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1998년 이후 한국 '귀신영화'에서의 여성 재현

        박주영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thesis explores social characteristics of Korean horror films from a 'gender' perspective. 'Guyegie' films (literally ghost films in English), which disappeared in 1987, were revived by the film <Whispering Corridors> in 1998. Following the success of <Whispering Corridors>, two other films, <The Quiet Family> and <The Soul Guardians>, also flourished, and mainstream movie magazines announced the birth of the 'Korean horror film' as a new genre. Here, the concept of a genre needs close attention: most scholars tend to consider horror films as comprising a totally different genre than 'guyegie” films, due to the fact that 'guyegie' films prior to 1987 were stigmatized as ''out-of-date, boring or childish.'' Consequently, they attribute the success of Korean horror films to technological improvements, which made their quality comparable to foreign horror films, as well as to changes in the main consumers of horror films. This view basically carries two assumptions: one, 'guyegie' films do not appeal to young generations any more and the other, Korean horror films provide spectators with new satisfaction the same as Hollywood horror films do. However, these assumptions do not explain why a 'virgin ghost' character has still repeatedly appeared in both 'guyegie' films and horror films. If, borrowing from Freud, a horror film can be referred to as 'the return of the repressed', a woman as 'the repressed other'is no doubt a useful character to have in the films. Regarding my methodology, I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the producer of <Whispering Corridors> in 1998 and the director of <Memento Mori> in 1999 and <The Uninvited> in 2003, and analyzed texts through videos and scripts obtained from the <Korean Federation of Film Archives>, critical reviews in film magazines, and reviews by spectators on the internet. This thesis consists mainly of two parts: first, I examine the industrial institutional cultural infrastructure of Korean horror films in order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horror film as a genre since 1998. Through this, I intend to show why 'guyegie' films prior to 1987 had disappeared and then reappeared again in 1998. In addition, I look at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guisin'(ghost) films, which became the main model of Korean horror films between 1998 and 2004, as a genre by comparing them with slasher films massively produced in 2000. Second, I closely examine the changes in the social meanings of the 'yeoguie'(female ghost) concept, which has been presented as a typical monster character in Korean horror film through comparative textual analysis. This thesis aims to find out the causes of the revival of Korean horror films since 1998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yeoguie'. In 'guyegie' films, 'guisin' used to be presented as a sympathetic character rather than a horrifying one, even though she was a monster. However, this familiarity with 'yeoguie' has turned to 'unfamiliarity',since she has returned as the repressed in horror films. Therefore, in this thesis I study how an immature young girl character creates 'uncanny' horror in Korean horror films. Through this, I intend to show how 'old-style guisin' still remains as a typical character in modern Korean horror films. 이 논문은 1998년에 부활한 한국 공포영화 장르의 사회적 성격을 젠더관점에서 분석한 연구이다. 1987년 이후 사라졌던 ‘괴기영화’는 1998년 <여고괴담>의 흥행으로 ‘공포영화’로 화려하게 부활하였다. 당시의 많은 잡지들은 <여고괴담> 뿐만 아니라, <조용한 가족>, <퇴마록>의 성공을 공포영화 장르의 부활이라는 이름으로 함께 이야기했다. 이때 ‘장르’라는 개념에 대한 인식은 매우 중요해진다. 1987년 이전의 괴기영화 하면 ‘촌스러운 귀신 영화’라든지 ‘전설의 고향’을 떠올렸기 때문에 의도적으로 괴기영화와 공포영화를 단절적인 것으로 보는 시각들이 주류를 이루게 된다. 그리하여, 1998년의 국산 공포영화의 흥행은 해외 공포영화 수준의 기술적 성장과, 공포영화의 주 수요자 층의 변화로 설명된다. 이것은 두 가지를 기본가정으로 하고 있는데, 첫 번째, 더 이상 괴기영화가 현대의 젊은 관객들에겐 호소력을 가질 수 없게 되었다는 것과, 두 번째, 현대의 공포영화가 헐리우드 공포영화와 같은 ‘장르’적 즐거움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담론들은 귀신영화는 촌스럽다는 가정으로 1998년의 공포영화의 르네상스를 외국의 공포영화의 장르 틀에 기대어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가정은 괴기영화에서부터 지금의 공포영화에 이르기까지 왜 ‘처녀귀신’이란 존재가 여전히 호소력 있는 주제로 등장하는지 설명해주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다. 공포영화를 ‘억압된 것의 귀환’(Freud)이라 할 때, 생물학적으로 비남성일 뿐만 아니라 근대화의 과정에서 억압된 타자로 기능해온 여성은 공포영화의 좋은 소재가 되어왔다. 그리하여 본 논문에서는 한국의 ‘공포영화’에 대한 컨텍스트적 텍스트적 분석을 통해 1998년 이후 공포영화의 부활의 원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여고괴담>의 제작자와 <여고괴담 두 번째 이야기>,<4인용식탁>의 감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하였고, 한국영상자료원의 영상물 및 시나리오 자료와 영화잡지의 영화평론 및 인터넷 사이트의 관객 평을 통하여 텍스트 분석을 하였다. 본 논문의 논의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뉘어 전개된다. 먼저, 1998년 이후의 공포영화 ‘장르’의 성격을 알아보기 위해, 한국공포영화의 산업적 제도적 문화적 존재기반을 살펴본다. 그리하여 1987년 이전 괴기영화가 소멸하고 1998년 공포영화라는 이름으로 부활한 이유를 분석하고, 또한 1998년 부활해 2004년까지 한국 공포영화의 전형이 된 ‘귀신영화’의 장르적 속성을 2000년 대거 제작된 ‘슬래셔’ 영화와의 비교를 통해 알아본다. 다음으로, 한국의 공포영화의 전형적인 괴물로 재현되는 ‘여귀’라는 개념은 어떤 사회적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촌스러운 귀신’의 변화과정을 텍스트의 비교분석을 통해 드러낸다. 그러나 이러한 작업의 궁극적 목적은 개별 영화들에 대한 단순한 ‘재현’ 비교가 아니라, 괴기영화와 공포영화라는 서로 다른 ‘산업’적 지형 내에서 각각의 영화들이 ‘여성’을 어떻게 그려내고 있으며, 그것이 어떻게 사회적인 징후성을 반영해내고 있는지 알아보는 데에 있다.지난 1987년의 민주화 투쟁이후, 리얼리즘 영화에 부여된 일종의 도덕적 가치는 괴기영화를 ‘천박한’ 장르로 인식하게 만들었고, 그리하여 충무로에서 공포영화 장르는 기피대상이 되었다. 그리하여 1998년 이후 공포영화의 부활은 수입해외 공포물에 필적할 만한 국내 공포영화의 성장으로 설명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2000년 장르적 관습에 충실하게 만들어진 ‘세련된’ 공포영화는 오히려 타겟층인 매니아도 끌어들이지 못했고, 1998년에 ‘여귀’와 ‘한풀이’를 뼈대로 삼은 <여고괴담>은 흥행에 성공함으로써, 2004년까지도 충무로에 여고생 귀신을 재생산하며, 귀신영화의 전형을 이루어 냈다. 본 논문은 한국 공포영화의 장르적 성격의 규명을 통해, 1998년 이후 한국 공포영화 부활의 원인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한국 공포영화에서 귀신이라는 존재는 괴물임에도 불구하고, 두려운 존재가 아니라 동정적 존재로서 나타난다. 그러나 친밀한 존재로서의 여귀는 공포영화에 귀환함으로써 오히려 ‘낯선’ 존재가 된다. 어리고 여성인 여고생들, 그래서 ‘뭘 할지 모르는’ 소녀들은 공포영화에서 ‘두려운 낯설음(uncanny)’의 공포를 불러일으킨다. 본 논문은 한국 공포영화의 사회적 역사적 성격에 대한 분석을 통해 “촌스러운 귀신”이 어떻게 한국 공포영화의 전형적인 괴물이 될 수 있었는지 알아보았다.

