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마키베리(Aristotelia chilensis)추출물을 이용한 모발염색 특성

        서주희 남부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마키베리(Aristotelia chilensis)추출물을 이용한 모발염색 특성 서주희 지도교수: 박철호 남부대학교 대학원 향장미용학과 본 연구는 마키베리(maquiberry)의 안토시아닌 색소를 이용한 모발의 천연 염색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안토시아닌의 최대흡수파장에서 염색 온도, 염색 시간 및 pH를 변화시켜가며 염착도와 색변화를 관찰하였으며, 몇 가지 매염제를 사용하여 매염방법 및 매염제 농도에 따른 매염 효과와 세정 견뢰도를 관찰하였다. 마키베리의 안토시아닌 최대흡수파장은 540 nm로 나타났다. 염색 온도와 염색 시간이 증가할수록 K/S는 증가하고, L*은 감소하였으며 이때, K/S 값은 37.139 ∼ 63.584 였다. 안토시아닌의 최적 염색 조건은 염색 온도 40℃, 염색 시간 40 min 이였다. 안토시아닌 색소는 pH 4에서 가장 높은 K/S 값(63.334) 및 a* 값( 2.480)이 나타났으며, 안토시아닌은 염제는 pH에 특히 민감하게 반응하고 대부분 pH가 증가함에 따라 K/S는 감소하였다. 산성에서는 a* 값이 증가하고, 알칼리에서는 b* 값이 증가하였다. K/S값만을 기준으로 보면 선매염이 FeSO4, MgSO4, MnSO4, AlK(SO4)2, CH3COOH, Co(NO3)2, CaCO3, Na2CO3 매염효과 높았으며, 후매염은 CuSO4에서 매염효과가 나타났다. 매염제 농도에 따른 K/S 변화에서 FeSO4는 1% 농도에서 63.701로 K/S값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CuSO4는 K/S 값이 10%, 20%에서 66.53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AlK(SO4)2 및 Co(NO3)2는 K/S 값이 20%에서 각각 67.541과 66.53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세정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세정견뢰도는 감소하였고, K/S 값은 60.144 ∼ 38.646 범위에서 나타났다. 연구 결과 마키베리의 안토시아닌 색소는 모발염료로 사용이 가능하리라 사료된다.

      • 초등 다문화 배경 학생 대상의 동화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한국어 말하기 교육 방안 연구

        서주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다문화 배경 학생을 대상으로 동화와 스토리텔링을 활용하여 한국어 말하기 교육 방안을 모색하고 제시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초등 다문화 배경 학생의 효과적인 한국어 말하기 능력 향상에 목적을 두고, 동화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말하기 수업을 실제 수업 현장에 적용해 봄으로써 한국어 말하기 수업 방안의 효용성에 대해서 검증하고자 하였다. Ⅰ장에서는 본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밝히고, 이에 적합한 연구 문제 및 연구 방법을 제시하였다. 선행 연구는 다문화 배경 아동의 한국어 말하기 교육과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한국어 말하기 교육에 관한 연구 등을 살펴보고 본 연구와 관련하여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Ⅱ장에서는 스토리텔링의 개념과 그 교육적 효과, 스토리텔링의 특징이 반영된 스토리텔링의 학습 모형을 알아보았다. 또한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한국어 말하기 교육과 한국어 말하기 교육에서의 동화의 교육적 효과에 대해서 탐색해 보았다. Ⅲ장에서는 본 연구의 대상, 연구 절차 및 방법에 대해서 기술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 소재 Y 초등학교 3학년~5학년 다문화 배경 아동 14명이다. 동화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수업 집단을 실험 집단으로 하여 7명을 배치하고, 실험 집단과 동질성이 검증된 7명을 통제 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이어서 실험 연구를 위해 동화 스토리텔링 수업을 위한 동화를 선정하고, 구체적인 한국어 말하기 수업 모형 설계 및 자료 분석을 위한 스토리텔링 평가 기준표를 제시하였다. Ⅳ장에서는 Ⅱ장의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Ⅲ장에서 선정한 동화 5편을 활용하여 실제 10차시의 동화 스토리텔링 수업을 한 실험 결과를 분석하고, 이를 통한 실험의 의의를 살펴보았다. 양적 분석과 질적 분석을 병행하여 실시한 후 Ⅲ장에서 제시한 스토리텔링 평가 기준을 바탕으로 실험 결과를 분석하였다. 통계 분석을 통한 실험 결과는 유의미하게 나왔다. 마지막으로 Ⅴ장에서는 지금까지 연구한 결과를 정리하고 기술하였으며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를 밝히면서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본 연구는 그동안 한국어 말하기 교육에서 많이 다루어지지 않았던 초등 다문화 배경 학생을 대상으로 동화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말하기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실험을 통해 동화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수업이 초등 다문화 배경 학생의 한국어 말하기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다는 것도 증명하였다. 이 연구가 동화 스토리텔링에 대한 논의를 제기함과 더불어 앞으로 한국어 말하기 교육 방안의 다양한 확장도 이루어지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nd suggest ways to teach speaking Korean language using fairy tales and storytelling for multicultural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s. This study intended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Korean speaking class by using storytelling of fairy tales to the actual classroom, with the goal to improv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speaking ability of Korean language. The first chapter illustrates the necessary and purpose of this study and suggested appropriate