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품질인증 수산물의 구매결정요인 분석 : 간고등어를 중심으로

        안유정 부경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55

        As national income increases, consumers are paying attention to the quality and safety of the food they consume. The issue of food safety has been continuously raised because seafood is prone to decay, and a quality certification of fish and fishery products has been introduced to ensure the safety of fisheries food. Recently, the importance of quality certification of fish and fishery products has been emphasized due to radioactivity-contaminated fishery products and microplastics problems, but related studies have been insufficien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purchase of quality-certified fishery products using ZIP Model, ZINB Model and ZIOP Model in order to revitalize quality certification of fish and fishery products and promote consumption of quality-certified fishery produc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factors influencing market participation were age, recognition about the certification of fish and fishery products, tendency to value fish prices, and income. An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number of purchases were academic background, whether or not they have preschool children, sensitivity about radioactive contamination water, sensitivity about food quality and safety, income, and recognition about the certification of fish and fishery products. Therefore, since the determinants of market participation in quality-certified fisheries products and determinants of the number of purchases are different, measures to increase market participation and the number of purchases of quality-certified fisheries products should be promoted differently.

      • 2007 개정교육과정에서 과학과 자유탐구의 효율적인 운영방안

        안유정 광주교육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2007 개정교육과정에서 지도하도록 되어있는 과학과 자유탐구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지도과정에서 직면할 것으로 예상되는 여러 가지 어려움 중 교육과정에서 주어진 6차시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를 위해 자유탐구를 주제로 연구학교를 운영하고 있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이들을 대상으로 연구학교 시간 운영의 사례를 조사 분석하여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6차시 운영 방안을 마련하였다. 자유탐구를 초등학교 현장에 적용하게 될 때 고려해야 할 점으로는 자유탐구 수업을 위한 충분한 시수 확보, 교육과정의 재구성, 지도 및 학습 자료 준비, 탐구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외적 환경 조성, 보조교사의 마련 및 탐구지도에 대한 교사의 열의 등을 들 수 있다. 대부분의 교사들은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6차시로는 자유탐구의 효과적인 운영이 불가능함을 지적하고 있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선 현장에서 자유탐구를 위해 추가 시간을 배정할 수는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2007 개정교육과정에서 자유탐구를 처음 접하는 교사들에게 6차시를 활용하여 운영 가능한 교수·학습 과정의 제시는 중요한 의미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자유탐구의 교수·학습 단계는 크게 자유탐구 주제 선정, 탐구 계획, 탐구 활동 전개, 탐구 결과 보고서 작성 및 발표의 단계로 나뉘는데 주제의 종류나 내용에 따라 단계별 수업의 흐름은 지도 교사가 6차시 내에서 융통성 있게 조절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6차시를 적용하여 지도 가능한 자유탐구 예시 자료를 사례 중심으로 제시하며, 이를 통해 현장 교사들이 교육과정 개정 초기 자유탐구 지도에 있어서 어려움을 최소화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예시 자료를 참고하여 자유탐구를 진행하되, 교사는 학습활동에서 안내자, 촉진자로서의 세심한 멘토 역할이 필요하다. 비록 본 연구를 통해 6차시를 활용한 자유탐구 운영 방안이 제시되기는 하나, 2011년에는 자유탐구가 전 학년에 도입됨을 고려하여 지도에 필요한 보다 다양한 예시 자료들의 개발이 필요하며, 그 밖의 자유탐구 운영의 문제점들을 보완할 추가적인 연구도 꾸준히 계속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s of study are to find problems of free inquiry science class that is operated in 2007 amendment of curriculum, when guiding free inquiry class, to search into effective strategies which are suitable for 6 class ,that is one of the problems that will be faced. For this study, We asked experimental school teacher the free inquiry, analyzed the cace of the time operation and provided plan of 6 class periods operation in curriculum. The points to be considered when apply the free inquiry to elementary school are enough class periods for free inquiry class, curriculum development, materials for teaching, materials for studying, external environment for inquiry, teaching assistant, teachers with zeal for inquiry teaching. Almost all of teachers point out impossible of effective free inquiry operation in 6 class periods that is prepared in curriculum. Neverless they can't assign additional time to the free inquiry science class. So, It is important for teachers who have no experience in teaching the free inquiry to present available plan for teaching and learning when they operate 6 class periods. It's steps are the choice of topic for free inquiry, the plan for inquiry, development of inquiry, the making the report and presentation. Teachers can control their science class flexibly, according to topics or contents. This study come up with the practicable free inquiry examples centering around cases in 6 class periods, With them, try to minimize teacher's difficulties in teaching the free inquiry in early 2007 amendment of curriculum. Teachers operate free inquiry class, making reference to examples be suggested in this study, but they need the role of meticulous mentor as a conductor or as a promoter. Accordingly, This study shows the plan of the free inquiry operation in 6 class periods. but, The free inquiry science class needs development of various materials for teaching about 6 class periods, and continuous supplementary researches for another difficulties of free inquiry science class besides teaching time, because of introduction of free inquiry for all grades in 2010.

      • 노후산업단지 내 기업의 지역 뿌리내림 구조

        안유정 충북대학교 2014 국내박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supply and purchase ties of the enterprises within the old industrial complex and to observe how this relation structure is formed within the industrial complex. In particular, the study pays special attention to analyzing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local embeddedness through the network of the enterprises that have moved into the old industrial complex. In so doing, it is possible to present problems of transfer policy of business in the old industrial complex and to use the information as an evaluation index for the old industrial complex. The detailed purpose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research tries to examine what differences the structure of embeddedness according to each industrial complex makes with regard to the rank of productivity and of the structure of embeddedness. In the case of an industrial complex with high productivity, it may be possible to see the possibility of growth of an industrial complex depending on how the structure of embeddedness is formed. Second, this research tests whether the main bodies of the enterprises within the old industrial complex shows the phenomenon of regional/non-regional embeddedness. This study presents how the regional/non-regional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enterprises within the industrial complex influence the industrial complex. Third, this research figures out the enterprises that are spatially dependent via the network of enterprises connected with each other and to interpret what roles they play with regard to relocating the industrial complex. Through this process, the study has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after analyzing the structural embeddedness, judging from the perspective of the whole network, these three industrial complexes have an average 60~70% of network density value and with regard to group coefficient, Sungseo’s First Industrial Complex showed the lowest analysis result. In addition, after analyzing the network density and concentration of supply and purchase ties of the enterprises within the old industrial complex, with regard to network density and concentration, the network of supply and purchase ties of the enterprises within Cheongju Industrial Complex were higher than Daejeon Industrial Complex and Sungseo’s First Industrial Complex. Next, after analyzing the centeredness, seeing the degree of ties between enterprises within Cheongju Industrial Complex from the internal perspective, in the case of supply ties, the degree of ties between enterprises located in metropolitan area, Chungcheong area and southeast area was relatively closely related, and in the case of purchase ties, the degree of ties in metropolitan area and Chungcheong area was high. Also, the enterprises located in Chungcheong area showed a high degree of supply and purchase ties. On the other hand, with regard to the degree of ties between enterprises within Daejeon Industrial Complex, the degree of supply and purchase ties of the enterprises located in metropolitan area, Chungcheong area and southeast area was high from the internal perspective and the enterprises located in Chungcheong area were in structurally influential areas. Also Sungseo’s First Industrial Complex has formed the supply ties with the enterprises located in metropolitan area—Seoul, Gyeonggi and Incheon areas, and in the case of purchase ties, it forms close ties with the enterprises located in Daegyeong region—Daegu and Gyeongbuk. After analyzing the relational embeddedness, the component analysis which considered the direct connection distance and indirect connection distance showed similar network characteristics in all three complexes, but when their strength of ti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small groups under the subgroup, they relatively formed two core groups in the order of Cheongju Industrial Complex, Daejeon Industrial Complex and Sungseo’s First Industrial Complex. And the results of n-clique analysis showed that, compared to those of Daejeon Industrial Complex and Sungseo’s First Industrial Complex, the enterprises within Cheongju Industrial Complex have more groups that belong to connection distance 3 and the network activities of the enterprises within Cheongju Industrial Complex are formed relatively a little stronger. Lastly, after examin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 rank of relative productivity and the rank of structure of embeddedness using DEA,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ank of productivity was mostly the same as that of structure of embeddedness. Next, this research interpreted the results for structural and relational embeddedness. After structurally analyzing the network characteristics of the supply and purchase ties of the enterprises within these three industrial complexes, it could confirm that the enterprises within the industrial complex—in their industrial interrelationships with other enterprises regarding the value chain within specific industry—have a majority of enterprises located in specific areas with which they have presented a systematic and cooperative relationship, and that the particular network structure between enterprises is formed even within the old industrial complex. That is, all three industrial complexes have strongly formed the ties among the main bodies of production which are located in the same or neighboring administrative spheres. This phenomenon, although it may be weak, is embedded in the enterprises within the industrial complex.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structure of relational embeddedness indicate that each group consists of the enterprises located in the same city and county areas. That is, it means that the enterprises that are spatially dependent exist in the supply and purchase ties of the enterprises within the industrial complex, and that the industrial complex is growing through the ties which have been formed for a long time. Especially in the case of the same or similar businesses within Sungseo’s First Industrial Complex, the enterprises located within the industrial complex have maintained strong interrelationships with the other enterprises that are located in other areas by forming the network of enterprises inside and outside the neighboring areas with the industrial complex as their center. Therefore, it assumes that the enterprises located within Sungseo’s First Industrial Complex show more, although weak, spatial dependence when compared to Cheongju Industrial Complex and Daejeon Industrial Complex. In addition, reflecting from the relationships inside and outside the region spatially from the aspect of industrial complex, these three industrial complexes showed a little more local phenomena than non-local phenomena. Based on this, this study assumes that the enterprises within these three industrial complexes have been embedded from the aspect of industrial complex.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are suggested in terms of remaking policy of the old industrial complex: First, the plan for remaking policy should be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differences in productivity of the old industrial complex. Namely, in the case of the old industrial complex with relatively high productivity, the phenomenon of the structure of local embeddedness occurs more frequently than the industrial complex with low productivity; therefore, remaking policy should be lead carefull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enterprises as well as the locational conditions of the existing old industrial complex. Second, the enterprises within the old industrial complex have formed intercorporate relationships with each other centering around the main bodies geographically near to them, which suggests that the supply chain of the individual enterprises within the old industrial complex is still enhancing the efficiency of the industrial complex located in the region. Third, the enterprises that show spatial dependency are located within the existing industrial complex and have strong relationships with other enterprises inside and outside the region; therefore, it may depreciate the efficiency of the industrial complex if the transfer policy of the old industrial complex is implemented without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embeddedness of these enterprises. Accordingly, it seems necessary that the government consider this matter when they decide to relocate businesses in order to revitalize the remaking policy of the old industrial complex and how the enterprises are being embedded in the region as a guide to evaluating the old industrial complex.

