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다점포 푸드서비스 기업의 효율성 측정에 관한 연구

        박주연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다점포 푸드서비스 기업의 효율성 측정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조리외식경영학과 외식경영전공 박주연 본 연구는 다점포 푸드서비스 기업의 성과 측정을 위해 경영과학 기법인 DEA(data envelopment analysis)를 도입하여 효율성을 측정하고, DEA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수를 파악하여 효율성을 개선하기 위한 운영 제안을 하고자 하였다. 분석 자료는 위탁급식 점포 342개를 대상으로 2008년 10월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DEA 모델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최종 312개(A세트) 점포의 자료를 활용하였고,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도출하기 위해서 260개(B세트) 점포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DEA 효율성을 계산하기 위한 산출변수로는 매출, EBITDA, 고객만족도를 사용하였고, 투입변수로는 재료비, 인건비, 경비를 선정하였다. 점포의 운영변수들은 4가지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메뉴요인은 메뉴수, 식수오차율, 발주정확도, 로스율, 재고율을 포함하고, 인적요인은 환산인원수, 근무시간, 정직원 비율, 파출비율을 포함하였다. 계약요인은 코너수, 배식형태, 월식수(규모), 유형, 계약형태, 단가를 반영하였고, 생산시스템은 전처리야채 및 CK(central kitchen)상품 사용 정도를 반영하였다. DEA 효율성은 산출변수를 달리하여 2가지 모델로 분석하였으며 BCC와 CCR 투입지향 모형을 사용하였다. 1모델과 2모델 간에는 DEA 효율성에 차이가 없었으며 BCC와 CCR 모형 간에는 차이를 보였다. 전통적 노동생산성을 분석한 결과 1식당 소요시간은 7.1분, 환산인원당 식수는 62식, 근무시간당 식수는 9.8식을 나타냈다. 1식당 소요시간과 DEA 효율성을 비교한 결과 유사그룹으로 분류되는 정확도가 29.6%에 불과하여, 점포 관리자들의 다양한 분야에서의 운영개선 노력이 모두 반영되지 않을 수 있음을 시사했다. DEA 효율성 점수와 운영변수들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BCC 점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운영변수는 급식단가(r=0.337), 계약기간(r=0.248), 정직원 비율(r= -0.194), 월식수(r=0.150), 재고율(r=-0.203), 이벤트횟수(r=0.143), 전처리야채 사용률(r=0.131), 효율화식재 사용률(r=0.137), 잔반률(r=-0.130), 로스율(r=-0.128)로 나타났다. BCC 점수와 운영변수들의 영향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BCC 점수를 log로 치환하여 단계적 회귀분석으로 분석한 결과 급식단가, 월식수, 계약기간이 정의 영향을 나타내었으며, 정직원 비율, 잔반율, 메뉴수는 부의 영향력을 보였다(R2=0.197). 규모에 따라 4분위로 나누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소형 점포의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월식수와 파출비율, CK상품 사용률이었다(R2=0.291). 중소형 그룹에 대한 회귀식의 설명력은 39.9%였으며 유효한 변수는 정직원 비율이었다. 중대형 그룹에서는 정직원 비율, 급식단가, 계약기간이 효율성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쳤다(R2=0.352). 대형 점포의 효율성에는 급식단가, 월식수는 정의 영향을 미쳤고, 재고율, 잔식율은 부의 영향을 미쳤다(R2=0.499). BCC 점수와 수익률을 기준으로 고효율-고수익(HEHP), 저효율-고수익(LEHP), 고효율-저수익(HELP), 저효율-저수익(LELP)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HEHP 그룹은 114개(43.8%)로 고단가 관리비제 점포가 많았고, 한 끼만 운영하는 소규모 점포들도 포함되어 있었다. HELP 점포는 15개(5.8%)로 저단가 소규모 공장 점포들이 많았고, LEHP 그룹은 35개(13.5%)로 중단가 및 중간 규모의 공장 점포들이 많았다. LELP 그룹의 점포는 96개(36.9%)로, 저단가 점포의 비중이 높았으며 식수는 골고루 분포하고 있었다. HELP 그룹은 매출은 크나 재료비율이 높아서 수익률이 낮았고, LEHP 그룹은 매출은 작아도 투입변수들의 사용률이 낮아서 수익률이 높았다. 급식단가는 HEHP 그룹이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재료비단가는 비슷하였다. 계약기간에서도 HEHP 그룹이 가장 길어 점포 안정화에 따라 효율과 수익이 증가한다고 할 수 있다. 생산시스템에서는 효율화식재 사용률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고, 메뉴요인에서는 식수, 재고율, 이벤트횟수, 잔반률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BCC 점수와 만족도를 기준으로 고효율-고만족(HEHS), 고효율-저만족(HELS), 저효율-고만족(LEHS), 저효율-저만족(LELS) 그룹으로 분류하여 운영 특성을 살펴보았다. HPHS 그룹은 73개(28.1%)로 고단가 공장 점포가 많았고 관리비제 점포의 58%가 속해 있었다. HELS 점포는 56개(21.5%)로 점포 환경 특성에 대한 차이가 없어, 점포 환경보다는 운영 스킬에 의해 좌우된다고 할 수 있다. LEHS 그룹은 62개(23.8%)로 중ㆍ저단가 점포들이 많았고 오피스와 공장에 골고루 분포했다. LELS 그룹의 점포는 69개로 26.5%를 차지하며 저단가 점포의 비중이 높았고 운영코너가 많은 공장의 특성을 띠고 있었다. DEA 효율-만족 매트릭스의 그룹들은 손익관련 지표 중 매출, EBITDA, 이익률에서, 계약요인에서는 급식단가, 재료비단가, 계약기간 모두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생산시스템에는 전처리야채와 효율화식재 사용률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고, 메뉴요인에서는 메뉴수, 식수, 잔반률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의 학문적 중요성은 기존 효율성 분석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분석기법을 도입하여 푸드서비스 점포의 효율성을 산출하는 새로운 모델을 제시했다는 것이다. 산출변수로 사용된 매출, 수익, 고객만족도는 기업의 경영목표로, 동시에 고려해야하는 방법론의 문제를 해결하였으며 다수의 점포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여 푸드서비스 산업의 효율성을 측정하는 새로운 기준으로 적용할 수 있다. 푸드서비스 점포들은 계약에 따라 운영 환경이 다양하고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의 수가 많아서 측정 방법의 제약으로 효율성 측정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이다. DEA는 다수의 변수들을 동시에 반영하여 변수들의 간의 가중치를 수학적으로 계산해주며, 유사구조의 점포를 기준으로 비효율적인 정도를 측정하여 개선목표를 제안해 주는 특징이 있어 기존 효율성 측정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 또한 실증 연구 결과로 도출된 전략적 제안점은 신규점 개발 및 운영의 각 가치사슬 단계에 의사결정을 내릴 경우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단기 실행 전략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는 실무적 시사점이 있다.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전략 제안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개발단계에서는 규모보다 급식단가를 비중있게 다뤄야 하며, 고효율 점포가 되기 위해서는 단가 3,750원 이상, 재료비 1,900원 이상, 식수 8,400식 이상의 조건을 충족시켜야 한다. 둘째, 수익률과 만족도가 상충되는 경우 우선가치는 만족도가 된다. 셋째, 효율적인 점포 운영을 위해서는 시스템 표준화나 전처리, CK상품 등을 적극 활용하여 내부적인 관리에 소요되는 시간 및 인력을 최소화하고, 고객 응대에 필요한 최소의 인력으로 운영하면서 접점에서의 고객관리 시간을 늘리는 정책이 필요하다. 넷째, 계약기간이 길어질수록 종합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신규점 개발뿐 아니라 기존점에 대한 재계약 유지에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특정기업의 자료를 대상으로 한 일반화의 문제점과, 정성적 변수의 반영 비중이 낮아 추가 개발이 필요하다는 점이 있다. 더불어, 운영 프로세스에 대한 지표도 선행연구들이 많이 이루어지지 않아 푸드서비스 기업의 고객만족도 및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정성적 요인, 운영 프로세스의 지표화 등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 및 검증이 필요하다. 향후 연구 과제로는 변수별로 비효율성 정도를 측정해주는 slack base 모형이나 효율성의 시계열 추이를 분석해주는 Malmquist 생산성지표 분석 등을 도입하여 비효율성에 대한 세부적인 분석을 진행하거나, 타 푸드서비스 업종에 대한 확대 연구, 급식 점포들의 유형이나 규모에 따른 세분화된 연구들이 진행되어 푸드서비스 산업의 효율성을 측정하고 개선하는 방법을 제안하는 다양한 연구들을 진행할 것을 제안하는 바이다. The research was aimed to measure the efficiency of multi stores in foodservice company using DEA(data envelopment analysis) which is a new management science technique, to search relevant variables which had an affect on the DEA efficiency and to suggest operation methods to improve efficiency. The data was collected from 342 contract foodservice operations, which were operated in the similar form on October 2008. In order to analyze the difference of DEA models, 312 samples were used and to search the variables which had an affect on the DEA efficiency, 260 samples were used respectively. Sales, EBITDA, CSI(customer satisfaction index) were used as output variables and food cost, labor cost, management expense were used as input variables to calculate the DEA efficiency. Operation process variables of the unit we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The menu factor included number of menu items, forecasting accuracy, order accuracy, the ratio of food waste and inventory turnover. The human factor included number of employees, working hours, the ratio of full time employees and the ratio of daily employees, which were related to labor productivity and skillful degree. The contract factor included number of meals, number of service counters, methods of serving, meal counts per month, types of business, types of contract and the meal price etc. which related in the operating environment. The productive system reflected the use of preprocessed vegetable and the use of CK(Central kitchen) products. The DEA efficiency was calculated with two methods, One was input-oriented model which used sale, EBITDA, customer satisfaction index as output variables, the other used only sale and CSI as output variables. As a resul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CR and BCC score. According to analysis of the traditional labor productivity indices, labor minutes per meal were 7.1 minutes, meals per employee were 62 meals and meals per labor minutes were 9.8 meals. The classification accuracy between labor productivity index and the DEA efficiency score was only 29.6%. It implied that new performance measurement index should be introduced to reflect the improvement effort of unit managers.