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과정생의 기관중심 아동 미술치료 실습 회기에서 수행한 부모상담 체험연구

        김지은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0687

        미술치료 장면에서 만나게 되는 내담 아동이 보이는 문제행동은 아동 개인의 문제만이 아니다. 아동이 속한 환경인 부모, 형제, 친구, 교사 등 복잡한 상호작용 속에서 발생한다. 그 중에서도 특히 부모는 아동에게 일차적인 환경을 제공하는 대상으로서 아동의 문제 행동의 완화와 소거를 위해서는 아동뿐만 아니라 부모에 대한 개입도 필요하다. 그러나 부모는 아동과 달리 성인으로, 미술치료사는 부모상담에서 아동 내담자와는 다른 어려움을 경험하기도 한다. 실제로 미술치료사의 아동 미술치료 체험 연구에서 치료사들은 부모요인으로 인해 부담을 느끼기도 하고, 부모를 아동과의 치료를 저해하는 요인으로 보기도 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부모는 아동 미술치료 과정에서 조력자로써 기능하며 치료 효과를 높이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부모가 조력자가 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치료사와 부모와의 관계가 중요하다. 기관중심 현장은 미술치료에 대한 수요가 높아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과정생이 접하기 쉬운 실습현장이기도 하다. 또한, 기관에서 가장 수요가 높은 연령은 아동으로 대부분의 기관중심 아동 미술치료 현장에서는 부모상담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전문적인 미술치료사가 되기 위한 훈련과정에 있는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과정생은 기관중심 아동 미술치료 현장에서 내담 아동의 보호자인 부모와의 상담과정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는지에 관한 이해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과정생의 기관중심 아동 미술치료 실습 회기에서 수행한 부모상담 체험에 대해 이해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과정생에게 기관중심 아동 미술치료 실습 현장에서의 부모상담과 관련한 기초적인 실습내용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과정생의 기관중심 아동 미술치료 실습 회기에서 수행한 부모상담 체험의 의미와 본질은 무엇인가?’ 이다.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과정생의 기관중심 아동 미술치료 실습 회기에서 수행한 부모상담에 대한 체험은 개별적이고 주관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양한 질적 연구 방법 중, 인간의 의식이 지향하는 현상 자체에 집중하고 그것을 기술하는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 단계는 체험의 본질에 집중, 실존적 조사, 해석학적 현상학적 반성, 해석학적 현상학적 글쓰기로 구성된 총 11단계를 밟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참여자는 서울, 경기 지역의 전문대학원과 특수대학원 5곳의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과정생으로, 석사 3학기생 4명, 4학기생 2명, 5학기생 3명 그리고 석사 수료 후 6개월 이내 2명으로 총 11명이다. 이들은 복지관, 지역아동센터, 건강가정지원센터, 발달센터, 심리치료기관 등에서 아동 미술치료 회기 후반에 10분 내외로 내담아동의 부모와 상담을 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2016년 5월부터 2016년 11월에 걸쳐 11명의 연구 참여자들로부터 아동 미술치료 회기에서 수행한 부모상담 체험에 대한 심층면담을 통해 수집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의 진술을 반성적 사고를 통해 분석한 결과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과정생의 기관중심 아동 미술치료 실습 회기에서 수행한 부모상담 체험에 대해 10개의 대주제와 28개의 하위 주제가 도출되었다. 연구결과는 <준비없이 맞이하게 된 부모상담으로 인해 두려움과 막막함에 휩싸임>, <아동을 맡길 수 있는 믿음이 가는 미술치료사가 되고자 애씀>, <부모상담을 통해 아동과 관련된 연결고리를 찾아감>, <부모의 무심한 태도로 인해 부모와의 만남이 답답하게 느껴짐>, <부모상담에서는 무엇보다 라포형성이 중요함을 깨달음>, <부모상담에서 백 마디 말보다도 아동의 그림이 유용하게 느껴짐>, <아동을 위한 치료여정에 부모가 함께 할 수 있도록 이끔>, <그럴 수밖에 없었던 부모의 상황이 이해되고, 노력하는 부모의 모습에 감사함을 느낌>, <부모상담에 관한 실제적인 교육의 필요성을 느낌>, <부모상담의 시작은 어려웠지만 한 단계 성장한 것 같아 뿌듯함> 이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과정생의 기관중심 아동 미술치료 실습 회기에서 수행한 부모상담 체험의 의미와 본질에 관한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관에서 아동 미술치료 실습 회기에서 부모상담을 하게 되는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과정생은 부모와의 만남에서 어려움을 경험하지만 아동의 치료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부모의 기대와 요구를 파악하여 부모와 신뢰로운 관계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함을 깨닫는다. 둘째,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과정생은 아동 미술치료 회기에서 수행하는 부모상담에 대해 불안감과 걱정이 많았으며 부모상담에 대한 실제적인 교육의 필요성을 느낀다. 셋째, 아동 미술치료와 부모상담을 병행하는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과정생은 아동의 미술작업을 통해 부모가 자녀를 이해하도록 도움으로써 미술치료의 효과를 체감하였다.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과정생의 기관중심 아동 미술치료 실습 회기에서 수행한 부모상담 체험에 대해 생생한 자료를 제공한 본 연구의 의의는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과정생들이 기관중심 아동 미술치료 실습 회기에서 수행한 부모상담 경험에 대한 이해를 높였다는 점이다.

      • 집단미술치료가 대학생의 지각된 스트레스, 정서표현 및 정서조절에 미치는 효과

        이슬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50687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가 대학생의 지각된 스트레스, 정서표현 및 정서조절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서울 소재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참여자를 모집하였다. 초기에는 실험집단 12명, 통제집단 12명으로 연구를 시작하였으나, 실험집단에서 중도탈락자 1명을 제외하여 최종적으로 23명의 자료가 연구에 활용되었다. 실험집단은 두 개의 집단으로 배정되었고, 각 집단은 주 2회 약 90분씩 총 16회기의 집단미술치료를 제공하였다. 통제집단은 미술치료적 개입을 하지 않았다. 집단미술치료 실시 전과 후 실험집단, 통제집단 모두에 지각된 스트레스 검사와 정서표현성 검사, 정서조절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 실시 후에 실험집단의 지각된 스트레스 수준이 유의미하게 감소된 반면, 통제집단은 사전-사후 지각된 스트레스 수준에 유의미한 변화가 없었다. 둘째, 집단미술치료 실시 전과 후에 실험집단의 정서표현 수준이 유의미하게 증가된 반면, 통제집단은 사전-사후 정서표현 수준에 유의미한 변화가 없었다. 셋째, 집단미술치료 실시 전과 후에 실험집단의 정서조절 수준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으며, 특히 하위차원 중 ‘자신의 정서조절’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고‘타인의 정서조절’요인에서는 사후검사 평균점수가 상승하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반면, 통제집단에는 사전-사후 정서조절 수준에 유의미한 변화가 없었다.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가 대학생들에게 지각된 스트레스 수준의 감소와 정서적 정보를 활용하여 건강한 정서 생활을 영위하는 데 유용한 심리적 지원 서비스임을 확인한 데에 의의가 있다. 주요어 : 집단미술치료, 대학생, 지각된 스트레스, 정서표현, 정서조절

