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행체험 고전문학 텍스트의 교육적 의의

        백순철(Paik Sun-chul) 韓國批評文學會 2010 批評文學 Vol.- No.37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educational significance of travel literature in classical literature. Classical literary text about travel experience have many-sided value besides literary side within text. These texts contain plentiful informations about history, geography, folklore, a world view and aesthetic attitude of a specific age. Classical literary texts about travel experience of the current have some problems. First broblem is want of modern texts, The second is a gap of educational objectives and texts. Next, I have studied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and educational significance of classical literary texts about travel experience. These texts are the repository of cultural information. The main texts are Cheonghakdong(청학동), Yeonhaengga(연행가), Yusankis(유산기류). Then these texts have reflected the spirit of the times. The main texts are Yeonhaengga(연행가, 홍순학), Dongmyungilki(동명일기), Gwandongbyeolgok(관동별곡). As seen from above, The outcome and prospect of this study run as follows ; At first, we I can understand various cultural implicatures of travel literature through this study. Second, we can grasp the characteristics of its texts. Third, we can realize the significance of travel experience in travel literature study.

      • KCI등재

        한국,중국의 국어과 교육과정 고전문학 텍스트 선정 비교 및 교과서 수록 양상

        백순철 ( Sun Chul Paik ),이창희 ( Chang Hui Lee ) 국어교육학회 2013 國語敎育學硏究 Vol.48 No.-

        이 연구는 한국·중국의 국어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고전문학 텍스트의 선정 양상을 비교하고 교과서의 작품 목록 양상을 살피는 데 목적을 둔다. 특히 교육과정에서 중시하는 부분과 교과서의 목록 양상을 통해서 한국과 중국의 국어과 교육과정의 유사성과 차이성을 밝혀 상호간 긍정적 영향을 주고받을 수 있는 부분을 확인하는 데에 주안점을 두었다. 먼저 양국의 교육과정을 살펴 고전문학 텍스트의 선정 기준과 성취 기준을 비교해 보았다. 한국의 국어과 ‘문학’ 영역의 고전문학 텍스트 선정 기준의 특징은 ‘대표성, 다양성, 효율성’으로 집약되며, 중국 ‘어문’ 교과 고전문학 텍스트 선정 기준의 특징은 ‘역사성, 실천성’으로 집약된다. 특히 중국의 경우는 텍스트에 대한 양적 학습을 강조하고 문학교육의 사회적 기능과역할을 상대적으로 중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특징적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성취 기준에 있어서는 한국이 체계성과 지식 영역을 중시하는 반면, 중국은문화적 의미와 가치를 상대적으로 강조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양국의 국어과 교과서에 실린 고전문학 텍스트의 목록 양상과 그 특징을 고찰해 보았다. 중국의 경우는 고중 과정의 ‘어문’ 교과서 7종을 바탕으로 목록의 성격을 살펴보았고, 한국의 경우는 14종 26권의 문학 교과서를 바탕으로 목록의 성격을 살펴보았다. 전체적으로 창작시대별 양상과양식별 수록 양상으로 나누어 그 특징적 국면을 정리해 보았다. 이상의 검토를 통해 고전문학 텍스트의 언어적·문화적 가치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양국의 차이가 크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한국이 비교적 표준화되고 효율적인 교육을 통해 학습자의 부담을 최소화하는 데 비해, 중국의 경우는 고전문학 텍스트에 대한 양적 학습의 확대를 통해서 자국의 역사 문화에 대한 관심과 이해를 거두고자 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 상호간에 서로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받을 수 있는 부분이라 생각되며, 우리의 경우는 특히 중국 교육과정의 양적 지표를 중시하는 점과 감상의 태도를 상세화하는 점 등에서 많은 점들을 시사받을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교과서의 문학사적 설명이나 학습 활동 등의 양상 등을 비교하는구체적 작업 등이 이어진다면 보다 선명한 결론을 얻을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이는 다음 과제로 남겨둔다. This paper analyzed selection aspects of Classic Literature texts in Literature Curriculum and List features of Literature textbooks in Korean- Chinese. Specially, This comparative study clarified similarity and difference between the two nations. Firstly, In this paper maked a comparison criteria for selection and achievement standards between the two nations. The characteristics of criteria for selection of Korean Classic Literature texts suggests representative nature, variety and efficiency. The characteristics of criteria for selection of Chinese suggests historic nature and practical nature. The achievement standards in Korean Literature Curriculum stressed systemicity and knowledge. The achievement standards in Chinese Literature Curriculum stressed cultural values and social implications. Secondly, this study considered List features in Korean-Chinese Literature textbooks. Literature textbooks(語文) of Chinese high school is seven kinds. Literature textbooks of Korean high school is twenty four volumes in fourteen kinds. In this, The analysis examined respectively historical aspect and genre aspects. As a whole, All of Two nations emphasized cultural values of Classic Literature texts. However, Korean curriculum can lessen learner`s burden for standardized and efficient education, while Chinese curriculum focused a lot of learning by memorizing. If Two nations should be exchange a mutual positive impact. it can be develop.

