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ADHD 성향 아동을 위한 인지행동프로그램 개발 연구 : 학교 현장을 중심으로

        배은경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51711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henceforth ADHD) has major symptoms such as inattentiveness and hyperactivity, and induces secondary problems such as social maladjustment including problems with their parents, peers, and teachers. Thus it is acknowledged as the first primary disease for the Child Mental Health Service in terms of its scope, severity, and the effects of interventions. With the Unifying Theory of ADHD, the core deficits of ADHD are explained as self-regulation inhibition by the impairment of motor control limiting self-regulation capacity by the deficits of the executive functions. Hence, ADHD children are prone to have difficulties in constructing behaviors, recognizing and predicting situations, and their inappropriate and deficits of social skills can cause a vicious cycle in the conflicts with their surrounding systems. Even though its efficacy of medication for ADHD has proven to some extent, its medication is somewhat limited in assisting them to improve their positive interpersonal skills and self-control capability, and the parents are reluctant to medication, and thus the evidence-based intervention of “non-medication" is needed. In order to improve both the social skills and self-control capability of children with the propensity of ADHD, group therapies are useful, and it is consistently reported that the Integrated Group with children and parents is more effective than the Single Group with only children. In the intervention of children with the propensity of ADHD that could be dubbed as a sub-clinic group, in the aspects of environments and contexts, schools have the merits of having the existence of the teachers and the peer group, the generalization of problem-solving skills, and the low financial burden of interventions. Further, schools can also facilitate the participation of parents compared to the hospital-based services and help children with the propensity of ADHD feel less stigmatized. However, even though the nationwide Complete Inspection for screening children with the propensity of ADHD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was conducted at this point in time, there is a dearth of professional programs in quality and quantity in terms of the early intervention in school settings. The reasons seem to be these; the evidence-based programs were not actively implemented, the lack of professionals, a regional bias, and they were not able to take fuller advantage of the research programs in the school settings that could have implemented integrated approaches. This study focuses on developing a cognitive-behavioral program that can allow parents, teachers, and children with the propensity of ADHD to cooperate in an integrated way. For the development of this program, the five steps were adopted as suggested in intervention research method of Rothman and Thomas. The five steps are the first stage of Problem Analysis and Project Planning, the second stage of Information Gathering and Synthesis, the third stage of designing, the fourth stage of Early Development and Pilot Testing, and the fifth stage of Evaluation and Advanced Development. In the first stage of Problem Analysis and Project Planning, the goals of the program were set by figuring out and analyzing some problems that were discovered after reviewing the literature for the research on children with the propensity of ADHD, and conducting the needs analysis of the teachers and the parents of ADHD children, respectively. Although children with the propensity of ADHD suffer difficulties adopting to their school life and peer relationships because of their inappropriate social skills and lack of self-regulation. As a result, in school settings, interventions for children with the propensity of ADHD were selectively conducted, which could result in their stigmatization and it seems to be difficult to elicit the cooperation of the teachers and the parents. A need of developing a program tailored to the enhancement of self-regulation capacity and social skills of children with the propensity of ADHD was discovered. In the second stage of the Information Gathering and Synthesis, in order to collect the appropriate and various information for the study, the information search was conducted by referring to domestic and overseas journals. After investigating previous programs, the specific components of the program were established based on the cognitive-behavioral theory, through which the basis was secured in terms of the structure, the construct, and the content, and the evaluation method of the program. In the third stage of designing, based on the collected information, the cognitive-behavioral program was constructed for the system of ADHD children, their parents, and the teachers in school settings. First of all, the first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the components established by the Information Gathering & Synthesis in the first and the second stages. The program was further sophisticated based on the professional advice of six professionals consisting of practioners and professors. In the fourth stage of Early Development and Pilot Testing, after the subjects were confirmed, the needs discovered in the pre-interview were reflected on the program development based on the model of pregroup planning. In this fourth stage, the program in the stage of designing was fine-tuned and modified for the initial program, and then the program was experimented in a school setting. In order to enhance their self-regulation and interpersonal skills, by considering previous studies and the developmental stages of group, Given the challenge of the behavior control and the cognitive deficits of children with the propensity of ADHD, the cognitive-behavioral program was implemented, in which behavioral therapy, social skill training, and cognitive-behavioral techniques were implemented by stages. In the program for the parents and the teachers, in order to facilitate the generalization of children's behavioral change and its persisting effects, the following were implemented; first, by adopting previous studies, part of the program was integrated, and, second, the arbitration of various conflict situations among the systems was included based on the needs of the participants. The common components included the understanding and the awareness raising of ADHD, the positive conversation method, and the method of reinforcement of positive behaviors. In the parent program, these were included: the method of developing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looking back to oneself in the context of child system,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dynamics and the coping strategies of the various situations in related systems. In the teacher system, these were implemented: the method of conflict management, the activities that can enhance the peer relationships that are useful for classes. Lastly, looking back to me in the context of the juvenile system was implemented. The common components included the understanding and the awareness raising of ADHD, the positive conversation method, and the method of reinforcement of positive behaviors. In the parent program, these were included: the method of developing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looking back to oneself in the context of child system,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dynamics and the coping strategies of the various situations in related systems. In the teacher system, these were implemented: the method of conflict management, the activities that can enhance the peer relationships that are useful for classes. Lastly, looking back to me in the context of the juvenile system was implemented. For the field experiment,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selected in the elementary school designated for this study, and they were eight ADHD children, eight parents, and six homeroom teachers. This experiment was weekly conducted throughout six weeks; twice a week for the children, once a week for the parents and the teachers. For each session, the effectiveness of the validity of the program was evaluated by assessing the progress of the program with other two observers. In the fifth stage of Evaluation and Advanced Development, the attempts for developing effective practices were made by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the early program. In addition,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ssessments were conducted.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cognitive-behavioral program for children with the propensity of ADHD, the change in their self deficit, social skills, and self-control capacity was compar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ithout any interventions, respectively. For this research design, as a quasi-experimental design,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 design was implemented. As a result, in comparison to the control group, in dealing with children with the propensity of ADHD, the supression social skills of the teachers, and the self-regulation capacity of the parents and the teacher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Although this program could be interpreted as being effective for both the generalization of the social skills and the enhancement of the self-control capacity for children with the propensity of ADHD in a classroom setting, their attention deficient, a major symptom of ADHD, is hard to change in a short period of time because the attention deficient showed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The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enhancement of professionalism and effectiveness of social welfare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the propensity of ADHD in school setting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its attempt to develop a evidence-based practical program by applying the method of interventional study, and in its attempt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previous domestic programs that did not implement integrated interventions for the system of children, parents, and teachers, although they indicate that the integrated interventions are more effective. In addition, this research adopted behavioural therapy, social skill training, and cognitive-behavioral therapies by stages. Further, in the perspective of an ecologicalsystematic approach,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lso made an attempt to generalize the changes of children with the propensity of ADHD. In particular, in developing and implementing a program for children with the propensity of ADHD, the personalized needs of the participants were reflected through the pre-interview based on the model of pregroup planning. In addition, by conducting the post-interview, children with the propensity of ADHD were introduced to psychiatric doctors if necessary. Likewise, this study incorporated these unprecedented components that were not able to be executed in the previous programs that were emphasized in their research. Based on these findings and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 few requirements for practices for children with the propensity of ADHD are attached.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이하 ADHD)는 주의산만, 과잉행동과 같은 주증상 뿐 아니라 부모, 또래, 교사와의 문제를 포함하는 사회 부적응 등의 2차적 어려움을 낳게 되며 그 규모와 심각성, 개입효과 측면에서 아동정신건강사업 대상질환 1순위로 평가받고 있다. ADHD의 핵심결핍은 통합이론모형을 통해 행동억제의 손상이 실행기능의 결함을 매개로 자기조절능력을 제한함으로 설명되고 있다. 이로 인해 ADHD 아동은 행동을 조직화하거나 상황을 인지, 예측함에 하여 어려움을 겪기 쉽고, 부적절하고 결핍된 사회기술은 주변체계와의 갈등을 악순환시킬 수 있다. 약물치료는 ADHD 증상에 대한 효과성에도 불구하고 긍정적 사회기술을 향상시키거나 자기조절능력을 변화시키는데 제한적이며, ADHD 성향 아동의 부모들이 거부감을 나타낸다는 점에서 근거기반의 비약물치료적 개입이 요구된다. 비약물치료적 개입은 인지행동이론을 기반으로 하는 행동치료, 사회기술훈련, 인지행동치료가 대표적으로, ADHD 성향 아동의 사회기술과 자기조절능력을 향상시키는데 집단 형태가 유용하며, 아동 단독 개입집단보다 부모, 교사를 포함한 병합개입 집단이 더 효과적임이 일관되게 보고되고 있다. 학교는 준임상집단인 ADHD 성향 아동에 대한 개입에 있어 환경과 맥락이라는 측면에서 교사와 또래집단의 존재, 문제해결능력의 일반화, 개입비용에 따른 부담 약화 등의 장점을 가지며, 병원에 비해 부모 참여를 촉진하고 낙인화를 덜 느끼도록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국가 차원의 ADHD 성향 아동 선별검사가 전국 초․중․고등학생 전수를 대상으로 확장된 현시점에서도 학교 현장을 중심으로 조기개입을 함에 있어 전문적인 프로그램은 양적, 질적으로 부족한 현실이다. 그 이유로는 국내 학교정신건강사업에 있어 근거 기반의 프로그램 실천은 활발하지 않았고, 연구 목적으로 진행된 프로그램의 경우 통합적 접근이 가능한 학교 현장의 장점을 살리는데 제한적이었던 점, 전문인력의 부족과 지역 편중 등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교 현장을 중심으로 ADHD 성향 아동과 부모, 교사 체계가 통합적으로 협력할 수 있는 인지행동프로그램을 근거에 기반하여 개발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Rothman과 Thomas의 개입연구(Intervention Research) 방법을 활용하여, 문제분석과 프로젝트 개발 계획, 정보수집과 통합, 디자인, 초기개발과 현장실험, 평가 및 수정개발 등 5단계 과정을 적용하였다. 제 1단계 문제분석과 프로젝트 개발 계획 단계를 통하여 ADHD 성향 아동 관련 문헌고찰과 부모 및 교사를 대상으로 한 욕구조사를 통하여 문제를 확인하고 분석하여 프로그램의 목적을 설정하였다. 그 결과 ADHD 성향 아동은 부적절한 사회기술과 자기조절능력의 제한으로 인하여 또래관계와 학교생활 적응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나, 현재 학교 현장에서의 ADHD 성향 아동 개입은 선별 중심으로 이루어져 낙인화 우려와 함께 부모‧교사의 협조를 얻어내기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 현장을 중심으로 ADHD 성향 아동과 부모, 교사가 통합적으로 협력하여 ADHD 성향 아동의 사회기술과 자기조절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근거에 기반한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져야 함을 인식하였다. 제 2단계 정보수집과 통합 단계에서는 연구목적에 맞는 다양한 정보를 수집, 통합하기 위하여 국내외 전자저널을 이용하여 정보검색을 하였다. 기존 프로그램 고찰 이후 인지행동이론을 기반으로 ADHD 성향 아동, 부모, 교사 체계 대상 프로그램의 구체적인 구성요소를 확정하고, 이를 통해 프로그램 디자인을 위한 프로그램 구조, 구성, 내용, 평가방법 등에 대한 근거를 확보하였다. 제 3단계 디자인 단계는 지금까지 수집한 정보 분석을 통해 학교 현장을 중심으로 ADHD 성향 아동, 부모, 교사 체계를 대상으로 하는 인지행동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먼저 1․2단계에 걸친 정보 통합화로 설정한 구성요소를 토대로 1차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더욱 정교화하기 위하여 현장 실무자, 교수로 구성된 6명의 전문가에게 자문을 받아 프로그램에 반영하였다. 제 4단계 초기개발과 현장실험 단계에서는 집단사전계획모델을 토대로 실험집단 참여자 확정 이후 사전면담을 통해 파악된 욕구를 반영, 디자인 단계에서의 프로그램을 초기프로그램으로 정교하게 다듬고 수정하여 실천 현장에서 실험하였다. ADHD 성향 아동의 사회기술과 자기조절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선행연구와 집단발달단계를 고려하여 행동치료, 사회기술훈련, 인지행동치료 기법을 단계적으로 초점을 적용한 인지행동프로그램을 ADHD 성향 아동에게 실행하였다. 부모와 교사 대상 인지행동프로그램에 있어서는 선행연구에 따라 아동의 변화에 대한 일반화 촉진과 효과의 지속성을 위해 프로그램 내용 일부를 통합하여 진행하였고, 참여자들의 욕구에 따라 체계간의 다양한 갈등상황 중재를 포함시켰다. 공통된 내용인 ADHD에 대한 이해와 인식 증진, 긍정대화법, 긍정행동 강화법과 함께 부모 체계를 대상으로 긍정관계법, 자녀를 둘러싼 체계의 맥락에서 나 돌아보기, 관련체계와의 다양한 상황과 역동 인식 및 대처하기, 교사 체계를 대상으로 한 학급원과의 갈등중재법, 학급에 유용한 또래관계향상활동, 아동을 둘러싼 체계의 맥락에서 나 돌아보기가 실행되었다. 현장실험은 실험집단 아동 초등학교에서 ADHD 성향 아동 8명과 부모 8명, 담임교사 6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으며 아동 주 2회, 부모와 교사 주 1회의 간격으로 총 6주간 시행되었다. 매 회기마다 관찰자 2명과 프로그램 진행과정을 평가하면서 프로그램 적용 타당성을 탐색하였다. 제 5단계 평가 및 수정 프로그램 개발 단계에서는 실행된 초기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평가하여 효과적인 실천을 개발하고자 하였으며, 양적 평가와 질적 평가가 함께 이루어졌다. ADHD 성향 아동을 위한 인지행동프로그램 효과성 검증을 위하여 실험집단과 어떤 개입도 받지 않는 비교집단을 설정하여 주의산만, 사회기술,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변화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유사실험설계로서 비동일 집단 사전사후 검사 설계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ADHD 성향 아동에 대한 교사 평정 사회기술과 부모․교사 평정 자기조절능력이 비교집단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 프로그램이 ADHD 성향 아동의 교실 상황에서의 사회기술 일반화와 자기조절능력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으나 주의산만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ADHD 주증상인 주의산만이 단기간 내에 변화되기에는 제한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초기프로그램을 수정 보완하여 보다 발전된 ADHD 성향 아동을 위한 인지행동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상 본 연구의 프로그램 개발 결과는 학교 현장에서 ADHD 성향 아동을 위한 사회복지적 개입에 있어 전문성과 효과성을 제고시키는데 기여할 것이다. 개입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근거 기반의 실천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을 시도했다는 점, 병합개입이 더 효과적으로 나타난 선행연구에도 불구하고 아동과 부모, 교사 체계 모두에 통합적인 개입을 하지 못 하였던 기존 국내 프로그램의 한계 극복을 모색하였다는 점, 행동치료, 사회기술훈련, 인지행동치료기법을 단계별로 적용하고 생태체계관점에서 집단발달단계에 따른 게임기법의 활용으로 ADHD 성향 아동의 변화를 일반화시키고자 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특히 ADHD 성향 아동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행함에 있어 집단사전계획모델에 근거하여 사전면담을 병행하여 참여자의 개별화된 욕구를 반영하고, 사후면담을 통해 필요시 소아정신과 전문의상담으로의 연계를 실시함으로써 학교 현장을 중심으로 한 선행연구에서 강조되어왔으나 기존 프로그램에서 실행되지 못하였던 사항들을 프로그램의 구성요소로 포함시킬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와 함의를 통해 앞으로 ADHD 성향 아동을 위한 실천에 있어 요구되는 사항을 제언으로 첨부하였다.

