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기독교인간론에 기초한 중국조선족학교품성교육개발가능성연구

        안려화 총신대학교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15

        본 연구는 중국 조선족학교의 학습자들의 온전한 인격형성을 위해 기독교적 품성교육을 실시하고자 IBLP의 품성교육 프로그램을 모델로 하여 중국 공교육 현장에서 실시 가능한 프로그램으로 재구성하여 개발하였다. 중국 조선족학교에서는 학습자들을 하나님의 형상대로 창조한 존귀한 피조물로 보지 않고 학문적인 기준으로만 바라보고 학생들을 평가하여 학생들이 변질된 자아상, 불건전한 인격을 가지고 있었다하여 연구자는 기독교 인간론에 기초하여 학습자들을 하나님의 형상대로 지음 받은 아름답고 존귀한 피조물로 이해하고 비록 타락하여 죄 된 본성을 가지고 있는 인간이지만 하나님의 전적인 은혜로 말미암아 회복이 가능하고 그들의 품성이 날마다 예수님의 품성을 닮아 향기를 풍기는 사람들이 되도록 기독교적 품성교육을 시도해보았다.

      • 마틴 로이드 존스의 교회론- 일치와 연합 사상을 중심으로

        허성영 총신대학교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15

        본 논고는 로이드 존스의 교회론 가운데 교회 일치와 연합 사상을 중심으로 J. I. 패커(James Innell Packer) 와 존 스토트(John Stott)의 견해를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왜냐하면 패커와 스토트는 영국 복음주의 교회에 속해 있으면서도 로이드 존스와는 다른 교회 일치와 연합 사상을 견지했기 때문이고, 또한 1960년대 일어난 영국 복음주의 내에 분열은 이들 사이에서 일어난 입장 차이로 인한 것이기 때문이다. 필자는 패커와 로이드 존스 사이에 있었던 쟁점이 무엇이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개혁교회의 일치와 연합, 그리고 더 나아가 분리를 함에 있어서 정당성은 무엇인가 하는 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 영아교사의 인성이 아동권리존중보육에 미치는영향: 영아교사민감성의 매개효과

        신미경 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3279

        ABSTRACT The Influence of the Infant Teachers’ Personality on the Respect for Children's Rights in the Childcare Setting: The Mediation Effects of the Infant Teachers’ Sensitivity Mi-Kyung Shin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Chongshi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on effects of the sensitivity of infant teachers in relation to the influence of their personality on their respect for children's rights in the childcare setting.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Research problem 1. What are the differences among infant teachers in personality, sensitivity and respect for children's rights in the childcare setting according to their general background? Research problem 2. What are the correlations among the personality of infant teachers, their sensitivity and respect for children's rights in the childcare setting? Research problem 3. Does the sensitivity of infant teachers produce any mediation effects when their personality affects their respect for children's rights in the childcare setting? A survey was conducted from January 1 through 30, 2021, on 296 infant teachers who worked at daycare centers in a city of Gyeonggi Province, and the data from 269 teachers were gathered. Among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215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except for 54 ones that weren't fully filled out or included outliers. The questionnaire used in this study consisted of four areas and 111 items. Area 1 was composed of items about the general background of the infant teachers who were the subjects in this study. Area 2 consisted of items about their personality, and Area 3 was composed of items about their sensitivity. Area 4 consisted of items about the levels of their respect for children's rights in the childcare setting. The instruments used in the questionnaire were Kim & Shin(2019)'s Infant Teacher Personality Inventory, Min(2014)'s Sensitivity Inventory for Teachers in Charge of Infant Classes and Kim(2009)'s Respect Inventory for Children's Rights in the Childcare Setting,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version 22.0. To analyz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statistical data on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obtained, and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hecked to analyze the descriptive statistics of the measurement variables. To verify the normal distribution assumption, skewness and kurtosis were used, and Cronbach alpha that was the coefficient of item internal consistency was calculated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hen two factors were selected as the general background of the infant teachers to see whether there were any differences among them in personality, sensitivity and respect for children's rights in the childcare setting, independent-samples t-test was utilized. When three were selected, ANOVA was implemented. When the results of ANOVA showed that the F-valu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cheffe test was carried out to make a post-hoc analysis. To determine the correlations of the variable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whether the sensitivity of the infant teachers produced any mediation effects when their personality affected respect for children's rights in the childcare setting, Baron & Kenny(1986)'s three-steps for mediation were utilized, and Sobel test was carried out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on variable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whether there were any differences among the infant teachers in personality according to general background,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other words, there were no differences among the infant teachers in personality, sensitivity and respect for children's rights in the childcare setting according to age, marital status, academic background, career, working type, the age of the children in their charge and certification.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among the personality of the infant teachers, their sensitivity and respect for children in the childcare setting,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mong them.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whether the sensitivity of the infant teachers produced any mediation effects when their personality exerted influence on respect for children's rights in the childcare setting, it's ascertained that their sensitivity played the role of mediation while their personality influenced respect for children's rights in the childcare setting. The findings of the study demonstrated that the personality of infant teachers could be one of major variables to affect their sensitivity and respect for children's rights in the childcare setting. Accordingly, the need for providing systematic teacher education programs that aim at cultivating the personality of infant teachers should be recognized in the childcare setting to induce these teachers to respect children's rights, and there should be actual efforts to offer these programs. In addition, how to enhance the sensitivity of infant teachers should be considered in various ways. 국문 초록 영아교사의 인성이 아동권리존중보육에 미치는 영향 : 영아교사 민감성의 매개효과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교사의 인성이 아동권리존중보육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영아교사 민감성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이루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영아교사의 일반적 배경에 따른 인성, 영아교사 민감성, 아동권리존중 보육의 차이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영아교사의 인성, 영아교사 민감성, 아동권리존중보육의 상관관계는 어 떠한가? 연구문제 3. 영아교사의 인성이 아동권리존중보육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영아교 사민감성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B시의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영아교사 296명을 대상으로 2021년 1월 1일부터 2021년 1월 30일까지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설문지는 269부가 회수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회수한 설문지 가운데 미응답 문항과 이상치가 발견된 54부를 제외한 총 215부를 최종 분석자료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지는 4개 영역, 총 111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1영역은 연구대상 영아교사의 일반적 배경을 알아보는 문항이고, 2영역은 연구대상 영아교사의 인성을 알아보는 문항이고, 3영역은 연구대상 영아교사의 민감성을 알아보는 문항이고, 4영역은 연구대상 영아교사의 아동권리존중보육 수준을 알아보기 위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설문지 구성에서 사용한 측정도구는 김성원과 신정애(2019)가 개발한 영아교사 인성 측정도구와 민광미(2014)가 개발한 영아반 교사용 민감성 측정도구와 김진숙(2009)이 개발한 아동권리존중보육 측정도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집한 자료를 SPSS 22.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 분석을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수집한 측정변인의 기술통계를 파악하기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확인하였으며, 정규분포 가정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왜도와 첨도를 사용하였다. 또한 연구에서 사용한 검사 도구의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해 문항의 내적 일관성 계수인 Cronbachʾs α를 산출하였다. 연구대상자들의 일반적 배경에 따른 영아교사의 인성, 민감성, 아동권리존중보육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반적 배경이 2개로 구분되었을 때는 독립표본 t 검증을 사용하였고, 3개 이상으로 구분되었을 때는 ANOVA 검증을 실시하였다. ANOVA 검증에서 통계적으로 F 값이 유의한 경우 사후검증으로 Scheffé 검증을 실시하였다.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영아교사의 인성이 아동권리존중보육에 미치는 영향에서 민감성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Baron & Kenny(1986)가 제시한 3단계 매개효과 검증법을 적용하였으며, Sobel test를 통하여 매개변인의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교사의 일반적 배경에 따른 인성, 민감성, 아동권리존중보육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즉 영아교사의 연령, 결혼유무, 최종 학력, 경력, 근무 기관 유형, 학급 연령, 소지 자격증에 따른 영아교사 인성, 영아교사 민감성, 아동권리존중보육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아교사 인성, 영아교사 민감성, 아동권리존중보육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영아교사의 인성, 영아교사 민감성, 아동권리존중보육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영아교사의 인성이 아동권리존중보육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영아교사 민감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영아교사의 민감성은 영아교사의 인성이 아동권리존중보육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매개적 역할을 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영아교사의 인성이 영아교사의 민감성과 아동권리존중보육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보육 현장에서는 아동권리존중보육이 제대로 실행될 수 있으려면, 영아교사의 인성 함양을 위한 체계적인 교사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인식하고 이를 위해 노력할 뿐 아니라, 영아교사의 민감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 여성 신학대학원생이 겪는 갈등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목회상담적 함의