      • KCI등재

        유튜브의 한국어 교육 인기 채널 및 최우수 교육 콘텐츠 분석

        백순철 ( Paik Sun-chul ),이예지 ( Lee Ye-ji ),제갈덕주 ( Jegal Deok-ju ) 배달말학회 2021 배달말 Vol.68 No.-

        이 연구를 통해 최근의 유튜브 한국어 교육의 인기 채널과 최우수 동영상을 분석한 후, 교수자와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 콘텐츠 개발 프로그램에 대한 몇 가지 제안을 하였다. 전자의 경우 크게 네 가지 유의미한 분석 결과를 얻었다. 첫째, 외국인 학습자들의 접근성이 좋은 콘텐츠는 대부분 ‘기업형’으로 운영된다. 이는 홍보성과 접근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둘째, 학습자들이 선호하는 강사진은 한국계 원어민이다. 이는 조회수와 구독자 수로 파악하였다. 셋째, 학원식 강의보다는 영상미와 다양한 편집 기법을 활용한 영상 콘텐츠가 호응도가 높다. 이는 ‘댓글 반응’이나 ‘좋아요 수’를 분석한 결과이다. 넷째, 순수한 한국어 교육보다 다양한 문화요소가 가미된 콘텐츠가 더 호응도가 높다. 다음에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 교수자와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 콘텐츠 개발 프로그램을 크게 세 가지로 제안하였다. 첫째, 유튜브 제작과 운영 교수자들을 위해 기본적인 강의 툴이 제시된 플랫폼을 제공하여야 한다. 둘째, 유튜브 학습자들의 선호도가 높은 검색 방법과 사이트 접근 경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언어 지식적 접근보다는 문화와 흥미를 고려한 시청자 맞춤형 콘텐츠를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In recent years, YouTube has become one of the most popular platforms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around the world. This study thus examines the contents of some Korean language learning YouTube channels selected from the most popularized among the learner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YouTube site using some keywords pertaining to the Korean language learning. Then, a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data to determine the emerging themes and/or concepts, which revealed the following four significant findings. First, the most accessed by learners turned out to be created and provided by major maketing agencies, which aim to promote accessibility and publicity of their contents to their clients. Second, Korean language learners tended to prefer native Korean-speaking teachers, which was figured out by the number of subscribers and the views count on the popular channels and highly rated videos. Third, the analysis of comments and the ‘Like’ count on the channels revealed that video clips edited by various techniques were more attractive to learners than those relying on traditional lecture methods. Finally, the video contents were more eliciting from viewers interactive responses, such as comment or the Like count, when incorporating linguistic components into a range of cultural ones rather than when presenting merely linguistic components per se. The implications drawn out from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are: (1) a professional platform equipped with basic teaching tools should be developed and provided for individual creators and/or instructors; (2) further studies on the ways in which learners search for contents and access to the channels should be done and (3) the contents of the Korean language learning should be customized for learners’ needs and interest, as well as be culturally contextualized.

