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근시 정상안압녹내장에서 장기 안압변동이 녹내장 진행속도에 미치는 영향

        안은정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55

        목적 정상안압녹내장에서 녹내장의 진행 속도와 장기 안압변동의 연관성에 근시가 영향을 주는지 여부를 조사하고자 한다. 방법 5년 이상 국소 약물 치료를 받은 65명의 근시 정상안압녹내장 환자들과(안축장 길이>24.0mm) 64명의 비근시 정상안압녹내장 환자들(안축장 길이<24.0mm)의 의료 기록을 검토하였다. 평균 편차 기울기(mean deviation, MD), 시야 지수(visual field index, VIF)와 안압 관련 임상적 요인들과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다중 선형 회귀 방식을 적용했다. 결과 평균 관찰 기간은 8.3년이었다. 정상 안압 전체 환자에서 22안(34.4%)의 비근시안과 27안(41.5%)의 근시안에서 녹내장 진행을 보였다. 근시와 안압 변동과의 상호작용은 MD 및 VIF 기울기 (각각 P= 0.002, 0.024)와 관련하여 중요한 인자였다. 계층화된 분석은 안압 변동의 위험 효과가 MD와 VFI 기울기 측면에서 근시 환자군에서만 의미가 있다고 제시했다. 결론 정상안압녹내장에서 근시는 비근시에 비해 녹내장 진행 속도와 관련이 있었다. Purpose: To investigate whether the association of long-term intraocular pressure (IOP) fluctuation with the rate of progression of normal-tension glaucoma (NTG) is modified by myopia. Design: Observational case series study.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65 myopic NTG (axial length >24.0 mm) and 64 non-myopic NTG eyes (axial length <24.0 mm), who had been treated with topical medications for more than 5 years, were reviewed. Multiple linear regression models were fitt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of the slope of mean deviation (MD) or visual field index (VFI) with the clinical factors, including the interactions with myopia. Results: The average follow-up period was 8.3 years. Twenty-two (22) non-myopic eyes (34.4%) and 27 myopic eyes (41.5%) showed NTG progression (P = 0.511). The interaction of myopia with IOP fluctuation was a significant factor regarding both MD and VFI slope (P = 0.002, 0.024, respectively); stratified analyses suggested that the risk effect of IOP fluctuation was significant only in myopic NTG in terms of both MD (β = -1.27, P = 0.003) and VFI slope (β = -2.32, P = 0.011). Conclusions: IOP fluctuation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rate of VF progression in myopic NTG compared with non-myopic NTG.

