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영어 교육에서 교사의 발산적 질문의 적용 가능성과 그 효과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6학년을 대상으로

        강현주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6학년을 대상으로 초등영어교육에서 교사의 발산적 질문의 효과를 알아보는데 있다. 본 연구는 충청남도 소재의 B초등학교 6학년 2개 학급을 대상으로 2009년 5월부터 10월까지 6개월간 이루어졌으며 한 학급은 실험 집단으로 다른 학급은 비교 집단으로 설정하여 연구하였다. 두 집단의 동질성을 확인하기 위해 사전 검사를 실시한 후 실험 집단에는 발산적 질문과 수렴적 질문을 함께 지도하였고 비교 집단은 수렴적 질문(교육과정에 나온대로)을 지도하였다. 6개월간의 학습이 이루어진 후에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 및 과정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영어 수업에서 발산적 질문과 수렴적 질문을 함께 활용하여 지도한 결과 실험 집단의 말하기 능력이 향상되었고 비교 집단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초등영어 수업에서 발산적 질문과 수렴적 질문을 함께 활용하여 지도했을 때 수렴적 질문을 활용하여 지도했을 때에 비해 흥미, 자신감, 참여도의 측면에서 우수한 교육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이론적 논점 및 실험적 검증의 결과는 발산적 질문의 적용가능성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준다. 첫째, 수렴적 질문을 활용하여 지도하는 것보다 발산적 질문과 수렴적 질문을 함께 활용하여 지도하는 것이 언어의 유창성 측면에서 영어 말하기 능력 향상에 효과적이라고 간주된다. 둘째, 수렴적 질문을 활용하여 지도하는 것보다 발산적 질문과 수렴적 질문을 함께 활용하여 지도하는 것이 학생들의 흥미, 자신감, 참여도 측면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여겨진다.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6학년을 대상으로 초등영어교육에서 교사의 발산적 질문의 효과를 알아보는데 있다. 본 연구는 충청남도 소재의 B초등학교 6학년 2개 학급을 대상으로 2009년 5월부터 10월까지 6개월간 이루어졌으며 한 학급은 실험 집단으로 다른 학급은 비교 집단으로 설정하여 연구하였다. 두 집단의 동질성을 확인하기 위해 사전 검사를 실시한 후 실험 집단에는 발산적 질문과 수렴적 질문을 함께 지도하였고 비교 집단은 수렴적 질문(교육과정에 나온대로)을 지도하였다. 6개월간의 학습이 이루어진 후에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 및 과정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영어 수업에서 발산적 질문과 수렴적 질문을 함께 활용하여 지도한 결과 실험 집단의 말하기 능력이 향상되었고 비교 집단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초등영어 수업에서 발산적 질문과 수렴적 질문을 함께 활용하여 지도했을 때 수렴적 질문을 활용하여 지도했을 때에 비해 흥미, 자신감, 참여도의 측면에서 우수한 교육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이론적 논점 및 실험적 검증의 결과는 발산적 질문의 적용가능성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준다. 첫째, 수렴적 질문을 활용하여 지도하는 것보다 발산적 질문과 수렴적 질문을 함께 활용하여 지도하는 것이 언어의 유창성 측면에서 영어 말하기 능력 향상에 효과적이라고 간주된다. 둘째, 수렴적 질문을 활용하여 지도하는 것보다 발산적 질문과 수렴적 질문을 함께 활용하여 지도하는 것이 학생들의 흥미, 자신감, 참여도 측면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여겨진다.

      • 아동문학을 활용한 영어 슬로리딩 수업이 학생의 영어 읽기 능력 및 영어 학습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강현주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find what effects Slow-Reading instruction using English children’s literature has on students’ reading ability and perception of English learning and to provide effective teaching materials and approaches for primary English classe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7 fifth grade-level students in M public elementary school in Gyeongsangnamdo province. In the survey of the participants, the researcher examined the experience of private education, type and duration of it, experience of English literature and interest in English.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amount of exposure to English and interest in English. In the research process, the researcher modified and supplemented instruction activities and schedules by reflecting the above results. Among English children’s literary works, children’s books and poems were selected considering the English ability level of students and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fifth graders. The pre-reading, mid-reading, post-reading activities were planned using the Slow-Reading method. Before the start of the study class, tests of reading ability and the perception of English learning were conducted. After the study class, the researcher conducted those tests again to check if any change occurred. Also,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understand students’ thoughts and opinions about the lessons in the middle of the study and they were used as a resource for the researcher's reflection on the Slow-Reading lessons and to make a necessary modification of the upcoming lessons. The study lasted eighteen weeks and 27th periods. The conclusions obtained from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Slow-Reading instruction using children’s English literature ha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improving reading ability on fif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average score after the study was all increased but only the reading accurac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compared to vocabulary and content understanding. Therefore, Slow-Reading class helped the experimental group to improve the reading ability. It led to the conclusion that i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reading accuracy among reading skills.