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최인훈의 에세이에 나타난 문학론 연구

        권성우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2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55 No.-

        소설가 최인훈(崔仁勳: 1936~)은 『광장』, 『회색인』 등의 탁월한 소설, 그리고 『옛날 옛적에 훠어이 훠이』로 대변되는 희곡집 외에도 『문학과 이데올로기』, 『유토피아의 꿈』, 『길에 관한 명상』 등의 문학론과 에세이를 남겼다. 이 글에서 주목하고자 하는 것은 바로 이러한 최인훈의 에세이와 문학론이다. 그의 문학적 에세이에는 문학과 정치, 다른 예술과 구별되는 문학의 본질, 문학적 자의식에 대한 섬세하고 치밀한 사유가 개진되어 있다. 이를테면 최인훈의 문학적 에세이를 통해 순수주의의 미망과 정치적 환원론의 오류로부터 탈피한 문학의 고유한 자리를 상상할 수 있다. 이런 의미에서 최인훈의 문학과 정치에 대한 사유는 최근의 ‘문학과 정치’에 관한 논쟁의 선구적 통찰력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최인훈은 다른 예술과 구별되는 문학의 고유하고 독특한 특성, 즉 다른 예술에 비해 사상이나 논리, 역사, 이념과 무관할 수 없는 문학의 성격에 대해 깊이 있게 탐구한다. 동시에 ‘문학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질문에 대한 남다른 통찰력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도 최인훈의 문학적 에세이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최인훈의 문학론과 비평적 에세이에 대한 탐구를 통해, 뛰어난 소설가는 동시에 뛰어난 에세이스트이자 문학이론가일 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게 되었다. This paper is an attempt to study on Choi Inhoon(a novelist, 崔仁勳)’s literary essays. He is not only an excellent writer but also an essayist who published a number of outstanding essays on literature and art more than any novelist. His excellent essays and proses are included in the books, Literature and Ideology, Dream of Utopia, Meditation on the Way. Choi Inhoon’s essays are an precious attempt to research on essence of Literature and Art. And through his essays, he has elaborately studied the relation between literature and politics, and the literary sense of identity. Choi Inhoon regards the political role of literature as important, but at the same time, he takes a stand against its being dependent on the politics. Choi shows the peculiar role of literature compared with the ones of other arts. He expresses intense, impressive “literary self-consciousness” more than any other writers.

      • KCI등재후보

        김남천의 에세이 연구

        권성우 우리말글학회 2004 우리말 글 Vol.31 No.-

        This thesis is written to study the critic, Kimnamchon's essay.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followings are found; 1) Big crack and difference exist between Kimnamchon‘s essay and his political criticism. 2) Various and delicate opinions, which can not be found in his political criticism, are expressed in his essay. This is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 of the genre as essay. 3) Rich understanding about autonomy of art is revealed in Kimnamchon's essay. In addition, his interest which is wide-opened to manners and culture at large is expressed in his essays. Especially, Kimnamchon's examination on commercialism and the relation of press and the field of literature is extraordinarily sharp. 4) His deep love for the family, longing for home, sentimentalism, and nihilism are abundantly found in Kimnamchon's essays.(Sookmyung Women's University)

