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가곡 작창 원리에 대한 소고-노랫말의 음보, 배자, 장단 점수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변미혜 한국국악학회 2013 한국음악연구 Vol.54 No.-

        가곡은 오늘날 우리에게 수 백 편의 가집을 통해 수천편의 노랫말을 전해주고 있다. 가곡이라는 장르가 문학적인 면이나, 음악적인 면에서 우리 문화의 대표성을 지니고 있음을 부인할 수 없다. 그러나 전승 측면에서 보면 조선 후기 사회 모습만도 못한 실정이다. 한국의 문화사적 가치가 있는 가곡을 살리는 방법은 가곡을 부를 수 있는 작창의 원리를 찾는 것이라 본다. 이에 본고에서는 남창가곡의 노랫말의 음보, 배자, 장단 점수와의 상관성 연구를 통하여 작창원리의 한 부분을 밝혀 보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 가곡의 작창원리를 일반화하여 적용함으로써 이제까지 전승되고 있는 여러 가집에 수록된 수천편의 시조시를 가곡 창으로 재현은 물론 국악 성악의 작창법 방향을 모색해 보았다. 가곡의 각 장의 음보수와 장단 점수와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각 곡체별, 각 장별의 규칙성과 독자성, 정형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가곡 곡체별 기본 형태는 총 12음보로 음보 단위로 초두(일각)와 이두로 나누어 규칙적인 장단 점수를 지니고 있으며, 배자에도 정형성을 보이고 있었다. 또한 긴 사설의 노랫말을 부를 경우에도 규칙적인 원리가 있었다. 즉 음보수 만큼 장단 점수가 늘어나며 다양성과 통일성을 주기 위해 10점을 3점과 7점, 5점과 5점으로만 변화를 주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각 곡체별 각 장별 초두(일각)와 이두에서 음보수와 장단 점수의 상관성, 규칙성, 가변성과 고정성 등이 가곡의 구조를 형성하고 있고, 이러한 정형성이 수많은 노래를 부를 수 있는 가곡 작창의 원리이며 원동력으로 작용하였을 것이라 본다. Gagok has been transmitted by thousands of lyrics from hundreds of a collection of its lyrics. Also, gagok is surely the representative genre of Korean literature and music fields. However, today, the transmission of the song has been short of the late of Chosun Dynasty. Thus, it is important to explore the principles of creating the songs for reviving gagok which has Korean cultural value. This study discovered one of the principles based on the relation between the numbers and foot [Sijo’s foot:音步] and baeja[排字:arrangement of words] and the strike numbers of jangdan. Moreover, through generalizing of the principle of creating gagok for singing, this paper explored to apply thousands of sijo to sing by the melodies of gagok, and search the direction of composing Korean vocal music. From examining the relation between the words and the strike numbers of jangdan, this study disclosed the regulation, speciality, and fixed form of each song and its chapter of gagok. Each song of gagok has total 12 feet. Each chapter of the song has the regular strike numbers of jangdan divided by the first-part[初頭 or 一刻] and the second-part[二頭], and the baeja has proved a fixed pattern. Additionally, singing gagok with the lyrics of many words has included a regular principle. As the numbers of words increase, the strike numbers of jangdan also increase, and for diversity and unity of the song, the added 10 strikes played only by 3 strikes & 7 strikes, or 5 strikes & 5 strikes. Conclusively, each song of gagok has the relation, regulation, and the diversity and unity of the song structured by the numbers of words and strike numbers of jangdan in the first-part and the second-part of each chapter. This fixed form could be applied as the principles and motivity of singing thousands of lyrics.

      • 安岳 第三號墳의 奏樂圖가 갖는 문화사적 의의에 관한 고찰

        변미혜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2000 한국공연예술연구논문선집 Vol.2 No.-

        한국 고대음악사의 연구는 현재 전하는 문헌이 극히 적어 완벽한 서술이 불가능한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고고학적 자료에 많은 부분을 의존할 수밖에 없고, 그중에서도 고고학적 자료에 보이는 고대악기를 통해 당시의 음악문화의 변천을 대략이나마 엿볼 수 밖에 없다.

