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상담 분야의 근거이론 연구 동향분석 : 국내·외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2000~2015)

        양홍식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최근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상담 분야 근거이론 연구를 검토하여 상담연구에서 근거이론이 현재 어떤 흐름인지 이해하고 앞으로 상담 분야에서 근거이론의 방향성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0년∼2015년 국내외 상담 분야 학술지(상담 및 심리치료, 상담학연구, JCD, JCP, TCP)에 게재된 총 102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논문출처, 연구주제, 연구대상, 참여자 수, 자료수집방법, 인터뷰시간, 연구타당성 검증기준, 자료분석방식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도별 동향으로는 연도에 따라 국내는 2013년 이후, 국외는 2012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학술지별로는 국내에서는 상담학연구가 41편(70.7%) 국외는 JCP가 18편(40.9%)으로 가장 많았다. 둘째, 연구주제로는 성격특성 및 적응(국내 30편 50.8%, 국외 25편 56.5%)과 상담자 특성, 훈련 및 수퍼비전(국내 12편 22%, 국외 9편 20.5%)이 가장 많았다. 셋째, 연구대상은 국내·외 모두 상담자(국내 15편 25.9%, 국외 10편 22.7%)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연구방법 세부사항을 살펴보면, 참여자수는 국내 ‘7∼9명’(17편 29.3%), 국외 ‘17∼20명’(12편 27.3%)으로, 자료수집방법은 국내·외 모두 심층면접(국내 44편 75.9%, 국외 34편 77.4%)이, 인터뷰시간은 국내 ‘60∼90분’(20편 34.5%), 국외 ‘90∼150분’(20편 45.5%)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타당성평가 검증기준은 전문가 집단의 합의 및 검토(국내 51편 87.9%, 국외 39편 88.6%)가 가장 많았으며, 자료분석방식으로는 Strauss & Corbin 접근방식(국내 56편 96.6%, 국외 20편 45.5%)이 가장 사용빈도가 높았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상담 분야 근거이론 연구의 동향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앞으로 상담 분야에서 근거이론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이루어진 근거이론 동향분석이며, 국내·외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future direction of grounded theory on counseling field with understanding of the current trend by examining the ever-growing studies. This study analyzed 102 articles, published in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KJC),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KJCP),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JCD),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JCP), The Counseling Psychologist (TCP) for a 16-year period(2000∼2015), for 7 substantive content categories. The summary of the analysis result is as follows. First, both of Korean and U.S counseling studies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are on a rising trend since 2013. Especially, KJC(41 articles, 70.7%) and JCP(18 articles, 40.9%) had the highest number of articles respectively. Secondly,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adaptation’(30 Korean articles, 50.8%, 25 U.S articles, 56.5%) and ‘Counselor characteristics, training, and supervision’(12 Korean articles, 22%, 9 U.S articles, 20.5%) were the most studied research subjects. Thirdly, study shows that both of Korean and U.S study researched about ‘Counselor’(15 Korean articles, 25.9%, 10 U.S articles, 22.7%) the most as an object of study. To review the detail of methods, both of Korean and U.S study chose ‘In-depth interview’ most frequently(44 Korean articles, 75.9%, 34 U.S articles, 77.4%) as their method of data collection. On the other hand, study also shows that Korean study chose ‘7 to 9’(17 articles, 29.3%) number of participant and took ‘60 to 90 min’(20 articles, 34.5%) interview time most often, while U.S study did with ‘17 to 20’(12 articles, 27.3%) for ‘90 to 150 min’(20 articles, 45.5%). ‘Review and Agreement by expert group’(51 Korean articles, 87.9%, 39 U.S articles, 88.6%) was the most favored standard of the propriety evaluation research and ‘Strauss & Corbin style’(56 Korean articles, 96.6%, 20 U.S articles, 45.5%)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method of approach in both studie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and discussion, this study suggests the direction of grounded theory for consulting field. This article is significant in the sense that it is the nation’s first trend analysis of grounded theory and analyzes both Korean and U.S trend.

      • 진지한 여가활동으로서 댄스축제 참여경험 의미와 과정의 이해 : 근거이론을 기초하여

        임항아 세종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understanding tourism behavior and developing tourism resources in the future through exploratory research on the true meaning and formation process of the festival participation experience of Taiwan's M.I.T. which is one of the world's line dance festivals and the local festival Line Dance Queen Korea Summer Party for participants as a serious leisure. First, what extent does the festival motivation and festival process reflect the serious leisure characteristics? Second, what are the experiences from the festival and what do they mean to the persons who are on serious leisure? Some important points derived from this study were clearly identified to reflect the serious leisure characteristics of visitors to the M.I.T. Line Dance Festival and Line Dance Queen Korea Festival. First, monetary and physical patience and dedication for participation in the festival are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of serious leisure characteristics and second, form and strengthen the sense of achievement and belonging to self-care of career ownership through participation in the festival. Third, it was a continuous effort for knowledge and dance skills for participation in the festivals and fourth, a search for the costs and benefits associated with participation in festivals on serious leisure extension. Through this, he transforms himself into a different person who transcends everyday life as a bold self-expression of self-realization and inherent shame, and strives to maintain relationships for interaction and lasting partnership with the consensus-building group. Fifth, it can be said that the unique belief and value-sharing of the festival participants only makes them proud and sixth, it strengthens their sense of identity and belonging through selective partnership. Based on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 would like to propose the following for further study related to the promotion of tourism resource development and the festival. First, financial and physical patience and dedication to participate in the festival are the preparatory work of tourism for continued participation in the M.I.T. and Line Dance Queen Korea festivals, a personal investment that can be rewarded only by participating in the festival for serious leisure who want to participate in the festival and an activity that can be expected to maintain the festival's continued participation. The festival can also be said to be the result of their continuous serious leisure activities which they have been doing to participate in the festival as well as the creative idea of developing tourism resources. The infinite development potential and direction of intangible resources suitable for our country's tourism industry which lacks tangible tourism resources can be proposed. Second, the festival participants will be the final consumers and serve as promotional marketers in the space of the festival. Also, it will be promoted interactions among repeated visitors of similar goals and interests as a social space and eventually create a culture that will make them devote themselves to the festival and providing an opportunity for the festival itself to be self-sustaining and revitalized. It is clear that there is a necessity for further research to participate in the festival which is tourism behavior as a serious leisure in future research, and to understand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tourism resources. First, according to a methodological point of view, the observation of continuous tourism behavior is limited by the results measured by the quantitative method only. A qualitative approach to research should be used as a useful alternative to exploring and understanding the ongoing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festivals in greater detail, given the detailed circumstances of participants. Second, it seems that more psychological approaches to understanding tourism behavior and various leisure-related practical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more actively, which is a key factor of participation of festival visitors who participated as serious leisure. Third, the Line Dance Festival which was dealt with in this study, was a good theme for analyzing tourism behavior as a serious leisure, but it is true that the genre of dance itself was somewhat distant from the public. If various research is carried out on the subject of successful tourist attraction among serious leisure activities of a genre easily understood and accessible to the public, it will bring about real changes in the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festival tour programs in the future.