      • 트랜스여성의 노동과 복합적인 젠더실천

        김수영 연세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thesis explores how the labor experience of transgender women (hereafter transwomen) is constructed in South Korea. Transwomen practice gender that is different from the gender assigned to them at birth and encounter their identity and practice in disaccord with socially dominant gender norms in various areas. In particular, labor is the area most important and most challenging for transwomen to survive and plan life, and practice their own gender. In order to study the labor experience of these women, the researcher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10 transwomen and 1 transman in their 20s and 30s in various situations of employment who were recruited via online transgender communities. In addition, the researcher's experience in transgender human rights organizations in South Korea assisted in forming informal relationships with the participants. Transwomen's 20s and 30s are very crucial decades for their lives. It is during these decades they begin their working life to establish material base for the future and begin their gender performance, in earnest, as a transgender. The transwomen generally enter the labor market in situations where their legally assigned sex is male and their gender as women is not yet legally recognized. The Korean labor market identifies laborers based on the resident registration number system. That system indicates sex by the number that begins an individual's registration code – 1 and 3 as men, and 2 and 4 as women. Transwomen are identified based on this number. Once the gap between the assigned sex indicated by legal documents and the practiced gender is revealed, the body of transwomen is interpreted as an 'inappropriate body' that goes against the norm. Transwomen, under this circumstance, fail to secure employment and are driven to vulnerable labor conditions. One way to solve this problem is to acquire legal status and citizenship that conforms to their gender. In this case, legal gender recognition becomes more important as a measure to cope with vulnerability in the labor market. However, legal gender recognition in Korea involves blanket imposition of excessive number of requirements spanning from the removal of reproductive capacity and genital surgery to other medical procedures. The overwhelming cost of transition is left to each individual's capacity. Many transwomen seek to raise the money needed to attain their proper legal status through wage labor. However, since they do not have a legal status as a woman, these women are forced out to work under insecure conditions and are threatened in a vicious cycle of delayed gender reassignment surgery followed by deferred legal transition. In such a situation, transwomen use various strategies in the employment process and at the workplace to secure their labor stability. To enter the labor market, they use the strategies of disguise, coming out and persuasion in accordance with their own situations. How or whether their gender is interpreted by others becomes an important measure in deciding which of the gender images they should represent. As a result, most of them are considered to be non-trans woman or non-trans man in the workplace and are placed accordingly. They hide, express, deceive or persuade conforming to the gender norms their workplace identifies and expects of them. In addition, they cope with their precarious labor conditions by actively demonstrating their competence as a productive subject in the labor market at which gender normativity and meritocracy intersects; they develop and mobilize educational capital, foreign language skills and expertise, and sign up for over-commitment to work despite all the discrimination and absurdity at work. Another strategy is to seek jobs and employments that offer a particular type of stability and security allowing them to keep critical distance from institutionalized norms. How the transwomen of this research live their lives involves a concurrent and complex performance of the following: searching for a comfortable way to practice gender, responding to precarious labor conditions, and obtaining appropriate legal gender and citizenship. This is a lifetime and everyday struggle of creating a place to live as a woman in the intersection of labor norms and dominant gender system. By paying attention to the social contradiction and the complexity of gender performance revealed in their experiences, this thesis intervenes in the discourse of gender that neglects the question of survival and life, and questions the gender classification and norms that are assumed in workplace. It also criticizes the institutionalized gender norms of the Korean state which violates the individuals' body. The current Korean society renders diverse forms of life impossible and approves only a specific form of life to be worthwhile. The empirical research on the social life of transwomen is an important political project that can expand the social knowledge of gender diversity which will criticize and change the current one in the process. 본 논문은 한국에서 2-30대 트랜스여성의 노동경험이 어떻게 구성되는지 탐구한다. 트랜스여성은 지정받은 젠더와 다른 방식으로 젠더를 실천해나가며 법체계, 노동시장, 의료제도, 일상적 관계 등 사회지배적인 젠더규범과의 불화를 경험한다. 특히 노동 영역은 트랜스여성이 생존하고 자신이 원하는 방식으로 젠더를 실천하고 생애를 기획해나감에 있어 가장 중요한 영역인 동시에 가장 도전적인 영역이다. 노동 영역에 진입하게 되는 트랜스여성들은 노동 영역이 기반하고 상상하는 규범적 젠더와 자신의 관계를 면밀하게 포착하고, 그를 바탕으로 자신이 원하는 방식대로 젠더를 실천하고 노동하며 살아가기 위해 고군분투한다. 이러한 트랜스여성들의 노동 경험 세계를 연구하기 위해 연구자는 트랜스젠더 인권 단체에서 활동한 경험과 온라인 트랜스커뮤니티 활동을 바탕으로 연구참여자를 모집하였고, 다양한 직종과 고용상태에 있는 2-30대 트랜스여성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2-30대는 노동시장에 진입하여 물적기반을 구축해나가는 동시에 트랜스젠더로서 젠더수행을 본격화하는 시기로, 트랜스젠더의 생애기획 상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연구자는 2017년 1월부터 2017년 3월 사이에 10명의 트랜스여성 연구참여자와 1명의 트랜스남성 보조연구참여자에 대해 집중적인 심층면접을 진행하였다. 