      • 역량중심 교육과정의 의미 : 사례와 분석

        안유정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은 최근 등장하고 있는 ‘역량중심 교육과정’의 구체적 사례를 살펴보면서 그것이 지닌 특징과 난점들을 분석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역량’은 원래 직업 훈련이나 성인 교육 분야에서 논의되어 온 것으로, 숙달하고자 하는 직무나 업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해내는 것과 관련된 개념이다. 그러나 최근 역량의 개념이 모든 사람들이 살아가기 위해 반드시 갖추어야 할 일반적인 능력으로 확대됨에 따라 미래사회의 모든 국민이 필요로 하는 기초소양 및 핵심 역량의 준비를 학교교육에서 담당해야 한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이에 따라 현행 교과중심의 학교교육과정을 핵심역량을 중심으로 재구성하려는 시도가 초등학교 현장에서도 이미 전개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 분석의 사례로 고찰한 ◯◯초등학교는 핵심역량을 세 가지 범주로 구분하여 12가지로 설정하고 있다. 이들 핵심역량에는 창의력, 문제해결력, 자기관리능력, 기초학습능력, 사고력, 정보화능력, 진로개발능력, 의사소통능력, 대인관계능력, 민주시민의식, 국제사회문화이해능력, 미적감수성이 속한다. 또한 6단계의 교육과정 편성․운영절차에 따라 역량중심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초등학교의 역량중심 교육과정은 그 실제적 운영에 있어서 여러 가지 난점을 안고 있다. 역량과 교과의 관계는 무엇인가, 역량별 성취기준은 어떻게 기술해야 하는가, 역량과 해당 역량을 기르기 위한 활동 사이에는 유의미한 관련을 맺고 있는가, 핵심역량의 성취여부를 평가한다고 할 때 평가는 무엇을 내용으로 해야 하는가, 역량이 수준의 척도를 나누어 평가할 수 있는 성격의 것인가 등등. 이러한 실제적 난점들은 하나의 근본적 문제 즉, 역량과 교과 사이의 개념적 관련이 성립하지 않는 문제에서 파생된다. 형식도야 이론은 역량중심 교육과정이 지닌 이와 같은 문제를 이미 지니고 있었다. 형식도야 이론의 대표적 비판가인 듀이는 ‘기억이라는 능력은 항상 무엇에 관한 기억으로 존재할 뿐, 기억하는 대상 또는 내용과 분리된 기억일반이라는 것은 존재할 수 없다’고 지적하였다. 허스트 또한 일반적 정신능력을 지식과 별도로 규정하려는 시도를 비판하고 있다. 역량중심 교육과정도 교육목적(핵심역량)을 교육내용(교과)와 무관하게, 그것과는 별개의 것으로 설정하는 오류를 지니고 있다. 역량은 그것이 발휘되는 구체적인 맥락과 대상 없이는 그 의미를 분명하게 규정할 수 없다. 역량중심 교육과정은 교육이 충실하게 시행되지 않는 교육 현실을 비판하면서 보다 흥미로운 수업, 보다 효과적인 교육을 모색하는 시도이다. 역량중심 교육과정이 참으로 그 목적을 달성하려면 그것이 지닌 근본적 문제인 교육목적과 교육내용의 관계에 주목해야할 필요가 있다. 핵심역량을 사회적 필요가 아닌 교육내용(교과)으로부터 추론해낸다면, 이 근본적인 문제는 해결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andard case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and to analyze the features and difficulties of it. Competency has been discussing in the field of vocational training or adult education, and it is a concept related to performing duties or tasks people should be skilled. Recently, the concept of competencies is expanded to the general abilities which people should be qualified to live, so the opinion, school education should offer to educate basic knowledges and core competencies needed for people in the future society, has been expanded. Accordingly, some people started to require restructuring subject-based curriculum to competency-based curriculum, and the movement of putting core competencies to curriculum is booming. To analyze the case, this study tried to scrutinize the curriculum of one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Gyeonggi-do. This school present 12 core competencies as educational ends, in three categories. This school has the practical problems which are confronted by operating competency-based curriculum. How related are competencies and subjects?, how can state the achievement-standard depends on the competency?, how related meaningfully competencies and activity for it are?, what is the criteria to evaluate?, Do competency have the nature which we can evaluate it by dividing the achievement levels of it? and so on. Above problems are derived from one fundamental problem ; is there conceptual relation between competency and subject? Formal discipline theory has the same problem. Dewey, the representative critic of it, points out that ‘There is no such thing as an ability to see or hear or remember in general ; there is only the ability to see or hear or remember something’. Also Hirst points mental abilities should be connected to the forms of knowledge. Competency is the thing which have no meaning without specific context or content. Although competency-based curriculum has the theoretical difficulty ; the conceptual relation between competency and subject, it may be regarded as a try to improve school education. If the core competency which is the purpose of education were replaced to the thing are deduced from the subjects, this fundamental problem could be solved.