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Slow-Reading classes using English children’s literature improved confidence in the students' perception of English learning. The researcher organized the class in which students could expand their thinking by means of English, rather than as a place where they are evaluated by their English skills. This way students felt secure in the class. Third, Slow-Reading lessons using English children’s literature contributed to improving students' interest in English learning. Students’ interest in English has increased by using English as a means to participate in various play, games, presentations, questions, and creative activities. Fourth, it was shown that Slow-Reading classes using English children’s literature were effective in having students recognize the value of English learning. It seems that they realized the necessity of English in the process of reading English literature and creating their own literary works. Fifth, Slow-Reading classes using English literatur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tudents' motivation of learning English. The researcher's adjustment and modification of activities by collecting students’ opinion through the interviews in the middle of the research period and switching to student-led activities contributed to their motivation for learning. Sixth, there were fewer positive changes in students' perception of learning English than changes in their reading ability. Slow-Reading classes involved more activities for creative exploration. It means that students spent more time on English classes than usual. As a result, it is reasoned that students were somewhat tired of English classes. Seventh, after the Slow-Reading class using English children’s literature, students became positive about the Slow-Reading class. More than 80 percent of the students said reading became much easier and that they would use the various reading methods they learned in slow reading in their reading out of school, as the barriers to reading have been lowered while learning through various reading methods in Slow-reading clas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following suggestions can be made. First, this study was conducted in a limited number of 27 students in one class, and without the control group, so the objective effect was not proven.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compare data with control groups and increase the number of students for research classes. Second, the study was conducted one to two times a week for about four months which is relatively a short period of time. In future studies,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study for over a longer period of time. Third, various teaching methods and materials on Slow-reading classes using English literary works should be explored. Research on Slow-reading classes using various English children's literature that fits the English level of students is needed. Fourth, Slow-Reading classes in Korean classes are officially included in the curriculum, but little research is done on Slow-reading classes in English classes. More active research is needed. 본 연구의 목적은 영미 아동문학을 활용한 영어 슬로리딩 수업의 긍정적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학생들의 읽기능력과 영어 학습에 대한 인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고 학교 현장에 아동문학작품을 활용한 슬로리딩 수업 교수 방안에 대한 다양한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위 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이 실행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경상남도 소재 M 공립 초등학교 5학년 27명의 학생들이며, 연구 기간은 총 18주간, 27차시였다. 연구 참여자의 기초 설문에서 사교육 경험 및 유형과 받은 기간, 영미 아동문학작품을 읽은 경험 유무, 영어수업과 영어 학습에 대한 흥미도를 조사하였고 영어에 대한 노출량, 흥미도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사전 읽기 능력 평가에서 수준별 분포도 다양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 과정에서 위 결과를 반영하여 수정·보완하며 연구 수업을 진행하였다. 영미 아동문학 작품 중 학생들의 수준과 초등학교 5학년 성취기준을 고려하여 동화책과 시를 선정하였고 슬로리딩 방법을 활용하여 읽기 전, 중, 후 활동을 교육과정을 재구성하여 계획하고 진행하였다. 연구 수업 시작 전 사전 읽기 능력 평가와 영어 학습에 대한 인식 검사를 실시했고 연구 수업이 끝난 뒤 사후 읽기 능력 평가 및 영어 학습에 대한 인식 변화를 위해 검사를 한 번 더 진행하였다. 또한 연구 수업 중간에 학생들의 연구 수업에 대한 생각과 의견을 듣고자 면담을 진행하여 이 후 수업 계획에 수렴된 의견을 반영하였다. 본 연구가 학습자들의 읽기 능력과 영어 학습에 대한 인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미 아동문학작품을 활용한 슬로리딩 수업이 연구 참여자들의 읽기 능력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읽기능력의 하위요인을 세부적으로 나누어 읽기 정확성, 어휘, 내용 이해적 측면에서 분석해보았을 때, 읽기능력 가운데 읽기 정확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결론에 도달할 수 있었다. 이는 읽기 과정에서 스스로 어휘의 뜻을 추론하고 사전 찾기 활동을 반복적으로 실시한 것에 대한 효과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둘째, 영미 아동문학을 활용한 슬로리딩 수업이 영어 학습에 대한 인식에서 자신감을 향상시킨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자는 학생들의 영어 능력 차이로 인해 서열이 나눠지는 활동이 아니라 영어를 하나의 수단으로 사고를 확장할 수 있는 슬로리딩 활동으로 수업을 구성하였는데, 이는 학생들이 자신의 영어 능력과 무관하게 활동에 참여할 수 있다는 인식을 주어 수업에서 안정감을 느낄 수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셋째, 영미 아동문학을 활용한 슬로리딩 수업이 영어 학습에 대한 인식에서 학습의욕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이는 일률적인 교수·학습방법을 탈피하고 교사가 계획한대로만 수업을 이어나가는 것이 아니라 중간 면담을 통해 학생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활동을 재구성한 것과 배움 중심의 학생 주도적 활동 구성이 학습 동기향상에 기여한 것으로 보인다. 넷째, 영미 아동문학을 활용한 슬로리딩 수업이 영어 학습에 대한 인식 중 영어학습의 가치를 알게 하는 데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학습자들이 직접 알고 있는 영어 지식을 활용하여 영미 문학 작품을 읽고 스스로 문학 작품을 창작해나가는 과정에서 영어의 필요성을 깨달은 것으로 보인다. 다섯째, 영미 아동문학을 활용한 슬로리딩 수업이 영어 학습에 대한 인식에서 흥미를 향상시키는 데 기여한 것을 알 수 있었다. 학생들이 무의식적으로 영어를 수단으로 활용하여 다양한 놀이·게임, 발표, 질문, 창작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여 영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것으로 보인다. 여섯째, 읽기 정확성과 능력의 변화에 비해 학습 인식의 긍정적인 변화는 적은 편인 것을 알 수 있다. 