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담관암에서 MUC1, MUC2, MUC5AC와 MUC6의 발현과 예후에 미치는 영향

        박신영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목적: 점액소(mucin)는 위장관계의 상피세포에서 분비되어 상피의 방어와 윤활작용을 하는 고분자량의 당단백이다. 점액소의 발현은 암세포와 암의 진행과정에서 변화하게 되며, 여러 종양에서 특정 점액소의 발현이 예후와 연관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담관암 환자에서 MUC1, MUC2, MUC5AC 와 MUC6의 발현을 알아보고, 임상병리학적 인자와의 연관성 및 예후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점액소의 발현차이에 따라 해부학적으로 인접한 췌장선암과 담낭선암으로부터 담관암을 구분할 수 있는지 알아보았다. 방법: 수술적으로 절제된 85예의 담관암, 14예의 췌장선암과 11예의 담낭암 조직에 MUC1, MUC2, MUC5AC와 MUC6의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시행하였다. 85예의 담관암중 34예는 간내담관암, 51예는 간외담관암이었다. 결과: 담관암에서 MUC1, MUC2, MUC5AC, MUC6의 양성발현율은 각각 68.2%, 23.5%, 61.1%, 14.1%였다. MUC1의 발현은 담관암의 낮은 분화도 (p=0.002), 높은 T병기 (p=0.003), 육안적 분류 (간내 담관암 p=0.005, 간외담관암 p=0.006) 및 환자의 나쁜 예후 (p=0.015) 와 관련이 있었다. MUC5AC는 진행성 담관암종 (p=0.013)에서 더 많은 발현을 보였고, MUC6는 고분화 담관암 (p=0.006)에서 발현이 증가하였다. 담관암, 췌장선암과 담관선암 사이의 점액소의 발현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본 결과는 담관암에서 MUC1의 발현이 역분화, 침윤성 성장과 환자의 예후에 관련되어 있음을 보였고, MUC1이 담관암의 진행과정에 관여할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 거부민감성과 역기능적 완벽주의의 역할

        박신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심리적 통제 구성요소와 사회불안 하위유형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과 역기능적 완벽주의의 역할을 밝히는 것이다. 사회불안 하위유형의 심리적, 발달적 메커니즘이 다르다는 선행 연구를 토대로 사회적 상호작용불안과 수행불안에 미치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 거부민감성 및 역기능적 완벽주의의 차별적인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1에서는 대학생 189명을 대상으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과 역기능적 완벽주의의 매개효과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의존지향 심리적 통제와 사회적 상호작용불안 사이에서 거부민감성이 부분 매개역할을 하였다. 성취지향 심리적 통제와 수행불안 사이에서는 역기능적 완벽주의가 완전 매개역할을, 거부민감성이 부분 매개역할을 하였으며, 매개효과 크기차이 검증 결과 역기능적 완벽주의의 매개효과가 더 컸다. 연구 2에서는 대학생 165명을 대상으로 사회불안 상황 스크립트를 제시하였을 때, 사회적 상호작용불안 집단과 수행불안 집단 간에 상황별 불안수준, 거부민감성, 역기능적 완벽주의에서 차이가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사회적 상호작용불안 집단은 사회적 상호작용 스크립트에서 수행불안 집단보다 높은 불안을 보고했고, 수행불안 스크립트에서 수행에 대한 의심 수준은 수행불안 집단이 사회적 상호작용불안 집단보다 더 높았다. 본 연구 결과는 거부민감성과 역기능적 완벽주의가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사회불안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었으며, 거부민감성과 역기능적 완벽주의에 초점을 둔 사회불안의 치료 가능성을 시사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부분 수면박탈 후 심폐운동이 젊은 성인의 중심혈압과 동맥경직도에 미치는 영향

        박신영 인천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Sleep deprivation increases the risk of chronic disease, including cardiovascular disease. Regular cardiopulmonary exercise improves central blood pressure and arterial stiffness, and reduces the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However, studies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sleep deprivation on central blood pressure and arterial stiffness are still lacking, and furthermore there is no study evaluating the effects of exercise participation after partial sleep deprivation on central blood pressure and arterial stiffness in human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one-time partial sleep deprivation on central blood pressure and arterial stiffness in clinically healthy young adults, and the response of central blood pressure and arterial stiffness to one bout of cardiorespiratory exercise after sleep deprivation. Six healthy young adults (2 males, 4 females)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is