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고등학교 영어교과서의 영미 문화 내용 분석

        박민경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aim of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textbook contents of the Western culture in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and to suggest about the need that cultural activities in the classroom should be based on specific instructional goals. Especially, this study employed Seelye's framework for teaching culture to analyze the textbooks. Learning the culture of a second language community has been considered important in second language research. Thus, it is presumed that teaching the target language culture should go beyond teaching it at knowledge level and lead students to successfully communicate with foreigners in English. However, review of literature showed that there exist no specific teaching goals for teaching culture to secondary school studen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some of literary works in the textbooks did not have any information whether they were authentic materials or not. Secondly, in all of the textbooks examined, reflections on a diversity of social variables within the Western culture such as age, gender, ethnicity, the place of residence were not sufficient. Third, visual information such as ads, photos containing cultural features of the target culture could be found in the textbooks, however, some of the vidual images were not relevant to the contexts in which they were presented. Fourth, although dialogues making use of role -plays were found in each chapter of the textbooks, only two dialogues were distinguished from other dialogues in terms of providing students with more opportunity to explore the Western culture at deeper levels. Fifth, most chapters were limited with regard to meeting physical, psychological needs of students by failing to include various cultual materials. Sixth, there were few task-based activities through which students would be given opportunity to deal with the Western culture. Overall, most contents and activities in English textbooks were either inadequate or poorly designed, requiring more efforts on the part of textbook writers to improve students' knowledge of the Western culture.

      • 담배 가격 인상이 성인 남성의 음주 행태에 미치는 영향 : 흡연 강도에 따른 이질성을 중심으로

        박민경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국민건강증진을 목적으로 시행된 2015년 담배 가격 인상 정책이 성인 남성의 음주 행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분석방법으로는 이중차분법을 이용하였으며, 흡연 강도에 따른 이질성을 알아보기 위해 정책 이전의 흡연 강도를 기준으로 처치집단을 세 집단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담배 가격 상승 이후 하루 평균 흡연량이 한 갑 이상인 무거운 흡연자 집단의 음주량 및 위험 음주가 비흡연자 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2015년 담배 가격 인상 이후 무거운 흡연자의 월 평균 음주량은 비흡연자에 비해 8.6% 더 감소하였으며, 고위험 음주 확률과 월간 폭음 확률은 비흡연자에 비해 각각 3%p, 4.2%p 더 감소하였다. 현재 음주자만을 대상으로 분석하였을 때에도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나, 추정된 계수의 크기와 유의성은 감소하였다.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하위 표본을 구성하여 분석하였을 때에도 일관성 있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가벼운 흡연자와 보통 흡연자의 경우 대체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얻을 수 없었으며, 인구통계학적 집단에 따라 그 방향 또한 상이하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담배와 주류가 무거운 흡연자 집단에서는 보완 관계를 가지며, 가벼운 흡연자 또는 보통 흡연자 집단에서는 일정한 관계를 갖지 않는다는 것을 추측해볼 수 있다. 본 연구는 기존 담배 소비량에 따라 담배 가격이 상승이 음주 행태에 미치는 영향이 상이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In this paper, I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2015 cigarette price increase policy on the drinking behavior of adult males. I use difference-in-differences method for the analysis and the treatment group is divided into three groups based on the smoking intensity before the policy, to show the heterogeneity by smoking intensity. As a result, I fin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s in alcohol consumption and risky drinking caused by the cigarette price increase, in the heavy smoker group. After the cigarette price increase in 2015, the average monthly alcohol consumption of the heavy smokers decreased 8.6%p more than the nonsmokers. The likelihood of high-risk drinking decreased 3%p more than the nonsmokers and the likelihood of monthly binge drinking decreased 4.2%p more than the nonsmokers. Similar results are obtained by analysis with only current drinkers, although the magnitude and statistical significance decreased. Also, I obtain consistent results from subgroup analysis. There is little significant and consistent results with the light smoker and average smoker groups. From this, I document that cigarettes and alcohol are complement in the heavy smokers, while there is no consistent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goods in light and average smoker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effect of an increase in cigarette price on drinking behavior may differ depending on the cigarette consumption level before the increase.

      • 불임 여성의 스트레스와 배우자 지지의 관계

        박민경 한양대학교 행정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불임 여성의 스트레스와 배우자 지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함이며, 연구 대상은 서울시에 위치한 불임클리닉 외래를 방문하는 불임 여성 150명이었다. 자료 수집기간은 2007년 3월 26일부터 5월 1일까지였다. 연구 도구는 불임 스트레스 측정을 위해 김선행 등(1995)이 개발한 도구를 오미나(2001)가 수정, 보완한 것을 사용하고 배우자 지지 측정 도구는 남가실(1987)의 배우자지지 도구를 본 연구자가 수정, 보완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빈도와 백분율,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평균, 표준편차, T-test와 ANOVA, Duncan의 사후검정 및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전체 불임 스트레스는 2.12점으로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 위영역 중 자녀의 의미 영역이 2.94점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전체 배우자 지지 수준은 3.92점으로 배우자의 정서적, 신체적지지 행위 수준 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하위 문항 중 ‘나는 배우자를 믿고 의지할 수 있다’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문항 모두 평균 3점을 넘고 있어 배 우자 지지 수준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불임 여성의 스트레스를 분석한 결과 전체 스트레스에는 어떤 특성에서도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 집착적 사고 영역이 월수입에 따 라, 가족 적응영역이 결혼기간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불임관련 특성에 따른 불임 여성의 스트레스 차이를 분석한 결과 전체 스트레 스가 치료기간, 비용부담, 중절경험, 부담자 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불임 여성의 스트레스와 배우자 지지 수준이 중정도의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 였다. 6. 전체 불임 스트레스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배우자 지지(R2=.154), 치료비용 부담감(R2=.211)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총 36.5%의 설명력을 갖는 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해보면 배우자 지지가 불임 여성의 스트레스와 연관이 있으므로 대상자에게 배우자 지지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infertile women's stress and their husbands' support.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sampled 150 infertile women who had visited an infertile clinic as outpatients.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March 26 through May 1, 2007. In order to measure subjects' infertile stress, the researcher used a scale developed by Kim Sun-haeng, et al., (1995) and modified and complemented by Oh Mi-na (2001). And in order to measure their husbands' support, the researcher modified and complemented the 'Husband Support Scale' developed by Nam Ga-sil (1987). The data collected were processed using the SPSS program for frequencies, percentage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eans, standard deviations, T-test, ANOVA and Duncan ex post facto 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Subjects' overall infertile stress scored a little lower (2.12). The sub-variable of the stress scoring highest (2.94) was 'significance of having a child'. 2. Husbands' support scored 3.92, and particularly, their emotional and physical support were higher. The sub-variable which scored highest was 'I trust my wife, relying on her'. Every sub-variable scored more than 3.0 point, which suggests that husbands' overall support was relatively high. 3. As a result of analyzing subjects' stress levels depending on their demographic variables, there was f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overall demographic variables. Merely, significant differences of 'obsession with a baby' were found depending on such variables as family income levels, while family's adaptation to 'no baby' differ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length of marriage life. 4. As a consequence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of infertile women's stress levels depending on their infertile characteristics, it was disclosed that the difference were significant depending on length of treatment, financial burden, experience of interruption of pregnancy and those paying for the medical cost. 5. Infertile women's stress was more or less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their husbands' support. 6. The factors affecting infertile women's stress were husbands' support (R2=.154) and financial burden for medical cost (R2=.211); these two factors' explanatory power was 36.5%. Summing up, since husbands' support was correlated with infertile women's stress, it is deemed necessary to find the ways to enhance husbands' support for their infertile wives.