      • 대북 인도적 지원을 담당하는 NGO 활동가의 실천적 경험에 관한 연구

        박지혜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51711

        This study cognized North Korean residents' lives below than minimum level of human lives because of extreme economic difficulties under hostile relations of both Koreas. The study investigated humanitarian assistance to North Korea of NGO in South Korea, and examined values of NGO activists who gave humanitarian assistance to North Korea, problems and obstacles, relations with various kinds of interest parties in both Koreas, and the activists' reaction. The study suggested approaches for development of humanitarian assistance project to North Korea, and found out social welfare implications that were discovered at project experience, and got information and material that were needed to prepare for practice of social welfare to North Korea in the era of unification. The study had a question of "What are value and essence of practice experience of NGO activists who do humanitarian assistance project to North Korea?": And, the study investigated practice experience of five NGO activists who worked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and/or social welfare project in local of NGO of assistance to North Korea to have 4-years or more assistance to North Korea as we; as 20 times or more visits to North Korea. The subject was NGO activists of humanitarian assistance to North Korea in their mid thirties to early forties to consist 2 women and 3 men. The NGO activists had job experience of 4-years to 10-years of assistance to North Korea to be 6.4 years on average, and they visited North Korea more than 20 times to be more than 60 times on average.The NGO activists were majored in social welfare or equivalent to have license of social worker. Preliminary survey was done 2 times in April and May 2009, and main survey was done 13 times from August to December 2010. The author interviewed each one of NGO activist 2 times to 4 times to spend 4 hours to 7 hours and to be 5 hours and 30 minutes on average per NGO activist. The author wrote down NGO activists' statement when listening to recording several times. The phenomenological data analysis was done (Giorgi(1985)) was done. The study investigated practical experience of NGO activists who did humanitarian assistance to North Korea, and suggested not only situation structure but also common structure, and stated common structure to give relation and structure between experience essence and essence. The situation structure that stated values of NGO activist experience investigated background and motives of assistance to North Korea, North Korea related experience of family and/or school, individual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of assistance to North Korea and special experience of assistance to North Korea. NGO activists' practical experience of humanitarian assistance to North Korea at common structure included 29 sub factors, 10 factors and 3 subjects. The subject of 'communication at boundary place' described experience that NGO activists in South Korea contacted North Korea and did North Korea project and met North Korean officials, and it consisted of four factors, that is to say, 'experience of post ideology and cognition on human love', 'others' cognition on otherness and conflicts', 'admittance of the other party and having relations', and 'communication between both Koreas and discovery of aphorism'. The first factor of 'experience of post ideology and cognition on human love' consisted of 'strange place, and contact with the ones having no horn like me' and 'production of pity and sympathy'. The second factor of 'others' cognition on otherness and conflicts' described conflicts and tension of 'experience with the North Korean society and North Korean officials' to consist of 'excessive assistance to North Korea and tension caused by North Korea's demand' and 'relationship conflicts of spirit fighting and control of men'. The third factor of 'admittance of the other party and having relations' described experience of the process having relations with North Korea to consist of 'admittance of North Korea from point of view of North Korea', 'communication with North Korea', and 'establishment of professional relations'.The fourth factor of 'communication between both Koreas and discovery of aphorism' described subjects and wisdom at having relations and communication with North Korea to consist of 'genuineness to help', 'will and practice to help from heart', 'mutual respect and consideration', and 'base of communication, reliability'. The second subject of 'overcoming of obstacles of humanitarian assistance to North Korea' described obstacles at assistance to North Korea to consist of 'controversy over assistance to hostile party','struggle at political, multi-layer and conflicting structure' and 'evaluation and interpretation of assistance to North Korea'. The first factor of 'controversy over assistance to hostile party' consisted of three sub factors that is to say, 'base of justification of the assistance', 'counteraction against criticism of the most generous aid: pressure of transparent distribution', and 'limitation of fund-raising and ethical dilemma'. The second factor of 'struggle at political, multi-layer and conflicting structure' consisted of 'North Korea' military behavior, international relations, North Korea authority / South Korea authority, pressure and limitation from public opinion, conflicts between the Government and organizations, criticism and isolation in the group, and other obstacles of humanitarian assistance to North Korea from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 The third factor of 'evaluation and interpretation of assistance to North Korea' described NGO activists' understanding and overcoming of obstacles from point of view of time, space and business entity of assistance to North Korea.In other words, the third factor consisted of 'clarification of time characteristics : communication first, and development of assistance to North Korea', clarification of space characteristics : Helping compatriot in divided nation', and 'clarification of characteristics of NGO : humanism first'. The third subject of 'border, between and beyond' described NGO activists' challenges not only in North Korea but also in the society in South Korea and attitudes, strategies and roles at counteractions. Formation and expansion of NGO activists consisted of 'find out position at criticism and chaos', 'having counteraction strategies of activists of assistance to North Korea' and 'developed roles of activists of assistance to North Korea'.'Finding out position at criticism and chaos' had three factors, that is to say, 'doubt and prejudice from both systems', 'check of political line, thought of security and historical consciousness' and 'mission and vision that are voluntary power'. The second factor of 'set up of counter action strategy of NGO activists of assistance to North Korea' consisted of 'mission and vision of voluntary power', 'professionalism by learning and information', and 'harmony of head and heart'.'Roles of NGO activists of assistance to North Korea' had roles of activists who exploited humanitarian assistance to North Korea, and it consisted of three sub factors, that is to say, 'window : an interpreter of both Koreas instead of stranger', 'from alone to network constructor with various kinds of cooperators', and 'responsible developer rather than passive administrator'. NGO activists of humanitarian assistance to North Korea had essence of practical experience, for instance, common structure of 'boarder, between and beyond' with unstoppable mind. The study suggested discussions from the findings of practical experience of humanitarian assistance to North Korea of NGO activists of social welfare at home and abroad. First, the study suggested review and application of aphorism based on 'self-check' factors at various kinds of levels of NGO activists for communication with North Koran officials, and connections with multi-cultural social welfare practice paradigm. Second, assistance to North Korea for political purposes could be done by understanding at national, social, racial and political level to put into practice effectively, and to discuss communication and fusion with science of North Korea, politics, ethics, history, sociology and others. Third, the study argued 'return to the essence' of 'human respect' of practice of social welfare by 'practical attitudes based on human respect' of the NGO activists who took risks and danger to put assistance to North Korea into practice, and discussed interests in assistance to North Korea. The study suggested human resources and organizations of assistance to North Korea and policies and practices of humanitarian assistance to North Korea: First, NGO activists' reasonable planning and execution of humanitarian assistance to North Korea were required, and the activists' job should be divided depending upon process, for instance, assessment & planning, implementing, monitoring, evaluation and administration of government agency. Second, the study suggested the NGO activists' education and training, organizational supports, supply of super vision and development project manual. Third, the study put emphasis upon reliability based on understanding of roles of the government and NGO, and suggested professionalism and autonomy for strengthening of capability of NGO of assistance to North Korea, and supports and partnership of the activists' training. Fourth, cooperation was needed with organization of humanitarian assistance to North Korea, and various kinds of groups in the society in South Korea and international society. Fifth, assistance to North Korea was likely to be done from various kinds of aspects so that assistance to North Korea should be done from long-term point of view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as well as regional development. 본 연구는 적대적인 남북관계 속에서 극심한 경제난으로 북한 주민들이 인간으로서 최소한의 삶이 위협받고 있는 것에 대한 문제인식에서 시작하였다. 북한 주민을 돕기 위한 남한 NGO의 대북 인도적 지원에 주목하고, 대북 인도적 지원을 수행하는 활동가가 표방하는 가치, 문제와 장애물, 남한과 북한의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의 관계, 활동가의 대응 등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대북 인도적 지원사업의 발전에 요구되는 접근을 제안하고, 사업 경험에서 발견되는 사회복지적 함의를 참고, 통일 시대 대북 사회복지실천을 준비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와 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대북 인도적 지원 사업을 담당하는 NGO 활동가의 실천 경험의 의미와 본질은 무엇인가?’ 라는 질문을 가지고 남한의 대북지원 민간단체들 중 국제개발이나 국내에서 사회복지사업을 수행하는 NGO에서 대북지원 경력 4년 이상, 방북횟수 20회 이상의 활동가 다섯 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실천 경험을 연구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대북 인도적 지원 NGO 활동가의 연령은 30대 중반에서 40대 초반이며, 여성 2명, 남성 3명이다. 대북 사업 경력은 최소 4년에서 최대 10년으로 평균 6.4년이며, 방북 횟수는 20회 이상으로 평균 60여회 이상이다. 참여자의 전공은 사회복지와 관련된 학문이나 인접 학문이며, 모두 사회복지사 자격증을 소지하고 있다. 면담은 2009년 4-5월 사이에 2회의 예비조사를 거쳐, 2010년 8-12월 5개월간 본조사를 13회 실시하였다. 연구참여자 1인당 최소 2회에서 4회까지 면접을 진행하였으며, 시간은 최소 4시간에서 최대 7시간으로 연구참여자 1인당 5시간 30분 정도의 면접시간을 가졌다. 연구참여자의 진술은 연구자가 여러 번 녹음을 들으면서 직접 필사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Giorgi(1985)의 현상학적 자료 분석 방법에 따라 단계적으로 수행하였다. 대북 인도적 지원을 담당하는 NGO 활동가의 실천 경험을 분석한 결과는 상황적 의미구조와 일반적 의미구조로 나누어 제시하고, 경험의 본질과 본질간의 관계와 구조를 통합적으로 제시하기 위해 일반적 구조를 진술하였다. 연구참여자의 개별적인 경험의 의미를 진술한 상황적 의미구조는 연구참여자가 대북지원 사업을 시작하게 된 배경과 동기, 가족이나 학교에서의 북한 관련된 이전 경험, 대북지원 사업과 연관된 개인적 배경과 특성, 대북지원에서 본인만의 특별한 경험의 차이를 분석하여 진술하였다. 일반적 의미구조에서 대북 인도적 지원을 담당하는 NGO 활동가 실천 경험의 본질로 29개의 하위 구성요소와 10개의 구성요소, 3개 주제를 도출하였다. 첫 번째 주제인 ‘경계적 위치에서의 소통’은 연구참여자가 남한의 활동가로서 북한을 접하고 북한 사업을 대하고 북한 관리를 만나면서 겪는 경험에 관한 것으로 ‘탈이데올로기의 경험과 인간애의 새로운 인식’, ‘타자의 타자성 인식과 갈등’, ‘상대에 대한 인정 그리고 관계맺음’, ‘남북 소통의 아포리즘 발견’의 4개 요소로 구성된다. 첫 번째 구성요소인 ‘탈이데올로기의 경험과 인간애의 새로운 인식’은 ‘낯선 곳, 뿔 안 달린 나와 같은 사람들과의 접합’, ‘동포애와 긍휼의 움틈’으로 구성된다. 두 번째, ‘타자의 타자성 인식과 갈등’은 북한 사회와 북한 관리와의 경험 중 갈등과 긴장을 다루고 있는데, ‘무리한 대북지원 구조와 북한의 요구로 인한 긴장’, ‘관계적 갈등 : 기싸움, 사람조종’로 구성된다. 세 번째 구성요소인 ‘상대에 대한 인정 그리고 관계맺음’은 북한과 관계를 맺는 과정에서의 경험을 드러낸 부분으로 ‘북한의 입장에서 북을 인정’, ‘북한과 통(通)하기’, ‘전문적 관계 정립 노력’으로 이루어진다. 마지막 구성요소로 ‘남북 소통의 아포리즘 발견’은 연구참여자가 북한과 관계를 맺고 소통하는 과정에서 발견하고 터득한 명제와 지혜들로 ‘도우려는 순수함으로’, ‘진심으로 돕겠다는 의지, 실천’, ‘상호존중과 배려함으로’, ‘소통의 기본, 신뢰’의 4개 하위 구성요소로 이루어진다. 두 번째 주제인 ‘대북 인도적 지원의 장애물 넘기’는 대북 사업을 하면서 겪게 되는 장애물에 관한 것으로 ‘적대적 대상에 대한 지원을 둘러싼 논란의 중심에 섬’과 ‘정치적·다층적·갈등적 구조에서 몸부림’, ‘대북지원 사업의 의미 부여와 해석’ 3개 의미로 구성된다. 첫 번째 ‘적대적 대상에 대한 지원을 둘러싼 논란의 중심에 섬’ 은 ‘지원 정당성의 근거마련’, ‘퍼주기 비판에 대한 대응 : 분배투명성 확보 압박’, ‘모금의 한계와 윤리적 딜레마’의 3개 하위 의미로 구성된다. 두 번째 구성요소인 ‘정치적·다층적·갈등적 구조에서 몸부림’에서는 ‘북한의 군사적 행동, 국제관계, 남/북 당국, 여론으로부터의 압박과 제한’ , ‘정부 그리고 단체들 간 갈등’, ‘단체 내부에서의 비판과 소외’ 등 단체 내·외부 환경으로부터 제기되는 대북 인도적 지원의 다양한 장애물에 관한 부분을 담고 있다. 세 번째 ‘대북지원 사업의 의미 부여와 해석’은 연구참여자가 대북지원 사업을 하면서 시간적으로 공간적으로 그리고 사업주체의 측면에서 이 사업의 특성을 이해하면서 장애물을 극복해나가는 경험을 담고 있다. 이는 ‘시간적 특성 규명 : 소통이 먼저, 대북지원 개척기’, ‘공간적 특성 규명 : 총 겨눈 분단 조국에서 동포를 도움’, ‘민간단체로서의 특성 규명 : 인도주의 우선’ 으로 구성된다. 세 번째 주제는 ‘경계, 그 넘어를 향해’로 연구참여자들이 사업수행에 있어서 북한 현지와 남한 사회에서 겪게 되는 도전과 그에 대한 대응의 과정에서 활동가로서 취해온 태도, 전략, 역할과 관련된 경험에 해당한다. 연구참여자들이 활동가로서 정체성을 형성하고 확장하는 경험은 ‘비판과 혼란스러움 속에 자기자리 찾기’, ‘대북지원 활동가의 대응전략 구성’, ‘대북지원 활동가의 역할 진화’로 구성된다. ‘비판과 혼란스러움 속에 자기자리 찾기’는 ‘두 체제로부터의 의심과 편견’, ‘정치노선, 안보관 그리고 역사의식의 점검’, ‘자발적 동력으로의 사명과 비전 견지’ 세 하위 의미로 나뉜다. 두 번째 구성요소인 ‘대북지원 활동가의 대응전략 구축’ 은 ‘자발적 동력으로의 사명과 비전 견지’, ‘학습과 정보습득을 통한 전문성 향상’, ‘머리와 가슴의 조화’ 등 세 개 파트로 구성된다. ‘대북지원 활동가의 역할 진화’는 대북 인도적 지원을 개척하는 활동가로서 역할을 구성하고 새로 만들어 가는 경험에 대한 부분으로 ‘낯선 이방인에서 남북 통역자로’, ‘혼자에서 다양한 협력자들과 네트워크 구축자로’, ‘소극적 행정가에서 책임있는 개척자로’의 3개 하위 의미로 이루어진다. 대북 인도적 지원을 담당하는 NGO 활동가의 실천 경험에 관하여 경험의 본질과 본질을 구조적으로 통합한 결과, 일반적 구조는 - 눈감을 줄 모르는 마음으로 ‘경계, 그 넘어(Between & Beyond)’를 향해 ― 를 중심 의미로 하여 진술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국내외 사회복지사업을 주로 하는 개발 NGO 활동가의 대북 인도적 지원 실천 경험에 대한 연구결과로부터 몇 가지 논의를 전개하였다. 첫째, 북한 관리와의 소통의 과정과 소통을 위한 연구참여자의 다양한 차원의 ‘자기확인‘ 요소를 토대로 소통의 아포리즘에 대한 검토와 적용, 다문화 사회복지실천 패러다임과의 연결을 제안하였다. 둘째, 정치적 맥락에서 이루어지는 대북지원에 있어서 실천가의 국가적, 사회적, 민족적, 정치적 차원에서의 자기이해와 현실에 기반한 효과적인 실천을 위해 사회복지학문의 북한학, 정치학, 철학, 윤리학, 역사학, 사회학 등 타 학문과의 소통과 융합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셋째, 대북 인도적 지원 실천 현장에서 경계를 넘는 연구참여자의 ‘인간 존중을 기반으로 한 실천적 태도’를 통해 사회복지실천의 ‘인간존중’이라는 ‘본질로의 환원’을 제기하면서 대북지원에 대한 관심 제고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북지원 사업을 수행하는 인력 및 조직적 차원, 대북 인도적 지원 정책에 대한 정책적·실천적 제언을 하였다. 첫째, 대북 인도적 지원 사업 실행에 있어서 활동가의 합리적인 계획과 집행을 요구하며, 활동가의 직무를 사업과정에 따라 지역조사(assessment) & 기획(planning)―실시(implementing)-모니터링(monitoring)―평가(evaluation)―기관행정 업무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둘째, 대북 인도적 지원 활동가에 대한 교육과 훈련, 조직의 지지와 수퍼비전의 제공과 사업 매뉴얼 개발을 제안하였다. 셋째, 정부와 NGO의 역할 이해를 바탕으로 한 신뢰구축을 촉구하였고 정부가 대북지원 NGO 역량 강화를 위해 전문성과 자율성을 확대하고, 활동가의 교육훈련을 지원하고 파트너십을 구축할 것을 제안하였다. 넷째, 대북 인도적 지원을 수행하는 단체 간, 그리고 남한 사회 다양한 집단을 비롯해 국제 사회와의 보다 협력적 연대를 요구하였다. 다섯째, 향후 대북지원은 보다 다양한 측면에서 포괄적으로 이루어질 가능성을 대비해 국제개발, 지역개발의 보다 장기적인 차원에서 북에 대한 구체적인 지원으로 나갈 것을 제안하였다.