      • 유민희 작곡 “18현 가야금을 위한 짧은 산조 <파도>” 분석 연구

        안은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55

        As varied and unique pieces are composed based on the combination of western music’s composition skills and conventional characteristics, the area of Changjak Gukak (Creative Korean traditional music). This study analyzed Minhee Yoo’s“Brief sanjo for 18-String Gayageum <Waves>” that utilizes contemporary composition skills focusing on Korean traditional music’s melody and traditional playing skills. The piece is composed of 152 bars and this study divided the piece into 5 short sections of A,B,C,D, and E to analyze the piece. The results on analyzing the melody, beat, rhythm, and Gayageum playing skills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n melodies of each section is as follows. Section A shows the traditional Sanjo melody in the order of d note – c note- a note- d note with Jinyang beat. Section A also demonstrates the use of traditional Sanjo’s Ujo melody and Gyemyeon melody. Section B shows the contemporary melody. In Section B, same melody is repeated by focusing on d note and a note. Then, the melody finishes with d note in the last bar. Section B also demonstrates octave melody based on the keytone. Section C is divided in to Part a and Part b. Part a shows the traditional Sanjo melody based on c note – g note – c note- a note – c note- g note – c note with Jungjungmori beat. It also uses Gyeongtori melody from Gyeonggi folksongs while using serial melody and Gyemyeon melody at the same time. In Part b, the progress of melody does not lead to specific melody and it shows free progress of melody created in contemporary ways by using notes from 5 pentatonic scales (D,E,G,A,C). Section D shows the contemporary melody only with pentatonic scales (D,E,G,A,C). It demonstrates the copying, diminishing, same shape, and descending progress of theme melody. It also repeated melodies and brings tension to the music by using dynamics. Section E is divided into Part a and Part b. Part a repeats a note and d note with Utmori melody and shows traditional Sanjo melody. It also demonstrates the serial ascending and octave melody based on keynote while using traditional Sanjo melody’s Gyemyeon melody together. Part b uses Section A’s Jinyangjo Bar 1 as the theme and the melody progresses in the order of d note- g note – d note – a note. Part b also uses the traditional Sanjo’s Gyemyeon melody. Secondly, the analysis on beat and rhythm of each section is as follows. Section A shows Jinyang beat with 18/8 beat and ♩.