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테라헤르츠 평행도파로를 이용한 포토레지스트 박막의 두께 및 길이 변화 측정 : Terahertz sensing Photoresist Dependent Thickness and Length by Using Two-channel parallel-plate Waveguides

        박현상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8639

        본 논문에서 Chapter 1 테라헤르츠(Terahertz : 0.1 ~ 10THz)란 무엇인지에 대하여, 다른 종류의 전파 특성과 비교하여 테라파를 서술하였다. 또한 본 논문에서 지금까지 사용되어진 대표적인 테라파 발생과 측정 방식과 원리를 설명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광전도 안테나 PCA (Photoconductive antenna) 방식을 사용하였으며, 테라파 시스템에 대한 설명을 하였다. 평행 도파로를 진행하는 전자기파에 대한 이론을 Chapter 2에 서술하였다. 특히, TE (transverse electric) mode 와 TM (transverse magnetic) mode에 대한 이론적인 분석을 통하여 평행도파로 내에서 전파하는 각각의 모드에서의 군속도 분산과 차단 주파수에 대해 서술하였다. FDTD 시뮬레이션에 대해 Chapter 3에 서술하였다. 전기장과 자기장 사이의 맥스웰 방정식을 가상의 공간에서 컴퓨터 계산에 적용하기 위하여, FDTD 시뮬레이션 조건에 대해 설명과,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1차, 2차원의 공간에서의 맥스웰 방정식을 계산 하기위한 방식에 대해 이야기 하고 2차원 공간에서는 전자기파의 대표적인 TE 모드 TM 모드로 나누어 서술하였다. Chapter 4에서는 평행 도파로를 이용한 박막 측정하였다. 처음으로, Chapter 4.1 to 4.3에서는 평행 도파로를 이용한 박막 측정 방식과 지금까지 사용되어진 테라파를 이용한 다양한 측정 방식에 대해 서술하였다. 두 번째로, Chapter 4.4.2 에서는 Chapter 3에서 공부한 FDTD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박막의 길이와 두께에 따른 TTS (time turning sensitivity) 와 FTS (frequency turning sensitivity)를 예측하였다. 마지막으로, Chapter 4.4.5 실험을 통하여 박막의 두께와 길이를 변화시켜 측정하고 앞의 시뮬레이션과 비교 분석하여 resonance 이동의 원인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 설측 교정으로 전치부 후방견인시 miniscrew와 transpalatal arch 에 발생하는 응력의 분포 및 변위에 관한 3차원 유한요소 해석

        박현상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39

        치열의 부조화를 동반한 상악전돌의 교정치료를 위해 소구치를 발치하면 발치공간의 폐쇄는 이루어져야 하며 상악 전치부 후방견인 시에 고정원의 조절은 매우 중요하다. 고정원을 보강하기 위하여 환자의 협조를 필요로 하는 경우의 문제점은 치료의 효과가 환자에게 의존하게 되어 효과가 적거나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최근에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skeletal anchorage system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골격에 임플란트나 miniscrew 혹은 miniplate를 식립하여 고정원으로 사용한다. 본 논문은 고정원을 보강하는 방법으로 transpalatal arch(TPA)에 miniscrew을 연결하였고 이를 역학적으로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건조두개골을 대상으로 상악의 교합면에서 안와하연 부위까지 1mm 간격으로 컴퓨터 단층촬영을 시행하여 얻은 3차원 영상을 가지고 상악의 3 차원 유한요소모델을 만들었고, 전치부의 후방견인력을 300gm으로 가할 때 miniscrew를 TPA 의 중간지점 3mm 전방에서 바로 연결된 경우와 6mm 전방과 후방에서 miniscrew을 설정한 뒤 연결선으로 TPA와 연결하였는 경우로 나누어 후방 적용점의 위치를 변화하였다. Miniscrew와 TPA와의 연결점 위치는 TPA상에서 제1대구치에서 안쪽으로 16mm위치로 정하였고, 견인력의 후방 적용점의 위치는 TPA상에서 miniscrew와의 연결점을 기준으로 안쪽으로 3mm 지점과 연결점으로 정하고 후방견인력을 가했을 경우에 제 1대구치와 miniscrew, 전치부에 나타나는 변위와 반력을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전치부의 후방견인 시에 전치부에서 변위가 크게 나타났으며 응력의 분포는 lever arm이 연결되어 있는 부위 옆의 측절치와 견치의 브라켓 부착부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다. 2. 전치부위의 후방견인 시에 TPA 중간지점 3mm 전방에서 바로 연결된 경우에서 제 1 대구치의 전방하중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3. 견인력의 후방 적용점의 위치에 따른 반력의 분포에서는 연결점의 안쪽에서 견인할 경우에 제 1대구치가 후방으로 하중이 작용하며, 연결점과 같은 경우에는 전방으로 견인되는 결과를 얻었다. 4. Miniscrew가 TPA의 후방부에 위치하는 경우가 전방으로 위치한 경우보다 제 대구치에 작용하는 상하 방향의 하중이 작다. 5. Miniscrew가 TPA의 후방에 위치하고, 연결점의 안쪽에서 견인할 경우가 제 1 대구치의 하중이 가장 작게 나타났으며 miniscrew의 하중은 가장 크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고정원을 보강하기 위하여 miniscrew을 TPA와 연결할 경우에 후방위치에서, 연결점의 안쪽에서 후방견인력이 적용된 것이 제 1대구치의 하중을 줄이는 데 가장 효과적이었다. Premolar extraction is used to treat max protrusion with crowding. The space that premolar was extracted should be close and anchorage control is very important during the upper anterior teeth retraction. The effect of treatment depends on patients in case of treatment needed patient's cooperation, and it's effect can be less or problem can be occurred. In these days, the skeletal anchorage system has been used to assist anchorage control, this is the procedure that miniscrew, miniplate is implanted on the place needed anchorage, but this should overcome surgical process. This study is performed and investigated to reduce surgical process using miniscrew assisted transpalatal arch for supporting anchorage. In this study, the 3 dimensional finite element model was fabricated and designed to find out the effect of anterior retraction forces on miniscrew and transpalatal arch end as well. Two main cases were devided according connecting point which is connection of miniscrew and TPA. Five cases were made and retraction forces was 300gm. Miniscrew of CASE I was located at the point of 3mm anteriorly from the center of TPA, the rest CASES were located at the point of 6mm anteriorly, posteriorly from the center of TPA. The connecting point of miniscrew and TPA was located at the point of 16mm inward from TPA end (contact point to 1st molar) and the application of force is two point, one is connecting point and another is the point of 3mm inward from the connecting poi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magnitude on the point of miniscrew, force applic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the comparision of the stress and displacement. there was a greater amount of displacement in the anterior 6 teeth than posterior, The greatest changes of stress were found in brace attachment of lateral incisor and canine next to connecting lever arm during anterior teeth retraction. 2. The first molar in CASE I showed the greatest load anteriorly during the anterior teeth retraction. 3. In the reaction force distribution, the 1st molar showed the load posteriorly when the point of force application was located at the point of 3mm inward from the connecting point, anteriorly when the point of force application was located at the connecting point. 4. The miniscrew located at the point of 6mm posteriorly from TPA showed less load upward than anteriorly 5. When miniscrew was located at the point of 6mm posteriorly and the application of force was located at the point of 3mm inward from the connecting, there was the least load to the 1st molar and the greatest load to miniscrew. Given thes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by placing of miniscrew posteriorly from TPA and by application of force inward from the connecting point, it can be effective in reducing the load of the 1st molar.