research issues and methodology. In the preceding research, we reviewed the education of speaking Korean for children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and the education of speaking Korean using storytelling and tried to find the implications related to this study. In Chapter Ⅱ, we investigated the meaning and educational effects of storytelling, the learning model of storytelling, which reflected the concept of storytelling. We also discovered the education of speaking Korean using storytelling and some way to apply of fairy tales in education of speaking Korean. The third chapter described the subjects, research procedures and methodology of this study. The subjects in this study are 14 children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in the third to fifth grade of Y elementary school in Seoul. A group of 7 students were placed as experimental groups using fairy tale storytelling, and the other group of 7 students with proven homogeneity with experimental group was organized as a control group. 5 fairy tales were then selected for the experimental group using storytelling and a standard table was presented for storytelling evaluation for specific Korean speaking class design and data analysis.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Chapter II, Chapter IV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orytelling class in the experimental group using the five fairy tales selected in Chapter III and looked at the significance of the experiment against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 results were analyzed based on the storytelling evaluation criteria presented in Chapter III after conduct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in parallel with the control. The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 Finally, Chapter V summarized and described the research for the study thus far, and provide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highlighting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This study presented a basis on the methodology of educating student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 to learn for speaking Korean using fairy tale storytelling for student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in elementary schools, which have not been much dealt in the Korean speaking education. The experiment also proved that classes using fairy tale storytelling were effective in improving the students' Korean speaking ability. We hope this study will not only bring up discussions on fairy tale storytelling as a method to educate students in the Korean language, but will also provide an opportunities for various expansion of Korean speaking education in the future.

      • 학령기 아동의 회복탄력성과 관련변인들 간의 관계 구조분석

        서주희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aims of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related variables of school-aged children’s resilience.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692 5th and the 6th grade children in the Daegu and Gyeongbuk region. The subjects for this study completed questionnaires assessing school-aged children’s resilience, emotional support, self efficacy, emotion regulation perceived by children. Statistical methods used for the data analysis were the SPSS 26.0 and AMOS 26.0. And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method was used to model fit. Goodness of fit was evaluated using the SRMR, RMSEA and its 90% confidence interval, CFI, and TLI.