=30 tempo. Section A proceeds in 4·2 structure as standard beat for Jinyang beat. It also breaks away from the regular 4·2 structure by changing phrase and connecting beat. It also shows 2·2·2 structure by using divisive rhythm. Section B involves 4/4 beat and ♩=120 tempo. It does not show traditional beat and the melody is played freely in 4/4 based on the accompanist’s musicality and competence. Section B shows repetition of regular rhtym structure and rhythm structure where upbeat position changes. Section C is divided in to Part a and Part b. Part a proceeds in Jungjungmori beat in 12/8 beat and ♩.=55 tempo. It shows 3·3·3·3 rhythm structure with keynote used in Jungjungmori beat composed of 2 bunbak (basic unit split in 1 beat) and it shows structure mixed with 2 bunbak and 3 bunbak. Part b proceeds in free tempo. The free tempo shows cadenza effect and it proceeds freely without special beat or rhythm structure. Section D proceeds in 3/4 beat and ♩=120 tempo. It does not involve separate traditional rhythm and it is played freely in 3/4 beat based on the accompanist’s musicality and competence. Section D also sequentially repeats 3 bunbak beat. Section E is divided into Part a and Part b. Part a proceeds in Utmori beat in 10/8 beat and ♪=160 tempo. It shows 3·2·3·2 rhythm structure with as the keynote used in Utmori beat. It also demonstrates varied beats by using 2·3·2·3 structure and 2·2·2·2·2 structure together. Part b proceeds in senza tempo. It also proceeds in free style without separate tempo or special rhythm structure. Third, Gayageum playing skills used in <Waves> are divided into traditional playing skill and new playing style. The traditional playing skill includes serial string picking, Chusung, Toisung, ascending yeoum, three-note connecting, going back to upper string by pressing the string below, playing by pressing the string below, going back to upper string by pressing string below two string, sudden note fall, weak picking, and strong picking. The new playing style includes two-hand playing style, 2-chord, 3-chord, 4-chord, staccato, rolling, glissando (ascending), playing three notes in sequence, and playing four notes in sequence. “Brief sanjo for 18-String Gayageum <Waves>” composed by Minhee Y uses melodies from traditional Sanjo while using contemporary techniques at the same time. The traditional Gayageum playing skills use various Sigimsae of Sanjo and it uses the broad range of 18-string Gayageum. It also utilizes the pentatonic scales to cover both traditional and contemporary elements. This study seeks to suggest a direction for preserving the uniqueness of Korean music and creating new music. This study also aims to help performers in understanding and playing “Brief sanjo for 18-String Gayageum <Waves>”. 