      •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과정생의 ‘미술작업 중심 교과목’ 내에서 미술작업 체험 연구

        한경아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50687

        The graduate programs in art therapy are offered without any undergraduate programs. By combining fine arts and psychological therapy, art therapy distinguishes itself from other psychological therapeutic studies by using art as a medium to treat patients. Upon examination of the art therapy curriculum in the graduate program, there are more classes focusing on the theoretical approaches to art therapy and few classes focusing on the practical approaches to art therapy, which is directly linked to the actual practice of art therapy. This study attempts to deal with the experience of art-making in 'art therapy classes focusing on art-making', which best reflects the uniqueness of art therapy among the latter approaches. Among the curriculums offered in graduate program in Art Therapy, 'art therapy classes focusing on art-making' is the one that gives practical experience of 'art' to students; the following are examples of those courses; Creative Art Therapy, Art Therapy for Art Therapists, Art Therapy Techniques, Techniques and Use of Media, Use of Art in Group Therapy. Although 'art therapy classes focusing on art-making' deals with the uniqueness of Art Therapy and taking an important part in professional development of art therapists, relatively few courses are being offered in Korea compared to courses that take a theoretical approach. This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the awareness that the current curriculum for art therapy does not provide sufficient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actually create and experience art. The experience of art-making in the context of art therapy classes is an important and meaningful experience for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as it exposes the uniqueness of the discipline as well as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experti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to understand and comprehend the implications of the art-making experiences for graduate students in art therapy in the context of 'art therapy classes focusing on art-making', and raise awareness for the significance of art-making experience based on an in-depth analysis of the data. By applying Max van Manen's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a series of research procedures as described above using 11 steps, which consist of focusing on the nature of experience, exploring it as it is experienced, reflecting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understanding and writing interpretive phenomenological stud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discussions, pictures and journals. In-depth discussions were conducted from August 2013 to April 2014 until the data were saturated. 15 graduate students enrolled in their 2nd - 5th semester of art therapy programs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In the stage of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reflection, the participants derived 12 broad subjects and 31 sub-topics through analysis of in-depth discussions, pictures, journals and other materials. The 12 broad subjects are as follows; <Anticipation of taking art-making class as Art Therapy student>, <Hesitation to express oneself in Art-making class as it causes fear and anxiety>, <Being upset and sad when deep emotions were revealed despite the attempts to hide it>, <Being free from hardships through direct confrontation of the ‘inner self'>, <Keeping camaraderie with fellow Art Therapy students by supporting and guiding each other>, <The experience of art media and techniques constantly creates a link to the actual work field>, <Finding ways to connect with the patients and the meanings of their work as a trainee of Art Therapy>, <Excitement of enhancing one’s theoretical knowledge of art-making based on actual personal experience>, <Continuous exposure to art-making experience is fundamental for one’s development as professional art therapist as well for personal growth>, <Regrets and frustrations from not sharing one’s work and addressing the related emotions in-depth>, <Discovering and seeking for skills necessary for art therapy students>. In the stage of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writing, inputs provided by the participants, including statements, images and writings associated with images, were used to understand the meaning and essence of experiencing art-making classes in the context of 'art therapy classes focusing on art-making' for art therapy students. Based on the results shown in this study, three conclusions were made as follows. First, the art-making experience enables art therapy students to better understand themselves by expressing and navigating suppressed or unresolved feelings and take a different perspective in life. In the process, the uniqueness of art therapy can be appreciated where it actually allows internal communication sand internal changes through 'art' in the course of the art therapy. Second, the art-making experience causes students to realize that one’s personal growth is interconnected to professional development. It also provides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discover and pursue personal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on their own through self-analysis and voluntary art-making. Third, the art-making experience enables students to understand art media and techniques, the process of art-making. By integrating theoretical knowledge with actual concepts, students can actually practice these practical findings during on-site training, as well as overcome any difficulties in the future and continue developing their expertise. This study can contribute in the study of art therapy in the following ways. By providing basic data to further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art-making experience in the context of 'art therapy classes focusing on art-making',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further understanding of art-making experience and further raises awareness of its significance. In addition, this study provides a number of alternatives in the context of limited art-making classes offered in the art therapy curriculum, as well as suggestions to substitute art-making classes with expert group discussions, colloquiums and graduate-level workshops. Lastly,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미술치료학 전공은 학부 과정 없이 대학원 과정부터 개설되었다. 미술학과 심리치료학이 융합된 미술치료학은 미술을 매개로 한다는 측면에서 다른 심리치료학과 구분되므로, ‘미술’에서 고유성과 특수성을 찾을 수 있다. 그러나 국내 미술치료학 전공의 석사학위과정에 설치된 교과과정을 살펴보면, 대부분이 미술치료학에 대해 이론적으로 접근하는 교과목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어, 미술작업에 대한 실제적 접근과 실습 현장을 직접 연계할 수 있는 교과목은 제한적이다. 본 연구는 후자에 해당하는 부분 중에서도 미술치료학의 특수성을 가장 잘 반영하는 ‘미술작업 중심 교과목’ 내에서의 미술작업 체험을 다루고자 한다. 미술치료학 석사학위과정에 설치된 교과과정에서 ‘미술작업 중심 교과목’은 ‘미술’을 실제적으로 경험하게 되는 교과목이다. 창의적 미술치료 세미나 또는 창의적 미술치료, 미술치료사를 위한 미술치료, 미술치료기법 연구, 미술치료매체 연구 또는 미술매체 연구, 집단미술치료 등이 대표적이다. ‘미술작업 중심 교과목’이 학문의 고유성을 다루고 미술치료사로서의 전문성 발달에 중요한 부분을 차지함에도 불구하고, 이론적 접근을 하는 교과목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소수가 운영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현실을 고려하여, 실제적 미술작업 경험을 제대로 할 수 없는 현 교과과정에 대한 문제의식을 갖고, 미술치료학 전공생으로 하여금 미술치료학의 고유성을 경험하게 하고, 전문성을 발달시키는데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미술작업 중심 교과목’ 내에서 미술작업 경험이 어떠한 의미가 있는지 살피고자 연구를 시작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과정생의 ‘미술작업 중심 교과목’ 내에서의 미술작업 경험이 어떠한지 그 체험의 본질적 의미를 밝혀내고, 심층적 이해를 돕는 기초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미술작업 경험의 중요성을 알리는 데 있다. 본 연구는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적 방법론을 적용하여, 체험의 본질에 집중, 경험한 그대로의 탐구, 해석학적 현상학적 반성, 해석학적 현상학적 글쓰기로 구성된 총 11단계의 연구 절차 순으로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심층면담 자료와 이미지, 이미지와 관련된 글 등에서 수집되었다. 그 중 심층면담은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과정 2학기에서 5학기 재학 중인 석사학위과정생 15명을 대상으로, 2013년 8월부터 2014년 4월 사이의 기간 동안 이루어졌다. 해석학적 현상학적 반성 단계에서 참여자들의 심층면담 및 그림, 저널 등의 자료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12가지 대주제와 31가지의 하위주제를 도출하였다. <미술치료학 전공생으로서 미술작업 경험을 할 수 있다는 기대감>, <수업에서 다루는 미술작업은 두려움과 불안함을 일으켜 표현을 망설이게 함>, <감정을 애써 참았지만 가슴이 뭉치는 아픔과 표현하지 못한 후회스러움>, <필사적으로 가리려 했던 찢겨진 마음이 들추어져 속상하고 울컥함>, <‘내면의 나’를 명확하게 보고 힘겨움에서 벗어나 자유로워짐>, <동료는 서로 지지하고 비춰주며 끝까지 함께 가는 미술치료 동지로 남음>, <미술매체와 기법의 경험은 실습 현장과 끊임없이 연결고리를 만듦>, <실습생으로서 내담자와 그들의 작업에 담긴 의미와 만나는 길을 찾음>, <실제적 경험이 다리가 되어 이론적 지식이 더욱 풍성해지는 짜릿함과 뿌듯함>, <지속적인 미술작업 경험은 개인적인 변화와 미술치료사의 성장에 밑거름이 됨>, <내 작업을 충분히 나누고 올라온 감정을 깊이 있게 다루지 못한 아쉬움과 답답함>, <미술치료학 전공생으로서 필요한 것들을 발견하고 스스로 찾고자 함> 이상이다. 해석학적 현상학적 글쓰기 단계에서는 15명의 참여자들이 진술한 내용과 그들이 제공한 이미지, 그리고 이미지와 관련된 글을 바탕으로 ‘미술작업 중심 교과목’ 내에서의 미술작업 체험의 의미와 본질을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를 토대로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과정생의 ‘미술작업 중심 교과목’ 내에서의 미술작업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종류의 체험이라고 규정지을 수 있다. 첫째, 미술작업 경험은 미술치료학 전공생으로 하여금 억압하고 있거나 미해결된 감정을 표현하고 탐색하게 함으로써 자신을 보다 깊이 이해하고 이전과는 다른 삶의 자세를 갖게 하는 단초를 제공한다. 이 과정을 통해 전공생은 미술치료에서의 ‘미술’이 가진 인간 내면과의 소통 및 내적 변화의 추동이라는 치료적 특성을 체험함으로써 미술치료학에서 ‘미술’이 지닌 특수성을 인식하게 된다. 둘째, 미술작업 경험은 미술치료학 전공생에게 개인적 성장과 실습생으로서의 자기 각성이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음을 깨닫게 한다. 이러한 체험을 통해 전공생은 개인적·전문가적 성장을 위한 자기분석이나 자발적인 미술작업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자발적으로 방안을 찾게 된다. 셋째, 미술작업 경험은 미술매체와 기법, 미술작업 과정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이론적 지식과 개념을 통합한다. 이를 통해 미술치료학 전공생은 실습 현장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는 실제적 배움을 습득하고, 실습생이 가질 수 있는 어려움을 극복하며 더 나아가 전문성을 함양한다. 본 연구는 미술치료학 전공에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기여할 수 있다. ‘미술작업 중심 교과목’ 내에서의 미술작업 경험에 관한 심층적 이해를 돕는 기초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미술치료학 전공에서의 미술작업에 대한 이해를 돕고 그 중요성을 알린다. 또한 수강과목 개설 현황의 제한성을 감안해 볼 때, ‘미술작업 중심 교과목’ 내에서의 미술작업을 대체할 수 있는 가능한 방법을 모색하여 전문가 집단이나 학회 또는 대학원 차원에서의 워크샵 등의 다양한 형태로 미술작업이 다루어질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는 본 연구의 제한점에 대해 자평하였다.

