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아로플러스를 활용한 진로탐색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진로성숙도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김효정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학생 개개인이 장차 자신의 직업을 통해 자기실현을 추구하고, 건강한 시민으로 살아갈 수 있으며, 급변하는 직업세계에 적응하는 능력을 배양하도록 돕는 것은 학교의 임무이다(강진령, 연문희, 2010). 따라서 진로발달에 관하여 학생들의 자연스런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상급학교나 직업세계로 진출하는 데 필요한 교육과 훈련을 위한 전략들이 초․중․고등학교의 진로상담과 지도 프로그램에 반드시 포함되어야 한다(강진령, 연문희, 2010). 이러한 진로발달은 각각 독립된 사건들이 아니라 일련의 연속적인 과정을 통해 일어난다. 그러나 우리의 현실은 초․중등학교 시절 전문적인 진로지도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다가 고등학교 졸업 시에 직업정체감과는 상관없이 점수에 따라 진로를 결정하는 경우가 많아 직업에 대한 만족도가 떨어지고, 일을 통한 자기실현을 기대하기가 어렵다. 또한, 진로지도의 대부분이 담임교사나 진로담당교사에 의해 이루어짐으로써 상급학교로의 진학은 연계적인 진로활동의 단절을 가져오는 원인이 되고 있다. 이 연구는 아로플러스를 활용한 진로탐색 프로그램이 중학생들의 진로성숙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고, 학교급별 연계적인 진로지도를 위해 아로플러스를 학교현장 여건에 맞게 재구성하여 중학교 2학년 학생들에게 적용해 보았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아로플러스를 활용한 진로탐색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진로성숙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둘째, 아로플러스를 활용한 진로탐색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교하여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양평군 소재 남녀공학 중학교 1개교의 2학년 2개 학급(학급당 남 10명, 여 4명)을 각각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이 연구에서 선정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은 학생수가 감소하는 농촌 학교에서 학생수를 증가하기 위해 창설한 야구부와 축구부원(학급당 남 6명, 여 2명)이 집단의 50%이상을 차지한다. 아로플러스를 활용한 진로탐색 프로그램은 총 12회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매주 1~2회기씩 45분에 걸쳐 실시하였다. 연구의 도구로는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01)이 개발하고 2012년에 개정한 '한국형 진로성숙도 검사'와 이은진(2001)이 CDMSES-SF를 번안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for Windows 18.0을 사용하여 사전-사후 검사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차이검증을 하였다. 또한 연구자가 프로그램 실시 중 학생들의 활동을 관찰한 내용과 매 회기 활동 후 학생들이 작성한 경험보고서 내용을 수록하여 양적 연구가 갖는 신뢰성의 제한점을 보완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로플러스를 활용한 진로탐색 프로그램은 중학생의 진로성숙도를 향상시키는데 유의미한 효과를 보여주었다(t = 4.95; p < .001). 진로성숙도의 하위요인 중 진로태도(t = 4.82; p < .001), 진로능력(t = 5.74; p < .001)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준비행동(t = 0.94; p = .358)의 경우, 실험집단의 사전-사후 차이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지만, 통제집단에서도 사후 검사 결과 사전보다 약간 높아져 사후점수에서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차이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사전 동질성 검사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지 않았던 것을 감안한다면, 사후 검사의 차이는 실험집단에게 실시한 아로플러스를 활용한 진로탐색 프로그램의 효과 때문인 것으로 풀이될 수 있다. 둘째, 아로플러스를 활용한 진로탐색 프로그램은 중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향상시키는데 유의미한 효과를 보여주었다(t = 5.79; p < .001).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들의 사후점수에 대한 차이를 독립표본 t-검증으로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직업정보수집(t = 3.02; p < .001), 목표설정(t = 3.57; p < .001), 계획수립(t = 1.49; p < .001), 문제해결(t = 1.91; p < .001), 자기평가(t = 3.95; p < .001) 이상 모든 하위요인들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의의를 살펴보면 첫째, 각 학교급별 연계성 있는 진로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사 중심에서 학생 중심의 아로플러스를 활용한 진로탐색 프로그램을 재구성했다는 점이다. 이로 인해 상급학교의 진학으로 인한 진로활동의 단절이 다소 해결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지금까지의 연구는 대부분 프로그램 활동 후의 활용성이 미흡하였다. 그런데 이 연구에서는 중학생에게 맞는 프로그램을 재구성하여 자기주도적으로 시행한 후 활동지를 작성하고 그 내용을 또래집단과 공유하였다. 이를 통해 커리어포트폴리오를 제작함으로써 진로교육의 질적 수준 제고에 크게 기여하였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아로플러스를 활용한 진로탐색 프로그램의 적용이 진로성숙도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가 유의하게 향상되었다는 점이다. 이 같은 향상은 진로상담과 지도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졌음을 시사하고 이를 통해 학교 교육의 중요성이 인식되어 학습 동기를 촉진 시킬 수 있다. 이상의 논의를 종합하면 아로플러스를 활용한 진로탐색 프로그램의 적용은 중학생의 진로성숙도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 이 연구는 학교현장에서 학생 중심의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상급학교 진학 후에도 진로지도가 연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진로계획과 의사결정이 비교적 어린 시절부터 시작된다(Staley & Mangiesi, 1984)는 점을 감안할 때, 초등학교와 고등학교에 활용하기 적합하게 수정․보완해서 사용한다면 연계성 있는 학생 중심의 진로탐색 프로그램으로써의 효용성이 더욱 높아질 것이다.

