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Concept Mapping of Cyberbullying Victimization in Korean Male Adolescents

        이세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Cyberbullying is an emerging social issue, which may significantly impact the lives of adolescents. Also many studies indicated that male adolescents and middle school students are more vulnerable to cyberbullying victimization. To thoroughly and accurately examine the impact of cyberbullying victimization as perceived by adolescents, this study employed Trochim’s (1985) Concept Mapping method with male adolescents who experienced or witnessed cyberbullying victimization. The first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nd conceptualize the impact of cyberbullying victimization perceived by Korean male adolescents. The second purpose was to analyze differences in awareness levels and conceptualization patterns for the impact acros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Concept Mapping revealed six major perceived impacts of cyberbullying victimization among Korean male adolescents: Internalizaing problems, Externalizing problems, School & Peer problems, Online problems, Seeking social support, and Avoidance. The Korean male adolescents in this sudy reported that the Seeking social support cluster was the most important along with related impacts. Pattern matching also showed that adolescents with mid-upper school grades, mid-upper SES, who did not experience school bullying victimization, and those with longer smartphone usage time, perceived higher levels of cyberbullying victimization impacts. In particular, adolescents with high academic school grades, high SES, and no school bullying victimization experience perceived Seeking social support as a more important impact cluster.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implications using 5 categories: early identification of risk groups and prevention, gender and age specific assessment measures, clinical intervention strategies, policy implications, and raised awareness of and sensitivity to impact. 사이버불링은 청소년 삶에 큰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문제이다. 특히 많은 선행연구들은 남자 중학생이 사이버불링 피해 결과에 가장 취약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 남자 중학생들이 인지하고 있는 사이버불링 피해 결과에 대해 정확하게 알고자 사이버불링 피해를 직접 경험했거나 목격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컨셉맵핑 방법을 적용했다. 본 연구의 첫 번째 목적은 한국 남자 청소년들이 인지하는 사이버불링 피해 결과에 대해서 개념화하는 것이다. 두 번째 목적은 한국 남자 청소년들의 사이버불링 피해 결과에 대한 의식수준과 개념화 패턴이 인구학적 배경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컨셉맵핑 결과, 사이버불링 피해 결과는 내재화 문제, 외현화 문제, 학교 & 친구 문제, 온라인 문제, 사회적 지지 추구, 회피로 총 6개의 영역이 나타났다. 한국 남자 청소년들은 사회적 지지 추구를 가장 중요하고 관련있는 사이버불링 피해 결과로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패턴매칭 결과, 학교성적이 중상위권인 경우, 사회경제적 수준이 중상위권인 경우, 불링 경험이 없는 경우, 스마트폰 사용시간이 긴 경우 사이버불링 피해 결과에 대한 의식수준이 높았다. 그리고 높은 성적, 높은 사회경제적 수준의 학생들과 불링 경험이 없는 학생들이 사회적 지지추구를 더 중요한 영역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위험집단에 대한 조기 발견 및 예방, 성별 및 연령별 특화된 사정 및 측정, 임상 개입 전략, 정책적 함의, 의식수준 및 민감성 향상에 대한 함의를 제안했다.

      • 사회적경제기업 투자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황혜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actors Influencing Investment Intentions in Social Economy Enterprises and to analyze the causal relationship by using the survey data of <Social Issues Perspective by Koreans in 2021> of the Center for Social Value Enhancement Studies (CSES, 2021) conducted for ordinary citizens. To this end, by referring to the analysis framework of Cho Young-bok et al. (2018), the factors Influencing on Investment Intentions in Social Economy Enterprises were divided into individual-characteristic factors, socio-environmental factors, and socia-value factors. For the analysis of the survey results, the results were derived using statistical analysis techniques such a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Statistics 25.0.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factors affecting citizens' investment intentions in social economy enterprises are as follows. First, as a factor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educational background was the only significant result. Second, as a socio-environmental factor, the positive the perception of the social safety net, and the higher the trust in the government and social economy companies, the positive (+) effect on the investment intention. Third, as a social-value factor, citizens showed an willingness to invest in social economy companies as the awareness of ESG is high and the interest in social problems is high, and the participation in social problem solving is high. Taken together, in order to gain citizens' investment and support in social economy enterprises,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opportunities for information and education on social economy enterprises. In addition, it must play the role of the government and social economy enterprises that can give trust as subjects of social problem solving. In addition, various opportunities for participation in solving social problems that can share interest in social problems should be planned and expanded. It is necessary to provide high-quality products and services of social and economic enterprises that can be differentiated as social values. This study comprehensively examined the perceptions and influencing factors of ordinary citizens on investment in social economy companies that have not been noted so far. Therefore, it is meaningful in that it presented as future policy directions and practical basic data for revitalizing the social economy enterprise private investment field and sustainable social economy ecosystem. 본 연구는 일반시민을 대상으로 실시한 사회적가치연구원(CSES, 2021)의 <2021 한국인이 바라본 사회문제> 조사자료를 활용하여 사회적경제기업 투자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고 그 인과관계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조영복 외 (2018)의 분석틀을 참고하여‘사회적경제기업 투자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개인요인, 사회환경적요인, 사회적가치요인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조사 결과에 대한 분석은 SPSS Statistics 25.0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 분석, 로지스틱 회귀분석 등 통계분석 기법으로 결과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시민들의 사회적경제기업 투자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요인으로는 학력이 유일하게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둘째, 사회환경적요인으로는 사회안전망 인식이 긍정적일수록, 정부와 사회적경제기업에 대한 신뢰가 높을수록 투자의향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사회적가치요인으로는 ESG 인식이 높고 사회문제 관심이 많을수록, 사회문제해결 참여도가 높을수록 시민들은 사회적경제기업에 투자의향을 보였다. 이를 종합하여 볼 떄, 시민들의 사회적경제기업 투자와 지지를 얻기 위해서는 사회적경제기업에 대한 정보와 교육의 기회를 늘리고 사회문제해결 주체로서 신뢰를 줄 수 있는 정부와 사회적경제기업의 역할을 수행하며 사회문제 관심을 나눌 수 있는 사회문제해결에의 참여기회를 늘리고 사회적 가치로서 차별화할 수 있는 사회적경제기업의 질높은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는 결론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그동안 주목하지 못했던 사회적경제기업 투자에 대한 일반 시민들의 인식과 영향요인에 대해 종합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사회적경제기업 민간투자 분야와 지속가능한 사회적경제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향후 정책방향과 실무적인 기초자료로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부모의 과잉간섭적 양육태도와 또래소외가 휴대전화 의존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위축의 매개효과