      • 사회적 기업의 특성변수가 SEBC 성과측정요인에 미치는 영향

        박현상 호남대학교 2009 국내박사

        RANK : 248639

        1997년말 IMF 이후 사회경제적인 어려움을 겪으면서 실직자 계층과 근로취약 계층, 그리고 청년실업자 등이 급증하였다. 정부는 이들에 대한 일자리와 소득지원방안의 하나로 사회적 일자리를 제공하는 사회적기업을 육성키로 하고 2007년에는 사회적기업육성법을 제정하였다. 사회적기업은 정부 재정지원과 자체 수익사업을 통해 빈곤층이나 실직자 계층에게 일반기업이 제공하지 못하는 사회적 서비스를 주민들에게 제공하면서 양질의 일자리로 전환 창출할 수 있도록 제도화하고 있다. 이전에는 정부 주도형의 공공근로사업과 자활사업 등 다양한 사회복지 정책과 사회적 일자리 정책을 추진하였으나 대부분의 사업이 지속적이지 못하고 단편적인 사업에 그쳐 그 효과에 대한 논란이 끊이질 않았다. 본 연구는 사회적기업의 성과측정요인인 균형표에 미치는 선행변수의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독립변수로 구성원의 역할갈등과 커뮤니케이션 등 의사소통 요인과 조절변수인 성격으로서의 개인특성 요인과의 관계성을 검증하였다. 사회적기업은 일반 영리기업과는 다른 목표와 영업활동을 추구하기 때문에 일반 기업과 동일한 방법으로 성과측정을 한다는 것은 그 한계성이 존재한다. 일반기업에서도 양적 평가를 하지 못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사회회계라는 방법을 도입하는 것처럼 전적으로 사회서비스가 주 목적인 사회적기업의 경우 질적 평가와 함께 양적 평가가 동시에 도입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반기업에서 최근 효율적인 성과측정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는 균형성과표(BSC) 개념을 이용하여 Bull(2007)이 마련한 사회적기업의 균형표를 활용하여 사회적기업에 대한 질적 평가를 하였다. 양적 평가를 실시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3년 이상의 재무적 자료나 활동 자료가 있어야 하는데 우리나라는 지난 2007년부터 사회적기업 제도가 도입되었고 현재 노동부에서 정식으로 인증받은 사회적기업이 108개라는 현실적인 제약으로 인해 현 상태에서의 양적 평가는 무리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를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우리나라의 사회적기업은 아직까지 정부의 재정적 지원을 받아 운영되는 곳이 많아 아직까지 독립적인 운영능력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또한 조직 전체가 소규모 조직이며 구성원들은 조직내 여러 가지 업무를 동시에 수행하고 있어서 역할갈등을 느끼고 있는 상황이 아니었다. 그렇지만 소규모 조직일수록 커뮤니케이션 활동이 활발하게 전개되고 조직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구성원의 개인특성에 따라 사회적기업의 균형표(SEBC)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학문적으로나 실무적으로 다음과 같은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먼저 학문적인 기여로는 국내에서 사회적기업 균형표 측정을 위한 최초의 연구였다는 점에서 앞으로 추가 연구의 방향타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다음으로 사회적기업은 그 조직의 성격과 운영의 특성상 일반 사기업과 같은 양적인 균형성과표를 통해서가 아니라 질적인 측정을 통한 균형표가 의미 있는 성과 측정변수로서 충분하다는 것을 확인한데 있다. 또한 실무적인 기여로는 현재의 사회적기업의 상황에서는 구성원들이 활발한 커뮤니케이션 활동을 통해 조직이 지향하는 업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해 낼 수 있다는 것을 밝힌 것이다. 그리고 개인의 성향에 따라 균형표에 미치는 영향으로 내성적 유형은 다중수익의 활동에, 외성적 유형은 학습 및 내부활동의 업무에 더 적합하다는 것을 밝힌 것이다. 지금까지 국내에서는 사회적기업의 성과평가측정·수단을 제안하는 방법론적 연구는 시도되었으나 사회적기업의 성과측정에 대한 실증연구나 질적평가를 시도한 연구는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최초로 국내에서 수행된 사회적기업과 관련된 성과측정 연구로써 큰 의미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향후 다양한 사회적기업의 성과평가 관련 연구에 활용될 수 있게 되길 기대한다. Because of social and economic difficulties in the late 1997, the number of disabled and unemployed people have increased rapidly. As a plan to support those people, the government decided to cultivate social enterprises which provide jobs and finally enacted the social enterprise cultivation law in 2007. Social enterprises are trying to provide social services with which normal enterprises cannot provide poor and unemployed people in our community through their own profitable business as well as financial support from the government. A diversity of social welfare and job creation policies such as public labor projects, led by government, and rehabilitation projects has been executed, but most of them are not sustainable business and there have been lots of controversies regarding their effect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effect of balanced scorecard of social enterprises, a performance measuring factor. For this purpose, we demonstrated the relations between communication factors such as communication between members and role conflict, and personal features. As social enterprises pursue different goals and sales activities from for-profit enterprises, it is hard to measure their success with the same method as normal enterprises. Just as normal enterprises introduce social accounting to the part that can not be measured quantitatively; social enterprises should be measured from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points of view. In this study, we tried to measure social enterprises qualitatively using the balanced scorecard developed by Bull (2007) based on the concept of BSC that has been used as a means of efficient success measurement. As far as quantitative measurement is concerned, financial data for social enterprises are required for more than three years. However, in our country, the social enterprise system has been introduced since 2007, and there are only 108 social enterprises which were officially authorized by the Ministry of Labor. Consequently, we are unable to measure social enterprises quantitatively because of the lack of financial data for social enterprises. Throughout this study, we can find the following. First, our social enterprises seem to have lack of independent operational capability because most of them are managed through financial support from the government. Second, as they are usually small and the personnel covers several tasks at the same time, role conflicts have not been found yet. However, the smaller the organization, the more actively they communicate, which means that it has a direct influence on organizational success. Third, as an adjusting variabl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he personnel has different influences on the balanced scorecard of social enterprises(SEBC). Based on the results described above, we can summarize the contribution of our study from academic research and practical management points of view as follows: For the academic contribution,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considered as a guideline for future studies in that it is the first to measure SEBC. Moreover, we could identify that it is enough to use balance based on qualitative measurement rather than quantitative measurement used in normal enterprises as a meaningful performance measuring variable. For the practical contribution, it could be identified that the personnel can do their tasks effectively through active communication in social enterprises. In reference to the effect of personal dispositions on balance, introverted types are more appropriate for multi-profit activities while extroverted types are more appropriate for learning and internal activities.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ere have been still no studies not only on measuring the success of social enterprises, but also on qualitative measurement in Korea, even though bibliographical studies or methodological approaches to suggest any means of measuring the performance evaluation have been developed. Therefore, this study can be considered as the first research conducted on the performance measurement for social enterprises in Korea and it is also expected that the result of our study can be utilized by various further studies for developing advanced methods to improve the measurement of success of social enterprises.