      • Cross-cultural product design에 관한 연구

        안유정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639

        최근 몇 년 사이에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는 크로스-컬쳐(cross-culture) 현상은 다양한 얼굴을 가진 하나의 새로운 문화로 우리 생활에 점차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알게 모르게 우리의 일상생활 속으로 침투하고 있는 크로스-컬쳐(cross culture)현상은 한 번도 본 적이 없는 혼합물들을 통해 갖가지 형태의 새로운 디자인으로 나타나 우리에게 즐거움을 주며 때로는 경외감을 느끼게 하기도 한다. 원래 재즈의 한 장르로 출발한 퓨전(fusion)이라는 신(新)문화 경향은 영역이나 장르의 경계를 없애고 타 장르와의 결합을 통해 새로운 호소력을 만들어 낸다. 음악에서 클래식과 팝, 재즈의 결합은 이제 진부한 화재(話材)거리가 되었고 이런 경향은 미술, 패션, 건축, 디자인 등의 분야는 물론 음식이나 기업의 마케팅에 이르기까지 폭 넓게 그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미술에서의 퓨전(fusion)은 기존의 탈 장르 현상이나 '혼성'의 개념의 연장선상에서 평면과 입체의 경계가 애매해진 지 오래이고, 회화나 사진과 컴퓨터의 합작, 애니메이션과 회화의 합작, 제어계측공학기술과 설치미술의 합작 등이 더 이상 낯설거나 충격적이지 못하다. 이전에는 생각하지도 못했던 문화, 회화, 조각, 사진, 영화, 음악, 설치미술 등의 다양한 예술행위의 융합도 이제는 자연스럽다. '이종교배, 융합, 용해'라는 퓨전(fusion)의 사전적(辭典的) 의미에 걸맞게 이런 현상은 서로 다른 성격의 장르나 재료가 어울려 독특한 분위기의 새로운 장르를 만들어내는 모든 분야에서 나타나고 있다. 어쩌면 사회의 다변화 경향과 모든 상황이 전 세계에 동시적으로 전달되고 그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는 시대상황 속에서 크로스-컬쳐 (cross-culture)의 급속한 팽창은 당연한 현상이라 볼 수 있다. 퓨전(fusion)이나 크로스-오버(cross-over)가 장르간의 벽을 넘나든다는 것을 의미한다면 크로스-컬쳐(cross-culture)는 문화의 장벽을 넘어 각각의 문화구성원들에게 공통된 정서를 가져다 줄 수 있고 서로가 이해할 수 있는 영역을 확보하고자 하는 발전적인 의미로 볼 수 있다. 이러한 크로스-컬쳐(cross-culture)의 특징 중 하나는 이분법적(二分法的) 사고에 대한 부정이다. 문화의 장르를 구분하고 차별화 하는 것은 정보화 시대에 있어서 동시대적 발상으로 보기 어렵다. 즉 동양과 서양을 이분법적(二分法的) 관점으로 보기보다는 동·서양 통합의 창조적 관점으로 전환하려는 것이 크로스-컬쳐(cross-culture)의 가장 큰 특징중 하나이다. 그리고 특정문화의 급속한 확산시류에 무작정 동조하다보면 진작 우리가 짚어보아야 할 문제성과 위험성이 간과되기 쉬운 법이다. 크로스-컬쳐(cross-culture)현상과 범세계화 추세 사이에 필연적 연관성이 있다고 볼 때, 진정한 범세계화 과정에서 민족의 정체성은 이중적(二重的) 혹은 다중적(多衆的) 소속에 관용을 베풀 수 있어야만 긍정적인 요인이 된다. 즉 다른 문화를 받아들일 수 있는 관용을 가지고 자신의 특별한 문화를 소유한다는 것이 곧 긍정적인 다원주의를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범세계적 다원주의의 수용이 크로스-컬쳐(cross-culture)의 긍정적 배경이 된다고 볼 때 다양한 문화의 접촉으로 인한 변화 과정에서 우리의 주체성 확보와 생존을 위한 필연적인 조건일지도 모른다. 따라서 우리가 지향하고자하는 크로스-컬쳐(cross-culture)의 개념도 대등적 과정으로서 둘 이상의 문화가 대등한 관계에서 접촉하고 변화하는 형태로 고유의 문화적 정체성을 유지하며 상대적으로 우위를 차지하고 있는 타 문화적 요소를 선택적으로 수용하는 형태를 갖추게 되는 것으로서의 편입과정이라 할 수 있겠다. 이상과 같이 본(本) 논문에서는 Cross-Cultural Product Design을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을 통해 연구에 접근하였다. (1) 크로스-컬쳐(cross-culture)가 뜻하고자 하는 의미에 대해서 알아보고, 다양한 각도에서 영향을 준 트렌드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2) 동·서양이 가지고 있는 문화와 미의식(美意識)과 각 문화들이 가지고 있는 합리성에 대하여 고찰해 보았다. (3) 남성 문화와 여성 문화 상류문화와 하류문화 Global문화와 Local문화 등과 같이 지금까지는 상충적이고 배타적이었던 요소들을 이분법적(二分法的) 사고가 아닌 통문화적(通文化的) 관점에서 재해석하여 보고 그 교차점으로부터 각각의 문화가 상보적(相補的)인 위치를 갖게 하고자 하였다. (4) 궁극적으로는 타문화에 대한 단순한 호기심이나 맹목적인 추종이 아닌 문화적 결합을 통한 다양성과 실용성을 지향하고 주체성을 가진 문화로 재창출하고자 하는데 본 연구의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겠다. 이러한 연구를 토대로 Cross-Cultural Product Design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을 세우고 제품의 구체화와 더불어 제품이 가져올 도입효과에 대해서 전망해 보는 것으로 본 논문을 마무리짓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를 문화와 관련지은 것도 따로 독립해서 발전할 수 없는 디자인의 특성을 반영한 것이라 하겠다. 크로스-컬쳐(cross-culture)현상은 현재 한창 진행 중이다. 따라서 아직까지는 어떠한 형태로도 정착되어지지 않고 있어 이것을 "어떠하다"라고 하나의 공식처럼 정의를 내린다는 것은 매우 난감 할 뿐만 아니라 크로스-컬쳐(cross-culture)가 우리 시대 정신에 있어서 새로운 창조정신의 패러다임으로 자리를 잡을 지는 좀 더 두고 볼 일이다. 다만 중요한 것은 크로스-컬쳐(cross-culture)는 이제 더 이상 부정 할 수 없는 문화의 한 흐름이 되어버렸다는 것이다. 그런 이유로 현재 진행중인 크로스 컬쳐(cross-culture)현상을 재정리해보고 디자인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해 보는 것도 세계시장에서의 경쟁력과 21세기의 우리 문화 나아가 세계문화에 어떤 원동력을 제공할 수도 있다는 것에 있어서 가치 있고 의미 있는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 Cross-culture which has prominently appeared in these years is gaining its place in our lives gradually as a new culture with various faces. The Cross-culture phenomenon which is penetrating into our daily lives knowing or not knowingly shows various kinds of new designs through the mixtures which we have never seen, and at last it endows us with pleasure and makes us feel awed at times. In essence, the new trend of culture, Fusion, which started as a genre of jazz abolishes the boundary of realms or genres and produces a fresh appeal by combining with other genres. The combination of classic, pop, and jazz in music now became a trite talk and this trend has broadly expanded its sphere from arts, fashion, architecture, and design to marketing of food and enterprise. The Fusion in arts made the boundary of plane and solid ambiguous on the continuity of the existing phenomenon of 'post genre' or the concept of ‘mixture' long ago, and the collaboration between photo and computer, animation and painting, and control instrumentation engineering technology and installation arts is no longer unfamiliar or shocking. Now various actions of art of which we couldn't think in the past including culture, painting, sculpture, photo, movie, music, and installation arts are naturally being fused. Well matched with the lexical meanings of Fusion, 'Cross-breeding, amalgamation, and deliquesce', this phenomenon appears in all the fields where new genre of peculiar mood is made by harmonizing other genres and materials of different properties. Possibly, the social multi-change trend and all circumstances are simultaneously delivered to the whole world and the rapid expansion of cross-culture under the condition of age directly influenced by it may be a natural phenomenon. If Fusion or Cross-over means crossing over the wall of genres, Cross-culture can be regarded as a developmental purport to bring a common ethos to each cultural member beyond the wall of culture and obtain a sphere which can be understood by each other. One of these features of Cross-culture is a negation toward the dichotomous thought. To divide and differentiate the genres of culture is hardly considered a contemporary conception in this era of informationalization. That is, the largest feature of Cross-culture is to divert the view on the Orient and the West into a creative integration rather than taking a dichotomous view. The problem and risk we should already have pointed out are easily overlooked while following the rapidly expanding fashion of our day with no definite object. Considering that there is a necessary correlation between the phenomenon of Cross-culture and the trend of globalization, an ethnic identity might be a positive factor only when bestowing tolerance to dual or multilateral sense of belonging in the real process of globalization. In other words, the ownership of one's own peculiar culture along with tolerance which allows other cultures means none other than the positive pluralism. When this acceptability of global pluralism is a positive background of Cross-culture, it may also become a necessary condition for us to obtain our identity and survival in the transitional process due to contact among various cultures. Therefore, the concept of Cross-culture toward which we are going to head can be thought an admission process, which keeps its cultural identity of peculiarity as a form of contact and transition in which more than two cultures contact and change on an equivalent term, alternatively accepting other cultural elements which hold priority on a selective basis. This thesis obtained access to study through a way which have next items. ① Identified the mean of Cross-culture for Cross-culture Product Design and defined the trends which take effect at various levels. ② Investigated the cultures and the aesthetic sense of the Orient and the West and rationality of each culture. ③ Re-interpretate the conflicting and exclusive elements until now; for example, man vs. woman culture, upper vs. lower culture, and global vs. local culture from the point of view integrating cultures rather than dichotomous view so that each culture might find out a complementary place from the point of intersection. ④ Pursuit variety and practicality through cultural union instead of simple curiosity or blind imitation of other one to regenerate it with identity. Based on this study, this thesis is concluded by setting up a concrete plan about Cross-culture Product Design and by estimating an introduction effect which the product would bring with its materialization. In addition, the relation of this thesis with culture is a reflection of the feature of design which cannot be developed independently. The phenomenon of Cross-culture is now making progress in its prime. Because it was not established in any form, it is very difficult to define it as a formula saying "like this or that" and it is also unclear that the Cross-culture could get on the right track as a paradigm of new creative spirit of our days. Also importantly, Cross-culture became a trend of culture which cannot be denied any longer. It may be a worthful and meaningful, however, to redefine the phenomenon of the on-going Cross-culture and to grope for a new trend of design in that it can provide the world market with competitive power and our culture, and further the world culture in the 21st century with driving force.

