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치과위생사 국가시험의 현장 적합성분석 : 임상가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박민경 경남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Collecting opinions from dental hygienists assisting dentists in clinic,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materials and way of the national examination whether it has appraised reliably the qualification and knowledge which dental hygienists must have.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targeting the national examination-related records and dental hygienists in clinic in Gyeongnam region. Analyses of frequency and variance on the general national examination, written and practical tests, and curriculum were carried out. The surve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atisfaction with the current examination of the general national examination is above average, but the current national examination is not enough to focus on the ability of clinical performance and adaptation to the field, and in the future national examination, greater importance should be given to the clinical branch. Second, the dental hygienists are satisfied with written tests regardless of year, and their satisfaction with difficulty level of written tests was average, but their clinical utilization of written tests is low, and the number of written test subjects should be controled properly. Third, the dental hygienists are satisfied with the practical tests regardless of year. Their clinical utilization of the practical tests is low, and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years in their satisfaction with the test place. In the appraisal of marking practical test papers, the incumbent teachers are more objective than the theoretical clinic dental hygienists. Fourth, the dental hygienists' satisfaction with the curriculum is average regardless of year. The expertise of subjects should be secured for what is deeply involved with duties and subjects mainly used a lot in clinic. They are relatively satisfied with the national examination, but there is a difference of satisfaction between theoretical and practical knowledges of major, and the materials and way of the national examination is not appropriate to the field. In the previous survey, the national examination should be improved so that the practical business skills of new hygienists are evaluated properly. 임상에 있는 치과위생사에게 의견을 수집하여 본 연구에서 국가시험의 내용과 방법이 치과위생사가 갖추어야 할 자격과 지식을 신뢰성 있게 평가하고 있는지 분석해 보고자한다. 본 연구는 국가시험에 대한 관련 기록물과 경남지역의 임상에 근무하고 있는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실시하였다. 전반적 국가시험, 필기시험제도, 실기시험제도, 교육과정에 대해 빈도분석과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전반적 국가시험에 대하여 현 시행되고 있는 국가시험에 대한 만족도는 보통이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하지만 국가시험만으로 임상수행 능력과 현장적응력은 중점적으로 다루지 않다고 인식하였으며, 앞으로 국가시험 출제방향은 임상분야에서 더 비중을 주어 개선하기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필기시험에 대한 치과위생사의 인식은 년차에 관계없이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필기시험의 난이도에 대해 보통정도 인식을 하였다. 하지만 필기시험의 임상활용도는 낮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현행 시험의 필기 과목의 수도 적정하게 조절해야 한다고 나타났다. 셋째, 실기시험에 대한 치과위생사의 인식은 년차에 관계없이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기시험의 임상활용도는 낮다고 인식하고 이었으며, 시험 장소 만족도에서는 년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실기 시험 채점에 대한 인식으로 현 교직에 있는 선생님이 이론적으로 임상에 계시는 선생님보다 더 객관적으로 평가를 해 준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교육과정에 대한 치과위생사 인식은 년차에 관계없이 만족도는 보통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주로 임상에서 많이 맡은 업무와 과목의 관계가 깊은 것은 과목의 전문성이 확보되어야 한다고 나타났다. 국가시험에 대하여 비교적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전공 이론 지식과 전공 실무 지식의 차이가 있으며, 국가시험의 내용과 방식이 현장에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시험이 신입 치과위생사들의 실무 능력을 올바르게 평가 가능하도록 개선되어야 한다.

      •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NEAT) 정책과정에서의 정책오차와 발생원인 분석