이러한 연구과정을 통해 본 연구가 트랜스여성의 노동 경험이 구성되는 방식에 대해 밝힌 바는 아래와 같다. 트랜스여성들은 대개 여성으로서 법적 지위를 가지지 못한 채 법적 성별이 남성인 상황에서 노동시장에 진입한다. 노동시장은 국가의 인구관리제도로서 주민등록제도에 기반하여 노동자의 신원을 확인하고, 트랜스여성의 성별을 주민등록 상 성별에 따라 판단한다. 법적성별이 지시하는 성별과 자신이 수행하는 젠더 간 간극이 드러날수록 트랜스여성의 몸은 규범에 어긋나는 '부적절한 몸'으로 해석된다. 그로 인해 지속적으로 취업에 실패하고 진입할 수 있는 직종이 제한되면서 이들은 취약한 노동상황으로 내몰리게 된다. 그를 해결할 수 있는 하나의 방안은 성별정정을 통해 자신의 젠더에 부합하는 법적 지위와 시민권을 획득하는 것이다. 이 때 성별정정은 노동시장에서의 취약함에 대처하는 방안으로서 더욱 중요한 의미를 띠게 된다. 하지만 성별정정은 생식능력제거, 성기성형술 등 의료적 조치를 포함하여 과도한 요건을 트랜스젠더에게 일괄적으로 강제하고 있으며, 그 과정에 필요한 고액의 비용을 개개인에게 부과하고 있다. 많은 트랜스여성들은 그 합당한 법적 지위를 얻는 데 드는 높은 비용을 임금노동을 통해 마련하고자 한다. 하지만 여성으로서 법적 지위가 없기에 취약한 노동상황으로 내몰리고, 그럴수록 성별정정은 유예되며 그 법적 지위를 획득하기 어려워지는 악순환 속에서 트랜스여성의 삶은 위협받는다. 이러한 상황에서 트랜스여성들은 취업과정 및 일터에서 다양한 전략을 발휘하며 자신의 노동안정성을 확보해나간다. 이들은 일터에서 자신의 젠더가 해석되는 방식 및 해석될 가능성을 파악하고 그에 따라 자신의 젠더를 숨기거나, 드러내거나, 속이거나, 설득해나가면서 자신의 노동지위를 유지하고 동료 및 직장을 변화시키는 일상적인 행위자성을 발휘한다. 그리고 이들은 젠더규범과 능력주의가 교차하는 노동영역에서 학력자본, 외국어능력, 전문기술 등을 계발·동원하고, 차별과 불합리를 감내하며 과도한 노동을 자처하는 등 자신이 생산성 있는 노동주체임을 입증하여 불안정한 노동 상황에 대처해나간다. 혹은 제도화된 규범에 대한 비판적 거리두기를 바탕으로 자신이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노동할 수 있는 직종과 노동형태를 모색해나간다. 트랜스여성의 생애기획은 자신이 원하는 방식대로 젠더를 실천해나가고, 트랜스젠더로서 겪는 불안정한 노동 상황에 다양한 방식으로 대응하며 노동해나가고, 성별정정을 통해 자신의 젠더에 적합한 법적성별과 시민권을 획득해나가는 동시적이고 복합적인 실천이다. 이는 노동규범과 지배적 젠더체계의 교차적 작동 가운데 자신이 여성으로서 살 자리를 만들어나가는 전생애에 걸친 일상적인 투쟁이다. 이들의 생애경험에서 드러나는 사회적 모순과 젠더수행의 복잡성에 주목함으로써 이 논문은 생존과 삶의 문제를 도외시하는 젠더수행 담론에 개입하고, 노동현장에 당연시된 젠더구분 및 규범에 문제제기한다. 또한 현재 국가가 현재 개인의 신체에 대해 강압적인 개입과 폭력을 행사하며 유지하는 제도화된 젠더규범을 비판한다. 현재 한국 사회는 특정한 삶만을 살 만한 삶으로 제시하며, 그와 다른 다양한 삶의 양식을 불가능한 것으로 만들고 있다. 트랜스여성의 사회적 삶에 대한 경험 연구는 젠더 다양성에 대한 사회적 지식을 확장함으로써 그 구조화된 권력관계에 비판적으로 개입하는 중요한 정치적 기획이다.

      • 청년 이주민의 대안적 활동과 농촌성의 변화 : 'A네트워크'를 중심으로

        이경은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thesis attempts to identify what dynamics and changes to rural districts are engendered with the urban-rural domestic migration of young Koreans, who assume rural communities as an alternative space to capitalist society, by analyzing the experiences of the young migrants. The Korean rural regions have had a crisis of population decline. The Korean government and municipalities have searched for many policies to encourage a population increase, and young Koreans have used these policies to their advantages. What are at odds, however, are the nature of the activities and the space thereof created by the migrant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ventional patriarchical and agriculture-based rural communities, which this research refers to as "rurality."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observe and analyze the point of these clashes, and to re-construe Korean rurality not as being agriculture and production centered as it once was, but as being multi-layered and inventive. The methodologies primarily employed for this thesis were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 over the course of 6 months in a county (hereinafter "Chung-san county") in South Chung-cheong province in western part of South Korea. Conducting a fieldwork on 'Network A', a young urban-rural migrants' community inside Chunsan county, the thesis interviewed 10 young Korean internal migrants of Network A, 4 people associated with the Network, 2 Korean migrants outside the circle of the Network, and 7 young local residents native to the district. Network A is a community that clearly defines its feminist aims and mainly consists of female members. It has opened and run an array of club activities and seminars with the public fund, which is intended to support young domestic migrants' settlement, from Chung-san county government and South Chung-cheong municipality. The Korean government's urban-rural migration policies for young Koreans are intended to foster young farmers who can sustain the rural role of agricultural production. What it overlooks is the fact that there exist high barriers to entry - such as the capital investment in facility and scale, the cost of living for the time required to produce yields and to convert output to revenue, the lack of access to agricultural knowledge and techniques, and the time needed to acquire such information - for a novice to pursue farming. Moreover, young migrants are dispensed with the chance of receiving an economic support of the rural community where the male gender and family relations take precedence over other conditions. The discrimination and sexual threats women migrants receive from the existing rural social structure impede their safe stay in the community. Rural social order is bolstered by male-dominated hierarchy and maintained with the lethargy and resignation of the vast majority of the residents. The members of Network A are new agents unwilling to adhere to such established order. They build a new culture by digressing from the existing economic structure with the public resources offered to young people by the rural communities. Network A attempts to create a new layer of life outside the establishment, keeping its distance as much as it is allowed. It forms a new everyday-life space that deviates from, rather than that changes, the mainstream rurality. Its members add an unprecedented young culture to the rural community by sharing residence and engaging in new types of spacial practices such as club activities, camping, organizing local events, and starting a business via local cooperatives. Their work and life remake and reconfigure a rural community away from a homeogenous farming society in decline and into a patchwork of diverse spaces for new exploration. The alternative activities of young Koreans analyzed in this thesis are an endeavor that overcame the limitation of production-centered rurality, and suggest that the future urban-rural migration policies should encourage diverse social experiments rather than fostering future agriculturalists. 