      • 정신장애인의 회복모형 연구

        김미영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51695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이 회복에서 인식하는 삶의 질에 대해 살펴보고, 회복의 주요 요소들간의 관계분석을 통해 회복의 궁극적 지향인 삶의 질에 미치는 직간접적인 영향력과 인과경로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의 회복을 살펴보기 위해 회복에 관한 선행연구에서 공통적으로 강조하는 주요 요소를 포함하여 회복모형을 제시하였다. 회복의 요소 중 독립변인으로 증상 및 병식, 사회적 지지와 정신보건서비스 환경을 제시하였으며, 독립변인이 회복의 궁극적 지향인 삶의 질에 이르는 경로를 개인의 내적 변화로 설명되는 회복의 핵심요소인 임파워먼트 와 사회기능이 어떻게 매개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서울 및 경인지역 소재의 사회복귀시설을 3개월 이상 이용하고 있는 만 18세-60세 이하의 성인 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는 의도적 표 집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총 458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7.0과 AMOS 18.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 및 상관관계 분석,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하고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내용과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장애인의 회복모형에서 삶의 질은 약간 불만족 하는 정도로 나타났다. 또한 본 회복모형에서 독립변수(증상, 병식, 사회적 지지, 정신보건서비스 환경)와 매개변수 (임파워먼트 와 사회기능)는 삶의 질을 61.0%만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나 모형 내 회복 요소들이 삶의 질을 잘 설명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직접효과에 대한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정신장애인의 회복 요소 중 병식, 사회적 지지, 정신보건서비스 환경과 임파워먼트, 사회기능은 삶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증상과 사회적 지지는 임파워먼트 에, 증상, 병식, 그리고 사회적 지지는 사회기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가설과 달리 증상은 삶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매개변수를 통한 간접영향에 대한 검증결과, 증상과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심리내적 변화인 임파워먼트 가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증상과 병식,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사회기능이 유의하게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사회기능은 회복과정에서 병식이 삶의 질에 미치는 부적 영향을 억제하는 역할을 수행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에 따른 결론 및 주요 함의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장애인의 회복에서 궁극적 지향으로 설명되는 삶의 질 수준은 중간수준에 다소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이들이 질적인 삶을 영위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된다. 특히 일과 경제 영역의 만족도가 낮은 만큼 회복과정에서 구체적인 직업재활과 소득보장 방안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둘째, 임파워먼트 는 증상과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임파워먼트 는 연구 모형내의 다른 외 생 변수들에 의해 매우 높게 설명되는 것으로 나타나 회복 과정에서 임파워먼트 가 핵심 역할을 수행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정신장애인의 임파워먼트 를 촉진하기 위한 전문가 및 서비스의 변화가 요구된다. 셋째, 사회기능은 증상, 병식,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임파워먼트 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임으로써 역시 회복과정에서 주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자신감을 증진시키고 적응을 촉진할 수 있는 실질적인 사회기술훈련의 시행 및 사회기능 강화를 위한 지지체계의 확대와 연계가 요구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한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장애인의 회복을 연구함에 있어 기존의 전문가적 관점에 의한 결과 중심의 지표에서 탈피하여 소비자 관점의 회복모델을 반영함으로써 관점을 전환할 수 있도록 기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정신장애인을 능동적인 주체로 인식함과 동시에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전인적 인간으로의 긍정적 관점을 반영한다는 의의가 있다. 둘째, 정신장애인의 회복 관련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가설적 연구모형을 수립하고 회복의 주요 요소들의 인과관계를 검증함으로써 회복의 이론적 모형을 발달시키기 위한 실증적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회복 요소 중 궁극적 지향인 삶의 질을 중심으로 살펴봄으로써 정신장애인의 주관적 경험에 초점을 맞춤과 동시에 나아가 회복에 대한 합의된 정의의 부재로 인해 활성화되기 어려웠던 회복 연구의 범위를 확대할 수 있다는 의의가 있다. 셋째, 정신장애인의 회복에서 정신보건실천의 개입 초점이 되는 임파워먼트 와 사회기능의 매개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정신장애인의 역량을 강화하고 기능을 회복, 유지시키기 위한 서비스 마련을 촉구함과 동시에 실천방안에의 근거 자료를 제시할 수 있다. 넷째, 회복의 주요 요소들의 역할과 인과적 관계를 검증함으로써 정신보건제도의 개선 및 프로그램의 개발과 같은 정책적 지침의 근거를 제공할 수 있으며, 나아가 자원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써 중요하게 활용될 수 있다는 의의가 있다. Based on the recovery model in mental health consumers' perspective,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subjective quality of life among people with mental illness and to test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key components of recovery on the quality of life by exploring causal relationships among those components. The recovery model of consumers' perspective in mental health defines a person with mental illness as an active subject who takes responsibility for his/her life as well as mental illness and who makes efforts to regain social functioning for a satisfying life. In this sense, the recovery model is considered as a whole process. Professionals conceptualize recovery as an end, but the recovery model does not. Rather, the recovery model focuses on overall relations among key components in the recovery process and reflects on enabling factors that make an individual's subjective life process move toward recovery. However, previous studies on recovery among people with mental illness have adhered to outcome perspective or only have explored fragmented effects among components of recovery, which makes it difficult to understand structural and causal relations of recovery as a whole process. Further, previous studies of structural model on recovery also have limitations, as they emphasize only psychological factors while overlooking social functioning factors or vice versa. Moreover, it was difficult to assess how each component in recovery is associated with a satisfying life. Therefore, this study sets symptoms, insight, social support, mental health service environments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empowerment and social functioning as mediating variables of the key components of recovery and explores their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the quality of life among people with mental illness. Especially, this study explores whether empowerment and social functioning mediate the effects of independent variables on the quality of life. For the purpose the study, this study recruited 458 adults with mental illness, ranging 18-60 years old, who have used mental health services at least 3 months and beyond at social rehabilitation facilities in Seoul, Kyounggi province, and Incheon metropolitan areas. This study employed face-to-face survey method using purposive sampling method. Major finding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the quality of life among subjects of the study was somewhat unsatisfactory. Especially, the factor of food, clothing, and shelter was at the highest, while satisfaction in the work-economic factor was the lowest. Second, of the key components of recovery, insight, social support, mental health service environment, empowerment, and social functioning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rect effects on the quality of life whereas symptom did not. Symptom and social support had direct effects on empowerment, and symptom, insight, social support had direct effects on social functioning. Third, empowerment as internal change in recovery mediated the effects of symptom and social support on the quality of life. Social functioning as functional change in recovery also mediated the effects of insight and social support on the quality of life. Especially social functioning suppressed negative effects of insight on the quality of life in recovery.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makes following suggestions. First, the quality of life is often indicated as an ultimate end in the recovery. Yet the level of quality of life, particularly in the work-economic area, showed below average range, indicating that specific vocational rehabilitation and income security are needed in the recovery process among people with mental illness. Second, empowerment was identified 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mediator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symptom & social support and the quality of life. In particular, empowerment was very highly explained by other exogenous variables in this study model, indicating that empowerment can play a key role in the recovery process. Thus, changes in professionals and in mental health services are necessary to facilitate empowerment of persons with mental illness. Third, it was found that social functioning mediated the effects of symptom, insight, and social support on the quality of life. There is also a high correlation between social functioning and empowerment.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ways to strengthen social functions and social skills are necessary to facilitate adaptation and self-confidence among people with mental illness while practical strategies to expand support systems among them needs to be mad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social work implications, particularly in mental health services, were discussed.