      • 전자알림장을 통한 부모와의 의사소통 현황 및 교사 인식에 관한 연구

        박민경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research tries to newly review efficient uses of electronic class notes along with the smart age by studying how much the current child education institutions are using electronic class notes for communication with parents now in 2017, how well teachers are aware of the effect of the function and the usefulness of components while using electronic class notes, and what kind of experiences they are going through about communication with parents through electronic class notes. Specific research question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ing. 1. What is the current status of communication with parents through electronic class notes? 2. What is teachers’ awareness on effect and usefulness of electronic class notes? 2-1. How is the effect of function of electronic class notes? 2-2. How is the usefulness of components of electronic class notes? Survey samples of this research were 400 currently employed child care teachers working at child care center (national/public child care center, private, home, and workplace child care center)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One to one counseling participants were selected from those who voluntarily applied through ‘Hiring research participants’ provided with survey questions; there were 8 of them in total - 2 new teachers for each class of toddler class and young child class with less than 3 years of experience, and 2 teachers for each class of toddler class and young child class with over 3 years of experience. Research questions were constructed with questions on current status on communication with parents, effect of function and usefulness of constructs of electronic class notes and general background on teachers. Collected data were handled with SPSS 21.0 Statistics Package program and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technology statistics, trust, average, SD, One-Way Anova. One to one counselling data was analyzed through distribution and after systematization through open coding, it was analyzed axis-coding.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summarized as following. 1. Current Status of Communication with Parents through Electronic Class Notes First, ‘Kid’s Note’s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electronic class note kind, and the most number of teachers used electronic class note ‘more than 2 years’. Teachers demonstrated use of electronic class note ‘almost every day’, but the frequency differed according to the age of students, which showed the frequency of use and the classroom age had close relation. The biggest number of teachers answered that they use the ‘break or snack time’, which suggests that each institution already has proper limitations and rules for checking and writing electronic class note for not giving any problem with child education and child care. Secondly, information communicated with parents are shown in such order of ‘playtime and education activities at institution’, ‘emotion and health status of the child’, ‘sudden event or schedule conflict or notification’, which tells that teachers are trying to deliver how the child is doing at the institution which parents cannot see, and the communication is centered around information which has to be notified immediately and which requires opinions from parents. Such information was shown differently according to each class age so that the kind of communicated information and classroom age have close relationship. Especially, since electronic class notes are written in writing, it can be misunderstood. Therefore, when dealing with negative contents, teachers prefer phone calls. For teachers’ opinions and question frequency were answered ‘frequently’ or ‘seldom’ by most teachers, showing that teachers are frequently using electronic class notes to ask questions, or discuss directions, cooperation, connecting education activities. Here, when teachers are leading communication actively by asking for answers or parents’ opinions, the responses were shown to be increased. Satisfaction on parents’ responses were shown to be ‘average’, ‘satisfactory’ in order, which suggests that since there is no limitation of space for writing in electronic class notes, it is possible to deliver details on the child with attached files of photos and videos. Therefore, parents can have higher satisfaction level since more live information is delivered and in order to express such satisfaction to teachers, the number of responses have increased. Thirdly, advantages of electronic class notes are ‘it helps to deliver information on the child’s school life through various functions (notification, album)’ as the first and the second ranking and ‘it is convenient to deliver special notifications and it is easier to check if they received the information’ as the third. Teachers who need to complete tasks with many number of parents can deal with the tasks rapidly and conveniently through electronic class notes, and parents can receive live information to relieve any curiosity, worries, and nerve on their child, which enhances trust and satisfaction toward teachers. Especially, it holds special meaning that not only mother but father can have increased interest toward their child, participating in child care together. Fourthly, for disadvantages of electronic class notes, the answer ‘etc.(none)’ was chosen mostly, which showed that most teachers are using electronic class notes without any particular problem. For the question on ‘what if electronic class notes are not used’, the answer ‘etc.