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BCC score and operation variables such as meal price(r=0.337), contract period(r=0.248), the ratio of full-time employee(r=-0.194), meal counts per month(r=0.150), inventory turnover(r=-0.203), frequency of event performances(r=0.143), use of preprocessed vegetables(r=0.131), use of convenient products(r=0.137), the rate of leftover(r=-0.130) and the rate of food loss(r=-0.128).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BCC score and the contract period, use of preprocessed vegetables, frequency of event performances and there were negative ones between BCC score and the ratio of full-time employees, inventory turnover, the rate of food loss. In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meal price, contract period, meal counts per month had an positive effect on the BCC log score, yet number of menu items, the ratio of full-time employees, inventory turnover had an negative one(R2=0.197). In small-sized unit, meal counts per month, the ratio of daily employees and the use of CK products influenced the efficiency (R2=0.291). In small-medium sized unit, R2 equals 46.5% and the ratio of full-time employees were significantly influential. In medium-large sized unit, ratio of full-time employees, meal price, contract periods had an effect on the DEA efficiency(R2=0.352). In large sized unit, meal price and meal counts per month had positive effect on the efficiency, yet inventory turnover and the rate of food loss had negative one(R2=0.499). According to the BCC score and profitability, units were classified into 4 groups like High efficiency-high profitability(HEHP), High efficiency-low profitability(HELP), Low efficiency-high profitability(LEHP) and Low efficiency-low profitability(LELP). HEHP group contained 114(43.8%) units which mostly contracted management fee type and had high meal price. They had many small units which managed only 1 meal. HELP group had 15 units which were operated at low price. They were mostly factories and served self-service foods. LEHP group with 35(13.5%) units, were mainly factory stores with intermediate meal price and medium scale. 96 LELP group's meal price were low. They opened throughout the year and managed over 2 lines. In spite of scale, profitability was low because of high food cost in HELP group. In contrast, profitability in HELP group was very high due to the low ratio of input variables. Meal price was significantly high in HELP group, yet there was no difference in food cost per meal. It means that food cost ratio was different between groups. When the contract period extends, efficiency and profit increased because stores became stable. As more convenient products were used, efficiency increased more in production system. Among menu factors, meal counts, inventory turnover, number of events, and the rate of leftover significantly differed. According to the BCC score and CSI, units were classified into 4 groups like High efficiency-high satisfaction(HEHS), High efficiency-low satisfaction(HELS), Low efficiency-high satisfaction(LEHS) and Low efficiency-low satisfaction(LELS). HEHS group contained 73(28.1%) units which were mostly factories with high meal price. In management fee contract type units, 58% units belong to HEHS group. They opened throughout the year and managed 3 meals per day. HELS group had 56 units which had no special characters. It assumed that satisfaction was influenced by management skill than the environment. LEHS group with 62(23.8%) units, had B&I stores with intermediate meal price. At 69 LELS stores, meal prices were low. They were mostly factories and managed many meals per day. In DEA efficiency-satisfaction matrix, sale, EBITDA, profitability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or contract factors, meal price, food cost per person, contract periods made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groups. In production system, use of preprocessed vegetables and use of convenient products had different results among groups. The number of menu items, meal counts, and rate of leftover made a difference in menu factor. The DEA can apply many variables simultaneously, compute the weight mathematically, measure the inefficiency compared with similar units and establish improvement goal. It's very difficult to measure the efficiency in foodservice industry because the operation environment varies due to contract and there are so many variables affecting the efficiency. The good point of DEA can make up for the difficulty of the efficiency measurement problem in foodservice industry. Thus the DEA could be a new method to measure the performance of unit managers. This paper analyzed the causes in details which were related to efficiency according to the profitability, satisfaction, operation environments and scale. The scholastic importance of the research is that it introduces a new analysis method which is able to overcome the limit of existing methods and makes a new model to measure the efficiency of foodservice units. It is an empirical research which considers the various conditions of units, so it could maximize the improvement results. Also this paper could be applied as a practice guide to help with decision-making in each value chain phase and be used as a short term strategy. To improve the efficiency, I would like to suggest some strategies. First, it's the meal price which primarily controls the operation efficiency and not meal counts. To satisfy the profitability and satisfaction simultaneously, it should satisfy a few conditions. The meal price should be over \2,750, the food cost should be over \1,900 and meal counts per month should be over 8,400meals. Secondly, satisfaction should be a priority when there is a conflict between satisfaction and profitability. Thirdly, service quality could be deteriorated by reducing full-time employees too much. To increase the efficiency, however, you should decrease the ratio of full-time employees. To solve this problem, increase the use of convenient foods and make a standard system to reduce management time. Instead increase time to meet customers. Fourthly, not only is it important to make new deals but it is extremely important to maintain and renew existing contracts since contract period has positive effect on efficiency, satisfaction, and profitability. This paper has a few limited points. Specific companies were researched, so it's difficult to apply to all foodservice companies. Another limited point is quality variables. Owing to measurement problem, quality variables and management indices were not reflected a lot. Customer satisfaction index, quality variables which affect the efficiency and operation indexes should be developed and examined continuously. Finally for future research, I would like to do detailed analysis on inefficiency by introducing Malmquist productivity index which can analyze time-series efficiency and slack based model that can measure the degree of inefficiency by variables or extend research in other industries or subdivideunits depending on scale and type to search for proper methods on efficiency measurement and improvement.