        황연정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arents' over-over-intrusive child-rearing attitude and peer alienation through mediation of social withdrawal on mobile phone dependency in adolescents. In other words, the study pointed out the importance of over-over-intrusive parents' child-rearing attitude and peer alienation on mobile phone dependency, and identified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withdrawal on parents' over-intrusive child-rearing attitude and peer alienation on mobile phone dependency. The results were verified using the Korea Child and Youth Panel Survey(KCYPS) of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the panel 7th year of the first grade in elementary school by secondary data analysis, and the survey conducted on 2,002 male and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in 2016. Therefore, the study was demonstrat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and it analyzed data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Pearson's correlation thoughts SPSS 22.0. Moreover, by using Amos 22.0, it confirmed 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thought Confirmative factor analysis, to analyze as a study model in which the independent variables affect the dependent variables. In addition, the study analyzed the path of each variable by identifying the appropriateness of the research mode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discovered that parents' over-intrusive rearing attitude, peer alienation and social withdrawal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mobile phone dependence. In other words, the more parents were over-intrusive and the more peer alienation, and the more social withdrawal was shown, it is more likely that the mobile phone dependency increased. Second, parents' over-intrusive rearing attitude did not affect social withdrawal, but social withdrawal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mobile phone dependence. In other words, parents' over-intrusive rearing attitude did not affect the social withdrawal of adolescents, but it was revealed that adolescents experiencing social withdrawal were found to be more dependent on mobile phones. Third, peer alienation has a positive correlation on social withdrawal, and social withdrawal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mobile phone dependence. In this regard, it was found that youths who felt severe peer alienation are more inclined to have higher levels of social withdrawal and tend to rely too heavily on mobile phones. The implications derived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that parents' over-intrusive rearing attitude may lead to adolescents' mobile phone abuse, it can be suggested parents' over-intrusive rearing attitude can become maltreatment. In this regard, it is imperative that parents be aware of this fact so that they can help their children to be able to control their mobile phone use by themselves. Furthermore, parental education including supporting them to educate children in the proper way is also required. Second,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higher the perceived peer alienation, the higher the dependency on mobile phones. Schools and professional organizations will need to create a forum enabling students to more actively share their feelings and thoughts and to share them with peers. Finally, there is a necessity to strengthen follow-up care without merely trying to provide psychotherapy to adolescents suffered from peer alienation. Therefore, it will be required to establish a program of social improvement for adolescents who are alienated in cooperation with the public and private corporations, so that the effects would continue even after the treatment is completed.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과잉간섭적 양육태도와 또래소외가 사회적 위축을 매개로 청소년의 휴대전화 의존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데에 있다. 즉, 부모의 과잉간섭적 양육태도와 또래소외가 휴대전화 의존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봤으며, 그중 사회적 위축의 매개효과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아동·청소년패널(Korean Child and Youth Panel Survey: KCYPS)을 사용하여 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초1패널 7차년도를 활용하여 2차 자료 분석을 하였으며, 연구대상자는 2016년 조사 당시 중학생 1학년이었던 남·여학생 총 2,002명이다. 이에 구조방정식 모델(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로 연구 모형을 검증했고, SPSS 22.0을 통해 기술통계와 상관관계를 실시하였다. 이 밖에 AMOS 22.0을 활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집중타당성 및 판별타당성을 확인한 다음,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모형을 분석하였다. 또한 연구모형의 적합도를 파악하여 각 변인 간의 경로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과잉간섭적 양육태도와 또래소외, 사회적 위축은 휴대전화 의존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모가 과잉간섭적일수록, 청소년의 또래소외감이 높을수록, 사회적 위축이 높을수록 휴대전화 의존이 높아졌다. 둘째, 부모의 과잉간섭적 양육태도는 사회적 위축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사회적 위축은 휴대전화 의존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모의 과잉간섭적인 행동이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사회적 위축을 겪는 청소년일수록 휴대전화 의존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또래소외는 사회적 위축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사회적 위축은 휴대전화 의존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로써 또래소외를 심하게 느끼는 청소년일수록 사회적 위축 수준이 높았으며, 휴대전화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과잉간섭적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휴대전화 의존도를 높인다는 본 연구결과에 따라 부모의 자녀에 대한 지나친 과잉간섭적 태도는 학대가 될 수 있다는 점을 인지시키며 자녀가 자율적으로 휴대전화 사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지지할 수 있도록 교육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부모들이 올바른 양육방법을 행할 수 있도록 조력하는 내용을 포함한 부모교육이 필요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결과를 통해 또래소외감이 높을수록 휴대전화 의존이 높다는 점이 입증되었다. 학교 및 전문기관에서는 청소년 본인의 감정 및 사고를 능동적으로 점철시키며, 이를 또래 친구들과 공유하는 장을 만들어야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또래소외를 겪은 청소년들에게 심리치료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을 두지 않고, 사후관리를 강화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따라서 민·관이 협력하여 소외를 겪는 청소년을 위한 사회적 위축 향상 프로그램을 마련함으로써 치료가 끝난 후에도 그 효과가 지속하도록 해야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폭력 피해 경험이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

        서주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온라인 및 오프라인폭력 피해 경험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서의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를 검증함으로써 변수들과의 관계를 규명하고,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들의 자아존중감을 높이기 위한 제언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연구에서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제공하는 2019 아동·청소년인권실태조사 패널자료 중 14-16세 중학교에 재학중인 청소년 2,805명의 데이터를 대상으로 SPSS 27.0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온라인 및 오프라인폭력 피해 경험, 자살생각, 자아존중감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주요 변인 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했을 때, 주요변수가 모두 p<0.01수준에서 서로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둘째, 온라인폭력 피해 경험과 자살생각 간에, 오프라인폭력 피해 경험과 자살생각 간에 정적(+)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는 온라인 및 오프라인폭력 피해 경험이 많을수록 자살생각이 심화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자아존중감과 자살생각 간의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청소년의 높은 자아존중감이 자살생각에 유의한 부적(-)영향을 미쳐 자살생각을 완화시킴을 검증하였다. 넷째,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온라인폭력 피해 경험과 자살생각의 영향관계와 오프라인폭력 피해 경험과 자살생각의 영향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두 경우 모두 폭력 피해 경험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자아존중감이 낮을 때보다 높을 때 자살생각이 완화됨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를 통해 청소년 자살생각에 영향을 주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여 향후 청소년 자살문제의 선제적인 예방과 개입방안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를 만들고자 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청소년 온라인 및 오프라인폭력 피해 예방과 개입에 있어 자아존중감을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 체계적 지원방안 수립 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youth’s violent victim experiences on suicidal idea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violent victim experiences and suicidal ideation. The data of 2,805 middle school students from the “2019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children’s and youth’s rights”was used for analysis. This study conducted a hierarchical analysis through SPSS 27.0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online and offline violent victim experiences and suicidal idea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steem.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both online and offline violent victim experiences have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suicidal ideation. It means that the more youths are exposed to violence, the more they consider suicidal ideation. Second, the high self-esteem of youths has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suicidal ideation and mitigates the suicidal ideation. Third, self-esteem is a significant factor that moderates the effect of violent victim experiences on suicidal ideation. High self-esteem buffers the suicidal ideation of youths with violent victim experiences. Thus, this study suggests preparing basic materials to prevent youth suicides and establish intervention plans, developing programs to enhance self-esteem, and drawing up systematic plans for support.

