire for the family burden and burnout. The periods of data collection were from 1st June to 30th August 2003, in G and S cities the Republic of Korea. The data analysis was done by SAS win 8.1/PC+(mean, frequency, t-test, GLM,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Duncan test, Tukey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ings : 1. The mean score of burnout of main family care-giver is 2.98 and the burden is 3.03. 2. Main family care-giver's burnout is shown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age(F=3.23, p=.016), sex(t=2.13, p=.036), job of family(t=-2.03, p=.045). for example, female care-giver who has no job and were 40 years-old can experience the burnout more strongly. 3. Main family care-giver's burdens is shown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jobs of family care-giver(t=-3.24, p=.002). 4. Main family care-giver's burnouts was significantly differed according to the care-giving characteristics; duration of treatment (F=4.27, p=.017), level of acceptance on the stage of death(F=2.65, p=.038), and ability of daily living activities(F=7.26, p=.001). Among care-giving activities, supply meal(t=-2.85, p=.005), stool and urine affairs(t=-4.47, p=.000), exercise(t=-2.07, p=.041), bathing(t=-2.18, p=.032), shampoo(t=-2.52 P=.014), suction(t=-2.36, P=.020), medication(t=-2.24, p=.027) and massage(t=-2.75, p=.007) was significantly differed on main family care-giver's burnout. There was high burnout of main family care-giver according to illness duration(13-34 months), level of acceptance on the stage of death (depressed) and ability of daily living activities(dependent) of terminal cancer patient. 5. Main family care-giver's burden was significantly differed according to the care-giving characteristics; complication of patients(t=-4.42, p=.000), level of acceptance on the stage of death(F=3.12, p=.019), and ability of daily living activities(F=9.7, p=.000). Among care-giving activities, meal supply(t=-2.26, p=.026), stool and urine affairs((t=-4.74, p=.000), exercise(t=-2.69, p=.008), bathing(t=-3.71, p=.000), shampoo(t=-5.21, P=.000), suction(t=-3.02, P=.003}, medication(t=-2.32, p=.023) and massage(t=-4.42, p=.000) was significantly differed on main family care-giver's burden. There was high burden of main family care-giver according to complication, level of acceptance on the stage of death (depressed) and ability of daily living activities(dependent) of terminal cancer patient. 6.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burden and burnout of main family care-giver(r=.77, P=.0001). In conclusions, there is a high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burnout and the burden of main family care giver of terminal cancer patients. Therefor main family care-giver's burden and burnout must be reduced for the quality of life of patient's family as well as the terminal cancer patient. And there is need to develop the various nursing inventions and social support system to reduce main family care-giver's and family's burden and burnout.