영어교과 수업 외, 추가적으로 창의적 체험활동시간을 활용하여 영어 슬로리딩 수업을 진행하면서 결과적으로 주간 영어교과 시수보다 많은 시간을 영어 수업에 할애하게 되었고 이는 학생들의 영어 수업에 대한 피로도가 어느 정도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일곱째, 영미 아동문학을 활용한 슬로리딩 수업 후 학생들은 슬로리딩 수업에 대해 긍정적 인식을 가지게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영어 읽기가 좀 더 쉬워졌으며 슬로리딩에서 배운 다양한 읽기 방법을 실생활에서 활용할 것이라고 답한 학생이 80%이상 이었으며 이는 다양한 읽기 방법 배우면서 읽기에 대한 장벽이 낮아졌기 때문이다. 위의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이 연구는 한 학급 학생 27명을 대상으로 한정하여 진행된 연구로 비교집단이 없는 상태에서 연구가 진행되었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그러나 질적 자료를 보완적으로 사용하여 연구 참여자들의 변화를 관찰했다는 점에서 한계를 어느 정도 극복했다. 둘째, 약 4개월간 일주일에 1~2번 정도씩 짧은 기간 동안 적은 횟수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장기간에 걸쳐 연구가 진행되었을 시에 나타날 수 있는 결과를 예측할 수 없다. 후속 연구에서는 기간을 늘려 연구를 장기간에 걸쳐 진행할 필요가 있다. 셋째, 영미 아동문학을 활용한 슬로리딩 수업에 대한 다양한 교수 방안과 자료가 연구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자의 역량으로만 교육과정이 재구성되어 슬로리딩의 활동이 연구 수업 중 활용한 영미 아동문학 작품으로만 한정되어있다. 따라서 학생들의 수준을 아우르는 다양한 영미 아동문학 작품을 활용한 슬로리딩 수업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넷째, 국어 교과에서의 슬로리딩 수업은 교육과정 안에서 한권읽기, 온 책읽기라는 명칭으로 공식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영어 교과와 접목한 슬로리딩 수업에 대한 연구는 현재 미흡하며 그 효과를 증명하기 위한 연구가 더욱 더 활발히 진행될 필요가 있다.

      • 자소엽을 첨가한 우육포의 품질특성

        강현주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육포는 수조육류를 건조 가공한 것으로 다양한 조리법과 저장식품으로서 소비가 대중화되어 가고 있다. 영양학적인 측면이나 제조 기술에 대한 것과 저장성에 대한 연구를 위하여 약리적인 효능에 대한 기능성을 함유한 자소 엽을 첨가함으로써 최적의 제조 조건을 적용하고 합성첨가물에 대한 유해성의 논란이 제기되고 있는 아질산 염의 대체제로 이용하는데 따른 품질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시료는 우육에 기본 양념과 동결 자소 엽 10%와 아질 산염 140ppm을 각각 첨가 제조하였으며, 품질특성으로는 수분, pH, 색도, 경도측정, 지방산패도, 휘발성 염 기태 질소, 총 균 수, 소비자 기호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분함량은 39.15% - 43.34%의 범위로 저장기간이 길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저장 4주에는 무 첨가 37.25%와 SJ 37.41%은 유사한 경향인 반면 PJ는 34.27%로 수분함량이 낮게 나타났다. pH는 저장기간이 길어질 수록 감소되는 경향이었는데 무 첨가 군이 5.23, SJ는 5.27, PJ는 5.57로 가장 높은 pH를 유지하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명도(L), 적색도(a), 황색도(b), 값은 PJ가 가장 높았고 L은 22.79, a는 12.42, b는3.65였으며, 가장 낮은 무 첨가 군은 L은 21.05, a는 5.48, b는 1.42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 경도는 저장기간 동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무 첨가 3.41 Kg, PJ는 3.90 Kg으로 유의적으로 같은 경향을 보였고 SJ는 5.73 Kg으로 가장 높게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 TBA가와 VBN값은 저장기간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TBA가는 저장 4주째에 무 첨가는 187.2 mg/kg, SJ는 205.6 mg/kg, PJ가 176.8 mg/kg으로 가장 낮은 결과를 나타냈고, VBN가는 무 첨가 군이 61.6 mg%, SJ는 61.2 mg%, PJ가 58.6mg%로 PJ가 유의적으로 차이는 없었지만 낮은 결과를 나타냈다. 총 균 수의 7일 동안 측정한 결과는 제조당일 SJ첨가군 5.8×10³ CFU/g이 무 첨가군 1.0×10⁴보다 낮게 나타났다. 저장기간이 길어 질 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저장 7일째의 무 첨가 군은 7.3×10⁶ CFU/g, SJ는 2.8×10⁶ CFU/g, PJ는 1.8×10⁶ CFU/g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기호도 검사는 저장 0주와 2주를 평가하였는데, 0주 때는 색과 조직 감에서 SJ가 높게 평가되었지만, 맛과 향미에서는 PJ가 높게 평가되었다. 전체적인 기호 도는 SJ> PJ>무첨가 순으로 평가되었다. 저장 2주째 평가에서는 시료 자체의 변질로 인하여 맛(Taste)은 평가하지 못했다. 전체적인 기호도 에서는 PJ>SJ>무 첨가 순으로 PJ가 가장 높게 평가되었다. 본 실험에서 육포를 제조할 때 항산 화, 항균물질과 안토시아닌 색소를 함유한 자소 엽 을 첨가함으로써 색도와 균의 변화 등의 품질특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다양한 조리법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육 가공품의 아질산염 대체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In this study,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with pharmacological effect was added to beef jerky aiming optimal processing condition as the alternative to sodium nitrite, the maleficence of which is controversial as a synthetic additives and hypotonicity-dependent quality characteristics & preference level were examined and then analyzed. Sample was processed by adding 10% of Frozen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140ppm of sodium nitrite to basic seasoning, and (moisture, pH, color, hardness, fat acidification, volatile basic nitrogen, total plate counts, preference) were put to examination as the sample's quality characteristics. Moisture content reduced as the storage time prolonged in the range of PJ 39.15%, SJ 42.63 %, control group 43.34 %, in 4 weeks' storage, control group 37.25 % and SJ 37.41% appeared to be similar state while the water content of PJ appeared to be 34.27 % , which is significantly low level. pH reduced as the storage term increased as 5.23 for the control group, and 5.27 for SJ added group and 5.57 for PJ added group, the highest level, but showed insignificant difference pH. The results of 4 weeks' storage were PJ, the highest in L 22.79, a 12.42, b 3.65, and control group, the lowest in L 21.05, a 5.48, b 1.42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 In mechanical characteristics, hardness increased during the storage, 3.41 kg of control group, 3.90 kg of PJ added group appeared to be significantly similar, while 5.73 kg of SJ added group showed most significant difference. TBA & VBN values of each sample increased during the storage. In TBA value, in 4weeks storage, control group was 187.20 mg/kg, SJ 205.60 mg/kg, PJ 176.80 mg/kg, the lowest value, and in VBN value, control group was 61.65 mg%, SJ 61.18 mg%, PJ 58.61 mg%, lower level, though the difference level was insignificant 58.61 mg%. The results of 7 days measurement of total plate count were control group of 1.0×10⁴CFU/g, PJ 