      • KCI등재

        사설에 따른 가곡 선율의 변형(V) - 남창 계락ㆍ우락ㆍ언락을 중심으로

        변미혜 한국국악학회 2004 한국음악연구 Vol.36 No.-

        Gagok had palyed by Nam Chang (Male Voice) and Yu Chang (Female Voice) is nowadays known singing one text for a piece of music. Gagok had many texts for a piece of music during the later Chosun dynasty but we knew the majority had not transmitted. For a piece of music, many texts came out changing melody (partly changed melody). To aim of this study is the discovery of the principle of changing melody. For it, I would revive the Gagok had missed old texts. So I inguired carefully pertinent musical items in Gagokounryu and Hyupyuldaesung. I fined out the mutual supplement relation of both in neumatic marks. But I hard to compared with those because today-using musics in Gagokbiaksun remained little. Finally I compared neumatic marks with today-using melody in Gagokbaiksun. Through neumatic marks in Gyerak, Urak and Unrak, to sum up it's following. 〈표삽입〉 Following 〈No. 18〉 I discovered the neumatic marks beside text of three musics are a little difference in the 1, 2 chapter that had ever shown. Besides I fined out the following facts. First, through the research of Rak (Gyrak, Urak, Unrak) the basic structure of Gagok is made up of three lines; The three lines are Chosudaeyop, Isudaeyop and Samsudaeyop. The Long is made up Isudaeyop & Samsudaeyop lines. The Rak is made up Chosundaeyop line. Second, The Rak is charaterized in the chodu melody, the arrangement of texts, especially the fourth chapter of Unrak and the final note.

      • KCI등재후보

        전통예술 영재성 탐색과 영재교육 방향

        변미혜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13 국악교육연구 Vol.7 No.1

        The outstanding masters of Korean traditional arts have been gifted by innate talent and trained by the motive of acquired learning, not educated by a special program. Today, since the social situation of the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is different from the social culture and the education system of the past, the success and failure rate of this education rests upon the regulation on the standard, requisite, and evaluation which distinguish the gifted of Korean traditional arts. Thus,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direction of the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managing the curriculum and developing creativity under the similar background discovered from the traditional masters. Since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Korean traditional music has not recovered its honor and has just remained in existence. The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of Korean traditional arts needs to perform a significant role to create and develop the superiority of the Korean cultural tradition. For this reason, these days, though overwhelming a Western social and educational system, this education should be more focused on cultivating creativity as well as Korean cultural identity and historicity rather than relying on the theory and system of the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originated from Western education. Therefore, the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of Korean traditional arts needs to study the master training system originating from Korean history and apply these results to developing the policy and curriculum of the education of the present. 전통예술분야에 뛰어난 명인들은 어려서부터 지금과 같은 영재교육을 받으며 자란 것이 아니라선천적으로 주어진 환경 속에서 그 분야의 영재성을 자연스럽게 물려받아 후천적 학습 동기들에 의해 양성된 것이다. 오늘날 영재교육은 과거 전통사회의 문화, 교육 등의 학습의 장이 다르므로 전통예술 영재교육의 대상이 되는 전통예술 영재성의 판별 기준, 요소, 평가 등의 규정에 따라 전통예술영재교육의 성패가 달려 있다고 본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통예술 분야의 명인들의 영재성의 탐색에서 드러난 판별 요소들을 통하여 전통예술 영재교육의 교육과정 운영과 창의성을 포함한 예술성계발 교육을 위한 환경의 장이 조성된 정체성 있는 전통예술 영재교육의 방향을 찾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영재교육의 체계가 잡혀가고 있는 지금 영재교육의 역사적 전통성을 생각하지않을 수 없다. 더더욱 전통예술교육이 일제 강점기 이후, 지금까지 회복되지 못하여 우리 문화로서자리 매김은커녕 명맥만 겨우 유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걸음마 단계에 있는 전통예술 분야의 영재교육은 우리 문화의 우수성을 계승 발전시키며 전통예술 문화의 새로운 창조의 장을 여는 데 그역할이 크다고 본다. 그러므로 우리나라의 정서와는 거리가 먼 서구식 영재교육의 체제와 이론을대입하여 전통예술 영재교육을 하려고 한다면 우리 문화의 정체성과 역사성을 지닌 전통예술 영재양성은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다. 전통예술 영재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교수법은 전통예술의 문화형성에 배경이 된 전통예술관 속에서 개발되어야 한다. 따라서 우리나라 역사 속에서 존재했던 인재관(人才觀)과 인재교육을 토대로 전통예술 영재 교육 연구와 더불어 전통예술 영재 양성 교육에대한 지원과 정책이 끊임없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가곡 편(編) 형식에 관한 고찰 -사설 자수(字數)와 장단 점수(點數)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변미혜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10 국악교육연구 Vol.4 No.1

