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쌓기놀이에서 그리기 표상활동이 유아의 공간능력에 미치는 영향

        김경례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유아의 공간능력은 주변세계를 탐색하고 이해하며 대처해 가는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유아교육 현장에서는 공간능력 증진을 위한 효과적인 교수 방법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에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쌓기놀이에서 그리기 표상활동이 만4. 5세 유아의 공간능력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분석하고 이를 근거로 유아의 공간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교수 방법을 모색해 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쌓기놀이에서 그리기 표상활동이 유아의 공간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2. 쌓기놀이에서 그리기 표상활동이 유아의 성별에 따라 공간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광주광역시의 중산층 지역에 소재한 B초등학교 병설 유치원의 만4. 5세 혼합연령 2개 학급의 50명 유아였다. 이 두 학급은 실험집단(25명) 비교집단(25명)으로 각각 임의 배정하였으며.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의 평균연령 및 공간능력에 대한 사전검사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공간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홍혜경 (2001a)이 제작한 <유아 공간능력 검사>도구를 사전. 사후검사에 사용하였다. 실험처치는 6주 동안 주 2회씩 총 12회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의 유아들은 쌓기놀이 주제에 대하며 경험을 이야기하고 쌓기를 계획한 후, 쌓은 구성물을 A4 또는 A3용지에 그림으로 표상하는 활동을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은 쌓기놀이 주제에 대하며 경험을 이야기하고 계획한 후 쌓기놀이만을 하였다. 쌓기놀이에서 그리기 표상활동이 유아의 공간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 사후 검사 후 수집된 자료는 SAS 프로그램을 이응하며 t 검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공간능력은 쌓기놀이에서 그리기 표상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그리기 표상활동을 실시하지 않은 비교집단보다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둘째, 유아의 공간능력 중 하위요인인 눈-운동 협응, 공간적 추리, 시각적 기억 및 회상하기, 공간지각에서 위치 알기는 쌓기놀이를 통한 그리기 표상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그리기 표상활동을 실시하지 않은 비교집단보다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그러나 하위요인 중 형태-배경구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쌓기놀이에서 그리기 표상활동이 유아의 성별에 따라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의 결과에서는 남아보다 여아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으며, 특히 시각적 기억 및 회상하기와 형태-배경구별에서 여아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볼 때 쌓기놀이에서 그리기 표상활동이 유아의 공간능력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유아교육 현장에서 쌓기놀이에 그리기 표상활동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며 실시한다면 유아의 공간능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쌓기놀이가 여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는 쌓기놀이에 여아의 참여를 위한 교사의 개입이나 배려가 필요함을 시사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hildren's spatial abilities are the important abilities with which they are coming to explore. understand and cope with the surrounding world. However,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studies about teaching methods for the development of their spatial abilities are insufficient. Therefore. this research has its purpose to examine what effects the representational activities during block play have on children's spatial abilities. whose ages are 4-5 years old. Furthermore. this research aims to seek for a more effective teaching method for improving children's spatial abilities on the basis of the already analyzed results. For this purpose of the research, the following study subjects were established: 1. What effects do the representational activities during block play have on children's spatial abilities? 2. What effects do the representational activities during block play have on children's spatial abilities especially according to their genders?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50 children of two (2) classes whose ages were mixed ones of 4-5 years in full. They were children of the Kindergarten attached to the "B Elementary School" which locates in a middle-class region of Gwangju. For these two classes. the total 50 children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one experimental group (25) and the other comparative group (25). The results of pretest shoul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ir mean ages and spatial abilitie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the comparative group. In this research. for measuring children's spatial abilities. the Instrument for Testing Children's Spatial Abilities. developed by Hong (2001). was used for both the prepost tests. The experimental treatment was conducted 12 times in total for 6 weeks. in proportion of twice a week. The treatment for experimental group children involved the following activities where they talked about their experiences about the theme of block play. and they planned to build blocks so that they could represent the built constituents by means of drawing them on the A3 or A4 paper. On the other hand. the comparative group talked about their experiences about the subject. planned block play. and played block-building. and. after those activities. they displayed the constituents or acted the dramatic plays. In order to find out what effects the representational activities during block play have on children's spatial abilities. the data which were collected after the both pre-post tests between the two groups were analyzed by t-test using the SAS program.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children's spatial abilities. it appear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who utilized the representational activities have significant higher than the comparative group who did not utilize the representational activities. Second, as for the sub-factors of children' s spatial abilities. it appear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who utilized the representational activities through block play for the eye-movement cooperative response. spatial inference. visual remembrance and recollection. and spatial perception. have significant higher than the comparative group who did not utilize the representational activities. There appear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the distinction between figure and background among the sub- factors of their spatial abilities. Third, as for the Endings of the research about what effect the representational activities during block play have on children's spatial abilities especially according to their genders. it appeared that girl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than boys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result of this research showed that the representational activities during block play had positive effects on the improvement of children's spatial abilities. Therefore. If the representational activities are actively utilized during block play at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definitely. children's spatial abilities will be able to be improved effectively.