      • 아바타채팅 단회학생상담모형 구안

        임미향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재 학교에서 학생상담은 학생 및 교사의 자발적 참여로 인한 활성화까지는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이는 호출면담으로 인한 비자발적인 상담의욕저하 즉 상담의 대상인 학생보다 교사 위주로 진행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담에 대한 학생들의 요구사항과는 관계없이 기존의 방식으로 상담이 진행되는 것 또한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또한 상담학생 개인에 적합한 시간과 장소의 활용, 상담 서비스의 내용도 탄력적이지 못하고 일률적인 것도 역시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이러한 난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형태의 상담모형이 제시되어야 한다. 우선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상담의 주체가 될 수 있도록 그들이 선호하는 상담형태로 접근해야하고 교사들의 학생상담을 위한 시간부족과 수업외적인 업무의 과다로 인한 상담기피와 또한 상담에 비전문가인 담임들이 크게 어려움을 느끼지 않고 쉽게 상담에 임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상담형태가 절실히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생이 자발적으로 참여하며 흥미를 느낄 수 있는 채팅상담방법과 사이버상담의 단점을 극복하여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단회학생상담모형방식으로 접근하였다. 단회학생상담모형은 학교에서 많은 업무량과 장기적인 상담에 대한 부담 및 현실적 적용의 난제 속에서 구체적인 절차를 제시하여 상담의 어려움을 호소하는 학생에게 즉각적인 도움을 주고 경제적이며 또한 쉽게 접근이 가능한 대안이 된다(문창희, 유형근, 손현동, 2008). 채팅상담단계(임은미, 2006)와 단회학생상담모형(Fisch, 1982; Talmon, 1990; 강진령, 1999; 문창희, 2008; 이수미, 2008) 중 특히 강진령(1999) 모형중심으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고 학생과 교사의 요구조사를 하였다. 초등학생 5, 6학년 331명을 대상으로 아바타채팅상담에 대한 선호도를 조사하고 좀 더 구체적으로 학년별, 성별 선호도를 분석하였다. 교사요구조사는 초등학교교사 10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통해 분석하였다. 그리고 채팅상담과 단회학생상담모형을 접목하여 이를 구안하고 모형의 타당화 작업 후 최종모형을 구안하였다. 마지막으로 모형의 실제화를 위해 이를 시스템으로 구현하였다. 결과적으로 이 연구는 지금까지의 상담방식이 명확히 제시되지 않아 상담목표달성이 어려운 채팅상담을 체계화 시켰다. 또한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상담에 참여하고 교사들에게는 단계별로 상담대화용어를 제공하여 상담에 대한 정신적 스트레스를 덜 수 있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상담경험이 적은 신규교사들을 위한 체계적인 흐름을 제시하여 반복연습을 통한 상담연수로서의 기능도 함께 가능하도록 했다는 데에 의의를 갖는다. 구안된 모형은 개인홈페이지의 상담실로 개발되었지만 학교 홈페이지의 각 학급홈페이지 상담실로 이용된다면 상담의 참여 확대에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기술적인 한계로 아바타를 2차원으로 제공하였지만 재정적 지원을 통한 애니메이션의 개발이 가능하다면 학생들의 흥미는 더욱 증가할 것이다. Today there is not generally activation of counseling student in school. It is a problem that involuntary counseling by calling the meeting is processing mainly with teacher rather than the student that is an potential recapients of cunseling service consultation. Also the problem is that processing of counseling student with existing method without relating to the terms desired of student. There is another point in dispute of using moderate time and place, not flexible but uniform service for counseling student too. It is desirable of presenting new type of counseling to overcome this dilemma. Priority, Students' preferable type of counseling must be approached for them to become main agents of consultation voluntarily, need new way of consultation not to be ill at ease in counseling despite of laymen and get close to counseling intelligibly without hesitating counseling because of insufficient time and excessive extra work above Lesson urgently. Therefore this method of study enables us to take part in voluntarily