      • 알코올중독자의 자아중심네트워크 특성과 음주문제 회복

        정원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599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recovery of alcohol addicts from their alcohol problems by examining the structural properties (i.e., intensity, structural equivalence, betweenness centrality, interaction in the similarity of alcohol abstinence) and by visualizing these ego network properties.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previous research which have largely seen the issue of alcohol as the pathological problem of an individual, this study perceived that alcohol problem is a social activity and took a new approach to alcohol addiction by focusing on the ego network of an alcohol addict. It not only examined the properties of ego network including formal and informal relationships, but also suggest social work practice level interventions that could support the positive function of a network based on a relationship between ego network properties and recovery from alcohol problems. From October 14, 2019 to November 15, 2019 (for five weeks), in total of 15 medical institutions and 25 community social centers from six regions nationwide (ex. Seoul, Gyeonggi/Incheon, Kangwon/ChungChung, Daegu/Kyungbook, Jeolla/Jeju) participated in the survey. Of these institutions and centers, this study recruited 25 participants from each regions. The survey items were consisted of variables that measured the alcohol related problems at the individual level and information about the egocentric network. Researcher has collected in total of 286 surveys, but excluding those with missing value, the final number was 239. Using the R software program, it conducted the network analysis which estimated an egocentric network properties and illustrated a figure that visualized the network. The current study also performed descriptive statistics on the ego and the alter, and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on the network variables and recovery of alcohol problem, and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PASW) 26.0. For the regression analysis, the Partial least squares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in order to solve the issue of multicollinearity among network variables. Below is the summarized version of the main findings in this research. First, the structural ego network properties of the alcohol addiction usually showed closed and circular shaped network, and opened and star shaped network. The size of the network was classified into large, medium, and small, and the highest density value was set as 1. By comparing the large(25%), medium(50%), and small(25%) groups with the size of the density, the present study revealed that the high and low connectivity to the alters depended on the density. Contrarily, the same pattern has been observed across high, medium, and low groups. Second, the interaction properties of the ego network demonstrated that low structural equivalence led to low openness of a network as it forms closely interrelated ties with the alter nodes like a spider web. When the network exhibited high betweenness centrality, an ego played a mediating role connecting the neighboring alter nodes. Meanwhile, if the network showed average betweenness centrality, an ego still played a mediating role but alter nodes are connected to one another without having to have an ego in between them. Third, the network structure has been observed by the network size and density if an ego and an alter shared the same alcohol abstinence status. With the large and medium sized network and the same density value, the members of the AA and Community Addiction Management Center reported the highest percentage in the ego networks, followed by family members as to parents, wife/husband, siblings, relatives. When the size of the network was small but with the same density value, family members took up the highest percentage, followed by the social workers. Fourth, the results of the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the variance of the model was best explained when there exists four latent variables.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ego network variables were the network size, intensity, density(closeness), structural equivalence(efficiency). Hence, the alcohol problem recovery is affected when the size of the ego network is bigger, is more intense, is more efficient, is less dense, is sharing similar alcohol abstinence status, and is less diverse in its structure. Moreover, if an ego has experience getting involved in the AA and has maintained the career, he/she was more likely to report higher recovery level. Based on these findings, the current study proposed the following discussion and implications. First, the size of an ego network was associated with the alcohol problem recovery level of an alcohol addict. This suggests that the expansion of an ego network could be positive supporting resources to recover from alcohol problems, and that the members within the ego network should consist of people who could perform a positive function. Second, the intensity of an ego network affected the recovery level. Higher intensity implies that there are more interactions between an ego and an alter. Thus, it would be critical to increase the intensity within the ego network of an alcohol addict by facilitating an in-depth and stabilized interaction with therapeutic resources as to AA, members and doctors from the Community Addiction Management Center , nurses, social workers etc. Third, lower density(closeness) of an ego network was correlated with the recovery level. If an alcohol addict who faces a difficult situation as to alcohol problems, attempt to raise his/her recovery level, a network with high density would enable for these individuals to form a close relationship with other alter nodes, formulate similar opinions on the given situations, and be influenced by exerted group normative pressure on the alcohol problems. In align with the theory suggested by Burt, members of the network with low density are more active on sharing the strategies and ideas. In this regard, we must decrease the density of an alcohol addict’s ego network, and propose ways to have access to new strategies and ideas that could overcome the issue of problem drinking within their respective networks. Fourth, high structural equivalence in the ego