(well used, none)’ was chosen, which demonstrates the current teachers are using electronic class notes well. However, teachers are getting stressed over writings sent by parents not following the regulations set by the institution but had to accept the requirements of parents due to relationships with parents; they emphasized this evil cycle of demolished barriers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often. Besides, teachers pointed out that the headmasters should not intervene the process uncomfortably because they feel pressured over writing electronic class notes. Especially when they are required to write electronic class notes every day for young child class with many number of students, teachers often forget the positive effect of electronic class notes, but they become seeing them only as tasks to be done, pointing out efficient management plan considering the reality should be prepared by the institution. Despite such realistic struggles, teachers emphasized that electronic class notes are helpful in communication with parents, and they are willing to continue to use them since they are already used to its speed and convenience. 2. Awareness on effect of function and usefulness of components of Electronic Class Notes The most effective part of electronic class note was understood as ‘the smooth communication (electronic class note) function between institution-family’, and the differences in functional effect according to the background factors of teachers are as following. First, functional effect according to the institution type was shown to be understood by ‘Workplace Child Care center’ teachers,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most functions. Second, functional effect according to classroom age was shown to be understood differently according to classroom age, showing no significant differences for each function. Thirdly, there was different awareness on functional effect according to career experiences, showing no significant difference for each function. Through such result, experienced teachers understand electronic class notes to be more efficient since they have experienced the use of paper notes, phone calls, texts and face to face communication methods before. Fourthly, teachers in age group of ‘35 to 39’ are aware of the functional effect the most effectively, showing no significant difference for each function. Fifthly, depending on the fluency of smart-device was perceived to have effect on the functional effect, showing no significant difference for most function. Sixthly, based on the average M and SD value, difference between functions for background factors of teachers was examined, which showed that most were aware of that ‘smooth communication between institution-family(electronic class notes)’ to be effective. For usefulness of constructs of electronic class notes, ‘class notes’, ‘notification’, ‘album’ were shown to be useful in this order, and the differences in the usefulness of constructs according to background factors of teachers are as following. First, functional effect according to the institution type was shown to be present, showing no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most functions. Through this, in terms of ‘workplace child care center’, since children spend long time at the institution, factors that can confirm how the day went for the child with live details as well as ‘notification’, ‘schedule’, ‘food menu’ which enables to deliver the information at once for all parents were understood to be more useful. In cases of private and home child care center, since the center is managed in small size, in order to enhance parents’ trust for the institution, factors for PR such as ‘album’ and ‘data room’ were understood to be more useful. Second, usefulness of construct according to classroom age was shown to be different according to classroom age, showing no significant difference for each construct. Thirdly, there was different awareness on usefulness of construct according to career experiences, showing that teachers with experiences of ‘2 years∼less than 3 years’ understand constructs more useful than other experienced teachers. I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for most constructs. Fourthly, teachers in age group of ‘45 to 50 or above’ are aware of the usefulness of constructs the most effectively, showing no significant difference for most construct. Fifthly, depending on the fluency of smart-device was perceived to have effect on the usefulness of construct, suggesting that teachers with ‘average or above’ frequency are aware of the usefulness mostly. I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for most function. Sixthly, based on the average M and SD value, differences between usefulness of constructs according to background factors of teachers were examined. It showed that most teachers perceive ‘class notes’ and ‘notification’ constructs to be effective. 