        서지연 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327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structure and meaning of the nature of the conflict experienced with female seminary students through Van Manen'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that reveals the essential structure of human life world experience so that it can resonate with the readers and lead to practical knowledge. In addition, by analyzing, interpreting, and discussing the results of such research from the perspective of pastoral counseling, the author broaden the horizon of understanding about the conflicts experienced by female seminary students, and seek out the pastoral counseling implications that can help them, personal dimens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It was intended to suggest alternatives in the dimension of the social and structural dimensions. At the personal level, Karen Horney's conflict theory, Marshall B. Rosenberg's Nonviolent Communication at the interpersonal level, and Howard Zehr's restorative justice at the social structural level were used to analyze and interpret the conflict of the study participants. Participants in this study selected 6 women enrolled in a conservative seminary in Korea. The knowledge based on intersubjectivity, which began with the experience of the researcher and expanded to the experience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was made to feel through the literature and art works through hermeneutic cycle. After collecting experiential data from the researcher's experience, data on experiences of others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of the study participants and observation notes. The text was constructed based on the collected data, and the study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of analysis through hermeneutic reflection and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writing. The 150 semantic units derived as a result of the study were divided into 110 revealed themes and 28 essential themes, and divided into 4 entities: lived space, lived body, temporality, and relationship. Experienced spatiality is an invisible wall (limitation) that denies women’s talents and existence, ‘Reduction of the possibility of self-existence’, ‘unchanging wall’, ‘glass ceiling syndrome’, ‘community connected with pain’, ‘chaotic identity in the community’, and ‘a training ground for warriors’. Experienced bodily nature is a torch (patience) of sin and strife between already and still,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world and the church(Seminary)’, ‘the advantageous evangelist’, ‘spirit and body bound together’, ‘the bonsai of the mind’, ‘freedom seized by others’, ‘anxiety and fear of targets of sexual crime’, ‘exposure to the violence of prejudice and gaze’, and ’the source of patience: sadness’. Experienced temporality is a mixed tense and emotion (confusion), ‘the gap between the past and other reality’, ‘the life of the Chosun Dynasty’, ‘the reality that cannot be surpassed’, ‘the cloud of the future’, ‘the longing for an equal human hidden in the wounds (blame)’, ‘living with difficulties’, ‘a mission that is firmer than the past’, and ‘fruits from the time of chaos’. The experienced relationship is a tension between the desire for equality and the ignorance of others, ‘new status system’, ‘carrying the burden alone’, ‘hidden stereotypes in consideration’, ‘black hole in relations’, ‘Immanuel in tribulation’, ‘human support’. The main theme that can encompass the experience of the entity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is the struggle (patience) of sanctification between ‘already not yet’ transforming into a leader who transcends the limits and changes the world. It is like a process of training to change the world beautifully by allowing butterflies to come to the world through a painful metamorphosis and to give life to plants by buried pollen. It was to help female seminary students to blossom the life and healing of the soul and make the environment beautiful by delivering the love of God to the world through the struggle of sanctification between the painful of already not yet. However, if an environment where appropriate pastoral care is provided in the process of suffering, female seminary graduates can play a role and function like a butterfly as a minister, but in a dire environment where adequate pastoral care is lacking, the situation