이 논문은 농촌을 소비 자본주의의 대안으로 상상하고 이주한 청년들의 경험을 분석하여 이들의 활동이 어떻게 농촌 지역의 역동과 변화를 가져오는지를 해석한다. 이러한 변화는 농촌의 인구 감소 위기를 배경으로 한다. 중앙정부와 지자체는 농촌 청년 인구의 증가를 위해 여러 지원 정책을 모색하고 있으며, 이들 청년은 이러한 지원 정책을 통해 자신들의 필요를 실현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이 활동을 통해 생산하는 공간의 성질은 기존의 가부장적이고 농업 생산 중심적인 농촌성과 충돌한다. 이 충돌을 관찰하고 분석하여 한국의 농촌을 농업 중심의 생산주의적 농촌성에서 다층적이고 창조적인 농촌성을 지닌 공간으로 재해석하는 것이 이 논문의 목표이다. 이 연구는 충남 청산군(가명)에서의 6개월 동안의 참여관찰과 심층 면접을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심층 면접은 ‘A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는 이주민 청년 10명과 A네트워크 외부의 이주민 청년 2명, 선주민 청년 7명, 그 외 A네트워크와 관계된 성인 4명을 대상으로 했다. A네트워크는 여성주의적 지향을 명확히 하며 주요 활동가들 역시 여성이다. 이들은 청산군청과 충청남도의 공적 지원금을 통해 다양한 동아리 활동 및 강좌 개설 등을 하고 있다. 이를 통해 이 연구에서 분석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중앙정부의 청년 귀농·귀촌 정책은 농촌의 농업 생산이라는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 청년 농업인을 육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러나 규모와 시설을 갖추기 위한 투자 비용, 작물을 생산하여 환금이 되는 기간의 생계 비용, 정보와 기술 습득 경로에 대한 낮은 접근성과 습득에 필요한 절대적 시간 등으로 인해 농업 영역에서 신규 인구에 대한 진입장벽은 매우 높다. 또한 남성 성별과 친인척 회로를 따라 흐르는 농촌의 경제적, 사회적 자원은 이주민 청년에게 닿지 않으며, 특히 여성 청년에 대한 차별과 성적 위협은 이들을 안전하게 머물지 못하게 한다. 기존 농촌 사회의 질서는 남성적 위계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는 대다수 주민들의 무기력과 체념을 통해 유지된다. A네트워크는 이러한 질서를 따르지 않으려 하는 새로운 행위자 집단이다. 이들은 농촌에서 청년에게 제공되는 공적 자원을 활용하여 기존 경제 구조의 진입장벽을 빗겨나 새로운 문화적 영역을 구성한다. 이들은 선주민 사회와 대립하지 않고 가능한 만큼의 거리를 두며 외부에서 새로운 층을 구성하고자 한다. 그를 통해 농촌의 주류 사회를 변화시키기보다는 주류 사회 외부에서 새로운 일상 공간을 구성한다. 이들은 주거 공간을 공유하고 동아리와 캠프, 지역 내에서의 행사, 협동조합을 통한 창업 등 다양한 방식으로 농촌 공간에 기존에 존재하지 않았던 청년 문화를 더한다. 이들은 이러한 활동을 통해 고령화로 소멸되어 가는 단일한 농촌이 아니라 새롭게 시도되고 실험되는 다양한 공간들의 패치워크로서의 농촌을 형성한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대안적 청년 활동은 기존의 생산 중심적 농촌성의 한계를 극복한 것으로서 향후 청년 귀농·귀촌 지원 정책이 농업 후계자 지원외의 다양한 사회적 실험을 지지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함을 시사한다.

      • 거주민의 경험으로 본 상암동의 역사적 변화

        박서영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thesis is a case study of the historical transformations of SangAm-dong through the lived experiences of its local residents. SangAm-dong had been known as its island called NanJi-do, that has been used as a landfill site for 14 years while Seoul expanded at a tremendous speed during South Korea''s industrial modernization. From the late 1970s to 1990s, it remained isolated with the residents who lost their farm lands in NanJi-do and urban poors. In 1998, however, the government decided to build a soccer stadium for the 2002 World Cup in SangAm-dong, completely transforming its landscape. The City of Seoul now envisions huge apartment complex along with 'Digital Media City', a prominent and lucrative media, entertainment, and business district as part of its 'SangAm New Town' project, and suits its designation of ''global'' city.Metropolitan cities in Korea have always been transformed through state-led planning and capital. Critical studies, in turn, have usually focused on the politics of this transformation, looking at how these major actors materially and symbolically transform urban spaces. In contrast, this study focuses on SangAm-dong as a place that is lived and experienced by its local residents. Using the voices of 'insiders', it attempts to critically highlights the 'top-down' nature of much of South Korea''s urban transformation.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 explores the local history of SangAm-dong using a two-pronged approach. First, it discusses the two 'histories' of SangAm-dong, the 'official' history created by state and capital and the 'personal' history created through the experiences of its local residents. Second, through in-depth interviews, it examines the conflict and contradictions that are generated within the interviewees'' lives by these changes. The researcher conducted fieldwork in SangAm-dong from January to June 2004, including the participant-observation in local private and community meetings along with the interviews with 23 local residents. The interviewees are diverse from the 86 years old female who have lived in SangAm-dong from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o the new resident who moved to this area in 2003. Viewed from the interviewees'' life histories, SangAm-dong is a multi-layered place revealing people settling down in various ways and still dwelling here despite such a change. Their livelihood, the social isolation caused by the waste, and insecure tenure on land and the house have shaped their life and memory in this place. Through the life course, they have cultivated a sense of belonging and ownership that is different from the administrative and economic definition of property. The research then investigates how the interviewees experience and react to the middle class apartment complex, World cup event, 'World Cup shopping mall', and the 'eco-city' NanJi public parks. The interviewees are included and excluded by these spatial changes and symbolic representations led by the state-coordinated planning project and the entry of capital. Facing and negotiating with such contradictions, they are trying to position themselves as 'original residents' in this place. SangAm''s case shows that it is no longer possible to understand an urban space through the discourse of an antagonistic relationship between the power and the collective resident group. Even though SangAm-dong