        고영종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olicy implementation of the National English Ability Test (NEAT) and analyze the cause of policy errors. NEAT was an English Test which aimed to address problems related to English education in Korea, and was introduced to certify students' English ability in 2006 during the Roh Moo󰠏hyun government. And the Lee Myung󰠏bak government planned to have NEAT substitute the English test in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CSAT) for university entrance. However, it was decided not to connect NEAT with CSAT under the Park Geun󰠏hye government, and was discarded over the concern that it may further increase private education expenses. The questions designed to meet the research objectives are as follows. First, what kind of policy errors occurred in the NEAT policy implementation. Second, what are the causes of the policy errors in the NEAT policy implementation. Third, what are the constraint factors in correcting the policy errors. I analyzed the implementation process by dividing them into three phases: the introduction phase of NEAT (2006󰠏2007), the development phase (2008󰠏2011), and the phase in which NEAT was supposed to substitute CSAT but was scrapped (2012󰠏2013). So, the time span of this study ranges from 2006 to 2013, from the year that NEAT was introduced for first time in the latter part of the Roh Moo󰠏hyun government to the year that the Park Geun󰠏hye government decided not to continue NEAT. Due to the nature of the research on policy errors, this study targets policies that have been devis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and the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I used case studies and document analysis for this study. Participatory observation and interviews were also used to complement the outcome of literature research. The reason I used the participatory observation is because I myself participated in NEAT implementation as a official. I selected seven interviewees among the officials who were also involved in the NEAT policy. This study's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four types of policy errors – agenda setting errors, design errors, execution errors, and readjustment errors 󰠏 occurred in the implementation of NEAT. Agenda setting errors occur when the problem is incorrectly set up from the very beginning, and were generated when the Lee Myung󰠏bak government attempted to design a new English test native to Korea, covering as many as four types of skills in English 󰠏 listening, reading, speaking and writing 󰠏 instead of testing two skills 󰠏 speaking and writing. One of the biggest problems in English education in Korea was that it primarily focused on reading and listening. For that reason, it was thought at the time that an English education which focuses on more practical skills, such as English communications skills, was required to address problems related to English education in Korea. Due to such rising concerns, the Roh Moo󰠏hyun government tried to adopt English certification tests to focus on improving speaking and writing skills. But due to the controversy surrounding TOEFL in 2006 and 2007, the Lee Myung󰠏bak government prioritized the development of NEAT, Korea’s native English language test, in 2008, also known as the “Korean TOEFL”, to evaluate four skills in English language. Although NEAT was originally designed to serve as an alternative test to replace the English test in CSAT in 2012, it faced backlash over the concern of raising private tutoring costs, and could not overcome it. Because two potentially conflicting or inconsistent policy goals were presented at the same time, it put policy󰠏makers in a rather difficult position to decide precisely what problem is of utmost concern as well as how to solve it. Such conflicting policy objectives affected the selection of policy priority and the choice of policy options. Regarding the execution of government policies, NEAT in fact focused on strengthening students’ ability to communicate in English, but the policy designed to respond to the rising private tutoring only depended on the use of EBSe, or the government’s effort to supervise private English academies, which were insufficient to address the root cause of the problem. Second, design errors occurred, which basically means that the policy was not well󰠏designed when it was on the drawing board. The development of NEAT was connected to the issue that whether it could replace CSAT to address the increased burden laid on students and the cost of private education. Moreover, announcing NEAT’s replacement plan before its birth did not create thriving conditions in which proper English speaking and writing education could be provided under the public education system. Another problem was that although NEAT was supposed to replace CSAT, NEAT was to be administered 24 time a year, which prompted a controversy over whether it would be fair to replace CSAT which is administered only once a year. In addition, NEAT was based on clouding computing system, which also involves risks related to taking the test on the internet real󰠏time as well as big maintenance costs, which can all be perceived as design errors. Third, three execution errors have been discovered in this study. First of all, a computer system error during NEAT in 2013 increased anxiety about the test, which clouded the prospect for the implementation of NEAT. In addition, English teachers’under󰠏achievement in training, speaking and writing education, and major universities’ inactive participation in introducing NEAT in their admissions process were part of execution errors. Universities were worried about whether NEAT would be able to accurately differentiate the diverse levels of students’ English skills for college entrance. Fourth, readjustment errors occur in the process of trying to correct errors that have been found during the policy implementation stage, and a number of readjustment errors were found in this study. Objectively defined specific indicators and goals are important to form a consensus among the stakeholders to the preparation for CSAT replacement, but their set󰠏up was delayed to 2012. And then the replacement was postponed again to 2013, and the Park Geun󰠏hye government, which was inaugurated in 2013, did not accept the previous government’s decision, which amounts to a readjustment error in this study. The causes of these policy errors are, first, in the agenda setting error. Rather than trying to address fundamental problems related to English education, policy efforts tend to focus on responding to the most urgent issues. Furthermore, information needed for troubleshooting, forecasting and problem analysis are limited as well. Second, in case of design error, since “NEAT for students” was implemented prior to “NEAT for adults” (level 1), it did not have positive impact on reducing the outflow of foreign currency due to foreign󰠏native English tests, such as TOEFL. Moreover, “NEAT for adults” was developed rather slowly. Moreover, hasty movement by the government also contributed to the design error. Third,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s inelastic behavior in its decision󰠏making process led to execution errors. Even if they realized policy errors in advance, there were limitations to actually correcting them. In the case of NEAT, the timeline of the implementation of NEAT was made public way ahead of its actual implementation, and it was difficult to change the schedule after it was already made public via media. In addition, there was no legal framework available that could have been cited to back up the argument for introducing and implementing NEAT across the education sector when English teachers and universities were uncertain and hesitant about whether NEAT would actually be able to replace CSAT. Fourth, the lack of policy monitoring process in advance and the late establishment of 12 indicators of NEAT to replace CSAT in as late as 2012 were the cause of readjustment errors. Also, when the regime changes, the inconsistent implementation of policies may result in readjustment errors. Finally, the root cause of the readjustment errors was, in fact, a failure to address the underlying problem of high private education costs. Concerns over the rising private education costs and the introduction of NEAT as an alternative form of English test focusing on speaking and writing skills were coupled with the spread of inaccurate information by the private education sector stakeholders as part of their marketing strategy. At the same time, the outcome of the newly