      • 음악을 활용한 태권도 품새 수련이 건강관련체력 및 심리요인에 미치는 영향

        박주연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음악을 활용한 품새 수련이 초등학생의 건강관련체력과 심리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기존 품새의 틀을 벗어나 음악을 활용한 품새가 더 다양화, 전문화 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태권도장 활성화의 방법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둔 연구이다. 본 연구 참여자는 서울시에 소재하고 있는 B태권도장에서 수련중인 3학년-6학년 초등학생 중 1년 이상 수련한 유품자 2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음악을 활용한 품새를 하는 실험집단 11명과, 공인 품새를 하는 비실험집단 10명을 선정하여, 음악을 활용한 태권도 품새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자료처리는 모든 자료 통계분석은 IBM STATISTICS SPSS 20.0과 AMO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이 때 유의수준은 α=.05로 설정하였다. 개인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설문지의 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참여자의 시기별, 집단 간의 차이에 따른 각 심리적 변인들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대응표본 t-test,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 참여자의 시기별×집단 간의 기초체력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이원변량분석(two-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의 시기ㆍ집단에 따른 건강관련체력 요소 중 근력, 근지구력, 심폐지구력은 증가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유연성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연구 참여자의 측정 시기에 따른 운동결과기대는 신체적 기대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심리적 기대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집단에 따른 운동결과기대는 실험집단이 더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연구 참여자의 측정 시기에 재미요인은 증가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집단에 따른 재미요인은 하위요인인 흥미, 건강에서는 실험집단이 더 높게 나타났고 사교, 인정에서는 비실험집단이 더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연구 참여자의 측정 시기에 따른 운동몰입은 증가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집단에 따른 운동몰입은 비실험집단이 실험집단보다 높게 나타났고 유의한 차이도 나타나지 않았다. 다섯째, 연구 참여자의 측정 시기에 따른 집단의 참여만족 중 하위요인인 교육적 만족, 사회적 만족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심리적 만족, 휴식적 만족, 생리적 만족에서는 증가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집단에 따른 참여만족도는 실험집단이 비실험집단보다 증가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This study is aimed at providing basic data that can be diversified and specialized out of the basic Poomsae framework for primary school students' health-related fitness and psychological factors. The study had proceeded with 20 young kids between 3rd and 6th-grade students with color belt who have been trained more than a year at taekwondo gymnasium in Seoul, South Korea. To sum up, the study was analyzed Music Poomsae Programme by selecting two experimental groups, ten students who practiced Poomsae using music and the other students who practiced Poomsae without music. All of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data collection was used IBM STATISTICS SPSS 20.0 and AMOS 20.0 for data processing. The significance level was set as .05 to analyze personal characteristics,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 Moreover, the paired t-test and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were conducted to find out the differences of each psychological variable factors accor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Also, A two-way ANOVA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the essential fitness between the study groups by perio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tst, Among health-related health factors, muscle strength, muscle endurance and cardiopulmonary endurance increased but but it also had not illu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flexibility. Second, it had not shown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hysical expectation for movement results according to subjects' exercise time. However, there was a considerable difference in psychological expectations. Furthermore, not only the experimental group had illustrated higher expectations results for expectations of movement outcomes, but it also had not illu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s. Third, the exciting element regarding the exercise process of subjects increased more than before, while there were no substantial differences. The sub-factors had demonstrated high interest and health in the experimental and social groups, and recognition factors were higher in the non-experimental group. By contrast, the results of the two groups were not dramatically different. Fourth, exercise immersion according to the subjects' measurement time had been increased while there was no considerable difference. Moreover, the non-experimental group showed a higher proportion than the experimental group in the exercise immersion part. FIFth,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educational and social satisfaction, which are sub-factors and significantly increased psychology, leisure, and physiology satisfaction between the group's participation satisfaction. The experimental group increased the participation satisfaction among the groups than the non-experimental group as well.

      • 뇌졸중 환자의 상부 체간 안정을 통한 스쿼트 자세가 핵심 안정근과 하지근 활성에 미치는 영향

        박주연 대구가톨릭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quat posture with upper trunk stability on core stability and lower extremities muscles and further was to suggest an effective training program method for stroke patients improving functional performance ability. The stroke patients(males 20) and healthy adults subjects(males 20) participated in this study. Core stability and lower extremities muscles was measured by applying general squat posture and squat posture with upper trunk stability. The study is conducted in two ways; one is a comparison of within groups according to two different squat postures by employing eight channel surface electromyography(WEMG-8) into both sides of quadriceps, external oblique, rectus abdominal and multifidus in order to estimate the muscles activities and the other is a comparison between groups who are healthy adults non-dominance and healthy adults dominance, stroke affected side and stroke non-affected sid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As a result of a comparison of quadriceps and external oblique muscle activity according to the squat posture, squat posture with upper trunk stability within groups revealed more valid difference than general squat posture within groups(p<0.05).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comparison of rectus abdominal muscle activity, within groups, non-dominant and dominant of healthy adults subjects and stroke patients affected side in squat posture with upper trunk stability showed more valid difference than in general squat posture(p<0.05). In the result of the comparison of quadriceps muscle activity, between groups, both general squat posture and squat posture with upper trunk stability showed more dominant valid difference in the stroke patients’ affected and non-affected side than in a healthy adult subjects’ non-dominant and a dominant(p<0.01). In the result of the comparison of multifidus muscle activity, general squat posture in the comparison between groups revealed that an affected side and a non-affected side of stroke patients showed more valid difference than a non-dominant and a dominant (p<0.01). In the conclusion, squat posture with upper trunk stability training of stroke patients should be considered to be a useful program for improving muscle of lower extremities and stability of postures through triggering muscle of lower extremities and core stability muscle. Based on this outcome of the one-off application, the following research can be conducted, which focuses on the effects of the training program for squat posture with upper trunk stability depending on a period in muscles activities and functional performance ability of stoke patients.