6.0×10³ CFU/g, lower than SJ added group of 5.8×10³ CFU/g. The total plate count increased as the storage term increased. In 7 days' storage, it was 7.3×10⁶ CFU/g, for control group, 2.8×10⁶ CFU/g for SJ added group and 1.8×10⁶ CFU/g for PJ added group, the lowest level. Preference level was measured in 0, and 2 week's storage, and in 0 week, SJ was 5.37 for color, 5.23 for texture, higher level, but PJ added group was higher for taste 5.20, flavor 5.13. In the whole preference, the sequence appeared as SJ > PJ > control group. In 2 weeks storage, taste couldn't be tested, for samples have spoiled. In total preference, PJ was 5.80, SJ 5.0 and control group 4.70 showing the sequence as PJ > SJ > control group with PJ, the highest level. Seeing from such results, the processing of beef jerky by adding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which holds antioxidant, antibiotic and anthocyanin color appeared to affect the change in color and germ and storage, which means it could be used for various cooking and food processing as an alternative to sodium nitrite in processing beef jerky.

      • 다문화가정선교를 위한 전문인 사역과 지역교회의 역할 : 수도권 지역교회를 중심으로

        강현주 총신대학교 선교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다문화이주민가정선교에 대한 근거는 성경에 분명하게 나타나 있다. 구약 성경은 이방인인 라합과 룻의 가정을 통해, 하나님의 구속역사를 위한 예수 그리스도의 계보 형성(마 1:5)을 보여준다. 또한 여호와 하나님을 그들의 주(主)로 믿고 할례를 받은 거류하는 타국인들을 하나님의 백성에 포함시키고 있다(출 12:48). 그리고 신약 성경은 복음의 능력에 의한 회개와 말씀의 수용력이 더 왕성하게 확장됨을 보이면서, 유대인보다 훨씬 더 열려진 세계관을 가진 다문화가정들을 사용한다. 그들은 세계 선교를 이루는 성령의 역사에 동참한 ‘하나님의 동역자들’(the co-workers of God)이 되었다(고전 3:9). 전문인선교에 원형적 모범인 1세기 사도 바울의 초대교회 자비량 선교사역의 중요성은 매우 크다. 사도 바울에게 있어서는 복음의 능력과 성령에 따른 회심의 과정이 가장 원론적인 전도 수단이었다. 이러한 선교의 요인은 7세기 네스토리안 선교사들과 18세기 모라비안 선교사들에게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역사적 고찰을 통해 얻게 되는 중요한 교훈들이 있다. 즉 현대의 전문인선교 사역자들은 복음의 능력과 성령의 역사 속에서, 올바른 성경적 신앙과 신학의 바탕에서 선교사역을 모색하는 사람들이 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그리스도의 몸된 교회는 예배와 성례, 전도와 선교, 구제와 봉사, 양육과 훈련, 그리고 친교와 증거로 일해야 한다. 더 나아가 국내ㆍ외 선교의 동시적(synchronous) 병행선교를 지향해야 할 사명과 책임이 있다. 이러한 교회가 바로 “선교하는 교회”이다. 다문화선교를 지향하는 개(個)교회는 선교적 리더십을 발휘함과 함께, 지역교회끼리 파트너십으로 협력할 사역 분야들을 논의해야 한다. 시ㆍ공간적인 측면에서 가까우며, 사역의 방향과 방법을 공유할 수 있는 수도권 지역교회끼리의 선교적 파트너십이 필요하다. 그리고 여기에 선교단체와 선교사 및 선교 현장과 협력하는 사다리꼴 대형의 구도가 요청된다. 오늘날 다문화이주민가정선교를 위해서는 일차적으로 언어 교육이나 직업기술 교육의 전문인이 필요하다. 뿐만 아니라, 변화가 빠른 사회와 문화에 대응할 성경적 원리의 치유(healing) 사역을 담당할 수 있는 전문가도 필요하다. 이러한 전문인선교의 사역은 선교하는 지역교회가 발굴하고 양육하고 훈련시켜야 할 역할임을 인식해야 한다. 이것은 미래 한국 선교를 위한 실제적 사안이 될 가능성이 크다. 왜냐하면 첫째, 다문화이주민가정들이 한국에 들어와 신자가 됨으로써 사회적 필요와 함께 영적 구원의 필요를 추구할 것이기 때문이고, 둘째, 전문인과 지역교회의 다양한 사역을 통해 결혼이주여성들과 다문화자녀들이 예수 그리스도를 전하는 하나님 선교의 동역자들로 기대되기 때문이다! This dissertation is for multicultural immigrant family mission. The Holy Scriptures present a foundation of multicultural mission. In the Old Testament through the homes of Rahab and Ruth as foreigners, it indicates for them to form the genealogy of Jesus Christ (Matthew 1:5) for God’s Redemptive History. Also the aliens who believed in God as their Lord and sojourned in Israel after their circumcision ceremony were included in God’s people (Exodus 12:48). And while the New Testament was presented to spread with the repentance and the receptivity of Words by the power of the Gospel, it used of multicultural family who had a world-view much opener than Jews at that age. At last, they became “the co-workers of God” who took part in the work of the Holy Spirit for the world mission (1 Corinthians 3:9). The importance of the apostle Paul’s tentmaker or self-supporting missionary work in early church on the first century is so great, which is a typical example for a professional mission. As for Paul the apostle, the power of the Gospel and the processing of repentance by the Holy Spirit were the evangelical methods of the best principles. These reasons of mission were shown by Nestorian missionaries on the seventh century and Moravian missionaries on the eighteenth century as well. However, there are very important lessons gained through the historic examinations. The point is, in the power of the Gospel and the work of the Holy Spirit, contemporary professional mission workers have to become those who can seek the mission works on the basis of right biblical faith and theology. The church is Christ’s body with divine service, communion and baptism, evangelism and mission, relieves and services, bringing up and training, and fellowship and witness. Furthermore, it has a sense of mission and responsibility which has to head for the synchronous parallel mission of home and abroad. This church is called truly “missionary church.” At the same time each church which tends toward multicultural mission displays a sort of missional leadership by itself and each one should discuss the fields of working together with partnership among each church. It needs the missional partnership of churches in the capital region which are able to share some directions and methods of their work, as well as they close to the side of time and space. And here the composition as like “echelon formation” is requested for cooperating with para-church missions, missionaries and mission sites. For today’s multicultural immigrant family mission, primarily