and, be interested in the way of Avatar chat of Single counseling student that enable to overcome the weakness of cyber chat and make good use of consultation. It presents detailed process for counselor to help students who suffering from difficulty of consultation right away and it would be economical and accessible alternative easily. Preferentially, In The Construction of model in Avatar chat of Single session student counseling Kang's (1999) The Construction of model is mainly become with this study. Esp Specially after examining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investigating the demand of teacher and student, combined the thesis of The Construction of model in Avatar chat and Single counseling session student, completed Construction of this study and after a logical working eventually there is The Construction of final model. Lastly, the system is constructed for the real practice. As a result, this study enables for difficult and unclear chatting counseling to systematize. Also It helped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 participate in counseling voluntarily, offered the teacher stepwise phraseology advice to reduce burden for student counseling. In conclusion, it provided the new counselor that has no experience of counseling with the methodical flow and enables them to practice repetitively. This Construction of model was developed for counseling center in personal homepage, but if it is used for each class homepage of school total homepage, it is expected to be helpful to expand joining in counseling. As provided in type of two-dimensional Avatar model because of technical limits, if the development of animation through the financial support, The students' interest in Avatar chat Counseling is to be increased. Therefore the follow up study is needed.

      • 유아기 자녀를 둔 모가 지각하는 원가족 부모와의 의사소통 수준이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

        안현수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15

        국문초록 유아기 자녀를 둔 모가 지각하는 원가족 부모와의 의사소통 수준이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 안 현 수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지도교수 강진령)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기 자녀를 둔 모가 지각하는 원가족 부모와의 의사소통 수준이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유아기 자녀를 둔 모가 지각하는 원가족 부모와의 의사소통 수준, 정서인식명확성, 양육효능감 간에 상관관계는 어떠한가와 둘째, 유아기 자녀를 둔 모가 지각하는 원가족 부모와의 의사소통 수준, 정서인식명확성, 양육효능감의 영향관계는 어떠한가이며, 셋째, 유아기 자녀를 둔 모가 지각하는 원가족 부모와의 의사소통 수준과 양육효능감의 관계에서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이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부모와의 의사소통 수준 측정 도구로는 Barnes와 Olson(1982)이 개발한 부모-자녀 의사소통 척도(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Scale, PACS)를 사용하였고 정서인식명확성은 이수정, 이훈구(1997)가 타당화한 특질상위기분척도 (Trait Meta-Mood Scale, TMMS)를 사용하였으며, 양육효능감은 성지현, 백지희(2011)가 타당화한 한국판 양육효능감 척도(K-EGSCP)를 사용하였다. 수도권(서울, 경기, 인천)에 거주하는 만3세부터 만5세까지의 유아기 자녀를 둔 모를 대상으로 온라인 및 오프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302명의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PSS 2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신뢰도 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 Baron과 Kenny(1986)의 3단계 중다회귀분석과 Sobel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기 자녀를 둔 모가 지각하는 원가족 부모와의 의사소통 수준, 정서인식명확성, 양육효능감의 상관관계를 확인한 결과 모든 변인은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먼저 지각하는 원가족 부와의 의사소통 수준은 정서인식명확성(=.22, <.01), 양육효능감(=.26, <.01)과 정적 상관을 보였고 지각하는 원가족 모와의 의사소통 수준도 정서인식명확성(=.33, <.01), 양육효능감(=.32, <.01)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다음으로 유아기 자녀를 둔 모의 정서인식명확성과 