      • 시각장애인의 이동성과 공간인지에 대한 탐색적 연구: 근거이론과 심상지도를 중심으로

        김민정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2

        This study is based on the analysis of results of in-depth interviews of visually impaired individuals on mobility and spatial cognition, using grounded theory and mental mapping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cognitio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visually impaired individuals. This study also proposes means to improve mobility and the quality of life of visually impaired individuals. For this purpose, data collected from in-depth interviews using semi-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on the basis of grounded theory and mental mapp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ethods of open coding and axial coding of Strauss and Corbin’s approach to grounded theory were used to analyze the contents of the interviews on characteristics of movement and spatial cognition of visually impaired individuals. As a result of open coding, 35 concepts, 16 subcategories, and 8 upper categories were identified. Next, from axial coding, a model of related codes was developed, which consists of ‘visually impaired individuals’ desire of activity’ under “causal condition,” ‘societal views and system regarding the visually impaired’ under “contextual condition,” ‘the visually impaired’s difficulty to move’ under “key phenomenon,” ‘cohabitation of the visually impaired in common housing’ under “intervening condition,” ‘mobility training for the visually impaired’ and ‘the visually impaired’s efforts to walk and find a way’ under “action strategy,” and ‘the visually impaired’s walking method and spatial cognition’ under “consequence.” Next, the respondents were categorized as group A, B, and C according to the amount of mobility by ‘frequency of going out,’ ‘purpose of going out,’ ‘range of movement,’ and ‘method of transportation’ and were compared in accordance with the grounded theory model. Also, the respondents’ mental maps were analyzed on the basis of ‘spatial range,’ ‘accuracy of spatial information,’ and ‘variability of spatial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analyses, group A, which consisted of respondents with active movement, showed more awareness of spatial range and street networks and they mentioned various geographical elements of the paths they experienced. In contrast, group B, which consisted of respondents whose movements were centered around frequently visited areas, showed a wide range of spatial cognition and their awareness was centered around main roads, though not to the extent of those in group A. However, the spatial information presented on the mental map was less, compared to those in group A. Lastly, those in group C, which consisted of respondents who were not capable of walking around on their own, had the smallest range of spatial cognition and their spatial information was relatively simple as information on geographical elements was either passed on to them by others, or as they had acquired such information before losing their eyesight. Finally, this study proposes ways to promote mobility improvements based on the results of spatial cognition analysis and analysis of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 groups. First of all, for active visually impaired individuals who are able to walk around independently, the following improvements are necessary: the expansion of mobility training at schools for the blind, active implement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installation of facilities required for independent mobility, designation of where buses come to a stop for each bus rout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devices such as braille maps and smart watches. Secondly, for visually impaired individuals who are able to walk around independently but prefer guidance in doing so, the following improvements should be met: mobility training that encourages independent mobility, education for vocational rehabilitation, installation of facilities that promote independent mobility, development of recreational activities that help movement, and increase in assistance personnel at the subway. Thirdly, for visually impaired individuals who are only capable of walking around with guidance, the following improvements are necessary: systematic assistance of basic rehabilitation programs, providing facilities that help build physical strength, support in operating common housing, increase of the time of assistance provided by caregivers, and increase of taxis accessible to people with disabilitie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an be found in the fact that it suggested a qualitative approach using grounded theory and stressed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movement and spatial cognition among visually impaired individuals, unlike previous studies that do not consider different characteristics among visually impaired individuals and only try to resolve problems by correcting building structure or development in technology of assisting engineering organizations.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seek way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and movement of those who are visually impaired as these individuals are a minority, who have the greatest limitations in mobility. Key words: Spatial Cognition, Grounded Theory, Visually Impaired, Mental Mapping, Mobility 본 연구에서는 시각장애인을 대상으로 이동성과 공간인지에 관한 심층 인터뷰 결과를 근거이론과 심상지도로 분석하여, 시각장애인의 이동에 따른 공간 인지 특성을 이해하며, 나아가 시각장애인의 이동성과 삶의 질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반 구조화된 질문지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여 1차적 자료를 수집하였고, 근거이론(Grounded Theory)과 심상지도(mental map)를 이용해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시각장애인의 이동성과 공간인지 특성에 관한 인터뷰 내용을 Strauss와 Corbin의 근거이론 접근법의 개방코딩, 축코딩으로 살펴보고 근거이론 모형을 도출하였다. 개방코딩의 결과 35개의 개념과 16개의 하위범주, 그리고 8개의 상위범주를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축코딩을 통해 ‘시각장애인의 활동 욕구’라는 ‘인과적 조건,’ ‘사회적 시선과 제도’라는 ‘맥락적 조건,’ ‘이동의 어려움’이라는 ‘중심현상,’ ‘공동생활시설 거주’라는 ‘중재적 조건,’ ‘보행훈련’과 ‘보행과 길찾기를 원활하게 하기 위한 노력과 방법’이라는 ‘작용ㆍ상호작용 전략,’ ‘통행 방법’과 ‘공간 인지와 인식’이라는 ‘결과’로 모형화하였다. 다음으로, 응답자의 이동성 정도를 ‘외출 빈도,’ ‘외출 목적,’ ‘이동 범위,’ ‘교통수단’에 따라 구분하고 이를 그룹 A, B, C로 유형화하여 근거이론 모형을 기준으로 비교하였다. 이와 함께 ‘공간적 범위,’ ‘공간정보의 정확성,’ ‘공간정보의 다양성’을 기준으로 응답자의 심상지도를 분석하고, 그 차이점을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 이동성이 가장 활발한 그룹 A는 다른 응답자에 비해 넓은 공간 범위와 가로망을 인지하고 있었고 경험한 경로에 존재하는 지리적 요소를 다양하게 언급하였다. 이와 달리 자주 방문하는 장소를 위주로 이동하는 그룹 B는 그룹 A만큼은 아니지만 공간인지 범위가 넓었고 간선 도로망을 중심으로 인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심상지도에 묘사한 공간정보는 그룹 A에 비해 적었다. 마지막으로 독립보행이 불가능한 그룹 C는 공간인지 범위가 가장 좁았고 인지하고 있는 지리적 요소가 타인에 의해 전해 듣거나, 시력을 잃기 전에 습득한 것이었기 때문에 공간정보가 상대적으로 단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응답자 그룹별 특성과 공간인지 분석 결과를 토대로 보행 및 이동성 증진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적극적이고, 독립보행이 가능한 시각장애인을 위해서는 맹학교에서의 보행훈련 확대, 정보화 교육의 적극적인 실시, 독립보행 시 필요한 편의시설의 설치, 버스 노선별 정차 위치 지정, 점자지도, 스마트워치 등의 기기 및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독립보행이 가능하지만 안내보행을 선호하는 시각장애인의 경우에는 독립보행을 장려하는 보행훈련의 제공, 직업재활교육, 독립보행을 위한 편의시설 설치, 이동을 촉진하는 여가활동 프로그램의 개발, 지하철 내 안내요원의 인원 충원이 필요하다. 셋째, 안내보행만이 가능한 시각장애인을 위해서는 기초재활프로그램의 체계적 지원, 체력 증진을 위한 시설 구비, 공동생활시설의 운영 지원, 재가 시각장애인을 위한 활동보조인 이용 시간의 확대, 장애인 콜택시의 증차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의의는 시각장애인 개개인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보행 및 건축 설계상의 문제 해결이나 보조 공학기구 개발 등을 위한 기술만을 제시하는 기존 연구와 달리 질적 연구방법인 근거이론 접근법을 적용하여 개별 시각장애인의 이동성과 공간인지의 차이가 있음을 제시하였다는 데 있다. 주제어: 공간인지, 근거이론, 시각장애인, 심상지도, 이동성

