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예비 물리 교사의 관 내 정상파 모형 발달에서 간섭무늬영상에 대한 시각적 지각과 해석의 역할

        박정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807

        관 내 정상파의 네 가지 모형유형 중에 예비교사는 미시·추상 모형만을 가지는 경우가 많으며, 이를 현상과 연계해 설명하지 못한다. 이에 예비교사의 구체·추상 모형을 발달시키고 이를 통해 전체 모형을 발달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한 고민이 요구된다. 관내 정상파는 ‘사실상 시각적으로 관찰 불가능’하기 때문에 예비교사는 초기 모형을 통해 예상한 결과를 현상과 비교할 수가 없고, 따라서 모형을 발달시키는데 어려움을 겪는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소리 관련 현상을 시각적 지각 가능하도록 하는 가시화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전자 광반점 간섭계(ESPI: Electronic Speckle Pattern Interferometer)는 정상파의 압력변화 현상을 거시적인 영역에서 가시화 할 수 있는 방법이기 때문에, 거시·구체 모형을 발달시킬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전자 광반점 간섭계는 일반 물리 실험에서 사용되는 광학 기기들을 이용하여 연구자가 구성하였다. 영상처리는 연구자가 LabVIEW 2009로 제작한 영상감산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거의 실시간으로 수행하였다. 활동은 4시간동안 진행되었으며, 서울 소재 대학의 물리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 물리교사 29명이 참여하였다. 활동 전과 후에 예비교사가 가지고 있는 모형유형과 모형전환을 알아보기 위하여, 정상파 관련 삽화요소의 의미와 각 표상에 대한 이해를 묻는 검사지를 수정 적용하였다. 예비교사가 작성한 활동지를 수집하였으며, 예비교사의 활동은 모두 녹화, 녹음하였다. 검사지와 활동지를 통해 수집한 자료는 모형유형, 모형조직화, 모형구조 차원에서 분석하였다. 모형유형은 전체 모형을 구성하는 네 가지의 부분 모형을 유형화 한 것으로 미시·구체, 미시·추상, 거시·구체, 거시·추상 등이 있다. 활동 전에 과학적인 거시·구체 모형을 가진 예비교사는 2명(6.9%)에 불과했다. 하지만, 9명(31.0%)의 예비교사가 활동 전의 거시·구체 모형에 비해 활동 후의 거시·구체 모형을 발달시켰다. 9명 중에 7명(77.8%)은 제공한 “전자 광반점 간섭계의 간단한 설명”을 이용해 간섭무늬영상을 해석하였다. 2명(22.2%)은 직관으로 간섭무늬영상을 해석하였다. 선행연구에서와 마찬가지로 예비교사는 과학적 거시·구체 모형을 갖기는 어려워했지만, 간섭무늬영상의 시각적 지각과 해석 활동을 통하여 거시·구체 모형유형을 발달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형조직화는 네 가지 모형유형사이의 전환을 통하여 상위모형을 가지는 것을 의미하며, 본 연구에서는 모형전환을 통한 과학적인 모형유형 수의 증가로 모형조직화의 발달을 판단하였다. 활동 전에 예비교사가 사용한 과학적 모형유형의 수는 평균 0.76개였지만, 활동 후에는 1.31개로 증가하였다. 또한 활동 전에는 0개의 과학적 모형유형을 사용한 경우가 17명(58.6%)으로 제일 많았지만, 활동 후에는 2개의 과학적 모형유형을 사용한 경우가 10명(34.5%)으로 많이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모형조직화의 발달을 위한 활동으로 두 가지 순서로 모형전환을 적용하였다. ‘미시·추상, 거시·추상, 미시·구체, 거시·구체’의 순서로 모형전환 활동에 참여한 예비교사는 8명이었고, 이 중 네 가지 모형유형이 모두 과학적인 경우는 1명(12.5%)이었으며 모든 과정에서 과학적으로 모형전환을 한 예비교사는 3명(37.5%)이었다. ‘거시·구체, 미시·구체, 미시·추상, 거시·추상’의 순서로 모형전환 활동에 참여한 예비교사는 11명이었으며, 이 중 네 가지 모형이 모두 과학적인 경우는 8명(72.7%)이었으며, 이들은 모두 모든 과정에서 과학적으로 모형전환을 하였다. 이처럼 과학적으로 모형전환을 할 수 있는 경우는 모형조직화를 성공적으로 발달시킨다고 할 수 있다. 구체와 추상 사이의 모형전환은 미시와 거시 사이의 모형전환에 비해 비과학적이었는데, 특히 구체에서 추상으로의 전환보다 추상에서 구체로의 전환에서 비과학적인 전환이 많이 나타났다. 이는 정상파에서는 구체에서 추상으로의 모형전환이 모형조직화의 발달에 효과적이며, 구체적인 모형유형의 발달이 모형조직화의 발달을 위해 필수적임을 시사한다. 모형구조는 변인에 따른 각 모형유형의 변화를 의미하며, 네 가지 모형유형사이의 전환을 통하여 얻은 상위모형이 변인의 변화에도 얼마나 일관적인지로 모형구조의 발달을 판단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모형구조의 발달을 판단하기 위해 진동수와 진폭, 두 변인의 변화에도 일관적인 모형전환을 사용하는 지를 평가하였다. ‘거시·구체, 미시·구체, 미시·추상, 거시·추상’의 모든 전환 과정에서 과학적으로 모형전환을 하여 모형조직화를 발달시켰던 8명은 진동수의 변화에서도 모두 과학적인 모형전환을 하였지만, 진폭의 변화에서 모두 과학적인 모형전환을 한 경우는 단 2명뿐이었다. 즉 예비교사의 모형구조는 진폭의 변화보다 진동수의 변화에서 더 발달하였다. 진동수의 변화에 따른 간섭무늬영상의 변화를 바르게 시각적으로 지각한 예비교사는 25명(86.2%)이었고, 간섭무늬영상의 해석을 통해 거시·구체 모형유형의 변화를 설명한 14명 모두 “밀한 부분과 소한 부분의 간격이 줄어든다.”고 과학적으로 설명하였다. 반면 진폭의 변화에 따른 간섭무늬영상의 변화를 바르게 시각적으로 지각한 경우는 6명(20.7%)이었고, 간섭무늬영상의 해석을 통해 거시·구체 모형의 변화를 설명한 14명 중에 6명(42.9%)만이 “소밀 차이 크다.”고 과학적으로 설명하였다. 예비교사는 변인의 변화에 따른 간섭무늬영상의 변화를 시각적으로 잘 지각하지 못하는 경우, 거시·구체 모형유형의 변화를 과학적으로 설명하지 못한다. 거시·구체 모형유형의 모형전환을 통해 획득한 미시·구체, 미시·추상 및 거시·추상 모형유형의 변화가 기존에 알고 있던 모형유형의 변화와 다를 때, 예비교사는 모형전환을 통해 획득한 모형유형의 변화를 쉽게 포기하고 기존에 알던 모형유형의 변화를 기록한다. 그 결과 모형전환은 비과학적으로 나타나며, 이는 모형구조의 발달을 저해한다. 따라서 간섭무늬영상의 변화를 쉽게 시각적으로 지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모형구조의 발달을 위해 중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결과는 정상파 관련 모형구조와 모형조직화의 발달을 위해 예비교사의 거시·구체 모형을 발달시키는 것이 필수적이며, 가시화된 현상의 시각적 지각과 해석을 통해 거시·구체 모형유형의 발달을 이끌어 낼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정상파 관련 모형 발달에서 구체적 모형 발달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추상적인 영역에 편중되어 현상과 이론을 연결하지 못하는 현재의 정상파 관련 수업에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UV/O₃/TiO₂ 시스템을 이용한 제지폐수 처리