is able to have a negative impac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qualitative study, the results of the research on the conflict experiences of female seminary studen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female seminary students are limited in ministry due to the current denominational position on women's ordination, the traditional culture of sexism that has not changed in the church, men's ignorance and prejudice toward women, and the tendency to avoid responsibility rather than protecting victims in the event of sexual problems, poverty issue, female childbirth issue and the lack of compatibility between ministry, female worker's career model, equal treatment as a minister, and lack of respect for ministry and sincere care, personal psychological conflict, family conflict, interpersonal conflict, gender It was found that it leads to conflict between people and communities. Therefore, in this study, as an alternative, the treatment of equal ministers as pastoral care that pastors and believers can do, respect for the ministry of female seminary student, and providing genuine care are suggested as alternatives. As an alternative to professional pastoral counseling that professional pastoral counselors can do, the analysis of the conditions for developing conflict, the belief that it can change, and the practice of revealing needs through non-violent comunication are presented. Pastoral theology and social structural alternatives that can be made at the individual, community, and general assembly level are the provision of career models and professional curriculum of seminary for women, establishment of a sexual violence prevention center and counseling welfare center for female ministers, and the Shalom Paradigm movement. 본 연구는 인간의 생활세계 경험의 본질 구조를 드러내어 독자들과 공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반 매넌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통해 여성 신학대학원생들이 겪은 갈등의 본질 구조와 의미를 드러내고 이를 실천적 지식으로 이끌고자 하였다. 또한 이 같은 연구결과를 목회상담학적 관점에서 분석, 해석, 논의하면서 여성 신학대학원생이 겪은 갈등에 대하여 이해의 지평을 넓혀 그들을 도울 수 있는 목회상담학적 함의를 찾아 예방과 치료를 위한 개인적 차원, 대인 관계적 차원, 사회구조적 차원의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개인적 차원에서는 카렌호나이의 갈등이론, 대인관계적 차원에서는 먀살 B. 로젠버그의 비폭력대화, 사회구조적 차원에서는 하워드 제어의 회복적 정의로 연구참여자의 갈등을 분석하고 해석하였다. 연구자는 보수교단의 신학대학원에 재학 중인 여성들 중 6명을 선정하였다. 연구자의 경험으로부터 시작하여 연구참여자의 경험으로 확장한 상호주관성에 기반한 해석학적 순환으로 독자들에게 문학작품과 예술작품을 통해 느끼도록 하였다. 연구자의 경험에서 체험자료를 수집한 후 연구참여자의 심층면담과 글, 관찰일지을 통하여 타인의 경험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렇게 수집한 자료에 근거하여 텍스트 구성하고, 해석학적 반성을 통한 분석과 해석학적 현상학적 글쓰기의 절차를 따라 연구가 진행되었다. 연구결과로 도출된 150개의 의미단위는 110개의 드러난 주제, 28개의 본질적 주제로 간추려 4개의 실존체인 공간성, 몸성, 시간성, 관계성 별로 나누었다. 체험된 공간성은 여성의 달란트와 존재를 부정케 하는 보이지 않는 벽(한계)로 ‘자기 존재 가능성의 축소’, ‘만고불변의 벽’, ‘유리천장 신드롬’, ‘아픔으로 연대된 공동체’, ‘공동체 속 혼돈된 정체성’, ‘전사의 훈련장’으로 드러났다. 체험된 몸성은 이미와 아직 사이에서 죄와 고투의 성화痛(인내)으로 ‘세상과 교회 (신대원)의 온도차’, ‘유리하는 복음전달자’, ‘영육이 묶임’, ‘마음의 분재(盆栽)화’, ‘타인에게 압류된 자유’, ‘성범죄 타깃의 불안과 두려움’, ‘편견과 시선의 폭력에 노출’, ‘인내의 근원 : 애심’으로 드러났다. 체험된 시간성은 뒤섞인(혼재된) 시제와 감정(혼돈)으로 ‘과거와 다른 현실의 괴리’, ‘조선 시대 삶 영위’, ‘뛰어넘을 수 없는 현실’, ‘앞날에 드리운 운무(雲霧)’, ‘상처(비난) 속 숨겨진 동등한 인간에 대한 갈망’, ‘난제와 함께 살아내기’, ‘과거보다 확고해진 사명’, ‘혼돈의 시간에서 얻은 열매’로 드러났다. 체험된 관계성은 동등함의 욕구와 타인의 무지 사이에서 긴장으로 ‘새로운 신분제’, ‘혼자 짐 짊어지기’, ‘배려 속 숨은 고정관념’, ‘관계 속 블랙홀’, ‘환난 속 임마누엘’, ‘사람 버팀목’으로 드러났다. 연구참여자의 실존 경험을 포괄할 수 있는 대주제는 한계를 뛰어넘어 세상을 변화시키는 지도자로서 탈바꿈하는 이미와 아직 사이에서 성화의 고투(인내) 과정이다. 나비가 고통스러운 변태과정을 거쳐 세상에 나와 꽃가루를 묻혀 전함으로 식물에게 생명을 피울 수 있게 함으로 세상을 아름답게 변화시키어 갈 수 있도록 훈련하는 과정과 같다. 여성 신학대학원생들이 고통스러운 이미와 아직 사이에 성화의 고투 과정을 거쳐 세상에 하나님의 사랑을 전함으로 영혼의 생명과 치유를 꽃 피울 수 있도록 돕고 그 환경을 아름답게 만들어 가도록 하는것이었다. 그러나 고통의 과정에서 적절한 목회돌봄이 제공되는 환경이면 여성 신학대학원생들이 사역자로서의 마치 나비와도 같은 역할과 기능을 할 수 있지만 적절한 목회돌봄이 제공이 결핍되는 처절한 환경이면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는 상황이 일어날 수 있을 것이다. 질적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여성 신학대학원생의 갈등 경험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여성 신학대학원생들은 여성목사안수 불허로 인한 사역의 한계, 교회 안에 바뀌지 않은 전통적으로 내려오는 성차별적 문화, 남성들의 여성에 대한 무지와 편견, 성과 관련된 문제 발생 시 피해자 보호보다는 책임 회피적 경향, 경제적 빈곤 문제, 여성의 출산문제와 사역의 양립 가능성 불투명, 여성 사역자의 진로 모델 부재, 사역자로서 동등한 대우 및 사역의 존중과 진정성 있는 돌봄 등의 부재로 인하여 개인 심리적 갈등, 가족갈등, 대인관계 갈등, 젠더간의 갈등, 공동체 갈등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목회자들과 성도들이 할 수 있는 목회돌봄으로서의 동등한 사역자의 대우, 여성 신학대학원생의 사역 존중, 진정성 있는 돌봄 제공을 대안으로 제안하였다. 전문목회상담사들이 할 수 있는 전문적인 목회상담의 대안으로 갈등을 발전시키는 조건 분석, 변화할 수 있다는 믿음, 비폭력대화로 욕구 드러내기 훈습을 제시하였다. 개인과 공동체, 총회차원에서 할 수 있는 목회신학적, 사회구조적 대안은 여성신학대학원의 진로 모델 및 전문 커리큘럼 제공, 여성 사역자 성폭력 예방센터 및 상담복지센터 설립, 샬롬 페러다임 운동을 제시하였다.