it needs not only the professionals for language education or occupation technical education, but also the ones who may be charged with healing ministries of the biblical principles which must encounter with rapidly changing society and culture. So these works of professional mission have to be recognized by missionary churches which have a role for scouting, fostering and training them. There is highly possible for the practical matters of Korean mission in the future. Therefore, here is the reason for very important two categories. The first, multicultural immigrant families who have come into Korea and become the believers here, will pursue the requests for spiritual salvation as well as their social needs, and the second, through various working of professionals and missionary churches, marriage immigrant women and multicultural children will be anticipated as “the co-workers of God” who preach Jesus Christ for someone!

      • MBTI 성격유형과 직무스트레스 및 대처방법과의 관계 : 교육행정직 종사자를 중심으로

        강현주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how job stress and stress coping method varies according to Education administration workers' personality types classified by MBTI. And also, to provide Education administration workers with the most effective guidelines in their working style and management by understanding Education administration workers' personality types and analyzing their relations to the level of job stress and stress coping method. Therefore they can provide students with better education services and feel work-satisfaction higher.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71employees working at an university, in the field of Education administration, in the areas of Seoul.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 administration workers' personality types and their job stress and stress coping method, this study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using a questionnaire composed of three measurements which are standardized MBTI of self scoring(GS) form, job stress and stress coping method scal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conducting frequency analysis,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using SPSS 12 for Windows.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First, How does it show the personality types of Education administration workers? Secondly, is there any relationship between MBTI preference (E-I, S-N, T-F, J-P) and job stress? Thirdly is there any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traits(ST, SF, NT, NF) and job stress? Fourth, what is the relationship of their preference for MBTI(E-I, S-N, T-F, J-P) to stress coping? Fifth, what is the relationship of personality traits(ST, SF, NT, NF) to stress coping?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below: First, the most frequently exhibited personality type, among the Education administration workers investigated, was ISTJ(23.9%) that thinking was an auxiliary function. According to the MBTI standardization operation, this trend is one of the dominant Korean personality types. By function, the number of Education administration workers of sensing-thinking type(ST) was the largest(56.3%). Secondly, the result was about relationship of personality preference and traits to job stress. The extrovert(M=82.52, SD=9.39) had more stress than the introvert(M=78.30, SD=7.47)and also in thinking and feeling groups(T-F), the feeling type(M=80.04, SD=7.93) had more stress.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sensing and intuitive groups(S-N). It had same result between the judging and perceiving groups(J-P). Thirdly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traits(ST, SF, NT, NF) and job stres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Fourth the result was about relationship of personality preference and traits to stress coping. For the extrovert and introvert groups(E-I), the extrovert group(M=85.52, SD=8.72) utilized more active stress coping method(t=3.86, p<0.05). However there was littl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ensing and intuitive group(S-N). Fifth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traits(ST, SF, NT, NF) and stress coping, NF group(M=86.20, SD=12.83) utilized the most active stress coping skill of all groups and SF group(M=77.69, SD=8.10) utilized the least active coping skill of all groups. In conclusion the extrovert group and the feeling group had more stress and utilized more active stress coping method. However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traits(ST, SF, NT, NF) and job stress and stress coping metho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verall. 본 연구는 교육행정직 종사자가 MBTI 성격유형에 따라 느끼는 직무스트레스의 수준과 대처방법과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서울 소재 사립대학교 1개교에서 교육행정직에 종사하는 71명을 대상으로 MBTI 성격유형 검사, 직무스트레스 수준과 직무스트레스 대처방법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SPSS 12 for Windows를 사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통계분석의 방법은 빈도분석, 평균과 표준편차, t-test와 일원변량분석을 사용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행정직 종사자의 MBTI 성격유형은 어떤 분포도를 보이는가? 둘째, MBTI 선호유형은 직무스트레스 수준과 관계가 있는가? 셋째, MBTI 성격기능은 직무스트레스 수준과 관계가 있는가? 