      • KCI등재

        김학영의 『얼어붙은 입』에 대한 세 가지 해석과 논점

        권성우 한민족문화학회 2017 한민족문화연구 Vol.60 No.-

        이 논문은 재일 조선인 작가 김학영의 대표작 『얼어붙은 입』에 대한 세 가지 해석과 논점에 대해 탐구하고 있다. 김학영의 문학과 그의 삶은 재일 디아스포라의 포지션, 사상과 입장의 다양성을 검증하는 문학적 시금석이다. 『얼어붙은 입』은 주인공 최규식을 통해 민족주의적 지평으로 회수되지 않는 인간의 근원적인 불우와 상처에 대해 형상화한다. 평생 ‘말더듬이’로 극심한 상처를 받아온 주인공은 김학영의 분신이기도 하다. 역시 평생 말더듬이로 극심한 고통과 상처를 받았으며 고독한 혼자만의 세계에 머물던 김학영은 결국 사십대 후반이던 1985년 고향 생가에서 가스 자살로 비극적인 인생을 마감한다. 재일 한국인(조선인) 2세 철학자 다케다 세이지는 김학영의 『얼어붙은 입』에 대해 깊은 관심과 애정을 보여주고 있다. 다케다가 김학영을 높이 평가하는 매우 문학적인 차원에 근거한다. 그의 김학영론은 어떤 글보다도 김학영 문학의 내밀한 가치와 고유한 문학적 매력을 정확히 포착하고 있다. 그러나 ‘민족’과 ‘인간’을 이분법적으로 상정하는 그의 편의적 사유에 대해서는 비판이 필요하다. 서경식은 한국사회에서 한층 널리 알려진 재일 디아스포라 저자이다. 그는 일단 김학영 소설의 문학적 가치에 대해서는 인정한다. 그러나 그의 소설이 일본사회에서 수용되고 소비되는 맥락에 대해서는 매우 비판적이다. 서경식의 이러한 비판은 지나치게 정치적인 차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한 작품에 대한 온전한 이해와 해석이라는 측면에서 보자면, 서경식의 관점은 아쉬움이 존재한다. 한국 지식사회에서도 높이 평가받는 재일조선인 2세 학자 윤건차는 말년의 역저 『자이니치의 정신사』에서 김학영의 문학에 대해 구체적으로 언급하고 있다. 김학영의 『얼어붙은 입』에 대한 그의 입장은 공감(이해)과 유보 사이를 미묘하게 진동한다. 그는 그동안 충분히 인정받지 못한 김학영 문학의 소중함을 인정한다. 그러나 윤건차는 김학영의 정치적 입장과는 거리를 둔다. 이러한 윤건차의 양가적 감정은 재일조선인들의 세계관의 편차와 곤경을 그대로 투사하고 있는 듯하다. 자이니치 작가 김학영의 대표작 『얼어붙은 입』은 상대방을 온전히 이해한다는 것, 그 소통과 교감, 공감, 이해가 얼마나 힘든 일인가를 웅변하는 소설이다. This paper explores three interpretations and issues of the representative work, <A Frozen Mouth> by Kim Hakyoung(金鶴泳), a Korean writer in Japan. Kim Hakyoung’s novel is a literary touchstone to examine diverse positions of Korean diaspora in Japan. <A Frozen Mouth> deals with the fundamental wounds of human beings not captured by the nationalistic perspective. The hero, who was seriously hurt due to his ‘stuttering’ for his life, is an alter ego of Kim Hakyoung, who was also a stutterer himself. Kim Hakyoung, who stayed in the lonely world, finally ended a tragic life by committing suicide. Takeda Seiji[竹田青嗣], a second-generation Korean philosopher in Japan, showed lots of interest in and affection for Kim Hakyoung’s <A Frozen Mouth>. His appraisal of Kim Hakyoung is based on a very literary dimension. His critic accurately captures the implicit value of Kim Hakyoung’s literature. But His dichotomous thinking requires criticism. Seo Kyungsik(徐京植) recognizes the literary value of Kim Hakyoung’s novel. However, he is very critical of the context in which Kim Hakyoung’s novel is accepted in Japanese society. His criticism is being done on an overly political level. Considered at the dimension of complete understanding, there is a pity in the viewpoint of Seo Kyungsik. Yoon Guncha(尹健次) specifically mentioned the literature of Kim Hakyoung in his book ≪The Mental History of the Residence in Japan≫(『在日의 精神史』). He recognises the literary value of Kim Hakyoung’s novel <A Frozen Mouth> adequately. He keeps distance from Kim’s political position. The ambivalent feelings of Yoon Guncha are projecting differences of varied positions and troubles of Koreans in Japan. <A Frozen Mouth>, a masterpiece by Kim Hakyoung, Korean writer in Japan, is a novel that shows how difficult it is to communicate with others.