      • 칼빈의 자연법 사상과 칼빈 이후 개혁주의 자연법 사상의 연속성과 불연속성 연구

        박창일 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33279

        이 논문은 자연법에 대한 칼빈의 신학을 다룬다. 자연법에는 체계적 진술을 요하는 주요 논점들이 있다. 먼저 자연법은 창세기 1장 26절과 27절에서 하나님께서 하나님의 형상으로 창조하신 인간의 본성에 새겨주신 것으로 하나님께 기원하는 것이라고 보는 견해가 칼빈의 견해임을 밝힌다. 다음으로 자연법의 개념에 대한 그의 자연법 사상을 밝힌다. 칼빈은 자연법의 개념에 대해 분명하게 밝혔다. 칼빈은 당대 뛰어난 법학자들에게 법학 교육을 받았다. 그러므로 그의 신학적 진술에도 규범성이 담겨 있는 자연법의 개념 정의와 주요 논점들에 대한 체계적이고 일관된 사고와 문자적, 역사적 해석방법이 들어 있다. 자연법이 하나님께서 인간을 창조하시며 인간의 본성에 새겨주신 것으로 이해할 때에도 자연법이 무엇인가에 대해 서로 다른 주장들이 있다. 그리고 인간이 죄로 인해 타락했고 그 타락이 인간에게 미친 영향을 어떻게 보는가에 따라 자연법의 역할에 대한 주장들도 모든 것은 하나님의 일반 은혜와 말씀이신 예수 그리스도의 중보와 성령의 사역에 의해 자연법이 인간에게서 그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고 주장하는 견해인지, 아니면 인간의 이성의 우위나 자율을 인정하고 인간의 공로를 개입시키려는 견해인가로 이어진다. 지금까지 칼빈의 자연법 사상에 대한 연구들은 칼빈의 자연법 사상에 대해 밝혀주었으나, 칼빈이 법학을 공부한 신학자로서 그의 자연법 사상의 체계가 전체적으로 체계적이고 일관적이어서 자연법 사상의 주요 논점들을 모두 분명하게 말하고 있음을 선명하게 드러내지 못했다. 따라서 칼빈의 자연법 사상이 일관적이지 않다는 주장에 대해 충분히 반박하지 못했다. 그리고 칼빈이 분명하게 자연법의 개념을 말하고 자연법과 일반 은혜와 일반 계시를 구별하고 말씀이신 예수 그리스도의 중보와 성령의 사역에 의해 자연법이 인간에게서 그 역할을 할 수 있게 됨을 체계적으로 진술하여, 인간의 이성의 우위나 자율을 인정하고 인간의 공로를 개입시키려는 주장들을 효과적으로 물리칠 수 있었음을 밝히는 데는 미흡했다. 따라서 이 논문은 칼빈의 자연법 사상을 체계적으로 밝힌다. 더 나아가 칼빈 이후의 개혁주의 신학자들의 글에서 칼빈과 달리 자연법의 개념이 분명하지 않거나 체계적 진술에서 혼동이 있음을 밝히고, 타락한 인간의 죄를 억제하시고 창조 질서를 보존하시는 하나님의 은혜 앞에 인간의 이성을 높이고 이성의 자율성을 주장하여 공로를 인간에게 돌리려는 주장들을 효과적으로 물리치도록 개혁주의 자연법 사상은 칼빈의 자연법 사상과 더욱 연속성을 지키며 발전해야 할 것을 밝힐 것이다. This thesis deals with Calvin’s theology of natural law. There are key points in natural law requiring systematic statements. First, this thesis reveals Calvin’s concept is the view that natural law originates from God and was engraved in human nature in His own image by God(Genesis 1:26-27). To the next, it clarifies Calvin’s concept of natural law. Calvin defined his concept of natural law. He learned law from outstanding law professors. Therefore his remarks of the definition of natural law’s concept show it is normative. And He wrote systematic and consistent thoughts of natural law with literal and historical exegesis. Even though acknowledging man was created in the image of God and natural law was implanted on the human heart in divine origin of natural law, different claims exists about the concept and role of natural law. They assert differently corruption by sin of a human being. Consequently, the role of natural law is attributed to the merit of human reason or the grace of God. Studies about Calvin’s thought of natural law have revealed his views until now but they haven’t showed clearly that Calvin as a theologist who had learned law as a university student systematically and consistently revealed his observations of natural law about all main issues. Therefore they did not fully refute arguments that Calvin’s thought of natural law is not consistent and they did not disclose enough that Calvin was able to defeat statements which want to accept superiority and merit of human reason through the concept of natural law with clear distinction between natural law and general revelation, common grace. Thus this thesis systematically reveals Calvin’s thought of natural law. Furthermore, this thesis discloses prudently that statements about natural law by theologists in Reformed tradition show indistinguishable concept of natural law and confusion of systematic distinction. Thereby God’s grace which suppresses the corruption by sin of human and preserves the created world is only praised to mankind’s civilization advances. Hereafter Reformed thought of natural law is to be continued with Calvin’s thought of natural law and will be developed.

