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NATM터널 근접 절토사면의 시공 중 자동계측 사례에 관한 연구

        정호연 전북대학교 산업기술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우리나라는 국토의 70%가 산지로 구성된 지형적 신설 도로와 확장을 위한 도로 건설로 인해 도로사면의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기상이변이나 집중강우로 사면붕괴 및 토사유출에 따른 2차적 피해가 증가하고 있으며, 재해규모도 대형화되고 인구밀집에 따른 인명피해 및 재산피해 규모도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사면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근래에는 사면의 구배를 완화시키는 추세로 나아가고 있으나, 국토가 좁고 인구밀도가 높은 우리나라에서는 불가피한 사유로 인해 사면 경사를 충분히 조정할 수 없는 경우가 빈번하므로 사면의 구배를 조정하는 대신 각종 사면안정공법을 적용하여 안정화 시키는데 이때 사면보호공은 지질조건, 시공여건 및 경제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대상사면에 적합한 공법을 사용하여야 한다. 또한 사면 붕괴로 인한 인명 및 재산피해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상시 자동계측 시스템으로 사면거동을 파악할 수 있는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이상 징후 발생시 조기에 예측 및 예보함으로써 불안정사면에 대한 대책을 수립하고 사면붕괴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붕괴발생 이력이 있으며 추후 파괴가능성을 내포한 사면의 현장조사를 통해 암반의 풍화정도 및 암반의 형상, 경사/경사방향, 불연속면 상태 등을 파악하였으며 평사투영해석으로 파괴 가능성을 판단하고 사면안정해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한계평형 해석의 실시로 당초 계획된 사면 보강공법을 적정한 공법으로 변경하였다. 또한 상시 자동계측시스템을 병행하여 시공 중 및 시공 후 사면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었으며 계측자료의 수집으로 공정현황에 따른 사면의 거동 특성 파악하고 보강공법으로 적용된 Rock Anchor공법의 적정성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However, the recent extreme weather and rainfall concentrated in two primary slope collapse and landslide damage in the increase in leakage and a larger size and population density in disaster casualties and property damage has increased. The stability of such a slope for a recent easing in the slope of the gradient with a trend moving forward, but the narrow land with a high population density in Korea due to unavoidable reason enough to buy a hill if you can not adjust the thickness adjustment, so the slope of pipeline Instead, apply the method to the stability and slope stabilization help protect the slope of the geological conditions, construction, and comprehensive environment and economy, consider using the method appropriate to the target should be slope. In addition, due to the collapse of a slope or damage to life and to prevent the slope as a regular automatic measurement system can determine the behavior in real-time analysis of data, or longer, when estimates and forecasts by early slope instability and the establishment of measures for Amnesty can minimize the damage by the collapse. Caused the collapse of this research, history, and the possibility of further destruction of the site, through self-explanatory slope of rock and rock in the shape of weathering, slope / tilt direction, and discontinuity to identify the status and Flat Projection Analysis and interpreted to determine the possibility of a slope to the destruction of interpret the program by using the limit equilibrium stability originally planned to interpret the implementation of an appropriate method to change the method of slope reinforcement. In addition, a combination of regular and automatic measurement systems and construction of construction to ensure the stability of the slope was the collection of measurement data to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the process status, and reinforce the slope method is applied to the Rock Anchor was able to determine the method and the relevancy.