      • 간질아동 부모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

        김노은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51695

        본 연구는 사회적 낙인을 지니고 있는 간질을 앓고 있는 아동의 가족들의 삶의 질이 저하될 수 있다는 것에 관심을 두고, 간질아동 부모의 삶의 질 정도를 살펴보고 그들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며 간질아동 부모가 가지고 있는 간질에 대한 사회적 낙인이 삶의 질에 매개효과를 갖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사회복지실천에서 가족 개입의 이론적 근거를 확보하고 실천적 함의를 도출해 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경기, 부산, 대구, 경북 소재 5개 대학병원의 소아간질클리닉에서 간질로 진단받고 치료중인 간질아동의 부모 26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도구로는 노유자(1988)의 삶의 질 측정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사회적 낙인의 조사는 Jacoby(1994)의 간질에 대한 사회적 낙인 측정도구를 간질아동 부모에 맞게 수정하여 지각된 낙인을 측정하였다. SPSS 14.0 programs와 Amos 7.0 programs를 사용하여 수집된 자료에 대한 기술적 통계 분석, Oneway ANOVA, t-test, 단순상관관계 분석,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질문에 기초한 연구의 종합적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본 연구에서 첫 번째 연구질문은 ‘간질아동 부모의 삶의 질 정도 및 사회적 낙인의 정도는 어떠한가?’였는데, 연구결과 간질아동 부모의 삶의 질 수준은 평균 3.180으로 최소 1.0 최대 5.0이 가능한 연구도구를 고려할 때 중간 정도로 나타났다. 둘째, 본 연구에서 두 번째 연구질문은 ‘간질아동 및 간질아동 부모의 특성, 간질아동의 질병 관련 특성, 간질아동 부모가 가지는 간질아동에 대한 사회적 낙인과 간질아동 부모의 삶의 질 수준 간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였는데, Oneway ANOVA 및 t-test 결과 특성변수 중 응답자의 성별, 응답자 나이, 종교, 종교 유무, 직업, 가족 월수입, 주거 형태, 아동의 나이, 경련의 형태, 경련의 빈도, 복용 항경련제 가지 수, 동반 장애, 아동의 교육기관, 복지기관 이용 여부, 질병에 대한 지식 여부, 그리고 받고 있는 또는 받고 싶은 도움의 종류 등에 따라 간질아동 부모의 삶의 질 총점 수준에 차이가 나타났다. 또 상관관계 분석 결과, 가족의 월수입, 아동의 나이, 경련의 빈도, 항경련제의 가지 수, 동반장애 유무, 여가시간, 지각된 낙인과 삶의 질 총점 수준 간에는 매우 높은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종교 유무, 고용 여부, 아동의 나이, 그리고 부모의 학력과 삶의 질 총점 수준 간에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는데, 가족의 월수입, 아동의 나이, 여가시간은 삶의 질 총점 수준과 순상관관계를 보였고, 경련의 빈도, 항경련제의 가지 수, 동반장애 유무, 지각된 낙인은 삶의 질 총점 수준과 역상관관계를 보였다. 또, 간질아동의 질병관련 특성 각각과 간질아동 부모의 사회적 낙인의 일대일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Oneway ANOVA 및 t-test를 시행한 결과 대부분의 간질아동의 질병관련 특성들이 가족의 지각된 낙인에 지대한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고, 경련의 빈도, 항경련제의 가지 수, 동반장애 유무 등 대부분의 질병관련 특성변수들에 따라서 부모의 지각된 낙인 수준에 큰 차이를 나타내어 이들 변수들이 부모의 지각된 낙인에 관계되는 중요한 변수들임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본 연구에서 세 번째 연구질문은 ‘간질아동의 질병 특성들과 간질아동 부모의 삶의 질의 관계에 있어 간질아동 부모가 가지는 사회적 낙인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였는데, 특성변수 각각이 부모의 삶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아동의 질병관련 변수들은 동시에 매개변수인 지각된 낙인을 통해서 부모의 삶의 질에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본 연구에서 네 번째 연구질문은 ‘각 특성변수들의 간질아동 부모의 삶의 질 수준에 대한 직접효과와 질병관련 특성이 사회적 낙인을 매개로 한 삶의 질에 대한 간접효과 및 총인과효과는 어떠한가?’였는데, Amos 7.0 programs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간질아동 부모의 삶의 질에 직접효과가 가장 큰 것은 지각된 낙인, 월수입, 종교 유무의 순이었다. 또 간질아동의 질병관련 변수들인 동반장애 유무 및 경련의 빈도는 간접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접효과와 간접효과를 합한 총인과효과는 동반장애 유무, 지각된 낙인, 고용여부, 월수입 순으로 크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하여 본 연구가 갖는 함의는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의 이론적 함의는 삶의 질 개념을 간질아동 부모에 적용해 봄으로써 가족연구의 범위를 확장하는데 기여하였고, 삶의 질에 있어서 사회적 낙인의 매개효과를 제시함으로써 사회적 낙인이 존재하는 질환의 가족연구 및 삶의 질 연구에 있어서 사회적 낙인의 개념 및 그 중요성을 새롭게 조명하였으며, 지각된 낙인이 부모의 삶의 질에 강력하고 유의한 매개변수로 작용함을 밝혔다는 것이다. 2. 본 연구의 임상적 함의는 본 연구에서 간질아동 부모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종교 유무, 가족의 월수입, 고용 여부, 간질아동의 동반장애 유무, 여가 시간, 그리고 지각된 낙인 등이며, 지각된 낙인이 간질아동 부모의 삶의 질에 대하여 매개효과를 가짐을 밝힘으로써 가족개입의 대상 선정에 기여하였다는 점이다. 또 간질아동 부모들이 간질이라는 질병에 대하여 자세히 알지 못하고 있으며 간질에 대한 지식?정보를 얻고 싶어 하는 욕구가 매우 높다는 것을 밝혔다. 3. 본 연구의 정책적 함의는 본 연구에서 고용 여부와 가족 월수입이 부모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임을 확인하였듯이, 아동의 간질이 가족에게 경제적 부담을 줌으로써 결과적으로 경제적 요인이 가족의 간질에 대한 대처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하여 부모의 지각된 사회적 낙인이 부모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임을 밝히고, 욕구 조사에서 간질에 대한 사회적 홍보를 원하는 부모가 상당히 높은 비율임을 알게 되었다. 본 연구를 기초로 하여 향후 간질아동 부모의 삶의 질에 관한 종단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하며, 부모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 및 그 효과성에 관한 연구, 그리고 간질아동 가족과 정상아동 가족, 기타 다른 만성질환아 가족들의 삶의 질 및 심리사회적 문제들에 관한 비교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Epilepsy, a typical chronic disease, may cause high level of psychosocial difficulties for all family members, including stigmatization, stress, marital problems, poor self esteem and restriction of social activities, and therefore worsen their quality of life. The present study with 260 parents of epileptic children (50 fathers and 210 mothers) focused on how children with epilepsy affect their parent's quality of life, and on the relationship of parent's perceived stigma against epilepsy and their quality of life. To obtain data, the parent's quality of life survey with 47 questionnaires and modified Jacoby's social stigma scales were us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14.0 programs using Oneway ANOVA, T-test, Pearson Correlation, and with and Amos 7.0 programs using SEM analysis. The results of analysis showed relatively fair level of parents' quality of life, which was 3.180 in mean (minimum 1, maximum 5). The perceived stigma against epilepsy was found in 23.8%. Oneway ANOVA showed the differences of the parents' quality of life level according to the age, monthly income, the existence of religion, the frequency of the seizure, the number of antiepileptic drugs, the combined disabilities, the educational institution of epileptic children, and the kind of help which they want to accept. SEM analysis on the quality of life level of parents showed that all variables (especially having religion, the monthly income, employment state, age of child, the leisure time, the perceived stigma level against epilepsy, and seizure frequency) directly affect the quality of life level of parents and that disease-related variables also affect the quality of life level of parents indirectly through the mediating factor (the perceived stigma), where the indirect effect is large with the existence of combined disabilities. The total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level of parents is large with the existence of combined disabilities, the perceived stigma level, the leisure time, having religion, and the monthly income.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many factors including parents' perceived stigma may affect the quality of life of parents with epileptic children directly, and that some disease-related factors may affect indirectly through a mediating factor, the perceived stigma. In the view of social work practice, we should develop programs which could offer the information and knowledge about epilepsy, and support the family both economically and psychosocially to relieve the social stigma of the family members.

      • 일제시대 신문에 나타난 정신질환자 사회표상

        이방현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51695

        ‘정신질환자는 공격적이고 위험한 존재로 분리배제 되어야 한다’라는 사회표상은 한국인의 삶 속에 습속으로 자리 잡고 있다고 여겨질 만큼 이들은 사회의 각계각층에서 차별을 받고 있다. 한국인들의 이와 같은 부정적 인식과 태도는 ‘사회구조적으로 형성된 것이다’라는 시각을 갖고, 한국에서 처음으로 국가차원의 정신질환자 격리시설이 설치되었던 것으로 보이는 일제시대의 정신질환자 사회표상을 신문을 통해서 찾고자 하였다. 어떠한 현상이 특정의 사회표상으로 구성되어지기 위해서는 사회 속에서 반복적으로 회자되어야 하는 전제가 요구되어진다. 신문은 어떠한 현상에 대해 공중의 관심을 집중케 하고 지속적인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일반시민이 ‘무엇을 어떻게 생각할 것인가’를 규정하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더욱이 식민지 시기 신문은 공적지식을 생산해 내어 한국인들의 자아형성과 세계관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되어지고 있다. 이에 일제시대 정신질환자 사회표상을 살펴보기 위해서 당시 발간된 신문 중 한국인에게 가장 많은 영향을 미쳤다고 보고되어진《매일신보》,《조선일보》,《동아일보》의 정신질환(자) 기사 총 1천 183건을 내용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신문의 의제설정이론을 내용분석의 기본틀로 삼았으며, 분석틀 내용은 ‘현저성전이’ 개념과 함께 정신질환자 사회표상에 관한 선행연구결과와《매일신보》를 사전조사(pilot study)한 결과를 근거로 구성되어졌다. 그리고 내용분석틀의 내용은 최종적으로 기사유형(행위기사, 특성기사, 관리방안기사), 기사형태(기사시작단수, 기사길이, 제목할애단수, 제목글자수), 취재원, 기사의 논조, 기사에 나타난 정신질환자의 인구학적 조건 등으로 구성되어졌다. 기사분석은 다음과 같은 절차를 따랐다. 우선 기사유형을 분류하였다. 둘째, ‘현저성 전이’개념에 의거하여 기사빈도, 기사형태, 취재원에 따라 독자들에게 현저하게 전달된 기사내용을 확인하고 이를 사회표상으로 보았다. 셋째, 기사의 논조를 확인함으로써 형성되어진 사회표상의 성격을 고려하였다. 《매일신보》기사는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는 마이크로필름을 활용하여 수집되었다. 그리고《조선일보》와《동아일보》기사수집은 각사(社)가 보관하고 있는 기사 data base의 검색어 서비스가 이용되었다. 기사검색어로는 ① 일제시대의 정신보건관련 선행연구를 통해 알게 된 시대용어 ② 정신질환자에 대한 현대 한국인들의 인식·태도 조사연구에서 나왔던 용어 그리고 ③ 신문에 나타난 정신질환자의 표상 혹은 개념 등을 조사하였던 선행연구 용어들이 활용되었다. 연구 결과에 대한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해 일련의 기준조건을 충족한 2명의 코더들과 함께 분석을 진행하였다. 또한 코더에게 코드북을 제공하고 반복적인 훈련과정을 거쳤다. 이후 신뢰도 계수측정의 결과 ‘코헨의 카파(Cohen's Kappa)’ 값 .70이었다. 기사빈도면에서 독자들에게 현저히 전달되었을 정신질환자 사회표상은 정신질환자의 직접 행위를 기사화한 ‘행위기사’에서 찾을 수 있었다. 정신질환자 ‘행위기사’는 총 1천 7건(85.1%)으로, 대부분이 사건사고 기사였던 관계로 행위주체자인 정신질환자의 성별연령들이 자세히 기재되어 있었고, 경찰취재원이 주로 사용되었다. ‘행위기사’에 나타난 정신질환자 개별행위는 기타를 제외하고 총 20개의 종류가 있었으며, 빈도순위는 엉뚱, 자살, 친족살해, 충동, 도망 순이었다. 이를 행위결과에 따라 ‘이해불가’, ‘폭력’, ‘죽음’, ‘이탈’이라는 4가지 범주로 나누었을 경우, 그 순위는 ’죽음‘ 510건, ’이해불가‘ 453건, ’폭력‘ 411건, ’이탈‘ 223건으로 집계되었다. 정신질환자 행위기사 중 기사빈도와 기사형태면에서 모두 강조되었던 사회표상은 ‘타인을 향한 공격성’을 지닌 ‘죽음’과 ‘폭력’에 대한 것들이었다. 정신질환자 ‘행위기사’에서 형성하였던 또 다른 사회표상은 ‘이해불가’ 범주에 해당하는 것들로 ‘엉뚱’하고 ‘충동’적인 모습이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형성되었던 사회표상은 ‘이탈’범주에서의 ‘도망’과 ‘배회’였다. 이와 같은 행위기사는 결국 ‘타인을 죽음에 이르게 하는 혹은 죽음에 이르게 할 수 있는 공격적이고 폭력적인 행동을 하는 자가 예측불가능한 행동을 하면서 돌아다님’이라는 사회표상을 형성하고 있었다고 보인다. 정신질환자 ’행위기사‘는 약 90%정도가 부정적으로 작성되어졌다. 즉, 정신질환자의 엉뚱하고 끔찍한 행위를 드라마틱하게 기술함으로써 독자로 하여금 마치 현장에서 관련 행위를 실제 관찰하는 것 같은 경험을 제공하고 있었다(부정이미지화). 그리고 이에 대하여 위험한 행위 혹은 참혹한 행위 등과 같은 부정적인 판단을 내림으로써 신문과 동일한 인식을 유도하고 있었다(부정판단). 그러나 이들의 행위를 사회문제화 한 기사는 드물었다. 기사형태면에서 정신질환자 사회표상을 형성하고 있던 기사는 정신질환자 ‘특성기사’였다. 