양육효능감(=.59, <.01)도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유아기 자녀를 둔 모가 지각하는 원가족 부모와의 의사소통 수준, 정서인식명확성, 양육효능감의 영향관계를 확인한 결과, 먼저 유아기 자녀를 둔 모가 지각하는 원가족 부와의 의사소통 수준은 정서인식명확성(t=3.83, <.001)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지각된 원가족 모와의 의사소통 수준도 정서인식명확성(=6.05, <.001)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유아기 자녀를 둔 모가 지각하는 원가족 부와의 의사소통 수준은 양육효능감(=4.71, <.001)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지각하는 원가족 모와의 의사소통 수준도 양육효능감(=5.83, <.001)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유아기 자녀를 둔 모의 정서인식명확성은 양육효능감(=12.61, <.001)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기 자녀를 둔 모가 지각하는 원가족 부모와의 의사소통 수준과 양육효능감의 관계에서 정서인식명확성이 매개하는지를 검증한 결과, 정서인식명확성은 유아기 자녀를 둔 모가 지각하는 원가족 부모와의 의사소통 수준과 양육효능감의 관계에서 부분매개 효과를 나타내었다(p<.001).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유아기 자녀를 둔 모가 지각하는 원가족 부모와의 의사소통 수준이 양육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설명해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또한 유아기 자녀를 둔 모의 양육효능감을 높이기 위해 중점적으로 다루어 주어야 하는 부분이 명확해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는 유아기 자녀를 둔 모의 양육과정에서의 어려움을 보다 심도 있게 이해하고 유아기 자녀를 둔 모가 자녀를 양육하는 과정에서의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한 효과적인 교육 및 부모의 심리지원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주제어: 부모와의 의사소통, 양육효능감, 정서인식명확성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clarity in an impact having on parenting self-efficacy by communication with origin family parents that mothers who having children in early childhood perceive. There were three questions for research purposes. First, how did correlation of levels of communication with origin family parents, emotional clarity and parenting self-efficacy? Second, how did influencing relation of communication’s levels, emotional clarity and parenting self-efficacy? Third, how did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clarity between communication’s levels and parenting self-efficacy? This study used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Scale(PACS) made by Barnes and Olson(1982) to measure levels of communication with origin family parents. Also, it used Trait Meta-Mood Scale(TMMS) for emotional clarity and K-EGSCP for parenting self-efficacy. This study conducted on-line survey targeted at 302 mothers who have had a child between 3 and 5 years old and have lived in Seoul, Gyeonggi or Incheon. SPSS 28.0 program was used to analyze materials and multiple regression of Baron and Kenny(1986) and the Sobel test were conducted to verify reliability,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This study brought results for three questions mentioned above. First, the level of communication with origin family parents, emotional clarity and parenting self-efficacy had meaningful correlation. Second, the level of communication with a father that a mother perceived in origin family statically had a significant effect. Moreover, this level meaningfully influenced on parenting self-efficacy. Likewise, the level of communication with a mother and emotional clarity that a mother realized significantly affected on parenting self-efficacy. Third, emotional clarity between communication’s levels and parenting self-efficacy showed partial mediator effect. This result has the importance in regard that this study explains how the level of communication with origin family parents that a mother who has a child perceives influences on parenting self-efficacy. Besides, it is expected to provide base data to develop programs for effective education and psychological support, which can help mothers solve problems of raising children.