      • 유아교육기관 실외놀이시설의 안전관리실태와 교사의 인식 연구

        박주연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을 대상으로 실외놀이시설의 안전관리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조사 분석하고, 실외놀이시설의 안전관리에 관한 교사의 인식을 살펴봄으로써 유아교육기관의 실외놀이시설 안전관리가 잘 이루어질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기관 실외놀이시설의 안전관리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유아교사의 실외놀이시설 안전관리에 관한 인식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경기 지역에 위치한 유아교육기관 328곳이었으며, 유아교육기관 실외놀이시설 안전관리실태와 교사의 인식을 조사하기 위해 질문지를 작성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수집된 자료는 빈도와 백분율, x²검증, 일원변량분석, Scheffé검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기관 실외놀이시설의 안전관리실태를 살펴본 결과, 실외놀이시설에 관한 관리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외놀이시설 이용공간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특히, 실외놀이 시 놀이이용공간이 외부공간인 경우 자체공간인 경우보다 시설물의 결합 및 구조적인 요인으로 시설물 자체에서 사고가 많이 발생한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에 따른 재발방지대책은 실외놀이시설을 기관 내 자체공간에 보유한 기관이 더 많이 갖추고 있었다. 유아교육기관 중 실외놀이시설 안전점검을 실시하고 있는 곳은 82.6%로 나타났는데, 실외놀이공간이 기관 내 자체공간인 경우 외부공간을 이용하는 경우보다 안전점검을 더 많이 실시하고 있었다. 즉, 실외놀이시설의 안전관리실태는 실외놀이시설 이용공간에 따라 차이를 보였으며, 자체공간을 보유하는 경우에 더 잘 관리가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유아교사의 실외놀이시설 안전관리에 관한 인식을 살펴본 결과, 대부분의 교사들은 실외놀이시설 안전관리가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변인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실외놀이시설 정기시설검사, 유아대상의 안전교육, 교사대상의 안전연수, 안전관리와 사고와의 관계성에 대해서도 대부분의 교사들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나, 중간관리자가 원장이나 교사에 비해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실외놀이시설과 관련된 법규 및 제도, 안전관리법의 인식에 대해서는 교사들의 인식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학력과 소속기관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즉, 교사의 학력이 높을수록 실외놀이시설과 관련된 법규 및 제도, 안전 관리법에 대해 더 잘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교사가 유치원에서 근무하는 교사보다 더 잘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 Research on the Perception of Teacher and the Conditions of Safety Management on the Outdoor Playground Equipment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Park, Ju-Youn Dep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al Graduate School Duks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nd analyze how the safety of outdoor playground equipment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is managed and to examine the perceptions of teachers on safety management on outdoor playground equipment. This study tends to provide ground materials in order to seek solutions for a better safety management on the outdoor playground equipment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The subjects for the study are as followed: 1. How are the conditions of the safety management on the outdoor playground equipment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 2. What are the perception of teacher on the safety management on outdoor playground equipment? This study is based on 328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Questionnaire was drawn up to research the conditions of safety management of the outdoor playground equipmen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the perception of teacher. In order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frequency, percentage, x² inspection, oneway-ANOVA, Scheffé inspection were implement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ed: First, the safety condition of the outdoor playground equipment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is unsatisfying. Especially the ones that are placed at public places are more unsatisfying than the ones that are in possession of the institutions. The cause seems to be from the lack of systematic safety management. Therefore, for the purpose of a better operation on the safety management, institutions should possess outdoor playground equipment with a sense of ownership. Also, inspection guide should be developed for teachers in charge of safety management of the outdoor playground equipment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Furthermore, study and training opportunities should be open for teacher so they can carry out a systematic safety inspection with a righteous sense of knowledge on safety management. Second, most of the teachers perceive that safety management on outdoor playground equipment is important, but their understanding on legislation and system related to outdoor playground equipment were low. This is because in reality, teachers know that safety is important but many of them have a feeble grip on the actual legislation and system. The perception of teachers on legislation, system, and the administration law on safety was low, but the teachers with high academic backgrounds had a better knowledge. Also, teachers working for nurseries had a better knowledge than the kindergarten teachers, which shows that a system such as assessment certification enables the nursery teachers to manage the nursery more systematically and enhances the knowledge on legislation and system related to outdoor playground equipment. That is why for a much more systematic and continuous management on outdoor playground equipment it is a pressing matter to enhance the perception of teachers. And study and training on safety management and continuous reeducation should be practiced.

      • 과민성방광증후군 여성노인을 위한 바이오피드백 수면증진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검증

        박주연 계명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과민성방광증후군 여성노인을 위한 바이오피드백 수면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이다. 자료 수집기간은 2018년 5월 1일부터 2018년 8월 31일이었으며, 연구대상 실험군은 20명, 대조군은 18명이었다. 자료분석은 SPSS Statistics 20.0을 이용하여, 사전 동질성 검정은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 및 Mann-Whitney test로, 가설검정은 Wilcoxon test와 Mann-Whitney test로 분석하였고 신뢰도 검사는 Cronbach’s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제 1가설: “실험군과 대조군은 과민성방광증후군 증상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를 검정한 결과,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군과 대조군의 과민성방광증후군 증상심각도(U=115.50, p=.041)와 야간뇨 횟수(U=70.00, p<.001)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제 1가설은 지지되었다. 2) 제 2가설: “실험군과 대조군은 수면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를 검정한 결과,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군과 대조군의 수면의 질(U=85.00, p=.005), 수면 만족도(U=101.00, p=.017), 수면효율(U=74.00, p=.002), 입면 후 각성시간(U=35.00, p<.001), 수면 중 각성횟수(U=56.50, p<.001) 및 입면 후 3시간 이내 각성횟수(U=108.50, p=.035)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가설 2는 지지되었다. 3) 제 3가설: ‘실험군과 대조군은 자율신경계 활성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를 검정한 결과,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군과 대조군의 standard deviation of all normal R-R intervals (U=138.00, p=.219), total power (U=160.00, p=.559), low frequency (U=178.00, p=.953), high frequency ((U=179.00, p=.977)과 LF/HF ratio (U=169.50, p=.759)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제 3가설은 기각되었다. 4) 제 4가설: “실험군과 대조군의 신체활동량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를 검정한 결과,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군과 대조군의 신체활동량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U=66.00, p=.001). 따라서 제 4가설은 지지되었다. 5) 제 5가설: “실험군과 대조군의 우울 정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를 검정한 결과,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군과 대조군의 우울 정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U=64.00, p=.001). 따라서 제 5가설은 지지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노화수면모델에 기반을 둔 바이오피드백 수면증진 프로그램은 과민성방광증후군 여성노인의 수면을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인 중재로 검증되었다. 추후 체계적으로 과민성방광증후군 여성노인에게 확대·적용하여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and examine the effects of a biofeedback-based sleep improvement (BBSI) program for Korean elderly female with overactive bladder syndrome (OAB).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test design was used.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1 to August 31 in 2018. There were 20 subjects in the experimental and 18 subjects in the control group. SPSS Statistics 20.0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 and Mann-Whitney test were used to test homogeneity. The Wilcoxon and Mann-Whitney tests were used for hypothesis testing, and Cronbach's test was used to assess reliability.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first hypothesis, “symptoms of OAB will be different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as tested. After completion of the BBSI program, the symptom severity of OAD (U=115.50, p=.041) and frequency of nocturia (U=45.00, p<.001)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groups. Therefore, the first hypothesis was supported. 2. The second hypothesis, “sleep patterns will be different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as tested. Sleep quality (U=85.00, p=.005), sleep satisfaction (U=101.00, p=.017), sleep efficacy (U=74.00, p=.002), wake time after sleep onset (U=35.00, p<.001), number of awakenings, and number of awakenings in the 3 hours after sleep onset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groups. Therefore, the second hypothesis was supported. 3. The third hypothesis, “there will be a difference in autonomic nervous system activity between groups” was tested. After completion of BBSI program, standard deviation of all normal R-R intervals (U=138.00, p=.219), total power (U=160.00, p=.559), low frequency (U=178.00, p=.953), high frequency ((U=179.00, p=.977) and LF/HF ratio (U=169.50, p=.759)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refore, the third hypothesis was not supported. 4. The fourth hypothesis, “amount of physical activity will be different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as tested. There was significant a difference in amount of physical activity between groups (U=66.00, p=.001). Therefore, the fourth hypothesis was supported. 5. The fifth hypothesis “level of depression will be different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as tested. There was significant a difference in level of depression between groups (U=64.00, p=.001). Therefore, the fifth hypothesis was supported. From the above results, the BBSI program based on the senescent sleep model is an effective intervention for improving sleep in Korean elderly women with OAB. Applying the program systematically could be helpful in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elderly women with OAB.