network was associated with the recovery level. As the structural equivalence becomes higher, repetitive information is less likely to be shared within the network but rather they are allowed to have access to various type of resources. As a result, it is suggested to increase the structural equivalence of an alcohol addict’s ego network so that they are able to acquire the necessary resources and information to recover from alcohol problems. Fifth, similarity of alcohol abstinence status of an ego network increased the recovery level. Therefore, it would be required to increase the relationship with alters who does not drink and reinforces the protective factors in order not to go through a relapse. Sixth, less diversity of an ego network structure increased the recovery of an alcohol problem. This highlights that alcohol addicts need not to form various forms of relationships within the network but should form and maintain a limited number of relationships who could really be the supportive resources during their recovery stage. As such, this study identified the ego network properties of an alcohol addict and confirmed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recovery of an alcohol problem using the network analyses. The present stud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an ego network properties when establishing therapeutic interventions and rehabilitation plans from the social network perspectives. Moreover, it hopes to be an important resources to develop therapeutic models which consider the ego network properties of an alcohol addict and the relative social position of an alcohol addict in the network during the recovery stage. 본 연구는 알코올중독자의 음주문제 회복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검증하기 위해 자아중심네트워크의 크기, 밀도, 구성(구성 다양성, 가족구성 비율)의 구조적 특성과 강도, 구조적 공백, 매개 중심성, 단주 유사성의 상호작용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시각화하여 알코올중독자의 자아중심네트워크 특성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알코올중독을 개인의 병리적인 문제로 바라본 기존 연구들의 한계를 보완하고자 사회적 행위인 음주문제와 알코올중독에 대한 새로운 접근으로 알코올중독자의 자아중심네트워크에 주목하였다. 알코올중독자의 공식적, 비공식적 관계를 포함한 자아중심네트워크 특성을 살펴보고, 알코올중독자의 음주문제의 회복과 자아중심네트워크 특성의 영향 관계 검증을 통해 알코올중독자에게 긍정적 네트워크 기능을 지원할 수 있는 사회복지실천 개입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2019년 10월 14일부터 2019년 11월 15일까지 5주간 전국 6개 권역(서울, 경기/인천, 강원/충청, 대구/경북, 부산/경남, 전라/제주)의 15개 의료기관과 25개 지역사회기관 중 각 권역별 25명의 연구 대상자를 모집하여 음주문제와 관련한 개인 수준의 변인을 비롯해 자아중심네트워크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문항들로 구성된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전체 설문지는 286부였고 결측치를 제외한 총 239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R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네트워크 분석을 진행하여 자아중심네트워크 특성을 측정하였고, 네트워크 시각화를 위한 그래프를 나타냈다. SPSS(PASW) 26.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아 속성, 타자 속성의 기술통계, 네트워크 변수 및 음주문제 회복의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을 진행하였다. 또한,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SPSS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회귀분석을 하였는데, 네트워크 변수 간 다중공선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PLS 모형 회귀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알코올중독자의 자아중심네트워크 구조적 특성은 네트워크가 폐쇄된 서클 형태와 개방된 스타 형태가 주로 나타났다. 네트워크의 크기를 상중하로 구분하고 밀도를 가장 높은 밀도를 1로 하고, 상(25%), 중(50%), 하(25%)로 분류하여 밀도와 크기를 접목하여 살펴본 집단 구분에서는 밀도에 따라 타자와의 연결성의 높고 낮음의 차이가 나타났고 크기의 상, 중, 하에서 살펴 볼 수 있는 양상은 동일하였다. 둘째, 알코올중독자의 자아중심네트워크 상호작용 특성은 구조적 공백이 낮은 경우 타자와 긴밀하게 거미줄처럼 연결되어 개방성이 낮은 형태로 나타났고, 높은 매개 중심성을 보인 경우 타자와의 연결에서 자아가 다른 타자들 간의 매개체 역할을 하며 높은 중심성을 보인 반면 매개 중심성이 평균인 경우는 타자들 간의 매개 역할을 하긴 하나 자아 외에도 타자들 간 연결되는 특성을 보였다. 셋째, 알코올중독자의 자아중심네트워크에서 자아와 타자가 모두 음주를 하지 않는 단주 유사성을 보인 경우 동일한 자아의 네트워크 크기와 밀도 비율에 따른 네트워크 구성을 살펴보았다. 이때 네트워크 크기가 상(上), 중(中)일 때 같은 밀도 비율에서 AA멤버 및 중독관리통합관리센터 회원이 가장 높은 구성을 보였고 다음으로 부모, 배우자, 형제자매, 친척을 포함한 가족 구성원 순이었다. 네트워크 크기가 하(下)일 때 같은 밀도 비율에서 가족이 가장 높은 구성을 보였고 다음으로 사회복지사 순이었다. 넷째, 알코올중독자의 음주문제 회복 수준에 미치는 자아중심네트워크 특성을 회귀 분석한 결과 잠재요인이 4가지로 구분된 경우 분산 설명 정도가 가장 높았으며 유의미하게 중요도가 확인된 자아중심네트워크 요인은 네트워크 크기, 밀도(폐쇄성), 구성 다양성, 강도, 구조적 공백(효율성)으로 드러났다. 즉, 알코올중독자의 자아중심네트워크 크기가 클수록, 밀도(폐쇄성)가 낮을수록, 구성 다양성이 낮을수록, 강도가 높을수록, 구조적 공백(효율성)이 높을수록, 단주 유사성이 높을수록 음주문제 회복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AA에 참여한 경험이 있을수록, 직업 활동을 유지할수록 음주 문제 회복수준이 높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한 논의 및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알코올중독자의 자아중심네트워크 크기가 클수록 음주문제 회복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알코올중독자의 자아중심네트워크의 크기를 확대하고자 할 때 단순히 양적인 확대만이 아닌 음주문제 회복에 긍정적 지지자원으로 역할 할 수 있고, 의미 있는 네트워크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자아네트워크 구성원의 확대가 필요할 것이다. 둘째, 알코올중독자의 자아중심네트워크 밀도(폐쇄성)가 낮을수록 음주문제 회복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알코올중독자 개인이 음주문제라는 어려운 상황에 직면하여 음주문제 회복 수준을 높이고자 할 때 네트워크 밀도(폐쇄성)가 높으면 모든 사람들이 서로 긴밀한 관계를 갖게 되어 그들이 직면한 상황이나 문제를 이해할 때 비슷한 견해를 갖게 되고 음주문제에 대해 규범적 압력이 제공된다. 네트워크 구성원들이 낮은 밀도에서 전략과 아이디어가 많아진다고 한 Burt의 이론을 고려해 알코올중독자의 자아중심네트워크 밀도를 낮추고 알코올중독자가 처한 어려운 상황, 특히 음주문제를 극복하는 새로운 전략과 아이디어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알코올중독자의 자아중심네트워크 구성 다양성이 낮을수록 음주문제 회복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음주문제 회복기에 있는 알코올중독자의 네트워크에서 다양한 구성의 관계를 유지하기 보다는 음주문제 회복과 재활과정에 긍정적 지지자원이 될 수 있는 한정된 구성원들과의 관계 유지의 필요성을 나타낸다. 넷째, 알코올중독자의 자아중심네트워크 강도가 높을수록 음주문제 회복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도가 높다는 것은 자아와 타자 사이에서 상호작용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AA모임,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의 회원 및 의사, 간호사, 사회복지사 등의 치료적 자원들과 안정적 유대 관계 내에서 깊이 있는 상호작용 과정을 통해 알코올중독자의 자아중심네트워크 강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다섯째, 알코올중독자의 자아중심네트워크 구조적 공백(효율성)이 높을수록 음주문제 회복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조적공백이 높을수록 정보 중복성이 적어져 다양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기 때문에 알코올중독자의 자아중심네트워크 구조적 공백을 높여 음주문제 회복을 위한 다양한 정보와 도움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여섯째, 알코올중독자의 자아중심네트워크 단주 유사성이 높을수록 음주문제 회복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알코올중독자가 음주문제 회복기에 맺고 있는 다양한 사회적 관계에서 전혀 음주하지 않는 타자와의 관계성을 높여 음주문제가 재발하지 않도록 보호요인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네트워크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알코올중독자의 자아중심네트워크 특성을 규명하고 음주문제 회복 수준의 영향요인을 입증하였다. 이를 통해 사회복지 시각에서 알코올중독자의 음주문제 회복 과정에 알코올중독자의 자아중심네트워크 특성을 고려한 치료적 개입 및 재활 계획 수립의 중요성을 제시하였다는 것에 큰 의미가 있다. 본 연구는 앞으로 알코올중독 치료에 있어 알코올중독자가 새로운 사회적 역할을 규정하고 음주문제를 회복해 나아가는 과정에서 알코올중독자의 자아중심네트워크 특성을 기반으로 한 치료 모델 마련에 귀중한 초석이 될 것이다.