      • 말기암환자의 호스피스 완화의료 이용경험과 인식에 관한 사례연구 : 자문형 호스피스를 중심으로

        고주미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9727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terminal cancer patients regarding consultation-based hospice care and to understand their main concerns and wishes to provide a framework for future hospice care provision. Participants were recruited among terminal patients enrolled in consultation-base hospice care of a tertiary hospital based in Seoul.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en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six men and four women, with an age range of 30-80. Qualitative case study analysis was the chosen method of analysis. Three main categories emerged from the analysis: (a) reaction to terminal diagnosis, (b) understanding of hospice, (c) experiences of hospice care and reflections. In the first category, (a) reaction to terminal diagnosis, three themes were extracted as follows: 'shock and denial', 'acceptance according to individual understanding of situation', 'unescapable longing for life'. The terminal diagnosis came as a shock to the participants with age and religion influencing their acceptance while some still showed a yearning to live or hope regarding recovery. The second category, (b) understanding of hospice, found two opposing themes of 'a place where the meaning of life is lost and death occurs' and 'a thankful place that helps you leave without pain'. To the participants, hospice was regarded as a location rather than a service or program. The third category, (c) experiences of hospice care and reflections, emerged in six themes as follows: 'inaccurate understanding of hospice', 'changes in perspective after entering hospice', 'helpful aspects of hospice care', 'inner resources for perseverance', 'difficulties while in hospice care', ‘hopes and expectations for hospice'. Participants didn't fully understand what hospice was or sometimes confused it with refus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Even participants with previous understanding of hospice expressed fear and depression when actually enrolled. On the other hand, being in a reliable hospital, the consideration and attention towards the patients and the care of various experts were found to be helpful to the participants. The main inner resources that enabled the participants to endure their conditions were self-compassion, faith in God,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limitations of doctors, which helped alleviate false expectations. The main difficulties were uncontrollable pain, fear of death and the feeling of helplessness. The hopes for hospice were for an easy transition to in-patient care with less wait time, having the opportunity to spend time meaningfully, and warm care and interactions from the hospital staff to ease patients' psychological pain. This study is the first to examine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terminal cancer patients enrolled in consultation-based hospice after the enactment of the Life-Sustaining Treatment Decision Act. Hearing from the participants, this study was able to identify first-hand the aspects of hospice care which proved helpful, and the areas most in need of improvement in order to best help those in their final days. Based on these results, one can obtain practical and applicable information to improve the care of patients in consultation-based hopsice care and enhance their quality of life during their enrollment. 본 연구는 호스피스에 등록한 말기암환자의 호스피스 완화의료 이용경험과 인식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말기암환자가 호스피스를 이용하면서 어떤 경험을 하고 그 과정에서의 인식과 생각이 어떠한지를 분석하여 향후 호스피스 완화의료 실천과 후속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자문형 호스피스를 실시하고 있는 서울 소재의 한 상급종합병원에서 2022년 1월부터 2022년 12월까지 호스피스에 등록한 말기암환자 10명을 면담하여 사례연구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말기 진단에 대한 반응>, <호스피스에 대한 인식>, <호스피스 이용경험과 나의 생각>의 3개 범주가 도출되었다. 첫 번째, <말기 진단에 대한 반응> 범주에서는 ‘부정하고 싶은 충격과 상처’, ‘상황 해석을 통한 수용 노력’, ‘살아있는 한 계속되는 삶의 지향’의 주제가 드러났다. 연구참여자들에게 말기 고지는 여전히 생생한 충격이자 상처였으며, 일부는 나이와 신앙의 힘으로 상황을 수용하고자 했고 말기 진단에도 불구하고, 삶에 대한 강력한 의지와 치료에 대한 기대를 보이기도 했다. 두 번째 <호스피스에 대한 인식> 범주는 크게 ‘삶의 의미가 소멸되고 죽음을 양산하는 공간’과 ‘편안하게 떠날 수 있도록 해주는 고마운 곳’이라는 상반된 이해로 나누어졌다. 참여자들에게 호스피스는 거부와 체념의 대상이거나 삶을 마감할 수 있게 도와주는 공간적인 개념으로 받아들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호스피스 이용경험과 나의 생각> 범주는 ‘호스피스에 대한 부정확한 이해’, ‘호스피스 당사자의 두렵고 우울한 세계’, ‘나에게 힘이 되는 호스피스’, ‘스스로 견뎌내게 한 내적 자원’, ‘호스피스 당사자로서 겪는 어려움’, ‘호스피스에 대한 바람과 기대’의 6가지 주제로 확인되었다. 참여자들은 호스피스를 정확히 이해하지 못하거나 연명치료 거부와 혼동하기도 했고, 평소 호스피스에 대한 이해가 있어도 막상 호스피스 당사자가 되어서는 두렵고 우울한 마음을 표현하였다. 믿을 수 있는 병원에 있다는 안도감과 환자에 대한 배려와 관심, 그리고 여러 전문가의 돌봄은 참여자들에게 힘을 주는 긍정적 요인이었다. 호스피스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스스로 버텨낼 수 있었던 내적 자원으로는 자기돌봄과 신앙의 힘 그리고 의사가 아닌 스스로 감당해야 됨에 대한 이해가 주되게 작용했다. 또한 호스피스 당사자로서 겪는 어려움에는, 조절되지 못한 통증때문에 괴로움을 호소하는 경우가 있었고 죽음에 대한 두려움과 아무것도 할 수 없다는 무력감이 드러났다. 마지막으로 호스피스에 대한 바람과 기대로는, 환자가 기다리지 않아도 되는 호스피스 연계와 의미있는 시간을 보낼 수 있는 기회 그리고 환자의 심리적 고통을 경감해주는 따뜻한 돌봄에 대한 희망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연명의료결정법 제정 이후, 해당 제도하에서 자문형 호스피스에 등록한 말기암환자의 경험과 인식을 살펴본 첫 연구로서, 말기암환자가 호스피스를 이용하면서 가졌던 긍정적인 경험과 어려움 그리고 개선점을 호스피스 당사자의 목소리를 통하여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자문형 호스피스가 환자의 전원 또는 이용종료까지의 기간 동안 실제로 환자의 삶의 질에 기여할 수 있는 바를 찾아가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말기암환자의 호스피스 자원봉사자 서비스에 대한 요구도와 만족도조사