      • 건물에너지시뮬레이션의 검증 및 최적보정기법

        정호연 경희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건물의 성능평가는 에너지뿐만 아니라 열쾌적과 실내공기질과 같은 다양한 성능을 평가하고 설계 과정에서 대안간의 비교 및 평가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중요한 의사결정 도구로 활용된다. 영국과 같은 선진국에서는 건물의 임대 및 매매 또는 건립 시 에너지성능인증서(EPCs)의 제출을 요구하기 시작한 2009년부터 시뮬레이션을 통한 건물의 에너지 성능의 평가의 필요성이 증가하였으며, 우리나라 또한 2013년 9월부터 시행된 ‘녹색건축물 조성지원법’에 근거하여 공공건축물의 경우, EPCs와 같은 건축물에너지효율등급평가서를 필수적으로 첨부해야 함에 따라 시뮬레이션을 통한 건물에너지성능평가에 대한 수요 및 정확도가 높은 시뮬레이션 모델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시뮬레이션 모델의 정확도 향상을 위한 에너지해석프로그램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많은 연구들이 실제 건물 에너지사용량과 시뮬레이션 결과 값 간의 차이를 보고한다. 건물에너지시뮬레이션 모델은 매우 다양한 입력변수들이 필요하며, 이러한 입력변수의 값들은 확률적 특성으로 인해 시뮬레이션 모델과 실제 값 사이에 큰 차이를 유발한다. 따라서 시뮬레이션 결과와 실제 값 사이의 차이를 줄이고 시뮬레이션 모델을 통한 예측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입력변수의 확률적 특성을 고려한 모델의 보정(calibration)이 필요하다. 기존 연구에 따르면, 현재까지 대부분의 시뮬레이션 모델의 보정은 실제 건물의 관측값을 이용하여 보정하는 M&V가이드를 따른다. 그러나, 이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확률적 특성이 강한 입력변수들을 보정하기에는 적절하지 않은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대부분의 시뮬레이션 모델의 보정방법으로 사용되어온 M&V가이드에 따른 보정(본 논문에서는 이를 실측 보정이라 명명함)과 입력변수들의 확률적 분포에 따라 변수를 추출하는 LHS 확률적 보정 두 가지 기법을 통해 동일한 건물을 대상으로 건물에너지시뮬레이션을 실시 및 검증하고, 이에 따라 보정된 두 개의 시뮬레이션 모델의 비교를 통해 확률적 특성이 강한 다양한 입력변수를 보정해야 하는 건물에너지시뮬레이션의 보정 기법으로 가장 적합한 기법을 선정하였다. 실측 보정에 필요한 데이터 수집을 위해 보정기간 중 현장실측을 실시하였다. 또한 수집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실측 보정 모델을 만들고 오차지표 값의 산출을 통해 모델을 검증하였다. LHS 확률적 보정을 실시하기 위해 각 보정요소에 대한 변수범위를 설정하였다. LHS 확률적 보정에 사용된 샘플 개수는 만 개이며, 선정된 만 개의 서로 다른 입력변수를 가진 시뮬레이션 결과 및 실제 대상건물의 에너지소비량과의 비교를 통한 오차지표 값을 산출하고 시뮬레이션 모델을 검증하였다. 또한 LHS 기법으로 추출된 각 보정요소 별 변수 값에 대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고 이를 통해 각 보정요소 별로 가장 많이 추출된 변수들과 실측 보정에 사용된 변수 값을 비교하였다. 최종적으로, 실측 보정 모델과 LHS 확률적 보정 모델에 대하여 대상건물의 실제에너지소비량의 평균값과 각각의 보정 시뮬레이션 결과 값, 그리고 오차지표 값의 비교를 통해 실제 값과 더 근사한 결과 값을 가지는 보정 기법을 최적보정기법으로 선정하였다. LHS 확률적 보정 모델에서 추출된 변수 값과 실측 보정 모델의 변수 값(관측값)을 비교한 결과, 20개의 보정요소 중 공조스케줄과 실내발열스케줄 등을 제외한 6개의 보정요소의 변수 값만이 유사하거나 같음을 알 수 있었다. 변수 값의 차이가 크게 나타난 공조스케줄과 실내발열스케줄은 건물의 용도나 건물이 위치한 지역, 특히 재실자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는 보정요소 즉, 확률적 특성이 강한 변수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보정 모델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입력변수들의 확률적 특성을 반드시 고려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실측 보정 결과, 기상데이터와 실내발열부하와 같이 실제 건물의 관측값으로 보정 한 시뮬레이션 모델의 오차지표의 값이 보정 전 모델의 오차지표 값보다 크게 나타났다. 또한 관측값을 이용한 보정요소에서는 만족시키지 못했던 오차지표의 허용범위를 다양한 변수의 입력을 통해 침기율을 보정한 결과 만족시킬 수 있었다. 따라서 한정적인 관측값을 이용한 실측 보정은 보정 모델의 정확도를 떨어뜨릴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LHS 확률적 보정 모델의 오차지표 값을 산출한 결과, 실측 보정 모델이 나타낸 오차지표 값보다 더 작은 오차지표 값을 나타냈다. 또한 실제 대상건물의 에너지소비량과 비교한 결과에서도 LHS 확률적 보정 모델이 더 실제 값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다양한 입력변수를 필요로 하는 건물에너지시뮬레이션 보정에 있어 가장 적합한 보정기법은 확률적 보정으로 사료된다. The building performance of evaluation through simulation is used as important decision-making tool of building design. There are many building energy simulation software available nowadays. However, It has been widely acknowledged that many inputs of simulation models are under strong uncertainty and this causes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simulation prediction and the reality. Therefore, calibration of