      • 사회적 배제가 암생존자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연령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소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exclusion and depression among cancer survivors to provide basic data to ease the depression of cancer survivors and find age-specific measures to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The data was from the 2018 Korea Welfare Panel Study and the sample included 215 cancer survivors. A t-test,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bootstrapping were performed. The IBM SPSS 25 was utilized for statistical analyse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t-test showed that depression is significantly high in groups with higher social exclusion in median income, working ability, economic activity, and trust. Second, there were correlations between social exclusion and depression in the areas of family income dissatisfaction, housing dissatisfaction, health dissatisfaction, and social intimacy dissatisfaction. Third,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confirmed that the higher degree of working ability, economic activity, and health dis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higher depression of cancer survivors. Fourth,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age played a moderate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income dissatisfaction and depression of cancer survivors. This study revealed a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mong cancer survivors and social exclusion. Based on the results, the social exclusion of cancer survivors is a critical factor in alleviating the depression of cancer survivors. Moreover, considering the moderating effect of age, the need for age-specific services should be designed to relieve the depression of cancer survivors. This study is meaningful since it attempted to shift a pathological perspective on the depression of cancer survivors to a socio-environmental perspective by verifying the effect of social exclusion on the depression of cancer survivors. It also presented the importance of a life-cycle approach for alleviating social exclusion by examining the moderating effect of age in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exclusion and depression of cancer survivors. However, since this study is a cross-sectional study using secondary data, there would be some limitations on analyzing the multi-dimens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exclusion and the depression of cancer survivors due to the passage of time. Furthermore, the validity of indicators may be insufficient to estimate social exclusion with its multidimensional and dynamic characteristics. 본 연구는 사회적 배제와 암생존자의 우울 간의 영향관계를 확인하고, 연령의 조절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암생존자의 우울을 완화하고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연령별 맞춤형 방안 모색에 필요한 기초자료 제공에 기여하고자 시행되었다. 이를 위해 2018년 한국복지패널 13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분석대상은 암생존자 215명이다. 통계분석을 위해 IBM SPSS 25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독립표본 t-검정, Pearson의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부트스트랩 검증을 시행하였고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배제 변수 중 이분형 변수의 여부에 따라 우울이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지 검증하기 위한 t-검정 결과, 중위소득, 근로능력, 경제활동, 타인신뢰에서 사회적 배제가 높게 나타날 경우 암생존자의 우울 정도도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사회적 배제와 암생존자의 우울 간의 상관성을 파악한 결과, 가족의 수입 불만족도, 주거 불만족도, 건강 불만족도, 사회 친분관계 불만족도와 암생존자의 우울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배제가 암생존자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실시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사회적 배제 영역 중 고용영역의 근로능력 정도와 경제활동 상태, 건강영역의 건강 불만족도가 암생존자의 우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사회적 배제와 우울 간의 관계에서 연령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가족의 수입 불만족도와 암생존자의 우울 간의 관계에서 연령은 유의한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사회적 배제가 암생존자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암생존자의 사회적 배제를 해소하는 것이 암생존자의 우울을 완화하는데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연령의 조절효과를 고려하였을 때, 암생존자의 우울을 완화하기 위한 연령별 지원 및 제도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사회적 배제가 암생존자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여 암생존자의 우울에 대한 병리(病理)적 관점에서 벗어나 사회·환경적인 관점으로 전환하고자 하는 시도를 꾀하였다. 또한 사회적 배제와 암생존자의 우울 간의 영향관계에서 연령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여 사회적 배제를 완화하기 위한 방안 모색에 있어 생애주기별 접근의 필요성이 있음을 밝히는데 기여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그러나 본 연구는 2차 자료를 활용한 횡단적 연구로 수행되었음으로 암생존자의 우울에 미치는 다차원적인 사회적 배제의 세밀한 분석이 어렵고 시간의 흐름으로 인한 차이를 추정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더 나아가 다차원적이고 역동적인 특징을 가진 사회적 배제의 영역과 지표의 구성에서 타당성이 충분치 않다는 한계를 가질 수 있다.

      • 학교생활부적응이 청소년 흡연 및 음주에 미치는 영향 : 자기통제력과 공격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예솔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학교생활부적응이 자기통제력과 공격성을 매개로 청소년 흡연과 음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조사한 한국청소년패널조사(KYPS) 자료를 사용하여 2차 자료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고등학교 1학년 학생 3,038명의 자료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통해 얻어진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학교생활부적응은 청소년 흡연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학교생활에 부적응할수록 흡연을 할 가능성도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학교생활부적응은 자기통제력에 부적 영향을, 공격성에는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통제력은 흡연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격성은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학교생활부적응과 청소년 흡연의 관계에 자기통제력과 공격성이 유의미한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학교생활부적응은 청소년 음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통제력은 음주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격성은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학교생활부적응과 청소년 음주의 관계에 자기통제력과 공격성이 유의미한 완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학교생활부적응이 청소년 흡연과 음주에 이르는 다양한 경로를 밝혀 청소년 흡연 및 음주 관련 개입 내용을 논의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였으며 청소년 흡연 및 음주에 대한 개입 프로그램의 다양한 활동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특히 자기통제력과 공격성은 이를 매개하는 요인이므로 두 요인에 대한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school maladjustment influencing smoking and drinking among adolescent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ntrol and aggression. This study utilized the third wave of data from ‘Korean Youth Panel Survey’ administered by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s, and 3,028 first grade high school student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analysi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The influence of School maladjustment on adolescent smoking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t was confirmed that school maladjusted students were more likely to smoke. school maladjustment had a negative effect on self-control and a positive effect on aggression. Self-control had a negative effect on smoking, and aggression had a positive effect on smoking. self-control and aggression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chool maladjustment and smoking. But the influence of School maladjustment on adolescents drinking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elf-control had a negative effect on drinking, and aggression had a positive effect on drinking. The mediating effect on self-control and aggression was significant in the pathway from school maladjustment to adolescents drinking. This study prepares the basic materials for discussing the intervention program related to adolescent smoking and drinking by identifying a variety of paths in which school maladjustment influences adolescent smoking and drinking. In particular, as self-control and aggression are the factors mediating them, the active intervention for these two factors is required.