        박정우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application of TiO2 on the photocatalytic treatment of paper mill wastewat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rimental conditions influencing photocatalytic activities and degree of organic decomposition were examined. Furthermore, this wastewater treatment technique was also applie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lignin removal rate and NBDCOD removal rate with operation condition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inflow velocity and removal rate of CODCr, the highest degree of decomposition was shown in the range of inflow velocity 1,500㎖/min. That occation, correlation between lignin removal rate and NBDCOD removal rate suggests very high (correlation coefficient R2=0.92). And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pH and removal rate of CODCr, the highest degree of decomposition was shown in the range of pH 4. That occation, correlation between lignin removal rate and NBDCOD removal rate suggests also very high (correlation coefficient R2=0.93). Finally,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circulation numbers and removal rate of CODCr with pH 4, the highest degree of decomposition was shown in the range of circulation numbers 1,080times/day. That occation, correlation between lignin removal rate and NBDCOD removal rate suggests also very high (correlation coefficient R2=0.94). All operation conditions, efflux pH was shown neutrality independent of influx pH

      • 수직자장하에서 원관내 자성유체의 거동에 관한 연구

        박정우 동아대학교 1997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에서는 Shliomis에 의해 유도된 기초식을 적용해서 자성유체의 원관내 유동을 이론적으로 해석하고, 특히 수직자장하에서 자성유체 유동특성을 검토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특히, 영구자석의 경우에는 최대 3000 Oersted, 전자석의 경우에는 10만 Oersted의 자계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수직자장의 세기가 큰 범위에서 극성효과 및 자성효과 파라미터를 통해 속도, 와도, 내부각운동량, 유기자화 및 점도증가에 대해 이론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원통좌표계를 사용하고, 격자점은 반원에 대해서 25×25로 했다. 수치해석은 중심차분을 통해 Gauss소거법으로 해를 구했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원관에 대해서 수직한 외부자장 H_(0)를 주었을 때, 원관 내에서의 자장의 크기는 H=H_(0)-M_(0)/2가 된다. 2. 극성효과 파라미터 e를 증대시키면, 입자와 유체 사이의 저항이 증가한다. 3. 자성효과 파라미터 x를 증대시키면, 입자의 회전이 억제된다. 4. 속도분포의 비대칭성은 무시할 수 있는 정도이고, 대체로 축대칭 흐름이 되어 있다. 5. 자장이 입자의 회전에 미치는 영향은 입자의 회전방향과 자장의 방향이 수직할 때보다는 평행할 때가 더 크다. 6. 유기자화분포는 θ=90˚의 단면에 관해서 반대칭이 되어 있다 또한, 자장이 강하게 되면 유기자화는 감소한다. 7. 극성효과에 대한 자성효과 파라미터의 임계점을 구했다. 따라서, 자성유체 응용분야에 대한 속도 및 점도와 관련된 분야에 있어서 자장의 범위를 제시한다. In the present paper, we analyze theoretically the flow of magnetic fluids in a circular pipe with vertical magnetic field and investigate the magnetic response by the external magnetic field. Theoretical study through governing equation derived by Siliomis is carried out numerical analysis by the Gauss Elimination Method. Using polar and magnetic effect parameter, theoretical equations and distributions for the velocity, vorticity , internal angular momentum and induced magnetization as the magnetic response are shown. Especially, in the region of strong magnetic field the specific property is appeared by finding critical magnetic effect parameter for polar effect parameter.