      • KCI등재

        은촌 조애영 가사의 문체와 여성의식

        백순철 ( Sun Chul Paik )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1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22

        20세기 이후 지속적으로 창작 전승되고 있는 규방가사는 그 형태적 측면이나 주제적 지향에 있어서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시대적 변화를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유의미한 가치를 지닌다. 작자에 따라서 문체나 표현에서 변화를 모색하기도 하고, 주제적 관심의 범위를 외부로 확장하기도 한다. 물론 두 측면에서 모두 변화를 보여주는 경우도 있다. 또한 이러한 변화의 동인은 매체의 변화, 역사적 요인, 가학과 신학문 등매우 복합적이다. 따라서 20세기 여성작자들의 가사작품은 섬세한 해석적 접근을 필요로 한다. 본고는 이중 해방 이전과 해방 이후에 걸쳐 가사를 창작한 은촌 조애영의 작품을 중심으로 문체와 현실인식에 있어서 어떠한 변화를 보여주고 있는지를 고찰하였다. 먼저 은촌 조애영 가사의 문체상의 특징은 4음 4보격의 고정화, 직접인용 방식의 활용, 감정 과잉의 직서적 표현 등으로 정리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들은 현대 규방가사의 형태에서 공통적으로 드러나기도 하고, 은촌 개인의 개성에서 비롯되기도 하며, 역사적 경험에서 형성되기도 한다. 다음으로 은촌의 의식에서 주요한 부분을 형성하고 있는 것은 대사회적 문제의식이라 할 수 있는데, 이는 가학과 신학문을 통해 자연스럽게 형성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은촌의 항일의식이나 독재체제에 대한 비판적 태도는 영양주실마을이라는 작자의 출신 배경과 함께 여성교육을 통해 터득한 것이다. 또한 작자는 사람에 대한 다양한 관심과 깊이 있는 이해를 보여주고 있어서 현실인식의 측면에서 여성의식의 일단을 드러내고 있다. 여기서 인물에 대한 작자의 관심은 곧 여성주체로서 작자의 정신적 성숙이 어떻게 이루어져 왔는지를 이해하는 경로가 되기도 한다. 이처럼 은촌 조애영은 문체와 여성의식의 측면에서 다양한 변화의 징후들을 드러내는데 이는 작자 스스로 긴 창작의 시기 동안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끊임없는 변화를 모색해 왔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literary style and women consciousness of Kyubanggasa`s in the 20`s century. The subject of study is Eunchon Jo-eyoung`s Gasas. Kyubanggasa`s in the 20`s century inherit tradition and take needs of the times. Motives of change are media, historical events, home education etc. Literary style of Eunchon Jo-eyoung`s gasas shows three characteristics. First characteristic is quadrisyllabic-tetrameter. Second characteristic is application of direct quote. Third characteristic is expression of overemotion. These cause are modern literary genre`s style, author`s personality, historical experience. Women consciousness of Eunchon Jo-eyoung`s gasas is due to a critical mind about society. First consciousness is anti-Japanese sentiments. Second consciousness is anti-dictatorship. Main background of These consciousness is tration of Jusil village in Yeongyang county and the education of women. Kyubanggasa`s in the 20`s century are have relevance to patriarchy. Besides these have influenced life and consciousness of women. Emtion and attitude of women is very subjective. Last, We will find author`s interest about indivisual. First meaning is the author`s spiritual growth. Second meaning is desire of change

      • KCI등재

        가사문학 교육의 방법론적 전망 - 지역성과 젠더를 중심으로 -

        백순철 ( Paik Sun-chul ) 한국시가문화학회(구 한국고시가문화학회) 2017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39

