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장애인의 실업 후 생활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실업극복국민운동본부 겨울나기 프로그램 참여자를 중심으로

        박숙경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50703

        실업은 개인과 그 가족에게 경제적 고통을 야기할 뿐만 아니라 정신적·신체적 건강과 가족관계 및 사회관계 등 생활 전반에 걸쳐 변화를 가져다 준다. 즉 실업으로 인해 재조직되는 생활로부터의 스트레스에 의해 만성적 가족갈등, 폭력, 별거 등 가족해체, 무기력감, 약물남용, 스트레스와 관련된 각종 질병 등의 발생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이다. 이 점에 있어 실업장애인의 경우 스트레스와 관련된 위기상황이 보다 심각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이에 대한 국내 연구는 미비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능력에 따라 생활의 변화도 즉 위기발생가능성이 결정된다고 보는 위기이론을 이론적 배경으로 하여 장애인의 실업 후 건강상태와 심리적 스트레스 그리고 가족관계 변화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탐색적 수준에서 규명해보고자 했다. 이를 통해 실업장애인에 대한 사회복지개입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스트레스로 인한 위기상황을 예방하는데 기여하고자 했다. 이상의 목적에 따라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질문을 갖는다. 〔연구질문 1〕 실업장애인의 일반적인 특징은 어떠한가? 그리고 그들의 실업 후 건강상태, 심리적 스트레스, 가족관계 변화의 수준은 어떠한가? 〔연구질문 2〕 다른 변수의 영향력을 통제했을 때 장애인의 실업 후 생활 변화 즉 건강상태, 심리적 스트레스, 가족관계 변화 수준의 차이를 예측하는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수들은 어떤 것인가? 이를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는 '99년 사단법인 장애우권익문제연구소가 실업극복국민운동본부에서 지원한 겨울나기 프로그램 신청자 67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실업장애인 실태조사』자료를 2차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연구질문 1〕과 관련하여 표집된 실업장애인의 실태 및 특징들을 분석하기 위해 빈도, 평균 및 중간값 등의 기술적 자료 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그리고 〔연구질문 2〕와 관련하여 3개의 종속변수에 대한 독립변수들의 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logistic regression)을 활용하였으며 분석은 SPSSWIN 8.0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과 실업장애인의 생활의 변화수준 본 연구의 대상인 실업장애인 674명의 주요특성은 남성 516명, 여성 159명,평균연령 45.5세, 가구주가 448명(67.1%)으로 남성가구주가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으며 전반적으로 교육수준, 경제적인 상황, 실업 전 직업관련 상황이 매우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혼자 사는 실업장애인의 비율이 매우 높으며 이혼·사별·별거 상태도 응답자의 18%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본인이외의 장애인 가구원이 있는 경우도 45.7%로 가족자원에 있어서도 매우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건강과 고령에 의한 실업이 30.5%로 건강상태가 좋지 못하며 40%이상이 일거리가 없거나 해고 등의 비자발적 실업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인의 실업 후 신체적, 심리적 건강상태와 가족관계 변화에 대한 기술적 분석 결과 실업 후 건강의 변화를 경험한 자들은 전체의 58.4%, 실업 후 심리적 스트레스가 증가한 경우는 85.8%로 나타났으며, 실업 후 부부 및 가족관계 악화를 경험한 경우는 44.4%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요약하면 조사대상이 인지하는 실업 후 생활의 변화도는 심리적 스트레스가 가장 크고 다음으로 건강상태의 악화, 가족관계의 악화인 것으로 나타났다. 2. 연구대상의 건강상태와 심리적 스트레스 및 가족관계 변화에 영향을 주는 변수에 대한 logistic 회귀분석 결과 실업 후 건강상태 악화여부에 대해 통계적으로 예측력을 갖는 변수는 교육수준, 실직기간, 월평균수입, 실직이유에 대한 장애인식 이상 5개의 변수로 나타났다. 이중 교육수준의 경우 전문대 이상의 실업장애인이 중고등졸업의 실업장애인에 비해 건강이 악화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직기간이 길어질수록, 월평균수입이 높을수록, 장애가 해고 등의 이유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건강이 악화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심리적 스트레스 증가여부에 대해 통계적으로 예측력을 갖는 변수는 월평균수입과 실직전 근무기간으로 나타났다. 즉 월평균수입이 높을수록, 실직전 근무기간이 줄어들수록 심리적 스트레스가 증가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부 또는 가족관계 악화여부에 대해 통계적으로 예측력을 갖는 변수는 성별, 결혼상태, 실직이유에 대한 장애인식, 실직기간, 사업장규모 이상 5개 변수로 나타났다. 성별에서는 남자가 여성에 비해 가족관계가 악화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결혼상태에 있어서는 미혼이 이혼·사별·별거에 비해 악화할 가능성이 낮아지는 것으로, 장애가 해고 등의 이유가 되었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가족관계가 악화할 가능성이 높아지며, 실직기간이 길수록 가족관계가 악화할 가능성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5-30인 규모의 사업장에서 일한 경우에 비해 100인 이상의 사업장에서 일한 경우 가족관계 악화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갖는다. 첫째, 조사대상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분석결과 실업장애인의 전반적인 생활실태가 매우 열악하며 과반수 이상이 실업 후 건강의 악화, 심리적 스트레스의 증가(85%이상), 가족관계 악화를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80%이상이 퇴직금을 받지 못했으며, 고용보험에 가입되어 있지 않아 실업정책의 사각지대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실업장애인에 대한 체계화되고 통합된 사회복지적 개입이 필요하며 동시에 스스로의 대처능력을 높이기 위한 경제적 지원도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실업 후 생활 변화에 대한 분석 결과 심리적 스트레스의 증가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고려해 볼 때 심리적 스트레스에 대처할 수 있는 사회복지서비스에 대한 욕구가 높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심리적 스트레스에 대한 사회복지서비스 제공률이 매우 저조한 상황이며, 응답자의 30% 이상이 가족이 없이 혼자 사는 것으로 나타나 이웃 등 비공식적 지원체계를 이용하기도 어려운 상황이다. 따라서 실업장애인의 스트레스에 대한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 심리적 스트레스에 대처할 수 있는 상담서비스와 자조집단서비스 등을 시급히 강화할 필요가 있다. 셋째, 실업기간에 대한 기술적 분석 결과 응답자의 48.3%가 2년 이내의 IMF형 실업자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외환위기 이후 경기침체가 장기화하고 있는 점을 생각해 볼 때 이들이 장기실업자로 남을 가능성이 높다. 본 연구결과 실업이 장기화 할 경우 건강상의 위기 발생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선행연구에서도 지지되고 있다. 또한 기술적 분석결과 '건강상의 이유'에 의한 실업이 30.5%에 이르고 있어 실업장애인의 건강상의 문제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사회복지적 개입 역시 매우 필요한 상황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실업기간이 장기화할수록 가족관계의 악화가능성은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고려해서 실업장애인 개개인의 특성과 욕구에 따른 서비스가 제공되어져야 할 것이다. 넷째,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전반적으로 장애인의 실업 후 건강상태와 가족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인구·사회적 특성 또는 장애특성 보다 실업전 직업특성과 더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 실업전 직업특성이 실업장애인의 건강상태와 심리적 스트레스, 가족관계의 변화에 대한 영향력이 크다는 것이다. 따라서 실업장애인에 대한 개입시 대상자의 실업전 직업상황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장애인의 실업 후 생활의 변화에 있어 '장애가 해고 등의 이유가 되었다고 생각하는지'가 건강상태와 가족관계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장애가 실업의 이유가 되었다고 인식하는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건강상태와 가족관계가 악화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실업자와 실업가구가 '사건' 즉 '실업'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할 경우 스트레스에의 대처능력이 높아진다는 위기이론과 선행연구들의 결과를 지지하고 있다. 그러나 장애가 실업의 이유가 되었는지 즉 실업이유에 대한 장애인식의 영향력에 대해서는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결과에 대한 확인의 차원을 넘어서서 사회복지실천현장에 다음과 같은 중요한 함의를 갖는다고 생각된다. 즉 노동현장에서의 장애에 대한 차별과 이에 대한 실업장애인 당사자의 인식이 실업 후 생활의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따라서 실업장애인의 위기상황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사회 전반에 있는 장애인에 대한 차별을 제거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이(예컨대 현재 논의중인 '차별금지법'제정 등) 필요하다는 것이다. 또한 사회복지 실천 개입전략을 세우는데 있어서 실업장애인의 스트레스 대처능력을 높이기 위해 장애인 당사자의 긍정적인 인식을 유도하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여섯째, 본 연구에서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건강이 악화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월평균수입이 높을수록 건강악화와 심리적 스트레스 증가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역시 실업장애인의 스트레스에 대한 정책을 수립하는데 있어 중요한 시사점을 갖는다. 즉 일반적으로 교육수준이 높고 월평균수입이 높은 경우 상대적으로 저학력자와 저임금근로자에 비해 사회복지혜택을 받기가 어려운데 고학력, 고임금 실업장애인일수록 오히려 건강상태와 심리적 스트레스의 수준이 높으므로, 이들의 욕구에 맞는 사회복지서비스가 제공되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상의 결과에 대해서는 본 연구가 임의 표집 방식을 택하고 있어 조사대상자 선정에 있어서 오류가 있을 수 있는 점을 고려해 볼 때 보다 심도 깊은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일곱째, 연구 결과 여성실업장애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남성실업장애인이, 연령이 높을수록 가족관계가 악화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실업장애인의 가족위기에 대한 대처전략을 세우는데 있어서는 남성실업장애인 가구와 연령이 낮은 실업장애인 가구에 우선적으로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여덟째, 선행 연구 결과 장애가족원을 포함하는 실업가구의 복지욕구가 일반실업가구에 비해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이선우, 여유진, 1999).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 본인이외 다른 장애가족원의 유무가 실업장애인의 생활 변화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가를 분석한 결과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본 연구의 경우 종속변수는 건강상태 및 가족관계의 변화 수준에 대한 것으로 복지욕구에 대한 장애가족원의 수의 영향력에 대해서는 후속연구에서 검증해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위기이론과 선행연구 결과 비자발적 실업의 경우 자발적 실업에 비해 심리적 스트레스가 심화하는 것으로 나타난 것과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 실업장애인의 경우 실업의 자발성이 심리적 스트레스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비자발적 실업의 경우 자발적 실업에 비해 심리적 스트레스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이는 본 연구가 임의 표집 방식에 의해 대상자 선정과정에서 오류가 있을 수 있는 점을 고려하여 후속연구에서 보다 조사대상을 확대하여 다시 한번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This article aims at finding out root causes which affect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of unemployed disabled persons and the degree of changes of their family relationship. This study starts with the following two questions: (Q1) What ar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unemployed disabled persons? And how are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of them and the situation of their family relationship? (Q2) What are the significant variables which can estimate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of unemployed disabled persons and the changes of their family relationship if the other variables are controlled? To find out the answers, this study analysed in two ways the data from fact-finding survey about the unemployed persons, which was made from questionnaire of 674 persons having taken part in 'surviving from winter program' of Research Institute of the Differently Abled Rights in Korea in 1999. Regarding Q1, descriptive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actual conditions and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of investigation. And with Q2,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find out the correlation between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This study used SPSS WIN 8.0 as an analysis tool. Outlines of analysis as follow: First, It shows a good prediction that whether or not if the health conditions get worse after unemployment regarding level of education, duration of unemployed, monthly income and the reason for the unemployment is disabled in their opinion. Regarding level of education circumstance, there are higher possibilities to get worse their health for the higher education than lower education. Also, unemployment with higher monthly income, longer duration of unemployed and disabled is the reasons for their unemployment in their opinion that are likely to get worse their health than others. Second, the analysis predictions regarding increase of psychological stress are depend on monthly income and duration of employment before their unemployment. Namely, there are more possibility to increase their psychological stress even higher with higher monthly income and decrease of their duration of employment. Third, the analysis predictions regarding whether or not if the married couple's relationship or family relationship get worse, which are depend on sex, marriage condition, disabled recognition for the reasons of unemployment, duration of unemployment and size of the employer that are 5 variables. The males are likely get worse than female for their family relationship, unmarried persons are less likely get worse than divorced or separated, in their opinion that disabled is the reason for their unemployment are likely to get worse than others and longer duration of their unemployment are less likely get worse than others. Also, a person employed with more than 100 employees are likely to get worse their family relationship than person with between 5 to 30 employees.