      • 사이코사이버네틱 모델에 근거한 집단미술심리치료가 대학생의 지각된 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고유라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0687

        본 연구는 사이코사이버네틱 모델(Psychocybernetic Model of Art Therapy: PMAT)에 근거한 집단미술심리치료가 대학생의 지각된 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봄으로써, 미술심리치료적 개입이 대학생의 정신건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자는 서울 및 수도권 소재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1~4학년 대학생을 대상으로 PMAT에 근거한 집단미술심리치료를 실시하였다. 연구초반 18명의 대학생이 연구에 참여, 실험집단에 9명, 통제집단에 9명을 배치하였으나, 실험집단에서 1명의 중도 탈락자가 발생하여 최종적으로 실험집단 8명, 통제집단 9명, 총 17명의 자료가 연구에 활용되었다. 또한 연구에 앞서 IRB의 승인을 얻었으며, 참여자들에게 본 연구의 세부내용 및 위험사항 등에 대하여 사전 안내하고 동의를 받았다. PMAT에 근거한 집단미술심리치료 실시 전과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PSS)와 자아존중감 척도(RSES)를 실시, 실험집단에는 추가로 빗속 사람 그림(DAPR) 검사를 진행하였다. 실험집단에는 2017년 10월 12일부터 2017년 12월 28일까지 12주 동안 주 1회 90분씩 총 12회기의 PMAT에 근거한 집단미술심리치료를 진행하였다. 집단미술심리치료는 Nucho(2003)의 사이코사이버네틱 모델(Psychocybernetic Model of Art Therapy: PMAT)에 근거하여 전체 과정과 매 회기를 네 단계로 구조화하였고, 매 회기마다 사이코사이버네틱의 관점에서 개인의 self-system을 강화하고, 개선시킬 수 있는 구조화된 주제를 제공하였다. 통제집단에는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PMAT에 근거한 집단미술심리치료를 경험한 실험집단의 지각된 스트레스 점수가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둘째, PMAT에 근거한 집단미술심리치료를 경험한 실험집단의 자아존중감 점수가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셋째, PMAT에 근거한 집단미술심리치료를 경험한 실험집단의 사후 DAPR에서는 자원을 나타내는 보호물 및 보호 장치의 표현이 증가하였고, 인물표현에서는 인물의 위치나 크기가 보다 안정적으로 변화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PMAT에 근거한 집단미술심리치료가 대학생의 지각된 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사이코사이버네틱 관점의 집단미술심리치료가 대학생의 정신건강과 스트레스에 따른 심리·정서적 어려움을 돕기 위한 심리치료적 지원임을 검증한 것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the impact of art therapeutic intervention on mental health of University Students by examining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based on Psychocybernetic Model of Art Therapy (PMAT) on perceived stress and self-esteem for them. For this purpose researcher conducted Group Art therapy on University student currently enrolled from fresh man to senior. 9 students were assigned to Experiment Group and another 9 students to Control Group out of 18 research participants in total. Also, prior to the study, IRB approval was obtained, and participants completed informed consent with the knowledge of details pertaining to the study and the risks involved. The Experiment Group was provided with Group Art therapy based on PMAT which was structured into 4 phases proposed by Nucho(2003) once a week from Octobrt 12, 2017 to December 28, 2017 – total 12 sessions for 90 minutes. Art therapist(author) offered them structured subjects, in every sessions, that can highlight their various experiences that have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self-system from the psychopsybernetic perspective. Whereas the Control Group was not provided with any interventions. Both group were evaluated by Perceived Stress Scale(PSS) and Rosenberg Self-Esteem Scale(RSES) at the beginning and end of the study. Also, the Experiment Group were administerd Draw-a-person-in-the-Rain(DAPR) assess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fter the Group Art therapy based on PMAT, the perceived stress scores of the Experiment Group significantly decreased and the self-esteem scores of the Experiment Group increased. The Control Group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changes. Second, the DAPR of the Experiment Group showed increased the representation of the protect resources and detail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at the Group Art therapy based on PMAT is useful psychological support system for University Students by reducing their perceived stress level and also helping psychosocial development.