3. Teachers’ Experience on Communication with Parents through Electronic Class Notes First, while writing electronic class notes, teachers naturally observe young children more often, and they communicate with them with more care and focus on their responses, according to the interview. Using such information, teachers plan fun activities considering their interests, which increased more fun and educational activities, and made them try more various teaching approaches. It eventually increased parents’ satisfaction, and it has become motivation for them to prepare classes more thoroughly. Also, by writing electronic class notes, teachers more often discuss with co-teachers on development or any behavioral changes of young children, which enabled more sensitive response, and it allowed them to have broader and various perspectives on children, which extremely helps in planning teaching direction. Moreover, teachers can try connection with families through electronic class notes so that consistent education and life lesson can lead to higher effect to be expected. Considering such results, teachers are experiencing positive outcomes that can improve the quality of child care by increases in observing young child, interaction with co-teachers, and self-learning since the use of electronic class notes. Secondly, teachers emphasized that through frequent communication with parents through electronic class notes, teachers could establish positive relationships with parents from trust, closeness, and thankfulness. Furthermore, it is a solid foundation as well as new motivation factor that teachers can have enhanced self-efficacy and self-esteem which help them overcome various struggles. on the contrary, there were several cases that teachers felt overwhelmed by the overloading of work due to time and efforts used in writing electronic class notes and increased requirements by parents. However, through this counseling, it was a great opportunity for them to re-acknowledge various roles of electronic class notes by studying experiences of electronic class notes so far. Considering such points, adequate management and flexible control by institutions would be closely related to teachers’ awareness on electronic class notes. 본 연구는 2017년 현재 유아교육기관에서 부모와의 의사소통을 위해 전자알림장을 얼마나 사용하고 있는지 그 현황과 교사들이 전자알림장을 사용하면서 기능별 효과성 및 구성메뉴의 유용성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또 전자알림장을 통한 부모와의 의사소통에 대해 어떠한 경험을 하고 있는지 함께 알아봄으로써 스마트한 시대에 어울리는 전자알림장의 효율적인 활용방안에 대해 새로운 검증을 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전자알림장을 통한 부모와의 의사소통 현황은 어떠한가? 2. 전자알림장의 효과성 및 유용성에 대한 교사 인식은 어떠한가? 2-1. 전자알림장의 기능별 효과성은 어떠한가? 2-2. 전자알림장 구성메뉴의 유용성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설문조사 대상은 서울시와 경기도에 소재한 어린이집(국·공립어린이집, 민간, 가정, 직장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보육교사 40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1:1 면담 대상자는 설문지 참여자 중 설문지와 함께 제공된 ‘연구대상자모집공고문’을 통해 본 면담에 자발적으로 참여의사를 밝힌 보육교사 중 경력 3년 이내의 영아반과 유아반 신입교사 각 2명, 경력 3년 이상의 영아반과 유아반 경력교사 각 2명인 총 8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하여 혼합연구 방법을 실시하였다. 조사도구는 전자알림장 통한 부모와의 의사소통 현황, 전자알림장의 기능별 효과성 및 구성메뉴의 유용성, 교사의 일반적 배경 등으로 문항을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으로 처리하였고, 빈도분석과 기술통계, 신뢰도, 평균, 표준편차, 일원 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1:1 면담자료는 전사를 통하여 분석하였고, 조직화 한 후 개방 코딩을 통한 축코딩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전자알림장을 통한 부모와의 의사소통 현황 첫째, 전자알림장의 종류로는 ‘키즈노트’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전자알림장을 사용한 기간으로는 ‘2년 이상 사용’한 교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는 전자알림장을 ‘거의 매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학급 연령에 따라 사용 빈도가 달라진다고 말해 사용 빈도와 학급 연령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전자알림장의 사용 시간은 ‘간식 및 휴식시간’에 사용한다고 대답한 교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전자알림장 사용은 보육에 방해가 되지 않을 수 있도록 기관마다 확인 및 작성 시간 등 적절한 제한과 규칙 등을 미리 정해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어 시사점이 있다. 둘째, 부모와 소통하는 정보의 종류로는 ‘기관에서의 놀이 및 교육활동에 관한 내용’, ‘영유아의 기분 및 건강상태’, ‘급작스런 일이나 일정조정 및 공지사항’의 순서로 나타나 교사는 부모가 보지 못해 궁금해 하는 자녀의 기관 생활의 모습을 전달하고자 하고, 즉각적으로 알려야하거나 의견을 구해야 하는 정보들을 중심으로 소통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러한 정보는 학급 연령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 소통 정보의 종류와 학급 연령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전자알림장은 글로 전달되어 오해의 소지가 있기 때문에 부정적인 내용을 전달할 때에는 전화를 좀 더 선호한다고 말하였다. 교사 의견 및 질문빈도로는 ‘자주’ 혹은 ‘가끔 올린다’고 대답한 교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나 교사는 학급 원아에 대해 궁금한 사항이나, 지도사항, 협조요청, 교육활동 연계 등을 위해 전자알림장을 자주 활용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이 때 교사가 부모의 의견이나 답변을 요구하는 등 적극적인 방법으로 소통을 이끌어 나갈 때 부모의 답변횟수는 증가한다고 말하였다. 부모 답변에 대한 만족도로는 ‘보통’, ‘만족한다’의 순서로 높게 나타났는데, 이를 통해 전자알림장은 작성 공간에 제약이 없어 영유아에 대한 자세한 정보의 전달이 가능하고, 사진과 동영상이 첨부되어 부모는 자녀의 기관생활에 대한 정보를 보다 생생하게 전달 받을 수 있게 되면서 만족도가 높아졌으며, 부모가 이러한 만족감을 교사에게 표현하고자 답변 횟수가 증가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전자알림장의 장점으로는 ‘다양한 기능(알림장, 앨범)을 통해 영유아의 기관 생활에 대한 정보 전달에 도움이 된다’가 1, 2순위로 나타났고, ‘특별사항을 전달할 때 신속함과 수신 확인 여부 파악의 편리함이 있다’가 3순위로 나타났다. 이는 여러 명의 부모를 상대로 업무를 처리해야 하는 교사가 전자알림장을 통해 업무를 신속하고 편리하게 처리할 수 있고, 부모가 생생한 정보를 제공 받으면서 자녀에 대한 궁금증, 걱정, 불안 등을 해소시킬 수 있어 교사에 대한 신뢰와 만족감을 높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고 하였다. 특히 엄마 외에 아빠도 자녀에 대한 관심을 높여 육아에 동참할 수 있는 창구의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어 시사점이 있다. 넷째, 전자알림장의 단점으로는 ‘기타(없음)’가 가장 높게 나타나 대부분의 교사들은 전자알림장을 사용하는데 있어 큰 불편함 없이 잘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약 전자알림장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그 이유를 묻는 질문에는 ‘기타(잘 이용, 없음)’가 가장 높게 나타나 현재 교사들은 전자알림장을 잘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교사는 기관에서 정한 사용 규제를 지키지 않고 시간에 상관없이 보내는 부모의 글에 대해서는 스트레스를 받지만 부모와의 관계를 의식해 부모의 요구를 수용하게 되고, 이 때문에 사용 규제의 경계가 점점 무너지는 악순환을 경험한다고 강조하였다. 이 외에도 원장님의 불편한 개입으로 전자알림장 작성에 부담감을 느끼게 되어 개선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하였다. 더욱이 상대적으로 학급 원아의 수가 많은 유아반에서는 전자알림장을 매일 작성해야 하는 경우 전자알림장의 긍정적인 기능은 모두 잊게 되고, 오직 업무를 가중시키는 알림장으로 인식하게 된다고 말해 기관에서는 현실을 반영한 효율적인 운영 방침이 필요하다고 지적하였다. 이러한 현실적인 어려움에도 교사들은 전자알림장이 부모와의 의사소통에 도움이 되고, 업무를 처리하는데 있어 신속함과 편리성에 이미 익숙해져 앞으로 계속 사용할 의사가 있다고 강조했다. 2. 