      • 하타 요가가 남자 중학생의 신체상과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

        전은영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599

        급격한 신체적, 정신적 변화를 겪는 청소년들은 다양한 문제에 노출되어 있다. 우리 사회에서 청소년 문제가 쉽사리 줄지 않고 심각해진다는 데서 그 증거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학교현장에서 청소년 초기 단계에 해당하는 중학생 대상의 시간과 장소에 크게 구애받지 않고 누구나 쉽게 활용할 수 있으면서 심신을 조화롭게 하는 상담프로그램으로서 하타 요가의 일반화 가능성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남자 중학생을 대상으로 하타 요가가 그들의 신체상과 공격성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규명하고자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정한 연구 문제는 첫째, 하타 요가는 남자 중학생의 신체상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가와 둘째, 하타 요가는 남자 중학생의 공격성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가 하는 것이다. 위의 연구 문제에 따른 연구 가설을 검정하기 위해서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소재 남자중학교 1개교의 1학년 학생 중 이 프로그램에 참여하기를 희망하면서 특별활동 시간에 활동이 가능한 40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20명씩 편성한 후 10주에 걸쳐 하타 요가를 실시하였다. 두 집단은 모두 신체상과 공격성 검사를 활용하여 사전․사후검사를 하였다. 자료처리는 가설 1, 2를 검정하기 위하여 기본 통계치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검사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두 집단 간 사전․사후검사에서 처치로 인한 효과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혼합설계 분산분석(Mixed ANOVA)으로 처리하였다. 또한 통계적 검정에 따른 양적 결과가 갖는 신뢰성에 대한 제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연구자가 프로그램 실시 중 참가자들의 활동을 관찰한 내용과 회기 중간과 끝에 작성한 소감문에서 프로그램의 효과와 관련된 표현들을 정리하고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어진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하타 요가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은 참여하지 않은 학생들에 비해 신체상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위요인인 외모 및 신체 전반, 스포츠 유능감, 건강, 유연성, 지구력, 근력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하타 요가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은 참여하지 않은 학생들에 비해 공격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위요인인 폭행, 간접적 공격성, 언어적 공격성, 흥분성, 원한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양적 분석의 문제점과 한계를 보완하기 위하여 프로그램 실시 중 참가자들의 활동을 관찰한 내용과 실험 전, 실험 중간, 실험 후에 실시한 질적 분석 결과에서는 신체상과 공격성에서 긍정적인 변화와 반응을 보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하타 요가 프로그램을 학교 현장에 적용해 보면 첫째, 학생 개인의 특성이나 능력에 관계없이 언제 어디서나 기본 아사나만 익힌 뒤에는 혼자서도 쉽게 할 수 있는 하타 요가 프로그램은 청소년 상담의 새로운 한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하타 요가 프로그램은 청소년의 심신의 변화에 여러 긍정적인 효과가 있으므로 무엇보다 예방적 차원의 청소년 생활지도에서 학교현장의 상담프로그램 개발과 선택에서도 그 폭을 넓힐 수 있을 것이다. 셋째, 하타 요가 프로그램은 기본 아사나에 여러 가지 심리치료적 기법을 도입하여 보다 쉽고 효율적인 프로그램으로 만든다면 학생의 자율성 신장 교육에도 활용 가치가 크리라고 본다. 넷째, 하타 요가 프로그램은 범교과 학습 차원에서 그 활용 가치가 크다고 본다. 이 연구를 통하여 나타난 결과의 활용과 후속 연구를 위한 몇 가지 제언을 하면 첫째, 이 연구에서 활용한 하타 요가는 20회기의 단기간 영향만을 가지고 검증하므로 좀더 체계적으로 알아보려면 장기간의 효과와의 비교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이 연구는 중학교 1학년 남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결과이므로 일반화를 위해서는 대상을 다양화하고 연구 대상의 특성에 맞게 구체화되고 차별화된 프로그램 개발과 체계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요가 효과는 그 특성상 질문지가 아닌 주의가 요구되는 실제 상황에서 측정되어져야 하는 변인이므로 이를 재는 도구가 특히 정확하고 타당하며 신뢰할 수 있어야 하는데 아직까지는 미흡한 실정으로 요가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 평가 도구나 검사 도구의 개발이 절실하다.