simulation models is necessary and crucial for the accuracy and usability of energy simulation. According to the previous studies, there are three guidelines for calibration of simulation models —-ASHRAE Guideline 14: Measurement of Energy and Demand savings, M&V Guidelines: Measurement and Verification of Federal Energy Projects (FEMP), International Performance Measurement and Verification Protocol (IPMVP). However, these guidelines are not appropriate to calibrate many inputs under strong uncertainty. Thus, calibration method of considering the probability distributions for uncertain parameters is necessary. This study aims to verification the building energy simulation model using ASHRAE Guideline 14(in this paper, this method called measured calibration) and LHS stochastic calibration about the same building, and selection optimal calibration method by comparing the simulation results of each calibration method. LHS means latin hypercube sampling and this sampling select different values from each of k variables X1, …… Xk in the following manner as considering a variable Y that is a function of other variables X1, X2, ……, Xk. On-site surveys was conducted for collecting measured calibration data. Moreover, the calibrated model based on the collected data was produced by the simulation tool, EnergyPlus, and the model was verified through two indices(Mean Bias Error : MBE and Coefficient of Variation of the Root Mean square Error : CVRMSE). The indices represent how the simulation model is a good fit with the actual data. Before performing the LHS stochastic calibration, the range of parameter was set for each calibration factor. in this paper, a number of sampling is a million and, simulation results of this million calibrated model was verified through same indices in measured calibration. Also, frequency analysis of selected parameters was performed to compare with the value of measured calibration. The comparison of inputs used in the measured calibrated model and stochastic calibrated model results showed that the parameters have strong stochastic properties. Because there were large gap between inputs of measured calibrated model and stochastic calibrated model on 14 parameters out of a total of 20.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of all the simulation prediction of two kinds of calibration model and the reality. Also, they were met tolerances for the statistical indices, MBE and CVRMSE. However, MBE of the LHS stochastic calibrated model was more smaller than MBE of the measured calibrated model. In conclusion, this dissertation has proved that the parameters of the building energy simulation model have strong stochastic properties. Therefore, stochastic characteristics of the input variables should be considered necessarily in order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e calibration model. Also, when the tolerances for the indices was compared, LHS stochastic calibrated model was smaller than the measured calibrated model and simulation results of LHS model was more similar to actual data. Thus, the LHS stochastic calibration is the optimal calibration method for building energy simulation that require various and stochastic input variables

      • 반도체 광증폭기로 형성된 방향성 결합기에서의 파장변환 특성 모델링