      • 사회복지공무원의 직무성과에 관한 연구 : 읍·면·동장의 평가를 중심으로

        유정희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50703

        직장동료나 상관이 사회복지사인 일반 사회복지 조직과는 달리 사회복지를 전공하지 않고 경험하지 않은 일반 행정직 공무원 조직내에서 근무하는 사회복지공무원에게 직장동료와 상관과의 관계는 직무만족과 사회복지공무원의 전문적인 업무수행에 긍정적 또는 부정적으로 영향을 끼친다. 그러나 이제까지의 연구들은 직장동료와 상관과의 관계가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과 전문적인 업무수행에 영향을 끼친다는 것만을 언급하고 동료나 상관이 같이 근무하는 사회복지공무원에 대해 어떻게 평가하고 있는지 그리고 원활하고 바람직한 관계형성을 위한 방향제시에 대한 연구는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동료와 상관에 의한 사회복지공무원의 직무성과 평가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특히 관료 조직의 특성상 동료와의 관계보다 상관과의 관계, 즉 대다수의 사회복지공무원이 근무하고 있는 일선 읍·면·동장과의 관계가 직무만족과 업무수행에 더 크게 영향을 끼친다는 판단하에 읍·면·동장이 평가하는 사회복지공무원의 직무성과를 중점적으로 파악하고자 하며 이와 함께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능력, 직무태도, 가치관으로 설정하여 이 요인들과 직무성과와의 관계에 대해서도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국 3,510개의 읍·면·동사무소에서 500개를 무작위로 추출·선정하여 설문지를 송부하였고 253부가 회수되었으나 행정구역이 표시되지 않거나 응답이 불성실한 설문지 10부를 제외하고 243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응답자들의 소속기관은 읍사무소 20명(8.2%), 면사무소 93명(38.3%), 동사무소가 130명(53.5%)이며 직급은 6급이 4명(1.6%), 5급이 239명(98.4%)이었다. 성별은 남자가 238명(97.9%), 여자가 5명(2.1%)이며 연령은 30대가 1명(0.4%), 40대가 52명(21.4%), 50대가 190명(78.2%)으로 우리나라 읍·면·동장의 대부분이 30년 이상 장기 재직한 50대임을 알 수 있었다. 읍·면·동장의 학력에 있어서는 4년제 대학을 졸업했다고 응답한 읍·면·동장이 104명(42.8%)으로 가장 높았으며, 공무원으로 재직한 기간을 묻는 질문에서는 137명(56.4%)이 30년에서 40년 미만 동안 근무하여 전체 읍·면·동장의 과반수 이상이 30년 이상 장기 재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의 읍·면·동사무소에 근무한 기간을 살펴보면 101명(41.6%)이 1년 미만, 126명(51.94%)이 1년 이상 3년 미만으로 응답하였고 현재의 사회복지공무원과 함께 근무한 기간을 묻는 질문에서는 116명(47.78%)이 1년 미만이라고 응답하였다. 둘째, 읍·면·동장의 자유와 평등에 관한 의식은 전체 읍·면·동장의 139명(57.2%)이 “자유를 우선적으로 고려하되 평등도 고려해야 한다??고 응답했으며 성장과 분배에 대한 의식을 묻는 항목에서는 86명(35.4%)이 경제성장보다 분배문제를 우선 고려하는 것에 반대를 하였고 80명은(32.9%) ??분배문제를 우선시해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빈곤원인에 대한 의식을 살펴보면 전체 읍?면?동장의 127명(52.3%)이 ??개인적 이유가 다소 크지만 사회제도적 이유도 어느정도 있다??는 응답을 하였고 54명(22.2%)은 개인의 동기부족, 나태, 무절제 등의 개인적 이유라고 응답하였다. 셋째, 직무성과 전체평균은 4.11점으로 상당히 긍정적으로 평가되었으며 직무성과의 5가지 하위변수 중 선정·조사 업무와, 급여제공 업무가 4.28점으로 제일 높게 평가되었으며 사회복지서비스 제공 업무가 가장 낮은 점수인 3.90점으로 나타났다. 또한 능력 전체 평균은 4.24점, 직무태도 전체 평균은 4.04점, 가치관 전체 평균은 4.21점으로 상당히 긍정적으로 평가되었다. 넷째, 읍·면·동장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즉 소속기관, 연령, 학력, 재직기간, 현 근무지 재직기간은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회복지공무원과 함께 근무한 기간은 1년 미만이 4.20점, 1년 이상이 4.02점으로 t값 2.455(P=0.015)로 유의수준 0.05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읍·면·동장의 자유와 평등에 관한 의식, 성장과 분배에 대한 의견, 빈곤원인에 대한 의견에 따른 직무성과 평가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직무성과와 능력1(전문지식·기술의 보유 및 발휘)의 상관계수는 0.744, 직무성과와 태도4(업무의 배분 활동)의 상관계수는 0.709, 직무성과와 가치관1(사회복지전문가로서의 가치관)의 상관계수는 0.262, 가치관2(전문직업인으로서의 윤리강령 충실도)와의 상관계수는 0.607로 나타났다. 또한 직무성과와 사회복지 의식1(자유와 평등), 의식3(평등 의식)은 정의 상관관계를 갖고 있으며 사회복지 의식2(성장과 분배), 의식4(빈곤 원인)는 부적 상관관계를 갖고 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일곱째,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는 능력(β=0.310), 직무태도(β=0.546)이며 설명력은 71.3%로 p< 0.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다. 반면에 사회복지공무원의 가치관과 읍·면·동장의 가치차원의 사회복지 의식은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읍·면·동장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 사회복지공무원과 함께 근무한 기간도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능력, 직무태도, 가치관, 읍·면·동장의 가치차원의 사회복지 의식, 함께 근무한 기간 변수들의 하위요인들 중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는 능력 요인의 전문지식·기술의 보유 및 발휘(β=0.261), 인간관계 능력(β=0.146), 직무태도 중 상담시의 적극적 태도(β=0.116), 업무의 배분활동(β=0.211), 능력개발 노력(β=0.130), 가치차원의 사회복지 의식 중 빈곤원인에 대한 의견(β=-0.075)으로 나타났으며 본 모형의 설명력은 72%이며 p< 0.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다. 이에 본 연구의 함의는 첫째, 사회복지공무원의 직무성과 중 지역사회 자원에 대한 정보제공이나 후원자를 적극적으로 개발하여 연계·지원하는 사회복지서비스 제공 업무가 가장 낮은 점수를 받았기 때문에 이를 위한 사회복지공무원의 개인적 노력이 절실히 필요하다. 둘째, 사회복지공무원의 전문지식·기술 능력을 향상시키는 보수교육이 직무의 변화에 맞게 정기적으로 제공되어야 하며 전문적 실천능력을 갖춘 사회복지 직렬의 중간 관리자가 많이 확대되어 일선 담당자의 슈퍼바이저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즉, 슈퍼바이저에게 리더십 및 인간관계, 의사소통 기술 훈련을 비롯, 예산 및 기획 등의 교육을 시켜 행정 전반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 다양한 사례별 대처능력을 향상시켜 사회복지공무원들에게 바람직한 모델이 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사회복지공무원이 각종 워크샵이나 학회, 세미나 등에 연 몇 회 이상 참석할 경우 이를 교육점수에 반영하도록 하거나 사회복지 업무와 관련된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도록 보조금을 지원하는 방법 등의 제도적인 뒷받침이 필요하다. 넷째, 전문가로서의 역할 수행 및 정체성 확립을 위한 사회복지공무원 각자의 노력이 필요하며 정부차원에서도 사회복지공무원의 전문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보다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교육 및 훈련방법 등이 연구되어야 한다. 즉, 사회복지공무원의 전문 실천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현행 교육·훈련 과정의 전면적인 검토를 위한 진지한 논의가 필요하며 사회복지공무원의 의견이 반영된 교육·훈련방법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다섯째, 다양한 욕구를 가진 대상자에게 그에 적합한 질 높은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사회복지공무원의 인력확충 방안이 제도적으로 마련되어야 하며 사회복지공무원의 배치기준을 현재 국민기초수급자 가구수에서 노인, 장애인, 모·부자 가정, 보육료 등 기타 복지서비스대상자를 포함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여섯째, 지자체 간부 공무원들의 의식은 각 지자체의 사회복지 정책이나 방향을 결정하는데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사회복지에 대한 기본 개념과 가치, 윤리에 대한 교육과정을 5급 지도자 과정 중에 포함할 필요성이 있다. 일곱째, 사회복지공무원의 직무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사회복지공무원 스스로가 책임감을 갖고 좀 더 적극적으로 직무에 임해야 하며 그러한 직무 분위기를 제공해주기 위한 방법들이 강구되어야 한다. 별도의 상담실 마련이나 해외 연수기회 제공, 타 시·군·구 사회복지공무원들과의 정기적인 업무 연찬회 등이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나 현 전달체계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개선하기 위해서는 현재 시범 실시되고 있는 사회복지사무소가 전국적으로 확대·설치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realized the need of job performance evaluation of public social workers as a peer and a senior officer. More so, the relationship with a senior is treated rather than a peer. The relationship with leaders of Eup, Myeon, and Dong, where most of public social workers work, might have on influence on work satisfaction and operation. According to this fact, the study centered their work on a job performance of public social workers, which was judged by a senior. The research set up a standard of job performance concerning ability, the attitude of work, and the officers' value that have influence on judgment, as well that might find a relation between those facts and a job performance. To achieve the goal of the research, the researcher randomly sent 500 questionaires to the whole country, 3,510 and received 253 papers. And 243 papers were finally used except 10, which had insincere responses.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October 4th to October 30th in 2004. In short, the results were: First of all, in a job performance of social workers, the average was 4.11, the standard of ability was 4.24, the attitude of work was 4.04, and officers' value was 4.21. The result was very positive. Second, there was no statistic difference from a job performance which was related to demography. But the working period with the public social workers statistically showed. Also there was no statistic difference from a job evaluation which was related to the social welfare consciousness of Eup, Myeon, and Dong. Third, when total job performance was resulted in a dependent variable, the explanation rates of regression analysis, an abilty, attitude of work, officer's value, consciousness of social welfare, working period with the public social workers and analysis was 72%, that was statistically meaningful on 0.001. In a variable, which influenced a total result of work, showed by owned special knowledge and skill from ability(β=0.261), ability of human relationship(β=0.146), positive attitude at the time of consultation from working attitude(β=0.116), distribution of duty(β=0.211), effort of development of ability(β=0.130), the opinion of the reason of indigence from a consciousness of social welfare(β=-0.075). The meanings of this study are belows: First, public social workers must put forth effort to offer a social welfare collecting supporters and information about local property. Second, that people recognize themselves as specialists and need to reinforce deficiency in man power through self-support or social welfare. Further, the society needs a supervisor in the midst there. Third, to improve their specialists, serious discussion is required for full-scale investigation about the current education and procedure. The education and method that is resulted by the opinion of public social workers must be improved. Forth, ability is the most important aspect in accomplishing their job. For this reason, public social workers must make increased efforts to develop themselves.