        2007년 음악과 교육과정 해설서에는 가곡 편에 속하는 편락을 확대 형식에 해당하는 악곡으로 설명하고 있다. 확대 형식은 노래의 사설을 촘촘하게 붙여 원래 곡의 사설이 길어진 형식으로 엮음 형식이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 편을 우리말로 엮음이라고 하는데 가곡의 편은 16박을 10점으로 연 주하는 다른 가곡의 곡들과는 달리 10박을 10점 장단으로 연주하는 점에서 1박을 1점으로 엮어서 연주하는 의미로 생각된다. 그러나 엮음 형식의 특징인 짝소리와 긴 사설을 한참 주워 엮어 나가다 가 끝에 가서 원곡을 길게 늘어 뜨려 부르며 매듭짓는 연주 형태는 찾아보기 어렵다. 뿐만 아니라 가곡의 편락 형식을 과연 확대 형식으로 설명할 수 있는 지 알아보기 위해, 확대 형식의 변인이 되 는 사설 자수와 장단 점수의 관련성에 대해 가곡의 기본 곡체가 되는 초수대엽과 이수대엽, 삼수대 엽, 농, 낙에 해당하는 악곡들의 사설 자수와 장단 점수와의 관계를 비교함으로써, 편에 해당하는 편락, 편수대엽, 언편, 우편의 악곡들의 형식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이 연구를 위하여 현재 출간된 가곡보 중 가장 많은 악곡을 수록하고 있는 남창 가곡 백선 의 악곡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악보에 실려 있는 편락 악곡은 모두 6곡으로 한시(漢詩)나 창사(唱詞) 를 제외한 4곡을 대상으로 사설 자수와 장단 점수와의 관계를 살펴 본 결과 편락의 사설자수는 47 자에서 143자로 기본 자수 형태와 기본 자수가 벗어나는 형태인 사설이 많은 형태 두 가지가 있음 을 알 수 있었다. 기본 자수 형태의 악곡은 각 장의 장단 점수가 일정하게 되어 있었으며, 1장은 20점 장단, 2장과 4장은 17점 장단, 그리고 3장은 23점 장단, 5장은 30점 장단으로 고정 장단을 사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사설 자수가 많은 악곡의 경우는 사설이 많음에 따라 장단을 늘려 긴 사설 을 처리하고 있었다. 사설 자수가 3장에서 늘어나면 3장에서 사설 자수 량에 따라 기본 장단 점수 인 23점 장단에다 장단을 늘리는 변화가 생기며 5장에서 사설 자수가 늘어나면 5장에서 기본 장단 점수인 30점 장단에다 장단을 늘리는 변화가 생겨나는 것이다. 사설이 늘어나는 위치에 따라 3장 혹은 5장 아니면 3장과 5장에 장단이 늘어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처럼 가곡 편에 해당하는 편락 은 악곡 자체가 기본 사설 자수의 곡과 사설이 늘어난 두 가지 형태가 있어, 확대 형식으로만 설명 할 수 없다. 또한 초수대엽, 이수대엽, 삼수대엽, 농, 낙, 편의 사설 자수와 장단 점수와의 관계를 통하여 각 장의 장단 점수가 일정한 장단 점수로 공통적으로 구조화되어 가곡의 6곡체를 하나로 묶어서 설명 할 수 있었다. 사설의 경우 자수가 기본 자수 형태와 늘어난 자수 형태의 두 가지 형태가 있으며 사설이 많은 악곡의 경우 1, 2, 3, 4, 5장 전체적으로 늘어나는 것이 아니라 3장과 5장에서만 사설 이 늘어났다. 이것은 작시법의 정형화된 형태를 보여주는 것으로 정형화된 틀 속에서 3장과 5장에 사설을 늘려 변화를 주며 음악 또한 3장, 5장에서만 늘어난 사설만큼 장단 점수를 늘려 처리하고 있음 알 수 있다. 이렇게 가곡의 1, 2, 3, 4, 5장은 기본 장단 점수와 기본 자수의 틀이 있으며, 긴 노랫말 또한 1, 2, 4장은 고정된 장단 점수 틀을 유지하면서 3장과 5장에서 기본 장단 점수에 변화를 주며 처리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가곡은 그 자체가 장르이자 일정한 구조의 틀을 가진 형식으로 이해하는 것이 가곡의 구조를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되리라 본다. The teaching manual which accompanies the 2007 music curriculum explains that Pyunrak of Gagok has a Hwakdaehyungsik (an extended form). This form involves carefully adding more words than the standard number of words in the song, and is called Yeokumhyungsik (a weaving form). Generally, Pyun means Yeokum in Korean, and the Pyun[編]series of Gagok are played by 10 strikes of a 10 beat jangdan, unlike others which are played by 10 strikes of a 16‐beat jangdan. Thus, it should be played with one strike for each beat. Also, Yeokumhyungsik is composed of a set of one slow and one fast song sung with a long lyric style and closing with a slow singing of the original melody. However, these characteristics