      • 초등학교에서 학교자치가 학교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박정우 忠南大學校 大學院 2022 국내박사

        RANK : 247647

        School autonomy has been promoted as one of the central tasks of educational reform based on the school-based management theory, an autonomous school management model. With the full implementation of the direct superintendent system in 2010, the "school autonomy" discourse has emerged in earnest as efforts have been made to innovate schools at the local level, and in some regions, full-fledged policy research has been conducted by the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However, while there has been much interest in school autonomy, empirical research on how the reinforcement of school autonomy contributes to school improvement or changes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has been insufficient. Only when the effectiveness of school autonomy is confirmed and proven, the necessity of introducing school autonomy can confidently posited, and discussions on school autonomy can be developed. Therefore, it is important at this point to find out what measure of increased school effectiveness will be engendered by instituting school autonomy practices. With this in mind, the present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school autonomy on school effectiveness. School effectiveness was divided into student-level and teacher-level school effectiveness, and the factors influencing school effectiveness were not limited to school autonomy, but were also found in the demographic variables of students and teachers and school background variables which were to be empirically identified. To solve this problem, research questions were identified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correlation between school autonomy and school background variables? Second, what is the correlation between school effectiveness and the level of school autonomy? Third, what is the effect of school autonomy on school effectiveness? In order to answer these research questions, school autonomy and school effectiveness measurement instruments were developed, and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Specifically, the first measurement instrument was developed by analyzing concepts, components, related factors, domestic and foreign prior research and policy trends, and laws related to school autonomy and school effectiveness. In addition, a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on students enrolled and teachers working in Sejong Special Self-Governing City and Daejeon Metropolitan City elementary schools, an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questions were verified. Next, this survey was conducted on homeroom teachers and students in the fifth and six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in Sejong and Daejeon, and the validity of the measurement instrument was further verified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independent variables used in this study are student demographic variables (gender, grade, whether one's parents work together, whether or not basic education has been achieved), teacher demographic variables (gender, position, career, class scale), school background variables (region, school scale, innovative school, research school, education welfare priority support project school), school autonomy variables (functional autonomy: curriculum, student life, staffing, budget, structural autonomy: student, parents, teachers & education workers, school board, cultural autonomy: vision sharing, autonomy and responsibility,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The dependent variables are student-level school effectiveness (student competency, school satisfaction) and teacher-level school effectiveness (education community, teacher school satisfaction, and class quality). As for the analysis method, one-way ANOVA was conducted to discover the correlation between school autonomy and the background variables of schools and to check the correlation between school effectiveness and the level of school autonomy. In addition,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autonomy, student-level school effectiveness, and teacher-level school effectiveness was empirically explored through a hierarchical linear model. First, the correlation between school autonomy and the background variables of the schools was most noticeable depending on the scale of the school and whether it was an innovative school. Of the eleven variables set for school autonomy, eight variabl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scale of the school and whether it was an innovative school. In general, innovative schools showed higher awareness of school autonomy than general schools. Second, the correlation between school effectiveness and the level of school autonomy was not significant in the student-level school effectiveness variables, bu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teacher-level school effectiveness variables. In particular, the educational community, class quality, and teacher school satisfaction set by teacher-level school effectiveness were associated with sequential differences in school effectiveness by group (upper, upper middle, lower middle, and lower). Third, the student demographic variables associated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in school effectiveness were derived from gender, grade, whether or not basic education has been achieved, and whether one's parents work together, while gender was the only teacher demographic variable with a significant correlation. Specifically, gender, whether or not basic education has been achieved, students' competencies and school satisfaction had a greater influence than other variables, and in the case of students, the influence of demographic variables seems to have had a great influence on school effectiveness. On the other hand, gender showed the on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teacher's school effectiveness, likely indicating a greater influence than other factors in the case of teachers. Fourth, when school-level variables were introduced after controlling student or teacher demographic variabl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chool effectiveness in the region, school scale, innovative school, research school, and educational welfare priority business school. Specifically, the core competencies of students differ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whether the school was an education welfare priority support project school or a research school, the area to which the students belonged, the scale of the school, and the teacher's school satisfaction. In other words, the school background variables were associated with a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some of the school effectiveness variables, but do not seem to have a greater influence than other variables. Fifth, it was found that ten out of eleven variables of school autonomy had a positive or negative effect on school effectiveness. Specifically, six variables had a positive or negative effect on student competency, three variables on student school satisfaction, five variables on the educational community, five variables on teacher school satisfaction, and two variables on class quality. In addition, the influence of school autonomy in student-level school effectiveness was not greater than that of student demographic factors, but it was true that the influence of school autonomy was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at of teacher-level school effectiveness. Sixth,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student-level variables and the school-level variables appeared in student competency, student school satisfaction, and the educational community, while little significance was found in the teacher-level school effect. Specifically, interaction effects were found in four of the competencies of students, differences between schools occurred in grades, whether one's parents work together, and whether or not basic education has been achieved among student-level variables. Interaction effects were also found in student school satisfaction, and among student-level variables, differences between schools occurred in grade, gender, and whether or not basic education has been