      • 인사관리공정성이 사회복지사의 직무모티베이션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유지영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50703

        사회복지조직의 효율적인 인적자원관리는 사회복지의 질적 성과를 가져올 수 있는 핵심적인 요소이지만 이와 관련된 연구는 매우 부족하다. 이러한 문제제기를 통해서 연구모형을 설계하였고 문헌연구와 함께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서울시에 소재하는 지역사회복지관, 노인복지관에서 근무하는 중간관리직 사회복지사 252명을 대상으로 사회복지조직내의 조직공정성이 조직성과변수인 직무모티베이션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 이와 더불어 어느 조직보다 사회복지조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인식되는 신뢰를 동료신뢰와 상사신뢰의 두 차원으로 구분하여 조직공정성과 조직성과의 관계에서 조절변수로 작용하는지 검증하였다. 측정도구로는 조직공정성(분배공정성, 절차공정성, 상호작용공정성)척도, 직무모티베이션(Job Motivation)척도, 조직몰입(정서적, 유지적, 규범적 몰입)척도, 신뢰(상사신뢰, 동료신뢰)의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을 비롯하여 교차분석, ANOVA, T-Test, 상관관계와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간관리직 사회복지사들의 조직공정성 수준을 살펴보면 분배공정성과 절차공정성보다 상호작용공정성의 인식의 정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분배공정성에 대한 인식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둘째, 조직성과변수의 수준에 있어서 우선 직무모티베이션의 경우는 평균보다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조직몰입의 경우에서는 정서적 몰입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이에 비해 유지적, 규범적 몰입이 낮게 나타났다. 셋째, 중간관리직 사회복지사들의 신뢰의 수준을 살펴보면 상사신뢰가 동료신뢰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상사신뢰와 동료신뢰는 직무모티베이션에 분배공정성과 상호작용효과를 통해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정서적 몰입에 주효과와 함께 상호작용효과를 통해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조사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조직공정성의 차이를 볼 때 조직공정성 전체에서는 연령, 직위, 급여수준과 인사, 보상시스템유무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었고, 절차공정성에서는 성별이, 상호작용공정성에서는 현재근무기간이 유의하였고, 분배공정성은 성별, 현재근무기간과 직원수를 제외한 많은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주었다. 다섯째, 중간관리직 사회복지사들의 특성에 따른 직무모티베이션의 차이를 보면 직위와 인사, 보상시스템의 유무만이 유의하게 나타나 조직공정성의 결과와는 대조적인 차이를 보여 주었다. 여섯째, 조사대상자의 특성을 통해 조직몰입에 대한 하위변수들의 차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정서적 몰입은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연령, 결혼여부, 직위, 학력, 근무기간, 급여수준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고, 유지적 몰입에서는 연령과 결혼여부, 직위, 현재근무기간, 급여수준에서, 규범적 몰입에서는 성별과 연령, 결혼여부, 직위, 학력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일곱째, 복지관 유형에 따른 조직몰입과 직무모티베이션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지역사회복지관과 노인복지관으로 분류한 복지관 유형별 차이는 발견할 수 없었다. 여덟째, 조직공정성이 직무모티베이션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조직공정성은 분배공정성, 절차공정성을 제외한 상호작용공정성만이 직무모티베이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직몰입에서는 조직몰입전체와 유지적 몰입에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공정성과 신뢰의 상호작용효과를 살펴본 결과에서는 종속변수 직무모티베이션과의 관계에서는 분배공정성, 상사신뢰, 동료신뢰의 주효과와 함께 분배공정성ㆍ동료신뢰, 분배공정성&#10005;상사신뢰만이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으나, 정서적 몰입과의 관계에서는 조직공정성과 신뢰의 주효과와 더불어 상호작용효과까지 전체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사회복지사의 조직성과를 위한 제언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조직공정성의 세 차원인 분배공정성, 절차공정성, 상호작용공정성중에서 조직성과인 직무모티베이션과 조직몰입에는 상호작용공정성만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상호작용공정성은 분배절차 및 수단과 절차의 실행에 대한 충분한 정보를 제공해 주기 때문에 분배공정성과 절차공정성의 효과를 증대시켜줄 가능성이 높다. 상사와의 대인관계적인 측면이 중시되는 상호작용공정성은 의사결정의 절차나 규칙의 추진과정에서 받는 처우가 공정하거나 상사로부터 적절한 설명이 주어질 때 향상될 수 있을 것이다. 보상과 절차의 결정과정에서 상사와의 긍정적인 대인적 상호작용과 호의적인 상사의 태도는 조직구성원들로 하여금 상호작용공정성의 인식을 강화시킬 것이며, 이를 지각한 조직구성원의 조직에 대한 헌신과 몰입은 증가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신뢰와 독립변수들과의 상호작용효과를 통해서 신뢰의 조절변수로서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신뢰와 조직공정성의 각각의 영향보다 신뢰와 조직공정성이 상호작용을 할 때 직무모티베이션과 정서적 몰입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복지기관은 타 기관과 달리 소규모의 팀제로 운영되기 때문에 직속상사의 영향이 절대적이며, 동료로부터 느끼는 지원과 후원은 조직공정성의 인식을 강화시킴으로서 조직성과에 기여하게 할 것이다. 전반적으로 높은 신뢰수준을 가진 직원은 그렇지 않은 직원보다 성과 또한 높기 때문에 보다 장기적인 차원에서 신뢰를 가질 수 있도록 고려하는 조직관리가 필요할 것이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복지관과 노인복지관 두 기관에서의 인사관리시스템과 보상시스템의 유무를 살펴본 결과 두 기관 대부분이 인사시스템과 보상시스템이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인사관리시스템이 있는 경우에 직무모티베이션이 더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t=16.622, p<.001). 보상시스템유무에서도 있는 경우가 없는 경우보다 더 높게 나타났으며,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t=6.571, p<.05). 이렇게 사회복지기관에서 인사관리시스템, 보상시스템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인사고과와 관련된 결정에 있어서 업무에 대한 성과나 실적에 따라 처리되기보다는 성별이나 근무년수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에(전혜숙, 2003) 본 연구의 결과에서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복지조직의 조직성과를 높이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기관내의 인사관리와 보상시스템의 적극적인 시행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성과급에 의한 보상시스템의 부분적 도입과 함께 일관적이며, 의사결정과정에 있어서 상사와의 정확한 정보의 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는 조직내의 신뢰가 사회복지조직내에서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So far, organizational justice has been studied much, however most of such studies have focused on distributive or procedural justice, neglecting interactional justi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correlations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qualitative performance (job motiv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y distinguishing interactional justice from procedural one.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sampled 252 middle-level social workers working for community social welfare centers and senior welfare centers in Seoul for a questionnaire survey, and thereby,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urvey to determine the correlations between such social welfare centers' organizational justice and the variables of organizational performance(job motiv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hile testing whether a sense of trust (it was divided into colleagues' and supervisors' trust) would act as a moderater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performance. For the test, the researcher used such scales as Organizational Justice(distributive, procedural and interactional justice) Scale, Job Motivation Scale, Organizational Commitment(affective, continuance and normative) Scale and Trust (supervisors' and colleagues') Scale. The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using the SPSS 12.0 for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ross analysis, ANOVA, T-test,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organizational justice found to affect organizational members' attitudes and behaviors positively was only tested by preceding studies for its significant effects on distributive and procedural justice, however this study focused on the middle-level social workers working for community social welfare centers and senior welfare centers confirmed that the interactional justice was an important variable affecting job motivation and 'continuance commitment'. In addition, 'trust' which had been perceived as having mostly direct effect on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was tested wether it would act as a moderating variable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it was found that colleagues' and supervisors' trust had an significant effect as a moderater if it should interact with organizational justice. This study may well have been significant in that it analyz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various variables for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which should be grounded on trust among their members for an efficient organizational performance. Although it was limited not testing the differential effects of distributive and procedural justices, this study seems to be significant because it covered diverse variables affecting the organizational qualitative performance.