      • 지역 특색을 반영한 지역특산품 공동브랜드 디자인 개선 연구 : 문경 오미자 공동브랜드 레디엠을 중심으로

        안유정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In today's eating habit, eco-friendly foods that are considered healthier are attracting attention due to the spread of awareness of well-being culture and 100-year-life, and the improved sensitivity of the eating culture, and increased level of knowledge and income of consumers. This phenomenon affects consumers’ consuming patterns, most likely to favour farm-fresh delivery food products such as agricultural, aquatic, and livestock items that are local specialties. In addition, the changes in the paradigm of distribution environment caused by the development of online e-commerce and digital smart media enable the transactions of local specialities and so on, and make it possible to purchase and sell various domestic and foreign products easily and quickly regardless of the shipping distance. Due to these environmental changes, consumers can acquire various information, compare products of the same kind in detail, and purchase. Furthermore, the consuming pattern has changed from the product-oriented consumption that merely concerns the products to value-oriented consumption that comprehensively considers the elements like cultural value product’s brand, design, package, and soon and philosophical spirit pursued by the company in order to purchase the experience and brand. The attitude of the company has changed from the profit-oriented goal to the one with core value in the brand and design of the product. As a result of such influence, local farms that produce and manage local specialities products also improve the market competitiveness through product differentiation by developing their own local specialty brand and co-brand. The purpose of the co-brand this paper covers is from, narrowly, sharing of marketing matters by a large number of small sellers and companies to, largely, establishing and maintaining a win-win relationship for the development of products and the entire region. In this context, co-brand design of local specialty products is becoming an important factor to act as a mediator between region and local products, and each local authority is concentrating on establishing co-brand design of local specialty products. Furthermore, the reason for choosing Omija co-brand rediM of Mungyeong city in Gyeongsangbuk-do is to conduct new co-brand design development research. It is for the joint development of region and local specialty products since, despite current co-brand design reflects graphic elements of the product, Omija, and gateway of Mungyeongsaejae, the famous historic site in Mungyeong city, it is viewed as insufficient to remind Omija and the region, and create synergy effect between region and local specialty products due to its low awareness, which is the purpose of the co-brand. Mungyeong is the best place out of ‘100 Places Where Koreans Should Go’ because of its excellent natural characteristics, while Mungyeong Omija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local specialty products of Korea, which accounts for more than 45% of the sales rate of Omija in nationwide and has been the best brand product, awarded as Grand Prize for 10 consecutive years (2008~2017) in the section of eco-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of Master Brand Korea. In other words, Mungyeong city and its main product, Mungyeong Omija, have won the best place in their respective fields. However, the design of Mungyeong Omija co-brand rediM that Mungyeong city developed for global expansion as New Vitality Business in 2006lack awareness unlike its reputation. Hence, it was considered insufficient for the connectivity to the feeling of Omija in ingredient aspect as well as Mungyeong from design aspect. Therefore, this paper selects Mungyeong’s interesting and diverse characteristics of major regions, and reflect the design graphic elements by selecting the product Omija that requires the better awareness. In short, it aims the consumption of experience by developing ‘communicative design that reminds story’ by the ‘local characteristic + product form’ design. Accordingly, it is expecte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aiming for local citizens’ pride and furthermore global expansion by encouraging the connectivity for mutual promotion of cultural products, region and local specialty products, and leading for them to take the best places respectively. In developing a brand design, the broadness of the value that brand provides may differ–either narrowly or unlimitedly by intention and method of production, and a co-brand mark for small local specialty product can function as great medium that goes beyond the product promotion, leading to local and national development. It is expected to lead for the good news that design development guideline of this paper helps for development of local culture including Mungyeong, as the meaning of its name (Mun for listening and Gyeong for delighting) represents ‘Hearing the delighting news.’ 오늘날의 식(食)생활에서는 웰빙(well being)문화 및 백세시대에 대한 인식 확산과 소비자의 높아진 지식 및 소득수준에 의한 식문화의 민감성 향상으로 더욱 건강을 생각하는 친환경적인 먹거리가 주목을 받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소비자의 소비형태 에도 영향을 주며, 주로 지역특산 농•수•축산물 등과 같이 신선한 산지직송 음식을 선호하는 양상을 보이게 한다. 또한, 온라인 전자상거래 및 디지털 스마트 미디어의 발달로 인한 유통환경 패러다임의 변화는 지역특산품 등의 거래를 활발하게 하고, 배송 거리에 무관하게 국내•외의 다양한 제품들을 간편하고 빠르게 구매 및 판매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이러한 환경 변화로 인해 소비자는 다양한 정보를 습득하고 동종의 제품들을 상세히 비교하여 구매할 수 있게 되었으며, 소비 형태도 단순히 제 품의 물건만을 보고 구매하는 제품 중심적 소비에서 제품의 브랜드, 디자인, 패키지 등이 주는 문화적 가치 및 기업이 추구하는 철학적 정신 등의 요소를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경험과 브랜드를 구매하는 가치 중심적 소비로 변했다. 이에 따라 기업의 태도도 과거 이윤추구를 위한 목표에서 제품의 브랜드와 디자인에 핵심적 가치를 둔 목표로 변했으며, 이러한 영향으로 지역특산품을 생산•관리하는 지역의 농가에서도 해당 지역의 지역특산품 브랜드 및 공동브랜드를 개발하여 제품 차별화를 통한 시장 경쟁력을 높이는 활동을 활발히 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 다루고 있는 ‘공동브랜드’라는 것의 목적은 좁게는 다수의 영세한 판매 자 및 중소기업이 모여 마케팅 제반 사항을 공유하는 것에서 넓게는 제품과 해당 지 역 전체의 발전을 위한 win-win 관계 성립과 유지에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지역 특산품 공동브랜드 디자인은 지역과 지역특산품이 서로 통합•연계되도록 매개체 역 할을 해 주는 중요한 결정체가 되고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각 지방 단체에서도 지역 특산품 공동브랜드 디자인 정립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또한, 본 논문의 주제로 경상북도 문경시의 오미자 공동브랜드 레디엠(rediM)을 선 정한 이유는 해당 공동브랜드 디자인에 오미자라는 품목과 문경의 유명 유적지이자 지역 특색인 문경새재의 관문이 그래픽 요소로 반영되어 있지만, 디자인적 측면에서 오미자와 문경을 연계하여 연상하기에는 다소 어려움이 따르고, 낮은 인지도로 인해 공동브랜드의 목적인 지역과 지역특산품 간의 시너지 효과 창출을 도모하기에는 개선 의 여지가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역과 지역특산품의 공동 발전을 위한 새로운 공동브랜드 디자인 개발 가이드를 제안했다. 문경은 우수한 자연적 특성으로 인해 2013년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가 주관한 ‘한국인이 꼭 가봐야 할 관광지 100선’ 중 1위를 차지했으며, 문경 오미자는 전국 오미자 판매율의 45%를 차지하는 국내 대표 지역특산품 중 하나로, 해당 공동 브랜드인 레디엠은 대한민국 대표 브랜드 대상의 친환경 농산물 부문에서 무려 10년 연속(2008~2017) 대상을 차지하고 있는 우수한 지역특산품이다. 즉, 문경과 그의 주산물인 문경 오미자는 각각의 분야에서 최고의 자리를 석권하고 있는 셈이다. 하지 만 문경시가 신 활력 사업 중 하나로 2006년에 세계 진출을 위해 개발한 문경 오미 자 공동브랜드 레디엠의 디자인은 본 논문의 설문조사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그 인지도가 저조하며, 디자인적 측면에서 오미자라는 식재료의 느낌이나 문경을 연상하 기에는 다소 어려움이 따른다. 이는 전 연령대에게 어필하기 위한 브랜드 아이덴티 티로는 시각적인 모호함을 야기하므로, 문경 지역과 제품의 발전 및 지역 문화의 진흥을 위해 디자인의 재정립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문경의 흥미롭고 다양한 주요 지역 특색을 선정하고, 인지도 제고가 필요한 오미자 열매라는 품목을 선정하여 디자인 그래픽 요소에 반영하는 즉, ‘지역 특색+품목 형상형’의 ‘브랜드 스토리가 연상되는 소통적 디자인’으로 개발하여 지역과 지역특산품이라는 문화적 산물의 상호 진흥을 위해 연계성을 높이고, 서로 상위 자리 석권을 영위하는 데에 기여하여, 지역민의 자긍심 고취와 나아가 세계 시 장 진출을 도모하는 데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기를 기대한다. 하나의 브랜드 디자인을 개발하면서 그 브랜드가 주는 가치의 광의함은 제작 의도나 방법에 의해 협소해지거나 혹은 무궁무진하게 되는 차이가 있고, 작은 지역특산품 공동브랜드 아이덴티티 하나가 제품의 홍보를 넘어 지역과 국가 발전으로 이어지게 하는 큰 매개체 역할을 한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이러한 점에 신중을 기울이며, 문경(聞 들을 문, 慶 기쁠 경)의 뜻인 ‘경사스러운 기쁜 소식을 듣는다’와 같이 본 논문의 디자인 개발 가이드가 문경을 포함한 지역 문화 전반에 발전이 될 수 있는 기쁜 소식 으로 이어지길 바란다.