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emotional support perceived by children, children' emotion regulation , and self efficacy affected directly on school-age children's resilience. Second, the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and the emotional support perceived by children affected directly on school-age children’s self efficacy. Third, emotional support perceived by children affected directly on school-age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 초등학교 저학년을 대상으로 한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서주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While the traditional curriculum divides school subjects into separate parts, the integrated curriculum assimilates, mixes, integrates and combines each curriculum in a meaningful method. The notion of the curriculum integration started being used in full scale from the influence of the educational campaign of American Liberalism from the 1920s to the 1950 and has been alreday executed in the curriculums not only for infants or elementary school but also for middle school and university in the West. STEAM is described the contents of relation of "science" with other subjects such as engineering, arts and mathematics in the curriculum goals according to the 2009 revised curriculum to improve integrate and creative thought. The 2009 revised curriculum suggests the necessity of integrated education. This study established below research problems in order to suggest a new teaching and learning plan and examine the effects to 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through an assimilated approach of the 2007 revised curriculum. First, what methods can be suggested by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in the viewpoint of STEAM after selection convergent learning contents? Second, what effects can be influenced to the formation of scientific content knowledge by the convergently recomposed teaching and learning plan? Third, what effects can be influenced to the formation of scientific interest and confidence by the convergently recomposed teaching and learning plan? As a result of this study, first, the scientific class in which STEAM was applied didn't influence very much the formation of scientific content knowledge of 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However, according the characteristics by student, it could be understood that it is effective to the formation of scientific content knowledge for a short time of period. Second, the scientific class in which STEAM was applied influenced the interest of 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in the science class and the formation of scientific interest and confidence in science learning. Based on these results, it can be considered that the scientific class in which STEAM was applied influenced the interest of 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in science and science learning and confidence improvement. The sugg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Because this study performed a research for 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succeeding studies on STEAM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for gifted students and recognition and demands about the necessity of STEAM from professors and educational experts concentrating sustained efforts for the development of STEAM are required. In addition, due to the initial stage of the study on STEAM, the study on the integrated STEAM program in compliance with our educational field should be active to generalize the use of teachers in the educational field as teaching design data. At last, the study on STEAM should not disappear as a temporary trend but its study should be consistent as a new educational method to raise gifted persons necessary to the future society and the efforts to make lots of teachers share it as a required teaching method for science education should be made. 우리나라에서는 융합인재교육(STEAM)을 “창의적 설계(Creative Design)와 감성적 체험(Emotional Touch)을 통해 과학기술과 관련된 다양한 분야의 융합적 지식, 과정, 본성에 대한 흥미와 이해를 높여 창의적이고 종합적으로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융합적 소양(STEAM Literacy)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는 교육이다.”