      • 상담심리학의 질적 연구를 위한 현상학적 근거이론의 개발과 적용

        이종주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702

        This study i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and applying phenomenological grounded theory as a new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suitable for counseling psychology.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wo major research questions are presented. First, according to what philosophical paradigms, procedures, and techniques is phenomenological grounded theory as an integrated qualitative methodology suitable for counseling psychology developed and how is this new methodology differentiated from existing phenomenology and grounded theory? Second, when applying the newly developed phenomenological grounded theory to qualitative research of inferiority feeling, what is the theoretical model that enable us to understand the structure and process of college students' inferiority experience, and what is the methodological differentiation of phenomenological grounded theory? To answer the first research question, Research 1 goes through three procedures to develop phenomenological grounded theory. First, by reviewing the history of arguments surrounding the philosophical paradigm, procedures, and techniques of phenomenology and grounded theory, focusing on the main creators and successors of phenomenology and grounded theory, the methodological convergences of phenomenology and grounded theory are confirmed as follows. First, the development of theoretical sensitivity through the reflective use of researchers' prior understanding. Second, hermeneutic cycle in data collection, analysis. Third, combination between continuous comparison in coding and essential intuition in semantic analysis. Fourth, combination between derivation of critical category in selective coding for constructing theory as the goal of grounded theory and general structural description, comprehensive description, and typicality in phenomenology. Fifth, the pursuit of intersubjective validity in the evaluation of research results. Second, 32 grounded theory-based qualitative studies and 53 phenomenology-based qualitative studies published in the two leading journals of Counseling Research and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in Korea for five years from 2016 to 2020, respectively, are analyzed in ten aspects. Through this analysis, convergences are confirmed as follows. First, research themes. Second, research objectives. Second, hermeneutic cycle or a circular method of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rather than an inductive method adopted in most papers. Third, the approach of axis coding of grounded theory that shows the general structure and process of experiences or behaviors of all of participants, and then categorizes structure and process of each participant through process analysis converges with that of Giorgi's each participant's situational structural description and general structural description of all of participants expect except for order. Fourth, selection of participants. Fifth, credibility adopted as common criteria for validating research results To answer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Research 2 conducts a qualitative study on the inferiority experience of college students by applying the philosophical paradigm, procedures, and techniques of the newly developed phenomenological grounded theory. To this end, five college students who are worried about inferiority a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through situational structural descriptions and general structural description of all participants, the developmental origin of inferiority experiences, socio-psychological context, the essential aspects of the experience, and the future outlook for overcoming inferiority are revealed. Finally, phenomenological grounded theory-based qualitative research on inferiority experience reveals problems in actual use of existing grounded theory and phenomenology, and shows the way of overcoming these problems. 본 연구1에서는 상담심리학의 질적 연구 방법론으로서 현상학적 근거이론의 개발을 목표로 한다. 첫째, 통합적 방법론 개발을 위한 이론적 근거규명 단계로서 현상학과 근거이론이 이론적으로 상호 친화성을 갖고 있다는 점을 밝히고자 한다. 질적 연구 방법론으로서 근거이론과 현상학은 19세기 말 이후 논리 실증주의 방법론에 대한 철학적 비판과 경험 과학적 반성의 산물로 등장했다는 점에서 연구절차나 기법뿐만 아니라 철학적 패러다임에서 두 방법론은 많은 수렴점을 갖고 있다. 더욱이 2000년대 이후 근거이론과 현상학은 최초의 개발자들뿐만 아니라 그 계승자들 사이에서 분화가 일어나고 서로간의 생산적인 논쟁이 있어왔는데 그 논쟁의 핵심은 바로 방법론의 정체성과 관련된 철학적 패러다임에 대한 논쟁이라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두 방법론의 등장과 각 진영 내에서 분화와 변화를 둘러싼 논쟁들에 대한 분석을 통해 두 방법론의 철학적, 절차적 그리고 기법적 측면에서 수렴되고 분산되는 면을 정리함으로써 두 방법론의 통합을 위한 이론적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둘째, 통합적 방법론 개발의 실제적 근거제시 단계로서 근거이론과 현상학 각각의 등장, 분화와 변화에서 나타난 수렴점들을 평정절차로 삼아서 국내 상담분야에서 이와 같은 근거이론과 현상학의 철학적 패러다임, 절차 그리고 기법의 이해 및 활용경향에 대한 비판적 분석이 필요하다. 먼저 기존 상담분야에서 질적 연구의 동향에 대한 연구에서 활용된 평정절차 - 출처, 출판년도, 연구주제와 대상, 연구방법, 타당도 검증 등 - 는 근거이론과 현상학의 활용경향을 드러내는 데는 적합하지 않다. 왜냐하면 이와 같은 평정절차는 근거이론과 현상학뿐만 아니라 질적 연구 일반의 활용 동향에 대한 중립적 분석에 적절할 뿐, 두 방법론 고유의 전제와 절차와 기법 및 각 진영 내에서 창안자와 계승자들 간의 논쟁을 통한 방법론의 분화와 변화에 대한 연구자들의 이해와 활용에서 나타난 경향과 문제점을 밝히는 데는 불필요한 것도 있고 또한 불충분하기 때문이다. 둘째, 동향연구라면 기간을 길게 잡을 수도 있겠지만, 본 연구는 최근 방법론의 분화와 변화에 대한 연구자들의 이해 및 활용경향에 대한 비판적 분석이기에 2016년부터 2020년까지 최근 5년 동안으로 기간을 한정했다. 셋째, 국내 상담분야에서 근거이론과 현상학을 활용한 질적 연구 논문들의 출처를 상담분야의 두 학술지인 『상담학연구』와 『상담 및 심리치료』로 한정한 까닭은 두 학술지가 국내 상담분야의 대표적인 양대 학회의 학술지로서 상담분야의 타 학술지에 비해서 심사자의 권위와 심사기준의 엄격함을 유지하고 있기에 두 학술지에 게재된 근거이론과 현상학 활용 질적 연구논문들에 대한 분석은 곧바로 상담분야의 연구자들의 두 방법론에 대한 이해와 활용경향의 가늠자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세 번째 통합적 방법론 모델 제시단계로서 현상학적 근거이론의 철학적 패러다임, 절차와 기법 및 연구과정에 대한 모형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먼저 현상학적 근거이론의 철학적 패러다임으로서 Dilthey의 해석학의 원리인 체험-표현-이해의 공식을 기반으로 Husserl, Sartre, Merleau -Ponty의 현상학, Heidegger, Gadamer, Ricoeur의 해석학 그리고 Dewey, Mead의 프래그머티즘 및 상징적 상호작용주의의 통합 가능성을 논할 것이다. 둘째, 연구 전반에 걸쳐 판단중지와 현상학적 환원을 통한 이론적 민감성 개발을 논할 것이다. 셋째, 이론적 민감성 개발을 통해 드러나는 연구자의 선이해가 연구주제, 문제설정, 자료수집, 자료분석, 연구결과 평가의 과정에서 어떤 해석학적 순환의 단계를 밟아야 하는지에 대해 논할 것이다. 넷째, 자료분석에서 근거이론 기법으로서 개방코딩을 위한 지속적 비교분석과 현상학의 기법으로서 지향성과 행위의 합목적성 분석의 기법을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다섯째, 근거이론의 기법으로서 이론구성을 위한 축코딩과 선택코딩의 기법과 현상학의 상황 구조적 기술과 일반 구조적 기술의 통합 가능성을 설명할 것이다. 여섯째, 연구결과의 평가의 방식으로서 상황 구조적 기술을 연구 참여자와 공유하면서 소통을 통해 피드백을 받고, 일반 구조적 기술을 완성한 연후에 연구 전반에 대해서 동료 연구자나 전문가와 소통을 통해 상호 주관적 타당성 확보를 해나가는 지평융합의 원리를 제안할 것이다. 일곱 번째 연구 전반에 걸쳐 현상학적 근거이론의 수행과정에 대한 모형을 제시한다. 연구2는 상담심리학의 질적 연구 방법론으로서 현상학적 근거이론의 적용을 위해 대학생의 열등감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상담 심리학의 고유한 질적 방법론으로서 새롭게 개발된 현상학적 근거이론을 적용할 때 대학생의 열등감 경험의 구조와 과정을 이해할 수 있는 이론적 모형을 제시하고, 이때 현상학적 근거이론의 방법론적 차별성을 부각시키고자 한다.