      • 사회복지사의 증거기반 실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심혜정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0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compartment so that you can identify the factors that influence attitudes to actively apply evidence-based practice applied to the evidence-based practice in social work field. In the study, the attitude toward Evidence Based Practice(EBP) was set up as a dependent variable, and individual factors such as education, career, position, self efficacy, ability toward Evidence Based Practice, also perceived organization factors such as organization culture, frequency of supervision, frequency of education, working time were set up as independent variables. The other variables(gender, age) were controlled in the data analysis. Two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to study the relation between the variables. To collect the data, 20 community welfare centers were extracted through system sampling with the list of 98 community welfare centers in SASWC (Seoul Association of Social Welfare Centers). Under the agreement of the sampled centers, a survey was carried out targeting social workers. With the collected data, analysis of frequency, descriptive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with SPSS 18.0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the individual factor affecting on the sub-attributes of the EBPA, self efficac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t seemed that the higher the self efficacy level was, the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EBP they showed. Second, as the sub-attributes of the EBPA, the requirement, the appealing and the divergence of the EBPA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individual factors and organization factors. But the career in the current community welfare center and self efficacy affect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on the openness of EBPA. In other words, the longer career in the current community welfare center negatively affected the openness of EBPA, whereas the high level of self efficacy positively affected the openness of EBPA. Some discussions about the result and application methods in the field are followings. It is necessary to educate the social workers on EBP to improve their awareness of EBP and to provide them with the opportunities to apply to the work field. Also, social welfare studies usually involve ceaseless interactions between study and practice. Not only should the various research precede in the academic area, but also should the social workers try to be harmony in theory and practice through incessant studies and application of the preceded studie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for the organizations to develop the organization culture to accept various culture and viewpoints and to encourage the education for the social workers. This study is meaningful that it generates discussion about the application of EBP by finding out the factors affecting on the attitude toward EBP. However, this survey is conducted to social workers in the community welfare centers in Seoul, so there is limitation to apply to all of the community welfare centers.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의 증거기반 실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사회복지 실천 현장에 증거기반 실천이 활발히 적용될 수 있도록 함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증거기반 실천 적용에 대한 태도를 종속변수로 설정하고 선행 연구 검토를 통해 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학력, 경력, 직위, 자기 효능감, 증거기반 실천 기초능력의 개인적인 요인과 조직적인 요인으로 조직문화, 슈퍼비전 빈도, 교육 참여 경험, 근무시간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였다. 통제변수로는 성별과 연령을 설정하였고, 본 변수들 간의 관계에 대한 두 개의 연구문제를 수립하였다. 가설 검증을 위한 자료 수집을 위해 서울시사회복지관 협회 소속 총 98개의 사회복지관 목록표를 이용해 체계적 표집을 실시하여 20개의 복지관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20개의 복지관에 동의를 얻은 뒤 수락한 곳의 사회복지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자료는 SPSS 18.0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를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증거기반 실천에 대한 태도의 하위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요인으로 자기 효능감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조직적 요인으로는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요인은 없었다. 즉 자기 효능감이 높을수록 증거기반 실천에 대한 태도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인적 요인과 조직적 요인이 증거기반 실천 태도의 하위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는데 증거기반 실천 태도의 요구도, 호감도, 불일치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현 기관의 경력과 자기효능감이 증거기반 실천 태도의 개방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현 기관에서의 경력이 길수록 증거기반 실천 태도의 개방성에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증거기반 실천 태도의 개방성에는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위 연구결과를 통한 논의와 실천 현장에의 적용 방안을 간략히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사회복지사에게 증거기반 실천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여 증거기반 실천에 대한 인지도를 높이고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겠다. 또한 사회복지는 실천 학문으로 학문과 실천 현장 간 활발한 연구와 실천 현장에의 적용이 필요한 학문이다. 사회복지 현장에서 서비스의 효과성을 객관적으로 입증하고 효율적인 운영을 하며 연구와 실천의 차이를 줄이기 위한 노력은 계속되어야 하겠다. 이에 학계에서의 다양한 연구가 선행되는 것은 물론, 사회복지사들도 끊임없는 학습과 선행 연구 적용을 통한 이론과 실천의 조화를 이루어야겠다. 그리고 조직에서도 사회복지사들의 교육을 적극 권장하며 다양한 문화와 관점을 받아들일 수 있는 조직문화 형성이 필요하겠다. 본 연구는 증거기반 실천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해봄으로써 증거기반 실천의 적용에 대한 논의를 제공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그러나 전체 사회복지사들을 대상으로 하지 못하고 서울지역에 국한한 사회복지관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만을 대상으로 연구하였기에 이를 전체에 적용하는 것은 한계가 있을 수 있다.