      • 조선 전기 상감청자(象嵌靑瓷) 연구

        안유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objective of this paper has been to reconsider sanggam celadon, or inlaid celadon, which used to be produced during the early Joseon dynasty (1392–1910), using three art historical methodologies: reflecting on the historiography (the writing of history) of sanggam celadon, examining it in the context of the social and economic history of art and reinterpreting some of its elements as signifiers of a vast system of ritual vessels, or liqi, in East Asia. The term ‘celadon’─despite its arbitrary nomenclature having possibly been derived from the name of a character from a seventeenth-century French comedy─literally translates to ‘blue ware [靑瓷]’ without indicating the specific hue. Technically, it refers to grey-green-coloured stoneware that was produced by certain chemical reactions involving iron in the clay and iron oxide in the glaze under specific firing conditions. Among varied decoration techniques used in celadon production, the sanggam technique is distinctive for the strong colour contrast effect it creates. In this technique, designs are incised on the surface of the clay body before materials of different kinds and/or colours are stuck into the carved space. Such green ware, with exquisite inlaid patterns, is believed to have been invented during the early Goryeo dynasty (918–1392). It is regarded as an unique achievement of Goryeo potters owing to its rarity in China. The historiography of sanggam celadon had probably been commenced by nineteenth-century and early twentieth-century Japanese scholars. However, this has tended to depend on the context of the Goryeo dynasty. Recent excavatory evidence has confirmed that the large-scale production of grey-green stoneware decorated with sanggam designs continued at various kiln sites after the downfall of the Goryeo Kingdom and the subsequent establishment of the Joseon dynasty. Nonetheless, as per the aforementioned historical narratives, and due to the long-standing belief shared by both academics and the general public, sanggam celadon is considered quintessentially of Goryeo art. This has led scholars to devise new terms to define the sanggam ceramics that were unearthed at the Joseon kiln sites. These terms include ‘Joseon celadon’ or ‘buncheong’ ware with sanggam inlaid designs, which helps distinguish the new dynastic ceramics from ‘Goryeo sanggam celadon’. Consequently, despite the considerable studies on the subject, the discussion has been divided into two historically and terminologically separate contexts: Goryeo sanggam celadon and Joseon sanggam buncheong ware. This caused numerous issues during the dynastic transitional period that remained unsolved. This study focuses on the aspects that have been overlooked and discusses certain issues, which were previously discussed in the context of disconnection, with reference to continuity between the two dynasties. This paper suggests that ceramics that were decorated by sanggam inlaid designs during the Joseon dynasty should also be considered as sanggam celadon. This is because, first, despite slight variances associated with time and place, the ingredients, the potter groups and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two stoneware do not present any radical changes. The term buncheong ware was coined by South Korea’s first art historian Go Yuseop and indicates the application of white slips (bunjang) on a grey-green (hoecheong) ware. It already testifies that both celadon and buncheong ware share the same clay body and coated glaze that contains iron. Thus, there is technically and essentially no difference between sanggam celadon and sanggam buncheong ware. Most importantly, it is unlikely that sanggam celadon and buncheong ware were perceived as separate ceramics among patrons or consumers during the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periods. Instead, it can be surmised that both were conceived as green ware that creates a striking visual effect using black and white patterns. This effect was especially seen in the ceramics from the first half of the fifteenth century, in which the emergence of new types of white wares, such as porcelain and sgraffito buncheong ware, is witnessed. Therefore, instead of approaching the subject using dichotomous terms, such as Goryeo sanggam celadon and Joseon sanggam buncheong ware, the study will use a single unified term: sanggam celadon. The paper will also reassess the subject by assuming a comprehensive approach, compiling what has been called sanggam celadon, sanggam buncheong ware, and Joseon celadon to demonstrate how green ware with vivid sanggam images was defined, used and favoured. The accumulated excavation data has shown that the sanggam celadon from the Joseon period was manufactured in kiln sites located nationwide from 1392 to the mid-sixteenth century. Through the examination of the types and styles of the unearthed ceramics, it can be concluded that two groups of kiln sites─(A) Seoul, Gyeonggi and Gyeongsang Provinces and (B) Jeolla and Chungcheong Provinces─shared similar manufacturing tendencies. The kilns from Group (A) are believed to have produced a large quantity of sanggam celadon bowls and plates. Some vessel shards (e.g. from maebyeongs) decorated with a dragon motif have been discovered, which is unusual almost everywhere but in Gangjin kiln sites dating back to the late Goryeo period. This indicates the existence of a stylistic influence between the Gangjin kilns and the kilns located