      • 만성질환자 자가관리를 위한 국제표준 프로토콜 기반 다중 에이전트 모바일 헬스 어플리케이션 개발

        박현상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evaluate a mobile health application (SmPHR) to ensure the interoperability of various personal health devices (PHDs) and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s (EMRs) for continuous self-management of chronic disease patients. The SmPHR was developed for Android 4.0.3, and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optimized standard protocol for each interface of healthcare services adopted by the Continua Health Alliance (CHA). That is, the Personal Area Network (PAN) interface between the application and PHD implements ISO/IEEE 11073-20601, 10404, 10407, 10415, 10417, and Bluetooth Health Device Profile (HDP), and EMRs with a wide area network (WAN) interface implement HL7 V2.6; the Health Record Network (HRN) interface implements Continuity of Care Document (CCD) and Continuity of Care Record (CCR). Also, for SmPHR, we evaluated the transmission error rate between the interface using four PHDs and personal health record systems (PHRs) from previous research, with 611 users and elderly people after receiving 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 approval. In the evaluation, the PAN interface showed 15 (2.4%) errors, and the WAN and HRN interface showed 13 (2.1%) errors in a total of 611 transmission attempts. we received opinions regarding SmPHR from 15 healthcare professionals who took part in the clinical trial. SmPHR can be provided as an interconnected PHR mobile health service to patients, allowing ‘plug and play’ of PHDs and EMRs through various standard protocols.