      • 건강증진과 도시적 맥락에서 노인 걷기의 개념화

        김동하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702

        고령사회에 진입한 한국 사회에서 도시 노인의 건강과 삶의 질에 대한 위기 신호가 복합적으로 나타나고 있어 이론과 근거에 기반한 보건정책의 수립과 집행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세계보건기구에서는 도시화와 고령화로 발생하는 인구집단의 건강문제를 대응하기 위한 개념적 패러다임으로 활동적 노화를 제시하였고, 활동적 노화를 실현할 수 있는 핵심전략으로 노인의 걷기실천을 주목하고 있다. 하지만 한국 도시 노인의 걷기실천율은 감소하고 있고, 노인 걷기를 증진하기 위한 도시정책과 사업은 보건, 복지, 도시계획, 교통 등 여러 분야에서 분절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노인 걷기를 설명하는 선행이론은 교통, 도시계획, 체육 분야에서 걷기를 종속변수로 두고 측정가능한 물리적 환경변수, 생물학적 변수에만 초점을 맞춰 제한적으로 논의되어왔고, 지역의 환경적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탈맥락적으로 변수를 차용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도시 노인의 걷기실천 경험에 주목하여 건강증진과 도시적 맥락에서 노인 걷기에 대한 이해를 개념화하였다.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한국의 대표적인 압축도시이자 보행친화도시를 추구하는 서울에서 걷기 좋은 환경을 갖춘 일개 지역사회이고, 내용적 범위는 노인의 걷기실천 경험이다. 연구설계는 근거이론방법의 연구절차를 질적, 양적 연구방법을 혼합해서 수행하는 혼합연구적 근거이론방법을 적용하였고, 연구자의 인식론적 관점은 비판적 실재론에 기반하였다. 연구의 전반부에서는 현장조사에 필요한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주제범위 문헌고찰, 연령-기간-코호트 분석, 공간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제범위 문헌고찰을 통해 국내 선행연구에서 다뤄진 도시 노인의 걷기특성, 노인 걷기와 관련된 도시환경 요인, 주관적 환경인식에 대한 결과를 정리하여 조사질문 개발 및 자료수집 기준의 근거로 활용하였다. 연령-기간-코호트 분석은 서울 노인의 걷기실천 경향이 연령, 기간, 코호트에 따라 이질적인 차이를 보이는 지점을 구별해내었고, 이를 연구 참여자의 선정기준으로 활용하였다. 공간통계분석을 통해 노인 걷기실천율이 높고, 노인 걷기 친화적인 환경이 공간적으로 집중한 지역을 통계적으로 검증하였고, 이를 근거로 서울시 송파구 A동을 연구대상 지역으로 선정하였다. 연구의 후반부인 현장자료 수집은 연구대상 지역에 거주하는 걷기를 실천하고 있는 노인을 대상으로 시작하였고, 이론적 포화에 도달할 때까지 표본이 확장되었다. 최종적으로 지역사회 노인 38인, 노인 걷기와 관련된 지역사회 이해관계자 5인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자료수집은 2020년 7월부터 12월 중에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예방에 대한 사회적 거리두기 1단계인 생활방역 기간에만 조사하였다. 조사방법은 설명적 조사방법인 심층면담과 공간적 조사방법인 현장관찰조사, 모바일 GPS, 가속도계 측정을 결합한 다중 질적 조사방법을 적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근거이론연구방법의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적 코딩을 통해 분석하였고, 설명적 자료와 공간적 자료는 축코딩 과정에서 통합하여 분석하였다. 개방코딩 결과로서 125개의 개념, 65개의 하위범주, 27개의 상위범주가 도출되었고, 이는 축코딩의 코딩 패러다임 구조에 맞춰 재구성되었다. 도시 노인의 걷기실천 경험에 나타난 중심현상은 ‘건강한 노인으로서 주체성’, ‘이동의 자율성’, 그리고 ‘걷기 목적에 따른 걷기실천 경험의 입체성’으로 나타났다. 걷기 중심의 일상생활을 형성하게 된 인과적 조건은 ‘노년기 이후 일상생활 패턴의 변화’, ‘건강관리에 대한 높아진 관심과 낮아진 신체적 자기효능감’, ‘걷기의 효용성과 가치에 대한 주관적 인지 강화’였다. 걷기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맥락적 조건은 ‘젠더적 맥락’, ‘도시기반시설의 물리적 특성’, ‘노인 정주성이 높은 동네의 문화’, ‘일상생활을 지원하는 지역사회 서비스’였다. 걷기실천 경험의 빈도와 강도를 변화시키는 중재조건은 ‘걷기 생활권 내 다양하고 밀집된 환경의 조성 여부’, ‘교통약자를 배려한 공공디자인의 적용 여부’, ‘공동체 정체성의 형성 여부’, ‘지역사회 서비스 전달체계의 작동 여부’였다. 걷기실천을 통한 노인과 환경의 상호작용은 ‘일정한 공간과 동선에서 만들어지는 자연스러운 사회적 교류’, ‘지역사회 환경에 대한 적응’, ‘걷기와 관련된 주관적 환경인식 형성’, ‘노인 지역사회 네트워크 형성과 유지’였다. 마지막으로 노인 걷기실천의 결과로서 건강증진은 ‘독립적이고 건강한 존재로서의 자아존중감 강화’, ‘활동적 생활양식의 강화’, ‘지역사회 장소성과 공동체 역량 강화’, ‘비공식적 노인 돌봄의 작동’이었다. 선택적 코딩을 통해 코딩 패러다임에서 등장한 개념적 영역과 요소를 개인 차원과 지역사회 차원으로 구분하고, 노인의 걷기가 실천으로 이어지는 과정, 걷기실천을 통해 나타나는 노인과 환경의 상호작용, 노인 걷기실천의 건강증진 효과로 구조화하여 개념적 틀을 도출하였다. 이로써 노인의 걷기실천이 행위 그 자체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도시적 맥락 속에서 노인과 환경의 상호작용을 촉진하여 다차원 건강증진 결과로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설명하였다. 본 연구에서 귀납적으로 도출한 개념적 틀은 도시 노인의 일상생활 속 걷기실천 경험을 구성하는 개념적 요소와 상황맥락을 건강증진의 관점에서 체계적으로 구조화했다는 점에서 이론적 의의가 있고, 향후 다른 도시환경 맥락에 노출된 노인의 걷기실천 정보가 보강되면 공식이론으로 발전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적용한 다중 질적 조사방법은 설명적 자료와 공간적 자료의 삼각검증을 통해 귀납적으로 도출한 이론의 신뢰성을 향상하고, 연구주제의 개념적 틀과 분석의 확장에 기여하는 다학제적 연구방법으로서 활용 가능성이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활력있는 고령친화도시와 노인 신체활동 친화적인 건강도시 모형의 이론적 근거로 활용될 수 있고, 한국형 신체활동 가이드라인과 노인 걷기실천을 모니터링하는 지표의 개선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보건정책적 함의가 있다. Background Evidence-based health policies are required to solve the crisis in the health and quality of life of urban older adults, which has emerged in the aged society in Korea.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has proposed ‘active ageing’ as a conceptual paradigm to cope with health problems caused by urbanization and aging and has emphasized the promotion of walking for older adults as a key strategy to realize active ageing. However, the prevalence of walking among the urban older adults in Korea is decreasing, and pedestrian-friendly policies are segmented across these various areas such as public health, social welfare, urban planning, and transportation without theoretical grounds. Furthermore, precedent theories describing the walking behavior of older adults have been developed mainly in the field of transportation and urban planning, focusing on physical environmental variables, and adopting variables de-contextually. This study aimed at developing a conceptual framework for walking of older adults in the context of health promotion and an urban setting as in preparation for the entry into a super-aged society in Korea. Methods The scope of this study was the experience of walking practice among older adults who live in Seoul, a pedestrian-friendly city in Korea. The research design applied mixed methods in grounded theory. The epistemological perspective of this study was based on critical realism, and the researcher actively combined suitable research methods to solve research questions from a pragmatic perspective. In the literature review phase, a scoping review of Korean studies on walking and the health of urban older adults was conducted. The evidence extracted from the review included the study characteristics, the walking characteristics of urban older adults, and the objective and perceived environment for walking of urban older adults. In the theoretical sampling phase, age-period-cohort (APC) analysis and exploratory spatial data analysis (ESDA) were conducted using the prevalence of walking among older adults in Seoul reported in the Korea Community Health Survey (KCHS). Results from APC and ESDA were used as criteria for selecting research participants and a study site. Field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in A-dong, Songpa-gu, Seoul. Theoretical sampling continued until theoretical saturation was reached, with a total of 38 older adults and five community stakeholders were involved. Data were collected only at the first stage of social distancing between July 2020 and December 2020. The research methods were applied with qualitative multi-methods that combine descriptive methods (in-depth interviews) and spatial methods (field observation, mobile GPS tracking, and accelerometer measurement).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open coding, axial coding, and selective coding, while text information and non-text information were integrated during axial coding. Results The open coding resulted in 125 concepts, 65 subcategories, and 27 categories, which were reconstructed according to the coding paradigm structure for axial coding. The phenomenon through the experience of daily walking of urban older adults was “subjectivity as a healthy older adult”, “autonomy of movement”, and “multi-faceted walking experience according to the purpose of walking”. The causal conditions were "changing in daily life patterns since old age", "increasing interest in health and reduced physical self-efficacy", and "enhancing perceived awareness of the utility and value of walking". The contexts were "gender rol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urban infrastructure", "community culture with high settlement characteristics for the older adults", and "community services that support the daily life of older adults". The intervening strategies were "creation of diverse and dense environments in a walkable neighborhood", "application of public design with consideration for the mobility handicapped", "building a community identity", and "operation of the community service delivery system". The interaction strategies were "creating natural social exchanges in a certain space", "adapting to the community environment", "forming perceived urban environment related to walking of older adults", and "forming and maintaining social networks among older adults in the community". The consequences were "enhancing self-esteem and active lifestyles", "enhancing a sense of place and community capacity", and "operating of informal elderly care". A conceptual framework was derived to explain the walking of older adults in the context of health promotion and an urban setting through selective coding. This conceptual framework explains that walking practice can be linked to multidimensional health promotion by facilitating interactions between older adults and the environment in an urban context. Conclusions This study has a theoretical significance that structures the multidimensional factors and contexts that constitute the walking experience of urban older adult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older adults. Furthermore, qualitative multi-methods can improve the reliability of a theory by triangulation and contribute to the expansion of the conceptual framework and analysis of research, which can be utilized as multidisciplinary research methods. The health policy implications are that the findings provide the rationale for age-friendly cities and healthy cities model, and the knowledge needed to improve Korean physical activity guidelines and indicators for monitoring walking practice of older adults.

      • 은둔형 외톨이의 은둔 과정에 대한 근거이론 연구

        이재영 극동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701

        본 연구는 질적연구의 한 갈래인 근거이론 방법론을 통하여 은둔형 외톨이 현상의 중심 현상을 발견하고 맥락적 과정을 밝혀, 은둔형 외톨이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연구 참여자들의 경험을 심층 면담하여 은둔형 외톨이 현상을 Strauss와 Corbin(1998)이 제안하는 근거이론 방법론에 근거하여 원인적 조건, 맥락적 조건, 중재적 조건의 축으로 분석하였으며, 연구 참여자의 경험이 보고하는 은둔형 외톨이의 중심 현상과 은둔의 과정을 근거이론의 패러다임 모형으로 구현하고자 하였다. 자료의 수집은 2022년 10월부터 2022년 12월까지 진행되었고, 이후 연구 텍스트를 작성하는 가운데 추가적인 면담은 2023년 1월부터 2023년 2월까지 진행되었다. 면담 횟수는 최소 1회부터 8회까지 연구 참여자들의 상황과 면담 내용을 고려하여 진행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trauss와Corbin(1998)이 제안하는 근거이론 방법론의 줄기에서 Corbin(2019)이 더욱 체계화한 근거이론 분석의 절차에 따라 수행되었다.본 연구의 연구 문제와 그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은둔형 외톨이의 원인적 조건, 맥락적 조건, 중재적 조건은 무엇인가?, 둘째.은둔형 외톨이의 중심 현상은 무엇인가?, 셋째. 은둔형 외톨이는 은둔의 과정은 어떠한가? 이다. 연구의 결과 기본적인 개념화의 틀에서 31개의 원천개념과 18개의 상위범주가 도출되었으며, 이론적인 개념화의 틀을 통 해 원인적, 맥락적, 중재적, 조건과 중심 현상이 도출되었다. 원인적 조건은 외상 사건, 사회문화적 조건, 생물학적 취약성, 정서적 불안정성으로 나타났고, 맥락적 조건은 환경적 불안정성, 개인적 불안정성으로 나타났으며, 중재적 조건은 조심성 많은 기질, 무관심한 성격으로 분석되었다. 은둔형 외톨이의 중심 현상은 은둔, 회복, 역설적 자유로 밝혀지어 이를 바탕으로 은둔형 외톨이의 은둔 과정에 대한 이론적 패러다임 모형이 도출되었다. 은둔형 외톨이에 대한 근거이론 연구를 통하여 그동안 드러나지 아니하 였던 은둔형 외톨이에 대한 중심 현상과 맥락적 과정에 대한 이론적 틀을 제안함으로 상담학적 접근에서의 토대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할