      • 아브라함 카이퍼와 헤르만 바빙크의 일반은총에 관한 비교연구와 현대적 의의

        최홍기 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3279

        헤르만 바빙크와 아브라함 카이퍼의 일반은혜 사상을 비교분석하고 일반은혜 사상이 갖는 현대적 의의를 제시한다.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ideas of common grace of Hermann Bavinck and Abraham Kuyper and presenting the modern significance of the ideas of common grace.

      • 보육교사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안녕감과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정동숙 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3326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perceived by childcare teachers on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eacher efficacy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to attain the purpose of this study: 1. What are the differences among childcare teachers in perceived social support,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eacher efficacy according to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2. What are the correlations among the perceived social support,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eacher efficacy of childcare teachers? 3. What influence does the perceived social support of childcare teachers exercise on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eacher efficacy?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00 childcare teachers who worked in day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Metropolitan City and Gyeonggi Province, on whom a survey was conducted from November 12 to December 8, 2018. 300 questionnaires were handed out, and the response rate stood at 100 percent. Among the collected data, 247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as the final data except 53 ones that were uncompleted and included outlie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23.0 version and AMOS 23.0 version. To analyz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calculated, and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e checked to obtain the descriptive information of the measurement variables. To verify the assumption of normal distribution, skewness and kurtosis were used. To confirm the reliability of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their Cronbach alpha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In order to see whether there were any differences in perceived social support,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eacher efficacy according to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independent-samples t-test was used when two factors were used as general background variables, and ANOVA was carried out when three or more were used. After ANOVA was conducted, Scheffé test was implemented to make a post-hoc analysis to verify the differences in more detail.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s of the variables, correlation analysis was made, and path analysis was used to ascertain the influence of the independent variable on the dependent variable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differences among the childcare teachers in perceived social support,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eacher efficacy according to general backgrou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cial support according to their marital status, presence or absence of child, type of workplace and what made them have the hardest time.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sychological wellbeing according to their age, marital status, presence or absence of child, career and pay. On the contrary, teacher efficacy varied with their career and certificates i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way. Secon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correlations among the perceived social support,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eacher efficacy of the childcare teachers, perceived social support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eacher efficacy as well. Also, perceived social support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eacher efficacy.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mpact of the perceived social support of the childcare teachers 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eacher efficacy, perceived social suppor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every subfactor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eacher efficacy. The findings of the study illustrated that social support perceived by childcare teachers could be one of major variables to affect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eacher efficacy. Accordingly, the nation and childcare centers should fully be cognizant of the preciousness and value of social support for childcare teachers and try to consider how to offer the right support and assistance for them in an effort to help them to find themselves to receive appropriate social support to improve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restore confidence and demonstrate their teacher efficacy properly.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안녕감과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이루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보육교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보육교사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 심리적 안녕감, 교사효능감의 차이는 어떠한가? 2. 보육교사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 심리적 안녕감, 교사효능감 간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3. 보육교사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안녕감,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는 서울특별시와 경기도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300명을 대상으로 2018년 11월 12일부터 2018년 12월 8일까지 설문조사를 실행하였다. 배부된 설문지는 총 300부였으며 100%의 회수율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회수한 설문지 가운데 미응답 문항과 이상치가 발견된 53부를 제외한 총 247부를 최종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한 자료는 SPSS 23.0 과 AMOS 23.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 분석을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수집한 측정변인의 기술정보를 파악하기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확인하였으며, 정규분포 가정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왜도와 첨도를 사용하였다. 또한 연구에서 사용한 검사도구의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해 Cronbach’s α를 산출하였다. 연구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보육교사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 심리적 안녕감, 교사효능감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반적 배경이 2개로 구분되었을 때는 독립표본 t 검증을 사용하였고, 3개 이상으로 구분되었을 때는 ANOVA 검증을 실시하였다. ANOVA 검증 이후에 구체적인 차이를 검증하기 위한 사후 검증으로는 Scheffé 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변인 간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독립변인이 종속 변인들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기 위해 경로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배경에 따른 보육교사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안녕감, 교사효능감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보육교사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는 보육교사의 결혼여부와 자녀유무, 근무시설 유형, 가장 힘들게 하는 것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심리적 안녕감은 보육교사의 연령, 결혼여부, 자녀의 유무, 경력, 월급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반면, 교사효능감은 보육교사의 경력, 소지자격증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둘째, 보육교사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안녕감, 교사효능감 간의 상관관계를 검증한 결과, 보육교사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안녕감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심리적 안녕감과 교사효능감도 상호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보육교사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교사효능감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보육교사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안녕감,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보육교사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는 보육교사의 심리적 안녕감과 교사효능감의 모든 하위요인에 있어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보육교사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보육교사의 심리적 안녕감,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므로 국가와 보육현장은 보육교사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소중함과 가치를 제대로 인식하고, 보육교사에 대한 올바른 지지와 지원방법을 강구함으로써, 보육교사들이 사회적 지지에 기반하여 심리적 안녕감과 회복된 자신감을 가지고, 교사효능감을 제대로 발현할 수 있도록 노력할 필요가 있다.