achieved. However, teacher-level school effectiveness was the only difference in commitment, and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schools in gender. This is thought to be the result of the influence of the school autonomy variable on the teacher-level school effectiveness being stronger than the teacher demographic factor. The conclusions and implications derived on thes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school effectiveness factors, students' competencies and student school satisfaction differed greatly depending on gender and whether or not basic education has been achieved among the background variables of students. Therefore, individualized school education suitable for the gender difference and the development stage of students is required for senior boys and girls in elementary school, and active efforts by education administrators are needed to optimize basic education. Second, the correlation between school effectiveness and the school background was very insignificant, and among the school background variables, innovative school status was not significant compared to other school background variables. The fact that school effectiveness was not high in innovative schools seems to be due more to school autonomy than the difference in school effectiveness by innovative schools and general schools. Therefore, rather than enhancing school effectiveness through the operation of innovative schools, the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need to provide human and material resource support so that unit schools can have school autonomy. Third, the student life factors of functional autonomy, structural autonomy, faculty, and vision sharing of cultural autonomy had a positive effect on both student and teacher-level school effectiveness.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school effectiveness, it is important for members to participate in school education activities, and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school visions and goals through collecting opinions and consulting with school member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xamined how the effects of each factor of school autonomy are reflected in school effectiveness at a time when research proving the empirical effectiveness of school autonomy is insufficient. It explored to what extent the demographic variables and background of students and teachers are affecting school effectiveness. It is hoped that it will help to understand the effectiveness of school autonomy in ways that enact and promote school autonomy ordinances in the office of education and in unit schools. 학교자치는 자율적 학교경영 모형인 학교단위 책임경영(School-Based Management) 이론에 근거하여 교육개혁의 중심과제 중의 하나로서 추진되어 왔다. 2010년 교육감 직선제 전면 실시를 계기로 지방 차원에서 학교 혁신 노력이 활발히 진행됨에 따라 ‘학교자치’ 담론은 본격적으로 부상하였고, 일부 지역에서는 학교자치 조례를 제정하는 등 시‧도교육청을 중심으로 본격적인 정책 연구가 이루어졌다. 학교자치의 실천적 측면에 대한 높은 관심과 달리, 학교자치의 강화가 학교 개선이나 교육환경 변화에 어떻게 기여하는지 그리고 그 효과를 무엇으로 증명할 수 있는지에 대한 실증적 연구는 충분하다고 보기 어렵다. 학교자치의 효과성이 확인되고 입증된다면 학교자치 도입의 필요성을 본격적으로 제기할 수 있고 학교자치에 대한 논의 역시 활로를 개척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학교자치가 목표로 하는 학교효과성은 무엇으로 설정할 것인지 그리고 학교자치와 학교효과성은 어떠한 관계를 보이는지 규명하는 작업은 현 시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 학교자치가 학교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학교효과성을 학생수준과 교사수준으로 구분하였고 학교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학교자치뿐만 아니라 학생과 교사의 인구통계학적 변인과 학교의 배경변인에서도 발견하여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학교 배경변인에 따른 학교자치의 수준은 어떠한가? 둘째, 학교자치 수준에 따른 학교효과성의 차이는 어떠한가? 셋째, 학교자치가 학교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학교자치, 학교효과성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학교자치와 학교효과성 관련 개념, 구성요소, 관련 요인, 국내․외 선행연구 및 정책 동향, 법률 등을 분석하여 1차 측정도구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세종특별자치시와 대전광역시 초등학교에 근무 중인 교사와 재학 중인 학생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였고 문항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다음으로 세종과 대전의 초등학교 5, 6학년 담임교사와 학생을 대상으로 본조사를 시행하였고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측정도구의 타당성을 추가 검증하였다. 이 연구에서 활용된 독립변인은 학생의 인구통계학적 변인(성별, 학년, 부모 맞벌이, 기초학력 도달), 교사의 인구통계학적 변인(성별, 보직, 경력, 학급규모), 학교 배경변인(소속 지역, 학교규모, 혁신학교, 연구학교,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학교), 박수정, 정바울, 박정우(2020)가 개발한 학교자치 진단도구(기능적 자치 : 교육과정, 학생생활, 인사, 예산, 구조적 자치 : 학생, 학부모, 교직원, 학교운영위원회, 문화적 자치 : 비전 공유, 자율과 책임, 소통과 협력)이고, 종속변인은 학생수준 학교효과성(학생 핵심역량, 학생 학교만족도)과 교사수준 학교효과성(교육공동체, 교사 학교만족도, 수업의 질)이다. 분석방법은 학교 배경변인에 따른 학교자치 수준을 알아보고 학교자치 수준에 따른 학교효과성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학생수준-학교수준, 교사수준-학교수준의 위계적 선형모형 즉 다층분석(Hierarchical Linear Model : HLM)을 통해 학교자치와 학생수준 학교효과성, 교사수준 학교효과성의 영향 관계를 실증적으로 탐색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배경변인에 따른 학교자치의 차이는 학교규모와 혁신학교 여부에 따라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학교자치로 설정한 11개 변인 중 8개 변인에서 학교규모와 혁신학교 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발생하였다. 대체로 혁신학교에서 학교자치에 대한 인식이 일반학교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학교자치 수준에 따른 학교효과성의 유의한 차이는 학생수준 학교효과성 변인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지 않았지만 교사수준 학교효과성 변인에서는 뚜렷하게 나타났다. 특히 교사수준 학교효과성으로 설정한 교육공동체, 수업의 질, 교사 학교만족도에서 학교자치 변인에 따른 집단별(상위, 중상, 중하, 하위) 차이가 순차적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효과성에 유의한 차이가 발생한 학생 인구통계학적 변인은 성별, 학년, 기초학력 도달 여부, 부모 맞벌이 여부 등으로 도출되었고, 교사 인구통계학적 변인에서는 교사의 성별이 유일하였다. 구체적으로 학생 핵심역량과 학교만족도에 성별과 기초학력 도달 여부는 다른 변인들보다 더 큰 영향력이 있었으며, 이는 학생의 경우 인구통계학적 변인이 다른 변인보다 학교효과성에 더욱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반면 교사의 학교효과성에는 성별만이 유일한 차이를 보였고 교사의 경우 인구통계학적 요인 외에 다른 요인들이 학교효과성에 더욱 큰 영향력을 준 것으로 해석된다. 넷째, 학교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는 소속 지역, 학교규모, 혁신학교 여부, 연구학교 여부,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학교 여부 등에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학생 핵심역량에는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학교, 연구학교, 소속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었고 교육공동체에는 학교규모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으며 교사 학교만족도에는 혁신학교에 따른 차이가 발생하였다. 즉, 학교 배경변인은 학교효과성 변인 중 일부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을 뿐 다른 변인보다 영향력이 크지 못한 것으로 예측되었다. 다섯째, 학교자치 변인 11개 중 10개 변인이 학교효과성에 정적이거나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학생 핵심역량에는 6개 변인, 학생 학교만족도에는 3개 변인, 교육공동체에는 5개 변인, 교사 학교만족도에는 5개 변인, 수업의 질에는 2개 변인이 정적이거나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학생수준 학교효과성에서 학교자치의 영향력은 학생 인구통계학적 요인보다 크지 않았지만 교사수준 학교효과성에서 학교자치의 영향력은 교사 인구통계학적 요인과 학교 배경변인보다 상당히 크게 작용한 것으로 예측되었다. 여섯째, 학생수준 변인과 학교수준 변인 간의 상호작용 효과는 학생 핵심역량, 학생 학교만족도, 교육공동체에서 나타났고, 교사수준 학교효과성에서 상호작용 효과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구체적으로 학생 핵심역량 중 4개 역량에서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고, 학생수준 변인 중 학년, 부모 맞벌이 여부, 기초학력 도달 여부 등에서 학교 간 차이가 발생하였다. 학생 학교만족도에서도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고 학생수준 변수 중 학년, 성별, 기초학력 도달 여부 등에서 학교 간 차이가 발생하였다. 그러나 교사수준 학교효과성은 교육공동체의 헌신에서 유일하게 차이가 나타났고 성별에서 학교 간 차이가 발생하였다. 이는 교사수준 학교효과성에서 학교자치 변인의 영향력은 교사 인구통계학적 요인보다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도출된 결과라고 생각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결론 및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효과성 중 학생 핵심역량과 학생 학교만족도는 학생의 배경변인 중 성별과 기초학력 도달 여부에 따른 차이가 컸다. 따라서 초등학교 고학년 남학생과 여학생의 성차와 학생의 발달단계에 맞는 개별화된 학교 교육이 요구되고 기초학력을 해소하기 위한 당국의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학교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 배경변인의 영향력은 다른 변인과 비교할 때 미미하였고, 혁신학교에 따른 차이 또한 유의하지 않았다. 특히 학교자치가 비교적 잘 이루어지는 혁신학교에서 학교효과성이 높게 나타나지 않은 것은 혁신학교에 따른 학교효과성의 차이보다는 학교자치에 기인하는 효과가 더 크다고 해석된다. 따라서 혁신학교 운영을 통해 학교효과성을 높이기 보다 단위학교에서 학교자치가 잘 운영될 수 있도록 시․도교육청은 인적‧물적 자원을 원활하게 지원할 필요가 있다. 셋째, 기능적 자치의 학생생활, 구조적 자치의 학생, 교직원, 문화적 자치의 비전 공유는 학생과 교사수준 학교효과성에 모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학교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구성원의 학교 교육활동 참여가 중요하고 더 나아가 학교 구성원의 의견 수렴과 협의를 통해 학교 비전과 목표를 수립해야 하며 학교의 비전을 포함한 교육활동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는 것을 시사해준다. 이 연구는 학교자치의 실증적인 효과성을 입증한 연구가 부족한 시점에서 학교자치의 각 요인들의 효과가 학교효과성에 어떻게 반영되는지 확인할 수 있고 학생과 교사의 인구통계학적 변인이나 학교 배경변인 등이 학교효과성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탐색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 연구를 통해 학교자치 정책과 계획을 수립하고 추진하는 교육청과 단위학교에서 학교자치의 효과성과 관련 요인 등을 파악하고, 한국에서 학교자치에 대한 학술적 검토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주제어] 학교자치, 학교효과성, 영향 요인, 위계적 선형모형(HLM)

