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의 독서인증제에 대한 참여 학생의 인식 연구 : 경남지역 3개 대학을 중심으로

        임미향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지식사회, 정보사회에서는 독서에 의한 계속적인 지식의 습득과 정보의 활용이 중요한 관건이 된다. 따라서 국가적으로 독서진흥 정책을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고, 교육현장에서도 다양한 독서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들 속에서 독서인증제도 독서 진흥의 한 방법으로 자리매김하여 왔다. 현재까지 독서인증제에 대한 연구들로는 시행에 관한 비판적 논의와 시행 사례, 효과 및 만족도 등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들이 초등·중등학교의 학생이나 담당교사를 중심으로 한 연구라면, 이 연구는 초등·중등학생에 비하여 생각이 보다 성숙한 ‘대학생’ 그리고 독서인증제를 실제로 수행하고 있는 ‘학생’의 관점에서 독서인증제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이에 근거하여 독서인증제의 향후 발전 방향에 대한 유용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였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연구에 대한 이론적 기반을 구축하기 위하여 문헌조사 및 사례조사 등을 통해 독서인증제의 의미와 목적, 시행 방식, 긍정·부정적 측면, 대학에서의 시행 현황 등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독서인증제를 시행하고 있는 경남지역 3개 대학에서 독서인증제에 참여하고 있는 학생 각 70명씩 총 21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독서인증제에 대한 인식, 현행 독서인증 방식의 문제점 및 개선사항 등 총 16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활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필요에 따라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계산하였고, 집단 간에 ANOVA, t검정, Kruskal-Wallis검정, 검정을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 대학생들은 독서인증제에 대하여 대체로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독서인증제의 수행에 있어서 독서인증제용 도서의 적절성과 독서에 대한 인식이 중요 변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둘째, 연구대상 대학생들의 독서인증제에 대한 인식은 학년별 차이가 있었다. 2학년은 독서흥미에 관련한 문항에서는 부정적이었고 독서행태와 관련한 문항에서는 긍정적이었던 반면에, 4학년은 반대의 결과가 나타났다. 3학년은 모든 문항에 전반적으로 긍정적이었다. 셋째, 인문사회계열 학생이 자연이공계열 학생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더 긍정적이었다. 독서인증제 수행에 있어서 독서인증제용 도서의 적절성과 독서에 대한 인식이 중요 변인으로 작용한다는 인식은 자연이공계열 학생이 인문사회계열 학생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더 높았다. 넷째, 독서인증제의 문제점 및 개선사항에 대하여 먼저, 독서인증제용 도서의 측면에서 주제별·장르별 다양화와 균형화, 수준의 조정, 선정의 자율성 부여, 도서의 최신성 유지, 선정도서 수량의 증가 등이 도출되었다. 다음으로, 운영 방법에 있어서는 평가 방식의 개선, 인증 기준 권수의 조정, 평가 문제의 수준 조정, 보상체계의 확대, 평가 일시의 융통적 운영, 인증 등급의 조정, 독서프로그램 시행의 확대 등에 대한 지적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기타사항으로는 독서인증제에 대한 적극적 홍보 등이 있었다. 조사 결과로부터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던 사항을 중심으로 다음과 같이 종합 분석 및 정리하였다. 첫째, 학생들은 독서인증제를 수행함으로써 책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고 독서욕구 유발에 도움이 되어 독서량 및 도서관 이용률이 증가하면서 독서능력의 향상에도 도움이 되었다고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독서인증제 참여의 자율성이 높을수록 정성적인 측면에, 그 반대일수록 정량적인 측면에 대한 긍정적 인식의 정도가 높음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독서인증제의 영향요인에 있어서 독서인증제용 도서의 주제별·장르별 다양화가 요구되며, 양적·질적으로 풍부한 독서인증제용 도서의 구비와 온라인독서인증시스템의 존재유무가 참여 학생의 인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학년별 특성을 고려한 학년별 차별화된 운영이 필요하다. 넷째, 독서인증제용 도서의 전공계열 관련주제 구성에 있어 균형화가 요구된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부터 다음을 제안하였다. 첫째, 독서인증제용 도서의 다양화·균형화에 관련하여 도서의 주제 및 장르의 다양화와 전공 관련 도서의 선정, 도서 수준에 있어 학년별 차별화된 구성, 도서의 주기적 갱신을 통한 최신성 유지와 양적 증가 및 선정의 자율성 고려 등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둘째, 학년별 차별화된 운영과 관련하여 학년별 특성을 고려한 차별화된 운영 방식을 제안하였다. 또한, 수업과 연계하여 독서인증제의 수행이 입학에서부터 졸업까지 계속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고려도 제안하였다. 셋째, 평가 방식의 개선과 관련하여 감상문, 시험, 토론 방식이 적절하게 혼용된 방식으로의 제고, 평가 기준 마련 및 평가 문제의 난이도 수준 조정, 평가 일시 및 장소의 융통적 운영 등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넷째, 인증 기준 및 보상체계의 개선과 관련하여 인증 기준과 보상체계는 적정 수준으로 조정, 충분한 독후활동 지원 등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다섯째, 기타 대학 및 주관부서의 역할과 관련하여 보다 적극적 홍보, 주관부서 담당자의 주도적 역할 그리고 대학 당국의 역할 강화 등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In a knowledge and information society, continuous acquisition of knowledge and utilization of information by reading is important. Thus, there has been a government policy to promote reading and to encourage various reading activities. As a part of the reading promotion, reading certification system got settled in Korea. Preceding researches on the reading certification system have focused on a critical discussion on its implementation, the practical case analysis, and its effectiveness and satisfaction. Contrary to these studies concentrating on the perspective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or their teachers in charge in the certification system, this study shifted its focus to college students who are more mature than the younger ones.