study. By randomized crossover design, one-bout of moderate intensity treadmill exercise was performed at 70% of HRpeak for 30 minutes under both the recommended sleep (7-9 hours) condition and partial sleep deprivation (2.5-3 hours) condition. Differences in resting cental and peripheral blood pressures and arterial stiffness measures between two sleep conditions were analyzed, and the effects of cardiorespiratory exercise on blood pressures and arterial stiffness measures between two sleep conditions were compared. A SphygmoCor XCEL system (AtCor Medical, Australia) was used to measure central and peripheral blood pressure and arterial stiffness measures such as aortic pulse wave velocity and augmentation index. Carotid artery stiffness was assessed using an Aloka Prosound α7 ultrasound system (Hitachi, Japan) and Cardiovascular Suite analysis software (Quipu, Italy). There was no difference in cental and peripheral blood pressure, and all the arterial stiffness measures between two sleep conditions at rest. Compared to the recommended sleep condition, central systolic blood pressure, central mean arterial pressure, and central pulse pressure were significantly lower under the partial sleep deprivation condition at the time immediately after the exercise (104.2±3.5 vs. 98.0±1.9, P=0.046; 85.8±2.5 vs. 80.0±1.2, P=0.037; 31.8±2.5 vs. 28.4±2.4, P=0.033).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any arterial stiffness measures in response to the exercise between two sleep conditions. To conclude, temporary partial sleep deprivation does not influence resting blood pressure and arterial stiffness in healthy young adults, and temporary partial sleep deprivation does not negatively influence arterial stiffness responses to one-bout of moderate intensity cardiorespiratory exercise. The decrease in central blood pressure immediately after the exercise under partial sleep deprivation condition suggests that oxygen supply to active skeletal muscles may be limited with an insufficient sleep, which can weaken exercise performance at maximal or near maximal level even in healthy young adults. 수면박탈은 심혈관계 질환을 포함한 만성질환의 위험도를 증가시킨다. 규칙적인 심폐운동은 중심혈압과 동맥경직도를 개선하고,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을 감소시킨다. 하지만, 부분 수면박탈이 중심혈압과 동맥경직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한 연구는 아직 부족하며, 더 나아가 부분 수면박탈 후 운동참여가 중심혈압과 동맥경직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임상적으로 건강한 젊은 성인을 대상으로 일회성 부분 수면박탈이 중심혈압 및 동맥경직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규명하고, 수면박탈 후 심폐운동 실시에 따른 중심혈압 및 동맥경직도 반응의 변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는 총 6명(남자 2명, 여자 4명)이 참여했으며, 무작위 교차설계에 따라 권장 수면(7-9시간) 조건과 부분 수면박탈(2.5-3시간) 조건에서 30분간 일회성 중강도(70% of HRpeak) 트레드밀 러닝을 실시하였다. 수면 조건 간 안정 시 혈압과 동맥경직도의 차이를 비교했으며, 수면 조건에 따른 심폐운동 실시가 혈압 및 동맥경직도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였다. 운동 전 혈압 및 동맥경직도에서는 수면 조건 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운동 직후 시점에서 권장 수면 조건과 비교할 때, 부분 수면박탈 조건에서 중심 수축기 혈압, 중심 평균동맥압, 중심 맥압이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하지만, 수면 조건 간 운동 후 동맥경직도 반응은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연구가설과 달리 일회성 부분 수면박탈이 젊은 성인의 안정 시 혈압 및 동맥경직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수면 조건 간 일회성 중강도 심폐운동에 대한 동맥경직도 반응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부분 수면박탈 조건에서 일회성 중강도 심폐운동 직후 발견된 비정상적인 혈압 감소는 젊고 건강한 성인일지라도 수면부족 후 운동참여가 활동근 혈류 공급 제한을 통한 운동수행능력 저하를 야기할 수 있음을 암시한다.