      • 디지털 멀티플랫폼 환경과 기술 길들이기로서의 사용자 스윙 행위 분석 : 중국 청년 사용자에 대한 근거이론적 접근

        LI GE 부경대학교 2023 국내박사

        RANK : 248700

        With the development of digital media technology and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digital platforms have also developed rapidly and their types are becoming more and more diverse. In the current media environment, digital platforms have dramatically changed all aspects of personal and organizational life and have become a necessity in our lives. Given the increasing complexity of the correlation between digital platforms, how do users understand the correlation between different digital platforms in the face of numerous choices? How do users configure digital multi-platforms? Therefore, this study takes these research questions and identifies their understanding and control of multiple platforms through swinging behaviors in today's platform ecosystem from a user-centered perspective rather than a platform provider-centered perspective in a holistic manner. This study was designed using a procedural grounded theory research approach. Deep interviews (N=53) and online participant observation (N=6) methods were implemented in order to collect qualitative grounded data. After collecting the grounded data, two stages of open coding and theory integration in procedural grounded theory were used to analyze the swing process of digital multi-platform users. The study focused on "user's swinging behavior" and theoretically explored what are the reasons (conditions) behind this phenomenon and what are the results of this phenomenon. As a result, the swinging actors have indicated that by ʻtaming technologyʼ, they constitute a set of platforms suitable for themselves in a digital multi-platform environment. As a result, ʻthe broad social changes induced by technology must also be linked to the process of technological domestication of humansʼ suggests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First, it reflects the changes in the platform environment, ensuring the scope of the platform situation and platform characteristics, and illustrates the basic vein of the integrated digital multi-platform environment that constitutes the swinging behavior in the context of the user's multi-platform usage type. Second, in the theoretical coding procedure, 15 specific characteristics behind the user swing phenomenon were derived based on the causal structure and the structure-behavior framework. The 15 characteristics are: 1) environmental factors(① platform status, ② platform characteristics), 2) positive interaction factors (③ multi-channel utilization, ④ combination of information, ⑤ combination of functions, ⑥ follow up, ⑦ advertising avoidance, ⑧ accidental expansion, ⑨ customized utilization, 3) negative interaction factors (⑩ time cost, ⑪ personal information leakage), 4) positive interaction factors(⑫ utilization motivation, ⑬ multi-channel utilization efficacy, ⑭ self-expression, ⑮ relationship management). Third, the above characteristics were integrated into intrinsic and external characteristics, and an exploratory theoretical model of swing behavior was derived. That is, users' swing behavior can be said to be a combination of intrinsic characteristics(usage motivation, multi-channel usage efficacy, self-expression, relationship management, following up, ad avoidance, thought expansion, customized utilization) and external characteristics (platform status, platform characteristics, multi-channel usage, information combination, function combination, time cost, personal information leakage), and each user has different patterns. In short, in a digital multi-platform environment, the act of swinging as a "taming technology" can be described as "a strategy in which users explore and control the composition of each platform in a personalized collection of platforms". 디지털 미디어 기술과 인공지능 기술의 발달로 디지털 플랫폼 역시 빠르게 발전하고 그 유형이 점점 다양해지고 있다. 현재의 미디어 환경에서 디지털 플랫폼은 개인과 조직 생활의 모든 측면을 크게 변화시켰고 우리 삶의 필수품이 되고 있다. 디지털 플랫폼 간의 연관성이 더욱 복잡해지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수많은 선택에 직면하여 사용자들은 어떻게 상이한 디지털 플랫폼 간의 연관성을 이해하는가? 사용자들은 디지털 멀티플랫폼을 어떻게 구성하는가?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 문제에 출발하여 오늘날의 플랫폼 생태계에서 플랫폼 공급자 중심 시각이 아닌 사용자 중심의 시각으로 접근하여, 그들이 스윙 행위를 통해 다중 플랫폼을 포괄적으로 이해하고 제어하는 것을 확인하고자 했다. 본 연구는 절차화된 근거이론 연구방법으로 설계되었다. 질적 근거자료수집을 위해 심층 인터뷰(N=53)와 온라인 참여 관찰(N=6) 방법을 실시했다. 근거자료수집 이후에는 디지털 멀티플랫폼 이용 사용자들의 스윙 과정을 분석하기 위해, 절차화된 근거이론에서의 개방적 코딩과 이론적 통합의 2단계를 적용했다. 본 연구에서는 ʻ사용자의 스윙 행위ʼ를 중심의 주제로 삼고, 이러한 현상의 이면에 있는 원인(조건)이 무엇인지, 또 해당 현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결과가 무엇인지를 이론적으로 탐색했다. 그 결과, 스윙 행위자는 ʻ기술 길들이기ʼ를 통해 디지털 멀티플랫폼 환경에서 자신에게 적합한 플랫폼 집합을 구성한다는 것을 밝혔다. 이를 통해 ʻ기술로 인한 광범위한 사회적 변화도 인간의 기술 길들이기 과정과 반드시 결부시켜야 한다ʼ제언했다. 이러한 이론적 함의를 보다 상세히 서술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플랫폼 환경변화를 반영해 플랫폼의 상황과 플랫폼의 특성으로 범주를 확보하고, 사용자의 멀티플랫폼 이용유형을 결합해 스윙 행위를 구성하는 기본적 맥락-종합 디지털 멀티플랫폼 환경을 설명했다. 둘째, 이론적 코딩 절차에서 인과관계적 구조와 구조-행위적 틀에 입각하여 사용자의 스윙 현상 이면에 있는 구체적인 15개의 특성을 도출하였다. 15개의 특성은 ⅰ) 환경 요인(①플랫폼 상황, ②플랫폼 특성), ⅱ) 긍정적 상호작용 요인⊕(③멀티채널 이용,④정보의 조합, ⑤기능의 접합, ⑥상호 추종, ⑦광고 회피, ⑧사고 확장, ⑨맞춤형 이용, ⅲ) 부정적 상호작용 요인(⑩시간 비용, ⑪개인 정보유출), ⅳ) ⑫이용 동기, ⑬멀티채널 이용 효능감, ⑭자기표현, ⑮관계 관리 등이였다. 셋째, 이상의 특성들을 내재적 특성과 외부적 특성으로 통합시키고 스윙 행위에 대한 탐색적 이론화 모델을 도출하였다. 즉, 사용자의 스윙 행위는 내재적 특성(이용 동기, 멀티채널 이용 효능감, 자기표현, 관계 관리, 상호 추종, 광고 회피, 사고 확장, 맞춤형 이용) 및 외부적 특성(플랫폼 상황, 플랫폼 특성, 멀티채널 이용, 정보의 조합, 기능의 접합, 시간 비용, 개인 정보유출)의 결합이라고 할 수 있으며, 사용자마다 그 형태는 달리 나타난다. 결론적으로 디지털 멀티플랫폼 환경에서 ʻ기술 길들이기ʼ로서의 스윙 행위는 ʻ사용자가 개인화된 플랫폼 집합에서 각 플랫폼을 탐색하고 제어하는 구성 전략ʼ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곧 사용자들이 스윙 과정에서 다중 플랫폼을 창조적으로 활용하는 기술 길들이기가 충분히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 전시박람회 위기유형과 위기대응 전략 및 과정에 관한 연구 : 근거이론을 중심으로.