      • 鴨形土器의 變遷과 그 意味

        박현상 한신大學校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압형토기는 오리 형태의 토기로 제작되어 원삼국~삼국시대 영남지역에 주로 출토 된다. 주로 분묘의 부장품으로 출토되며, 다른 토기들에 비하여 출토량은 아주 극히 소량이라서 희소성의 가치를 띤다. 이러한 압형토기를 비롯한 상형토기에 대한 선연구들이 있었다. 본고에서는 유적에서 출토한 압형토기를 살펴보고, 토기의 변천양상에 대하여 중점을 두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출토유적 현황을 확인하였다. 압형토기가 가장 먼저 확인되는 신라의 중심지인 경주와 인접한 울산지역 유적현황을 파악하였으며, 그 외에 경주의 외곽인 포항・ 경산・부산・동래・울진・함안 등의 출토유적의 유구 및 출토위치 등을 확인하였다. Ⅲ장에서는 기존 연구의 성과를 바탕으로 출토된 압형토기의 명칭 구분과 속성분류를 통하여 9가지 분류를 하였으며, 크게 4가지(1~4)유형으로 나누었다. 와질제의 머리 깃이 크게 장식되었고, 동체부 상면의 등에 주입구와 꼬리에 주출구를 만들어 동체부안에 액체를 담을 수 있도록 제작되었다. 이후 경질제의 머리 깃의 장식성은 퇴화하고 동체부와 대각의 형태가 다양화 되는 등 변천양상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시‧공간적 양상을 분석하여 시기적으로 지역성의 변천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압형토기의 시기를 3단계(Ⅰ~Ⅲ)로 구분하였다. Ⅰ단계는 3세기 중엽에서 4세기 전엽까지로 경주와 울산을 중심으로 한 지역성을 분포한다. Ⅱ단계는 4세기 중엽에서 5세기 전엽까지로 동래‧김해 등의 지역성을 분포한다. Ⅲ단계는 5세기 중엽에서 6세기 전엽까지로 경주를 제외한 영남지역에 분포함을 확인하였다. 압형토기의 부장위치 및 부위별 매납에 의미를 확인하였다. Ⅰ단계 목곽묘 단계에서는 부곽에서 주로 출토되며, ⅰ(완형)과 머리가 결여된 ⅴ(몸통+대각)가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Ⅱ‧Ⅲ단계 석곽묘‧석실묘에서는 매장주체부에서 보다는 봉토나 봉토 주변 매납수혈 등에서 확인되었다. 부위별 매납에 특정적 현상은 보이지 않았다. 이는 신라의 토기 훼손에 대한 제사방법의 변천을 유추할 수 있었다. 압형토기 부장집단의 계층성에 대한 등급화를 시도하였다. 묘곽의 규모, 출토유물의 질‧양을 분류하여(A~D등급)를 통하여 압형토기 매장 집단의 속성을 확인하였다. Ⅳ장에서는 압형토기의 부장집단의 계층 간의 시기와 지역성에 따라 토기의 속성과 위계 및 성격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Ⅰ단계 경주 덕천리 목곽묘 출토 압형토기 부장 과 Ⅲ단계 부산 연산동 M3호분 매납수혈 출토 압형토기 부장 간에 차이는 이러한 압형토기 부장집단의 계층성과 위계성의 변화를 상정할 수 있었다. 압형토기의 부장은 신라의 중심 지배세력에서 확인되어지다가 신라의 성장과 발전 속에서 묘제와 제사형식과 함께 변화하였다. 압형토기의 변천을 통하여 토기 매납의 의미의 변질과 위계성의 하락이 있었다. 6세기 중엽 이후 ‘새’를 상징하는 압형토기의 매납은 사라지게 된다.

      • 노인 맞춤돌봄서비스 생활지원사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직무 스트레스, 셀프리더십, 정서적 유대 다중매개효과 중심으로