서양음악의 작곡기법과 전통적 특성이 결합하여 다채롭고 개성 있는 작품들이 작곡되며 창작 국악의 영역이 넓어지고 있다. 본 논문은 한국전통음악의 선율과 전통 연주법을 중심으로 현대적 작곡기법이 활용된 작품인 유민희의 “18현 가야금을 위한 짧은 산조 <파도>”를 분석하였다. 본 곡은 총 152마디로 구성되어 있으며, 곡의 분석을 위해 A·B·C·D·E 총 5단락으로 나누었다. 선율, 장단 및 리듬, 가야금 연주법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단락별 부분으로 선율분석을 하면 A 단락은 진양장단과 d음-c음-a음-d음 중심 순으로 전통적인 산조선율이 진행되었다. 본래 전통적인 산조의 우조 선율과 계면 선율이 나타났다. B 단락은 현대적 선율이 진행되었다. d음-a음 순으로 중심음과 함께 같은 선율을 반복적으로 사용하며 옥타브 진행이 나타났다. C 단락은 a·b부분으로 나누었다. a부분은 중중모리장단과 c음-g음-c음-a음-c음-g음-c음 중심 순으로 전통적인 산조선율이 진행되었다. 경기민요의 경토리 선율을 사용하며 본래 전통적인 산조의 계면 선율이 나타났다. b부분은 특정한 선율로 귀결되지 않으며 5음음계(D, E, G, A, C) 구성음 안에서 현대적으로 만들어낸 자유분방한 선율 진행이 나타났다. D단락은 5음음계(D, E, G, A, C) 구성음 안에서 현대적 선율이 진행되었다. 주제 선율의 모방 및 축소·동형·하행진행이 나타나며 반복적인 선율 진행과 셈여림을 통해 음악의 긴장감을 주는 특징이 나타났다. E 단락은 a·b부분으로 나누었다. a부분은 엇모리장단과 a음-d음 순으로 중심음을 반복하며 전통적인 산조선율이 진행되었다. 중심음을 기준으로 순차적 상행과 옥타브 선율이 진행되며 본래 전통적인 산조의 계면 선율이 나타났다. b부분은 A 단락 진양조 제1마디를 모티브로 활용하여 d음-g음-d음-a음 중심 순으로 선율이 진행되었다. 본래 전통적인 산조의 계면 선율이 나타났다. 둘째, 단락별 부분으로 장단 및 리듬 분석을 하면 A 단락은 18/8박자, 빠르기는 ♩.=30으로 진양장단으로 진행되었다. 리듬 구조는 진양장단에서 사용되는 기준박인 4·2 구조가 나타났다. 악구의 변형과 장단의 연결로 규칙적인 4·2 구조의 흐름에서 벗어나기도 하며 분할 리듬 사용으로 2·2·2 구조가 나타났다. B 단락은 4/4박자, 빠르기는 ♩=120이며 전통 장단이 따로 나타나지 않고 반주자의 음악성과 역량에 따라 4/4박자 안에서 자유롭게 연주하는 장단 형태로 진행되었다. 리듬 구조는 규칙적인 리듬 반복과 강박의 위치가 바뀌는 구조가 나타났다. C 단락은 a·b부분으로 나누었다. a부분은 12/8박자, 빠르기는 ♩.=55이며 중중모리장단으로 진행되었다. 리듬 구조는 중중모리장단에서 사용되는 기준박인 3·3·3·3분박의 리듬 구조가 나타났다. 2분박으로만 구성된 구조, 2분박과 3분박이 혼합된 구조를 함께 활용하면서 다채로운 리듬 효과를 주었다. b부분은 Free tempo로 진행되었다. Free tempo는 카덴짜(cadenza)효과를 나타내며 특별한 장단 및 리듬 구조가 나타나지 않고 자유롭게 진행되었다. D 단락은 3/4박자, 빠르기는 ♩=120이며 전통 장단이 따로 나타나지 않고 반주자의 음악성과 역량에 따라 3/4박자 안에서 자유롭게 연주하는 장단 형태로 진행되었다. 리듬 구조는 3분박 리듬()을 연속적으로 반복하며 나타난다. E 단락은 a·b부분으로 나뉘며 a부분은 10/8박자, 12/8박자, 빠르기는 ♪=160이며 엇모리장단으로 진행된다. 리듬 구조는 엇모리장단에서 사용되는 기준박인 3·2·3·2분박의 리듬 구조가 나타났다. 2·3·2·3분박 구조, 2·2·2·2·2분박 구조를 함께 활용하면서 다채로운 리듬 효과를 주었다. b부분은 senza tempo로 진행되었다. tempo와 특별한 리듬 구조가 나타나지 않고 자유로운 형태로 진행되었다. 셋째, <파도>에 사용된 가야금 연주법은 전통적인 연주법, 새로운 주법으로 나눌 수 있다. 전통적인 연주법은 연튕김, 추성, 퇴성, 여음 상행진행, 세음 연결, 한 줄 아래 현을 눌러 윗 현으로 돌아감, 한 줄 아래 현을 눌러 연주, 두 줄 아래 현을 눌러 윗 현으로 돌아감, 꺾는 기법, 약한 전성, 강한 전성, 농현이 사용되었다. 새로운 주법은 양손 주법, 2화음, 3화음, 4화음, 스타카토, 구르는 주법, 글리산도(상행), 세음 이어뜯기, 네음 이어뜯기가 나타났다. 유민희 작곡의 “18현 가야금을 위한 짧은 산조 <파도>”는 전통 산조에 쓰이는 선율 사용과 동시에 현대적 기법을 함께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전통적인 가야금 연주법을 통해 산조의 다양한 시김새를 사용하고 18현 가야금의 넓은 음역대 사용과 5음음계 화성의 활용으로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다양성을 더 해 주고 있다. 본 고를 통해 한국 음악의 고유성을 보존하며 새로운 음악을 창작하는 하나의 방향 제시가 되기를 바라며, “18현 가야금을 위한 짧은 산조 <파도>”를 연주할 연주자들에게 작품에 대한 이해를 돕고 연주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해본다.

