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능소화의 꽃받침으로부터 Protein Kinase C 저해물질인 Verbascoside의 분리 및 그 생물활성

        이현선,박문수,오원근,안순철,김보연,김환묵,오구택,민태익,안종석 대한약학회 1993 약학회지 Vol.37 No.6

        The calyx extract of Campsis grandiflora displayed inhibitory activity against protein kinase C from the bovine brain. Separation guided by protein kinase C enzyme assay and bleb forming assay led to isolation of a potent protein kinase C inhibitor that was identified as a known phenylpropanoid glycoside, verbascoside. It suppressed completely bleb-formation of K562 cell surface induced by phorbol 12,13-dibutylate at the concentration of 60 $\mu\textrm{g}$/ml and IC$_{50}$ of the protein kinase C occured at 20 $\mu{M}$. This compound was tested for cytotoxic activity against ten human tumor cell lines in vitro. it exhibited moderate cytotoxic activity against skin tumor cell line M14 (IC$_{50}$ 2.2 $\mu\textrm{g}$/ml) and very weak cytotoxicity against other cell lines (IC$_{50}$>10 $\mu\textrm{g}$/ml)

      • KCI등재

        논문 : 조선 시대 문헌 자료로 본 근대한어(近代漢語) 선모(禪母)의 변화 양상

        이현선 중국어문학회 2015 中國語文學誌 Vol.0 No.53

        中古的禪母爲正齒三等濁擦音, 通過《廣韻》反切系聯, 就能分出禪母. 而在衆多近代漢語文獻材料上都근船母混而不分, 明朝《洪武正韻》裡還和日母相混。經硏究, 壹般認爲, 禪船二母在近代已經合流, 在《洪武正韻》與日母相混是受吳語影響。本文試圖利用韓國朝鮮時代的文獻資料加以佐證, 合理解釋近代漢語禪母的歷史演變, 顯示了朝鮮時代文獻資料注音反映的禪母字的演變。其得結論爲三:第壹, 朝鮮時代的文獻資料充分反映了多數禪母字的變化, 經過近代最終變化爲現代普通話的sh/s/; 第二, 朝鮮時代的文獻資料上還反映著平聲禪母字變爲次淸的現象, 這些字已經在《洪武正韻》以及《中原音韻》時期中已變化爲塞擦音, 隨後走上了濁音輕化的軌道; 第三, 朝鮮時代的資料所記載的注音中, 《華東正音通釋韻考》及諸譯學書的右音更能反映出近代漢語的語音變化。