      • 발달장애인의 취업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개인, 직업적 능력, 사회적 지지 요인을 중심으로

        박신영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의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발달장애인의 직업은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고, 경제 활동을 통해 새로운 자기결정권을 경험할 수 있는 수단이며, 개인에게는 자립을 가능하게 하고 스스로의 가치를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개인적 요인, 직업적 능력 요인, 사회적 지지 요인 총 3가지 측면으로 발달장애인의 취업 영향요인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장애인고용공단 “2020년 발달장애인 일과 삶 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였고, 발달장애인 3,000명 중 결측값을 제외한 2,595명 사례를 분석하였다. 발달장애인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검증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적 요인에서 성별이 여성에 비해 남성이, 연령이 낮을수록, 기초생활수급대상자가 아닌 경우 취업 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업적 능력에서 인지적 능력이 높을수록 취업할 확률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지지 요인에서는 고용서비스 이용 경험이 있는 경우와, 가족의 취업 지지가 높을수록 취업할 확률이 높게 측정되었다. 이 같은 결과를 토대로 발달장애인의 취업을 위한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장애인 취업을 위하여 개인 특성별, 생애주기별 차별화된 직업교육 지원프로그램 마련이 필요하다. 둘째, 기초생활보장의 대상 공공부조 시스템의 제도 보완 마련이 필요하다. 셋째, 발달장애인 직업적 능력을 유형화하고, 직업적 능력의 판정체계가 구체화 되어야 한다. 넷째, 가족의 취업에 대한 지지의 중요성 결과에 따른 가족의 인식 변화를 위한 프로그램 마련이 필요하다. 다섯째, 발달장애인 특성에 맞는 고용서비스 제공 및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홍보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의 취업 관련 연구가 부족한 시점에서 발달장애인만을 대상으로 한 전국적 조사와 2,000명이 넘는 대상자의 응답 결과를 활용함으로써 발달장애인 취업 관련 연구가 부족한 시점에서 발달장애인의 취업 영향요인을 분석하고, 발달장애인의 직업적 능력 특성을 반영한 데이터를 유형화하여 연구모형을 설계하고 검증을 통해 연구의 제언을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employment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s an important means for building social relationships and experiencing the new right of self-determination, the occupation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plays an important role for individuals to stand on their feet and to see their own value. This study verified the factors affecting the employment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total three aspects such as personal factors, occupational ability factors, and social support factors. For this, this study used the data of “A Survey on the Work and Life of the Developmental Disabled in 2020” by the Korea Employment Agency for the Disabled, and then analyzed the cases of 2,595 people excluding the missing value from 3,000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ver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employment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analysis was conducted by using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personal factors, when the gender was male, when the age was lower, and when they were not recipients of national basic livelihood, the probability of getting employed was high. Second, in the occupational ability, when the cognitive ability was higher, the probability of getting employed was high. Third, in the social support factors, when there was an experience of using the employment service, and when the family support for employment was higher, the probability of getting employed was high. Based on such results of this study, the practical and policy-level implications for the employment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could be presented as follows. First, for the employment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t would be necessary to establish the differentiated vocational education support program in each personal characteristic and lifecycle. Second, the public assistance system for the recipients of national basic livelihood needs to be complemented institutionally. Third, it would be necessary to categorize the occupational abilities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also to concretize the decision system of occupational abilities. Fourth, there should be some programs for changing family’s perception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importance of family support for employment. Fifth, it is needed to have the promotion that could increase