        정호연 광운대학교 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파장변환 소자는 최근에 급격히 발전하는 광네트웍을 구축하기 위한 필수적인 소자로서 여러 가지 형태에 대한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그중에서도, 최근에는 광증폭기로 형성된 방향성 결합기 구조에서의 상호 이득 포화(XPM: Cross Phase Modulation)에 의한 파장변환에 대한 개념이 제안되고 가능성이 실험적으로 입증된 바 있다. 이런 구조의 파장변환 소자는 입력 광신호의 파워가 작을때는 위상 정합이 되어 반도체 광증폭기의 광모드가 완전히 결합되어 cross state로 변환된 파장의 광파워가 많이 출력되고, 신호 입력 파워가 증가함에 따라 결합이 감소하게 되어 cross state에서의 출력 파워는 감소하게 된다. 이와 같은 소자는 입력 신호광과 변환된 신호광이 역방향으로 진행하는 경우 광필터가 필요없이 파장변환이 가능하고, 변환 후의 소광비가 향상되기 때문에 향후 다양한 형태로 응용될 가능성이 있으며, 적정 설계 및 성능 예측을 위해서는 시영역에서 모델링할 수 있는 방법론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연산자 분리 방법을 적용하여 상술한 파장변환기를 해석하기에 적당하도록 시영역 동적 모델을 구현하고, 파장변환 특성을 여러 가지 면에서 분석하여 보았다. 입력 광신호의 파워가 -10 dBm에서 -7 dBm 정도 변화할 때, 파장변환된 신호의 소광비가 약 5dB 정도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입력 광신호에 의한 파장변환된 광신호의 주파수 천이도를 분석하였다. bar state에서는 4GHz 정도, cross state에서는 3GHz로 bar state에서 더 큰 주파수 천이도를 보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모델링 결과는 다른 연구자의 실험 결과를 잘 설명할 수 있음을 보였으며, 실험에서 제시되지 않았던 신호광과 변환된 광파가 역방향으로 진행하는 경우의 파장변환 특성 등에 대해서도 이 파장변환기가 잘 동작함을 보였다. Wavelength conversion devices are essential to build an expanding all-optical network, and various types of wavelength conversion techniques are being researched. Among them, wavelength conversion based on the cross phase modulation in a directionally coupled semiconductor optical amplifier has been introduced and the concept has been experimentally proved. When the input optical signal power is small, the optical modes become coulped and the cross-state output power of the conversion wavelength gets large. As the input signal power increases, the directional coupling gets small due to the phase mismatch, and the cross-state output decreases significantly. When the input signal and the converted signal propagates in the reverse direction, optical filter is not required in this kind of device. In addition, the extinction ratio of the converted signal is experimentally shown to be improved. These desirable characteristics give the wavelength converter a good chance of various applications. For the optimum design and performance prediction of this devic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methodology for the time-domain dynamic modeling. In this thesis, a split-step method is applied to properly model the mentioned wavelength converter in the time-domain and various characteritics have been analyzed. When the input signal power changes from -10 dBm to -7 dBm, the extinction ratio of the converted signal inproves by 5 dB. The frequency chirping of the converted signal is analyzed resulting in 4GHz in the bar state and 3 GHz in the cross state. It is shown that the present modeling approach can explain the results of the reported experimental results. Furthermore the wavelength conversion is shown to be well performed when the input signal wave and the converted wave travels in the opposite direction.

      • 6~7세기 신라의 중앙집권화와 民의 실상