        최광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727

        말기암환자가 지각한 호스피스자원봉사자의 서비스에 대한 요구도 및 만족도를 파악함으로써 자원봉사자의 서비스수준을 높이는 간호중재에 반영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본 연구는 말기암환자가 요구하는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서비스 요구도와 자원봉사자들이 제공한 서비스의 만족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며, 2002년 3월 8일부터 8월 31일까지 호스피스를 시행하고 있는 시 지역의 9개 병원에서 말기 암환자로서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서비스를 받았으며, 호스피스를 시행하고 있는 병원에 입원중인 환자 82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연구도구는 최상순. 허혜경과 박소미 (2000)가 개발한 자원봉사자의 호스피스활동 측정도구를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AS PC+ Win 8.0을 이용하여 Frequency, Percent, t-test와 ANOVA, Pearson's correlat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말기암환자의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서비스에 대한 요구도는 35점∼261점 범위에 평균 182점, 평균평점 2.68점이었으며, 하위영역별 평점은 정서적 돌봄 (3.12점), 영적 돌봄 (3.11점), 신체적 돌봄 (2.50점), 사회적 돌봄 (1.80점)의 순이었다. 2. 말기암환자의 호스피스 자원봉사자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는 11점∼256점 범위에 평균 174점, 평점 2.56점이었으며, 하위영역별 평점은 정서적 돌봄 (2.97점), 영적 돌봄 (2.92점), 신체적 돌봄 (2.53점), 사회적 돌봄 (1.50점)의 순이었다. 3. 말기암환자의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호스피스 자원봉사자 서비스에 대한 요구도는 종교 (t=2.11, p=.045)와 학력 (F=6.46, p=. 021)에 따라서, 만족도에서는 종교 (t=2.23, p=.041)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말기암환자의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호스피스 자원봉자 서비스에 대한 요구도와 만족도에서는 투병기간에 따라서 요구도 (F=6.75, p=.032)와 만족도 (F=5.48, p=.041)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말기암환자의 호스피스 자원봉사자 서비스에 대한 요구도와 만족도는 순상관 관계 (r=.623, p=.001)를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에서 말기암 환자의 자원봉사자 서비스에 대한 요구도가 높을수록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호스피스 자원봉사자는 인간을 총체적인 관점에서 이해하고, 특히 말기암환자의 요구와 서비스 만족에 초점을 두고 활동할 수 있는 능력이 구비되어야 하며, 환자의 요구에 부응하는 서비스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육함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descriptive study is aimed at identifying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level of needs and satisfaction with hospice volunteers' care and enhancing the quality of hospice volunteers' service and then providing basic data in an effort to increase the level of patient satisfaction with hospice service.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March 8, 2002 through August 31, 2002. The subjects consist of 82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who were given care from hospice volunteers at nine hospice facilities. The research instrument was adapted from the measurement instrument developed by Choi et al, Data were analysed in terms of Frequency, Percentile,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using SAS/ WIN 8.0 PC+.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level of needs hospice volunteers' service: minimum score(35 points), maximum score(261 points), mean score(182 points). Subdivision scores were, in descending order, mental support(3.12 points), spiritual support(3.11 points), physical support(2.50 points), and social support(1.80 points). 2.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level of satisfaction with hospice volunteers' service: minimum score(11 points), maximum score(256 points), mean score(174 points). Subdivision scores were, in descending order, mental support(2.97 points), spiritual support(2.92 points), physical support(2.53 points), and social support(1.50 points). 3.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level of needs for hospice volunteers' service and their level of satisfaction with hospice service. 4. In view of the demographics of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patients' level of needs for hospice service in terms of religion and education level and among the patients' level of satisfaction with hospice service in terms of religion. In view of the disease-related characteristics of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atients' level of needs and their level of satisfaction in terms of the period of struggle against disease. The study found that the higher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level of needs for hospice service, the higher the patients' level of satisfaction with hospice service. Therefore, research on standardized instrument to measure the level of needs should be done. Hospice volunteers should be educated to understand human beings from a holistic standpoint. In particular, hospice volunteers should be given the opportunity to provide hospice service while understanding patients' experience and educated to care for the sake of patients.