      • KCI등재

        율곡 이이의 리기론에 있어 장재와 이정 형제의 영향 - 나흠순(羅欽順)과 박순(朴淳)의 기 철학 비판을 중심으로

        이현선 한국유교학회 2017 유교사상문화연구 Vol.0 No.69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owcase how Yi Yi 李珥 accepts or criticizes Cheng brothers(二程; 程顥 & 程頤)’s concept of Li 理, or Zhang Zai 張載’s concept of Qi 氣. Yi Yi‘s criticism of Zhang Zai is revealed in his rebuke of Luo Qin-shun 羅欽順, a Neo-Confucian scholar of the Ming dynasty, as well as his debate with Park Shun 朴淳, a scholar of the hwa-dam 花潭 school at 16th century in Korea. Yi Yi’s opposition of Zhang Zai was estabLished through his original interpretation of the Cheng brothers. Contrary to Luo’s scepticism of the concept of ‘Suo-yi 所以’ in his contention of ‘Li-Qi Yi-wu 理氣一物’, Yi Yi embraces 'Suo-yi’ - a dividing Line between the Xing-er-shang 形而上 and the Xing-er-xia 形而下 - as a depiction of the Li, and inherits the fundamental view-points of Cheng-Zhu(程朱). Through this debate, Yi Yi denounces those who understand Li as something that requires Qi as prerequisite, and grants Li an independent status. The dispute between Yi Yi and Park Shun is significant in that it displays the critical stance Yi Yi takes towards the trend of the philosophy of Qi which begins with Zhang Zai. Zhang Zai evaluates 'Ultimate Void(太虛)’ as something that is deduced from the phenomenal level of Qi, while simultaneously considered transcendental, as a substance(本體). Yi Yi is critical of this dual status, and reduces Qi to a cycle of movement between yin 陰 and yang 陽. Yi Yi also adheres to Cheng Yi(程頤)’s “動靜無端, 陰陽無始” while arguing that Qi can only be comprehended as an aspect of movement in the phenomenal level, the infinite cycle of yin and yang, but not as the foundation or Substance of such movement. For Yi Yi, the foundation of yin-yang movement is Li. This contention is in accord with that of the Cheng brothers who criticize Zhang Zai while refusing Qi the status as substance. On the other hand, Yi Yi claims that Li is neither 'predecessor' to Qi which gives birth to phenomenal being and its transformation, nor is 'successor', something that can be detected only after Qi's movement. The distance between Cheng-Zhu and Yi Yi becomes clear in his claim that Li cannot exist independent of Qi. Although Li and Qi are independent of each other that is only as concepts; they should not be considered separate, independent entities. As a substance, the two 'neither precede nor succeed', but on the phenomenal level, it might be stated that Li precedes Qi. As opposed to the philosophy of Yi Hwang 李滉, who Yi Yi is often seen in comparison to, Yi Yi ostensibly puts more emphasis on Qi. Nevertheless, when compared to the trend of the contemporary Chinese Neo-Confucianism, Yi Yi’s stance clearly differs from those who elevates the Qi to substantial status. The fact that Yi Yi also underscores the independency of the Li should never be overlooked. 이 논문은 이이의 리기론이 이정 형제의 理 철학과 장재의 氣 철학을 어떻게 수용 내지 비판하고 있는가를 살펴보는 데 주목적이 있다. 이이의 장재 철학에 대한 비판적 입장은 명대 유학자인 나흠순(羅欽順)에 대한 비판과 화담학파인 박순(朴淳)과의 논쟁에서 드러난다. 이러한 기 철학에 대한 비판은 일정 정도 이이가 이정 형제의 철학에 대한 독자적 해석을 통해 이루어진 것이다. 이이는 나흠순의 ‘理氣一物’설을 비판하며, 특히 ‘所以’ 개념을 ‘리’에 대해 서술로 적극 수용함으로써 정주학의 기본 관점을 계승한다. 이를 통해 그는 리를 기가 전제된 이후에야 존립 가능한 것으로 보는 기 철학적 관점을 비판하며, 기와 구분되는 리의 독자적 위상을 제시하고 있다. 이이와 박순 간의 논쟁은 장재로부터 정립된 기 철학에 대한 이이의 비판적 입장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매우 큰 의의가 있다. 이이는 장재의 기 철학에서 ‘태허’가 기의 현상적 차원에서 도출된 것이면서도 동시에 초월적 본체라는 이중적 규정을 가지는 것을 비판하며, 기를 무한한 음양의 순환 운동 차원으로 한정짓는다. 이이는 정이가 말한 “動靜無端, 陰陽無始”의 관점을 고수하면서 ‘氣’를 현상적 운동의 양상으로서 음양의 무한한 순환으로 파악할 뿐, 그러한 음양 운동의 근거이자 본체로서 인정하지 않는다. 이이에게서 그러한 음양 운동의 근거는 ‘리’로 제시된다. 이 점은 이정 형제가 장재를 비판하며 기의 본체적 지위를 인정하지 않는 기본 입장과 궤를 같이 하는 것이다. 다른 한편, 이이는 리와 기가 개념상 구분을 가지고 있음에도, 이 둘을 분리된 독립적 실재로 이해해서는 안 된다고 본다. 그는 이러한 리기론의 입장을 “텅 비고 고요하여 아무 조짐도 없지만 모든 현상이 빽빽한 숲과 같다[冲漠無朕而萬象森然]”는 문장과 이어지는 “아직 감응하지 않은 것이 앞선 것은 아니며[未應不是先], 이미 감응한 것이 나중의 것은 아니다[已應不是後]”는 정이의 문장을 통해 뒷받침한다. 이이는 리가 현상 존재와 변화를 낳는 기 운동에 ‘앞서 존재하는 것’이 아니며, 그렇다고 기 운동 이후에야 파악될 수 있는 ‘나중의 것’도 아님을 주장하는 것이다. 이이는 리가 기와 떨어진 독립된 실재일 수 없다고 본다는 점에서 분명히 정주학과 일정한 거리가 있다. 그럼에도 당시 중국 사조와 견주어 볼 때, 이이는 ‘기’에 본체적 지위를 부여하는 사상적 흐름과는 명백히 다른 노선을 개진하면서, 리의 독자적 위상을 강조하고 있다는 점 역시 간과되어서는 안 된다.