        정호연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Until now, the research on ‘min(民)’ has been extracted from research based on the history of systems such as local government systems, the law systems, and receiving systems. To fix the lifestyle, status, and characteristic of ‘min’, the term ‘gongmin(公民)’ has been used. It is viewed that ‘min’ has broken away from the personal subjugation of the nobles or the owners of land and property through economic enhancement and centralization and positioned as ‘gongmin’. However, the term ‘gongmin’ is used by researchers without clean –cut definition and records still show them being privately ruled. By examining the process of centralization done by Shilla in the 6th and 7th century, the aim of the country and the real life of the ‘gongmin’is identified. In ancient Shilla, the 6th and 7th century is a period of upheaval and change clearly differentiated with other periods. Based on increased productivity Shilla develops into a greater centralized authoritarian country through centralization around the king and organization of systems. In the early 6th century Shilla uses ‘kuk–ho(國號)’and ‘wang–ho(王號)’, and while forwarding domestic centralization through the unification of thoughts achieved by the proclamation of ‘yul–lyung(律令)’, organization of local government, and the embracement of Buddhism, externally engaged in warfare to secure more land and ‘min’. The king overcame the nobles and the owners of land and property and consolidated its status as a transcendental being and tried to stretch its influence to rural states. In this process min was divided into several classes through the increase and distribution of products, and in the extensive social upheaval the min broke free from the powerful subjugation of nobles and the owners of land and property and became the ‘min’ of the king, thus ‘gongmin’. As the managing fundamentals of town communities loosened and centralization was strengthened around the king the nobles and owners of land and property gradually lost control over ‘min’ and the king prepared the foundation of direct control over ‘min’. Under the monarchy, while the control and management of rural states was strengthened the influential people in the rural states were given ‘wewi(外位)’, and tried to win subjugates over by avoiding the discrimination of them, treating them all as equal ‘min’of the king. Also they laid stress on popular sentiment and tried to protect and stabilize the ‘min’ who are worrying because of disasters and poverty by almsgiving. When carrying out punishment, reward, and acquisition about ‘min’, unlike before when they arbitrarily carried it out varying on situation they fixed rules under the law and tried to rationally carry it out. Organization and management inside the system by a more specific understanding of ‘min’ through research was attempted. These situations signify the social status of ‘min’ was heightened. Thus ‘min’ was no more an object of exploitation but a member of the country, thus ‘gongmin’. However even with the omnidirectional effort of the country the nobles and the owners of land and property tried to maintain control over the ‘min’ which was the base of their power. In the 6th and 7th century several nobles engaged in war and increase their economic potential by the distribution of booty or capture prisoners of war to make them into private slaves. In military service, on one hand they were mobilized for the work of the country, while on the other hand they were organized into ‘bu(部)’ to be mobilized not for the army of the king but the army of the ‘bu’. Also nobles and owners of land and property seemingly mobilized the min whenever they wanted to for