라고 보고 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한 통합교과 활동에서 융합인재교육(STEAM)으로 재구성한 교육활동이 과학적 내용지식 형성과 과학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 형성에 어떠한 효과를 보여주는지에 대해 살펴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융합 학습 내용을 선정하여 융합인재교육의 관점에서 수업 자료를 개발하여 어떠한 방식으로 제시할 것인가? 둘째, 융합적으로 재구성한 교수학습방안이 과학적 내용지식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가? 셋째, 융합적으로 재구성한 교수학습방안이 과학적 흥미와 자신감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가?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융합인재교육(STEAM)을 적용한 과학수업은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과학적 내용지식 형성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하지만 학생별 특성에 따라서는 단기간에도 과학적 내용지식 형성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융합인재교육(STEAM)을 적용한 과학수업은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과학에 대한 흥미와 과학학습에 대한 흥미 그리고 자신감 형성에 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결론을 바탕으로 융합인재교육(STEAM)을 적용한 과학수업은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과학과 과학 학습에 대한 흥미 그리고 자신감 향상에 영향이 있다고 이야기 할 수 있다. 이 연구에 덧붙여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저학년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기 때문에 이외의 중, 고학년을 대상으로 한 융합인재교육(STEAM), 영재학급 학생들 대상으로 한 융합인재교육(STEAM)육 등, 융합인재교육(STEAM)의 발전을 위해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는 교수 및 교육 전문가 등 다양한 대상이 융합인재교육(STEAM)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과 요구가 무엇인지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 할 것이다. 또한 아직 융합인재교육(STEAM)에 대한 연구가 시작단계이므로, 우리나라 교육현장에 맞는 통합적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 교육현장에 있는 교사들이 교수설계 자료로 이용할 수 있도록 일반화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융합인재교육(STEAM)에 대한 연구가 일시적인 유행처럼 나타났다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미래사회에 필요한 인재를 육성하는 새로운 교육방법으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서 과학교육에 필요한 교수방법으로서 많은 교사가 공유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 교사효능감 및 유아의 사회적 능력의 관계

        서주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 교사효능감 및 유아의 사회적 능력의 관계를 알아봄으로써, 어린이집 현장에서 유아의 사회적 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교사효능감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향상시킬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라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 및 교사효능감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1-1.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유아의 사회적 능력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1-2.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대한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 및 교사효능감의 영향력은 어떠한가? 2-1.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대한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 및 교사효능감의 영향력은 어떠한가? 2-2. 유아의 내적 행동문제에 대한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 및 교사효능감의 영향력은 어떠한가? 2-3. 유아의 외적 행동문제에 대한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 및 교사효능감의 영향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G시와 J도의 어린이집에 재원중인 만 4세, 만 5세 165명과 그들의 보육교사 42명이다. 측정 도구는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Jorde-Bloom(1988)이 제작한 ECJSS를 구은미(2004), 장미정(2011)이 사용한 것을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교사효능감을 알아보기 위하여 Riggs & Enoch(1990)가 개발한 STEBI를 김미경(2007), 장미정(2011)이 사용한 것을 보육교사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유아의 사회적 능력은 LaRreniere & Dumas(1995)의 SCBE를 안라리(2005)가 번안하고 장미정(2011)이 사용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이메일과 우편, 직접방문을 통하여 자료수집을 하였으며, 연구문제에 따라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유아의 사회적 능력 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보육교사의 전체 직무만족도와 유아의 사회적 능력은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 하위영역별로 볼 때, 보육교사의 동료관계, 직무자체, 근무환경 만족도가 높을수록 유아의 전체 사회적 능력이 높아졌으며 보수와 승진 만족도가 높을수록 유아의 전체 사회적 능력은 낮아졌다. 