        이 글은 가사문학 또는 가사문학 교육 연구에 있어서 주목을 받는 연구 중에서 전망적 가치를 지닌 주제로 `지역성`과 `젠더`에 착목하여 문학교실에서 이를 교육내용 및 방법으로 어떻게 수용하고 실천할 것인가에 대한 전망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먼저 기왕의 연구에서 지역성을 보는 시각은 두 가지로 나뉘는데 하나는 `지역성`을 가사문학 생성의 기반으로 보는 시각이고, 다른 하나는 구체적인 실존으로서의 장소와 공간이 가사작품에 반영되어 있는 방식을 지역성으로 보는 시각이다. 이는 대상화·지방화되어 가는 지역문화에 역사성과 구체성을 부여해주고, 시대나 집단을 중심으로 한 담론에 가려진 주체적 개인과 개별 작품의 삶과 의식을 온전히 복원해 주는 연구라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젠더에 대한 논의에서 주된 대상은 규방가사 또는 여성가사이다. 연구 방법은 발굴되지 않은 새로운 작가와 자료를 찾아 문학사에 등재시킴으로써 그 존재론적 가치를 확정하는 것이고, 동일한 경험을 공유하는 여성젠더의 보편적 의식지향과 특수한 개별 체험을 가진 작가의 고유한 세계관적 태도를 살피는 것이 또한 이에 해당할 것이다. 이러한 논의의 검토를 토대로 하여 문학교실에서 가사문학을 교육할 때 `지역성`과 `젠더`의 문제를 어떻게 구체적으로 적용하고 실천할 것인가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지역성과 관련하여서는 지역성이 가사문학을 형성하는 생명력의 근원임을 확인하기 위해 가사문학의 심상지리에 주목하며, 중앙 중심의 관점을 극북하며, 가사문학의 구체적 존재기반을 탐구하여 그 형성과 전승의 기반을 살펴보는 것이다. 다음으로 가사문학을 교육할 때 `젠더`의 측면에서 고려할 점들을 짚어보면 먼저 남성 중심적 시각에서 벗어나 텍스트를 바라보는 시각과 태도를 가지며, 가사문학에서 정전(正典)의 목록을 재구성하거나 정전의 의미를 재해석하여 여성문학의 위상을 재정립하고, 남성성/여성성의 이분법적 시각을 극복하여 여성가사가 도달할 수 있는 내용과 표현의 다양한 증거들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처럼 변화되고 분화되어 가는 다양한 시각과 관점의 접근과 연구가 효율적으로 교육 현장과 만날 때 우리의 문학교육은 좀더 생생한 담론의 대상으로 자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focuses on `regionality` and `gender` as a topic with prospective value among the studies that are attracting attention in the research on the Gasa literature or the literary education in Gasa and how to accept and practice it in the literary classroom The purpose is to present a perspective. First, there are two ways to view the regionality in the study of the former. One is to view the `regionality` as the basis of the production of the Gasa literature, and the other is the way in which the place and space as the concrete existence are reflected in the Gasa text. This is a research that gives historical and specificity to the local culture that is subject to localization and localization, and restores the life and consciousness of the individual individual and individual works hidden in the discourse centering on the age and group. Next, the main subject in the discussion on gender is the Kyubanaggasa or Gasa of the female household. The research method is to confirm the ontological value by listing new writers and materials that have not been discovered and to register them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It is also important to understand the universal consciousness of female gender sharing the same experience and the unique worldview attitude of the author. Based on the review of these discussions, how to apply and practice the problem of `regionality` and `gender` when teaching housekeeping literature in literary class is summarized as follows. In order to confirm that the regionality is the source of vitality forming the domestic literature, I focus on the image geography of the domestic literature, observe the central point of view, explore the concrete existence of the domestic literature, Next, when teaching the Gasa literature, the points to be considered in the aspect of `gender` are as follows : First, it has a viewpoint and attitude looking at the text away from the male - centered viewpoint, and restructuring the list of canons in the housekeeping literature, And to overcome the dichotomical view of masculinity / femininity and to confirm the diverse evidence of contents and expression that women`s households can reach. This approach to literary education can be a more lively discourse when the approach and research of various perspectives and perspectives that are changed and differentiated meet the educational field efficiently.