      • 도박중독 온톨로지 개발

        박은경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599

        우리나라에서는 불법 인터넷 도박이 성행하며 사회 전반에 도박문제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청소년과 청년층의 도박문제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도박문제는 개인의 정신 건강뿐만 아니라 직장이나 학교에서의 역할 수행, 범죄에 이르기까지 영향을 미치며, 나아가 가족, 지역사회에까지 부정적 파급효과가 매우 크다. 또한, 심리, 사회, 생물학의 복합적인 요인이 영향을 미치고 있어, 다양한 변수들 사이의 상호작용 분석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소셜 빅데이터의 수집과 분석에 활용할 수 있는 도박중독 온톨로지를 개발하고, 그 타당도와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도박중독 온톨로지는 온톨로지 구축, 전문가 평가, 온톨로지 수정 보완, 포함력 평가의 네 단계로 진행되었다. 먼저 온톨로지 구축은 Noy와 McGuinness(2001)의 ‘Ontology Development 101’ 방법을 기반으로 하였다. 온톨로지는 상·하향 복합식으로 개발하였는데 선행연구를 통해 유목화, 범주화하여 분류체계를 구성하고(하향식), 뉴스와 소셜미디어 자료에서 핵심 용어를 추출하여 적절한 범주에 배치하거나 적절한 범주를 추가하였다(상향식). 또한, 개발된 온톨로지의 타당도와 유용성을 평가하기 위해 전문가 및 포함력 평가를 진행하였다. 전문가 평가는 도박중독 영역에서 10년 이상 경력을 가진 전문가가 진행하였고, 포함력 평가는 2021년 데이터에서 추출된 결과를 이전 년도 자료로 구축한 결과와 비교하여 용어의 출현율과 개념의 일치 정도를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도박중독 온톨로지 개발하여 도박중독 관련 소셜 빅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틀로써 활용하여, 추후 온톨로지를 기반으로 도박중독의 위험을 모니터링하고 예측하고자 하는 것이다. 온톨로지 개발을 위해 학술논문 426편, 뉴스 5,374건, 소셜미디어 61,643건의 자료를 수집하였고, 키워드 분석을 통해 ‘도박중독 정의’, ‘도박중독 이해관계자’, ‘도박중독 영향요인’, ‘도박중독 폐해’, ‘도박중독에 대한 대응’의 5개 대분류를 설정하였다. 또한, 중-소-세분류에 해당하는 하위분류 134개를 구성하였고, 총 1,476개의 키워드를 구축하였다. 온톨로지 구성 내용을 살펴보면, 첫째, ‘도박중독의 정의’는 도박유형, 질병 개념, 증상, 진단을 중분류로 구성하였다. ① '도박유형’은 도박중독에 이르게 하는 도박의 종류로 사행산업, 사행행위, 유사도박의 세분류로 구분하였다. ②‘질병개념’은 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편람(DSM-5)과. 국제질병사인분류(ICD-10)를 비롯한 과도하거나 위험한 수준의 도박을 명명하는 용어가 포함되게 구성하였다. ③‘도박중독의 증상’은 DSM-5에서 도박장애 진단기준인 ‘금단/갈망, 내성, 충동, 조절 실패/재발, 집착, 회피, 추격매수/본전 되찾기, 거짓말, 경제적 원조’를 표현하는 용어를 포함하였다. ⑤‘도박중독 진단’에는 진단을 위해 사용되는 척도와 검사와 관련된 용어를 포함하였다. 둘째, ‘도박중독의 이해관계자’는 서비스 이용자, 서비스 제공자, 서비스 관련 기관으로 구분하였다. 서비스 이용자는 도박경험 여부, 성별, 연령대, 특성으로, 서비스 관련 기관은 관리 감독기관과 사행산업체, 관련 부처와 기관으로 세부적인 구분을 하였다. 셋째, ‘도박중독의 영향요인’은 Abbott et al.(2018)의 위험한 도박 개념 틀을 참고하여 심리 요인, 사회 요인, 생물학적 요인으로 구성하였다. 심리 요인은 성격과 기질, 자기 인식, 사회학습, 비합리적 신념, 도박 동기를 중분류로 구분하였고, 사회 요인은 접근성, 가족·지인의 도박참여, 낙인, 사회문화환경, 경제환경을 중분류로 구분하였다. 마지막으로 생물학적 요인은 단일요인으로 분류하였다. 넷째, ‘도박중독의 폐해’는 Langham et al.(2015)의 도박중독 폐해 개념 틀을 참고하여 건강문제, 관계문제, 재정문제, 학업직업 문제, 법적 문제로 구성하였다. 건강문제는 정신 건강과 신체 건강으로 구분되며 정신 건강 문제에는 공존 질환, 건강위험 행동, 정서 문제, 행동문제, 자살, 기능 저하를 포함하였다. 다섯째, ‘도박중독에 대한 대응’ 은 예방·치유서비스와 정책 및 제도로 구성하였다. 예방서비스는 미국 약물 남용 및 정신건강청(SAMHSA)의 물질남용 예방부서의 예방전략을 기반으로 정보확산, 예방 교육, 지역사회 기반 서비스, 문제발견 및 의뢰로 구성하였다. 치유서비스는 치유방법과 기법으로 구분하였고, 회복에 대한 긍정적 가치는 ‘회복자원’으로, 회복을 위한 구체적 실천을 포함하는 용어는 ‘회복실천’으로 소분류를 생성하였다. 또한 ‘정책과 제도’에서는 책임도박과 사행산업 규제를 소분류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 정책과 실천에서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도박중독 영역의 온톨로지를 개발하고, 평가한 것으로 소셜데이터에서 도박문제의 위험신호를 예측하고, 동향을 정기작으로 모니터링하는 분석 틀로 활용될 수 있다. 우리 사회에서 전 세대를 아우르며 도박위험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도박이 어떤 경로나 계기, 유형을 통해 접근성과 가용성을 높일 수 있는지, 그리고 도박자의 성별, 연령, 지역별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면 더 효과적이고 적시에 대응하는 도박중독 예방 실천전략을 고민할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현재는 자료 본문의 명사 키워드를 중심으로 구축이 되었으나 향후 본문의 댓글과 피드까지 포함하고, 명사와 형용사, 동사까지 구축범위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도박중독 감정사전을 구축하고, 데이터의 수집에 있어서도 본문 뿐 아니라 댓글, 피드 분석을 통해 도박중독 이슈의 확산 과정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 둘째, 소셜빅데이터는 개인이 자발적으로 표현하는 감정, 가치, 반응을 포함하므로 기존에 학술조사에서 얻지 못할 정보에 접근할 수 있다. 본 온톨로지에서는‘폐해’카테고리 내의‘기능저하’항목과‘치유서비스’의 하위 카테고리인‘회복자원’과‘회복실천’카테고리가 그 대표적 사례라 할 수 있다. 기존의 연구결과에서는 개인의 회복자원과 실천방법은 주목받지 못하였다. 추후에는 회복자원과 회복실천, 기능저하 분류에 대해 요인분석, 군집분석 등을 통해 하위요인을 발견하고, 도박중독과 회복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수를 확인하여 도박중독과 회복에 대한 종합적 이해와 분석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전문영역 온톨로지는 많은 관련 구성원이 참여하여 개발하고, 수정보완하는 과정이 필요하나 본 연구에서는 6명의 전문가를 통해 온톨로지를 검증하는 것에 그쳤다. 향후에는 더 많은 전문가로부터 현재 온톨로지의 효용성과 타당성을 점검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도박중독 영역에서 처음으로 온톨로지 분석틀 개발을 시도하였고, 소셜빅데이터 수집과 분석의 기틀을 마련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근거기반으로 도박중독 정의, 이해관계자, 영향요인, 폐해, 대응을 모두 포괄하는 온톨로지를 구축하고 논의점을 제시함으로써 실천가와 연구자에게 함의를 제공할 수 있으며, 온톨로지를 활용하여 미래에 더 다양하고 효용이 있는 연구들이 진행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gambling problem has spread rapidly in Korea due to the prevalence of illegal Internet gambling. There is a loud voice of social concern about the problem of youth and young peolple gambling. Gambling is not just about individual mental health but it affects the performance of roles at work or school, and even crimes and furthermore, the negative ripple effect is profound for families and communities. It's also a combination of psychological and sociological factors that interact and because it affects the problem, interaction analysis with various variables is necessary. To this end, this study develops an ontology that can be used to garner and analyze social big data on problem gambling online and feasibility and usefulness were assessed. The Problem gambling ontology was developed in accordance with the 'Ontology Development 101' method of Noy and McGuinness (2001). The ontology was developed in a combination of up-down directions of which classification system was constructed by nomadicization and categorization (top-down) through previous studies and key terms were extracted from news and social media materials and organized into appropriate categories or added appropriate categories (top-down). Besides, expert evaluation and inclusion evaluation were carried out to properly assess the validity and usefulness of the ontology. In the expert assessment, six experts with more than 10 years of experience in the field of problem gambling assessed the structure and expressiveness of ontology, and after modifying and supplementing the ontology, usefulness was evaluated through inclusion assessment. The inclusion assessment in comparison with the results extracted from the 2021 data with the results constructed from the previous year's data evaluate to what extent the key terms and concepts in the new data can be reflected, as well as the rate of appearance of the terms and the level of conformity of the concepts (complete, partial, consistent, or inconsistent with a broader or narrower concept). For ontology development, 426 academic papers, 5,374 news articles, and 61,643 social media data were garnered and through keyword analysis, and five major categories comprising ‘definition of problem gambling, problem gambling Stakeholders, problem gambling Influencing Factors, problem gambling, and response to problem gambling’ as the main category, and 134 sub-categories comparable to the small-medium category were formed and a total of 1,476 keywords were built. Looking at the composition in accordance with the major classification of ontology, first, 'Definition of problem gambling' has 14 subconcepts in three stages of the medium-small-segment classification and gambling type, disease concept, symptoms, and diagnosis were split into divisions. Second, the stakeholders of problem gambling was categorized as service users, service providers, and service-related institutions. Reflecting the perspective of public health, service users were considered from ordinary people who had no gambling experience to the level of problem gambling including family, acquaintances, and service-related people. Third, with respect to 'the harmful effects of problem gambling' referring to Langham et. al. (2015)'s conceptual framework for the harmful effects of problem gambling, it comprised health problems, relationship problems, financial problems, academic job problems, and legal problems. Fourth, regarding Abbott et. al. (2018)'s dangerous gambling conceptual framework for 'the influencing factors of problem gambling', it comprised psychological factors, social factors, and biological factors. Psychological factors comprise personality and temperament, self-awareness, social learning, irrational beliefs, and gambling motivation while social factors comprise accessibility, stigma,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 and biological factors comprised a single factor without subcategorization. Fifth, 'Response to problem gambling' consisted of preventive healing services and policies and institutions. The prevention service consisted of information diffusion, prevention education, community-based services, problem discovery, and requesting based on SAMHSA's prevention strategy in the field of substance abuse. Prevention services are on the basis of SAMHSA's substance abuse prevention strategy and comprise information dissemination, prevention education, community-based services, problem discovery and referral. Healing services were classified into healing methods and healing techniques, and the positive value of recovery was subclassified as 'recovery resources', a term that includes specific practices for recovery, and 'restorative practice'. Besides, 'Policies and Institutions' classified responsible gambling and speculative industry regulation into subcategorie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arise in connection with theoretical and social welfare policies and practices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problem gambling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is the one that developed and assessed an ontology in the problem gambling domain, and can be utilized as an analytical framework to confidently predict the risk signals of gambling problems in social data and to monitor trends regularly. Second, since social big data includes emotions, values, and reactions that individuals voluntarily express, it is possible to gain access to information that cannot be obtained in conventional academic research. In this ontology, Third, ontologies in specialized fields require the participation of many related members to develop, correct, and supplement the process, however, in this study, it was confined to verifying the ontology through six experts. In the future, more experts will need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and validity of current ontology. Despite these limitation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the fact that it attempted to develop an ontology analysis framework for the first time in the problem gambling area and laid the sound foundation for social big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This study builds an ontology that runs the gamut of the definition of problem gambling, stakeholders, influencing factors, harms, and responses based on evidence, and presents discussion points and thereby provides implications for practitioners and researchers and thus is expected that more diverse and effective studies will be conducted in the future utilizing ontology.