유아의 사회적 능력의 하위영역별로 볼 때, 보육교사의 동료관계 만족도가 높을수록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이 높아졌으며, 원장과의 관계 만족도가 높을수록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이 높고 내적 행동문제와 외적 행동문제가 낮게 나타났다. 직무자체 만족도가 높을수록 친사회적 행동이 높으며, 근무환경 만족도가 높을수록 유아의 내적 행동문제와 외적 행동문제는 높게 나타났다. 보수와 승진 만족도가 높을수록 유아의 내적 행동문제와 외적 행동문제는 낮게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 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은 유아의 전체 사회적 능력 및 하위영역 중 친사회적 행동과는 정적상관을, 내적 행동문제와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 하위영역별로 볼 때, 보육교사의 일반적 교사효능감이 높을수록 유아의 사회적 능력 및 하위영역인 친사회적 행동은 높아지고 내적 행동문제와 외적 행동문제는 낮게 나타났으며, 보육교사의 개인적 교사효능감이 높을수록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 하위영역인 친사회적 행동은 높아지고 내적 행동문제는 낮게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보육교사의 보수와 승진, 일반적 교사효능감 순으로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영향력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사회적 능력의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보육교사의 일반적 교사효능감에서만 가장 많은 영향력이 나타났다. 유아의 내적 행동문제에 보육교사의 보수와 승진 만족도가 가장 많은 영향력이 있으며 일반적 교사효능감, 근무환경, 원장과의 관계 만족도 순으로 영향력이 나타났다. 유아의 외적 행동문제에 보육교사의 보수와 승진 만족도가 가장 많은 영향력이 있으며 근무환경 만족도, 일반적 교사효능감 순으로 영향력이 나타났다. 이상으로 볼 때,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 교사효능감 및 유아의 사회적 능력은 관련성이 있으며,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대해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 및 교사효능감이 영향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유아에게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인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교사효능감을 증진시키고 이에 따라 유아의 사회적 능력이 증진될 것으로 예측된다. 특히,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많은 영향을 준 보육교사의 보수와 승진 및 근무환경 수준에 대한 개선과 질적 향상, 교사 개인이 자신의 교사 역할에 대해 신념을 가질 수 있도록 긍정적인 격려와 적절한 피드백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 Imagining Citizenship and Domesticity in Antebellum African American Novels

        서주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1850년대는 노예제로 인한 정치적 대립이 첨예해졌던 시기였을 뿐 아니라, 미국이라는 국가적 정체성이 인종주의적 이데올로기로 구성되었던 시기였다. 특히, 1850년대에 제정되었던 도망노예법(Fugitive Slave Act)이나, 노예주에서 자유주로 이주한 흑인 노예 드레드 스콧(Dred Scott)에게 시민권을 허가하지 않은 1857년도의 판결 등은 미국의 시민권이 인종적 구분에 의해 규정된다는 사실을 확인시켜주는 법적 사건들이었다. 이러한 가운데, 노예 신분으로부터 해방되었거나 출생부터 노예 신분이 아닌 흑인들의 존재는 백인성을 전제로 한 국가적 정체성을 위협했을 뿐만 아니라, 1850년대의 미국 시민권에 내재된 인종주의적 성격에 대한 근본적인 물음을 제기하게 된다. 이 논문은, 시민도 아니면서 노예도 아닌 흑인들이, 자신들의 모순적인 상황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소설이라는 장르를 통해 국가 안에서의 위치와 소속감에 대한 고민을 하게 되었다는 전제에서 출발한다. 본 논문은 남북전쟁 이전, 1850년대에 출간된 미국 흑인 작가들에 의해 출간된 소설들을 연구대상으로 삼아, 법적인 시민권이 보장되지 않았던 시기에 작가들이 소설 쓰기가 갖는 의의에 대해 생각해 보고 있다. 소설이라는 허구적인 공간이 작가들에게는 주어지지 않았던 시민권을 상상할 수 있게 함으로써, 법적인 개념으로서의 시민권뿐만 아니라, 국가 안에서의 소속감을 모색할 수 있었음을 본고에서 주장하고 있다. 특히, 이 논문에서는 소설 안에서 가정성을 재현하는 방식을 통해 작가들이 미국 백인중심주의적인 중산층 가정성을 어떻게 전유, 모방, 혹은 비판했는지 분석하고, 가정성의 재현 방식이 각 소설들이 구현하고자 하는 시민, 시민권의 의미와 어떠한 연관을 맺고 있는지 분석한다. 1850년대에 출간된 네 작품들, 윌리엄 웰스 브라운(William Wells Brown)의 『클로텔, 대통령의 딸』(Clotel; or, the President’s Daughter, 1853), 프랭크 웹(Frank J. Webb)의 『개리네와 그 친구들』(The Garies and Their Friends, 1857), 해리엇 윌슨(Harriet Wilson)의 『우리 검둥이, 혹은 한 자유 흑인의 삶에 대한 스케치』(Our Nig, or, Sketches from the Life of a Free Black, 1859), 마틴 딜레이니(Martin Delany)의 『블레이크, 혹은 미국의 오두막들』(Blake, or the Huts of America, 1859-62)은 공통적으로 가정성을 재현하고 있다. 미국 노예제의 역사 안에서 가정성은 백인들의 가부장적 질서 및 가계도의 특권화를 공고히 했을 뿐만 아니라, 흑인들의 인간됨을 지우고 인권을 박탈하는 기제로 사용되어 왔다. 즉, 가정성은 흑인들에게 투쟁을 통해 얻어내야 할 무엇임과 동시에 그들을 억압하는 기제이기도 하는, 양가적인 대상이 되었다. 이러한 흑인들의 역사를 고려해볼 때, 흑인 작가들이 소설 안에서 백인 중심주의적인 가정적 질서를 비판하거나, 흑인들의 가족 혹은 가정적 공간을 상상하는 일은 시민권을 위한 정치적 투쟁의 하나로 볼 수 있다. 각 소설들이 가정성을 재현, 비판, 혹은 전유하는 방식은 저마다 다르다. 이 논문은 가정성의 재현을 통해서 각 소설들이 구현하고자 하는 시민권의 양상이 무엇인지, 그리고 각 소설들이 갖고 있는 정치적 의의 혹은 한계가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가정성의 재현을 통해 당대의 문학적 형식에 대해 흑인 작가들의 소설들은 어떠한 방식으로 담론적 차원에서 대응했는지도 살펴보고 있다. 특히, 미국의 백인중심적인 가정성 이데올로기가 흑인성이 지시하는 육체성—가령, 과도한 섹슈얼리티의 상징, 정통적 가계도를 형성하는 언어적 체계로부터 벗어난 육체성 등—을 구성하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는 점을 감안했을 때, 흑인 작가들이 소설을 통해 가정성을 재현하는 양상들은 흑인성을 구성하는 담론에 대한 적극적 대응이라고 할 수 있겠다. 