the accessibility and provision of employment service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the time when there are not many researches related to the employment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e aspect of making suggestions through the process of analyzing the factors affecting the employment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designing/verifying a research model by categorizing the data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occupational ability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y utilizing the results of responses from over 2,000 subjects and the nation-wide survey targeting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특별판 제품의 한정판매방식과 조절초점메시지, 독특성 욕구가 제품평가에 미치는 영향 제목

        박신영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theoretical guidelines that help to develop the advertising framing strategy with competitive power and appeal that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consumer 's intention and product attitude. Product attitude, and interactivity of scarcity message, moderated focus message, and the complex interaction of these and consumers' desire for uniquenes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divides the scarcity message into two types of quantity-limited message and time-limited message, and manipulates the 2×2 message type by dividing the modulated focus message into two types of enhanced focus message and preventive focus message In addition, we tried to find out the contact point of advertisement framing that moves consumers' psychology through empirical survey of 2×2×2 group by dividing consumers group with high desire characteristic and low consumer group.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is proved that the quantity-limited message and the time-limited message, which are subtypes of the scarcity message, have different effects on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and product attitude. As a result of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between the group with the quantity-limited message and the group with the time-limited message, the group intention to purchase the quantity-limited message(M=4.50) and the product attitude (M=4.88, t=7.871, p=0.000), which confirmed the hypotheses 1 and 2 of this study. Second, when the scarcity message and the adjustment focus message are presented in combination with each other, it has been proved that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and product attitude have a different effect according to the detailed type. (M=5.39, product attitude M=5.56, F=253.331, p=.05), which is one of the subtypes of the scorecarded focus message, 0.000). Another specific type of scarcity message, a time-limited message, is more likely to have an impact on the consumer's intention to purchase and product attitude when presented in combination with a preventive focus message, another subtype of the adjusted focus message, Have proven statistically valid. Hypothesis 3 and 4 of this study were verified through this study. Third, the scarcity message has been proved to have a different impact on purchase intention and product attitude according to consumers' desire for uniqueness. Consumers with a high desire for uniqueness have higher purchase intention (M=5.41, F=16.757, p=0.000) and product attitude (M=5.54, F=11.36, p=0.000) , And this difference proved to be statistically valid. Hypothesis 5 and 6 of this study were verified through this study. Fourth, it is proved that the adjustment focus message also influences the purchase intention and product attitude according to consumers' desire for uniqueness. Consumers with a high desire for uniqueness showed higher purchase intention (M=5.58, F=45.807, p=0.000) and product attitude (M=5.69, F=51.721, p=0.000), This difference proved statistically valid. Hypothesis 7 and 8 of this study were verified through this study. This study proves and suggests the necessity and necessity to more fully activate and activate 'customized advertisement framing' which is adapted to consumers' diverse and distinctive personality, taste and disposition through the above verification results. In particular, I will contribute to widening the scope of advertising framing strategy by searching various ways of using scarcity message and regulated focus message according to consumers' desire for uniqueness. We hope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useful theoretical and practical guidelines and basic reference materials that will help to further diversify, diversify, specialize, and scientificize the advertising framing strategy in the future. 