      • 사이코사이버네틱 미술치료 모델에 근거한 집단미술심리치료가 대학생의 자아정체감, 대인관계 및 자기표현에 미치는 효과

        황현주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50687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사이코사이버네틱 미술치료 모델에 근거한 집단미술심리치료가 대학생의 자아정체감, 대인관계 및 자기표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미술심리치료적 개입이 대학생들의 삶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 데에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서울 소재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1, 2학년 여대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39명으로 연구를 시작하였으나, 실험집단에서 1명, 통제집단에서 8명이 제외되어 최종적으로 30명의 데이터가 연구에 활용되었다. 실험집단에 15명, 통제집단에 15명이 배정되었으며, 실험집단에는 2015년 9월부터 11월까지 8주간 주 2회 총 16회기의 사이코사이버네틱 미술치료 모델에 근거한 집단미술심리치료를 실시하였다. 집단미술심리치료는 Nucho(2003)의 사이코사이버네틱 미술치료 모델에 근거하여 4단계의 구조화된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실험집단의 연구 대상자들은 매 회기 스스로 자유롭게 주제를 선택하거나 이전의 작업을 연속하여 진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기결정력이 증진될 수 있도록 하고 자기 자신을 탐색하고 표현하고 통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통제집단에는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다. 집단미술심리치료 실시 전과 실시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모두에게 한국형 자아정체감 검사, 대인관계 검사(Relationship Change Scale: RCS), 자기표현 검사(Assertive Behavior Assessment Scale: ABAS)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첫째, 사이코사이버네틱 미술치료 모델에 근거한 집단미술심리치료 실시 후 대학생의 자아정체감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둘째, 사이코사이버네틱 미술치료 모델에 근거한 집단미술심리치료 실시 후 대학생의 대인관계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셋째, 사이코사이버네틱 미술치료 모델에 근거한 집단미술심리치료 실시 후 대학생의 자기표현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실험집단의 자아정체감, 대인관계 및 자기표현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아진 반면, 통제집단의 자아정체감, 대인관계 및 자기표현 점수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사이코사이버네틱 미술치료 모델에 근거한 집단미술심리치료가 대학생의 자아정체감, 대인관계 및 자기표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사이코사이버네틱 미술치료 모델에 근거한 집단미술심리치료를 통해 대학생들이 정상적인 심리사회적 발달단계를 성실히 이행할 수 있도록 돕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해 제안을 논의하는 바이다. 주요어: 사이코사이버네틱 미술치료 모델, 집단미술심리치료, 대학생, 자아정체감, 대인관계, 자기표현

      •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과정생에 의해 수행된 알코올사용장애 환자의 집단미술치료활동 체험연구