      • 그림책이 아동에게 주는 영향 : 전조작기(2-7세) 아동의 창의력 상상력을 중심으로

        박주연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교육은 물론 사회전반에 있어서 가장 많이 등장하는 단어 중의 하나가 창의성인데 그동안 창의성은 개인적인 특성이나 타고 나는 것이라고 보는 견해가 많았다. 그러나 1900년대 중반부터는 창 의성도 교육되고 길러질 수 있다고 보는 학자들이 많아 졌다. 창의적 사고를 기르기 위한 가장 좋은 시기는 유아 후반기와 아 동 전반기라고 할 수 있는데 이 시기는 피아제의 발달단계 이론의 전조작기에 해당된다. 그리고 창의력은 상상력과 함께 확산적인 사 고를 기반으로 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전조작기의 아동의 창의력과 상상력을 발달시키기 위한 방법을 연구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아동 에게 영향을 미치는 그림책의 가치를 이해하고 아동이 갖는 그들만 의 고유한 특성을 파악하여 아동의 연령이나 발달단계에 알맞는 그 림책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시하는 것에 그 목적을 둔다. 어린이 그림책은 예로부터 아동의 교육을 위한 중요한 매체로 간 주되어 왔으며, 많은 연구가와 그림책을 읽어주는 어른들은 그림책 이 아동의 상상력과 창의력을 기를 수 있다고 믿어왔다. 이러한 그 림책의 어떤 면이 상상력과 창의력을 개발하는데 기여하는지 파악 해야 하며 그림책을 보다 올바른 교육매체로 인식하고 활용해야 할 것이다. Ⅱ장과 Ⅲ장에서는 우선 그림책에 대한 개념을 문헌을 통해 조사 하였고 일반인이 알고 있는 그림책의 교육적 가치들을 설명하였다. 그리고 그림책이 갖는 교육적인 특징들이 아동의 정신적인 성장에 주는 영향에 대해 개괄적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그림책을 가장 많 이 즐겨보는 연령이며 가장 많이 성장 발달되는 전조작기의 아동의 특징인 자기중심적인 사고와 환상적 사고방식이 갖는 특징과 그 이 유를 설명하고 이 시기에 그림책이 필요한 이유에 대하여 이야기하 였다. Ⅳ장에서는 전조작기 아동에 해당하는 연령의 아동이 가질 수 있 는 창의력과 상상력의 개념과 특징에 대해 설명하고 확산적 사고에 기반을 둔 창의력과 상상력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두 가지 개념의 상관관계로써 설명하였다. 그리고 그림책이라는 매체가 아동에게 어 떤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는지 설명하였는데 창의성 개발은 그림책 을 보고 연령별로 가능한 이야기 꾸미기로 이루어지는데 이때 교사 가 해야하는 질문이나 방법을 소개하였고 상상력 개발은 주로 그림 책의 일러스트레이션의 고유한 시각언어로써 개발될 수 있음을 설 명하였다. 이러한 근거로 그림책은 아동에게 정서적으로도 많을 도움을 주 지만 인지적인 발달에도 큰 영향을 준다는 것을 밝힐 수 있었다. 따 라서 어린이 그림책을 선별하는 어른들은 아동의 발달단계를 이해 하고 아동의 흥미가 잘 반영된 그림책을 골라야 하며 그들의 상상 력을 허무맹랑한 이야기나 허구의 것이라 폄하하지 말고 아동의 이 야기에 귀기울일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이 시기의 아동은 혼자 독립 적으로 책을 보기 어려운 시기이므로 책을 읽어주는 어른의 태도에 따라서 아동이 느낄 수 있는 감정의 상태와 이해는 많이 다를 수 있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Creativity' is one of the most frequently mentioned words at the entire range of society including education, and it has been mostly thought of as a personal or inherent characteristic. Since the middle of 20th century, however, the majority of scholars have thought that the creativity can be both cultivated and developed. The optimum period to cultivate creative thinking are from the latter half of the babyhood to the first half of the childhood, which corresponds to the preoperational stage mentioned in piaget's Developmental Stage Theory. And the creativity is based on dispersive thinking along with imagination. Accordingly, this study examined the ways to develop creativity and imagination of children's at the preoperational stage. Additionally, it aimed at understanding the values of picture books affecting these children and the traits peculiar to them to present picture books appropriate for their age or developmental stage more effectively. Picture books for children have been regarded as important media for their education for a long time, and many researchers and adults reading the picture books to children have believed that the books can help them to cultivate imagination and creativity. We must understand which respect of such picture books contributes to their imagination and creativity development and understand the books as proper educational media to use. ChapterⅡ and Ⅲ examined the ideas of picture books through literatures and described educational values of the books understood by people. And they performed a general research on the effect of the educational characteristics of picture books on children's mental development. In addition, they described the characteristics and reasons of self-centered and fantastic thinking, which are specific to the children at the preoperational stage enjoying picture books the most and making the most significant development, and suggested why the children at this stage are required of picture books. Chapter Ⅳ described the ideas and characteristics of creativity and imagination of the children at the preperational stage and showed both what are in common and differences between creativity and imagination based on dispersive thinking according to correlation between them. And it showed the way the media of picture books can be used for children: it suggested questions and methods required to teachers during the program for creativity development composed of story making with picture books possible for each age, and demonstrated that imagination can be mainly developed through a visual language peculiar to each illustration of the picture books. On this ground, it could be insisted that picture books can be not only an emotional help to children but have a great effect on their cognitive development. Thus, adults to select picture books for children must choose ones with understanding of their developmental stage and with sufficient reflection of their interest, and should listen carefully to what the children say, instead of thinking of their imagination negatively as false and fictitious. Besides, they must remember that because the children at this stage are hard to read a book by themselves independently, the states of their feeling and understanding can significantly vary according to the attitudes of adults reading a book to them.