본 연구는 소비자의 구매 의도와 제품 태도에 유효한 영향력을 미치는 광고 프레이밍 전략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되는 이론적 지침을 마련하려는 목표 하에, 희소성 메시지와 조절 초점 메시지가 소비자들의 구매 의도, 제품 태도 등에 미치는 효과를 실증하고, 희소성 메시지, 조절 초점 메시지의 상호 작용 및 이들과 소비자의 독특성 욕구의 복합적 상호 작용 등을 함께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희소성 메시지를 수량 한정 메시지, 기간 한정 메시지의 2종 유형으로 구분하고, 조절 초점 메시지를 향상 초점 메시지, 예방 초점 메시지의 2종 유형으로 구분하여 2×2의 메시지 유형을 조작하였고, 여기에 독특성 욕구가 높은 소비자 그룹과 낮은 소비자 그룹을 2분하여 2×2×2 그룹에 대한 실증 조사를 통해 소비자의 심리를 움직이는 광고 프레이밍의 접점을 찾아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희소성 메시지의 하위 유형인 수량 한정 메시지와 기간 한정 메시지는 소비자들의 구매 의도 및 제품 태도에 상이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수량 한정 메시지를 접한 그룹과 기간 한정 메시지를 접한 그룹 간의 독립 표본 T-검정 결과, 수량 한정 메시지를 접한 그룹의 구매 의도, 제품 태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다. 둘째, 희소성 메시지와 조절 초점 메시지가 상호 조합되어 제시되는 경우, 그 세부 유형에 따라 소비자들의 구매 의도, 제품 태도에 상이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즉 희소성 메시지의 세부 유형 중 하나인 수량 한정 메시지는 조절 초점 메시지의 세부 유형 중 하나인 향상 초점 메시지와 조합되어 제시될 때, 희소성 메시지의 또 다른 세부 유형인 기간 한정 메시지는 조절 초점 메시지의 또 다른 세부 유형인 예방 초점 메시지와 조합되어 제시될 때, 소비자들의 구매 의도와 제품 태도에 보다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희소성 메시지는 소비자의 독특성 욕구에 따라 구매 의도, 제품 태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달라진다는 사실도 함께 입증되었다. 독특성 욕구가 높은 소비자들은 희소성 메시지 중에서도 수량 한정 메시지가 제시되었을 때 구매 의도, 제품 태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조절 초점 메시지도 소비자의 독특성 욕구에 따라 구매 의도, 제품 태도 등에 미치는 영향력이 달라진다는 사실이 함께 입증되었다. 독특성 욕구가 높은 소비자들은 향상 초점 메시지가 제시될 때 구매 의도, 제품 태도가 더욱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마케팅 상황에서 소비자의 다채로운 성향을 고려한‘맞춤형 광고 프레이밍’이 필요함을 입증하고 제안하였다. 특히 소비자들의 독특성 욕구에 맞춘 희소성 메시지, 조절 초점 메시지의 다양한 활용 방안에 대한 모색을 통해 광고 프레이밍 전략의 범위를 넓히는 데에도 일조하고자 한다. 이상과 같은 본 연구의 실증 결과가 향후 광고 프레이밍 전략을 더욱 다양화하는 데 도움이 되는 유효한 이론 및 실무적 자료로 제공되기를 기대한다.

      • 이야기회상과제를 통한 영어-한국어 이중언어사용 아동의 조사와 어말어미 사용 분석

        박신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중언어를 사용하는 아동은 한 언어로 말하는 도중 다른 언어의 단어나 구를 삽입하여 사용하거나, 다른 언어의 어순으로 말하는 오류를 범하게 된다(Poplack, 1980). 이 때, 이중언어사용 아동이 범하는 오류가 언어장애인가 아니면 단순한 언어적 차이에 의한 것인가를 구분하기 위해서는 언어의 다른 측면보다 문법적인 측면에서 접근하여 아동의 오류특성을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최근에는 세계화의 추세로 인해 영어의 조기교육이 강조되면서, 영어와 한국어를 이중적으로 사용하는 아동이 급증하였다. 한국어-영어 이중언어사용 아동이 보이는 오류특성을 파악하는 것은 언어장애와 언어차이를 구분하여 보다 정확한 진단을 내리고 올바른 중재를 제공하는 데 용이할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한국어-영어 이중언어사용 아동이 문법형태소 습득과정에서 보이는 산출과 오류의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이중언어사용 아동의 언어발달 측정과 진단 및 평가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한국어와 영어는 어순이나 문법적 특성이 매우 상이한데, 한국어의 조사와 어미는 영어에서 부사나 전치사 등 독립된 어휘형태로 표현되는 의미를 가진다(남기심 고영근, 2001). 조사는 문장구성요소간의 관계를 표시하고 부가적인 의미를 부여하여, 어순이 자유로운 한국어에서 문장의 의미를 정확히 이해하고 전달하도록 도와준다. 또한 한국어는 영어와는 다르게 두 문장을 접속시키기 위해 독립된 어휘나 특수한 문장구조를 필요로 하지 않고 연결어미를 사용한다. 이러한 언어간 차이를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이야기회상과제에서 나타난 아동의 문법형태소 비용 및 오류 양상을 조사와 어말어미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문법형태소의 습득이 안정되어 이야기에서 다양한 문법형태소를 산출할 수 있는 6세 아동을 대상으로, 한국어의 현저한 특성인 조사와 어말어미의 사용과 오류 양상을 비교하였다. 언어연령이 6;0-6;5세인 이중언어사용 아동과 단일언어사용 아동, 총 24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이중 언어사용 아동의 경우, 같은 집단 내에서도 개인에 따라 다양한 특성을 보일 수 있다는 선행연구에 근거하여, 두 언어를 접한 시기 및 문화에 적응된 정도, 그리고 영어와 한국어의 어휘력 차이를 통제하도록 하였다. 아동은 글자 없는 그림책을 보면서 녹음된 이야기를 들은 후 그림책의 내용에 대하여 이야기하였고, 이를 통해 얻은 자료는 조사와 어말어미의 산출량과 오류율, 그리고 오류유형으로 분석한 후 집단간 차이를 알아보았다. 분석 결과, 이중언어사용 아동은 집단 내에서도 다양한 수행력을 보였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이중언어사용 아동은 문법형태소 사용에 있어 단일 언어사용 아동에 비해 맞은 수행력을 보였으며, 더 어린 아동에게서 볼 수 있는 특성을 보였다. 