        이정은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0671

        Alcohol use disorder is a disease with the highest prevalence rate among adult mental disorders in our country (Mang-jae Jo, 2011). However, among these, those that have used mental treatment services have exhibited a considerably low cure rate of 9.8%, and over 75% experienced recurrence within 3~4 months after discharge (Jung-sun Jang, 2011), heightening the need for therapeutic intervention. Currently, treatment for alcohol use disorder in our country generally takes the form of patient treatment in psychiatric closed wards, and various psychotherapies along with medication are being implemented for the purpose of recovery. Since alcohol use disorder patients experience difficulty in resolving negative emotions such as anger, rage, or depression due to their inability to appropriately express personal emotions or perceptions, group art therapy activities that use a variety of art mediums are considered to be a suitable method of treatment because they provide opportunities to patients to freely express their normally difficult emotions, perceptions, or thoughts. In addition, group art therapy activities allow alcohol use disorder patients to fully disclose their issues within a supportive and stable environment and recognize themselves and others objectively through interactive encounters with group members; the interpersonal skills acquired through such process helps hospital life and post-discharge social life. Examining advanced research in domestic art therapy targeting alcohol use disorder patients, art therapy raises the self-respect of patients (Kyung-soon Kim, Geun-mae Kim, 2004), improves stress-coping ability (So-young Jung, 2016), exerts positive effects on self efficacy for alcohol abstinence (Min-jung Kim, 2008), and is reported to help reduce depression (Hye-jung Kim, 2005) and interpersonal skills (In-ok Byun, 2009); thus, art therapy has been proven as one of the effective methods of treatments for alcohol use disorder. Although psychiatries in domestic general hospitals request for professional art therapists, the majority of art therapy master’s degree students serve as apprentices in the form of volunteerism (Si-nae Kim, Yeon-jip Jang, 2013). This indicates that alcohol use disorder patients in hospitals have many opportunities to encounter group art therapy activities performed by art therapy master’s degree students as well. Furthermore, as mentioned above, when examining advanced research on art therapy targeting alcohol use disorder patients, most research relates to the program’s effectiveness, which is why there is a need for empirical study on the vivid experiences of the patients during group therapy activities performed by art therapy master’s degree students. The objective of the following study is to understand the essence and meaning of the diverse experiences of alcohol use disorder patients who participated in the group therapy activities held by art therapy master’s degree students. The research question of the study is ‘What is the meaning of the lived experiences of alcohol use disorder patients regarding group art therapy activities performed by art therapy master’s degree students?’ The study participants consisted of 11 male patients and 2 female patients diagnosed with alcohol use disorder according to the DSM-5’s diagnostic criteria, who are currently receiving treatment at a total of 4 private mental hospital closed wards in the Seoul, Gyeonggi, Incheon, and Suwon region, and have participated in the group art therapy activities performed by 8 art therapy master’s degree students, making a total of 13 patients. The group art therapy activities were carried out by art therapy master’s degree students 1 hour per week, and the study participants were limited to patients who participated in at least 8 group therapy sessions within 6 months; data was collected after the art therapy activities had end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held from July until November 2016. In the following study, in order to fully contemplate the vivid phenomenon of group art therapy activities experienced by the alcohol use disorder patients and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subjective experiences from their point of view, data was analyzed following Max van Manen’s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and 10 essential topics and 30 sub-topics as shown below were derived.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e essential topics discovered during the experiential procedure of alcohol use disorder patients during the group art therapy activities performed by art therapy master’s degree students are as follow. <Participate in group art therapy activity with different mindsets>, <group art therapy activity serves as an emotional outlet for mundane hospital life>, <feeling of returning to childhood innocence and nostalgia for parents through recollection of childhood past>, <feels sense of accomplishment from completed art work after initial frustration of not knowing how to draw>, <remains cautious of conflict occurrence but feels mutual sympathy within a family-like fence>, <discloses alcoholic self and personal life during group art therapy sessions>, <rediscovers different sides to the self and others through art work>, <feels thankful towards family despite feelings of hate and anger>, <feels thankful and earns positive support from the genuine words and actions of apprentices>, <has simple dreams and hopes for the future although afraid>. The conclusion drawn from the essential topics shown above, phenomenological data, and writing are as follows. First, to the study participants, group art therapy activity is