      • KCI등재후보

        국내 공개공지 디자인 가이드라인 구축 및 적용에 관한 연구 - 서울시 중구를 중점으로 -

        이현선,김용승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2009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Vol.- No.26

        The aim of this study is to make and apply the design guidelines of public open spaces in Junggu of Seoul. It could be seen that there are serious problems in the public open spaces of Junngu are having some problems in terms of openness, accessibility, safety, function, connectivity and amenity. This study tries to solve those problems by proposing some design guidelines. The study analysed the present Junggu's open spaces from the Gehl's point of views. Finally, it suggests 10 design guidelines and applies them to new cases, which are classified into 3 types.

      • KCI등재

        계숭(契嵩)의 유·불 융합론과 이정(二程) 형제의 불교 비판 - ‘중용(中庸)’ 또는 ‘중(中)’ 개념을 중심으로 -

        이현선 한국유교학회 2023 유교사상문화연구 Vol.- No.91

        The paper provides a review of the philosophies of two prominent figures in Buddhism and Neo-Confucianism during the Northern Song period: Qi Song (契嵩, 1007-1072), a representative Buddhist scholar who advocated for the integration of Confucianism and Buddhism, and Cheng brothers (二程), who led the criticism of Buddhism. Specifically, the paper focuses on their philosophies related to the concept of "Zhongyong 中庸" or "Zhong 中". Qi Song argued that Buddhism and Confucianism both pursued the ultimate "Dao 道" through the concept of "Zhong", while responding to criticisms of Han Yu(韓愈) that Buddhism negated the ethical value of reality and only emphasized the transcendental value. Unlike Han Yu, who believed that the realization of "Dao" was only possible through the practice of "Ren-Yi(仁義)", Qi Song believed that the realization of "Dao" was only possible by attaining the mind (心) that had achieved "Zhongyong" or "Zhong". This is because the mind of "Zhong" is more fundamental than the practice of "Ren-Yi". For Qi Song, the realization of "Dao" is prioritized in the pursuit of the mind or li 理, rather than the external dimension of "traces(迹)". Furthermore, the mind of the Sage seeking "Zhong" becomes the foundation for appropriate responses to various phenomena and events(事). In contrast, Cheng brothers believed that "Zhong" is not attained by reaching a particular psychological state of mind, but through the constitution of appropriate behavior in the process of daily moral practice encountered with situations and events. Cheng brothers' perspective emphasizes "Ren-Yi" and prioritizes the practice of moralities in reality, restoring the Han Yu’s criticisms of Buddhism and moral practice theory. For Cheng brothers, "Ren-Yi" is the natural daily behavior of a person, and therefore the execution of "Ren-Yi" itself is "Dao" and the mind of the Sage. This position leads to the claim that the trace and mind are not distinguished. Therefore, they view Confucianism and Buddhism as totally different philosophies from the dimension of traces, and the two can never share the same "Dao". 이 글은 북송대 유·불 융합론을 주창한 대표적 불교학자인 계숭(契嵩, 1007-1072)과 불교 비판에 앞장선 이정(二程) 형제의 철학을 ‘중용(中庸)’ 또는 ‘중(中)’ 개념을 중심으로 검토한 것이다. 계숭은 한유(韓愈)로 대표되는 유학의 불교 비판, 특히 불교가 현실의 윤리적 가치를 부정하며 출세간의 초월적 가치만을 중시한다는 비판에 대응하여, 불교와 유학이 ‘중용’ 또는 ‘중’을 궁극적인 ‘도(道)’로 추구한다는 점에서 동일하다고 주장한다. 그의 비판은 ‘인의’의 실천을 통해서야 ‘도’의 실현이 가능하다는 한유와 달리, ‘중용’ 또는 ‘중’에 도달한 마음에 도달할 때라야 ‘도’의 실현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는 ‘중’의 마음이 인의의 도덕 실천보다 근본적이라는 것이다. 계숭에게서 도의 실현은 그의 ‘마음[心] 대 자취[迹]’의 도식 하에서 외적 차원의 ‘자취’에 해당하는 성인의 도덕적 가르침이 아니라 내적 차원에서 성인의 ‘마음’ 또는 리의 추구에 우선성을 둔다. 그리고 이 성인의 마음이 다양한 현상 사물 및 사태[事]와 관계에서 그에 적합한 대응, 곧 ‘중’을 실현하는 근거가 된다. 반면, 이정에게서 ‘중’은, 마음의 ‘중’, 특정한 심리적 상태에 도달함으로써 얻어지는 것이 아니라, 사태와 접하는 일상의 도덕 실천 과정에서 적절한 행위를 구성함으로써 실현되는 것이다. 이러한 이정의 관점은 ‘인의’를 중시하며 현실의 도덕 실천에 우선성을 부여하는 한유의 불교 배척론 및 도덕 실천론을 복원하는 것이기도 하다. 이정은 인의가 곧 사람의 도이며, 사람으로서 당연한 일상적 행위일 뿐이기 때문이다. 즉 인의의 실행 자체가 바로 도이자 성인의 마음이다. 이러한 이정의 입장은 자취[迹]와 마음[心]은 구별되지 않는다는 주장으로 귀결된다. 따라서 그들은 자취의 차원에서 가르침을 달리하는 유학과 불교는 결코 동일한 ‘도’를 공유하지 않는다고 본다.