      • 개혁주의 신학의 원리 : 삼위일체론적 관점에서

        김형익 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33263

        개혁주의 신학의 원리 : 삼위일체론적 관점에서 본 논문의 목적은 바빙크에게서 나타난 신학의 원리가 칼빈과 뚤레틴에게서 전개된 것으로 찰스 핫지와도 내용적으로 동일한 신학의 원리를 공유하고 있음을 논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바빙크의 신학의 원리와 칼빈에게서 나타나는 신학의 원리, 뚤레틴에게서 나타나는 신학의 원리가 모두 삼위일체적 기독론적 접근을 취하고 있음을 연구하였고, 찰스 핫지의 신학방법론과 신학의 원리를 내용적으로 파악하여 바빙크의 신학의 원리와 같은 내용임을 파악하였다. 바빙크는 신학이 가능한 근본적인 원리, 곧 신학의 원리에 대해서 세 가지로 말하고 있다. 존재의 원리(principium existendi) 외적인식의 원리(principium cognoscendi externum), 내적 인식의 원리(principium cognoscendi internum)이다. 첫 번째 신학을 가능하게 하는 가장 근본적이고 본질적이며 존재적인 원리는 하나님 존재이시다. 두 번째 외적 인식의 원리는 성경이다. 성경은 신학의 "유일한 원리(principium unicum)"인 동시에 "도구적 유효원인(causa efficiens instrumentalis)"이다. 세 번째 내적 인식의 원리는 성령이다. 외부적으로 객관적으로 계시된 말씀은 성령께서 조명하심으로 신앙이라는 수단을 통하여 내부적으로 주관적으로 역사한다. 이런 신학의 원리는 공히 삼위일체적이다. 곧 계시하시는 성부 하나님, 중보하시는 성자 하나님, 조명하시는 성령하나님이시다. 또한 바빙크의 신학의 원리는 기독론적이다. 성부의 계시는 성자에게 동일하게 중보되고, 바로 그 계시가 그리스도의 영에 의해서 우리 내부에 적용되는 것이다. 또한 성경은 말씀 자체이신 성자 하나님께서 자신의 중보하심으로 우리 맞추어서 말씀하신 말씀이시고, 또한 그리스도의 영은 조명으로 기록된 말씀을 통하여 우리에게 조명하신다. 이런 신학의 원리는 칼빈에게서 시원적으로 발견된다. 칼빈의 신학의 원리를 정립한다면 다음의 네 가지 원리를 살펴볼 수 있는데, 첫째로 객관적 계시인 성경을 통해서 신지식을 알 수 있고, 둘째로 계시의 확실성과 확신을 주시는 성령을 통해서 신지식을 알 수 있고, 셋째로 중보자 그리스도를 통해서 신지식을 알 수 있으며, 마지막으로 믿음을 통해서 신지식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것은 뚤레틴에게서도 더욱 전개된 형태로 나타난다. 그는 신학의 원리를 이미 존재의 원리와 인식의 원리를 이미 정립하고 있었고, 신학의 원리로 성령에 의해 조명된 이성을 통하여, 유일한 원리가 되는 성경을 통하여, 성령께서 주시는 믿음을 통하여 신학함을 말하고 있다. 핫지도 표면적으로는 오해를 일으킬 수 있지만, 내용적으로는 칼빈, 뚤레틴, 바빙크와 같은 신학의 원리를 인지했다. 내용적으로 핫지의 신론이나 기독론, 구원론을 면밀히 살펴보면, 그는 동일하게 계시하시는 성부 하나님, 중보하시는 성자 하나님, 조명하시는 성령 하나님에 대해서 언급하고 있고, 말씀자체이시고, 성육신 이전과 이후 모두 말씀과 성령을 통해 계속적으로 계시하시는 계시 중보자 그리스도를 발견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바빙크에게도 핫지가 주장하는 체계성과 성경적 귀납법을 발견할 수 있다. 그러므로 개혁주의 신학에서는 삼위일체적이고 더 구체적으로 기독론적인 신학의 원리를 발견할 수 있다.