      • 말기암환자의 통증과 불면증 감소를 위한 현실요법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연구

        천준협 국제신학대학원대학교 2012 국내박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Glasser의 현실요법을 활용해서, 말기 암환자의 통증과 불면증 감소를 위한 새로운 호스피스 현실요법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개발한 프로그램의 효과를 연구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본 프로그램의 개발은 크게 2개 과정을 통하여 이루어졌다. 먼저 기존의 현실요법에 관한 문헌검토와 새로운 프로그램에 대한 상담전문가들의 검토를 거쳐서 수정 보완, 확정하여 완성을 하였다. 프로그램의 주요 내용은 현실요법의 주요 개념인 현실요법적인 상담환경조성, 욕구탐색(Want), 행동탐색(Doing), 자기평가(Evaluation), 적용계획(Plan) 등으로 구성되었다. 본 프로그램의 특징은, 첫째로 연구가들에 의해 그 효과가 검증된 Glasser의 현실요법과 선택이론에 기초하였다. 둘째로는 프로그램 내용의 구성 차원에서, 현실요법과 선택이론의 핵심적인 개념들이 위계적이며 체계적으로 조직되고 통합되었다. 셋째는 프로그램 운영 방법 차원에서, 현실요법과 선택이론의 핵심 내용이나 주장과 일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넷째는 배우고 익힌 내용을 즉시 말기암환자들의 호스피스에 적용하도록 하여 참여자의 적용 능력을 강조하였다. 본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효과를 검정한 결과, 말기암환자들의 고통감소와 불면증감소가 향상되었다. 즉, 본 연구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은 말기암환자의 고통감소와 불면증감소에 기여하고 있었다. 본 프로그램의 효과를 보다 심층적으로 규명하기 위하여 효과검증 과정을 거쳤다. 이 과정에서 사용한 연구 설계는 사전-사후-추수검사 실험설계이다. 그리고 참여자는 경기도 N시 S호스피스요양병원 암병동에서 말기암으로 인한 통증과 불면증으로 괴로워하는 호스피스(말기암환자) 실험집단 10명을 대상으로, 3개월간 매주 1회, 매 회기 50분, 총 8회에 걸쳐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통증척도와 불면증척도를 검증하였다. 효과검증에서 실험집단에서는 통증감소와 불면증감소가 있었으며, 이러한 효과는 프로그램 종료 4주 후까지도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말기암환자를 위한 현실요법 프로그램은 통증감소와 불면증감소에 효과적이었다. 또한 프로그램의 지속적인 수정 보완 및 효과 검증 연구와 보급의 필요성에 관하여 앞으로 더욱 연구 할 필요가 있었다. This study was aimed to develop a new reality therapy (Hospice Reality Therapy : HRT) program for hospice to reduce pains and insomnia of terminal cancer patients by applying the reality therapy originated by Glasser and its efficacy of a newly developed program. The HRT program was developed through two processes in principle. First, the existing reality therapies contained in the literature were searched and reviewed by the expertise of reality therapy and counsellors for perfection through revision and complementation. Major contents of the program were the composition of counselling environment, Want, Doing, Evaluation and plan, which were major concepts of the reality therapy. The specific features of the HRT program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based on the reality therapy and selection theory of Glasser, of which efficacy has been verified by researchers. Second, the core concepts of reality therapy and selection theory were hierarchically and systematically organized and integrated in terms of composition of program contents. Third, the operation method of the program coincides with core contents or issues of the reality therapy and selection theory. Fourth, the contents that have been learned and practiced could be applied to hospice for terminal cancer patients to emphasize the applicability to participants. As a result of examination of the efficacy when using the HRT program, participants (10 persons) who used this program were improved in pain reduction and insomnia reduction. In other words, the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contributed to pain reduction and insomnia reduction of terminal cancer patients. In addition, the efficacy examination was performed to clarify the efficacy of The Hospice Reality Therapy Program in depth. The research desd n used in this process was an experimental desd n of pre-test, post-test and follow up-test. And, the participants were tention, terminal cancer patients in an experiment group who had been suffering severely from pain and insomnia due to terminal cancer at a cancer ward of S -Hospice hospital located at N city of Gyeon t-do. The articipants cancer d ei. t times in total, 50 minutes per time, once a week for three months to examine the pain scale and the insomnia scale. This examination indicated pain reduction and insomnia reduct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continued up to four weeks after the completion of the program. It was concluded that the HRT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a reality therapy program for terminal cancer patients, was effective for pain reduction and insomnia reduction.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continue to complement and revise the program, and to perform the further efficacy research and popularization.