      • 가정간호대상자 영양상태 평가도구 개발

        김경례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생활수준이 향상되고 인간 수명이 연장됨에 따라 생활형태나 식생활이 급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질병형태가 과거의 감염성 질환이나 급성 질환에서 만성퇴행성 질환으로 그 양상이 바뀌어 가고 있으며, 건강과 질병에 있어서 만성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하여 적절한 영양평가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만성 질환자와 노인으로 이루어진 가정간호 대상자의 영양문제는 가장 기본적이면서 중요한 문제이나 영양상태를 평가할 수 있는 도구가 개발되어 있지 않아 영양문제가 방치되어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가정전문간호사가 가정간호대상자의 영양상태를 조기에 평가하여 영양불량 위험요인을 확인 및 관리하도록 하고자 가정간호대상자의 영양상태 평가도구를 개발할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본 연구과정은 가정간호대상자의 영양상태 평가 도구개발을 위한 영역과 항목 및 지표에 대한 내용타당도 검증과 임상타당도 검증을 통하여 이루어졌다. 영양상태 평가 도구의 영역은 문헌고찰을 통해 신체계측, 임상조사, 식이조사의 3개의 영역을 선택하였으며 이에 근거하여 11개 항목 및 22개 지표를 개발하였다. 내용타당도는 간호학 교수 및 영양학 교수, 임상 영양사, 가정전문간호사 10인 에게 항목 및 지표에 대한 내용타당도를 2003년 4월 2일부터 2003년 4월 7일 까지 자료수집 하였고, 임상타당도는 서울시에 위치한 E의료원 가정간호사업실에 등록된 가정간호대상자 68명을 대상으로 2003년 4월 9일부터 4월 18일까지 본 연구자가 직접 영양상태 평가 영역과 지표에 대해 평가한 후 동일한 대상자의 영양상태를 반영하는 혈청 알부민, 혈청 헤모글로빈, 총 임파구 수의 생화학적 검사 결과를 통해 검증하고 기준점(cut-off point)을 선정하였다. 자료분석은 내용타당도에서 전문가 의견수렴을 위해 내용타당도 지수(CVI: Content Validity Index)를 이용하였고, 임상타당도에서는 각 항목의 지표가 영양상태를 반영하는가에 대해 t-test, ANOVA를 이용하여 각 항목의 지표에 대한 생화학적 검사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산분석(ANOVA)결과 유의한(p<.05)항목에 대한 다중비교는Ducan'sMultiple Range Test를 이용하였고 11개 항목에 대한 영양평가 기준점(cut-off point)은 민감도(sensitivity)와 특이도(specificity)를 동시에 최대로 하는 지점으로 정하였다. 그 외에 일반적인 특성은 기술통계 방법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양상태 평가도구는 신체계측·임상조사·식이조사의 3개 영역과 상완위 근육둘레·상완 삼두근 피부 두겹 두께·전체적인 외모·부종·식이섭취 유형·식욕·식이량·오심/구토·설사·단백질 군 섭취·야채/과일 섭취의 11개 항목과 22개의 지표로 구성되었다. 둘째, 영양상태 평가도구 11개 항목 중 5개 이상의 항목이 선택되어야 영양불량으로 평가한다. 본 연구는 가정전문간호사가 가정간호대상자의 영양상태 평가를 위한 측정가능하고 실무에 유용한 도구를 개발하여 생화학적 검사결과로서 타당성을 검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가정간호대상자 영양상태 평가도구를 가정간호실무에 적용함으로써 대상자의 삶의 질을 높이고 가정간호 실무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Today, as the standard of living improves and human beings live longer, life style and diet are also changing rapidly. As a result, types of illnesses being seen indicate a shift from infectious and acute diseases to chronic disorders. Therefore an adequate assessment of nutrition for prophylaxis and treatment of chronic disorders has important value in improving health and preventing disease occurrence. For patients with chronic disorders and elderly people for whom home nursing care is required, nutritional problems are basic and important. However there is no tool to properly assess their nutritional stat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tool for nutritional assessment, so that home-nurses can make early assessment of patients' nutritional status, and identify risk factors for poor nutrition. The study was done in two parts, first a tool was developed to assess nutrition and second the content validity and clinical validity of categories and indices were verified. Through a review of the literature, a nutritional assessment tool was developed which covered 3 areas, physical measurement, nutrition survey, and clinical survey. Eleven categories and 22 indices were developed for the study. From April 2, 2003 to April 7, 2003, 10 participants, professors of nursing, professors of nutrition, nutritionists, and home-nurses verified the content validity of the tool. From April 9, 2003 to April 18, 2003, 68 home-care patients registered at E medical center were selected and a nutritional assessment was done to establish clinical validity. The same patients were also assessed biochemically by measuring plasma albumin, Hb, total lymphocyte count to verify the cut-off point. For data analysis CVI (Content Validity Index) was used. For the clinical validity of the biochemical exam, t-test and ANOVA were used to establish verification. Duncan's Multiple Range Test was used for multiple comparison between the categories that showed significance with ANOVA. The cut-off point for the nutritional assessment with the 11 categories was set to be the maximum point of both sensitivity and specificity. Technical statistics were used for other general characteristic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in two ways. First the nutritional assessment tool was classified into 3 areas, physical measurement, nutritional survey and clinical survey, and into 11 categories with 22 indices including mid arm muscles circumference, triceps skin fold, general appearance, degree of edema, type of diet, appetite, amount of intake, nausea/vomiting, diarrhea, protein intake, vegetable/fruit intake. Second when 5 of the 11 categories were positive, nutritional status was considered to be poor. By developing a clinically useful nutritional assessment tool for patients receiving home nursing care and verifying the relation between the assessment scores from the tool and the results of biochemical laboratory examinations from the same patients, the validity of the tool developed was confirmed. Thus, the nutritional assessment tool for patients receiving home nursing care, which was developed in this study, will improve quality of life for thsee patients an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more effective clinical home nursing practice.