a time for freely expressing and resolving internally oppressed negative emotions as well as the frustration and rage felt during hospital life through a visual and linguistic perspective, and serves as a vitalizing force for meaningless and boring ward life. Second, the study participants formed homogeneity and intimacy during art work activity by interacting with group members through images. Within a supportive and embracing group, they openly express their inner thoughts through art and are comforted and empowered through the empathetic words and actions of the group members and apprentices. Third, to the study participants, group art therapy activity is an experience for realizing the importance of family by allowing them to go of their anger, hatred, and grudge, and by helping them better understand others. Fourth, through group art therapy, the study participants view their past alcohol behaviors objectively and rediscover newfound sides to themselves as well as others, build a sense of accomplishment and confidence by completing art work, discover their own positive resources, and find hope for the futur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heightened the collective understanding of the lived experiences of alcohol use disorder patients during group art therapy activities run by art therapy master’s degree students. In the realistic aspect, it aims to aid understanding by providing information regarding group art therapy activities performed by art therapy apprentices on alcohol use disorder patients within the hospitals, and to provide a basic resource for training and education to art therapy apprentices facing on-field practice by raising their understanding of the group art therapy activity intended for the alcohol use disorder patients that they will encounter on the site of clinical art therapy. 알코올사용장애는 우리나라 성인 정신질환 중에서 평생 유병률이 가장 높은 질병이다(조맹제, 2011). 그러나 이들 중 정신의료 서비스를 이용한 사람은 9.8%로 상당히 낮은 치료율을 보이며, 퇴원 후 3~4개월 안에 75%이상이 재발하는 것으로 나타나(장정선, 2011) 치료적 개입이 시급하다. 현재 국내의 알코올사용장애를 위한 치료는 보편적으로 정신과 폐쇄병동의 입원치료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약물치료와 병행해 회복을 위한 다양한 심리치료가 시행되고 있다. 알코올사용장애 환자들은 자신의 감정이나 느낌을 적절하게 표현하지 못하여 분노나 화, 우울 등의 부정적 정서를 해소하는데 어려움을 겪기 때문에, 다양한 미술매체를 사용하는 집단미술치료활동은 알코올사용장애 환자들이 평소에 다루기 힘든 감정과 느낌, 생각 등을 자유롭게 표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적합한 치료방법이라 사료된다. 또한 집단미술치료활동을 통해 알코올사용장애 환자는 집단의 지지적이고 안정된 분위기 속에서 자신의 문제를 솔직하게 드러낼 수 있으며 집단 구성원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자신과 타인을 객관적으로 인식하게 되는데, 이를 통해 습득한 대인관계기술은 병원생활과 퇴원 후 사회생활에 도움이 된다. 국내 미술치료학에서 알코올사용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미술치료는 알코올사용장애 환자들의 자아존중감을 높여주고(김경순, 이근매, 2004), 스트레스 대처능력(정소영, 2016)을 향상시키고 단주효능감에 긍정적인 효과(김민정, 2008)를 주며, 우울 감소(김혜정, 2005)와 대인관계 기술(변인옥, 2009)에 도움이 된다고 보고되어 미술치료가 알코올사용장애 환자에게 효과적인 치료방법 중의 하나로서 입증되고 있다. 현재 국내 종합병원의 정신과에서는 전문적인 미술치료사의 요구는 있으나, 아직까지 대부분은 미술치료학 석사학위과정생이 자원봉사의 형태로 실습을 하는 비율이 높은 실정이다(김시내, 장연집, 2013). 이는 병원에 입원한 알코올사용장애 환자들 역시 미술치료학 석사학위과정생이 수행한 집단미술치료활동을 접할 기회가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알코올사용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한 미술치료학의 선행 연구들을 살펴보면,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다룬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과정생이 수행한 집단미술치료 활동을 통해 알코올사용장애 환자들의 목소리를 생생하게 들을 수 있는 체험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과정생이 수행한 집단미술치료활동에 참여한 알코올사용장애 환자들의 다양한 경험의 본질과 그 의미를 이해하는 것이며, 본 연구의 문제는‘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과정생에 의해 수행된 알코올사용장애 환자의 집단미술치료활동 체험의 의미는 무엇인가?’이다. 본 연구의 연구참여자는 DSM-5의 진단기준에 의해 알코올사용장애로 진단받고 서울, 경기, 인천, 수원 지역의 총 4개의 사립정신병원 폐쇄병동에서 입원치료 중이며 미술치료학 석사학위과정생 8명이 수행한 집단미술치료활동에 참여한 남성 환자 11명, 여성 환자 2명으로 총13명의 환자들이다. 집단미술치료활동은 주 1회 1시간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과정생 에 의해 수행되어졌고, 연구참여자는 집단미술치료활동에 최소 8회기 이상 참여한 환자들로 경험은 6개월 이내로 제한하였으며, 자료 수집은 미술치료활동이 종료된 후 2016년 7월부터 11월까지 심층면담을 통하여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는 알코올사용장애 환자가 경험하는 집단미술치료활동의 생생한 현상을 알고 그들의 입장에서 주관적인 체험의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서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통하여 자료를 분석하였고, 다음과 같이 총 10개의 본질적 주제와 30개의 하위주제를 도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과정생에 의해 수행된 알코올사용장애 환자의 집단미술치료활동 체험 과정 중에 나타난 본질적 주제는 다음과 같다. <각양각색의 마음을 가지고 집단미술치료활동에 참여함>, <집단미술치료활동은 답답한 병원생활의 마음의 탈출구가 되어줌>, <어린 시절의 회상으로 부모님에 대한 그리움과 동심으로 돌아간 느낌>, <어떻게 그려야 할지 모르는 막막함에서 어느새 완성된 작품으로 성취감을 느낌>, <갈등상황이 생길까 조심스럽지만 가족같은 든든한 울타리 안에서 동변상련을 느낌>, <술독에 빠졌던 나와 내 삶을 집단미술치료활동 시간에 꺼내놓음>, <미술작품을 통해 나와 타인의 새로운 모습을 재발견함>, <밉고 화나지만 그래도 내 옆에 있어주는 가족들이 고마움>, <실습생의 진심어린 말과 행동에 고마움을 느끼고 긍정적인 말에 힘을 얻음>, <두렵지만 소박한 꿈을 꾸며 미래에 대한 희망을 가짐> 위와 같이 도출된 본질적 주제와 현상학적 자료, 글쓰기 등을 통해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에게 집단미술치료활동은 내면에 억제된 부정적인 감정들과 병원생활에서 느끼는 답답함과 분노를 시각적·언어적으로 자유롭게 표출하여 해소하는 시간이며, 무의미하고 지루하게 느끼는 병동생활에서 활력소가 되는 경험이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은 미술작업활동에서 집단 구성원들과 이미지로 상호소통하며 동질감과 친밀감 형성하였고, 지지적이고 수용적인 집단 안에서 미술을 통해 자신의 속마음을 솔직하게 표현하였으며 집단 구성원과 실습생의 공감어린 말과 행동에 위로를 받고 힘을 얻는 경험을 한다. 셋째, 연구 참여자들에게 집단미술치료활동은 가족에 대한 분노, 미움, 원망들을 풀어내고 상대방의 입장을 이해하도록 도와주어 가족에 대한 소중함을 깨닫게 해주는 경험이다. 넷째, 연구 참여자들은 집단미술치료활동을 통해 알코올에 중독되었던 과거 자신의 모습을 객관적으로 바라보고 미처 발견하지 못했던 자신과 타인의 새로운 모습을 재발견하며, 미술작품을 완성해봄으로 성취감과 자신감을 고취시키며 자신의 긍정적 자원을 발견하여 미래에 대한 희망을 갖게 되는 체험이다. 본 연구는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과정생에 의해 수행된 알코올사용장애 환자들의 집단미술치료활동의 경험에 대해 총체적인 이해를 높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실제적 측면에서는 알코올사용장애 환자에게 병원 내에서 이루어지는 미술치료학 실습생이 수행한 집단미술치료활동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이해를 돕고, 학문적인 측면에서는 현장실습을 앞둔 미술치료학 실습생에게 임상미술치료 현장에서 만나는 알코올사용장애 환자들을 위한 집단미술치료활동에 대한 이해를 높여 실습준비를 위한 훈련 및 교육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미술치료사의 오픈 스튜디오 프로세스 (OSP) 체험에 대한 혼합연구