      • 델파이기법을 통한 전통 장류 이용 소스의 급식메뉴 적용 발전 방안

        박주연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현재 학교 급식에서 종사하고 있는 영양사와 영양교사들로 이루어진 전문가 집단의 의견을 수집, 분석하여 전통 장류 이용 소스의 급식메뉴 적용 발전 방안을 제시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현재 급식 메뉴 중 고추장 이용 소스에서 학생들이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고추장 이용 소스는 양념장에 이용 될 때, 그리고 가금류와 육류에 함께 사용될 때 가장 높은 반응을 나타냈다. 고추장 이용 소스의 장점으로는 무엇보다도 매운맛이 한국 사람의 입맛과 잘 맞고 느끼한 맛을 잡아준다는 점이 높게 나타났으며, 동시에 매운맛이 너무 강해서 상쇄시키기 위한 방법이 필요하다는 점이 단점으로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를 개선시키기 위해 매운맛의 정도를 달리한 고추장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고추장 본연의 매운 맛을 줄이기 위해 과일이나 물엿, 설탕 등의 단맛을 첨가해 주는 것도 방법으로 나타났지만, 지나치게 소스가 달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고추장에 매실이나 식초를 넣어 맵고 텁텁한 맛을 줄여주는 방법 또한 적절하다고 생각된다. 간장 이용 소스 또한 학생들에게 높은 선호도를 얻고 있었다. 간장 이용 소스는 조림과 양념장에 이용 될 때, 그리고 구근류와 함께 사용될 때 가장 높은 반응을 타나냈다. 간장 이용 소스의 장점으로는 발효식품으로 건강에 좋다는 의견이 가장 높았고, 감칠맛이 있으며 풍미가 좋다는 의견도 높았다. 하지만 짠 맛이 강해서 조절이 어렵다는 단점도 높게 발견되었다. 이를 개선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간장의 염도를 낮추어야 한다는 의견이 가장 높았다. 그 방법으로는 간장에 다시마 우린 물을 섞어 희석해준다는 의견이 가장 높았으며, 간장에 버섯을 넣고 끓여서 단맛을 더해준다는 의견도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나타났다. 된장 이용 소스는 학생들이 가장 선호하지 않는 장류 이용 소스로 나타났다. 다른 장류 이용 소스들과 마찬가지로 양념장에 사용될 때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였고 발효식품으로 건강에 좋다는 점이 장점으로 나타났지만, 된장의 색과 특유의 발효취로 인한 단점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이를 개선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된장의 염도를 낮추고, 된장 특유의 전통적인 맛을 현대에 맞게 개량하는 것이 시급할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하기 위해서는 다른 식재료와 섞어 사용하거나 한번 볶아서 사용하는 등의 풍미 증진을 도모하는 방안들이 다양하게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본 델파이 연구에 참여한 패널들은 학교 급식에 종사하고 있는 영양사, 영양교사로 전통 장류 이용 소스에 대한 교육을 받은 전문가들이지만, 이들이 이 분야를 대표하는 집단이라 보기는 힘들므로 연구 결과를 일반화 하기는 어렵다. 그러므로 또 다른 전문가들과 다양한 의견 교류를 통해 발전 방안에 대한 연구를 계속 해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전통 장류 이용 소스의 급식메뉴 적용 현황과 발전 방안들은 앞으로 급식메뉴에서 장류를 활용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가 될 것이라 생각되며, 앞으로 더 의미 있는 연구 결과들이 나오리라 기대된다.