in Gyeongsang and Seoul regions. It can also be explained that the expansion of inland waterways transport, the use of Namhan-gang river for transporting the tribute grain and other goods, enabled the close technical and stylistic affinity between Seoul and Gyeongsang regions. Meanwhile, in the kilns around Jeolla and Chungcheong regions, sanggam celadon was produced along with various types of buncheong ware. In particular, certain kilns in Buan and Gongju invented a distinctive sanggam technique that carves a bigger surface area and fills it in with white slips, enhancing the range of whiteness. The unearthed sanggam celadon includes a wide range of tableware (e.g. bowls, plates, cups, stemmed cups, jars, maebyeong vases, bottles, flattened bottles, lidded bowls) as well as other vessels used on special occasions such as ritual vessels (e.g. liqi, incense burners), flower vases (e.g. pots), musical instruments (e.g. drums), stationery (e.g. inkstones, water droppers) and pillows. In addition, various sanggam inlaid designs have been identified; the subject matter includes dragons, fish, cranes, phoenixes, waterfowls, other birds, turtles, crabs, cows, elephants, willows, reeds, lotuses, peonies, bamboo, plum trees and other geometric patterns. The premise of the paper is that ceramics were socio-economic products and, therefore, produced, circulated and consumed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demand and supply. The reason behind the continued production of sanggam celadon during the early Joseon dynasty can be explained by the dispersion of potters and the subsequent transmission of the associated pottery techniques and styles. However, most importantly, the demand of the court and government offices as well as their institutional supports played a crucial role in the propagation of sanggam celadon across the country. Like during the late Goryeo dynasty, sanggam celadon primarily functioned as tribute goods in the early Joseon periods. It is likely that sanggam celadon had served as tableware that was used on occasions of daily dining, feasts and other events at court. This can be demonstrated by the fact that formal and stylistic features of early Joseon sanggam celadon present a strong resemblance to those of the Goryeo sanggam celadon associated with tribute ware. These features include, for instance, lotus scrolls, waterside scenes, phoenixes, cranes, willows and reeds patterns as well as inscriptions of the name of the government offices for which the product had been commissioned. This noteworthy affinity signifies that the manufacturing process as well as the social structure of the preceding dynasty continued despite the dynastic transition and a series of bureaucratic reforms. In other words, Joseon sanggam celadon was also considered tribute ware and was closely linked to the contemporaneous financial policy. In this respect, the closure of the Gangjin kilns during the early Joseon period can be explained by the significant relocation and diversification of the transportation network, which eventually caused the loss of the geographical benefits available at the Gangjin kiln site. Sanggam designs associated with tributes to the royal court were regarded as high-quality in the Goryeo dynasty. However, around the year 1400, the aforementioned motifs gradually became either simplified or dismantled or changed into stamped patterns. Sanggam celadon inlaid with such designs were no longer exclusively produced and consumed as tribute ware but was favoured by new consumers from diverse communities as decorative crafts. Around the reign of King Sejong (r. 1418–1450), or possibly after 1417, buncheong ware uniformly decorated by reiterated stamp patterns became the new preferred tribute ware. At the same time, white porcelain began to be used exclusively for royal vessels. This resulted in the change of the role of sanggam celadon. Its primary function as tribute tableware for the royal court and government offices was shared with the newly emerged type of ceramics. Therefore, as it remained a part of tribute ware, I argue that sanggam celadon from the 1420s acquired a new meaning and identity as vessels that are closely related to rituals. Accordingly, the ways in which sanggam celadon was manufactured and distributed began to change. It seems that this change was closely related to the contemporaneous practice of making ritual vessels from ceramic. Emperor Hongwu (r. 1368–1398) of the Ming court decreed that all ritual vessels used for ancestral worship and rituals for Heaven and Earth, which were traditionally made from bronze, should be replaced with ceramic. A similar discussion of producing ceramic ritual vessels for the ritual for Heaven (wongu) and rain also appeared six decades after, at the Joseon court. Conscious of the need of establishing a unitary ritual practice and vessel system, the Joseon court required accurate imitations of ancient bronzes or illustrations of them. The elements that were to be precisely reflected included not only size and shape but also the pattern engraved on the bronze liqi. When there was an increase in the demand of ceramic ritual vessels, it appears that sanggam celadon was particularly preferred for its explicit and delicate expression of the motifs associated with rituals. This change can also be evidenced by the type, shape and style of sanggam celadon. From the 1420s, sanggam designs were frequently used for ritual vessels and special tableware that were produced at a limited number at kilns. In contrast, the