        박주연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5067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Open Studio Process (OSP) on art therapists' self-efficacy, self-care, and art-based-intervention for art therapists, and meaning of OSP experienced by art therapists. In order to find this out, an intervention mixed research method was used. Art therapists learn the therapeutic function and interaction of art media through theory and experience, but they cannot be said to know this without experience in art work. Art therapy requires direct experience of art work. Art therapists who have acquired the therapeutic function of media and art work through experience meet clients with the identity and expertise of an art therapist. OSP is a process of self-direction and determination for personal growth that includes free, creative art work and writing as if working in an artist's studio. Art work proceeds while keeping the five structures of OSP: Intention, Art making, Witness Writing, Reading and Discussion (Allen, 2005). This study aims to provide art therapists with the necessary art methods as OSPs, and to investigate how this experience affects art therapists. To this end, the art therapist's self-efficacy and self-care measurement tools were used to compare the OSP effectiveness, and in the quantitative research the change of art-based-intervention was confirmed. In addition,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Mixed Research Method using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at explored the essence of the experience study of the OSP experience experienced by art therapist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40 art therapists who obtained a master's degree or higher in art therapy, and 20 people were randomly assigned to two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For the experimental group, OSP was conducted once a week, 120 minutes, for a total of 6 times, from June to November 2021 through the online conference program (Zoom), and no OSP was presented to the control group. The researcher performed the Creative Arts Therapist Self-Efficacy Scales (CAT-SES) and Korean Self-Care Assessment for Psychologists (K-SCAP) in the experimental group before OSP started, and the same post-test was performed after completing 6 OSPs. The control group performed pre and post tests at the same time and with the same scale as the experimental group without providing OSP.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8.0 program to compare the pre and post tests of the two groups. Art-based-intervention (ABI) questionnaires were compared within groups after pre and post administration of 13 participants in OSP. To find out the meaning of OSP experience, post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OSP participants, and data such as recording files, work images, writing materials, and research journals were analyzed through a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As a result of the quantitative study, first, the Creative Arts Therapist Self-Efficacy Scales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improved after OSP was implemented, and the difference in score with the control grou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he Korean Self-Care Assessment for Psychologists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improved after OSP was implemented, but the score difference between the control group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the Art-Based-Intervention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who experienced OSP improved, and the score chang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Qualitative research results were classified into a total of 6 upper categories and 15 subcategories. The upper categories of OSP experience of art therapists are <OSP structure and rules give me a sense of stability and focus on me>, <allowing yourself to take care of yourself in the rest of your busy daily life>, <relationship with uncomfortable art has changed>, <staying and expressing as it flows and meeting the personality>, <writing recognizes the direction of life and listens to images>, and <Confident in art and newly recognized the role of art therapist>. The conclusions drawn by combining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tudie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OSP conducted for art therapist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elf-efficacy of art therapists. Art therapists who have moved away from art work have changed their relationship with art through the OSP experience, and have become more confident in suggesting art that can be used as a tool in therapy to clients. This is an important part for establishing identity and professionalism as an art therapist, and it was confirmed again that the experience of art handled by an art therapist should be included in the professional competency and development of an art therapist. Second, OSP conducted for art therapists did not show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self-care changes of art therapists. Art therapists experienced unspoken acceptance in the OSP experience, which allowed them to fully focus and reflect on themselves. The full acceptance and support experienced by art therapists in the OSP made the role of the therapist who accepted and shared the client as it was without evaluating the client in the clinic. This experience led to a change in the role and perception of the art therapist about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environment provided to clients in art therapy. Third, it was found that the OSP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art-based-intervention change of art therapists. In particular, they were able to recognize the feelings and thoughts that occurred during the art process and confirmed the change in their emotions and perceptions of creative expression during the work process. The qualitative analysis also revealed that art therapists were able to deeply explore and stay in the medium during the OSP process, touch their emotions, experience the joy of creative expression, and reflect on their work process. The fact that art therapists experienced materials in the art work process through OSP experience and became aware of their feelings and thoughts helped to enhance their understanding of art in art therapy, which is art that explores, expresses, and has insight into themselves in the process. This broadened the art therapist's perspective on the client's art work in art therapy clinical practice.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mixed study using various data to examine the effects and experiences of the OSP on art therapists. While most studies on art therapists have been qualitative research and have explored the essence of their subjective experiences, this study aims to secure objective evidence by selecting measurement tools related to art therapists' professional competency. A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together to explore the meaning of experience. This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be used as useful data for researchers who conduct mixed research related to art therapy in the future, and it is academic significance in that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professional growth and training of art therapists by providing data on how art therapists experience art work. 본 연구는 미술치료사를 대상으로 오픈 스튜디오 프로세스(Open Studio Process: 이하 OSP)가 미술치료사의 자기효능감과 자기돌봄, 미술중재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미술치료사들이 체험한 OSP 의미가 어떠한지 알아보기 위하여 중재 혼합연구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미술치료사들은 이론과 체험을 통해 미술 매체의 치료적 기능과 상호작용을 습득하지만, 미술작업에 대한 경험 없이 이를 안다고 할 수 없다. 미술치료는 미술작업의 직접적인 경험이 필수적이다. 매체와 미술작업에 대한 치료적 기능을 경험을 통해 체득한 미술치료사는 미술치료사의 정체성과 전문성을 가지고 내담자를 만나게 된다. OSP란 마치 화가의 작업실에서 작업하듯이 자유롭고 창의적인 미술작업과 글쓰기가 포함된, 개인 성장을 위한 자기 주도성과 결정력을 가지는 과정이다. OSP는 의도와 목적(Intention), 미술작업(Art making), 바라보며 글쓰기(Witness Writing), 소리 내어 읽기(Reading)와 간단한 나눔(Discussion)의 5가지 구조를 지키며 미술작업이 진행된다(Allen, 2005). 본 연구에서는 미술치료사들에게 필요한 미술 방식을 OSP로 제공하고, 이 경험이 미술치료사에게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미술치료사의 자기효능감, 자기돌봄 측정 도구를 사용하여 OSP의 효과성을 비교 검증하고, 미술중재인식 변화를 확인하는 양적 연구 접근과 미술치료사들이 경험한 OSP 체험이 어떠한지 체험 연구의 본질을 탐색하는 질적 연구 방법을 사용한 혼합연구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대상은 미술치료 전공 석사 이상 학위를 취득한 미술치료사로 모집된 40명을 실험집단, 통제집단 두 집단으로 각각 20명씩 무선 배치하였다. 실험집단에는 비대면 화상회의 프로그램(Zoom)을 통해 2021년 6월부터 11월까지 주 1회 120분, 총 6회의 OSP를 진행했으며 통제집단에는 OSP가 제시되지 않았다. 연구자는 실험집단에 OSP 시작 전 예술치료사 자기효능감 척도(CAT-SES), 한국판 상담자 자기돌봄 척도(K-SCAP)를 실시하였고 6회의 OSP를 마친 후에 동일한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통제집단은 OSP 제공 없이 실험집단과 비슷한 시기, 동일한 척도로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두 집단의 사전·사후 검사 비교를 위하여 SPSS 2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미술중재인식(ABI) 질문지는 OSP에 참여한 13명에게 사전·사후 실시 후 집단 내 비교하였다. OSP 체험의 의미를 알아보기 위해 OSP 참여자를 대상으로 사후 인터뷰를 진행하였고, 질적 사례연구 방법을 통해 사후 인터뷰 녹취 파일, 작품 이미지, 글쓰기 자료, 연구 일지 등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양적 연구결과 첫째, OSP 실시 후 실험집단의 예술치료사 자기효능감 점수는 향상되었으며, 이는 통제집단과의 점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둘째, OSP 실시 후 실험집단의 한국판 상담자 자기돌봄 점수는 향상되었으나, 통제집단 간 점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OSP를 경험한 실험집단의 미술중재인식 점수는 향상되었으며, 점수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질적 연구결과는 총 6개의 상위범주와 총 15개의 하위범주로 분류되었다. 미술치료사의 OSP 체험의 상위범주는 <OSP 구조와 규칙이 안정감을 주고 나에게 집중하게 함>, <바쁜 일상이 멈춰지는 쉼 속에서 자신을 허용하며 돌보게 됨>, <불편한 미술과 나의 관계가 변화됨>, <머무르고 흐르는 대로 표현하며 나다움을 만남>, <글쓰기가 삶의 방향을 인식하고 이미지에 귀 기울이게 함>, <미술에 대한 확신과 미술치료사 역할을 새롭게 인식함>이다.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를 종합하여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사를 대상으로 진행된 오픈 스튜디오 프로세스(Open Studio Process: OSP)는 미술치료사들의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미술작업과 멀어진 미술치료사들이 OSP 체험으로 미술과 관계가 변하였고, 치료에서 도구로 활용하는 미술을 내담자에게 제안하는데 확신을 가지게 하였다. 이는 미술치료사로서 정체성과 전문성 확립을 위해 중요한 부분이며, 미술치료사의 전문적 역량과 발달에 미술치료사가 다루는 미술에 대한 경험이 포함되어야 함을 다시 확인하게 되었다. 둘째, 미술치료사를 대상으로 진행된 오픈 스튜디오 프로세스(Open Studio Process: OSP)는 미술치료사들의 자기돌봄 변화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OSP를 경험한 참여자들의 진술을 통해 자기돌봄의 경험을 확인할 수 있었다. 미술치료사들은 OSP 체험에서 아무런 언급 없는 수용을 경험하였고, 이는 자신에게 온전히 집중하며 자신을 돌아보게 해주었다. OSP에서 미술치료사들이 직접 체험한 온전한 수용과 지지의 경험은 임상에서 내담자를 평가하지 않고 존재 그대로 수용하고 함께해주는 치료사의 역할을 생각하게 해주었다. 이러한 체험은 미술치료에서 내담자에게 제공하는 물리적, 심리적 환경에 대한 미술치료사의 역할과 인식의 변화를 경험하게 하였다. 셋째, 오픈 스튜디오 프로세스(Open Studio Process: OSP)를 경험한 미술치료사의 미술중재인식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미술 과정 중에 발생하는 느낌과 생각을 인식하게 되었고, 작업 과정 중 자신의 감정 변화와 창의적 표현에 대한 인식 변화를 확인하였다. 이는 미술치료사들이 OSP 과정에서 매체를 깊이 있게 탐색하고 머무르게 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자신의 감정에 맞닿고 창의적 표현의 즐거움을 경험하고 작업 과정을 스스로 성찰할 수 있었음을 질적 분석을 통해서도 알 수 있었다. 미술치료사들이 OSP 체험으로 미술작업 과정에서 재료를 경험하고, 느낌과 생각을 인식하게 된 것은 과정에서 자신을 탐색하고 표현하고 통찰하는 미술이라는 미술치료에서의 미술에 대해 이해를 높이는 데 도움을 주었다. 이는 미술치료 임상에서 내담자의 미술작업을 바라보는 미술치료사의 관점과 시각을 넓게 해주었다. 본 연구는 오픈 스튜디오 프로세스(Open Studio Process: OSP)가 미술치료사에게 미치는 영향과 체험을 살펴보기 위해 다각적인 자료를 활용한 혼합연구로 수행하였다. 이는 미술치료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대부분 질적 연구로 진행되어 그 주관적 체험의 본질을 탐색해 온 것에 비해 본 연구에서는 미술치료사의 전문적 역량과 관련된 측정 도구를 선별하여 객관적 근거를 확보하고자 함과 동시에 그 체험의 의미를 탐색하고자 질적 연구를 함께 진행하였다. 이는 향후 미술치료와 관련한 혼합연구를 진행하는 연구자들에게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미술치료사가 미술작업을 어떻게 경험하고 있는가에 대한 자료를 제공하여 미술치료사의 전문적인 성장과 훈련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학문적 의의가 있다.