넷째, MBTI 선호유형에 따라 스트레스 대처방법에 차이가 있는가? 다섯째, MBTI 성격기능에 따라 스트레스 대처방법에 차이가 있는가? 여섯째, 교육행정직 종사자의 MBTI 성격유형과 직무스트레스 수준, 직무스트레스 대처방법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행정직 종사자의 MBTI 성격유형 분포에서는 사고를 보조기능으로 가진 ISTJ(내향적 감각형)가 23.9%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성격기능에서는 ST(감각적 사고형)가 56.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것은 MBTI 표준작업에서 한국인의 성격유형 분포도와 비슷하였다. 둘째, MBTI 선호유형과 직무스트레스 수준의 관계를 살펴보면 외향형(M=82.52, SD=9.39)이 내향형(M=78.30, SD=7.47)보다, 감정형(M=80.04, SD=7.93)이 사고형(M=79.83, SD=8.76)보다 많이 스트레스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감각형-직관형과 판단형-인식형 간에는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MBTI 성격기능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수준의 평균을 보면 SF(감각적 감정형)집단(M=80.62), ST(감각적 사고형)집단(M=80.08), NF(직관적 감정형)집단(M=79.30), NT(직관적 사고형)집단(M=78.63)의 순으로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넷째, MBTI 선호유형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방법과의 관계에서는 외향형(M=85.52, SD=8.72)이 내향형(M=78.36, SD=6.81)보다 대처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t=3.86, p<0.05). 감각형(M=79.89, SD=7.33)-직관형(M=84.61, SD=10.10)은 하위요인인 사회적 지지 추구대처에서 직관형(M=15.72, SD=2.19)이 감각형(M=14.19, SD=1.92)보다 대처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MBTI 성격기능에 따른 대처방법과의 관계에서는 NF집단(M=86.20, SD=12.83)의 대처수준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SF집단(M=77.69, SD=8.10)의 대처수준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정리해보았을 때 외향형 집단과 감정형 집단이 스트레스를 상대적으로 많이 받으며 스트레스에 따른 대처수준도 더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성격기능(ST, SF, NT, NF)은 교육행정직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 수준과 그 대처방법에 별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학습만화의 스토리텔링 방식과 독자 반응에 관한 연구 : 『초등과학 학습만화 WHY? 시리즈』와 『살아남기 시리즈』를 중심으로

        강현주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지식의 양과 질이 급속도로 발전하는 사회적 변화에 따라 실천적인 지식이 중요해지고, 이를 획득하기 위해 끊임없이 학습하는 상황에서 스토리텔링이 지닌 교육적 가치는 더욱 빛을 발한다. 이중에서도 자유로운 독서활동의 일환이자, 자기주도적 학습의 수단으로 초등학교 어린이들이 활발하게 읽고 있는 학습만화는 지식과 재미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독특한 스토리텔링 양식을 선보이고 있다. 따라서 어린이에게 지식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일깨우면서 쉽고 재미있게 학습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작되는 학습만화의 스토리텔링 양식을 정확히 알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학습만화 스토리텔링의 특징은 무엇인가?’, ‘학습만화의 독자는 지식에 대한 흥미와 재미를 어떻게 느끼는가?’, ‘학습만화가 지닌 교육적 가치는 무엇인가?’라는 연구 문제를 설정하여 학습만화 스토리텔링이 지닌 특징과 교육적 가치를 알아보았다. 연구 대상 텍스트는 간단한 설문 조사와 베스트셀러 목록, 아동들의 질문지 분석을 토대로 연구자의 판단을 통해 과학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는 학습만화 중에서도 스토리텔링 양식이 다른 『초등과학 학습만화 WHY? 시리즈』와 『살아남기 시리즈』를 한편씩 선정하였다. 연구 대상의 경우 설문 조사는 초등학생 3~6학년 244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심층 면접은 3~6학년 아동 12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학습만화의 스토리텔링 방식을 알아보기 위해서 Ⅲ장에서는 스토리텔링 양식의 차이가 확연하게 드러나는 초기 작품을 대상으로 텍스트 분석하였다. 이 경우 학습자의 동일시를 고려한 인물 설정, 모험 이야기 속에 지식을 설명하는 이야기 구조, 학습만화의 매체언어를 분석의 기준으로 삼았다. 이를 바탕으로 Ⅳ장에서는 설문지와 심층면담을 통해 초등학생의 학습만화 스토리텔링 수용 양상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학습만화의 스토리텔링에 관한 텍스트 분석과 독자 반응 연구로 알게 된 교육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만화가 자유로운 독서 활동의 일환으로 아동의 독서 경험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므로, 교사는 바람직한 독서로 이끌어야 한다. 둘째, 학습만화는 교육적 효과성에 대한 어른들의 의구심에도 불구하고 스캐폴딩의 기능, 배경지식 확대 기능, 선행 경향성 자극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었으나 그 자체로 충분한 것은 아니다. 셋째, 교사는 학습만화 스토리텔링의 중요성과 차이를 인식하고, 학생에게 적절한 학습만화를 추천해야 한다. 넷째, 교사와 학부모는 학습만화에 대한 아동의 읽기 양상을 정확히 파악하고 다양한 문화 자원으로 존중해야 한다. 다섯째, 스토리텔링에 대해 인식하는 방식에서 연령별로 차이가 존재하므로 교재를 구성할 때에는 아동의 발달 단계를 고려해야 한다. 학습만화는 다양한 방식의 스토리텔링을 통해 초등학생에게 폭넓은 지식과 교양을 전수하는 자기주도적 학습 도구이자 중요한 읽기 자원으로 끊임없이 진화해 나갈 것이다. 다만, 학습과 관련하여 잠재하고 있는 학습만화의 교육적 가능성을 수업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스토리텔링에 관한 연구와 더불어 교육 실천과 적용을 통한 정교화 작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Its educational values have particularly gained more significance as practical knowledge becomes more and more important and constant learning has become a norm to obtain such knowledge according to social changes bringing about rapid advancement in both the quantity and quality of knowledge. Being popular among elementary school kids as a means of self-directed learning, learning cartoons adopt a unique storytelling mode to maintain balance between knowledge and fun. It's essential to have an accurate understanding of storytelling modes for learning cartoon texts created to stimulate children's interest in and concern with knowledge and promote their easy and fun learning.