currently exhibits many features of world''s postmodern cities with its emphasis on interplay of spaces of consumption, entertainment, and eco-friendliness, this 'top-down' transformation betrays the traces of modernist urban projects that are typical of Asian cities. The dramatical transformation of SangAm-dong from an outcast land to the most desired residence in Seoul obscures both the historical context and the presence of its local residents. This research argues that the superficial image and the power that constitute current SangAm-dong are contested by the residents who recall the erased past, reinterpret the present, and position their future in this place. This research suggests that the memories and the narratives of local residents who have experienced and participated in the urban transformation should be regarded as important knowledge that can enable us to better understand the cultural politics of urban places. It also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local historical contexts, which cannot be captured using macro-level analysis of urban space. 이 논문은 서울시 상암동의 역사적 변화를 거주민들의 경험으로부터 분석한 연구이다. 쓰레기 매립장 ‘난지도’로 잘 알려진 상암동은 2002년 월드컵 경기장 건설을 계기로 크게 변모하였다. 서울시는 이곳에 대규모 중산층 아파트 단지와 첨단 산업 및 주거단지인 디지털미디어시티를 건설함으로써, 이른바 ‘동북아의 중심지’이자 ‘최첨단 신도시’를 구축하는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한국의 도시는 항상 국가 및 도시정부와 자본에 의해서 변형되어왔고, 이에 대한 비판적인 연구도 그러한 권력이 물리적, 상징적으로 작동하는 방식과 공간의 정치학들을 주로 다루어왔다. 그러나 본 연구는 상암동이 구체적인 역사적 맥락과 행위자들의 사회적 실천이 교차하며, 내부 거주민들이 주관적인 감정과 의미를 부여하고 해석하는 장소(place)라는 데 초점을 두었다. 그리고 개발에 의한 상암동의 변모와 장소성의 인위적인 형성을 내부의 목소리를 통하여 비판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표를 가지고 연구는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첫째, 상암동이라는 장소 형성을 자본과 국가가 각축적으로 이끌어온 공식적이고 거시적인 역사적 과정과 거주민의 생애사로 이루어지는 개인적이고 미시적인 역사적 과정의 두 축으로 파악하였다. 둘째, 최근 상암동의 변화를 거주자가 어떻게 경험하는지 심층 면접을 통하여 알아보면서, 상암동에 관철되고 있는 힘이 개인의 삶에 어떠한 모순을 일으키고 있는지 분석해보았다. 이를 위하여 2004년 1월부터 6월까지 상암동의 주민 모임이나 쓰레기 소각장 농성 건립 반대운동, 주민 자치회의 등에서 참여관찰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쓰레기 매립 이전부터 상암동에 살아온 사람들을 중심으로 거주민 23명을 심층 면접 하였다.연구 참여자들은 이주와 정착의 시기와 패턴에 따라서 나누어볼 수 있었다. 예를 들어 자신을 ‘토박이’라고 부르며 일제시대 상암동의 기억부터 가지고 있는 80대 여성에서부터 1960년대 이후 인구 집중 시기에 ‘제2의 고향’으로서 상암동에 정착한 도시 빈민, 1979년 시작된 쓰레기 매립을 계기로 이 공간에 편입한 ‘난지도 주민’이나 2003년 아파트단지의 건설 이후 신규 입주한 주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범주의 사람들이 상암동을 역동적으로 구성해왔다. 생계 양식과 토지 및 가옥의 소유 여부, 쓰레기 매립으로 인한 사회적 고립, 그리고 ‘신도시’의 건설이 주는 가능성과 또 다른 소외가 이들이 기억하는 거주경험을 구성해온 중요한 요소이다. 상암동에서의 생애 경로를 통하여 거주민들은 경제적, 행정적 의미와는 구별되는 소속감이나 소유 의식을 구축해왔다. 그러나 이는 최근 신도시 아파트나 월드컵 이벤트 및 쇼핑몰의 조성, 친환경적인 난지도 생태 공원 등 상암동의 새로운 장소성을 구성해주는 조건들과 충돌하게 된다. 각각의 지점에서 공간을 구축하는 국가주도적 개발정책과 자본의 유입, 거주민이라는 세 행위자의 실천과 경합이 드러나며, 연구 참여자들은 상암동의 ‘원주민’으로 자신을 공간 안에 위치 지우려는 시도를 보인다. 상암동의 사례는 권력과 이에 대항하거나 소외되는 집합적 거주민 집단이라는 이분법적 구도만으로는 도시 공간을 파악할 수 없다는 것을 말해준다.소비, 오락, 문화, 친환경적 기호의 상징적 결합으로 구축된 상암동의 현재 이미지는 과거의 역사와 내부에 존재하는 다양한 거주민들의 존재를 비가시화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를 추동한 역사적 맥락을 살펴보면 개발의 거시적 힘이 획일적으로 관철되는 아시아적인 근대적 도시 건설의 전형을 관찰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거주민들이 삶의 경험 속에서 장소의 변화를 역사화 하는 과정을 그들의 서사를 통하여 살펴보았다. 그리고 연구 참여자들이 삭제된 과거의 경험을 끊임없이 복원하고 상암동의 현재적 의미를 재해석 하며, 스스로의 미래를 이 장소에서 전망함으로써 장소의 표면적인 이미지와 이를 구축하는 권력을 해체하고 있음을 드러내었다.이러한 논의를 통하여 본 연구는 변화를 삶의 조건으로 경험해온 거주민의 기억과 그 서사(narration)가 도시 공간과 장소를 이해하고 연구하는 데 중요한 지식이자 장소의 문화정치학을 분석할 수 있는 해석적 준거라는 점을 부각시키고 있다. 또한 거시적인 도시 공간 연구에서는 포착될 수 없는 역사적 맥락과 경험의 고려가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한다.

      • 전 일본군 '위안부' 생존자 '증언'의 정치학

        Sakamoto, Chizuko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1945년 일본이 제2차 세계 대전에서 패할 때까지 일본군이 조직적으로 관리한 일본군 ‘위안부’ 제도 하에 성노예로 심신이 모두 큰 피해를 입고 오늘까지 살아온 ‘서바이버(survivor)’ 여성들의 ‘증언’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 것이다. 일본군 ‘위안부’ 제도는 한국과 일본의 가부장적 사회를 기반으로 해서 전쟁 당시 일본 군인들에게 발생하는 정신적인 모든 문제(불만, 공포감, 성욕해소 등)를 여성의 몸을 통해서 해결하고자한 성범죄이다. 당시 일본군이 있는 곳이라면 어디나 ‘위안소’가 존재했다. 피해자 여성들은 전쟁터라는 생명의 위기가 존재하는 공간에서 군인들에 의한 여러 폭력들(구타뿐만 아니라 성폭력, 기타 정신적인 고통을 주는 폭력도 포함)에 견뎌야만 했다. 1990년대에 들어서 살아남은 한국인 서바이버들이 그러한 고난에 대해 목소리를 내기 시작하면서, 당시에 당한 억압적 경험뿐만 아니라 그것을 현재까지 안고 살아온 고통을 증언하기 시작하였다. 오늘날 아시아뿐만 아니라 각 지역에 숨어있던 서바이버들이 나타나 국제연대를 이루고 있다. 이렇듯 일본군 ‘위안부’였던 서바이버들이 나서서 증언을 하기 시작하면서, 이들의 증언을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의 문제에 대한 입장차이가 나타나게 되었다. 증언이라는 일회성인 행위에 대해 늘 같은 말(증언의 동일성)이나 기억의 확실성(증언의 진실성)이 요구되어 증언자와 증언에 대한 청취자의 통제가 이루어지게 되었다고 본다. 이러한 상황에서 원래 말하고 싶은데도 구술할 수 있는 증언이 점점 단순화되어 갔고, 이런 맥락에서 증언자 자신도 공식과 사적 공간에 이뤄지는 증언을 스스로 구분·통제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전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에게 나타난 증언의 다층성과 그 역할에 주목하여 논의를 진행한다. 이는 이들의 증언을 역사에 남겨야 한다는 사회적 및 역사적인 역할뿐만 아니라 개인의 마음 상처를 치유하기 위한 유력한 수단으로서 증언 역할에 강조점을 두기 위함이다. 이것을 위해 증언의 개념을 넓혀서 공적과 사적 영역에서 나오는 이야기(narrative) 모두를 증언으로 보고 증언에 대해 보다 깊은 분석을 시도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논의 전개는 다음 같다. 우선 증언이 가지는 다양한 역할을 개념화하고 본 연구에서 보고자 하는 영역인 일본군 ‘위안부’ 경험을 가진 생존자들의 증언에 대해 부각시켰다. 그 다음에 문헌검토를 토대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뿐만 아니라 전쟁범죄 피해자 및 성적 피억압자들의 증언에 대한 연구 성과를 살펴보면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의 마음의 상처와 증언(이야기하기)과의 관계를 보다 뚜렷하게 보여주었다. 그리고 공적 영역과 사적영역에서 서로 다르게 나타나는 증언에 대해 분석하였다. 여기서는 증언의 다층성과 일회성을 보여주면서 당사자가 사회, 커뮤니티와 상호작용을 하는 과정을 보여주고 그 안에서 당사자의 의식 변화와 함께 사회가 증언을 이용할 때의 문제점도 지적하였다. 마지막으로 나와의 사이에서 좋은 라포르(rapport)가 형성된 당사자 2명을 택하여 참여관찰과 인터뷰를 통해서 사적 관계에서 보여주는 그들의 고민, 갈등, 그리고 스스로를 임퍼워먼트(empowerment)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전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의 증언은 우리 사회, 혹은 우리의 모습을 반영한다. 증언을 위해 당사자들을 소모시키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호명과 호소를 증언에 담아서 우리 앞에서 말(narrative)하는 그들에게 듣는 자는 어떤 식으로 응답해야 하는 지에 관한 ‘응답책임’을 논의하는 것이 시급하다.