      • Scratch 프로그래밍 수업에서 학습자 특성, 학습몰입, 학습효과의 구조적 관계 규명

        박주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21세기는 첨단정보통신기술(ICT)을 물리적 기반으로 하여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극복한 지식정보사회로 창의적인 지식과 정보의 창출능력이 강조된다. 미래학자 Alvin Toffler(1989)는 지식정보사회에서 새로운 아이디어의 중요성을 역설하면서 고차원적 사고력과 과학기술의 활용 능력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정보와 지식이 사회의 부가가치를 높이므로 새롭고 유용한 지식을 창출하기 위해서는 지식들을 활용할 수 있는 힘인 고차원적인 사고력과 함께 과학기술을 유용하게 활용하여 지식의 생성과 혁신, 공유에 기여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이에 Partnership for 21st Century Skills(2008)에서는 21세기를 준비하는 학습역량으로 창의성과 비판적 사고력을 포함하는‘학습 및 혁신 역량’, 정보·미디어 소양을 포함한‘정보, 미디어, 테크놀로지 역량’을 포함하였다. 이러한 미래사회를 준비하는 학습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앞으로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은 교과 간의 경계를 허문 통합적이고 융합적이며 이와 더불어 첨단기술을 활용한 교육이다. 같은 맥락에서 교육부는 창의적인 인재양성을 목표로 고등사고기능 향상을 위한 사고력 교육을 강조하여 왔고(교육인적자원부, 2009a), 최근 이를 기초로 한 2015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을 발표하여 지식정보사회가 요구하는 핵심역량을 갖춘 창의융합형 인재상을 제시하고 통합교육과정과 소프트웨어 교육 강화 등을 주요내용으로 한 교육과정을 개정하였다(교육부, 2014). 통합교육과정은 지식의 통합적인 이해를 가능하게 하고 소프트웨어 교육은 궁극적으로 학생들의 사고력 향상에 기여한다. 사고력 교육에 대한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변천을 살펴보면 전통적으로 논리적 사고력과 창의적 사고력을 기르는 것에 중점을 두어왔다(이지현, 김영환, 2014). 논리적 사고력은 수많은 정보 속에서 필요한 아이디어를 분석하고 선별할 수 있는 능력의 기초가 되고 (Roadranka, Yeany, & Padilla, 1983), 창의적 사고력은 새로운 아이디어를 생성해냄으로써 다양한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하고 지식을 창출하는데 중요하다(조연순, 2001). 여기에 더해 최근 21세기 학습역량에서 제시한 정보, 미디어, 테크놀로지 역량이 강조되면서 컴퓨터적 사고력이 필요하게 되었다. 컴퓨터적 사고력은 오늘날의 복잡하고 유기적으로 연결된 문제들을 효과적으로 이해하고 풀어나가기 위해 복잡한 문제에 부딪혔을 때 컴퓨터 과학에 기초하여 알고리듬적 사고의 활용과 추상화를 통해 문제를 보다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풀어가는데 유용하다. 이에 사고력 교육에 대한 접근으로 컴퓨터 프로그래밍 수업이 하나의 대안이 되고 있으며, 프로그래밍 수업의 본질적인 가치가 사고력 향상에 있다는 것에 공감하여 우리나라 뿐 아니라 선진 각국을 비롯한 주요 국가에서는 프로그래밍 수업을 육성하고 있는 추세이다. 프로그래밍 수업이 사고력의 향상이라는 본질적인 학습효과를 가져오기 위해서는 학습과정에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몰입하는 것이 중요한 요인이 된다. 선행연구를 보면 학습몰입은 학습자의 선호도나 특성에 따라 차이를 가져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 프로그래밍 수업에 몰입하는 학습자 특성이 무엇인지에 대한 규명이 필요하다. 프로그래밍이 논리적인 문제해결과정임을 고려해 볼 때, 프로그래밍 수업의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특성 변인으로 논리수학지능과 문제해결성향을 상정하였다. 이는 프로그래밍 수업을 설계할 때 학생들의 학습몰입을 강화하기 위한 지원 전략을 세우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Scratch 프로그래밍 수업을 실행하여 Scratch 프로그래밍 수업에서의 학습효과를 검증하고, 학습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관계를 검증하고자 한다. 먼저, Scratch 프로그래밍 수업에서의 학습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논리적 사고력과 창의적 사고력의 Scratch 프로그래밍 수업의 전, 후 차이를 비교하여 Scratch 프로그래밍 수업의 학습효과를 밝히고자 한다. 이를 통해 사고력 교육을 위한 프로그래밍 수업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교육과정과 연계한 프로그래밍 수업의 적용방법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학습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특성 변인으로 논리수학지능과 문제해결성향을, 학습과정 변인으로 Scratch 프로그래밍 과정에서의 학습몰입을 상정하였고, 학습효과 변인으로 논리적 사고력, 창의적 사고력, 컴퓨터적 사고력을 상정하여 이들 간의 구조적인 관계 모형을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학습효과를 예측하는 학습몰입의 역할, 학습자 특성을 규명하고, 학습자의 특성을 반영하여 학습몰입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적인 프로그래밍 수업을 위한 교수설계 및 교수전략을 세우는데 기초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배경과 목적에 따라 본 연구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연구문제는 크게 Scratch 프로그래밍 수업에서의 학습효과 검증, 학습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관계 검증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Scratch 프로그래밍 수업을 통해 학습자의 논리적 사고력, 창의적 사고력은 향상되는가? 2. Scratch 프로그래밍 수업에서 학습자 특성(논리수학지능, 문제해결성향), 학습몰입, 학습효과(논리적 사고력, 창의적 사고력, 컴퓨터적 사고력) 간의 구조적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에 있는 A사립 초등학교 6학년 학생 20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분석방법은 먼저, Scratch 프로그래밍 수업에서의 학습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종속표본 t 검정을 통해 논리적 사고력, 창의적 사고력의 사전, 사후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학습자 특성, 학습몰입, 학습효과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의 분석절차는 측정모형 분석을 통한 측정도구의 적합성과 타당성 검증, 구조모형의 적합도와 타당도를 검증 한 후, 연구모형에 포함된 변인 간의 직·간접효과를 분석하고,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Scratch 프로그래밍 수업을 통해 논리적 사고력, 창의적 사고력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본 연구에서 설계된 Scratch 프로그래밍 수업에서의 학습자 특성, 학습몰입, 수업효과 간의 구조적 모형은 적합하였다. 그리고 연구모형에 포함된 직접효과의 검증 결과, 모형 내 변인 간에 가설로 상정된 모든 직접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논리수학지능과 문제해결성향은 학습몰입에, 학습몰입은 창의적 사고력, 논리적 사고력, 컴퓨터적 사고력에 각각 직접적인 영향력을 보였다. 또한, 연구모형에 포함된 간접효과의 검증 결과 학습자 특성인 논리수학지능과 문제해결성향은 학습몰입을 매개로 창의적 사고력, 논리적 사고력, 컴퓨터적 사고력에 각각 간접접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Scratch 프로그래밍 수업이 학생들의 논리적 사고력과 창의적 사고력을 향상시키므로 초등학교에서의 프로그래밍 수업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현재 초등학교에서의 프로그래밍 수업은 교육시수의 부족과 교육과정의 부재로 학교교육 내에서 보다는 영재교육기관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2015년 개정 교육과정에서 소프트웨어 교육 강화를 위해 초등학교 실과교과의 내용을 소프트웨어 기초 소양 교육으로 개편하였으나 구체적인 교육과정의 개발 및 교수방법의 실행방안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사고력 교육을 위한 프로그래밍 교육의 대안으로 교과의 내용과 프로그래밍 수업을 통합하는 방법을 고려해 볼 수 있다. 둘째, Scratch 프로그래밍 수업에서 학습자 특성이 학습몰입에 영향을 주므로 논리수학지능과 문제해결성향을 반영한 수업 설계 및 교수 전략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프로그래밍 수업 설계시 분류 및 범주화하기 전략, 발견학습 전략, 문제해결 교수설계 전략 등을 통해 학습자의 논리수학지능이 계발될 수 있다. 또한, 기대이론에 근거하여 프로그래밍 수업 진행시에 교수자가 학생들에게 기대감을 가지고 격려를 많이 한다면 학생들이 효율적인 문제해결성향을 갖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셋째, 학습몰입이 Scratch 프로그래밍 수업에서 학습효과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변인으로 나타남으로써 학습몰입을 촉진하기 위한 교수설계 및 교수전략에의 시사점을 제공한다. 프로그래밍 수업의 학습몰입 촉진 전략으로 교수자는 명확한 목표의 제공, 즉각적인 피드백, 학습자 중심의 활동구성, 도전감 있는 과제의 제시, 학생들의 과제에 대한 선택권을 제공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시사점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Scratch 프로그래밍 수업 후 논리적 사고력, 창의적 사고력이 향상됨을 확인하여, Scratch 프로그래밍 수업의 학습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 프로그래밍 교육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Scratch 프로그래밍 수업을 초등학교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교과과정 내에서 사회과의 내용과 프로그래밍 수업과의 효과적인 통합방법을 제안하였다. 둘째, Scratch 프로그래밍 수업에서 학습효과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 간의 구조적인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프로그래밍 수업을 실행할 때 고려되어야 할 변인들을 제안하였다. 논리수학지능과 문제해결성향과 같은 학습자 특성을 반영한 프로그래밍 수업의 설계 및 교수 전략, 프로그래밍 수업 과정에서 학생들의 학습몰입을 강화할 수 있는 방법을 시사점으로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제한점을 바탕으로 한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Scratch 프로그래밍 수업의 학습효과가 8주라는 비교적 단기간에 측정되었으므로 향후 연구에서는 프로그래밍 수업을 한 학기 이상 실행하고 학습효과를 측정한기를 제안한다. 둘째, Scratch 프로그래밍 학습몰입은 자기보고 방식의 Likert 척도로 1회 측정되었으므로 자기보고식의 측정과 함께 외부 관찰자의 관찰 측정을 포함하고, 학습과정 중에 여러 번 학습몰입을 측정함으로써 일회적인 학습몰입의 측정이 가지는 한계점을 보완하기를 제안한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Scratch 프로그래밍 수업의 학습효과를 인지적인 관점에서 측정하였으므로 학습 동기, 학습 태도, 학습 과정에 대한 만족도, 학습 지속 의지 등과 같이 학습효과 변인을 확장하게 하여 프로그래밍 수업의 효과를 검증하기를 제안한다. 넷째, 본 연구에서는 컴퓨터적 사고력을 학생들의 Scratch 산출물 분석을 통해 컴퓨터적 개념만 측정하였으므로, 향후 연구에서는 인터뷰, 비디오테이핑, 성찰노트 등을 활용하여 학생들의 컴퓨터적 실천, 컴퓨터적 관점을 모두 측정하기를 제안한다. 다섯째, 본 연구에 포함된 변인들 뿐 아니라 프로그래밍 수업에서 고려될 수 있는 다양한 변인들을 추가하여 프로그래밍 수업효과를 설명할 수 있는 모형으로 발전시키기를 제안한다. 여섯째, 본 연구에서는 Scratch 프로그래밍 학습몰입과 학습효과와의 관계를 양적인 연구 방법으로 규명하였으나, 더불어 질적인 연구 방법으로 프로그래밍의 학습 과정을 구체화하여 학습효과와의 영향력을 밝히는 연구를 제안한다. 이와 같은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초등학교 사회 교과의 내용과 Scratch 프로그래밍 수업을 통합하여 이를 실행하고, 학습효과를 검증하였다. 그리고 학습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간의 구조적인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교육에서 프로그래밍 수업의 필요성과 교과와 통합한 프로그래밍 수업방법을 현장에 적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프로그래밍 수업 실행시 교육공학적 교수 설계 및 교수 전략을 지원하기 위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The 21st century has seen the rise of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society, science based ICT, and an emphasis on creative knowledge and information's creating ability. Futurologist Alvin Toffler (1980) states that in a knowledge and information society, new ideas are critical, as is the need for multi-dimensional thinking skills and the ability to utilize scientific technology. Since information and knowledge increases a society's added value, the creation of new and useful knowledge is of paramount importance. In order to achieve this, people need the power of multi-dimensional thinking skills to best utilize the currently available knowledge and posses the ability to contribute in creating, innovating and sharing information. In accordance with this need, the Partnership for 21st Century Skills(2008), states that preparation for the learning demands of the 21st century should include 'information, media and technology skills' which also includes creativity and critical thinking ability. The current trend in educational design to reinforce these learning skills, is an integrated approach utilizing state-of-art technology. Correspondingly, the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has emphasized that learning skills education is needed to develop talented and creative individuals with increased higher order thinking skills (Ministry of Education, 2009). On this basis it has been announced that the 2015 Liberal Arts and Natural Sciences Integrated Curriculum will focuse on the core competencies that an individual in a knowledge and information society will require. This will be achieved by revising the education curriculum, which handles the integrated education process, within the context of software education(Ministry of Education, 2014). This combined education process makes the integrated understanding of information possible, and the context of software education ultimately contributes in increasing the thinking abilities of students. Looking historically at the pedagogical process in Korea with regards to thinking skills education, there has been a tradition of focusing on raising logical thinking and creative thinking(Lee, & Kim, 2014). Logical thinking ability provides the basis of the ability to analyze and select the required details from a multitude of information(Roadranka, Yeany, & Padilla, 1983), and creative thinking ability creates new ideas making it essential for solving problems and forming knowledge(Cho, 2011). In addition, because information, media, and technology competence is emphasized in recent 21st century education, computational thinking ability has become necessary. Computational thinking ability is useful in solving problems more efficiently and effectively through the use of algorithmic reasoning styles and abstractions based on computer science. This approach can be employed when encountering complicated problems in order to effectively understand and solve the complex and organically connected data. Hence, there is a trend in developed countries -including Korea- of promoting programming courses in education to aid the development of thinking skills. In order to facilitate actual educational outcomes of increased thinking ability from programming courses, students' active and focused participation becomes an important factor during the learning process. If we look at previous research, 'learning flow' is reported as being a significant factor which varies in accordance with the learner's preference