      • 말기 암환자에서 한의학적 완화치료법 현황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

        윤해창 대전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95

        배경: 현대 완화의료는 시슬리 손더스 박사가 선도한 호스피스 운동과 함께 시작되었다. 한국에서 호스피스·완화의료는 다른 국가들보다 일찍 시작되었지만 최근에서야 틀을 갖추고 있다. 이전에 한국 정부는 호스피스·완화의료에 있어서 한의학을 배제한 채 진행하였다. 그러다 2015년 제3차 한의약육성발전종합계획을 세우게 되었다. 여기에 암성 피로와 암성 식욕부진의 한의표준진료지침을 만드는 것이 포함되었다.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외 호스피스·완화의료의 현 상태를 파악하고 호스피스·완화의료의 관점에서 침, 뜸, 한약을 포함한 한의학적 완화치료법의 효과를 평가하는 것이다. 방법: 암관리법에 의한 말기환자를 대상으로 영국, 미국, 대만, 일본, 중국과 비교분석하였다. 논문은 2017년 2월까지 출판된 체계적 문헌고찰 가운데, 국외 데이터베이스 중 Pubmed, MEDLINE, ScienceDirect, CINAHL에서 찾았고 국내 데이터베이스 중 한의학연구원에서 운영하는 OASIS에서 검색하였다. 검색어는 완화의료와 침, 뜸 또는 한약으로 영어와 한글로 하였다. 서적과 보고서도 동일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였고 각 국의 보건복지부 및 산하 기관, 암 등록통계사업, 호스피스·완화의료협회 및 유관 학회의 홈페이지를 추가로 이용하였다. 검색 결과를 토대로 제목, 초록을 통해 선별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Excel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정리 및 분석하였다. 결과: 검색 결과 침, 뜸, 한약에 각각 19개, 3개, 15개의 논문이 선별되었으며 모든 부분에서 한국에서 발표된 논문이 가장 많았다. 침은 181개의 무작위 대조군 연구(RCT), 10,682명의 환자, 뜸은 23개의 RCT, 1,861명의 환자, 한약은 27개의 RCT, 2,894명의 환자를 포함하였다. 먼저 침 치료는 구역구토와 불안을 감소하는데 효과적이었다. 또한 암성 피로와 백혈구감소증을 완화하는 데에도 좋았다. 둘째, 뜸 치료는 구역구토와 암성 피로, 백혈구감소증을 완화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셋째, 한약 투여는 삶의 질을 높이고 면역 체계의 수치를 향상시키는데 유익하였다. 그러나 이외 일부 증상에 대해서는 상충되는 결과가 있기도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의학적 완화치료법은 부작용이 없거나 미미하였으며 치료를 받은 대부분의 환자들이 만족한 결과가 나타났다. 최근 호스피스·완화의료 병원과 관련 의료진이 증가 추세에 있으나 아직 호스피스·완화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 수에 비하면 그 수가 부족하다. 한의학적 완화치료법을 이용하는 말기 암환자 수도 늘어나고 있으며 환자의 진단 분류도 다양해지고 있지만 이들에 대한 의료보험이 충분히 적용되지 못하고 있다. 결론: 연구의 결과, 말기 암환자의 증상에 있어서 한의학적 완화치료법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한의학은 완화의료에 있어서 적절한 치료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우리가 임종을 앞둔 환자들을 위하여 한의학을 더욱 발전시키는데 노력해야 하는 이유이다.