      • 초등학생 공동체 의식과 친사회적 행동 증진을 위한 나눔교육 프로그램 효과성

        박신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우리는 내가 아니면 모두가 경쟁 상대가 되는 시대에 살고 있다. 자본주의 체제하에 조금 더 나은 삶을 위해서 우리는 계속해서 주변 사람 혹은 보이지 않는 상대를 대상으로 경쟁하고 있다. 이러한 현실 속에 사람들은 점점 지쳐가고 있으며 더불어 살아가는 것에 대한 중요성이 다시 회복되는 시점에 도래하였다. 진정한 의미의 공동체가 무엇이고 그 속의 개인들의 역할이 무엇인지 알려주어야 하는 시대를 열어가야 할 것이다. 나눔교육은 우리 아이들에게 공동체의 의미와 민주주의 사회에서의 시민으로서의 책임을 알려주는 교육으로, 더불어 살아가는 사회를 위한 노력으로 볼 수 있다. 지금까지 많은 사람들이 필요성을 느낀 만큼 나눔교육이라는 새로운 교육 형태에 대한 반응과 확산은 빨랐다. 그리고 현재 많은 국내의 학교와 비영리기관에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초, 중, 고등학교 나눔교육을 시행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계속해서 확대될 것으로 기대한다. 하지만 우리나라 나눔교육이 짧은 시간 확대된 만큼 여전히 발전되어야 할 부분이 존재한다. 구체적으로, 국내의 나눔교육은 학생들이 실제 생활하고 있는 지역사회에 대한 참여하는 부분이 부족하고, 아동들이 일상생활에 직접적인 모델이 되며 가르침을 주는 부모와 교사에 대한 교육과 연계가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의 나눔교육 프로그램의 발전을 위하여 미국 나눔교육 방법을 참고하여 새로운 방법으로 나눔교육을 진행하고자 한다. 그리고 본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공동체 의식과 친사회적 행동에 효과가 있는지 검증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둔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 째, 나눔교육 프로그램은 아동들의 공동체 의식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 째, 나눔교육 프로그램은 아동들의 친사회성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의 프로그램을 구성하기 위하여 미국 LearningtoGive(LTG)를 방문하고 담당자와 관련 기관(League, generationOn)의 나눔교육 전문가들과 함께 초안을 작성에 필요한 도움을 받았다. 그리고 나눔교육을 시행하게 될 학급의 담임교사와 아름다운재단 나눔교육 전문가들의 조언을 받아 국내 초등학교 수준에 맞게 수정·보완하였다. 국내 나눔교육의 제한점을 보완하고 나눔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기 위하여, 미국 나눔교육 방법인 Student Service and Philanthropy Project (SSPP)를 참고하여 5회기로 구성하였다. 나눔교육 프로그램의 전체적인 과정은 학생들이 속한 공동체의 문제를 발견하고, 해결점을 기획하고 실행하는 단계를 거쳐 최종적으로 평가하고 성찰하는 단계로 구성되었다. 또한 교사와 학부모가 함께 나눔교육의 내용을 연계하여 진행할 수 있도록 교과목 연계와 가정안내문을 각 회기별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프로그램 효과성을 검증을 위하여 서울시 소재 초등학교 9학급 중 프로젝트 학습을 진행하는 2학급을 편의표집 하였다. 그리고 나눔교육으로 프로젝트 학습을 시행하는 학급을 실험집단으로 일반 교과 내용으로 진행하는 비교집단 1학급을 편의표집 하였다. 각 집단별로 전수조사를 통해 총 47명의 연구대상자를 모집하였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효과성 차이 검증을 위하여 총 47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사전과 사후에 각각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나눔교육 프로그램 5회기를 연구자가 직접 진행하였고, 비교집단은 담당 교사에 의해 일반적인 수업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활용하고자 하는 측정도구는 공동체 의식 척도와 친사회적 행동 척도로 먼저, 공동체 의식 적도는 우남희, 이연섭, 정진경, 정병호, 이기범 (2001)의 21세기 한국 사회의 공동체적 정체성 형성을 위한 공동체 교육에서 개발한 것을 조성수(2007)에서 초등학생 수준으로 수정하여 신뢰도가 검증된 척도를 활용하였다. 그리고 친사회적 행동 척도는 Eisenberg(1982)가 개발한 이타성 자기보고식 검사로, 김수연(1995)에 의해 번안되고, 이경은(2007)에서 초등학생의 나눔교육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에서 활용된 것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수집된 자료의 효과성 검증을 위해 공분산 분석(ANCOVA)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전체 공동체 의식 점수의 집단 간 차이를 살펴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지만, 하위요인 중 자율성과 공공의식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이를 통하여 본 프로그램이 공동체 의식 중 자율성과 공공의식에 영향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친사회적 행동은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사전점수를 통제한 사후점수의 집단 간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를 통하여 나눔교육 프로그램이 아동들의 친사회적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하위요인 중 도움주기, 친절하기, 공감하기에서 유의한 차이가 검증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본 프로그램은 초등학생들의 친사회적 행동을 증진시키는데 효과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 활용된 프로그램은 학생들이 직접 자신이 속한 공동체의 문제에 참여하여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실행하는 것으로 나눔과 공동체에 대해 스스로 깨닫고, 실제로 학생들의 의식과 행동에 변화 있다는데 의미가 있다. 그리고 본 내용과 유사한 교과내용과 연계하여 진행하여 수업내용과 함께 프로젝트를 진행하여 유의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앞으로 교과내용과 함께 나눔교육을 진행하는데 필요한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학교에서 배운 내용을 부모에게 전달하고 가정 내에서 부모와 함께 공동체와 나눔에 대해 활동지를 전달했다는 점에서 새로운 시도가 되었을 것이다. 앞으로 가정과 학교 그리고 지역사회에서 좀 더 체계적인 연계를 통한 나눔교육을 진행할 때 사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philanthropy education program on the student's sense of community and prosocial behaviors by analyzing pretest and posttest data for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a philanthropy education program(Experimental group), relative to students who did not participate(Comparison group). The five session program of this study was based on Student Service and Philanthropy Project (SSPP) that was regarded successful model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Under the nonequivalent control group design, the subjects are 24 elementary school students as an experimental group and 23 students as a comparison group. These findings can be concluded as followings. Even though the score of sense of community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increased, the change of scores in experimental group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it in comparison group. However, the prosocial behaviors score in experimental group is significantly increased, indicating significantly differences between group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is philanthropy education program has a significant effect on prosocial behaviors development.