정신질환(자)에게 일반인 혹은 다른 병과 구별되는 특성을 부과하고 있는 ‘특성기사’는 총 71건(6.0%)이었고, 1920년대 중반부터 작성되어지기 시작하였다. 이 기사는 주로 정신질환자의 ‘발병원인’과 이들의 ‘증상’을 독자들에게 소개하고 있었다. 특성기사에서 활용된 주된 취재원은 ‘정신보건종사자’와 ‘정부당국’이었으며, 취재원에 따라 강조하여 전달하였던 내용이 달랐다. 정신보건종사자는 정신질환 발병원인을, 정부당국은 정신질환의 증상을 독자들에게 전달하고 있었다. 그리고 전체 특성기사 안에서의 빈도, 기사형태의 현저성 그리고 특성기사의 내용 등을 총체적으로 종합해 보면, 일제시대 독자들에게 가장 적극적으로 전달되었을 정신질환(자) 특성은 ‘정부당국’을 취재원으로 한 기사내용, 즉 ‘증상’이었다. 일제시기 정신질환의 원인은 크게 두 가지, 즉 ‘선천적인 것’과 ‘후천적인 것’으로 압축되었다. 선천적인 것은 ‘유전’에 의한 것으로 그리고 후천적인 것은 ‘날씨 및 계절’, ‘사회변화’, ‘신체질환’과 같은 ‘환경’에 의한 것으로 보았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당시 신문에서 소개한 정신질환(자) ‘증상’ 또한 크게 두 가지로 정리되어진다. 그 첫 번째는 초기 정신병 발병여부를 감별해내는 방법이다. 이를 위해 갖추어야 할 지식은 1) 정신병자는 병인식이 없다는 것과 그로 인해 2) 진찰을 거부하고 복약을 거부하는 등의 행동을 하는 ‘거절증’이라는 것이 생겨난다는 것 그리고 3) 초기 정신병 증상 관련한 것이다. 두 번째는 정신병에 걸린 자들의 증상 중 위험성 여부, 특히 폭력성을 감별해내는 것이었다. 신문은 다양한 증상들을 소개하면서 그들 간의 차이를 드러내는 중에 망상으로 인한 ‘광폭성’을 강조하고 있었다. 그 결과 특성기사가 형성하고 있던 정신질환자 사회표상은 ‘유전적 소인 혹은 환경의 영향으로 발병을 하게 되면 병인식이 없어 치료에 거부적이며 망상과 흥분 등으로 인해 광폭한 성향을 지니게 된다’가 된다. 이러한 결과는 정신질환자 ‘관리방안기사’와 유기적인 연관성을 맺고 있었다. 정신질환(자) 특성기사는 행위기사보다는 중립적으로 작성한 경우가 많았지만 그래도 여전히 기사의 71.2%가 부정적인 논조로 작성되어졌다. 그리고 기사를 부정적으로 작성하는 방식이 행위기사와 차이가 있었다. 특성기사에서는 정신질환(자)의 존재에 대해 부정판단을 내리고, 이것이 사회문제임을 명확히 기술하고 있었다. 특히 이와 같은 경향성은 정부당국을 취재원으로 둔 ‘증상’기사에서 많이 발견되어졌다. ‘관리방안기사’는 정신질환(자)를 어떻게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한지에 대한 소개 혹은 주장 등이 기재된 기사로 총 52건(4.4%)이 분석되었다. 이는 빈도측면에서는 ‘행위기사’보다, 기사형태면에서는 ‘특성기사’보다 현저성이 떨어지고 있었다. 그러나 ‘관리방안기사’ 자체가 당시 정신질환자 처우와 관련하여 중요한 사료로써의 가치를 지니고 있었으며, ‘행위기사’, ‘특성기사’와 내용적으로 매우 유기적인 관련성을 맺고 있어 사회표상 형성에 기여하고 있었다. 일제는 ‘정신위생학적 관점’에 근거하여 전 조선인의 정신건강을 위한 처우방침을 강구하였으며, 그 처우방침의 범위는 유아기부터 성인에 이르기까지의 인생주기 범위를 포괄하고 있었다. 그리고 정신질환에 걸린 자에 대한 주된 관리방안은 격리감금이었다. 당시 주장된 관리방안 내용은 다음과 같이 정리되어진다. 첫째, 관리방안의 모든 기사가 정신질환자를 근대의료진으로 연계하는 것과 정신질환자에 대한 우생학적 접근을 긍정적으로 여기고 있었다. 둘째, 취재원별로 강조하고 주장하는 관리방안 내용이 달랐다. ‘근대보건종사자’는 정신질환의 발생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것에 많은 주안점을 두고 있어, 주로 우생학적 접근을 주장하였으며 신규치료법을 제시하고 있었다. 반면 ‘정부당국’은 수용을 위한 제반시설마련과 법제도 마련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셋째, 일제시대 논의되었던 정신질환(자) 관리방안 중에서 가장 많이 거론되었던 것은 정신질환(자)를 수용감금하기 위한 법제도와 제반시설 마련이었다. 각 관리방안의 내용에 따라 정신질환자 가족, 정신과의와 정신병원 그리고 국가가 맡은 역할 책임이 달랐다. 우선 가족은 자녀를 포함한 가족성원이 정신병에 걸린 것인지에 대하여 명확히 감별을 해내야 하는 일차적 책임을 지니고 있었다. 두 번째 역할책임은 가족성원이 정신병에 걸렸다고 판단되면 최대한 빨리 ‘정신과의(精神科醫)’에게 데려가 정확한 ‘진단’을 받도록 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세 번째 역할은 가족성원이 위험하지 않은 정신병을 앓고 있는 경우, 이를 집에서 간호하는 것이었다. 신문에 나타난 정신과의(精神科醫) 역할은 분명하지 않으나, 기사내용상 ‘치료’보다 ‘진단’내리는 것에 더 많은 책임을 부여받은 것으로 보인다. 이와는 반대로 정신병원의 역할은 위험한 정신질환자를 수용감금하는 것이라고 신문에 명확히 제시되고 있었다. 그리고 국가의 역할은 이들을 합법적으로 수용?감금할 법적 기반을 마련하고, 이들을 수용할 제반 시설을 마련하는 것이었다. 정신질환(자) 관리방안 기사에서는 네 가지 주목할 사실을 발견되어졌다. 첫째, 초기 관리방안 기사에서는 정신질환자 관리를 위한 법제정의 필요성만 간단히 제기되었다. 그러나 시간의 경과에 따라 점차적으로 조선총독부는 강력한 정신질환자 수용법을 제정하고자 노력하고 있었다. 둘째, 제정하고자 하는 법의 명칭이 변화함에 따라 그 법의 대상인 정신질환자들은 점차적으로 위험스러운 존재로 변화되어갔다. 셋째, 당시 정신병자들을 처우를 살펴볼 때 일제가 이들을 범죄자로 간주하고 있음을 알게 된다. 넷째, 당시 ‘정신병원’은 정신질환자를 수용?감금하여 사회방위를 지키는 일선 기관이었다. 이와 같은 정신질환자 관리방안 기사로부터 형성된 정신질환자 사회표상은 ‘광폭한 성질의 자가 배회하고 다녀 사회보안상 문제가 발생함으로 국가의 관리 하에 수용?감금되어야 한다’가 되었다. 일제시대 신문에 나타난 이상의 사회표상들은 일제가 정신질환자를 수용?감금하기 위한 정당성을 획득해 나가는데 유기적인 관계를 맺고 있었다. 즉, 일제시대 신문은 정신질환자의 이해할 수 없는 행동과 타인을 향한 공격적 행동 등을 자주 기사화함으로써 이들이 일반인과 다른 차이점이 있다는 것을 알려주고 있었다(labeling). 그리고 정신질환자의 차이가 나는 행동 중에서도 타인을 향한 공격성은 이들의 특성이라고 강조함으로써, 이들이 매우 위험스러운 존재라는 인식을 독자들에게 심어주고 있었다(stereotyping). 이후 신문은 정신질환자의 지역사회에서의 생활을 사회문제화 하였으며, 이들을 가족으로부터 분리하여(exclusion) 수용시설에 입소시킴으로써 사회로부터 배제시켜나가기 위한 끊임없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었다. 그리고 정신질환자 사회표상 형성과정에서는 ‘위험성’이 논의의 중심에 놓여있었으며, ‘위험성’의 정도에 따라 이들을 감시하고 관리하는 역할 및 책임을 가족과 정신병의(精神病醫)가 있는 정신병원에 부여하였다. 이 연구의 결론을 내리기 이전에 신문에 나타난 정신질환자 사회표상 형성과정 중 점검되어야 할 부분이 있다. 그 첫 번째는 사회문제발달단계 이론에서 주장하였던 분리배제의 과정과 일제시대 정신질환자의 분리배제의 전개과정에는 순서상의 불일치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Jeffrey et al.(1975)의 주장에 따르면 어떠한 현상이 문제라는 것에 대한 높은 동의가 사회적으로 이루어진 후 이를 해결하기 위해 법과 제도가 마련되어지며, 공공기관이 설립되어진다. 그러나 식민지 시기에는 신문들이 정신질환자를 분리?배제할 필요성을 논하기 이전에 이미 일제에 의해 이들을 분리?배제할 법과 제도를 마련해놓고 있었으며, 이들을 수용할 시설을 구비해 놓고 있었다. 둘째, 신문이 ‘위험’이라는 부정적 표상을 정신질환자에게 점차 강도 높게 연결하는 배경에서 이들을 수용?감금할 법을 제정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포착되어지며, 동시에 일제가 전시체제로 돌입되어 시국이 어수선할 때였다는 점이다. 이러한 측면은 정신질환자 사회표상이 ‘인식이 태도를 유발한다’는 일반적 도식과는 달리 ‘태도를 이끌어내기 위해 인식을 수정하였다’라는 도식에 의해 형성되었다고 보아도 무방한 상황이다. 즉, 정신질환자는 위험하기 때문에 수용시설에 감금되어야 하는 존재가 아니라, 국가의 필요에 의해 위험한 존재로 인식되어지는 과정을 신문을 통해 밟아나갔다는 것이다. 이는 이 연구의 출발점, 즉 ‘정신질환자는 공격적이고 위험한 존재로 분리?배제되어야 한다’는 사회표상의 진실성 대한 문제제기를 해결할 연구지점을 안내해주고 있다. 일제시대 발간된 신문을 통해 정신질환자 사회표상을 확인한 이 연구의 결과로부터 다음과 같은 함의를 찾아볼 수 있다. 첫째, 정신질환자 낙인연구의 범위를 개인적 수준에서 구조적 수준으로 확대하였다는 것이며, 둘째, 정신질환자 사회표상 연구의 시점을 일제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감으로써 현재 정신질환자 사회표상뿐 아니라 그 형성배경에 대한 보다 많은 논의를 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게 되었다. 셋째, 이 연구의 방법론은 양적 내용분석이었다. 그러나 내용분석틀에는《매일신보》의 기사텍스트를 사전에 조사한 결과가 포함되어져 있어 기존 선행연구의 단편적이고 서구적인 정신질환자 사회표상 조사를 보완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였다. 넷째, 이 연구가 정신질환자 사회표상을 이해하기 위해 신문을 내용분석하였으나, 그 내용을 보다 깊이 있게 다루기 위해서는 일제시대를 살펴볼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측면, 즉 일제시대 정신질환자에 대한 사회표상을 연구하였다는 점에서 이 연구는 ‘대상중심의 역사연구’를 실행하였다고도 볼 수 있다. 이는 결과적으로 사회복지계의 연구의 다양화를 창출하였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started from a question raised about the authenticity of the social representation in Koreans that people with mental disorders are dangerous beings worth being excluded and separated. As a pre-step to deconstruct the representation, a contents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social representati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hen the first facilities to confine those with mental disorders at the national level in Korea by means of examining the newspapers of the time. The contents analysis was based upon Agenda Setting Theory, which includes report types, report forms, report sources, report directions and demographical conditions of the mentally disordered that appeared in the newspapers. The materials examined were total 1,183 articles on the mentally disordered in the newspapers publish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such as Maeil Shinbo, The Daily Chosun and the Donga Ilbo. The result of its reliability measurement reveals 70 of Cohen's Kappa. In terms of the frequency of reports, the social representation that must have been conspicuously delivered to readership could be found in 'the reports on behaviors' that featured direct behaviors of the mentally disordered. And the identified social representation is 'Someone with aggressive and violent behaviors who causes deaths or can cause it on others is on the loose, showing unpredictable behaviors.' In terms of report forms, the reports that had formed the social representation of the mentally disordered are those about 'characteristics' of the mentally disordered. And the social representation in the reports addressing the characteristics is 'When the person with a mental disorder is taken ill due to hereditary dispositions or environmental influence, they refuse medical treatment without any awareness of their disorders and tend to be violent owing to their delusions and excitement. The social representation found in 'reports on control directions' is 'Since people with violent dispositions are wandering about causing social security concerns, they should be taken in and detained.' The above social representations found in the newspapers from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re closely related to the way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justified themselves for detention and imprisonment. That is, by frequently featuring ununderstandable behaviors and aggressive behaviors of the mentally disordered, the newspapers furing the time labelled them as different from 'normal' people. Besides, by emphasizing that aggression toward the others is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ntally disordered, the press stereotyped them as very dangerous and instilled the idea into the readers. Later, the media made a social issue of the mentally disordered living in the same community and made consonant efforts to exclude them from their families and commit them to facilities. Also, 'danger' was at the center of the discussion on the mentally disordered in the process of the social representation being formed. Thus, they conferred the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watching and controlling the mentally disordered according to the levels of 'danger' upon asylums with specialist psychiatrists. Consequently,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following implications from the result of the study on social representations by examining the newspapers from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First, the study expanded the scope of study on stigmas on the mentally disordered from personal levels up to the structural ones. Second, the study offers materials for further and deeper study on the backgrounds of social representation formation as well as the current social representations of the mentally disordered by dating back to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ird, the study also came up with the ways to complement the fragmentary and Western society centered social representation study on the mentally disordered. Fourth, the study contributed to the diversity of study in the Korean social welfare field by conducting 'subject-centered historical study.'