      • 가구화(Householding) 과정에서 나타난 미등록이주여성의 가족관계의 변화에 관한 연구

        류유선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599

        이 논문은 이주과정에서 미등록이주여성이 사랑과 결혼, 출산과 양육 등 가족을 구성하고 유지하는 맥락을 통해 변화중인 가족관계를 여성의 관점에서 해석하는 연구다. 이는 기존 연구가 재생산영역과 노동이라는 분리된 범주로 논의된 것에 대한 문제의식으로, 이주여성연구가 생애과정의 한 단계로써 결혼과 임신, 출산과 양육뿐만 아니라 노동을 동시에 수행하는, 생산과 재생산을 통합적으로 수행하며 가족만들기를 실행하는 여성개인과 이들이 재구성하고 재생산하는 가족에 대한 분석으로 확장되어야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미등록이주여성의 가족만들기를 가구화로 분석함으로써 ‘불법성’이라는 이주국의 사회적 조건 속에서 가족유지를 위한 여성의 적응력과 협상력을 통해 이주와 여성에 대한 연구틀을 확장하려는 의도이다. 본 연구는 국가가 금지하는 ‘불법’지위로 체류하고 있는 A공단의 이주여성이 형성하고 유지하는 ‘가족’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이들 여성에게 가족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기반한다. 즉 이주를 결심하게 된 동기 가운데 하나인 본국의 가족 및 이주국 로컬에서 새롭게 형성한 가족을 유지하기 위해 이주여성이 경제적 지원과 ‘사랑’과 ‘모성’과 같은 친밀성을 어떻게 배분하고 있는가를 살폈다. 사회적 재생산의 기본 단위인 가족은 국가의 정책과 이데올로기적 담론뿐만 아니라 구성원들이 처한 사회적 조건 및 맥락에 대한 개개인들의 상호작용을 통해 변하기 때문이다. 가족구성원들의 의식과 이들의 생활세계를 연결하는 삶의 형식, 문화로써 가족이 변화하고 있으며, 변화의 근거를 미등록이주여성은 이주국 로컬에서 형성한 가구구성 원리로 삼고 있다. 세계경제의 재구조화 및 신자유주의적 세계화에 따라 개인 및 가족의 재생산을 스스로 책임져야하는 상황에서, 여성이주의 증가는 ‘이주의 여성화’나 ‘초국적 가족’ 및 ‘초국적 모성’의 개념으로 분석되었고, 남성중심의 이주체계에서 여성이주는 재생산영역 일자리나 가족으로 수렴되었다. 마찬가지로 이주민 유입역사가 30여년이 되어가는 한국사회의 이주논의는 다문화가족 및 이들이 출신국과 맺는 초국적 관계에 집중되었다. 이는 본국과 이주국이라는 경계를 넘어 재생산을 실천하고 있는 이주여성의 생활세계를 본국이라는 국가주의적 틀로 상정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런 현상에 대한 비판에서 시작한 본 논문은 로컬에서 미등록이주여성이 형성하는 가족을 신자유주의적 세계경제체제 내의 이주와 국민국가의 법, 그리고 성별분업이데올로기가 만나는 장소로 본다. 여기서 초점은 이주과정에서 여성들이 새롭게 형성한 가족으로, 이들이 이주국 로컬에서 가족을 형성하고 유지하는 규범과 방식의 분석, 본국 가족과의 관계협상을 통해 가족의 변화를 드러내려 한다. 이주체계의 하층에서, 이주국 법의 외부에서, 본국 문화규범의 가장자리에서 개인의 재생산을 실천하기위한 미등록이주여성의 전략을 보기 위함이다. 따라서 이주과정에서 연애와 동거, 결혼, 출산과 양육을 실천하는 미등록이주여성의 경험을 가족의 가구화라는 관점으로 보기위해 ‘불법성’이 가구형성 및 이주여성의 가족개념에 미치는 영향과 그 맥락을 해석했다. 연구는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특정 지역에 거주하며 노동하고 있는 미등록이주여성의 가구를 중심으로 심층면접과 참여관찰을 병행했다. 무엇보다도 본 연구는 이주여성의 관점을 취하기 때문에 이들 자녀에 대한 참여관찰 내용은 연구에서 적은 양을 차지한다. 그러나 미등록이주여성의 자녀가 있는 보육실에서 수행한 참여관찰은 아이들과의 관계뿐만 아니라 부모들과의 관계, 나아가 이들을 이해하고 신뢰를 쌓는데 도움을 주었다. 아이들의 이야기는 부모의 이야기이기도 했고, 부모의 이야기는 바로 아이들의 이야기였다. 이런 측면에서 보육실 참여관찰은 심층면접의 중요한 기초자료가 되었다. 참여관찰은 2012년 7월 한 달과 2013년 3월부터 12월까지 총 11개월 동안 A공단에 있는 B보육실에서 이뤄졌다. 심층면접은 2013년 4월부터 12월까지 총 47명을 진행했다. 연구자는 이주과정에서 미등록이주여성이 남성파트너를 만나 가족을 형성하는 입장에 초점을 맞춰 심층면접을 진행했다. 신자유주의적 지구화로 촉진되는 ‘이주의 여성화’ 맥락에서 미등록이주여성이 형성하는 가족은 기존 가족개념의 불안정화에 기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출생과 결혼으로 만들어지며, 동일한 장소에서 유사한 생애과정을 경험한다는 기존 가족 개념은 이미 두 개 이상의 국가에 떨어져 살면서 소속으로 유지되는 초국적 가족으로 인해 개념적 확장을 이뤘다. 그러나 여성의 무한책임으로 지속되는 초국적 가족은 가족을 여성의 영역 내에서 분석함으로써, 가족을 유지하는 여성의 적극적 행위자성을 재생산영역에 한정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각자 임노동을 통해 수입을 증대하고 가사노동 및 자녀양육을 공유함으로써, 생산과 재생산을 통합하는 ‘가구화’를 이주여성이 경험하는 가족의 분석틀로 제안하고 있다. 이들 여성은 가족에 대한 절대적인 충성과 희생을 거부하고, 가입과 탈퇴가 가능한 가구로 가족을 의미화한다. 따라서 가족은 영구적인 귀속의 장소가 아니다. 현재 자신의 안전과 재생산에 가장 적합한 가구를 가족으로 정의하며, 개인적 기준에 따라 가족의 범주를 설정한다. 