전자알림장의 기능별 효과성 및 구성메뉴의 유용성 인식 전자알림장의 기능별 효과성으로는 ‘기관-가정의 원활한 의사소통(전자알림장) 기능’을 가장 효과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육교사의 배경원인에 따른 기능별 효과성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관 유형에 따른 기능별 효과성은 ‘직장어린이집’ 교사가 가장 효과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능별로 대부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급 연령에 따른 기능별 효과성은 학급 연령에 따라 인식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능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 경력에 따른 기능별 효과성은 보육 경력에 따라 인식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능별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경력교사들은 수첩, 전화, 문자, 면대면 등의 의사소통 방식을 모두 사용해본 경험이 있어 전자알림장을 사용해본 경험과 비교해볼 수 있기 때문에 전자알림장을 좀 더 효과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넷째, 교사 연령에 따른 기능별 효과성은 ‘만 35세∼만 39세’의 교사들이 가장 효과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능별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스마트기기의 활용 수준에 따른 기능별 효과성은 활용 수준에 따라 인식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능별로는 대부분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평균 값(M)과 표준편차 값(SD)을 기준으로 보육교사의 배경원인에 따른 기능별 효과성 차이를 살펴본 결과, 대부분 ‘기관-가정의 원활한 의사소통(전자알림장)’ 기능을 효과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자알림장 구성메뉴의 유용성에 대해서는 ‘알림장’, ‘공지사항’, ‘앨범’ 메뉴의 순서로 유용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육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구성메뉴별 유용성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관 유형에 따른 구성메뉴별 유용성은 기관 유형에 따라 인식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성메뉴별로는 대부분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직장어린이집의 경우 영유아가 긴 시간을 기관에서 보내기 때문에 영유아의 하루 일과를 생생하게 확인시켜줄 수 있는 ‘알림장’ 메뉴와 다수의 부모에게 한 번에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공지사항’, ‘일정표’, ‘식단표’ 메뉴 등을 좀 더 유용하게 인식하고, 민간+가정어린이집 경우 작은 규모로 운영되는 기관들이 많아 기관에 대한 부모의 신뢰를 높이기 위해 ‘앨범’이나 ‘자료실’과 같은 홍보적 기능을 할 수 있는 구성메뉴를 좀 더 유용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학급 연령에 따른 구성메뉴별 유용성은 학급 연령에 따라 인식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성메뉴별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 경력에 따른 구성메뉴별 유용성은 ‘2년∼3년 이하’의 신입교사가 경력교사에 비해 구성메뉴에 대해 유용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성메뉴별로 대부분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사 연령에 따른 구성메뉴별 유용성은 ‘만 45세∼만 50세 이상’의 교사들이 구성메뉴에 대해 유용하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구성메뉴별로는 대부분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스마트기기 활용 수준 따른 구성메뉴별 유용성은 활용수준이 ‘보통’ 이상의 교사들이 구성메뉴에 대해 유용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성메뉴별로는 대부분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평균 값(M)과 표준편차 값(SD)을 기준으로 보육교사의 배경원인에 따른 구성메뉴의 유용성 차이를 살펴본 결과, 대부분 ‘알림장’, ‘공지사항’의 구성메뉴를 유용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전자알림장을 통한 부모와의 의사소통에 대한 교사 경험 첫째, 교사들은 전자알림장을 작성하면서 영유아를 관찰하는 횟수가 자연스럽게 증가하였고, 영유아의 반응에 대해 좀 더 관심을 갖고 살펴보면서 소통하고 있다고 말하였다. 교사는 이러한 정보를 토대로 영유아의 흥미를 고려한 재미있는 활동을 계획하는데 반영해 재미있는 활동이 늘어나게 되었고, 다양한 교수방법을 시도해보게 되면서 결국 부모의 만족도를 높이고, 향후 수업을 철저히 준비하게 하는 원동력이 된다고 하였다. 또한 교사들은 전자알림장을 작성하면서 학급 원아의 발달이나 행동 변화 등에 대해 동료교사와 자주 논의를 하게 되면서 좀 더 민감한 대처가 가능해졌고, 원아에 대하여 다양하고 넓은 시각으로 접근할 수 있어 지도방향을 계획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고 강조하였다. 이 외에도 교사는 전자알림장을 통해 가정과 연계를 자주 시도할 수 있어 일관된 교육과 생활 지도에 높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되었다고 말했다. 이러한 결과를 미루어 볼 때, 교사들은 전자알림장을 사용한 이후 영유아에 대한 관찰 및 동료 교사와의 상호작용 증가, 자기장학 등 보육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긍정적인 변화를 경험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교사는 전자알림장을 통한 부모와의 잦은 의사소통을 통해 부모가 보여주는 신뢰, 친밀감, 감사함 등이 부모와의 긍정적 관계를 형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고, 교사에게는 더 나아가 자기효능감과 자존감을 고취시켜 힘든 상황을 극복해나갈 수 있는 큰 버팀목이 되는 동시에 새로운 동기부여가 된다고 강조하였다. 반면, 교사들은 전자알림장을 작성하는데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 부모의 늘어난 요구로 인하여 업무가 가중된다고 느껴져 부담감으로 작용하는 경우가 있었으나 이번 면담을 통해 그동안 전자알림장에 대한 경험들을 고찰해보면서 전자알림장의 다양한 역할에 대해 재인식 할 수 있는 기회가 마련되었다고 말했다. 이러한 점으로 미루어 볼 때, 기관에서의 적절한 관리와 융통성 있는 운영은 전자알림장에 대한 교사 인식에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으로 사료되어 시사점이 있다.

      • 공군 조종사 심리지원제도에 관한 연구 : 강릉기지 사례를 중심으로

        박민경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공군에서는 사고 방지를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비행 중(重)사고는 거의 매년 일어나고 있다. 직접적으로 비행사고를 경험하는 경우는 물론이고, 동료의 죽음을 경험하는 간접적 비행사고경험이 조종사에게 주는 심리적 압박과 허탈감 등은 이루 말할 수 없으며, 주관적 수용의 정도는 다르겠지만 심리적 외상으로 남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조종사들의 심리에 대한 관리의 필요성에 대해 상부에서는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고 이에 따라 조종사들의 심리에 대한 체계적인 지원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종사에 대한 심리지원이 조종사의 심리적 안정과 PTSD(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외상 후 스트레스)의 감소, 조직후원인식 및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을 포함하는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 그에 따른 조종사 심리지원에 대한 구체적 체계의 필요성을 역설하며 발전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2010년 강릉기지에서는 3월과 6월 두 차례에 걸친 비행사고로 한 대대의 조종사 5명이 순직하였다. 잇따른 사고로 인해 사고 대대 조종사들의 심리상태는 매우 불안정하였고, 심리관리의 필요성이 제기되면서 조종사 심리안정프로그램이 최초로 시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당시 강릉기지에서 시행된 심리안정프로그램을 단일사례로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강릉기지의 사고발생부터 심리안정프로그램의 실시 이후까지의 과정을 살펴보고 심리안정 프로그램에 참여한 사고대대 조종사, 실무자를 대상으로 한 인터뷰를 통해 심리안정프로그램의 시행과정과 효과, 문제점, 보완방안 등에 대해 심층적으로 파악하였다. 추가로 심리안정프로그램을 받은 조종사와 그렇지 못한 조종사들을 비교하기 위해 비행사고를 경험하고 심리안정 프로그램을 받지 못한 조종사들에 대한 인터뷰도 진행하였다. 그리고 발전된 심리지원체계와의 비교를 위해 문헌과 인터넷 조사를 통해 미 공군의 심리지원체계와 우리나라 소방방재청의 재난심리지원체계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고, 이러한 과정을 바탕으로 마지막으로 우리나라 공군 조종사 심리지원체계의 보완 및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강릉기지 사고를 겪은 후 사고 대대의 조종사들의 심리상태가 매우 불안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조종사들은 재경험, 회피, 과각성 등의 반응을 골고루 나타냈고, 지속 시기에 따라 급성 스트레스 반응에서 PTSD 증상에 이르기까지 한 것으로 보인다. 둘째, 심리안정 프로그램 실시 후 조종사들의 조직후원인식은 대체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통제집단 조종사들과의 비교를 통해 더욱 확연하게 드러났는데 심리안정 프로그램의 혜택을 받은 조종사들은 조직에서 조종사들의 심리상태에 관심을 갖고 신경을 써준다는 인식이 조직후원인식으로 이어졌지만 심리안정 프로그램을 받지 못한 조종사들은 사고 조사 과정을 비롯한 사후 조치 과정에서 구성원에 대한 배려나 복지에 대한 관심보다는 신속한 사고 처리에 더욱 중점을 둔다는 인상을 강하게 받아 조직후원인식의 감소를 경험하였다. 셋째, 사고 발생 이후 심각한 상태로까지 진전되었던 조종사들의 불안정한 심리 상태가 심리안정 프로그램을 통해 어느 정도 회복되었던 것으로 파악되었다. 