      • KCI등재

        Saccharomyces cerevisiae에서 Dna2 helicase/endonuclease와 YHR122W 단백질의 상호작용

        이현선,최도희,권성훈,김나연,이인환,김현정,배성호,Lee, Hyun-Sun,Choi, Do-Hee,Kwon, Sung-Hoon,Kim, Na-Yeon,Lee, In-Hwan,Kim, Hyun-Jung,Bae, Sung-Ho 한국미생물학회 2006 미생물학회지 Vol.42 No.1

        Saccharomyces cerevisiae Dna2 helicase/endonuclease plays an essential role in removing DNA primers during Okazaki fragment processing in eukaryotic DNA replication. Genome-wide scale co-immunoprecipitation experiments predicted that Dna2 interacts with a novel protein YHR122W (1). In this study, we observed that overexpression of YHR122W gene suppressed the temperature-sensitive phenotype of $dna2\Delta405N$ mutation. To investigate direct interaction between these two proteins, a histidine-tagged recombinant YHR122W protein was expressed and purified from E. coli. Physical interaction between the purified YHR122W and Dna2 proteins was detected b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s. Further more, the complex formation was most efficient at physiological salt concentration, 150 mM NaCl. The genetic and physical interactions between YHR122W and Dna2 shown in this study suggest that the biological functions of these two proteins may be closely related each other. Saccharomyces cerevisiae Dna2 helicase/endonuclease는 진핵세포 DNA 복제과정의 Okazaki fragment processing에서 RNA primer를 제거하는데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Genome-wide scale의 면역침전 실험결과, 기능이 알려져 있지 않은 단백질인 YHR122W가 Dna2 단백질과 상호작용한다고 예측되었다 (1). 본 연구에서는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YHR122W 유전자를 효모에서 과량발현시킨 결과, $dna2\Delta405N$ 돌연변이의 온도감수성 표현형이 억제되는 유전학적 상호작용을 관찰하였다. YHR122W 단백질이 Dna2 단백질과 직접적인 삼호작용을 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YHR122W를 대장균에서 재조합 단백질로 발현시키고 단백질을 정제하였다.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를 통한 분석에서 YHR122W 단백질과 Dna2 단백질 사이의 상호작용을 확인하였다. 뿐만 아니라 YHR122W-Dna2 상호작용은 생리적 염도인 150 mM NaCl농도에서 가장 강한 결합을 보였다. 이러한 유전학적 상호작용과 물리적인 상호작용은 YHR122W가 생체내에서 Dna2의 기능과 밀접한 연관이 있을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대학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효과에 관한 연구 - 커뮤니케이션 제시 형태와 클러터 수준을 중심으로 -

        이현선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7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5 No.2