      • 청소년 자아개념 변화와 지역효과

        강현주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51695

        This study aims to learn macro-level implications for healthy development and adaptation of adolescents by identifying the relation between self-concept, the adolescents’ psychological mechanism, and area/community environment(define as "area" in this study). It also intends to connect the micro-level self-concept and macro-level area by empirically identifying the effect which area environment has on self-concept extremely personal and psychological area. This study has the implication that it calls for a new spotlight on area environment as another channel for welfare intervention by demonstrating the area’s effect, which has so far had full of theoretical discussions but yet remained as void of more concrete and empirical aspects. Self-concept has an significant meaning in an individual’s life as it is the subject which has long received a lot of attention from various study fields. Self-concept a subjective and objective evaluation or awareness made for oneself, is an important psychological mechanism which interprets experience in the center of all senses and decides actions. This self-concept has more importance especially in adolescence when self-identity and self-concept are established and adolescents go through physical and mental changes and often face in conflict-and-choice situations. Besides, the self-concept in this period affects the adult period; thus, its importance is even more emphasized. That is why a lot of previous studies tried to find out the factors which build positive self-concept. Among factors affecting self-concept, family factor has been dealt with importance and the parents-children relationship has been in the center of studies. Furthermore, relationships with friends or teachers, school factor, and community factor are considered and it has been reported that one has a different self-identity depending on the interaction with these different factors. This study focuses on the community environment among various environmental systems which have been examined by previous studies and tries to verify the area factor effect on self-concep. The reasons why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cept and area environment is focused are summarized as below. First, self-concept is not inherent but is built in the interaction with external environment; thus, possibility of changes is an important attribute of self-concept. Therefore, we need to observe its relationship to social environment with care and, in particular, we should consider the fact that social identity and social categorization, which are developed through residential community in adolescence-when independently expending relationships with external environment-, are essential contexts in psycho-social development. Second, given the relationship structure implied in individuals and environmental systems, it is only natural to examine the area system. Although parents or family factors are undeniably important environment in building self-concept, its effect also is not in a vacuum condition but is included in the circle of influence of area environment; thus, it should be seen as being indirectly and directly affected by macro- environmental system. Hence, we need to look into the real influence of area environment. Third, the independent influence which area’s characteristics have on the individuals’ behavior and the quality of life is called ‘community effect(area effect)’. The studies on area effect originated from discovery of discrepancy in juvenile delinquency rates between different communities mainly focus on the relation between negative area factor and negative area effect. Area exist so positive effects resulting from positive factors can also be expected. It is believed a worthwhile to research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cept, as a developmental outcome, and positive area factors by shifting the perspective. Based on the above mentioned necessities of studies, this study tries to find out if a area has its unique context effect on adolescents’ self-concept even when other adjacent environmental factors are controlled and what kind of factors cause discrepancy between areas. To do this, a 2-stage, multi-level analysis model is designed and, based on ecological system theory; individuals, adjacent environment and macro environment factor are all taken into account. Korean Youth Panel Data are used and a horizontal, individual adolescent-community, 2-stage, and multi-level model is devised with subjects of 11thgradestudentsnationwide. After that, with the subjects of adolescents in Seoul community only, a 4-year-repetitive measurement of individuals, individual-area longitudinal 3-stage, multi-level developmental model is designed to study the area effect on the ‘changes’ of self-concept of adolescents from 9thgraders to 12thgrader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In horizontal 2-staged model, the area effect on the self-concept of national adolescents in the 11thgrade is confirmed to be significant. Designing a multi-level model in consideration with area environment be sides individuals, family, an adjacent environment factoris proven to be adequate. As to individual factors, gender, academic achievement are turned out to be important influential factors and parents attachment, teacher attachment, friend attachment, and even community attachment are also shown as significant influential factors. Friend attachment, in particular, is confirmed as a powerful factor in building adolescents’ self-concept and what is more striking and interesting is the attachment with local community has a positive effect on self-concept. Among the area factors, the rate of single parent and crime rate are proven to be significant even when all the other individual factors are controlled. The lower the crime rate of the area is, the more positive self-concept the adolescents have; unlike our common anticipation, the higher the single parent rate of the area is, the better self-concept the adolescents have. In the longitudinal 3-staged, multi-level developmental model, the self-concept of adolescents in Seoul area generally grows as time goes by (from 9thgrade to12thgrade) while the influence of time variable are different by individuals. In other words, age-effect on self-concept is empirically proved. As to variables in individual level, gender and academic achievement show significant effect just like the horizontal 2-staged model. In terms of area variables, the higher the educational background of mother is, the lower the crime rate is, the higher the volunteering participation rate is, and the more the cultural welfare facilities are, the better the self-concept of adolescents in the respective area becomes. The positive effects which resource variables such as volunteering rate or cultural welfare facilities’ rate have on self-concept development have especially significant meanings in terms of social-welfare aspects. On the other hand, the area with higher rate of single parent reveals higher self-concept, which is the same result shown in the horizontal 2-staged model. It is suggested that the vulnerability of area environment and relative comparison psychology about family types act to bring out this result. More further study shall be needed. Cognitive area factor is no less important than the structural factor of area and the variable of attachment with local community is proven to be a powerful influential factor. Areas should make an effort to build a strong attachment within area and enhance care and love for local community. Lastly, by integrating all of these results, this paper discusses the implications in theory, policy and practice. 본 연구는 청소년의 심리체계인 자아개념과 지역환경과의 관계를 규명하여 청소년의 건강한 발달과 적응을 위한 거시차원의 함의를 얻고자 하였다. 지극히 개인적이고 심리적인 영역인 자아개념에 대한 지역환경의 영향력을 실증적으로 밝혀내어 미시차원(micro-level)의 자아개념과 거시차원(macro-level)의 지역을 연결시키고자 하였다. 그동안 이론적 논의에만 그칠 뿐 구체적, 경험적 차원에서 공백으로 남아있었던 지역의 영향력을 확인한 것으로 복지적 개입을 위한 또 하나의 통로로서 지역환경에 대한 새로운 조명을 촉구했다는 의의를 갖는다. 자아개념은 여러 학문영역에서 오랜 주목을 받아온 주제인 만큼 한 개인의 삶에 있어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자아개념은 자기 자신에 대해 내리는 주관적, 객관적 평가 혹은 인식으로 모든 지각의 중심에서 경험을 해석하고 행동을 결정하는 중요한 심리기제이다. 이러한 자아개념은 청소년기에 더욱 중요한 의미를 갖는데, 자아정체감과 자아개념이 수립되는 시기이며 신체, 정신적 변화는 물론 다양한 갈등과 선택의 상황에 놓이는 경우가 많고, 이때의 자아개념이 성인기에 까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그 중요성이 더욱 강조된다. 많은 선행연구들이 긍정적 자아개념 형성을 위한 요인들을 찾아내고자 했던 것도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 자아개념에 대한 영향요인은 주로 가정적 요인이 중요하게 다루어져 왔으며, 특히 부모-자녀 관계가 그 중심에 있어왔다. 나아가 친구나 교사와의 관계, 학교요인, 지역요인 등이 고려되었으며, 이들과의 상호작용이 어떠하냐에 따라 자기 스스로에 대한 정의가 달라지는 것으로 보고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검토되어 왔던 다양한 환경체계 중 지역환경에 주목하고 자아개념에 미치는 지역요인의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자아개념과 지역환경의 관계를 초점화하려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개념은 선천적인 것이 아니라 외부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형성되는 것으로 변화가능성을 중요한 속성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사회적 환경과의 관계를 주의깊게 관찰할 필요가 있고, 특히 독립적으로 외부환경과의 관계를 확장해가는 청소년기에 거주지역을 통해 형성되는 사회적 정체성, 사회적 범주화는 그들의 심리사회적 발달에 중요한 맥락이 된다는 사실을 고려해야 한다. 둘째, 개인과 환경체계의 내포된 관계구조를 고려할 때 지역체계에 대한 검토는 당연한 것이다. 부모나 가족요인이 자아개념 형성의 중요한 환경이지만, 이 역시 지역환경의 영향권 안에 내포되어 있기 때문에 거시환경체계의 직, 간접적인 영향을 받는다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지역환경에 대한 실제적인 영향력을 추출해 볼 필요가 있다. 세째, 기존의 지역효과(area effect) 연구는 주로 부정적 지역요인과 부정적 지역효과의 관계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그러나 지역은 다양한 요소들이 존재하는 복합적인 장(field)으로서 긍정적인 요소들을 통한 긍정적인 효과도 예상될 수 있다. 관점의 전환을 통해 발달산물로서의 자아개념과 지역의 긍정적 요소들의 관계를 탐구해 볼 가치가 있다. 이상과 같은 연구의 필요성을 근거로 개인과 인접환경 요인을 통제하고도 청소년의 자아개념에 대한 지역의 고유한 맥락효과가 나타나는지, 지역간 차이를 일으키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단계의 다수준 분석모형을 설계하였으며 생태체계이론을 근거로 개인과 인접환경 및 거시환경요인을 모두 고려하였다. 한국 청소년패널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전국 고등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청소년 개인-지역의 횡단 2수준 다층모형을 설정하였고 이어서 서울지역 청소년만을 대상으로 개인의 4년간의 반복측정치-개인-지역의 종단 3수준 다층성장모형을 설정하여 중3에서 고3까지 자아개념의 ‘변화’ 속에서 지역효과를 검토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횡단 2수준 모형에서 전국 고등학교 2학년 청소년들의 자아개념에 대한 지역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개인과 가족 등 인접환경 요인 외에 지역환경이 고려된 다수준 모형의 설정이 타당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개인요인으로는 성별과 학업성취도가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으며, 부모애착, 교사애착, 친구애착, 나아가 지역사회애착까지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특히 친구애착은 청소년의 자아개념 형성에 강력한 요인으로 확인되었고, 더욱 의미있는 것은 지역사회에 대한 애착이 자아개념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나타낸다는 사실이었다. 개인요인을 모두 통제한 상태에서도 유의한 것으로 확인된 지역요인으로 한부모비율, 범죄발생율을 들 수 있다. 범죄발생율이 낮은 지역일수록 청소년들의 자아개념은 긍정적으로 나타났고, 예상과는 달리 한부모비율이 높은 지역 청소년의 자아개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종단 3수준 다층성장모형에서는 서울지역 청소년의 자아개념은 시간의 흐름(중3에서 고3까지)에 따라 대체로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시간변수의 영향력은 개인에 따라 다르게 작용하였다. 즉, 자아개념에 대한 연령효과가 실증적으로 확인되었다고 말할 수 있다. 개인수준의 변수로는 횡단 2수준 모형에서와 동일하게 성별과 학업성취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 지역변수로는 어머니의 학력이 높을수록, 범죄발생율은 낮을수록, 자원봉사참여율이 높고, 문화복지시설이 많을수록 그 지역 청소년의 자아개념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원봉사참여율이나 문화복지시설과 같은 자원변수의 자아개념 발달에 대한 긍정적인 효과는 사회복지적 차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한편 한부모비율이 높은 지역일수록 자아개념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 결과는 횡단 2수준 모형과 동일한 결과이다. 지역환경의 취약성과 개인의 가족유형에 대한 상대적 비교심리가 작용한 결과일 것이라는 해석을 제시하였으나 추후연구를 통한 검토가 필요하다. 지역의 구조적 요인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인지적 지역요인인데 지역사회애착 변수가 강력한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지역유대를 강화하고 지역에 대한 애착을 높이기 위한 공동체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종합하여 이론적, 정책적, 실천적 함의를 논하였다.

      • 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성과

        김지혜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51695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CSR) has become an important issue of today's corporate management both in the business and the academia. Due to the pluralism in social welfare policy and practice, not only the government but also individual companies have become major providers of social welfare. Since corporate support is vital to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CSR should be studied in depth in terms of social welfa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effects of CSR on the performances of various stakeholders. To this aim, this study reflected recent trends of CSR study including stakeholder theory, corporate citizenship theory and strategic CSR concept. By using mixed methodology, it analyzed the various performances of CSR, such as employee, finance, product, consumer and community performances. Quant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by using data from the Workplace Panel Survey 2007(WPS 2007) and analyzing 438 samples from companies with over 300 employees. The statistics software PASW 18.0 and Amos 18.0 were us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factor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and multi-group simultaneous analysis. Qual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by using in-depth interviews in order to find various CSR performances. Interviewees included seven employees in charge of CSR in company and seven social workers working with companies in community welfare centers. Thematic analysis was used for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CSR affects the financial performance indirectly via employee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qualitative research, it is hard to prove the direct effects of CSR on financial performance. This means that the financial performance of CSR should be measured in long-term perspective considering various variables. Second, the consumer performance of CSR is hard to prove due to following reasons: First, corporate preference of consumers is affected by various factors such as corporate philosophy, culture and goods affect. Second, lack of understanding in ethical consumption does not motivate consumers to purchase goods from companies with high CSR. Third, higher CSR leads to higher performance of employees. According to this study, employees who think highly of their company's CSR show higher job satisfaction and pride as well as better evaluation of their company. Fourth, CSR has positive effects on product performance; companies with higher CSR produced better goods and services.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ployee performance and product performance is not significant. Fifth, CSR has positive effects on financial performance and human resources of the community. However, lack of proper corporate education and spontaneity of employees undermine the performance. Moreover, excessive demands on publicity as well as company-oriented supports have negative effects on the community and clients.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is research has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unlike previous studies on CSR performances that had mainly focused on financial and consumer performances in terms of marketing, this study found multiple CSR performances from the stakeholder perspective. In particular, by using mixed methodology, this study found CSR performances from a broader perspective. Second, this study found causality among various CSR performances, while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had analyzed direct effects of CSR on financial or consumer performances. By analyzing the effects of CSR on finance and products via employee performance, this study suggested that causality among variables should be considered and that CSR performances should be studied in depth from a long-term perspective. Third, contrary to previous studies that had reported positive aspects of CSR only, this study suggested that CSR does not always produce positive results. According to this study, CSR can lead to negative performances depending on the way CSR activities are conducted. For example, oppressive and unilateral communication inside the company can cause decline in employee performance. In addition, corporate-oriented unilateral supports and excessive demands on publicity can have negative effects on the performance of the community. Finally, by analyzing community performance of CSR which has so far been ignored both in theory and practice, this study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the community in CSR activities.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이하 CSR)은 현대사회에서 경영의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으며, 최근 전 세계적으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논의가 기업 현장에서 뿐만 아니라 학계에서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특히 복지공급주체의 다원화로 인해 정부 뿐만 아니라 기업이 복지서비스의 주요한 자원 제공자가 되고 있으며, 기업은 민간 사회복지조직들에게 주요한 자원이 되고 있기 때문에 CSR은 사회복지 측면에서도 주요하게 다루어질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해관계자 이론, 기업시민론, 전략적 CSR 개념이 대두되고 있는 최근의 CSR 개념 변화를 반영하여 CSR 추진의도가 종업원 성과, 재무적 성과, 제품성과, 소비자 성과, 지역사회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양적연구와 질적연구를 병행한 혼합방법론을 이용하여 분석함으로써 CSR이 다양한 이해관계자에게 미치는 성과를 밝혀내는 것이다. 양적연구는 사업체 패널 데이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300인 이상 438개 기업이 분석에 사용되었다. 통계적 분석을 위해 PASW 18.0과 Amos 18.0 프로그램이 사용되었으며, 기술분석, 요인분석,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다중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질적연구는 기업 CSR 담당자 7명과 복지기관 실무자 7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하였으며, 주제분석방법(thematic analysis)으로 분석하였다. 양적연구와 질적연구를 혼합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재무적 성과와 관련하여 CSR은 재무적 성과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종업원 성과를 통한 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적 연구에서도 CSR이 재무적 성과에 미치는 직접효과를 보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며, 명확히 증명하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CSR의 재무적 성과는 장기적 관점에서 측정해야 하며, 재무적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매개 변수들을 고려해야 한다. 둘째, CSR이 소비자에게 미치는 성과는 본 연구에서 찾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는 소비자가 좋은 기업이라고 인식하기 위해서는 CSR 뿐만 아니라 기업의 철학과 문화, 상품 등의 다양한 변수가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며, 아직까지 우리나라 소비자들이 윤리적 소비에 대한 의식이 부족하기 때문에 사회적 책임을 잘하는 기업의 제품을 구매하려고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CSR 추진의도는 종업원 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쳐 CSR 추진의도가 높을수록 종업원 성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CSR을 잘하는 기업이라고 인지한 종업원들은 기업에 대해 더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조직 만족도와 자긍심도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CSR 추진의도는 제품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더 사회적 책임을 하는 기업이 더 좋은 제품과 서비스를 만들어낸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종업원 성과와 제품성과와의 관계는 유의하지 않았다. 다섯째, CSR의 지역사회 성과와 관련하여, CSR은 지역사회 기관의 재무적인 부분과 인력 부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기업 직원들의 교육 부재, 비자발성 등은 성과를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하며, 기업의 과도한 홍보요청이나 기업욕구 중심의 지원 등도 지역사회와 클라이언트에게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에 근거하여,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함의를 가진다. 첫째, CSR관련한 국내의 기존 연구들은 마케팅적 관점에서 CSR의 재무적 성과와 소비자 성과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되었으나 본 연구는 다양한 이해관계자 관점에서 CSR의 다차원적 성과를 분석하였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특히, 혼합방법론을 사용함으로써 보다 폭넓은 관점에서 CSR의 성과를 파악할 수 있었다. 둘째, 본 연구는 CSR의 각 성과들간의 인과관계를 확인하였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기존의 CSR 성과 관련 연구들에서는 CSR의 재무적 성과나 소비자 성과 등 CSR의 직접적 성과만을 측정하였다. 그러나 CSR이 종업원 성과를 매개로 재무적 성과와 제품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본 연구는 이들 변수간의 인과관계를 고려해야 하며, 보다 장기적이고 심층적으로 CSR의 성과를 파악하여야 함을 제시해 주었다. 셋째, 대부분의 연구에서는 CSR의 긍정적인 성과만을 검증하여 보고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CSR의 추진방법에 따라 부정적 성과도 가져올 수 있음을 밝혀냄으로써 CSR이 항상 긍정적 성과만을 가져오는 것은 아니라는 새로운 시사점을 던졌다는데에 그 의의가 있다. 즉, 기업내부의 강압적이고 지시적인 의사소통 방식은 오히려 CSR의 종업원 성과를 떨어뜨릴 수 있으며, 기업과 기관간의 관계에서도 기업욕구 중심의 일방적이고 적절하지 못한 지원, 그리고 과도하게 홍보를 요청하는 행동 등은 지역사회에 부정적 성과를 가져올 수도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마지막으로, 지금까지 이론과 실천현장에서 모두 주요하게 다루어지지 않았던 CSR의 지역사회 성과를 확인함으로써 CSR을 추진하는 데에 있어서 지역사회의 중요성을 제시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 장기요양기관의 조직성과모형 : 말콤 볼드리지 모델의 적용