private affairs. These instances were against the aim of the country. It was so common and institutionally possible that it was recorded as a special thing and punished severely by the king to stop it. Through these images we can find that the personal subjugation by the nobles and owners of land and property was still surviving. The country tried to protect the ‘min’ by understanding and organizing the newly subjugated ‘min’, but the area of influence of the king was still limited. The people who thoroughly understood the ‘min’by ruling over them for a long time was not the king but the nobles and the owners of land and property. The country could only receive the help of them, and the communal order of the nobles and the owners of land and property ruling ‘min’ on the land and property was maintained. Also as war extended over a long time and became an all-out war the country’s acquisition of supplies and mobilization of people became too much and was carried out randomly, and while the control of the country was loose illegal exploitation was carried out. 지금까지 民에 대한 연구는 지방제도를 비롯한 외위제, 법제, 수취제 등 제도사적 연구속에서 민의 모습을 추출해왔다. 민의 존재양태와 지위 및 성격을 규정하기 위해 ‘公民’이라는 용어를 사용해왔으며, 6~7세기 신라에서 민은 경제력 제고와 중앙집권화를 통해 귀족 또는 재지수장층의 人身的인 예속에서 벗어나 공민으로 자리매김했다고 보고 있다. 그런데 ‘공민’이라는 용어는 연구자들 사이에서 명확한 개념정의 없이 사용되고 있고 사료를 보면 여전히 私的지배를 받는 모습들을 볼 수 있다. 6~7세기에 신라가 시행했던 중앙집권화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민에 대한 국가의 지향과 민의 실제 삶은 어떠했는가를 살펴보았다. 고대 신라에서 6~7세기는 격변의 시대이자 다른 시기와 명확히 구별되는 劃期이다. 이전에 비해 증가된 생산력을 바탕으로 신라는 국왕을 중심으로 한 중앙집권화 및 제도 정비로 보다 강력한 중앙집권적 국가로 발전한다. 6세기초에 이르러서는 국호 및 왕호를 사용하고 율령반포, 지방제도 정비, 불교 수용을 통한 사상적인 통합을 통해 대내적인 집권화를 추진하는 한편 외적으로 정복전쟁을 벌여 영토와 민을 보다 많이 확보하고자 노력하였다. 왕은 이제 귀족과 재지수장층을 누르고 초월적인 존재로서 지위를 갖게 되었으며 지방에까지 지배력을 관철시키고자 하였다. 이런 과정에서 민은 생산물의 증대와 분배로 다양한 계층으로 분화되어 갔으며, 대대적인 사회변동과정에서 귀족 및 재지수장층의 강한 인신적 지배를 받던 상태에서 벗어나 국왕의 민, 즉 ‘공민’이 되어갔던 것이다. 읍락공동체의 운영원리가 느슨해지고 국왕을 중심으로 하여 중앙집권화가 강화되어가자 귀족과 재지 수장층은 점차 민에 대한 구속력을 잃어갔으며 이틈에 왕은 민에 대한 직접 지배의 기틀을 마련해갔다. 주군제를 시행하여 지방에 대한 관리와 통제를 강화해나가는 한편 새롭게 복속해온 지방의 유력자에게는 외위를 수여하고, 피복속민들에 대한 차별을 지양하여 왕의 동등한 민으로 여기며 포섭하고자 하였다. 또한 민심을 중히 여기고 재해와 빈곤으로 유리하는 민들을 안정시키기 위해 진휼을 하는 등 보호하고자 하였다. 처벌, 포상, 수취 등 민에 대해 무언가를 집행할 때도 상황에 따라 임의로 행했던 이전과 달리 법규정하에서 원칙을 정해놓고 그에 따라 합리적으로 집행하려고 하였다. 조사를 통해 민에 대한 보다 구체적이고 파악을 하여 체제내적으로 편제․관리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모습들은 민의 사회적인 위상이 이전에 비해 높아졌음을 의미한다. 즉 민은 단순한 수탈의 대상이 아니라 국가의 구성원, 즉 ‘공민’이 되어갔다. 그러나 국가의 이러한 전방위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귀족과 재지수장층은 오랫동안 자신의 권력기반이 되어왔던 민에 대한 지배력을 계속 유지하고자 하였다. 6~7세기에도 다수의 귀족들이 전쟁을 수행하고 전리품의 분배를 통해 자신의 경제력을 늘리거나 전쟁포로들을 사로잡아 사적노비화하고자 하였다. 군역에 있어서도 국가의 역에 동원되는 한편, 部단위로 편제되어 왕의 군대가 아니라 部의 군대에 동원되기도 했다. 또한 귀족과 재지수장층들은 필요할 때면 언제든 마음대로 민을 차출해서 사적인 일에 소모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사례는 국가의 지향과는 반하는 일이었다. 특별한 일로 기록되었거나 국왕이 제지하기 위해 강력히 처벌했을 정도로, 당대에는 흔한 일이었고 제도적으로 가능했기 때문에 거리낌없이 이루어졌던 것이다. 이런 모습들을 통해 읍락공동체 단계부터 있어왔던 귀족과 재지수장층의 인신적인 지배가 여전히 잔존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국가는 또한 기존의 민과 새로 복속한 민들을 편제하고 보다 세밀히 파악함으로써 민을 보호하고자 하였으나, 국왕의 힘이 미치는 영역은 여전히 한계가 있었다. 민을 속속들이 파악하고 그들을 오랫동안 지배하면서 유대관계를 맺고 있었던 자는 국왕이 아니라 귀족과 재지수장층이었다. 국가는 사실상 이들의 도움을 받을 수밖에 없었을 것이며, 재지에서 귀족과 재지수장층의 민에 대한 지배력과 이들을 둘러싼 공동체적인 질서가 유지되었을 것이다. 또한 전쟁이 장기화되고 총력전의 양상이 되자 국가의 물자 수취와 인력동원은 과중해졌고 변칙적으로 행해졌을 것이며, 국가의 관리 감독이 소홀한 틈을 타서 불법적인 수탈이 이루어졌을 것이다.