      • 일측성 요관폐색신병증 유발 백서에서 Rosiglitazone의 신장 보호 효과

        박정우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Background: Prolonged ureteral obstruction results in progressive renal damage associated with renal tubular dysfunction, in which altered regulation of local nitric oxide (NO) and natriuretic peptides (NP) play an important rol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rosiglitazone (RGZ) on endothelin (ET), local NO, and the NP system in rats with unilateral ureteral obstruction (UUO). Methods: The left proximal ureter of male Sprague-VDawley rats was unilaterally obstructed by ligation for 14 days. RGZ rats were treated with RGZ (10 mg/kg per day) mixed with ground chow for 14 days after UUO. The renal expressions of endothelial nitric oxide synthase (eNOS) and inducible NOS (iNOS) were determined by Western blot analysis. The activity of guanylyl cyclase (GC) was determined by the amount of guanosine 3', 5'-cyclic monophospate (cGMP) generated in response to atrial natriuretic peptide (ANP), or sodium nitroprusside (SNP) by equilibrated radioimmunoassay. The activity of NP and ET-1 was also determined by real-time and reverse-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Results: In the obstructed kidney, the expression of eNOS decreased markedly in the inner medulla (IM). Treatment with RGZ ameliorated the expression of eNOS and iNOS following UUO. The expression of GC activity also decreased in UUO kidney. RGZ treatment improved the GC expression in rats with UUO. ET-1 increased in UUO with ETAR expression, but following RGZ treatment, ET-1 markedly decreased. The mRNA expression of ANP, brain natriuretic peptide (BNP), and c-type natriuretic peptide (CNP) increased in obstructed kidney and these changes were heightened with RGZ treatment. Conclusion: RGZ improves eNOS expression in the obstructed kidney, which may play a beneficial role through an improvement in NO bioavailability. Furthermore, RGZ also enhanced local NP system and decreased the upregulation of ET-1 in ureteral obstruction, which may in part inhibit progressive renal disease. 배경: 요관 폐색으로 인한 진행성 신손상 및 신세뇨관 기능이상은 국소적 nitric oxide (NO) 및 natriuretic peptide (NP)계의 변화가 병인에 관여함이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일측성 요관폐색 백서 신장에서 rosiglitazone (RGZ)의 치료효과에 endothelin (ET), NO, NP계 변화가 관여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실험 동물은 체중 180~200g의 Sprague-Dawley 숫쥐를 사용하였다. 좌측 근위 요관을 결찰하고, RGZ 투여군에서는 14일 간 RGZ (10mg/kg/일)을 경구 투여하였다. Endothelial nitric oxide synthase (eNOS) 및 inducible NOS (iNOS)의 발현은 Western blot 법으로 측정하였다. Guanylyl cyclase (GC) 활성도는 atrial natriuretic peptide (ANP) 및 sodium nitroprusside (SNP)에 의해 생성되는 guanosine 3’, 5’-cyclic monophospate (cGMP) 양을 방사면역측정법으로 측정하였다. NP계와 ET-1의 활성도는 역전사 중합효소연쇄반응법으로 확인 후 실시간 역전사중합효소연쇄반응법으로 정량하였다. 결과: 일측요관 폐색신의 내수질에서 eNOS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iNOS 발현은 폐색신의 내수질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RGZ를 투여한 후 이러한 eNOS 및 iNOS 발현의 변화는 개선되었다. GC 단백의 발현은 폐색신에서 감소하였으며 RGZ를 투여후 회복되었다. ET-1 및 endothelial type A receptor (ETAR) mRNA 발현은 폐색신에서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나, RGZ를 투여 후 회복되었다. ANP, BNP 및 CNP mRNA의 발현은 폐색신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RGZ 사용 후에는 그 발현이 더욱 증가하였다. 결론: RGZ는 폐색신에서 eNOS 발현을 증가시켜 NO의 활성을 증가시키며, 국소 NP계를 활성화시키고, ET-1의 발현 증강을 감소시켜 신질환의 진행을 억제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 도시개발공사 자체감사활동에 관한 개선방안 연구 : 감사원 자체감사활동심사를 중심으로