        박현상 조선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639

        Korea has been providing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that meet the various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the elderly. However, due to the division of care and inefficiency of project execution due to inter-business partitions and restrictions on duplicate benefits, it has shown insufficient limitations in satisfying the deterioration of service quality and care needs of the elderly. In order to improve these problems, six existing elderly care projects were integrated to implement customized care services from 2020, and long-term care insurance entry prevention was expected to reduce social costs, improve quality of life, and prevent deterioration. In the case of customized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life support personnel are in charge of direct and practical care services, and it is important to perform the role of life support personnel to achieve the project purpose of the elderly care service. Life support workers are physical and mental workers who provide care to the elderly and can be classified as emotional workers, an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job stress, self-leadership, and emotional bonds between emotional and job satisfaction, and to suggest improve the working environment of elderly caregivers and community care. Research models and research hypotheses were derived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in order to verify the research hypothesis, a study was conducted on 449 life support companies that are providing customized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The analysis method is using SPSS 25.0 and Process Macro program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reliability and validity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 test, Scheffe test for ANOVA and post-verification,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collinearity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Model 6 of Process Macro was applied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and the Bootstrapping method was used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The results of the research hypothesis verification are as follows. Hypothesis 1. All four detailed hypotheses were adopted, 'Does emotional labor, job stress, self-leadership, and emotional bonds of elderly customized care service life support directly affect job satisfaction?' Hypothesis 2. Some of the seven detailed hypotheses, 'Does job stress, self-leadership, and emotional bonds have a serial multimedia effect between emotional labor and job satisfaction?' were adopted and some were rejected. Theoretical, policy,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erived from the hypothesis verification results, and first,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in previous studies, there have been only approach studies at a single level between emotional labor and job satisfaction, whereas this paper has theoretical implications in that it approached multiple ways by applying three parameters. Second, there is a theoretical implication that the mediating effect between the independent variable and the dependent variable was multi-dimensionally analyzed with a simple mediating effect and a serial multiple mediating effect to investigate the empirical effect. The policy implications are as follows, and first, job training, such as customized education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life support companies and mentoring projects with experienced people, should be conducted regularly. Second, continuous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to the elderly who are caring for them to alleviate emotional labor by respecting the personality of life support workers. Thir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human rights protection system for life supporters such as government, local government-level laws, ordinances, etc. that can appropriately respond to abusive language, violence, sexual harassment, or threats by caring elderly caregivers. Fourth,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qualification system that can give qualifications to life supporters to instill pride in being a professional and to instill the general public in the recognition that it is an essential professional of national qualification. Fifth, it suggested policy implications that it is necessary to mandate remuneration education to improve the expertise of life support workers to cope with various situations such as environmental changes, job changes, communication, human rights protection, and care technology changes due to the trend of the times. Finally, practical implications are as follows, and first, a detailed and detailed manual for the performance of duties of life support companies should be prepared and distributed. Seco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computer system that simplifies the administrative system of living support companies. Third, a comprehensive support center for life supporters should be operated. Fourth, practical implications were presented for the need for a project to improve social awareness of life support companies. 우리나라는 그간 노인들의 다양한 특성과 요구에 맞는 노인 돌봄서비스를 제공하여 왔다. 하지만 그 동안 사업간 칸막이, 중복급여 제한 등으로 돌봄의 분절화 및 사업수행의 비효율성으로 서비스 질 저하와 노인의 돌봄 욕구를 충족시키기에 미흡한 한계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기존 노인돌봄 6개 사업을 통합하여 2020년부터 노인 맞춤돌봄서비스를 시행하게 되었는데, 노인들에게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장기요양보험 진입 예방으로 사회적 비용 절감과, 적절한 돌봄 제공으로 노후 삶의 질 향상, 상태 악화 방지 등의 효과를 기대하게 되었다. 노인 맞춤돌봄서비스는 수행인력인 생활지원사가 직접적·실질적 돌봄업무를 전담하는데 노인 맞춤돌봄서비스의 사업 목적 달성을 위해선 생활지원사의 역할 수행이 중요하고, 그에 따른 생활지원사의 직무만족은 매우 중요한 부분이라 할 수 있다. 생활지원사는 노인들 대상으로 돌봄을 제공하는 육체적·정신적 노동자이며 또한 감정노동자로 분류할 수 있는데 본 연구는 생활지원사의 감정노동과 직무만족사이에 직무스트레스, 셀프리더십, 정서적 유대를 매개변수로 설정하여 검증 한 후, 그 결과를 통해 노인 맞춤돌봄서비스 생활지원사의 근무환경 개선과 지역사회 돌봄 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연구모형과 연구가설을 도출 하였는데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광주광역시 지역에서 노인 맞춤돌봄서비스를 수행하고 있는 생활지원사 449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25.0과 Process Macro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신뢰도와 타당도분석, 독립표본 T검정, ANOVA 및 사후검증을 위한 Scheffe 검정, 상관분석과 다중공선성 분석,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매개효과 분석을 위해서 Process Macro의 Model 6을 적용하였으며,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Bootstrapping 방식을 사용하였다. 연구가설 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설1. ‘노인 맞춤돌봄서비스 생활지원사의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 셀프리더십, 정서적 유대는 직무만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가?’는 4개의 세부 가설 모두 채택되었다. 가설2. ‘감정노동과 직무만족 사이에서 직무스트레스, 셀프리더십, 정서적 유대는 직렬 다중매개효과를 갖는가?’는 7개 세부 가설 중 일부는 채택되고 일부는 기각되었다. 가설검증 결과를 통해 이론적·정책적·실천적 시사점을 도출 하였는데, 먼저 이론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연구들에서는 감정노동과 직무만족사이에 단일적 차원에서 접근 연구만 있어왔고 이에 비해 본 논문은 매개변수를 3개를 적용하여 다각적으로 접근했다는 점에서 이론적 시사점을 갖는다. 둘째,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사이에서 매개효과를 단순매개효과, 직렬 다중매개효과로 다차원적으로 분석하여 실증규명 했다는 이론적 시사점을 갖는다. 정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은데 첫째, 생활지원사의 특성에 맞는 맞춤형 교육과 경력자와의 멘토링 사업 등 직무교육이 정기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돌봄 대상자인 노인에게 생활지원사의 인격을 존중함으로써 감정노동 완화를 위한 지속적인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돌봄 노인이나 돌봄 노인 보호자의 폭언, 폭력, 성추행이나 협박 등에 대해서 적절한 대응할 수 있는 정부, 지방자치단체차원의 법, 조례 등 생활지원사의 인권보호 시스템 구축이 되어야 한다. 넷째, 생활지원사에게 자격을 부여하여 전문직이라는 자긍심을 심어주고, 일반인에게도 국가자격의 필수 전문직이라는 인식을 심어줄 수 있는 자격제도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돌봄 노인의 특성에 기인한 환경변화와 직무변화, 의사소통, 인권보호, 시대 흐름에 따른 케어기술 변화 등 다양한 상황에 대처하기 위해 생활지원사 전문성 향상을 위한 보수교육을 의무화 할 필요가 있다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실천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은데, 첫째, 생활지원사의 직무수행을 위한 세세하고 구체화된 매뉴얼이 작성 보급되어야 한다. 둘째, 생활지원사의 행정체계 간소화 전산시스템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생활지원사를 위한 종합지원센터가 운영되어야 한다. 넷째, 생활지원사의 사회인식 개선 사업이 필요하다는 실천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전립선 비대증 환자의 약물복용이행 관련 요인