사고로 인한 심리적 불안정뿐만 아니라 본인도 알지 못했던 개인적 고민이나 조직이 가지고 있던 문제들이 드러나면서 어느 정도 좋아졌고 서로의 문제점의 공유를 통해 조직 구성원 간의 신뢰와 이해 증진에 도움이 되었다는 반응이었다. 넷째, 조직후원인식과 심리적 안정의 향상에는 도움이 되었으나 심리안정 프로그램의 효과가 조종사들의 긍정적인 직무태도 변화까지 가져오지는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조종사들이 사고 후 낮아졌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이 시간이 지나면서 어느 정도 회복되었지만, 그것이 심리안정 프로그램의 효과로 인한 것이라고 말하기는 어렵다는 반응이었다. 면접을 통해 드러난 강릉기지 심리안정 프로그램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고위험군으로 분류된 조종사들의 관리 문제와 조종사 심리 문제에 대한 상부의 인식 부족, 조종사들의 심리적 불안정에 대한 인식부족 및 심리상담에 대한 거부감, 비행사고 후 사고로 인한 심리적 피해자들에 대한 주위 사람들의 인식부족 등 세 가지 측면의 인식 문제, 그리고 심리지원에 대한 주관부서 및 통합체계의 부재와 프로그램의 내용과 관련 예산, 시간 등의 자원 부족 문제, 마지막으로 사고 지원요원에 대한 관리 방안 부재 등이었다. 인터뷰를 진행한 대부분의 조종사들이 심리안정 프로그램의 시행 자체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여 조종사들의 심리 관리 및 지원에 대해서는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강릉기지 사고 발생 당시 수립되어 현재까지 진행되고 있는 심리안정 프로그램에서는 많은 문제점과 부족함이 있다는 것을 조종사와 실무자 공히 인식하고 있었으며, 이에 대한 보완이 절실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현재의 심리안정 프로그램을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조종사 심리지원을 담당하는 주관부서가 설정되어 조종사 심리지원에 대해 책임 있고 철저한 정책 시행이 되어야 하며 심리지원과 상담 관련 공군의 일원적인 체계가 갖추어져야 한다. 그리고 조종사 심리지원 팀이 상설 조직으로 신설되어 의무, 교육 등 각 실무자들이 유기적으로 프로그램을 진행할 수 있어야 한다. 나아가 평소에도 각 부대에서 조종사들의 심리 상태를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이 갖추어지는 방향으로 나아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프로그램의 상담횟수 증가, 적절한 follow up, 고위험군 관리에 대한 명확한 지침 설정, 조종사 가족에 대한 심리지원 보장, 사고 지원요원 관리방안 수립, 심리지원 실무자에 대한 권한 설정 등 내실 있는 프로그램의 시행을 위한 내용 보완이 필요하며 이러한 제반 사항들을 비롯해 각 단계별, 조종사의 상태별 대응 지침 등을 수록한 심리지원 매뉴얼이 작성되어야 한다. 두 번째로, 정신과 군의관, 정신건강 전문 간호 장교, 상담사 등의 군 내 인력보충을 위한 전문가 육성 방안 수립, 아웃소싱을 통한 인력 확보와 해당 인원들에 대한 사전 교육을 통해 어떤 상황이 불시에 발생하더라도 조종사 심리 지원에 활용 가능한 인력 풀 구축 방안을 수립해야 한다. 세 번째로 심리지원에 관한 교육이 필요하다. 지휘관, 조종사 그리고 전 장병을 대상으로 앞서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던 인식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각 대상자별로 교육계획이 수립되어야 한다. 그리고 심리지원 실무자들에 대한 교육이 사전에 미리 실시되어 효과적인 프로그램 제공을 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심리지원 및 상담 관련한 정보를 쉽게 습득하고 접근이 용이하도록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민간 연구기관, 학회, 의료기관 등과 민·군 협력체계를 구축함으로써 군 정신건강에 대한 전문적 지식 확립과 대처방안 수립에 힘써야 한다. 그리고 상담 지원이 가능한 각 지자체 및 협회 등과의 연계를 통해 심리지원 노하우를 습득하고 인력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민간에서도 상담분야가 그렇게 발전하지 않았고, 심리 상담 관련 분야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이 매우 낮은 편이다. 보수적 성향을 가진 군에서는 더욱 그렇다. 그러나 군의 사기 앙양이나 전투력 향상에 있어서 정신적인 무장은 첨단 무기의 배치 등 외형적인 전투력보다 더욱 중요한 측면이다. 우리 군에서도 이러한 정신전력의 중요성을 깨닫고 이와 관련한 체계를 발전시켜나가야 하며, 특히 국방력에 있어 핵심요소인 조종사들의 심리지원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위한 정책을 수립하고 체계를 보완하는 것이 시급하다. 강릉기지에서 적용된 심리안정 프로그램은 공군에서 처음으로 시도된 조종사 심리지원 프로그램으로, 본 연구에서 해당 심리지원 프로그램에 대해 분석함으로써 조종사 심리지원의 효과성을 분석한 첫 시도였다는 점과 심리안정 프로그램 시행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파악하고 미 공군의 발달된 심리지원 체계에 대한 분석 등을 통해 조종사 심리지원 체계의 발전 방향을 제시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고 본다. 그러나 강릉기지 사고 이후에도 심리안정 프로그램이 세 차례 실시되었으나 강릉기지 사례에 대한 단일 분석을 실시하여 통합적인 분석을 제시하지 못했다는 한계가 있다. 2011년 시행된 심리안정 프로그램은 민간 상담사가 파견되지 않는 등 프로그램의 내용이 더욱 축소되어 심리안정 프로그램의 효과나 조종사들의 인식이 달랐을 것이고, 각 사고별로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강릉기지에서 드러나지 않은 문제점들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으나 이런 것들에 대해 살펴보지 못하였다. 또한 면접과정에서도 여러 차례 언급되었듯이 조종사 심리관리에 있어 조종사의 가족들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면접대상에 가족들을 포함시키지 못하였다. 이후에 진행되는 연구에서는 가족들에 대한 분석도 포함하여 더욱 넓은 범위에서 통찰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효과분석에 있어서 인터뷰 위주의 분석을 실시함으로써 객관적인 평가가 부족했을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프로그램의 문제점이나 보완방안에 대한 심층적인 파악을 위해서는 면접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판단되었고, 심리지원제도의 특성상 객관적 자료의 수집이 불가능했다는 점에서 최선의 선택이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 천식 기도염증에서 단쇄지방산의 영향

        박민경 한양대학교 의생명공학전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천식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흔한 만성 호흡기 알레르기 질환으로 지난 수십 년간 유병률이 빠르게 증가하였다. 세균감염과 같은 미생물의 영향이 관여할 것으로 보고 되고 있으나 기전에 대한 이해는 부족한 실정이다. 장 마이크로바이옴 연구를 통하여 장에 존재하는 혐기성 균에서의 발효물질인acetate, propionate, butyrate 등의 SCFA가 수지상 세포의 활성화에 영향을 주어 Th2세포로의 분화를 줄이고 이로 인한 레르기 기도염증의 발생도 감소시킨다는 보고가 있다. 기관지와 폐 등 호흡기에서도 마이크로바이옴 분포가 확인되었고 정상인과 차이를 보이는 천식 기도의 마이크로바이옴이 보고되고 있으나, 아직 기도염증에 미치는 영향과 기전에 대하여서는 연구결과가 일관되지 않는다. 이러한 마이크로바이옴 변화가 어떤 기전에 의하여 천식 기도염증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려진 바 없으며, 단쇄지방산이 호흡기에서의 발현과 기도염증에 미치는 영향과 기전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는 마이크로바이옴 대사산물인 단쇄지방산(short chain fatty acid, SCFA)을 사용하여 천식 모델에서의 항염증 효과를 알아 보기위해 천식마우스 모델에서 단쇄지방산을 기도 내 투여 시 기도염증 표현형의 변화와 세포 천식모델에서 단쇄지방산의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과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 분석하고자 한다. 동물실험에서 천식 모델에서의 SCFA는 기도 질환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기 위해 기도 내 단쇄지방산을 종류별로 국소 투여하였을 때, 폐에 침윤된 염증세포가 감소하였으며, 기관지폐포세척액(bronchoalveolar lavage)에서의 염증세포 중 총 염증세포수와 호산구의 수가 감소하였다. 또한 메타콜린을 흡입시켜 기도 내 저항을 평가하였을 때, 단쇄지방산을 투여한 군에서 대조군에 비슷한 양상을 볼 수 있었으며, 혈청 내 난알부민 특이적인IgE와 인플라마좀 사이토카인인 인터루킨 1-베타 정도를 평가하였을 때 단쇄지방산을 투여한 군이 천식모델에 비하여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세포 천식모델에서 기관지 상피세포인 BEAS-2B 세포에 집먼지진드기(HDM)로 염증을 유발시키고 단쇄지방산의 항염증 효과를 평가하였을 때, 인플라마좀 사이토카인인 인터루킨 1-베타의 농도가 감소하였다. 따라서 단쇄지방산(short chain fatty acid, SCFA)이 천식모델에서 천식의 대표적인 증상인 기도과민성을 감소시키고, 혈청 내 IgE와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인터루킨1-베타의 감소시켜 염증면역반응에 관여하여 염증이 완화하는 것을 증명하였다.

      • Does trade liberalization attract more foreign direct investment? : the case of Latin America