introduced communications󰠏based English education in the classroom was insufficient, showing that the policy was not effective. Once policy errors are recognized, they should immediately be corrected, but this did not happen. Various barriers influence the scope of error corrections. First, the lack of participation of external experts in the policy implementation as well as different inclination of policy󰠏makers pose limits to correction errors. In addition, the difference in policy tendency between the Lee Myung󰠏bak and Park Geun󰠏hye governments consequently led to inconsistent implementation of English education under the two governments. Second, once the government sets its policy statements, policy󰠏makers tend not to admit to the existence of design errors even if they find them. Such behavior stems from bureaucracy and stiff organizational culture. Third, the increased organizational influence and technical complexity of NEAT posed limits to correction errors. Various stakeholders do not always comply with the direction of the government’s policies, and their discretional power is often magnified. In addition, due to the technical complexity of NEAT, there were not enough experts in relevant fields who could provide expertise, and they could not aggressively respond to problems. Finally, in the case of readjustment error, policy uncertainty and the change in regime in 2012 were the factors that posed limits to the correction of errors. In 2012, presidential election was planned to be held, which consequently led to great policy uncertainty and conflicts. If a new government decides not to accept the previous government’s policy decisions, then the policies are scrapped, and the new government, in turn, pursues the policies it has pledged during the presidential campaign. 본 연구는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National English Ability Test, NEAT) 정책과정을 분석하여 정책오차가 발생한 원인을 밝히고 진단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은 우리나라 영어교육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2006년 노무현 정부에서 학생들의 영어능력 인증시험으로 도입된 시험이며, 이명박 정부에서는 대입수능영어시험을 대체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되었으나, 박근혜 정부에 들어와서는 사교육 부담 등의 이유로 대입수능영어시험과 연계하지 않기로 결정되면서 폐기되었다. 당초에 의도한 정책 취지를 달성하지 못한 것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 제시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 정책과정에서 어떤 정책오차가 발생하였는가? 둘째,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 정책과정에서 정책오차가 발생한 원인은 무엇인가? 셋째,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 정책과정에서 나타난 정책오차의 수정을 제약한 요인은 무엇인가? 본 연구의 시간적 범위는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이 처음 도입된 노무현 정부 후반기인 2006년부터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으로 대입수능영어를 대체하고자 했던 이명박 정부, 그리고 대입수능영어 대체를 하지 않기로 결정했던 박근혜 정부 출범초기인 2013년까지이다. 정책오차 연구의 특성상 정책 주체인 교육부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추진했던 정책들이 주요 대상이 되며, 정책오차의 종류에 따라 발생된 오차분석을 위하여 사례분석과 문헌연구의 방법을 활용하였다. 문헌연구를 위하여 교육부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등 유관기관에서 생산한 광범위한 정책자료, 보도자료, 연구보고서, 토론회 및 공청회자료, 언론기사 등의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문헌조사에서 나타나지 않는 내용을 보완하기 위하여 참여적 관찰경험과 면접방법을 병행하였다. 참여적 관찰경험은 연구자가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 개발 및 수능영어시험 대체 추진과정 등에서 정책 실무자로 참여하여 얻은 내용을 활용하며, 면접대상으로는 NEAT 업무에 관여했던 관계자 7명을 선정하여 인터뷰하였다. 제2장 이론적 배경에서는 우리나라 영어교육 정책의 역사, 학교 교육과정에서 의사소통 중심의 영어교육으로 진행되어 온 과정을 고찰하고,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의 도입배경 및 경과, 대학수능영어시험과의 비교 설명 후 정책오차에 관한 개념제시를 통해 본 연구의 분석틀을 도출하였다. 제3장에서는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 정책과정을 노무현 정부, 이명박 정부, 박근혜 정부와 연계하여 NEAT 도입기(2006󰠏2007), NEAT 개발기(2008󰠏2011), NEAT 수능영어 대체추진 및 미대체기(2012󰠏2013)로 나누어서 설명하고, 제4장에서는 이 과정에서 어떤 정책오차가 왜 발생하였는지, 정책오차 수정을 제약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NEAT 정책추진과정에서 문제설정오차, 설계오차, 집행오차, 시정오차가 발생하였다. 첫째, 문제설정오차는 정책문제의 설정이 잘못되어 발생하는 오차를 말하며, 이명박 정부에서 영어의 4기능을 평가하는 한국형 토종시험 개발에 초점을 두고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을 설계한 점을 들 수 있다. 종래 우리나라 영어교육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된 것이 듣기・읽기 중심의 영어교육이다. 이에 따라 말하기・쓰기능력이 부족하고 의사소통 중심의 실용영어교육이 필요하다는 문제인식이 높아지면서 이를 개선 보완하기 위하여 노무현 정부에서는 말하기・쓰기능력 배양목적의 영어능력인증시험의 도입이 추진되었다. 그러나 토플대란 등을 겪으면서 2008년 이명박 정부에서는 한국형 토종시험개발에 우선순위를 두고 영어의 4기능을 모두 평가하는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NEAT)을 설계하였고, 2012년에는 NEAT로 대입수능영어시험 대체여부를 결정하겠다고 하여 학교 영어교육의 변화를 추진하였으나 사교육비 부담 등을 극복하지 못하였다. 또한 NEAT 정책에서 학생들의 영어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는 정책목표와 사교육비를 경감시키는 정책목표간 충돌이 발생하게 된다. 동시에 양립하기 어려운 정책목표가 함께 제시되면서 정책문제가 무엇인지, 어떠한 문제를 가장 중요하게 해결해야 하는지에 대한 정책당국의 인식을 명확하게 반영하지 못하게 되었다. 정책목표간 충돌은 정책대안의 선택과 정책 우선순위 선정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실제로 NEAT 정책을 집행하면서 정부는 학생들의 영어 의사소통 능력을 강화하는데 중점을 두었지만 영어 사교육비 경감정책은 EBS영어교육방송에 의존하거나 영어학원에 대한 지도감독을 하는데 그쳤다. 둘째, 설계오차는 정책문제 해결과정에서 과정별 계획을 제대로 설계하지 못한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4가지를 지적할 수 있다. 먼저,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을 개발하면서 대입 수능영어시험 대체여부와 연계하여 사교육비 부담을 가중시켰으며, 2008년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 개발계획을 발표하면서 2009년 개발을 시작하여 3년 뒤에 NEAT로 대입 수능영어 대체여부를 결정하겠다고 하여 학교 현장에서 말하기・쓰기 교육이 충분히 준비할 수 있는 여건이 만들어지지 못하였다. 또한 대입 수능시험을 대체할 시험이지만 연간 24회 시험을 치르는 것에 대한 시험의 동등화 문제가 발생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시험 운영체제를 클라우딩 컴퓨팅 방식으로 시행되는 IBT(Internet󰠏based Test)로 설계하면서 실시간 네트워크 사용에 따른 장애불안, 과다한 유지・보수비용 등이 들어가게 되는 점들이 설계오차에 해당된다. 셋째, 집행오차는 결정된 정책을 집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로 3가지가 해당된다. 먼저, 단기간에 무리하게 NEAT의 수능영여 대체 일정을 추진하면서 발생한 전산오류는 NEAT시험에 대한 불안감을 가중시켰으며 NEAT의 장래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게 되었다. 또한 정책 집행과정에서 말하기・쓰기교육을 학생들에게 교육하는 영어교사들의 경우 심화연수, 직무연수 목표치 미달, 말하기・쓰기 관련 수업실시비율과 수행평가 및 서술평가 반영비율이 낮아 적극적인 참여가 부족했으며, 학생들이 NEAT에 응시하기 위해서는 주요 대학들이 NEAT를 대입전형에 활용해야 하는데 4등급 절대평가에서 오는 변별력 저하문제로 외면함으로써 어려움이 발생하였다. 넷째, 시정오차는 집행과정에서 발견한 오차를 수정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차로, 먼저 NEAT의 수능영어 대체를 위해서는 NEAT의 공신력을 객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구체적 지표와 목표치를 정하고 당사자의 공감대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함에도 2012년에야 관련 지료를 만들어져 준비가 지연되었으며, 수능영어 대체여부를 2012년에 하겠다고 하였음에도 2012년도에는 그 시기를 2013년으로 연기하였고, 2013년 새롭게 시작한 박근혜 정부에서는 영어공교육 공약을 수용하지 않게 되면서 시정오차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정책오차가 발생하게 된 원인으로는 첫째, 문제설정오차는 영어교육문제의 본질보다는 토플대란과 같은 시급한 현안중심의 문제를 먼저 해결하려는 것과, 문제 해결에 필요한 정보분석 및 예측능력에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둘째, 설계오차의 발생 원인으로는 NEAT가 대입수능영어대체와 연계되면서 학생용 시험을 성인용 시험에 우선해서 추진하게 되어 상대적으로 사교육 촉발유인도 없고 외화유출의 문제를 직접 해결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성인용 시험개발이 지연되면서 학생용 시험이 중단되자 함께 중단되게 되었다는 것과 임기 내에 NEAT개발을 완료하고 수능영어시험을 대체하려는 성급한 성과주의도 그 원인으로 지적할 수 있다. 셋째, 집행오차 발생 원인으로는 먼저, 교육부의 비탄력적인 의사결정 구조이다. 비록 정책 설계단계에서 심각한 정책오차를 사전에 인지한다고 하더라도 이를 수정하는데 상당한 한계가 있으며, NEAT 개발일정과 수능영어 대체 결정시점이 이미 언론에 일정이 공개된 상태에서 그 일정을 수정하려고 시도하지는 않는다는 점이다. 또한 영어교사들과 대학들이 NEAT의 수능영어 대체 여부가 불확실한 상황에서는 관련사항을 법률에 근거를 두지 못한 것도 집행오차의 원인이 된다. 넷째, 시정오차의 발생 원인으로는 NEAT 정책과정을 사전에 충분하게 모니터링하지 못하고 2012년에야 수능영어대체 점검 지표 12개를 확정하여 시작했다는 점과 정권이 변화하면서 주요 정책들도 함께 부침이 발생하게 되고 정책이 일관되게 추진되지 못하는 문제도 시정오차의 주요 원인이 된다. 마지막으로, 본질적으로는 영어 사교육문제를 해소하지 못한 데에서 시정오차가 발생하였다.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이 대입 수능영어 대체여부와 연계되면서 사교육비 증가 우려 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으며, 특히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에서 말하기 쓰기시험 도입에 따른 불안감이 커지고, 사교육 업계의 마케팅에 의한 부정확한 정보 확산 등으로 사교육 우려가 커진 반면, 학교 현장에서의 의사소통 중심 교육은 정책의 의도대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정책오차를 인지하게 되면 오차수정의 절차를 거처야 함에도 이어지지 못하게 되는데 이러한 오차수정을 제약하는 요인으로는 첫째, 문제설정오차의 경우 NEAT 정책과정에 외부 전문가의 참여 부족과 정책추진주체의 성향을 들 수 있다. NEAT 개발 및 수능영어 대체 결정과정에 사회적 합의를 모으는 노력이 부족하였고, 학교나 학생 학부모 및 사교육업계의 현실적인 대응능력이나 그 결과로 나타나는 양상을 정확하게 반영하지 못하였다. 또한 정책추진주체의 성향이 이명박 정부와 박근혜 정부에서 확연하게 차이가 나면서 영어 공교육 정책이 그대로 이어지지 못하게 되었다. 둘째, 설계오차의 경우 공직사회에서 일단 정책내용이 결정되면 정책오차를 인정하려고 하지 않게 되어 오차수정 실패의 제도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조직 문화와 관료의 행태가 오차수정을 제약하게 된다. 셋째, 집행오차의 경우 집행대상 조직의 높아진 영향력과 NEAT의 기술적 복잡성도 오차수정의 제약요인이 된다. 정부의 정책에 대해 정책대상조직들이 무조건 순응하면서 따라오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학교 영어교사나 대학들의 영향력은 더욱 확대된다. 또한 NEAT의 기술적 복잡성으로 인하여 관련분야의 전문가들이 충분하지 않고 관련 문제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응하지 못하게 된다는 점도 오차수정을 제약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시정오차의 경우에는 정책의 불확실성과 정권 변화의 교체기가 오차수정을 제약하게 되는데, 2012년은 시기적으로나 NEAT의 수능영어 대체 여부를 결정해야 하고, 대통령 선거를 앞둔 상황이므로 정책의 불확실성도 높고 정책갈등도 높게 되어 오차수정을 제약하게 되며, 정치권력의 교체도 오차수정을 제약하게 되는데 새롭게 들어선 정부에서 수용하지 못하는 정책이라면 실효성이 없는 정책결정이 되고, 새로운 정부에서 수용할 수 있는 정책이라면 새 정부에서 공약으로 추진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이다.