또한 이중언어사용 아동은 단일언어사용 아동이 산출하지 않은 형태소를 사용하거나, 단일언어사용 아동에게서는 볼 수 없는 오류형태를 나타내기도 하였다. 이는 이중언어사용 아동의 문법형태소의 습득이 단순히 지연된 양상을 띠기보다 이중언어사용 아동만의 독특한 특성을 가짐을 의미한다. 이러한 특성은 이중언어사용 아동의 언어발달 수준을 측정하고 언어장애와 언어차이를 구분할 수 있는 지침으로, 진단 및 평가 시 고려 해야할 부분이다.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usage and error of grammatical morphemes (particles and nonfinal word endings) in Korean-English bilinguals and Korean monolinguals. Twelve Korean-English bilingual children, with lexical level between 6;0-6;5 yea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ll of children had been exposed to both languages before the age of 3. Korean was the primary language spoken in the home, and they all attend foreign school in Korea, therefore use English at school. Twelve normally developing Korean monolingual children, closely matched in gender and linguistic age range, served as the control group for this study. A story retelling task was used for morphological analysis. Two wordless picture story books were used to facilitate the children's story retelling. Measures analyzed were (1) % of occurrence of each grammatical morpheme per utterance, (2) % of error occurrence of grammatical morphemes, and (3) % of error patterns of grammatical morphemes.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in the occurrence and errors of the grammatical morphemes. 1. Bilingual children showed a lower frequency in the use of grammatical morphemes, based on the total number of utterances. For both groups, subject case and topic case were observed most frequently, followed by locational case, Two group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redicative case, subordinate conjunctive endings, and modifying transformative endings. Bilingual children demonstrated less use of grammatical morphemes in variety. 2. The percentage of errors was higher for bilingual childre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all the types of particles, except the vocative (subjective case, objective case, adverbial case, conjunctive case, and topic case). For word endings, the percentage of error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subordinate conjunctive endings and auxiliary conjunctive endings. 3. In terms of error pattern, omission and between-case substitution errors of grammatical markers occurred most frequently for both groups. Double use and addition errors were not observed in monolingual childre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case substitution and double use errors for grammatical markers. In word endings, the group difference was significant only in errors other than substitution, omission or addition (errors include causative-passive errors and tense errors). Monolingual children did not show omission error type in the use of word endings. To summarize, despite the diversity in the usage and errors within bilinguals, their overall performance was poorer than monolinguals in terms of the frequency of the usage, the total number of different grammatical morphemes, and the percentage of errors. Bilingual children showed not only error patterns that were characteristics of younger monolingual children, but also error patterns that were hardly seen amongst monolingual children. In addition, bilingual children used morphemes that were not found in monolingual childre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bilingual children show a delayed pattern compared to monolingual children. Furthermore, there was evidence of interlingual influence in the course of the grammatical development. These findings, -unusual usage and errors, late development of certain morphemes, and the interlingual influences, -can be treated as the characteristics of bilingual children, and therefore, should be considered in differentiating between language differences and language disorder.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examine whether these are specific to the language background and the linguistic age of bilinguals in this study, or whether it could be a more general developmental feature in Korean-English bilingual speakers.