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text characteristics of the storytelling of learning cartoons and its educational values through the analysis of reader reactions. That is, it aimed to examine the differential nature of the storytelling modes for learning cartoons and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learning cartoons' storytelling through the multimodality of texts and pictures. After conducting a simple survey, reviewing bestseller lists, and analyzing questionnaires for children, the investigator chose the 『WHY?』 and 『Survival series』, which dealt with science, as the research texts. The subjects include 244 children in the third to sixth grade for the survey and 12 children in the third to sixth grade for in-depth interview. Chapter III examined the storytelling modes of learning cartoon texts through text analysis, and three analysis criteria were involved in the process; the first one was selecting characters by considering the learners' identification; the second one was the dual story structure of knowledge explanation in an adventure story; and the final one was a media language in learning cartoons of both texts and visual expressions. Based on them, I investigated the subjects' aspects of acceptance of learning cartoons' storytelling through a questionnaire and in-depth interview. In terms of the major research question, the result of the study suggested that there were five implications in the actual teaching evaluation. First, teachers could guide students to proper way of reading, for students accept learning cartoons as one of various reading activities. Second, learning cartoons work on scaffolding, expanding the scope of knowledge and motivating students to do good deeds, though adults still have questions about the effective ways of using learning cartoons in education. But learning cartoons are not enough for being capable educational method only by themselves. Third, teachers should know importance of storytelling and understand differences in stories when they are trying to suggest learning cartoons to their students. Forth, Teacher and Parents should grasp student's aspects of acceptance and respect learning cartoons as various cultural resources. And the final, teachers have to design text books according to students' development. Students understand storytelling in different ways by their ages. The learning cartoons have altered in a range of types as an self-directed learning designed to deliver broad knowledge and culture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literature resources. Lastly, it is impossible to comprehend the educational values of learning cartoons by evaluating teaching methods.

      • 보육교사가 인식한 교사-부모 파트너십과 어린이집 조직문화가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강현주 인천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variation in partnership with parents, organizational culture of nurseries, and teaching efficacy b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in childcare teachers, help form desirable partnership with parents, manage nurseries efficiently, and form organizational culture systematically, and improve teaching efficacy in childcare teachers. It intended to determine the variation in partnership with parents, organizational culture of nurseries, and teaching efficacy b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in childcare teachers, the relative impact of each variable, and the effects of partnership with parents perceived by childcare teachers and organizational culture of nurseries on teaching efficacy. Q1. Do partnership with parents, organizational culture of nurseries, and teaching efficacy differ b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in childcare teachers (institution type, age, children's age, service duration at the current institution, total career in teaching, education)? Q2. How are partnership with parents perceived by childcare teachers, organizational culture of nurseries, and teaching efficacy associated with one another? Q3. What is the relative impact of partnership with parents perceived by childcare teachers and organizational culture of nurseries on teaching efficacy?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270 childcare teachers at nurseries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The Caregiver-Parent Partnership Scale (for teachers), which had been manufactured by Ware, Barfoot, Rusher, and Owen (1995), adapted by Owen, Ware, and Barfood (2000), and translated by Ahn and Im (2011), was used to determine partnership with parents perceived by childcare teachers. The inventory developed by Cho and adapted by Song (2011) on the basis of the organizational culture types divided by Kimberly and Quinn (1984), by Mcgrath (1985), and by Denison and Spreitzer (1991) was used to measure organizational culture of nurseries. The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which had been jointly developed by Enochs and Riggs (1990), revised by Lee (1998), applied by Lee and Choi (2014) and Park (2015), and adapted to nursery teachers by Park (2016) for the purpose of the research, was used to measure teacher efficacy. For data analysis, an SPSS 22.0 program was used to estimate descriptive statistics, such as frequency, percentage, and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nd perform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artnership with parents differ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by institution type, service duration at the current institution, total career in teaching, and education among the general variables of childcare teachers, and organizational culture of nurseries differ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by institution type and age. Teaching efficacy differ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by age, service duration