      • 재정분권 정책 시행 전ㆍ후 지방정부 사회복지예산 변화 : 경기도와 강원도의 기초자치단체를 중심으로

        김유진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50703

        본 연구는 재정분권정책 시행 전ㆍ후 지방정부의 사회복지예산이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확인하고 지방정부의 사회복지예산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자료수집은 경기도와 강원도의 49개 기초자치단체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2003년도부터 2006년까지 4년간의 예산서가 수집된 25개 시ㆍ군의 본예산과 1회 추가경정예산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03년부터 2006년까지 4년간 지방정부의 사회복지예산 변화경향을 보면 일반회계 총액이 평균 8.7%씩 증가하였고 지방이양사업이 시작된 2005년이후 전년대비 예산증가율이 대폭 감소한 것에 비해 사회보장비는 평균 19.8%씩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자체의 사회복지서비스 분야별 예산 규모를 살펴보면, 기초수급자지원사업이 포함된 일반사회복지 예산은 2003년 이후 14%이상 지속적으로 증가하였고, 노인복지예산은 분권정책이 처음 시행된 2005년에 예산 증가율이 대폭 감소했다가 2006년에 다시 회복하는 경향을 보였다. 장애인복지예산은 2003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사회보장비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분권정책 시행 이후 점차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동복지비는 2005년이후 가장 많은 증가추세를 보인 분야로 주목된다. 재정분권 정책이 시행된 2005년 이후 지자체의 1인당 사회복지예산 변화를 살펴보면, 1인당 사회보장비, 1인당 일반사회복지비, 1인당 아동복지비는 매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반면, 1인당 노인복지비와 1인당 장애인복지비는 2005년에 대폭 감소하여 재정분권 정책을 시행되면서 예산확보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둘째, 재정분권 정책 시행 전ㆍ후 지방정부의 일반적 특성과 사회복지예산의 변화를 살펴보면 지자체의 인구수는 유의한 수준의 변화가 없었으나 국민기초수급자비율, 노인인구비율, 아동인구비율, 장애인인구비율, 사회복지시설수 등 사회복지서비스 대상은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반회계 총액, 사회보장비, 일반사회복지비, 노인복지비, 아동복지비와 각각의 1인당 복지비는 재정분권정책 시행 이후에 유의한 수준으로 증가하였다. 셋째, 지방정부의 사회복지예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았다. 재정자립도에 따른 지방정부의 사회복지예산의 차이를 살펴보면 재정자립도가 높은 지자체가 사회보장비 규모는 크지만 1인당 사회보장비와 1인당 아동복지비는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자체의 인구수에 따른 사회복지예산의 차이는 인구규모가 큰 지자체가 작은 지자체보다 사회보장비 규모는 크지만 1인당 사회보장비, 1인당 일반사회복지비, 1인당 노인복지비, 1인당 아동복지비는 유의하게 적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노인인구비율이 높은 지자체가 낮은 지자체 보다 사회보장비 규모는 작고 1인당 사회보장비와 1인당 아동복지비는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대비 사회복지서비스 대상인구비율에 따라서는 복지서비스인구비율이 높은 지자체가 사회보장비 규모는 작게 나타났지만 1인당 사회보장비와 1인당 아동복지비가 높게 나타났으며 사회복지시설수가 많은 지자체가 사회보장비 규모는 큰 것으로 나타났으나 1인당 사회보장비, 1인당 노인복지비는 적은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사회복지전담공무원수에 따른 사회복지예산은 사회복지전담공무원수가 많은 지자체가 사회보장비 규모는 큰 것으로 나타났으나 1인당 사회보장비, 1인당 일반사회복지비, 1인당 노인복지비, 1인당 아동복지비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분권정책 시행 후 지방정부 1인당 사회보장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인구대비 사회복지서비스대상자비율과 사회복지시설수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2003년부터 2006년까지 4년간의 1인당 사회보장비 증가에 유의한 영향을 준 요인으로는 사회복지서비스 대상인구비율의 증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지방정부 사회복지정책 발전을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한시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분권교부세의 2010년 보통교부세로 통합지원될 계획에 따라 지방정부의 여건에 따른 사회복지예산의 격차가 심화되지 않도록 교부세 운영에 관한 정부차원의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고 보며 지방정부의 복지정책이 자율성을 보장받으면서 발전적인 방향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중앙정부의 지방정부에 대한 사회복지정책 평가기능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사회복지서비스 대상인구의 비율이 큰 지자체에 대하여 교부세 지원액 증액 등 정부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인구가 많은 지역에 비해 인구가 적은 지역이 재정자립도가 낮고 노인인구 등 사회복지서비스 대상인구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에 따라 지방정부의 사회복지예산이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사회복지서비스 대상 인구비율이 높은 지자체는 사회복지예산이 재정부담이 될 수 있고 내실있는 복지정책의 추진을 위한 충분한 예산 확보를 어렵게 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현재 지방정부 교부세지원액 산출기준에 국민기초수급자수 또는 가정위탁아동수 등 지자체별 사회복지서비스 대상자수가 반영되어 있는데 이에 추가하여 인구대비 사회복지서비스대상인구 비율(인구대비 국민기초수급자비율, 인구대비 노인인구비율 등)을 적극 반영하여 지자체의 인구 중 복지서비스가 필요한 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이 높은 지자체에 대한 교부세 지원이 증액될 수 있도록 정책적 배려가 있어야 될 것이다. 셋째, 재정자립도가 낮은 지자체의 사회복지예산 확충을 위한 교부세 이외의 별도의 특별 지원대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재정자립도가 낮은 지역이 높은 지역보다 예산 규모가 작음에도 불구하고 1인당 사회보장비, 1인당 노인복지비 등 각분야 1인당 복지비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분권정책 시행 이후 재정자립도가 낮은 지역이 오히려 예산이 더 많이 증액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지방재정에서 사회보장비가 차지하는 비율이 높아지면서 특히 재정자립도가 낮은 지자체의 경우 타 분야 예산투자나 자체 신규사업 추진 등이 어렵게 되는 등 지방재정 운영에 많은 부담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재정자립도가 낮은 지자체의 증가하는 저소득고령인구에 대한 보호책임을 지방정부에만 떠넘기는 것이 아니라 빈곤층에 대한 중앙정부의 적극적이고 책임있는 새로운 재정지원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지역의 특성과 지역주민의 욕구에 부합하는 지방정부의 특성있는 복지정책개발이 필요하다. 복지재정 분권정책이 시행된 지 3년째에 접어들지만 지역간 차별화되고 특성있는 복지사업을 운영하고 있는 지자체는 드물었다. 또한, 전반적으로 사회보장비 규모가 증가하고는 있지만 사업내용은 예전의 국고보조금 사업의 틀과 내용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고 내용면에서는 저출산문제 등 지방정부가 당면한 현안 해결을 위한 정책과 예산을 파악하기는 어려웠다. 재정분권 정책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사업부서간 중복투자사업의 조정, 유사사업의 통폐합, 지역의 당면과제에 대한 적극적이고 신속한 정책개발 등 지방정부의 유연하면서도 대응력있는 정책기획 능력이 필요하다 하겠다. 다섯째, 지방정부의 장애인복지사업에 대한 관심과 지원이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지자체의 장애인복지예산은 규모면에서는 증가하고 있으나 사회보장비에서 장애인복지예산이 차지하는 비율이 분권정책 이후 감소하고 있으며 등록장애인 1인당 복지비도 분권정책 전에는 큰 폭으로 증가하다가 분권정책 이후 계속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인구에서 등록장애인이 차지하는 비율이 분권정책 이후 유의하게 증가한 것에 반하여 1인당 장애인복지예산의 감소는 의미하는 바가 크다 하겠다. 복지재정 분권정책이 장애인복지사업이 위축되지 않고 장애인의 서비스 욕구에 부합하는 신규정책의 개발과 내실있는 사업운영이 될 수 있도록 장애인복지정책개발과 예산투자가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여섯째, 지방정부의 사회복지정책 발전과 예산확보에 대한 시민사회의 관심과 참여가 증대되어야 한다. 우리사회는 최근에 와서야 지역주민이 복지정책 결정에 참여할 수 있는 지역복지협의체 등의 민관 협력체계를 마련하였고 지역의 복지계획 수립에 주민이 참여하기 시작하였다. 2010년 분권교부세가 보통교부세로 통합된 이후 지역이 자율적으로 예산투자의 우선순위를 정하여 예산을 배분할 때 사회복지정책이 어떠한 우선순위를 가지느냐는 지역주민의 관심도에 따라 방향이 달라질 것이라 여겨진다. 민관 파트너십을 바탕으로 한 지역사회 복지협의체의 발전적인 운영과 성숙한 시민의식을 바탕으로 한 자발적인 시민의 참여와 관심이 지방정부의 사회복지정책 발전의 향배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ively identify the changes in the local government's social welfare budget with the implementation of the fiscal decentralization policy. Furthermore, it aims to analyze the influential factors affecting the local government's social welfare budget. The subject of the study is based on the data collected from 49 fundamental self-governing bodies in the provinces of Gyeonggi and Gangwon. The analysis utilized the first revised supplementary budget and the actual budget of 25 local governments that included all budget plans from 2003 to 2006.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the following; First, the social security cost consistently increased to more than 15% every year during the 4 years from 2003 to 2006 while the increasing rate of the general account has slowed considerably from 2005. With regard to the scale of the local government's social welfare budget, the general account budget showed consistent growth. Meanwhile the budget on elders' welfare showed a sharp decline in the budget increasing rate in 2005 when the decentralization policy was first introduced but it was recovered in 2006. In the case of child welfare cost, it showed the most increasing rate since 2005. In examining the changes in the local government's per capita social welfare budget, the per capita cost in social security, general social welfare, and child welfare have continuously increased every year. However, the per capita cost in elders' welfare and disabled welfare experienced difficulties in securing the budget due to a cut down in 2005. Second, there was a great increase in the number of people receiving social welfare service as shown in the population rate of disabled people even though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the overall size of the local government's population. Furthermore, the total cost in general account, social security, general social welfare, elders' welfare, child welfare and per capita welfare showed significant increase since the implementation of the fiscal decentralization policy. Third, the size of the social security cost was small in the local government with a low level of financial independence or a high rate of receiving social welfare service out of the whole population. However, the per capita cost in social security and child welfare was big. Also, the rate of the recipient of social welfare service out of the total population as well as the number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came out to be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the local government's per capita social security cost. Furthermore, the increase in the rate of social welfare service recipients in the total population showed to be the factor that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increase in per capital social security cost during the 4 years from 2003 to 2006.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following are proposed for development in the local government's social welfare policy. First, a government-level guideline is needed for shared tax administration to foster a balanced development in welfare policy between the local governments when the temporarily administered current decentralized shared tax is integrated into the common shared tax in 2010. Moreover, the government should strengthen the evaluation skill of local government's social welfare policy. Second, the local governments with a high rate of social welfare service recipients need government support such as increase in the amount of support of shared tax. Thus, such policy consideration is necessary. Third, the local government should not be the only one to take care and be responsible for the increasing number of low-income aged population in the local governments with low rate of financial independence. Instead, the central government should set up a new financial support plan to constructively and responsibly care for the poor. Thus, a provision for additional special support measures should be considered besides the shared tax which is for expanding the local government's social welfare budget. Fourth, in order for the fiscal decentralization policy to attain its goal, the local government should equip itself with skills in policy planning that is flexible and appropriate. For example, they can adjust investment programs that overlap in between different departments, consolidate similar programs or develop a positive and prompt policy about the urgent issues within the local area. Thus, the local government needs to develop its policy that is distinctive of the local area and agrees with the needs of the local people while the local government's public officials should improve their skills in policy planning. Fifth, in order for the fiscal decentralization policy to positively bring about an improvement in the welfare for the disabled, the disabled welfare policy should be further developed to suit their needs and the budget should be increased. Lastly, the local welfare forum that is based on government-civilian partnership needs to be managed expansively while voluntary participation and interest is needed from the public with mature civic awareness for the development of the local government's social welfare policy.