      • KCI등재

        김사량 문학에 나타난 아일랜드의 전유(專有)와 언어관

        권성우 우리문학회 2019 우리文學硏究 Vol.0 No.61

        This essay explores the meaning of “Ireland” in the novels and criticism of a Korean novelist, Kim Sa-ryang. I compare the language environment and the nationalistic horizons faced by this writer from colonial Joseon and some Irish writers, such as James Joyce. In the novel, CheonMa written by Kim Sa-ryang, there is a dialogue about the use of Celtic by Irish writers. In the dialogue, Lee Myung-sik, the protagonist of this novel, explains the context of the Irish writer’s use of Celtic. His insistence on keeping Korean language and culture can be regarded as resistance to pro-Japanese writers claiming to write only in Japanese. Conversely, Kim’s criticism deals with language problems in more specific ways than his novels. He used Irish culture, including “Irish slang,” as a means of protecting Korean language and Joseon culture from oppression. However, in reality, Irish writers such as James Joyce, Yates, and Bernard Shaw distanced themselves from strong nationalistic movements. They also fully understood the universal power of the English language. Overall, they were critical of the Irish situation. Kim Sa-ryang, however, saw nationalism and the mother language (Korean) as more important than universality or cultural sophistication. The aspects of the two colonial languages being used and invoked in the process of competing with the languages of colonial empires were different in Ireland and colonial Korea. Unlike Gaelic, Korean was a living and universal language in colonial Korea. There was also a notable difference in the language environment between Irish diaspora writers and Korean-Japanese writers. The “Island” in Kim’s writing reveals the subtle cultural difference. 이 논문은 소설가 김사량의 소설 「천마」와 비평 「조선문학풍월록」과 「조선문화통신」에서 호명된 ‘아일랜드’의 의미와 그 문학적 맥락에 대해 살펴본다. 그 과정에서 식민지 조선의 작가 김사량과 제임스 조이스 등 아일랜드 작가들이 마주한 언어환경과 민족주의에 대한 시야를 비교 검토했다. 김사량의 중편소설 「천마」에는 아일랜드 예술가의 켈트어(게일어) 사용에 관한 진단이 등장한다. 아일랜드 작가의 켈트어 사용의 맥락과 그 한계를 짚어내는 대화에는 작가 김사량의 입장이 깊이 배어 있다. 비평가 이명식의 조선어와 조선문화 수호 주장은 일본어로 창작을 해야 한다고 적극적으로 주장했던 소설가 장혁주를 비롯한 친일문인과 하야시 후사오 등 일본문인에 대한 대응이라는 차원에서 수행된다. 한편 김사량의 비평(산문)에는 창작보다 한층 구체적인 방식으로 조선어와 내지어(일본어)의 관계, 일본어 창작 문제, 김사량의 언어관 등이 상세하게 기술된다. 김사량을 포함한 당시 문인들에게 ‘아일랜드 슬랭’을 비롯한 아일랜드 문화는 조선어 수호와 일제에 대한 저항의 준거로 전유되고 활용된다. 실제로 제임스 조이스나 예이츠, 버나드 쇼 등 아일랜드 작가들은 김사량을 위시한 식민지 조선의 작가들과는 달리, 대체로 강력한 민족주의적 정서와는 거리를 두었으며, 제국과 영어의 보편성에 대해 한층 친화적이다. 그들은 대체로 아일랜드의 현실과 민족주의적 정서에 대해 비판적이다. 이에 비해 김사량은 보편성, 국제화, 문화적 세련됨보다는 민족적 감성, 저항, 민족적 자부심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제국의 언어와 식민지의 언어가 경합하는 과정에서 식민지의 언어가 기억되고 활용되며 호출되는 과정은 아일랜드와 식민지 조선에서 각기 사뭇 다른 현실로 대두된다. 게일어와 달리, 조선어는 대부분의 식민지 대중에게 살아있는 언어이자 보편적인 수단이며 일상적 감각에 가깝다. 아일랜드 디아스포라 작가와 재일 조선인 작가의 언어관에 중대한 차이가 나타나는 이유는 바로 이러한 문화적 낙차 때문이다. 김사량의 소설과 산문(평론)에서 드러난 아일랜드의 호명과 해석은 바로 민족어(조선어, 게일어) 사용을 둘러싼 언어환경과 문화적 차이가 지닌 의미를 생생하게 방출하는 증거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