      • 맞춤형화장품조제관리사 국가자격시험제도 개선방향성에 대한 연구 : 피부미용사의 직무관련성 분석을 중심으로

        홍지유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702

        2020년 3월 맞춤형화장품 판매업 제도가 본격 시행됨에 따라 같은 해 화장품 혼합이나 소분 등을 할 수 있는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한 맞춤형화장품조제관리사 국가자격시험제도가 시행되어 이에 대한 피부미용사의 관심이 커졌다. 화장품과 피부미용은 상호 관련성이 매우 깊고 맞춤형화장품은 개인의 피부 특성에 대해 맞춤형으로 조제되므로 피부미용사의 기술적 역량이나 경험이 더해졌을 때 업계 경쟁력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피부미용사와 맞춤형화장품조제관리사 직무 간의 상호 관련성을 중심으로 현행 맞춤형화장품조제관리사 국가자격시험제도 및 시험 교과편성을 고찰하였다. 전국에 거주하는 피부미용사 중 맞춤형화장품조제관리사 자격증을 취득하였거나 취득예정자 13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SPSS(Statistcal Packagefor Social Science) v.18 통계 패키지를 통해, 그 만족 수준을 파악하는 한편 합당한 개선 방향을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피부미용사는 실무경험을 통해 얻은 피부분석 능력을 토대로 맞춤형화장품조제관리사 직무를 병행함으로써 직업적 전문성을 제고하려는 의도가 강하다. 둘째, 피부미용사와 맞춤형화장품조제관리사는 공통적으로 화장품 및 피부에 대한 이해도를 바탕으로 고객 니즈에 부응할 수 있는 실무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는 인식이 강하다. 셋째, 피부미용사는 맞춤형화장품조제관리사 국가자격시험 제도 도입 자체에는 대체로 만족하였으나 실기검정이 없고, 응시자격 제한도 없으며 교육체계조차 갖추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실무 능력 함양 및 실무 능력 평가가 제대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인지, 시험 운영 방식에 대체로 만족하지 못한다. 넷째, 교과편성에 적용된 맞춤형화장품조제관리사의 업무 범위나 직무능력이 무엇인지 명확한 기준을 알 수 없고 현장 실무에 꼭 필요한 교과가 없다는 점에서 현재의 교과편성에 대체로 만족하지 못한다. 다섯째, 화장품과 관련된 핵심적 교과의 내용이나 분량에 대해서, 또 시험의 문항별 배점 기준을 공개하지 않는 것에 대해서도 대체로 불만족한다. 이와 같은 인식 및 만족 수준 연구 결과를 토대로 피부미용사의 자격증 취득 의도와 맞춤형화장품조제관리사 국가자격시험제도 도입 취지에 동시에 부합되는 개선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현재의 방대한 이론 학습 분량이나 필기 100% 검정 방식을 개선하여 조제 실무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피부분석, 맞춤형화장품조제, 고객상담과 관련된 실습 교과 및 실기 검정을 신설할 필요가 있다. 이에 앞서 맞춤형화장품조제관리의 직무능력표준이 개발되어야 하며, 이때 피부미용 능력단위의 기성 체계를 참조하는 방법도 맞춤형화장품조제관리사의 현장실무능력을 정의하는 단초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체계 구축 노력은 맞춤형화장품조제관리사에 대한 사회적 신뢰를 형성하여 자격증의 효용적 가치를 제고할 뿐 아니라 맞춤형화장품 조제 판매업이 우리 사회에 건전하게 정착되는 기반으로 작동할 것이라 사료된다. As the system of customized cosmetics sales was implemented in March 2020, the system of national qualification test for preparation manager who dispense the customized cosmetics was developed to nurture experts who can do cosmetics mixing and subdivision in the same year, and the interest of estheticians about this test increased. Cosmetics and skin beauties are highly interrelated, and customized cosmetics are tailored to individual skin types, so the industry's competitiveness can be further enhanced when the technical competency or experience of estheticians is add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ystem of national qualification test and current test curriculums for customized cosmetics preparation manager, focusing on the relevance between the job of estheticians and the customized cosmetics preparation manager. A survey was conducted on 131 people who have acquired or are expected to acquire a license of customized cosmetics preparation manager, from among estheticians living in all parts of South Korea. using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18 for the statistics package. The appropriate direction for improvement was explored while the level of satisfaction was grasped. The surve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stheticians had a strong intention to enhance professional expertise by performing the job of customized cosmetics preparation manager based on the ability of skin analysis obtained through practical experience. Second, it is strongly recognized that estheticians and customized cosmetic preparation managers should have practical skills to meet the needs of customers based on their understanding of cosmetics and skin in common. Third, estheticians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national cosmetics test system itself for customized cosmetic preparations managers. But there was no practical test and no qualifications for examination in this system and even an educational system was not equipped, then in this state of affairs, the ability to develop and evaluate practical skills could not be properly estimated. According to this fact, they are not satisfied with the way mostly the test is run. Fourth, it is generally unsatisfactory with the current curriculum in that it is not possible to know the clear standard of the scope of work or job ability of the customized cosmetics preparation manager applied to the curriculum, and there is no curriculum necessary for field practice. Fifth, They are generally dissatisfied with the content or quantity of essential subjects related to cosmetics, and also not disclosing the criteria of distribution for each item of the test.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recognitions and satisfaction level, the followings suggest improvement measures that are in line with the intention of acquiring a license for estheticians and the purpose of introducing the system of national qualification test for customized cosmetic preparation manager.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practical subjects and practical tests related to skin analysis, customized cosmetics preparation, and customer consultation so as to improve the current vast amount of theoretical learning or 100% written test method, thereby improving the formulation practical ability. Prior to these, the standard of the job competency for customized cosmetics preparation management should be developed, and the method of referring to the ready-made system of competence unit for skin beauty may be a first step in defining the field performance capability of the customized cosmetics preparation manager. It is expec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at the efforts to build such a system will not only enhance the effective value of the certificate by forming social trust in the customized cosmetic preparation manager, but also act as the basis for the healthy establishment of the customized cosmetic preparation sales business in our society