      • 거친 신체놀이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자율성 지지가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김상진 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326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 in the teacher’s perception of rough-and-tumble play, support for autonomy, and children’s playfulness according to participants’ general backgrounds. It also aims to understand the correlation of each variable and the effects of independent variables on dependent variables.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The research questions that this study seeks to answer is as follows. Research questions 1. What is the difference in a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n rough-and-tumble play, support for autonomy, and children’s playfulness according to the general background of participant teachers and children? Research questions 2. What is the correlation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n rough-and-tumble play, support for autonomy, and children’s playfulness? Research questions 3. What are the effects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n rough-and-tumble play and support for autonomy on children’s playfulness? This study subjected 231 teachers in charge and 462 children targeted across an age range between 3 and 5 in child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in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To measure the perception on rough-and-tumble play of children, the research adopted the research tool modified by Yoon-hee Lee(2009), devloped by Gyeong-ja Joe(1995) and Jin-a Ou(2002). To measure the support for autonomy, the tool referenced was developed by Assor, Kaplan and Roth(2002) and revised by Do-hee Ahn and Ji-hyun Yoo(2008). The part of this tool was used in the research about behavior to support autonomy by Eun-dug Kim(2018) and this researcher modified the the original research developed for children, but revised for young children which was the subject of this study. In addition, to measure the children’s playfulness the research used the tool which was modified by Young-hee Kim(1995) and adopted in the research of Su-jeong Lee(2020) but originally developed by Barnett(1991). The gathered data was analyzed by the statistic program, SPSS 26.0. To examine the general features of the subjects of the study, this researcher calculated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In order to verify the test reliability that we adopted in this study, the internal reliability of questions(Cronbach’s α) was calculated. After we calculated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one-way ANOVA(one-way analysis of variance) was implemented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n rough physical play and support for autonomy on children’s playfulness according to the general background of the child teacher and child. Scheffe post-hoc comparison was conducted to inquir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Pearson product-moment correlation was calculated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variable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the effects of the independent variables on the dependent variabl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difference in teachers’ perception on rough-and-tumble play according to the teachers’ academic background. There was a difference in teachers’ support for autonomy according to the teaching career and the type of working organization. Also, there was difference in children’s playfulness according to the teachers’ academic background, the age, and the gender of the child.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 positive correlation among teacher’s perception on rough physical play, support for autonomy, and children’s playfulness. Third, teacher’s perception on rough-and-tumble play and support for autonomy were found to have an effect on children’s playfulness. Perception on degree of attention, necessity and value of rough physical play among the sub-factors of teachers’ perception on rough-and-tumble play and respect from the sub-factors of support for autonomy affected physical spontaneity, social spontaneity, cognitive spontaneity, expression of pleasure, and sense of humor positively. The result of this study is significant that it proved the role of the teacher is important when it comes to development of children’s playfulness. And this was based on the fact that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ositive perception on children’s rough-and-tumble play and support for autonomy affected children’s playfulness. Ultimately, this study offered the basic reference for development of children’s playfulness and simultaneously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expanding the understanding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n rough-and-tumble play and support for autonomy. 본 연구는 거친 신체놀이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자율성 지지, 유아의 놀이성을 일반적 배경에 따라 분석하고 각 변인들간의 상관관계와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유아교사 및 유아의 일반적 배경에 따른 거친 신체놀이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자율성 지지, 유아 놀이성의 차이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거친 신체놀이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자율성 지지, 유아 놀이성 간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3. 거친 신체놀이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자율성 지지가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과 수도권에 소재하는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만 3세∼5세반담임교사 231명과 유아 462명이다. 거친 신체놀이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을 측정하기 위해 조경자(1995), 우진아(2002)의 연구도구를 수정·보완한 이윤희(2009)의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유아교사의 자율성 지지를 측정하기 위해 Assor, Kaplan 그리고 Roth(2002)가 개발하고 안도희와 유지현(2008)이 번안한 후 김은덕(2018)의 연구에서 일부만 사용한 측정도구를 본 연구자가 아동용으로 개발된 원문을 참조하되 본 연구의 대상인 유아에 적합하도록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아울러 유아의 놀이성을 측정하기 위해 Barnett(1991)이 개발한 측정도구를 김영희(1995)가 수정·보완하고 이수정(2020)의 연구에서 사용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 유아교사와 유아의 일반적 배경을 살펴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본 연구에서 사용한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문항의 내적 신뢰도(Cronbach’s α)를 산출하였다. 유아교사와 유아의 일반적 배경에 따라 거친 신체놀이에 대한 인식과 자율성 지지, 유아의 놀이성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한 후 t 검증과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집단 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Scheffé의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으며, 독립변인이 종속변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배경에 따른 변인의 차이에 있어 교사의 학력에 따라 거친 신체놀이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차이가 있었고, 교사의 교직경력, 근무기관 유형에 따라 유아교사의 자율성 지지에 차이가 있었다. 또한 교사의 학력, 유아의 연령과 성별에 따라 유아의 놀이성에 차이가 있었다. 둘째, 거친 신체놀이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자율성 지지, 유아의 놀이성 간에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거친 신체놀이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자율성 지지는 유아의 놀이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거친 신체놀이에 대한 유아교사의 관심 정도, 필요성 및 가치에 대한 인식과 자율성 지지 하위요인 중 존중이 유아의 놀이성 하위요인인 신체적 자발성, 사회적 자발성, 인지적 자발성, 즐거움의 표현, 유머감각 모두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본 연구의 결과는 거친 신체놀이에 대한 유아교사의 긍정적인 인식과 자율성 지지가 유아의 놀이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함으로써, 유아의 놀이성 발달에 교사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것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는 유아의 놀이성 발달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동시에 거친 신체놀이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자율성 지지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 보육교사의 비판적 사고가 자기지도성에 미치는 영향 :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김미리 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3263