were difficult to find in Pyunrak. For this reason, this paper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variables‐the number of words and the strike numbers of jangdan in order to identify the form which characterizes Pyunrak of Gagok. This paper also examined the form of the Pyun series of Gagok: Pyunrak, Pyunsudaeyeop, Unpyun, and Upyun. The study focused on Namchang Gagok Baeksun, the music book having the most songs for male singers of Gagok. This book contains six Pyunrak, and the number of the words and jangdan of the four songs, except for the Chinese verse(漢詩) and Changsa(唱詞), were examined. The analysis reveals the number of words of Pyunrak ranged from 47 to 143 and the songs had both a fixed form and a free form. Pyunrak of a fixed form(around 47 words) used a fixed strike number of 10‐beat jangdan for each chapter: 20 strikes of a 10 beat jangdan for the first chapter, 17 strikes of 10‐beat jangdan for the second and fourth chapter, 23 strikes jangdan for the third chapter, and 30 strikes jangdan for the fifth chapter. However, in cases including more than 47 words, a strike number of jangdan of only the third and fifth chapter would be augmented for covering this long lyric. If the third chapter had more words, a strike number of its 10‐beat jangdan would be augmented above the fixed 23 strikes, and in the fifth chapter, its strike number would be more than the fixed 30 strikes. In short, as the number of words increased, the number of jangdan of the third, fifth, or third and fifth chapter would be increased by the increased chapter. Consequently, since Pyunrak, one of the Pyun series of Gagok had two forms, the fixed form with around 47 words and the augmented form with the increased number of words, it could not be explained that it had Hwakdaehyungsik (an extended form). To further examine the form of Pyunrak,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of the words and the strike numbers of jangdan of Chosudaeyeop, Isudaeyeop, Samsudaeyeop, Nong[弄], and Nak[樂] of Gagok were analyzed. Since the series of Pyun including Pyunrak of a fixed form had five chapters and a fixed number of jangdan like Chosudaeyeop, Isudaeyeop, Samsudaeyeop, Nong, and Nak of Gagok, the six songs could be considered another form of Gagok rather than Hwakdaehyungsik (an extended form). Also, for the text part of Gagok, if the number of words increased, the lyrics of the third and fifth chapter were increased rather than the first, second, and fourth chapter. For the melody part, also, the strike numbers of jangdan of the same chapter were increased. These characteristics of Gagok help us understand its structure by regarding it as a genre or form by itself.