      • B형 간염환자의 건강신념과 환자 역할행위와의 관계연구

        김경례 忠南大學校 1990 국내석사

        RANK : 247631

        Type B hepatitis is a common disease in Korea, but there is no particular treatment up to now. The most important point to be considered in their behavioral aspects among popular treatments is their compliance with regard to rest and stability, diet therapy (high protein diet, low fat diet) and drug therapy. Each patient has different health beliefs in the process of treatment. In order to increase and control a desirable sick role behavior, it is important for nurses to understand health belief variables influencing on sick role behavi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ain factors related to in sick role behavior of type B hepatitis patients and provide fundamental data to health education. The subjects were 91 type B hepatitis patients receiving treatment from in and out patients of medical department of eight hospitals in Seoul, Kwangju, Taejon, Gunsan and Cheongju. The questionnaire was based on the variables of Becker's Health Belief Model. Data was collected from July 10 to September 2, 1989 by doctors and nurses participating in the treatment of type B hepatitis patients and analyzed through mean, standard deviation, correlation coefficient, variance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by S.P.S.S. program.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Only third hypothesis of Becker's Health Belief Model that the stronger degree of perceived benefit, the higher degree of type B hepatitis patient's sick role behavior was supported (R=0.307, p=0.002) and its contribution rate to sick role behavior was 9.4%. 2. It appeared that perceived benefit in significant level was related to marital status (F=3.66, p=0.029) and monthly income (F=3.35, p=0.033), perceived barrier to monthly income (F=6.25, p=0.003) and the degree of contentment with the relation of health team (F=3.15, P=0.017), and perceived susceptibility to sex (F=7.88, P=0.006) and the degree of contentment with the treatment procedure and equipment (F=2.68, P=0.036)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 variables. 3. There were no significant influencing variables on the type B hepatitis patient's sick role behavior in general characteristics, but sick role behavior could be accounted for in 12.3% by summing the degree of contentment with relation of health team, sex, age and dummy4 and dummy2 of education fn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 난임여성의 경험을 통해서 본 생식기술

        김경례 全南大學校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performs analyzes on how the techno-biopower in women with subfertility functions through bodily experiences of women with subfertility who give technologized birth and how they become subjective and ensure reproductive rights through the performing process of technologized birth. Thus, it is focused on finding how political intervention can be applied to new reproductive technologies under the situations and circumstances of women with subfertility instead of absolutely denying or accepting new reproductive technolog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troduction and spread of new reproductive technologies, government's support for infertility couples, management of health, medical policy and form of the infertility market including infertility clinic and pharmaceutical industry are what influences the birth given by women with subfertility in terms of technology and society. It was in 1980s when in vitro fertilization started getting introduced into the Korean society, but it was in 1990s when rapid progress was made in technological and scientific research, and infertility clinic. In 2000s it was developed to the extent of biotechnology based on accumulated knowledge and technology, coupled with development during the 1990s. The rapid progress in auxiliary reproductive technologies including in vitro fertilization during the 1990s is influenced not only by technological factors but also by social factors. Married women influenced by the one child (or two children) policy during the 1970s and 1980s tried to practice contraception, which caused the crisis in maternity hospitals and efforts in the medical community against such crisis and maternal desire of women with subfertility led to introduction and expansion of auxiliary reproductive technologies, and development of infertility clinic. Expansion of medical and scientific research on reproduction, and its clinical application was a process that power controls and manages more molecular bodies and capital generate profits using medical and scientific knowledge and molecular bodies. To begin with, according to the study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Reproductive Medicine', medical and scientific research, and its medical application were a series of processes expanding from women's bodies to men's bodies, from ova / sperm to immature ova / sperm or round spermatid, genes and chromosome, which is shown in the development of new cure. Government didn't support introduction and research of in vitro fertilization directly, but as contraception operation for one child (or two children) policy was practiced for infertility, it contributed to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indirectly and medical insurance policy made an unintended contribution to the research of infertility operation and growth of infertility clinic. In addition, government's support for infertility couples and management bill of reproductive cell consider molecular bodies as an object of control and management and make a considerable contribution to the expansion of medical power rather than consider health right and birth right of women with subfertility. Lastly, infertility- and body-related market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medical and scientific research let women with subfertility participate in more consumption labor and expand medical and