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overall recognition of the reading certification system in university.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this study provides useful basic data on future development of the reading certification system. To the end, a survey of 210 students who have been participating in the certification system from three universities in Gyeongnam province was conducted.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as follows : recognition on the system, awareness of its problems and improvements, and additional information to analyze the survey. The results were analyzed using SPSS 23.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students had positive recognition on the current reading certification system. In addition, the appropriateness of the book and the perception on reading were functioned as important factors in the accomplishment of the reading certification system. Second, the students' recognition about reading certification system differed by grade level. Finally, the students in social sciences and humanities showed relatively positive attitudes than those of natural sciences and engineering. Moreover, for problems and improvements of the system, they emphasized the necessity to expand the reading lists by their themes and genres, to adjust the reading levels and the reading activities by each grade, to establish their autonomy to select which to read, to keep the books up-to-date, and to increase the volumes of books for the certification. Also, they indicated the necessity to improve an evaluation method of operation, to relax the minimum standard for certification, to adjust the difficulties of examination questions, to expand a reward system, to manage the examination period flexibly, to rearrange the certification level, and to increase implementation of reading programs. Other answers include an active promotion for the reading certification system. On basis of these results, this study proposes five suggestions : Diversifying and balancing the reading books for the certification system, providing a differentiated operation programs by grade level, improving the assessment method, adjusting certification methods and reward system, and strengthening other promotions and the roles of universities and a management department.

      • 한국사회에서 ‘신(新)귀족소비’의 사회학적 의미

        임미향 부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consumption in modern society is appearing as general and active expression behavior, not subordinate phenomenon to production. That is to say, the consumption is not expression of his or her identity but also formative agent of new tribe, and these phenomena of consumption are showing up as various forms of buying behavior. And relating to this viewpoint about consumption, there is ‘the new nobles consumption’ as new phenomenon that is emerging distinctively in korean society. ‘The new nobles consumption’ in korean society is appearing as agent for social differentiation and expression behavior of forming tribal shape, over dimension of individual and conspicuous consumption in the initial stage of korean capitalism. And these phenomena of consumption - formation of the noble club, differentiation of residence, distinctive behavior in education etc. - are emerging variously, with the time’s aura of IMF in the late 1997. First of all, ‘the new nobles’ in this study is new social class, that is shaping subjective consciousness of the kind and new tribe of emerging through consumption and new high class. And ‘the new nobles consumption’ includes various faces of lifestyle, not including only consumption of goods. Moreover, in respect of that, members of class are building up consciousness of the kind through consumption and it differs with consumption of high class which is based on objective class index in existing studies. Therefore, ‘the new nobles consumption’ is consumption of ‘the new nobles’, new social class which is emerging through consumption. In addition, it is new consumption style of high class which is holding consciousness of in-group in common, maximizing