      • 韓國 美容師 免許制度의 改善方案에 관한 硏究

        서희원 漢城大學校 藝術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0

        본 연구는 미용사면허제도가 국가적인 차원의 인적자인개발 문제라는 인식하에 현행 한국 미용사면허제도의 문제점을 검토하여 분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종합적인 개선 방안을 마련하여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로 미용사면허권자를 보건복지부장관으로 개정해야 한다. 현행법은 특별시장·광역시장·도지사가 미용사면허를 부여하도록 규정하고 있는데 이는 시·도지사의 권한이 미용사업무와의 밀접성이 부족하다는 점에서 정당성을 인정할 수 없는 제도이다. 따라서 미용사에 관한 제도와 미용업의 영업을 관장하는 보건복지부장관을 면허권자로 하여야 한다. 둘째로 면허체계를 정비해서 면허시험을 거쳐 면허를 취득하게 하는 일원화방안을 채택해야 한다. 현행법에서의 면허요건은 일정한 학업과정을 이수한 자들과 미용사국가기술자격시험에 합격한 자들에게 면허를 부여하도록 하고 있는데, 이 중 국가기술자격시험에 합격하여 국가기술자격증을 교부받은 자에게 다시 면허를 부여해야 하는 이중적인 체계에 대한 문제점이 제기된다. 이러한 불합리를 정비하여 일원화하는 방법으로 제시되는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국가기술자격의 취득을 면허요건에서 삭제하고 미용사면허제도로 일원화하는 방법이 가장 합리적이라 하겠다. 셋째로 무시험 면허부여 제도를 폐지하여야 한다. 현행법은 고등학교 이상의 학교에서 미용에 관한 학과를 졸업하거나 고등기술학교에서 1년 이상 미용에 관한 과정을 이수한 자들에게 무시험으로 면허를 부여하도록 하고 있으나, 이는 서로 다른 수준의 학업성과를 동등하게 취급하는 부당한 결과가 된다는 점, 그리고 다른 면허제도와의 형평성에서 현저한 불공정이 발견된다는 점에서 폐지되어야 마땅하다. 넷째로 미용사면허시험은 미용사 업무를 관장하는 보건복지부장관이 시행하여야 한다. 그러나 시험관리업무는 의료인등의 면허제도와 마찬가지로 비영리법인인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에 위탁하여 시행하게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섯째로 미용사면허시험 응시요건을 일정한 수준의 교육을 이수한 자로 하여야 한다. 현행법중 미용사 국가기술자격시험의 경우 국가기술자격 법의 규정에 의거 응시요건을 따로 정하고 있지 않다. 그러나 선진제국의 미용사면허 시험제도는 한결같이 일정한 기간의 미용교육과정을 이수한 자에게만 응시의 자격을 부여하고 있다. 이는 미용의 특수성에서 비롯된 결과로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선행되는 일정한 교육을 이수한 자들만이 미용사면허시험에 응시할 수 있게 하여야 한다. 여섯째로 피부미용사제도를 도입하여야 한다. 현행법은 미용사 면허를 취득한 자만이 피부미용 업무에 종사하도록 규정되어 있으나, 이는 피부미용업무의 특성에 비추어 볼 때 합리적이지 못하다. 뿐만 아니라 피부미용 업계의 실상을 살펴볼 때 반드시 피부미용사를 독립하여 제도화해야 할 것이다. 일곱째로 독립된 미용사법을 제정하여야 한다. 미용사제도와 미용업의 영업에 관한 법이 공중위생관리법에 포함되어 있다는 점은 크게 모순이 아닐 수 없다. 미용사면허제도와 미용업의 특수성에 부합하는 독립된 미용사법을 조속히 입법하여야 한다. 1961년 '이용사및미용사법'으로 미용사면허제도를 입법화한 이래 40여년간 미용사면허제도는 다소간의 변화는 있었지만 모순되는 제도를 근본적으로 바로잡는 변화는 없었다. 그러나 한국의 미용 수준이 선진제국과 어깨를 나란히 하고 있는 상황 속에서 미용사면허의 공신력은 높이고 그 제도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는 방만으로 위에 제시한 개선안들이 입법정책에 적극적으로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reviewed and analyzed problems with the current cosmetologist licensing system in Korea under the perception that the system is crucial for development of human resources on the national level. Based on the study's results, I suggest comprehensive ways to improve the system as follows: First, a person who issues cosmetologist licenses should be the Minister of Health and Welfare. The current system, which stipulates that mayors or governors of metropolitan cities (including Seoul) or provinces issue the licenses, is hardly considered legitimate in that their competence has little relevance to cosmetologist's job. Therefore, the issuer should be revised to the Minister of Health and Welfare who is responsible for institutions related to cosmetologists and hairdressing business. Secondly, the system should be changed to a unified system under which all would-be cosmetologists obtain licenses through a licensing exam. The existing system, which prescribes that those who completed a specified course of study or acquired the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certificates are entitled to licenses, raises a problem of a double standard since it requires those who obtained the certificates to apply for the license. Of many ways proposed to fix this problem, it will be most reasonable to eliminate the national certificate from the requirements for license, unifying the system as a cosmetologist license system. Thirdly, the ”acquisition of license without an exam” provision should be abolished. Under the current system, those who completed a hairdressing-related course of study at high schools (high school graduates) or higher technical schools (those who finished the one-year or longer curriculum) are entitled to a license without an exam. This system should be abolished because it treats different levels of academic performance equally and is quite unfair in terms of equity with other licensing systems. Fourth, the cosmetologist license exams should be administered by the Minister of Health and Welfare who deals with hairdressing affairs. However, if there are practical difficulties with administering the exams, it is worth considering ways of entrusting the National Health Personnel Licensing Examination Board of Korea with doing it. Fifth, application qualifications for cosmetologist license exams should be limited to those who completed a certain level of education. The current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test requires no particular application qualifications as prescribed in the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s Act. Yet, cosmetologist licensing systems in advanced countries qualify only those who finished a certain period of course of study on hairdressing to apply for the cosmetologist license exams. That is because hairdressing needs requires specialized techniques. Thus, we should limit application qualification for the exam to only those who finished a certain level of education. Sixthly, we should introduce a esthetician license system. Under the current system, only licensed cosmetologists can engage in skin-care business. It is irrational in light of characteristics of the business. Moreover, given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skin-care business community, estheticians should be institutionalized as an independent occupation. Lastly, separate legislation concerning cosmetologists should be enacted. It is unreasonable that the law regarding cosmetologists and the hairdressing business is included in the Public Health Control Act. A separate law that can meet the requirements of the system and the particularity of the business should be enacted as soon as possible. Since 1961 when the Barbering and Cosmetology Act was enacted, the licensing system has not changed a lot with the exception of several amendments, failing to radically rectify irrational provisions. Under the current situation where Korea’s hairdressing is now as advanced as that of developed countries, the above mentioned proposals should be reflected in the legislation policy as ways to enhance public confidence in the cosmetologist license and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licensing system.