      • KCI등재

        문화콘텐츠 원천으로서 <화전가>의 가능성

        백순철 ( Sun Chul Paik ) 한국고시가문화학회(구 한국고시가문학회) 2014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34

        이 연구는 화전가의 문화콘텐츠적 가능성을 전망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이를 위해 고전시가의 주요 작품들이 문화콘텐츠로 활용된 사례를 통해 현재 시점의 대표적 성과를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본고의 대상인 화전가의 중심인 화전놀이가 현대적으로 계승 활용된 사례를 살펴보고, 화전가 텍스트를 통해 그 놀이의 역사성을 현재에 되살리는 데 어떻게 기여할 것인가의 문제를 거론하였다. 또한 화전가를 다양한 문화콘텐츠로 확장 전환하는 방향을 검토하였다. 고전시가의 문화콘텐츠화 양상에서는 시조, 가사, 민요, 무가 등의 자료 집성 및 주석과 현대화 등 기초적인 성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고전시가가 현대시, 현대소설, 대중가요 등의 현대적 텍스트로 변용된 사례에서 향가와 속요 갈래의 현대적 계승이 많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밖에 고전시가가 관광콘텐츠로 활용된 긍정적 사례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고전시가가 문화콘텐츠 원천으로서 적절성과 확장성을 지닌 텍스트임을 제시하였다. 화전놀이의 문화콘텐츠화 양상에서는 유희적 소통으로 이뤄지는 현재의 화전놀이 수용 사례를 성찰하고 화전놀이 문화 본래의 지역성과 역사성을 복원하기 위해 화전가와의 결합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이를 통해 해방과 연대의 치유적 소통이 가능함을 제시하였다. 화전가의 콘텐츠적 가능성에서는 교육연구 콘텐츠 구축, 대중매체 콘텐츠로의 변용, 관광이나 전시 등의 산업정보 콘텐츠로의 확장 등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본고의 논의는 고전의 현대적 계승과 대중화라는 시대적 과제를 실천하기 위해 기획된 것으로 깊이 있는 교육연구 텍스트의 구축 못지 않게 대중적 확산과 소통의 노력을 위한 콘텐츠의 활용도 중요함을 제시한 것이다. The purpuse of this paper is to study potentional of Whajeonga as sources of culture contents. To this end, In this paper analyzed usage examples as culture contents in main works of classical poetry. And Whajeonnori includes regional features and historical features, However, Today, this had not just chance of modern succession in classical poetry. This study clarified appropriateness and scalability of Whajeonga as sources of culture contents. Firstly, In Making cultural contents of classical poetry, this study suggested Modernization of Sijo, Gasa, Folk song, and Muga. Besides, Modern change in appearance of classical poetry showed positive examples through of the Koryo-gayo and Hyangga. Next, this study emphasized local examples of festival and exhibition as Tourism contents of classical poetrySecondly, In Making cultural contents of Whajeonnori, this study presents possibility of therapeutic communication by healing and solidarity from combination with Whajeonga. Lastly, In Making cultural contents of Whajeonga, this study emphasized building of education cotents, transition to popular contents and transition to industrial cotents. As a whole, This paper institutes necessity of Making cultural contents of classical poetry. Through potentional of Whajeonga as sources of culture contents, we can identify potential of popular spreads and communication of classical literature.

      • KCI등재
      • KCI등재

        서울,경기 지역 민요의 분포 현황과 전승상의 특징

        백순철 ( Sun Chul Paik ) 우리어문학회 2007 우리어문연구 Vol.29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grasp distribution patterns and of folkloric keynote of folk songs in Seoul and Gyeong-gi-do province. Sources of data are 7 kinds of books and total records of database are 1,451 pieces in this research. The classified code definition of Korean folk songs consist of 3 types-large type, medium type, and small type.(an attatched sheet). The implications of this paper runs as follows; First, we can See regional distribution patterns of types using folk songs database. Farming song(M101) is the highest percentage among folk songs in Seoul and Gyeong-gi-do province. Rice planting folk songs and rice padding folk songs among them is higher than the others. Second, Folk songs in Seoul and Gyeong-gi-do province indicate the variety in melody and telling but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Third, Distribution patterns of oral informant in Seoul and Gyeong-gi-do province express an overwhelming majority of male informant and the aged informant. Besides a number of aboriginal informant is higher than a number of not-aboriginal informant. Fourth, Group play folk songs is the highest percentage among amusement folk songs in Seoul and Gyeong-gi-do province. Antagonism relation of traditional folk songs and common folk songs is a cause of this phenomenon. We Emphasize the necessity to collect and systemize potential folk materials. We will need to add and supplement continuous data to enhance completion of Korean folk songs database. This paper can clarify similarity and difference of distribution of Korean folk songs between regions. And database construction of this paper will contribute to research and cultural using.