개인화된 가족 범주 설정과 의미화는 기존 가족 개념 및 이데올로기에 균열을 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들 여성이 실천하고 있는 가구화가 기존 가족개념을 위반하거나 해체하는 방향만으로 나아가고 있다고 주장하기는 어렵다. 이들 여성은 가족을 통해 비존재의 존재, 문턱에 걸쳐 있는 예외상태의 존재, 존재하되 재현되지 않는 위법자의 정체성이 아닌 지역민이자 거주민으로 인정받기 위해 지속적으로 가족을 호출하고 있다. 이들 여성은 불변의 소속으로써 가족이라는 전통적 가족개념을 고수하면서도 현실 생활에서 임시적이고 비공식적인 가족관계를 형성함으로써 현대 이주자가족 구조를 불안정하게 하고 있는 셈이다. 따라서 이들은 본국의 가족규범을 내재화하고 있지만, 이들이 처한 이주국의 ‘불법’이라는 조건은 오히려 국민국가가 강화하려고 하는 가족개념으로부터 비교적 자유로울 수 있는, 다양한 가족관계를 생산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국가주의적 관점에서 국민과 비국민, 합법과 불법이라는 위계화와 범주화를 통해 타자를 명확히 하고 내적 동질성을 확보하려는 국민국가의 법이 타자들 내부의 다양성과 역동성을 촉발하는 조건이 되기도 한다. 경제적으로 부를 획득하고 자녀교육을 성공함으로써 계급재생산 및 상승을 완수하며, 감정적 유대를 통해 가족관계를 유지할 거라는 믿음과 기획을 바탕으로 시작된 초국적 가족은 가족이데올로기와 상상 속에 존재한다. 가족을 위한 이주는 자본축적을 위한 이주로 변환되고, 이 과정에서 가족은 자본축적을 위한 가장 효율적인 방식으로 재구조화 된다. 가족을 위한 이주노동의 목표는 자본축적으로 변하면서, 가족은 오히려 이주의 수단이 되고, ‘함께 살아야한다’는 가족개념에 균열을 가하면서, 이데올로기적 가족개념의 실천을 연기하게 한다. 엄마나 아내, 딸이라는 가족 내 위치와 역할이라는 젠더적 정체성보다 수입을 극대화하는 노동자 정체성이 중요해진다. 신자유주의의 지구적 확산으로 가족 재생산의 위기에 처한 여성들은 경제적 안정을 위해 가사노동이나 양육보다 임노동에 더 많은 시간과 열정을 투자하면서, 숙련공의 위치를 획득함으로써 노동자성을 인정받고 지역재생산의 필요한 거주민으로 인정받으려 노력한다. 여기서 가족 내 여성의 위치를 넘어서는 노동자성은 이주여성 주체에 대한 새로운 사유 장소를 제공한다. 본국의 가족에게 이주여성은 가족구성원 노동자로 남아야하지만, 이주국은 이들 여성이 보이지 않는 노동자로 남을 것을 요구한다. 그러나 이주여성은 국민국가, 자본과 가족이 요구하는 일정한 틀에 머무르지 않는다. 미등록이주여성은 사회적 각 힘들의 일방적 요구를 부인하고, 구체적 실행을 통해 스스로가 가족규범을 재기입한다. 노동과 가족, 생산과 재생산을 재구성하는 이들 여성의 가족실행은 가족이데올로기와 젠더이분법을 혼란시키고 있다. 가족규범을 내재화하고있는 이주여성이 가구화로 가족서사를 재구성하면서, 이들이 생산하는 차이와 다양성을 근거로 가족개념은 변화하고 있다. 불안한(precarious)노동시장에 편입된 이주여성에게 가족형태 및 관계는 개인의 정체성과 역사를 설명할 주요 참조체계가 된다. 가족규범의 가장자리에서 가족을 유지하려는 이들 여성의 가구실행은 신자유주의가 요구하는 유연한 노동자이자 이동가능한 개인일 때 가능하게 된다. 종족적, 종교적, 젠더적 규범이 복잡하게 얽혀있는 가족유지는 가족규범의 질적변화 없이는 불가능한 것이 되어가고 있는 셈이다. 이주국 로컬에서 미등록이주여성이 구성하고 유지하는 가족은 개인이 내재화한 가족이데올로기, 가족문화, 젠더질서 등과 갈등한다. 이주여성이 실행하는 가구화는 국민국가의 법과 신자유주의적 경쟁이 조건화하는 생활세계의 불안정성과 불확정성을 최소화하기 위한 재생산전략이자, 이주국 로컬이라는 특수한 배경에서 실행되는 이주여성의 젠더화 된 이주전략으로 해석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여성의 가구화실행을 가부장적 가족문화나 젠더문화에 대한 저항을 실천하는 새로운 가족문화 혹은 여성주체의 등장으로 설명하기는 어렵다. 이들의 가구화는 신자유주의적 지구화가 진전되면서 개인의 책임 하에 맡겨진 개인의 재생산을 실행하는 생존을 위한 실천이다. 미등록이주여성의 가구화는 재생산영역의 이주주체여성에 생산자로서 행위자성을 더하는 현상일수 있지만, 한편으로는 생존이라는 명분으로 프로젝트화 된 자본주의적 가족의 다른 형태일 수 있다. 법적,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다양한 한계와 제약 속에서 이들 ‘불법’이주여성은 가족이라는 정상적 절차와 형태를 벗어난 가구화를 실행함으로써, 여성에게 희생을 강요하는 아시아의 실용적 가족주의와 신자유주의가 내포하는 보수적 가족이데올로기를 약화시키는 실천하는 행위자로 거듭나고 있다. 이주여성의 가구구성 경험은, 이들 여성의 상황에 따른 유연한 협상력을 보여준다. 불안하고 유동적인 생활세계에서 이들 여성이 보여주는 가구화는 연애-결혼-출산이라는 표준적 가족 탄생 과정과 아버지와 엄마, 그리고 자녀로 구성되는 정상가족의 고착성과 엄격성을 보여줌과 동시에 정상가족이 내포하고 있는 가부장적인 젠더이분법의 근거의 불확정성을 보여준다. 이런 차원에서 이들의 가족실행은 정상가족 이외의 다른 형태의 가족관계를 인정하는 가족개념의 수정이나 재구성에 머무르지 않는다. 오히려 이들은 다양한 형식의 결합과 유연한 결합으로 이뤄진 가족을 보여줌으로써 지속가능한 가족관계를 재사유하게 한다. 자본주의적이고 국가주의적인 이데올로기를 따르는 가족을 정상으로 규정하는 담론들은 미등록이주여성의 가구화 과정 속에서 새로운 번역을 기다리고 있다. 그 번역은 이주와 함께 법적, 문화적, 사회적 정체성의 하향이동을 경험하고 있는 미등록이주여성이 스스로의 위치를 재구성하려는 협상과정을 가시화하는 노력이어야 할 것이다.