        김수환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0

        전시박람회는 지식기반형 서비스산업이자 상품매매 및 정보 교류를 넘어 관광, 정보, 교통, IT 등 분야에 다양한 파급효과를 줄 수 있는 고부가가치 산업으로서 정부는 2009년 이후 전시산업을 포함한 MICE(Meeting, Incentives, Convention, Exhibition)산업을 신 성장 동력산업으로 지정하여 국내 전시산업의 육성과 더불어 국내기업의 해외전시참가 및 유치에 대한 지원을 아낌없이 지원하고 있다. 다양한 전시참가자와 방문객이 참여하고 제품과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하는 전시박람회의 한정된 공간 특성상 많은 위기들이 존재할 수 있으며, 전시주최자 역시 전시 운영에 따라 재정 및 자원관리 등 많은 단계에서 위기의 순간을 맞을 수 있음에 따라 효과적이고 전략적인 위기관리 개념의 도입은 어떠한 산업보다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전시박람회 위기관리를 단순히 설문을 통해 발생 가능한 위기요인을 도출하는 정량적 연구로는 한계가 있다고 판단하여, 기존의 연구에서 나타난 이론과 분석의 틀, 특히 전시박람회 주최자를 대상으로 전시박람회에 대한 위기관리 과정과 대응전략방안을 심층적이고 명확하게 설명하고자 본 연구는 질적 연구방법을 채택하였으며, 심층면담을 통해 전시주최자들의 위기관리 인식과정 속에서 이루어지는 심층적인 현상을 규명하고자 인간행동의 상호작용 과정을 규명하는 근거이론(grounded theory) 연구방법을 채택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생하고자 본 연구에서 세 가지의 구체적인 연구 질문(Research Question)을 가진다. 하나. 전시주최자의 전시박람회 진행(개최 전, 개최 중, 개최 후)시 다양한 위기유형들이 어떠한 상황과 과정을 통해서 발생할 수 있는가? 둘. 전시박람회에서 발생된 위험요인들은 어떠한 과정과 전략을 통해서 해결될 수 있는가? 셋. 경험한 위기요소에 근거하여 효과적인 위기관리를 위해 전시주최자들은 행사 후 어떠한 대비전략이나 대응전략을 수립하는가? 연구대상은 한국관광공사에서 제시하는 전시산업발전법에 의한 전시회 기준에 의거 국제규모의 무역전시회, 소비자전시회, 혼합전시회를 한국전시산업진흥회에 소속된 회원사를 대상으로 첫 번째 면담자를 선발하여 추천형식을 통해 12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실시하였다. 근거이론의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 단계를 거쳐 범주가 도출될 때까지 심층면담을 통해 근거자료들을 확보한 결과, 인과적 조건에서 21개의 개념과 13개의 범주로 구성된 3개의 범주로 도출되었으며, 맥락적 조건은 4개의 개념과 3개의 하위범주를 통해 1개의 범주가, 중재적 조건에서 16개의 개념과 6개의 하위범주를 통하여 1개의 범주를 도출하였고, 대응적(상호작용)조건에서 32개의 개념과 17개의 하위범주로 3개의 범주가 도출되었으며 범주를 도출하여 총 73개의 개념과 39개의 하위범주, 그리고 8개의 범주를 발견할 수 있었다. 전시박람회 개최 과정에서 위기를 발생시키는 조건에 해당하는 인과적 조건의 경우 전시 개최 전, 개최 중, 그리고 개최 후의 환경에 따라 각기 다른 유형의 위기가 발생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전시 개최 전의 경우 부스문제, 섭외문제, 참가비 문제, 행시기간 문제, 이미지 문제, 기획과정 문제의 하위범주가, 전시 개최 중의 경우 기획과정에서의 위기상황보다 전시장 문제, 집단적 시위와 자연재해 하위범주가, 그리고 전시 개최 후 금전적 문제와 행사 이미지 문제, 그리고 외부적 문제로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맥락적 조건에서 인과적 조건을 더욱 극대화시키는 외부적 영향에 따른 경제적 영향, 사회적 영향, 그리고 환경적 영향으로 하위범주가 도출되었고, 중재적 조건에서 기획요소의 범주아래 관계, 마인드, 매뉴얼 관리, 인적관리, 홍보, 목표관리의 하위범주가 근거이론을 통해 도출될 수 있었다. 대응적(상호작용)조건에서 전시 개최 전 위기관리 과정은 부스, 섭외, 참가비, 외부역량, 전시테마, 교육, 매뉴얼이라는 하위범주를, 전시 개최 중 위기관리에서 전시장, 참가업체, 협력사협조, 매뉴얼, 교육, 인명피해로 범주가 도출되었으며, 전시 개최 후 위기관리에서 금전, 보고, 홍보, 교육의 하위범주를 발견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 전시주최자 입장에서 전시회 운영을 일반경영 과정과 동일하게 종합적인 관점으로 인지하고 있었으며, 운영하는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하는 순간을 바로 위기의 순간으로 판단하고 있기 때문에 위기 발생의 최소화를 목표로 전시박람회를 기획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지난 과거부터 현재까지 전문전시기획가들이 위기관리를 전시박람회의 핵심요소로 판단하기보다 부과적인 요소로 생각하는 경우가 많았으나 본 연구 심층면담 결과, 전시박람회 산업 역시 위기관리의 중요성과 체계적인 위기관리 매뉴얼 도입이 시급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시박람회의 위기관리에 대한 연구가 드문 한계점을 보완하고자 상황을 파악하는 질적 연구방법인 근거이론을 활용하였고, 향후 연구에서 본 연구를 기점으로 다양한 전시박람회를 선발하여 양적 연구방법, 또는 혼합 연구방법을 통해 질적 연구에서 부족한 신뢰성과 타당성을 바탕으로 도출된 범주를 가지고 일반화 시키는 노력을 한다면 더욱 유용한 이론이 나올 것이다. The exhibition is a sort of service industry which based on knowledge. Also nowadays, it creates added value which is able to effect on several business such as the tourism, information, traffic and IT. Since 2009, the government has grown up the exhibition as well as MICE(Meeting, Incentives, Convention, Exhibition) as a new driving force. However, the exhibition would be faced on various critical situation cause by limited exhibition venue. The sponsor who holds an exhibition might be in danger because of finance and resource managing crisis. Following these reasons, risk management must introduce immediately. Only the quantative survey regard of exhibition risk management must reach at uppermost limit. For this reasons, this study was adopted the grounded theory, which is based on several interview with exhibition host, for investigating deep structure. For make a success, this study has three detailed research question. The first, which reason and process make a number of problem in the exhibition?(pre-show/post-show/after-show) Second, which strategy can take care of the dangers in the exhibition? (pre-show/post-show/after-show) Third, what is the countermeasure based on retrospection for managing risk effectively? Twelve interviewees were chosen by recommendation one after another. All of interviewees have various experiences to sponsor international-sized exhibitions in accordance with ‘Act on the Development of Exhibition Industry’. Some results in accordance with deducted new categories through several steps-open cording, axial cording, selective cording- has four kinds of terms. - In the causal conditions, twenty one ideas and three categories included thirteen subcategories, - In the context conditions, four ideas and one category included three subcategories. - In the arbitrary conditions, thirty two ideas and three categories included seventeen subcategories, - In procedure of interaction, sixteen ideas and one category included six subcategories. Totally, I could redefine seventy three ideas and eight categories included thirty nine subcategories. The terms of causality have different shades of risk at pre-show/post- -show/after-show. During the pre-show, some subcategory risk regarding of booth, casting, payment of participation, period, exhibition concept and project process was drawn. Usage problem of exhibition space and natural disaster were generated at the post-show as subcategories. After the show, finance review, exhibition concept and external ordeal were raised as subcategories. Economy, society, environment ordeals by external terms were deducted aspect of context. In part of arbitration, booth, casting, payment of participation, exhibition concept, orientation training, composition of manual and capacity problems were drawn. The risk management of after-show has shown several subcategories about finance, reporting, promotion and training problems. In procedure of interaction, some of subcategories such as relation, mental, manual, man-power, publicity, objection management were able to draw with grounding theory. As a result, operating exhibition is aware of same meaning of business management among interviewees. They are aim to minimize risks when they are planning the exhibitions. From past to now, we have seemed that only the organizers are focusing on risk management. However, after the interviews, it is much more important things to launch the detailed risk management manual and arouse sympathy of importance regarding of risk management. For making up for risk management faults, this study contains grounding theory. I convinced that it would come out much more innovated theory if we make up reliability and validity stronger with qualitative research.

      • 자체감사활동에 대한 심사가 중앙행정기관 감사역량제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경험과학적 연구 : 근거이론을 활용한 전문가와 현장공무원의 인식차이에 대한 실체적 사실관계 규명