class differentiation. Accordingly, the aim of this study is analyzing the sociological meaning about consumption of ‘the new nobles’, making an appearance as new chief leader in consumer culture. Namely, making new high class which is classified as ‘new nobles’ in korean society recently an object of study, after classifying items into clothing, residence, education, social intercourse, leisure, the rest and studying these items, it will be inferred the sociological meaning of ‘the new nobles consumption’. The sociological meanings of ‘the new nobles consumption’ are as follows ; First, there is appearance of ‘the new nobles’ as new leader in consumer culture. After IMF in the late 1997, extremeness of consumption among class and high-quality in consumption is coming out. These phenomenon are correlated and are appearing remarkably after IMF. And as result of it, ‘the new nobles’ is emerging. Second, there is consumption as code of social differentiation and exclusion. ‘The new nobles consumption’ is distinction and exclusion from others and another group and consumed goods and consuming behavior itself is functioning as symbolic code of social differentiation and exclusion. Namely, class differentiation which was appeared in production is coming out in consumption extremely. Therefore, relating to these situation, ‘the new nobles consumption’ is appearing in many-sided forms. Third, there are expression of group identity, snobisme and formation of new tribe. ‘The new nobles consumption’ is behavior of showing in-group’s lifestyle, distinction, taste through consumption and pursuit for self-satisfaction, self-fascination and working means for confirming member of snob, formation of new tribe as new group form. Fourth, there is consumption through material goods. Because of compressive modernization in Korean society, material conspicuousness was universalized and ‘the classical nobles’ was ruined, and Western taste was shaped. Consequently material-based consumption is appearing universally. Consumption is appearing as social and cultural phenomenon, independent of production. And analysis about consump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interpretation about modern society. So that, class phenomenon which was appeared in production is less meaning than before and it is altered into class phenomenon in consumption. Therefore, new social class phenomenon such as ‘the new nobles consumption’ is going to appear universally and distinctive style of consumption will work as keyword for expressing of individual, group identity.

      • 靑年의 삶의 質과 學業成就에 대한 硏究 : 사회적 지원, 자기효능감 및 성격을 중심으로

        임미향 인하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청년의 삶의 질과 학업성취의 형성과정에 대한 이해에 있다. 이를 위해 두 개의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1에서는 청년의 삶의 질 및 학업성취가 가정환경, 사회적 지원, 심리특성과 어떠한 관련이 있는가를 횡단 자료를 토대로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은 남녀 대학생과 대학입시생 283명이었다. 삶의 질의 하위변인으로 생활만족도(김의철, 박영신, 1999)와 주관적 안녕감(Diener, 1984)이, 학업성취의 하위변인으로는 전과목 성취, 상대적 성취, 객관적 성취가 포함되었다. 가정환경 하위변인으로는 가정경제수준, 부모의 기대, 부모자녀관계 및 부모에 대한 신뢰가, 사회적 지원 하위변인은 부모와 친구 및 선배로부터의 사회적 지원이, 심리특성 하위변인으로는 포부수준, 일반적 신뢰, 자기효능감, 성격이 포함되었다. 가정환경 및 사회적 지원은 박영신과 김의철(2005)이 제작한 도구를, 자기효능감은 Bandura(1997)의 도구를, 일반적 신뢰는 Yamagishi(1998)의 도구를, 성격은 Costa와 McCrae(1992)가 개발한 NEO_FFI를 사용하였다. Cronbach α는 .65~.95로 측정변인의 신뢰도는 양호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격이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신경증이 높을수록 삶의 질을 낮게 지각하였으며, 외향적일수록 삶의 질을 높게 지각하였다. 그리고 부모자녀관계효능감과 부모의 정보적 지원 및 부모에 대한 존경도 삶의 질에 의미있게 나타남으로써, 부모가 청년의 삶의 질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가정의 경제수준도 삶의 질에 의미 있는 영향이 있었다. 둘째, 청년의 학업성취를 예언하는 가장 강력한 변인은 자기조절학습효능감으로 확인되었다. 이외에도 부모의 성취압력과 부모의 기대가 의미 있었으며, 성실한 성격도 중요하게 작용하였다. 연구 2에서는 고등학교 2학년(1,161명)에서 3학년(701명)을 거쳐 대학생(242명) 시기에 이르기까지 4년동안 청년의 삶의 질과 성취도 형성과정에 대한 종단분석을 시도하였다. 고등학교 2학년 시기에는 부모, 친구, 교사로부터의 사회적 지원, 자기조절학습효능감, 관계효능감, 생활만족도 또는 학업성취가, 고등학교 3학년 시기에는 자기조절학습효능감, 관계효능감, 생활만족도 또는 학업성취가, 대학생 시기에는 자기조절학습효능감, 관계효능감, 생활만족도 또는 학업성취가 측정변인으로 경로모형에 포함되었다. 측정변인의 신뢰도는 Cronbach α=.75~.93으로 양호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핵심적인 변인은 부모의 사회적 지원이었으며, 관계효능감도 매우 영향력이 높은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고등학교 2학년 시기에 형성된 생활만족도는 고등학교 3학년 시기를 거쳐 대학생 시기에 이르기까지 계속 유지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고등학교 2학년과 3학년 및 대학생 집단 모두에서 학업성취는 자기조절학습효능감의 영향을 매우 크게 받았다. 