        박현상 신한대학교 일반대학원(석사) 2024 국내석사

        RANK : 248639

        전립선 비대증 환자의 약물복용이행 관련 요인 이 연구는 전립선 비대증 환자의 약물복용이행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경기도 U시에 있는 종합병원 비뇨의학과에서 2023년 8월부터 12월까지 전립선 비대증으로 진단받은 남성 120명을 대상으로 시 행하였다. 측정도구는 약물복용이행, 복약 자기효능감, 가족지지 도구를 사용하였 고, SPSS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t-test, ANOVA, 상관분 석,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를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약물복용이행 48점 만점에 43.9점, 복약 자기효능감 39점 만점에 32.4점, 가족지 지 55점 만점에 19.8점이었다. 2. 약물복용이행은 연령(F=3.662, p=.015)이 높을수록, 만성질환 유병수(F=4.762, p=.003)가 많을수록 높았다. 연령의 경우 사후분석 결과 ‘70세 이상’ 그룹에서, 만 성질환 유병수의 경우 사후분석 결과 만성질환 ‘3개 이상’ 그룹에서 약물복용이행 이 높았다. 3. 복약 자기효능감은 경제 상태(F=7.419, p=.001)가 높을수록 높은 점수를 보였다. 복약 자기효능감의 경우 사후분석 결과 경제 상태 ‘상’ 그룹에서 복약 자기효능감 이 높았다. 4. 가족지지는 동거 형태(F=8.132, p<.001), 경제 상태(F=5.900, p=.004), 앉아 있는 시간(F=2.619, p=.010)에서 차이가 있었다. 동거 형태의 경우 ‘독거’그룹보다 ‘부부 만’ 그룹에서 가족지지가 높았으며, 경제 상태의 경우 ‘중’, ‘하’ 그룹 보다 ‘상‘그룹 이 가족지지가 높았다. 앉아있는 시간의 경우 ’8시간 미만‘ 보다 ’8시간 이상‘에서 가족지지가 높았다. 5. 약물복용이행은 복약 자기효능감(r=0.295, p<.001), 가족지지(r=0.278, p<.001)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6. 대상자의 약물복용이행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 과 경제 상태(β=.20, p<.001)와 연령(β=.33, p<.001), 만성질환 유병수(β=.25, p<.001)가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조사되었다(Adjusted R2=.195). 이 연구 결과에서 전립선 비대증 환자의 연령이 높을수록, 경제 상태는 높을수록, 만성질환이 많을수록, 약물복용이행을 잘하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가족지지와 복 약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약물복용이행을 잘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영 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조사하여 약물복용이행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가 연 구하고 가족 지지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가족 상담 프로그램 개발하고 건강증진 프로그램 적용해야 할 것이다. 주제어 : 전립선 비대증, 악물복용이행, 복약 자기효능감, 가족지지 This is a descriptive exploratory study aimed at identifying factors influencing medication adherence in patients with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at the urology department of a comprehensive hospital in U City, Gyeonggi Province, from August to December 2023, involving 120 men diagnosed with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Measurement tools included medication adherence, self-efficacy in medication, and family support, analyzed using SPSS 26.0 for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s,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1. Medication adherence scored 43.9 out of 48, self-efficacy in medication scored 32.4 out of 39, and family support scored 19.8 out of 55. 2. Medication adherence was higher with increasing age (F=3.662, p=.015) and a greater number of chronic illnesses (F=4.762, p=.003). Post hoc analysis revealed higher medication adherence in the '70 years and older' age group and the '3 or more chronic illnesses' group. 3. Self-efficacy in medication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higher economic status (F=7.419, p=.001), particularly in the 'high' economic status group. 4. Family support showed differences in living arrangement (F=8.132, p<.001), economic status (F=5.900, p=.004), and sitting time (F=2.619, p=.010). Living with a spouse was associated with higher family support than living alone, and 'high' economic status and sitting for more than 8 hours were associated with higher family support. 5. Medication adherence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efficacy in medication (r=0.295, p<.001) and family support (r=0.278, p<.001). 6.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economic status (β=.20, p<.001), age (β=.33, p<.001), and the number of chronic illnesses (β=.25, p<.001) were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medication adherence (Adjusted R2=.195). The study suggests that older age, higher economic status, and more chronic illnesses are associated with better medication adherence in patients with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Additionally, higher family support and self-efficacy in medication are related to improved medication adherence. Therefore, nursing interventions should be developed to enhance medication adherence by investigating influencing factors, and various family counseling programs should be designed to increase family support, along with the application of health promotion programs. Key word : Benign Prostate hypertrophy, Medication adherence, Self-efficacy of medication, Family support

      •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Worker Health Management Services based on Digital Health Care Technology for Workplace Health Promotion : 사업장 건강 증진을 위한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 기반 근로자 건강관리 서비스 개발 및 평가