        박찬호 공주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700

        As the role of administration expands to respond to the complex and diversified modern society, the responsibility and transparency of administration are also emphasized. Supervision and control of administration is mainly carried out through the public audit system; the National Assembly, the Board of Audit and Inspection(BAI) and other higher-level organizations. But the control only by external bodies has a limit. For instance, even though the BAI conducts audit based on its audit capacity, it is not possible to effectively control vast administrative agencies. It also shows inefficiencies in the overall public audit system as blind spots in the audit are detected. In order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and operate the public audit system more efficiently, the role of internal audit based on autonomous internal control of administrative agencies needs to be increased. With the recognition of necessity, the BAI has continued efforts and support to revitalize internal audit as establishing the Evaluation System of Internal Audit Activities(ESIAA) and evaluating the internal audit units annually. With the enactment of the ‘Act on Public Sector Audit’ in July 2010, the ESIAA could be unified and systemized. In the ten years since the enactment of the ‘Act on Public Sector Audit’, there have been many prior studies for the improvement and development of internal audit. However, researches have been performed mainl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evaluator(or supplier) who is in charge of the design and operation of the ESIAA. Significant studies looking at the evaluatee’s point of view were very rare. Therefore, in this study, not only the evaluator’s point of view, but also the point of view of the evaluatee who is actually undergoing evaluation is considered with equal weight.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erceptions felt by both sides, this study analyzes how the evaluation of internal audit activities affects the improvement of the overall audit capability of internal audit activities of central administrative agenc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useful policy implications in making a customer-oriented evaluation that reflects the perspective of the evaluatee. Grounded Theory, a type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ies, was used as an approach for conducting this study. This is because it was thought that it was limited to reflect the direct experience and voice of the field to research as the previous studies were conducted in a way of verifying hypotheses theoretically established by quantitative and quantitative techniques. On the other hand, Grounded Theory is characterized by ‘theoretical contribution’, unlike other qualitative studies. For theoretical discussion, the ESIAA was examined from a policy evaluation point of view.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divided into an expert group and a internal auditors group. The interview method, which is the most widely used amo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was used for data collection. The collected data were categorized through a three-step coding process of ‘Open coding’, ‘Axis coding’, and ‘Selective coding’ according to the Grounded Theory protocol. After selecting a focal phenomena through a correlation review between the categories, it was analyzed according to this research paradigm model as an axis. First, ‘focal phenomena’ is a central thought or event, and in this study, it appeared as ‘enhancement of internal audit capability’. Both the expert group and the internal auditors group generally had no disagreement that securing independence and expertise would enhance the internal audit capability. However, in terms of securing capability, there was difference in perception between the two groups. The expert group said that it was to secure traditional and formal factors such as the establishment of an audit division and education and training, whereas the internal auditors group said that knowledge, skills, attitudes, and ability to capture audit issues are called capability. Second, ‘causal conditions’ is a phenomena or event that affects the focal phenomena, and ‘evaluation and recognition of internal audit activities’ was set as the causal conditions of this study. The expert group sees that, although the internal audit activities were generally being raised,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agencies as active and passive agencies, and that the internal audit activities of central administrative agencies were relatively insufficient compared to public organizations. On the other hand, the internal auditors group understood that there is a limit to maintaining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internal audit activities due to frequent external audit demands triggered by the media or higher-level organizations that are not in the annual audit plan. Third, ‘contextual conditions’ means a special structural condition which causes a situation or problem that affects a certain phenomena. This study sets the ‘purpose of the ESIAA’ and ‘the necessity of evaluation’ as contextual conditions. Regarding the purpose of the the ESIAA, the expert group takes a similar stand with the general recognition that the purpose not only improves and develops internal audit but also expands the national audit capacity. The internal auditors group sees that the physical limitations of the BAI increase the necessity to utilize internal audit units and that the evaluation system is designed to assist the capability of internal audit units. However, the evaluation system is sometimes used as a means of management and control of the internal audit, which is contrary to its original purpose. But, the internal auditors group does not completely deny the ‘necessity of evaluation’ since the internal audit units is not a professional audit agency. Fourth, ‘intervening conditions’ refers to systems that mediate or change the focal phenomena. In this study, ‘understanding the evalutaion system’ was set as the ‘intervening conditions’. While the expert group has a high level of understanding of the purpose of the ESIAA, some of the internal auditors group often shows a superficial and practical level of understanding, such as the procedure and method of the review. This is understood as a difference in perception resulting from the active position of the expert group who forms and operates the system and the passive position of the internal auditors group who has to undergo examination and implement the evaluation results. Fifth, ‘action/interactions’ means an intentional action or reaction taken to cope with or deal with the focal phenomena. In this study, ‘the evaluation target group’, ‘evaluation criteria’, ‘evaluation progress’, and ‘evaluation attitude’, which are essential elements of evaluation, were established. First of all, as for the ‘evaluation target group’, the two groups(expert and internal auditors) have the same opinion emphasizing the necessity of target group re-adjustment by further subdividing the target group according to the purpose of each institution’s establishment and unique business characteristics. In the case of the ‘evaluation criteria’, there were comments that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evaluation criteria according to the changing evaluation conditions, such as switching to a qualitative and absolute-oriented evaluation method, correcting or deleting indicators which have low discriminating power, changing the measurement method, and focusing on prevention. In the case of the ‘evaluation progress’, the expert group has a positive view that evaluations have conducted fairly and transparently according to the purpose and necessity by improving the indicators in accordance with the administrative environment every year. On the other hand, the internal auditors group has a negative perception that the on-site inspection period is too short and the audit is conducted every year despite the establishment of the internal audit activities evaluation system. Regarding the ‘evaluation attitude’, the expert group expressed a negative opinion on the attitude of being evaluated, saying that some central administrative agency’ internal audit units do not consider the internal audit activity evaluation itself as important, and that they are taking the passive attitude even during the actual evaluation. On the other hand, the internal auditors group is expressing dissatisfaction with the evaluation process, saying that they are demanded to submit excessive documents during the evaluation process. Sixth, ‘consequences’ relates to what happened as a result of ‘action/interactions’. In this study, the examination results and feedbacks indicated by the examination were established. Regarding the evaluation results, the expert group emphasizes the positive effect that internal audit capability is generally being upgraded, although there are concerns about the fixation of evaluation grades for each institution. On the other hand, as the internal auditors group have a very negative opinion. The group understands that it is the result of fulfilling the legal obligations for the internal audit, not the effect of the evaluation result. Also, they expressed that internal auditors considers to be excessively managed and controlled by the current evaluation method. As for feedback, the expert group points out that the central administrative agencies don’t link the evaluation results with the performance, and at the same time, is negligent in implementing indicators