      • 말기암환자에서 전신적 염증반응증후군의 구성요소와 혈장 내독소와의 연관성

        정회현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95

        연구목적: 말기 암환자의 대부분은 다발성 장기부전으로 사망하며 주로 전신적 염증반응증후군(systemic inflammatory response syndrome:SIRS)이 선행되어 다발성 장기부전(Multiple Organ Failure: MODS)을 미리 시사하게 된다. 내독소는 다발성 장기부전과 쇼크를 발생시키고 여러 사이토카인과 급성 반응기 물질 (acute phase reactant)의 분비를 자극한다. 이 연구에서는 말기 암환자에서 전신성 염증 정도에 따른 혈장 내독소와 염증인자들의 상관관계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일개대학병원에서 2009년 4월 1일부터 10월 31일까지 호스피스병동에 입원 또는 외래 방문환자 중 총 59명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다발성 장기부전을 시사하는 전신적 염증 반응 증후군의 정의에 따른 각 요소의 개수에 따른 혈장 내독소와 염증인자(Lymphocyte, ESR, CRP)들의 상관관계와 전신적 염증 반응 증후군의 존재여부에 따른 혈장 내독소와 염증인자들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말기암 환자의 전신적 염증반응증후군의 구성요소의 개수가 많아질수록 Lymphocyte(r=-0.332, p<0.01), CRP(r=0.300, p<0.05) 항목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Lymphocyte, ESR, CRP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혈장 내독소는 말기 암환자의 전신적 염증상태에서 혈장농도가 올라가긴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고 다른 염증인자(Lymphocyte, ESR, CRP )와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말기 암환자의 전신적 염증상태의 중증도에 따라서 염증인자 중 Lymphocyte, CRP는 유의한 영향을 보였으며 각 염증인자들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혈장 내독소는 말기 암환자의 전신적 염증상태를 반영하기에는 미흡하였고 다른 염증인자들과도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중심단어 : 말기 암환자, 전신적 염증반응증후군, 다발성 장기부전, 내독소, 염증인자 ABSTRACT OF THE MASTER’S THESIS The correlation of plasma endotoxin and components of systemic inflammatory response syndrome in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BY JUNG HOE HYUN THESIS ADVISOR PROFESSOR YOUN SEON CHOI Purpose : Most of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died of multiple organ failure (MOF) preceding Systemic inflammatory response syndrome(SIRS). Serum endotoxin known as the cause of multiple organ failure and shock, stimulates the secretion of various cytokines and acute phase reactants. This study will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ndotoxin and inflammation indices by the degree of the systemic inflammation of terminal cancer patients. Methods:, : Fifty-nine out of sixty-six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referred to palliative care center, Korea University Guro Hospital from April 2009 to October 2009 were analyzed in this study. We performed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plasma endotoxin and inflammation indices in the degree of the systemic inflammation. Results: As increasing the number of SIRS components, CRP were increased(r=.300, p<0.05) whereas lymphocyte was decreased(r=-.332, p<0.01). The plasma endotoxin and ESR do not demonstrate any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the number of SIRS components. Conclusion: Lymphocyte, and CRP correlate with the degree of systemic inflammatory condition of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However, the plasma endotoxin concentration does not show the correlation with the states of systemic inflammation as well as with other inflammation indices. Key Words: terminal cancer patients, SIRS, MOF, endotoxin, inflammation indi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