      • 국내 방사선작업종사자 장기선량 재구축을 위한 개인선량계 반응도 평가

        정호연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직업적 피폭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는 방사선작업종사자에 대한 건강영향조사의 필요성이 강조되면서 국내외로 방사선역학 연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방사선 피폭과 질병과의 관계를 조사하는 건강영향조사 연구는 장기선량을 기반으로 평가되어 장기선량의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재구성 과정이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하지만 장기선량 재구성 과정에 사용되는 일부 데이터는 이상적인 환경의 전산모사를 기반으로 하여 방사선작업종사자의 현실적인 피폭 환경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는 bias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는 장기선량 평가를 부정확하게 하는 원인이 된다. 국외에서는 bias 개선을 목적으로 개인선량계 방사선조사 실험을 통해 선량계의 반응도를 도출하였다. 하지만 제한적인 조건에서 연구가 진행되어 국내 종사자의 작업 환경을 반영하기에 적절하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bias가 보정된 선량환산계수 평가를 위해 방사선작업종사자의 분기별 선량 보고 데이터를 분석하여 개인선량계를 선정하였고 한국원자력의학원에서 기 선정한 업종별 대표 피폭시나리오에 따라 조사 환경을 선정하였다. 또한 국내에서 사용하기에 제한적인 국외 연구의 실험 조건 범위를 넓히고 기술적인 한계로 인해 구현하지 못했던 부분을 개선하여 국내 작업 환경을 반영한 현실적인 선량환산계수, 선량계 반응도를 실험을 통해 산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업종별 선량계 반응도를 도출하고 기존에 사용중인 ICRP 선량환산계수와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ICRP 선량환산계수를 통해 평가한 결과보다 장기선량이 전반적으로 증가함을 보여주었다. 특히 측방 지오메트리에서 ICPR 선량환산계수와 차이가 가장 크게 발생하였으며 이 방향을 포함하는 비파괴 업종의 남성 종사자는 bias를 고려하지 않은 기존의 값보다 장기선량이 36%, 여성 종사자는 30%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또한 의료 업종의 경우, 기준 방향인 전방 지오메트리로 구성되어 있지만 낮은 에너지 영역의 영향으로 남성 종사자의 장기선량을 35%, 여성 종사자의 장기선량을 30% 증가시켰다. 장기선량 산출 과정에 사용되는 선량환산계수는 여러 가지 요인의 영향을 받고 있으며 조건에 따라 우세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서로 다르다. 따라서 실험을 통해 산출한 선량계 반응도를 사용하여 bias를 보정할 경우 기존보다 장기선량이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역학 연구의 기반이 되는 장기선량 재구축 과정에 미칠 영향을 평가하였고 이 연구 결과는 더 나아가 한국인 작업종사자의 장기선량 재구축 과정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국내 MBA 교육환경 변화와 경영전문대학원의 구조 적합성에 관한 연구

        정호연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조직군 생태학을 이론적 기반으로 국내 MBA 교육환경의 변화와 경영전문대학원의 생성 및 성장과정을 검토하여 구조 적합성을 분석하고 발전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조직군 생태학은 동일한 형태나 동일한 환경에 놓인 조직들의 집합을 한 조직군으로 분류하여 환경 간 동태적이고 장기적인 조직 생존 및 조직 간 행동을 보다 정확히 설명하고자 한 이론이다. 본 연구에서는 경영전문대학원을 하나의 조직군으로 보고 조직군 생태학의 핵심 키워드인 변이, 선택, 보존 프레임에 따라 변화하는 교육환경에서 경영전문대학원의 구조적합성을 살펴보았다. 이를 토대로 설치를 인가받은 12개 경영전문대학원을 연구 대상으로 교과부의 공시자료 및 교육관련기관 정보공개 법률에 따른 대학정보 공시사이트 ‘대학알리미’와 각 학교 홈페이지,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자료를 수집했으며 교과부에서 실시한 경영전문대학원 2010 재학생만족도 설문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경영전문대학원을 다각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경영전문대학원은 기업과 정부 및 학생 등 이해관계자들의 요구에 따라 경영전문인력 양성을 목적으로 도입되어 국내에서는 한차례 제도의 개정을 거치며 점차 안정화되어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경영전문대학원 간의 운영 및 재학생 만족 수준에 차이가 존재하며 이에 대한 원인은 경영전문대학원의 인가시기 차이와 대학들의 규모 및 연령적 특성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경영전문대학원의 활성화를 위한 대학 조직과 제도 차원의 노력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다.