        박민경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re has been dramatic increase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Latin America region, which coincides with the period of trade liberalization. The main objectives of this paper are, to examine the relationship with various factors with respect to trade liberalization in attracting FDIs in LAC and secondly, to explore the pattern of FDIs in the region. The analysis in this paper uses a panel data that allows panel data regression, which would give a more concrete result. The panel data regression results indicate that both market size and openness to trade and tariff has significant influence in FDIs in the region which weakens the tariff jumping argument. Moreover, natural resource did not have significant impact different from what expected. This paper suggests that market-seeking and efficiency seeking FDIs coexist in Latin America and the size and stability of the market as well as the trade liberalization contribute to attract more investment. In that sense, the regional integration and FTAs could be an opportunity for the region. 외국인직접투자(이하 FDI)는 경제활성화의 한 방편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특히 많은 중남미국가들은 외국인 투자 유치를 정부차원에서 장려하고자 한다. 최근 20년 간 중남미에 FDI 비율은 상당히 증가했으며 이는 무역자유화가 시작된 시기와 일치한다. 본 논문은 중남미의 무역자유화와 FDI의 관계를 진단하고 동 지역 FDI의 형태를 파악하고자 했다. 본 분석에는 패널데이터를 활용함으로써 더욱 구체적 결과를 얻기 위해 노력하였다. 패널데이터를 이용한 회기 분석 결과를 통해 중남미에서 시장의 크기와 무역개방도 및 관세가 FDI 유치에 상당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사실을 도출해냈으며, 이를 통해 기존에 중남미 지역을 규정하고 있던 관세회피(tariff-jumping)FDI이 설득력이 약해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가설과는 달리 전체적으로 봤을 때 천연자원이 FDI유치에 미치는 영향력이 크게 도출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을 통해 중남미지역에서도 시장확보(market-seeking)와 효율성(efficiency-seeking) 추구형 투자형태가 공존하고 있음을 도출하였으며 무역자유화와 더불어 시장의 크기와 경제적정치적 안정성이 주요 요인임을 밝혔다. 이에 최근 크게 증가한 중남미 지역통합체와 개별 FTA가 새로운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온라인 마켓플레이스(오픈마켓)의 매장환경이 소비자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박민경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the Internet is widely used, the e-commerce using the Internet has been steadily growing. The Internet shopping malls have evolved and developed further, and the online market place(the open market) where so many sellers of so many industries can freely trade with consumers have emerged as a new model of the online shopping mall. Since competition between open markets gets fierce and dishonest trading takes places in some small markets, they are now facing a crisis, with their credibility substantially damaged. It is therefore high time to make a differentiated market environment in order to maintain the loyalty of existing customers and overcome the competitive market environment. Consumers' behavior and factors satisfying them are researched. The research, which looks into the virtual environmental elements of the open market and the purchasing psychology of consumers, is now in its nascent stag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herefore, to classify the environmental factors of the market place, which affects the purchasing decision of consumers in the open market, according to emotional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and then to analyze whether those characteristics indeed have direct impact on the purchasing decision of consumers. It also aims to make a theoretical suggestion on how to run the open market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The environmental factors of the open market, seen from the emotional characteristics, are related a lot to the subjective and personal fun of shopping, such as aesthetic elements, virtual reality and differentiated awarenes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such emotional characteristics influence the purchasing decision of consumers in the internet shopping, it was hypothesized that the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open market environment have an impact on the purchasing decision of consumers. On the other hand, the environmental factors, seen from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are related to elements of discrete and efficient purchase such as care for consumers, convenience in searching for goods and build-up of goods' value.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such functional characteristics influence the purchasing decision of consumers in the internet shopping, it was hypothesized that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open market environment have an impact on the purchasing decision of consumers. To verify the hypothesis on the relation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open market and the purchase intention of consumers,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with the emotional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being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intention for purchase and the intention for sustained use being independent variables. Study findings are as following: First, of the emotional elements, the awareness was found to have the biggest impact on the intention for purchase, followed by virtual reality and aesthetic appreciation. Of the emotional elements, virtual reality was found to have the biggest impact on the intention for sustained use, followed by the awareness and aesthetic appreciation. Upon analysis of the study findings, the reason why aesthetic appreciation failed to exert a great influence on consumers' intention for purchase lied in the similarity between the open market designs. The hypothesis that "the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open market environment will influence the purchase intention of consumers," therefore, held. Second, of the functional elements, the product quality was