        박정우 서울시립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dissertation is to provide recommendations for improvement in theinternal audit units of Urban Development Corporation (UDC), which plays a key role in regional development projects. Since the Daegu Urban Development Corporation (DUCO)was firstly established in 1988, 16 metropolitan urban development corporations have been installed under the local governments. As the UDCs implement land development project, housing construction and industrial cluster project, the total asset of 16 UDCs has risen up to KRW 58 trillion thus far.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the UDCs, it is prerequisite for the regional development to promote transparency and efficiency in its organizational management. This role is expected to be ensured by the internal audit units of the UDCs. Public auditing system can be divided into two parts: external and internal audit. It is, however, barely possible for the external audit bodies to fulfill all the audit demands with theirlimited resources. That is why the role of the internal audit units needs to be further strengthened and be more actively carried out. In the capacity of the Supreme Audit Institution (SAI) of Korea, the Board of Audit and Inspection (BAI) pays great attention to the work of the internal audit units by conducting audits and inspections, and establishes ‘Act on Public Sector Audits’ to enhance the performance of the internal audit units. However, it is found that the audit system of the internal audit units of the UDCs is still left under-developed. There is a wide gap in the quality of audit performance between the BAI and the internal audit institutes of the UDCs. Being aware of the mentioned problems, this paper will examine audit cases done by the internal audit units of the UDCs and provide survey research analysis regarding the in-house awareness of internal audit bodies. As a result, conclusions and implications are drawn as follows. The audit practice requires the very essential values such as independence, professionalism and sufficiency of the elements. In other words, it is revealed that the independence in audit planning, expertise of auditors and excellent audit reports have direct impact on enhancing audit performance. In terms of internal audit activities, auditees rather than auditors, external audit institutions rather than the UDCs, and bigger scale of institutions rather than smaller ones tend to deliver more strictly impartial views and evaluations. Meanwhile, the most significant factors to improve audit performance are defined as good audit reports and good communications, for instance, sufficient hearing from the auditees. Based on the gained implications above, the recommendations for improvement of the internal audit units of the UDCs can be made as follows in comparison with the examination of the internal audit activities of the BAI: (1) Increase the number of auditedentities, applicable to ‘Act on Public Sector Audits’ and promote public interest (2) Examination index should be revised to enable to reflect views and opinion of auditees (3) Their audit systems should ultimately contribute to enhancing management ability of the UDCs rather than confining their activities as internal audit activities and (4) The audit results should be included in the evaluation of local public enterprises to draw more attention from the executives of UDCs in the internal auditing. In conclusion, persistent cooperation between the internal audit unitsand the BAI and efforts for improvement of audit functions are required to build the capacity of internal audit activities and to promote enhancement of management efficiency. 본 논문은 지역개발사업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도시개발공사 자체감사기구의 발전 방향을 모색해보고자 하는 의도로 수행되었다. 광역자치단체에 설치된 도시개발공사만 보더라도 1988년 대구도시공사가 설립된 이래 현재 16개 도시개발공사의 총자산은 58조 원 규모로 성장하였고 그 동안 택지개발사업, 주택건설사업, 산업단지 조성 등 활발하게 지역개발사업을 수행해 오고 있다. 이러한 도시개발공사의 중요성을 감안하면 공사 운영의 투명성과 조직운영의 효율성을 높여 경영성과를 향상시키는 것은 곧 지역발전의 필수적인 사항이라 할 수 있는데, 이러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이 바로 공사 내부에 설치되어 운영되는 자체감사기구다. 공공감사체계는 외부감사와 내부감사로 구분할 수 있는데 외부감사기구의 한정된 자원만으로는 모든 감사수요를 감당하기 곤란하므로 내부감사기구의 적극적인 역할 수행이 필요하다. 그 동안 최고감사기구인 감사원에서는 내부감사기능의 향상과 활성화를 위해 공공감사에관한법률을 제정하고 자체감사활동에 대하여 심사를 실시하는 등 지속적으로 노력해 오고 있었다. 그러나 도시개발공사 자체감사기구의 경우 여전히 감사시스템이 미비하고 감사활동 수준도 심한 격차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도시개발공사의 자체감사활동 실태를 살펴보고 도시개발공사 직원을 대상으로 소속 자체감사기구에 대한 인식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과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감사수행에 있어 필수적 가치인 독립성, 전문성, 충분성을 구성하는 요소, 즉 감사계획 수립의 독립성, 감사자의 전문 지식, 우수한 감사보고서, 충분한 의사소통 여부 등은 실제로 감사성과 향상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자체감사활동에 대하여 감사자보다는 피감사자가, 도시개발공사 자체보다는 외부감사기관이, 공사와 자체감사기구의 규모가 클수록 보다 냉정하고 엄격하게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감사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큰 요인은 감사보고서와 피감자로부터의 충분한 의견청취 등 원활한 의사소통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론에 따라 자체감사활동 향상을 위한 시사점을 감사원의 자체감사활동심사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① 공공감사에관한법률 적용 대상 기관이나 심사대상 기관수를 늘려 자체감사에 대한 관심을 제고할 것, ② 심사지표에 감사대상자의 시각을 반영할 수 있도록 개선할 것, ③ 자체감사활동만이 아닌 궁극적으로 도시개발공사의 경영능력 향상에 도움을 주는 심사가 되도록 심사제도를 운영할 것, ④ 경영진의 자체감사활동에 대한 협조와 관심을 유도하기 위해 심사결과를 지방공기업평가 등에 반영할 것 등으로 파악되었다. 결론적으로 자체감사활동 역량 강화를 통해 도시개발공사의 경영성과 향상을 이루기 위해서는 자체감사기구와 감사원의 지속적인 협조와 감사기능 개선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대나무로부터 바이오에너지와 탄소소재 생산을 위한 열분해반응 특성 연구