at the current institution, total career in teaching, and education. Teachers at national/public and employer-supported nurseries who worked for ≥10 years at the current institution, who had ≥10 years of career in teaching, and who were graduate school students or at higher education levels were better at partnership with parents. The teachers at national/public nurseries had a higher level of organizational culture of nurseries; those aged ≥41 had a higher level of developmental culture among the sub-factors for organizational culture. The teachers who were aged ≥41, who worked for ≥10 years at the current institution, who had ≥10 years of teaching career, and who were graduate school students or at higher education levels showed the highest level of teaching efficacy. Secon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among all the variables of partnership with parents perceived by childcare teachers, organizational culture of nurseries, and teaching efficacy. Third, as for the effects of partnership with parents perceived by childcare teachers and organizational culture of nurseries on teaching efficacy, 'interrelationship' among the sub-factors for partnership with parents and 'rational culture' among those for organizational culture significantly affected teaching efficacy. In conclusion, partnership with parents perceived by childcare teachers and organizational culture of nurseries affected teaching efficacy. Focusing on teaching efficacy, an important factor determining the qualit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that can help make a qualitative improvement in childcare at nurseries by developing a plan for improving teaching efficacy of childcare teachers through the formation of partnership with parents and more positive and rational organizational culture of nurseries. Key words: Childcare teacher, teacher-parent partnership, organizational culture of nursery, teacher efficacy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교사-부모 파트너십과 어린이집 조직문화와 교사효능감의 차이를 알아봄으로써 보육현장에서 바람직한 교사-부모 파트너십 형성과 어린이집의 효율적인 운영, 체계적인 조직문화 형성을 도와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을 높이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보육교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교사-부모 파트너십, 어린이집 조직문화, 교사효능감의 차이를 알아보고 각 변인 간의 상대적 영향력과 보육교사가 인식한 교사-부모 파트너십과 어린이집 조직문화가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문제 1. 보육교사의 일반적 특성(기관유형, 교사연령, 담당연령, 현 기관 근무기간, 총교사경력, 최종학력)에 따라 교사-부모 파트너십, 어린이집 조직문화, 교사효능감에는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2. 보육교사가 인식한 교사-부모 파트너십, 어린이집 조직문화, 교사효능감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3. 보육교사가 인식한 교사-부모 파트너십과 어린이집 조직문화가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에 위치한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보육교사 27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보육교사가 인식한 교사-부모 파트너십을 알아보기 위하여 Ware, Barfoot, Rusher와 Owen(1995)이 제작하고 Owen, Ware와 Barfood(2000)이 수정·보완한 The Caregiver-Parent Partnership Scale(교사용)의 척도를 안선희와 임우영 (2011)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어린이집 조직문화 척도는 경쟁가치모형을 기반으로 Kimberly와 Quinn(1984), Mcgrath(1985), 그리고 Denison과 Spreitzer(1991)가 구분한 조직문화 유형을 기초로 하여 조인숙(2005)이 개발한 척도를 송지혜(2013)가 수정·보완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교사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하여 Enochs와 Riggs(1990)가 공동 개발한 과학 교수효능감 검사 도구(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를 이분려(1998)가 수정하고 이태영, 최현정(2014)과 박성혜(2015)가 사용한 척도를 연구 목적에 맞게 유치원 교사를 어린이집 교사로 수정하여 사용한 박현옥(2016)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등의 기술통계분석, t-test와 ANOVA 분석,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일반적 변인 중에 기관유형, 현 기관 근무기간, 총 교사경력, 최종학력에 따라 교사-부모 파트너십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어린이집 조직문화는 기관유형, 교사연령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교사 효능감을 살펴보면 교사연령, 현 기관 근무기간, 총 교사경력, 최종학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교사-부모 파트너십은 국공립, 직장 어린이집이 높게 나타났고 현 기관 근무기간 10년 이상, 총 교사경력 10년 이상의 교사가 높게 나타났으며 최종학력은 대학원 재학 이상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어린이집 조직문화는 기관유형에 따라 국공립 어린이집이 높게 나타났으며, 연령에 따라 조직문화의 하위요인인 개발문화가 41세 이상이 높게 나타났다. 교사효능감은 연령에 따라 41세 이상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현 기관 근무기간이 10년 이상, 총 교사경력 10년 이상 교사의 교사효능감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최종학력은 대학원 재학 이상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가 인식한 교사-부모 파트너십, 어린이집 조직문화, 교사효능감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세 변인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셋째, 보육교사가 인식한 교사-부모 파트너십과 어린이집 조직문화가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교사-부모 파트너십의 하위요인 중‘상호관계’가 교사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조직문화의 하위요인 중 ‘합리문화’가 교사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보육교사가 인식한 교사-부모 파트너십과 어린이집 조직문화가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유아교육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인 교사효능감에 주목하고, 교사-부모 파트너십 형성과 보다 긍정적이고 합리적인 어린이집 조직문화 조성을 통해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을 증진시키는 방안을 모색함으로써 어린이집 보육의 질적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주제어: 보육교사, 교사 부모 파트너십, 어린이집 조직문화, 교사효능감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