      •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자기분화와 대인관계능력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CHEN YANJING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가 가지는 목적은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자기분화와 대인관계능력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정하는 것이었다. 이를 통해 재한 중국인 유학생이 진로에 대한 결정이나 준비, 그리고 실천적 행동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상담이나 교육의 장면에서 치료적인 개입으로서 활용이 가능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자기분화, 대인관계능력 및 진로준비행동 간의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며,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자기분화와 대인관계능력이 진로준비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보일 것이라는 가설을 산출·검정했다. 본 연구의 가설 검정을 위해서 수도권(서울특별시와 경기도) 소재의 4년제 대학교와 대학 소속 어학원에 재학 중인 중국인 유학생 322명을 대상으로 하여 2022년 10월 20일부터 11월 11일까지 약 3주간 자기분화 척도, 대인관계능력 척도, 진로준비행동 척도로 이루어진 질문지를 활용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총 322부(회수율 100%)로 불성실하게 응답한 20부를 제외하고 총 302부를 SPSS 26.0 프로그램을 사용해 분석하였다. 분석 절차로는 우선 빈도분석을 통하여 연구대상자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알아보았으며, 주요 변인의 수준 및 기초자료들을 파악하기 위해서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했다. 또한 주요 변인 측정을 위해서 활용한 척도들의 신뢰도 검정을 위해 Cronbach's α값을 산출했다. 다음으로 주요 변인들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기 위해서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고, 영향관계 파악을 위해서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했다. 그 결과에 대해 요약하자면 아래와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들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주요 변인인 자기분화, 대인관계능력 및 진로준비행동의 수준을 파악하기 위한 기초자료들을 얻기 위해서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했으며, 본 연구의 대상자는 총 302명으로, 활용된 변인들로 기초자료의 정규성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자기분화 척도, 대인관계능력 척도, 진로준비행동 척도의 신뢰도(Cronbach's α)를 검정했으며, 그 결과 자기분화 척도의 신뢰도는 .95, 대인관계능력 척도의 신뢰도는 .94, 진로준비행동 척도의 신뢰도는 .90으로 나타났다. 돌째, 자기분화, 대인관계능력 및 진로준비행동 간의 상관관계 파악을 위해서 Pearson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독립변인인 자기분화와 종속변인인 진로준비행동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두 변인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자기분화의 하위요인 정서적 반응성과 진로준비행동 전체는 정적상관을 보였으며, 진로준비행동의 모든 하위요인과도 유의한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다음으로 독립변인인 대인관계능력과 종속변인인 진로준비행동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대인관계능력과 진로준비행동은 유의미한 정적상관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인관계능력의 각 하위요인이 진로준비행동 전체와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대인관계능력 전체는 진로준비행동의 각 하위변인인 정보수집 활동, 도구구비 활동, 실천적 노력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셋째,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자기분화와 대인관계능력이 진로준비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기 위해서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우선 자기분화와 대인관계능력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자기분화가 진로준비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인관계능력과 진로준비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영향관계가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자기분화와 대인관계능력의 하위요인인 진로준비행동의 하위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자기분화의 하위변인 중 정서적 반응성과 나-위치가 진로준비행동의 모든 하위요인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대인관계능력의 하위요인 중 처음 관계 맺기, 자기노출, 대인갈등 다루기는 진로준비행동의 하위요인에 유의미하게 미치는 정적 영향관계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자기분화, 대인관계능력 및 진로준비행동 간의 유의미한 상관관계 및 영향관계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개인의 자기분화 수준과 정도뿐만 아니라 학업과 일상생활에 대인관계능력이 얼마나 가지는지에 따라 재한 중국인 유학생들이 진로 준비에 대한 실천적 행동 투입에 관해 상이한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도출함으로써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외국인 유학생, 특히 중국인 유학생 대상 정책 및 상담 프로그램 개발에 유의미한 함의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 of differentiation of self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on their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rough this, it was intended to provide basic data that can be used as a therapeutic intervention in the scene of counseling or education that can help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decide, prepare, and practice their career path. Accordingly, this study calculated and verified the hypothesis that there will be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differentiation of self,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To verify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322 Chinese students attending four-year universities and language school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Seoul and Gyeonggi-do) were surveyed using a questionnaire consisting of a differentiation of self inventory, interpersonal competence questionnair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cale for about three weeks from October 20 to November 11. A total of 302 copies of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6.0 program, except for 20 copies that responded insincerely with a total of 322 copies (100% recovery rate). As an analysis procedure,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were first investigat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level of major variables and basic data. In addition, the Cronbach's α value was calculated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the scales used for measurement of major variables. Next, Pearson's timely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correlation of major variables, an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influence relationship. The summary of the results is as