scientific knowledge and bodies into the new field of making profit. In conclusion, spread of new reproductive technologies, government's support for infertility couples, management of health, medical policy and infertility market including infertility clinic and pharmaceutical industry create the birth environment changing accordingly. Combining these factors guarantees authority of medical and scientific knowledge, and medical power justifying control and management of more bodies and expanding the field of making profit. Second, the predominant representation for infertility and infertility operation may produce the social fear of infertility. By suggesting causes inducing infertility variously and extensively from biological factors to work environment, social environment factors, eating habits and life habit, it implies no one can be free from possibility of infertility. Such discourses on factors inducing infertility exert efforts to prevent fertility along with social, cultural stigma for infertility and ideology of normal families. In addition, women with subfertility are seen as women as an object of sympathy who can't have a baby in spite of desperation or as abnormal women who can't perform their own natural duty. On the one hand, women trying to give birth with the help of infertility operation are represented as 'maternity of will', becoming a mother after overcoming the economic burden or pain of surgery. However, on the other hand, while reproductive cell trade or surrogate mother became controversial, social and cultural factors forcing women to become a mother by all means are not condemned, but women violating social regulations in order to have children are blamed. Infertility operation producing the social fear about infertility is understood as a technology of 'hope' and 'emancipation' from infertility. The technological image of hope and emancipation creates 'hope torture' for pregnancy and childbirth to women with subfertility and justifies the medical and scientific research of reproduction and its medical application. Representation of new reproductive technologies other than spread of technology of hope and emancipation emphasizes efficiency, success rate and speed of the surgery. While such efficiency and politics of speed are being discoursed, the scientific investigation is done in that what couldn't be done with existing technologies is possible now or global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is acquired. However, emphasis on efficiency and speed of infertility operation rationalizes the use of the surgery as a method to conceal or reduce uncertainty or imperfection and to overcome infertility. It also publicizes predominant technology and culture based on technology and science. In conclusion, the predominant technology and culture for infertility and infertility operation produces the social fear about infertility and considers the surgery as an efficient technology of emancipation rationalizing the medical and scientific research, and its medical application. Such predominant technology and culture along with social, cultural stigma against infertility and ideologies of abnormal families encourages couples suffering from subfertility to pay more money and actively participate in the surgery. Therefore, the predominant technological, scientific culture rationalizing medical and scientific knowledge, and its technological application contributes to stable reproduction of patriarchal capitalism. Third, women with subfertility get involved in and compete through technologized pregnancy and childbirth within changing birth environment and predominant technology-science-culture. In addition, technological, social conditions are not just predominant technological, cultural subject or object during the technologized childbirth, but they recognize new materiality of bodies, intervene and participate as a subject. Above all, women with subfertility compromise with and resist against authority of medical and scientific knowledge, and medical power within the medical system. As the surgery continues, they experience uncertainty and imperfection of medical and scientific knowledge. In addition, judgement of medical team and judgement through bodily experiences compete with each other. Statistical probability and biological factors inducing infertility are standards to decide the medical and scientific conceivability, but women with subfertility make a various interpretation with multi-dimensional standards within social, environmental factors and their own life stories or experiences other than biological factors. Sexuality and reproductivity of women with subfertility become a subject of medical, scientific control and management in each stage of pregnancy attempt by inducing ovulation, artificial insemination and in vitro fertilization. However, as the surgery is repeated, women with subfertility may make an active demand for medical and scientific explanation or diverse cures regarding their symptoms. In this way they participate in producing medical and scientific knowledge, and encourage them. Production, fertilization and implantation of healthy ova is decided by fertilization and cultivation labor of lab researcher(s) and cooperation between culture medium and cultivation conditions based on bodily management of women with subfertility. Although fertilization of reproductive cells and initial growth of embryo are transferred to a lab, the true source of childbirth lies in active participation in technologized childbirth and bodies of women with subfertility. Thus, medical team and women with subfertility are in a symbiotic relationship rather than in subordinate or hostile ones. For medical team, women with subfertility are the source of treatment, management and profits, but on the other hand, they are also the resource of knowledge to identify effectiveness and limitation of medical and scientific knowledge. Women with subfertility often follow the judgement of