        대학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의 유형은 크게 광고와 퍼블리시티로 구분될 수 있다. 이들 광고와 퍼블리시티의 효과 차이를 대학 브랜드 중심으로 살펴보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클러터 수준을 고려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실제 대학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전략의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커뮤니케이션 제시 형태(광고 대 퍼블리시티)와 클러터 수준(고/중/무)로 하여 3X2 요인설계를 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종속변수는 대학 브랜드 인지도, 메시지 신뢰도, 대학 브랜드에 대한 태도(대학 관심도, 대학 신뢰도), 그리고 향후 대학 관련 정보탐색 의도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하는 통계 방법은 빈도분석과 ANOVA였다. 연구결과 대학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광고와 퍼블리시티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퍼블리시티가 광고보다 전반적으로 좀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지만, 이들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에, 클러터 수준에 따른 대학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효과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대학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광고 또는 퍼블리시티의 유형 선택에 대한 고려보다는 극심한 클러터 환경을 극복할 수 있는 대학 정보 관련 메시지 전략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The type of university brand communication can be broadly divided into advertising and public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se advertisements and publicity on the university brand, and clutter level was considered to be more specific. Through this analysis, this study inten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actual university brand communication strategies. In this study, 3X2 factors were designed by using communication presentation type (advertisement vs. publicity) and clutter level (high / medium / no). The dependent variables set in this study were university brand awareness, message believability, attitude toward university brand (college interest, university credibility), and intention to search university related information in the future. As a resul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dvertising and publicity in university brand communication. Although publicity was found to be more effective overall than advertising, their differenc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the other hand, the differences on clutter level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university information - related message strategies that can overcome extreme clutter environment are needed rather than considering the type of advertisement or publicity in university brand communication.

      • KCI등재

        정도전의 불교 비판에서 『맹자』의 영향과 성리학에 대한 이해

        이현선 대동철학회 2018 大同哲學 Vol.83 No.-

        정도전의 불교 비판은 맹자와 마찬가지로 유학의 가치에 입각한 정치 및 도덕적 실천을 이끌어내는 데 일차적 목표를 둔 것이다. 그는 맹자의 이단 변척과 동일한 맥락에서 성인의 도(道), 즉 유학의 가치를 현실에 실현시키기 위해 불교 비판이 필수불가결하다고 보았다. 그것은 불교에 대항한 학술적 논쟁의 일환이라기 보다는 국가 이념으로서 성리학을 자리매김하기 위한 정치적 맥락 속에서 이루어진 것이다. 정도전의 불교 비판은 장재와 이정 형제, 주희의 비판을 계승·심화한 것으로, 당시 조선 유학자들보다 진전된, 그리고 독자적인 불교 비판과 성리학에 대한 이해를 드러내고 있다. 그는 『불씨잡변』을 통해, 불교와 달리 성리학이 객관적 현실에 근거하여 실재적 유용성을 갖추고 있음을 강조하고, 마음과 본성의 구별을 통해 인간 도덕성의 근거를 존재론적으로 확보하고자 한다. 이것은 정치적 맥락 하에서 현실에서의 도덕 실천 주체를 부각하는 효과를 가지며, 그의 비판이 단순히 주희의 비판을 반복한 것이 아니라, 성리학의 사상 체계에 대한 전반적 이해 속에서 독자적으로 비판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정도전의 불교 비판은 송대 유학자들의 불교 비판에서 중시한 심성·수양론의 문제를 중점적으로 다루기보다 현실에서 유학의 가치와 그것의 실천에 초점을 둔 비판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정도전의 불교 비판에 대해 문화다원론적 측면에서 연구를 진행하였다. The primary aim of Jeong Do-jeon’s criticism of Buddhism is, like Mencius, to promote both political and moral actions based on the virtues of Confucianism. In a similar way to Mencius’ denouncement of heretical discourses, Jeong Do-jeon thinks that the disapproval of Buddhism is indispensable for accomplishing the ways of Sages-that is, for effectuating the virtues of Confucianism. Rather than an intellectual debate against Buddhism, Jeong Do-jeon’s criticism of Buddhism is done in the context of political movement, to incorporate Neo-Confucianism as a national ideology. His disapproval, followed and enhanced the discourses of former Confucianists - Zhang Zai, Cheng Brothers, and Zhu Xi - displays both distinctive criticism of Buddhism and better understanding of Neo-Confucianism than other relevant Neo-Confucianists of the Joseon Dynasty. In his book Bulsi-japbyeon 佛氏雜辨, Jeong underlines that Neo-Confucianism, which is based on the concrete facts unlike Buddhism, has realistic practicality, and maintains that the ontological foundation of human morality exists by showing the distinction between the nature(性) and the mind(心). Jeong’s argument has two implications: first, it sheds light on the living moral agent even in fluctuating political conditions; second, it shows that Jeong did not simply reiterate Zhu Xi’s criticism of Buddhism but, based on his particular systematic understanding of overall aspects of Neo-Confucianism, Jeong did criticize Buddhism in his own way. From this point of view, it could be understood that Jeong Do-jeon’s disapproval of Buddhism focuses on the realistic value of the virtues of Confucianism and its actual practice, unlike his predecessors of the Song dynasty who focused on human nature, mind and self-cultiv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