        박현상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639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은 사업장 건강 증진을 지원할 수 있고 근로자의 건강과 관련된 기업의 사회적 및 경제적 손실을 예방할 수 있다. 국내는 산업 보건 분야에 적합한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을 활용한 서비스가 없으며, 이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 기반 근로자 건강관리 서비스를 개발 및 평가하는 것이다. 본 연구로부터 파생된 부 연구에 대한 초록은 아래와 같다. 근로자 건강관리를 위한 인프라 개발 및 운영 ● 본 연구는 근로자 건강관리를 위한 웹 기반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해 사용자 조사 및 표적 집단 면접을 수행하였다. 수집된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분석하여 시스템의 업무 프로세스 및 기능을 정의한 후 현지 및 원격지 기관의 역할에 따른 화상 원격상담 서비스를 설계하였다. 설계한 서비스에 기반하여 화상 원격상담을 지원할 수 있는 웹 시스템과 웹 환경에서 의료장비와의 인터페이스를 보장할 수 있는 통합 게이트웨이를 개발하였다. ● 실무 환경을 분석한 후 화상 원격상담에 필요한 네트워크, 화상장비, 의료장비 및 서버로 구성된 인프라를 설계하였다. 본 연구는 화상 원격상담 서비스의 운영 현황을 분석하기 위해 개발한 시스템의 통계 결과 및 만족도 조사 결과를 활용하였다. ● 본 연구는 전국 산업보건센터에 개발한 시스템, 게이트웨이 및 하드웨어 인프라를 구축하였으며, 2018년 1월 1일부터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2년 동안 수집된 정량적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서비스 이용자는 총 4,979명이었고, 설문 응답자는 총 1,270명이었다. 서비스 활동은 총 6,388회이었으며, 종합 만족도는 5점 만점에 4.58점(±0.59)이었다. 본 연구는 화상 원격상담 서비스가 매우 만족스러운 수준으로 평가되었다. 특히 서비스 접근성 및 현지 의료인의 서비스 만족도가 높게 평가되었다. 근로자 개인건강기록 앱 설계 및 개발 ● 본 연구는 인간 중심 디자인 방법론에 기반하여 산업 보건에 적합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관점을 고려한 개인건강기록 앱을 개발하였다. 근로자로부터 수집된 정량적 데이터 및 건강 전문가 그룹으로부터 수집된 정성적 데이터를 분석하여 프로로타입을 개발하였고 사용성 평가 6회를 통해 개선하였다. 근로자의 개인건강기록은 분석된 데이터에 기반하여 근로자 개인건강기록 항목을 구조화한 후 의료정보 표준을 준수하여 상호운용성을 보장하였다. 본 연구는 다양한 기관마다 제공하는 연계 방식을 통해 산재된 근로자의 건강 정보를 통합하였으며, 근로자의 개인건강기록은 Azure API for FHIR를 이용하여 클라우드에서 관리하였다. ● 정량적 데이터 분석에 사용된 응답자는 562명 산업 단지 내 근로자였다. 개인건강기록의 데이터 항목은 복약, 걸음 수, 식이, 혈압, 체중 및 혈당이 다른 항목에 비해 선호도가 높았으며, 기능은 건강검진 결과, 콘텐츠 제공, 상담 기록 조회 및 전문가 상담이 다른 기능에 비해 선호도가 높았다. 근로자 개인건강기록 앱은 사용자에게 라이프로그, 생체 신호 및 건강검진 결과 등 데이터 수집에 따른 개인건강기록 관리, 방문 예약 및 건강 상담 등 건강관리 서비스, 물질안전보건자료 검색 및 건강 설문 등 산업안전보건 콘텐츠를 제공한다. 특히 본 앱은 사용성 평가에 참여한 19명(건강 전문가 7명 및 근로자 12명)으로부터 조사된 개선 사항을 반영하여 앱의 사용자 편의성 및 사용성을 보장하였다. 근로자 개인건강기록 앱의 행동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본 연구는 정보기술수용을 설명하는 대표적인 이론인 통합 기술 수용 모형에 인지된 위험을 주요 변수로 추가한 연구 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전국 산업보건센터에 내방한 근로자 및 건강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수행하였다. 설문은 보건복지부 지정 공용기관 생명윤리위원회로부터 심의를 받은 후 7주 동안 총 1,050부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본 연구는 가설 검증하기 위해 다중 회귀 분석 및 다중 집단 경로 분석을 실시하였고 근로자 및 건강 전문가에 따른 주요 변수의 인식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 분석에 사용된 응답자는 총 866명(근로자 687명, 건강 전문가 179명)이었다. 분석 결과, 노력 기대(β=0.076, P=0.03), 사회적 영향(β=0.425, P<0.001), 성과 기대(β=0.068, P =0.008) 및 촉진 조건(β=0.134, P<0.001)은 모두 행동 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지된 위험(β=-0.294, P<0.001)은 이용 의도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변수의 평균 점수는 인지된 위험을 제외한 나머지 변수에 대해 근로자가 건강 전문가에 비해 높게 나타났고 촉진 조건을 제외한 나머지 주요 변수에 대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 기반 근로자 건강관리 서비스 평가 ● 본 연구는 전향적 관찰 연구에 기반하여 16주 동안 참여자 117명 및 전문 인력 27명을 대상으로 파일럿 연구를 수행하였다. 참여자는 총 3회(1, 8 및 16주) 연구 실시기관에 방문하여 신체 계측, 혈액 검사 및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 상담을 진행한 후 설문 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이들은 개인건강기록 앱의 다양한 기능을 이용하였다. 전문 인력은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하여 참여자의 데이터를 관찰하고 적절한 중재(푸시 알람, 콘텐츠 발송 및 화상 원격상담)를 수행하였다. Primary outcome measures는 참여자의 대사증후군 위험 요인(수축기 혈압, 이완기 혈압, 허리둘레, 공복 혈당, 중성지방 및 HDL 콜레스테롤) 변화에 대한 서비스의 효과를 평가하는 것이다. Secondary outcome measures는 참여자의 생활습관(신체 활동량, 식습관) 및 서비스 만족도 변화를 분석하고 사용 로그 분석을 통해 서비스 사용 현황을 관찰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서비스 제공자의 관점을 파악하기 위해 연구 종료 후 전문 인력을 대상으로 반 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한 심층 인터뷰를 수행하였다. ● 수축기 혈압(F=7.32, P<0.001), 이완기 혈압(F=11.30, P<0.001), 허리 둘레(F=17.33, P<0.001), 공복 혈당(F=5.11, P=0.007) 및 중성지방(F=4.66, P=0.01)은 시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HDL 콜레스테롤(F=3.35, P=0.067)은 그렇지 않았다. 식이 점수(F=3.26, P=0.04)는 시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신체 활동량(F=1.06, P=0.34)은 그렇지 않았다. 또한 서비스 만족도 중 생활습관 개선(P<0.001)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COVID-19는 전문 인력의 업무 수행에 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헬스케어 기술을 활용한 서비스에 대한 관점을 전환하게 되었다. Digital health care technology can support the improvement of workplace health promotion and prevent the social and economic losses of enterprises related to the health of workers. In Korea, there are no suitable services for occupational health using digital health care technology, and studies on this are insufficient.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d evaluate worker health management services based on digital health care technology. The abstract of the sub-research derived from the main study is as follows: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Infrastructure for Worker Health Management ● This study conducted a user survey and Focus Group Interview (FGI) to develop a web-based system for worker health management. After defining the system's work process and function by analyzing the collected user's requirements, We designed a video teleconsulta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role of local and remote institutions. Based on the designed services, we developed a web system that can support video teleconsultation and an integrated gateway that can guarantee the interface with medical equipment in the web environment. ● After analyzing the working environment, we designed an infrastructure consisting of network, video equipment, medical equipment, and server necessary for teleconsultation. This study used the statistical results of the developed web-based system and the results of the service satisfaction survey to analyze the operation status of the video teleconsultation service. ● A system, gateway, and hardware infrastructure within national occupational health centers have been operating this service since January 1, 2018. Over two years, the total number of teleconsultation service users was 4979, and the total number of questionnaire respondents was 1,270. The total number of service activities was 6,388 and total satisfaction was rated as 4.58 (± 0.59) out of 5. In particular, service accessibility and local medical personnel service were rated highly. Design and Development of Personal Health Record App for Workers ● Based on the Human-Centered Design (HCD), this study developed a Personal Health Record (PHR) app that is not only suitable for occupational health but also considers