      • 기후위기와 복지 관련 언론기사 빅데이터 분석

        서보영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703

        기후위기가 심화되면서 기후재난, 기후고통 등의 단어까지 등장했다. 앞으로 기후재난이 더욱 빈번하게 일어날 것으로 예측되는 가운데, 기후위기로 인한 피해는 모든 계층이나 지역에 동일하게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기후위기로 인한 불평등 또한 더 심해질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해마다 기후위기와 사회복지 실천, 대응에 관한 사회적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으며, 문제 해결을 위해 대안적인 복지국가 모델과 사회복지 실천이 요구되고 있다. 2000년대부터 환경문제와 사회복지의 결합적 의미를 담고 있는 연구들은 진행되어 왔으나 핵심 용어도 명확히 정의되지 않은 상태이다. 그 결과 사회복지 정책 및 현장에서 실제적이고 직접적인 지원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으며, 구체적인 로드맵과 정책 대상이 부재한 상태에서 지자체별로 사회복지 실천을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후위기와 사회복지 관련 키워드가 언론에서 어떤 키워드와 이슈(군집)로 나타났는지 비교 분석하여 그 의미를 탐색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전 세계가 국가별 탄소감축목표를 수립하고, 처음으로 기후위기와 인권을 명시한 국제기후협약인 파리협정을 중심으로 연구 기간을 1, 2기로 구분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자료는 한국언론진흥재단의 뉴스 빅데이터 시스템인 빅카인즈를 통해서 수집하였으며, 키워드 추출 후 Textom에서 전처리 작업을 수행하였다. 그 후 TF(Term Frequency), 중심성, CONCOR 분석을 진행하여 키워드와 이슈(군집)를 확인하였으으며 이 결과를 Netdraw를 통해 시각화하였다. 연구 결과, 관련 기사와 키워드가 양적으로 크게 증가하면서 파리협정 이후 기후위기에 대한 심각성이 고조되었으며, 사회적 관심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파리협정 이전에는 기후변화 대응책으로 경제적(산업적) 측면에서의 대응이 주를 이루었다면, 파리협정 이후에는 경제적(산업적) 측면과 함께 함께 기후정의 담론의 확산과 취약계층, 불평등 문제 등과 같은 사회적 측면이 함께 고려되면서 국가 정책 로드맵으로, 정치적 어젠다로서 주요하게 등장하였다. 특히 코로나19는 우리 사회가 기후 취약계층을 위한 사회적 지원과 논의를 활발히 하도록 하여, 사회적 변화를 촉구하는 방아쇠로써 작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정부, 학계, 사회복지 실천 현장에서 기후위기를 사회복지 관점에서 접근하고 더 나아가 구체적인 정책이 마련되기를 기대한다. As the climate crisis intensifies, words such as climate disaster and climate suffering have emerged. While climate disasters are predicted to become more frequent in the future, it is also predicted that inequalities caused by the climate crisis will increase, as the damage caused by the climate crisis will not be the same for all classes or regions. The climate crisis, social work practice, and responses are receiving increasing attention, and alternative welfare state models and social work practices are being called for to address the problem. Since the 2000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convergence of environmental issues and social work, but even key terms have not been clearly defined. As a result, there has been a lack of practical and direct support in social welfare policy and practice, and it has been found that social welfare practices are being carried out by local governments in the absence of specific roadmaps and policy targets.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meaning of the climate crisis and social welfare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which keywords and issues (clusters) appeared in the media. In particular, the study period was divided into the first and second periods, centering on the Paris Agreement, an international climate agreement that established national carbon reduction targets and specified climate crisis and human rights for the first time.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the Korea Press Foundation's news big data system, Big Cains, and preprocessed in Textom after extracting keywords. After that, TF (Term Frequency), centrality, and CONCOR analyses were conducted to identify keywords and issues (clusters), and the results were visualized through Netdraw.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number of related articles and keywords, indicating that the severity of the climate crisis has increased since the Paris Agreement and that social interest has increased significantly. While before the Paris Agreement, economic (industrial) responses to climate change were dominant, after the Paris Agreement, economic (industrial) responses have emerged as a national policy roadmap and political agenda, along with the spread of climate justice discourse and the consideration of social aspects such as vulnerable groups and inequality issues. In particular, COVID-19 has acted as a trigger for social change, forcing society to actively engage in social support and discussion for climate vulnerable people. Through this study, we hope that the government, academia, media, and social welfare practitioners will increase their attention to the climate crisis and social welfare, and that roadmaps and policies will be established.

      • 사회복지관 자원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정부자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50703