medical team based on medical and scientific knowledge, but they also compete with medical team by experiencing and interpreting bodily symptoms against it and contribute to production of medical and scientific knowledge. Next, women with subfertility request supports from government and society outside the medical system and criticize problems of medical system. Furthermore, they abort the technologized childbirth and choose childless life or adoption. They urge the government to apply health insurance to infertility operation, during which their reproductive rights as strategical tool for maternity rather than for health rights are made up of use of technological science and medical approach. In conclusion, women with subfertility participate in medical and scientific knowledge-production-labor and compete with medical and scientific knowledge of medical team continuously by experiencing in vitro fertilization, obtaining knowledge and exchanging information. In addition, technologized childbirth and subjectivity of women with subfertility are understood to actively get involved, strategically negotiate and resist instead of adapting to technological life power and internalizing its effects. 이 논문은 기술화된 임신출산을 수행하는 난임여성들의 체험을 중심으로 첫째, 난임여성들이 자신들의 모성성과 (재)생산권을 어떻게 구성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둘째, 기술화된 임신출산과정에서 개별적, 집단적으로 어떤 활동들을 하고 있고 생식기술을 어떻게 의미화하고 있는지를 탐색하였다. 이를 통해 난임여성들의 다차원적이고 복합적인 모성적 욕망의 구성과정을 드러내고 그 결과로서 기술화된 임신출산과정에서 수행하는 난임여성들의 활동들은 의과학적 지식의 생산과 생명 생산, 그리고 의료기술의 성공에 참여하고 기여하는 것임을 밝히고자 했다. 난임여성들의 기술화된 임신출산 수행은 변화하는 출산환경과 출산문화에 영향을 받는다. 이런 점에서 난임여성들의 출산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기술-사회적 조건과 기술-문화를 분석하였다. 첫째, 난임여성들의 출산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기술-사회적 조건은 신생식기술의 도입과 확산, 정부의 불임부부지원사업과 몸들의 관리 및 의료정책, 불임클리닉 및 제약 산업을 비롯한 불임관련 시장의 형성이었다. 한국사회에 체외수정시술이 본격적으로 도입된 것은 1980년대였지만 기술과학적 연구 및 불임클리닉이 비약적으로 성장한 것은 1990년대였다. 그리고 2000년대는 1990년대의 성장을 통해 축적된 지식과 기술력을 바탕으로 생명공학적 영역으로까지 확장되었다. &#985172;대한불임학회지&#985173;에 보고된 연구 경향에 따르면, 의과학적 연구 및 임상적 적용은 여성의 몸들에서 남성의 몸들로, 난자&#8228;정자에서 미성숙 난자나 미성숙 정자로, 다시 원형정세포나 유전자 및 염색체로 그 범주를 확장해 나갔다. 또한 새로운 처치법의 개발과정에서도 신체적 침윤이 덜한 처치법에서 더 많은 신체적 침윤을 거쳐야 하는 처치법으로 확장해 나갔다. 정부는 1990년대까지만 해도 소자녀 가족계획정책을 유지하고 있었기 때문에 보조생식술에 대한 직접적인 지원은 하지 않았지만 피임을 위해 도입된 기술이 불임시술에도 이용됨으로써 보조생식술의 기술적 발전에 간접적으로 도움을 주었다. 또한 정책적으로도 낮은 수가의 의료보험 정책은 자연분만을 위주로 한 산부인과 병원에 재정적 위기를 낳았고 그것을 타개하기 위한 노력으로서 보조생식술의 도입과 불임클리닉의 성장을 촉진시켰다. 정부가 난임여성들의 출산환경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것은 2000년대 들어서 마련된 불임부부지원사업과 생식세포관리법안등을 통해서이다. 하지만 이러한 정부정책은 난임여성들의 이해와 요구를 반영하고 그들의 건강권과 출산권을 위한 것이라기보다는 저출산 시대의 인구관리 정책의 일환이었으며 생식기술의 발전으로 대두된 생식세포 거래나 대리모 등의 사회적 문제에 대한 몸들의 관리정책의 일환이었다. 또한 정부정책의 내용과 방향성은 지배적인 사회적 규범을 반영한 의과학적 기준에 따른 것이며 정부의 책임을 최소화하고 불임클리닉이나 약가에 대한 통제 없이 여전히 개별 난임부부의 경제적 부담과 노력을 우선적으로 요구하는 것이었다. 제약업체를 비롯한 불임 및 몸관련 시장은 의과학적 연구의 성장과 맞물리면서 더 많은 이윤을 창출할 수 있었고 새로운 시장을 개척할 수 있었다. 요약하자면 신생식기술의 확산, 정부의 불임부부지원사업과 몸들의 관리 및 의료정책, 불임클리닉 및 제약산업을 비롯한 불임시장은 서로 맞물리면서 변화하는 출산환경을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요소들의 접합은 의과학적 지식의 권위 및 의료 권력을 보증하면서 더 많은 몸들에 대한 관리와 통제를 정당화하고 이윤창출의 영역을 확장해 가는 과정이었다. 이런 점에서 보조생식술을 매개로 의료권력, 정부, 자본의 접합을 통한 몸들의 관리와 통제를 푸코와 해러웨이의 용어를 빌어 기술생명권력(technobiopower) 구성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불임과 불임시술에 대한 지배적 재현방식은 불임일지도 모른다는 사회적 공포를 생산하는 것이었다. 불임을 유발할 수 있는 원인을 생물학적 요인에서부터 직업 환경 및 사회 환경적 원인, 그리고 식습관, 생활습관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고 광범위하게 제시함으로써 누구도 불임의 가능성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는 것으로 의미화한다. 이러한 불임 유발 원인에 대한 담론들은 불임에 대한 사회문화적인 낙인 및 정상가족이데올로기와 맞물리면서 불임이 되지 않기 위한 노력들을 자발적으로 수행하게 한다. 또한 난임여성들에 대한 재현방식은 아이를 간절히 바라지만 가질 수 없는 불쌍한 여성으로서의 온정주의적 대상이거나 여성으로서 당연히 수행할 수 있는 일인 출산을 하지 못하는 비정상적인 여성이었다. 또한 불임시술을 이용해 출산을 하고자 하는 여성은 한편으로는 경제적 부담이나 시술의 고통을 극복하고 어머니가 된 ‘의지의 모성’으로 의미화되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생식세포 거래나 대리모가 사회문제로 쟁점화되면서 이러한 방법을 통해서 어머니가 되어야 하는 사회문화적인 요인은 문제시되지 않은 채,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아이를 가지려는 사회적 규범을 위반한 도덕적 비난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불임에 대한 사회적 공포를 생산하는 것과 더불어 불임시술은 불임을 극복하고 불임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희망과 ‘해방’의 기술로 의미화 된다. 희망과 해방의 기술 이미지는 난임여성들에게 임신과 출산에 대한 ‘희망고문’을 만들어 내며 생식에 관한 의과학적 연구와 임상의 적용을 정당화한다. 희망과 해방의 기술 이미지 유포 이외에도 신생식기술에 대한 재현은 시술의 효율성과 성공률, 속도를 강조한다. 이러한 효율성과 속도의 정치가 담론화 되는 과정에서 기존의 기술력으로 불가능했던 것을 가능하게 만들었다거나 세계적인 기술적 경쟁력을 확보하게 되었다는 과학적 수사가 동원된다. 하지만 불임시술의 효율성과 속도의 강조는 그것의 불확실성이나 불완전성을 은폐 또는 축소하고 불임을 극복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시술이용을 합리화한다. 이는 기술중심적이고 과학주의적인 지배적인 기술-문화를 공고화하는 과정이기도 하다. 이러한 지배적인 기술-문화는 불임에 대한 사회문화적인 낙인과 정상가족 이데올로기와 연동해 난임부부들에게 많은 비용을 지불하더라도 시술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따라서 의과학적 지식과 기술적 적용이 합리화되는 지배적인 기술과학문화는 가부장적 자본주의 체제를 안정적으로 재생산하는데 일조한다. 하지만 난임여성들은 자신들의 출산환경인 기술-사회적 조건에 완전히 종속되지도 출산문화를 구성하고 있는 지배적인 기술-문화를 완전히 내면화하지도 않는다. 첫째, 난임여성들은 자신들의 모성적 욕망을 혈연주의적 정상가족이데올로기 아래에서의 가족구성원의 암묵적 압박 및 비정상성이라는 낙인에 의한 사회적 시선, 그리고 기혼여성의 의무로서의 모성으로 구성하기도 하지만 ‘아이를 낳을 권리’라는 주체적 모성으로 설명하기도 하며 이것들은 복합적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다차원적이고 복합적인 모성성의 경합 결과로 아이를 가지기로 결정하면 우선적으로는 자신의 난자와 자궁, 배우자의 정자를 이용한 아이 낳기를 시도하지만 그것이 계속해서 실패할 경우 가족이나 친지, 제3자에 의한 공여를 통한 아이 낳기, 또는 입양을 통한 새로운 가족구성을 계획, 실천하기도 한다. 둘째, 난임여성들은 기술화된 임신출산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의과학적 지식이나 처치를 완전히 신뢰하기 보다는 그것에 개입하고 대응한다. 먼저 의과학적 불임 진단은 통계적 확률과 불임을 유발할 수 있는 생물학적 요인들의 유무가 그 준거이지만 난임여성들은 생물학적 요인 이외의 사회 환경적 요인이나 자신들의 생애사적 체험들 속에서의 다차원적인 준거를 가지고 다양하게 해석한다. 특히 의과학적으로 원인불명인 난임여성들의 경우에는 원인을 찾아내기 위한 각종 처치법에 참여할 뿐만 아니라 의료진에게 명확한 원인설명을 요구한다. 또한 시술이 반복될수록 자신들의 몸에서 나타나는 징후들에 대해 해석하고 의료진에게 그러한 징후들에 대한 의과학적 설명을 요구하기도 한다. 나아가 의료진의 권유와 상관없이 시술법이나 처치법을 선택, 요구하기도 한다. 이러한 과정은 난임여성들에게 의과학적 지식을 적극적으로 습득하는 문제일뿐만 아니라 의과학적 지식생산에 참여하고 그것을 추동하는 과정이기도 하다. 무엇보다도 난임여성들은 자신들의 모성권 실현을 위해 보조생식술에만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한약복용, 식이요법, 운동 등의 몸관리 실천을 아이를 낳기로 결정한 순간부터 시술을 받는 과정에도 지속적으로 수행한다. 즉 건강한 난자의 생산 및 수정력과 착상력은 그것을 위한 난임여성들의 몸 관리를 중심으로 의사의 기술적 처치, 실험실 연구원의 수정 및 배양 노동, 배양액이나 배양조건 등의 협업을 통해 결정된다. 