      • 장수형 밀 계통 집단을 이용한 이삭길이 및 1수립수 관련 QTL 분석

        박신영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quantitative trait loci (QTL) associated with spike length and kernel number by analysis of 122 recombinant inbred lines (RILs) derived from a cross between Korean wheat cultivar and Iksan370, which large kernel number line carried with the longer spike length and higher kernel number/spike than Korean wheat cultivars. Spike length, kernel number per spike and spike density were investigated from replicated field trials in 2013/2014 at upland condition in Iksan, Korea. A genetic map was constructed with 92 microsatellite marker loci and a total of nine QTL were identified on six chromosomes for spike length and kernel number. The three QTL, Xwmc44, Xbarc205 and Xgwm292, were detected on chromosomes 1B and 5D, and explained 9.7% – 16.5% of phenotypic variation for spike length. Among these QTL, Xwmc44 and Xgwm292 also explained 8.2% and 10.8% of phenotypic variation for spike density and kernel number/spike, respectively. Xgwm135, located on chromosomes 1A, was accounted for 10.9% of phenotypic variation for kernel number/spike. Other two QTL for spike density, Xgwm495 and Xwmc285, were mapped on chromosome 4B and 4D, respectively. These QTL explained 6.9% – 7.9% of phenotypic variation for spike density. Three QTL, Xwmc44, Xgwm292 and Xgwm135, for spike length, kernel number/spike and spike density were applied to validate relationship between genotypes of QTL and 29 Korean wheat cultivars grown four years on upland conditions. Korean wheat cultivars carried aaa and bbb genotypes based on the order of these three QTL, higher and lower kernel number/spike and spike density than other genotypes, although there i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pike length. These QTL could be used in marker assisted selection wheat lines with higher kernel numbers in Korean wheat breeding programs.

      • 정호승 시 연구 : 주체의 수동성 양상에 대한 고찰

        박신영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논문에서는 정호승 시에 드러나는 주체의 수동성 양상을 레비나스 이론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정호승의 시는 주체의 감성적 수동성을 바탕으로 윤리적 주체성을 지향하고 있다. 그의 시는 주체의 감성적 수동성을 바탕으로 자아 중심적 주체의 단계에서 벗어나 타자에 대한 열림의 단계로 나아가고, 마침내 ‘윤리적 주체성’을 지향하는 과정을 보여 주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과정은 단순하게 선조성(線條性)을 보이면서 단계적으로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복합적이고 다층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가운데, 전반적인 흐름이 나선형 형태의 방향성을 보이고 있다. 