        이은영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51695

        사회복지조직에 있어 조직성과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는 가운데 장기요양보험제도의 시행으로 시장경쟁이라는 환경을 경험하고 있는 장기요양기관에게는 고객 만족, 서비스 질의 향상, 성과 높은 조직으로의 변화가 새로운 조직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장기요양기관이 조직성과와 서비스 질을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조직을 관리, 운영하려면 사회복지의 이념과 철학을 지키면서 합리적인 조직운영으로 클라이언트에게 최적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만족을 추구하려는 경영기법의 도입이 매우 절실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장기요양기관을 대상으로 조직성과모형으로서 '말콤 볼드리지 국가품질상(MBNQA: The Malcolm Baldrige National Quality Award) 모델'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고,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 요인을 보다 통합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현재까지의 조직성과에 대한 논의를 기반으로, 이 모델의 7가지 범주, 즉 리더십, 전략기획, 정보와 분석, 고객 및 시장 중시, 프로세스 관리, 인적자원 중시, 경영성과 등 조직요인간의 인과관계를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학문적으로는 조직성과와 그 영향요인에 대한 실증적 연구를 축적하고, 실천적으로는 장기요양기관에게 구체적인 조직성과 관리 전략을 제시하여, 고객만족, 서비스 질 향상이라는 조직목적을 달성하는데 의미 있는 논점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국 8개 시도에 위치한 41개 노인요양시설의 종사자 58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측정모형의 분석결과 리더십, 전략기획, 정보와 분석, 고객 및 시장 중시, 프로세스 관리, 인적자원 중시, 경영성과 등 7개의 잠재변인의 측정변인들이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개념들을 잘 측정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구조모형의 적합도를 확인한 결과, 적당한 수준의 적합도를 보였다. 이를 통해 구조모형이 자료를 잘 반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연구모형의 각 경로계수를 검증한 결과, 총 20개의 직접 경로 중 17개의 경로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리더십은 나머지 6개의 변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강력한 조직요인임이 확인되었다. 정보와 분석은 리더십 다음으로 조직에의 영향력이 강한 요인으로서 전략기획과 시스템요인(고객 및 시장 중시, 프로세스 관리, 인적자원 중시)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고 경영성과에도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고객 및 시장 중시, 프로세스 관리, 인적자원 중시 등 시스템 3개 요인들은 경영성과에 직접 영향을 미치고 있다. 반면 전략기획은 프로세스 관리에만 긍정적인 영향을 줄 뿐 고객 및 시장 중시, 인적자원 중시, 경영성과에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집단 간 차이를 검증한 결과, 직급에 따라 7개 요인 간의 인과관계가 다르게 나타났으며, 조직규모에 따른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일선실무자의 경우 다양한 인과관계를 통해 경영성과를 만들어내는 반면, 관리자의 경우 경영성과를 만들어내는 직접적인 요인은 리더십에 의한 경로만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본 연구가 갖는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사회복지조직에 대한 말콤 볼드리지 모델의 적용가능성을 확인하고 이 모델이 제시하고 있는 조직 요인 간 인과관계를 사회복지 조직에 적용하여 조직차원에서 확인한 최초의 실증연구로서 의미를 갖는다. 장기요양기관을 대상으로 말콤 볼드리지 모델을 검증함으로써 사회복지조직연구에 작은 초석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가 있다 하겠다. 둘째, 말콤 볼드리지 모델의 평가항목들을 장기요양기관의 여건에 맞게 수정, 검증함으로써 평가도구를 사회복지조직에서 활용할 근거를 마련했다는데 본 연구의 이론적 함의를 찾을 수 있다. 셋째, 전략기획, 정보와 분석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직간접적인 역할을 확인하였다는 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특히 정보와 분석은 매우 다양한 경로로 리더십과 경영성과 사이의 관계를 매개하고 있는데 이들 두 가지 요인의 조직 내 역할을 실증한 것은 말콤 볼드리지 모델의 적용에 있어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넷째, 장기요양기관 조직구성원의 직급에 따른 경력관리, 성과관리 전략을 다르게 수립해야 함을 확인한 것이 본 연구가 가진 중요한 의의라 할 것이다. 조직 내 구성원의 업무의 범위와 역할, 직급에 따른 권한 위임 등 인적자원 개발과 관리가 전반적인 조직의 경영성과를 만드는데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실천적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기요양기관의 성과 향상은 리더십의 변화에서 시작되어야 한다. 리더십 요인은 외생변수로서 조직성과 향상의 중요한 동인임이 입증되었다. 조직의 리더로서 노인요양시설장의 변화가 무엇보다 중요함을 말해주고 있다. 둘째, 장기요양기관에 있어 정보의 수집과 분석 등 정보관리기능을 강화해야 한다. 연구 결과가 보여주듯 정보와 분석은 리더십과 시스템의 효과를 경영성과로 전환하는 강력한 요인임이 확인되었다. 셋째, 고객 및 시장을 지향하는 이용자 중심 조직으로의 변화가 요구된다. 본 연구의 결과 ‘고객 및 시장 중시’라는 조직요인이 직접적으로 경영성과를 만들어내는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어르신 고객, 보호자 고객, 내부 고객인 직원, 봉사자와 후원자, 협력업체 등 협력 고객 등으로 고객을 세분화하고 이들의 평가와 보고를 반영하는 방식으로 서비스를 점검하고 변화시켜야 할 것이다. 넷째, 각 시설이 제공하고 있는 장기요양 서비스의 프로세스를 점검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우선 서비스 매뉴얼, 케어 매뉴얼, 케어 리스크 매뉴얼, 업무 매뉴얼 등 장기요양서비스와 관련된 일련의 활동에 대해 서비스 과정을 세분화하는 표준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말콤 볼드리지 모델은 조직성과의 향상을 위해서 조직경영의 시스템 전반을 향상시킬 것을 주문하고 있다. 이를 장기요양기관에 적용한다면 시설의 운영시스템을 전사적으로 변화시켜 시설운영에 있어서 혁신을 초래하고 이를 일회적인 것이 아닌 장기적인 시스템으로 자리 잡도록 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과정의 합리적인 개선과 시스템화가 결과(경영성과)의 향상을 가져온다는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고객, 시장, 인력, 업무 프로세스 등에 대한 전반적인 모니터링과 해결방안 모색이 탁월한 조직성과의 향상을 가져올 것이라 예측해볼 수 있다. As social interests in quality organizational performance of social services facilities have been increasing, long-term care facilities experiencing market competition due to enforcement of long-term care service insurance law face the pressure to transform themselves to achieve new organizational enhancement components like quality performance, customer satisfaction focus and service quality improvement. In order to operate long-term care facilities toward the direction to increase organizational performances and service quality provided to customers, it’s desperately necessary for them to introduce new management techniques that could provide customers with optimal services caused by reasonal organizational management that creates customers satisfaction while maintaining social work ideal and philosophy. This research aims to test the feasibility to apply organizational management model named Malcolm Baldrige Model(MBNQA: The Malcolm Baldrige National Quality Award Model) to long-term care facilities and draw organizational factors to affect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s in more integrated way. Based on discussions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s conducted by now, 7 components of this model such as Leadership, Strategic Planning, Information & Analysis, Customer & Market Focus, Process Management, Human Resource Focus and Performance are used to demonstrate causal relationship among organizational factors through framework structural model analysis. Through this study, another research into organizational performances and its impact could be accumulated empirically in academic fields and practically, specific organizational management strategy could be shown to suggest meaningful points for reaching organizational objectives like customer satisfaction, care service quality enhancement. Survey was conducted for 583 employees in 41 long-term care service facilities in 8 major cities across the country for this research and resulting research hypothesis was verified. This study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indicated in analysis result of measurement model that 7 variables like Leadership, Strategic Planning, Information and Analysis, Customer & Market Focus, Process Management, Human Resources Focus and Performanc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ly, adequate level of suitability was shown from fit test result of structural model, which is judged to be well reflecting the survey questionnaires. Thirdly, at the results of verifying each path coefficients in research model, it was indicated that 17 paths a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out of 20. Leadership is verified to be a strong driver that directly affect remaining 6 variables. Information and Analysis is the second most strong component affecting the system(ie: Customer & Market Focus, Process Management and Human Resources Focus) significantly. Customer & Market Focus and Process Management have direct impact on Performance. However, Strategic Planning is only making positive impact on Process Management but was verified not affecting Customer & Market Focus, Human Resources Focus and Performance. Fourthly, with the result of disparity between groups surveyed that causal relationship among 7 variables has been found to be different according to group ranking rather than organization size. Frontline workers are producing Performance through various causal relationship while managers has been influenced only by Leadership as a direct cause to bring in good Performance. Based on the results above, this research has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the research demonstrates the feasibility of applying MB model to social work organizations and then verifies causal relationship among various components of MB model in its organizations which is important as it’s the first attempt that was conducted of its field as empirical research. It has academic significance of laying the foundation stone in social work study through MB model application into long-term care facilities and its proof of causal relationship. Secondly, assessment components of MB model were modified and adopted to the realities of long-term care facilities, through which assessment tool is well developed for further usage in social service organizations research. Thirdly, it’s significant in this research that Strategic Planning and Information & Analysis are playing either direct or indirect role to enhance Performance. Especially, Information & Analysis are mediating 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and Performance by using various paths, which proved these 2 variables roles within a organization MB model has asserted so far. Therefore, this has important value in applying MB model to other organizations. Fourthly, it’s important to verify in this research that strategy for developing career & performance management among workers need to be set up according to each worker group and ranking within long-term care facilities. Human resources development and management through defining work scope and role, delegation according to staff ranking within organization are verified to be critical factors in order to bring in good performance. I would like to make following suggestions based on this research. First, organizational performance enhancement should be started from leadership change. Leadership is proved to be the driver of organizational performance improvement as exogenous variable which mention the fact that it’s important for the leaders who are responsible for long-term care facilities to be changed. Secondly, long-term care facilities needs to strengthen information management function such as information collection and analysis abilities. As shown in research result, information and its analysis are the strong variables enabling effects of leadership and system to be contributing to enhanced organizational performances. Thirdly, long-term care facilities are required to be changed toward customer and market focused organizations. As in the research result, Customer & Market Focus variable is confirmed to be directly producing Performance. Customers like elderlies, guardians, internal customers such as employees, volunteers, sponsors, partner cooperates need to be classified in more detail and then their evaluation and feedback need to be reflected on service monitoring and if necessary changed to meet the needs of each customer. Fourthly, service provision process needs to be monitored on a regular basis in each long-term care facilities. First of all, various manual related to all activities that occurred in the facilities like service delivery, care delivery, care risk management and performance need to be developed in more detail and standardized. MB model is demanding improvement of overall organizational process and system for quality enhancement. If this applies to long-term care facilities, innovation brought by their overall operating system change would be shown as long-term transition process rather than one time event. Based on this research result that effective improvement of procedures and its systematization would create increased organizational performance, overall monitoring mechanism and improvement plan on customer, market, human resources, performance process are expected to be sought to generate excellent organizational performance.

      • 이혼·별거 전후 소득과 생활만족도의 변화

        박현정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51695

        This research intended to analyze a change in income and life satisfaction for 1 year before divorce or separation, during the relevant year of divorce or separation and for 1 year after divorce or separation which are the periods when divorced and separated persons face the greatest difficulty. And it also intended to look into whether the income and life satisfaction before and after divorce or separation improve or weaken in comparison with those before divorce or separation longitudinally. A longitudinal study was required because poverty and emotional difficulty experienced before and after divorce or separation continue for a long period. And it was required to research difficulty and usefulness experienced by the persons involved all together as adaptation to life after divorce or separation include both an economical state and the psychologic-emotional stability. As there might be a difference between the effectible factors for the relevant year of divorce or separation and those before and after divorce or separation in accordance with a change of time, this research intended to comprehend those effectible factors simultaneously. And it intended to provide a plan to intervene social welfare considering changes in income and life satisfaction to be faced by a family during the period of divorce or separation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such longitudinal study and to promot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life for a family with one parent who has experienced divorce or separation through this. To analyze the purpose of a study presented in this research, materials for 11 years, from the 1st year to the 11th year of Korean Labor Panel, were used. And the analysis targeted total 244 persons, 128 males and 116 females, who have experienced separation or divorce. A potential growth model was used to assess the appropriacy of the model and to respond to inquiries constituted in this research. SAS 9.1, SPSS 17.0 was utilized for a technical analysis on collected data and potential growth model was analyzed with AMOS 7.0. Abstract of main results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ly, average values of income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annually for the previous year of separation or divorce, for the relevant year of separation or divorce and for the next 3 years of separation or divorce. Development trajectory of income was statistically notable for both variables between variations and initial values of unconditional model. This means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ersons in both initial values and variations. Negative correlation coefficients in initial values and inclination of income showed a gradual decrease for persons with high initial values of income from the starting point while it showed a dramatic decrease for the persons with low initial values. Secondly, the factors affecting initial values in a conditional model in income-development trajectory were the age and whether they have moved their residences and the factors affecting variations were the academic ability, whether they have moved their residences and the cases living with child or children. Income tended to decrease rapidly as the age increased. Income tended to reduce gradually for the persons that have not moved their residences and been living with their child or children in comparison with those having been moved their residences. Thirdly,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estimated figures of development trajectory of life satisfaction from unconditional model, it showed that initial values were statistically notable for satisfaction of family income, leisure activities and residential environment while their variations were remained insignificant. In other words,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individuals at the time of divorce and separation however, there is no individual difference in variations even the time has passed. Satisfaction in social acquaintance was a variable that measured a satisfaction level in friendship or acquaintanceship and initial values and variations showed statistically notable individual variations. Which means individual variations of satisfaction in social acquaintance such as friendship or acquaintanceship for the relevant year or the following year of divorce or separation were variously spreaded out. Fourthly, a variation analyzable with a conditional model among other factors of life satisfaction as previously stated, was life satisfaction (social acquaintance). The factors affecting initial values in conditional model of life satisfaction (social acquaintance) were the academic ability and income and those affecting variations were the age, academic ability and the cases living with adult(s). Life satisfaction (social acquaintance) showed a gradual downward tendency for females rather than males, persons with higher academic ability and persons living with adult(s) compared to those living alone. A relation between income trajectory and life satisfaction (social acquaintance) trajectory increased faster in accordance with a change of time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uch results drew a similar conclusion to Forrester's (1980) that a level of income is not connected with life satisfaction of divorcee. The meanings of this research through the main results of verification above is as follows. Firstly, breaking the pattern of trends looking at analytic period in cross-sectional way from comprehending a change in income and change trajectory of life satisfaction for persons experiencing divorce or separation, basic information could be provided by looking into changes before and after divorce or separation in longitudinal way. Especially this attached a meaning to an intensive investigation of 1 year before and after divorce or separation which is considered to be the most difficult years for the persons experiencing divorce or separation to live. Secondly, research targets among persons experienced divorce or separation in precedent studies were concentrated on a low-income female parent or a female parent raising child or children. However, current social data after divorce or separation indicates that both males and females after divorce or separation experience a loss in income. Therefore this research provided ground materials required for seeking a plan to intervene social welfare by considering females and males in their divorces and separations all together. Thirdly, consideration on life satisfaction using panels tended to analyze only one question of life satisfaction which was recognized by the person. Thus, it was difficult to understand the details on life satisfaction of persons experiencing divorce or separation from such research. Therefore this research provided a meaning to comprehend life satisfaction of persons experiencing divorce or separation more in depth with analysing details of life satisfaction (family's income, leisure activities, residential life, family relationship, kinship and in-lawship, social acquaintanceship). 본 연구에서는 이혼․별거자가 가장 어려움을 호소하는 이혼․별거 전 1년, 이혼․별거 당해 연도, 이혼․별거 후 1년 동안의 소득 변화와 생활만족도의 변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이혼․별거 전후 소득과 생활만족도가 이혼․별거 이전보다 상태가 호전되는지 더 취약해지는지를 종단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종단적인 연구가 필요한 이유는 이혼․별거 전후 겪는 빈곤과 정서적인 어려움이 장기간 계속되기 때문이다. 또한 이혼․별거 이후 삶에 대한 적응은 경제적 상태와 심리 정서적 안정의 문제를 모두 포괄하는 것이므로, 당사자들이 경험하는 어려운 점과 효용을 함께 조사하는 것이 요청된다. 본 연구를 통해 이혼․별거 당해 연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이혼․별거 이전과 이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시간의 변화에 따라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영향 요인들을 동시에 파악하고자 한다. 이러한 종단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이혼․별거 시기의 가족이 직면하는 소득, 생활만족도 변화를 동시에 고찰하여 사회복지 개입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이혼․별거를 경험한 한부모 가족의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 제시된 연구목적을 분석하기 위해 한국노동패널 1차년도에서 11차년도 11년간 자료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분석대상은 별거 및 이혼을 경험한 남성 128명, 여성 116명 총 244명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이 연구에서 모형의 적합성을 평가하고 구성된 연구질문에 응답하기 위하여 잠재성장모형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한 기술적 분석은 SAS 9.1, SPSS 17.0을 활용하였다. 그리고 잠재성장모형은 AMOS 7.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득의 평균값은 남녀 모두 이혼․별거 전년도, 이혼․별거 당해 연도, 이혼․별거 다음 연도 3년 동안 매년 감소하는 추세이다. 소득의 발달궤적은 무조건모형에서 초기치와 변화율 간 변량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초기치와 변화율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개인 간 차이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소득의 초기치와 기울기의 부적 상관계수는 출발점에서 소득의 초기치가 높았던 사람은 완만하게 감소하는 반면 초기치가 낮았던 사람은 급속히 감소한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소득 발달궤적의 조건모형에서 초기치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은 연령, 주거이동유무로 나타났으며 변화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력, 주거이동 유무, 자녀와 동거하는 경우로 나타났다. 연령이 증가할수록 소득이 급속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거이동 경험이 있는 경우에 비해 주거이동의 경험이 없고 자녀와 동거하는 경우 소득이 완만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생활만족도 발달 궤적 추정치를 무조건모형에서 살펴본 결과, 생활만족도 중 가족의 수입, 여가생활, 주거환경의 경우 초기치는 통계적으로 유의하나, 변화율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이혼․별거 당시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개인간 차이가 있으나, 시간이 지나도 변화율에 개인적 차이가 없다는 의미이다. 생활만족도(사회적 친분관계)의 경우는 친구관계 혹은 지인 관계에 대한 만족도를 측정하는 변수인데, 초기치와 변화율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개인차가 나타났다. 즉 이혼․별거 당해 연도나 다음연도에 친구관계, 지인 관계 등 사회적 친분관계 만족의 개인차가 다양하게 퍼져있다는 의미이다. 넷째, 앞서 밝힌 바와 같이 생활만족도 요인 중 조건모형으로 분석할 수 있는 변수는 생활만족도(사회적 친분관계)이다. 생활만족도(사회적 친분관계) 조건모형에서 초기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력, 소득으로 나타났으며 변화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 학력, 성인과 동거하는 경우로 나타났다. 남성에 비해 여성의 경우, 학력이 높은 경우, 혼자 사는 경우에 비해 여타 성인과 동거하는 경우 생활만족도(사회적 친분관계)가 완만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소득 발달궤적과 생활만족도(사회적 친분관계) 발달궤적 사이의 관계는 시간의 변화에 따라 더 빨리 증가하는 영향을 주는데,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과 생활만족도의 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결과가 나온 것은 본 연구에서 이혼․별거 전후 3년 동안의 변화를 살펴보는 것이어서 장기간을 살펴보는 연구에 비해 소득과 생활만족도(사회적 친분관계)의 관계 변화의 차이를 발견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주요 검증결과를 통해 본 연구가 갖는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혼․별거를 경험하는 사람들의 소득 변화, 생활만족도의 변화 궤적을 파악하여 분석기간을 횡단적으로 보던 동향에서 벗어나 종단적으로 이혼․별거 전후 변화를 살펴,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이혼․별거자들이 생활하기 가장 힘든 이혼․별거 전후 1년 시기를 집중적으로 살펴본다는데 의의를 제공한다. 둘째, 선행연구에서는 이혼․별거를 경험한 대상자 중 연구대상이 주로 저소득 여성 한부모나 자녀를 양육하는 여성 한부모가 집중대상이었다. 그러나, 현재 이혼․별거 이후 사회적 자료들은 이혼․별거 이후 남성과 여성 모두 소득 감소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혼․별거 여성과 남성을 함께 고찰하여, 사회복지개입 방안 모색에 필요한 근거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셋째, 패널을 활용하여 생활만족도를 고찰할 때, 본인이 인지하는 생활만족도 한 문항만을 분석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연구에서는 이혼․별거자의 생활만족도에 대한 세부적인 내용을 이해하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생활만족도의 세부항목(가족의 수입, 여가생활, 주거생활, 가족관계, 친인척관계, 사회적 친분관계)을 분석하여 이혼․별거자의 생활만족도를 더 깊이 이해하려는 의의를 제공한다.