production of ordinary tableware (e.g. bowls, plates) with sanggam designs declined as buncheong ware became the official tableware supplied mainly to the governmental offices. In terms of style, the subject matter and composition of the design departed from those of traditional Goryeo celadon. Furthermore, certain motifs, including cintamani and taegeuk or taiji, symbols related to Confucius’s idea of yin and yang as well as crabs, emerged as sanggam subject matters. Unlike traditional Goryeo celadon designs, most of which became simple decorative patterns in the fifteenth century, it appears that the aforementioned motifs, for Joseon sanggam celadon, functioned as ‘icons’ or ‘pictographs’. In other words, theses involve nonverbal images that have a direct verbal translation by means of possessing certain meanings that could be understood by all members of a particular group, class or culture. The meaning of certain icons can be understood by referring to ritual books that contain illustrations. The other prominent feature is that some vessels produced during this period have unusually high legs/heels that are sometimes cut or decorated with inlaid patterns. Metallic elements, such as handles, heels and three-dimensional saw-toothed bands, also appeared in sanggam celadon, reflecting the direct translation from bronze to ceramics. As for production and circulation, it is also notable that the kilns that manufactured sanggam celadon with such features are located in Jeolla and Chungcheong Provinces. While the previous production and supply system was unitary, that is the vessels were regularly procured from one provincial kiln for the central government office, the ritual vessels and other wares for special occasions had to be supplied to both central and local consumers in order to meet the demands related to the various rituals held sporadically and irregularly across the country. Meanwhile, the establishment of the royal kiln near the capital in the 1460s led to the decline of local kilns. Therefore, the production of sanggam celadon in the local kilns almost completely ceased starting from the late fifteenth century. Instead, an extremely small volume of sanggam celadon was produced at the royal kiln located in the Gyeonggi Province. One of interesting trends from this period is that the types of sanggam celadon produced at royal kilns were limited to flower pots and incense burners. Given the fact that such sanggam celadon was unearthed from royal kilns, it can be assumed that there existed a special demand for ‘green’ celadon pots and incense burners in the royal court. However, to some extent, with regard to the trend of antiquarianism, it is also possible to assume that these pots and incense burners, manufactured in the Goryeo sanggam celadon style, were made to meet the demands of the general consumers living in Hanyang, the capital city of the Joseon dynasty. Thus through the paper’s analysis of the subject, the reason behind why the sanggam celadon produced during the early Joseon dynasty had such a complex and pluralistic character has been verified. 상감청자(象嵌靑瓷)는 태토의 표면에 문양을 조각한 후 그 안에 바탕재와 다른 색상의 흙을 감입하여 강한 색 대비 효과를 연출하는 상감기법과 미량의 철분이 함유된 태토 위에 철분 1-3%가 섞인 장석유(長石釉)를 시유한 후 환원염(還元焰)으로 번조한 청자가 결합한 용어이다. 19세기부터 시작된 역사 편찬(historiography) 과정을 거치며 오랜 기간 상감청자는 국내외 학계와 일반에서 고려시대의 독특한 조형적 성과물로 인식되었다. 그러나 조선 전기에도 전국에 산포하는 여러 가마터에서 상감청자가 제작되었고 다양한 소비유적에서 사용된 예가 확인된다. 그러나 조선 전기 도자사 연구에서는 ‘상감분청사기’·‘조선청자’ 등의 명칭을 고안하여 해당 자기를 발전론적 역사 인식에 입각한 조선이란 새 왕조의 미술·공예 양식의 일부로 정의해왔다. 또한 상감청자라는 연구적 관심과 축적된 성과에 비해, 시대 분절을 넘어 ‘상감청자’라는 유형을 종합적으로 통찰한 연구가 부족했다고 여겨진다. 본 연구에서 다룰 ‘조선 전기 상감청자’는 퇴락한 고려 말 상감청자 유형, 조선 초 분장회청사기로 이행하기 이전의 과도기적 자기류로 간주되거나, 중앙·왕실 소용으로 제한적으로 제작된 특수한 성격의 자기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사회문화사적 관점에서 당시 유통되던 다양한 도자 기명 중 백색 자기와 구분되는 청색 자기에 문양을 장식하여 뚜렷한 색상 대비 효과를 구현한 기명에 대한 기호 및 수요를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즉 조선 전기 상감청자는 국가 제도와 관련한 수요·공급이란 유기적 관계 속에서 고려해보면 기존 인식보다 훨씬 더 복합적이고 다원적인 성격을 지닌 물질문화로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는 고려 ‘청자’와 조선 ‘분청사기’라는 제작시기를 중요한 분류 기준으로 삼은 기존 연구방법론 대신 제작기법을 중심으로 ‘상감청자’를 분석하고자 한다. 즉 회청색·담청색 유조를 띠는 기면에 선상감 및 면상감기법으로 문양을 장식한 자기류를 상감청자로 통칭하여 분화된 연구 범주를 단일 이론선상에서 재검토하였다. 조선 건국을 전후한 시기부터 임란 이전까지 제작된 상감청자의 성격을 정의하고 당대 문화 구성원들이 공유한 시각적 인지 양식의 일면을 파악한다는 목적 하에 상감청자의 유형, 제작·소비 양상, 양식적 전개 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아래와 같은 몇 가지 논점을 제시 및 정리할 수 있었다. 조선 전기에 상감청자가 제작된 배경은 공납자기라는 경제적 측면과 의례기라는 의례문화사적 측면에서 국가·왕실 재원으로서 상감청자의 수요가 있었기 때문이다. 조선 전기에 상감청자가 전국에서 제작되고 유통된 배경은 일차적으로 고려 말 상감청자 제작 인력의 확산 및 기술·양식의 전승과 관련 있다. 그리고 조선 초기에 고려 후기의 수취체제를 상당 부분 계승하여 지방관의 책임 하에 중앙 각사로 공물을 분납한[據案直納] 현물 중심의 국가 재정 운영 구조도 이를 뒷받침한다. 조선 초 전국 요지에서는 고려 말 요업 체계를 계승하여 공납(수납처) 관련 명문을 기입하고 선상감과 인화상감기법이 혼용된 규격화된 문양을 장식한 상감청자의 제작을 지속하였다. 이미 조선 건국 당시부터 상감청자는 공납자기로서의 성격이 짙었다고 볼 수 있으며, 그 배경에는 고려에서 조선으로 이어지는 제도적 ‘연속성’이 전제된다. 또한 그동안 기존에는 상감청자 주요 생산지였던 강진요의 폐요 경위를 고려 말 왜구의 침입 등으로 해석해왔으나 공민왕대부터 추진된 체제 개혁 속에서 여말선초 세곡공물 집결지의 변동과 유통망의 다원화의 영향으로도 해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요업 중심지가 재배치되고 그 과정에서 서해안으로 축소된 조운 경로 밖에 입지한 강진요의 기능이 상실된 것으로 여겨진다. 1417년경 이후 견양에 따라 일정한 양식으로 제작된 분장회청사기가 중앙 관청용 자기로 정착되고, 백자가 왕실 내용자기로 전용되기 시작함에 따라 상감청자는 초기부터 획득했던 공납자기의 역할을 새롭게 출현한 자기류와 분담하면서 국가·왕실 재원 중 ‘의례재원’으로써의 성격이 강화되었다. 이와 같은 상감청자의 성격 변화는 생산 기종 및 조형·양식에서도 나타난다. 1417년 이후에도 왕실 및 중앙관청 소용의 상감청자 기명은 제작되지만 일상용 식기보다는 제기·호·뚜껑·대발 등의 특수기명으로 제작되는 빈도가 높아진다. 이때 상감청자 조형은 기종별 조형의 정형성을 유지하면서도 고려 말 상감청자 조형으로부터 탈피한 특징을 보인다. 즉 상감청자는 여전히 국가·왕실 재원으로써 기능하지만 공판용 인화분장회청사기와 다른 맥락의 의례용 특수기명으로 주로 제작·소비된 것으로 이해된다. 