      • 치의학전문대학원 입학전형성적과 학업성취도 및 국가시험성적과의 관계

        장기완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8700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entrance examination scores for dental school students, grade point averages of dental students, and national examination scores of licensed dental students. In Korea, the traditional education for a dentist has been a 2 year pre-dental course after high school followed by a 4 year dental college course. Since 2005, a new 4+4 system has been implemented for the graduate school of dentistry. In this study, the research problems were as follows: (1) How do the five criteria of the dental school entrance examination affect the dental school admission process? (2) Is there any correlation among the five criteria of the entrance examination? (3) Is there any correlation between the five criteria of the entrance examin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in the dental school? (4) Is there any correlation between the five criteria of the entrance examination and the national examination for dental license? (5) How would the five criteria of the entrance examination for dental school affect the dental school admission process if the ratio of five contents of entrance examination for the dental school was changed? Data of the applicants' entrance examinations to ‘C’ dental school was collected for 5 years. The sample population was a total of 306 people; 194 passed and 112 failed the entrance examination for the dental school. The contents of the dental entrance examination at ‘C’ dental school were composed of 5 factors: the grade point averages (GPA) of their college life, authorized English test scores (TOEFL or TEPS by Seoul National University), dental education eligibility test (DEET) scores, an assay, and a constructed interview. All the data of the candidates for dental entrance examination were analyzed by SPSS V12 program. The GPA earned at dental school and the points earned on the National Examination for Dental License were also input. Pearson's correlation test was performed among the variable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for the outcome of the entrance examination for dental school: pass or fail. Multiple linear regressions were used to predict the grade point average earned at dental school by the scores earned on the entrance examination for the dental school.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Predisposing variables for the dental entrance examination were, in order, the authorized English test, DEET, GPA in college, and finally the constructed interview. 2. According to Pearson's correlation test,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score achieved on the DEET and the scores achieved on the authorized English test. 3. Two factors, the grade point average (GPA) of a candidate's college life and the success of the constructed interview, had a statistical significance on the academic achievement at dental school. 4. Among the 5 factors of the entrance examination for dental school, there was only on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scores of the DEET and the scores of Korean National Examination of dental license. On the basis of the findings in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made. First, the authorized English test, DEET, GPA in college, and finally the constructed interview in order affect the pass or fail for the dental school entrance examination. Second, the higher the scores of the authorized English test, the lower those of DEET. Third, GPA earned during a candidate's college life and the success of the constructed interview can predict the scores of academic achievement at dental school. Fourth, among the 5 criteria of the entrance examination, only DEET scores can predict the score of the Korean National Examination of dental license. 대학입학전형은 사회적으로 큰 관심사라고 할 수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치의학전문대학원의 입학전형성적과, 치의학전문대학원 입학 후의 학업성취도, 치과의사 국가시험성적간의 관계를 탐구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입학전형시험 구성요소별 합격·불합격에 미치는 영향력은 어떠한가? 2. 입학전형시험의 구성요소 간 상호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3. 입학전형성적은 입학 후 학업성취도와 어떤 관계가 있는가? 4. 입학전형성적과 치과의사 국가시험성적, 입학 후 학업성취도와 치과의사 국가시험성적은 어떤 관계가 있는가? 5. 입학전형시험의 구성요소별 반영비율을 달리 할 경우, 합격·불합격의 변화는 어떠한가? 연구대상은 2005학년도부터 2009학년도까지 C치의학전문대학원의 입학전형시험 합격자 194명과 불합격자 112명 총 306명이었다. 연구자료는 입학전형자료, 입학 후 학업성취도, 치과의사 국가시험성적이었다. 입학전형 구성요소는 치의학교육 입문검사(Dental Education Eligibility Test)성적, 공인영어점수(TOEFL 혹은 TEPS), 대학의 학사과정 총성적 평점(Grade Point Average), 심층면접, 서류심사이었는데, 이들 자료는 대학당국에 요청하여 확보하였다. 입학 후 학업성취도 자료는 치의학전문대학원 4년간의 학년별 평점과 총평점이었다. 그리고, 졸업생에 한하여,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에서 치과의사 국가시험성적을 확보하였다. SPSS PC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문제에 따라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 로지스틱회귀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입학전형 구성요소별로 학생선발에 있어 실제로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본 결과, 입학연도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전반적으로 볼 때 공인영어, DEET, GPA, 심층면접 순으로 나타났다. 서류심사는 합격ㆍ불합격에 실질적인 영향력이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입학전형 구성요소들 간의 상호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더니, 통계적으로 유의하기는 하지만 대체로 낮은 상관도를 보였다. 특히, DEET와 공인영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GPA만이 치의학전문대학원 입학 후 졸업까지 4년 동안 학업성취도와 꾸준히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입학전형 구성요소별 입학 후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전학년 총평점을 기준으로 DEET, 심층면접, GPA의 순이었으나, 각 학년별 평점과는 그 순서가 다양하게 나타났다. 넷째, 입학전형 구성요소들과 치과의사 국가시험간의 관계를 확인해 보았더니, 국가시험성적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은 DEET 뿐이고 나머지 요소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다섯째, 입학전형 구성요소별 현행의 입시반영비율 중에서 공인영어와 GPA의 반영비율을 맞바꾸어 설정한 후 합격ㆍ불합격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해본 결과, DEET, GPA, 공인영어 순으로 나타났다(현행의 경우, 공인영어, DEET, GPA 순). 심층면접과 서류의 영향력은 변함이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현행 치의학전문대학원 신입생선발 입학전형에서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공인영어점수이고, 그 다음은 DEET, GPA, 심층면접 순으로 영향을 미친다. 둘째, 입학전형 구성요소들간 상호 상관관계가 비교적 낮은 사실에 비추어 각 구성요소들은 입시전형에서 어느 정도 독립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셋째, 입학전형 구성요소 중에서 GPA만이 치의학전문대학원 입학 후 학업성취도에 4년 동안 계속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영향을 미친다. 넷째, 입학전형 구성요소 중에서 DEET만이 치과의사 국가시험성적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다. 다섯째, 입학전형 구성요소의 반영비율을 어떻게 설정하느냐에 따라서 합격ㆍ불합격에 변화가 온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치의학전문대학원 입학전형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정책적 제언을 할 수 있다. 첫째, 입학전형 구성요소 중 GPA만이 모든 학년에서 입학 후 학업성취도와 정적 상관관계를 맺고 있다는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입학전형에서 GPA의 비율을 좀 더 확대시키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둘째, 입학전형 구성요소 중 DEET는 치과의사 국가시험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이나, DEET와 공인영어점수는 부적 상관관계를 보인다. 따라서, 치의학전문대학원 신입생 입학전형에서 공인영어점수의 반영비율을 현재보다 축소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 맞춤형화장품조제관리사의 경력개발과정 및 자격시험제도 운영에 관한 질적 연구