      • 마이크로크레딧 기관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운영자립도 연구

        임은의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51695

        Micro-Credit has made rapid growth in recent time as a result of extensively supplying it in an effort to serve to their employment and increase in income by providing financial assistance needed for microenterprise to the poor who can't get a loan from the banking system. Despite such a quantitative expansion, micro-credit institutions' financial situation is faced with a difficult circumstance. These institutions rely on their financial resources on the outside support fund, so in case there is no influx of support fund, their business is interrupted and the institutions' self sufficiency is infringed as well. Particularly, in case of Korea, the weight of the government support fund to these institutions is big among the support funds, and accordingly they are much influenced by the government's support environment; thus, the micro-credit institutions' sustainability has been on the rise as a pressing concern because they cannot get a guaranty of policy continuity. In case the micro-credit institutions can not sustainable, it's almost impossible to provide the benefit of micro-credit to the poor any more. That's why the sustainability of a micro-credit institution is an important issue. Many overseas researches on micro-credit are evaluating its sustainability level and clarifying its influential factors in order to heighten a micro-credit institution's sustainability. The sustainability level varies according to an institution's goal, and particularly a micro-credit institution has the tendency to evaluate its sustainability using the operational self sufficiency equivalent to the level of covering the operational cost with business income while acknowledging the inclusion of grant for a loan source. Accordingly, this study is aimed at measuring the operational self sufficiency to enhance the sustainability of the Korea micro-credit institutions and inquiring into the operational self sufficiency causal relationship. Thu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ctual condition, operational self sufficiency, and influential factors of the Korea micro-credit institutions, and in order to approach more accurate actuality, this study made a diagnosis by dividing the institutions into welfare service institution and MISO micro-credit institution whose program method and support environment a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type of institution. For the research purpose, firstly, this study conducted the quantitative research targeting all micro-credit institutions to find out their operational self sufficiency and prediction factors and next drew operational self sufficiency causal relationship by institutional type by making up for the case study which selected 4 institutions from welfare service institutions and Miso-micro-credit institutions. The major contents and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ed up as follows: First, this study understood the Korea Micro-Credit institution's general characteristics by dividing them into organization element, personnel element. and financial element. A welfare service institution was found to be longer in the average number of operational years but smaller in size than the Miso-micro-credit institution; its size of the board of directors was found to be big at a personnel level, high in the weight of directors in the welfare field, and the institution was found to think much of business support experience and social service experience at a time of hiring employees. On the other hand, in case of the Miso-micro-credit institution, CEO's number of years for operational experience was found to be shorter; the personnel had the tendency to have the long period of service in financial fields directly before being appointed; the institution thinks much of financial support service, and their level of education and training was found to be high as well. These two institutions commonly have the high weight in support fund at a financial level, but low weight in capital, and their weight in service revenue was small; nevertheless, the Miso-micro-credit institution was found to spend less per employee and require less expenditure per support industry by providing a loan for the existing self-employed people's business operation and livelihood and using paid volunteer workers. Second, the Korea Micro-Credit institution's level of operational self sufficiency was found to be comparatively low with 48.4% average value and 30.1% median value.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operational self sufficiency of the welfare service institution was found to be lower than that of Miso-micro-credit institution. However, Miso-micro-credit institution was found to have severe deviation in the same type, and the number of the institutions whose operational self sufficiency was 0% accounted for 33.5%, which caused the concern about their sustainability in the future. Third, as the influential factors on the welfare service institution's operational self sufficiency, this study drew accumulated loan size, number of clients for the pertinent year, welfare & financial technique of the board of directors, level of financial support of the board of directors, CEO's welfare & financial professionalism, CEO's ability in crisis management, CEO's status of founder, CEO's fundraising level, a staff member's professionalism in business support and social service, weight of income, balance between government grant and private grant, and fixed operational grant, etc. In case of Miso-micro-credit institution, profit parent corporation, accumulated loan size, loan size for the pertinent year, number of clients for the pertinent year, financial support level of the board of directors, CEO's strategy, CEO's commitment level, CEO's fundraising level, paid volunteer workers' community spirit level, provision of incentives, equity weight, income weight, and support fund use were found to have an influence on their operational self sufficiency. Through the result as above,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induced the Korea Micro-Credit institution's concrete characteristics to be exposed, and suggested diverse accessibility to a micro-credit institution by showing that mutually different types of institutions exist. Second, this study encouraged the general interest in operational self sufficiency and provided the basic grounds for preparing response measures consequent on the type of institutions by suggesting the operatonal self sufficiency level according to the types of institutions individually together with the Korea Micro-Credit institution's operational self sufficiency level. Third, this study proposed differential support schemes at a strategic level of an institution itself and policy-based level by clarifying common elements and different element in causal relationship of operational self sufficiency by the type of institutions. 마이크로크레딧은 제도권 금융으로부터 대출을 받지 못하는 빈곤층에게 생업자금을 제공함으로써 일자리와 소득 향상을 도모하는 프로그램으로 알려졌다. 이런 이유로 마이크로크레딧은 대대적으로 보급되어 급격한 성장을 이뤄 왔다. 그러나 전체적인 양적 확대에도 불구하고, 마이크로크레딧 기관의 내부 재정상황을 볼 때 지속가능하기 어려운 상황에 직면해 있다. 이들 기관의 재원은 외부 지원금에 의존해 있어 기관의 독립성이 침해될 뿐만 아니라 지원금이 유입되지 않으면 사업이 중단될 위험에 처하게 된다. 특히 한국의 경우 지원금 중 정부 지원금 비중이 커 정부의 운영지원 환경에 의해 영향을 많이 받게 되는데, 정책의 연속성을 보장받을 수 없기에 마이크로크레딧 기관의 지속가능성이 초미의 관심사로 대두되고 있다. 마이크로크레딧 기관이 지속가능하지 못할 경우 더 이상 빈곤층에게 마이크로크레딧의 혜택을 제공할 수 없기에 기관의 지속가능성은 중요한 이슈라 할 수 있다. 마이크로크레딧과 관련된 국외의 많은 연구들은 기관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지속가능성 수준을 평가하고 영향요인을 밝히고 있다. 지속가능성 수준은 기관의 목표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특히 마이크로크레딧 기관에서는 대출 재원에 지원금을 포함시키는 것을 인정하면서, 사업수입으로 운영지출을 충당하는 정도인 운영자립도로 지속가능성 수준을 평가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 마이크로크레딧 기관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운영자립도를 측정하고 영향요인과 운영자립도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한국 마이크로크레딧 기관의 실태와 운영자립도, 그리고 영향요인을 조사하였는데, 보다 정확한 실재에 접근하기 위해 기관 유형에 따라 프로그램 방법과 지원환경이 상이한 일반복지사업기관과 미소금융기관으로 구분하여 진단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먼저 전체 마이크로크레딧 기관을 대상으로 양적 연구를 실시하여 운영자립도와 예측요인을 발견하고, 다음으로 일반복지사업기관과 미소금융기관에서 4개의 기관을 선정한 사례연구를 보완하여 기관유형별로 영향요인과 운영자립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내용과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마이크로크레딧 기관의 일반적 특성을 조직적 요소, 인적 요소, 재정적 요소로 나눠 파악하였다. 일반복지사업기관은 조직적 차원에서 미소금융기관에 비해 평균 운영연수가 길었지만 규모는 더 작았으며, 인적 차원에서 이사회 규모가 크고, 복지분야의 이사 비중이 많았으며, 직원 채용시 경영지원 경험과 사회서비스 경험을 중요하게 고려하였다. 미소금융기관은 최고관리자의 운영경험 연수가 더 짧았으며, 부임 직전에 금융분야에서 오래 활동하는 경향이 있었고, 직원 채용시 금융지원 경험을 중요하게 고려하였으며 교육훈련 수준도 높았다. 두 기관은 공통적으로 재정적 차원에서 지원금 비중이 높고, 자본금 비중이 낮았으며 사업수입금 비중은 적었으나, 미소금융기관의 경우 기존 자영업자의 운영 및 생계대출을 제공하고 유급자원봉사자를 활용함으로써 직원 1인당 지출과 지원업체당 지출이 더 적게 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 마이크로크레딧 기관의 운영자립도 수준은 평균값이 48.4%, 중앙값이 30.1%로 비교적 낮은 수준이었다. 이중 일반복지사업기관이 미소금융기관에 비해 더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미소금융기관은 같은 유형 내에서 편차가 심했으며, 운영자립도가 0%에 해당되는 기관이 33.5%를 차지해 향후 지원금이 유입되지 않을 경우 지속가능성이 우려되었다. 셋째, 일반복지사업기관의 운영자립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누적된 대출규모, 당해 연도 지원업체 수, 이사회의 복지 및 금융 기술, 이사회의 재정지원 수준, 최고관리자의 복지 및 금융 전문성, 최고관리자가 설립자인 경우, 최고관리자의 위기관리 능력, 최고관리자의 재원조달 수준, 직원의 경영지원 및 사회서비스 지원 전문성, 사업수입금 비중, 정부지원금과 민간지원금의 균형, 고정적인 운영지원금이 도출되었으며, 운영자립도와 관련성이 높았다. 미소금융기관은 영리모법인, 누적된 대출규모, 당해 연도 대출규모, 당해 연도 지원업체 수, 이사회의 재정지원 수준, 최고관리자의 전략, 최고관리자의 몰입수준, 최고관리자의 재정조달 수준, 유급자원봉사자들의 공동체 의식 수준, 인센티브 제공, 자본금 비중, 사업수입금 비중, 지원금 용도의 다양성이 영향요인으로 발견되었으며, 운영자립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통해 본 연구가 갖는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마이크로크레딧 기관의 구체적인 특성을 드러낼 수 있도록 하였으며, 서로 상이한 기관 유형이 존재함을 보여 줌으로써 마이크로크레딧 기관에 대한 다양한 접근이 가능함을 제시하였다. 둘째, 한국 마이크로크레딧 기관의 운영자립도 수준과 함께 기관 유형별 운영자립도 수준을 각각 제시함으로써 운영자립도에 대한 전반적인 의미 파악과 기관 유형에 따른 대책 수립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적인 근거를 제공하였다. 셋째, 기관 유형별 운영자립도의 인과관계의 공통요소와 상이요소를 밝힘으로써, 정책적 차원과 기관 자체의 전략적 차원에서 차별적인 지원 방안을 제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