the user's perspective. A prototype was developed by analyzing quantitative data collected from workers and qualitative data collected from a group of health care professionals and improved through usability evaluation 6 times. Workers’ PHR were structured based on the analyzed data, and interoperability was ensured by complying with standards in medical informatics. This study integrated scattered workers’ health information through a linkage method provided by various institutions, and the workers' PHR was managed in the cloud using Azure API for Fast Healthcare Interoperability Resources (FHIR). ● The respondents used for quantitative data analysis were 562 workers. PHR's data items were preferred over other items including medication, number of steps, diet, blood pressure, weight, and blood glucose, and functions were preferred over other functions including medical checkup results, content provision, consultation record inquiry, and teleconsultation. The PHR app for workers provides users with PHR management according to data collection such as life-logs, vital signs, and medical checkup results, health care services such as reservation and teleconsultatio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content such as material safety data sheet search, and health questionnaire. In particular, this app reflected the improvements surveyed from 19 members (7 health care professionals and 12 end-users) who participated in the usability evaluation to ensure the user convenience and usability of the app. Factors Influencing Behavioral Intention of Personal Health Record App for Workers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rvey workers who visited occupational health centers and health care professionals to verify the research model that added perceived risk to the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 (UTAUT). After receiving the ethical approval from the Korea National Institute for Bioethics Policy (KoNIBP), the survey distributed 1,050 copies of the questionnaire for 7 weeks. In this study,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hypotheses and independent samples t-test was performed to analyze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main variables among workers and health care professionals. ● The number of respondents used in the analysis was 866 (687 workers and 179 health care professionals). The analysis showed that effort expectancy (beta=0.076, P=0.03), social influence (beta=0.425, P<0.001), performance expectancy (beta=0.068, P=0.008), and facilitating conditions (beta=0.134, P<0.001) have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behavioral intention, and perceived risk (beta=–0.294, P<0.001) has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 The mean scores of the main variables were higher for workers than for practitioners for the remaining variables except for perceived risk and significant differences appeared for the remaining variables except for facilitating conditions. Workers’ mean scores of the main variables were higher than health care professionals for all remaining variables except for perceived risk, and significant differences appeared for the remaining variables except for facilitating conditions. Evaluation of Worker Health Management Service using Digital Health Care Technology ● Based on the p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this study conducted a pilot study with 117 participants and 27 health care professionals for weeks 16. The participants visited the research institution 3 times (weeks 1, 8, and 16) and were surveyed conducting body measurements, blood tests, and personalized health care counseling. They used various functions of the PHR app. Health care professionals observed the data of the participants using the monitoring system and performed appropriate interventions (push alarm, content sending, and video teleconsultation). Primary outcome measures are to evaluate the effects of services on changes in the participants’ metabolic risk factors. Secondary outcome measures are to analyze changes in the participants’ lifestyle (physical activity, eating habits) and service satisfaction, and observe the status of service use through usage log analysis. Finall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using semi-structured questionnaires with health care professionals after the end of the study to understand the perspectives of service providers. ● Systolic blood pressure (F=7.32, P<0.001), diastolic blood pressure (F=11.30, P<0.001), waist circumference (F=17.33, P<0.001), fasting blood glucose (F=5.11, P=0.007), and triglycerides (F=4.66, P=0.01)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time points, but HDL cholesterol (F=3.35, P=0.067) did not. The dietary score (F=3.26, P=0.04)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time points, but the physical activity (F=1.06, P=0.34) did not. Among service satisfaction, only the lifestyle improvement (P<0.001)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COVID-19 has affected the performance of health care professionals, which has shifted the perspectives of services using health care technologies.

      • 사회초년생의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인지적 유연성과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박현상 경일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에서는 사회초년생의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인지적 유연성과 자기자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사회초년생 341명(남자 138명, 여자 203명)을 대상으로 평가염려 완벽주의(HMPS, FMPS), 사회불안(SPS, SLAS), 인지적 유연성(CFI), 자기자비(K-SCS)를 측정하는 질문지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SPSS 23.0과 SPSS PROCESS MACRO 3.4를 이용하여 기술통계 분석, 상관분석, 부트스트랩핑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가염려 완벽주의는 사회불안과는 정적 상관을, 인지적 유연성과 자기자비와는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사회불안은 인지적 유연성과 자기자비와는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그리고 인지적 유연성과 자기자비는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인지적 유연성과 자기자비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인지적 유연성과 자기자비 모두 유의미한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인지적 유연성과 자기자비는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를 순차적으로 이중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상담 장면에서 사회초년생의 사회불안 예방과 대처에 있어서 도움을 주는 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갖는 의의와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주요어 : 평가염려 완벽주의, 사회불안, 인지적 유연성, 자기자비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