        심정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687

        2020년에는 산업진흥 및 여성들의 취업을 촉진하기 위해서 맞춤형화장품조제관리사라는 국가공인자격증시험제도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국가기술자격제도는 산업 현장에서 요구하는 직무 수행능력과는 상이하게 미용업계의 현실적 요구를 반영하지 못한 채 비효율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자격증 취득 이후에도 현장에서 자격증 취득자들이 직무역할 수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 미용 산업계에서 전문성을 인정받지 못하고, 어려움을 겪는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본 연구는 2020년 도입되어 시행되고 있는 맞춤형화장품조제관리사 자격증 제도의 활성화를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문제는 맞춤형화장품조제관리사가 되기까지의 경력개발 과정과 자격시험제도의 운영과정을 질적 연구로 수행하고, 문제해결을 위한 대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방법은 Strauss와 Corbin(1990)이 제안한 근거이론에 따라 자료를 수집, 분석하는 질적 연구방법을 통해 적용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현재 현장에 취업중인 근로자 또는 취업과 학업을 병행하는 자로 2020년 1차 맞춤형화장품조제관리사 자격증 시험에 합격 또는 불합격한 자, 시험 준비는 하였으나 코로나사태로 인해 응시하지 못했으나 향후 자격증 취득 의사가 있는 총 10명이다. 연구는 근거이론이 제시한 방법을 원칙으로 수행하였으며, 자료 분석을 위해 자료의 수집은 ‘반 구조화된 면담법’으로 진행되었고, 자료의 분석은 근거이론이 제시한 코딩화의 과정을 거쳐 선택코딩을 제시하고 연구의 결론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다. II장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에서는 맞춤형 화장품 조제관리사의 개념 및 국가공인자격증을 고찰하고, 미용관련 자격제도를 국내외로 분류하여 고찰하였다. III장 연구방법에서는 연구의 전 과정을 설명하고 연구 참여자의 특성,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을 근거이론으로 분석하고 해석하였다. IV장 연구결과에서는 첫째, 맞춤형화장품조제관리사의 경력개발과정, 둘째, 자격증 시험제도의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이후 연구에서 도출된 내용을 중심으로 자격증 시험제도의 문제점을 중심으로 논의점을 제시하고, 대안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의 두 가지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의 자격증 취득까지의 경력개발과정에서 중년의 연구 참여자들은 중학교 의무교육을 마친 후에 자신의 적성과 흥미를 고려한 진로 설계를 하지 못한 채, 인문계고등학교에 진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좌충우돌하면서 화장품 업계에 진입하여 피부 샵을 직접 운영하거나, 미용학원 등에서 배우며 실무능력을 쌓고 전문가가 되기 위해 대학원에 진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충분한 현장 경험을 바탕으로 화장품산업에 대한 소비자들의 요구를 정확히 인지하고 내재적 학습동기를 갖고 이론과 실무 경험을 갖춘 전문가로 성장하려는 명확한 직업관을 갖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에 학교교육 및 대학 교육과정 속에서도 직업 및 취업교육의 강화와 국가 경쟁력 향상, 화장품업계의 성장을 위해 전문가로 성장하려는 취업자들의 경력개발을 관·민의 협력으로, 국가자격체계에 근거하여 등급화하고, 국가가 직업평생교육의 형태로 계속 지원해야 할 것을 제안하였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은 자격시험제도 운영과 관련해서 응시생의 지원 자격에 제한을 두어 맞춤형화장품조제관리사 자격 취득자에 대한 신뢰성을 높여야 할 것, 실기시험을 실시할 것, 직무수행능력을 고려하여 현장근로자들의 자격을 NCS에 기반하여 인정해 줄 것, 시험문제 난이도, 범주 등을 전문가들과 협의하여 출제할 것 등을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맞춤형화장품조제관리사는 피부에 직접 닿는 맟춤형 화장품을 소분하는 일을 하므로 직업윤리에 대한 교육도 매우 필요하다고 보았다. 이에 맞춤형화장품조제관리사 자격시험제도의 개선을 다음과 제언하였다. 자격제도는 급변하는 직업영역에서의 법규관련 지식을 포함하는 다양한 전문적 지식의 함양, 직업 수행에 필요한 실제적 기술력 향상, 그리고 직업인으로서 윤리적 태도와 계속 교육 및 평생 직업교육의 형태로 지원해야 할 것을 제언하였다. In 2020, in order to promote the industry and promote women's employment, the nationally accredited certification test system, called a customized cosmetic preparation manager, began in earnest. However, Korea's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system is operating inefficiently, not reflecting the actual demands of the beauty industry, different from the job performance required by industrial sites. Even after obtaining the certification, certification holders in the field have difficulty in performing their job roles, so they are not recognized for their expertise in the beauty industry, and suffer difficulties. With this awareness of the problem,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revitalizing the customized cosmetic preparation manager certification system introduced and implemented in 2020. The research problem is to conduct qualitative research on the career development process and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qualification examination system until becoming a customized cosmetic preparation manager, and to present alternatives for problem solving. The research method was applied through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at collects and analyzes data according to the grounded theory proposed by Strauss and Corbin(1990). Participants in the study are currently employed workers or those who are working and studying at the same time, who have passed or failed the 1st customized cosmetic preparation manager certification exam in 2020. There are a total of 10 people. The research was conducted based on the method suggested by the grounded theory, and data collection for data analysis was conducted in a'semi-structured interview method', and the analysis of the data was selectively coded through the process of coding suggested by the grounded theory. And presented the conclusion of the study. The contents of this study were organized as follows. In Chapter II, Theoretical Background and Prior Research, the concept of customized cosmetic preparation managers and nationally recognized qualifications were considered, and the beauty-related qualification system was categorized into domestic and foreign countries. In Chapter III Research Methods, the entire process of the study was explain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research participants,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methods were analyzed and interpreted as a basis theory. In Chapter IV research results, first, the career development process of customized cosmetics preparation managers, and second, the problems of the certification examination system were presented. Focusing on the contents derived from the later research, discussion points were presented focusing on the problems of the certification examination system, and alternatives were presented. Two of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in the career development process up to the acquisition of the license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middle-aged research participants entered the humanities high school after completing the compulsory middle school education without designing their career path considering their aptitude and interest. It was found that they entered the cosmetics industry while doing so and run a skin shop directly, or study at nail art and aromatherapy academies to gain practical skills and go to graduate school to become experts. They are characterized by having a clear view of profession to accurately recognize consumers' demands for the cosmetics industry based on sufficient field experience, to grow into experts with intrinsic learning motivation and theoretical and practical experience. Accordingly, the career development of employed people who want to grow into experts for the reinforcement of vocational and employment education, improvement of national competitiveness, and growth of the cosmetic industry even in school education and university curriculum is graded based on the national qualification system, It was proposed that the state should continue to support in the form of vocational lifelong education. Second, in relation to the operation of the qualification examination system, the research participants should increase the credibility of the person who acquires the customized cosmetic preparation manager qualification by limiting the applicant's application qualifications, conduct a practical examination, and take into account the job performance ability of It was found that they asked for qualifications to be recognized based on NCS, difficulty level, and category of test questions in consultation with experts. In addition, since the customized cosmetic preparation manager is subdividing customized cosmetics that directly touch the skin, it is considered that education on professional ethics is also very necessary. Accordingly,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to improve the qualification examination system for customized cosmetic preparation managers. The qualification system requires the cultivation of various professional knowledge, including knowledge related to laws and regulations in the rapidly changing field of work, improvement of practical skills necessary for job performance, and improvement of ethical attitude as a professional, in the form of continuing education and lifelong vocational education. Suggested.