그리고 고등학교 2학년의 학업성취도는 고등학교 3학년의 학업성취도와 매우 높은 정적인 관계에 있었으나, 고등학교 3학년의 학업성취도는 대학생 시기의 학업성취도와 무상관을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and academic achievement among adolescents. Two studies have been conducted for this purpose. Study 1 examines the influence of family environment, social support, and psychological factors on quality of life and academic achievement with a cross-sectional sample of adolescents. A total 283 adolescents completed a questionnaire developed by Kim and (1999) and subjective well-being (Diener, 1984). It also assessed the actual academic grade, relative academic achievement and self-reported academic achievement. As for family environment, the following variables have been included: socio-economic status, parental expectation, parental-child relationship, parental trust, and social support. Psychological variables includes academic aspiration, self-efficacy (Bandura, 1997), generalized trust (Yamagishi, 1998) and personality (Costa & McCrae, 1992). Finally, social support received from seniors and friends were also obtain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liability for these scales are at acceptable level. Second, for the personality dimensions, Neuroticism is negatively correlated with quality of life and Extraversion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quality of life. Third, socio-economic status, parental-child efficacy, social support from parents, and respect for parent a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quality of life. Study 2 is a four-year longitudinal analysis with a sample of Grade 11 students (n=1,161), with a follow-up study conducted when they became Grade 12 (n=701) and after they graduated from high school (n=242). The following variables have been assessed: social support received from parents, friends, teachers, self-efficacy (i.e., self-regulated efficacy, relational efficacy), life-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liability for these scales are at acceptable level. Second, social support from parents and relational efficacy are positively correlated to life-satisfaction. This pattern has been found for Grade 11, Grade 12 and after they have graduated. Third, self-regulated efficacy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cademic achievement at Grade 11 and Grade 11 and for university students. Fourth, academic achievement at Grade 11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cademic achievement at Grade 12. Academic achievement at Grade 12, however, is not correlated with academic achievement the university level.

      • 사교육 서비스의 신뢰성과 응답성이 고객만족에 따라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임미향 경원대학교 경영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 문 초 록 본 연구는 사교육 서비스의 품질 지각이 고객만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며, 고객만족은 사교육 서비스의 충성도 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연구와 실증적 분석을 병행하였다. 우선, 문헌 연구로는 서비스 품질 및 사교육서비스, 고객만족, 고객충성도의 개념과 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기존의 선행연구와 전문서적을 중심으로 이론적 고찰을 하였다. 또한, 실증분석을 위해 2009년 4월 현재 서울시에 거주하는 사교육 서비스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설문지는 SPSS WIN 1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설 1을 검증한 결과, 사교육 서비스의 신뢰성은 서비스 만족과 관계 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교육 서비스 신뢰성은 고객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1은 지지되었다. 둘째, 가설 2를 검증한 결과, 사교육 서비스의 응답성은 서비스 만족과 관계 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교육 서비스의 응답성은 고객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2는 지지되었다. 