        1995년부터 본격적인 지방자치시대를 맞이하여 주민참여에 의한 지역사 회복지관으로서 복지관의 역할이 더욱 중요시되고 있으며 사회복지관의 설치 운영에 대한 국가의 적극적인 조치, 민간기업의 사회복지관 사업에 대한 지원으로 사회복지관의 수는 급격히 증가하여 1984년 24개소에 불과하던 것이 1998년 4월 현재 303개소가 설치·운영되고 있다. 이와 같이 오늘날 사회 복지관의 양적 확대와 국민들의 다양한 복지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사회복지비용이 필요하게 되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국방비의 지출이 지대하며 경제계획 수행을 최우선으로 하여 사회복지분야에 투입되는 재원은 매우 제한적이었으며 IMF 국제금융기에 처하여 예기치 못한 사회문제가 속출하고 있는 현실에서 정부(지방 정부)의 현실적인 사회복지비 예산 편성을 기대할 수 없는 실정이다. 대부분의 사회복지관들이 당면하고 있는 가장 심각한 문제가 재원부족이다. 따라서 끊임없이 막대한 인력과 자원이 소요되는 지역사회복지관 사업을 좀더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지역사회의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는 것이 불가피하게 되었다. 더욱이 21세기를 앞둔 현 시점에서 좀더 발전적인 계획을 수립하고 준비해야 하는 것은 차치하더라도 어려운 시기를 극복하면서 지역사회 복지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많은 재정과 지역사회 자원을 확보하는 것이 주요 과제이다. 1997년 전국의 사회복지관에서 활동하고 있는 자원봉사자와 후원자들의 현황 조사서에 나타난 문제점을 근거로 이들을 개발·육성·유지하기 위한 과학적인 관리체계 방안이 무엇인가를 구체적으로 알아봄으로써 각 복지관들이 자원을 확보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는데 그 의의와 목적이 있다. 구체적인 연구 목표는, 첫째, 자원봉사자와 후원자를 중심으로 한 자원활용과 관리의 현황을 알아 보고, 둘째, 이와 관련해서 자원봉사자와 후원자 관리의 문제점을 제시하며, 셋째, 원활한 자원봉사자와 후원자를 확보·유지하기 위한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개선방안들을 제시하려고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복지관 운영 관계자들의 의견과 본 연구자의 경험을 기초로하여 위의 연구 목적을 갖고 전국의 "사회복지관 현황 조사서"에 나타난 자원봉사자와 후원자 현황과 문제점을 위시하여 복지관 운영 규정과 관련된 선행연구 논문과 문헌, 관련 기관의 간행물 및 세미나 자료집 등을 분석한 문헌연구이다. 본 연구의 주요 매개체는 지역사회의 다양한 인적자원과 물적자원 중에서도 자원봉사자와 후원자를 중심으로 다루었으며, 이들 각각의 현황과 실태 파악 및 문제제기 그리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부분에서는 자원활용의 중요성과 지역사회의 원활한 자원활용을 위한 개선방안을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제시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용자원의 파악이다 즉, 잠재적 자원시장의 분석을 통해서 지역사회내의 인적·물적자원은 물론 각종 기관, 단체 정보 등을 파악하고 지역사회 외적기관 및 용역에 관한 자원도 파악하여 파악된 자원들을 활용가능 정도별로 정리해 두었다가 필요에 따라 개발 활용한다. 둘째, 자원의 개발과 조직을 위한 설계를 체계적으로 연구·개발하고 실행할 수 있는 사회복지관내에 전담부서와 전담직원의 확보가 이루어져야 한다. 왜냐하면 지역사회내에 잠재되어 있는 제자원을 발굴·개발·육성·교육·훈련·관리하는 운영체계가 확립되어야 원활한 지역사회 자원의 활용이 가능할 것이며 발굴된 자원을 확보하고 유지할 수 있게 하므로써 자원이 계속 증대해 질 수 있기 때문이다. 셋째, 자원 개발을 위한 목표설정 및 전략을 결정하는 단계로, 자원봉사자와 후원자의 성별·연령·직업·능력별 등과 또한 시기와 기간 등 제여건을 고려하여 체계적인 모집과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관리방법 및 기술개발이 필요하다. 한 예로, 모금은 연말연시가 대체로 참여율이 가장 많은 시기이고 방문일이나 시간때 등도 고려하는데 따라 효과의 차이가 많기 때문에 세심한 주의가 따라야 한다. 또 비영리조직에서도 이제는 전문경영방법과 마아켓팅기법이나 모금에 대한 전문지식의 도입이 필요하며 특히 홍보에 관해서 좀더 깊은 관심과 연구가 되어져야 할 것이다. 넷째, 자원의 개발 활동을 전개하는 단계로 직원들의 정규적인 교육·훈련은 물론 참여하는 자원들의 역량에 맞추어 교육의 기회와 동기를 부여할 수 있는 모임이 제공되어야 한다. 사회복지관 뿐만 아니라 많은 비영리조직들이 보다 많은 지역사회자원을 발굴·확보·유지하는 업무가 기존의 무계획적·즉흥적으로 이루어지던 틀에서 벗어나 보다 전문화된 관리체계를 구축하여 실행하므로써, 자원봉사자와 후원자 관리의 가장 문제시되고 있는 이들의 중도탈락을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이다. 다섯째, 수시로 평가를 실시하여야 한다. 지역사회자원을 활용하는 과정에서나 활용 후에는 수시로 평가를 실시하여 목적 및 목표달성의 정도, 자원 활용과정에 있어서 문제점 등을 분석하고 결과를 새로운 계획수립 및 실행 과정에 순환적으로 반영해야 한다. 왜냐하면 평가를 통하여 발전적인 계획수립과 관리체계 유지 방법을 계속 보충하게 되는 과정에서 기술이 개발될 수 있으며, 또 지역사회로부터 신임을 얻게 되면 자원활용이 용이하게 될 것이다. 여섯째, 주민의 자발적인 참여를 이끌어낼 수 있는 법적, 세제상의 혜택 등 제반 제도적 장치도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한 예로 인정과 보상체계를 통하여 동기부여함으로써 지속적으로 자원을 개발·유지·확보할 수 있게 된다. 제언으로, 원활한 지역사회 자원활용 방안을 강구하기 위해서 원론적인 것이나 방법론에서는 지금까지의 문헌이나 논문에서 충분하리 만치 많은 이론과 대안이 제시되었다고 생각한다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위와 같은 개선방안을 실천에 응용하려는 의지이다. 관리책임자는 물론 전담직원이나 관련 사회복지사가 자원활용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고, 항상 단정한 용모와 친절한 마음가짐으로 자원에 가깝게 다가가는 태도 여하에 따라 나타나는 효과에는 많은 차이가 있다고 본다. 또 하나 중요한 것은 의식의 전환이다. 무엇보다도 고착된 의식은 전환을 기대하기 어려우며, 특히 민주시민의식으로서 자원봉사나 후원활동에 자연스럽게 스스로 참여할 수 있는 문화조성을 위해서는 장기간에 걸친 교육과 환경을 제공하여야 하며, 가능한 조기교육에서부터 시작되어져야 할 것이다. The role of the community social welfare centers has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since 1995 when the local autonomy was fully implemented in Korea. The increasingly important role of community social welfare centers is reflected in the dramatically increased number of welfare centers in the last 15 years: 24 centers in 1984 have risen to 303 centers as of April, 1998. The increased number of community social welfare centers is due to the combined efforts of the active support of the local governments and the raised interest in the welfare centers by the private business sectors. The radically increased number of welfare centers, however, necessitates the commensurate amount of financial support to meet the raised awareness of the public's needs and service the sheer number of centers. The recent ecomonic situation of Korea, however, is not very favorable to the financing of the welfare centers in many respects. Most of all, the exorbitant financial outlays for national defence makes it very difficult to finance welfare-sector investment. In addition to this, recent foreign exchange crisis, which has resulted in the emergency foreign exchange loan from the International Monetary Fund (IMF), makes it almost impossible for the local government to invest in welfare centers. In this context, the financing of the welfare centers has become a very crucial problem. To solve this problem, ways to maximize the utilization of community resources should be actively studied and implanted, not only to prepare for the coming 21st century but also to tide over the impending financial crisis facing the community social welfare centers. The purpose of this thesis, therefore, is to find ways to utilize the resources for the community social welfare centers, acting on the advice provided by the volunteers and sponsors of the c¢mmunity social welfare centers Korea in the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Association of social welfare centers. The specific objectives of this thesis is as follows: (1) the present status of resources-utilization of welfare centers, (2) problems in utilization of volunteers and sponsors of welfare centers, and (3) effective ways to improve the attraction and retention of volunteers and sponsors of the welfare centers. To accomplish the above-mentioned objectives, the writer used a "Social Community Welfare Center Survey" on the status and problems of volunteers and sponsors of the welfare centers throughout the country. In addition, the writer made use of the previously published theses and dissertations, publications, seminar literature and relevant materials. The writer has also utilized her own experience and other staffs of welfare centers in writing this thesis. The main focus of this thesis is placed on the material and human resources utilization, especially the utilization of volunteers and sponsors of the welfare centers in the communities concerned.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Accurate collection of information on the available resources. Accurate collection of information on the available resources on the available resources is prerequisite to the effective and maximized utilization of resources. The resources, in this case, covers material, human, and services. 2. Systemization and development of personnel for utilization of resources. To effectively utilize the resources, the systemization and development of personnel is very important. The personnel has as its main responsibility to find out, educate, develop, and manage the potential resources in the community so that they can be utilized to the maximum. 3. Planning a strategy for the resources utilization. Planning a strategy is also important in this area of resources utilization as in other fields. In this respect marketing and managerial expertise is also necessary to maximize the resources utilization. For example, fund-raising event should be planned around the year-end to be most effective. 4. Training and education of the staff as well as the participants for the maximum utilization of the resources. To make the most use of the available human resources, the training and education of the staff and the center program partcipants as well is essential. This is more so in view of the fact that in the past there has not been much planning to seek out and retain the available resources in the community. Training and education will be most effective in lowering the drop-out rate of the program participants. 5. Regular evaluation of resources utilization status. Evaluation of the resources utilization is very important to see how well the set goals are met. Evaluation is also important to plan ahead and get support from the community. 6. Finding out the ways to get the community members involved voluntarily. To accomplish this goal, establishment of proper mechanism for the members to get privileges is essential. Proper mechanism, for example, would include tax breaks for donation. Recognition and compensation would be a good way for raising the resident participation. In reviewing the result of the study, the following recommendation can be offered. 1. First of all, what is most needed is not more theory and research but putting into practice theories and researches conducted so far to maximize the utilization of the community resources. To accomplish this objective, directors and staffs should have a very positive and active attitude in developing community resources. 2. Consciousness-raising is crucial in utilizing the resources. Without consciousness-raising not much can be expected. The raised consciousness is the basis for volunteering and sponsoring for the community social welfare centers. Everybody who should realize that the consciousness-raising of the community members will take the form of education and improvement of the atmosphere for volunteering.