이것이 바로 생식세포의 수정과 배아의 초기 성장과정이 실험실로 이전되었다 할지라도 생명생산의 궁극적인 힘은 난임여성들의 기술화된 출산에의 적극적 참여와 몸들에 있는 이유이다. 마찬가지 맥락에서 의료진과 난임여성들의 관계는 완전히 종속되어 있거나 적대적이기 보다는 견제적 공생관계에 놓여 있다고 볼 수 있다. 의료진에게 난임여성들은 한편으로는 치료와 관리 및 이윤창출의 대상이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의과학적 지식의 유효성과 한계를 확인할 수 있는 지식생산의 자원이 된다. 난임여성들은 의과학적 지식에 근거한 의료진의 판단에 따르기도 하지만 그것에 위반하는 몸들의 징후를 체험하고 해석함으로써 의료진과 경합하고 의과학적 지식생산과 보조생식술의 성공에 기여한다. 셋째, 난임여성들은 자신들의 (재)생산권의 내용을 건강권보다는 모성권의 실현을 위한 전략적 도구로서 보조생식술의 이용과 의료적 접근권으로 구성한다. 이를 위해 정부 및 사회적 지원을 요구한다. 이 과정에서 정부의 형식적인 지원정책 뿐만 아니라 불임클리닉이나 약가에 대한 통제의 필요성을 제기하기도 하며 무엇보다도 자신들의 임신출산 노력이 사회에 기여하는 활동임을 인식하고 주장한다. 실제로 정부의 불임부부지원사업은 난임여성들의 적극적인 요구를 통해 제한적이나마 시행되었고 난임여성들의 모성적 욕망의 실현을 위한 의료기관 및 시술에의 적극적인 참여가 없었더라면 보조생식술 및 불임산업의 성장과 발전은 지연되었을 것이다. 난임여성들의 임신출산 수행이 일반여성들의 그것처럼 사회에 기여하는 활동이고 의과학적 지식생산과 보조생식술의 성공에 참여하는 것이라면, 난임여성들은 정부의 지원대상이거나 기술과학의 대상 및 수혜자가 아니다. 난임여성들의 건강보험적용 요구는 자신들의 임신출산을 위한 노고에 대해 사회적 보상체계를 요구하는 것이고 이것은 난임여성들이 주장하고 있지는 않지만 인식하고 있는 건강권의 침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시술법의 연구와 개발을 필요로 한다. 또한 난임여성들은 의과학적 지식생산과 보조생식술의 성공에 있어서 참여 주체이다. 그렇기 때문에 의과학적 지식이나 기술은 전문가집단만이 소유하고 통제할 수 있는 영역이 아니라 공통의 부이며 일반인들의 참여와 통제가 필요한 영역이다.

      • 고객 중심적 병원 마케팅 전략에 관한 연구 : 대형병원의 사례를 중심으로

        김경례 위덕대학교 경영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고객 중심적 병원 마케팅 전략에 관한 연구 - 대형병원의 사례를 중심으로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병원들이 수행하고 있는 마케팅 활동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향후 병원을 경영을 하는데 있어 필요한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사회가 고령화되면서 의료에 대한 수요가 다양해졌으며 병원의 마케팅 전략은 고객의 욕구변화, 의료환경의 변화, 의료기관의 생존경쟁 심화 등으로 인해 경영의 어려움이 가중되면서 더욱 생존과 차별화된 경쟁력 확보를 위한 필요성에서 더욱 절실하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고객의 지향성과 통합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병원 마케팅의 관리 이념이 무엇보다 중요해지고 있는 것이며 병원마케팅의 핵심적인 과제는 환자의 의료기관 선택기준이 어떤 것인지를 파악하는 일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과 필요성에 따라 국내 대형병원을 중심으로 조사를 실시하고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의료서비스전략으로는 우수한 의료 인력의 확보, 환자 중심의 의료 환경 구축, 진료의 특성화 및 전문화 등이 요구되었다. 둘째, 의료가격전략으로는 병원이 갖는 특수성을 고려하여야 하며 창의력과 신축성이 요구되었다. 셋째, 의료유통경로전략으로는 책임 경영제 도입 및 개방형 병원제도 도입 등이 필요하였다. 넷째, 의료촉진전략으로는 광고의 활성화 및 의료정보 체계의 구축 등이 제시하였다. 다섯째, 고객전략으로 병원의 모든 서비스와 시설을 소비자 입장에서 점검, 개선하는 등 환자중심의 병원 만들기가 있다. 이와 같은 병원 경영에 있어 마케팅 도입은 우리나라 병원 경영이 안고 있는 문제점이 총체적이어서 부분적 대응으로는 해결이 불가능하며 지속적인 병원 성장을 위해서는 병원 마케팅의 모든 활동이 생존 전략 차원의 요소임을 인식해야 한다. 핵심 되는 말 : 병원마케팅, 의료서비스 품질, 마케팅 전략, 관계마케팅

      • CSR활동의 수준과 진정성이 기업가치 및 사회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경례 위덕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CSR활동의 촉진요인으로 CEO의지, 구성원인식, 기업역량, 사회적요구, 정부정책 등 5개를 설정하고 CSR활동이 영향을 미치는 성과변수로 기업이미지, 조직동일시, 기업가치, 사회가치 등 4개를 설정하였다. 또한 CSR진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변수로 CSR일관성, CSR연관성, CSR차별성 등 3개를 설정하고 CSR진정성이 영향을 미치는 성과변수로서 기업이미지, 조직동일시, 기업가치, 사회가치 등 4개를 설정하여 CSR활동 및 CSR진정성의 원인과 결과 요인들 간의 상호관계를 구조방정식으로 하나의 통합적인 모형을 통해 체계적으로 연구함으로써 기존 연구와 다르며, 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CSR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중 CEO의지, 구성원인식, 기업역량, 정부정책은 CSR활동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회적요구는 CSR활동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CSR일관성, CSR연관성, CSR차별성은 CSR진정성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CSR활동이 기업가치, 기업이미지, 사회가치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CSR활동이 조직동일시에는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CSR진정성이 기업이미지, 기업가치, 조직동일시, 사회가치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기업이미지는 조직동일시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기업가치에는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조직동일시는 기업가치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기업가치는 사회가치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 났다. 본 연구의 몇 가지 한계점 및 향후과제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설문대상 선정에 있어 포항에 근무하는 기업의 종업원(CEO 포함)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결과의 일반화에 한계가 있으며, 표본을 한정된 지역으로 국한시켜 자료조사를 진행하여 얻은 결과를 전체 기업으로 확장 시키는 데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둘째, CSR활동은 기업의 설립 목적 및 운영방식에 따라 그 효과가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연구의 분석대상인 포스코 및 외주파트너사의 경우 CSR활동의 강제성으로 인해 조직구성원들이 CSR활동의 진정성을 깊이 인식하지 못함으로써 그 효과가 약화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대상 지역을 확대시켜 확대된 표본의 기업들을 대상으로 비교 분석을 수행하는 것이 필요하며, 또한 기업 운영의 자율성에 제약이 없는 기업을 대상으로 분석하면 좀 더 다양하고 의미 있는 연구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sets up the five variables such as CEO will, employee recognition, corporate competencies, social needs, and government policy as the driving factors of CSR activities, and the four variables such as corporate image, organization identification, firm value, and social value as the outcome variables of CSR activities. In addition, the three variables such as CSR consistency, CSR relevance, and CSR differentiation are set up as the leading variables of CSR authenticity, and the four variables such as corporate image, organization identification, firm value, and social value are set up as the outcome variables of CSR authenticity. Unlike the previous researches on CSR activities, this study aims to systematically analyze the interrelationships among CSR activities and CSR authenticity and their respective causal and outcome variables by employing the fourteen variables mentioned above in a unified and comprehensiv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among the factors that affect CSR activities, CEO will, employee recognition, corporate competencies, and government policy are found to have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CSR activities. However, it is found out that social needs have no significant impact on CSR activities. Secondly, it is shown that CSR consistency, CSR relevance, and CSR differentiation have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CSR authenticity. Thirdly, CSR activities are found to improve corporate image, firm value, and social value