셋째, 가설 3을 검증한 결과, 사교육 서비스 만족과 관계 만족은 충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교육 서비스의 고객만족은 충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3은 지지되었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결과 사교육 서비스의 신뢰성과 응답성이 높을수록 서비스 만족과 관계 만족이 높았으며, 고객만족이 높을수록 고객충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교육 서비스 제공자는 사교육 서비스 품질과 고객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ABSTRACT The Impact of Reliability and Responsiveness of Private Education Service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Loyalty Lim Me Hyang Advised by Prof. Ham, Bong Jin Dept. of Business Administration The Graduate School of Kyung-Wo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perceived quality of private education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the influence of customer satisfaction on preference for private education service. Literature review and experimental analysis were implemented to serve the purpose. Earlier studies and professional books were investigated to find out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service quality, private education service, customer satisfaction and customer loyalty to lay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e study. And a survey was conducted on private education users who dwelled in Seoul as of April 2009.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a SPSS WIN 13.0 program.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verifying Hypothesis 1, the reliability of private education service exer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on service satisfaction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Therefore Hypothesis 1 that the reliability of private education service might affect customer satisfaction in a positive way was accepted. Second, as a result of verifying Hypothesis 2, the responsiveness of private education servic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ly positive impact on service satisfaction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So Hypothesis 2 that the responsiveness of private education service might affect customer satisfaction in a positive manner was accepted. Third, as a result of verifying Hypothesis 3, satisfaction with private education service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exercis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on customer loyalty. Hence Hypothesis 3 that customer satisfaction with private education service might affect customer loyalty positively was accepted. The findings of the study illustrated that more reliable and more responsive private education service led to better customer satisfaction with the service and relationship, and that higher customer satisfaction was followed by stronger loyalty. Accordingly, providers of private education service should try to find how to boost the quality of private education service and customer satisfaction

      • 아바타채팅 단회학생상담모형 구안

        임미향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재 학교에서 학생상담은 학생 및 교사의 자발적 참여로 인한 활성화까지는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이는 호출면담으로 인한 비자발적인 상담의욕저하 즉 상담의 대상인 학생보다 교사 위주로 진행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담에 대한 학생들의 요구사항과는 관계없이 기존의 방식으로 상담이 진행되는 것 또한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또한 상담학생 개인에 적합한 시간과 장소의 활용, 상담 서비스의 내용도 탄력적이지 못하고 일률적인 것도 역시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이러한 난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형태의 상담모형이 제시되어야 한다. 우선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상담의 주체가 될 수 있도록 그들이 선호하는 상담형태로 접근해야하고 교사들의 학생상담을 위한 시간부족과 수업외적인 업무의 과다로 인한 상담기피와 또한 상담에 비전문가인 담임들이 크게 어려움을 느끼지 않고 쉽게 상담에 임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상담형태가 절실히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생이 자발적으로 참여하며 흥미를 느낄 수 있는 채팅상담방법과 사이버상담의 단점을 극복하여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단회학생상담모형방식으로 접근하였다. 단회학생상담모형은 학교에서 많은 업무량과 장기적인 상담에 대한 부담 및 현실적 적용의 난제 속에서 구체적인 절차를 제시하여 상담의 어려움을 호소하는 학생에게 즉각적인 도움을 주고 경제적이며 또한 쉽게 접근이 가능한 대안이 된다(문창희, 유형근, 손현동, 2008). 채팅상담단계(임은미, 2006)와 단회학생상담모형(Fisch, 1982; Talmon, 1990; 강진령, 1999; 문창희, 2008; 이수미, 2008) 중 특히 강진령(1999) 모형중심으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고 학생과 교사의 요구조사를 하였다. 초등학생 5, 6학년 331명을 대상으로 아바타채팅상담에 대한 선호도를 조사하고 좀 더 구체적으로 학년별, 성별 선호도를 분석하였다. 교사요구조사는 초등학교교사 10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통해 분석하였다. 그리고 채팅상담과 단회학생상담모형을 접목하여 이를 구안하고 모형의 타당화 작업 후 최종모형을 구안하였다. 마지막으로 모형의 실제화를 위해 이를 시스템으로 구현하였다. 결과적으로 이 연구는 지금까지의 상담방식이 명확히 제시되지 않아 상담목표달성이 어려운 채팅상담을 체계화 시켰다. 또한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상담에 참여하고 교사들에게는 단계별로 상담대화용어를 제공하여 상담에 대한 정신적 스트레스를 덜 수 있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상담경험이 적은 신규교사들을 위한 체계적인 흐름을 제시하여 반복연습을 통한 상담연수로서의 기능도 함께 가능하도록 했다는 데에 의의를 갖는다. 