        The Influence of Childcare Teachers' Critical Thinking on Self-Leadership: The Mediation Effects of the Teachers’ Efficacy Mi-Ri Kim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Chongshi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mediation effects of teacher efficacy in the influence of childcare teachers' critical thinking on self-leadership. The research questions establish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difference i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teacher efficacy, and self-leadership in accordance with the general background of childcare teachers? Second, what is the correlation between critical thinking, teacher efficacy, and self-leadership of childcare teachers? Third, what is the mediation effects of teacher efficacy in the influence of childcare teachers' critical thinking on self-leadership? In this paper, we conducted a survey with childcare teachers who are working at daycare centers across the country from December 1st, 2020 to January 8th, 2021. A total of 33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316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 total of 300 questionnaires were used as final analysis data for this research, except for 16 questionnaires with missing questions and wrong characters among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The survey used in this study consisted of 122 questions in 4 areas. Area 1 included 6 questions that investigate the general background of childcare teachers. Area 2 included 73 questions that identify critical thinking of childcare teachers. Area 3 included 23 questions that analyze teacher efficacy of childcare teachers, and Area 4 included 20 questions that examine self-leadership of childcare teachers. The measurement tools used in this research are the K-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test of Kim Myung-Suk(2006), teacher efficacy scal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developed by Shin Jeong-Ae and Kim Seong-Won(2019), and the childcare teachers self-leadership test developed by Park Ye-Hyun(2020). The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were analyzed and carried out using the SPSS WIN 23.0 program.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calculated to analyz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verified to understand the technical information of the collected measurement variables. In addition, skewness and kurtosis were used to verify the assumption of normal distribution. Cronbach's α was calculated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the test used in the research. In order to find out the difference between critical thinking and self-leadership of childcare teachers according to the general background of the subjects,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implemented when the general background was divided into two, and the ANOVA test was conducted when divided into three or more. When the F valu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ANOVA test, the Scheffé test was carried out as post-hoc test.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find out th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and three-step mediation effects test method proposed by Baron & Kenny(1986) was used to verify the mediation effects. In addition, the significance of the parameters was verified through the Sobel tes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has shown that the critical thinking, self-leadership, and teacher efficacy of childcare teachers represents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type of institution, educational background, and qualifications which are the background variables of childcare teachers. The critical thinking, self-leadership, and teacher efficacy of childcare teachers were highly showed in the group of working at workplace daycare centers, well-educated childcare teachers, and the first-class kindergarten teacher qualification. Second,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critical thinking, teacher efficacy, and self-leadership of childcare teachers are as follows. The critical thinking demonstra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eacher efficacy, and childcare teachers' critical thinking represen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leadership. Moreover, teacher efficacy of childcare teacher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leadership. Third, it was verified that teacher efficacy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process of childcare teachers' critical thinking on self-leadership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mediation effects of teacher efficacy in the influence of childcare teachers' critical thinking on self-leadership.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efforts for enhancing the childcare teachers' critical thinking and teacher efficacy should be conducted in order for childcare teachers to improve self-leadership.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critical thinking education in childcare sites and childcare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and to seek various ways to improve teacher efficacy and strengthen corresponding education. 보육교사의 비판적 사고가 자기지도성에 미치는 영향 :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비판적 사고가 자기지도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보육교사의 일반적 배경에 따른 비판적 사고성향, 교사효능감, 자기지도성의 차이는 어떠한가? 2. 보육교사의 비판적 사고와 교사효능감, 자기지도성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3. 보육교사의 비판적 사고가 자기지도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전국의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2020년 12월 1일에서 2021년 1월 8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배부된 설문지는 총 330부였으며, 그중에서 316부를 회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회수한 설문지 가운데 누락 된 문항과 이상체가 있는 16부를 제외한 총 300부를 본 연구를 위한 최종 분석자료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은 4개 영역, 총 122문항으로 구성하였다. 1영역은 보육교사의 일반적 배경을 알아보는 6문항, 2영역은 보육교사의 비판적 사고를 알아보는 73문항, 3영역은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을 알아보는 23문항, 4영역은 보육교사의 자기지도성을 알아보는 20문항이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측정 도구는 김명숙(2006)의 K 비판적 사고성향 검사 도구, 신정애와 김성원(2019)이 개발한 영유아교사효능감 측정도구, 박예현(2020)이 개발한 보육교사 자기지도성 검사 도구이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3.0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분석을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수집한 측정 변인의 기술정보를 파악하기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확인하였으며, 정규분포 가정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왜도와 첨도를 사용하였다. 또한 연구에서 사용한 검사도구의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해 Cronbach's α를 산출하였다. 연구대상자들의 일반적 배경에 따른 보육교사의 비판적 사고와 자기지도성의 차이를 밝혀보기 위해 일반적 배경이 2개로 구분될 때는 독립표본 t 검증, 3개 이상으로 구분되었을 때 ANOVA 검증을 실시하였다. ANOVA 검증에서 통계적으로 F 값이 유의한 경우에는 사후 검증으로 Scheffé 검증을 실시하였다.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3단계 매개효과 검증법을 적용하였으며, Sobel test를 통하여 매개변인의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비판적 사고와 자기지도성, 교사효능감은 보육교사의 배경 변인인 기관 유형, 학력, 소지 자격증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보육교사의 비판적 사고, 자기지도성, 교사효능감은 직장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집단, 학력이 높은 집단, 유치원 1급 정교사 자격증을 소지한 집단에서 높게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비판적 사고, 교사효능감, 자기지도성 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비판적 사고는 교사효능감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보육교사의 비판적 사고는 자기지도성과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또한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은 자기지도성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셋째, 보육교사의 비판적 사고가 자기지도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교사효능감은 보육교사의 비판적 사고가 자기지도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매개적 역할을 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보육교사가 자기지도성을 증진할 수 있으려면, 보육교사의 비판적 사고와 교사효능감을 증진하기 위한 노력이 함께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해주는 것이다. 따라서 보육 현장과 보육교사 양성기관에서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한 비판적 사고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와 관련된 교육을 강화할 뿐 아니라,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