from the evaluation result. Furthermore, they are of the position that the central administrative agencies should take the lead in institutionalizing the improvement suggestions from the evaluation results, such as the establishment of audit official group that can expand the independence and professionalism of internal audit. On the other hand, the internal auditors group recognizes the neglect effort of the BAI as a problem. More specific, only the evaluation results were notified and the BAI did not follow-up support for the results. And efforts to improve the internal audit system including incentives for internal auditors were insufficient. The most important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that, using the Grounded Theory of the internal audit activities review system, the substantive difference between experts and field officials was identified and the meaning of the difference was interpreted from the point of view of policy evaluation. In particular, this study is distinctly different from previous studies in empirically finding the issues covered by the policy evaluation theory, such as ‘the phenomena of empowerment of evaluation’, ‘evaluation for evaluation itself’, ‘importance of feedback such as the use of policy evaluation results’, ‘stakeholder attitudes and perceptions of evaluation related to evaluation’, which are difficult to reveal with quantitative research. This is the theoretical contribution that can be derived using only a qualitative methodology based on Grounded Theory. In addition, for the continuous improvement and development of the evaluation system, narrowing the gap between the two groups’ perceptions of the evaluation system would be the most urgent task. In order to do this, the internal audit units should make efforts to improve the issues that are pointed out through the evaluation. At the same time, however, the BAI as evaluator should not save its efforts to support the improvement. Another contribution of the study is that it suggested specific institutional improvement directions for the evaluation standards or evaluation indicators for each field for the improvement and development of the evaluation system to enhance the internal audit capability of central administrative agencies. However, this study has many limitations. The internal audit units of central administrative agencies, which is the subject of the actual evaluation, was only the subject of the study. And, although the interview participants offered many opinions on the direction for improvement of the examination system, they were not fully reflected due to the study’s direction. Also, general readers who have no expertise in audit would be hard to properly understand the generated theory or conclusion because the Grounded Theory is the main tool of analyzation. Through follow-up research that overcomes the above limitations, it is expected that the ESIAA will further contribute to strengthening the national audit capacity not only the internal audit units of central administrative agencies, but also the country as a whole. Furthermore, it is expected that this will greatly contribute to the increase of administrative efficiency by removing wasteful factors for the overall administrative work in advance. 복잡다기화 되고 있는 현대사회에 대응하기 위한 행정의 역할이 확대되면서 행정의 책임성 및 투명성 또한 강조되고 있다. 행정에 대한 감시와 통제는 주로 상위기관 또는 국회, 그리고 감사원의 공공감사체계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으나, 외부기관에 의한 통제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특히 감사원 감사에 의한 통제의 경우, 감사원의 감사기반만으로는 방대한 행정기관을 효율적으로 통제할 수 없으며, 감사사각 발생 등 공공감사 전반의 비효율성을 노출시키기도 하였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공공감사체계를 효율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행정기관 스스로 자율적 내부통제에 기반한 자체감사의 역할이 증대될 필요가 있다. 이에 감사원은 ‘자체감사활동 심사제도’를 마련하여 매년 자체감사기구를 대상으로 심사를 실시하는 등 자체감사의 활성화를 위한 부단한 노력과 지원을 지속해 왔다. 이러한 노력은 2010년 7월 「공공감사에 관한 법률」의 제정을 계기로 심사제도가 일원화․체계화되는 성과를 거두게 되었다. 「공공감사에 관한 법률」 제정 이후 10여년이 경과하는 동안 자체감사의 개선과 발전을 위한 선행연구가 적지 않았다. 하지만 주로 심사제도의 설계․운용 등을 담당하고 있는 공급자․심사자 측 시각에서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며, 피심사자 측 시각에서 살펴보는 유의미한 연구는 매우 드문 실정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급자․심사자 측 시각뿐만 아니라 실제 심사를 받고 있는 피심사자 측의 시각도 동등한 비중으로 함께 고려하여, 동 제도에 대해 양측이 느끼는 인식에 대한 비교분석을 통해 자체감사활동 심사가 중앙행정기관 자체감사활동 전반의 감사역량 제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피심사자의 시각을 반영한 고객지향적(customer-oriented evaluation) 심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용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를 진행하기 위한 접근방법으로 질적 연구방법의 일종인 근거이론(Grounded Theory)을 활용하였다. 기존의 선행연구들이 양적․계량화 기법에 의해 설정된 가설을 검증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다보니 현장의 직접적인 경험과 목소리를 연구에 반영하는데 다소 제한적이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한편 근거이론은 여타 질적 연구와 달리 ‘이론적 기여(theoretical contribution)’를 특징으로 하는 바, 이론적 논의를 위해 자체감사활동 심사제도를 정책평가적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연구자료는 먼저 연구대상자를 전문가 그룹과 자체감사인력 그룹으로 구분한 후 이들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방법 중 가장 널리 활용되는 인터뷰 방식을 활용하여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근거이론 프로토콜에 따라 ‘개방 코딩(Open coding)’, ‘축 코딩(Axial coding)’, ‘선택 코딩(Selective coding)’의 3단계 코딩 과정을 거쳐 범주화 하였으며, 범주 간의 연관성 검토를 통해 중심현상을 선정한 후 이를 축으로 본 연구 패러다임 모형에 따라 분석하였다. 첫째, ‘중심현상(focal phenomena)’은 중심적인 생각이나 사건으로 본 연구에서는 ‘자체감사 역량제고’로 나타났으며, 전문가 그룹이나 자제감사인력 그룹 모두 대체로 독립성 및 전문성을 확보하는 것이 자체감사의 역량을 제고하는 것이라는 데에 이견(異見)이 없었다. 그러나 역량확보 방안에 있어서는 전문가 그룹이 감사전담부서 설치 및 교육훈련 등 전통적․공식적 요인을 확보하는 것이라고 하는 반면, 자체감사인력 그룹은 이들 외에도 지식․기술․태도와 감사 착안사안 포착 능력 확보를 강조하는 등 양 그룹 간 인식의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둘째, ‘인과적 조건(casual conditions)’이란 중심현상에 영향을 미치는 현상이나 사건 등으로 ‘자체감사활동에 대한 평가와 인식’을 본 연구의 인과적 조건으로 설정하였다. 전문가 그룹은 자체감사활동이 전반적으로 상향되고 있으나, 적극적인 기관과 소극적인 기관으로 기관별 편차가 있었으며, 공공기관에 비해서 중앙행정기관의 자체감사활동은 미흡한 편이라고 이해하고 있었다. 반면 자체감사인력 그룹은 연간감사계획에 없는 언론 및 상위기관에 의해 촉발된 외부감사수요가 빈발하여 자체감사활동의 질적 수준 유지 및 향상에 제약이 있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었다. 셋째, ‘맥락적 조건(contextual conditions)’이란 어떤 현상에 영향을 미치는 상황이나 문제가 발생하도록 하는 특수한 구조적 조건을 의미하는 것으로 본 연구에서는 ‘심사제도의 목적’과 ‘심사 필요성’을 맥락적 조건으로 설정하였다. 심사제도의 목적에 대해 전문가 그룹은 자체감사의 개선․발전뿐만 아니라 국가전체 감사역량을 확대하는 것이라는 공식적 인식을 대변하고 있는 반면, 자체감사인력 그룹은 감사원의 물리적 한계로 인한 자체감사기구의 활용 필요성에 따라 자체감사의 역량을 지원할 목적으로 설계된 심사제도가 그 취지와는 다르게 자체감사에 대한 관리․통제수단으로 활용되기도 한다는 부정적인 의견을 제시하고 있었다. 하지만 자체감사기구가 전문감사기관이 아니기 때문에 ‘심사의 필요성’을 전적으로 부정하는 것은 아니다. 넷째, ‘중재적 조건(intervening conditions)’이란 중심현상을 매개하거나 변화시키는 제도들을 의미하는 것으로 본 연구에서는 ‘심사제도의 이해’를 중재적 조건으로 설정하였다. 전문가 그룹은 자체감사활동 심사제도의 목적․취지 등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반면, 자체감사인력 그룹 일부의 경우, 심사의 절차․방식 등 표면적․실무적 수준의 이해도를 보이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제도를 형성하고 운영하는 전문가 그룹의 능동적 입장과, 심사를 받고 심사결과를 이행해야 하는 자체감사인력 그룹의 수동적 입장에서 기인하는 인식의 차이로 파악된다. 다섯째, ‘작용/상호작용(action/interactions)’이란 중심현상에 대처하거나 이를 다루기 위해 취해지는 의도적인 행위나 반응으로 본 연구에서는 심사의 필수요소인 ‘심사대상군 및 ‘삼사기준’과 심사과정에 뒤따르는 ‘심사진행’ 및 ‘심사태도’를 작용/상호작용으로 설정하였다. 먼저 ‘심사대상군(群)’에 대해서는 동일 심사대상군이라도 각 기관의 설립 목적 및 고유업무 특성에 따라 심사대상군을 더욱 세분화하는 등 재조정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는 바, 양 그룹 모두 이견이 없다. ‘심사기준’의 경우는 정성적․절대적 위주의 심사방식으로 전환, 변별력이 감소한 지표의 수정․삭제 또는 측정방식 변경, 사전 예방적 활동에 역점을 두는 등 변화하는 심사여건에 맞춰 심사기준도 변경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을 확인하였다. ‘심사진행’의 경우는 전문가 그룹은 매년 행정환경에 맞게 지표개선을 추진하는 등 심사의 목적과 필요성에 따라 공정하고 투명하게 심사를 진행하기 위해 최대한 노력하고 있다는 긍정적 입장인 반면, 자체감사인력 그룹은 현지실사 기간이 너무 짧은 점과 심사제도의 안착에도 불구하고 매년 심사를 진행하고 있는 점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심사태도’에 대해 전문가 그룹은 일부 중앙행정기관 자체감사기구의 경우, 자체감사활동 심사 자체를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으며, 실제 심사 시에도 최소한의 대응을 하고 있다며 심사받는 태도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피력한 반면, 자체감사인력 그룹은 심사과정에서 과도한 증빙자료 제출을 요구하고 있다며 심사진행방식에 불만을 표출하고 있었다. 여섯째, ‘결과(consequences)’란 ‘작용/상호작용’에 의해 결과적으로 무슨 일이 발생하였는지에 관한 것으로 본 연구에서는 ‘심사결과’와 ‘환류’를 결과로 설정하였다. ‘심사결과’에 대해 전문가 그룹은 기관별 심사등급의 고착화가 우려는 되지만 대체로 감사역량이 상향평준화되고 있다는 긍정적 효과를 강조하고 있는 반면, 자체감사인력 그룹은 심사결과에 의한 효과가 아니라 자체감사에 대한 법적 의무사항을 이행한 결과라는 인식과 함께 심사제도의 목적에 대한 이해에서도 나타나고 있듯이 현재의 심사방식으로 인해 오히려 지나치게 관리․통제 당하는 느낌이라는 상당히 부정적 의견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환류’에 있어서도 전문가 그룹은 중앙행정기관이 심사결과와 성과를 연계하지 않는 동시에 심사결과 지표 이행노력도 태만히 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으며, 더 나아가 자체감사의 독립성․전문성을 확대할 수 있는 감사직렬(류) 신설 등 심사결과 개선사안에 대해 중앙행정기관 주도로 제도화를 이루어 나가야 한다는 입장이다. 반면 자체감사인력 그룹의 경우는 심사결과만 통보할 뿐 결과에 대한 감사원의 후속적인 지원 노력이 없는 점, 자체감사인력에 대한 인센티브 등을 담은 자체감사제도 선진화를 위한 노력이 미흡한 점 등 감사원의 지원 노력 소홀을 문제점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와 같이 자체감사활동 심사제도를 근거이론을 활용하여 전문가와 현장공무원 간의 인식 차이를 실체적으로 규명하고, 그 차이점이 가지는 의미를 정책평가의 이론적 틀을 바탕으로 재해석하였다는 점이 본 연구의 가장 중요한 기여라고 생각한다. 특히, 양적연구로는 밝혀내기 어려운 ‘평가의 권력화 현상’, ‘평가를 위한 평가’, ‘정책평가결과의 활용 등 환류의 중요성’, ‘평가와 관련되는 이해관계자의 평가에 대한 태도나 인식의 중요성’ 등 정책평가의 주요 이론적 논의들을 실증적으로 밝혀 낸 점이 본 연구가 양적 방법론 위주의 선행연구들과는 확연히 다른 차별성을 갖는 지점이며, 근거이론을 바탕으로 한 질적 방법론으로만 도출해 낼 수 있는 ‘이론적 기여(theoretical contribution)’라고 생각한다. 아울러 심사제도의 지속적인 개선 및 발전을 위해서는 심사제도에 대한 양 그룹의 인식의 차이를 좁히는 것이 가장 절실한 과제라고 생각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심사를 통해 지적된 개선 필요사안들에 대해 자체감사기구도 개선 노력을 해야 하겠지만, 제도의 설계․공급․심사자 측인 감사원도 이를 지원하기 위한 노력을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중앙행정기관 자체감사의 역량제고를 위한 심사제도의 개선․발전을 위해 분야별 심사기준 또는 심사지표에 대한 구체적인 제도개선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도 본 연구의 성과라고 생각한다. 다만, 연구대상을 실지심사 대상인 중앙행정기관 자체감사기구만으로 한 점이나, 인터뷰 참여자들이 심사제도의 개선방향에 대해 많은 의견을 제시해 주었음에도 연구주제 또는 연구방향 등의 한계에 의해 이를 모두 반영하지 못한 점, 그리고 ‘근거이론’에 입각해 분석하다보니 생성된 이론이나 결론을 연구자 이외의 독자, 특히 감사분야에 전문성이 없는 제3자가 제대로 이해하기 매우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는 점은 본 연구의 한계이다. 이상과 같은 한계점을 뛰어넘는 후속 연구를 통해 자체감사활동 심사제도가 중앙행정기관 자체감사기구 뿐만 아니라 국가전체의 감사역량 강화에 더욱 기여하고, 더 나아가 행정업무 전반에 대한 낭비적 요소를 사전에 제거하는 등 행정의 효율성 증대에도 크게 이바지하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