      •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 쓰기 평가 분석 : 의사소통 기능 및 의사소통에 필요한 언어 형식을 중심으로

        진예근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87

        In the latter half of 2012, it will be decided if National English Ability Test(NEAT) will be administered as the test of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in Korea from the 2016 academic year on. NEAT is absolutely different from the present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CAST) in that it measures directly English productive skills including speaking and writing. So it is expected that Korean students will improve their communicative competence through the positive washback effect of NEAT. In order to investigate if the aims of NEAT, to improve students' communicative competence in English and normalize English public education, will be realized through the writing tests of NEAT, this study analyses high school students' answer sheets of two writing tests, level 3 and level 2 of NEAT with 65 communicative functions and 36 language forms according to the revised 7th curriculum. The level 3 writing test has four questions and the level 2, two questions. For this, approximately 100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writing tests of NEAT with these six sample questions. The following four research questions are addressed. 1) Does each sample question in the level 3 writing test let test-takers use as many communicative functions and language forms for communication as are expected to be taught in public education and draw their communicative competence? 2) Do four sample questions in the level 3 writing test as a whole let test-takers use as many communicative functions and language forms for communication as are expected to be taught in public education and draw their communicative competence? 3) Does each sample question in the level 2 writing test let test-takers use as many communicative functions and language forms for communication as are expected to be taught in public education and draw their communicative competence? 4) Do two sample questions in the level 2 writing test as a whole let test-takers use as many communicative functions and language forms for communication as are expected to be taught in public education and draw their communicative competence? The result is as follows. 1) In the respect of communicative functions, communicative functions test-takers do not use are more than ones they use among 65 ones. Additionally, they use a couple of communicative functions intensively and a number of functions are used under 1 percent. 2) As for language forms for communication, test-takers use 31 language forms out of 36 ones. However, a lot of language forms are used under 10 times. 15 language forms are used under 1 percent in the level 3 writing test and 13 ones in the level 2 writing test. These results show that the writing tests of NEAT do not let test -takers use a variety of communicative functions and language forms for communication and draw their communicative competence. From the results above, a few things are noted. 1) A various types of questions should be developed because NEAT questions are from item-types bank. Thus, NEAT should draw test-takers' communicative competence letting them use more communicative functions and language forms in each question and as a whole. 2) In public education, communicative functions and language forms, which students are requested to acquire but they do not know well and use, should be taught properly. This study informs English teachers and students of those functions and language forms. 3) There are quite a few grammatical errors and semantical ones in answer sheets. Appropriate usage and accurate expressions need to be taught to students in the public education. 4) Some test-takers wrote Korean words in Korean because they do not know them in English. Some Korean words they wrote are quite easy in English, too. Not a few test-takers are poor at English words. English teachers should teach easy and practical English words to students so that they can explain difficult concept with easy words and have better communicative competence.

      • 이미지 시스템을 이용한 국가시험 채점에 관한 연구 : 대학수학능력시험 전산채점 시스템 사례를 중심으로

        염동호 건국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85

        매년 여러 종류의 국가시험이 실시되고 있다. 대부분 국가시험이 큰 규모의 시험으로 시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큰 규모의 시험은 사회적 이슈를 종종 불러오기도 한다. 따라서 국가시험은 항상 투명하고 공정하게 실시되어야하며, 채점방식에 있어서도 효율적이고 신뢰성 있는 채점 시스템의 이용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국가시험이 높은 신뢰성과 효율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발전된 채점 시스템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 대학수학능력시험의 OMR답안지 채점 시스템을 분석하고 이미지 채점 시스템을 통하여 발전된 답안지의 판독 방식과 효율적인 답안지 보관 방법, 작업자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 수험자의 편의성 증대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실험을 통하여 결과를 분석하고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이러한 이미지 채점 시스템은 OMR답안지 채점 시스템 비해 저렴한 유지비용과 시간, 공간적 문제를 해결해 주었고 높은 신뢰성과 효율적인 채점 시스템 방안을 제시하였다. Each year, various kinds of national examinations are held. Most national examinations are held in large scale, and this large scale quality of the examination sometimes invites societal issues. Therefore, national examinations must be held transparently and fairly, and adoption of an efficient and reliable scoring system is required as their scoring method. The paper suggested an improved scoring system scheme which allows national examinations to maintain high level of reliability and efficiency. For this, the paper analyzed scoring system of OMR answer sheets that the current government-sponsored scholastic aptitude test uses, and through image scoring system, the paper recommended ways to decode the improved answer sheets, to efficiently store answer sheets, to increase scorers' efficiency, and to raise exam takers' convenience. Further, the paper analyzed results of experiment and verified its validity. This image-scoring system allowed cheaper maintenance cost, solved time and spatial problems, and presented higher reliability and efficiency when compared to scoring system of OMR answer shee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