      • 일-가정 양립(Work-Family Balance)제도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경험적 연구 : 재무성과 및 이직의도를 중심으로

        안은정 단국대학교 2009 국내박사

        RANK : 248639

        This study is designed to empirically examine the impacts of work-family balance programs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the Korean companies. In recent time, the increase of women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ies has caused work-family conflicts as working females have to perform multi-roles assigned both by firms and by their families. Many commentators point out that the work-family conflicts tend to produce negative effects on firms' productivity such as decreasing financial outcomes, the increase in turnover rate, and job dissatisfaction. With recognition of these workplace problems increasing number of the Korean companies have enhanced maternity protection through the introduction of flexible working programs which effort to reduce work-family conflicts, ensure a high quality workforce, and increase the organization's performance. This study is aimed at analyzing the effect of the work-family balance programs on the financial performance and the employees’ turnover intentions using the 『Woman Workforce Panel Survey』conducted by the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It provides some useful insights to the study of the work-family balance issue. First of all, the work-family balance programs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organizations’ financial performance. As it suggests the substantial impact of the work-family balance program on the company's financial performance, this study contributes to change the company's perception and outlook on providing such programs. In fact, few Korean companies previously recognized that there was a need for these work-family balance programs for their competitiveness. Second, this study has a noble approach to the issues as it involves multi-level analysis allowing for the individual effects of each program as well as the bundle effects of the work-family balance system. At the individual approach, this study finds that each program has independent impacts on both financial performance and HR outcomes at the workplace. For example, the menstruation leave, the family care leave, and daycare-assistance have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the organizations' sales. In addition, both menstruation leave and daycare-assistance reduced the turnover intentions of female workers. Meanwhile, the teleworking arrangement has a negative effect on the organizations' financial performance. It is mainly because the unclear distinction between work-area and family-area is likely to cause overwork and/or work-family conflicts. At the bundle level approach, the maternity protection bundle is positively associated both with sales revenues and the decrease in turnover intentions. The flexible-work arrangement has, however, negative impacts on financial outcomes. It suggests that the bundle effects depen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rk-family balance programs.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for the firms to take a careful consideration into the introduction of any work-family balance program. The system-level approach at the whole workplace shows 'the more - the better' effects in Korea as the more the company introduce the work-family balance program, the better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produces in terms of sales revenue and reduction of turnover. Third, this study also has by-product providing a new insight on the roles of unions at the workplace. In the union-sector, the maternity protection programs have larger negative impact of turnover on union-members than on non-union members. It may be due to the fact that unions have positive recognition on the importance of maternity protection initiating and installing such programs at the workplace. However, the flexible-work arrangement increased turnover intentions of union members. It is caused by the fact that the flexible-work arrangement tends to weaken the union solidarity increasing the pressure to work overtime. Thus, union members would be more reluctant to introduce the program than the non-member be. Fourth, this study includes an analysis of control effect of marriage and tenure on turnover intentions. The married female worker and the long-tenure employees are generally exposed to work-family conflict. Thus, it is more likely that they have stronger desires for the work-family balance programs. In previous studies, the work-family balance programs reduced the turnover intentions of the married workers and the long-tenure employee. This study, however, fails to find out the control effects due to the limited data. 최근 여성의 경제활동참여가 증가함에 따라 일-가정 갈등이 심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는 이직률 증가, 직무불만족 등을 초래해 기업의 성과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많은 기업들은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하고 모성보호 강화나 유연근무제도의 도입을 통해 일-가정 갈등을 줄이고 질 높은 노동력 확보와 조직의 성과 제고를 위해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 연구는 일-가정양립제도가 기업의 재무성과와 구성원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경험적으로 분석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이 조사한 『여성인력패널조사』를 활용했다. 실증결과는 다양한 의의와 시사점을 포함하고 있다. 우선, 일-가정양립제도는 기업의 재무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실증적으로 분석됐다. 이는 일-가정양립제도가 기업의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함으로써 기업의 인식을 전환시킬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는 데 의의가 있다. 우리나라 기업은 규범적으로는 일-가정양립제도의 필요성에 동의하면서도 실제로는 관련 제도의 도입이나 확대에 다소 소극적이었기 때문이다. 둘째, 이 연구는 분석의 차원을 개별제도, 모성보호제도 및 유연근무제도, 일-가정양립제도 등 세 차원으로 구성함으로써 일-가정양립제도에 대한 보다 체계적 이해를 향상시키는 데 기여했다. 