구안된 모형은 개인홈페이지의 상담실로 개발되었지만 학교 홈페이지의 각 학급홈페이지 상담실로 이용된다면 상담의 참여 확대에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기술적인 한계로 아바타를 2차원으로 제공하였지만 재정적 지원을 통한 애니메이션의 개발이 가능하다면 학생들의 흥미는 더욱 증가할 것이다. Today there is not generally activation of counseling student in school. It is a problem that involuntary counseling by calling the meeting is processing mainly with teacher rather than the student that is an potential recapients of cunseling service consultation. Also the problem is that processing of counseling student with existing method without relating to the terms desired of student. There is another point in dispute of using moderate time and place, not flexible but uniform service for counseling student too. It is desirable of presenting new type of counseling to overcome this dilemma. Priority, Students' preferable type of counseling must be approached for them to become main agents of consultation voluntarily, need new way of consultation not to be ill at ease in counseling despite of laymen and get close to counseling intelligibly without hesitating counseling because of insufficient time and excessive extra work above Lesson urgently. Therefore this method of study enables us to take part in voluntarily and, be interested in the way of Avatar chat of Single counseling student that enable to overcome the weakness of cyber chat and make good use of consultation. It presents detailed process for counselor to help students who suffering from difficulty of consultation right away and it would be economical and accessible alternative easily. Preferentially, In The Construction of model in Avatar chat of Single session student counseling Kang's (1999) The Construction of model is mainly become with this study. Esp Specially after examining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investigating the demand of teacher and student, combined the thesis of The Construction of model in Avatar chat and Single counseling session student, completed Construction of this study and after a logical working eventually there is The Construction of final model. Lastly, the system is constructed for the real practice. As a result, this study enables for difficult and unclear chatting counseling to systematize. Also It helped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 participate in counseling voluntarily, offered the teacher stepwise phraseology advice to reduce burden for student counseling. In conclusion, it provided the new counselor that has no experience of counseling with the methodical flow and enables them to practice repetitively. This Construction of model was developed for counseling center in personal homepage, but if it is used for each class homepage of school total homepage, it is expected to be helpful to expand joining in counseling. As provided in type of two-dimensional Avatar model because of technical limits, if the development of animation through the financial support, The students' interest in Avatar chat Counseling is to be increased. Therefore the follow up study is needed.

      • 낮은 정서지능을 보이는 유아의 모래상자놀이 적용 사례연구

        임미향 한국교원대학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낮은 정서지능을 보이는 유아가 모래상자놀이에서 자신을 어떻게 표현하고, 그 표현된 내용이 어떻게 변화해 가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사례를 분석해 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만 6세 3개월 된 여아로서 개인별 정서지능 총점수가 집단의 하위 30%(남아 8명, 여아 1명)에 속하며, 여아 중 가장 낮은 정서지능점수를 보이는 유아이었다. 연구는 평정자 교육, 연구대상 선정, 사전검사, 모래상자놀이 실시, 사후검사의 순으로 진행되었다.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에서 사용되었던 검사도구는 정서지능 체크리스트, KEDI-WISC, 유아용 BGT, H-T-P 검사이었으며, 구성적 놀이로서 ‘인형의 집’을 실시하였다. 유아의 모래상자놀이는 15회기 동안 진행되었던 놀이과정에 대한 일화기록과 사진, 놀이과정을 비디오로 촬영한 것에 대한 전사내용, 유아가 자신의 놀이를 끝내고 연구자와 대화한 내용, 사전․사후 검사의 결과 등을 종합하여 놀이 표현의 변화과정을 매 회마다 분석하였다. 모래상자놀이의 실시 횟수는 15회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아의 모래상자놀이에서의 표현은 초반에는 상자 전체의 공간을 단순히 배열해서 나누어 채우는 듯 놀잇감을 배치하였으나 유아가 점점 놀이에 몰입하면서 갈등과 대립의 상황을 표현하였고, 7회기를 과도기로 놀이의 역동적 움직임이 나타났으며 공간배치에서도 점차 통합성을 보이기 시작하였다. 12회기에는 대립적 대인관계에 있는 자신을 표출하며 직면해 가는 힘이 생기고 있는 것이 표현되었으며, 15회기에서는 밝은 이미지인 무지개를 모래상자 가운데 상단에 표현하므로 유아가 겪고 있는 심리적인 어려움, 스트레스 등에서 벗어난 듯이 보여 졌다. 모래상자놀이 후에 실시된 검사 결과는, 교사평정에 의한 정서지능 체크리스트, KEDI-WISC, 유아용 BGT, H-T-P 검사와 인형의 집 놀이에 의한 검사결과 모두 긍정적인 측면으로의 변화가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