본고에서는 그의 시에 드러난 주체의 수동성 과 관련하여, ‘부정적 현실로 인한 주체의 감성적 수동성’, ‘자기중심적 주체의 삶에 나타난 수동성’, ‘타자에 대한 열림과 윤리적 주체성의 지향’ 등의 세 가지 양상을 레비나스의 개념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Ⅱ장에서는 부정적 현실로 인한 ‘주체의 감성적 수동성’의 양상을 역사 현실, 경제 현실, 정치 현실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여기서 다루어진 주체의 감성적 수동성은 타자의 부름에 응하는 윤리적 주체성으로 나아갈 수 있는 토대가 되고 있다. 1절에서는 식민지․전쟁․분단의 역사 현실로 인한 상실감의 양상이,「낫」에서는 ‘한’의 계승으로,「감자」에서는 비극적 역사의 수용으로 표상되어 있다. 2절에서는 물신주의적 경제 현실로 인한 결핍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급속한 경제 성장으로 인해 사회는 물질 만능주의와 이기주의가 팽배해지고 인간성 상실, 분배의 불균형 등의 모순과 부조리를 보이게 된다.「柳寬順 9」,「아버지의 무덤」에서는 가치전도의 사회 속에서 가난과 소외로 신음하는 주체의 양상이 드러나고, 불안과 위기가 상존하는 ‘서울’이라는 공간을 통해 「서울의 예수」에서는 인간 예수의 ‘목마름’이 상징화되었다. 3절에서는 강압적 정치 현실로 인한 비애가「옥중서신 1 - 8」,「그날 밤」,「개망초꽃」등을 통해 형상화되었다. Ⅲ장에서는 ‘자기중심적 주체’의 삶에 나타난 수동성의 양상을 고찰해 보았다. 1절에서는 1인칭 존재로서 인간이 갖는 근원적인 고독에 대한 탄식이「수선화에게」,「절벽에 대한 몇 가지 충고」등에서 나타나고, 「수의」에서는 인생에 대한 무상감이 나타나고 있다. 2절에서는 연인과의 사랑과 그리움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자국눈」에서는 첫사랑의 설렘을, 「늙은 어머니의 젖가슴을 만지며」에서는 사랑의 실패로 괴로워하는 시적 주체가 늙은 어머니의 품에서 위로 받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3절에서는 삶의 고통에 처절하게 슬퍼하고 애통해하는 주체가, 「칼날」에서는 극한적 고통을 겪는 모습으로 형상화되어 있고,「도요새」에서는 소금밭에 앉아 울고 있는 도요새를 통해 묘사되고 있다. 「끈」은 인간의 운명적 수동성을 상징하고 있고,「빈틈」은 생의 세계에서 죽음의 세계로 던져진 존재의 비극을 감각적으로 형상화하고 있다. Ⅳ장에서는 ‘자기중심적 주체’가 자아성찰을 통해 타자에 대한 열림의 단계로 나아가고 마침내 ‘윤리적 주체성’을 지향하는 단계로 승화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1절에서는 자아 성찰과 인간에 대한 반성이 나타났다. 「가릉빈가에게」에서는 윤리적 주체를 지향하는 자기중심적 주체의 불완전한 모습이 ‘인두조신(人頭鳥身)의 모습으로 형상화되었고「불면」,「연꽃 구경」에서는 인간과 자연의 대비를 통해 인간의 추한 면을 부각시키면서 반성과 참회의 정서를 보이고 있다. 2절에는 타자에 대한 열림과 타자를 향한 초월의 욕망이 나타나 있다. 주체는 「문 없는 문」에서 자기중심 세계의 문을 열고 밖으로 나가려 한다. 문을 열고 나가서 타자의 부름에 응답할 때 타자와 주체의 관계는 결코 시혜자와 수혜자의 관계가 아니다. 타자들은「성의(聖衣)」,「걸인」에서 형상화된 것처럼 성인(聖人)과도 같다. 「빈 벽」에서 시적 주체는 자아 중심의 주체에서 타자 중심의 주체로 전환하면서, 중심에서 자아를 제거한 상태를 ‘빈 벽’으로 상징화한다. 3절에서는 앞에서 지배적으로 나타났던 주체의 감성적 수동성이 윤리적 주체성을 지향하는 양상으로 전개되고 있다. 「늪」에서 시적 화자는 사랑해야 할 타자들에 대한 욕망을 느끼고 있다. 「오병이어」에서는 ‘오병이어’의 기적을 통해 무리의 배고픔을 해결해 주었다는, 기독교 신화의 모티프를 통해 가난하고 굶주린 타자의 부름에 응답하고자 하는 욕망을 형상화하고 있다. 「벼락에 대하여」,「숟가락에게」,「다시 벗에게 부탁함」에서 시적 주체는 ‘대속’의 삶을 추구하고 있다. 시인의 상상력을 통해 탄생한 ‘눈사람’과 눈사람의 정신을 계승한 ‘소년’은 이상적 윤리적 주체의 화신이며, 순수한 소년의 동심을 통해서 눈사람의 ‘대속’ 행위가 계승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