본론 1장, 브라운의 작품 『클로텔』을 다루는 장에서는 브라운이 리디아 마리아 차일드(Lydia Maria Child)의 단편소설 「쿼드룬」(“The Quadroons”) 과 토머스 제퍼슨(Thomas Jefferson)의 글들을 소설 속에 차용 및 병치를 함으로써 미국 독립의 이념들이 내재하는 인종주의적 속성을 폭로하고 있음을 주장한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브라운의 소설 쓰기 전략은, 브라운의 남성 주체가 글쓰기를 통해 시민 주체가 되는 과정과 소설 속 흑인 여성 인물들에게 부정되는 시민권이 대조되는 결과를 낳는 한계를 드러내기도 한다. 본론 2장에서는 딜레이니의 『블레이크』가 흑인 노예들에게 거부되고 박탈되었던 가정적 질서를 소설이라는 허구적인 공간 안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재현되는지 살펴본다. 특히, 당대의 대표적인 반노예제 소설인 해리엇 비처 스토(Harriet Beecher Stowe)의 『톰 아저씨의 오두막』(Uncle Tom’s Cabin)과의 대조를 통해, 딜레이니가 가부장적 질서 안에서 구축되는 시민권의 이상적인 양태로 도덕적인 흑인 남성성을 소설 안에서 구현하고 있음을 2장에서 읽어낸다. 흑인 가부장제의 구축은 노예제로 인해 생겨난 흑인 여성의 성적 착취에 맞서 흑인 여성들을 시민사회 안으로 포섭하고 보호하는 방식으로 소설에서 제시되지만, 딜레이니의 소설은 백인들의 폭력에 맞서 세워지는 흑인 가부장제가 내재적으로 갖고 있는 억압적 위계가 궁극적으로 해결하지 못한 채, 미완된 형태로 남는 한계 또한 갖고 있다. 웹의 가정소설 『개리네와 그 친구들』을 다루는 3장에서는, 노예제를 직접적으로 다루었던 1, 2장의 소설들과는 달리, 자유주인 북부에서 노예제와는 다른 방식으로 이뤄지는 인종적 억압을 소설이 어떻게 재현되고, 이러한 인종적 억압에 맞서는 방식으로 소설이 인종적 정체성과 공동체의 형성이 흑인 가정의 존속과 생존을 통해 드러내고 있음을 주장한다. 웹의 소설은, 논문에서 다루는 소설들 중에서 가장 정형화된 가정소설의 형식을 갖고 있는데, 이는 가정이라는 틀을 흑인의 시민권 획득을 위해 전유하는 소설의 정치성과 맞닿아 있다고 볼 수 있다. 마지막 4장에서는 윌슨의 『우리 검둥이』를 다루는데, 앞선 남성 작가들의 작품들이 가정성을 구축하고 재현함으로써 시민권을 상상하는 방식을 취했다면, 윌슨의 작품은 가정성의 폭력성을 폭로하고 가정성을 거부하는 방식을 취한다. 가정성에 대한 윌슨의 태도는 소설이 보여 주는 형식적 실험을 통해 더욱 부각되는데, 가령 고정적이지 않은 시점의 활용을 통해 자서전적인 형식과 소설의 형식을 오감으로써, 소설 속 주인공인 프레이도(Frado)가 보여 주는 흑인 여성 주체의 주변성을 드러낸다. 특히, 흔히 여성 인물들이 소설 안에서 획득하는 전형적인 결말, 즉 결혼을 거부하고 노동하는 주체로서의 프레이도의 성장 과정을 추적함으로써, 소설은 가부장적 가정성을 전면적으로 거부한다.

      • 학교 부적응 청소년의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밴드중심 음악중재 사례

        서주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밴드중심 음악중재를 통한 학교 부적응 청소년의 자기효능감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실시된 사례연구이다. 연구 참여자는 학교 부적응 문제로 A시 정신건강복지센터에 의뢰된 청소년 중 본인의 자발적인 참여의사와 법정 대리인 보호자의 동의를 획득한 청소년 4명이다. 본 연구는 6주 동안 주 2회씩 회기 당 약 60분을 기준으로 총 10회기의 프로그램으로 진행되었다. 밴드중심 음악중재 프로그램은 자기효능감 탐색 단계(1-2회기), 자기효능감 강화 단계(3-8회기), 자기효능감 확인 단계(9-10회기)로 구성되었으며, 자기효능감 영향요인에 따라 프로그램이 세분화되었다. 결과 분석을 위해 연구자는 자기효능감 척도를 사전·사후에 검사하고 자기효능감 하위요인과 관련하여 세션 내 음악적·비음악적·언어적 변화를 살펴보았다. 자기효능감 척도 검사 결과 참여자들의 자기효능감 점수는 전체적으로 증가하였고, 하위요인으로는 개개인별로 다른 변화양상을 보였다. 참여자의 자기효능감 하위요인 관련 변화 관찰내용 분석 결과 회기가 진행됨에 따라 참여자들은 언어적으로 자신의 능력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참여자 모두 밴드중심 음악중재를 통해 자기효능감 수준에 긍정적인 영향을 받았으며, 위기 상황에서 회피하던 문제를 스스로 대처할 수 있도록 동기를 강화함으로써 학교 적응을 위한 심리적 자원을 마련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밴드중심 음악중재가 학교 부적응 청소년의 적응 문제를 다루며,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는 데에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This case study investigated changes in self-efficacy of maladjusted adolescents in school who participated in band music intervention. Research participants consisted of 4 adolescents who voluntarily agre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a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 that offered a program for addressing school maladjustment problems. After obtaining written consent from participants’ legal guardians, a total of 10 sessions were provided for approximately 60 minutes per session twice a week for six weeks. For the analysis of results, pre·posttest scores on self-efficacy and related behavioral and verbal responses were recorded. Participants showed an overall increase of the self-efficacy scale, and sub-factors showed different changes by individual. The result of behavioral and verbal response analyses also supported the positive outcomes found in the self-efficacy scale. The positive changes observed in the participants in relation to their self-efficacy through a band music intervention, support that implementation of band music intervention can be a viable and preferable approach when working with adolescents with school maladjustment issues considering their musical preference and characteristics.