i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way. On the other hand, it is found out that CSR activities do not significantly enhance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Fourthly, CSR authenticity turns out to have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corporate image,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firm value, and social value. Fifthly, corporate image turns out to have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On the other hand, corporate image is shown to have no significant effect on firm value. Sixthly,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is found to have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both firm value and social value. Lastly, it is shown that firm value significantly promotes social value. This study has some shortcomings or weaknesses that might be the subject matters to be further analyzed in the future researches. Firstly, in this study the scope of the sample analyzed is confined mostly to the CEOs and employees working for the firms in the city of Pohang, and consequently there is a limit to expand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to the entire population of firms. Secondly, the effectiveness of CSR activities might vary depending on the firm’s managerial goals and styles. For example, in the case of POSCO and its outsourcing partner companies analyzed in this study, the effect of CSR activities can be weakened because the employees of those companies are not fully aware of the authenticity of CSR activities due to the mandatory nature of CSR activities. Therefore, in the future research it is necessary to survey the employees not only of the firms in Pohang city but also of the firms in other cities to perform an comparative analysis. In addition, it is also necessary to analyze the companies with the least possible managerial restrictions to come up with more diverse and meaningful research results.

      • 결혼이주여성의 결혼만족도가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 연구

        김경례 성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study reviewed the affect of satisfaction of marriage regarding married migrant women on empowerment, and through prior review of research and theoretical approach, the purpose and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study were explained, along with its hypothesis deducted. To verify the hypothesis, a survey was held by selecting a tool for investigation. The subjects of investigation were married migrant women with Korean husbands living in Korea, and the location regards to welfare center of Kyunggi area,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religious group, and etc., which the women receive service, and a quantitative survey was held regarding them, and 184 data were used for analyzing the result. The result analyzed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regarding general characteristics of married migrant woman, for the age, there were 93 (50.5%) of women in their 20s, and 98 (53.6%) of husbands in their 40s, which showed the greatest amount, and for nationality, there were 60 (32.6%) Chinese women, and 53 (28.8%) women with no religion, which both showed greatest amount. For the period of marriage, 24 months or less showed the greatest as 79 (42.9%), and for the period of residence in Korea, 224 months or less showed the greatest as 84 (45.7%), and for the number of children, 80 (47.6%) had 1 children, which showed the greatest amount. For the education level of married migrant women, high school graduates were the greatest with 66 (36.1%) women, and for the husbands' education level, middle school graduates were 76 (42.5%) showing difference in education level between husbands and wives. Regarding employment status, 143 (79.4%) married migrant women were not employed, and 167 (92.8%) husbands had a job. For the average monthly income, 71 (39.9%) earned 1010-2000 thousand won, which was the greatest amount, and for the structure of family, the greatest amount showed 78 (43.6%) for husband+children, and for having Korean nationality, 121 (66.5%) had not, and 61 (33.5%) had Korean nationality.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reason for marrying, 35 (18.9%) answered, 'to live in Korea which has more developed economy', depicting that economical reason was the greatest. Second, the result of marriage satisfaction status regarding each value, the total average of marriage satisfaction showed 3.42, and among the lower scope, conflict with spouse's family showed an average of 3.71, satisfactory marriage life showed an average of 3.50, sexual dissatisfaction with spouse showed an average of 3.35, communicative problems regarding emotion and problem solving showed an average of 3.35, economical conflict 3.25, and physical attacking behavior 3.12, in order. The total average of empowerment showed 3.28, and among the lower scope, self-image showed an average of 3.45, actual power 3.20, social・political consciousness 3.17, in order. Third, the difference of empowerment of married migrant woma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was reviewed.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women's age, husbands' age, nativity, religion, marriage period, residence period, number of children, education level, and employment, husbands' education level, average monthly income, family structure, Korean nationality, and etc., values of nativity, husbands' education level, and women's education level showed significance in empowerment. Fourth, to review the correlation among main values, the correlation among independent variable, dependent variable, and control variable was analyzed, and prior to reviewing the influenc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it seemed that there was no multicollinearity among main variables. Fifth,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hypothesis 1,2,3,6 except for 4,5 were selected, and the higher the woman's age, husband's education level, and satisfactory marriage life, the higher the empowerment, and regarding economical conflict, sexual dissatisfaction of spouse, and physical attacking behavior, empowerment became lower in general, and the lower the average monthly income, the lower the empowerment became. And, hypothesis 4 and 5 which regard to, empowerment becomes lower as conflict with spouse's family and communicative problem of emotion and problem solving increase were not supported. Through the study,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married migrant woman, there was significant relation among the factor affecting empowerment, degree of satisfaction in marriage, and empowerment.