        박정우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세계는 인구증가와 산업 발전으로 인해 에너지 수요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로 인한 환경문제와 화석연료 고갈에 대한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문제 해결방안으로 친환경 신재생에너지 개발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 중 친환경적으로 재생산이 가능하며 지속적으로 공급 가능한 바이오매스에 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바이오매스는 탄소화합물 특성으로 에너지원으로서의 역할뿐만 아니라 화석연료 공급원으로서의 역할까지도 기대할 수 있는 재생 자원이며, 지구상에서 1년간 생산되는 바이오매스는 석유의 전체 매장량과 견줄 수 있는 양이 생산된다. 본 연구는 생장속도가 빠르고 재배가 용이하며, 종이(Pulp)를 생산하는 목질계 바이오매스 보다 사용 용도가 낮은 대나무를 이용하여 열분해 특성을 연구와 바이오에너지 생산의 효용성 및 고품질 탄소소재 생산을 알아보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대나무에 대한 원소분석, 무기물분석, 수분 및 회분함량 분석을 실시하여 대나무에 대한 물성 자료를 확보하였으며, TGA를 통해 열분해 특성을 파악하였다. 둘째, 마이크로 튜빙 반응기를 이용하여 대나무의 열분해반응 특성을 통해 속도식 모델을 적용하여 반응속도 상수를 계산하였다. 셋째, 기포 유동층 반응기를 이용하여 반응 조건을 온도 400~550 ℃, 최소 유동 속도 1.5~4 Umf, 대나무의 크기 및 유동화 매체를 변화시켜 열분해 생성물 수율과 특성을 분석하였다. 넷째, 관형 반응기를 이용하여 대나무와 인산을 혼합한 대나무를 탄화 시켜 활성탄 제조 실험을 수행하였다. 물리적 활성화 과정을 거친 후 생성되는 최종 생성물의 비표면적과 흡착 특성을 파악하여 상용 활성탄으로서의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대나무의 바이오에너지 생산과 탄소소제 생산에 있어 주요한 열분해반응 특성 및 에너지원으로서 잠재적인 가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With exponential population growth and industrial development, energy demand has been gradually increased. This issue has led to environmental problems and the depletion of fossil fuels. Therefore, various studies have been performed in terms of new and renewable energy sources. Among them, biomass has been attracted not only as a renewable resource but also as a carbon resource. In addition, biomass production for every year can be comparable with petroleum reserves. Bamboo is one of the fastest growth rate biomass and easily cultivated on earth. To investigate the thermogravimetric characteristics, effectiveness of bio-energy, and high quality carbon materials of bamboo, as following study was carried out; First, the elemental analysis, mineral analysis, and moisture/ash content analysis of bamboo were performed to obtain physical property data for bamboo, and thermogravimetric analysis using TGA. Second, pyrolysis of bamboo was carried out in a micro-tubing reactor, and kinetic analysis have been tried to calculate reaction rate constants using proposed lumped kinetic model. Third, the effect of pyrolysis temperature (400~550 ℃), fluidization velocity (1.5~4.0 Umf), particle size of biomass, and bed material on product yield and characteristics of products were analyzed. Fourth, activated carbon was produced with the variation of carbonation conditions, mixing ratio of bamboo and phosphoric acid, and steam activation in a tubular furnace. The specific surface area and adsorption characteristics were systematically analyzed to evaluate of the performance of prepared activated carbon. This study can provide guidelines on the main pyrolysis characteristics of bamboo and the potential value as an energy source in the production of bio-energy and carbon scavenging of bamboo.

      • Differences in Efficacy and Toxicity in Relation to Genetic Polymorphisms of the Cytochrome P450 2C8 Gene After Chemotherapy in Epithelial Ovarian Cancer : 난소암환자에서 항암화학요법 시행 후 Cytochrome P450 2C8 유전자의 유전적 다형성에 따른 효능 및 독성의 차이