found to have the biggest impact on the intention for purchase, followed by care for customers, product prices and convenience in searching for gods. The speed of moving from one screen to another or the product portfolio were found almost not to be of any influence, which means that there was no big difference between open markets in terms of the speed of moving from one screen to another or the product portfolio. Of the functional elements, product quality was found to have the biggest impact on the intention for sustained use, followed by care for customers. The hypothesis that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open market environment will influence the purchase intention of consumers," therefore, held only partially. Upon analyzing the study findings, in the case of the functional elements, product quality and care for customers were found to be of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intention for purchase and the intention for sustained use. It therefore proved that consumers expect quality goods and quality services when they shop online. Additional researches were conducted to look at how the gender difference influence the relation between the open market characteristics and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Upon examining the relation between emotional characteristics and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it was found that while women's purchase intention can be influenced by aesthetic elements such as the design, men's purchase intention is not greatly influenced by aesthetic elements. Upon examining the relation between functional characteristics and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it can be interpreted that while women's purchase intention can be influenced greatly by the value of products, men's purchase intention is influenced by the function to search for goods. This study classified the environmental elements of market places that influence consumers' purchase decision in the open market according to emotional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then it analyzed whether such elements have indeed direct impact on consumers' purchase decision. It aims to suggest how to run the open market by utilizing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한국에서는 인터넷 이용이 늘어남에 따라 인터넷을 이용한 전자상거래가 꾸준한 증가를 보였다. 인터넷 쇼핑몰은 더욱 진화, 발전하면서 수많은 업종의 판매자들이 소비자와 자유롭게 거래할 수 있는 온라인 마켓플레이스(이하 오픈마켓)가 새로운 온라인 쇼핑몰 모델로 등장하였다. 그러나 오픈마켓 간의 경쟁이 격화되고 일부 소규모 판매상들의 정직하지 못한 거래 행태가 나타나는 등 신뢰를 상실하면서 위기에 당면해 있다. 따라서 오픈마켓은 기존 고객의 충성도를 유지시키고 경쟁적 시장 환경을 극복하기 위한 차별적 매장 환경의 구축이 필요한 시점으로 판단된다. 인터넷 쇼핑 소비자의 태도 및 만족 요인을 연구함에 있어 오픈마켓의 가상 매장 환경 요인과 소비자의 구매 심리를 고려하여 접근하는 연구는 아직도 시작 단계에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오픈마켓에서 소비자의 구매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매장의 환경적 요인들을 감성적 특성과 기능적 특성으로 분류하고, 이것이 소비자들의 구매결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그리고 분석을 통해 얻어진 결과를 적용하여 오픈마켓의 운영에 관한 이론적인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감성적 특성에 기반을 둔 오픈마켓의 매장 환경 요인들은 서비스 환경에서의 심미적 요소, 원격실재감, 차별화된 인지도 등 주관적이고 개인적인 쇼핑의 즐거움과 관련이 있다. 이와 같은 감성적 특성의 수준이 인터넷 쇼핑에서 소비자의 구매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가정을 토대로 오픈마켓 매장 환경의 감성적 특성이 소비자의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또한 기능적 특성에 기반을 둔 오픈마켓의 매장 환경 요인들은 고객 배려, 상품 검색의 편리성, 상품 가치의 구축 등 신중하고 효율적인 상품 구매와 관련이 있다. 이와 같은 기능적 특성의 수준이 인터넷 쇼핑에서 소비자의 구매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가정을 토대로 오픈마켓 매장 환경의 기능적 특성이 소비자의 구매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오픈마켓의 특성과 소비자의 구매의사 간의 관계에 대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오픈마켓의 감성적, 기능적 특성 요인들을 독립변인으로 하고, 구매의도와 지속이용의도를 종속변인으로 하는 다변인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구매의도에 대한 감성적 요인의 영향력은 인지도가 상대적으로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원격실재감, 심미성 순으로 나타났고, 지속이용의도에 대한 감성적 요인의 영향력은 원격실재감이 상대적으로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인지도, 심미성 순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 심미성 요인이 가장 적은 영향력을 행사한 것은 오픈마켓들의 디자인이 서로 유사한 경향을 띄게 되어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게 된 것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오픈마켓 매장 환경의 감성적 특성이 소비자의 구매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연구가설은 지지되었다. 둘째, 구매의도에 대한 기능적 요인들의 영향력은 상품품질이 상대적으로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고객배려, 상품가격, 상품검색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화면전환속도와 구색다양성은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각 오픈마켓들의 화면전환속도와 상품의 구색에서 큰 차이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지속이용의도에 대한 기능적 요인들의 영향력은 상품품질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그 다음이 고객배려로 나타났다. 따라서 “오픈마켓 매장 환경의 기능적 특성의 수준은 소비자의 구매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연구가설은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분석 결과, 기능적 요인의 경우, 구매의도와 지속이용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상품품질과 고객배려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온라인 쇼핑을 이용하는 소비자들이 온라인 거래에서의 상품과 서비스의 품질에 기대한다는 사실을 역설한다. 추가 연구로 성별에 따라 오픈마켓의 특성과 소비자의 구매의사 간의 관계가 어떻게 차이를 보이는지를 살펴보았다. 감성적 특성과 소비자 구매의사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여성은 오픈마켓에서의 구매의사에 디자인 등 심미적인 요인들이 영향을 줄 수 있지만, 남성은 구매의사에 있어 심미성 요인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능적 특성과 소비자의 구매의사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여성은 오픈마켓에서의 구매의도에 상품가치 요인이 보다 큰 영향을 나타낼 수 있지만, 남성은 구매의도에 있어 상품검색 기능의 영향을 받는다고 해석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연구는 오픈마켓에서 소비자의 구매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매장의 환경적 요인들을 감성적 특성과 기능적 특성으로 분류하고, 이것이 소비자들의 구매결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가를 실증적으로 분석했다. 그리고 분석을 통해 얻어진 결과를 적용하여 오픈마켓의 운영에 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