      • 기업사회공헌 종사자의 소진에 관한 연구 : 기업사회공헌 종사자와 사회복지관종사자의 비교를 중심으로

        최윤정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0703

        The social welfare field has been expanding to a variety of areas not only in terms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and community centers for children, physically & mentally challenged, and elderly, but also secondary fields such as hospitals, prisons, schools, and companies, along with the social trend. Among these, the social contributing activities of companies are one of the highlighted fields. In this study, the effect of important players who play a critical part in the fields of private social welfare circles such as socially contributing worker’s supervision on burnouts are reviewed. However, since companies’ social contribution is not solidly settled as a proper identity among all social welfare fields, each variable of burnouts for socially contributing company workers and community welfare center workers were comparatively analyzed. In this research, three factors as independent variables were selected as factors for putting impact on burnouts through preceding studies; individual characteristics, working environment, and supervision. For burnout which was used as dependent variable was implemented by Maslach & Jackson(1981)’s Maslach Burnout Inventory scale. For variables of working environment, the scale developed by Jayarant & Chess(1982) and translated by Lee, Young-mee and Seong, Gyu-tack(1991) was implemented. Lastly, variables for supervision were implemented by re-constructed questionnaires based on contents of Middleman & Roders’ Function and its role of supervision and the scale used by Lee, Jee-young(2004). The samples were collected from socially contributing workers in 89 companies with social contribution teams, and social workers in Seoul’s 89 social welfare facilities. This research was taken for two weeks, from 9th of November 2009. Data used in the final analysis were 147copies, with statistical analysis including technical statistics,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for this study. First, when reviewing the impact of working environment on burnouts through regression analysis, no difference were found between socially contributing companies’ workers and social workers in social welfare facilities. Challenge, role conflicts, and work volume had significant effect on emotional burnouts, and relaxation, challenge, and work volume had effects on non-personification towards clients. When looking at burnouts as a whole, role conflicts were high when challenge and relaxation were low, and as role ambiguity became higher, so did the burnouts. Second, when looking at the impact of supervision on burnouts by regression analysis, there were differences shown in groups. In other words, when socially contributing companies’ workers were under more supervision, their burnout rates were high too. This means that the supervision empowered burnouts for workers at socially contributing companies when compared to the fact that supervision had preventive effect for burnouts. Also, it can be said that the supervision in socially contributing companies did not function as its intentional means. Factors such as changes, education, evaluation, and catalysts were putting significant impact on burnouts. With high administrations and changes of supervision with low education, Emotional burnouts were highly recognized. Also, as education became lower,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ir lack of achievement became higher. In addition, when functions for change, personification, and catalysts were high, along with low evaluation and stress management function, the respondents highly recognized non-personification towards their clients. Third, when examining the burnouts by regression analysis,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Also, the subordinate factors of working environment such as relaxation, role conflicts, and the subordinate factors of supervision desires such as administration, education, personification, and catalysts showed significant impacts. In a nutshell, when relaxation for working environment became lower with high role conflicts, burnouts too showed high results. Among supervision desires, high burnouts were shown by low administration, high education, high personification, and high catalysts. Accordingly, as each independent variable were analyzed, the subordinate factors of supervision such as education, socialization, evaluation, and catalysts functions were offset by the impact of subordinate factors of working environment such as challenge and role ambiguity. Also, the subordinate variables of supervision desire such as socialization, administration, education, personification, and catalysts function’s impact increased. Through the above-stated study results, the influence factors of socio-demographical features, working environment, and supervision on burnouts of socially contributing companies’ workers and social workers at social welfare centers were reviewed. Also, by regression analysis on burnouts and comprehensive examination, it was found that supervision reacted as a preventive and alleviating measure for burnouts. However, for factors which supervision puts impact on burnouts, it showed a reversed effect; the supervision of socially contributing companies’ teams rather enforced burnouts, not reacting as its original function of preventing burnouts. Nevertheless, there are possibilities that the original function of supervision which can alleviate burnouts can be made through providing appropriate types of supervision at the right time for socially contributing companies’ teams. There are three suggestions for this issue. First, studies on supervision which can prevent burnouts for workers in socially contributing companies should be made, along with searches for alternatives to enhance the supervision. Second, at the socially contributing companies’ teams, appropriate understandings and timely fashions of supervision can be achieved through benchmarking university professors and other experienced institutions. 사회복지분야는 사회의 흐름에 맞추어 아동, 장애인, 노인 관련 사회복지시설 및 지역사회복지관 등뿐만 아니라 2차 실천현장인 병원, 교도소, 학교, 기업 등 다양한 영역으로 확대되고 있는데, 그 중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은 각광받고 있는 분야 중 하나로 손꼽히고 있다. 기업사회공헌이라는 분야는 아직 정체성이 확립되지 않은 상태이나 사회복지사들을 포함한 각 기업의 사회공헌 전담팀이나 기업 재단의 활동은 양적·질적으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최근에는 민간사회복지 영역에서 차지하는 기업의 사회공헌활동 비중은 그 규모면에서도 간과할 수 있는 수준을 넘었다. 이에 기업의 사회공헌 종사자들은 정해진 사회공헌활동 예산을 집행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민간사회복지영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기업사회공헌 종사자들의 수퍼비전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러나 기업사회공헌이라는 분야가 사회복지분야로 제대로 정체성이 확립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기업사회공헌 종사자와 사회복지관 종사자의 소진과 각 변수들의 관계를 비교분석하고자 한다. 연구에서는 소진에 대한 선행연구의 고찰을 통해 소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개인적특성, 업무환경, 수퍼비전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종속변수로 사용한 소진은 Maslach & Jackson(1981)이 개발한 Maslach Burnout Inventory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업무환경 변수는 Jayarant & Chess(1982)가 개발하고, 이영미·성규탁(1991)이 번역하여 사용한 척도를 그대로 사용하였으며, 수퍼비전 변수는 Middleman & Roders가 수퍼비전 기능과 역할에 대한 내용을 질문지로 재구성하고 이지영(2004)이 사용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표본은 기업사회공헌 전담팀이 있는 기업 89개에서 기업사회공헌을 담당하고 있는 종사자와 서울시에 소재하고 있는 종합사회복지관 89개에서 근무하고 있는 사회복지인력을 대상으로 2009년 11월 9일부터 20일까지 약 2주동안 조사가 진행되었다. 최종적으로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147부였으며, 기술통계 및 t-test, ANOVA,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의 방법을 이용하여 통계처리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살펴본 결과, 성별, 연령, 결혼상태, 학력, 전공, 직급, 고용상태, 연봉이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학력수준이 고학력일 경우, 사회복지전공자일 경우, 직급이 낮을수록, 연봉이 낮을수록 소진정도가 높은 것이 확인되었다. 둘째, 기업사회공헌 종사자와 사회복지관 종사자에 따른 소진정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소진 전체와 소진의 정서적 탈진에서 기업사회공헌 종사자들이 사회복지관 종사자들보다 낮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기업사회공헌 종사자와 사회복지관 종사자에 따른 업무환경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기업사회공헌 종사자가 사회복지관 종사자보다 편안함, 도전, 금전적보상, 승진에서 높게 나타났고, 역할갈등은 낮은 점수를 나타났으며 이 업무환경요인들은 두 집단간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업무환경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회귀분석을 통해 살펴본 결과, 기업사회공헌 종사자와 사회복지관 종사자 모두 집단간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전, 역할갈등, 업무량이 소진의 정서적 탈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편안함, 도전, 업무량이 클라이언트에 대한 비인격화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진 전체에는 도전과 편안함이 낮을수록, 역할갈등과 역할모호성이 높을수록 소진을 높게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섯째, 수퍼비전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회귀분석할 결과, 집단간 차이가 나타났는데 즉, 기업사회공헌 종사자의 경우 수퍼비전을 받고 있는 것에 높은 응답을 할수록 소진도 더 높게 나타났다. 이는 일반적으로 수퍼비전이 소진 예방하는 기능이 있는 것과는 달리, 기업사회공헌 종사자의 경우 수퍼비전이 소진을 더욱 강화하는 것으로 나타난 것이다. 기업사회공헌팀에서의 수퍼비전은 수퍼비전 고유의 기능을 하지 못하고 있음을 말해주는 것이라 하겠다. 수퍼비전의 변화, 교육, 평가, 촉매가 소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세히 살펴보면, 수퍼비전의 행정, 변화가 높을수록, 교육이 낮을수록 정서적 탈진을 높게 인식하고 있고, 교육이 낮을수록 성취감결여를 높게 인식하였으며, 변화, 인간화, 촉매 기능이 높을수록, 평가와 긴장관리 기능이 낮을수록 클라이언트에 대한 비인격화를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여섯째, 소진에 대해 회귀분석하여 종합 검증한 결과, 기업사회공헌 종사자와 사회복지관 종사자 두 집단간이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업무환경 하위요인인 편안함, 역할갈등 그리고 수퍼비전 욕구의 하위요인 중, 행정, 교육, 인간화, 촉매가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업무환경의 편안함이 낮을수록, 역할갈등이 높을수록 소진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수퍼비전 욕구 중, 행정이 낮을수록, 교육, 인간화, 촉매가 높을수록 소진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각 독립변수들이 함께 분석됨에 따라 수퍼비전 하위요인인 교육, 사회화, 평가, 촉매기능의 영향력이 업무환경의 하위요인인 도전, 역할모호성의 영향력과 상쇄되었으며, 수퍼비전 욕구의 하위변인인 사회화, 행정, 교육, 인간화, 촉매기능의 영향력이 늘어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인구사회학적특성, 업무환경, 수퍼비전이 기업사회공헌 종사자와 사회복지관 종사자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요인들을 살펴보았다. 또한 소진에 대해 회귀분석하여 종합 검증한 결과 수퍼비전이 소진을 예방, 완화하는 기능을 하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러나 수퍼비전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기업사회공헌팀의 수퍼비전은 오히려 소진을 강화하여 수퍼비전의 소진예방이라는 고유기능을 하지 못하고 있었다. 하지만 기업사회공헌팀의 경우에도 소진을 유발하는 상황에 맞는 적절한 타입의 수퍼비전을 제공함으로써 소진의 수준을 낮추는 수퍼비전의 고유기능이 작용할 가능성은 있다고 생각한다. 위의 내용을 토대로 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사회공헌 종사자 대상으로 소진을 예방할 수 있는 수퍼비전에 대한 연구와 수퍼비전을 강화할 수 있는 대안들이 모색되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기업사회공헌팀에서는 올바른 수퍼비전 이해와 상황에 맞는 적절한 수퍼비전을 줄 수 있는 수퍼바이저 개념을 대학교수나 경험 많은 기관외 수퍼바이저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