      • KCI등재

        『少女必知』의 체제상의 특징과 여성교육 담론의 성격

        백순철(Paik Sun Chul)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2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25

        내은(乃隱) 조인석(趙寅錫, 1879~1950)과 그가 편찬한 여성교육서인 『少女必知』는 주제와 내용에 드러난 작자의식에 있어서 전통과 근대가 만나는 문화접변적 성격을 가지고 있다. 조인석은 그 생애나 후대의 평가로 볼 때 지역의 남성유학자이면서도 그 개화된 여성관이나 근대적 계몽의식에 있어서 매우 선구적인 인물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그가 편찬한 『少女必知』는 학교나 매체에서 형성된 근대기 여성교육 담론과는 구분되는 또다른 특징적 국면을 담고 있다고 생각된다. 본고에서는 이를 파악하기 위해 체제상의 특징을 통해 텍스트의 형성 경위를 살펴보고, 전체 내용을 관통하는 여성교육의 큰 축을 이해하는 데에 초점을 맞추어 보았다. 『少女必知』에서 1장에서 16장까지의 여성교육 담론은 서문의 편찬시기인 1927년까지 완성된 것으로 보인다. 다만 집필의 과정을 보면 15, 16장의 구체적 경험과 성찰이 선행하고, 이를 통해 저자가 구축한 여성교육관을 정리해낸 것이 1~14장의 여성교육 내용이라 할 수 있다. 17, 18장과 부록은 『少女必知』의 1차 집필 이후 추가된 내용으로서 사회문제 해결에 대한 저자의 강한 문제의식과 문학적 장치에 대한 고려를 엿볼 수 있다. 『少女必知』에 나타난 여성교육 담론에서는 크게 '생활난'과 '가정불화'를 당대 사회의 가장 중요한 문제로 지적하면서 그 극복에 있어서 여성의 역할과 이에 따른 여성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조인석은 조선의 이곳저곳을 여행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사람들을 만나게 되는데 그 과정에서 경제적 어려움에 처한 남녀들의 다양한 처지를 목도하게 된다. 저자는 여기서 근검과 절용의 실천을 통한 현실적 경제관리 능력을 문제해결의 첩경으로 제시하고 있다. 이는 저자가 여성들의 공정함과 균형 감각을 일찍이 파악하고 있었던 데에 기인한다. 사람들의 생활난 뒤에는 가부장제, 신분사회의 습속, 교육 부재 등의 문제가 있음을 정확히 지적하면서 이를 타개하기 위한 가장 현실적인 대안으로서 여성들의 자각과 근검과 절용의 실천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여성들의 일방적 희생과 인내를 강요하기보다는 여성들의 역할을 강조함으로써 자연스럽게 여성교육의 중요성을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또한 근대 주요한 사회문제로 대두되는 가족 해체의 양상을 잘못된 결혼제도에서 비롯된 가정불화와 갈등에서 찾고, 특히 그 과정에서 신여성과 구여성 모두 잘못된 제도의 피해자가 될 수 있음을 지적하였다. 여기서도 부부관계의 회복에 있어서 여성의 역할과 여성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처럼 『少女必知』는 근대기 여성교육 담론의 다양한 생산 배경을 보여주는 사례이면서 동시에 전통적인 유교지식인이 근대적 개화의식을 내면화한 가운데 여성교육에 대한 새로운 방향과 문제의식을 보여준 자료이다. 전통의 계승을 외면하지 않으면서도 변화하는 현실에 적극적으로 대응해 나가는 지역 유교지식인들의 자기갱신의 성격을 여성교육 담론의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 의의를 평가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order features and women's educational discourse of Naeeun Jo-inseok and his 『A Young Girl-required Knowledge』. This book have acculturational features in traditional age and the 20's century. Naeeun Jo-inseok is a pioneering person in the view of women and modern enlightenment consciousness. Women's educational discourse of modern age is produced in the three aspects of follows ; school system, a journal media, social custom. 『A Young Girl-required Knowledge』 is one of third aspects. Writing processing of 『A Young Girl-required Knowledge』 is consist of three stages. The first stage is from chapter 15 to chapter 16. This stage includes Travel experience and self questioning. The second stage is from chapter 1 to chapter 14. This stage includes virtues of women's educational discourse. Until this is produced to the a writing age '1927' of 『A Young Girl-required Knowledge』. The third stage is from chapter 17 to chapter 18. This stage is is added after a writing age '1927' of 『A Young Girl-required Knowledge』. Women's educational discourse of 『A Young Girl-required Knowledge』 is centered on the hard living and domestic trouble. To overcome this problem, This book focused on the role of women and the importance of women education. First, To overcome hard living presents practice of thrift, diligence and saving. Second, To overcome domestic trouble presents recovery of matrimony. Last, 『A Young Girl-required Knowledge』 is the principal studt work for understanding critical mind of Confucianism intellectuals in the modern age. Besides, This book shows various aspects of women's educational discourse.