      • KCI등재

        가야금 지도 내용을 통해 살펴본 국악 교육의 변화와 방향

        변미혜,한윤이 한국국악교육학회 2017 국악교육 Vol.44 No.4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hanges and directions of the Korean music education focused on Gayageum teaching contents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For this purpose, the teaching contents related to Gayageum in the music curriculums and music textbooks for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were examin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e examination about Gayageum related contents from the 1st curriculum to 2015 revised curriculum, Most of the Gayageum education was conducted through appreciation activity and an instrumental activity was added in 2009 revised curriculum. The Gayageum education in the music textbook was mainly focused on the appreciation activity in elementary school. In middle school, understanding activity, appreciation activity, and instrumental activity were also conducted. The change in the Korean music education is as follows. First, it is recommended not only wind instrument but also strings such as Gayageum in teaching Korean melodic instruments. Second, the Korean music concepts such as Sigimsae are taught in various activities such as singing, playing musical instruments, and appreciation. Third, traditional teaching methods by using Gueum are appli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examination, the direction of Korean music education is as follows. First, the Korean music teaching methods based on traditional teaching methods should be developed and generalized in school education. Second, it should accommodate the learning of Korean music which can be applied to various activities and is effective. Third, musical instruments education that can be integrated with singing and making music activities such as Gayageum should be done. Fourth, Korean orchestral ensemble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not only percussion ensemble education. Teachers should accurately recognize the changes and directions of Korean music education. When they teach based on the changes and directions, we can expect to improve the development and quality of the Korean music education. 본 연구는 가야금 지도를 중심으로 국악 교육의 변화를 살펴보고 국악 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개정시기별 음악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가야금 관련 내용을 고찰하고 현행 음악 교과서에 제시된 가야금 지도 내용을 분석하였다. 개정 시기별 음악과 교육과정의 가야금 관련 내용을 고찰한 결과, 대부분 감상 활동으로 다루고 있었는 데 2009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서 악기 연주하기 활동이 추가되었다. 음악 교과서의 가야금 지도 내용은초등학교의 경우 주로 감상 활동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중학교의 경우는 이해와 감상활동 이외에 악기 연주하기 활동도 다루고 있었다. 이를 통해 살펴 본 국악 교육의 변화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악의 가락악기 지도가 관악기에만 머무르 지 않고 가야금과 같은 현악기 지도를 권장하고 있다. 둘째, 시김새와 같은 국악 개념을 가창, 기악, 감상 등 여러 활동 속에서 이해하도록 지도하고 있다. 셋째, 구음과 같이 전통적 교수법에 기반 한 국악 교수․ 학습 방법을 적용하고 있다. 이에 따른 국악 교육의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적 교수법에 기반을 둔 국악 교수법을 개발하고 이를 학교 현장에 일반화해야 한다. 둘째, 여러 분야에 적용이 가능하고 교육 적 효과가 높은 국악 학습을 수용해야 한다. 셋째, 가야금과 같이 가창 및 창작 활동과 연계․통합할 수 있는 악기 지도를 학교 교육에 도입해야 한다. 넷째, 타악기 중심의 국악 합주에서 벗어나 국악 관현악합주 경험을 제공해야 한다. 학교 현장에서는 이러한 국악 교육의 변화와 방향을 정확하게 인식하고 그에 따라 수업할 때 국악 교육 의 발전과 질적인 제고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