follows. First,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an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obtain basic data to understand the main variables such as differentiation of self,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addition, the reliability of the differentiation of self inventory, interpersonal competence questionnair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cale (Cronbach's α) was verified, and as a result, the reliability of the differentiation of self inventory was .95, the reliability of the interpersonal competence questionnaire was .94, and the reliability of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cale was .90. Seco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between differentiation of self,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variables, emotional reactiv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all sub-factors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Nex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interpersonal ability, which i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hich is a dependent variable, it was found that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ere significantly positive. In addition, each sub-factor of interpersonal competence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entir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the entire interpersonal competence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information collection activities, tool-equipped activities, and practical efforts, which are each sub-variable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i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how differentiation of self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affect their career preparation behavior. Looking at the effects of differentiation of self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on their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t was found that differentiation of self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addition, looking at the effects of differentiation of self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on their career preparation behavior, emotional reactivity and I-position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all sub-factors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initiation, disclosure, and conflict management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refore, this study confirmed a significant correlation and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differentiation of self,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These results are meaningful by deriving the results that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have different effects on practical behavioral input to career preparation depending on not only the level and degree of individual differentiation of self but also how much interpersonal ability they have in their studies and daily live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provide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policies and counseling programs for foreign students, especially Chinese students.

      • 대학생의 사회비교경향성과 사회적 지지가 취업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최연수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사회비교경향성과 사회적 지지가 취업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취업 스트레스를 구체적으로 어떤 내적 과정을 통해 경험하게 되는지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는 수도권(서울·경기도·인천) 지역 소재의 일반대학교 재학생·휴학생·졸업 유예생 239명을 대상으로 했으며, 2021년 10월 7일부터 10월 20일까지 약 3주 간 대학생의 사회비교경향성, 사회적 지지, 취업 스트레스 측정을 위해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사용하여 네이버 폼을 통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총 241부의 설문지를 배부 및 수집하였고, 100% 회수하였으나, 일반대학교 학생이 아닌 교육대학교 학생의 응답지 1부와 불성실하게 응답한 1부를 제외하고 총 239부를 SPS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해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빈도 분석과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과 중다회귀분석 및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했으며 이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그 결과, 대학생의 사회비교경향성, 사회적 지지, 취업 스트레스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 및 영향관계가 나타났다. 이에 대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사회비교경향성, 사회적 지지, 취업 스트레스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먼저, 독립변인인 사회비교경향성과 종속변인인 취업 스트레스는 유의한 정적상관관계(r = .36, p < .01)를 나타냈으며, 사회비교경향성과 하위변인들은 취업 스트레스와 그 하위변인들에 모두 정적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비교경향성과 사회적 지지는 유의하지 않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사회비교경향성의 하위변인 중 의견비교와 사회적 지지의 하위변인들은 모두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사회적 지지와 취업 스트레스는 유의한 부적상관관계(r = -.13, p < .05)를 나타냈고, 사회적 지지의 하위변인 모두 취업 스트레스의 하위변인 중 스트레스-자극과 유의한 부적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대학생의 사회비교경향성, 사회적 지지, 취업 스트레스는 유의한 영향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대학생의 사회비교경향성의 하위변인 중 능력비교는 취업 스트레스 전체(β = .29, p < .001) 및 하위변인들에 유의한 정적영향을 나타냈으며, 의견비교는 취업 스트레스의 하위변인인 스트레스-반응에만 유의한 정적 영향(β = .15, p < .05)을 미쳤다. 다음으로 사회적 지지의 하위변인 중 평가적 지지만이 취업 스트레스의 하위변인인 스트레스-자극에 유의한 부적인 영향(β = -.42, p < .01)을 미쳤다. 셋째, 대학생의 사회비교경향성과 사회적 지지가 취업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대학생의 사회비교경향성이 낮을수록, 사회적 지지를 높게 지각할수록 취업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수준이 낮게 나타난다는 것을 확인했다. 