      • KCI등재

        이방익(李邦翼)의 <표해가(漂海歌)>에 나타난 표류 체험의 양상과 바다의 표상적 의미

        백순철 ( Sun Chul Paik ) 한민족어문학회 2012 韓民族語文學 Vol.0 No.62

        이 글에서는 <표해가>의 자료 현황을 확인하고 그 연구사적 의의를 재점검하였으며, 작품 속에 나타난 작자의 의식지향을 크게 표류 체험과 이국 체험의 양상으로 나누어 변화과정을 드러내는 데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를 진행하였다. 첫째, 한글본 가사 이본 4종과 역사서나 문집의 한문기록들의 차이점을 통해 자료들간의 상호보완적 성격을 확인하였다. 특히 가장 일정이 상세한 『日省錄』을 토대로 한문기록인 <書李邦翼事>와 가사 <표해가>를 대조해 보면서 역사, 지리, 문학 정보를 담은 문화적 텍스트로서 상호 보완적 관계에 있음을 확인하고 그 활용의 긴요함을 강조하였다. 둘째, 작품 내부에서 나타나는 작자 의식을 ``표해 체험, 표류인으로서의 자기 발견``과 ``이국 체험, 국제인으로서의 자기 변화``라는 두 가지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보았다. 전자는 비계획적이고 비주도적인 표해 체험을 통해 숨겨진 자아를 발견하고 자기 성찰을 이끌어내는 작자의식의 면모를 드러내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후자는 안정적인 고국 송환이 확보된 이후 중국이라는 공간에 대한 이국체험의 양상과 함께 중국이 바라보는 조선(조선인)의 위상을 확인하면서 나타나는 자기 인식의 변화를 읽어내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셋째, 작품의 문화사적 의미와 관련하여 주요 공간인 바다의 표상적 의미가 어떠한 질서 속에서 구축되는지를 분석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고대로부터 근대에 이르기까지 바다 관련 자료의 표상적 의미가 어떻게 진행되는지 살펴보았다. <표해가>를 통해 표류 문학이 갖는 문학사적 의의뿐만 아니라 역사, 지리 등의 인문 정보를 담은 텍스트로서의 문화사적 의미를 다시금 재확인하고 풍부하고 다각적인 해석의 필요성을 제기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aspects of the drift experience and presentational meaning of the sea in ``s Gasa ``Pyohaega``. Pyohaega is the recording of drift, and also is text of cultural history. To study this text needs investigation of various surrounding material. Among the history books, is the Annals of the Chosun Dynasty and Royal secretariat of the Chosun Dynasty. In a collection of works, is Pyohaerok, Park-Jiwon`s Seoleebangiksa, etc. This books are the complementary in relationship. The author`s consciousness of Pyohaega have two aspects. One is the drift experience and self-discovery of drifting people. The other is foreign country experience and self change of international people. The former is unplanned and unproactive. The latter is curious about China and confident about Chosun. Last, The presentational meaning of the sea is made with variable meaningin in literary works. The sea have imaginary images, experiential images, planning images. On the research of Gasa ``Pyohaega`` is significance of Korean cultural history as well as significance of Korean Literary History. This paper institutes necessity of many-sided approachs and possibility of various interpret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