개별제도차원의 분석에서는 생리휴가제도, 가족간호휴가제도, 보육비지원제도가 기업의 재무성과 향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중 생리휴가제도와 보육비지원제도는 여성의 이직의도를 감소시키는 효과도 갖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위의 제도들이 기업의 성과에 실질적 영향을 미치는 제도로 기능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반면, 재택근무제도는 매출액 증가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석됐다. 이는 재택근무가 일과 가정의 영역을 모호하게 하여 오히려 일-가정갈등을 심화시킬 우려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모성보호제도 및 유연근무제도의 분석은 서로 성격이 다른 개별제도가 매출액이나 이직의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 가를 분석하는 데 주된 초점이 있다. 분석결과, 모성보호제도는 매출액 증가와 이직의도 감소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반면, 유연근무제도는 모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일-가정양립제도의 범주에 있다 하더라도 성격에 따라 조직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다를 수 있는 만큼 기업은 제도의 설계 및 도입에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다. 시스템 차원에서의 분석은 제도의 도입수준이 기업전체 차원에서 높아질 때 매출액과 이직의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 가를 탐색하기 위함이다. 이 연구에서는 기업단위에서의 도입수준이 높아질수록 매출액 증가와 이직의도 감소에 긍정적 영향이 있음을 실증하고 있다. 셋째, 노동조합의 이직의도 조절효과에 대한 분석을 통해 의미 있는 결과가 도출됐다. 노동조합의 경우, 모성보호제도 및 유연근무제도의 분석에서는 서로 다른 조절효과가 검증됐다. 모성보호제도의 경우에는 노동조합원일수록 이직의도를 더욱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우리나라 노동조합의 경우 모성보호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위해 적극적으로 활동하고 있다는 의미를 포함한다. 반면, 유연근무제도는 오히려 이직의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분석됐다. 유연근무제도는 노동조합의 응집력을 약화시키거나 초과근로가중 등 노동 강도를 강화시킬 우려가 있으므로 노동조합은 다소 부정적 입장을 취할 수 있다. 따라서 노동조합원은 비조합원에 비해 유연근무제도를 더욱 꺼릴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결과가 도출된 것으로 추정된다. 넷째, 결혼과 근속년수의 조절효과는 일부를 제외하고는 효과적이지 않은 것으로 분석됐다. 선행연구에서와 같이, 결혼여부나 근속년수는 일-가정양립제도의 효과를 조절하는 데 일정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일-가정갈등이 상대적으로 큰 기혼여성이나 장기근속자의 경우에는 일-가정양립제도의 지원효과 역시 상대적으로 클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선행연구와 달리, 기혼여성이나 장기근속자의 경우, 일-가정양립제도의 차별적 효과가 나타나지 않고 있다. 주된 이유는 이 분석에 포함된 모성보호제도가 자녀를 갖는 기혼여성이나 장기 근속자에게 보다 더 큰 혜택을 주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 세시풍속과 연계한 요리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력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안은정 광주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Effects of Cooking Activities Related to Seasonal Customs on Young Children’s Language Expression Abilit and Pro-social Behavior Graduate school of University of Gwangju Early Childhood Education major, Eunjung Ahn Thesis director, Seunghee Ki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s of cooking activities related to seasonal customs on young children’s language expression ability and pro-social behavior.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according to the above purpose. 1. What is the effects of cooking activities related to seasonal customs on young children’s language expression ability? 2. What is the effects of cooking activities related to seasonal customs on young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4 children (17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7 in the comparative group) in two classes of 5-year-old infants at S daycare center located in Suncheon. The research tools us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Based on a prior study (Lee Yeon-seop, Kim Sung-il, Eun Hyun-guk, 1980; Jeon Yong-shin, 1971; Korea Institute of Behavioral Science,1973; Heo Young-chang, Hwang In-chang, Jung Gye-sook, Lee Young-seok, Kim Sang-ho, 1978) that measured the language development of infants, and revised and supplemented by Hong Ji-won (2014). The pro-social behavior test tool was supplemented by Lee Hye-joo's (1996) use of the modified version of the Teacher's Pro-Social Behavior Test(Mod-PBQ) of Doescher (1986), which modified Weir and Duven (1981)'s Pro-Social Behavior Test (PBQ). Cooking activities related to seasonal customs were selected based on the seasonal customs cooking activities suggested by Hwang Ae-ri (2021) and the Korean seasonal customs dictionary (1997), and then 16 cooking activities were conducted for 9 weeks. In this study, an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conducted to verify the homogeneity of the pre-test, An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effects of cooking activities related to seasonal customs on young children’s language expression ability, and a covariate analysis (ANCOVA) was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s on young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The research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First, cooking activities related to seasonal customs were foun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young children’s language expression ability. Second, cooking activities in connection with seasonal customs were found to be effective in promoting young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It was found to be positive in all of the sub-elements of pro-social behavior, such as helping, sharing, cooperating, and comforting. In conclusion, it can be seen that it is effective in improving young children’s language expression ability and pro-social behavior through the process of learning about seasonal customs through cooking activities, listening to various vocabulary related to cooking, and sharing thoughts and experiences with their peers. Considering the above research results, it is expected that cooking activities related to seasonal customs can effectively promote young children's language expression ability and pro-social behavior, know Korea's 24 seasons, and learn seasonal changes, rhythms, and life cycle in modern society where it is difficult to experience traditional culture. In addition, it is judged that it can provide joy and community experience to young children familiar with individual activities