위의 내용들을 종합하면, 본 연구는 대학생의 사회비교경향성, 사회적 지지, 취업 스트레스 사이의 유의한 상관관계 및 영향관계를 확인했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취업 준비 과정에서 대학생들이 취업에 대한 스트레스를 경험할 때, 개인이 가진 비교경향성의 차원과 정도뿐만 아니라 사회적 지지를 얼마나 지각하고 있는지를 고려하여 적절히 개입하는 것이 중요함을 확인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사회비교경향성을 가진 대학생이 어떤 수준의 비교경향성을 가지고 있는지, 어떤 차원의 비교를 더 자주 경험하는지 그리고 사회적 지지를 지각하는 정도에 따라 취업 스트레스에 관해 상이한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알 수 있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서 대학생의 취업 스트레스 감소 및 완화를 위해 상담 장면 혹은 교육 장면에서 대학생의 사회비교경향성 수준 및 차원과 사회적 지지를 지각하는 수준을 미리 파악하고 이해하여 더욱 효과적인 개입 방안을 활용할 수 있게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s of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nd social support on job-seeking stress of university students, and to find out how they experience job-seeking stress through exploring participants’ specific internal process.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were 241 undergraduate students in Seoul, Gyeonggi, Incheon. A Self Report Questionnaire, which estimates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social support, and job-seeking stress, were conducted from October 7th, 2021 to October 20th, 2021 through Naver-Form service. The 241 data had a hundred percent retention rate. Excluding one response from university of Education and one incomplete response, the remaining 239 responses were analyzed by SPSS 25.0. The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technical statistic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the data show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and Influence relationship among university students’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social support, and job-seeking stress. The following show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nswering the first research question, significant correlations have been identified among university students'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social support, and job-seeking stress.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nd job-seeking stress were positively correlated(r = .36, p < .01). Ability comparison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job-seeking stress(r = .35, p < .01), stress-response(r = .36, p < .01), stress-stimulating(r = .27, p < .01), and opinion comparison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job-seeking stress(r = .261, p < .01), stress-response(r = .30, p < .01), stress-stimulating(r = .16, p < .05). Also, No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nd social support, whereas opinion comparison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ocial support(r = .26, p < .01), emotional support(r = .28, p < .01), informational support(r = .27, p < .01), material support(r = .25, p < .01), evaluational support(r = .27, p < .01). Lastly,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social support and job-seeking stress(r = -.13, p < .05), stress-stimulating(r = -.27, p < .01), but has no meaningful correlations between social support and stress—response. And emotional support(r = -.27, p < .01), informational support(r = -.20, p < .01), material support(r = -.21, p < .01), evaluational support(r = -.31, p < .01) also has meaningful negative correlations with stress-stimulating. Verifying the second hypothesis, university students’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social support, and job-seeking stress were found to be inter-relate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irst of all, students’ ability comparison has positive influences on job-seeking stress(β = .29, p < .001) and its sub-variables, and opinion comparison only has positive influences on stress-response(β = .15, p < .05). Moreover evaluational support only has negative influences on stress—stimulating(β = -.42, p < .01). Futhermore, students’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nd social support has meaningful influences on job-seeking stress. In other words, it was confirmed that the lower the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of university students and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social support, the lower the level of experiencing job-seeking stress. In sum,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statistically meaningful correlations and influencing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social support and job-seeking stress of students. According to these results, when university students’ experience job-seeking stress in the process of preparing for the job, it is important to intervene appropriately considering not only on which level of comparison orientation an individual has but also what degree of social support they perceive.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illustrate that although a significant influences of university students with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on job-seeking stress, the influence could be effected by the level of comparison they experience more often and can be different the degree of social support they perceive. Hence, it is expected to provided basic data for the reduction and alleviation of job-seeking stress which university students have so that more effective intervention measures can be used by grasping and understanding the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nd social support of university students in advance, in counseling or education scenes. key words: university students,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social support, job-seeking st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