      • 인광 유기 발광다이오드 물질의 삼중항 상태와 인광 성질

        서주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광 효율이 높은 이리듐 (iridium, Ir)이나 플래티넘 (platinum, Pt) 착물들은 전기 발광 (electroluminescence, EL) 효율이 높아 인광 유기 발광다이오드 (phosphorescent organic light-emitting diode, PHOLED)의 재료로 관심 받아왔다. 왜냐하면 이 물질들은 전기적으로 여기되면 단일항 (singlet) 엑시톤 (exciton)과 삼중항 (triplet) 엑시톤이 모두 생성되기 때문이다. PHOLED에서 높은 양자 효율은 전도 물질로부터 발광 물질로의 에너지 이동과 인광체의 발광 효율에 강하게 의존한다. 호스트 (host) 물질인 4,4',4"-tris(3-methylphenylphenylamino)triphenylamine (m-MTDATA)과 녹색 인광 발광체인 fac-tris(2-phenyl pyridine)iridium (Ir(ppy)3), Ir(ppy)3가 50 wt.% 도핑 (doping)된 m-MTDATA 박막형 시료를 사용하여 물질들간 에너지 이동과 인광의 성질을 알아보았다. 발광 성질과 동역학은 온도-의존 분광법 (temperature-dependent spectroscopy)과 시간-의존 분광법 (time-dependent spectroscopy)에 의해 조사되었다. m-MTDATA의 삼중항 상태 (triplet state)의 에너지는 2.58 eV이었고, 시간 상수는 1.2 μs이었다. 그리고 지연된 형광이 관찰되었고 이것의 동역학은 인광과 관련이 있었다. m-MTDATA가 호스트 일 때, Ir(ppy)3의 삼중항에 에너지가 잘 제한되었고 이것을 통해 m-MTDATA의 호스트 물질로써 응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세 가지 삼중항 부상태가 Ir(ppy)3 박막의 인광 방출에 기여하는 것을 보았다. 그리고 시료가 순수한 박막 형태일 때 Ir(ppy)3 분자들 간에 포스터형 (Förster-type) 뿐 아니라 덱스터형 에너지 전달 (Dexter-type energy transfer)이 일어났고 이로 인해 Ir(ppy)3 삼중항 부상태들은 상대적으로 짧은 독특한 수명을 보였다. Highly efficient phosphorescent materials, such as iridium and platinum complexes, have attracted considerable attention for phosphorescent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PHOLEDs) with high electroluminescence efficiency because these materials take advantage of both the electrically generated singlet and triplet excitons. The high quantum efficiency in PHOLEDs depends strongly on energy transfer from conducting materials to luminescent ones and luminescence efficiency of phosphors. Three samples were used to examine energy transfer and phosphorescence properties. They are 4,4',4"-tris(3-methylphenylphenylamino) triphenylamine (m-MTDATA) as host materials, fac-tris(2-phenyl pyridine)iridium (Ir(ppy)3) as green phosphorescent materials, and 50 wt.%-Ir(ppy)3-doped m-MTDATA. The luminescence properties and dynamics of film type samples were examined by temperature- and time-dependent spectroscopy. For m-MTDATA, the triplet energy was 2.58 eV and time constant is was 1.2 μs. Delayed fluorescence was observed and its dynamics was related with phosphorescence. The triplet energy of Ir(ppy)3 was well-confined in the m-MTDATA host, which suggests the application of m-MTDATA as possible host materials. Three triplet substates were responsible for phosphorescence emission. Dexter-type as well as Förster-type energy transfer between Ir(ppy)3 molecules induced the unique lifetime (relatively short) of the emissive triplet substates in the neat fil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