        박정우 인제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Objectives: To survey genetic polymorphisms in the promoter region of the cytochrome P450 2C8 (CYP2C8) gene in patients with epithelial ovarian cancer, and to investigate how differences in the frequency of CYP2C8 genetic polymorphisms and haplotype patterns correlate with the efficacy and toxicity of anticancer drugs. Methods: DNA was isolated from blood samples of 43 patients diagnosed with epithelial ovarian cancer at the Obstetrics and Gynecology department of University Medical Center, Busan, Korea between March 2010 and August 2016. We performed direct sequencing PCR with specific primers to detect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SNPs) in the 5′-flanking region of the CYP2C8 gene that occur frequently in the Korean population. In addition, we analyzed the efficacy and toxicity of chemotherapy in relation to SNP presentations and haplotype patterns in patients who had received debulking surgery after being diagnosed with epithelial ovarian cancer in FIGO stage III and who underwent at least six sessions of paclitaxel/cisplatin (carboplatin) chemotherapy (n=35). Results: The CYP2C8*1D (-411T>C), CYP2C8*1C (-370T>G), and CYP2C8*1B (-271C>A) SNPs were found in the 5'-flanking region of the CYP2C8 gene in the 43 patients, with an allele frequency of 0.37, 0.32, and 0.09, respectively. The CYP2C8*1C polymorphism was significantly more frequent in FIGO stage III disease (p=0.03). Among 35 patients with advanced epithelial ovarian cancer, the CYP2C8*1C mutation group had a longer disease-free interval after treatment without significance (p=0.385). the CYP2C8*1D mutation group had a significantly shorter disease-free interval after treatment (p=0.02). Hematology toxicity was significantly less prevalent among patients presenting both CYP2C8*1C and CYP2C8*1D allele compared with those with the wild-type allele. Conclusions: CYP2C8 SNP was not more frequent in patients with epithelial ovarian cancer than in healthy Koreans. Furthermore, prognosis was poor with significance and neurotoxicity was developed early, in CYP2C8*1D mutation group. 목적: 상피성 난소암 환자에서 cytochrome P450 2C8(CYP2C8)의 promotor region에서 유전자 다형성(genetic polymorphism)을 알아보고 CYP2C8 유전자 다형성의 빈도와 haplotype 양상에 따른 항암제 효과 및 독성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10년 3월부터 2016년 8월까지 일개대학병원 산부인과에서 상피성 난소암으로 진단된 환자 43명의 혈액에서 DNA를 추출하였다. CYP2C8 gene의 5'-flanking region에서 한국인에게 많이 나타나는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NP)을 찾기 위해 primers를 제작하여 direct sequencing PCR로 조사하였다. 종양축소술을 받은 FIGO III 병기 이상, 상피성 난소암으로 진단되고 수술 후 paclitaxel/cisplatin(carboplatin) 항암화학요법을 6차례 이상 받은 환자군(n=35)에서 SNPs 발현 양상과 각 haplotype 양상 그리고 발현에 따른 항암제 효과 및 독성의 빈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43명의 환자에서 CYP2C8 gene의 5’-flanking region에서 3가지 SNPs인 CYP2C8*1D(-411T>C), CYP2C8*1C(-370T>G) 및 CYP2C8*1B(-271C>A)의 발현빈도는 각각 0.37, 0.32, 0.09이었다. 진행된 장액성 난소암 환자 35명의 실험 군 중 CYP2C8*1C 군에서 치료 후 유의하게 무병기간이 증가되었으나 통계적 의미는 없었고(p=0.385), CYP2C8*1D 군은 의미있게 무병기간의 감소가 있었다. (p=0.02) 항암제의 독성 연구에서 CYP2C8*1C 발현이 있는 군에서 독성빈도는 줄고, CYO2C8*1D군에서는 독성 빈도가 많았다. 결론: CYP2C8 SNP의 발생빈도는 건강한 한국인의 발생빈도와 비슷한 양상이었으며 진행된 상피성 난소암 환자 중 CYP2C8*1C의 발현은 독성이 늦게 나타나고, 무병기간도 긴 편이었으며, CYP2C8*1D의 발현은 일찍 나타나는 독성과, 짧아진 무병기간으로 좀 더 독성이 심하고 예후에도 안 좋은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Involvement of Histone Methyltransferases in Protein Kinase CK2 Inhibition-Mediated cellular Senescence : CK2 저해에 의한 세포 노화와 Histone methyltransferase의 관련성

        박정우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노화 세포의 특징 중 하나는 senescence-associated heterochromatin foci (SAHFs)의 형성이다. SAHFs 형성에는 histone H3 lysine 9의 tri-methylation이 관찰이 되며, 이 것을 매개하는 효소는 SUV39h1이다. CK2는 Ser/Thr protein kinase로서 복제, 전사, 신호전달 등에 관여하는 단백질을 인산화시킴으로써 여러 단백질의 활성 조절을 통해 세포의 성장과 분화, 증식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CK2 저해에 의해 유도되는 세포 노화 동안 histone H3 lysine 9의 tri-mthylation과 SAHFs 형성 기작에 관하여 조사를 하였다. 먼저 MCF-7 세포주에서 CK2를 저해시켰을 때 노화가 발생하는지 확인을 하였다. MCF-7 세포주에서 CK2 저해에 의해 SAHFs 형성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 SAHFs 형성에 관여를 하는 histone H3 lysine 9의 tri-methylation 역시 증가하고, 반대로 histone H3 lysine 9의 di-methylation 정도는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CK2 저해 시 histone H3 lysine 9의 tri-methylation을 매개하는 효소인 SUV39h1은 단백질 발현이 증가하는 반면, di-methylation을 매개하는 G9A, GLP, SETDB1 이 세 가지 효소는 단백질 발현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뿐만 아니라, histone H3 lysine 9의 methylation을 매개하는 네 가지 효소들 중 mono- di-methylation에 관여하는 G9A, GLP, SETDB1 세 가지 효소는 CK2에 의해 발현 조절이 되며, p53에 상관없이 발현 조절이 되는 것을 p53 돌연변이 세포주를 통해 확인하였고, 반대로 tri-methylaion에 관여하는 SUV39h1만 p53 돌연변이 세포주에서 단백질 양의 변화가 CK2 저해제 처리 전과 후가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p53의 전사활성저해제인 pifithrin-α를 처리하였을 때 SAHFs 형성이 감소하고, HCT116 야생형과 p53-/- 변이형 세포에서 CK2 저해 이후 RT-PCR을 진행하였을 때 HCT116 야생형에서만 SUV39h1의 mRNA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p53은 SUV39h1의 발현을 전사단계에 직접적으로 조절 할 것이라 예상 된다. 또한 CK2에 의해 유도된 노화 과정 중 하위 전달 체계인 mTOR와 ROS 역시 p53 돌연변이 세포주에서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나타는지 확인하기 위해 mTOR inhibitor인 rapamycin, 그리고 ROS scavenger인 NAC 처리하였을 때 p53 돌연변이 세포주와 비슷하게 G9A, GLP, SETDB1은 rapamycin, NAC에 상관없이 여전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SUV39h1은 NAC과 rapamycin 존재시 원래 상태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요약하면, CK2 저해에 의해 유도된 노화의 진행과정 중에서 SAHFs의 형성은 mTor-ROS-p53 경로를 통해 SUV39h1 과발현을 유도하여 증가하는 것으로 보인다. 세포 노화 과정에서 SAHFs의 형성이 세포주기 조절 관련 유전자 발현을 억제함에 따라 세포의 성장이 멈추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CK2 저해에 의해 유도된 노화에서 역시 SAHFs의 형성이 세포주기 조절에 관여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cyclin D1의 발현양을 확인해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