      • 디지털 테크놀로지와 노동의 시·공간적 확장

        신도연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thesis examines how white-collar workers in their 20s and 30s engage in labor on mobile messaging applications which dismantle the previous time-space boundary of work. It researches about the discipline and control that make them embody the resulting long hour performance of work, and analyzes how the workers respond to the work-discipline enforced upon them by the instantaneity of mobile messaging. The long hour labor discussed in this thesis which is the work performed on a mobile messenger that blurs the time and space boundaries of communication has emerged as a social problem.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provide a critical analysis on this issue and to suggest countermeasures. The researcher used in-depth interview, literature review and discourse analysis for the methodology of this thesis. Thirteen Korean office workers in their 20s or 30s, who have high rates of smartphone usage, participated as informants for the in-depth interviews between February and March of 2017. The finding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a mobile messenger functions as a virtual workplace that is an extension of physical work space. It creates the effect of enforcing workers to work through self-censorship regardless of the time and space of work which they initially agreed upon. Workers perform work outside their contractually negotiated hours because communication on the mobile messenger demands immediate action and intimacy. This demand of intimate responses on the mobile messenger is combined with the hierarchical order existing in the workplace to compel workers to perform emotional labor. Second, workers who are subordinated to the extended working hours are reacting to the current labor system by securing their own time and space, which attempts are made through the use of digital technology. Workers whose working hours have been extended through smartphones use the smartphones to engage in activities which are perceived as 'taking rest', such as hobbies or access to information of their interests online. This contradiction results in blurring not only the temporal boundaries but also the spatial boundaries of work and life. Third, the researcher argues that government intervention is needed in the negotiation on work hours and work disciplines between workers and corporations. The workers do not hold equal status as the corporations in negotiating work hours but the labor with ambiguous time-space boundaries continues to be imposed upon them. This situation demands counter-measures prepared at government level. France, which presented institutional measures against expanding working hours through the use of smartphones, decided to prohibit corporations from demanding workers to work outside the working hours based on the "right to disconnect". Germany introduced measures to block company e-mail servers in order to prevent workers from sending or receiving e-mails outside of working hours. The Japanese government is taking measures to the social issue of long working hours as these have caused overwork suicides and deaths. In Korea, a bill introducing the “right to disconnect” was proposed. Korean workers in their 20s and 30s today are experiencing the expansion of working hours which is sustained by the hierarchical order of workplace, and are forced to perform emotional labor. The interface characteristics of mobile messengers contribute to implementing work discipline and control. Workers are responding to this situation by securing private time and newly defining this time. This thesis argues that the issue should be resolved by providing detailed classification in identifying what is working hours and by initiating related measures. 본 논문은 시∙공간적 경계를 해체하는 모바일 메신저 상에서 이루어지는 업무, 이로 인해 장시간 노동의 수행을 내재하게 하는 규율과 통제에 대해 분석한다. 나아가 즉각적 반응을 이용해 강요된 노동 규율에 대한 20-30대 직장인들의 대응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가 다루는 장시간 노동은 소통의 시∙공간적 경계를 해체하는 모바일 메신저 상에서 이루어지는 업무이며 사회적 문제로 부상했다. 이에 대한 비판적인 분석을 진행하고 대응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를 위해 심층면접과 문헌조사, 담론 분석을 이용했다. 심층면접은 2017년 2월에서 3월 사이에 진행되었으며, 스마트폰 이용률이 높은 한국의 20-30대 사무직 직장인 13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고, 이를 통해 도출한 분석은 다음과 같다. 첫째, 모바일 메신저는 물리적 직장 공간의 연장선상에 있는 직장 공간의 역할을 수행하게 한다. 이는 직장인들로 하여금 자기 검열을 통해 지정된 업무의 시∙공간과 무관하게 노동자로서 일하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모바일 메신저가 유발하는 즉각성과 친밀성이 커뮤니케이션에 요구되면서 직장인들은 자신이 계약상 협의한 노동 시간 외에도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또, 친밀성의 표현이 요구되는 모바일 메신저 공간과 직장 내 존재하는 위계질서가 결합되면서, 직장인들은 업무뿐만 아니라 감정 노동의 수행을 강요 받는다. 둘째, 확장되는 노동시간에 예속된 노동자들은 자신 고유의 시간과 공간을 확보하려는 방식으로 현 노동 체제에 대응하고 있으며, 이러한 시도는 디지털 테크놀로지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노동시간이 스마트폰을 통해 확장된 상황에서 직장인들은 스마트폰을 이용해 취미나 관심사에 접속하여 휴식을 취한다고 믿게 되고, 이러한 모순성은 일과 생활의 시간적 경계뿐만 아니라 공간적 경계까지 흐려지게 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셋째, 연구자는 노동자와 기업 사이의 노동 시간 및 규율의 협상에 있어 정부가 개입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현재 노동시간의 협상에 있어 기업과 노동자의 관계가 동등하지 못하며, 시∙공간적 경계가 불분명한 노동이 지속되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책의 마련이 정부의 차원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스마트폰의 이용을 통해 노동시간이 확장되는 상황에 대한 제도적 대책을 마련한 프랑스는 ‘연결되지 않을 권리’를 바탕으로 근무 시간이 아닌 시간에 노동하는 것을 노사간 합의 하에 금지하도록 했다. 독일의 경우 근무시간 이외에 메일을 주고 받지 않기 위해 기업의 이메일 서버를 차단하는 대책을 내놓기도 했다. 과로로 인한 자살, 사망사건이 대두되면서 장시간 노동이 사회적 문제로 부각되고 있는 일본의 경우 정부 차원의 대책을 마련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한국에서는‘연결되지 않을 권리’를 중심으로 하는 법안이 발의되었다. 현재 한국의 20-30대 직장인들은 직장의 위계질서 노동시간의 확장을 경험하며 감정 노동의 수행도 강요 받고 있고, 여기에서 모바일 메신저의 인터페이스적 특성이 노동통제와 규율의 이행을 돕는다. 직장인들은 이러한 상황에 자신의 시간을 확보하고, 새롭게 의마화하는 방식으로 대응하고 있다. 나아가 이 문제는 근로시간의 의미를 세분화하고, 이에 대한 꾸준한 법안의 발의를 통해 개선 되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