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strategic suggestions in the aspect of social welfare performance for improving satisfactory level of marriage of married migrant women to maintain good marriage life between husbands and wives and to heighten the quality of life for social adaptation through empowerment of married migrant women are as follows. First, community level meeting and consultation, and marriage satisfaction improvement program development and execution to strengthen satisfactory level of marriage of married migrant women should be held in social welfare related institutes or multi-cultural migrant center, and etc. Second, self-image, actual power, and constant education and training, workshop, seminar, and etc. which can heighten social・political consciousness of married migrant woman should be performed in social welfare related institutes above all. Third, regarding family problems of married migrant women, professional social worker should be educated and trained as family therapist to have family therapy intervention using the family therapy model as professional family therapist. Fourth, to step to a multi-cultural society, various studies regarding them are necessary as well, and basic data for social welfare intervention and support are demanded. Fifth, social welfare related professors and staffs who research and perform family problems of married migrant women should establish a research consultative group.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결혼이주여성의 결혼만족도가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검증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결혼만족도의 어떤 변인이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주는지를 분석하여 결혼이주여성에게 사회복지 관련 기관이나 센터 등에서 결혼만족도 향상 관련 상담이나 프로그램을 통하여 결혼이주여성의 임파워먼트을 높여주기 위한 사회복지 실천적 대안을 모색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결혼이주여성의 결혼만족도가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검증하였고 이에 선행연구검토와 이론적인 접근을 통하여 본 연구의 목적과 이론적 배경을 설명하였고, 가설을 도출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해 조사도구를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는데, 조사대상은 한국에 거주하고 있는 한국남성을 남편으로 둔 결혼이주여성들을 대상으로 하였고 조사지역은 경기지역 소재 복지관,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종교단체 등에서 서비스를 받고 있는 결혼이주여성들을 대상으로 양적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결과분석에는 184부의 자료가 사용되었다. 연구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결혼이주여성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본인의 연령대는 20대(50.5%), 출신국가별로는 중국이 32.6%, 종교는 없음이 28.8%, 결혼기간은 24개월 이하가 42.9%, 한국에서의 거주기간은 24개월 이하(45.7%)로, 자녀수는 1명이 47.6%로, 조사대상자의 최종학력은 고졸 36.1%, 남편의 최종학력은 중졸 42.5%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둘째, 조사대상자 중 직업이 없는 조사대상자는 79.4%이고 직업을 가진 남편은 92.8%로 많이 나타났다. 평균 월소득은 101-200만원이 39.9%로, 가족형태로는 남편+자녀인 경우가 43.6%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또한 조사대상자인 결혼이주여성들 중 한국국적 취득을 한 조사대상자는 33.5%로 나타났고 결혼한 이유에 대해서 조사한 결과, ‘경제적으로 더 발전한 한국에서 살기 위해서’가 18.9%로 가장 많이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본국 가족에게 경제적 지원을 하기 위하여’가 16.2%의 순으로, 이는 대체로 경제적 이유가 가장 컸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언어적 특성으로는 결혼이주여성의 한국말 실력에서는 말하기가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듣기, 쓰기, 읽기의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남편의 부인 나라말 실력은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 순으로 나타나 남편의 부인 나라말 실력이 이주여성의 한국말 실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셋째, 각 변인들에 대한 실태 결과는 결혼만족도의 총 평균은 3.42로 나타났고 하위영역 중 배우자 가족관계 갈등이 평균 3.7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결혼생활에 대한 만족이 평균 3.50, 배우자와 성적 불만족이 평균 3.35, 정서 및 문제해결 의사소통문제가 평균 3.35, 경제적 갈등이 3.25, 신체적 공격행동이 3.12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임파워먼트의 총 평균은 3.28로 나타났고 하위영역 중 자아상이 평균 3.4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실제적인 힘이 평균 3.20, 사회・정치적 의식이 3.17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결혼이주여성의 임파워먼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one-way ANOVA를 사용하였는데, 그 분석결과, 본인연령, 남편연령, 출신국, 종교, 결혼기간, 거주기간, 자녀수, 본인최종학력, 남편최종학력, 본인직업유무, 남편직업유무, 평균 월소득, 가족형태, 한국국적 취득유무 등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 출신국, 남편최종학력, 본인직업유무에 대한 변인이 임파워먼트에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주요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독립변수, 종속변수, 통제변수간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결혼만족도가 결혼이주여성의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기에 앞서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주요 변인 간의 상관계수가 .80 이상이 되지 않기 때문에 다중공선성을 우려할 만한 수준은 아니라고 판단된다. 여섯째, 다중회귀분석 결과, 가설 4와 5를 제외한 가설 1, 2, 3이 채택되어졌으며, 본인연령과 남편최종학력, 그리고 결혼생활만족이 높을수록 임파워먼트는 높아졌고, 경제적 갈등, 배우자의 성적불만족에 있어 전반적으로 임파워먼트는 낮아졌고 평균 월소득이 낮을수록 임파워먼트는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 결혼이주여성의 일반적 특성 중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결혼만족도 정도와 임파워먼트 간의 유의미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결혼이주여성의 임파워먼트를 통해 부부간 원만한 결혼생활을 영위하고 사회적 적응을 위한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사회복지실천에서의 전략적 제언을 다음과 같다. 첫째, 결혼이주여성들의 결혼만족도를 강화하기 위한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사회복지관련 기관이나 다문화이주센터 등에서 결혼이주여성들 결혼만족도 증진시키기 위한 공동체적 모임과 상담, 결혼만족향상 프로그램 개발 및 실시를 하여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프로그램을 수행할 수 있는 전문 집단 사회복지사의 개입과 이들을 위한 부부상담 및 가족치료 등 가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