이때 국가 및 왕실의 의례재원은 공납용 명문 자기와 같이 각 지방에서 중앙각사에 정례적으로 일괄 조달되지 않고 전국 각지에서 산발적·비정기적으로 발생하는 다양한 의례 관련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중앙과 지방 양방향으로의 공급과 관리가 이루어져야 하는 특징을 지닌다. 또한 태종 연간부터 본격화된 의제 정비 과정에서 일원적 치제 방식 및 의기(儀器) 통일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중앙 소용의 상감청자는 별도로 분정된 지역에서 중앙으로부터 파견된 관리의 감조를 통해 제작 및 조달하되, 지방 소용 의례기의 공급은 중앙에서 공급한 견양에 따라 통일된 양식으로 제작한 후 인근 제장에 공급하는 방식을 병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조선 전기 상감청자가 다른 관사명 자기와 제작·유통·소비의 측면에서 차이를 보인는 점에서 주목되는 부분이다. 의례기의 제작 시 도화체제(圖畵體制) 혹은 견양에 따라 정확하게 모방되어야 했던 요소 중에는 기명의 크기·형태뿐만 아니라 정결하고 일정한 문양의 표현도 포함된다. 이에 따라 섬세한 문양 표현과 색상 대비를 통한 뚜렷한 시문 효과가 가능했던 상감기법이 의례기를 제작하는 데 차별화된 효용성을 지니며 선호된 것으로 보인다. 조선 전기 상감청자 요지의 조사 자료를 검토한 결과 서울·경기·경상북도 지역과 전라도·충청도·경상남도 낙동강 유역의 요장 간에 운영 시기, 자기의 장식 기법, 기종 및 문양, 명문에서 밀접한 연관성이 나타나 고려 상감청자 양식의 계승 경로 및 중앙 공납용 자기이자 의례재원으로서 상감청자의 제작·유통 방식을 유추할 수 있다. 조선 전기 상감청자 요지는 전국적인 분포를 이루는 가운데 서울·경기·경상북도와 전라·충청·경상남도로 양분되는 지역군 내에서 규칙성이 확인된다. 전자에 해당하는 요지는 대체로 선상감과 인화상감([A]식)기법이 혼용된 상감청자를 제작하다가 분장 단계를 거치지 않고 바로 백자를 제작한 것으로 파악된다. 특히 북한산 일대와 칠곡·상주 등의 경상북도 요지는 15세기 1/4분기 이전에 조 업활동이 활발했는데 요지에서 수습된 흑백선상감 용문 매병편 등 일부 기형과 문양은 강진 사당리 출토 상감청자와 유사성을 보인다. 한편 전라도·충청도 중심의 요지에서는 인화[B]·귀얄분장기법이 보편적인 가운데 철화, 박지 등 지역·가마별로 특화된 기법이 나타나고, 상감청자는 대체로 제기, 장군 등의 특수기명을 중심으로 소량 수습된다. 또한 부안 우동리, 공주 학봉리 일대의 전라도·충청도 요지에서는 면상감기법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고려시대 부안 유천리 요지로부터의 기법적 영향 관계를 추정할 수 있다. 이후 경기·경상북도 요지에서는 『세종실록지리지』에 상품 자기소로 등록될 정도의 기술력을 갖춘 중앙 공납용 백자 가마가 운영된다. 두 지역 간의 긴밀한 기술·양식적 친연성은 남한강 수계를 바탕으로 한 자기의 운송 체계와도 관련 있는 것으로 추정되며, 14세기 4/4분기-15세기 1/4분기 공납 관련 상감청자의 제작과 유통 방식을 추정할 수 있는 비교 자료가 된다. 조선 전기 상감청자의 기종 및 문양은 고려청자와 조선 백자·분장회청사기의 조형 요소가 혼재한 양상을 보이며 각 조형 요소와의 연속성·비연속성이 확인된다. 조선 전기 유적의 출토품과 전세품을 토대로 상감청자 기명은 발, 접시, 잔, 종자, 고족배, 잔받침, 주구발, 뿔잔, 매병, 호, 병, 편병, 자라병, 장군, 주자, 표형병, 대발, 대반, 합, 뚜껑, 향완, 향로, 화분, 장고, 베개, 벼루, 연적, 제기의 28가지 기종과 67개의 세부 기형으로 분류된다. 한편 주요 상감 문양 소재는 용, 물고기, 학, 봉황, 수금, 새, 자라, 게, 소, 코끼리, 버드나무, 갈대, 연화, 모란, 대나무, 매화, 구갑, 수파, 거치, 여의주, 태극 등을 아우르며, 시문 양상은 기명에 따라 다양한 편이다. 각각의 상감청자 기형과 문양은 고려시대의 전통 청자 유형을 계승하여 제작되지만 양식적 소략화·도형화를 거쳐 소멸하는 ‘소멸유형’, 고려시대부터 제작된 예가 확인되지만 전자와 달리 조선 전기에 양적·질적 하락을 겪지 않고 꾸준히 제작되면서 분장회청사기와 백자 조형으로 발전하는 ‘지속유형’, 고려청자에서 전례가 없는 ‘신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일부 상감청자 기종과 문양에서는 명대 주기 및 다기의 영향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신유형에서 나타나는 금속기적 요소는 15세기 초 조선 왕실의 예제 및 의례기의 정비와 관련하여 논의될 수 있다. 조선 전기 상감청자의 전개를 세 단계로 구분하고 상감청자의 성격 규명을 시도한 결과 I기(1392년–1420년)는 고려 상감청자의 계승 및 재해석이 이루어진 시기로 요약된다. 고려 말의 법제를 계승한 조선 초의 상감청자는 고려 후기 공납용 청자 기형·문양을 계승한 양식으로 제작된다. 경상도 요지를 중심으로 봉황·학·수금·버드나무·갈대·전지연화 등의 문양소재를 장식한 발·접시가 대표적으로, 해당 유형은 시간이 지날수록 소략화 과정을 거쳐 해체되거나 인화문으로 변화한다. 위 문양군은 고려시대에 고급 청자 문양 혹은 공납 관련 문양인 것으로 알려졌으나 1400년을 전후한 시기에 이르면 대부분 상위 위계를 지닌 도상이라기보다 다양한 소비처에서 여러 계층의 수요자들에게 애호된 공예적 장식 문양으로 소비된 것으로 보인다. 한편 1412년 이후까지 고려의 예제를 답습하면서도 유교 전례의 정비를 모색했던 당시 일부 고려청자 기명·문양은 명의 의장을 참고하여 새롭게 재해석된 것으로 보인다. 그 일례가 규격화된 3단 문양대에 흑백선상감 문양이 장식된 청자상감용문매병으로, 이전과 달리 의례와 관련된 새로운 성격의 기명·문양으로 기능하며 이후 백자 용준으로 정착한 것으로 보인다. Ⅱ기(1420년대–15세기 전반)는 제기로 대표되는 상감청자 의례기가 전라도·충청도 가마를 중심으로 본격적으로 제작되면서 의례기로서 상감청자의 성격이 강화된 시기이다. 의례상정소의 설치 이후 고제 연구가 본격화되고, 특정 제사에서 자제기의 사용과 중앙으로부터 통일된 의기의 제작 및 관리에 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또한 공상·공판용 기명으로 정착한 백자 및 인화분장회청사기와의 상호관계 속에 상감청자 발과 접시는 제작 비중이 축소되고 제한된 특수기명을 위주로 제작된다. 이때 대발과 같이 특정 기종에 특정 문양이 일정하게 결합하는 것은 고전에 근거한 견양의 보급 현상 속에 기형과 문양의 결합이 기명의 특수한 성격을 결정한다는 인식이 제작·소비 관련 계층 사이에 통용되었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이러한 점에서 Ⅱ기의 일부 상감청자 문양은 개인의 기호와 관련된 공예 장식을 넘어 상징체계인 도상으로 사회적으로 공유된 것으로 추측된다. 한편 면상감 청자의 생산지는 전라도·충청도 지역 중심의 일부 요지로 제한적이지만 전국적인 소비 양상이 확인된다. 소비유적을 성격 검토할 때 분묘 부장, 지방 의례 등 특수한 목적에 사용된 예가 확인된다. 또한 굽을 상감 장식하거나 높이거나 깎는 등의 조형적 변화를 주는 양상이 면상감 청자에서 자주 나타난다. 굽을 강조하는 조형적 재인식은 같은 시기 자제기 등에 금속기적 요소인 굽, 손잡이, 거치형 돌대를 상형 혹은 문양으로 나타내는 것과 관련 있으며, 기명의 특수한 성격을 나타내고자 한 의도로 해석된다. Ⅲ기에 해당하는 15세기 후반 경부터는 중앙에 관요가 설치되고 중앙요·지방요 간 뚜렷한 질적 이원화 현상이 나타나며, 양질의 상감청자는 주로 관요와 한양에서 생산·소비된다. 1450년대 이후 지방 사기장이 관요로 차출됨에 따라 지방 요지에서는 호, 병, 장군, 뚜껑, 대발 등 일부 특수기명을 중심으로 이전에 비해 단순화된 어문·전지연화문·초문·당초문 계열의 문양을 장식한 상감청자가 극소량 제작된다. 그러나 16세기를 전후한 시기가 되면 지방요의 상감청자 제작은 대부분 중단된 것으로 파악된다. 반면 경기도 관요에서는 16세기를 전후한 시기부터 흑백선상감·면상감기법 등을 활용한 상감청자가 고려청자 유형의 화분과 향로로만 제작되는 양상이 나타난다. 그 배경으로 관요의 주 소비층인 왕실과 상림원 등 관청의 수요 외에도 당시 고려청자를 애호한 고동완상 풍조와 관련하여 한양의 특정 소비층의 기호품으로 애호되었을 가능성도 염두에 둘 수 있다. 즉 16세기와 가까워지면 상감청자는 더 이상 제기로 제작되지 않고, 무문의 백자가 그 역할을 대신하게 된다. 상감청자에 나타난 문양은 화훼문이 중심이 되는데, 문양에 중점을 두었던 15세기와 차이를 보이게 된 배경에 대한 추가적 논의가 필요하다. 조선 전기 상감청자의 특징은 의례재원, 도상, 연속성이라는 세 가지 키워드로 정리된다. 상감청자가 조선시대에도 전국 단위로 제작된 데는 국가·왕실의 수요로 인한 제도적 지원이 뒷받침되었다. 상감청자는 특히 문양 혹은 도상의 정확한 표현이 중요했던 의례기에서 기법적 효용성을 인정받으며 집중 제작되었다. 의례재원으로서 상감청자는 조선 초 주기·다기 중심의 고려청자 유형으로, 이후에는 고대 청동 예기와 밀접한 관련을 보이는 특수기명으로 집중 제작되는 경향을 보인다. 이에 따라 상감청자는 이전과 다른 맥락으로 제작 및 소비되며 새로운 의미를 획득했고, 15세기 전반기에 다양한 백토분장·시유자기 조형의 범람 현상 속에서도 존속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일부 상감청자 문양은 공예적 장식으로 인식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도상으로 해석될 필요가 있다. 특정 기형과 문양에서 나타나는 보수성은 해당 문양이 단순한 장식이라기보다 기명의 속성을 정의할 수 있는 도상으로 기능하였음을 방증하는 예라 할 수 있다. 도상은 의례 도설과 같은 기록을 통해 그 의미를 일부 규명할 수 있지만, 도설을 해석하는 과정 혹은 삼차원적 실물과 이차원의 도안을 상호 번안하는 과정에서 도상적 규칙성과 동시에 불규칙성이 나타나 전체를 파악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조선 전기 사회·문화적 환경 속에서 당대 문화 구성원이 공유하였던 시각적 인지양식을 고려한다면 새로운 조형 및 문양·도상의 의미와 연원을 해석하는 데 유용한 단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고려와 조선의 왕조 교체를 발전론적 관점으로만 이해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의문과 함께 진행되었다. 상감청자는 양식의 혼재로 단일 기명 체계 및 양식적 특징을 정의하기 어려운 특징이 있고, 그것은 해당 분야에서의 난점 혹은 한계로 평가된다. 그러나 고려와 조선 사이를 연속성의 관점에서 재고하는 방법은 고려시대 강진 및 부안요의 폐요 경위와 이후 양식적 전개 등 몇몇 논점을 풀어나가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