      • Notch 신호는 조골세포의 분화과정 동안 Runx2에 의해서 조절된다

        안은정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Notch 유전자는 다양한 환경에서 세포의 성장이나 분화를 조절하는 중요한 신호전달체계이다. 그러나 Notch 신호는 뼈 형성 과정에 있어서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잘 알려 져 있지 않다. Notch는 Runx2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조골세포의 분화를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Notch가 존재 할 때 역시 정상적인 조골세포의 분화가 일어난다. 본 연구를 통해서 조골세포가 분화되는 동안 Notch 신호는 저해 된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Alk6는 Runx2 단백질을 유도 함으로써 Notch1의 활성을 감소 시키고, 이렇게 축적된 Runx2는 Notch1-IC와 RBP-Jk 간의 결합을 방해 함으로써 Notch1의 전사 활성을 저해 시킨다. 그리고 Runx2의 activation domain1과 activation domain2는 NICD의 N-terminal domain과 직접 결합을 하며, Notch1의 활성을 저해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Runx2 단백질의 증가는 조골세포의 분화 동안 Notch의 downstream 타겟인 Hes1 과 Hes5의 발현을 감소 시켰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서 Runx2는 정상적인 조골세포의 분화 동안 Notch1 신호전달체계의 억제자라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Notch genes encode receptors for a signaling pathway that regulates cell growth and differentiation in various contexts, but the role of Notch signaling in osteogenesis is not well defined. Notch controls osteoblast differentiation by affecting Runx2, but the normal osteoblastic differentiation could occur in the presence of Notch. In our present study, I observed that down regulation of Notch signaling during osteoblastic differentiation. Alk6-induced Runx2 proteins reduced Notch1 activity to a marked degree. Accumulated Runx2 suppresses Notch1 transcriptional activity via the dissociation of the Notch1-IC-RBP-Jk complex. Using deletion mutants, I also determined that the Activation domain1(AD1) and activation domain2(AD2) of Runx2 was crucial to the binding and inhibition of N-terminus of the Notch intracellular domain. Notably, Up-regulation of Runx2 protein level parallels reduced expression of Hes1 and Hes5, which are downstream target of Notch, during osteoblast differentiation. Collectively, my data suggest that Runx2 is an inhibitor of the Notch1 signaling pathway during normal osteoblast differentiation.

      • 7次 敎育課程 日本語敎科書(I)分析 : 文化內容을 中心으로

        안은정 水原大學校 敎育大學院 2006 국내석사

        RANK : 248639

        科学技術と情報化の発展によって今の時代は激変している.また、国際交流も前に比べて活発になっている.そのため、世界の各国は理解と協力を通じて多様な情報を受容するようになった. 従って、7次教育課程では流暢性と正確さを高めるための様々な学習の経験と活動の極大化、教授法の重要性、個人の興味などを提示しながら、国際化に合わせて外国語の教育についての必要性を強調している.また、新しく文化の項目を導入し、各国の文化に対する幅広い理解を要求している. それて、本稿では高校の教科書Ⅰ(12種)の文化の内容を分析して、日本の文化を正しく理解することに役立ちたいと思っている. その研究方法としては「初級日本語教科書の文化語」で提示している素材を取って分類した.その結果、一番多く提示されていう素材は緒活動で全体の比率の中で53%を占めていることが分かった.次に生活様式、人間関係、自然‧地理、日本語‧日本文学の順番だった. すなわち、今の7次教育課程の文化の項目の内容が緒活動に偏重されていることが分かるようになった.日本の文化に対する理解が多様な素材にかけて学習者の興味を起こさず、文化教育に関する内容も年中行事などに偏っていることが分かった. 実際に学校で効率的な文化授業のためにはもっと多様な素材について関心をもつ必要があるし、文化を通じて日本人の実際の生活をより自然に理解できるように努力すべきことだ. 文法を重視した過去とは違って、国際化の流れに順応するためにはその国の言語習慣や社会‧文化的な背景までも理解すべきだと思う.また、両国の間の文化の差を認識してから、お互い文化を理解しようとする努力が必要だろう.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