      • 식품제조업의 시장 구조 분석

        정호연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 식품제조업의 총 생산액은 2011년 기준으로 약 56조 원이며, 이는 GDP 대비 4.5%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식품제조업 시장규모가 점차 늘어남에 따라 최근 식품산업은 농업 발전의 견인책으로 인식되어 중요성이 커지고 있으며, 정부도 식품산업 육성을 통한 농가소득 증대를 모색하는 정책들을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식품산업의 시장구조에 대한 정확한 파악 없이는 식품산업 육성 방안을 수립하는데 한계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식품산업 중 식품제조업(38개 분야)을 대상으로 전통적인 산업조직분석틀인 시장구조-기업행동-성과 중 시장구조를 시장구조지수를 통해 분석하며, 시장구조지수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에 대해 분석하였다. 시장구조지수 분석을 위해 상위 3대 기업 시장집중지수(), 허쉬만-허핀달 집중지수(), 엔트로피 집중지수()를 사용하였으며, 시장구조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기 위해 최소효율규모, 비용불이익률, 광고집중도, 필요자본소요비율, 산업성장률을 산출하고 패널회귀분석을 통해 지수에 미치는 영향을 계측하였다. 제2장 식품제조업의 시장구조 분석에서는 우리나라의 식품제조업의 시장 구조 현황을 시장구조지수와 시장불평등도지수를 통해 분석하였다. 허쉬만-허핀달 지수 기준으로 중집중 산업 6개 분야, 고집중 산업 7개 분야로, 전체 산업 중 13개의 산업분야에서 중집중 이상의 시장집중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위 3개 기업 집중 지수가 0.8보다 큰 산업으로는 4개 산업분야로 나타났다. 하지만, 수산가공업과 청과가공업 분야는 전체적으로 집중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장 전반적으로 집중도와 관계없이 매출액 불평등도인 지니계수가 상당히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매출액에 있어 시장집중도와 관계없이 불평등이 심한 것을 나타내며, 영세한 식품제조기업들이 산업 내 다수 존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제3장에서는 식품제조업 시장 구조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식품제조업 시장구조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해 패널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요인들로는 최소효율규모, 비용불이익률, 필요자본소요비율, 광고집중도, 산업성장률이 있으며, 이러한 요인들이 지수에 미치는 영향의 크기를 계측하였다. 산업성장률은 신규기업의 진입 가능성을 높임에 따라 시장집중도를 낮추는 요인으로 분석되어, 식품제조업이 더욱 성장할수록 신규기업들의 진입 가능성은 더욱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최소효율규모는 기업의 규모를 나타내는 변수로 시장집중률과 양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식품제조업에 속하는 기업들이 대기업보다는 중소기업들이 많다는 점에서 그 영향은 그리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찬가지로 필요자본소요비율도 상위기업들에 의해 나타난 주요 변수들은 시장집중률을 높일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韓國 稅關의 商標權保護制度에 관한 硏究

        정호연 부산대학교 경영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the more effective operation and development of the protective system for the trademark rights in the Korean Custom in relation to import/export customs clearance. For this purpose, the study examined the following subjects:1) Special requirements related to border measures by customs. 2) The protective system for trademark rights in Japanese Customs and American Customs as well as in the Korean Customs. 3) Some cases investigated by the Korean Customs relating to counterfeit trademark goods. 4) Problems on the operation system in protecting the trademark rights. 5) The improvement measures for those problems. Several problems concerning the protective system of trademark rights in the Korean Customs are as follows: (1) The suspension of release system for the counterfeit trademark goods by the customs is not reasonable. (2) The qua야-judicial procedures to judge whether or not they are counterfeit trademark gooks is imperfect. (3) Since the penalty provisions under the Customs Law for the counterfeit crimes of trademark rights are not legislated, the protection of trademark rights is not still effective. (4) The security amount and its method provided by trademark owner in order to request the suspension of release is not rational. (5) A method of sample-picking and sample-offering to confirm the counterfeit trademark goods are not rational. (6) Expert manpower and equipments, which can professionally judge and disclose counterfeit trademark goods, is inefficient and the uncovering technique is not sufficiently developed. Some remedies for these problems are as follows: (1) The quasi-judicial judgement procedures for counterfeit trademark rights by the customs itself should be provided. (2) The counterfeit trademark goods should be stipulated as the prohibitive items for import-export goods under the Customs Law, and penalty regulations should be provided. (3) In every case of declaration and renewal for trademark goods to the customs, some fees should be paid. The collected money should be invested to develop a more effective and scientific system in exposing the counterfeit trademark goods. (4) By analysing cases of counterfeit trademark goods exposed by the customs, it is necessary to draw dangerous elements of the suspect merchandise in order to be utilized directly in practical services. (5)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independent organization which deals with all the matters related to counterfeit trademark goods. The protective system for trademark right should be operated harmoniously with the other side of the administration of a customhouse. Also in handling the above matters, the interests of the trademark owners should be harmoniously with that of the importers and export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