      • 가족 및 학교 사회적 자본이 청소년 온라인·오프라인 비행 변화에 미치는 영향

        전혜숙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599

        Aims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confirm how to change of adolescents' online and offline delinquency and examine the factors contributing this problem based on social capital theory. This research focused on family and school, which is the main life systems of adolescents. For this purpose, the effects of family social capital as individual level variables and school social capital as group level variables on online and offline delinquency were examined, along with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gender and online and offline delinquency according to school social capital. A multilevel analysis was conducted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variables hierarchically and examine their effec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the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of social welfare for prevention and reduction of adolescents' online and offline delinquency are suggested in this paper. First~third year data of the Korea Youth Panel Study(KYPS) were used in this study, and four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surveyed. The study sample included 2,064 students and 84 schools. The SPSS program was used for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χ2-test, and the HLM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multilevel growth model(three-level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Overall aspect of offline and online delinquency turned out to be different. No distinctively clear difference was found for the influencing factors of family and school social capital. Details follow regarding the comparison of subcategorized influencing factors. First, results of null model analysis confirmed that the average initial value and change rate for both online and offline delinquenc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case of offline delinquency, there was a decreasing pattern, whereas online delinquency showed an increasing pattern. Thus, we concluded that online and offline delinquency are different aspect from each other. Second, looking into the results of conditional model analysis, with respect to offline delinquency, individual level variables turned out to be more prominent in the intial value and change rate of male students' offline delinquency compared to female students'. Additionally, as for family social capital, as parents' attachment was higher, the initial value of offline delinquency became lower. As for school social capital variables, those schools placing less pressure on academic achievement showed decreases in the initial value of offline delinquency. For schools in which students were strictly abiding by the rules, decreases in the initial value of offline delinquency were noted. Additionally, there was a gradual decrease in the change rate, representing positive effects. IN case of schools with many close friends, the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offline delinquency change rate; as time passed, having many close friends at school compared to not having them resulted in a gradual decrease in offline delinquency. Next, regarding online delinquency, the following findings are presented. As for individual level variables, the initial value for online delinquency was higher for male students than for female students; with the passing of time, online delinquency rapidly increased. Besides, going over the effect of family social capital, brother and sister relationship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initial value of online delinquency. It was confirmed that the stronger sibling relationship was linked to a lower rate of online delinquency. As for the school social capital variables, those schools identified as applying less academic pressure had decreases in the online delinquency initial value. Third, considering the research finding that gender commonly affected the initial value and the change rate for both online delinquency and offline delinquency, the interaction effect of school level variables on the effects of gender was examined. In case of offline delinquency, interaction between gender and attachment to teachers, and between gender and school rules, appeare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he change rate. It was verified that those schools in which students exhibited greater attachment to their teachers had larger decreases in male students' offline delinquency change rate. In addition, those schools for which rules were better kept showed a gradual decrease in male students' offline delinquency. This finding was attributed to the floor effect. As for online delinquency, interaction between gender and pressure to achieve academically appeare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he initial value of online delinquency. In short, for male students in those schools placing less pressure on academic achievement, the initial value of online delinquency decreased. Based on the above study results, a discussion follows and implications are suggested. First, schools must make active efforts to solve online and offline delinquency problems. In case of offline delinquency, it is necessary to look into pressure regarding academic achievement in schools, as well as school rules and ways to approach to close friends. Schools should make efforts to reduce pressure placed on students to achieve academically and foster among students the desire to abide by school rules and form healthy peer relationship. Accordingly, schools need to provide relevant education, consultations, and programs. Online delinquency, unlike offline delinquency, appeared to be affected only by pressure regarding academic achievement. Thus, the focus should be on diminishing academic pressure in schools through appropriate action plans. It is important to provide education on cyber ethics and the prevention of Internet addiction, as well as alternative activities/programs to relieve pressure about academic achievement and stress. Second, intervention services are required to improve family relationships and foster a positive child care environment. Offline delinquency can be considered problematic behavior that involves families, especially parents. To prevent it, effective parenting, improved communication and enhanced relationships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and an atmosphere in which family members respect each other's rights are necessary. Online delinquency, unlike offline delinquency, appears to be affected by the brother and sister relationship.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sibling support program, education abou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thics, alternative leisure activities, and mentoring activities to reduce online delinquency through the support and cooperation of siblings. Third, different approaches are needed to prevent and reduce online and offline delinquency in terms of gender. To decrease male students' offline delinquency, it is important to encourage attachments to teachers at schools. Thus, it is necessary to extend consultation times with teachers sufficiently and conduct cases management on students by networking with related community institutes and others. Regarding the initial value of online delinquency among male students, it is important for schools to place less pressure on students regarding academic achievement. In this case, prevention and early intervention efforts such as providing education about Internet addiction and Internet ethics, and programs/services for coping with academic pressure and managing stress are needed. Fourth, prevention and early detection of adolescents' online and offline delinquency are important, and continuous case management for high-risk delinquent adolescents is necessary. It is also necessary to perform factual surveys using standardized measures, provide effective preventive education with professionalism, and offer professional integrated case management services through partnerships with local professional organizations. Finally, it is important to expand the expert manpower and institutes in the service distribution system and cooperate with related departments to solve the online and offline delinquency problem. Close inter-organizational cooperation and networking is required, and the establishment and systematization of supervisory departments such as the joint task force, are essential for mid and long term progress. For the effectiveness of these services,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quantity of service distribution systems, enhance related staffs' specialties, increase the number of staff members, and form cooperative relationships. 본 연구는 청소년 온라인 및 오프라인 비행의 변화 양상을 확인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사회적 자본 이론에 기반하여 살펴보았다. 이 때 청소년의 주요 생활체계인 가족 및 학교에 초점을 맞추었고, 이를 위해 개인수준 변인으로 가족 사회적 자본과 집단수준 변인으로 학교 사회적 자본이 온라인․오프라인 비행에 각각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다. 이와 더불어 성별과 온라인․오프라인 비행의 관계에 있어 학교 사회적 자본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이 때, 다수준분석을 통해 위계적 구조를 가진 변인들의 특성을 반영하여 이들의 영향을 면밀히 살펴보았으며,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 온라인․오프라인 비행 예방 및 감소를 위한 사회복지 실천적․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한국청소년패널데이터 중 초 4패널 1~3차 데이터를 활용하였고, 총 2064명, 84개 학교가 연구 대상이었다. 연구 대상의 일반적 특성 및 주요 변수 특성 파악을 위해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t검정, 카이제곱검정 등을 실시하였고, 3수준 다층성장모델 분석을 위해 HLM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체적으로 오프라인 비행과 온라인 비행의 변화 양상은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그러나 가족 및 학교 사회적 자본의 영향요인에 있어 두 비행 간의 구별되는 뚜렷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세부 영향요인의 비교를 중심으로 자세한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초모형 분석결과, 온라인․오프라인 비행 모두 평균 초기치와 변화율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오프라인 비행의 경우 점차 감소하는 형태를 보였고, 온라인 비행은 점차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고 있어, 온라인 비행과 오프라인 비행이 서로 다른 변화양상을 보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조건모형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먼저 오프라인 비행과 관련하여 개인수준 변수에서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오프라인 비행 초기치 및 변화율에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족 사회적 자본으로 부모애착이 높을수록 오프라인 비행 초기치는 낮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학교 사회적 자본 변수에서는 학업압력이 낮은 학교일수록 오프라인 비행 초기치가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학교규범을 잘 준수하는 학교일수록 오프라인 비행 초기치는 낮아졌고 변화율에는 정적 영향을 미쳐 완만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더불어 친한 친구의 경우 오프라인 비행 변화율에만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시간이 지날수록 학교에 친한 친구가 많으면 그렇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오프라인 비행이 완만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온라인 비행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개인수준의 변수로 남학생은 여학생보다 온라인 비행 초기치가 높았으며 시간이 흐름에 따라 온라인 비행이 더 빠르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족 사회적 자본의 영향을 살펴보면, 형제자매관계의 경우 온라인 비행 초기치에만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고, 형제자매관계가 좋을수록 온라인 비행 수준이 낮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학교 사회적 자본 변수로는 학업압력이 낮은 학교일수록 온라인 비행 초기치가 감소하였으며 변화율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온라인 비행과 오프라인 비행 초기치 및 변화율 모두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친 요인이 성별이라는 연구결과를 고려하여 성별의 영향에 대한 학교 수준 변수의 상호작용 효과를 살펴보았다. 오프라인 비행의 경우, 성별과 교사애착, 성별과 학교규범의 상호작용이 변화율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애착이 높은 학교일수록 남학생의 오프라인 비행 변화율을 더욱 감소시키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또한 학교규범을 잘 준수하는 학교일수록 남학생의 오프라인 비행이 완만하게 감소하였고 이는 바닥효과가 반영된 것으로 간주되었다. 온라인 비행의 경우, 성별과 학업압력의 상호작용이 온라인 비행 초기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업압력이 낮은 학교일수록 남학생의 온라인 비행 초기치를 낮추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실천적․정책적 함의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학교 차원에서 온라인 및 오프라인 비행 문제 해결을 위한 적극적 노력이 필요하다. 오프라인 비행의 경우, 학교에서의 학업압력, 학교규범, 친한 친구에 대한 접근방안을 살펴보아야하겠다. 따라서 학교는 학업압력 감소, 학교규범 준수, 올바른 또래관계 형성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학교에서의 다양한 관련 교육, 상담 및 프로그램 제공이 필요하겠다. 온라인 비행의 경우 오프라인 비행과 달리 학업압력 즉, 학습과 관련된 요인에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나 학교에서의 학업압력에 초점을 맞춰 실천방안을 모색해야하겠다. 이를 위해 사이버윤리의식 교육 및 인터넷 중독 예방교육과 더불어 학업에 대한 압력 및 스트레스 해소를 도모할 수 있는 다양한 대안활동 제공, 스트레스 상황 극복을 위한 프로그램 제공 등을 실시하는 것이 중요하겠다. 둘째, 가족 차원의 관계개선 및 긍정적 양육환경을 위한 개입 서비스가 필요하다. 오프라인 비행은 가족관계 중 특히 부모의 영향을 많이 받는 문제행동이라 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가정에서 올바른 부모역할, 부모자녀 의사소통 개선, 부모자녀 관계 증진, 권리존중적 가정환경 조성 등이 필요하겠다. 온라인 비행은 오프라인 비행과 달리 형제자매 관계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형제자매의 지지와 협력을 통한 온라인 비행 감소를 도모할 수 있도록 형제자매 지원 프로그램, 정보통신윤리교육 및 여가활동, 멘토링 활동 등의 제공이 필요하겠다. 셋째, 성별을 고려한 온라인 및 오프라인 비행 예방과 감소를 위한 차별적 접근이 필요하다. 남학생의 오프라인 비행을 더욱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학교 내 교사와의 애착을 증진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교사와의 충분한 상담시간 확충, 지역사회 전문기관의 네트워킹을 통한 학생 사례관리 등이 필요하겠다. 또한 온라인 비행과 관련하여, 남학생의 온라인 비행 초기치 감소를 위해 학교 내 학업압력을 낮추는 것이 중요하다. 이 때 남학생을 대상으로 인터넷 중독 예방 및 인터넷 윤리교육 등과 더불어 학업압력 대처기술 및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 제공 등 예방 및 조기개입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넷째, 청소년의 온라인․오프라인 비행과 관련하여 공통적으로 이에 대한 예방, 조기 발견이 중요하며 고위험 비행 청소년에 대한 지속적 사례관리가 필요하다. 표준화된 척도에 의한 실태 조사, 실효성과 전문성 있는 예방교육, 지역사회 전문기관과의 파트너쉽을 통한 전문적 통합 사례관리 서비스 제공 등이 필요하겠다. 마지막으로 온라인․오프라인 비행 문제 해결을 위한 해당 부서 간 협력, 서비스 전달체계와 관련한 전문 인력 및 기관의 확대가 필요하다. 부서 간 긴밀한 협조 및 네트워킹이 필요하며 합동 대책반과 같은 주관 부서의 구축 및 체계화는 중장기 발전을 위한 필수 사안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서비스의 실효성을 위해 전달체계와 관련한 양적 확대 및 담당 인력의 전문성 강화, 인력 증원, 상호 협력적 관계 형성 등이 중요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