or character -therefore investigating the learner's character is also essential. This could help build a support strategy to reinforce the students' learning flow during the planning and organization of programming courses. Considering that programming is a logical problem solving process, logical-mathematical intelligence and problem solving tendencies are key learner character factors that will influence learning flow during programming courses. Therefore, for this research, a SCRATCH programming course for elementary students was run with the intention of establishing its learning effect and also to define the factors and relationships that influenced that learning effect. First of all, in order to measure the learning effect of the SCRATCH programming course, we compared the logical and creative thinking ability of students before and after the SCRATCH programming course and proved and clarified the learning effect of the class. The procedure confirmed the necessity of programming courses for thinking skills education and provided implications about the application method of programming course in connection with the education curriculum. Next,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the various factors needed to be established and modeled. Logical-mathematical intelligence and problem solving tendency were selected as the learner character factors influencing the learning effect. Studying flow during SCRATCH programming process was selected as the learning process factor. Additionally, logical thinking ability, creative thinking ability, and computational thinking ability were selected as the learning effect factors. Through this procedure, the role of learning flow investigated, along with learner's character, to predict learning effects and provide the basis from which to establish instructional design and instructional strategy for effective programming courses reflecting the learner's character. In light of the background research and its implication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iscuss and prove the learning effect of a SCRATCH programming course and discover the relationships between factors influencing the learning effect.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for this matter are the following. 1. Do a learner's logical thinking ability and creative thinking ability improve participation in a SCRATCH programming courses? 2. What ar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learner's character(logical-mathematical intelligence, problem solving tendency), learning flow, and learning effect(logical thinking ability, creative thinking ability, computational thinking ability) during the SCRATCH programming course? The research participant group was made up of 205 6th grade students in a private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eoul. The research analysis procedure consisted of first discovering any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in logical and creative thinking ability results before and after the SCRATCH programming course. The measuring of the learning effect was achieved through dependent samples t test analysis. Then, in order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learner's character, learning flow, learning effect,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method was employe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s analysis process first analyses the structural instrument's suitability and validity by analyzing the designed measurement model. Next an analysis of the structural model's suitability and validity was performed, and then analysis of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among factors included in the research model. Finally th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these factors was established. In summary, the finding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ly, logical thinking ability and creative thinking ability were shown to increase through participation in the SCRATCH programming courses. Secondly, the appropriateness of the structural model of learners' character, learning flow, and the learning effects achieved during the SCRATCH programming courses was validated; each of the hypothesized factors proving to have direct and meaningful educational outcomes. In other words, logical-mathematical intelligence and problem solving tendency directly influenced learning flow; and this learning flow directly influenced creative thinking ability, logical thinking ability, and computational thinking ability. In addition, analysis revealed the indirect effects included in the model, whereby logical-mathematical intelligence and problem solving tendency -which is the learner's character- influenced creative thinking ability, logical thinking ability, and computational thinking ability respectively through learning flow. The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ince SCRATCH programming courses were shown to increase student's logical and creative thinking, it is recommended that programming courses should be adopted in elementary schools. However, in the current elementary school system, programming courses are usually only found in gifted education institutions, rather than in the wider school education curriculum due to the lack of educational course guidelines. In 2014, as a result of the revised education process for software education reinforcement, practical elementary school programming courses will be reorganized and reprioritized as core components of the curriculum. However, there has been no specific educational process development or teaching method guidelines provided yet. For this, we should consider ways to integrate the curriculum's content with programming courses to improve thinking abilities as demonstrated i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econdly, since a learner's character influenced learning flow during the SCRATCH programming classes, courses should be designed that reflect the logical-mathematical intelligence and problem solving tendency, and also insights into instructional strategies should be provided. When designing programming courses, a learner's logical-mathematical intelligence could be developed through categorizing and classifying strategies, information searching strategies, and problem solving instructional design strategies. Also, on the basis of expectation theory, if instructors have expectations about the students and encourage them while participating in the programming courses, it would help students to develop efficient problem solving tendencies. Thirdly, as learning flow was shown to be the major factor during the SCRATCH programming classes, it can be concluded that instructional design and instructional strategies that foster learning flow is required. For learning flow boosting strategies in programming courses instructors should provide clear goals, give immediate feedback, organize learner-centered activities, provide challenging tasks, and give the students the option to choose the tasks. The significance of the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ly, this research developed a scratch programming course intended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demonstrated that it improved logical and creative thinking ability, while also proving the practical learning effect of programming courses, and clarifying the necessity of programming education. As a result, by integrating scratch programming courses with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it provided an effective integrated method for combining programming classes with the social context outlined in the curriculum. Secondly, by investigat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learning effects during the SCRATCH programming courses, the research has highlighted factors to consider when developing programming courses. This included providing insights into designing programming courses that reflect a learner's character, such as logical-mathematical intelligence and problem solving tendency, and also instructional strategies and methods to increase a student's learning flow during programming classes. The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and proposals for future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in this research, the learningl effect of the SCRATCH programming courses was measured over the course of 8 weeks, which is a relatively short period. Therefore, in any follow up study, it is advised that the learningl effect is measured for the duration of at least one semester. Secondly, the student's learning flow during the courses was measured only once using a Likert scale in a self-report form. It is recommended that along with the self-report measurement, exterior observational measurements should be included, and that the learning flow should be measured several times during the learning process to supplement the limitations of a one-shot measurement. Thirdly, the learning effect of the SCRATCH programming courses was measured from a cognitive perspective. Therefore, it is advised that further factors involved in the learning effects of programming courses should be included for analysis, including learning motivation, learning attitude, satisfaction about the learning process, and learning continuance. Fourth, this research only measured the computational thinking by analyzing each student's SCRATCH production, and measured the computational concept. Therefore, in any follow up research, it is recommended that all of a student's computational practice and computational perspective should measured by utilizing methods such as interviews, video taping, and reflection notes and so on. Fifth, it is advised that, in addition to those included in this research, new factors operating in programming courses should be considered, and that the model explaining the effects could be further developed. Sixth, a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was us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CRATCH programming learning flow and the learning effect. Therefore, it is recommend that a mixed designs approach, including qualitative research, should be utilized reveal programming learning process and clarify the influence with learning effect. In spite of these above limitations, the research integrated and ran an elementary school social curriculum with SCRATCH programming education, and proved the beneficial learning outcomes. In addition, it is significant that the data practically prov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factors influencing the learning outcomes. Based on this research, it has been established that there is a need for programming courses in elementary schools, and it can also be concluded that it is possible to integrate programming courses methods with curriculum in actual fields. Also, it has revealed insights into educational technology instruction design, and instructional strategies, that can be utilized during the development of programming cour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