      • 양육시설 청소년의 집단 미술치료 체험연구

        김미정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50671

        The objective for this study is to understand essence and meaning of experience in group art therapy of institutionalized adolescents. In order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experience in group art therapy for institutionalized adolescents, this study was incorporated four steps of Max van Manen's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study method as following: ‘turning to the nature of lived experience’, ‘existential research’,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reflection’, and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writing’. The study's participants were recruited through public announcement for adolescents recruit who wish to have group art therapy from institutions in Seoul and In-cheon.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total 10 group art therapy sessions from January to March in 2008. And all data was collected from the end of March, when the study ended, to April in 2008, about personal notes and art collections from in-depth interviews. The interview data was collected until fully finished. Not only data from the participants was collected, but also all institutionalized adolescents related novels and art works were gathered for reference. Various topics were drawn rom analysis of the participants' statements. And these topics were categorized as each of sub themes under five main themes of following : <I don't want to do it though I said I did>, <So much fun to make>, <My true self through art works>, <Receiving healings and comforts>, <changes from empowered myself > Through this, we can conclude about the essence and meaning of group art therapy for institutionalized Adolescents as following. First, institutionalized adolescents were comforted and stabilized through the group art therapy. The soft atmosphere and soft touch of art objects brought comfort to their unsettled hearts. Second, institutionalized adolescents were able to express their thoughts and feelings through this group art therapy. Especially, this therapy enabled them to express freely suppressed inner feelings and to feel catharsis. Also through this process, they were able to receive help to control their feeling and actions. Third, institutionalized adolescents were able to confront their true selves through the group art therapy. They could confront not only their wounded hearts, but also their hearts full with hope and dreams that have not died away. Forth, institutionalized adolescents were empowered positively to lead more independent life through the group art therapy. 본 연구의 목적은 양육시설 청소년의 집단미술치료 체험의 본질과 의미가 무엇인지 이해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양육시설에 거주하는 청소년이 경험한 집단미술치료 체험의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적 질적 연구방법인 ‘체험의 본질에 집중’, ‘체험탐구’, ‘해석학적 현상학의 반성’, ‘해석학적 현상학의 글쓰기’의 4단계를 적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서울과 인천에 있는 양육시설에 집단미술치료를 원하는 청소년을 모집한다는 공고를 통해 선정되었고 총 9명으로 평균 8년 동안 시설에 거주하고 있는 중학교 2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까지, 만 14-18세 청소년이다. 참여자들은 2008년 1월부터 3월까지 총 10회기로 집단미술치료를 경험하였고, 이들을 대상으로 집단미술치료가 종료된 시점인 2008년 3월 말부터 4월까지 심층면담과 회기별로 기록한 개인별 회기 노트, 미술작품 등을 수집하였으며 면담자료는 자료가 포화될 때까지 얻어내었다. 연구 참여자로부터의 자료수집뿐만 아니라 양육시설 청소년과 관련된 문학 및 예술작품도 분석 시 참조하기 위해 수집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의 진술을 분석한 결과 여러 개의 주제들이 도출되었으며, <한다고는 했지만 하기 싫어요>, <만드는 게 이렇게 재미있다니>, <작품을 통해 만난 솔직한 내 모습>, <상처가 아물어가고 마음이 편안해짐>, <힘이 생긴 난에게 찾아온 변화>의 5가지 대주제 아래 각각 하위주제들로 본질적 주제를 범주화하였다. 첫째, 양육시설 청소년은 집단미술치료 체험을 통해 심리적으로 더욱 안정되었다. 집단미술치료의 편안한 분위기와 미술재료의 부드러운 촉감은 좀처럼 가라앉지 않았던 마음들을 차분하게 해주었다. 특히, 흙과 밀가루가 주는 부드러운 촉감은 여성의 부드러운 이미지를 떠올리기도 했으며, 미술치료가 주는 편안함은 따뜻한 이불 속에서 잠드는 것과 같다고 하였다. 둘째, 양육시설 청소년은 집단미술치료 체험을 통해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솔직하게 표현할 수 있었다. 특히, 억압된 내면 감정들을 자유롭게 표출함으로서 카타르시스를 느낄 수 있도록 해주었고 이런 과정을 통해 자신의 감정과 행동을 조절할 수 있도록 도움을 받을 수 있었다. 양육시설 청소년에게 자신에 대해 생각하는 시간과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솔직하게 표현하는 시간은 서툴고 어색한 시간이었다. 그렇지만 집단미술치료 체험은 그 과정을 자발적으로 양육시설 청소년들이 참여하도록 이끌어주었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은 양육시설 청소년들이 억눌러왔던 분노를 안전한 방식으로 분출할 수 있도록 해주었다. 셋째, 양육시설 청소년은 집단미술치료 체험을 통해 자신의 솔직한 모습을 바라볼 수 있었다. 그들은 상처받고 힘들어 하는 모습뿐만 아니라 여전히 순수하게 남아있는 마음, 곧 희망과 꿈을 가진 자신의 모습도 발견할 수 있었다. 양육시설 청소년들은 집단 구성원들의 지지를 통해 힘들어하고 아파하는 자신을 돌볼 수 있었고, 미술과정을 통해 미처 알고 있지 못했던 자신의 긍정적인 모습을 발견하며 스스로 힘을 북돋을 수 있었다. 또한, 집단 구성원과의 작품 나눔은 집단 구성원에 대한 이해능력을 높여주어 함께 생활하는 형, 동생과 선생님과의 관계를 개선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다. 넷째, 양육시설 청소년은 집단미술치료 체험을 통해 주체적이고 독립적인 삶을 살 수 있도록 긍정적인 힘을 얻을 수 있었다. 집단미술치료 체험은 양육시설 청소년들에게 자신감을 부여해 줌으로서 앞으로 펼쳐질 삶을 기대하게 되었고, 열심히 살겠다는 의지를 다지게 해주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